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4525A -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525A
KR20220044525A KR1020227006744A KR20227006744A KR20220044525A KR 20220044525 A KR20220044525 A KR 20220044525A KR 1020227006744 A KR1020227006744 A KR 1020227006744A KR 20227006744 A KR20227006744 A KR 20227006744A KR 20220044525 A KR20220044525 A KR 20220044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art
base body
treatment device
drive uni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6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푄프실링
마르코 베파
위르그 토만
Original Assignee
유-사나 메디칼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사나 메디칼 아게 filed Critical 유-사나 메디칼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044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66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85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85Hand
    • A61H1/0288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66Foot
    • A61H2001/027To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81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 A61H2201/149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rotation-linear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6Pivo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35Several programs selec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5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환자의 신체 부위, 특히 엄지발가락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 장치(1)는: 신체 부위에 인접한 환자의 신체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표면(21L, 21R)을 갖는 베이스 몸체(2); 신체 부위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 면(321)을 갖는 무빙 부분(3); 및 베이스 몸체(2)에 대해 무빙 부분(3)을 앞뒤로 피벗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5)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유닛(5)은 무빙 부분(3)에 고정되고 그리고 무빙 부분(3)과 함께 베이스 몸체(2)에 대해 앞뒤로 피벗 동작할 수 있게 구성된다.

Description

치료 장치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 제1항의 전문에 따른 치료 장치(therapy device)에 관한 것이다. 신체 부위(body part)를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이러한 치료 장치는, 치료될 신체 부위에 인접한 환자의 신체 일부분(a portion of a body)을 수용하기 위한 표면을 갖는 베이스 몸체, 신체 부위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 면을 가진 무빙 부분(moving segment), 및 베이스 몸체에 대해 앞뒤로 움직이는 무빙 부분을 피벗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신체 부위는 특히 환자의 엄지발가락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이유로 신체 부위를 치료하거나 훈련하기 위해서, 신체 부위를 자동화된 방식으로 가동(mobilisation)할 수 있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종류의 가동은 관절로 연결된 신체 부위에 대한 수술 후 치료 또는 골관절염 치료와 같은 다른 치료법(therapeutic treatment)에서 중요할 수 있다. 이러한 치료에서는 관련된 관절을 가능한 한 큰 각도나 적절한 각도로 움직여서 해당 신체 부위에 대해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엄지발가락의 치료에서는 엄지발가락(hallux)을 발 또는 발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움직이거나 회동시키는 치료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치료 장치의 목적은 자동화되고 원만한 방식으로 잘 제어된 범위와 잘 제어된 속도로 엄지발가락 또는 신체 부위를 가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가동의 성격과 정도는 일반적으로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조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US 2018/0243154 A1은 일 피스 베이스 평면, 치료될 신체 부위에 대한 지지 면을 갖는 무빙 부분, 및 베이스 평면에 대해 무빙 부분을 앞뒤로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갖는 치료 장치를 개시했다. 베이스 평면은 구동 유닛을 수용한다. 또한 좌측면과 우측면을 구비하여, 치료 장치가 좌측 및 우측 신체 부위를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좌측 사용 및 우측 사용 사이의 사용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무빙 부분이 베이스 평면에서 분리되고, 베이스 평면이 뒤집어지고, 무빙 부분이 반대방향으로 베이스 평면에 다시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치료 장치는 신체의 좌측뿐만 아니라 우측에도 사용할 수 있어서 높은 효율을 제공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좌측 면과 함께 우측 면을 갖는 베이스 평면을 설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공정이 될 수 있다. 또한 무빙 부분을 결합 및 분리하는 것은 비교적 간단한 구동 유닛의 사용을 저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치료 장치가 무빙 부분의 비대칭적 앞뒤 피벗 동작을 적용해야 하는 경우, 좌측과 우측의 사용을 변경할 때 구동부를 재구성해야 한다. 또한, 무빙 부분을 2개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구동부에 결합하려면, 일반적으로 비교적 복잡한 역학을 포함하는 비교적 정교한 구동부에 대한 설계가 필요하다. 또한, 베이스 평면에는 구동부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크기 조정이나, 위생상의 목적 등으로 효율적으로 교환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에 의해 신체 부위를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유연한 방식으로 치료할 수 있게 하는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필요는 독립 청구항 제1항의 특징적인 기술 구성으로 정의된 바와 같은 치료 장치에 의해 해결되었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의 주제로 기재되었다.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 부위, 특히 엄지발가락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료 장치는 신체 부위에 인접한 환자의 신체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표면을 갖는 베이스 몸체, 신체 부위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 면을 갖는 무빙 부분, 및 베이스 몸체에 대해 무빙 부분을 앞뒤로 피벗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무빙 부분에 고정되는 구동 유닛은, 무빙 부분과 함께 베이스 몸체를 기준으로 앞뒤로 피벗 동작을 할 수 있다.
치료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이동(mobile) 치료 장치이다. 치료 장치가 이동성이 있기 때문에 특별히 편리한 작동 및 취급을 할 수 있다. 또한, 치료 장치의 전달 또는 공급이 비교적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신체 부위(body part)" 용어는 좁은 의미의 신체 부분 또는 신체 일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지칭할 수 있는 종류의 신체 부위는 예를 들어 발가락, 손가락, 손, 팔 또는 하나 이상의 지골과 같은 그 일부일 수 있다. 이 용어는 특히 치료 장치에 의해 전체적으로 이동되고, 그에 의해 치료가 되는 신체 일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신체 부위" 용어는 특별히 엄지발가락(big toe) 또는 족무지(hallux)와 관련될 수 있다.
또한, 신체 부위는 손발(extremity) 또는 팔다리(limb)의 일부일 수 있다. 이 경우, 손발은 근육에 의해 움직이는 신체 부속기로 이해되며, 일반적으로 팔과 다리와 같이 쌍으로 되어 있다. 손발은 복수의 신체 일부분 및/또는 신체 부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신체 부위(body part)에 인접한 신체 일부분(portion of the body)"의 용어는 특히 치료될 신체 부위를 포함하거나 그에 인접하여 있는 신체 일부분 또는 섹션을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은 말단부에 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체 부위가 발가락인 경우에 신체 일부분은 발이 될 수 있다. 신체 부위가 손인 경우는 신체 일부분은 팔뚝이 될 수도 있다. 또는, 신체 부위가 손가락인 경우, 신체 일부분은 손이 될 수 있다.
베이스 몸체의 표면 및 무빙 부분의 지지 면과 관련하여 기술한 "수용하는"의 용어는 신체 일부분 또는 신체 부위를 각각 수용하거나 위치 설정하는 것과 관련한 표현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엄지발가락을 신체 부위로서 수용하는 것은, 엄지발가락이 엄지발가락의 하부측과 접촉하도록 무빙 부분의 지지 면에 엄지발가락을 위치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무빙 부분의 피벗 동작과 관련하여, "앞뒤로"의 용어는 2개의 반대 방향으로, 즉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이거나 젖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용어는 구체적으로 피벗식으로 상하로 움직이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무빙 부분은 기본적으로 수평인 위치에서 시작하여 교대로 상방으로 기울어지고(뒤로) 하방으로 기울어지는(앞으로) 피벗 동작으로 움직일 수 있다.
치료 장치의 베이스 몸체는 평판형 형성체일 수 있다. 특히, 신체 부위가 엄지발가락 또는 다른 발가락인 경우, 베이스 몸체는 밑창과 같은 평판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 몸체에는, 신체의 좌측 부분 또는 신체의 우측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단일 표면, 또는 신체의 좌측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표면과 신체의 우측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표면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몸체가 밑창 형태인 경우, 왼발 또는 오른발을 수용하기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도록 뒤집혀 질 수 있다.
구동 유닛 및 무빙 부분과 관련한 "고정된"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품 또는 단일 부품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것과 관련된 표현이다. 특히, 함께 고정된 경우, 구동 유닛과 무빙 부분은 베이스 몸체에 대해 무빙 부분을 피벗 동작시킬 때 함께 동작하게 된다. 이에 의해, 구동 유닛은 무빙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구동 유닛은 무빙 부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축되거나 통합된다.
무빙 부분에 고정된 구동 유닛과 관련하여, "하나의 부품" 또는 "단일 부품"이라는 용어는 단일 파트의 구조물 또는 복합 상호연결된 파트의 구조물을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어는 또한 다수 파트가 예를 들어 접착제, 리벳, 형상 맞춤 요소 및/또는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방식으로 상호 연결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는 용어이다. 따라서, 무빙 부분에 고정된 구동 유닛은 특히 전체적으로 취급되는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구동 유닛을 무빙 부분에 고정함으로써, 이 2개 구성 요소가 단일 유닛을 형성하여 공통으로 취급되거나 동작할 수 있다. 이것은 베이스 몸체에 통합할 구동체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제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베이스 몸체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다른 베이스 몸체 또는 새로운 베이스 몸체로 경제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유닛을 무빙 부분에 포함함으로써, 치료 장치의 좌측 또는 우측 구성에 따라 다른 동작을 유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동 유닛의 구조를 비교적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단일 유닛은 좌측 및 우측 용도 또는 사용을 호환하여 할 수 있다. 또한, 물류 관점에서 이러한 단일 유닛은 부품 수가 적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능한 모든 구성으로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데 2개 만의 부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료 장치는 효과적이고 취급하기 용이한 유연한 방식으로 구동하여 신체 부위를 치료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치료 장치는 무빙 부분을 베이스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된 장착 구조를 더 포함한다. 이 문맥에서 사용되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무빙 부분을 베이스 몸체에 장착 또는 결합하는 것과 관련된 표현이다. 특히, 연결 시에, 무빙 부분은 베이스 몸체에 대해 피벗될 수 있는 방식으로 베이스 몸체에서 유지된다. 무빙 부분도 또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베이스 몸체에서 제거될 수 있다. 특히, 장착 구조는 베이스 몸체로/로부터 무빙 부분의 반복적인 연결 및 제거를 할 수 있게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장착 구조는 구동 유닛과 함께 무빙 부분을 베이스 몸체에서 편리하게 분리하고 그리고 동일한 또는 다른 베이스 몸체에 그것을 재장착할 수 있게 이루어졌다.
이로써, 베이스 몸체는 바람직하게는 장착 구조의 축 소켓을 포함하고, 무빙 부분은 축 소켓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장착 구조의 회전 축 요소를 포함한다. 특히, 장착 및 분리를 하기위해, 회전축 요소를 축 소켓에 꽂거나 빼낼 수 있다. 회전축 요소는 막대 또는 스틱으로 구현되거나, 회전 대칭 또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축 요소 및 축 소켓에는 래치, 결합 또는 스냅인 구조(snap-in structure)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회전축 요소는 축 소켓에 스냅인(snap-in) 될 수 있다. 구동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회전축 요소를 중심으로 무빙 부분을 앞뒤로 피벗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축 요소와 축 소켓은 무빙 부분을 베이스 몸체에 편리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게 이루어졌다. 또한, 구동 유닛은 무빙 부분을 효과적으로 피벗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유닛 및 무빙 부분은 제1 파트로서 구현되고, 베이스 몸체는 제2 파트로서 구현된다. 이러한 2개 파트의 구조는 치료 장치에 대한 특히 효과적인 취급 및 작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치료 장치는 구동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하고, 에너지 저장 장치는 베이스 몸체에 통합되어 있다. 에너지 저장 장치는 특히 배터리 또는 배터리 팩일 수 있다. 이러한 통합된 에너지 저장 장치는 치료 장치를 이동(mobile) 장치로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치료 장치의 사용 및 작동에 있어 높은 유연성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유닛은 서보모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서보모터는 비교적 낮은 유지 보수를 요구하는 견고한 방식으로 구동 장치를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신체 부위에 인접한 환자의 신체 일부분이 베이스 몸체의 표면에 수용될 때, 신체 부위에 인접한 환자의 신체 일부분이 베이스 몸체에 고정되게 구성된 고정 구조(fastening structure)를 베이스 몸체가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 구조는 신체 일부분을 적절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정확한 치료 동작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구조는 바람직하게 발뒤꿈치 밴드(heel band) 및 발등 밴드(instep band)를 갖는다. 유리하게, 밴드 둘 다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밴드"의 용어는 좁은 의미의 밴드 뿐만 아니라 로프, 코드, 인대, 스트랩, 브레이스 또는 유사한 요소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밴드는 신체 일부분으로서 발의 안전하고 편리한 고정 위치의 설정을 할 수 있게 한다.
이에 의해, 발등 밴드는 바람직하게 베이스 몸체의 2개의 측면 상의 2개의 연결 지점에서 연결되고, 베이스 몸체의 표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2개의 연결 지점 사이의 거리는 조정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환자의 특정 요구에 따라 베이스 몸체를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신체 일부분이 지지 면에 수용될 때, 무빙 부분은 신체 부위를 무빙 부분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추가 고정 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무빙 부분과 함께 신체 부위에 대한 적절한 동작을 이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빙 부분 및 구동 유닛은 무빙 부분을 수평면에서 최대 약 50°까지 하향 피벗하고 그리고 최대 약 30°까지 무빙 부분을 상향 피벗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동작 범위는 특히 효율적으로 발가락이나 엄지발가락을 치료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치료 장치는, 무빙 부분에 결합되고 무빙 부분의 동작 범위 및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한다. 이로써, 컨트롤러는 바람직하게 복수의 미리 정의된 치료 프로그램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치료 프로그램은 무빙 부분의 동작 범위 및 속도의 특정 조합을 갖는다. 컨트롤러는 바람직하게 무빙 부분에 자기적으로(magnetically)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무빙 부분은 틸팅 요소(tilting element) 및 글라이딩 요소(gliding element)를 포함하고, 여기서: 구동 유닛은 틸팅 요소에 고정되고; 틸팅 요소는 구동 유닛에 의해 베이스 몸체에 대해 앞뒤로 피벗 가능하게 베이스 몸체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으며; 글라이딩 요소는 지지 면을 포함하고; 글라이딩 요소는 틸팅 요소에 동작 가능하게 장착된다. 특히, 글라이딩 요소는, 베이스 몸체에 대한 무빙 부분의 앞뒤방향 이동 회전 축에 대해 기본적으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틸팅 요소에 대해 변위될 수 있도록, 틸팅 요소로 이동될 수 있다. 틸팅 요소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기 위해, 글라이딩 요소가 틸팅 요소 또는 글라이딩 요소에서 구현되는 레일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롤, 볼 등을 통해 장착될 수도 있다.
글라이딩 요소에 의해, 무빙 부분의 회전 축이 치료될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축과 오프셋될 수 있다. 특히, 오프셋으로 인해 신체 부위가 틸팅 요소에 대해 시프트(shift)될 수 있다. 이처럼 신체 부위를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어서, 치료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 장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해 그리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료 장치에 대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치료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치료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치료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치료 장치의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무빙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E-E선을 따라 절취된 도면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특정 용어는 편의상 사용되었으며,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는 것이다. "좌", "우", "상", "하", "위" 및 "아래" 의 용어는 도면에서의 방향을 나타낸다. 용어는 명시적으로 언급된 용어와 그 파생어 및 유사한 의미의 용어로 구성된다. 또한, "밑", "아래", "하향", "위", "상향", "근위", "원위" 등과 같은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이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른 요소 또는 기능에 대한 한 요소 또는 기능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위치 및 방향에 추가하여 사용 또는 작동 중인 장치의 다른 위치 및 방향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표현이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장치가 뒤집혀진 경우, 다른 요소 또는 기능 "아래" 또는 "밑" 으로 설명된 요소는 다른 요소 또는 기능 "위에" 또는 "위"가 된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 "아래"는 위와 아래의 위치 및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다르게 배향될 수 있으며(90도 회전 또는 다른 배향으로), 본원에서 사용된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기술은 그에 따라서 해석한다. 마찬가지로, 다양한 축을 따라 그리고 축 주위로 이동 동작하는 데 대한 설명은 다양한 특별 장치의 위치 및 방향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 및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 및 설명에서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많은 기능이 많은 양태 및 실시예에서 공통적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설명 또는 도면에서 양태의 생략은 그 양태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그 양태가 제외된 것으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신, 명확성을 위해 그리고 서문 설명을 피하기 위해 해당 측면이 생략되었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의 설명이 본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 적용된다: 도면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설명에 직접 관련된 부분에서 설명되지 않은 참조 부호가 도면에 포함된 경우, 이전 또는 이후의 설명 부분을 참조한다. 또한,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도면에서 부품의 모든 기능 부분에 참조 부호가 제공되지 않은 경우, 동일한 부품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을 참조한다. 2개 이상의 도면에서 같은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환자의 엄지발가락을 치료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료 장치(1)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치료 장치(1)는 2개 부품의 조립체로 구현된다. 치료 장치는 베이스 몸체(2) 및 무빙 부분(3)을 포함한다. 베이스 몸체(2)는 치료될 신체 부위, 즉 엄지 발가락에 인접한 환자의 신체 일부분으로서 오른발을 수용하기 위한 오른발 표면(21R)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베이스 몸체(2)는 위에서 보았을 때, 오른쪽 신발의 밑창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엄지발가락의 영역에는 리세스(recess)가 제공된다.
베이스 몸체(2)에는 환자의 오른발을 오른발 표면(21R)에 고정하기 위해 배치된 고정 구조(22)가 장착되어 있다. 고정 구조는 2개의 뒤꿈치 밴드 홀더(222)와 2개의 발등 밴드 홀더(221)로 구성된다. 제1 페어(pair)의 뒤꿈치 밴드 홀더(222) 및 발등 밴드 홀더(221)는 베이스 몸체(2) 측면에 배치되며, 근방에 환자의 오른발의 볼이 위치한다. 제2 페어의 뒤꿈치 밴드 홀더(222) 및 발등 밴드 홀더(221)는 제1 페어의 반대편에 베이스 몸체(2)의 측면에 배치된다. 2개의 뒤꿈치 밴드 홀더(222)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뒤꿈치 밴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되고, 2개의 발등 밴드 홀더(221)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발등 밴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된다.
베이스 몸체(2)의 리세스에는 무빙 부분(3)이 배치된다.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무빙 부분은 베이스 몸체(2)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는 장착 구조의 회전 축 요소(33)를 포함한다. 무빙 부분(3)은 틸팅 요소(31) 및 글라이딩 요소(32)를 포함한다. 글라이딩 요소(32)는 틸팅 요소(31)의 상부에 있는 틸팅 요소(31)의 길이방향 레일 홈(311)에 배치된다. 글라이딩 요소(32)는 추가 고정 구조의 지지 면(321) 및 발가락 밴드(322)를 갖는다. 길이 조절 가능한 발가락 밴드(322)에 의해, 환자의 엄지발가락은 글라이딩 요소(32)의 지지 면(321)에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 몸체(2)에는 발가락 분리 벽(23)이 추가로 장착된다. 발가락 분리 벽(23)은 무빙 부분(3)을 따라 인접하여 연장된다. 분리 벽은 무빙 부분(3)에 위치한 엄지발가락을 베이스 몸체(2)의 오른발 표면(21R)에 위치한 다른 발가락과 분리한다. 또한, 분리 벽은 치료 장치(1)에 발을 올려놓았을 때 발의 전방 동작을 제한함으로써 환자의 발이 정확한 위치에 있게 한다.
도 2에는 치료 장치(1)의 좌측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통해서, 회전축 요소(33)가 나사에 의해 무빙 부분(3)의 틸팅 요소(31)에 장착되어진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틸팅 부재(31) 내부에 구동 벨트(51)를 갖는 구동부(5)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었다.
도면에서. 치료 장치(1)는 0 위치 또는 시작 위치에서 도시되었다. 0 위치에 서는 도 2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무빙 부분(3)은 엄지 발가락이 구부러지지 않거나 직선 상태로 지지 면(321) 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수평적으로 배향된다.
베이스 몸체(2)는 우측 면(21R)에 더하여 좌측 면(21L)도 갖는다. 도 2에서는 우측 면(21R)이 베이스 몸체(2)의 상부 면이고, 좌측 면(21L)이 그 저부 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오른발 구성에서 왼발 구성으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베이스 몸체(2)가 180°회전하여, 좌측 면(21L)이 상부 면을 형성하고 그리고 우측 면(21R)이 저부 면을 형성하게 한다. 이제 베이스 몸체(2)는 좌측 면(21L)에 환자의 왼발을 수용할 준비가 되었다.
제2 페어의 뒤꿈치 밴드 홀더(222) 및 발등 밴드 홀더(221)는 제1 페어의 뒤꿈치 밴드 홀더(222) 및 발등 밴드 홀더(221)의 위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또한, 발가락 분리 벽(23)은 무빙 부분(3) 위로 수직으로 돌출한다.
도 3은 치료 장치(1)의 전면을 도시한다. 도면을 통해, 제2 페어의 뒤꿈치 밴드 홀더(222)와 발등 밴드 홀더(221)가 발등 밴드 슬라이더(223)에 장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슬라이더(223)는 우측 면(21R)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치료 장치(1)는 환자의 발의 폭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빙 부분(3)에서의 틸팅 요소(31)의 레일 홈(311)은 언더컷을 형성하도록 상향하여 테이퍼(taper)진다. 글라이딩 요소(32)는 그 저부에 형성된 레일 바(323)를 갖는다. 레일 바(323)는 레일 홈(31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레일 홈(311)에 결합하는 레일 바(323)는 틸팅 요소(31)에 대해 하나의 단일 방향으로만 글라이딩 요소(32)를 이동시키게 한다. 구체적으로, 레일 홈(311)과 맞물리는 레일 바(323)에 의해 글라이딩 요소(32)가 틸팅 요소(31)에 장착되어, 글라이딩 요소(32)는 틸팅 요소(31)를 따라 치료 장치(1)의 전방 및 후방 방향으로만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글라이딩 요소(32)는 회전축이 회전축 요소(33)에 의해 정의된 베이스 몸체(2)에 대한 무빙 부분(3)의 앞뒤 이동부의 회전축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틸팅 요소(31)에 대해 변위될 수 있다.
발가락 밴드(322)는 서로 가변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2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발가락 밴드(322)의 2개의 부분 각각은 일측 단부에 글라이딩 요소(32)의 지지 면(321)이 연결된다. 타측 단부 쪽으로는, 발가락 밴드(322)의 일부분에 후크 및 루프 패스너가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발가락 밴드(322)는 지지 면(321)에 배치된 특정 엄지발가락의 치수에 맞게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다.
도 4에서, 치료 장치(1)는 치료 장치(1)의 에너지 저장 장치(4)가 보이도록 부분적으로 분해된다. 에너지 저장 장치(4)는 배터리 팩(41) 및 충전 케이블(42)을 포함한다. 배터리 팩(41)은 치료 장치(1)가 조립된 상태에서 보이지 않도록 베이스 몸체(2)의 내부에 배열된다. 충전 케이블(42)은 베이스 몸체(2)의 뒤꿈치 부분에 배터리 팩(41)과 케이블(도 4에 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사용시, 배터리 팩(41)은 충전 케이블(42)을 통해 충전될 수 있다. 배터리 팩(41)이 충전된 후, 충전 케이블(42)은 치료 장치(1)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분리될 수 있다.
베이스 몸체(2)의 내부에는 소켓 부재(24)가 더 배치된다. 회전 축 요소(33)는 무빙 부분(3)이 베이스 몸체(2)에서 유지되도록 소켓 부재(24)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축 요소(33)는 일반적으로 막대 형상이다. 소켓 부재(24)는 상부 우측 축 소켓(241R) 및 하부 좌측 축 소켓(241L)이 설치된 수직 기둥(242)을 포함한다. 축 소켓(241R, 241L)에는 환형 스프링 및 원주 방향 래칭 노치가 있는 회전 축 요소(33)가 장착 된다. 회전 축 요소(33)가 축 소켓(241R, 241L) 중 하나로 이동하면, 각각의 환형 스프링이 래칭 노치에 스냅되어, 회전 축 요소(33)를 소켓 부재(24)에 고정시킨다.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무빙 부분(3)의 틸팅 요소(31) 내부에는, 구동 유닛(5)이 배치된다. 구동 유닛(5)은 서보 모터(52), 구동 벨트(51) 및 벨트 구동 휠(53)을 포함한다. 서보 모터(52)는 구동 벨트(51)를 통해 구동 휠(53)에 연결된다. 구동 휠(53)은 회전 축 요소(33)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따라서, 서보 모터(52)는 작동 시, 구동 벨트(51) 및 구동 휠(52)을 통해 회전 축 요소(33)를 회전시킨다. 특히, 서보 모터(52)는 작동 시, 회전 축 요소를 앞뒤로 피벗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서, 무빙 부분(3)은 서보 모터(52)가 작동될 때, 상하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서보 모터(52)는 케이블(도 5에 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배터리 팩(41)에 의해 활성화 된다.
도 6 및 도 7은 구동 유닛(5)을 포함하는 무빙 부분(3)의 틸팅 요소(31)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틸팅 요소(31)의 커버는 그 내부, 특히 구동 유닛(5)의 구성요소가 보이도록 제거되었다. 이에 의해, 서보모터(52)가 서보 구동 휠(58)에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구동 벨트(51)는 폐쇄 루프 형태로 서보 구동 휠(58)과 벨트 구동 휠(53) 사이에 걸쳐 있다. 서보모터(52)의 작동 시, 서보 구동 휠(58)이 회전하여, 구동 벨트(51)를 전진시켜서 벨트 구동 휠(53)도 회전하게 된다. 벨트 구동 휠(53)이 축 요소(33)에 결합되기 때문에, 벨트 구동 휠(53)의 회전은 축 요소(33)를 그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동시에 회전시킨다.
축 요소(33)에는, 링형상 자석(54), 링형상 구동 슬리브(55) 및 링형상 구동 슬리브/자석 인코더(56)가 축 요소(33)와 함께 회전하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자석(54)과 서보모터(52a) 사이에서, 자석 인코더 회로(57)가 자석(54)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도시된 구성의 치료 장치(1)를 사용하는 데에서, 환자의 오른쪽 발은 오른쪽 엄지 발가락이 무빙 부분(3)의 지지 면(321) 위에 놓이고 그리고 오른쪽 발의 나머지 부분이 베이스 몸체(2)의 우측 면(21R)에 놓이도록 치료 장치(1)에 위치 한다. 발은 뒤꿈치 밴드와 발등 밴드로 고정된다. 뒤꿈치 밴드를 조임으로써, 발이 길이방향으로 정확하게 위치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즉, 발가락 분리 벽(23)이 엄지 발가락과 긴 발가락 사이의 발에 접하여 보장할 수 있다. 발등 밴드를 조임으로써, 슬라이더(223)는 제2 페어의 뒤꿈치 밴드 홀더(222)와 발등 밴드 홀더(221)가 측방향으로 정확하게 위치될 때까지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다음, 엄지 발가락은 발가락 밴드(322)에 의해 무빙 부분에 고정된다. 이제, 발은 치료 장치(1)에 정확하게 위치되었고, 엄지 발가락의 치료를 받을 준비가 되어있다.
엄지발가락을 치료하기 위해서, 구동 유닛(5)이 무빙 부분(3)이 베이스 몸체(2)에 대해 앞뒤로 피벗 동작하도록 작동된다. 이로써, 구동 유닛(5) 자체가 무빙 부분(3)과 함께 공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글라이딩 요소(32)가 전술한 바와 같이 틸팅 요소(31)에 대해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무빙 부분의 회전 축이 엄지 발가락의 해부학적 축과 오프셋되는 것을 보정할 수 있다. 이처럼, 엄지발가락을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어서 치료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자석(54), 구동 슬리브(55), 구동 슬리브/자석 인코더(56) 및 자석 인코더 회로(57)에 의해, 틸팅 요소(31)의 틸팅 각도가 정확하게 정해질 수 있고, 그리고 각각의 회전 위치가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무빙 부분(31)은 미리 정의된 움직임에 따라 정확하게 작동될 수 있고, 이러한 움직임은 모니터링될 수 있다.
치료 장치(1)가 왼발을 치료할 준비를 하기 위해, 우측 축 소켓(241R) 밖으로 회전 축 요소(33)를 당겨서 무빙 부분(3)을 베이스 몸체(2)로부터 분리한다. 그런 다음, 회전 축 요소(33)를 무빙 부분(3)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역방향으로 무빙 부분(3)에 재장착 한다. 베이스 몸체(2)는 좌측 면(21L)이 상부에 있고 그리고 우측 면이 저부에 있도록 뒤집혀 진다. 그 다음, 무빙 부분(3)은 회전 축 요소(33)를 좌측 축 소켓(242L)에 끼움으로써 베이스 몸체(2)에 재장착된다.
본 발명의 양태 및 실시예를 예시하는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은 보호되는 발명을 한정하는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이 도면 및 전술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예시 및 설명은 예시적이거나 구현예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그 기재에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다양한 기계적, 구성적, 구조적, 전기적 및 작동적 변경이 본원의 청구범위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잘 알려진 회로, 구조 및 기술은 본 발명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상세하게 나타내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의 범위 및 사상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및 하기에서 설명되는 상이한 실시예들로부터 발휘되는 특징들의 임의의 조합을 갖는 추가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원은 또한 개별적으로 그 기술이 상기 또는 하기 설명에서 기재되어 있지 않았을 수 있더라도,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추가 특징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도면 및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의 단일 대안 및 그 특징의 단일 대안은 본 발명의 주제 또는 개시된 주제로부터 부인될 수도 있는 것이다. 본원은 청구범위 또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정의된 특징으로 구성된 주제뿐만 아니라, 그 특징들을 포함하는 주제도 마찬가지로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범위에서, "포함하는"이라는 단어는 다른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 표현이며, 단수 표현인 영문 명세서의 부정관사 "a" 또는 "an"은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 표현이다. 단일 유닛 또는 단계는 청구범위에 인용된 여러 기능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조치가 서로 다른 종속항에 인용되어 있다는 사실이 이러한 조치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 것은 아니라고 이해한다. 속성 또는 값과 관련된 "본질적으로", "약", "대략" 등의 용어는 특히 정확히 속성 또는 값을 각각 정의하기도 한다. 주어진 수치 값 또는 범위의 맥락에서 용어 "약"은 예를 들어 주어진 값 또는 범위의 20% 이내, 10% 이내, 5% 이내, 또는 2% 이내인 값 또는 범위를 지칭한다. 연결되거나 연결된 것으로 설명된 구성요소는 전기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직접 연결되거나, 하나 이상의 중간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청구범위의 참조 부호는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5)

  1. 신체 부위에 인접한 환자의 신체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표면(21L, 21R)을 갖는 베이스 몸체(2),
    신체 부위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 면(321)을 갖는 무빙 부분(3), 및
    베이스 몸체(2)에 대해 무빙 부분(3)를 앞뒤로 피벗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5)을 포함하는, 환자의 신체 부위, 특히 엄지발가락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 장치(1)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5)은 무빙 부분(3)에 고정되고 그리고 무빙 부분(3)과 함께 베이스 몸체(2)에 대해 앞뒤로 피벗 동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부분(3)을 상기 베이스 몸체(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된 장착 구조(33, 241L, 241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장치(1).
  3. 제2항에 있어서, 베이스 몸체(2)는 장착 구조(33, 241L, 241R)의 축 소켓(241L, 241R)을 포함하고, 무빙 부분(3)은 축 소켓(241L, 241R)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장착 구조(33, 241L, 241R)의 회전 축 요소(33)를 포함하고, 구동 유닛(5)은 바람직하게 회전 축 요소(33)를 중심으로 무빙 부분(3)을 앞뒤로 피벗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장치(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5) 및 상기 무빙 부분(3)은 제1 파트로서 구현되고 그리고 상기 베이스 몸체(2)는 제2 파트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장치(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5)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 장치(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4)는 상기 베이스 몸체(2)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장치(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5)은 서보모터(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장치(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몸체(2)는, 신체 부위에 인접한 환자의 신체 일부분을 베이스 몸체(2)의 표면(21L, 21R)에 수용할 때, 베이스 몸체(2)에 신체 부위에 인접한 환자의 신체 일부분을 고정하게 구성된 고정 구조(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장치(1).
  8. 제7항에 있어서, 고정 구조(22)는 뒤꿈치 밴드와 발등 밴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장치(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등 밴드는 상기 베이스 몸체(2)의 양측에 있는 2개의 연결 지점에서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베이스 몸체(2)의 표면(21L, 21R)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2개의 연결 지점 사이의 거리는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장치(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부분(3)은, 신체 부위가 지지 면(321)에 수용될 때, 신체 부위를 무빙 부분(3)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추가 고정 구조(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장치(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빙 부분(3) 및 구동 유닛(5)은 수평면으로부터 최대 약 50°까지 무빙 부분(3)을 하향 피벗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무빙 부분(3)을 최대 약 30°까지 상향 피벗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장치(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부분(3)에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무빙 부분(3)의 이동 범위 및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장치(1).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복수의 미리 정의된 치료 프로그램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치료 프로그램은 무빙 부분(3)의 이동 범위 및 속도에 대한 특정 조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장치(1).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무빙 부분(3)에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장치(1).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부분(3)은 틸팅 요소(31) 및 글라이딩 요소(32)를 포함하고,
    구동 유닛(5)은 틸팅 요소(31)에 고정되고,
    틸팅 요소(31)는, 구동 유닛(5)에 의해 베이스 몸체(2)에 대해 앞뒤로 피벗 동작할 수 있게 베이스 몸체(2)에 연결되거나 연결 가능하고,
    글라이딩 요소(32)는 지지 면(321)을 포함하고,
    글라이딩 요소(32)는 틸팅 요소(31)에 동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장치(1).
KR1020227006744A 2019-08-06 2020-07-31 치료 장치 KR202200445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9932019 2019-08-06
CH00993/19 2019-08-06
PCT/EP2020/071736 WO2021023676A1 (en) 2019-08-06 2020-07-31 Therap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525A true KR20220044525A (ko) 2022-04-08

Family

ID=68468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6744A KR20220044525A (ko) 2019-08-06 2020-07-31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13531A1 (ko)
EP (1) EP4009932A1 (ko)
JP (1) JP2022543616A (ko)
KR (1) KR20220044525A (ko)
CA (1) CA3145756A1 (ko)
WO (1) WO2021023676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707591D0 (en) * 1987-03-31 1987-05-07 Heaton S Leg exerciser
US5267924A (en) * 1993-01-07 1993-12-07 Advanced Kinet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mparting continuous passive motion to the foot
WO2006040818A1 (ja) * 2004-10-14 2006-04-20 Takesaburou Ootani 足指マッサージ機
GB0704355D0 (en) * 2007-03-07 2007-04-11 Barry James A Foot and ankle exerrcise device
US8696606B2 (en) * 2009-09-28 2014-04-15 Continuous MotionFlow, LLC Passive motion machine with integrated mechanical DVT prophylactic therapy
US8485994B1 (en) * 2010-04-16 2013-07-16 Mark Erb Physical therapy system
US9682004B2 (en) * 2013-07-19 2017-06-20 Lambda Health System Sa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exercising the lower limbs
DE102013108701A1 (de) * 2013-08-12 2015-02-12 Franz Freuler Therapiegerät
EP3132782A1 (de) 2015-08-18 2017-02-22 Franz Freuler Therapiegerä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09932A1 (en) 2022-06-15
WO2021023676A1 (en) 2021-02-11
CA3145756A1 (en) 2021-02-11
US20220313531A1 (en) 2022-10-06
JP2022543616A (ja)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82429A1 (en) Posture restoring assembly for wearable assistive device
TWI449522B (zh) 按摩椅
CN106901947B (zh) 可穿戴式下肢外骨骼助力行走机器人机构
JP2012192190A (ja) 患者を蘇生するための装置
JP2009219650A (ja) 装着型動作補助装置
CN111449913A (zh) 一种下肢康复训练设备及其双足末端执行器
KR20190137082A (ko) 슬관절 자극 장치
US5415621A (en) Massage device
KR101694848B1 (ko) 환자의 재활 치료를 돕는 보행 재활 로봇
KR20220044525A (ko) 치료 장치
CN110353945B (zh) 一种多运动模式的下肢康复机器人
EP2938311B1 (en) A reciprocal device for gait learning assistance
CN211326599U (zh) 一种可调节式膝关节屈伸器
US10849814B2 (en) Therapy device
CN210932527U (zh) 辅助人工膝关节置换可调固定装置
JP2001000496A (ja) マッサージ器
CN110575356B (zh) 肢体康复系统
CN211214210U (zh) 肢体康复系统
KR101507969B1 (ko) 회전구동유닛을 포함하는 재활용 운동보조장치
KR101416956B1 (ko) 스트레칭 운동기구
JP2009219649A (ja) 装着型動作補助装置
KR100757046B1 (ko) 운동 기구
CN217310931U (zh) 一种预防足下垂的医用支架机构
CN208756510U (zh) 一种用于腿部康健理疗设备
CN216257717U (zh) 一种基于3d打印技术的轻量化肘关节康复支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