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3595A - 유로전환장치 - Google Patents

유로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3595A
KR20220043595A KR1020200127166A KR20200127166A KR20220043595A KR 20220043595 A KR20220043595 A KR 20220043595A KR 1020200127166 A KR1020200127166 A KR 1020200127166A KR 20200127166 A KR20200127166 A KR 20200127166A KR 20220043595 A KR20220043595 A KR 20220043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hole
valve
flow path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준호
송성배
정문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7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3595A/ko
Priority to DE112021005183.0T priority patent/DE112021005183T5/de
Priority to PCT/KR2021/013253 priority patent/WO2022071723A1/ko
Priority to US18/028,339 priority patent/US20230228336A1/en
Publication of KR20220043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11/07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 F16K11/085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having all the connecting conduits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03Housing formed from a plurality of the same val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 F25B25/005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using primary and secondar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03Indoor unit with water as a heat sink or hea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0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ree pipes connecting the outdoor side to the indoor side with multiple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25B2313/023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in paralle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07Flow-diverting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유로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장치는, 실내기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제1노즐과, 상기 실내기로 유체를 보내는 제2노즐과, 상기 제1노즐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복수의 이너유출관과, 상기 제2노즐로 공급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복수의 이너유입관과, 복수의 이너유출관과 상기 제1노즐을 연통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과 상기 제2노즐을 연통시키는 공간이 형성된 유로연결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유로연결부의 상기 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배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 중 하나의 배관과 상기 제1노즐을 연결하는 제1챔버와, 상기 복수의 이너유출관 중 하나의 배관과 상기 제2노즐을 연결하는 제2챔버가 형성된 밸브; 상기 복수의 이너유출관과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은, 상기 유로연결부의 동일한 일측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가 회전하는 회전축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Description

유로전환장치{Flow path swit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로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장치는 소정공간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공기조화장치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되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 할 수 있다.
최근에는 환경규제 정책에 따라 공기조화장치에 사용되는 냉매의 종류와 냉매 충진량이 제한되고 있다. 또한, 냉매 누설 등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공기조화장치에서 순환되는 냉매라인이 실내 공간으로 설치되는 것을 제한하는 움직임이 있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냉매의 량을 줄이고, 실내공간으로 냉매라인을 제거하도록, 물을 이용한 라인을 추가하여, 실내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선행문헌JP 5236009 에서는, 냉매와 물이 열교환하고, 열교환된 물을 복수의 실내기로 공급하여 실내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냉매와 열교환된 물을 복수의 실내기 각각으로 보내기 위한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JP 6192706에서는, 2개의 열교환기를 통해 냉각 또는 가열되어 유동하는 물을 복수의 실내기 각각으로 개별공급하기 위한 유로전환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상기문헌에서 개시하는 유로전환장치는, 유로를 전환하는 밸브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열교환기와 연결되는 물배관이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복수의 실내기와 연결을 위한 복수의 밸브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밸브가 연장되는 방향으로만 배치되어야 하는 공간적 제약이 있다.
밸브 내부에는, 실내기에서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는 노즐과 열교환기로 유동하는 물배관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물의 이동공간이 많아져, 물배관에 필요한 물의 량이 증가하는 문제와, 물이 유동하는 유로가 급격하게 꺽여 유동하여 유동저항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로전환장치는, 다양한 형태변형이 가능하여, 배치되는 공간의 크기나 형태에 맞게 외형을 변형 및 조절할 수 있는 유로전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밸브 내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물배관을 유동하는 유체량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즉, 열교환기 이외의 영역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영역을 최소화하여, 유체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열이 손실되거나,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밸브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즉, 밸브 내부에서 여러방향으로 유로가 변경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동손실을 최소화하는 유로전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유로전환장치는, 중계장치에 배치되는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유체를 실내기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복수의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각각의 유체를 선택적으로 실내기로 공급하여, 실내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장치는, 복수의 노즐과, 복수의 노즐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이너유출관과, 복수의 이너유입관과, 밸브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유로연결부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유로연결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밸브와, 상기 밸브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로전환장치는, 다양한 형태적인 변형이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이너유출관과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 각각은, 상기 밸브가 회전하는 회전축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즉, 복수의 이너유출관과 복수의 이너유입관의 상하방향으로 노즐이 배치되거나, 일측방향으로 노즐이 배치되도록 케이스가 변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노즐은, 상기 밸브의 회전축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상기 제1이너유출관과 상기 제2이너유출관 사이에 배치되어, 제1노즐에서 유출되는 유체의 이동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은, 상기 복수의 이너유출관은, 제1열교환기로 유체가 유동하는 제1이너유출관과, 제2열교환기로 유체가 유동하는 제2이너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이너유입관과 상기 제2이너유입관은, 상기 밸브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노즐과 반대방향에 배치되어, 제1노즐에서 배출된 유체의 유동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너유출관과 상기 제2이너유출관은, 상기 밸브의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배치되고, 상기 제1노즐에는, 이격 배치된 상기 제1이너유출관과 상기 제2이너유출관 사이에서 상기 밸브의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된 제1노즐홀이 형성되어, 제1노즐홀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이동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상기 제1노즐로부터 유동하는 유체를 상기 제1이너유출관 또는 상기 제2이너유출관으로 가이드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여, 제1노즐을 통해 밸브 내측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밸브의 배치에 따라 상기 제1노즐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제1이너유출관 또는 상기 제2이너유출관으로 보내도록 상기 제1노즐의 하측에 배치되어, 제1노즐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가이드판을 따라 유동하여, 제1이너유출관 또는 제2이너유출관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은, 일단이 상기 제1노즐의 일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1노즐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제1이너유출관으로 가이드하거나, 타단이 상기 제1노즐의 타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1노즐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제2이너유출관으로 가이드하도록 배치되어, 제1노즐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가 제1이너유출관 또는 제2이너유출관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고, 동시에 공급되지 않는다.
상기 제1이너유출관에는, 상기 유로연결부의 상기 제1공간과 연통하는 제1유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이너유출관에는, 상기 유로연결부의 상기 제1공간과 연통하는 제2유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노즐홀은, 상기 가이드판의 일단과 타단의 내측범위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1유출홀과 상기 제2유출홀은 상기 가이드판의 일단과 타단의 외측범위에서 형성되어, 제1노즐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가 제1이너유출관 또는 제2이너유출관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고, 동시에 공급되지 않는다.
상기 밸브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측에 상기 복수의 이너유출관 중 하나의 배관과 상기 제1노즐을 연결하는 제1챔버와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 중 하나의 배관과 상기 제2노즐을 연결하는 제2챔버를 형성하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 내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구획하는 구획판을 포함하여, 실내기로 공급되는 유체와 실내기에서 유입되는 유체가 구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에는, 상기 제1노즐로부터 유동하는 유체를 상기 제1이너유출관 또는 상기 제2이너유출관으로 가이드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가이드판을 배치되고, 상기 밸브바디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판의 일단에서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는 제1어퍼홀과, 제2로어홀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의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판을 타단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어퍼홀과 제1로어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어퍼홀과 상기 제1로어홀 각각은, 상기 제1노즐에 인접하게 배치될 때, 상기 제1노즐에 형성되는 제1노즐홀과 연통하도록 배치되어, 가이드판을 경계로, 제1어퍼홀과 제1로어홀이 연결되고, 제2어퍼홀과 제2로어홀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어퍼홀은, 상기 밸브의 배치에 따라 상기 제1노즐홀과 연통하거나 상기 제1이너유출관과 연통하고, 상기 제2어퍼홀은, 상기 밸브의 배치에 따라 제1노즐홀과 연통하거나 상기 제2이너유출관과 연통하고, 상기 제1로어홀은, 상기 밸브의 배치에 따라 상기 제1이너유출관과 연통하고, 상기 제2로어홀은, 상기 밸브의 배치에 따라 상기 제2이너유출관과 연통하도록 배치되어, 제1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가 제1이너유출관 또는 제2이너유출관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어퍼홀과 상기 제1로어홀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어퍼홀과 상기 제2로어홀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어퍼홀과 상기 제2로어홀은, 상기 밸브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어퍼홀과 상기 제1로어홀은 상기 밸브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가이드판을 경계로, 제1어퍼홀과 제1로어홀이 연결되고, 제2어퍼홀과 제2로어홀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은, 제1열교환기를 통해 냉매와 열교환된 유체가 유동하는 제1이너유입관과, 제2열교환기를 통해 냉매와 열교환된 유체가 유동하는 제2이너유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이너유입관과 상기 제2이너유입관은, 상기 밸브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복수의 유로연결부가 배치될 때, 케이스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유로연결부의 단부에서, 상기 밸브의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이너유입관에는, 상기 제2공간과 연통하는 제1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이너유입관에는, 상기 제2공간과 연통하는 제2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에는, 상기 밸브의 배치에 따라 상기 제1유입홀과 연통하는 제1밸브홀과, 상기 밸브의 배치에 따라 상기 제2유입홀과 연통하는 제2밸브홀과, 상기 제2노즐과 연통하는 제3밸브홀이 형성되어, 실내기로 공급되는 유체가 제1유입홀 또는 제2유입홀 중 하나의 홀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과 상기 복수의 이너유출관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는 복수의 유로연결부를 포함하여, 복수의 유로연결부가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과 상기 복수의 이너유출관이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장치는, 제1실내기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제1어퍼노즐과, 상기 제1실내기로 유체를 보내는 제2어퍼노즐과, 제2실내기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제1로어노즐과, 상기 제2실내기로 유체를 보내는 제2로어노즐과, 상기 제1노즐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복수의 이너유출관과, 상기 제2노즐로 공급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복수의 이너유입관과, 복수의 이너유출관과 상기 제1어퍼노즐을 연통시키는 제1어퍼공간과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과 상기 제2어퍼노즐을 연통시키는 제2어퍼공간이 형성된 제1유로연결부와, 복수의 이너유출관과 상기 제1로어노즐을 연통시키는 제1로어공간과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과 상기 제2로어노즐을 연통시키는 제2로어공간이 형성된 제2유로연결부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유로연결부의 상기 제1어퍼공간과 상기 제2어퍼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배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 중 하나의 배관과 상기 제1어퍼노즐을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이너유출관 중 하나의 배관과 상기 제2어퍼노즐을 연결하는 제1밸브와, 상기 유로연결부의 상기 제1로어공간과 상기 제2로어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배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 중 하나의 배관과 상기 제1로어노즐을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이너유출관 중 하나의 배관과 상기 제2로어노즐을 연결하는 제2밸브와, 상기 제1밸브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밸브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와, 상기 제2밸브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밸브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너유출관과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은, 상기 제1유로연결부와 상기 제2유로연결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밸브가 회전하는 제1회전축 또는 상기 제2밸브가 회전하는 제2회전축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복수의 유로연결부가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과 상기 복수의 이너유출관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너유출관과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 각각은, 상기 제1유로연결부를 향하는 일측으로 복수의 어퍼유출홀과 복수의 어퍼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연결부를 향하는 타측으로 복수의 로어유출홀과 복수의 로어유입홀이 형성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유로전환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실내기와 연결되는 유로연결부가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과 상기 복수의 이너유출관의 일측에만 배치되거나, 양측으로 배치될 수 있어, 유로전환장치가 배치되는 공간의 크기나 형태에 맞게 변형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제1노즐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가 가이드판을 거쳐 복수의 이너유출관으로 공급되는 구조를 가져, 밸브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범위에서, 유체의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가이드판이 경사면을 형성함에 따라, 제1노즐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유로가 급격하게 변경되지 않는 구조를 가져, 밸브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장치와 복수의 실내기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복수의 유로연결부, 밸브, 모터가 배치된 유로전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장치를 유동하는 물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7a는 제1열교환기와 연결된 제1이너유출관과 제1이너유입관을 통해 물이 유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b는 제2열교환기와 연결된 제2이너유출관과 제2이너유입관을 통해 물이 유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c는 밸브가 유로전환장치를 폐쇄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개의 유로연결부, 모터, 및 밸브를 포함하는 유로전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유로전환장치에 추가적인 유로연결부, 모터, 및 밸브가 포함된 유로전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8의 유로전환장치의 상측에 배치되는 밸브의 배치에 따라 유동하는 물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2a는 제1열교환기와 연결된 제1이너유출관과 제1이너유입관을 통해 물이 유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b는 제2열교환기와 연결된 제2이너유출관과 제2이너유입관을 통해 물이 유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c는 밸브가 유로전환장치를 폐쇄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를 포함하는 유로전환장치를 유동하는 물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3a는 제1열교환기와 연결된 제1이너유출관과 제1이너유입관을 통해 물이 유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b는 제2열교환기와 연결된 제2이너유출관과 제2이너유입관을 통해 물이 유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개의 밸브를 포함하는 유로전환장치를 유동하는 물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4a는 제1열교환기와 연결된 제1이너유출관과 제1이너유입관을 통해 물이 유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b는 제2열교환기와 연결된 제2이너유출관과 제2이너유입관을 통해 물이 유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3 내지 도 12c에서 상(U), 하(D), 좌(Le), 우(Ri), 전(F), 후(R)의 표시는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으로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3 내지 도 12c에서 설명되는 유로전환장치는, 제1방향(F-R), 제2방향(U-D), 제3방향(Ri-Le)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발명의 설명을 위해 정의된 기준이다. 이는, 보는 방향이나, 기준이 달라지면 다르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설명이나 청구항에서 용어로 사용되는 “어퍼”, “로어”는,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위치를 한정하는 사항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유로전환장치를 포함한 공기조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체구성>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실외기(10), 실외기(10)와 연결되어, 실내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실내기(100, 102, 104, 106), 실외기(10)를 순환하는 냉매와 복수의 실내기(100, 102, 104, 106)를 순환하는 물이 열교환되는 중계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외기(10)와 중계장치(20)를 연결하는 3개의 냉매배관(110, 120, 1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실외기(10)와 중계장치(20)는, "3배관 연결구조"를 가질 수 있다. 냉매는 3개의 냉매배관(110, 120, 130)을 통하여 실외기(10)와 중계장치(20)를 순환할 수 있다.
3개의 냉매배관(110, 120, 130)에는, 고압의 기상냉매가 유동하는 고압기관(110)과, 저압의 기상냉매가 유동하는 저압기관(120) 및 액 냉매가 유동하는 액관(1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압기관(110)은 실외기(10)에 배치되는 압축기(12)의 토출 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저압기관(120)은 압축기(12)의 흡입 측과 연결될 수 있다. 액관(130)은 실외기(10)에 배치되는 실외열교환기(14)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중계장치(20)와 복수의 실내기(100, 102, 104, 106) 각각을 연결하는 복수의 물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실내기(100, 102, 104, 106) 각각에는, 중계장치(20)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배관(150)과, 중계장치(20)로 물이 배출되는 물배출배관(152)이 연결된다. 물배관은, 물공급배관(150)과 물배출배관(152)을 포함한다. 물공급배관(150)과 물배출배관(152)은, 실내기(100, 102, 104, 106)의 개수와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실외기(10)는 냉난방 동시형 실외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0)와 중계장치(20)는, 제1유체에 의하여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유체에는 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2)와, 실외기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외열교환기(14)와, 실외열교환기(14)의 일측에 배치되어, 실외열교환기(14)로 공기의 유동을 형성시키는 실외기팬(16)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팬(16)의 구동에 의하여, 외기와 실외열교환기(14)로 유동하여,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실외기(10)는 실외열교환기(14)에서 배출되거나, 실외열교환기(14)로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실외팽창밸브(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실내기(100, 102, 104, 106)는, 냉난방 동시형 실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실내기(100, 102, 104, 106) 각각과 중계장치는, 제2유체에 의해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유체에는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실내기(100, 102, 104, 106) 각각에는, 실내기(100, 102, 104, 106) 내부에 배치되고, 실내공기와 물을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열교환기(미도시)의 일측에 배치되어, 실내열교환기로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실내기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계장치>
도 2를 참조하면, 중계장치(20)는, 냉매와 물을 열교환하는 열교환기(22, 24)와, 물배관을 유동하는 물의 유동을 형성시키는 펌프(26, 28)와, 중계장치(20) 내부에 배치되는 냉매배관(110, 120, 130)에 배치되어, 냉매의 유동을 조절하는 복수의 냉매밸브와, 중계장치(20) 내부에 배치되는 물배관에 배치되어, 물의 유동을 조절하는 유로전환장치(30)를 포함한다.
중계장치(20) 내부에는, 실외기(10)와 열교환기(22, 24)를 연결하는 냉매배관(110, 120, 130)과, 복수의 실내기(100, 102, 104, 106)와 열교환기(22, 24)를 연결하는 물배관이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냉매배관(110, 120, 130)은, 고압의 기상냉매가 유동하는 고압기관(110)과, 저압의 기상냉매가 유동하는 저압기관(120) 및 액 냉매가 유동하는 액관(1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압기관(110)은, 제1열교환기(22)로 연결되는 제1고압가이드관(112)과, 제2열교환기(24)로 연결되는 제2고압가이드관(114)을 포함할 수 있다. 고압기관(110)은, 제1고압가이드관(112)과 제2고압가이드관(114)으로 분기되는 고압분지점(116)이 형성될 수 있다.
저압기관(120)은, 제1열교환기(22)로 연결되는 제1저압가이드관(122)과, 제2열교환기(24)로 연결되는 제2저압가이드관(124)을 포함할 수 있다. 저압기관(120)은, 제1저압가이드관(122)과 제2저압가이드관(124)으로 분기되는 저압분지점(12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저압가이드관(122)과 제1고압가이드관(112)은, 제1냉매관(128)으로 합지되어 제1열교환기(22)로 연결되고, 제2저압가이드관(124)과 제2고압가이드관(114)은, 제2냉매관(129)으로 합지되어 제2열교환기(24)로 연결될 수 있다.
액관(130)은 제1열교환기(22)로 연결되는 제1액가이드관(132)과 제2열교환기(24)로 연결되는 제2액가이드관(134)을 포함한다. 액관(130)에는 제1액가이드관(132)과 제2액가이드관(134)으로 분기되는 액관분지점(136)을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냉매밸브는, 밸브의 작동에 의하여 냉매의 유동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냉매밸브는, 밸브의 작동에 의하여 냉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냉매밸브는, 제1고압가이드관(112)과 제2고압가이드관(114) 각각에 배치되어, 제1고압가이드관(112)과 제2고압가이드관(114)을 개폐하는 고압밸브(142a, 142b), 제1저압가이드관(122)과 제2저압가이드관(124) 각각에 배치되어, 제1저압가이드관(122)과 제2저압가이드관(124)을 개폐하는 저압밸브(144a, 144b)와, 제1액가이드관(132)과 제2액가이드관(134) 각각에 배치되어, 냉매배관(110, 120, 130)을 유동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액관밸브(146a, 146b)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물배관은, 열교환기(22, 24)로 물이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유입배관(154, 156) 및 열교환기(22, 24)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가이드하는 배출배관(160, 162)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배관(154, 156)은 실내기(100, 102, 104, 106)를 통과한 물이 열교환기(22, 24)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배출배관(160, 162)은 열교환기(22, 24)를 통과한 물이 실내기(100, 102, 104, 106)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유입배관(154, 156)은 제1열교환기(22)로 물을 가이드하는 제1유입배관(154, 156)과 제2열교환기(24)로 물을 가이드하는 제2유입배관(154, 156)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배관(160, 162)은 제1열교환기(22)를 통과한 물을 실내기(100, 102, 104, 106)로 가이드하는 제1배출배관(160, 162)과 제2열교환기(24)를 통과한 물을 실내기(100, 102, 104, 106)로 가이드하는 제2배출배관(160, 1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유입배관(154, 156)은 제1열교환기(22)의 물 입구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배출배관(160, 162)은 제1열교환기(22)의 물 출구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마찬자기로, 제2유입배관(154, 156)은 제2열교환기(24)의 물입구로 연장될 수 있다. 제2배출배관(160, 162)은 제2열교환기(24)의 물 출구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유입배관(154, 156)과 배출배관(160, 162) 각각은 유로전환장치(30)로 연장될 수 있다. 유입배관(154, 156)으로부터 열교환기(22, 24)의 물 입구로 유입된 물은, 냉매와 열교환한 후 열교환기(22, 24)의 물 출구를 통해 물배출배관(160, 162)으로 유동할 수 있다.
물배관은, 복수의 실내기(100, 102, 104, 106) 각각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복수의 실내유입관(170a, 170b, 170c, 170d)과, 복수의 실내기(100, 102, 104, 106) 각각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실내배출관(172a, 172b, 172c, 172d)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실내유입관(170a, 170b, 170c, 170d)과 복수의 실내배출관(172a, 172b, 172c, 172d) 각각은 유로전환장치(30)와 연결된다.
실내유입관(170a, 170b, 170c, 170d)은, 제1실내기(100)의 입구에 결합되는 제1실내유입관(170a)과, 제2실내기(102)의 입구에 결합되는 제2실내유입관(170b)과, 제3실내기(104)의 입구에 결합되는 제3실내유입관(170c)과, 제4실내기(106)의 입구에 결합되는 제4실내유입관(170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내유입관(170a), 제2실내유입관(170b), 제3실내유입관, 및 제4실내유입관(170d) 각각은, 유로전환장치(30)와 연결된다.
실내배출관(172a, 172b, 172c, 172d)은, 제1실내기(100)의 출구에 결합되는 제1실내배출관(172a)과, 제2실내기(102)의 출구에 결합되는 제2실내배출관(172b)과, 제3실내기(104)의 출구에 결합되는 제3실내배출관(172c)과, 제4실내기(106)의 출구에 결합되는 제4실내배출관(172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내배출관(172a), 제2실내배출관(172b), 제3실내배출관, 및 제4실내배출관(172d) 각각은, 유로전환장치(30)와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열교환기(22, 24)는, 냉매 유로 및 물 유로가 서로 열교환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열교환기(22, 24)는 물과 냉매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판형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22, 24)는 냉매가 유동하는 유로와 물이 유동하는 유로가 교번하여 적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22, 24)는 복수의 실내기(100, 102, 104, 106) 각각으로 냉방과 난방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열교환기(22, 24)는 제1열교환기(22)와 제2열교환기(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열교환기(22)는, 냉매와 열교환으로 물을 가열하고, 제2열교환기(24)는, 냉매와 열교환으로 물을 냉각하는 구조일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제1열교환기(22)가 물을 냉각하고, 제2열교환기(24)가 물을 가열하는 구조이거나, 제1열교환기(22)와 제2열교환기(24)가 서로 교대하며, 물을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구조일 수 있다.
물배관을 유동하는 물은 실내기(100, 102, 104, 106)의 운전모드에 따라 제1열교환기(22) 또는 제2열교환기(24)로 선택적으로 유입되어 냉매와 열교환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펌프(26, 28)는 유입배관(154, 156)의 물이 열교환기(22, 24)로 향하도록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펌프(26, 28)는 제2유체의 유동 방향을 설정하도록 물배관에 설치될 수 있다.
펌프(26, 28)는 제1유입배관(154, 156)에 설치되는 제1펌프(26)와, 제2유입배관(154, 156)에 설치되는 제2펌프(28)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26, 28)는 물의 유동을 강제할 수 있다. 제1펌프(26)가 구동하면, 제1열교환기(22)를 통과한 물이 유로전환장치(30)를 거쳐 복수의 실내기(100, 102, 104, 106)로 유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펌프(28)가 구동하면, 제2열교환기(24)를 통과한 물이 유로전환장치(30)를 거쳐 복수의 실내기(100, 102, 104, 106)로 유동할 수 있다.
<유로전환장치>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2c를 참조하여, 유로전환장치(30)를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유로전환장치(30)는, 제1열교환기(22) 또는 제2열교환기(24)를 거쳐 유동하는 물을 복수의 실내기(100, 102, 104, 106) 각각으로 보내고, 복수의 실내기(100, 102, 104, 106) 각각을 거쳐 유동하는 물을 제1열교환기(22) 또는 제2열교환기(24)로 보낸다.
유로전환장치(30)는, 유입배관(154, 156) 및 배출배관(160, 162)을 통해 제1열교환기(22) 및 제2열교환기(24)와 연결된다. 유로전환장치(30)는, 복수의 실내유입관(170a, 170b, 170c, 170d)과 복수의 실내배출관(172a, 172b, 172c, 172d)을 통해 복수의 실내기(100, 102, 104, 106) 각각으로 연결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유로전환장치(30)는, 실내기(100, 102, 104, 106)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제1노즐(34)과, 실내기(100, 102, 104, 106)로 유체를 보내는 제2노즐(40)과, 열교환기(22, 24)로부터 열교환된 유체가 유동하는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과, 제1노즐(34)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열교환기(22, 24)로 보내는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과, 제1노즐(34)을 연통시키거나,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과 제2노즐(40)을 연통시키는 공간(72, 74)이 형성된 유로연결부(70)를 포함하는 케이스(32)와; 유로연결부(70)의 공간(72, 74)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배치에 따라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 중 하나의 배관과 제1노즐(34)을 연결하고,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 중 하나의 배관과 제2노즐(40)을 연결하는 밸브(80)와; 밸브(80) 일측에 배치되어, 밸브(80)를 회전시키는 모터(99)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32)는,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과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과,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 각각은, 밸브(80)가 회전하는 회전축(96) 평행하게 배치된다.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과,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은, 유로연결부(70)의 동일한 일측 방향에 배치되고, 밸브(80)가 회전하는 회전축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은, 제1열교환기(22)와 연결되는 제1이너유출관(52)과, 제2열교환기(24)와 연결되는 제2이너유출관(56)을 포함한다.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은, 제1열교환기(22)와 연결되는 제1이너유입관(62)과, 제2열교환기(24)와 연결되는 제2이너유입관(66)을 포함한다.
유로연결부(70)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72, 74)는, 제1노즐(34)을 연통시키는 제1공간(72)과,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과 제2노즐(40)을 연통시키는 제2공간(74)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1이너유출관(52)과 제2이너유출관(56) 각각에는, 유로연결부(70)의 제1공간(72)과 연통하는 제1유출홀(54)과, 제2유출홀(58)이 형성된다. 제1유출홀(54)과 제2유출홀(58) 각각은, 제1이너유출관(52)과 제2이너유출관(56) 각각의 관방향과 수직항 방향으로 개구된다.
제1이너유입관(62)과 제2이너유입관(66) 각각에는, 유로연결부(70)의 제2공간(74)과 연통하는 제1유입홀(64)과 제2유입홀(68)이 형성된다. 제1유입홀(64)과 제2유입홀(68) 각각은, 제1이너유입관(62)과 제2이너유입관(66)의 각각의 관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된다.
제1이너유출관(52)은, 제1열교환기(22)와 연결되어, 제1열교환기(22)에서 가열된 물이 유동할 수 있다. 제2이너유출관(56)은, 제2열교환기(24)와 연결되어, 제2열교환기(24)에서 냉각된 물이 유동할 수 있다.
제1이너유출관(52)과 제2이너유출관(56)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1이너유입관(62)과 제2이너유입관(66)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이너유입관(62)과, 제2이너유출관(56)과, 제1이너유입관(62)과, 제2이너유입관(66) 각각은 밸브(80)가 회전하는 회전축(96)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이너유입관(62)과, 제2이너유출관(56)과, 제1이너유입관(62)과, 제2이너유입관(66) 각각은, 밸브(80)의 회전축(96)에 나란한 제1방향(F-R)으로 배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유입홀(64)과 제2유입홀(68)과, 제1유출홀(54)과, 제2유출홀(58) 각각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유입홀(64)과 제2유입홀(68)과, 제1유출홀(54)과, 제2유출홀(58) 각각은, 제1방향(F-R)에 수직한 제2방향(U-D)으로 개구된다.
케이스(32)는, 실내기(100, 102, 104, 106)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공급받아, 제1이너유출관(52) 또는 제2이너유출관(56)으로 보내는 제1노즐(34)과, 제1이너유입관(62) 또는 제2이너유입관(66)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실내기(100, 102, 104, 106)로 보내는 제2노즐(40)을 포함한다.
제1노즐(34)은, 실내배출관(172a, 172b, 172c, 172d)과 연결되어, 실내기(100, 102, 104, 106)로부터 배출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제1노즐(34)은, 제1이너유출관(52) 또는 제2이너유출관(56)과 연결되어, 실내기(100, 102, 104, 106)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제1열교환기(22) 또는 제2열교환기(24)로 보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노즐(34)은, 유로연결부(70)를 기준으로 제1이너유출관(52)과 제2이너유출관(56)의 반대방향에 배치된다. 제1노즐(34)은, 밸브(80)의 회전축(96)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노즐(34)은, 밸브(80)의 회전축(96)에 수직한 제2방향(U-D)을 기준으로, 제1이너유출관(52)과 제2이너유출관(56) 사이에 배치된다.
제1노즐(34)에는, 유로연결부(70)의 제1공간(72)과 연통하는 제1노즐홀(36)이 형성된다.
제1노즐(34)에는, 실내배출관(172a, 172b, 172c, 172d)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38)가 배치된다. 제1연결부재(38)는, 제1노즐(34)과 실내배출관(172a, 172b, 172c, 172d)의 내측에 고정배치되고, 실러(46)로 실내배출관(172a, 172b, 172c, 172d)과 제1노즐(34) 각각에 밀착될 수 있다.
제2노즐(40)은, 제1이너유입관(62) 또는 제2이너유입관(66)으로 공급되는 물을 실내기(100, 102, 104, 106)로 보낼 수 있다. 제2노즐(40)은, 실내유입관(170a, 170b, 170c, 170d)과 연결되어, 제1열교환기(22) 또는 제2열교환기(24)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실내기(100, 102, 104, 106)로 보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노즐(40)은, 유로연결부(70)의 단부에 배치된다. 제2노즐(40)은, 밸브(80)의 회전축(96)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노즐(40)은, 모터(99)의 반대방향에 배치된다. 제2노즐(40)은, 제1방향(F-R)에서 모터(99)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노즐(40)에는, 유로연결부(70)의 제2공간(74)과 연통하는 제2노즐홀(42)이 형성된다.
제2노즐(40)에는, 실내유입관(170a, 170b, 170c, 170d)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44)가 배치된다. 제2연결부재(44)는, 제2노즐(40)과 실내유입관(170a, 170b, 170c, 170d)의 내측에 고정배치되고, 실러(46)로 실내유입관(170a, 170b, 170c, 170d)과 제2노즐(40) 각각에 밀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유로연결부(70)는, 제1노즐(34)과 제1이너유출관(52) 또는 제2이너유출관(56)을 연결하는 제1공간(72)을 형성한다. 유로연결부(70)는, 제2노즐(40)과 제1이너유입관(62) 또는 제2이너유입관(66)을 연결하는 제2공간(74)을 형성한다.
유로연결부(70) 내부에 형성되는 제1공간(72)과 제2공간(74)은, 밸브(80)의 회전축(96)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진다. 제1공간(72)은, 제1유출홀(54)과 제2유출홀(58)을 통해 제1이너유출관(52), 제2이너유출관(56) 각각과 연통될 수 있다. 제2공간(74)은, 제1유입홀(64)과 제2유입홀(68)을 통해 제1이너유입관(62), 제2이너유입관(66) 각각과 연통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밸브(80)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측에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 중 하나의 배관과 제1노즐(34)을 연결하는 제1챔버(84)와 복수의 이너유입관 중 하나의 배관과 제2노즐(40)을 연결하는 제2챔버(86)를 형성하는 밸브바디(82)와, 밸브바디(82) 내측으로 배치되고, 제1챔버(84)와 제2챔버(86)를 구획하는 구획판(92)을 포함한다. 밸브(80)는, 제1노즐(34)로부터 유동하는 물을 제1이너유출관(52) 또는 제2이너유출관(56)으로 가이드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가이드판(94)을 포함한다.
밸브바디(82)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제1챔버(84)와 제2챔버(86)가 형성된다. 밸브바디(82) 내부에는, 제1챔버(84)와 제2챔버(86)를 구획하는 구획판(92)이 배치된다. 밸브바디(82) 내부에 형성되는 제1챔버(84)에는 가이드판(94)이 배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밸브바디(82)에는, 제1이너유출관(52) 또는 제2이너유출관(56)과 제1노즐(34)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챔버홀(88a, 88b, 88c, 88d)이 형성된다. 복수의 제1챔버홀은, 배치에 따라 제1노즐홀(36)과 연통하거나 제1이너유출관(52)과 연통하는 제1어퍼홀(88a)과, 배치에 따라 제1노즐홀(36)과 연통하거나 제2이너유출관(56)과 연통하는 제2어퍼홀(88b)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챔버홀은, 배치가 변경되더라도 제1노즐홀(36)과 연통하지 않고, 제1이너유출관(52)과 연통하는 제1로어홀(88c)과, 배치가 변경되더라도 제2노즐홀(42)과 연통하지 않고, 제2이너유출관(56)과 연통하는 제2로어홀(88d)을 포함한다. 제1어퍼홀(88a)과 제1로어홀(88c)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어퍼홀(88b)과 제2로어홀(88d)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어퍼홀(88a)과 제2로어홀(88d)은, 밸브(80)의 회전축(96)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어퍼홀(88b)과 제1로어홀(88c)은 밸브(80)의 회전축(96)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어퍼홀(88a)이 제1노즐홀(36)과 연통하게 배치될 때, 제1노즐(34)로 유동하는 물이 제1이너유출관(52)으로 유동하고, 제2어퍼홀(88b)이 제1노즐홀(36)과 연통하게 배치될 때, 제2노즐(40)로 유동하는 물이 제2이너유출관(56)으로 유동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1어퍼홀(88a)이 제1이너유출관(52)과 연통하게 배치될 때에는, 제1이너유출관(52)으로 물이 공급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 7a를 참조하면, 제2어퍼홀(88b)이 제2이너유출관(56)과 연통하게 배치될 때에는, 제2이너유출관(56)으로 물이 공급되지 않는다.
가이드판(94)은, 제1챔버(84)에 배치되어, 제1노즐(34)로부터 유동하는 물을 제1이너유출관(52) 또는 제2이너유출관(56)으로 보낼 수 있다.
도 7a 또는 도 7b를 참조하면, 가이드판(94)은, 제1노즐(34)의 하측에 배치된다. 가이드판(94)은, 일단이 제1이너유출관과 인접한 제1노즐의 일단부에 배치되거나, 타단이 상기 제2이너유입관과 인접한 상기 제1노즐의 타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판(94)의 일단(94a)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제1어퍼홀(88a)과 제2로어홀(88d)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판(94)의 타단(94b)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제2어퍼홀(88b)과 제1로어홀(88c)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밸브바디(82)에는, 제1이너유입관(62) 또는 제2이너유입관(66)과 제2노즐(40)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챔버홀(90a, 90b, 90c)이 형성된다. 복수의 제2챔버홀(90a, 90b, 90c)은, 배치에 따라 제1유입홀(64)과 연통하는 제1밸브홀(90a)과, 배치에 따라 제2유입홀(68)과 연통하는 제2밸브홀(90b)과, 제2노즐홀(42)과 연통하는 제3밸브홀(90c)을 포함한다.
제1밸브홀(90a)과 제2밸브홀(90b)은, 제1이너유입관(62)과 제2이너유입관(66)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서로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 배치된다. 따라서, 제2챔버(86)는, 밸브바디(82)의 배치에 따라 제1이너유입관(62) 또는 제2이너유입관(66)과 연통할 수 있다.
밸브(80)는, 밸브바디(82)의 단부에서 모터(99)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모터(99)와 연결되어, 밸브바디(82)를 회전시키는 회전축(96)을 더 포함한다.
모터(99)는, 밸브(80)의 일측에 배치되어, 밸브(80)와 회전축(96)으로 연결되고, 밸브(8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유로전환장치(30)는, 케이스(32)의 유로연결부(70) 내부에 회전하는 밸브(80)의 배치를 고정하는 밸브고정부재(9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고정부재(98)는, 유로연결부(70) 내부에서 회전하는 밸브(8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밸브고정부재(98)는, 밸브(80)의 회전축(96) 둘레로 배치될 수 있다. 밸브고정부재(98)는, 밸브(80)의 회전축(96)과 케이스(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케이스(32)는, 복수의 유로연결부(70a, 70b, 70c, 70d)를 포함한다. 복수의 유로연결부(70a, 70b, 70c, 70d) 각각에는, 실내기(100, 102, 104, 106)에서 유입되는 물이 유동하는 제1노즐(34a, 34b, 34c, 34d)과, 실내기(100, 102, 104, 106)로 공급되는 물이 유동하는 제2노즐(40a, 40b, 40c, 40d)이 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유로전환장치(30)는, 복수의 유로연결부(70a, 70b, 70c, 70d) 각각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밸브(80a, 80b, 80c, 80d)와, 복수의 밸브(80a, 80b, 80c, 80d)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모터(99a, 99b, 99c, 99d)를 포함한다.
복수의 유로연결부(70a, 70b, 70c, 70d) 각각은, 복수의 실내기(100, 102, 104, 106) 각각과 연결된다.
도 6를 참조하면, 복수의 유로연결부(70a, 70b, 70c, 70d)는,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과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유로연결부(70a, 70b, 70c, 70d)는, 제1방향(F-R)에 수직한 제3방향(Ri-Le)으로 이격 배치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유로연결부(70a, 70b, 70c, 70d)는,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과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유로연결부(70)는,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U-D)에서,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과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케이스(32)는, 복수의 실내기(100, 102, 104, 106) 중 하나의 실내기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제1어퍼노즐(34a)과, 복수의 실내기(100, 102, 104, 106) 중 하나의 실내기로 유체를 보내는 제2어퍼노즐(40a)과, 복수의 실내기(100, 102, 104, 106) 중 다른 하나의 실내기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제1로어노즐(34b)과, 복수의 실내기 중에서 다른 하나의 실내기로 유체를 보내는 제2로어노즐(40b)과, 제1어퍼노즐(34a) 또는 제1로어노즐(34b)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과, 제2어퍼노즐(40a) 또는 제2로어노즐(40b)로 유체를 공급하는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과,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과 제1어퍼노즐을 연통시키거나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과 상기 제2어퍼노즐을 연통시키는 어퍼공간이 형성된 제1유로연결부(70a)와,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과 제1로어노즐(34b)을 연통시키거나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과 상기 제2로어노즐(40b)을 연통시키는 로어공간이 형성된 제2유로연결부(70b)를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유로연결부(70a)와 제2유로연결부(70b)는,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과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에 배치된다.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과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은, 제1유로연결부(70a)와 제2유로연결부(70b) 사이에 배치되고, 제1밸브(80a)가 회전하는 제1회전축 또는 제2밸브(80b)가 회전하는 제2회전축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제1어퍼노즐(34a)과 제1로어노즐(34b)은, 케이스(32)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어퍼노즐(40a)과 제2로어노즐(40b)은,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과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에 배치되고,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은, 제1열교환기(22)와 연결되는 제1이너유출관(52)과, 제2열교환기(24)와 연결되는 제2이너유출관(56)을 포함한다.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은, 제1열교환기(22)와 연결되는 제1이너유입관(62)과, 제2열교환기(24)와 연결되는 제2이너유입관(66)을 포함한다.
제1유로연결부(70a) 내부에 형성되는 어퍼공간은,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과 제1어퍼노즐을 연통시키는 제1어퍼공간과,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과 상기 제2어퍼노즐을 연통시키는 제2어퍼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2유로연결부(70b) 내부에 형성되는 로어공간은,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과 제1로어노즐(34b)을 연통시키는 제1로어공간과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과 상기 제2로어노즐(40b)을 연통시키는 제2로어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이너유출관(52)과 제2이너유출관(56) 각각에는, 제1유로연결부(70a)의 제1어퍼공간과 연통하는 제1어퍼유출홀(54a)과, 제2어퍼유출홀(58a)이 형성되고, 제2유로연결부(70b)의 제1로어공간과 연통하는 제1로어유출홀(54b)과, 제2로어유출홀(58b)이 형성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이너유입관(62)과 제2이너유입관(66) 각각에는, 제1유로연결부(70a)의 제2어퍼공간과 연통하는 제1어퍼유입홀(64a)과 제2어퍼유입홀(68a)이 형성되고, 제2유로연결부(70b)의 제2로어공간과 연통하는 제1로어유입홀(64b)과 제2로어유입홀(68b)이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유로전환장치(30)는, 제1유로연결부(70a)의 상기 제1어퍼공간과 상기 제2어퍼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배치에 따라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 중 하나의 배관과 상기 제1어퍼노즐을 연결하고,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 중 하나의 배관과 상기 제2어퍼노즐(40a)을 연결하는 제1밸브(80a)와, 제2유로연결부(70b)의 제1로어공간과 제2로어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배치에 따라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 중 하나의 배관과 제1로어노즐(34b)을 연결하고,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 중 하나의 배관과 제2로어노즐(40b)을 연결하는 제2밸브(80b)를 포함한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유로전환장치(30)는, 제1밸브(80a) 일측에 배치되어, 제1밸브(80a)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99a)와, 제2밸브(80b) 일측에 배치되어, 제2밸브(80b)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99b)를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케이스(32)에는, 복수의 제1유로연결부(70a)와 복수의 제2유로연결부(70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유로연결부(70a)는,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과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 상측에서,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과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2유로연결부(70b)는,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과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 하측에서,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과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케이스(32)는, 복수의 유로연결부(70a, 70b, 70c, 70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유로연결부(70a, 70b, 70c, 70d)는,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과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의 상하방향에 배치되고,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과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장치는, 복수의 유로연결부(70a, 70b, 70c, 70d)를 도 6과 같이 배치하거나, 도 11과 같이 배치할 수 있다. 이는 중계장치 내부의 공간에 따라 다양하게 형태를 변형할 수 있으므로, 공간의 활용도가 높고, 좁은 공간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작동>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유로전환장치(30)의 작동에 따른 유체의 유동을 설명한다.
케이스(32)에는, 복수의 밸브가 배치되고, 복수의 밸브 각각은 복수의 실내기 각각으로 연결된다. 복수의 실내기는, 실내공간의 상태나,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으로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밸브 각각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밸브(80)는, 제1노즐(34)과 제1이너유출관(52)을 연결하고, 제2노즐(40)과 제1이너유입관(62)을 연결하여, 하나의 실내기와 제1열교환기(22)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열교환기(22)가 냉매를 통해 가열된 물을 공급하는 경우, 실내기(100, 102, 104, 106)로 가열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밸브(80)는, 제1노즐(34)과 제2이너유출관(56)을 연결하고, 제2노즐(40)과 제2이너유입관(66)을 연결하여, 하나의 실내기와 제2열교환기(24)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2열교환기(24)가 냉매를 통해 냉각된 물을 공급하는 경우, 실내기(100, 102, 104, 106)로 냉각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밸브(80)는, 제1노즐(34)과 제2노즐(40)을 폐쇄할 수 있다. 해당 실내기가 별도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 밸브(80)를 통해, 유로연결부 내부를 폐쇄하여, 열교환이 필요하지 않는 실내기로 열교환된 물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 7a 내지 도 7c에서의 밸브의 배치는, 도 8의 유로전환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에서는,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과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밸브(80a)의 배치가 변경되도록 표시되고 있다. 다만, 이는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과 복수의 이너유입관(62, 66)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밸브(80a)도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제1밸브(80a)는, 제1어퍼노즐(34a)과 제1이너유출관(52)을 연결하고, 제2어퍼노즐(40a)과 제1이너유입관(62)을 연결하여, 하나의 실내기와 제1열교환기(22)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12b를 참조하면, 제1밸브(80a)는, 제1어퍼노즐(34a)과 제2이너유출관(56)을 연결하고, 제2어퍼노즐(40a)과 제2이너유입관(66)을 연결하여, 하나의 실내기와 제2열교환기(24)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12c를 참조하면, 제1밸브(80a)는, 제1어퍼노즐(34a)과 제2어퍼노즐(40a)을 폐쇄할 수 있다.
도 13a와 도 1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8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와 도 13b에서 설명되는 밸브(80)는, 도 3 내지 도 7c의 유로전환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밸브(80) 이외의 다른 구성은 동일하게 파악될 수 있다.
밸브(80)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측에 복수의 이너유출관(52, 56) 중 하나의 배관과 제1노즐(34)을 연결하는 제1챔버(84)와 복수의 이너유입관 중 하나의 배관과 제2노즐(40)을 연결하는 제2챔버(86)를 형성하는 밸브바디(82)와, 밸브바디(82) 내측으로 배치되고, 제1챔버(84)와 제2챔버(86)를 구획하는 구획판(92)을 포함한다.
밸브바디(82)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제1챔버(84)와 제2챔버(86)가 형성된다. 밸브바디(82) 내부에는, 제1챔버(84)와 제2챔버(86)를 구획하는 구획판(92)이 배치된다.
밸브바디(82)에는, 제1이너유출관(52) 또는 제2이너유출관(56)과 제1노즐(34)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챔버홀(88a, 88b)이 형성된다. 복수의 제1챔버홀(88a, 88b)은, 배치에 따라 제1노즐홀(36)과 연통하거나 제1이너유출관(52)과 연통하는 제1홀(88a)과, 배치에 따라 제1노즐홀(36)과 연통하거나 제2이너유출관(56)과 연통하는 제2홀(88b)을 포함한다.
제1홀(88a)은, 제1이너유출관(52)이 배치되는 영역부터 제1노즐(34)이 배치되는 영역까지 형성된다. 제2홀(88b)은, 제1노즐(34)이 배치되는 영역부터 제2이너유출관(56)이 배치되는 영역까지 형성된다.
제1홀(88a)과 제2홀(88b)은 서로 반대방향에 배치되고, 제1노즐홀(36)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중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홀(88a)과 제2홀(88b) 각각은 제1노즐(34)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때, 제1노즐(34)에 형성되는 제1노즐홀(36)과 연통될 수 있다. 제1홀(88a)과 제2홀(88b) 중 하나의 홀이 제1노즐홀(36)과 연통되게 배치될 때, 나머지 하나의 홀은, 이너유출관과 연통되게 배치된다.
도 13a와 같이 배치될 때, 제1홀(88a)는, 제1이너유출관(52)에 형성된 제1어퍼유출홀(54a)과 연통하고, 제2홀(88b)은, 제1노즐(34)에 형성되는 제1노즐홀(36)과 연통하게 된다.
또한, 도 13b와 같이, 제1홀(88a)이, 제1노즐(34)에 형성되는 제1노즐홀(36)과 연통할 때, 제2홀(88b)이 제2이너유출관(56)에 형성된 제2어퍼유출홀(58a)과 연통하고, 제2홀(88b)은, 제1노즐(34)에 형성되는 제1노즐홀(36)과 연통하게 된다.
도 14a와 도 14b는 도 13a와 도 13b에서 사용되는 밸브 구성을 상하로 배치되는 유로연결부 각각에 배치한 것이다. 따라서, 도 14a 내지 도 14b에서 사용되는 유로전환장치에는 적어도 2개의 밸브(80a, 80b)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4a와 도 14b에서 설명되는 밸브(80)는, 도 9 내지 도 12c의 유로전환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밸브(80a, 80b) 이외의 다른 구성은 동일하게 파악될 수 있다.
도 14a와 도 14b에서 사용되는 밸브(80a, 80b)는, 도 13a와 도 13b에서 사용되는 밸브(80)와 동일한 형태 및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b는, 제2밸브(80b)가 제2유로연결부(70b)를 폐쇄한 상태이고, 제1밸브(80a)가 복수의 이너유출관과 이너유입관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와 같이 배치될 때, 제1홀(88a)는, 제1이너유출관(52)에 형성된 제1어퍼유출홀(54a)과 연통하고, 제2홀(88b)은, 제1노즐(34a)에 형성되는 제1노즐홀(36a)과 연통하게 된다.
또한, 도 14b와 같이, 제1홀(88a)이, 제1노즐(34a)에 형성되는 제1노즐홀(36a)과 연통할 때, 제2홀(88b)이 제2이너유출관(56)에 형성된 제2어퍼유출홀(58a)과 연통하고, 제2홀(88b)은, 제1노즐(34a)에 형성되는 제1노즐홀(36a)과 연통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 공기조화기 10 : 실외기
12 : 압축기 14 : 실외열교환기
16 : 실외기팬 18 : 실외팽창밸브
20 : 중계장치 22 : 제1열교환기
24 : 제2열교환기 26 : 제1펌프
28 : 제2펌프 30 : 유로전환장치
32 : 케이스 34 : 제1노즐
36 : 제1노즐홀 40 : 제2노즐
42 : 제2노즐홀 52 : 제1이너유출관
54 : 제1유출홀 56 : 제2이너유출관
58 : 제2유출홀 62 : 제1이너유입관
64 : 제1유입홀 66 : 제2이너유입관
68 : 제2유입홀 70 : 유로연결부
72 : 제1공간 74 : 제2공간
80 : 밸브 82 : 밸브바디
84 : 제1챔버 86 : 제2챔버
92 : 구획판 94 : 가이드판
96 : 회전축 98 : 밸브고정부재
99 : 모터 100, 102, 104, 106 : 실내기
110 : 고압기관 120 : 저압기관
130 : 액관 150 : 물공급배관
152 : 물배출배관

Claims (19)

  1. 실내기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제1노즐과, 상기 실내기로 유체를 보내는 제2노즐과, 상기 제1노즐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복수의 이너유출관과, 상기 제2노즐로 공급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복수의 이너유입관과, 복수의 이너유출관과 상기 제1노즐을 연통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과 상기 제2노즐을 연통시키는 공간이 형성된 유로연결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유로연결부의 상기 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배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 중 하나의 배관과 상기 제1노즐을 연결하는 제1챔버와, 상기 복수의 이너유출관 중 하나의 배관과 상기 제2노즐을 연결하는 제2챔버가 형성된 밸브; 및
    상기 밸브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밸브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너유출관과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은, 상기 유로연결부의 동일한 일측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가 회전하는 회전축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유로전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은, 상기 밸브의 회전축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상기 제1이너유출관과 상기 제2이너유출관 사이에 배치되는 유로전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너유출관은, 제1열교환기로 유체가 유동하는 제1이너유출관과, 제2열교환기로 유체가 유동하는 제2이너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이너유출관과 상기 제2이너유출관은, 상기 밸브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노즐과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유로전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너유출관과 상기 제2이너유출관은, 상기 밸브의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배치되고,
    상기 제1노즐에는, 이격 배치된 상기 제1이너유출관과 상기 제2이너유출관 사이에서 상기 밸브의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된 제1노즐홀이 형성되는 유로전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제1노즐로부터 유동하는 유체를 상기 제1이너유출관 또는 상기 제2이너유출관으로 가이드 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유로전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밸브의 배치에 따라 상기 제1노즐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제1이너유출관 또는 상기 제2이너유출관으로 보내도록 상기 제1노즐의 하측에 배치되는 유로전환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일단이 상기 제1노즐의 일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1노즐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제1이너유출관으로 가이드하거나, 타단이 상기 제1노즐의 타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1노즐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제2이너유출관으로 가이드하는 유로전환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너유출관에는, 상기 유로연결부의 상기 제1공간과 연통하는 제1유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이너유출관에는, 상기 유로연결부의 상기 제1공간과 연통하는 제2유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노즐홀은, 상기 가이드판의 일단과 타단의 내측범위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1유출홀과 상기 제2유출홀은 상기 가이드판의 일단과 타단의 외측범위에서 형성되는 유로전환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측에 상기 제1챔버와 제2챔버가 형성된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 내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구획하는 구획판을 포함하는 유로전환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에는, 상기 제1노즐로부터 유동하는 유체를 상기 제1이너유출관 또는 상기 제2이너유출관으로 가이드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가이드판을 배치되고,
    상기 밸브바디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판의 일단에서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는 제1어퍼홀과, 제2로어홀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의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판을 타단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어퍼홀과 제1로어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어퍼홀과 상기 제1로어홀 각각은, 상기 제1노즐에 인접하게 배치될 때, 상기 제1노즐에 형성되는 제1노즐홀과 연통하는 유로전환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어퍼홀은, 상기 밸브의 배치에 따라 상기 제1노즐홀과 연통하거나 상기 제1이너유출관과 연통하고, 상기 제2어퍼홀은, 상기 밸브의 배치에 따라 제1노즐홀과 연통하거나 상기 제2이너유출관과 연통하고,
    상기 제1로어홀은, 상기 밸브의 배치에 따라 상기 제1이너유출관과 연통하고, 상기 제2로어홀은, 상기 밸브의 배치에 따라 상기 제2이너유출관과 연통하는 유로전환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어퍼홀과 상기 제1로어홀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어퍼홀과 상기 제2로어홀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어퍼홀과 상기 제2로어홀은, 상기 밸브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어퍼홀과 상기 제1로어홀은 상기 밸브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유로전환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은, 제1열교환기를 통해 냉매와 열교환된 유체가 유동하는 제1이너유입관과, 제2열교환기를 통해 냉매와 열교환된 유체가 유동하는 제2이너유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이너유입관과 상기 제2이너유입관은, 상기 밸브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유로전환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유로연결부의 단부에서, 상기 밸브의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전환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너유입관에는, 상기 제2공간과 연통하는 제1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이너유입관에는, 상기 제2공간과 연통하는 제2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에는, 상기 밸브의 배치에 따라 상기 제1유입홀과 연통하는 제1밸브홀과, 상기 밸브의 배치에 따라 상기 제2유입홀과 연통하는 제2밸브홀과, 상기 제2노즐과 연통하는 제3밸브홀이 형성된 유로전환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의 둘레면에는, 배치에 따라 상기 제1노즐에 형성되는 제1노즐홀과 연통하거나 상기 제1이너유출관과 연통하는 제1홀과, 배치에 따라 상기 제1노즐홀과 연통하거나 상기 제2이너유출관과 연통하는 제2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홀과 상기 제2홀은 서로 반대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1노즐홀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중첩되게 형성되는 유로전환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과 상기 복수의 이너유출관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는 복수의 유로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로연결부에는,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과 상기 복수의 이너유출관과 복수의 실내기 각각을 연결하는 복수의 밸브가 배치되는 유로전환장치.
  18. 상기 케이스는, 제1실내기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제1어퍼노즐과, 상기 제1실내기로 유체를 보내는 제2어퍼노즐과, 제2실내기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제1로어노즐과, 상기 제2실내기로 유체를 보내는 제2로어노즐과, 상기 제1어퍼노즐 또는 상기 제1로어노즐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복수의 이너유출관과, 상기 제2어퍼노즐 또는 상기 제2로어노즐로 공급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복수의 이너유입관과, 복수의 이너유출관과 상기 제1어퍼노즐을 연통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과 상기 제2어퍼노즐을 연통시키는 어퍼공간이 형성된 제1유로연결부와, 복수의 이너유출관과 상기 제1로어노즐을 연통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과 상기 제2로어노즐을 연통시키는 로어공간이 형성된 제2유로연결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제1유로연결부의 상기 어퍼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배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 중 하나의 배관과 상기 제1어퍼노즐을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이너유출관 중 하나의 배관과 상기 제2어퍼노즐을 연결하는 제1밸브;
    상기 제2유로연결부의 상기 로어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배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 중 하나의 배관과 상기 제1로어노즐을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이너유출관 중 하나의 배관과 상기 제2로어노즐을 연결하는 제2밸브;
    상기 제1밸브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밸브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 및
    상기 제2밸브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밸브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너유출관과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은, 상기 제1유로연결부와 상기 제2유로연결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밸브가 회전하는 제1회전축 또는 상기 제2밸브가 회전하는 제2회전축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유로전환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너유출관과 상기 복수의 이너유입관 각각은, 상기 제1유로연결부를 향하는 일측으로 복수의 어퍼유출홀과 복수의 어퍼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연결부를 향하는 타측으로 복수의 로어유출홀과 복수의 로어유입홀이 형성되는 유로전환장치.
KR1020200127166A 2020-09-29 2020-09-29 유로전환장치 KR2022004359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166A KR20220043595A (ko) 2020-09-29 2020-09-29 유로전환장치
DE112021005183.0T DE112021005183T5 (de) 2020-09-29 2021-09-28 Strömungspfadumschaltvorrichtung
PCT/KR2021/013253 WO2022071723A1 (ko) 2020-09-29 2021-09-28 유로전환장치
US18/028,339 US20230228336A1 (en) 2020-09-29 2021-09-28 Flow path switc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166A KR20220043595A (ko) 2020-09-29 2020-09-29 유로전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595A true KR20220043595A (ko) 2022-04-05

Family

ID=80950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166A KR20220043595A (ko) 2020-09-29 2020-09-29 유로전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28336A1 (ko)
KR (1) KR20220043595A (ko)
DE (1) DE112021005183T5 (ko)
WO (1) WO2022071723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6009U (ko) 1975-09-04 1977-03-14
JPH0979396A (ja) * 1995-07-11 1997-03-25 Tatsuo Okazaki 流路切換バルブ装置
US20160003490A1 (en) 2013-02-25 2016-01-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conditioning apparatus
JP6188946B2 (ja) * 2014-07-18 2017-08-30 三菱電機株式会社 熱媒体流路切替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CN106537063B (zh) * 2014-07-18 2019-04-23 三菱电机株式会社 空调装置
JP6639983B2 (ja) * 2016-03-25 2020-02-05 株式会社不二工機 流路切換弁
JP6671491B2 (ja) * 2016-09-23 2020-03-25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21005183T5 (de) 2023-07-13
WO2022071723A1 (ko) 2022-04-07
US20230228336A1 (en) 202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0763B2 (en) Hot water supply system
US8800313B2 (en) Water circulation system associated with refrigerant cycle
EP2420711A1 (en) Valve block, valve block unit, and method for inspecting the valve block unit
JP2006071174A (ja) 冷凍装置
KR100791930B1 (ko) 멀티공기조화기용 실외유닛
CN109154461A (zh) 用于自由冷却应用的气冷和水冷式冷冻器
US11499727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1088043B1 (ko) 사방 리버싱밸브
JP2022085869A (ja) 冷媒回路の制御のための多方向弁
KR20110070190A (ko) 이중 스풀밸브가 적용된 냉난방 공기조화기용 사방밸브
KR20220043595A (ko) 유로전환장치
CN106286889B (zh) 六通换向阀和空调系统
EP4224095A1 (en) Flow path switching device
KR20220134957A (ko) 유로전환장치
JP2023515511A (ja) 空気調和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の水充填方法
CN109059151B (zh) 空调热泵系统
JP2020041742A (ja) 磁気冷凍装置
KR101218862B1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 조화기
KR100794779B1 (ko) 히트 펌프식 멀티 공기 조화기
KR102550360B1 (ko) 공기조화기
KR20200114123A (ko) 공기조화 장치
KR20140089797A (ko) 공기조화기
WO2023073872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4457831B2 (ja) 冷凍装置
KR20070049759A (ko)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