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259B1 - 셀프진공용기 - Google Patents

셀프진공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259B1
KR101833259B1 KR1020160054102A KR20160054102A KR101833259B1 KR 101833259 B1 KR101833259 B1 KR 101833259B1 KR 1020160054102 A KR1020160054102 A KR 1020160054102A KR 20160054102 A KR20160054102 A KR 20160054102A KR 101833259 B1 KR101833259 B1 KR 101833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valve
suction hole
pump
cover member
pum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4332A (ko
Inventor
안중근
안병현
안세희
Original Assignee
안중근
안병현
안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중근, 안병현, 안세희 filed Critical 안중근
Priority to KR1020160054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259B1/ko
Priority to PCT/KR2017/001827 priority patent/WO2017160001A2/ko
Publication of KR20170124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3/00Pumps actuated by muscle power, e.g. for inf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7/0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 F04B37/1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 F04B37/14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to obtain high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F16K51/02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igh-vacuum install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 등을 넣고 내부를 진공시켜 장시간 보관 및 휴대가 가능한 셀프진공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내부의 진공이 해제된 상태에서도 내부의 내용물이 체크밸브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셀프진공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셀프진공용기 {SELF VACUUM BOTTLE }
본 발명은 셀프진공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음식물 등을 넣고 내부를 진공시켜 장시간 보관 및 휴대가 가능한 셀프진공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라 함은 그 내부에 음식물 등을 넣어 보관하는 것으로써, 수납용기, 반찬용기, 텀블러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최근에는 이동시 음료 등의 섭취를 위해 텀블러의 사용이 많아지고 있다.
통상, 텀블러는 굽과 손잡이가 없고 바닥이 납작한 큰 잔을 일컫는 것으로 다량의 음료를 장시간에 걸쳐 마실수 있도록 내부가 비교적 큰 용량을 갖도록 형성되고, 보온병과 함께 등산이나 야영 등 각종 스포츠 및 여가활동에 널리 이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회사 또는 단체에서 일회용 종이컵 사용을 제한하고 개인용 머그컵을 이용하자는 규칙을 세우는 등의 환경운동이 심화되고 있어 텀블러의 소비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텀블러는 보온병이나 머그컵과 달리 중량이 가볍고 용량이 크기 때문에 휴대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이중 또는 진공의 단열구조로 보온성이 우수한 것은 물론, 개폐 가능한 뚜껑으로 보관성과 청결성을 모두 겸비하고 있다.
특히, 다채로운 디자인으로 가방이나 핸드백처럼 하나의 패션 아이템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한편, 진공용기는 그 내부에 음식물을 넣고 내부를 진공시킴으로써, 음식물 등이 산화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진공용기는 휴대성이 좋이 못하고, 진공이 해제된 상태에서 진공용기가 흔들릴 경우 진공용기에 장착된 체크밸브를 통해 음식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377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2552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텀블러처럼 휴대가 용이하면서 진공이 해제된 상태에서 진공용기가 흔들릴 경우에도 체크밸브를 통해 내부의 음식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셀프진공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셀프진공용기는,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부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 개방되는 체크밸브와; 상기 커버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는 흡입공이 형성된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흡입공이 형성된 상기 하부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되어 상기 흡입공을 개폐하며, 상기 체크밸브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공은 상시 개방 상태가 되고, 중간 상태에서 상기 흡입공은 선택 개폐 상태가 되며,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공은 상시 폐쇄 상태가 되고, 상기 선택 개폐 상태에서 상기 펌프부재의 동작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흡입공을 개방시켜 상기 수용부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하부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펌프부재는 상기 체크밸브를 상기 하부부재에 대하여 승강시킨다.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펌프부재의 회전시 상기 하부부재에 대하여 승강되고, 상기 펌프부재는 상기 체크밸브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승강되어 펌핑된다.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펌프부재의 회전시 상기 체크밸브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하부부재에 대하여 승강된다.
상기 하부부재에는 상기 체크밸브의 하부가 안착되는 중공안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안착돌기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크밸브의 하부와 상기 중공안착돌기는 나사결합되되, 상기 펌프부재의 회전에 의한 상기 체크밸브의 회전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중공안착돌기를 따라 승강된다.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흡입공과 상기 펌프부재를 연통시키는 배출공이 내부에 형성된 밸브하우징과; 상기 배출공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공과 배출공을 연통시키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흡입공을 선택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선택 개폐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안착부에서 상승시 상기 배출공과 흡입공을 연통시키고, 하강시 상기 흡입공에 접하여 상기 배출공과 흡입공을 차단한다.
선택 개폐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하부부재에 대한 상기 밸브하우징의 하강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안착부의 안쪽에서 상부가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 접하고 하부가 상기 흡입공에 접하여 상하이동이 저지되면서 상기 흡입공을 상시 폐쇄하고, 선택 개폐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하부부재에 대한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승시 상기 개폐부재의 하부는 상기 흡입공과 이격되어 상시 흡입공을 상시 개방시킨다.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흡입공의 둘레를 따라 중공형상의 실린더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펌프부재는, 상기 실린더부에 삽입 배치되는 피스톤부와; 일단이 상기 피스톤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체크밸브의 상부가 삽입 배치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외부로 노출된 푸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크밸브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체크밸브의 내부는 상기 실린더부의 안쪽과 연통되고, 상기 펌프부재의 승강시 상기 로드부는 상기 걸림홈이 상기 걸림돌기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펌프부재가 상기 체크밸브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승강되며, 상기 펌프부재의 회전시 상기 걸림돌기와 걸림홈의 결합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는 회전되면서 상기 하부부재에 대하여 승강된다.
상기 흡입공의 상시 개방 및 선택 개폐 상태에서 상기 펌프부재의 상부는, 상시 폐쇄 상태에서 상기 펌프부재의 상부보다 상기 커버부재의 외부로 더 돌출되고, 상기 펌프부재가 하강하여 상기 흡입공을 상시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펌프부재를 상기 커버부재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락킹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펌프부재의 상부가 삽입 안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펌프부재의 상부 외주면에 돌출된 고정돌기와;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재에 대하여 상기 펌프부재를 하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커버부재의 상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상기 커버부재의 외부로 이탈되며, 자유상태에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펌프부재는 하강된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 나사결합 또는 억지끼움결합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셀프진공용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커버부재에 장착된 펌프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를 용이하게 진공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내부를 진공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체크밸브에 의해 상기 흡입공을 상시 폐쇄시킬 수 있어, 진공용기 전체를 잡고 흔들어도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기 체크밸브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셀프진공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셀프진공용기의 종단면구조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횡단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셀프진공용기의 커버부재와 푸시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셀프진공용기에서 펌프부재가 작동하여 흡입공이 개방된 상태의 단면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셀프진공용기에서 흡입공을 상시 폐쇄한 상태의 단면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셀프진공용기에서 커버부재를 고정시키는 과정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셀프진공용기에서 흡입공을 상시 개방한 상태의 단면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셀프진공용기의 단면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셀프진공용기에서 펌프부재의 작동과정도.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셀프진공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셀프진공용기의 종단면구조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횡단면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셀프진공용기의 커버부재와 푸시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셀프진공용기에서 펌프부재가 작동하여 흡입공이 개방된 상태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셀프진공용기에서 흡입공을 상시 폐쇄한 상태의 단면구조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셀프진공용기에서 커버부재를 고정시키는 과정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셀프진공용기에서 흡입공을 상시 개방한 상태의 단면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셀프진공용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커버부재(20)와, 체크밸브(30)와, 펌프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수용부(11)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2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11)를 개폐한다.
상기 커버부재(20)는 상기 본체(10)에 힌지결합, 나사결합 또는 억지끼움방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제1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재(20)는 하부부재(21)와 상부부재(24)로 구분된다.
상기 하부부재(21)에는 상기 수용부(11)와 연통되는 흡입공(22)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부재(24)는 상기 하부부재(21)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재(20)에는 상기 흡입공(22)의 둘레를 따라 중공형상의 실린더부(25)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부(25)의 안쪽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펌프부재(40)의 하부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부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펌프부재(40)의 상부가 안착되는 삽입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크밸브(30)는 상기 커버부재(20)에 장착되어 상기 흡입공(22)을 개폐하는 것으로써, 평상시에는 상기 흡입공(22)을 폐쇄하고 있다가 상기 수용부(1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 개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펌프부재(40)의 동작시 상기 체크밸브(30)는 상기 하부부재(21)에 형성된 상기 흡입공(22)을 개방시켜 상기 수용부(1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체크밸브(30)는 상기 흡입공(22)이 형성된 상기 하부부재(21)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게 장착되고, 상기 체크밸브(3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시 개방 상태(open), 선택 개폐 상태(vacuum), 상시 폐쇄 상태(closed)로 변하게 된다.
즉, 상기 체크밸브(30)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공(22)은 상시 개방된 상태가 되고, 중간 상태에서 상기 흡입공(22)은 선택 개폐된 상태가 되며,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공(22)은 상시 폐쇄된 상태가 된다.
상시 개방이라 함은 상기 흡입공(22)이 항상 개방된 것을 의미하고, 선택 개폐라 함은 외력 즉 상기 펌프부재(40)에 의한 상기 체크밸브(30)의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흡입공(22)을 개방 또는 폐쇄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시 폐쇄라 함은 상기 흡입공(22)이 항상 폐쇄된 것을 의미한다.
본 제1실시예에서 상기 체크밸브(30)는 상기 하부부재(21)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본 제1실시예와 달리 상기 체크밸브(30)는 상기 하부부재(21)에 단순히 안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상기 체크밸브(30)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펌프부재(40)는 상기 커버부재(20)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부(1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힘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펌프부재(40)는 전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본 제1실시예와 같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체크밸브(30)는 상기 하부부재(21)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별도의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체크밸브(30)를 승강시킬 수도 있다.
본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펌프부재(40)가 상기 체크밸브(30)를 상기 하부부재(21)에 대하여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체크밸브(30)는 상기 펌프부재(40)의 회전시 상기 하부부재(21)에 대하여 승강된다.
이때, 상기 체크밸브(30)는 상기 펌프부재(40)의 회전시 상기 체크밸브(30)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하부부재(21)에 대하여 승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펌프부재(40)는 상기 체크밸브(3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승강되어 펌핑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부재(21)에는 상기 체크밸브(30)의 하부가 안착되는 중공안착돌기(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공안착돌기(23)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공(22)이 형성되며, 상기 체크밸브(30)의 하부와 상기 중공안착돌기(23)는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부재(40)의 회전에 의한 상기 체크밸브(30)의 회전시 상기 체크밸브(30)는 나사 결합된 상기 중공안착돌기(23)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게 된다.
상기 펌프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가 회전하면서 승강될 수 있는 구조라면 본 실시예와 같은 나사결합 이외에, 종래의 공지된 스파이럴구조, 레일홈구조, 캠구조 등 다양한 구조로 가능하다.
본 제1실시예에서 상기 체크밸브(30)는 상기 실린더부(25)의 내부에 배치되고, 밸브하우징(31)과, 안착부(33)와, 개폐부재(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하우징(31)은 상기 흡입공(22)과 상기 펌프부재(40)를 연통시키는 배출공(32)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하우징(31)의 하부는 상기 중공안착돌기(23)에 안착되어 상기 밸브하우징(31)의 하부와 상기 중공안착돌기(23)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배출공(32)의 하부에는 상기 흡입공(22)과 배출공(32)을 연통시키는 안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부재(34)는 상기 안착부(33)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흡입공(22)을 선택 개폐한다.
본 제1실시예에서 상기 개폐부재(34)는 볼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안착부(33)는 상기 볼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34)는 상기 안착부(33)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개폐부재(34)와 상기 안착부(33)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기가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34)는 금속볼 또는 세라믹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선택 개폐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재(34)는 상기 안착부(33)에서 상승시 상기 배출공(32)과 흡입공(22)을 연통시키고, 하강시 상기 흡입공(22)에 접하여 상기 배출공(32)과 흡입공(22)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34)의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흡입공(22)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선택 개폐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하부부재(21)에 대한 상기 밸브하우징(31)의 하강시 상기 개폐부재(34)는 상기 안착부(33)의 안쪽에서 상부가 상기 안착부(33)의 상부에 접하고 하부가 상기 흡입공(22)에 접하여 상하이동이 저지되면서 상기 흡입공(22)을 상시 폐쇄한다.
선택 개폐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하부부재(21)에 대한 상기 밸브하우징(31)의 상승시에는 상기 개폐부재(34)의 하부가 상기 흡입공(22)과 이격되어 상시 흡입공(22)을 상시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펌프부재(40)는 피스톤부(41)와, 로드부(43)와, 푸시부(44)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피스톤부(41)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부(25)의 내부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피스톤부(41)의 외주면에는 공기의 유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밀폐링(42)이 장착되어 있고, 이러한 상기 피스톤부(41)의 구체적인 구조는 종래의 공지된 펌프구조를 이용하면 충분하다.
상기 로드부(43)는 일단이 상기 피스톤부(41)에 결합되고, 내부가 상기 피스톤부(41)의 하부에서 상기 실린더부(25)의 내부와 연통되고, 내부에 상기 체크밸브(30)의 상부 즉 상기 밸브하우징(31)의 상부가 삽입 배치된다.
이때 상기 로드부(43)의 상부에는 내부의 진공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진공표시구가 장착될 수 있고, 이러한 진공표시구는 종래의 공지된 부품을 이용하여 충분하다.
상기 푸시부(44)는 상기 로드부(43)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재(20)의 외부로 노출된다.
본 제1실시예에서 상기 푸시부(44)의 하부에는 상기 삽입홈(26) 내에 스프링(47)이 장착되어 상기 푸시부(44)를 외력으로 누르면서 펌핑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상기 스프링(47)없이 사용자가 상기 푸시부(44)를 잡고 상하방향으로 핌핑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푸시부(44)의 상부에는 고리형상의 손잡이부(49)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49)를 잡고 펌핑할 수 있고 상기 펌프부재(40)를 회전시킬 수도 있으며, 끈 등을 결합하여 목 또는 어깨 등에 걸 수도 있다.
상기 체크밸브(30)가 상기 펌프부재(4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되고, 상기 펌프부재(40)가 상기 체크밸브(3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승강되어 펌핑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체크밸브(30)의 상부 외주면 즉 상기 로드부(43)의 안쪽에 삽입되는 상기 밸브하우징(31)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걸림돌기(3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드부(43)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36)가 삽입되는 걸림홈(46)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펌프부재(40)의 승강시 상기 로드부(43)는 상기 걸림홈(46)이 상기 걸림돌기(36)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펌프부재(40)가 상기 체크밸브(3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승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36)와 걸림홈(46)의 결합에 의해 상기 펌프부재(40)의 회전시 상기 체크밸브(30)는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체크밸브(30)는 회전하면서 상기 하부부재(21)에 대하여 승강되게 된다.
한편, 상기 펌프부재(40)는 상기 흡입공(22)의 상시 개방 및 선택 개폐 상태에서 상기 펌프부재(40)의 상부가 상기 커버부재(20)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시 폐쇄 상태에서 하강되어 배치된다.
즉, 상기 흡입공(22)의 상시 개방 및 선택 개폐 상태에서 상기 펌프부재(40)의 상부는, 상시 폐쇄 상태에서 상기 펌프부재(40)의 상부보다 상기 커버부재(20)의 외부로 더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부재(40)가 하강하여 상기 흡입공(22)을 상시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펌프부재(40)를 상기 커버부재(20)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락킹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락킹부(50)는 상기 펌프부재(40)의 상부 외주면 즉 상기 푸시부(44)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51)와, 상기 삽입홈(26)의 내주면에는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51)가 삽입되는 고정홈(5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홈(52)은, 승강홈(52a)과, 개방홈(52b), 폐쇄홈(52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홈(52a)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푸시부(44)의 상하 이동시 상기 고정돌기(51)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이다.
상시 개방홈(52b)은 상기 푸시부(44)가 회전하여 상기 체크밸브(30)가 상기 흡입공(22)을 상시 개방하였을 때 상기 고정돌기(51)가 삽입 배치되기 위한 곳으로써, 상기 승강홈(52a)의 상부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시 폐쇄홈(52c)은 상기 푸시부(44)가 회전하여 상기 체크밸브(30)가 상기 흡입공(22)을 상시 폐쇄하였을 때 상기 고정돌기(51)가 삽입 배치되기 위한 곳으로써, 상기 승강홈(52a)의 하부에서 타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돌기(51) 및 고정홈(52)에 의해 상기 푸시부(44)를 누른 상태에서 회전시켜 상기 고정돌기(51)가 상시 폐쇄홈(52c)에 삽입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푸시부(44)가 임의로 상기 커버부재(20)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푸시부(44)가 상기 커버부재(20)의 상부로 노출되었을 때에는 사용자에게 상기 흡입공(22)이 상시 폐쇄되지 않은 상태라는 것을 보여줄 수 있고, 상기 푸시부(44)가 하강하여 상기 커버부재(20)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았을 때에는 사용자에게 상기 흡입공(22)이 상시 폐쇄된 상태를 것을 용이하게 보여줄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흡입공(22)의 개폐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상기 흡입공(22)을 상시 폐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하우징(31)과 상기 하부부재(21) 사이 또는 상기 푸시부(44)와 상기 상부부재(24) 사이에는 상기 푸시부(44) 및 밸브하우징(31)의 회전시 일정각도 내에서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스토퍼가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푸시부(44)를 각 상태 즉 상시 폐쇄(closed), 선택 개폐(vacuum), 상시 개방(open) 상태로 회전시킬 때, 상기 푸시부(44)가 임시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각 상태에 도달되었음을 느끼게 할 수 있는 공지된 스냅수단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수용부(11)에 음식물 등을 넣고, 상기 커버부재(20)를 상기 본체(10)에 결합한다.
상기 수용부(11)를 진공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시부(44)를 회전시켜 상기 푸시부(44)에 표시된 화살표가 진공(vacuum)표시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고정돌기(51)는 상기 승강홈(52a)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프부재(4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펌핑을 하게 되면, 상기 개폐부재(34)는 상기 안착부(33) 내에서 상승 및 하강을 하고, 그러면서 상기 수용부(11) 내부의 공기는 상기 흡입공(22), 체크밸브(30) 및 펌프부재(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진공표시부(45)를 통해 진공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시부(44)를 누린 후 회전시켜 상기 푸시부(44)에 표시된 화살표가 상시 폐쇄(closed)표시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고정돌기(51)는 상기 승강홈(52a)에서 하강하여 상시 폐쇄홈(52c)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이로 인해 상기 고정돌기(51)가 형성된 상기 푸시부(44)는 더 이상 상승할 수 없게 된다.
상기 푸시부(44)를 누른 후 회전시키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36)와 걸림홈(46)의 결합관계에 의해 상기 밸브하우징(31)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밸브하우징(31)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밸브하우징(31)이 상기 중공안착돌기(23)와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밸브하우징(31)은 하강하게 된다.
이로 인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34)는 상부가 상기 안착부(33)의 상부에 접하고 하부가 상기 흡입공(22)에 접하여 상하이동이 저지되면서 상기 흡입공(22)을 가압하면서 상시 폐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진공용기 전체를 잡고 흔들어도 상기 개폐부재(34)가 고정되어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상기 수용부(11)에 수용된 음식물 등이 상기 흡입공(22)을 통해 펌프부재(40)로 유입되거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20)를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수용부(11)의 진공을 해제한다.
진공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시부(44)를 회전시켜 상기 푸시부(44)에 표시된 화살표가 선택 개폐(vacuum)표시부를 지나 상시 개방(open)표시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고정돌기(51)는 상기 승강홈(52a)에서 상승하여 상시 개방홈(52b)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표시부를 상시 개방 상태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36)와 걸림홈(46)의 결합관계에 의해 상기 밸브하우징(31)도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밸브하우징(31)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밸브하우징(31)이 상기 중공안착돌기(23)와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밸브하우징(31)은 상승하게 된다.
이로 인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34)의 하부가 상기 흡입공(22)과 이격되게 되면서 상기 흡입공(22)은 상시 개방된 상태가 된다.
그러면, 외부의 공기가 상기 펌프부재(40) 및 체크밸브(30)를 거쳐 상기 흡입공(22)을 통해 상기 수용부(11)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수용부(11) 내부의 진공이 해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커버부재(20)를 상기 본체(10)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내부를 진공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푸시부(44)를 상시 폐쇄(closed)로 회전시켜, 상기 수용부(11)의 수용된 음식물이 상기 흡입공(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재(20)에 장착된 펌프부재(40)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를 용이하게 진공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11)의 내부를 진공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체크밸브(30)에 의해 상기 흡입공(22)을 상시 폐쇄시킬 수 있어, 진공용기 전체를 잡고 흔들어도 상기 수용부(11)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기 체크밸브(3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셀프진공용기는, 텀블러뿐만 아니라, 보관용기, 수납용기, 물병, 음료용기, 반찬통 등 음식물 등을 넣어 보관하는 다양한 용기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셀프진공용기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셀프진공용기에서 펌프부재의 작동과정도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스프링(47)의 위치, 락킹부(50)의 구조에 차이가 있는 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 상기 펌프부재(40)는 사용자가 잡아당길 때 힘이 필요하고, 놓으면 스프링(47)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하강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프링(47)은 상기 상부부재(24)와 상기 피스톤부(4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부(41)를 하방향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상기 펌프부재(40)는 자유상태에서 상기 스프링(4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20)에 대하여 항상 아랫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20)의 삽입홈(26)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52)은 상기 커버부재(20)의 상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시부(44)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51)는 상기 고정홈(5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커버부재(20)로부터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하우징(31)의 하부가 상기 중공안착돌기(23)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모두 감싸도록 되어 있고, 상기 중공안착돌기(23)의 외측면에서 나사결합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조의 제2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된다.
도 9 및 도 10(a)에 도시된 상태는 상기 흡입공(22)이 폐쇄된 상시 폐쇄 상태로써, 이때 상기 고정돌기(51)는 고정홈(52)에 삽입되어 있다.
이때에는 상기 스프링(4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51)는 상기 고정홈(5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진공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시부(44)를 상기 커버부재(20)에 대하여 상승시킨 후,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고정돌기(51)는 상기 고정홈(52)에서 이탈되어 상기 커버부재(20)의 상면에 접하여 지지된다.
이때 상기 펌프부재(40)에는 상기 스프링(47)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려는 힘이 작용하지만, 상기 고정돌기(51)가 상기 커버부재(20)의 상면에 걸려 있기 때문에 상기 푸시부(44)는 상기 커버부재(20)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부(4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30)도 회전하여 선택 개폐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시부(44)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수용부(11)의 내부를 진공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진공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푸시부(44)를 더 회전시켜 상기 흡입공(22)이 상시 개방 상태가 되도록 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선택 개폐 상태 및 상시 개방 상태에서 상기 푸시부(44)의 상부가 상기 커버부재(2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시 폐쇄 상태와 쉽게 구분하여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고정돌기(51)를 상기 고정홈(52)으로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흡입공(22)을 상시 폐쇄시킬 수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셀프진공용기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제1실시할 수 있다.
10 : 본체, 11 : 수용부,
20 : 커버부재, 21 : 하부부재, 22 : 흡입공, 23 : 중공안착돌기, 24 : 상부부재, 25 : 실린더부, 26 : 삽입홈,
30 : 체크밸브, 31 : 밸브하우징, 32 : 배출공, 33 : 안착부, 34 : 개폐부재, 36 : 걸림돌기,
40 : 펌프부재, 41 : 피스톤부, 42 : 밀폐링, 43 : 로드부, 44 : 푸시부, 45 : 진공표시부, 46 : 걸림홈, 47 : 스프링, 49 : 손잡이부,
50 : 락킹부, 51 : 고정돌기, 52 : 고정홈, 52a : 승강홈, 52b : 개방홈, 52c : 폐쇄홈.

Claims (12)

  1.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부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 개방되는 체크밸브와;
    상기 커버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는 흡입공이 형성된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흡입공이 형성된 상기 하부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되어 상기 흡입공을 개폐하며,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펌프부재의 회전시 상기 하부부재에 대하여 승강되고,
    상기 펌프부재는 상기 체크밸브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승강되어 펌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진공용기.
  2. 삭제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공은 상시 개방 상태가 되고, 중간 상태에서 상기 흡입공은 선택 개폐 상태가 되며,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공은 상시 폐쇄 상태가 되고,
    상기 선택 개폐 상태에서 상기 펌프부재의 동작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흡입공을 개방시켜 상기 수용부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진공용기.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펌프부재의 회전시 상기 체크밸브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하부부재에 대하여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진공용기.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에는 상기 체크밸브의 하부가 안착되는 중공안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안착돌기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크밸브의 하부와 상기 중공안착돌기는 나사결합되되,
    상기 펌프부재의 회전에 의한 상기 체크밸브의 회전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중공안착돌기를 따라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진공용기.
  6.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흡입공과 상기 펌프부재를 연통시키는 배출공이 내부에 형성된 밸브하우징과;
    상기 배출공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공과 배출공을 연통시키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흡입공을 선택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선택 개폐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안착부에서 상승시 상기 배출공과 흡입공을 연통시키고, 하강시 상기 흡입공에 접하여 상기 배출공과 흡입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진공용기.
  7. 청구항6에 있어서,
    선택 개폐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하부부재에 대한 상기 밸브하우징의 하강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안착부의 안쪽에서 상부가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 접하고 하부가 상기 흡입공에 접하여 상하이동이 저지되면서 상기 흡입공을 상시 폐쇄하고,
    선택 개폐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하부부재에 대한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승시 상기 개폐부재의 하부는 상기 흡입공과 이격되어 상시 흡입공을 상시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진공용기.
  8.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흡입공의 둘레를 따라 중공형상의 실린더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펌프부재는,
    상기 실린더부에 삽입 배치되는 피스톤부와;
    일단이 상기 피스톤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체크밸브의 상부가 삽입 배치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외부로 노출된 푸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크밸브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체크밸브의 내부는 상기 실린더부의 안쪽과 연통되고,
    상기 펌프부재의 승강시 상기 로드부는 상기 걸림홈이 상기 걸림돌기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펌프부재가 상기 체크밸브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승강되며,
    상기 펌프부재의 회전시 상기 걸림돌기와 걸림홈의 결합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는 회전되면서 상기 하부부재에 대하여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진공용기.
  9.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흡입공의 상시 개방 및 선택 개폐 상태에서 상기 펌프부재의 상부는, 상시 폐쇄 상태에서 상기 펌프부재의 상부보다 상기 커버부재의 외부로 더 돌출되고,
    상기 펌프부재가 하강하여 상기 흡입공을 상시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펌프부재를 상기 커버부재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락킹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진공용기.
  10. 청구항9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펌프부재의 상부가 삽입 안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펌프부재의 상부 외주면에 돌출된 고정돌기와;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진공용기.
  11. 청구항10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에 대하여 상기 펌프부재를 하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커버부재의 상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상기 커버부재의 외부로 이탈되며,
    자유상태에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펌프부재는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진공용기.
  1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 나사결합 또는 억지끼움결합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진공용기.
KR1020160054102A 2016-03-17 2016-05-02 셀프진공용기 KR101833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102A KR101833259B1 (ko) 2016-05-02 2016-05-02 셀프진공용기
PCT/KR2017/001827 WO2017160001A2 (ko) 2016-03-17 2017-02-20 셀프 진공 텀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102A KR101833259B1 (ko) 2016-05-02 2016-05-02 셀프진공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332A KR20170124332A (ko) 2017-11-10
KR101833259B1 true KR101833259B1 (ko) 2018-03-02

Family

ID=6038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102A KR101833259B1 (ko) 2016-03-17 2016-05-02 셀프진공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2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783B1 (ko) * 2021-03-03 2021-09-09 곽은 유지보수가 용이한 프린터용 잉크공급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177Y1 (ko) * 2008-06-04 2009-07-07 풍강산업 주식회사 용기 마개용 진공 펌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177Y1 (ko) * 2008-06-04 2009-07-07 풍강산업 주식회사 용기 마개용 진공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332A (ko) 201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9102B2 (en) Fluid insulation assembly
US6702138B1 (en) Insulated beverage container and lid assembly
CN107640444B (zh) 真空杯
US11428562B2 (en) Beverage container lid with reservoir and repetitive measuring and disbursement mechanism
KR101833259B1 (ko) 셀프진공용기
KR101994943B1 (ko) 텀블러를 구비한 믹서기
US9868626B2 (en) Beverage dispenser
KR101833260B1 (ko) 진공텀블러 및 이를 구비한 믹서기
KR101863201B1 (ko) 진공 텀블러
KR20190072281A (ko) 진공텀블러 및 이를 구비한 믹서기
JP2020511204A (ja) 飲料を混合して飲むための容器
KR20190002991A (ko) 분리형 진공 텀블러
KR100455105B1 (ko) 진공화 장치 및 그를 위한 진공상태해제 겸용진공상태표시기구
KR101844784B1 (ko) 진공텀블러
JP4683139B2 (ja) 電動式エアーポット
KR101819115B1 (ko) 진공 기능을 갖는 텀블러
CN109843736B (zh) 盖子自动开闭式容器
JP5099606B2 (ja) 電動加圧注出式液体容器
CN209863176U (zh) 具有干燥储物空间的水杯
CN214317696U (zh) 一种侧按钮杯盖及侧按钮杯
CN219020842U (zh) 一种冷萃杯
US20190270549A1 (en) Container Having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Lid
KR200255232Y1 (ko) 진공보존용기의 공기유출입밸브
CN219147288U (zh) 一种可装一次性液体的真空保温杯
KR200245853Y1 (ko) 진공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