KR20220044761A - 항체를 포함하는 신규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체를 포함하는 신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761A
KR20220044761A KR1020227006365A KR20227006365A KR20220044761A KR 20220044761 A KR20220044761 A KR 20220044761A KR 1020227006365 A KR1020227006365 A KR 1020227006365A KR 20227006365 A KR20227006365 A KR 20227006365A KR 20220044761 A KR20220044761 A KR 20220044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eous solution
composition
solution composition
buffer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6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잔 제제크
데이비드 게링
Original Assignee
아레콜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레콜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아레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44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76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7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A61K38/1774Immunoglobulin superfamily (e.g. CD2, CD4, CD8, ICAM molecules, B7 molecules, Fc-receptors, MHC-molec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91Stabilisation, frag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7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7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A61K38/179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growth factors; for growth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7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A61K38/1793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cytokines; for lymphokines; for interfe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191Tumor necrosis factors [TNF], e.g. lymphotoxin [LT], i.e. TNF-be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6Glucag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2Heterocyclic compounds, e.g. ascorbic acid, tocopherol or pyrrolid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4/70532B7 molecules, e.g. CD80, CD86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1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growth factors; for growth regul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1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cytokines; for lymphokines; for interferons
    • C07K14/7151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cytokines; for lymphokines; for interferons for tumor necrosis factor [TNF], for lymphotoxin [LT]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30Non-immunoglobulin-derived peptide or protein having an immunoglobulin constant or Fc region, or a fragment thereof, attached thereto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oxi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항체 작제물; 임의로 3.0 내지 9.5 범위의 pKa 및 조성물 pH의 2 pH 단위 이내의 pKa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온화가능 기를 갖는 물질인 하나 이상의 완충제; 임의로 하나 이상의 중성 아미노산; 및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를 포함하는, 4.0-8.5 범위의 pH의 수용액 조성물로, 여기에서 상기 완충제는 0-5 mM의 총 농도로 조성물 중에 존재하고; 상기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기여를 제외한 조성물의 전체 이온 강도는 20 mM 미만이다.

Description

항체를 포함하는 신규 조성물
본 발명은 낮은 완충제 농도 및 낮은 이온 강도로 Fc 도메인(domain)을 포함하는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engineered protein construct)의 수용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은 치료법에 널리 사용된다. Fc 도메인은 Fc 수용체라 칭하는 세포 표면 수용체 및 보체계의 일부 단백질과 상호작용하고 이에 의해 면역계를 활성화하는 항체의 C-말단 영역이다. IgG, IgA 및 IgD 항체 아이소타입에서, Fc 도메인은 2개의 동일한 단백질 쇄 단편으로 구성되며, 이들 단편은 각각 항체 중쇄의 제2 및 제3 불변 도메인으로부터 유래한다. IgM 및 IE 항체 아이소타입에서, Fc 도메인은, 각각이 항체 중쇄의 제2, 제3 및 제4 불변 도메인으로부터 유래하는 2개의 동일한 단백질 쇄 단편으로 구성된다. Fc 도메인의 분자량은 전형적으로 25 내지 40 kD의 범위일 수 있으며 글리코실화가 존재하는 경우 더 클 수도 있다. 비만세포, 호염기구 및 호산구의 세포 용해 및 탈과립을 포함한 광범위한 생리학적 효과가 항체 Fc 도메인 결합에 의해 매개되는 면역계의 활성화로부터 초래된다.
이중특이성 및 삼중특이성 항체를 포함한 광범위한 조작된 항체 단백질 작제물이 개발되었다. 항체 분자의 Fab 부분(항원 결합 특이성을 부여하는 부분이다)으로부터 분리된 Fc가 그의 생리학적 목적과 다른 목적, 특히 단백질 작제물의 생체내 반감기를 연장시킬 목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다수의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이 또한 개발되었다.
단백질은 수용액으로서 제형화될 때, 불안정하며 보관 중에 분해에 민감하고 결과적으로 생물학적 활성의 손실에 민감하다. 분해는 응집, 침전 또는 젤 형성을 포함하여 사실상 물리적일 수 있다. 분해는 또한 가수분해적 절단, 탈아미드화, 환상 이미드 형성, 아스파테이트/글루타메이트 이성질체화 또는 산화를 포함하여 사실상 화학적일 수도 있다.
분해 과정의 속도는 온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며, 단백질 치료 분자는 일반적으로 저온에서 보다 안정적이다. 그러나 냉장 상태에서도 의도한 유효 기간(일반적으로 24개월) 동안 액체 형태로 안정한 치료 단백질 제품을 개발하는 것은 종종 어려운 일이다. 또한 환자의 편의를 위해 최대 25℃ 또는 최대 30℃와 같은 고온에서 특정 기간 동안 또는 전체 유효 기간 동안 안정적인 제품을 개발할 필요가 종종 있다.
단백질 치료제의 안정성을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매개변수 중 하나는 pH이다. 따라서 pH 최적화는 제형 개발의 핵심 단계이다. 다수의 치료 단백질이 4.0-8.5 사이의 선택된 pH에서 제형화된다. pH가 선택된 값으로 유지되고 pH 변동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제형화에는 어느 정도의 완충 능력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보다 큰 단백질 분자는 전형적으로 폴리펩티드 주쇄의 아미노산 측쇄 사이의 이온화가능 기의 존재로 인해 일부 자체 완충 능력을 갖는다.
본 발명은 수용액 조성물 중에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안정성 문제를 다룬다.
WO2006/138181A2(Amgen)는 다른 완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자기-완충 단백질 제형을 개시한다.
WO2009/073569(Abbott)는 아달리무맙과 같은 항체의 수성 제형을 개시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형은 약 2.5 mS/㎝ 미만의 전도도를 갖는다.
WO2008/084237(Arecor)은 통상적인 완충제를 유의미한 양으로 포함하지 않는 단백질 조성물을 개시한다. 대신에 조성물의 pH보다 적어도 1 단위 더 작거나 또는 1 단위 더 큰 pKa 값을 갖는 첨가제인 "대체 완충제"가 사용된다.
WO2018/094316(Just Biotherapeutics)은 애플리버셉트(aflibercept)를 포함하는 안과 제형을 개시한다.
WO2013/059412 및 WO2014/011629(Coherus)는 에타너셉트의 수성 제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라,
-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
- 임의로 3.0 내지 9.5 범위의 pKa 및 조성물의 pH의 2 pH 단위 이내의 pKa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온화가능 기를 갖는 물질인 하나 이상의 완충제;
- 임의로 하나 이상의 중성 아미노산; 및
-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tonicity modifier)
를 포함하는, 4.0-8.5 범위의 pH의 수용액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완충제는 0-5 mM의 총 농도로 조성물 중에 존재하고; 상기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기여를 제외한 조성물의 전체 이온 강도는 20 mM 미만이다.
본원은 완충제가 존재하지 않거나 저농도로 존재하고 낮은 이온 강도를 갖는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안정한 수용액 조성물을 기재한다.
본원에서 "pH"에 대한 모든 언급은 25℃에서 평가된 조성물의 pH를 지칭함에 유의해야 한다. "pKa"에 대한 모든 언급은 25℃에서 평가된 이온화가능 기의 pKa를 지칭한다(문헌[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79th Edition, 1998, D. R. Lide] 참조). 경우에 따라, 폴리펩티드 중에 존재하는 아미노산 측쇄의 pKa 값을 적합한 계산기를 사용하여 추산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완충제가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안정성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긴다. 따라서, 조성물 중의 완충제의 농도는 가능한 한 많이 제한되어야 한다.
완충제(들)(존재하는 경우)는 조성물의 pH에서 완충 능력을 가질 것이다. 완충제는 전형적으로 조성물 pH의 1 pH 단위 이내의 pKa를 갖는 이온화가능 기를 포함하지만, 조성물의 pH보다 1 pH 단위 더 크거나 더 작은 pKa를 갖는 이온화가능 기를 갖는 모이어티가 또한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경우 약간의 완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완충제는 조성물 pH의 1 pH 단위 이내의 pKa를 갖는 이온화가능 기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완충제는 조성물의 pH 1.5 pH 단위(예를 들어 조성물 pH의 1 내지 1.5 pH 단위) 이내의 pKa를 갖는 이온화가능 기를 포함한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완충제는 조성물의 pH 2 pH 단위(예를 들어 조성물의 pH의 1.5 내지 2 pH 단위) 이내의 pKa를 갖는 이온화가능 기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완충제가 실질적으로 없다, 예를 들어 어떠한 완충제도 함유하지 않는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단일 완충제를 함유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2개의 완충제를 함유한다. 적합하게, 하나 이상의 완충제가 존재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성물 중의 완충제의 총 농도는 4.5 mM 미만, 예를 들어, 4 mM 미만, 3 mM 미만, 2 mM 미만, 1 mM 미만, 0.5 mM 미만, 0.4 mM 미만, 0.3 mM 미만 또는 0.2 mM 미만 또는 0.1 mM 미만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완충제의 총 농도는 0.1-5 mM, 예를 들어 0.5-5 mM, 0.1-4 mM, 0.5-4 mM, 0.1-3 mM, 0.5-3 mM, 0.1-2 mM, 0.5-2 mM, 0.1-1 mM 또는 0.5-1 mM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완충제의 총 농도는 1-5 mM, 1-4 mM 또는 1-3 mM 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수용액 조성물은 완충제가 실질적으로 없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없다"는 수용액 조성물이 0.1 mM 미만의 완충제를 함유함을 의미한다. 용액 중 완충제의 농도를 고려하는 경우,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 자체의 임의의 완충 능력은 제외해야 한다.
수용액의 pH는 산이 첨가되는 경우 감소하고 염기가 첨가되는 경우 증가한다. 주어진 온도 및 대기압에서, 산 첨가시의 pH 감소의 크기 또는 염기 첨가시의 pH 증가의 크기는 (1) 첨가되는 산 또는 염기의 양, (2) 수용액의 출발 pH(즉 산이나 염기 첨가 전) 및 (3) 완충제의 존재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1) 주어진 pH에서 출발하여, 보다 많은 양의 산이나 염기의 첨가는 보다 큰 크기의 pH 변화를 초래할 것이며, (2) 주어진 양의 산이나 염기의 첨가는 중성 pH(즉 pH 7.0)에서 가장 큰 pH 변화를 초래할 것이고 pH 변화의 크기는 출발 pH가 pH 7.0에서 멀어짐에 따라 감소할 것이며, (3) pH 변화의 크기는 주어진 pH에서 출발하여 완충제의 부재하에서보다 완충제의 존재하에서 더 작을 것이다. 따라서 완충제는 산이나 염기가 용액에 첨가되는 경우 상기 변화를 감소시키는 능력을 갖는다.
적합하게는, 어떤 물질이, 강한 산이나 강한 염기를 첨가하여 용액 중의 산 또는 염기가 0.1 mM 증가할 때, 용액의 pH 변화의 크기를 완충제를 포함하지 않는 동일한 용액과 비교하여 75%, 바람직하게는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25%까지 감소시킬 수 있는 경우, 이 물질을 완충제인 것으로 간주한다.
환언하면, 적합하게는, 어떤 물질이, 강한 산이나 강한 염기를 첨가하여 용액 중의 산 또는 염기가 0.1 mM 증가할 때, 용액의 pH 변화의 크기를 완충제를 포함하지 않는 동일한 용액과 비교하여 75%, 바람직하게는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25%까지 감소시킬 수 없는 경우, 이 물질은 완충제로 간주되지 않는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완충제는 아미노산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완충제는 아미노산이 아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아미노산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글루타메이트 및 아스파테이트가 없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시스테인이 없다.
존재하는 경우, 적합한 완충제는 비제한적으로 시트레이트, 히스티딘, 말리에이트, 설파이트, 글리옥실레이트, 아스파탐, 글루쿠로네이트, 아스파테이트, 글루타메이트, 타르트레이트, 글루코네이트, 락테이트, 글리콜산, 아데닌, 숙시네이트, 아스코르베이트, 벤조에이트, 페닐아세테이트, 갈레이트, 시토신, p-아미노벤조산, 소르베이트,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알기네이트, 유레이트, 2-(N-모르폴리노)에탄설폰산, 비카보네이트, 비스(2-하이드록시에틸)이미노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탄, N-(2-아세트아미도)-2-이미노디아세트산, 2-[(2-아미노-2-옥소에틸)아미노]에탄설폰산, 피페라진, N,N'-비스(2-에탄설폰산), 포스페이트,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2-아미노에탄설폰산, 3-[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2-하이드록시프로판설폰산, 트리에탄올아민, 피페라진-N,N'-비스(2-하이드록시프로판설폰산),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N-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글리신 및 N-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틸-3-아미노프로판설폰산, 및 이들의 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완충제는 히스티딘, 말리에이트, 설파이트, 글리옥실레이트, 아스파탐, 글루쿠로네이트, 아스파테이트, 글루타메이트, 타르트레이트, 글루코네이트, 락테이트, 글리콜산, 아데닌, 숙시네이트, 아스코르베이트, 벤조에이트, 페닐아세테이트, 갈레이트, 시토신, p-아미노벤조산, 소르베이트,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알기네이트, 유레이트, 2-(N-모르폴리노)에탄설폰산, 비카보네이트, 비스(2-하이드록시에틸)이미노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탄, N-(2-아세트아미도)-2-이미노디아세트산, 2-[(2-아미노-2-옥소에틸)아미노]에탄설폰산, 피페라진, N,N'-비스(2-에탄설폰산), 포스페이트,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2-아미노에탄설폰산, 3-[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2-하이드록시프로판설폰산, 트리에탄올아민, 피페라진-N,N'-비스(2-하이드록시프로판설폰산),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N-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글리신 및 N-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틸-3-아미노프로판설폰산, 및 이들의 염,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완충제는 시트레이트, 말리에이트, 설파이트, 글리옥실레이트, 아스파탐, 글루쿠로네이트, 타르트레이트, 글루코네이트, 락테이트, 글리콜산, 아데닌, 숙시네이트, 아스코르베이트, 벤조에이트, 페닐아세테이트, 갈레이트, 시토신, p-아미노벤조산, 소르베이트,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알기네이트, 유레이트, 2-(N-모르폴리노)에탄설폰산, 비카보네이트, 비스(2-하이드록시에틸)이미노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탄, N-(2-아세트아미도)-2-이미노디아세트산, 2-[(2-아미노-2-옥소에틸)아미노]에탄설폰산, 피페라진, N,N'-비스(2-에탄설폰산), 포스페이트,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2-아미노에탄설폰산, 3-[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2-하이드록시프로판설폰산, 트리에탄올아민, 피페라진-N,N'-비스(2-하이드록시프로판설폰산),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TRIS), N-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글리신 및 N-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틸-3-아미노프로판설폰산, 및 이들의 염,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완충제는 시트레이트, 히스티딘, 말리에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벤조에이트, 아세테이트, 비카보네이트, 포스페이트 및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TRIS)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예를 들어 히스티딘, 말리에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벤조에이트, 아세테이트, 비카보네이트, 포스페이트 및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TRIS), 특히 히스티딘, 락테이트, 아세테이트, 포스페이트 및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TRIS) 중에서 선택되고, 예를 들어 완충제는 포스페이트 또는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TRIS)이다. 된다. 대안적으로, 완충제는 포스페이트 또는 시트레이트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나트륨 포스페이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성물이 포스페이트 완충제(예를 들어 나트륨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경우 적합하게 농도는 4.5 mM 미만, 예를 들어 4.0 mM 미만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주요 용매는 수, 예를 들어 주사용 수이다. 조성물의 다른 성분(예를 들어 폴리올)이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가용화에 기여할 수 있다.
조성물은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 예를 들어 폴리올을 포함한다.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의 예는 글리세롤, 1,2-프로판디올, 만니톨, 솔비톨, 슈크로스, 트레할로스, PEG300 및 PEG400을 포함한다. 적합하게는 하전된 긴장성 조절제는 글리세롤, 만니톨, 1,2-프로판디올 및 슈크로스 중에서 선택된다. 포함시,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는 조성물 중에 전형적으로 50 내지 1000 mM, 예를 들어 200 내지 500 mM, 예를 들어 약 300 mM의 농도로 사용된다.
조성물은 적합하게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하고 따라서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삼투압농도(osmolarity)를 갖는다. 따라서, 조성물의 삼투압농도는 적합하게는 200 내지 500 mOsm/L, 예를 들어 약 300 mOsm/L이다. 조성물은 예를 들어 인간 혈장과 등장성이다. 조성물은 또한 저장성 또는 고장성, 예를 들어 투여전 희석이 의도되는 농도일 수 있다.
조성물은 중성 아미노산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중성 아미노산은 그의 측쇄가 현저하게 이온화되는(즉 측쇄의 20% 초과, 특히 50% 초과가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갖는) 이온화가능 기를 함유하지 않는 아미노산이다. 중성 아미노산의 예는 글리신, 메티오닌, 프롤린,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세린, 쓰레오닌, 아스파라진 및 글루타민 및 특히 그의 L 이성질체 중에서 선택된다.
적합하게, 중성 아미노산은 글리신, 메티오닌, 프롤린 및 알라닌 중에서 선택되며, 특히 프롤린 및 글리신, 특히 프롤린 중에서 선택된다.
하나 이상의 중성 아미노산(존재하는 경우)의 총 농도는 예를 들어 20-250 mM, 예를 들어 20 내지 200 mM, 예를 들어 50-150 mM, 예를 들어 50-100 mM 또는 25-75 mM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는 100-250 mM, 예를 들어 150-200 mM일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이온의 존재가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안정성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긴다. 따라서, 조성물의 이온 강도는 가능한 한 많이 제한되어야 한다.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기여를 제외한 조성물의 전체 이온 강도는 20 mM 미만, 적합하게는 10 mM 미만, 예를 들어 5 mM 미만이다. 본원에서 "전체 이온 강도"란 용어는 하기의 용액 중 모든 이온 농도의 함수로서 사용된다:
Figure pct00001
여기에서 cx는 이온 x (mol L-3)의 몰 농도이고, zx는 이온 cx의 순 전하(net charge)이다. 상기 합은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기여를 제외한 용액 중에 존재하는 모든 이온(n)을 포함한다. 임의의 중성 아미노산은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0의 순 전하를 가지며 따라서 전체 이온 강도에 기여하지 않음을 알 것이다. 어쨌든, 임의의 중성 아미노산의 기여는 포함되지 않는다.
조성물의 pH는 4.0 내지 8.5, 예를 들어 4.0 내지 7.5, 또는 5.0 내지 8.5, 예를 들어 6.0 내지 8.5, 예를 들어 6.5 내지 8.5, 또는 6.0 내지 7.5, 예를 들어 7.0 내지 7.5이다. 다른 관심 범위는 5.0 내지 8.0, 예를 들어 5.0 내지 7.5, 예를 들어 5.5 내지 7.5, 특히 6.0 내지 7.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을 포함한다.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은 전형적으로는 유전 공학 또는 합성 화학의 산물로서 제조된 비-천연 단백질이다. 완전인간 항체(및 다른 비-인간 종의 천연 항체)는 세균 또는 진균과 같은 이종 숙주에서의 발현에 의해 생성된다 하더라도,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이란 용어에 포함되지 않는다. 인간 면역계를 갖도록 조작된 비-인간 동물(예를 들어 마우스)에 의해 생성된 인간 항체도 또한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이란 용어에 포함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아달리무맙은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이 아니다.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은 키메라 항체 및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은 Fc 도메인을 포함한다. Fc 도메인은 면역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Fc 수용체 또는 보체계의 일부 단백질과 상호작용하는 항체의 도메인이며 그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Fc 도메인은 예를 들어 IgG(예를 들어 IgG1, IgG2, IgG3 또는 IgG4), IgA(예를 들어 IgA1 또는 IgA2), IgD, IgM, IgY 및 IgE 아이소타입으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IgG, IgA 및 IgD 아이소타입으로부터 유래된 Fc 도메인은 디설파이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 2개의 동일한 단백질 쇄 단편을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항체 중쇄의 제2 및 제3 불변 도메인으로부터 유래한다. IgM 및 IgE 아이소타입으로부터 유래된 Fc 도메인은 디설파이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 3개의 동일한 단백질 쇄 단편을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항체 중쇄의 제2, 제3 및 제4 불변 도메인으로부터 유래한다. Fc 도메인은 임의로 글리코실화될 수 있다. 가장 적합하게 Fc 도메인은 IgG, 특히 IgG1의 Fc 도메인이다. Fc 도메인은 전형적으로 25-40 kDa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글리코실화된 Fc 도메인의 경우에 더 높을 수 있다. 상기 용어에 포함되는 Fc 도메인의 유도체는 Fcab(여기에서 Fc 도메인은 항원 결합 부위를 포함하도록 변형된다)로서 공지된 도메인을 포함한다(문헌[Protein Engineering, Design and Selection (2017) 30(9) 657-671]을 참조하시오). 유도체의 추가의 예는 접합된 유도체, 예를 들어 또 다른 모이어티에 접합된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모이어티는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중합체, 예를 들어 PEG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Fc 도메인은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하나 이상의 성질, 예를 들어 혈청 반감기, 보체 고정, Fc 수용체 결합, 및/또는 효과기 기능(예를 들어 항원-의존적인 세포 세포독성) 중 하나 이상을 변경시키는 하나 이상의 변형을 함유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은 이종 폴리펩티드와의 Fc 도메인의 융합물이다. Fc 도메인 중 하나 및 바람직하게는 2개의 쇄가 모두 이종 폴리펩티드에 융합된다. 이종 폴리펩티드는, Fc 도메인 또는 그의 쇄와 인접한 서열 중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되지 않는 폴리펩티드이며 특히 항체의 항원 결합 부분(즉 Fab 부분)이 아니다. 적합하게 Fc 도메인의 각 쇄는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이 동종이량체이도록 동일한 이종 폴리펩티드에 융합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이종 폴리펩티드는 리간드, 바람직하게는 특이적 리간드에 결합할 수 있다. 이종 폴리펩티드는 또 다른 단백질, 예를 들어 인체에서 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사이토카인)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이종 폴리펩티드는 사이토카인, 성장 인자, 혈액 응고 인자, 효소, 수용체 단백질, GLP-1 작용물질(agonist) 및 이들의 기능성 단편 및 도메인 중에서 선택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이종 폴리펩티드는 종양 괴사 인자(TNF), 예를 들어 TNFα에 결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TNF 수용체, 예를 들어 TNF 수용체 2, 특히 그의 용해성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이종 폴리펩티드는 CD80 또는 CD86에 결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TLA-4의 세포외 도메인 또는 그의 일부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이종 폴리펩티드는 VEGF에 결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VEGFR1 및/또는 VEGR2의 세포외 도메인 또는 그의 일부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이종 폴리펩티드는 IL-1에 결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IL-1R11 및/또는 IL-1RAcP의 세포외 도메인 또는 그의 일부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이종 폴리펩티드는 트롬보포이에틴 수용체, 예를 들어 c-Mpl에 결합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이종 폴리펩티드는 인자 VIII 또는 인자 IX 또는 그의 일부와 같은 혈액 응고 인자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이종 폴리펩티드는 hActRIIb 단백질 또는 그의 유도체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이종 폴리펩티드는 프로테아제 억제제이다. 하나의 구현에에서 이종 폴리펩티드는 GLP-1 작용물질이다.
Fc 도메인을 함유하는 예시적인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은 에타너셉트, 아바타셉트, 벨라타셉트, 애플리버셉트, 릴로나셉트, 로미플로스팀, 엘록테이트, 루스파터셉트, 둘라글루티드 및 알프롤릭스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은 둘라글루티드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은 아바타셉트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은 애플리버셉트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은 에타너셉트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은 항체의 항원 결합 부분(즉 Fab 부분)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은 2개의 상이한 가변 결합 영역을 갖는 4-쇄 항체 포맷(4-chain antoibody format)의 이중특이성 항체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은 2개의 상이한 가변 결합 영역을 갖는 2-쇄 항체 포맷(즉 중쇄만의 항체)의 이중특이성 항체이다. 중쇄만의 항체는 예를 들어 카멜리드로부터 단리된 항체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2-쇄 포맷이든 4-쇄 포맷이든간에, 상기와 같은 이중특이성 항체는 예를 들어 항체의 가지 a 및 b에 대해 CDR1a, CDR2a, CDR3a, CDR1b, CDR2b 및 CDR3b로 나타내는 3개의 CDR 쌍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에서 CDR1a는 CDR1b와 동일하지 않고/않거나 CDR2a는 CDR2b와 동일하지 않고/않거나 CDR3a는 CDR3b와 동일하지 않다. 적합하게는 6개의 CDR 중 어느 것도 상기 6개의 CDR 중 임의의 다른 것과 동일하지 않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은, Fc 도메인이 항원 결합 부위를 포함하도록 변형된 Fcab 포맷의 이중특이성 항체 또는 삼중특이성 항체이다.
몇몇 구현예에서, 2개의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은 예를 들어 디설파이드 결합을 통해 회합되어 이량체성 단백질을 형성할 수 있다.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은 바람직하게는 치료학적으로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이다. 상기와 같은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은 바람직한 치료학적 또는 예방학적 활성을 가지며 질환 또는 의학적 장애의 치료, 억제 또는 예방에 사용이 지시된다. 몇몇 구현예에서,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은 실질적으로 순수하다, 즉 상기 조성물은 단일의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을 포함하며 실질적인 양의 어떠한 추가적인 단백질도 포함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구현에에서,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은 조성물의 전체 단백질 함량의 적어도 99%,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5%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99.9%를 차지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은 약학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충분히 순수하다.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은 적합하게는 조성물 중에 약 1 내지 400 ㎎/㎖, 적합하게는 10 내지 200 ㎎/㎖, 보다 적합하게는 20 내지 100 ㎎/㎖, 예를 들어 약 50 ㎎/㎖의 농도로 존재한다.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폴리소르베이트, 알킬 글리코사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알킬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알킬페닐 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특히 적합한 부류는 폴리소르베이트(에톡실화된 솔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소르베이트 20 또는 폴리소르베이트 80이다. 폴리소르베이트 20은 라우르산과 폴리옥시에틸렌(20) 솔비탄으로부터 형성된 모노 에스테르로, 여기에서 숫자 20은 분자 중 옥시에틸렌 기의 수를 가리킨다. 폴리소르베이트 80은 올레산과 폴리옥시에틸렌(20) 솔비탄으로부터 형성된 모노 에스테르로, 여기에서 숫자 20은 분자 중 옥시에틸렌 기의 수를 가리킨다. 폴리소르베이트 20은 특히 트윈(Tween) 20 및 또한 알케스트(Alkest) TW20을 포함한 일련의 브랜드 명으로 공지되어 있다. 폴리소르베이트 80은 특히 트윈 80 및 또한 알케스트 TW80을 포함한 일련의 브랜드 명으로 공지되어 있다. 다른 적합한 폴리소르베이트는 폴리소르베이트 40 및 폴리소르베이트 60을 포함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또 다른 적합한 부류는 알킬 글리코사이드, 특히 도데실 말토사이드이다. 다른 알킬 글리코사이드는 도데실 글루코사이드, 옥틸 글루코사이드, 옥틸 말토사이드, 데실 글루코사이드, 데실 말토사이드, 트리데실 글루코사이드, 트리데실 말토사이드, 테트라데실 글루코사이드, 테트라데실 말토사이드, 헥사데실 글루코사이드, 헥사데실 말토사이드, 슈크로스 모노옥타노에이트, 슈크로스 모노 데카노에이트, 슈크로스 모노도데카노에이트, 슈크로스 모노트리데카노에이트, 슈크로스 모노테트라데카노에이트 및 슈크로스 모노헥사데카노에이트를 포함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또 다른 적합한 부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알킬 에테르, 특히 브리즈(Brij)라는 브랜드 명으로 공지된 것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2) 헥사데실 에테르(브리즈 52), 폴리에틸렌 글리콜(2) 올레일 에테르(브리즈 93)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2) 도데실 에테르(브리즈 L4) 중에서 선택된다. 다른 적합한 브리즈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40) 라우릴 에테르(브리즈 30), 폴리에틸렌 글리콜(10) 라우릴 에테르(브리즈 35), 폴리에틸렌 글리콜(20) 헥사데실 에테르(브리즈 58)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10) 스테아릴 에테르(브리즈 78)를 포함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또 다른 적합한 부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블록 공중합체(또한 폴록사머로서 공지됨), 특히 폴록사머 188, 폴록사머 407, 폴록사머 171 및 폴록사머 185이다. 폴록사머는 플루로닉(Pluronic) 또는 콜리포어(Koliphor)라는 브랜드 명으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폴록사머 188은 플루로닉 F-68로서 판매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또 다른 적합한 부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알킬페닐 에테르, 특히 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폴리에틸렌 글리콜(또한 트리톤(Triton) X-100이라는 브랜드 명으로 공지됨)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 또는 폴록사머이며, 적합하게는 폴리소르베이트이다. 조성물 중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전형적으로 10-2000 ㎍/㎖, 예를 들어 50-1000 ㎍/㎖, 100-500 ㎍/㎖ 또는 약 200 ㎍/㎖의 범위일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페놀계 또는 벤질계 보존제와 같은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존제는 적합하게는 페놀, m-크레졸, 클로로크레졸, 벤질 알콜, 프로필 파라벤 및 메틸 파라벤, 특히 페놀, m-크레졸 및 벤질 알콜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다. 보존제의 농도는 전형적으로 10-100 mM, 예를 들어 20-80 mM, 예를 들어 25-50 mM이다. 조성물 중 보존제의 최적 농도는 상기 조성물이 약전 항균 유효도 시험(Pharmacopoeia Antimicrobial Effectiveness Test)(USP<51>, Vol. 32)을 통과하도록 선택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
- 임의로 3.0 내지 9.5 범위의 pKa 및 조성물 pH의 2 pH 단위 이내의 pKa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온화가능 기를 갖는 물질인 하나 이상의 완충제;
- 하나 이상의 중성 아미노산; 및
-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
를 포함하는, 4.0-8.5 범위의 pH의 수용액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완충제는 0-5 mM의 총 농도로 조성물 중에 존재하고; 상기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기여를 제외한 조성물의 전체 이온 강도는 20 mM 미만이다. 하나의 구체적인 하위-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완충제가 상기 제형에서 조성물 중에 0.1-5 mM, 예를 들어 1-3 mM의 총 농도로 존재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
- 임의로 4.0 내지 9.5, 예를 들어 5.0 내지 9.5 범위의 pKa 및 조성물 pH의 2 pH 단위 이내, 예를 들어 1.5 pH 단위 이내, 예를 들어 1 pH 단위 이내의 pKa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온화가능 기를 갖는 물질인 하나 이상의 완충제;
- 임의로 하나 이상의 중성 아미노산; 및
-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
를 포함하는, 6.0-8.5 범위의 pH의 수용액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완충제는 0-5 mM의 총 농도로 조성물 중에 존재하고; 상기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기여를 제외한 조성물의 전체 이온 강도는 20 mM 미만이다. 하나의 구체적인 하위-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완충제가 상기 제형에서 조성물 중에 0.1-5 mM, 예를 들어 1-3 mM의 총 농도로 존재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 2개의 상이한 가변 결합 영역을 갖는 2-쇄 항체 포맷의 이중특이성 항체인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
- 임의로 3.0 내지 9.5 범위의 pKa 및 조성물 pH의 2 pH 단위 이내, 예를 들어 1.5 pH 단위 이내, 예를 들어 1 pH 단위 이내의 pKa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온화가능 기를 갖는 물질인 하나 이상의 완충제;
- 임의로 하나 이상의 중성 아미노산; 및
-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 예를 들어 폴리올
을 포함하는, 4.0-8.5 범위의 pH의 수용액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완충제는 0-5 mM의 총 농도로 조성물 중에 존재하고; 상기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기여를 제외한 조성물의 전체 이온 강도는 20 mM 미만이다. 하나의 구체적인 하위-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완충제가 상기 제형에서 조성물 중에 0.1-5 mM, 예를 들어 1-3 mM의 총 농도로 존재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
- 임의로 3.0 내지 9.5 범위의 pKa 및 조성물 pH의 2 pH 단위 이내의 pKa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온화가능 기를 갖는 물질인 하나 이상의 완충제;
- 하나 이상의 중성 아미노산;
-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 예를 들어 폴리올; 및
-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를 포함하는, 4.0-8.5 범위의 pH의 수용액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완충제는 0-5 mM의 총 농도로 조성물 중에 존재하고; 상기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기여를 제외한 조성물의 전체 이온 강도는 20 mM 미만이다. 하나의 구체적인 하위-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완충제가 상기 제형에서 조성물 중에 0.1-5 mM, 예를 들어 1-3 mM의 총 농도로 존재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
- 임의로 3.0 내지 9.5 범위의 pKa 및 조성물 pH의 2 pH 단위 이내의 pKa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온화가능 기를 갖는 물질인 하나 이상의 완충제;
- 예를 들어 글리신, 메티오닌, 프롤린 및 알라닌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중성 아미노산;
-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 예를 들어 폴리올; 및
- 보존제
를 포함하는, 4.0-8.5 범위의 pH의 수용액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완충제는 0-5 mM의 총 농도로 조성물 중에 존재하고; 상기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기여를 제외한 조성물의 전체 이온 강도는 20 mM 미만이다. 하나의 구체적인 하위-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완충제가 상기 제형에서 조성물 중에 0.1-5 mM, 예를 들어 1-3 mM의 총 농도로 존재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 사이토킨, 성장 인자, 혈액 응고 인자, 효소, 수용체 단백질, GLP-1 작용물질 및 이들의 기능성 단편 및 도메인 중에서 선택된 이종 단백질과의 Fc 도메인의 융합물인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
- 임의로 3.0 내지 9.5 범위의 pKa 및 조성물 pH의 2 pH 단위 이내의 pKa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온화가능 기를 갖는 물질인 하나 이상의 완충제;
- 임의로 하나 이상의 중성 아미노산; 및
-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 예를 들어 폴리올
을 포함하는, 4.0-8.5 범위의 pH의 수용액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완충제는 0-5 mM의 총 농도로 조성물 중에 존재하고; 상기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기여를 제외한 조성물의 전체 이온 강도는 20 mM 미만이다. 하나의 구체적인 하위-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완충제가 상기 제형에서 조성물 중에 0.1-5 mM, 예를 들어 1-3 mM의 총 농도로 존재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 2개의 상이한 가변 결합 영역을 갖는 4-쇄 항체 포맷의 이중특이성 항체인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
- 임의로 3.0 내지 9.5 범위의 pKa 및 조성물 pH의 2 pH 단위 이내의 pKa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온화가능 기를 갖는 물질인 하나 이상의 완충제;
- 임의로 하나 이상의 중성 아미노산; 및
-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 예를 들어 폴리올
을 포함하는, 4.0-8.5 범위의 pH의 수용액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완충제는 0-5 mM의 총 농도로 조성물 중에 존재하고; 상기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기여를 제외한 조성물의 전체 이온 강도는 20 mM 미만이다. 하나의 구체적인 하위-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완충제가 상기 제형에서 조성물 중에 0.1-5 mM, 예를 들어 1-3 mM의 총 농도로 존재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 2개의 상이한 가변 결합 영역을 갖는 2-쇄 항체 포맷의 이중특이성 항체인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
- 임의로 3.0 내지 9.5 범위의 pKa 및 조성물 pH의 2 pH 단위 이내의 pKa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온화가능 기를 갖는 물질인 하나 이상의 완충제;
- 임의로 하나 이상의 중성 아미노산; 및
-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 예를 들어 폴리올
을 포함하는, 4.0-8.5 범위의 pH의 수용액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완충제는 0-5 mM의 총 농도로 조성물 중에 존재하고; 상기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기여를 제외한 조성물의 전체 이온 강도는 20 mM 미만이다. 하나의 구체적인 하위-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완충제가 상기 제형에서 조성물 중에 0.1-5 mM, 예를 들어 1-3 mM의 총 농도로 존재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 2개의 상이한 가변 결합 영역을 갖는 2-쇄 항체 포맷의 이중특이성 항체인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
- 임의로 5.0 내지 8.5 범위의 pKa 및 조성물 pH의 2 pH 단위 이내, 예를 들어 1.5 pH 단위 이내, 예를 들어 1 pH 단위 이내의 pKa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온화가능 기를 갖는 물질인 하나 이상의 완충제;
- 임의로 하나 이상의 중성 아미노산; 및
-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 예를 들어 폴리올
을 포함하는, 6.0-7.5 범위의 pH의 수용액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완충제는 0-5 mM의 총 농도로 조성물 중에 존재하고; 상기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기여를 제외한 조성물의 전체 이온 강도는 20 mM 미만이다. 하나의 구체적인 하위-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완충제가 상기 제형에서 조성물 중에 0.1-5 mM, 예를 들어 1-3 mM의 총 농도로 존재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
- 포스페이트 및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TRIS) 중에서 선택된 완충제;
- 예를 들어 프롤린 및 글리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중성 아미노산; 및
-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 예를 들어 슈크로스
를 포함하는, 6.0 내지 8.5, 예를 들어 6.5 내지 8.5 범위의 pH의 수용액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완충제는 0.1-5 mM의 총 농도로 조성물 중에 존재하고; 상기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기여를 제외한 조성물의 전체 이온 강도는 20 mM 미만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
- 포스페이트 및 시트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완충제; 및
-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 예를 들어 슈크로스
를 포함하는, 5.0 내지 8.0, 예를 들어 5.0 내지 7.5, 예를 들어 5.5 내지 7.5, 예를 들어 6.0 내지 7.5 범위의 pH의 수용액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완충제는 0.1-5 mM의 총 농도로 조성물 중에 존재하고; 상기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기여를 제외한 조성물의 전체 이온 강도는 20 mM 미만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
- 포스페이트 및 시트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완충제;
- 예를 들어 프롤린 및 글리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중성 아미노산; 및
-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 예를 들어 슈크로스
를 포함하는, 5.0 내지 8.0, 예를 들어 5.0 내지 7.5, 예를 들어 5.5 내지 7.5, 예를 들어 6.0 내지 7.5 범위의 pH의 수용액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완충제는 0.1-5 mM의 총 농도로 조성물 중에 존재하고; 상기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기여를 제외한 조성물의 전체 이온 강도는 20 mM 미만이다.
적합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2-8℃에서 연장된 기간, 예를 들어 적어도 4주, 8주, 12주, 12개월, 18개월 또는 24개월 동안 보관 후 등명한 용액으로서 남아있는다.
적합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25℃에서 연장된 기간, 예를 들어 적어도 4주, 8주, 12주, 12개월, 18개월 또는 24개월 동안 보관 후 등명한 용액으로서 남아있는다.
적합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30℃에서 연장된 기간, 예를 들어 적어도 4주, 8주, 12주, 12개월, 18개월 또는 24개월 동안 보관 후 등명한 용액으로서 남아있는다.
적합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40℃ 또는 50℃(즉 가속화된 안정성 시험에 적합한 온도)에서 연장된 기간, 예를 들어 적어도 1일, 3일, 1주, 2주 또는 4주 동안 보관 후 등명한 용액으로서 남아있는다.
적합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2-8℃에서 또는 증가된 온도에서, 보다 높은 농도의 동일한 완충제 또는 완충제들을 포함하는 균등한 조성물에서보다 개선된 보관 안정성을 갖는다.
적합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2-8℃에서 또는 증가된 온도에서, 보다 높은 전체 이온 강도를 갖는 균등한 조성물에서보다 개선된 보관 안정성을 갖는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2-8℃에서 적어도 4주, 8주, 12주, 12개월, 18개월 또는 24개월 동안 보관 후 5% 이하의 총 불순물, 예를 들어 4% 이하, 예를 들어 3% 이하, 예를 들어 2% 이하의 총 불순물(조성물 중의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양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유사한 적합한 기법에 의해 측정시)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25℃에서 적어도 4주, 8주, 12주, 12개월, 18개월 또는 24개월 동안 보관 후 5% 이하의 총 불순물, 예를 들어 4% 이하, 예를 들어 3% 이하, 예를 들어 2% 이하의 총 불순물(조성물 중의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양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유사한 적합한 기법에 의해 측정시)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30℃에서 적어도 4주, 8주, 12주, 12개월, 18개월 또는 24개월 동안 보관 후 5% 이하의 총 불순물, 예를 들어 4% 이하, 예를 들어 3% 이하, 예를 들어 2% 이하의 총 불순물(조성물 중의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양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유사한 적합한 기법에 의해 측정시)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40℃에서 적어도 1일, 3일, 1주, 2주 또는 4주 동안 보관 후 5% 이하의 총 불순물, 예를 들어 4% 이하, 예를 들어 3% 이하, 예를 들어 2% 이하의 총 불순물(조성물 중의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양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유사한 적합한 기법에 의해 측정시)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2-8℃에서 적어도 4주, 8주, 12주, 12개월, 18개월 또는 24개월 동안 보관 후 동일한 약제 성분(양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유사한 적합한 기법에 의해 측정시)을 포함하는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조성물보다 더 낮은 수준의 불순물(동일한 기법(들)으로 측정시)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25℃에서 적어도 4주, 8주, 12주, 12개월, 18개월 또는 24개월 동안 보관 후 동일한 약제 성분(양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유사한 적합한 기법에 의해 측정시)을 포함하는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조성물보다 더 낮은 수준의 불순물(동일한 기법(들)으로 측정시)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30℃에서 적어도 4주, 8주, 12주, 12개월, 18개월 또는 24개월 동안 보관 후 동일한 약제 성분(양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유사한 적합한 기법에 의해 측정시)을 포함하는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조성물보다 더 낮은 수준의 불순물(동일한 기법(들)으로 측정시)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40℃ 또는 50℃에서 적어도 1일, 3일, 1주, 2주 또는 4주 동안 보관 후 동일한 약제 성분(양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유사한 적합한 기법에 의해 측정시)을 포함하는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조성물보다 더 낮은 수준의 불순물(동일한 기법(들)으로 측정시)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치료법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이다. 조성물, 예를 들어 정맥 투여용 조성물을 투여에 앞서 희석되는 농축물로서 제조할 수 있다.
수용액 조성물에 관하여 상술한 모든 구현예를 본 발명의 방법 및 용도에 동등하게 적용한다.
또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물의 단일 용량 또는 다수의 용량을 함유하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제조된 용기를 제공한다. 용기는 예를 들어 바이알, 미리-충전된 주사기, 미리-충전된 주입 주머니, 또는 주사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교체가능한 품목으로 설계된 카트리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합하게는 주사, 특히 정맥 주입, 정맥 주사, 피하 주사 또는 근육 주사용으로 패키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국면은 단일 용량 또는 다수의 용량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주사 바늘과 함께 함유하는 용기를 포함하는 1회 또는 수회 사용을 위한 주사 또는 주입 장치, 특히 상기 사용을 위한 피하 또는 근육 주사 또는 주입에 맞춘 장치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용기는 다수의 용량을 함유하는 교체가능한 카트리지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주사 장치는 펜의 형태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주사 장치는 미리-충전된 주사기의 형태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주사 또는 주입 장치는 펌프 또는 또 다른 착용가능한 주사 또는 주입 장치의 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양호한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실시예
일반적인 방법
단백질 작제물의 안정성 평가 방법
(a) 시각적 평가
가시적인 입자를 2.9.20 유럽 약전 논문(미립자 오염: 가시적인 입자)을 사용하여 적합하게 검출한다. 필요한 기구는
·수직 위치로 놓인 적합한 크기의 무광의 흑색 패널
·상기 흑색 패널 옆에 수직 위치로 놓인 적합한 크기의 눈부심 방지 백색 패널
·적합한 음영 처리된 백색 광원과 적합한 광 확산기가 장착된 조정가능한 램프 홀더(각각 길이가 525 ㎜인 2개의 13 W 형광 튜브를 함유하는 관찰 조명기가 적합하다)를 포함하는 관찰 스테이션으로 이루어진다. 관찰 지점의 조명 강도는 2000 lux 내지 3750 lux로 유지된다.
임의의 부착성 표지를 용기로부터 제거하고 외부를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용기를 서서히 젓거나 뒤집어 기포가 유입되지 않게 하고, 백색 패널의 앞에서 약 5s 동안 관찰한다. 상기 과정을 흑색 패널 앞에서 반복한다. 임의의 입자의 존재를 기록한다.
시각 점수(visual score)를 하기와 같이 등급화한다:
시각 점수 A: 등명한 용액, 입자가 거의 없음, <10 입자
시각 점수 B: 램프 아래에서만 볼 수 있는 입자
시각 점수 C: 통상적인 실험실 조건에서 외관상의 현저한 가시적 변화
시각 점수 C의 샘플의 입자는 통상적인 조명하에 일반적인 시각 평가에서 명확하게 검출될 수 있는 반면, 시각 점수 A 및 B의 샘플은 동일한 평가에서 일반적으로 등명한 용액으로서 보인다. 시각 점수 A 및 B의 샘플은 "통과"로 간주되고; 시각 점수가 C인 샘플은 "실패"로 간주된다.
(b)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EC)
고분자량 종의 양을 가드 컬럼이 있는 300 x 7.8 ㎜ TSK 젤 G3000 SWXL(또는 균등한) 크기-배제 컬럼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이동상은 나트륨 포스페이트 완충제 pH 6.75로, 유량은 1 ㎖/분이고, 주입 부피는 20 ㎕이며 280 ㎚에서 검출된다. 결과를 %고분자량 종(HMWS), 즉 크로마토그램상의 모든 단백질-관련 피크의 합에 대한 응집된 단백질에 상응하는 모든 피크 면적의 합으로서 나타낸다. 예를 들어 반복되는 크기 배제 컬럼 사용으로 인해 %면적(단량체, HMWS 및 저분자 종(LMWS))의 절대값 측면에서 시점 간 변동성이 작은 것을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주어진 시점 내에서 동일한 조건의 컬럼을 사용하여 샘플을 시험하므로, 시점내에서 생성된 값은 시험된 수용액에서 단백질의 상대적 안정성에 대해 매우 양호한 지표를 나타낸다.
(c) 양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CEX)
관련 종의 양을 단백질-Pak Hi Res SP 컬럼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이동상 A는 20 mM 나트륨 포스페이트(pH 6.5)이고; 이동상 B는 20 mM 나트륨 포스페이트 + 0.5 M NaCl(pH 6.0)이다. 하기의 구배 용출이 사용된다: 0분 - 100% A, 4분 - 80% A, 10분 - 55% A, 12분 - 0% A. 유량은 1.0 ㎖/분이고; 주입 부피는 3 ㎕이며 214 ㎚에서 UV 검출된다. 결과를 %주 피크(즉 고유 단백질), %산성 종 및 %염기성 종으로서 나타낸다. %관련 종 = %산성 종 + %염기성 종.
실시예 1 - 실시예 제형
하기의 실시예 제형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A:
Fc-융합 단백질* 50 ㎎/㎖
나트륨 포스페이트 1 mM
슈크로스 300 mM
주사용 수 qs
pH를 염산 또는 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7.0으로 조절한다
실시예 B:
Fc-융합 단백질* 50 ㎎/㎖
나트륨 포스페이트 3 mM
슈크로스 300 mM
주사용 수 qs
pH를 염산 또는 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7.0으로 조절한다
실시예 C:
Fc-융합 단백질* 50 ㎎/㎖
TRIS 1 mM
슈크로스 300 mM
주사용 수 qs
pH를 염산 또는 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7.0으로 조절한다
실시예 D:
Fc-융합 단백질* 50 ㎎/㎖
TRIS 3 mM
슈크로스 300 mM
주사용 수 qs
pH를 염산 또는 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7.0으로 조절한다
실시예 E:
Fc-융합 단백질* 50 ㎎/㎖
나트륨 포스페이트 1 mM
슈크로스 300 mM
프롤린 100 mM
주사용 수 qs
pH를 염산 또는 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7.0으로 조절한다
실시예 F:
Fc-융합 단백질* 50 ㎎/㎖
TRIS 1 mM
슈크로스 300 mM
프롤린 100 mM
주사용 수 qs
pH를 염산 또는 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7.0으로 조절한다
실시예 G:
Fc-융합 단백질* 50 ㎎/㎖
나트륨 포스페이트 1 mM
슈크로스 300 mM
글리신 100 mM
주사용 수 qs
pH를 염산 또는 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7.0으로 조절한다
실시예 H:
Fc-융합 단백질* 50 ㎎/㎖
TRIS 1 mM
슈크로스 300 mM
글리신 100 mM
주사용 수 qs
pH를 염산 또는 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7.0으로 조절한다
*Fc-융합 단백질은 (1) 에타너셉트, (2) 애플리버셉트 또는 (3) 둘라글루티드이다.
실시예 AA-HH:
실시예 A-H와 동일한 제형을, Fc-융합 단백질 대신에 이중특이성 항체인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을 사용함을 제외하고 제조한다.
제형의 안정성을 40℃에서 2, 4 및 8주간 배양 후에 시각 평가, SEC 및 CEX(일반적인 방법 참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제형의 안정성을 25℃에서 2, 4, 8 및 12주간 배양 후에 시각 평가, SEC 및 CEX(일반적인 방법 참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제형의 안정성을 2-8℃에서 2, 4, 8 및 12주간 배양 후에 시각 평가, SEC 및 CEX(일반적인 방법 참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실시예 2 - 40℃ 및 50℃에서 둘라글루티드의 안정성에 대한 완충제 농도 및 긴장성 조절제 전하의 영향
둘라글루티드(1 ㎎/㎖)의 안정성에 대한 완충제 농도 및 긴장성 조절제 전하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트레이트 완충제 및 포스페이트 완충제를 시험하였다. 염화 나트륨(150 mM)을 하전된 긴장성 조절제로서 사용하고 슈크로스(250 mM)를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로서 사용하였다. 시험된 모든 제형을 pH 6.5로 조절하였다. 또한, 판매되는 둘라글루티드 제품(Trulicity)의 제형을 비교를 위한 대조용 제형으로서 사용하였다. 표 1은 시험된 제형을 요약한다. 모든 제형에 40℃ 및 50℃에서 4주간 스트레스를 가하였다. 둘라글루티드의 안정성에 이어서 SEC를 사용하여 고분자량 종의 형성 속도를 모니터링하였다.
[표 1]
시험된 둘라글루티드의 제형. 모든 제형은 둘라글루티드(1 ㎎/㎖)를 함유하였으며 pH 6.5로 조절되었다.
Figure pct00002
*나트륨 시트레이트(9.3 mM)와 시트르산(0.7 mM)을 혼합시켜 제조됨
시험된 모든 제형은 두 온도 모두에서 보관 후 시각 시험(시각 점수 A)을 통과하였다. 50℃ 및 40℃에서 보관 후 제형 2-1 내지 2-19의 HMWS 형성 속도를 표 2에 나타낸다. 상기 HMWS 형성 속도는 매우 낮은 완충제 농도 및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를 포함하는 제형에서 가장 낮았다. 슈크로스의 존재하에서, HMWS의 검출 가능한 증가는, 최대 5 mM 시트레이트 완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서 40℃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HMWS의 형성 속도는 보다 높은 시트레이트 완충제 농도에서 증가하였다. 유사하게, 보다 가속화된 스트레스 하에 50℃에서 HMWS 형성 속도는 시트레이트 완충제의 농도에 비례하여, 5 mM 이하의 완충제 농도에서 매우 낮았다. 포스페이트 완충제를 사용하는 경우 유사한 관찰이 이루어졌다. 대조적으로, 모든 완충제 농도에서 염화 나트륨의 존재하에서 HMWS 형성이 관찰되었다.
[표 2]
SEC에 의해 평가된 제형 2-1 내지 2-19의 40℃ 및 50℃에서의 둘라글루티드(1 ㎎/㎖)의 안정성
Figure pct00003
*불행하게도 본 제형의 시험은 상기 제형 자체와 관련되지 않은 이유로 인해 실패하였다.
실시예 3 - 50℃에서 아바타셉트의 안정성에 대한 완충제 농도 및 긴장성 조절제 전하의 영향
아바타셉트(4.25 ㎎/㎖)의 안정성에 대한 완충제 농도 및 긴장성 조절제 전하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트레이트 완충제 및 포스페이트 완충제를 시험하였다. 염화 나트륨(150 mM)을 하전된 긴장성 조절제로서 사용하고 슈크로스(250 mM)를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로서 사용하였다. 시험된 모든 제형을 pH 6.8로 조절하였다. 또한, 판매되는 아바타셉트 제품(Orencia)의 제형을 비교를 위한 대조용 제형으로서 사용하였다. 표 3은 시험된 제형을 요약한다. 모든 제형에 50℃에서 2주간 스트레스를 가하였다. 아바타셉트의 안정성에 이어서 SEC를 사용하여 고분자량 종의 형성 속도를 모니터링하였다.
[표 3]
시험된 아바타셉트의 제형. 모든 제형은 아바타셉트(4.25 ㎎/㎖)를 함유하였으며 pH 6.8로 조절되었다.
Figure pct00004
시험된 모든 제형은 50℃에서 보관 후 시각 시험(시각 점수 A)을 통과하였다. 50℃에서 보관 후 제형 3-1 내지 3-19의 HMWS 형성 속도를 표 4에 나타낸다. 상기 HMWS 형성 속도는 매우 낮은 완충제 농도 및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를 포함하는 제형에서 가장 낮았다. 시트레이트의 경우 및 포스페이트 완충제의 경우 모두에서 증가하는 완충제 농도에 따라 HMWS 형성 속도가 증가하였다. 대조적으로, HMWS 형성은 완충제 농도에 관계없이 염화 나트륨의 존재하에서 매우 높았다.
[표 4]
SEC에 의해 평가된 제형 3-1 내지 3-19의 50℃에서의 아바타셉트(4.25 ㎎/㎖)의 안정성
Figure pct00005
실시예 4 - 40℃에서 아바타셉트의 안정성에 대한 완충제 농도 및 긴장성 조절제 전하의 영향
아바타셉트(4.25 ㎎/㎖)의 안정성에 대한 시트레이트 완충제 농도 및 긴장성 조절제 전하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염화 나트륨(150 mM)을 하전된 긴장성 조절제로서 사용하고 슈크로스(250 mM)를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로서 사용하였다. 시험된 모든 제형을 pH 6.8로 조절하였다. 표 5는 시험된 제형을 요약한다. 모든 제형에 40℃에서 2주간 스트레스를 가하였다. 아바타셉트의 안정성에 이어서 SEC를 사용하여 고분자량 종의 형성 속도를 모니터링하였다.
[표 5]
시험된 아바타셉트의 제형. 모든 제형은 아바타셉트(4.25 ㎎/㎖)를 함유하였으며 pH 6.8로 조절되었다.
Figure pct00006
시험된 모든 제형은 40℃에서 보관 후 시각 시험(시각 점수 A)을 통과하였다. 40℃에서 보관 후 제형 4-1 내지 4-9의 HMWS 형성 속도를 표 6에 나타낸다. 상기 HMWS 형성 속도는 매우 낮은 시트레이트 완충제 농도 및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를 포함하는 제형에서 가장 낮았다. 증가하는 시트레이트 완충제 농도에 따라 HMWS의 형성 속도가 증가하였다. 대조적으로, HMWS 형성은 완충제 농도에 관계없이 염화 나트륨의 존재하에서 매우 높았다.
[표 6]
SEC에 의해 평가된 제형 4-1 내지 4-9의 40℃에서의 아바타셉트(4.25 ㎎/㎖)의 안정성
Figure pct00007
실시예 5 - 1 mM 완충제 및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의 존재하에 50℃에서 아바타셉트의 안정성에 대한 프롤린의 영향
아바타셉트(4.25 ㎎/㎖)의 안정성에 대한 프롤린(50 mM)의 영향을 1 mM 완충제 및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의 존재하에서 조사하였다. 슈크로스(250 mM)를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로서 사용하였다. 시험된 모든 제형을 pH 6.8로 조절하였다. 표 7은 시험된 제형을 요약한다. 모든 제형에 50℃에서 2주간 스트레스를 가하였다. 아바타셉트의 안정성에 이어서 SEC를 사용하여 고분자량 종의 형성 속도를 모니터링하였다.
[표 7]
시험된 아바타셉트의 제형. 모든 제형은 아바타셉트(4.25 ㎎/㎖)를 함유하였으며 pH 6.8로 조절되었다.
Figure pct00008
시험된 모든 제형은 50℃에서 보관 후 시각 시험(시각 점수 A)을 통과하였다. 50℃에서 보관 후 제형 5-1 내지 5-4의 HMWS 형성 속도를 표 8에 나타낸다. 1 mM 완충제 및 슈크로스(250 mM)를 포함하는 조성물 중의 프롤린(50 mM)의 존재는 보다 낮은 HMWS 형성 속도를 초래하였다.
[표 8]
SEC에 의해 평가된 제형 5-1 내지 5-4의 50℃에서의 아바타셉트(4.25 ㎎/㎖)의 안정성
Figure pct00009
실시예 6 - 1 mM 완충제 및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의 존재하에 40℃에서 아바타셉트의 안정성에 대한 프롤린 및 글리신의 영향
아바타셉트(4.25 ㎎/㎖)의 안정성에 대한 프롤린(50 mM) 및 글리신(50 mM)의 영향을 1 mM 완충제 및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의 존재하에서 조사하였다. 시트레이트 완충제 및 포스페이트 완충제를 시험하였다. 슈크로스(250 mM)를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로서 사용하였다. 시험된 모든 제형을 pH 6.8로 조절하였다. 표 9는 시험된 제형을 요약한다. 모든 제형에 40℃에서 2주간 스트레스를 가하였다. 아바타셉트의 안정성에 이어서 SEC를 사용하여 고분자량 종의 형성 속도를 모니터링하였다.
[표 9]
시험된 아바타셉트의 제형. 모든 제형은 아바타셉트(4.25 ㎎/㎖)를 함유하였으며 pH 6.8로 조절되었다.
Figure pct00010
시험된 모든 제형은 40℃에서 보관 후 시각 시험(시각 점수 A)을 통과하였다. 40℃에서 보관 후 제형 6-1 내지 6-6의 HMWS 형성 속도를 표 10에 나타낸다. 1 mM 완충제 및 슈크로스(250 mM)를 포함하는 조성물 중의 프롤린(50 mM) 및 글리신(50 mM)의 존재는 보다 낮은 HMWS 형성 속도를 초래하였다.
[표 10]
SEC에 의해 평가된 제형 6-1 내지 6-6의 40℃에서의 아바타셉트(4.25 ㎎/㎖)의 안정성
Figure pct00011
비교 실시예 7 - 30℃에서 면역글로불린 G1(IgG1)의 안정성에 대한 완충제 농도, 긴장성 조절제 전하 및 중성 아미노산의 영향
IgG1(100 ㎎/㎖)의 안정성에 대한 완충제 농도 및 긴장성 조절제 전하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트레이트 완충제를 시험하였다. 염화 나트륨(150 mM)을 하전된 긴장성 조절제로서 사용하고 글리세롤(300 mM)을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로서 사용하였다. IgG1의 안정성에 대한 프롤린(50 mM 및 200 mM)의 영향을 1 mM 완충제 및 2개의 조절제 모두의 존재하에서 또한 조사하였다. 시험된 모든 제형은 폴리소르베이트 80(0.2 ㎎/㎖)을 함유하였으며 pH 6.0으로 조절되었다. 표 11은 시험된 제형을 요약한다. 모든 제형에 30℃에서 8주간 스트레스를 가하였다. IgG1의 안정성에 이어서 SEC를 사용하여 고분자량 종의 형성 속도를 모니터링하였다.
[표 11]
시험된 IgG1의 제형. 모든 제형은 IgG1(100 ㎎/㎖) 및 폴리소르베이트 80(0.2 ㎎/㎖)을 함유하였으며 pH 6.0으로 조절되었다.
Figure pct00012
시험된 모든 제형은 30℃에서 보관 후 시각 시험(시각 점수 A)을 통과하였다. 30℃에서 보관 후 제형 7-1 내지 7-8의 HMWS 형성 속도를 표 12에 나타낸다. 상기 HMWS 형성 속도는 염화 나트륨의 존재 및 글리세롤의 존재하에서 모두 증가하는 완충제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주어진 완충제 농도에서 HMWS의 형성 속도는 긴장성 조절제의 성질에 의존하지 않는 듯 하였다. 중성 아미노산(프롤린 또는 글리신)의 존재는 HMWS 형성 속도의 매우 약간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표 12]
SEC에 의해 평가된 제형 7-1 내지 7-8의 30℃에서의 IgG1(100 ㎎/㎖)의 안정성
Figure pct00013
실시예의 요약
실시예 2-6의 데이터는 최대 5 mM의 완충제 및 낮은 이온 강도(예를 들어 20 mM 미만,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기여 제외)를 함유할 때, Fc 도메인을 함유하는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제형이 안정함을 보인다. 보다 높은 완충제 농도 및 보다 높은 이온 강도는 탈안정화시켰다. 중성 아미노산의 존재는 더욱 안정화시켰다. 놀랍게도 이는 시험된 4-쇄 항체(IgG1 유형)에 의해 나타난 양상과 상반된다. 비교 실시예 7의 데이터는 이 항체가 보다 높은 완충제 농도 및 보다 높은 이온 강도에서 더욱 안정성이었음을 보인다. 중성 아미노산의 존재는 더욱 탈안정화시켰다.
이론에 얽매이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발명자는 천연의 구조 주형(예를 들어 면역글로불린)에 기반한 천연 단백질 또는 재조합 단백질과 비교하여,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신규의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발현이 단백질 표면에서 더 많은 소수성 패치를 생성시킬 뿐만 아니라 가수분해 절단되기 쉬운 영역과 같은 불안정한 부위의 보다 큰 노출을 초래할 것으로 여긴다. 이것은 차례로 더욱 큰 응집 및 구조적 분해의 성향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이론에 제한되지 않고 비천연 소수성 패치를 선별할 뿐만 아니라 부자연스럽게 노출된 불안정 부위에서의 양성자 교환 속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협력하여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제형 특징을 결합시켜,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상당한 안정성 개선을 생성시킨다.
명세서 및 이어지는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 문맥상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포함하다'란 단어 및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과 같은 변형은 서술된 정수, 단계, 정수들의 그룹 또는 단계들의 그룹의 포함을 의미하지만, 임의의 다른 정수, 단계, 정수들의 그룹 또는 단계들의 그룹을 제외하는 것은 아님을 알 것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를 통해 언급된 모든 특허, 특허출원 및 참고문헌은 내용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및 보다 바람직한 그룹 및 적합한 및 보다 적합한 그룹 및 상기 인용된 그룹들의 구현예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Claims (34)

  1. - Fc 도메인(domain)을 포함하는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engineered protein construct);
    - 임의로 3.0 내지 9.5 범위의 pKa 및 조성물 pH의 2 pH 단위 이내의 pKa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온화가능 기를 갖는 물질인 하나 이상의 완충제;
    - 임의로 하나 이상의 중성 아미노산; 및
    -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tonicity modifier)
    를 포함하는, 4.0-8.5 범위의 pH의 수용액 조성물로서,
    상기 완충제가 0-5 mM의 총 농도로 조성물 중에 존재하고; 상기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기여를 제외한 조성물의 전체 이온 강도가 20 mM 미만인 수용액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완충제가 0.1-5 mM, 예를 들어 0.1-4 mM, 0.1-3 mM, 0.1-2 mM 또는 0.1-1 mM의 총 농도로 존재하는 수용액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완충제가 1-5 mM, 예를 들어 1-4 mM 또는 1-3 mM의 총 농도로 존재하는 수용액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중의 완충제의 총 농도가 <4.5 mM, 예를 들어 <4 mM, <3 mM, <2 mM, <1 mM, <0.5 mM, <0.4 mM, <0.3 mM, <0.2 mM 또는 <0.1 mM인 수용액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완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수용액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완충제가 조성물 pH의 1 단위 이내의 pKa를 갖는 이온화가능 기를 포함하는 수용액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완충제 또는 완충제들이 시트레이트, 히스티딘, 말리에이트, 설파이트, 글리옥실레이트, 아스파탐, 글루쿠로네이트, 아스파테이트, 글루타메이트, 타르트레이트, 글루코네이트, 락테이트, 글리콜산, 아데닌, 숙시네이트, 아스코르베이트, 벤조에이트, 페닐아세테이트, 갈레이트, 시토신, p-아미노벤조산, 소르베이트,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알기네이트, 유레이트, 2-(N-모르폴리노)에탄설폰산, 비카보네이트, 비스(2-하이드록시에틸)이미노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탄, N-(2-아세트아미도)-2-이미노디아세트산, 2-[(2-아미노-2-옥소에틸)아미노]에탄설폰산, 피페라진, N,N'-비스(2-에탄설폰산), 포스페이트,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2-아미노에탄설폰산, 3-[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2-하이드록시프로판설폰산, 트리에탄올아민, 피페라진-N,N'-비스(2-하이드록시프로판설폰산),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N-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글리신 및 N-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틸-3-아미노프로판설폰산, 및 이들의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수용액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완충제가 시트레이트, 히스티딘, 말리에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벤조에이트, 아세테이트, 비카보네이트, 포스페이트 및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예를 들어 시트레이트 및 포스페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수용액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로서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용액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리세롤, 1,2-프로판디올, 만니톨, 솔비톨, 슈크로스, 트레할로스, PEG300 및 PEG400 중에서 선택된, 및 특히 글리세롤, 만니톨, 1,2-프로판디올 및 슈크로스 중에서 선택된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를 포함하는 수용액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전되지 않은 긴장성 조절제의 농도가 50-1000 mM, 예를 들어 200-500 mM, 또는 약 300 mM인 수용액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리신, 메티오닌, 프롤린,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세린, 쓰레오닌, 아스파라진, 글루타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중성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수용액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글리신, 메티오닌, 프롤린 및 알라닌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중성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수용액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중성 아미노산으로서 프롤린을 포함하는 수용액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중성 아미노산으로서 글리신을 포함하는 수용액 조성물.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형 중의 하나 이상의 중성 아미노산의 총 농도가 20 내지 200 mM, 예를 들어 50 내지 150 mM인 수용액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의 기여를 제외한 조성물의 전체 이온 강도가 10 mM 미만인 수용액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H가 4.0 내지 7.5, 예를 들어 5.0 내지 7.5, 예를 들어 5.5 내지 7.5, 예를 들어 6.0 내지 7.5, 예를 들어 7.0 내지 7.5인 수용액 조성물.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이 Fc 도메인과 이종 폴리펩티드와의 융합물(fusion)인 수용액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이종 폴리펩티드가 사이토카인, 성장인자, 혈액 응고 인자, 효소, 수용체 단백질, GLP-1 작용물질 및 이들의 기능성 단편 및 도메인 중에서 선택되는 수용액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이 에타너셉트, 아바타셉트, 벨라타셉트, 애플리버셉트, 릴로나셉트, 로미플로스팀, 엘록테이트, 루스파터셉트, 둘라글루티드 및 알프롤릭스 중에서 선택되는 수용액 조성물.
  22. 제20항에 있어서,
    이종 폴리펩티드가 프로테아제 억제제인 수용액 조성물.
  23.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이, 2개의 상이한 가변 결합 영역을 갖는 4-쇄 항체 포맷(4-chain antoibody format)의 이중특이성 항체인 수용액 조성물.
  24.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된 단백질 작제물이, 2개의 상이한 가변 결합 영역을 갖는 2-쇄 항체 포맷의 이중특이성 항체인 수용액 조성물.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백질이 1 내지 400 ㎎/㎖, 예를 들어 10 내지 200 ㎎/㎖, 예를 들어 20 내지 100 ㎎/㎖의 농도로 존재하는 수용액 조성물.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용액 조성물.
  27. 제26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알킬 글리코사이드, 폴리소르베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알킬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알킬페닐 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수용액 조성물.
  28. 제27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폴리소르베이트 20 또는 폴리소르베이트 80과 같은 폴리소르베이트인 수용액 조성물.
  29.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0-2000 ㎍/㎖, 예를 들어 50-1000 ㎍/㎖, 100-500 ㎍/㎖ 또는 약 200 ㎍/㎖의 농도로 존재하는 수용액 조성물.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존제, 예를 들어 페놀계 또는 벤질계 보존제를 포함하는 수용액 조성물.
  31. 제30항에 있어서,
    페놀계 또는 벤질계 보존제가 페놀, m-크레졸, 클로로크레졸, 벤질 알콜, 프로필 파라벤 및 메틸 파라벤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수용액 조성물.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보존제가 10-100 mM, 예를 들어 20-80 mM 또는 25-50 mM의 농도로 존재하는 수용액 조성물.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법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인 수용액 조성물.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인 수용액 조성물.

KR1020227006365A 2019-08-09 2020-08-07 항체를 포함하는 신규 조성물 KR202200447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911461.0 2019-08-09
GBGB1911461.0A GB201911461D0 (en) 2019-08-09 2019-08-09 Novel composition
PCT/GB2020/051900 WO2021028669A1 (en) 2019-08-09 2020-08-07 Novel composition comprising antibod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761A true KR20220044761A (ko) 2022-04-11

Family

ID=67874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6365A KR20220044761A (ko) 2019-08-09 2020-08-07 항체를 포함하는 신규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20288165A1 (ko)
EP (1) EP4010365A1 (ko)
JP (1) JP2022544216A (ko)
KR (1) KR20220044761A (ko)
CN (1) CN114206391A (ko)
AU (1) AU2020328218A1 (ko)
CA (1) CA3144885A1 (ko)
GB (1) GB201911461D0 (ko)
IL (1) IL290300A (ko)
MX (1) MX2022001687A (ko)
WO (1) WO2021028669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611901A2 (pt) 2005-06-14 2012-08-28 Amgen, Inc composição, liofilizado, kit, e, processo para preparar uma composição
GB0700523D0 (en) * 2007-01-11 2007-02-21 Insense Ltd The Stabilisation Of Proteins
US8420081B2 (en) 2007-11-30 2013-04-16 Abbvie, Inc. Antibody formula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EP2598167B1 (en) * 2010-07-30 2015-04-01 Arecor Limited Stabilized aqueous antibody compositions
JP6220789B2 (ja) * 2011-10-18 2017-10-25 コヒラス・バイオサイエン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糖およびポリオールの組合せによって安定化されたエタネルセプト製剤
CN103358715B (zh) * 2012-03-30 2016-12-14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出纸模块的识别方法、出纸模块、打印机以及打印系统
CA2878508A1 (en) 2012-07-09 2014-01-16 Coherus Biosciences, Inc. Etanercept formulations exhibiting marked reduction in sub-visible particles
TWI679019B (zh) * 2013-04-29 2019-12-11 法商賽諾菲公司 抗il-4/抗il-13之雙特異性抗體調配物
WO2016036678A1 (en) * 2014-09-02 2016-03-10 Medimmune, Llc Formulations of bispecific antibodies
KR101808234B1 (ko) * 2015-06-23 2017-12-12 (주)알테오젠 IgG Fc 도메인을 가지는 융합 단백질의 안정한 액상 제제
EP3518893A1 (en) * 2016-09-29 2019-08-07 Arecor Limited Novel formulations
AU2017345490B2 (en) * 2016-10-21 2022-07-07 Amgen Inc. Pharmaceutical formula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16327963A (zh) 2016-11-21 2023-06-27 济世-伊沃泰克生物制品有限公司 一种眼科制剂及其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10365A1 (en) 2022-06-15
JP2022544216A (ja) 2022-10-17
WO2021028669A1 (en) 2021-02-18
CN114206391A (zh) 2022-03-18
MX2022001687A (es) 2022-03-11
US20220288165A1 (en) 2022-09-15
AU2020328218A1 (en) 2022-02-17
IL290300A (en) 2022-04-01
GB201911461D0 (en) 2019-09-25
CA3144885A1 (en)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68960B1 (en) Liquid formulation of polypeptides containing an fc domain of an immunoglobulin
JP6677827B2 (ja) 眼科用医薬組成物
JP7208302B2 (ja) 抗ヒトtslp受容体抗体含有医薬組成物
US20200255496A1 (en) Vegfr-fc fusion protein formulations
JP7215555B2 (ja) PEG化抗ヒトNGF抗体Fab’フラグメント含有医薬組成物
KR20220044761A (ko) 항체를 포함하는 신규 조성물
CN117279624A (zh) 用于提高工程化二聚体蛋白稳定性的水溶液组合物
KR20210106476A (ko) 고농도의 항-vegf 항체를 함유하는 단백질 용액 제형
CN116867481A (zh) 包含Fc结构域的工程化蛋白质构建体的水性组合物
US20220080023A1 (en) Novel composition
EP3921340A1 (en) Stabilized fc fusion protein solutions
KR20240053633A (ko) Vegf 수용체 융합 단백질을 위한 제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