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4545A - 음료 준비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준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545A
KR20220044545A KR1020227007261A KR20227007261A KR20220044545A KR 20220044545 A KR20220044545 A KR 20220044545A KR 1020227007261 A KR1020227007261 A KR 1020227007261A KR 20227007261 A KR20227007261 A KR 20227007261A KR 20220044545 A KR20220044545 A KR 20220044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tate
filtering cup
container cover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7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궈둥 왕
졘 리
?? 리
팅페이 스
Original Assignee
제지앙 샤오싱 수포어 도메스틱 일렉트리칼 어플라이언스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921283068.XU external-priority patent/CN210581974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21282288.0U external-priority patent/CN210961501U/zh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샤오싱 수포어 도메스틱 일렉트리칼 어플라이언스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제지앙 샤오싱 수포어 도메스틱 일렉트리칼 어플라이언스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044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5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A47J31/20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having immersible, e.g. rotatabl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4Coffee or tea p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 준비 장치가 컨테이너 본체(1) 및 컨테이너 본체(1)의 개구부를 덮는 컨테이너 커버(2)를 포함하고, 그러한 음료 준비 장치는: 필터링 컵(3); 필터링 컵(3) 상에 제공되고 컨테이너 커버(2)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력 생성 수단을 더 포함하고; 부력 생성 수단은, 필터링 컵(3)이 컨테이너 본체(1) 내측에 수용된 액체 내로 침잠되는 제1 위치와 필터링 컵(3)이 액체의 표면 위에 위치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필터링 컵(3)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음료 준비 장치
본 발명은 가전 제품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음료 준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발전하고 과학 및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가전 제품이 생활에 필수적인 도구가 되었다. 특히 전기 주전자 및 건강 주전자(health kettle)와 같은 음료 준비 장치가 사람들의 생활에서 널리 이용되고, 사람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한편 사람들의 삶을 촉진할 수 있다. 건강 주전자를 예로 들면, 사람들이 차를 즐기고 음용할 수 있도록 차를 끓이거나 브루잉(brewing) 할 때 찻잎을 차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촉진하는 장치로서, 필터링 컵이 건강 주전자의 중요 구성요소가 된다.
기존 건강 주전자의 필터링 컵이 찻잎을 차로부터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지만, 기존 건강 주전자는 개인의 미각적 선호 사항을 기초로 차의 브루잉 강도를 조정할 수 없다. 차의 브루잉 강도를 제어하기 위해서 미리 설정된 시간에 필터링 컵을 꺼낼 수 있는 경우에도, 필터링 컵의 컵 본체의 온도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이는 조작하기에 편리하지 않다. 동시에, 꺼낸 필터링 컵 상의 물 방울이 조리대와 같은 지지 플랫폼을 쉽게 오염시킬 수 있다. 부적절한 설계 및 낮은 실용성의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음료 준비 장치가 음료를 끓이거나 브루잉할 때 음료의 강도를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조정할 수 없다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음료 준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컨테이너 본체 및 컨테이너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컨테이너 커버를 포함하는, 음료 준비 장치를 제공하고, 그러한 장치는:
필터링 컵;
필터링 컵 상에 제공된 부력 생성 수단;
필터링 컵과 연결되고 컨테이너 커버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부력 생성 수단은, 필터링 컵이 컨테이너 본체 내측에 수용된 액체 내로 침잠되는 제1 위치와 필터링 컵이 액체의 표면 위에 위치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필터링 컵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음료 준비 장치에서, 필터링 컵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부력 생성 수단을 필터링 컵이 구비함에 따라, 음료 준비 물질(예를 들어, 찻잎, 복령(Poria), 구기자, 도라지 등)을 포함하는 필터링 컵은 필터링 컵이 위치되는 컨테이너 내에 수용된 액체 내에 침잠될 수 있거나, 희망하는 경우 필요를 기초로, 음료 준비 물질이 액체 내에 침잠되는 지속 시간을 제어하여 그에 따라 음료의 강도를 편리하게 조정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액체의 표면 위로 부상될 수 있다. 또한, 필터링 컵에 수반되는 액체는 컨테이너 본체 내로 다시 낙하될 것이고, 그에 따라 (외부로 꺼내는 경우에) 필터링 컵 상의 액체가 조리대를 오염시키는 것 그리고 청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부력 생성 수단은 강성 구조물의 부유 부재이다. 본원에서, "강성 구조물의 부유 부재"는, 액체(일반적으로 물)의 표면 상으로 자체적으로 부유할 수 있고 고정된 부피를 가지는 물체, 예를 들어 입방체, 정육면체, 반-구체, 구체 등의 형상을 가지는 중실형 또는 중공형 플라스틱 부재 또는 발포체 부재를 의미한다.
부력 생성 수단이 강성 구조물의 부유 부재인 경우에, 음료 준비 장치는 유리하게: 연결 부재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제공되고 컨테이너 커버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록킹 조립체(locking assembly)를 더 포함하고, 그러한 록킹 조립체는, 제1 상태에 있을 때, 연결 부재와 위치 제한 방식으로 협력하여 제1 위치에서 유지되는 부유 부재의 부력을 극복하도록, 그리고 제2 상태에 있을 때, 연결 부재와의 위치 제한 협력으로부터 분리되어, 부유 부재의 부력의 영향 하에서, 필터링 컵이 제2 위치에 있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록킹 조립체는 컨테이너 커버 내측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는 록킹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상태에서, 록킹 부재는 연결 부재와 위치 제한 방식으로 협력하고; 그리고
제2 상태에서, 록킹 부재는 연결 부재와의 위치 제한 협력으로부터 분리된다.
유리하게, 록킹 부재는 중공형 슬롯(hollowed-out slot)을 구비하고; 연결 부재는, 컨테이너 커버와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중공형 슬롯을 통과하고 연결 부분을 구비하며;
제1 상태에서, 중공형 슬롯의 슬롯 벽은 연결 부분과 위치 제한 방식으로 협력하고; 그리고
제2 상태에서, 연결 부분은 상응하는 협력 슬롯 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위치 제한 협력을 제거하고, 그에 따라 연결 부재는 중공형 슬롯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다.
유리하게, 록킹 조립체는:
제1 탄성 복귀 부재;
록킹 부재와 연결된 제1 고정 아암; 및
컨테이너 커버 내측에 제공된 제2 고정 아암을 더 포함하고,
제1 탄성 복귀 부재는 제1 고정 아암과 제2 고정 아암 사이에 제공된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음료 준비 장치는:
음료 준비 장치의 컨테이너 커버 상에 제공되고,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 록킹 조립체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구동 부재는:
컨테이너 커버 외측에 노출된 프레싱 부분(pressing part); 및
컨테이너 커버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레싱 부분과 연결되는 구동 부분을 포함하고;
록킹 부재는, 연결 부재로부터 멀어 지는 쪽으로 대면되는 방식으로 제공되는 경사 면을 가지며, 구동 부분이, 경사 면에 대항하여(against) 접경되는 위치로 이동될 때, 구동 부분은 록킹 부재를 구동하여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음료 준비 장치는, 음료 준비 장치의 유지 핸들 내측에 제공되고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 록킹 조립체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부재를 더 포함한다.
유리하게, 부유 부재는 필터링 컵의 하단부에 제공되고 원호-형상의 구조물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부력 생성 수단은 팽창 가능 에어백이다. 본원에서, "팽창 가능 에어백"은, 공기가 충진될 수 있고 충진된 공기의 양에 따라 부피가 변화되는 가요성 물체를 의미한다.
부력 생성 수단이 팽창 가능 에어백인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해서 제공되는 음료 준비 장치는 유리하게:
에어백에 연결되고 에어백에 공기를 충진할 수 있는 공기-충진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에어백은 제1 상태에서 공기로 충진되도록, 그에 따라 필터링 컵이 에어백의 부력의 영향 하에서 제2 위치에 있도록, 그리고 제2 상태에서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방출하도록, 그에 따라 필터링 컵이 그 자체의 중력의 영향 하에서 제1 위치에 있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공기-충진 조립체는:
컨테이너 커버 상에 제공된 공기-충진 부재;
공기 전달 파이프를 포함하고, 그러한 공기 전달 파이프를 통해서 공기-충진 부재가 에어백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공기-충진 부재는 컨테이너 커버 내측에 제공된 공기-충진 펌프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공기-충진 부재는, 공기 전달 파이프를 통해서 에어백과 연통되는 공기-충진 풍선이다.
유리하게, 에어백은 필터링 컵의 하단부에 제공되고, 에어백은, 공기로 충진된 후에, 원호-형상의 구조물이 된다.
유리하게, 음료 준비 장치는: 컨테이너 커버 상에 제공되고, 연결 부재와 컨테이너 커버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더 포함한다.
유리하게, 필터링 컵은:
컵 본체; 및
컵 본체를 덮고 연결 부재와 연결된 상단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 또는 종래 기술의 구체적인 실현 모드에서 기술적 해결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현 모드 또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필요가 있는 첨부 도면에 대해 이하에서 간략히 설명한다. 명백하게, 이하에서 설명되는 첨부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몇몇 실현 모드이다. 당업자는, 창작적인 노력을 하지 않고도, 이러한 첨부 도면을 기초로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필터링 컵이 물 내에 침잠될 때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해서 제공되는 차 브루잉 컨테이너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필터링 컵이 물의 표면 상에 부유할 때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상세 부분(I)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연결 부재를 록킹할 때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해서 제공되는 록킹 부재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5는 언록킹될(unlocked) 때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해서 제공되는 록킹 부재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해서 제공되는 다른 차 브루잉 컨테이너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7은 필터링 컵이 물 내에 침잠될 때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해서 제공되는 차 브루잉 컨테이너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7의 필터링 컵이 물의 표면 상에 부유할 때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9는 공기 전달 파이프가 연결 부재의 외측에 위치될 때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해서 제공되는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해서 제공되는 다른 차 브루잉 컨테이너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상세 부분(I)의 확대도이다.
참조 번호
1-컨테이너 본체;
2-컨테이너 커버;
21-제2 고정 아암;
21A-링-형상의 돌출부
3-필터링 컵;
31-컵 본체;
32-상단 커버;
4-연결 부재;
41-연결 부분;
5-록킹 조립체;
51-록킹 부재;
511-중공형 슬롯;
5111-위치 제한 지역;
5112-이동 지역;
512-경사 면;
52-제1 탄성 복귀 부재;
53-제1 고정 아암;
5A-공기-충진 조립체;
51A-공기-충진 부재;
52A-공기 전달 파이프
6-부유 부재;
6A-에어백
7-구동 부재
71-프레싱 부분;
72-구동 부분;
8-밀봉 부재;
9-리프팅 핸들;
91-링-형상의 슬롯;
11-유지 핸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전부가 아닌 일부의 실시형태가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창조적인 노동을 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서 얻어지는 다른 모든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내부" 및 "외부"와 같은 위치 또는 방향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것을 기초로 하는 위치 또는 방향 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것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반드시 특정 위치/방향을 가져야 하거나 특정 위치/방향에 따라 구성 및 작동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거나 암시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이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정의되고 제공되지 않는 한, "~에 장착된", "~와 연결된" 및 "~에 연결된"과 같은 용어는 일반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이는 고정된 연결, 탈착 가능 연결, 또는 통합형 연결일 수 있고; 이는 기계적 연결, 또는 전기적 연결일 수 있고; 이는 직접적인 연결 또는 중간 매체를 통한 연결일 수 있고; 이는 두 요소들 사이의 내부 연통일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서 전술한 용어들의 구체적인 의미를 문맥에 기초하여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준비 장치를 도시한다. 그러한 실시형태에서, 음료 준비 장치는 차 브루잉 컨테이너이다. 차 브루잉 컨테이너는, 액체 가열 및 차 브루잉 또는 끓이기를 실현할 수 있는, 건강 주전자, 전기 주전자, 또는 일반적일 차 브루잉 주전자와 같은 물품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차 브루잉 또는 끓이기를 실현할 수 있기만 한다면, 차 브루잉 컨테이너로 특정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차 브루잉 컨테이너가 또한, 복령, 구기자, 도라지 등을 침잠시킴으로써 준비된 음료와 같은 다른 음료를 준비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차 브루잉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본체(1), 및 컨테이너 본체(1)의 개구부를 덮는 컨테이너 커버(2)를 포함한다. 또한, 차 브루잉 컨테이너는 필터링 컵(3), 필터링 컵(3) 상에 제공된 부력 생성 수단, 및 필터링 컵(3)과 연결되고 컨테이너 커버(2)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 부재(4)를 더 포함한다. 부력 생성 수단은, 필터링 컵(3)이 컨테이너 본체(1) 내에 수용된 액체 내로 침잠되는 제1 위치와 필터링 컵(3)이 액체의 표면 위에 위치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필터링 컵(3)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부력 생성 수단은 강성 구조물로 이루어진 부유 부재(6)이고, 차 브루잉 컨테이너는, 연결 부재(4)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제공되고 컨테이너 커버(2)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록킹 조립체(5)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록킹 조립체(5)는, 제1 상태에서 연결 부재(4)와 위치 제한 방식으로 협력하여 필터링 컵(3)이 부유 부재(6)의 부력을 극복하고 액체 내에 침잠되도록, 그리고 제2 상태에서 연결 부재(4)와의 위치 제한 협력으로부터 분리되어 필터링 컵(3)이 부유 부재(6)의 부력의 영향 하에서 액체의 표면 위에 위치되도록, 제공된다. 차 브루잉 또는 끓이기 중에, 찻잎을 포함하는 필터링 컵(3)은 컨테이너 본체(1) 내측에 배치되고 록킹 조립체(5)는 제1 상태로 조정되며, 그에 따라 록킹 조립체(5) 및 연결 부재(4)는 위치 제한 방식으로 서로 협력한다. 다시 말해서, 연결 부재(4)는, 록킹 조립체(5)의 제한 하에서, 컨테이너 커버(2)에 대해서 이동될 수 없다. 이러한 순간에, 필터링 컵(3)은 부유 부재(6)의 부력을 극복하고 액체 내에 침잠된다. 차 브루잉 또는 끓이기의 미리 설정된 지속시간에 도달한 때, 록킹 조립체(5)가 제2 상태로 조정된다. 록킹 조립체(5)는, 제2 상태에 있을 때, 연결 부재(4)로부터 분리되고 그에 따라 위치 제한 협력으로부터 분리된다. 다시 말해서, 연결 부재(4)는 록킹 조립체(5)의 제한으로부터 분리되고 컨테이너 커버(2)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순간에, 필터링 컵(3)은 부유 부재(6)에 의해서 생성되는 부력의 영향 하에서 컨테이너 커버(2)를 향해서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액체의 표면 위에 위치되고, 그에 따라 필터링 컵(3) 내의 찻잎이 컨테이너 본체(1) 내측의 액체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브루잉된 또는 끓인 차의 강도를 조정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컨테이너 본체(1) 내의 물 온도가 미리 설정된 차 브루잉 또는 끓이기의 온도에 도달하지 않았을 때, 록킹 조립체(5)는 또한 먼저 제2 상태로 설정될 수 있고, 필터링 컵(3)은 부유 부재(6)에 의해서 생성된 부력 하에서 액체의 표면 상으로 부유한다. 컨테이너 본체(1) 내의 물 온도가 미리 설정된 차 브루잉 또는 끓이기 온도에 도달할 때, 필터링 컵(3)이 액체 내로 침잠된다. 이어서, 록킹 조립체(5)는 제1 상태로 조정된다. 연결 부재(4)는 록킹 조립체(5)의 제한 하에서 컨테이너 커버(2)에 대해서 이동할 수 없고, 그에 따라 필터링 컵(3)은 부유 부재(6)의 부력을 극복하고 액체 내에 침잠되어 유지되어, 차 브루잉 또는 끓이기의 최적의 타이밍을 보장하고 차 브루잉 또는 끓이기 품질을 개선한다. 또한, 필터링 컵(3)이, 부유된 후에, 컨테이너 본체(1) 내측에 여전히 위치되고 꺼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필터링 컵(3)에 수반되는 액체는 컨테이너 본체(1) 내로 다시 낙하될 것이고, 그에 따라 필터링 컵(3) 상의 액체가 조리대를 오염시키고 청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제1 상태"는, 록킹 조립체(5)가 연결 부재(4)를 록킹하는 상태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 부재(4)는 컨테이너 커버(2)에 대해서 이동할 수 없다. "제2 상태"는, 록킹 조립체(5)가 연결 부재(4)를 언록킹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 부재(4)는 컨테이너 커버(2)에 대해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부유 부재(6)는, 고정 부피를 가지고 액체(일반적으로 물)의 표면 상으로 자체적으로 부유할 수 있는 물체, 예를 들어 입방체, 정육면체, 반-구체, 구체 등의 형상을 가지고 접착, 용접 또는 볼트를 통한 고정과 같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서 필터링 컵(3)에 연결될 수 있는 중실형 또는 중공형 플라스틱 부재 또는 발포체 부재이다. 명세서는, 필터링 컵(3)에 대한 부유 부재(6)의 고정이 달성되기만 한다면, 부유 부재(6)와 필터링 컵(3) 사이의 연결 수단을 특정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찻잎을 포함하는 필터링 컵(3)이 액체의 표면까지 부유되게 하는데 충분한 부력을 부유 부재(6)가 생성하도록 보장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부유 부재(6)는 최대 변위를 달성할 수 있는 원호-형상의 구조물이다. 동시에, 필터링 컵(3)의 차 필터링 및 변위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 부유 부재(6)는 필터링 컵(3)의 하단부에 제공된다. 부유 부재(6)가 또한 다른 형태 및 구성을 가질 수 있고, 필터링 컵(3)의 임의의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이는, 직사각형 공동을 가지고 필터링 컵(3)의 측벽 상에 제공되는 구조물일 수 있다.
물을 컨테이너 본체(1) 내에 부가하기 위한 컨테이너 커버(2)의 개방을 촉진하기 위해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형태에서, 차 브루잉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커버(2)의 외부 단부 면을 덮고 연결 부재(4)와 연결되는 리프팅 핸들(9)을 더 포함하고, 록킹 조립체(5)가, 연결 부재(4)가 록킹되는 제1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는 리프팅 핸들(9)에 의해서 컨테이너 커버(2)를 편리하게 개방할 수 있는데, 이는, 리프팅 핸들(9)이 연결 부재(4)에 연결되고 연결 부재(4)는 컨테이너 커버(2)에 대해서 이동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리프팅 핸들(9)이 컨테이너 커버(2)의 외부 단부 면을 직접적으로 덮기 때문에, 즉 고정 부재 또는 연결 매체(예를 들어, 고정 접착제)가 리프팅 핸들(9)과 컨테이너 커버(2) 사이에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록킹 조립체(5)가, 연결 부재(4) 상의 제한부가 상승되는 제2 상태에 있을 때, 연결 부재(4)는 컨테이너 커버(2)에 대해서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다.
록킹 조립체(5)는 컨테이너 커버(2)에 회전 가능하게 또는 경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록킹 부재(51)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록킹 부재(51)는 컨테이너 커버(2) 내측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1 상태에서, 록킹 부재(51)는 위치 제한 방식으로 연결 부재(4)와 협력하고, 그에 따라 필터링 컵(3)은 부유 부재(6)의 부력을 극복하여 액체의 표면 아래에 위치된다. 제2 상태에서, 록킹 부재(51)는 연결 부재(4)와의 위치 제한 협력으로부터 분리되고, 그에 따라 필터링 컵(3)은 부유 부재(6)의 부력의 영향 하에서 액체의 표면 위에 위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부재(51)는, 컨테이너 커버(2) 외측에서 노출되고 언록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한 부분은 컨테이너 커버(2)와 활주 가능하게 협력한다. 사용자는, 그러한 부분을 미는 것에 의해서, 록킹 부재(51)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한다. 설계 절차를 단순화하기 위해서, 컨테이너 커버(2) 상의 활주 궤도를 설계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그리고 생산 및 제조를 촉진하기 위해서, 차 브루잉 컨테이너는 구동 부재(7)를 더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구동 부재(7)는 차 브루잉 컨테이너의 유지 핸들(11) 내측에 제공되고,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 록킹 조립체(5)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별도로 설계된 구동 부재(7) 및 록킹 조립체(51)는 생산이 보다 용이하고, 활주 궤도 설계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구동 부재(7)는 컨테이너 커버(2) 상에 제공된다. 그러한 설계는, 구동 부재(7)가 유지 핸들(11) 상에 제공되게 하는 설계와 동일한 장점을 갖는데, 그러한 장점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부재(7)는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부재(7)는 컨테이너 커버(2)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프레싱 부분(71), 및 컨테이너 커버(2)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레싱 부분(71)과 연결되는 구동 부분(72)을 포함한다. 록킹 부재(51)는, 연결 부재(4)로부터 멀어 지는 쪽으로 대면되는 방식으로 제공되는 경사 면(512)을 가지며, 구동 부분(72)이, 경사 면(512)에 대항하여 접경되는 위치로 이동될 때, 록킹 부재(51)가 구동되어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록킹 부재(51)의 언록킹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자는, 구동 부분(72)이 프레싱 부분(71)에 의해서 록킹 부재(51)를 향해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구동 부분(72)이, 록킹 부재(51)의 경사 면(512)에 대항하여 접경되는 위치로 이동할 때, 구동 부분(72)은 록킹 부재(51)를 구동하여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연결 부재(4) 상에서 제한부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부재(7)를 수동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서 록킹 부재(51)의 언록킹을 달성한 후에, 추가적으로 후속 동작을 촉진하기 위해서 그리고 구동 부재(7)의 위치 복원을 촉진하기 위해서, 제2 탄성 복귀 부재가 컨테이너 커버(2)의 외부 단부 면과 프레싱 부분(71) 사이에 제공될 수 있고, 제2 탄성 복귀 부재는 선택적으로 원통형 스프링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구동 부재(7)의 다른 설계 구조가 또한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구동 부재(7)는 마이크로-실린더이고, 그 출력 단부는 록킹 부재(51)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제공되고 록킹 부재(51)와 접촉될 수 있으며 록킹 부재(51)를 구동하여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록킹 부재(51)의 이동 그리고 그에 따라 연결 부재(4) 상의 제한부의 상승을 달성하기 위해서 마이크로-실린더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이는 보다 편리하고 노동력을 절감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부재(51)는 그 초기 위치로 수동으로 복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음 동작을 촉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록킹 조립체(5)는 제1 탄성 복귀 부재(52), 및 록킹 부재(51)와 연결된 제1 고정 아암(53)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고정 아암(21)이 컨테이너 커버(2)의 내측에 제공되고, 제1 탄성 복귀 부재(52)는 제1 고정 아암(53)과 제2 고정 아암(21) 사이에 제공된다. 록킹 부재(51)가 제1 록킹 상태로부터 제2 언록킹 상태로 전환될 때, 제1 탄성 복귀 부재(52)가 변형되고 탄성력을 생성한다. 필터링 컵(3)이 부유 부재(6)의 부력의 영향 하에서 액체의 표면 위에 위치될 때, 구동 부재(7)가 해제되고, 록킹 부재(51)는 제1 탄성 복귀 부재(52)에 의해서 생성된 탄성력의 영향 하에서 그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제1 고정 아암(53)은, 접착, 스냅-피팅(snap-fitting), 및 나사와 같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서 록킹 부재(51)와 연결될 수 있다. 생산 및 제조를 촉진하고 조립 절차를 단순화하기 위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 아암(53)이 록킹 부재(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 복귀 부재(52)는, 선택적으로, 비틀림 스프링 또는 소가죽 탄성 밴드와 같은 양호한 탄성 성능을 가지는 부품일 수 있다. 제1 탄성 복귀 부재(52)가 탄성을 가지도록 보장하면서 장착을 돕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제1 탄성 복귀 부재(52)는 원통형 스프링이다.
록킹 부재(51)는 돌출 구조물일 수 있다. 연결 부재(4)는, 위치 제한 방식으로 돌출 구조물과 협력하는 고정 슬롯을 구비한다. 대안적으로, 록킹 부재(51)는 자기 부재이고, 연결 부재(4)는 철 부품이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부재(51)의 다른 설계의 구조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록킹 부재(51)는 중공형 슬롯(511)을 구비하고, 연결 부재(4)는, 컨테이너 커버(2)와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그러한 중공형 슬롯을 통과하고, 연결 부재(4)는 연결 부분(41)을 구비한다. 제1 상태에서, 중공형 슬롯(511)의 벽은 연결 부분(41)과 위치 제한 방식으로 협력한다. 제2 상태에서, 연결 부분(41)은 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위치 제한 협력을 제거하고, 그에 따라 연결 부재(4)는 중공형 슬롯(511)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 구조는, 중공형 슬롯(511)의 벽과 연결 부분(41) 사이의 위치 제한 협력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연결 부분(41)과의 협력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자기 부재가 고온 조건 하에서 자성을 상실하기 쉽다는 단점을 방지하면서, 록킹 후의 연결 부재(4)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 슬롯(511)은 위치 제한 지역(5111) 및 이동 지역(5112)을 포함한다. 필터링 컵(3)의 이동 방향으로 돌출될 때, 연결 부재(4) 및 위치 제한 지역(5111)의 돌출 면적들 모두는 이동 지역(5112)의 돌출 면적보다 작다. 제1 상태에서, 위치 제한 지역(5111)의 벽은 연결 부분(41)과 스냅-피팅된다. 제2 상태에서, 위치 제한 지역(5111)의 벽은 연결 부분(41)으로부터 분리되어 위치 제한 협력을 제거하고, 연결 부재(4)는 이동 지역(5112) 내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지역의 돌출 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설계를 이용하여, 연결 부분(41)과의 위치 제한 협력을 달성하고, 그러한 구조적 설계는 적절하고 스마트하다.
위치 제한 지역(5111)은 돌출 구조물일 수 있고, 연결 부분(41)은, 위치 제한 방식으로 돌출 구조물과 협력하는 관통 슬롯 구조물일 수 있다. 위치 제한 지역(5111)과 연결 부분(41)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록킹 부재(51)가 연결 부재(4)를 록킹할 때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형태에서, 연결 부분(41)은 연결 부재(4)의 표면의 원주방향 함몰부에 의해서 형성된 링-형상의 슬롯 구조물이고, 위치 제한 지역(5111)의 슬롯 벽은 원호-형상의 구조물이다.
또한, 위치 제한 지역(5111)의 슬롯 벽의 원호 길이는 연결 부분(41)의 둘레의 1/2 내지 3/4이다. 선택적으로, 위치 제한 지역(5111)의 슬롯 벽의 원호 길이는 연결 부분(41)의 둘레의 1/2일 수 있다. 위치 제한 지역(5111)의 슬롯 벽의 원호 길이는 또한 연결 부분(41)의 둘레의 3/5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록킹 부재(51)가 연결 부재(4)를 록킹할 때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위치 제한 지역(5111)의 슬롯 벽의 원호 길이는 연결 부분(41)의 둘레의 3/4이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부력 생성 수단은 팽창 가능 에어백(6A)이고, 차 브루잉 컨테이너는, 공기로 에어백(6A)을 충진할 수 있는 공기-충진 조립체(5A)를 더 포함한다. 공기-충진 조립체(5A)는 공기-충진 부재(51A) 및 공기 전달 파이프(52A)를 포함한다. 공기-충진 부재(51A)는 공기 전달 파이프(52A)를 통해서 에어백(6A)과 연결된다. 공기 전달 파이프(52)에 의해서, 공기-충진 부재(51)는 공기로 에어백(6)을 보다 편리하게 충진할 수 있다. 공기-충진 부재(51A)의 조립을 촉진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공기-충진 부재(51A)가 컨테이너 커버(2) 상에 제공된다. 그러나, 공기-충진 부재(51A)가 또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위치에 제공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유지 핸들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차를 끓이거나 브루잉하기 위해서 전술한 차 브루잉 컨테이너를 이용할 때, 찻잎을 포함하는 필터링 컵(3)이 컨테이너 본체(1) 내측에 배치되고, 에어백(6A)이 제2 상태에, 즉 에어백(6A) 내의 공기가 완전히 방출된 상태에 있도록 보장된다. 이러한 순간에, 필터링 컵(3)은 그 자체의 중력 하에서 액체 내에 침잠된다. 미리 설정된 차 끓이기 또는 브루잉 시간에 도달하였을 때, 에어백(6A)은 공기-충진 부재(51A)를 통해서 공기로 충진되고, 그에 따라 에어백(6A)은 제1 상태가 된다. 이러한 순간에, 필터링 컵(3)은 에어백(6A)에 의해서 생성된 부력의 영향 하에서 컨테이너 커버(2)를 향해서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액체의 표면 위에 위치되고, 그에 따라 필터링 컵(3) 내측의 찻잎이 컨테이너 본체(1) 내측의 액체와 접촉되어 유지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끓인 또는 브루잉된 차의 강도를 조정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컨테이너 본체(1) 내측의 물 온도가 미리 설정된 차 브루잉 또는 끓이기 온도에 도달하지 않았을 때, 에어백(6A)이 또한 공기-충진 조립체(5)에 의해서 미리 충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에어백(6A)이 제1 상태가 되어 필터링 컵(3)이 에어백(6A)에 의해서 생성된 부력의 영향 하에서 액체의 표면 위로 부유하게 할 수 있다. 컨테이너 본체(1) 내측의 물 온도가 미리 설정된 차 끓이기 또는 브루잉 온도에 도달하였을 때, 에어백(6A)이 제2 상태로 조정되고, 그에 따라 필터링 컵(3)은 그 자체의 중력 하에서 액체의 표면 아래로 침잠되고, 그에 따라 최적의 차 끓이기 또는 브루잉 시간을 보장하고 차 끓이기 또는 브루잉 품질을 개선한다. 또한, 필터링 컵(3)이, 부유된 후에, 컨테이너 본체(1) 내측에 여전히 위치되고 꺼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필터링 컵(3)에 수반되는 액체는 컨테이너 본체(1) 내로 다시 낙하될 것이고, 그에 따라 (꺼낸 경우에) 필터링 컵(3) 상의 액체가 조리대를 오염시키고 청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여기에서, "제1 상태"는, 에어백(6A)에 의해서 생성된 부력이 필터링 컵(3)을 액체의 표면 위로 부유시키는데 충분하도록, 에어백(6A)이 공기로 충진되는, 즉 에어백(6A)이 공기-충진 부재(51A)에 의해서 공기로 충진되는 상태를 의미하고; "제2 상태"는, 에어백(6A)이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방출하여 부력을 감소시키거나 심지어 제거하고, 그에 따라 필터링 컵(3)이 그 자체의 중력 하에서 액체 내로 침잠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필터링 컵(3)이 신속하게 액체의 표면 위로 부유할 수 있도록 또는 액체 내로 침잠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제1 상태에서, 에어백(6A)은 공기로 완전히 충진되고, 제2 상태에서, 공기는 에어백(6A)의 내측으로부터 완전히 방출된다.
여기에서, 에어백(6A)은, 공기가 충진될 수 있고 충진된 공기의 양에 따라 부피가 변화되는 가요성 물체이다. 에어백은, 예를 들어 접착 또는 체결구를 이용한 체결에 의해서 필터링 컵(3)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둘 사이의 고정 연결이 실현될 수만 있다면 에어백(6A)을 컵 본체(31)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찻잎을 포함하는 필터링 컵(3)이 액체의 표면 위로 부유되게 하는데 충분한 부력을 에어백(6A)이 생성하도록 보장하기 위해서,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형태에서, 에어백(6A)은, 공기로 충진된 후에, 최대 변위를 달성할 수 있는 원호-형상의 구조물이 된다. 동시에, 필터링 컵(3)의 차 필터링 및 변위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서, 에어백(6A)은 필터링 컵(3)의 하단부에 제공된다. 에어백(6A)이, 공기로 충진된 후에, 다른 형상 및 구성을 가질 수 있고, 필터링 컵(3)의 임의의 위치에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이는, 직사각형 공동을 가지고 필터링 컵(3)의 측벽 상에 제공되는 구조물일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커버(2)는 컨테이너 본체(1)의 개구부를 덮는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리프팅 핸들(9)은 컨테이너 본체(1)의 외부 단부 면을 직접적으로 덮고 연결 부재(4)와 연결되며, 다시 말해서 리프팅 핸들(9)과 컨테이너 커버(2) 사이에는 고정 연결 또는 스냅-핏 연결과 같은 어떠한 고정 관계도 존재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리프팅 핸들(9)은 컨테이너 커버(2)의 외부 단부 면에 직접 배치된다. 차 끓일 때, 컨테이너 본체(1) 내측의 차가 끓고 넘치는 경우에, 사용자는 리프팅 핸들(9)을 이용하여 필터링 컵(3)을 상승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컵(3)을 액체의 표면 위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끓는 차가 넘치고 조리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러한 넘침은, 심각할 때, 심지어 사용자에게 화상을 입힐 수 있다.
리프팅 핸들(9)은 컨테이너 본체(1)의 외부 단부 면을 직접적으로 덮을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커버(2)의 외부 단부 면은 링-형상의 돌출부(21A)를 구비하고, 리프팅 핸들(9)은 링-형상의 슬롯(91)을 구비한다. 연결 부재(4)의 이동 방향으로 돌출될 때, 링-형상의 돌출부(21A)의 돌부는 링-형상의 슬롯(91)의 돌부 내에 위치된다. 서로 협력하는 링-형상의 돌출부(21A) 및 링-형상의 슬롯(91)의 이용에 의해서, 리프팅 핸들(9)의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조립 후의 리프팅 핸들(9)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동시에, 이러한 접근 방식 하에서, 리프팅 핸들(9) 및 컨테이너 커버(2)는 함께 일체형 구조물로서 보이고, 그에 따라 액체 가열 컨테이너의 미감을 개선한다.
여기에서, 링-형상의 슬롯(91)의 내부 표면이 링-형상의 돌출부(21A)의 외부 표면과 협력하여 리프팅 핸들(9)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력을 형성하도록, 리프팅 핸들(9)이 링-형상의 돌출부(21A)에서 컨테이너 커버(2)를 직접적으로 덮는 경우에도, 필터링 컵(3)의 정상적인 부유를 보장하기 위해서, 제한력은 에어백(6A)의 부력보다 작아야 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충진 부재(51A)는 공기 충진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충진 부재(51A)는 공기-충진 펌프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공기-충진 펌프는 컨테이너 커버(2)의 내측에 제공된다. 공기 전달 파이프(52A)의 외부 벽에 침투하는 것에 의해서 차가 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면서 공기 전달 파이프(52A)의 배치를 촉진하기 위해서, 공기 전달 파이프(52A)는 연결 부재(4)의 이동 방향으로 연결 부재(4)를 통과하고, 공기-충진 펌프는 공기 전달 파이프(52A)를 통해서 에어백(6A)과 연결된다. 공기 전달 파이프(52A)가 에어백(6A)과 연결되기 전에 연결 부재(4)의 내측을 통과하는 경우에, 공기 전달 파이프(52A)가 차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동시에, 차의 청정도가 또한 보장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공기-충진 펌프의 정상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서, 공기-충진 펌프는 전력 저장 수단에 의해서 전력을 공급 받을(powered) 수 있거나, 전원 소켓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공기-충진 펌프가 전력 저장 수단에 의해서 전력을 공급 받는 경우에, 전력 저장 수단은 컨테이너 커버(2) 또는 유지 핸들 내측에 제공될 수 있다. 공기-충진 펌프가 전원 소켓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전력을 공급 받는 경우에, 컨테이너 커버(2) 또는 유지 핸들에서 커플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충진 부재(51A)는 또한 공기 충진을 수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충진 부재(51A)는 컨테이너 커버(2)에 제공된 공기-충진 풍선이다. 공기-충진 풍선의 고정을 촉진하면서 전체 차 브루잉 컨테이너의 미감을 보장하기 위해서, 공기-충진 풍선은 리프팅 핸들(9) 상에 제공된다. 유사하게, 공기 전달 파이프(52A)의 배치를 촉진하고 공기 전달 파이프(52A)의 외부 벽에 침투하는 것에 의해서 차가 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공기 전달 파이프(52A)는 연결 부재(4)의 이동 방향으로 연결 부재(4) 및 리프팅 핸들(9)을 통과하고, 공기-충진 풍선은 공기 전달 파이프(52A)를 통해서 에어백(6A)과 연통된다. 이는 공기 전달 파이프(52A)가 차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차의 청정도를 보장할 수 있다.
외부 먼지 및 입자와 같은 이물질이 컨테이너 본체(1)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차 브루잉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커버(2) 상에 제공되고 연결 부재(4)와 컨테이너 커버(2)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8)를 더 포함한다. 밀봉 부재(8)는 실리콘, 고무, 및 폴리우레탄과 같은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밀봉 부재(8)가 양호한 소성 변형 특성 및 밀봉 능력을 갖도록 보장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밀봉 부재(8)는 고무 재료로 제조된다.
차 브루잉 또는 끓이기 결과를 보장하기 위해서,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형태에서, 필터링 컵(3)은 컵 본체(31), 및 컵 본체(31)를 덮고 연결 부재(4)와 연결되는 상단 커버(32)를 포함한다. 이러한 설계 구조에서, 필터링 컵(3)은 액체 내로 완전히 침잠될 수 있고, 액체 내로 침잠될 때, 필터링 컵(3) 내측의 찻잎이 컵 본체(31)의 외부로 부유하여 차 필터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찻잎 이외의, 여기에서 전체가 나열되지 않은, 허브 및 식품 재료, 예를 들어 복령, 구기자, 도라지가 또한 필터링 컵(3) 내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여러 실시형태가 단지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을 설명하기 위해서 이용되었고,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하고; 본 발명이 다양한 전술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다양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기술된 기술적 해결책을 여전히 수정할 수 있거나, 그 기술적 특징의 일부 또는 전부의 균등한 대체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나, 그러한 수정 또는 균등한 대체는, 상응하는 기술적 해결책의 본질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의 기술적 해결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하지 않는다.

Claims (18)

  1. 컨테이너 본체(1) 및 상기 컨테이너 본체(1)의 개구부를 덮는 컨테이너 커버(2)를 포함하는, 음료 준비 장치에 있어서:
    필터링 컵(3);
    상기 필터링 컵(3) 상에 제공된 부력 생성 수단;
    상기 필터링 컵(3)과 연결되고 상기 컨테이너 커버(2)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부재(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력 생성 수단은, 상기 필터링 컵(3)이 상기 컨테이너 본체(1) 내측에 수용된 액체 내로 침잠되는 제1 위치와 상기 필터링 컵(3)이 상기 액체의 표면 위에 위치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필터링 컵(3)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준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생성 수단이 강성 구조물의 부유 부재(6)인, 음료 준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4)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제공되고 상기 컨테이너 커버(2)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록킹 조립체(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 조립체(5)는, 제1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연결 부재(4)와 위치 제한 방식으로 협력하여 상기 제1 위치에서 유지되는 부유 부재(6)의 부력을 필터링 컵(3)이 극복하도록, 그리고 제2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연결 부재(4)와의 위치 제한 협력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부유 부재(6)의 부력의 영향 하에서, 상기 필터링 컵(3)이 상기 제2 위치에 있도록, 구성되는, 음료 준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조립체(5)는 상기 컨테이너 커버(2) 내측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는 록킹 부재(5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록킹 부재(51)는 상기 연결 부재(4)와 위치 제한 방식으로 협력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상태에서, 록킹 부재(51)는 상기 연결 부재(4)와의 위치 제한 협력으로부터 분리되는, 음료 준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51)는 중공형 슬롯(511)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 부재(4)는, 상기 컨테이너 커버(2)와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중공형 슬롯(511)을 통과하고 연결 부분(41)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중공형 슬롯(511)의 슬롯 벽은 상기 연결 부분(41)과 위치 제한 방식으로 협력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연결 부분(41)은 상기 상응하는 협력 슬롯 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위치 제한 협력을 제거하고, 그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4)는 상기 중공형 슬롯(511)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는, 음료 준비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조립체(5)는:
    제1 탄성 복귀 부재(52);
    상기 록킹 부재(51)와 연결된 제1 고정 아암(53); 및
    상기 컨테이너 커버(2) 내측에 제공된 제2 고정 아암(2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 복귀 부재(52)는 상기 제1 고정 아암(53)과 상기 제2 고정 아암(21) 사이에 제공되는, 음료 준비 장치.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커버(2)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 상기 록킹 조립체(5)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부재(7)를 더 포함하는, 음료 준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7)는:
    상기 컨테이너 커버(2) 외측에 노출된 프레싱 부분(71); 및
    상기 컨테이너 커버(2)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프레싱 부분(71)과 연결되는 구동 부분(72)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 부재(51)는, 상기 연결 부재(4)로부터 멀어 지는 쪽으로 대면되는 방식으로 제공되는 경사 면(512)을 가지며, 상기 구동 부분(72)이 상기 경사 면(512)에 대항하여 접경되는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구동 부분(72)은 상기 록킹 부재(51)를 구동하여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전환하는, 음료 준비 장치.
  9.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준비 장치의 유지 핸들(11) 내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 상기 록킹 조립체(5)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부재(7)를 더 포함하는, 음료 준비 장치.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부재(6)는 상기 필터링 컵(3)의 하단부에 제공되고 원호-형상의 구조물인, 음료 준비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생성 수단이 팽창 가능 에어백(6A)인, 음료 준비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6A)에 연결되고 상기 에어백에 공기를 충진할 수 있는 공기-충진 조립체(5A)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6A)은 상기 제1 상태에서 공기로 충진되도록, 그에 따라 상기 필터링 컵(3)이 상기 에어백(6A)의 부력의 영향 하에서 상기 제2 위치에 있도록, 그리고 상기 제2 상태에서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방출하도록, 그에 따라 상기 필터링 컵(3)이 그 자체의 중력의 영향 하에서 상기 제1 위치에 있도록 구성되는, 음료 준비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충진 조립체(5A)는:
    상기 컨테이너 커버(2) 상에 제공된 공기-충진 부재(51A);
    상기 공기-충진 부재(51A)가 이를 통과하여 상기 에어백(6A)에 연결되는, 공기 전달 파이프(52A)를 포함하는, 음료 준비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충진 부재(51A)는 상기 컨테이너 커버(2) 내측에 제공된 공기-충진 펌프인, 음료 준비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충진 부재(51A)는 상기 공기 전달 파이프(52)를 통해서 상기 에어백(6A)과 연통되는 공기-충진 풍선인, 음료 준비 장치.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6A)이 상기 필터링 컵(3)의 하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에어백(6A)은, 공기로 충진된 후에, 원호-형상의 구조물이 되는, 음료 준비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커버(2) 상에 제공되고, 상기 연결 부재(4)와 상기 컨테이너 커버(2)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8)를 더 포함하는, 음료 준비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컵(3)은:
    컵 본체(31); 및
    상기 컵 본체(31)를 덮고 상기 연결 부재(4)와 연결된 상단 커버(32)를 포함하는, 음료 준비 장치.
KR1020227007261A 2019-08-08 2020-03-20 음료 준비 장치 KR202200445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21283068.XU CN210581974U (zh) 2019-08-08 2019-08-08 泡茶容器
CN201921282288.0U CN210961501U (zh) 2019-08-08 2019-08-08 泡茶容器
CN201921282288.0 2019-08-08
CN201921283068.X 2019-08-08
PCT/CN2020/080446 WO2021022815A1 (en) 2019-08-08 2020-03-20 A drink prepar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545A true KR20220044545A (ko) 2022-04-08

Family

ID=74502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7261A KR20220044545A (ko) 2019-08-08 2020-03-20 음료 준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009838A4 (ko)
JP (1) JP7466626B2 (ko)
KR (1) KR20220044545A (ko)
WO (1) WO202102281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0169B2 (ja) 2002-10-25 2007-01-17 恵庸 豊村 ティーポット
US20050120886A1 (en) * 2003-12-03 2005-06-09 Shao-Wen Chen Infusion tea maker
CN201213651Y (zh) * 2008-03-19 2009-04-01 品胜实业股份有限公司 冲泡器的结构改良
TW201330808A (zh) * 2012-01-16 2013-08-01 Bao Jin Wen 茶水分離式沖泡裝置
WO2013119679A2 (en) 2012-02-06 2013-08-15 Phillip Martin Flavor chambers
CN103315589A (zh) * 2012-03-20 2013-09-25 王锐 网篮升降式泡茶茶壶
CN203493435U (zh) * 2013-09-27 2014-03-26 宁波西摩电器有限公司 泡制装置及其泡制物容器升降结构
CN104161452A (zh) * 2013-05-20 2014-11-26 广州市拓璞电器发展有限公司 一种饮料冲泡装置
US9795240B2 (en) 2014-04-17 2017-10-24 Desjardin, Llc Personal juice extractor system
CN104605696B (zh) * 2015-02-02 2017-06-13 王伟 一种茶壶
CN107242742B (zh) * 2016-05-24 2018-07-17 德化县丽德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节水茶壶
CN107595134A (zh) * 2017-04-12 2018-01-19 湖北香江电器股份有限公司 泡茶组件及蒸茶养生壶
CN208463662U (zh) * 2017-10-12 2019-02-05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饮料冲泡装置
CN108420259A (zh) * 2018-06-07 2018-08-21 浙江哈尔斯真空器皿股份有限公司 一种茶水浓度自调节的泡茶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43866A (ja) 2022-10-14
EP4009838A1 (en) 2022-06-15
JP7466626B2 (ja) 2024-04-12
WO2021022815A1 (en) 2021-02-11
EP4009838A4 (en) 202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73516A1 (zh) 一种具有升降装置的咖啡机及其工作方法
CN210581974U (zh) 泡茶容器
US10913038B2 (en) Bottom-to-top liquid filling system
CN103190802B (zh) 泡茶杯
KR20220044545A (ko) 음료 준비 장치
CN209219817U (zh) 磁吸式茶水分离杯
CN208590805U (zh) 一种电茶壶
KR101994943B1 (ko) 텀블러를 구비한 믹서기
RU2803215C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KR102486838B1 (ko) 액체 가열 용기
CN208524538U (zh) 电水壶
CN108720485A (zh) 一种冲泡壶
CN208822397U (zh) 一种茶篮可升降的煮茶器
CN210961501U (zh) 泡茶容器
CN210748779U (zh) 泡茶容器
CN209331657U (zh) 多功能泡茶杯
US2926595A (en) Coffee urn or the like
CN111407134A (zh) 智能保温杯
CN114269209A (zh) 隔热冷却冲泡系统
KR101833259B1 (ko) 셀프진공용기
CN211632674U (zh) 泡茶容器
JP3867407B2 (ja) 電気湯沸し器
CN211673581U (zh) 泡茶容器
CN208598049U (zh) 一种新型的便携式过滤咖啡杯
CN219147288U (zh) 一种可装一次性液体的真空保温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