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4188A - 호흡 전달 디바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호흡 전달 디바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188A
KR20220044188A KR1020227001159A KR20227001159A KR20220044188A KR 20220044188 A KR20220044188 A KR 20220044188A KR 1020227001159 A KR1020227001159 A KR 1020227001159A KR 20227001159 A KR20227001159 A KR 20227001159A KR 20220044188 A KR20220044188 A KR 20220044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ctuator
gas
configuration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1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랜든 오플래허티
요한 립먼
패트릭 조셉 린치
Original Assignee
드 모투 코르디스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 모투 코르디스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드 모투 코르디스 피티와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044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1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41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with movabl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ir or other gas pressure applied to the liquid or other product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 A61K9/0073Sprays or powders for inhalation; Aerolised or nebulised preparations generated by other means than thermal energy
    • A61K9/0075Sprays or powders for inhalation; Aerolised or nebulised preparations generated by other means than thermal energy for inhalation via a dry powder inhaler [DPI], e.g. comprising micronized drug mixed with lactose carrier 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1Particle size control
    • A61M11/003Particle size control by passing the aerosol trough sieves or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3/00Insufflators for therapeutic or disinfectant purposes, i.e. devices for blowing a gas, powder or vapour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5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air flow regu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61M15/0025Mouthpieces therefor with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Inhalators using medicine packages with incorporated spraying means, e.g. aerosol 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48Mouth-to-mouth respi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8Bellows; Connecting tubes ; Water traps; Patient circuits
    • A61M16/0816Joints or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4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by mixing different fluids, one of them being in a liquid ph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4Inotropic agents, i.e. stimulants of cardiac contraction; Drugs for heart fail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5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 A61M15/0006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using rotating means
    • A61M15/0008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using rotating means rotating by air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35Pier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38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007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introduced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7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9Body tissue
    • A61M2202/095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30Vac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6/00Characteristics of a physical parameter; associated device therefor
    • A61M2206/10Flow characteristics
    • A61M2206/16Rotating swirling helical flow, e.g. by tangential inf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ard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압 및 양압 하에서 조성물의 호흡 전달을 모두 촉진할 수 있는 미립자 전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디바이스는 디바이스를 통한 가스 흐름을 허용하는 동시에 대상의 기도로 전달하기 전에 와류 챔버로 미립자의 전달을 돕기 위해 음압 또는 양압에 의해 이동가능한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호흡 전달 디바이스 및 방법
본 발명은 호흡 전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양압 및/또는 음압 하에 입자성 약제(particulate medicament)를 대상의 기도에 투여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전달 디바이스, 및 관련된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의학적 상태의 경우, 기도를 통해 대상에게 약제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취입기(insufflator)와 마찬가지로, 흡입기, 예컨대, 건조 분말 흡입기(dry powder inhaler)는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존의 건조 분말 흡입기는 일반적으로 대상에 의한 흡입에 응답하여 음압 하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이러한 흡입기의 사용을, 대상이 의식이 있고 반응이 있는 경우의 적용으로 제한하며, 이는 응급 치료를 위한 흡입기의 유용성을 제한한다.
기존 흡입기는 또한 통상적으로 전달된 투여량과 관련하여 신뢰성 및/또는 반복성이 좋지 않으며, 여기서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대상 흡입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는 통상적으로 흡입기의 사용을 투여량의 변화가 허용가능한 적용, 예를 들어 실질적인 과소 및/또는 과다 투여의 영향이 생명을 위협하지 않는 적용으로 제한한다.
따라서, 약제의 호흡기 투여를 위한 새로운 전략이 바람직할 것이다. 사용에 있어서 개선된 융통성 또는 유연성을 제공하는 새로운 호흡 전달 디바이스를 개발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할 것이다.
첫 번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조성물을 대상의 기도로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디바이스는 유체 연통하는:
가스 유입구;
가스 배출구;
상부 표면(upper surface)과 하부 표면(lower surface)을 갖는 액츄에이터;
조성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조성물 리셉터클; 및
분산 챔버를 포함하고;
여기서, 액츄에이터는,
(a) 액츄에이터의 하부 표면이 디바이스로 들어가는 가스 흐름을 제한하기 위해 가스 유입구에 인접하게 안착되고, 액츄에이터의 상부 표면이 조성물 리셉터클 내에 조성물이 위치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조성물 리셉터클의 하부 범위에 인접하는 제1 구성; 및
(b) 액츄에이터의 하부 표면이 가스 유입구를 통한 디바이스 내부로의 가스 흐름 경로를 개방하기 위해 제1 구성과 비교하여 가스 배출구 방향으로 변위되고, 액츄에이터의 상부 표면이 조성물을 분산 챔버 내부로 변위시키기 위해 조성물 리셉터클의 상부 범위에 인접하는 제2 구성 사이에서 구성가능하고; 그리고
액츄에이터는:
(i) 가스 유입구를 통한 양압의 인가; 및
(ii) 가스 배출구를 통한 음압의 인가 각각을 통해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구성가능하다.
적절하게, 가스 유입구 및 가스 배출구는 디바이스의 본체이다. 조성물 리셉터클은 디바이스 본체 내부에 있을 수 있거나 디바이스 본체일 수 있다.
적절하게, 가스 유입구와 가스 배출구 사이의 가스 흐름은 가스 배출구를 통해 대상의 기도로의 조성물의 전달을 용이하게 한다.
일 형태에서, 디바이스는 가스 유입구 및 가스 배출구에 의해서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스의 유입 및/또는 유출에 대해 밀봉되거나 실질적으로 밀봉된다.
다른 형태에서, 디바이스의 가스 유입구는 호흡 장비와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가스 유입구는 마우스피스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스 유입구는 실질적으로 그 형상이 원통형(cylindrical)일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디바이스의 가스 배출구는 호흡 장비와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가스 배출구는 마우스피스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스 배출구는 그 형상이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액츄에이터의 이동(movement)은 액츄에이터가 조성물 리셉터클의 실질적으로 외부 위치에서 조성물 리셉터클의 실질적으로 내부 위치로 변환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적절하게, 제1 구성에서 액츄에이터는 조성물 리셉터클의 실질적으로 외부에 위치되고; 제2 구성에서 액츄에이터는 실질적으로 조성물 리셉터클의 내부에 위치된다.
액츄에이터는 적절하게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조성물 리셉터클의 실질적으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액츄에이터에 대한 언급은 제1 구성에 있을 때 조성물 리셉터클에 인접하거나 직접 대면하는 액츄에이터의 표면을 참조할 수 있다. 이는, 조성물 리셉터클에 가장 가까운 피스톤의 상부 표면일 수 있다.
이 양태의 디바이스의 조성물 리셉터클은 대상의 기도로 전달하기 위한 조성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것이다.
일부 형태에서, 조성물 리셉터클은 전달을 위해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적합하게, 이 컨테이너는 캡슐이다. 조성물 리셉터클은 이 컨테이너를 적절하게(fittingly) 수용할 수 있다. 핏은 클리어런스 핏(clearance-fit)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적합하게, 이 양태의 디바이스의 액츄에이터가 제1 구성에 있고 조성물 리셉터클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 조성물, 또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는 조성물 리셉터클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적합하게, 액츄에이터가 제1 구성에서 제2 구성으로 구성되고 조성물 리셉터클이 폐쇄되어 있는 경우, 조성물, 또는 조성물 리셉터클 내에 위치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는 조성물 리셉터클로부터 실질적으로 변위된다.
이 양태의 디바이스의 분산 챔버는 대상의 기도로 전달하기 위해 가스 유입구와 가스 배출구 사이의 가스 흐름으로 조성물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합하게, 분산 챔버는 가스 유입구, 가스 배출구, 액츄에이터 및 조성물 리셉터클과 유체 연통한다.
분산 챔버는 조성물 리셉터클에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적합하게, 분산 챔버는 대상에게 전달하기 위한 조성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분산 챔버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가 제1 구성에 있고 조성물 또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가 조성물 리셉터클 내에 위치되는 경우, 조성물 또는 컨테이너는 실질적으로 분산 챔버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가 제1 구성에서 제2 구성으로 구성되는 경우, 조성물 또는 조성물 리셉터클 내에 위치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는 조성물 리셉터클로부터 변위될 수 있다. 조성물 또는 조성물 리셉터클로부터의 컨테이너의 변위시, 조성물 또는 컨테이너는 분산 챔버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제1 구성에서 제2 구성으로 액츄에이터의 이동은 가스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가스 유입구에 인접한 립(lip) 또는 플랜지(flange)로부터의 액츄에이터의 안착해제(unseating)일 수 있다.
제2 구성에 있을 때, 액츄에이터의 상부 표면은 분산 챔버 바닥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정렬로부터의 오프셋은 최대 5mm, 4mm 또는 3mm일 수 있다.
분산 챔버는 분산 챔버 내에서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분산 챔버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의 회전 이동(rotational movement) 또는 스피닝(spinning)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액츄에이터가 제1 구성에서 제2 구성으로 구성될 때, 하나 이상의 챔버 포트들이 가스 흐름에 대해 개방될 수 있다. 가스 흐름은 가스 유입구로부터 하나 이상의 챔버 포트들 내부로 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챔버 포트들은 분산 챔버로의 가스 흐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챔버 포트들 각각은 가스 흐름을 분산 챔버로 안내하기 위해 챔버 채널과 연속적일 수 있다.
제1 구성에서 제2 구성으로 액츄에이터의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가스 유입구로부터 하나 이상의 챔버 포트들로 그리고 직접 분산 챔버로 가스 흐름 경로를 개방한다. 이 시점에서, 가스 흐름은 조성물과 접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챔버 포트들은 가스 유입구와 가스 배출구 사이에 가스 흐름을 허용한다.
적합하게, 하나 이상의 챔버 포트들을 통한 분산 챔버 내로의 가스 흐름의 진입은 대상의 기도로의 전달을 위해 조성물의 분산을 용이하게 한다.
하나 이상의 챔버 포트들을 통한 분산 챔버 내부로의 가스 흐름의 진입은 분산 챔버 내에서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이에 의해 조성물의 분산을 촉진할 수 있다.
분산 챔버는 와류 챔버(vortex chamber)일 수 있는데, 여기서 하나 이상의 챔버 포트들을 통한 가스 흐름이 와류 챔버 내에서 와류의 생성을 적절하게 촉진한다.
와류 챔버 내에서 와류의 생성은 분산 챔버 내에서 대상에게 전달하기 위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의 회전 이동 또는 스피닝을 용이하게 하여 이에 의해 조성물의 분산을 촉진할 수 있다.
분산 챔버는 조성물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protrusion)들 또는 돌기(projection)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은 하나 이상의 기다란 돌출부, 방사상으로 배향된 범프 또는 분산 챔버의 표면 상의 융기부(protuberance)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돌출부, 범프 또는 융기부가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돌출부, 방사상으로 배향된 범프 또는 융기부는 분산 또는 와류 챔버의 벽 또는 천장으로부터 돌출한다. 적합하게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는 조성물의 분산을 돕기 위해 그의 회전 이동 동안 하나 이상의 돌출부, 범프 또는 융기부에 의해 변위된다. 통상적으로, 방사상으로 배향된 범프 또는 융기부의 높이는 돌출된 표면 너머로 약 0.1mm와 약 1mm 사이이며, 이는 0.2, 0.3, 0.4, 0.5, 0.6, 0.7, 0.9 및 0.9mm를 포함한다.
이 양태의 디바이스는 적합하게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로부터 대상의 기도로 전달하기 위해 조성물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프라이머(primer)를 포함한다.
프라이머는 적어도 하나의 프라이머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프라이머 액츄에이터는 컨테이너로부터 조성물의 방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프라이머 액츄에이터는 버튼 또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프라이머의 작동은 디바이스의 캡을 제거할 때 자동으로 발생할 수 있다.
캡은 그 밑면으로부터 연장하는 기다란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캡이 디바이스와 완전하게 맞물리면, 기다란 부재가 분산 챔버 안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조성물 리셉터클 내에서 제자리에서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기다란 부재는, 캡이 디바이스와 완전하게 맞물릴 때 가스 배출구를 통해 분산 챔버로 연장되는 포크(fork) 또는 갈래(prong)일 수 있다.
프라이머는 전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대상의 기도로 전달하기 위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천공하거나 절단하거나, 또는 그의 밀봉, 멤브레인 또는 쉘을 천공 또는 절단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핀 또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핀 또는 블레이드는 프라이머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응답하여 컨테이너를 천공하거나 절단하도록 구성된다.
이 양태의 디바이스는 전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대상의 기도로 전달하기 위해 조성물을 추가로 분산 및/또는 탈응집시키도록 구성된 탈응집기(deagglomerator)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하게, 탈응집기는 가스 유입구와 가스 배출구 사이의 가스 흐름에 응답하여 조성물의 분산 및/또는 탈응집을 용이하게 한다.
적합하게, 탈응집기는 가스 유입구, 가스 배출구, 액츄에이터 및 조성물 리셉터클과 유체 연통한다. 일부 형태에서, 탈응집기는 분산 챔버에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부 형태에서, 탈응집기는 스크린 또는 메쉬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적합하게는, 스크린 또는 메쉬는 가스 난류(gas turbulence)를 촉진하기 위한 복수의 홀들 또는 슬롯들을 포함한다. 탈응집기는 조성물을 여과하여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로부터 잔해를 제거하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한다.
일부 형태에서, 탈응집기는 하나 이상의 가요성 부재들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적합하게, 가요성 부재는 가스 유입구와 가스 배출구 사이의 가스 흐름에 응답하여 진동하도록 구성된다.
두 번째 양태에서, 다음을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i) 유체 연통하는, 가스 유입구; 가스 배출구; 액츄에이터; 조성물 리셉터클; 및 분산 챔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액츄에이터는, 조성물 리셉터클이 실질적으로 개방되고 가스 유입구와 가스 배출구 사이의 가스 흐름이 제한되는 제1 구성; 및 조성물 리셉터클이 실질적으로 제한되고 가스 유입구와 가스 배출구 사이의 가스 흐름이 실질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제2 구성 사이에서 구성될 수 있고; 그리고
(ii) 조성물 또는 조성물 리셉터클 내에 위치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일 형태에서, (i)는 제1 양태의 디바이스이다.
일 형태에서, (ii)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이며, 여기서 컨테이너는 절단가능하거나 천공가능한 밀봉부, 멤브레인 또는 쉘을 포함한다.
제2 양태의 시스템은 가스 유입구 및/또는 가스 배출구에 연결된 호흡 장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양태에서, 유체 연통하는, 가스 유입구; 가스 배출구; 액츄에이터; 조성물 리셉터클; 및 분산 챔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대상의 기도에 조성물을 투여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액츄에이터는, 조성물 리셉터클이 실질적으로 개방되고 가스 유입구와 가스 배출구 사이의 가스 흐름이 제한되는 제1 구성; 및 조성물 리셉터클이 실질적으로 제한되고 가스 유입구와 가스 배출구 사이의 가스 흐름이 실질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제2 구성 사이에서 구성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방법은:
조성물, 또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실질적으로 조성물 리셉터클 내부에 배치하는 단계;
가스 배출구를 대상의 기도와 연결하는 단계; 및
가스 유입구와 가스 배출구 사이에 가스 흐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조성물은 가스 흐름에 의해 가스 배출구를 통해 대상의 기도로 전달되어,
이에 의해 대상의 기도에 조성물을 투여한다.
제4 양태에서, 유체 연통하는, 가스 유입구; 가스 배출구; 액츄에이터; 조성물 리셉터클; 및 분산 챔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대상의 기도에 유효량의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대상의 상태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액츄에이터는, 조성물 리셉터클이 실질적으로 개방되고 가스 유입구에서 가스 배출구로의 가스 흐름이 제한되는 제1 구성; 및 조성물 리셉터클이 실질적으로 제한되고 가스 유입구에서 가스 배출구로의 가스 흐름이 실질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제2 구성 사이에서 구성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방법은:
조성물, 또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실질적으로 조성물 리셉터클 내부에 배치하는 단계;
가스 배출구를 대상의 기도와 연결하는 단계; 및
가스 유입구로부터 가스 배출구로 가스 흐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조성물은 가스 배출구를 통해 대상의 기도로 가스 흐름에 의해 전달되고,
이에 의해 대상의 상태를 치료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
제3 또는 제4 양태의 형태에서, 대상은 의식이 있고/있거나 반응한다. 이러한 형태에서, 투여는 대상에 의한 자가-투여일 수 있다.
제3 또는 제4 양태의 형태에서, 가스 유입구로부터 가스 배출구로의 가스 흐름을 제공하는 단계는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액츄에이터의 이동을 야기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4 양태의 형태에서, 상태는 응급 상황이다. 이러한 형태에서, 대상은 의식이 없거나 반응이 없을 수 있다.
제3 또는 제4 양태의 형태에서, 디바이스는 제1 양태의 디바이스이다.
제3 또는 제4 양태의 형태에서, 가스 흐름이 제공되고,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는 가스 배출구를 통해 음압을 인가함으로써 제1 구성에서 제2 구성으로 이동된다. 가스 배출구를 통한 대상의 흡입에 의해 음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제3 또는 제4 양태의 형태에서, 가스 흐름이 제공되고,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는 가스 유입구를 통해 양압을 인가함으로써 제1 구성에서 제2 구성으로 이동된다. 양압은 가스 유입구에 연결된 가압 가스 공급원(pressurised gas source)에 의해 인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오퍼레이터의 흡입에 의해 가스 유입구로 양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오퍼레이터는 조성물을 받을 환자 또는 대상과 다를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3 또는 제4 양태의 방법은 조성물 리셉터클로부터 조성물, 또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변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또는 제4 양태의 방법은 디바이스의 분산 챔버 내에 조성물, 또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가스 유입구와 가스 배출구 사이의 가스 흐름에 응답하여 분산 챔버 내에서 또는 분산 챔버로부터 분산될 수 있다.
분산 챔버 내에서 또는 분산 챔버로부터의 조성물의 분산은 분산 챔버 내에서 조성물 또는 컨테이너의 회전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제3 또는 제4 양태의 방법은 컨테이너로부터 조성물의 방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디바이스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절단하거나 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또는 제4 양태의 방법은 디바이스의 탈응집기를 사용하여 조성물을 추가로 분산 및/또는 탈응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comprises", "comprising", "includes", "including", 혹은 유사한 용어는 엘리먼트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방법, 시스템, 장치가 이러한 엘리먼트들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열거되지 않은 그외 다른 엘리먼트들도 또한 포함할 수 있도록 비배타적 포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부정관사 "a" 및 "an"은 단수 부정관사로 판독되어서는 안 되며, 그와 다르게 부정 관사가 언급하는 하나 이상의 주제 또는 하나 이상의 주제를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a" 가스 유입구는 하나의 가스 유입구, 하나 이상의 가스 유입구들 또는 복수의 가스 유입구들을 포함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b는 도 1a의 디바이스의 정면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도 1a의 디바이스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b는 도 1a의 디바이스의 상단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a는 피스톤이 제1 구성에 있을 때 도 1a의 디바이스의 사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b는 피스톤이 제2 구성에 있을 때 도 1a의 디바이스의 사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5a 및 5b는 캡이 완전히 잠긴 상태에서 도 4의 디바이스의 상단 평면도 및 정면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6a 및 6b는 캡이 완전히 잠긴 상태에서 도 4의 디바이스의 상단 평면도 및 정면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7은 캡이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서 도 5b 및 도 6b의 디바이스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8은 특정 가스 흐름 경로에 중점을 둔 도 4의 분해된 디바이스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치료제의 호흡 전달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합할 수 있다. 여기에는 분말 백신, 항생제 및 인슐린 투여와 같이 대상이 일반적으로 의식이 있고 반응이 있는 적용; 및 아나필락시스 또는 심장 마비와 같은 중대한 질병의 치료를 위한 분말 아드레날린의 투여와 같이 대상이 의식이 없을 수 있는 적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치료제의 호흡 전달을 위한 유연성을 제공하는 디바이스가 필요하다는 인식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를 둔다. 특히, '흡입기' 유형 디바이스와 유사한 음압 하에서 조성물의 호흡 전달 및 '취입기' 유형 디바이스와 유사한 양압 하에서 치료제의 호흡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디바이스가 바람직할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한하지 않고, 본원에 언급된 전달용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건조 분말 형태일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그리고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건조 분말"은 일반적으로 추진제(propellant)의 부재 하에 통상적으로 전달되거나 전달에 적합한 호흡기 전달을 위한 미립자 약제의 형태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조성물(예를 들어, 건조 분말 또는 미립자 약제(particulate medicament))는 적어도 하나의 "활성 성분", 즉 생물학적 활동을 갖는 성분을 적합하게 포함할 것이다. 건조 분말 또는 미립자 약제는 하나 이상의 순수한, 또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활성 성분의 형태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건조 분말 또는 미립자 약제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 예를 들어 충전제, 부형제 또는 희석제 외에 하나 이상의 제한상 허용가능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 분말 제제의 비제한적인 개요를 위해, 당업자는 Telko 및 Hickey (2005)의 'Dry Powder Inhaler Formulation' Respiratory Care, 50(9), 1209-1227을 참조하며, 이는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활성제 및/또는 활성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대안적으로 "약물(drug)"로 지칭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대상의 기도에 조성물을 투여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이러한 양태의 디바이스인 디바이스(10)의 통상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를 보면, 디바이스(10)는 본체(50); 가스 유입구(100); 가스 배출구(200); 조성물 리셉터클(300); 액츄에이터(400); 분산 챔버(500); 및 프라이머(600)를 포함한다.
도 1b 및 도 2b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50)는 중공 내부 영역을 둘러싸는 벽(51)을 포함한다. 몸체(50)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지만; 그러나, 이것은 원하는 대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50)는 금속일 수 있거나,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재료의 조합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가스 유입구(100) 및 가스 배출구(200)는 별도로 구성될 수 있지만 본체(50)의 벽(51)과 연속적일 수 있다.
가스 유입구(100)는 호흡 장비를 연결하기 위한 피팅(fitting)으로 사용하거나 마우스피스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유사하게, 가스 배출구(200)는 호흡 장비를 연결하기 위한 피팅으로 사용하거나 마우스피스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유입구(100) 및 가스 배출구(200)는 그 형상이 원뿔형이며, 이는 연결부 및/또는 마우스피스로 사용하기에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가스 유입구(100) 및/또는 가스 배출구(200)의 형상은 원하는 대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b, 도 3a 및 도 3b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성물 리셉터클(300)은 본체(50) 내에 위치된다. 디바이스(10)의 조성물 리셉터클(300)은 벽(310)을 포함하는 웰(well)의 형태이다. 조성물 리셉터클(300)은 전달 디바이스(10)를 사용하여 대상에게 투여될 조성물(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캡슐과 같은 컨테이너를 적절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1b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400)는 본체(50) 내에 위치된다. 디바이스(10)의 액츄에이터(400)는 유입 단부(410) 및 배출구 단부(420)를 포함하는 피스톤 형태이다. 피스톤(400)은 도 1b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성물 리셉터클(300)의 실질적으로 외부에 있는 제1 구성 또는 위치로부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성물 리셉터클(300)의 실질적으로 내부에 있는 제2 구성 또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여기서 피스톤(400)은 분산 챔버(500)에 인접하거나 인접하게 위치된다. 특히, 피스톤(400)의 배출구 단부(420)는 제2 구성에서 제1 구성에서보다 분산 챔버(500)에 더 가깝게 안착될 것이다.
디바이스(10)의 분산 챔버(500)는 와류 챔버의 형태이다. 도 2b, 도 3a 및 도 3b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와류 챔버(500)는 챔버 벽(510); 챔버 채널(520); 및 가스 유입구(100)로부터 가스 배출구(200)로의 가스 흐름을 허용하고 와류를 생성 및 유지하도록 허용하는 관련 챔버 포트(53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와류 챔버(500)는 적어도 부분적인 천장을 포함할 수 있다.
와류 챔버(500)는 컨테이너가 조성물 리셉터클(300)에서 와류 챔버(500)로의 변환 시 전달을 위해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와류 챔버(500)는 챔버 벽(510)에 대해 내부에 위치될 때 컨테이너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와류 챔버(500)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로부터의 전달을 위한 조성물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도 7에서 가장 잘 보임)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와류 챔버(500)는 챔버 벽(510) 또는 챔버 천장(도 7) 상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 방사상으로 배향된 범프 또는 융기부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돌출부, 융기 부분 또는 방사상으로 배향된 범프의 높이는 약 0.1mm와 약 1mm 사이이며, 이는 0.2, 0.3, 0.4, 0.5, 0.6, 0.7, 0.9 및 0.9mm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는 2개의 프라이머(600), 측면 조성물 리셉터클(300)를 포함한다. 그러나, 단일 프라이머가 또한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1b, 도 3a 및 도 3b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라이머(600)는 본체(50)의 벽(51) 내에 유지된다. 프라이머(600)는 버튼(610); 및 핀(620)을 포함한다. 디바이스(10)의 프라이머(600)의 버튼(610)은, 예를 들어 변형가능한 버튼 또는 스프링 장착 버튼과 같은 탄성 버튼일 수 있지만, 이는 원하는 대로 변경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가스 유입구(100) 및 가스 배출구(200)를 제외하고 가스의 입구 또는 출구에 대해 (예를 들어, 누출 또는 탈출을 통해) 밀봉되거나 실질적으로 밀봉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 유입구(100) 및 가스 배출구(200)는 디바이스(10)의 본체(50)에 속하거나 이와 연속적이다. 추가적으로, 프라이머(600)는 기밀 또는 실질적으로 기밀 방식으로 본체(50)의 벽(51) 내에 위치된다.
디바이스(10)와 같은 이 양태의 디바이스는 전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대상의 기도로 전달하기 위해 조성물을 탈응집시키도록 구성된 탈응집기(700)를 포함할 수 있음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탈응집기(700)를 포함하는 디바이스(10)의 실시예에서, 통상적으로 탈응집기(700)는 도 3a 및 도 3b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산 챔버(500)에 인접하거나 그 부근에 위치된다.
일 통상적인 실시예에서, 탈응집기는 가스 난류를 촉진하기 위해 복수의 홀들 또는 슬롯들을 포함하는 스크린 또는 메쉬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일 통상적인 실시예에서, 탈응집기는 가스 흐름에 응답하여 진동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가요성 부재들이거나 이들을 포함한다.
디바이스(10)는 사용 시 가스 유입구(100)와 가스 배출구(200) 사이의 가스 흐름에 조성물을 혼입하고, 가스 흐름에 혼입된 조성물을 출구(200)를 통해 대상의 기도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사용 시, 컨테이너 또는 캡슐(도시되지 않음)은 실질적으로 조성물 리셉터클(300) 내에 배치된다. 통상적으로, 캡슐은 조성물 리셉터클(300) 내에 적절하게 유지된다. 컨테이너 또는 캡슐은 프라이머(600)에 의해 절단되거나 천공될 수 있는 밀봉 또는 멤브레인 등, 예를 들어 호일 밀봉 또는 플라스틱 쉘을 적합하게 포함할 것이다. 피스톤(400)의 상부 표면은 조성물 리셉터클(300)의 기저 또는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 시, 프라이머(600)를 압착시켜 프라이머(600)의 핀(610)을 조성물 리셉터클(300) 내에 배치된 컨테이너 또는 캡슐에 밀어 넣어 컨테이너 또는 캡슐의 밀봉 또는 멤브레인을 천공하거나 절단한다.
사용 시, 피스톤(400)은, 조성물 리셉터클(300)이 개방되어 컨테이너 또는 캡슐을 수용하고, 피스톤(400)의 유입 단부(410)가 가스 유입구(100)로부터 가스 배출구(200)로의 가스 흐름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구성으로부터; 피스톤(400)의 배출구 단부(420)가 조성물 리셉터클(300)로부터 컨테이너 또는 캡슐을 변위시키고, 가스 유입구(100)로부터 가스 배출구(200)로의 가스 흐름이 피스톤(400)의 유입 단부(410)의 이동에 의해 촉진되거나 실질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구성으로 가스 흐름에 의해 변환된다.
가스 흐름 동안 피스톤(400)의 이동과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제한되지 않은"에 대한 언급은, 피스톤(400)의 제1 구성 또는 위치와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제2 구성 또는 위치에서, 가스 흐름은 그것이 유동해야 하는 경로 및 채널에 의해 어느 정도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지만 제한의 정도는 피스톤(400)이 제1 구성 또는 위치에 있을 때 경험되는 것 보다 상당히 작을 것이다.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제한되지 않은"은 피스톤(400)이 제1 구성 또는 위치에 있을 때와 관련된 가스의 "촉진된", "개방된", "자유로운" 또는 "확실한" 가스 흐름으로 판독될 수 있다.
사용 시, 피스톤(400)은 가스 배출구(200)를 통해 피스톤(400)에 음압을 인가하고 가스 유입구(100)를 통해 양압을 인가함으로써 각각 개별적으로 제1 구성에서 제2 구성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일 통상적인 시나리오에서, 사용 시, 가스 배출구(200)를 통한 대상의 흡입에 의해 피스톤(400)의 피스톤 배출구 단부(420)에 음압이 가해지며, 이는 피스톤(400)을 제1 구성에서 제2 구성으로 변환시킨다.
일 통상적인 시나리오에서, 사용 시, 사용자가 가스 유입구(100)로 호기함으로써 피스톤(400)의 유입 단부(410)에 양압이 가해지며, 이는 피스톤(400)을 제1 구성에서 제2 구성으로 변환시킨다.
일 통상적인 시나리오에서, 사용 시, 가스 유입구(100)에 연결된 가스 캐니스터와 같은 가압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피스톤(400)의 유입 단부(410)에 양압이 가해지며, 이는 피스톤(400)을 제1 구성에서 제2 구성으로 변환시킨다.
사용 시, 피스톤(400)이 제2 구성으로 변환될 때, 조성물 리셉터클(300)로부터의 컨테이너 또는 캡슐의 변위는 컨테이너 또는 캡슐을 실질적으로 와류 챔버(500) 내부로 강제한다.
사용 시, 컨테이너 또는 캡슐이 실질적으로 와류 챔버(500) 내부에 위치할 때, 가스 유입구(100)와 가스 배출구(200) 사이의 가스 흐름은 컨테이너 또는 캡슐로부터 조성물의 분산을 용이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 시, 가스 유입구(100)와 가스 배출구(200) 사이의 가스 흐름은 챔버 채널(520)(도 7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챔버 포트(530)과 그 자체가 연속적임)을 통해 와류 챔버(500)로 들어가고, 이는 와류를 생성하고 컨테이너 또는 캡슐이 와류 챔버(500) 내에서 회전하도록 야기한다. 실시예에서, 챔버 채널(520)은, 가스 흐름 경로가 와류 챔버(500)의 벽에 접하거나 실질적으로 연속하도록 와류 챔버(500) 내부로의 가스 흐름의 진입을 용이하게 한다.
사용 시, 와류 챔버(500) 내에서 챔버 벽(510)에 대한 또는 그 부근에서의 컨테이너 또는 캡슐의 회전은, 도 1b, 도 3a 및 도 3b의 실시예에서 핀(620)을 활성화할 프라이머(600)를 작용시킴으로써 천공되거나 절단되는 밀봉 또는 멤브레인을 통해 컨테이너 또는 캡슐로부터 조성물을 분산시킨다. 챔버 벽의 돌출부는 빠른 속도로 접촉하여 컨테이너의 회전 운동을 방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그리하여 조성물의 방출을 촉진하는 데 도움을 준다.
탈응집기(700)를 추가로 포함하는, 디바이스(10)와 같은 이 양태의 디바이스의 실시예에서, 사용 시, 와류 챔버(500)에 의해 분산된 조성물은 가스 유입구(100)와 가스 배출구(200) 사이의 가스 흐름에 의해 탈응집기에 의해 추가로 분산 및/또는 탈응집된다.
탈응집기(700)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난류를 촉진하기 위한 복수의 홀들 또는 슬롯들을 포함하는 스크린 또는 메쉬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실시예에서, 스크린 또는 메쉬를 통과하거나 이를 지나는 가스 흐름에 혼입된 조성물의 통과는 생성된 가스 난류에 의한 조성물의 분산 및/또는 탈응집을 추가로 용이하게 한다.
탈응집기가 가스 흐름에 응답하여 진동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가요성 부재들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실시예에서, 가요성 부재를 통해 또는 이를 지나는 가스 흐름에 혼입된 조성물의 통과는 결과적으로 가요성 부재의 진동에 의해 조성물의 추가 분산 및/또는 탈응집을 용이하게 한다.
사용 시, 와류 챔버(500) 및 선택적으로 디바이스의 탈응집기를 통과하거나 이를 지나는, 가스 유입구(100)와 가스 배출구(200) 사이의 가스 흐름에 의해 분산된 조성물은, 가스 흐름에 혼입되어 대상의 기도로 전달된다.
일 통상적인 시나리오에서, 사용 시, 와류 챔버(500) 및 선택적으로 디바이스의 탈응집기를 지나거나 통과하는 가스 유입구(100)와 가스 배출구(200) 사이의 가스 흐름은, 가스 흐름에 혼입된 조성물을 대상의 기도로 전달하기 위해, 가스 배출구(200)를 통한 대상의 흡입(inhalation)으로부터 초래된다.
일 통상적인 시나리오에서, 사용 시, 와류 챔버(500) 및 선택적으로 디바이스의 탈응집기를 지나거나 통과하는 가스 유입구(100)와 가스 배출구(200) 사이의 가스 흐름은, 가스 흐름에 혼입된 조성물을 대상의 기도로 전달하기 위해, 유입구(100) 내부로의 디바이스(10)의 사용자에 의한 호기(exhalation)로부터 초래된다.
일 통상적인 시나리오에서, 사용 시, 와류 챔버(500) 및 선택적으로 디바이스의 탈응집기를 통과하는 가스 유입구(100)와 가스 배출구(200) 사이의 가스 흐름은, 가스 흐름에 혼입된 조성물을 대상의 기도로 전달하기 위해, 가스 캐니스터와 같은 가압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가스 유입구(100)로의 가스 방향을 초래한다.
도 4 내지 도 8은 이들 도면에서 디바이스(1000)로 지칭되는 디바이스(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유사한 부품은 도 1 내지 도 3과 도 4 내지 도 8 사이에 유사한 번호를 가지고,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의 액츄에이터 또는 피스톤(400)은 도 4 내지 도 8의 액츄에이터 또는 피스톤(1400)이고; 가스 유입구(100)는 가스 유입구(1100) 등 이라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디바이스(10)에 대한 모든 설명은 필요한 부분만 수정하여 디바이스(1000)에 적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디바이스(1000)와 관련하여 전체적으로 반복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도 4는 디바이스(1000)의 컴포넌트 및 이들이 가스 유입구(1100)의 내부 표면, 특히 립 또는 플랜지에 안착되는 액츄에이터 또는 피스톤(1400); 가스 유입구(1100)와 연결되어 기밀(gastight) 연결을 형성하는 본체(1050); 조성물 리셉터클(1300)을 향해 연장되는 핀(1620)을 갖는 본체(1050)의 벽 내에 수용되는 프라이머(1600); 기밀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본체(1050)에 연결되는 가스 배출구(1200); 및 디바이스(10)와 달리, 가스 배출구(1200) 위에 위치될 캡(1800)과 상호 연결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7은 도 4의 다양한 컴포넌트의 구성 및 위치를 더 상세히 도시한다. 캡(1800)은 상부 표면(1820) 내에 형성된 웰(1810)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캡(1800)의 밑면에서, 웰(1810) 영역 아래에는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기다란 부재(1830)가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다란 부재(1830)는 갈래 또는 포크의 형태를 취하지만 동일한 결과를 제공하는 다수의 다른 형태가 구상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기류는 웰(1810)을 통과할 수 없으므로 캡(1800)은 사용 전에 디바이스(1000)에서 제거되어야만 한다.
도 5b는 캡(1800)이 가스 배출구(1200)에 완전히 안착되거나 이와 맞물릴 때의 디바이스(1000)의 단면도이다. 이 위치에서, 캡(1800)의 하부 표면은 가스 배출구(1200)의 상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맞닿아 있다. 갈래(1830)는 이 실시예에서 탈응집기 또는 스크린(1700)(도 7에서 가장 잘 보임)을 통해 연장되는 것으로 보여지므로 탈응집기(1700)는 갈래(1830)가 통과할 수 있도록 내부에 형성된 두 개의 개구를 갖는다. 개구는, 캡(1800)이 제거되고 갈래(1830)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때 탈응집기(1700)의 기능이 이들의 존재에 의해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크기이다. 갈래(1830)는 캡(1800)이 완전히 안착될 때 분산 챔버 또는 와류 챔버(1500)로 연장되어, 조성물 컨테이너가 조성물 리셉터클(1300) 내에 안착될 때 이들이 제자리에서 컨테이너를 유지하도록 작동한다. 이는 캡을 제거할 때 컨테이너를 천공하기 위한 핀(1620)에 대해 최적의 위치에 있도록 컨테이너의 변위 또는 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캡(1800)의 벽의 하부에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캠(들)(1840)이라고 지칭될 수 있는 챔퍼링된(chamfered) 또는 경사진 부분(1840)을 가짐을 알 수 있다. 프라이머(1600)의 버튼 또는 캠 팔로워(1610)는 챔퍼링된 부분/캠(1840)의 상부 영역과 접촉하여 디바이스의 제거 및 사용을 위해 캡(1800)을 변위할 때 챔퍼가 증가하는 변위량을 버튼/캠 팔로워(1610)에 대해 강제하여 이에 의해 핀(1620)이 조성물 리셉터클(1300) 내부로 더 연장되고 그 안에 위치될 조성물의 컨테이너를 천공하도록 강제한다. 변위는 버튼/캠 팔로워(1610)를 형성하는 탄성 재료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이것은 조성물을 방출시키기 위해 별도의 버튼 또는 스위치가 작동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뚜렷한 이점이다. 대신에, 캡(1800)의 제거는 자동으로 컨테이너의 천공 및 조성물의 방출을 초래한다. 또한, 갈래(1830)가 동시에 상승될 때만 천공이 발생하며, 그리하여 핀(1620)의 내부 이동이 발생함에 따라 컨테이너의 최적 배치가 보장된다.
이러한 캡(1800)의 제거 결과는, 캡(1800)이 프라이머(1600)의 최대 변위 지점까지 올려져 핀(1620)이 조성물 리셉터클(1300) 내로 최대 거리를 연장하는 도 5b에서 도 6b로의 변화에서 볼 수 있다. 또한, 갈래(1830)가 올려져 와류 챔버(1500)를 실질적으로 떠났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캡(1800)의 완전한 제거를 도시하며, 이에 따라 갈래(1830)도 사라져 탈응집기(1700) 내 개구(1710)를 볼 수 있다. 도 7은 또한 내부에 형성된 탈응집기(1700)의 가장자리에 바로 인접한 와류 챔버(1500) 천장으로부터 연장되는 단일 돌출부(1540)의 더 나은 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와류 챔버(1500) 천장에 적어도 2개의 돌출부(1540)가 있다. 서로에 대해 대략 90도에 위치된 2개의 이러한 돌출부(1540)는 사용 동안 스피닝하는 컨테이너의 운동을 최적으로 중단시켜 조성물의 최적 방출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하나의 돌출부(1540)가 12시 방향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면, 다른 하나는 바람직하게 첫 번째 돌출부에 대해 3시 또는 9시 방향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돌출부(1540)는 기다란 돌출부(1540)이다.
도 7에서, 캡(1800)의 완전한 제거는 프라이머(1600)가 그들의 원래 위치를 채택하도록 하여 그에 따라 핀(1620)이 조성물 리셉터클(1300)로부터 후퇴하도록 하였다. 중요하게, 캡(1800)이 제거되고 프라이머(1600)가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면, 다시 한번 단순히 캡(1800)을 디바이스(1000)와 완전히 맞물리도록 다시 배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도 6b 및 도 7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이는 챔퍼링된 부분/캠(1840)이 버튼/캠 팔로워(1610)의 상부 표면과 차단 맞물림 상태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번에는 챔퍼의 각도가 버튼/캠 팔로워(1610)의 변위에 대해 작동하며, 이에 따라 캡(1800)은 더 이상 낮출 수 없다. 이는, 효과적으로 일회용 디바이스가 된다는 점에서 본 디바이스(1000)의 장점이다. 잠재적인 사용자가 캡(1800)이 제거된 디바이스(1000)를 가지고 있는 경우, 디바이스(1000)가 사용되었거나 조성물의 컨테이너가 천공되어 투여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즉시 알게 될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제공되는 디바이스(1000)가 목적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빠르고 간단한 시각적 대기열을 제공한다. 많은 경우 최종 의료 사용의 중대한 속성을 감안할 때, 이것은 중요한 안전 기능이다.
도 5 내지 도 7의 피스톤(1400)은 움직이지 않은 채로 남아 있으며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0)를 통해 가스가 자유롭게 흐를 수 없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도 5b가 휴식 위치 또는 비사용 위치로 생각될 수 있는 반면, 도 6b는 조성물의 컨테이너가 천공된 상태의 장전 위치(primed position)를 나타내고, 도 7은 컨테이너가 천공되고 캡(1800)이 제거되었으며 디바이스(1000)가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제1 구성에서 제2 구성으로 피스톤(1400)을 이동시키기 위해 양압 또는 음압이 가해질 준비가 되어 있어, 일정 시점에 혼입된 조성물을 가질 가스 흐름을 가스 유입구(1100)로부터 가스 배출구(1200)로 가능하게 하는 상태의 사용 준비 포지션을 나타낸다.
도 8은 가스 흐름 경로 자체를 더 잘 보여주기 위해 제공된다. 피스톤(1400)은 일반적으로 유입 단부(1410)가 바람직하게는 밀봉 결합으로 립 또는 플랜지에 안착된 상태에서 가스 유입구(1100) 내에 안착될 것임을 볼 수 있다. 피스톤(1400)이 작동되고 조성물의 컨테이너를 변위시키기 위해 위쪽으로 이동할 때, 공기가 립 또는 플랜지를 지나 흐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 지점에서, 가스 흐름은 본체(1050)를 통과하고 가스 유입구(1100)의 내부 및 또한 와류 챔버(1500)와 연속적인 챔버 포트(1530)를 통해 계속될 수 있다. 오직 하나의 챔버 포트(1530)만이 있을 수 있지만 적어도 2개가 최적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8은, 유입 가스 흐름이 실질적으로 원형, 순환 또는 와류 경로로 강제되도록, 챔버 포트(1530)의 상단부가 본체(1050)의 벽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챔버 채널(1520)과 연속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 효과는 피스톤 또는 액츄에이터(1400)의 움직임에 의해 와류 챔버(1500) 내부로 옮겨졌던 조성물의 컨테이너가 빠르게 스피닝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 가스 흐름 및 난류로 인해 조성물이 방출될 것이지만, 컨테이너가 지속적으로 부딪치거나(bump) 타격하여(knock) 컨테이너로부터 조성물이 쏟아지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1540)의 존재에 의해 방출이 크게 개선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다음으로, 혼입된 조성물을 갖는 가스 흐름은 디바이스(10)에 대해 이전에 설명된 방식으로 탈응집기(1700)를 통과하여 가스 배출구(1200)로 들어간다.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에 대해 설명된 방식으로 정확하게 장비에 사용 및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에서, 대상의 기도에 조성물을 투여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상기 디바이스는 다음을 포함한다:
유체 연통하는, 가스 유입구, 가스 배출구, 피스톤, 조성물 리셉터클 및 분산 챔버;
조성물 리셉터클은 피스톤의 상부 표면에 실질적으로 인접함;
분산 챔버는 조성물 리셉터클에 실질적으로 인접하여 위치되고 하나 이상의 챔버 포트들을 포함함; 그리고
분산 챔버에 실질적으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탈응집기;
피스톤은, 조성물 리셉터클이 실질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가스 유입구와 가스 배출구 사이의 가스 흐름이 제한되는 제1 구성과 가스 유입구와 가스 배출구 사이의 가스 흐름이 각각 독립적으로 (i) 가스 유입구를 통한 양압의 인가; 및 (ii) 가스 배출구를 통한 음압의 인가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제2 구성 사이에서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0) 및 디바이스(1000)와 같은 이 양태의 디바이스는 몇 가지 중요한 이점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유리하게, 디바이스(10) 및 디바이스(1000)와 같은 실시예는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가스 흐름 상태 모두에서 작동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 및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가스 배출구(200/1200)를 통한 흡입에 의해 대상에게 조성물을 자가 투여하기 위한 흡입기 디바이스로서; 그리고 예를 들어, 의식이 없거나 반응이 없는 환자에게 가스 유입구(100/1100)에 양압 가스를 인가하여 대상에게 조성물을 투여하기 위한 취입기 디바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가스 유입구(100/1100) 및 가스 배출구(200/1200)는 사용 시 마우스피스로 직접 사용되거나 추가 호흡 장비를 위한 연결 또는 피팅으로 사용될 가능성을 갖춰 유연성 및 다용성을 허용한다.
예로서, 디바이스(10) 및 디바이스(1000)가 흡입기 디바이스로 사용될 때, 대상은 가스 배출구(200/1200)를 마우스피스로 사용하여 가스 배출구(200/1200)를 통해 직접 흡입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스 배출구(200/1200)는, 디바이스(10) 및 디바이스(1000)가 취입기 디바이스로 사용되는 경우와 같이, 구강 내 마스크, 구강 마스크 등을 포함하는 마스크와 같은 적절한 호흡 장비, 및 기관 내 튜브, 성문 상부 기도, 후두 기도 등과 같은 첨단 기도 장비에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 예로서, 디바이스(10) 또는 디바이스(1000)는 가스 유입구(100/1100)를 통해, 디바이스(10) 또는 디바이스(1000)가 취입기 디바이스로 사용되는 경우와 같이, 인공호흡기, 압축 가스 공급기, 수동 인공호흡기, 자동 인공호흡기, 수요 밸브 인공호흡기 등과 같은 적절한 호흡 장비를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스 유입구(100/1100)는 사용자 또는 간병인에 의해 디바이스(10/1000)로 호기를 위한 마우스피스로서 직접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관점에서, 디바이스(10) 또는 디바이스(1000)와 같은 이 양태의 디바이스는 사용 시 유리한 유연성 및/또는 다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 또는 디바이스(1000)는 대상에 의한 조성물의 자가-투여를 위한 흡입기 디바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 또는 디바이스(1000)는 또한 조성물이 간병인으로부터의 인공 호흡과 함께 투여되는 소생 시나리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 또는 디바이스(1000)는 또한 조성물이 호흡기 마스크 또는 첨단 기도 장치를 사용하여 주입에 의해 투여되는 병원 시나리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 디바이스(10) 또는 디바이스(1000)와 같은 이 양태의 디바이스의 실시예는 대상의 특정 요구사항에 따라 투여량을 변경하도록 조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620/1620) 및/또는 프라이머(600/1600)의 블레이드의 크기 및/또는 수를 변경하거나 수정하여 조성물의 전달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더 많은 수 또는 더 큰 크기의 핀 또는 블레이드가 일반적으로 분산 챔버(500/1500)으로부터 조성물의 더 높은 방출 속도, 및 대상으로의 후속 전달을 허용한다는 점이 쉽게 이해될 것이다.
추가 예로서, 예를 들어 벽(510/1510) 또는 와류 챔버(500/1500)의 천장과 같은 분산 챔버(500/1500) 내에서 예를 들어 기다란 돌출부, 방사상으로 배향된 범프 또는 돌기와 같은 돌출부(540/1540)의 수, 위치 및/또는 높이는 조성물의 전달 속도를 조정하기 위해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다. 적어도 돌출부의 배열이 분산 챔버(500/1500) 내에서 컨테이너 또는 캡슐의 회전을 실질적으로 억제하거나 제한하지 않는 경우, 돌출부의 증가하는 수 및/또는 높이는 통상적으로 분산 챔버(500/1500)로부터의 조성물의 방출, 및 대상에게 후속 전달을 증가시킬 것이다.
유사하게, 탈응집기(700/1700)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가요성 부재 또는 스크린 특성과 관련하여) 탈응집기의 특징은 조성물 전달 속도를 조정하기 위해 수정되거나 조정될 수 있다.
유리하게, 디바이스(10) 또는 디바이스(1000)와 같은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또는 캡슐로부터의 전달과 관련하여 사용에 있어서 신뢰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구성과 제2 구성 둘 다 사이에서의 액츄에이터(400/1400) 구성이 (a) 컨테이너 또는 캡슐을 조성물 리셉터클(300/1300)에서 분산 챔버(500/1500)로 이동시키고; (b) 가스 유입구(100/1100)와 가스 배출구(200/1200) 사이의 가스 흐름에 의해 촉진되고 유지되는 배열은, 컨테이너 또는 캡슐의 원치 않는 변위 또는 변위 부족(예를 들어, '고착(sticking)')을 방지하거나 최소한 회피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추가로, 특히 조성물 리셉터클(300/1300)이 컨테이너 또는 캡슐을 적합하게 수용하도록 형성된 디바이스(10) 또는 디바이스(1000)와 같은 실시예는 성능의 변화가 제한적이거나 전혀 없이 임의의 방향으로 배치될 때 일반적으로 장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 전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 또는 디바이스(1000)와 같은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유입구(100/1100)에서 배출구(200/1200)까지의 본체(50/1050)를 통한 실질적으로 밀봉되거나 기밀한 가스 흐름 경로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밀봉된 흐름 경로는 조성물의 원치 않는 탈출 또는 누출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거나 적어도 제한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유리하게, 디바이스(10) 또는 디바이스(1000)와 같은 실시예, 특히 투여량 추적기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대상에게 전달되는 조성물의 투여량을 추정을 허용한다. 이는, 투여량 신뢰성에 도움이 될 수 있고, 과소 또는 과다 투여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있거나 과소 또는 과다 투여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게다가, 디바이스(1000)는 캡(1800)의 제거에 의해 단순히 사용하기 위한 디바이스(1000)의 용이한 장전에 있어서 뚜렷한 이점을 제공한다.
전술한 내용은 예시적인 실시예의 몇 가지 통상적인 이점의 비제한적인 목록이다.
본 발명의 추가 양상은 디바이스(10) 또는 디바이스(1000)와 같은 이전 양상의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대상의 기도에 조성물을 투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관련된 양상은 디바이스(10) 또는 디바이스(1000)와 같은 이전 양상의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대상의 기도에 유효량의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대상의 상태를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양상에 따른 대상은 인간 대상이다.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바와 같이, 이러한 양상에 따르면, 특정 상태와 관련된 특정 치료 목적을 포함하여, 특정 대상에 투여하기 위해 적합한 조성물이 선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투여되는 조성물은 대상의 상태 및 의학적 요건에 따라 대상의 기도에 투여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약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조성물은 건조 분말일 것이고, 하나 이상의 순수한, 또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활성 성분의 형태일 수 있다. 조성물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 예를 들어 충전제, 부형제 또는 희석제 외에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성분을 대안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대상의 기도에 투여되는 건조 분말 조성물의 입자 크기는 건조 분말의 치료 효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투여된 마이크로입자는 6 μm 미만의 d50 또는 MMAD(평균 질량 공기역학적 직경)를 가질 것이다. 당업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d50" 또는 "D50"은 미립자 샘플의 입자 직경이 50질량% 미만인 값을 지칭한다. d50 입자 MMAD는 바람직하게는 약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및 19㎛을 포함하는 약 0.5 내지 약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1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 2, 2.5, 3, 3.5, 4, 4.5, 5 및 5.5㎛를 포함하는 1 내지 6㎛이다. 디바이스(10)가 분산기(310) 및/또는 필터(330)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이전 값은 가스의 흐름으로 분산된 후 및/또는 필터(330)를 통과한 후의 입자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전달될 수 있는 활성제의 예는 베타-2-작용제,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바람직하게는, 항염증제)와 같은 스테로이드, 항콜린제, 류코트리엔 길항제, 류코트리엔 합성 억제제, 일반적으로 진통제 및 항염증제(스테로이드 및 비스테로이드 항염 모두 포함)와 같은 통증 완화 약물, 심장 배당체와 같은 심혈관 제제, 호흡기 약물, 항천식제, 기관지 확장제, 항암제, 알칼로이드(예를 들어, 맥각 알칼로이드) 또는 편두통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트립탄, 당뇨병 1형 및 2형 및 관련 장애의 치료에 유용한 약물(예를 들어, 설포닐우레아), 진정제 및 최면제를 포함한 수면 유도 약물, 정신 활력제, 식욕 억제제, 항관절염제, 항말라리아제, 항간질제, 항혈전제, 항고혈압제, 항부정맥제, 항산화제, 항우울제, 항정신병약, 보조제, 항경련제, 항구토제, 항감염제, 항히스타민제, 항진균제 및 항바이러스제, 파킨슨병과 같은 신경 장애 치료용 약물(도파민 길항제), 알코올 중독 및 기타 형태의 중독 치료용 약물, 발기 부전 치료에 사용되는 혈관 확장제와 같은 약물, 근육 이완제, 근육 수축제, 아편유사제, 각성제, 정신안정제, 마크로라이드,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플루오로퀴놀론 및 베타-락탐과 같은 항생제, 백신, 사이토카인, 성장 인자, 피임약을 포함한 호르몬제, 교감신경 흥분제, 이뇨제, 지질 조절제, 항안드로겐제, 항기생충제, 항응고제, 신생물제, 항종양제, 혈당강하제, 영양제 및 보조제, 성장 보조제, 항장염제, 백신, 항체, 진단제, 조영제 및 전술한 것들의 혼합물(예를 들어, 스테로이드와 베타 작용제를 모두 포함하는 천식 병용 치료제)를 포함한다.
활성제는 소분자(불용성 소분자 포함), 펩타이드, 폴리펩타이드, 단백질, 다당류, 스테로이드, 뉴클레오타이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지방, 전해질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여러 구조적 부류 중 하나에 속할 수 있다. 특정 예는 베타-2 작용제 살부타몰(예를 들어, 살부타몰 설페이트) 및 살메테롤(예를 들어, 살메테롤지나포에이트) 및 살메테롤(예를 들어, 살메테롤지나포에이트), 스테로이드 부데소니드 및 플루티카손(예를 들어,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심장 배당체 디곡신, 알칼로이드 항편두통 약물 디하이드로에르고타민메실레이트, 및 다른 알킬로이드 에르고타민, 파킨슨병 치료에 사용되는 알칼로이드 브로모크립틴, 수마트립탄, 리자트립탄, 나라트립탄, 프로바트립탄, 알모트립탄, 졸마트립탄, 모르핀 및 모르핀 유사체 펜타닐(예를 들어, 펜타닐 시트레이트), 글리벤클라미드(설포닐 우레아), 발륨, 트리아졸람, 알프라졸람, 미다졸람 및 클로나제팜과 같은 벤조디아제핀(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불면증이나 공황 발작을 치료하기 위해 최면제로 사용됨), 항정신병제 리스페리돈, 발기부전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포모르핀, 항감염성 암포테리신 B, 항생제 토브라마이신, 시프로플록사신 및 목시플록사신, 니코틴, 테스토스테론, 항콜린성 기관지확장제 이프라트로피움 브로마이드, 기관지확장제 포르모테롤, 모노클로날 항체 및 단백질 LHRH, 인슐린, 인간 성장 호르몬, 칼시토닌, 인터페론(예를 들어, 베타- 또는 감마-인터페론), EPO 및 인자 VIII, 뿐만 아니라 각각의 경우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에스테르, 유사체 및 이의 유도체(예를 들어, 전구약물 형태)를 포함한다.
잠재적으로 적합한 활성제의 추가 예는 아스파리기나제, 암독소비르(DAPD), 해독제, 베카플러민, 칼시토닌, 시아노비린, 데닐류킨디프티톡스, 에리트로포이에틴(EPO), EPO 작용제, 도마제 알파, 적혈구 생성 자극 단백질(NESP), 인자 VIIa, 인자 VIII, 인자 IX, 폰 빌레브란드 인자와 같은 응고 인자; 세레다제, 세레자임, 알파-글루코시다제, 콜라겐, 사이클로스포린, 알파 방어소, 베타 방어소, 엑세딘-4, 과립구 집락 자극 인자(GCSF), 트롬보포이에틴(TPO), 알파-1 단백분해효소 억제제, 엘카토닌, 과립구 대식세포 집락 자극 인자(GMCSF), 피브리노겐, 필그라스팀, 성장 호르몬, 성장 호르몬 방출 호르몬(GHRH), GRO-베타, GRO-베타 항체, 골 형성 단백질-2, 골 형성 단백질-6, OP-1과 같은 골 형성 단백질; 산성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CD-40 리간드, 헤파린, 인간 혈청 알부민, 저분자량 헤파린(LMWH), 인터페론 알파, 인터페론 베타, 인터페론 감마, 인터페론 오메가, 인터페론 타우와 같은 인터페론; 인터루킨 및 인터루킨 수용체, 예를 들어 인터루킨-1 수용체, 인터루킨-2, 인터루킨-2 융합 단백질, 인터루킨-1 수용체 길항제, 인터루킨-3, 인터루킨-4, 인터루킨-4 수용체, 인터루킨-6, 인터루킨-8, 인터루킨- 12, 인터루킨-13 수용체, 인터루킨-17 수용체; 락토페린 및 락토페린 단편, 황체형성 호르몬 방출 호르몬(LHRH), 인슐린, 프로인슐린, 인슐린 유사체, 아밀린, C-펩타이드, 소마토스타틴, 옥트레오티드를 포함한 소마토스타틴 유사체, 바소프레신, 난포 자극 호르몬(FSH), 인플루엔자 백신,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IGF), 인슐린트로핀, 대식세포 집락 자극 인자(M-CSF), 알테플라제, 유로키나제, 레테플라제, 스트렙토키나제, 파미테플라제, 라노테플라제 및 테네테플라제와 같은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 신경성장인자(NGF), 오스테오프로테게린, 혈소판유래성장인자, 조직성장인자, 형질전환성장인자-1, 혈관내피성장인자, 백혈병억제인자, 각질형성세포 성장인자(KGF), 신경교 성장인자(GGF), T 세포 수용체, CD 분자/항원, 종양 괴사 인자(TNF), 단핵구 화학 유인 단백질-1 내피 성장 인자, 부갑상선 호르몬(PTH),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소마토트로핀, 티모신 알파 1, 티모신 알파 1 IIb/IIIa 억제제, 티모신 베타 10, 티모신 베타 9, 티모신 베타 4, 알파-1 항트립신, 포스포디에스테라제(PDE) 화합물, VLA-4(매우 늦은 항원-4), VLA-4 억제제, 비스포스포네이트,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항체, 낭포성 섬유증 막횡단 조절제(CFTR) 유전자, 데옥시레이보뉴클레아제(Dnase), 살균/투과성 증가 단백질(BPI), 및 항-CMV 항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모노클로날 항체는, 에타너셉트(IgG1의 Fc 부분에 연결된 인간 75kD TNF 수용체의 세포외 리간드 결합 부분으로 구성된 이량체 융합 단백질), 압식시맙, 아펠리오모맙, 바실릭시맙, 다클리주맙, 인플릭시맙, 이브리투모맙티우엑세탄, 미투모맙, 무로모나브-CD3, 요오드 131 토시투모맙 접합체, 올리주맙, 리툭시맙, 및 트라스투주맙(허셉틴), 아미포스틴, 아미오다론, 아미노글루테티미드, 암사크린, 아나그렐리드, 아나스트로졸, 아스파라기나제, 안트라사이클린, 벡사로텐, 비칼루타미드, 블레오마이신, 부세렐린, 부설판, 카베르골린, 카페시타빈, 카르보플라틴, 카르무스틴, 클로람부신, 시스플라틴, 클라드리빈, 클로드로네이트, 시클로포스파미드, 시프로테론, 시타라빈, 캄프토테신, 13-시스 레티노산, 모든 트랜스레티노산; 다카바진, 닥티노마이신, 다우노루비신, 덱사메타손, 디클로페낙, 디에틸스틸베스트롤, 도세탁셀, 독소루비신, 에피루비신, 에스트라무스틴, 에토포시드, 엑세메스탄, 펙소페나딘, 플루다라빈, 플루드로코르티손, 플루오로우라실, 플루옥시메스테론, 플루타미드, 젬시타빈, 에피네프린, L-도파, 히드록시우레아, 이다루비신, 이포스파미드, 이마티닙, 이리노테칸, 이트라코나졸, 고세렐린, 레트로졸, 류코보린, 레바미솔, 로무스틴, 메클로레타민,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메게스트롤, 멜팔란, 머캅토퓨린, 메토트렉세이트, 메토클로프라미드, 미토마이신, 미토탄, 미톡산트론, 날록손, 니코틴, 닐루타미드, 옥트레오타이드, 옥살리플라틴, 파미드로네이트, 펜토스타틴, 필카마이신, 포르피머, 프레드니손, 프로카바진, 프로클로르페라진, 온단세트론, 랄티트렉세드, 시롤리무스, 스트렙토조신, 타크로리무스, 타목시펜, 테모졸로미드, 테니포사이드, 테스토스테론,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 탈리도마이드, 티오구아닌, 티오테파, 토포테칸, 트레티노인, 발루비신,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빈데신, 비노렐빈, 돌라세트론, 그라니세트론; 포르모테롤, 플루티카손, 류프롤리드, 미다졸람, 알프라졸람, 암포테리신 B, 포도필로톡신, 뉴클레오시드 항바이러스제, 아로일 히드라존, 수마트립탄; 에리트로마이신, 올레안도마이신, 트롤레안도마이신, 록시트로마이신, 클라리스로마이신, 다베르신, 아지트로마이신, 플루리트로마이신, 디리스로마이신, 조사마이신, 스피로마이신, 미데카마이신, 류코마이신, 미오카마이신, 로키타마이신, 안다지트로마이신, 및 스위놀리드 A와 같은 마크로라이드; 시프로플록사신, 오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트로바플록사신, 알라트로플록사신, 목시플록사신, 노르플록사신, 에녹사신, 그레파플록사신, 가티플록사신, 로메플록사신, 스파플록사신, 테마플록사신, 페플록사신, 아미플록사신, 플록사신, 토수플록사신, 프루리플록사신, 이르록사신, 파주플록사신, 클리나플록사신 및 시타플록사신과 같은 플로우로퀴놀린; 겐타마이신, 네틸마이신, 파라메신, 토브라마이신, 아미카신, 카나마이신, 네오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반코마이신, 테이코플라닌, 람폴라닌, 미데플라닌, 콜리스틴, 답토마이신, 그라미시딘, 콜리스티메타테이트와 같은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폴리믹신 B, 카프레오마이신, 바시트라신, 페넴과 같은 폴리믹신; 페니실린 G, 페니실린 V와 같은 페니실리나제-민감성 제제를 포함하는 페니실린; 메티실린, 옥사실린, 클록사실린, 디클록사실린, 플록사실린, 나프실린과 같은 페니실리나제 내성 제제; 암피실린, 아목시실린 및 헤타실린, 실린 및 갈람피실린과 같은 그람 음성 미생물 활성제; 카르베니실린, 티카르실린, 아즐로실린, 메즐로실린 및 피페라실린과 같은 항가성 페니실린; 세프포독심, 세프프로질, 세프트부텐, 세프티족심, 세프트리악손, 세팔로틴, 세파피린, 세팔렉신, 세프라드린, 세폭시틴, 세파만돌, 세파졸린, 세팔로리딘, 세파클로르, 세파드록실, 세팔로글리신, 세푸록심, 세포라니드, 세포탁심, 세파트리진, 세파세트릴, 세페핌, 세픽심, 세포니시드, 세포페라존, 세포테탄, 세프메타졸, 세프타지딤, 로라카르베프 및 목살락탐과 같은 세팔로스포린, 아즈트레오남과 같은 모노박탐; 이미페넴, 메로페넴, 펜타미딘이세티오우에이트, 알부테롤설페이트와 같은 카르바페넴; 리도카인, 메타프로테레놀설페이트, 베클로메타손디프레피오네이트, 트리암시놀론 아세트아미드, 부데소니드 아세토나이드, 플루티카손, 이프라트로피움 브로마이드, 플루니솔리드, 크로몰린 나트륨 및 에르고타민 타르트레이트; 파클리탁셀과 같은 탁산; SN-38; 티르포스틴을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약제는: Linezolid; 선택적으로 PDE5 억제제와 조합된 트레프로스티놀; 옥시토모듈린; 및 선택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고효능 NK1 길항제와 조합된 팔로노세트론을 포함한다.
전술한 예시적인 활성제는, 적용 가능한 경우, 그의 유사체, 작용제, 길항제, 억제제, 이성질체, 및 약물적으로 허용되는 염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펩타이드 및 단백질과 관련하여, 본 발명은 합성, 재조합, 천연, 글리코실화, 비글리코실화 및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이의 단편 및 유사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일부 통상적인 실시예에서, 조성물은 아드레날린, 글루코스, 글루카곤, 날록손, 인슐린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제들을 포함한다.
일부 통상적인 실시예에서, 조성물은 심부전, 심장 기능장애, 심장 정지, 아나필락시스, 약물 과다복용 등의 치료를 위한 마이크로입자, 나노입자, 마이크로캡슐, 나노캡슐, 마이크로구체, 및/또는 아드레날린 및/또는 아트로핀의 나노구체를 포함한다.
일부 통상적인 실시예에서, 조성물은 저혈당증, 당뇨병 유발 혼수 상태 등의 치료를 위한 미립자 글루코스 및/또는 글루카곤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건조 분말은 발작 치료를 위한 미립자 벤조디아제핀, 페니토인 또는 항발작 약물을 포함한다.
일부 통상적인 실시예에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백신과 같은 면역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제들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건조 분말은 홍역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거나 이에 대해 면역화하기 위한 홍역 백신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건조 분말은 B형 간염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거나 B형 간염에 대해 면역화하기 위한 B형 간염 백신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건조 분말은 인플루엔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거나 인플루엔자에 대해 면역화하기 위한 인플루엔자 백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을 단일의 개시된 실시예로 제한하거나 완전하게 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수많은 대안 및 변형은 상기 교시의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몇몇 대안적인 실시예가 구체적으로 논의되었지만, 다른 실시예는 당업자에 의해 명백하거나 비교적 용이하게 개발될 것이다. 본 발명은 본원에서 논의된 본 발명의 모든 대안, 수정 및 변형, 및 전술한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1)

  1. 조성물을 대상의 기도로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유체 연통하는:
    가스 유입구;
    가스 배출구;
    상부 표면(upper surface)과 하부 표면(lower surface)을 갖는 액츄에이터;
    상기 조성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조성물 리셉터클; 및
    분산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a)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하부 표면이 상기 디바이스로 들어가는 가스 흐름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가스 유입구에 인접하게 안착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상부 표면은 상기 조성물 리셉터클 내에 상기 조성물이 위치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상기 조성물 리셉터클의 하부 범위에 인접하는 제1 구성; 및
    (b)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하부 표면이 상기 가스 유입구를 통한 상기 디바이스 내부로의 가스 흐름 경로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제1 구성과 비교하여 상기 가스 배출구 방향으로 변위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상부 표면은 상기 조성물을 상기 분산 챔버 내부로 변위시키기 위해 상기 조성물 리셉터클의 상부 범위에 인접하는 제2 구성 사이에서 구성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i) 상기 가스 유입구를 통한 양압의 인가; 및
    (ii) 상기 가스 배출구를 통한 음압의 인가 각각을 통해 상기 제1 구성과 상기 제2 구성 사이에서 구성가능한,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에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조성물 리셉터클의 실질적으로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 구성에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적어도 일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조성물 리셉터클의 내부에 위치되는,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제1 구성에 있을 때, 상기 조성물 리셉터클은 인터피어런스 핏(interference fit) 또는 클리어런스 핏(clearance fit)으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챔버는, 상기 대상으로의 전달을 위해 상기 조성물 또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수용하고, 상기 대상의 기도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조성물을 상기 가스 유입구와 상기 가스 배출구 사이의 가스 흐름으로 분산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산 챔버는 상기 가스 유입구, 상기 가스 배출구, 상기 액츄에이터, 및 상기 조성물 리셉터클과 유체 연통하는,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제1 구성에서 상기 제2 구성으로 구성될 때, 상기 분산 챔버는 상기 조성물 또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챔버는 상기 가스 유입구와 상기 가스 배출구 사이의 가스 흐름이 들어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챔버 포트들과 연속적인,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챔버 포트들은 상기 제2 구성에서 상기 가스 유입구와 상기 분산 챔버 사이에 연속적인 흐름 경로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챔버는 그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로부터 상기 대상의 기도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조성물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라이머를 추가로 포함하는,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라이머는 전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대상의 기도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상기 컨테이너를 천공하거나 절단하거나, 또는 그의 밀봉, 멤브레인 또는 쉘을 천공 또는 절단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핀 또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구 위에 위치된 제거가능한 캡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거가능한 캡의 제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라이머의 활성화를 야기하는, 디바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챔버에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가스 유입구, 상기 가스 배출구, 상기 액츄에이터, 상기 조성물 리셉터클 및 상기 분산 챔버와 유체 연통하는 탈응집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디바이스.
  13. 제1항에 기재된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대상의 기도에 조성물을 투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조성물, 또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조성물 리셉터클 내부에 배치하는 단계;
    가스 배출구를 상기 대상의 기도와 연결하는 단계; 및
    가스 유입구와 상기 가스 배출구 사이에 가스 흐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은 상기 가스 배출구를 통해 상기 대상의 기도로 상기 가스 흐름에 의해 전달되고,
    이에 의해 상기 대상의 기도에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의식이 있고 및/또는 반응이 있으며, 상기 투여는 자가-투여인, 방법.
  15. 제13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의식이 없고 및/또는 반응이 없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i) 상기 가스 유입구를 통한 양압의 인가; 또는 (ii) 가스 배출구를 통한 음압의 인가 중 하나에 의해 상기 제1 구성에서 상기 제2 구성으로 구성되는, 방법.
  17. 조성물을 대상의 기도로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유체 연통하는:
    가스 유입구;
    가스 배출구;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을 갖는 플로팅 피스톤 액츄에이터(floating piston actuator);
    상기 조성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조성물 리셉터클;
    상기 조성물 리셉터클과 상기 가스 배출구 사이에 위치된 분산 챔버; 및
    상기 가스 유입구와 상기 분산 챔버 사이에 가스 흐름 경로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챔버 포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플로팅 피스톤 액츄에이터는:
    (a) 상기 플로팅 피스톤 액츄에이터의 상기 하부 표면이 상기 하나 이상의 챔버 포트들로 들어가는 가스 흐름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가스 유입구에 인접하게 안착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상부 표면은 상기 조성물 리셉터클 내에 상기 조성물이 위치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상기 조성물 리셉터클의 하부 범위에 인접하는 제1 구성; 및
    (b) 상기 플로팅 피스톤 액츄에이터의 상기 하부 표면이 상기 하나 이상의 챔버 포트들을 통한 가스 흐름 경로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제1 구성과 비교하여 상기 가스 배출구 방향으로 변위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상부 표면은 상기 조성물을 상기 분산 챔버 내부로 변위시키기 위해 상기 조성물 리셉터클의 상부 범위에 인접하는 제2 구성 사이에서 구성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i) 상기 가스 유입구를 통한 양압의 인가; 및
    (ii) 상기 가스 배출구를 통한 음압의 인가 각각을 통해 상기 제1 구성과 상기 제2 구성 사이에서 구성될 수 있는,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챔버는 상기 가스 유입구와 상기 분산 챔버 사이의 상기 가스 흐름이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챔버 포트들을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성으로의 상기 플로팅 피스톤 액츄에이터의 이동은 상기 플로팅 피스톤 액츄에이터가 상기 조성물 리셉터클 내에 위치되게 하는, 디바이스.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에 있을 때, 상기 플로팅 피스톤 액츄에이터의 상기 하부 표면은 상기 가스 유입구의 내부 표면의 립 또는 플랜지 상에 밀봉가능하게 안착되는, 디바이스.
  21. 조성물을 대상의 기도로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유체 연통하는:
    가스가 상기 디바이스로 진입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상기 디바이스의 제1 단부에 위치되고, 그 내부 표면 상에 립 또는 플랜지를 갖는 가스 유입구;
    상기 제1 단부 반대쪽에 있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2 단부에 위치된 가스 배출구;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을 갖는 플로팅 피스톤 액츄에이터;
    상기 조성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조성물 리셉터클;
    상기 조성물 리셉터클과 상기 가스 배출구 사이에 위치된 분산 챔버;
    상기 가스 유입구와 상기 분산 챔버 사이에 비선형 가스 흐름 경로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챔버 포트들; 및
    상기 분산 챔버의 상부 범위와 상기 가스 배출구 사이에 위치된 탈응집기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팅 피스톤 액츄에이터는:
    (a) 상기 플로팅 피스톤 액츄에이터의 상기 하부 표면이 상기 하나 이상의 챔버 포트들로 들어가는 가스 흐름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가스 유입구의 상기 립 또는 상기 플랜지에 밀봉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상부 표면은 상기 조성물 리셉터클 내에 상기 조성물이 위치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상기 조성물 리셉터클의 하부 범위에 인접하는 제1 구성; 및
    (b) 상기 플로팅 피스톤 액츄에이터의 상기 하부 표면이 상기 하나 이상의 챔버 포트들을 통한 가스 흐름 경로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제1 구성과 비교하여 상기 가스 배출구 방향으로 변위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상부 표면은 상기 조성물을 상기 분산 챔버 내부로 변위시키기 위해 상기 조성물 리셉터클의 상부 범위에 인접하는 제2 구성 사이에서 구성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i) 상기 가스 유입구를 통한 양압의 인가; 및
    (ii) 상기 가스 배출구를 통한 음압의 인가 각각을 통해 상기 제1 구성과 상기 제2 구성 사이에서 구성될 수 있는, 디바이스.
KR1020227001159A 2019-06-24 2020-06-16 호흡 전달 디바이스 및 방법 KR202200441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450,077 2019-06-24
US16/450,077 US10828432B1 (en) 2019-06-24 2019-06-24 Respiratory delivery device and method
PCT/AU2020/050606 WO2020257843A1 (en) 2019-06-24 2020-06-16 Respiratory delivery device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188A true KR20220044188A (ko) 2022-04-06

Family

ID=82593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1159A KR20220044188A (ko) 2019-06-24 2020-06-16 호흡 전달 디바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828432B1 (ko)
EP (1) EP3986515B1 (ko)
JP (1) JP7451574B2 (ko)
KR (1) KR20220044188A (ko)
CN (1) CN115038483B (ko)
AU (1) AU2020308956A1 (ko)
CA (1) CA3144230A1 (ko)
DE (1) DE20833485T1 (ko)
DK (1) DK3986515T3 (ko)
FI (1) FI3986515T3 (ko)
IL (1) IL289316A (ko)
PL (1) PL3986515T3 (ko)
RS (1) RS65157B1 (ko)
WO (1) WO20202578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7621B2 (en) 2019-06-24 2023-08-08 De Motu Cordis Pty Ltd Automatic dispenser for respiratory delivery device
US11793951B2 (en) 2019-06-24 2023-10-24 De Motu Cordis Pty Ltd Automatic dispenser for respiratory delivery devic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1308A (en) * 1990-02-14 1993-04-13 Newhouse Michael T Powder inhaler
CA2069753A1 (en) * 1990-07-27 1992-01-28 Franco Del Bon Inhalation device
US5507281A (en) * 1990-08-30 1996-04-16 Boehringer Ingelheim Kg Device for initiating a mechanical switching operation in synchronism with the breathing
FR2676929B1 (fr) * 1991-05-30 1994-02-11 Aerosols Bouchage Ste Fse Inhalateur de poudres.
WO1995005208A1 (en) * 1993-08-18 1995-02-23 Fisons Plc Inhalator with breath flow regulation
JP3388896B2 (ja) * 1994-08-08 2003-03-24 株式会社日立ユニシアオートモティブ 吸入式投薬器
JPH09253208A (ja) * 1996-03-21 1997-09-30 Unisia Jecs Corp 鼻腔用投薬器
DE19825434C2 (de) * 1998-01-30 2002-03-28 Ig Spruehtechnik Gmbh Inhalationsgerät für pulverförmige Medikamente
GB0016123D0 (en) * 2000-07-01 2000-08-23 Glaxo Group Ltd Valve for aerosol container
DE10047722A1 (de) * 2000-09-27 2002-04-11 Schuckmann Alfred Von Von Saugluftstrom des Benutzers aktivierbare Dosiervorrichtung
US6766799B2 (en) * 2001-04-16 2004-07-27 Advanced Inhalation Research, Inc. Inhalation device
US6779520B2 (en) * 2001-10-30 2004-08-24 Iep Pharmaceutical Devices Inc. Breath actuated dry powder inhaler
JP3950738B2 (ja) 2002-05-14 2007-08-01 株式会社 バイオアクティス 鼻腔用粉状薬剤施薬装置
SI1386630T1 (sl) * 2002-07-31 2006-10-31 Chiesi Farma Spa Inhalator za prasek
AU2003285246A1 (en) * 2002-12-02 2004-06-23 The Governors Of The University Of Alberta Device and method for deagglomeration of powder for inhalation
JP2004344505A (ja) 2003-05-23 2004-12-09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吸入式投薬器
DE102004041524B4 (de) * 2004-08-27 2013-03-21 Sanofi Sa Inhalator für pulverförmige, insbesondere medizinische Substanzen
GB0420513D0 (en) * 2004-09-15 2004-10-20 Optinose As Powder delivery devices
GB0426780D0 (en) 2004-12-07 2005-01-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 Pressurized inhalation devices
US8763605B2 (en) 2005-07-20 2014-07-01 Manta Devices, Llc Inhalation device
GB0604444D0 (en) * 2006-03-06 2006-04-12 Optinose As Nasal devices
EP1844805A1 (de) * 2006-04-13 2007-10-17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KG Inhalator
US7806117B2 (en) * 2006-06-07 2010-10-05 Shin Nippon Biomedical Laboratories, Ltd. Peroral powder delivery device
US8522775B2 (en) * 2006-06-16 2013-09-03 Cipla Limited Dry powder inhaler
DE102006044756A1 (de) * 2006-09-20 2008-04-10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Inhalator
GB0623728D0 (en) 2006-11-28 2007-01-10 Optinose As Delivery devices
DE102007053590A1 (de) * 2007-11-09 2009-05-14 Astra Zeneca Ab Handgerät zum Inhalieren von Substanzen
EP3323423B1 (en) * 2009-09-28 2020-06-17 Intarcia Therapeutics, Inc Rapid establishment and/or termination of substantial steady-state drug delivery
EP2790760B1 (en) * 2011-12-16 2016-03-09 Sanofi SA A device for administering a powdered medicament to a patient by inhalation
MX2015001321A (es) * 2012-07-31 2015-04-08 Sanofi Sa Arreglo para un dispositivo de administracion de farmaco.
KR101466616B1 (ko) 2012-10-11 2014-11-28 한미약품 주식회사 건조분말 흡입장치
GB2516434B (en) * 2013-07-19 2015-11-25 Consort Medical Plc Fluid delivery device
WO2016115379A1 (en) 2015-01-14 2016-07-21 Respira Therapeutics, Inc. Powder dispersion methods and devices
WO2018051371A2 (en) 2016-09-16 2018-03-22 Cipla Limited Powder dispenser
GB201707095D0 (en) 2017-05-04 2017-06-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Inhaler flow control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86515A1 (en) 2022-04-27
IL289316A (en) 2022-02-01
RS65157B1 (sr) 2024-02-29
DE20833485T1 (de) 2022-09-01
CA3144230A1 (en) 2020-12-30
CN115038483B (zh) 2024-04-09
CN115038483A (zh) 2022-09-09
US10828432B1 (en) 2020-11-10
WO2020257843A1 (en) 2020-12-30
DK3986515T3 (da) 2024-02-05
AU2020308956A1 (en) 2022-02-17
EP3986515B1 (en) 2024-01-03
PL3986515T3 (pl) 2024-04-08
FI3986515T3 (fi) 2024-01-31
JP7451574B2 (ja) 2024-03-18
JP2022539075A (ja) 2022-09-07
EP3986515A4 (en) 202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4671B2 (en) Aerosolization apparatus with capsule puncture alignment guide
RU2487730C2 (ru) Емкость для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аэрозоль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US7669596B2 (en) Aerosolization apparatus with rotating capsule
USRE47526E1 (en) Aerosolization apparatus with air inlet shield
KR20220044189A (ko) 호흡기 전달 디바이스용 자동 분배기
US20040206350A1 (en) Aerosolization apparatus with non-circular aerosolization chamber
KR20220044188A (ko) 호흡 전달 디바이스 및 방법
EP3519025B1 (en) Delivery device
RU281522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препарата в дыхательные пути пациента
RU2819514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дозатор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препарата в дыхательные пути пациента
US11717621B2 (en) Automatic dispenser for respiratory delivery device
US11793951B2 (en) Automatic dispenser for respiratory delivery device and method
US20230364362A1 (en) Respiratory delivery device
MXPA06005572A (en) Efficient introduction of an aerosol into a ventilator circu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