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3604A - 방호복 자동 반전장치 - Google Patents

방호복 자동 반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3604A
KR20220043604A KR1020200127206A KR20200127206A KR20220043604A KR 20220043604 A KR20220043604 A KR 20220043604A KR 1020200127206 A KR1020200127206 A KR 1020200127206A KR 20200127206 A KR20200127206 A KR 20200127206A KR 20220043604 A KR20220043604 A KR 20220043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lothing
pair
rod
fixtur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환
박영민
김대석
Original Assignee
한국패션산업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패션산업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패션산업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27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3604A/ko
Publication of KR20220043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41H43/025Folding, unfolding or turning over
    • A41H43/0264Turning ov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호복 제조과정에서 내면과 외면을 자동으로 뒤집을 수 있는 방호복 자동 반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호복의 목 부위를 방호복 고정구에 고정하고, 내부로 한 쌍의 로드가 전진 및 후진하여 방호복을 뒤집는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작업으로 인한 재오염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인건비를 절감하며,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호복 자동 반전장치{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versing protective suit}
본 발명은 방호복 제조과정에서 내면과 외면을 자동으로 뒤집을 수 있는 방호복 자동 반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호복의 목 부위를 방호복 고정구에 고정하고, 내부로 한 쌍의 로드가 전진 및 후진하여 방호복을 뒤집는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작업으로 인한 재 오염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인건비를 절감하며,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방호복 자동 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호복이란 신체 표면의 오염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개인이 착용하는 특수한 의복으로, 연구실, 실험실, 원자력 발전소, 화학공장이나, 분진 발생장소 뿐만 아니라 병원에서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등 폭넓게 활용된다.
이러한 방호복은 그 사용목적에 따라 후드를 포함하거나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지만, 대체로 오염물질의 내부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의와 하의가 일체로 구성되는 단순한 형상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통상적인 방호복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78347호의 '개선된 후드를 갖는 방호복'과 등록특허 제10-0843574호의 '방호복'이 개시되어 있다.이들을 살펴보면 상의 및 하의가 일체로 구성되고, 방호복의 착용과 탈의를 위하여 목부위부터 허리부위까지 절개되며, 이 절개부에 슬라이드 패스너 또는 벨크로 등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그런데, 방호복 내부가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고 오염물질의 유입을 완전히 차단하기 위해서는 연결부위의 실링처리 또는 내부의 멸균처리 등이 중요하므로, 이를 위하여 신체에 접촉되는 내면을 먼저 실링처리 또는 멸균 처리한 다음 외면이 겉으로 드러나도록 뒤집는 과정을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주로 수작업으로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양의 방호복을 일일이 뒤집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단순작업을 위한 다수의 인력이 요구되어 인건비로 인해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자의 손에 접촉되는 방호복이 작업과정에서 오염되는 문제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8347호 (개선된 후드를 갖는 방호복)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3574호 (방호복)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방호복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방호복을 뒤집는 단순한 작업을 자동화하여 수작업으로 인한 재 오염을 차단하고,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의 낭비를 방지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방호복 자동 반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기둥 형상의 측면에 연결구 결합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 상부에 외측으로 볼록한 호형을 갖는 목 걸림부와, 목 걸림부의 후면 중심을 따라 목 걸림홈이 형성되어 방호복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으며, 좌우 대칭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방호복 고정구, 상기 방호복 고정구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판형상을 관통하는 한 쌍의 가이드홀이 대칭형성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한 방호복 고정구의 연결구 결합홈과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구 결합홀이 형성되어 한 쌍의 방호복 고정구를 연결하는 연결구, 상기 연결구가 직선왕복운동하도록 결합되는 제1 실린더, 길이가 긴 봉형태의 선단에 원반형상의 바짓단 걸림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로드, 상기 로드의 타단이 양쪽에 고정되고, 하부 양측에 레일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로드 지지구, 상기 로드 지지구가 직선왕복운동하도록 결합되는 제2 실린더 및 상기 로드 지지구의 레일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한 쌍의 레일홈이 상면에 형성되어 로드 지지구가 레일홈을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도록 안내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의 가이드홀은 방호복 고정구 사이의 간격이 이동방향에 따라 달라지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간격이 멀어지는 대칭곡선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호복 고정구의 목 걸림부는 탄성과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형성하여 원단을 보호하고 고정력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방호복의 목 부위가 방호복 고정구에 의해 확장 및 고정되고, 내부로 한 쌍의 로드가 전진 및 후진하여 방호복을 뒤집는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기계화, 자동화를 통해 인건비를 절감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수작업 시 접촉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 자동 반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방호복의 목 부위를 고정구에 고정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고정구가 삽입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방호복의 목 부위를 확장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방호복 내부로 로드를 삽입하여 관통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로드가 후진하여 방호복 내외면의 반전이 시작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고정구가 전진하면서 방호복의 목 부위가 축소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반전된 방호복을 방호복 자동 반전장치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요소의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되어", "포함되어",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형성, 포함, 결합 또는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 자동 반전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각각 도 1의 평면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고정부(100)과 삽입부(200)로 나눌 수 있으며, 고정부(100)는 한 쌍의 방호복 고정구(110,120), 방호복 고정구(110,120)를 안내하는 가이드홀(131,132)이 대칭으로 형성된 가이드판(130), 방호복 고정구(110,120)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구(140), 연결구(140)가 직선왕복운동하도록 결합되는 제1 실린더(150)를 구비하고, 삽입부(200)는 일단에 바짓단 걸림부(211)가 형성된 한 쌍의 로드(210), 로드(210)의 타단을 고정하는 로드 지지구(220), 로드 지지구(220)가 직선왕복운동하도록 결합되는 제2 실린더(240), 로드 지지구(220)가 결합되어 직선왕복운동하도록 안내하는 레일(230)을 구비한다.
방호복 고정구(110,120)는 방호복(S)의 목 부위를 걸어서 개구부를 확보하기 위한 구성으로, 원기둥 형상의 몸체(113,123) 상부에 방호복(S)의 목 부위를 탄력을 갖고 당길 수 있는 목 걸림부(111,121)가 구비되며, 목 걸림부(111,121)의 후면에 방호복(S)의 목 부위를 끼워서 고정할 수 있는 목 걸림홈(112,122)이 형성된다.
방호복(S)의 목 부위를 양방향으로 당겨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방호복 고정구(110,120)가 좌우 대칭형상을 이루어 대칭방향으로 이동하며, 목 걸림부(111,121) 역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을 갖고, 후면에는 방호복(S)의 목 부위를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중심을 따라 목 걸림홈(112,122)이 형성된다.
이때, 목 걸림부(111,121)는 탄성과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형성하여 원단의 손상을 방지하고 고정력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호복 고정구(110,120)의 몸체(113,123)는 후술할 가이드판(130)의 가이드홀(131,132)을 관통하여 연결구(140)와 결합되며, 이를 위하여 몸체(113,123) 측면에는 연결구 결합홈(114,124)이 형성되어 연결구(140)의 고정구 결합홀(141,142)에 결합된다.
따라서 연결구(140)의 전진 또는 후진에 의해 방호복 고정구(110,120)가 가이드홀(131,13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방호복 고정구(110,120)를 안내하는 가이드판(130)은 도 2와 같이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방호복 고정구(110,1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131,132)이 관통 형성되어 방호복 고정구(110,120)의 하부가 접촉된 상태로 가이드홀(131,13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홀(131,132)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간격이 멀어지는 대칭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방호복 고정구(110,120)가 후진할 때는 방호복(S)의 목 부위가 양방향으로 당겨서 팽팽하게 고정되고, 반대로 방호복 고정구(110,120)가 전진할 때는 방호복(S)의 목 부위가 느슨해져서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방호복 고정구(110,120)의 연결구 결합홈(114,124)과 결합되는 연결구(140)는 제1 실린더(150)에 의해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연결되며, 따라서 제1 실린더(150)에 의해 연결구(140)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방호복 고정구(110,120)도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이때, 방호복 고정구(110,120)의 연결구 결합홈(114,124)과 결합되는 연결구(140)의 고정구 결합홀(141,142)은 도 3과 같이 상기 가이드홀(131,132)의 이동 최대폭 길이의 장공으로 형성하여 방호복 고정구(110,120) 사이의 거리가 일정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부(100)의 후방에는 고정부(100)에 의해 고정된 방호복(S)의 내부로 한 쌍의 로드(210)를 삽입하는 삽입부(200)가 배치된다.
길기가 긴 봉형상을 갖는 로드(210)의 선단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반형상의 바짓단 걸림부(211)가 형성되어 방호복(S)의 바짓단이 걸리도록 구성되고, 타단은 로드 지지구(220)에 고정된다.
한 쌍의 로드(210)가 양쪽에 고정되는 로드 지지구(220)의 하부 중심에는 제2 실린더(240)가 결합되어 직선왕복운동하게 되며, 이를 돕기 위해서 로드 지지구(220)의 하부 양측에 레일 결합돌기(221,222)가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레일(230) 상면의 레일홈(231,232)과 결합된다.
도 4 내지 도 9는 방호복의 내면(S in)과 외면(S out)이 반전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호복 자동 반전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방호복 자동 반전장치(10)의 방호복 고정구(110,120)는 가이드홀(131,132)의 전방에 위치하고, 한 쌍의 로드(210)는 최대로 후진된 상태에서 실링처리나 멸균처리가 완료된 내면(S in)이 겉으로 드러난 상태의 방호복을 준비한다.
도 4는 방호복의 목 부위를 고정구에 고정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으로, 작업자가 방호복(S)의 목 부위를 개방하여 도 4와 같이 한 쌍의 방호복 고정구(110,120)를 감싸도록 씌운 다음 방호복 고정구(110,120)의 후면에 형성된 목 걸림홈(112,122)에 방호복(S)의 목 부위를 끼워서 고정한다.
그러면, 방호복(S)의 목 부위가 방호복 고정구(110,120)의 형상을 따라 타원형으로 개방되어 로드(210)의 출입이 원활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고정구가 삽입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방호복의 목 부위를 확장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으로, 제1 실린더(150)에 의해 연결구(140)가 삽입부(200)을 향해 이동하면 연결구(140)와 결합된 방호복 고정구(110,120)가 가이드홀(131,132)을 따라 후진하게 된다.
이때, 도 2와 같이 가이드홀(131,132)이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벌어지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방호복 고정구(110,120)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며, 방호복(S)의 목 부위가 양방향으로 당겨서 최대로 개방되고 팽팽하게 고정된다.
도 6은 방호복 내부로 로드를 삽입하여 관통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과 같이, 제2 실린더(240)에 의해 한 쌍의 로드(210)가 전진하여 고정된 방호복(S)의 내부로 삽입되며, 최대로 전진한 상태에서 로드(210)의 선단에 형성된 바짓단 걸림부(211)가 방호복(S)의 발목 부위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도 7은 로드가 후진하여 방호복 내면(S in)과 외면(S out)의 반전이 시작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7처럼 로드(210)가 반대방향으로 후진하면서 방호복(S)의 발목 부위가 로드(210)의 선단에 형성된 바짓단 걸림부(211)에 걸리기 때문에 로드(210)가 후진함에 따라 방호복(S)의 발목 부위부터 반전이 시작되고 외면(S out)이 겉으로 드러나게 된다.
로드(210)가 최대로 후진한 상태에서 방호복(S)이 일부 반전되고, 고정구가 전진하면서 반전이 더 진행된다.
도 8은 고정구가 전진하면서 방호복의 목 부위가 축소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방호복 고정구(110,120)가 후진하면서 방호복의 목 부위를 확장할 때와는 반대로 도 8과 같이 방호복 고정구(110,120)가 전진하면서 서로 간격이 가까워지고 따라서 방호복의 목 부위는 축소되어 느슨해진다.
도 9는 반전된 방호복을 방호복 자동 반전장치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9와 같이 작업자가 느슨해진 방호복의 목 부위를 고정구에서 분리하여 자신을 향하여 당기면 방호복의 반전이 완료되고 결국 방호복(S)의 발목 부위가 로드(210)의 바짓단 걸림부(211)로부터 이탈되어 최종적으로 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호복 자동 반전장치(10)을 이용하면 수작업의 번거로운 작업을 줄여 작업자의 수고를 덜고 소요되는 인력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오염의 위험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방호복 자동 반전장치 100 : 고정부
110,120 : 방호복 고정구 111,121 : 목 걸림부
112,122 : 목 걸림홈 113,123 : 연결구 결합홈
130 : 가이드판 131,132 : 가이드홀
140 : 연결구 141,142 : 고정구 결합홀
150 : 제1 실린더 200 : 삽입부
210 : 로드 211 : 바짓단 걸림부
220 : 로드 지지구 221,222 : 레일 결합돌기
230 : 레일 231,232 : 레일홈
240 : 제2 실린더 S : 방호복
S in : 내면 S out : 외면

Claims (3)

  1. 원기둥 형상의 측면에 연결구 결합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 상부에 외측으로 볼록한 호형을 갖는 목 걸림부와, 목 걸림부의 후면 중심을 따라 목 걸림홈이 형성되어 방호복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으며, 좌우 대칭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방호복 고정구;
    상기 방호복 고정구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판형상을 관통하는 한 쌍의 가이드홀이 대칭형성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한 방호복 고정구의 연결구 결합홈과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구 결합홀이 형성되어 한 쌍의 방호복 고정구를 연결하는 연결구;
    상기 연결구가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결합되는 제1 실린더;
    길이가 긴 봉형태의 선단에 원반형상의 바짓단 걸림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로드;
    상기 로드의 타단이 양쪽에 고정되고, 하부 양측에 레일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로드 지지구;
    상기 로드 지지구가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결합되는 제2 실린더; 및
    상기 로드 지지구의 레일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한 쌍의 레일홈이 상면에 형성되어 로드 지지구가 레일홈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안내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복 자동 반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의 가이드홀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간격이 멀어지는 대칭곡선형상으로 이루어져 방호복 고정구 사이의 간격이 이동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복 자동 반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복 고정구의 목 걸림부는 탄성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복 자동 반전장치.
KR1020200127206A 2020-09-29 2020-09-29 방호복 자동 반전장치 KR20220043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206A KR20220043604A (ko) 2020-09-29 2020-09-29 방호복 자동 반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206A KR20220043604A (ko) 2020-09-29 2020-09-29 방호복 자동 반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604A true KR20220043604A (ko) 2022-04-05

Family

ID=81182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206A KR20220043604A (ko) 2020-09-29 2020-09-29 방호복 자동 반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360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574B1 (ko) 2007-10-15 2008-07-03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방호복
KR20160078347A (ko) 2013-10-29 2016-07-04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개선된 후드를 갖는 방호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574B1 (ko) 2007-10-15 2008-07-03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방호복
KR20160078347A (ko) 2013-10-29 2016-07-04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개선된 후드를 갖는 방호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6915A (ko) 착탈 가능한 안경 걸쇠
JP3777432B2 (ja) 防塵衣
KR20220043604A (ko) 방호복 자동 반전장치
AU745085B2 (en) Device for adjusting the width of the waistband of a skirt or a pair of trousers
KR200456944Y1 (ko) 방진 마스크용 지지구
US4528726A (en) Cuff link
JPS58191203A (ja) ウエストバンド用締付具
US5016289A (en) Epaulet stiffener
KR200419781Y1 (ko) 지퍼의 슬라이더
US2174789A (en) Curtain stretching device
CN214710608U (zh) 一种连体式防护服
ES2103839T3 (es) Dispositivo de posicionamiento en maquinas de coser para cerrar la punta del pie en calcetines o similares.
KR200295781Y1 (ko) 코 마스크
US2121251A (en) Invisible suspender
KR200482144Y1 (ko) 위생 마스크용 잠금용 지지대
CN212368478U (zh) 一种新型自对准拉链
JP3215213U (ja) 装飾具
JPH0435287Y2 (ko)
JP3059549U (ja) 無塵服
GB2555819A (en) Tie assembly
KR20000012768U (ko) 안전 가이드가 형성된 슬라이드 파스너
KR200367943Y1 (ko) 슬라이드파스너용 스토퍼
JP2571862Y2 (ja) 衛生ケープ
KR200288100Y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화스너
JP3100263U (ja) ネックレス金具の移動防止機能を有するバチカ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