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3436A -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43436A KR20220043436A KR1020200126831A KR20200126831A KR20220043436A KR 20220043436 A KR20220043436 A KR 20220043436A KR 1020200126831 A KR1020200126831 A KR 1020200126831A KR 20200126831 A KR20200126831 A KR 20200126831A KR 20220043436 A KR20220043436 A KR 202200434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tomatic defibrillator
- storage unit
- aed
- data
- stora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29960003965 antiepileptics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4092 self-diagno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4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0496 Heart Arres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211—Means for communicating with stimulators
- A61N1/37252—Details of algorithms or data aspects of communication system, e.g. handshaking, transmitting specific data or segmenting data
- A61N1/37254—Pacemaker or defibrillator security, e.g. to prevent or inhibit programming alterations by hackers or unauthorised individu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211—Means for communicating with stimulators
- A61N1/37252—Details of algorithms or data aspects of communication system, e.g. handshaking, transmitting specific data or segmenting data
- A61N1/37282—Details of algorithms or data aspects of communication system, e.g. handshaking, transmitting specific data or segmenting data characterised by communication with experts in remote locations using a networ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68—Constructional arrangements, e.g. cas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93—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physic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시스템은, 자동심장충격기를 수납하기 위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을 제공하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적어도 하나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각각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에 배치되며, 자동심장충격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무선으로 연결되어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Internet of Things)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IoT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여 적어도 하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심장충격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보관함 통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미널이나 지하철 대합실 및 놀이공원 등과 같이 사람이 많이 모이는 다중 이용 시설과 공공장소에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응급 처치를 할 수 있는 응급 용품이나 응급 처치장비들이 수납된 응급 구조함이 다수 배치된다.
또한, 응급 처치 용품들 외에도 심장에 전기충격을 줄 수 있는 자동심장충격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를 배치하여, 심정지 등에 따른 응급 상황 발생시 심장에 전기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대비하고 있다.
그러나 응급 장비인 자동심장충격기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하여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으며, 배터리는 날씨의 의한 환경적 변화 요소에 따라 변화량을 예측할 수 없고, 또한 자연방전으로 인하여 일정시간이 지나면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응급 상황시 사람의 생명을 지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자동심장충격기의 자연방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자동심장충격기의 배터리의 잔량을 지속적으로 체크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자동심장충격기는 패드의 겔이 마르게 되면 인체에 패드를 부착시킬 수 없게 되므로, 패드의 겔이 마르지 않고 최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관함의 온도 및 습도를 적절한 조건으로 유지하는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종래에는 자동심장충격기의 배터리 잔량 및 패드를 관리하기 위해 자동심장충격기의 배치날짜를 이용해 일정 기간의 유통기한을 설정한 후, 그 유통기한에 맞추어 배터리와 패드 교체도 하고 수기로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점검도 해왔다.
특히, 자동심장충격기를 장시간 보관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를 매월 점검해야 하나, 자동심장충격기의 설치 날짜를 사용하여 일정기간의 유통기한을 정한 후, 그 기한에 맞추어 교체하는 방식으로는 그 관리량이 많아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더욱이, 자동심장충격기의 다중 이용시설 및 공동주택 설치 의무화 관련 법안이 시행되면서 급속도로 증가하는 자동심장충격기의 설치 장소들을 일일이 찾아내어 점검하기에는 더더욱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공공장소에 설치되기 때문에 사람의 왕래가 드문 늦은 밤이나 새벽 시간에 고가의 의료장비 도난사고가 발생하여 필요 시, 장비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함은 물론, 고가 장비인 자동심장충격기의 도난으로 금전적인 손해 및 응급 상황에 대비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근래에는 시, 군, 구나 관할 보건소 및 설치기관의 관리책임자 등의 관제 센터에서 공공장소에 설치된 자동심장충격기의 위치 및 보관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고, 응급 상황 발생 시 구조 요청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응급 구조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었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의 응급 구조 시스템은 자동심장충격기의 보관 위치와 배터리 및 패드 관리 기한 및 도난, 분실 여부 등에 대해서만 주기적으로 통보해주는 정도일 뿐, 실질적으로 관할 보건소의 관리 담당자들이 일일이 보관함을 찾아 확인하고 관리해야 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더더욱 효율적인 관리 플랫폼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의해 응급장비를 매월 1회 이상 점검해야 하는 의무가 있으므로, 더욱 그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공장소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과 통신하여 자동심장충격기의 정상작동여부, 자동심장충격기의 배터리 상태 및 패드 상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의 온도, 습도 및 충격여부,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의 도어개폐여부,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 및 응급호출버튼의 동작여부 등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의 관리 효율은 높이고 관리 비용은 절감시킬 수 있는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자동심장충격기를 수납하기 위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각각의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Internet of Things)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IoT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는 통합리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IoT 단말기는, 수집된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암호화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통합리시버로 송신하며, 상기 통합리시버는 수신한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해독하여 비암호화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비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상기 IoT 단말기가 수집하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가 미리 결정된 주기에 따라 정기적으로 수행하는 자가진단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은,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유닛본체; 상기 수납유닛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용 팬; 및 상기 수납유닛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용 열선을 포함하며, 상기 IoT 단말기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의 온도 및 습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통합리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은,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자동심장충격기가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으로부터 탈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경보를 울리는 사이렌; 상기 습도 조절용 팬, 상기 온도 조절용 열선,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 및 상기 사이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습도 조절용 팬, 상기 온도 조절용 열선,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 상기 사이렌 및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IoT 단말기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통합리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용 열선은,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배치 열선부; 및 상기 내부배치 열선부로부터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외부배치 열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은, 실외에 배치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을 눈, 비 및 바람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 가능하도록,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유닛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는, 상기 수납유닛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타워본체; 상기 타워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유닛 수용공간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도어; 상기 타워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응급호출버튼; 및 상기 타워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탐지하는 도어 개폐여부 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IoT 단말기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 및 상기 응급호출버튼의 작동여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통합리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은,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의 상기 타워본체에는, 상기 수납유닛 수용공간의 입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도어의 일측과 접촉하여 상기 수납유닛 수용공간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제1 누수방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의 상기 수납유닛본체에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의 입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도어의 내측에 마련되는 누수방지 플레이트와 접촉하여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제2 누수방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은,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유닛본체를 상기 수납유닛 수용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타워본체의 일측에 연결시키는 슬라이딩 이동레일; 및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수납유닛본체가 상기 수납유닛 수용공간에 인입되었을 때 상기 수납유닛본체를 상기 타워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공장소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과 통신하여 자동심장충격기의 정상작동여부, 자동심장충격기의 배터리 상태 및 패드 상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의 온도, 습도 및 충격여부,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의 도어개폐여부,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 및 응급호출버튼의 동작여부 등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의 관리 효율은 높이고 관리 비용은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자동심장충격기 및 IoT 단말기의 단말 계통 인증작업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이 수납유닛 수용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이 수납유닛 수용공간으로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의 정면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의 후면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자동심장충격기 및 IoT 단말기의 단말 계통 인증작업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이 수납유닛 수용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이 수납유닛 수용공간으로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의 정면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의 후면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자동심장충격기 및 IoT 단말기의 단말 계통 인증작업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이 수납유닛 수용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이 수납유닛 수용공간으로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의 정면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의 후면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시스템은,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과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를 구비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1)과, IoT(Internet of Things) 단말기(700)와, 통합리시버(800)과, 서버(900)를 포함한다.
도 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심장충격기(100)가 단독으로 배치되는 경우(a)와, 자동심장충격기(100)가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에 수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b)와, 자동심장충격기(100)가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에 수납되고 다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이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에 수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c)가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a)와 (b)의 경우는 실내에 설치되는 경우이며, (c)의 경우는 실외에 설치되는 경우일 것이다.
이하에서는 실외에 설치되는 (c)의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할 것이며, 따라서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1)은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1)이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내에 설치되는 (a)와 (b)의 경우에도 구성요소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인 관리방법은 유사하다.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은 자동심장충격기를 수납하기 위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실외에 배치되는 자동심장충격기의 보관하기 위한 최적의 온도 및 습도로 조절하여 자동심장충격기를 최상의 컨디션으로 보관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은, 수납유닛본체(310)와, 슬라이딩 이동레일(320)과, 고정브라켓(330)과, 습도 조절용 팬(340)과, 온도 조절용 열선(350)과,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360)와, 사이렌(370)과, 전원공급부(380)와,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수납유닛본체(310)는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딩 이동레일(320)은 수납유닛본체(310)의 측면에 결합되어, 수납유닛본체(310)를 수납유닛 수용공간(S2)으로부터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타워본체(510)의 일측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평소에는 수납유닛본체(310)가 수납유닛 수용공간(S2)으로 인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지만,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을 편하고 손쉽게 유지 보수하기 위해 슬라이딩 이동레일(320)을 마련함으로써,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을 수납유닛 수용공간(S2)으로부터 간단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고정브라켓(330)은 수납유닛본체(3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수납유닛본체(310)가 수납유닛 수용공간(S2)에 인입되었을 때, 즉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의 유지 보스가 필요하지 않은 평소에 수납유닛본체(310)를 수납유닛 수용공간(S2)으로 인입된 상태로 수납유닛본체(310)를 타워본체(5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습도 조절용 팬(340)은 수납유닛본체(310)에 결합되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도 3 및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유닛본체(310)의 내부에 배치되어, 팬 배기구(313, 도 5 참조)를 통해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게 된다.
온도 조절용 열선(350)은 수납유닛본체(310)에 결합되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수납유닛본체(3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배치 열선부(351)과, 내부배치 열선부(351)로부터 수납유닛본체(310)의 외부로 연장되어 수납유닛본체(310)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외부배치 열선부(35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4 내지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배치 열선부(351)는 소용돌이 형태로 배치되고, 열선 통과공(312, 도 6 참조)을 통과하여 외부배치 열선부(352)로 연결되어, 수납유닛본체(310)의 내부와 외부에서 동시에 열을 가해줌으로써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 내부의 온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내부배치 열선부(351)의 일측에는 열선 커버플레이트(311, 도 5 참조)가 마련되는데, 열선 커버플레이트(311)는 자동심장충격기와 밀착되어 온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열선 커버플레이트(311)를 마련함으로써 자동심장충격기의 보관 온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열선 커버플레이트(311)는 열전도율을 극대화하면서 자성의 영향을 막아주기 위하여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부식에 강한 장점도 있다.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360)는 수납유닛본체(3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자동심장충격기가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으로부터 탈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가 감지되면 후술할 IoT 단말기(700)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사이렌(370)은 수납유닛본체(310)의 내부에 마련되어 경보를 울리는 역할을 하며, 전원공급부(380)는 습도 조절용 팬(340), 온도 조절용 열선(350),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360) 및 사이렌(37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습도 조절용 팬(340), 온도 조절용 열선(350),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360), 사이렌(370) 및 전원공급부(3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 뿐만 아니라 후술할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를 각각 마련하여 이중보관구조에 의해 자동심장충격기를 보관함으로써, 실외에 배치되는 자동심장충격기를 눈, 비 및 바람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여 자동심장충격기를 최상의 컨디션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는 실외에 배치되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을 눈, 비 및 바람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 가능하도록,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유닛 수용공간(S2, 도 4 참조)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는, 타워본체(510)와, 도어(520)와, 응급호출버튼(530)과, 경광등(540)과, 도어 개폐여부 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타워본체(510)는 수납유닛 수용공간(S2)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유닛 수용공간(S2)이 상부에 마련되고 하부에는 추가적인 장비 등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었다.
도어(520)는 타워본체(510)에 결합되어 수납유닛 수용공간(S2)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과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에, 이하에서 설명하는 이중구조의 누수방지부를 마련함으로써,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을 눈 및 비에 의한 누수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먼저, 타워본체(510)에는, 수납유닛 수용공간(S2)의 입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도어(520)가 닫혔을 때 도어(520)의 일측과 접촉하여 수납유닛 수용공간(S2)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제1 누수방지부(515)가 마련된다.
그리고,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의 수납유닛본체(310)에는,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의 입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도어(520)가 닫혔을 때 도어(520)의 내측에 마련되는 누수방지 플레이트(521)와 접촉하여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제2 누수방지부(315)가 마련된다.
즉, 도어(520)와 제1 누수방지부(515)의 접촉에 의해 타워본체(510)의 수납유닛 수용공간(S2)으로의 누수를 1차적으로 방지하게 되고, 도어(520)의 내측에 마련되는 누수방지 플레이트(521)와 제2 누수방지부(315)의 접촉에 의해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으로의 누수를 2차적으로 방지하게 되므로, 이중구조의 누수방지부에 의해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을 눈 및 비에 의한 누수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타워본체(510)의 수납유닛 수용공간(S2) 내부에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을 배치하는 이중구조에 의해, 타워본체(510)와 수납유닛본체(310)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 내부의 온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본체(510)의 하부 양측에는 한 쌍의 흡기팬(517)과 흡기구(518)가 마련되고,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본체(510)의 상부에는 배기팬(519)과 배기구(미도시)가 되어, 타워본체(510) 내부의 공기 흐름을 조절함으로써 수납유닛 수용공간(S2) 내부의 습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나아가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 내부의 습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흡기구(518)와 배기구(미도시)는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경사진 구조의 차단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흡기팬(517)과 흡기구(518) 사이에는 미세먼지차단용 필터(미도시)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를 마련함으로써, 온도 및 습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빗물 등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응급호출버튼(530)은 타워본체(5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응급상황 발생시에 응급호출버튼(530)을 누르게 되면, 서버로 신호가 송신되며, 이러한 신호에 따라 구급차를 포함한 의료지원 인력이 시간에 맞게 도착할 수 있도록 출동요청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도어 개폐여부 탐지센서(미도시)는 타워본체(510)의 일측에 마련되어 도어(520)의 개폐여부를 탐지하는 역할을 하며, 도어 개폐여부가 감지되면 후술할 IoT 단말기(700)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IoT(Internet of Things) 단말기(700)는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에 배치되며, 자동심장충격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무선으로 연결되어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IoT 단말기(700)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적외선통신(IrDA) 등의 근거리 무선연결방식에 의해 자동심장충격기(1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 및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와도 추가적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IoT 단말기(700)가 수집하는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는, 자동심장충격기가 미리 결정된 주기에 따라 정기적으로 수행하는 자가진단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IoT 단말기(700)가 수집하는 데이터는, 자동심장충격기의 정상작동여부, 자동심장충격기의 배터리 상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의 온도 및 습도, 도어의 개폐여부,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 및 응급호출버튼의 작동여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중요한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수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실시간으로 연속적으로 수집하거나 또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IoT 단말기(700)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는 서버(900)로 전송되어 적어도 하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통합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 예에서, IoT 단말기(700)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대상에 따라 IoT 단말기(700)가 수집하는 데이터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단말기(700)가 자동심장충격기(1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경우에는 자동심장충격기의 정상작동여부 및 자동심장충격기의 배터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IoT 단말기(700)가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경우에는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의 온도 및 습도,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IoT 단말기(700)가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경우에는 도어의 개폐여부 및 응급호출버튼의 작동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통합리시버(800)는 적어도 하나의 IoT 단말기(7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서버(9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일반적으로 IoT 단말기(700)와 통합리시버(800)는 원거리 통신에 의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IoT 단말기(700)와 통합리시버(800) 사이에서는 보안을 위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송수신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IoT 단말기(700)가 수집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암호화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암호화 데이터를 통합리시버(800)로 송신하며, 통합리시버(800)는 수신한 암호화 데이터를 해독하여 비암호화 데이터로 변환하고, 비암호화 데이터를 서버(900)로 전달하게 된다.IoT 단말기(700)와 통합리시버(800) 사이의 통신 방식은 IoT 통신인 LTE-M(KT), NB-IoT(KT), ROLA(SKT)을 비롯하여,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무선인터넷(Wi-Fi), 이더넷(Ethernet) 등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서버(900)는 적어도 하나의 IoT 단말기(7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여 적어도 하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는 PC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접속 장소에 대한 제한없이 간단하게 서버(900)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900)는 클라우드 형태의 서버 시스템일 수 있으며, 관리자는 관리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에서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의 도어개폐여부가 감지되거나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가 감지되면 이에 대한 데이터가 IoT 단말기(700)로 전달되며, 다시 서버(900)로 전달된다. 그리고 전달된 데이터는 서버(900)에서 저장되고 처리되며, 관리 플랫폼을 통해 관리자에게 문자(SMS), 이-메일(E-mail) 또는 다양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또한, 자동심장충격기의 배터리 잔량 및 패드 유효기간을 모니터링하여 관리하고 정기적으로 점검표를 작성함으로써, 자동심장충격기의 교체시기를 효율적으로는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응급호출버튼의 작동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일정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예를 들어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의 도어가 열리고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이 감지되며, 자동심장충격기의 사용 및 응급호출버튼의 작동이 감지된다면 실제로 응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구급차를 포함한 의료지원 인력이 시간에 맞게 도착할 수 있도록 출동요청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을 가진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자동심장충격기(100)는, 예를 들어 매일 정해진 시간에 1회 자가진단을 수행하는 등의 방식으로, 미리 결정된 주기에 따라 정기적으로 자가진단을 실시하게 되고,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IoT 단말기(700)으로 전달하게 된다.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의 종류는, 자동심장충격기의 시리얼 번호, 자동심장충격기의 제조년월일, 자가진단 수행시기, 자동심장충격기의 정상 유무, 고전압 회로의 오류여부, 배터리의 부족여부, 임피던스 회로의 오류여부, 심전도 회로의 오류?여부, 배터리 경고여부, 시스템 오류여부, 배터리잔량 레벨(모델별 상이), 패드의 정상유무(모델별 상이) 등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 필요한 그 외의 데이터가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IoT 단말기(700)는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200)의 내부에 배치되므로 자동심장충격기(100)와 가까운 거리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러한 데이터는 자동심장충격기(100)로부터 IoT 단말기(700)로 전송될 때,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적외선통신(IrDA) 등의 근거리 무선연결방식에 의해 전송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과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는 자동심장충격기(100)와 마찬가지로 IoT 단말기(70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의 온도 및 습도, 외부로부터의 충격발생여부, 도어의 개폐여부,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 통신에러, 점검모드의 작동여부 및 응급호출버튼의 작동여부 등의 데이터를 IoT 단말기(7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필요한 그 외의 데이터가 추가적으로 송신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IoT 단말기(700)는, 자동심장충격기(100),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 및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통합리시버(800)로 송신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통합리시버(800)는 서버(800)와 가까이 위치하기 때문에 IoT 단말기(700)와 통합리시버(800) 사이에는 물리적인 거리가 멀다.
따라서, 근거리 무선통신이 아닌 원거리 통신을 이용하게 되며, 통신 방식은 IoT 통신인 LTE-M(KT), NB-IoT(KT), ROLA(SKT)을 비롯하여,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무선인터넷(Wi-Fi), 이더넷(Ethernet) 등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송신되는 데이터는 전술한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비롯하여, IoT 단말기의 시리얼번호, 통신의 종류, 접점 포트(port)의 연결상태, 통신의 세기, 시스템 오류의 코드 등의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필요한 그 외의 데이터가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IoT 단말기(700)와 통합리시버(800)는 원거리 통신에 의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보안을 위해 데이터의 암호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IoT 단말기(700)는 수집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암호화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암호화 데이터를 통합리시버(800)으로 송신하며, 통합리시버(800)는 수신한 암호화 데이터를 해독하여 비암호화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비암호화 데이터를 서버(900)로 전달하게 된다.
이후에 서버(900)에서는 관리 플랫폼을 통해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공공장소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과 통신하여 자동심장충격기의 정상작동여부, 자동심장충격기의 배터리 상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의 온도 및 습도,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의 도어개폐여부,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 등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의 관리 효율은 높이고 관리 비용은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S1 :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S2 : 수납유닛 수용공간
1 :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100 : 자동심장충격기
300 :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310 : 수납유닛본체
315 : 제2 누수방지부 320 : 슬라이딩 이동레일
330 : 고정브라켓 340 : 습도 조절용 팬
350 : 온도 조절용 열선 351 : 내부배치 열선부
352 : 외부배치 열선부
360 :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
370 : 사이렌
500 :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
510 : 타워본체 515 : 제1 누수방지부
517 : 흡기팬 518 : 흡기구
519 : 배기팬
520 : 도어 521 : 누수방지 플레이트
530 : 응급호출버튼 700 : IoT 단말기
800 : 통합리시버 900 : 서버
1 :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100 : 자동심장충격기
300 :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310 : 수납유닛본체
315 : 제2 누수방지부 320 : 슬라이딩 이동레일
330 : 고정브라켓 340 : 습도 조절용 팬
350 : 온도 조절용 열선 351 : 내부배치 열선부
352 : 외부배치 열선부
360 :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
370 : 사이렌
500 :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
510 : 타워본체 515 : 제1 누수방지부
517 : 흡기팬 518 : 흡기구
519 : 배기팬
520 : 도어 521 : 누수방지 플레이트
530 : 응급호출버튼 700 : IoT 단말기
800 : 통합리시버 900 : 서버
Claims (7)
- 자동심장충격기를 수납하기 위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을 구비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각각의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Internet of Things)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IoT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는 통합리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IoT 단말기는,
수집된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암호화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통합리시버로 송신하며,
상기 통합리시버는 수신한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해독하여 비암호화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비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기가 수집하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가 미리 결정된 주기에 따라 정기적으로 수행하는 자가진단에 대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은,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유닛본체;
상기 수납유닛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용 팬; 및
상기 수납유닛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용 열선을 포함하며,
상기 IoT 단말기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의 온도 및 습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통합리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은,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자동심장충격기가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으로부터 탈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경보를 울리는 사이렌;
상기 습도 조절용 팬, 상기 온도 조절용 열선,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 및 상기 사이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습도 조절용 팬, 상기 온도 조절용 열선,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 상기 사이렌 및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IoT 단말기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통합리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은,
실외에 배치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을 눈, 비 및 바람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 가능하도록,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유닛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는,
상기 수납유닛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타워본체;
상기 타워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유닛 수용공간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도어;
상기 타워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응급호출버튼; 및
상기 타워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탐지하는 도어 개폐여부 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IoT 단말기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 및 상기 응급호출버튼의 작동여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통합리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6831A KR102503148B1 (ko) | 2020-09-29 | 2020-09-29 |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시스템 |
PCT/KR2020/014250 WO2022071622A1 (ko) | 2020-09-29 | 2020-10-19 |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시스템 |
JP2021500158A JP7308256B2 (ja) | 2020-09-29 | 2020-10-19 | 自動体外式除細動器保管函の統合管理システ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6831A KR102503148B1 (ko) | 2020-09-29 | 2020-09-29 |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3436A true KR20220043436A (ko) | 2022-04-05 |
KR102503148B1 KR102503148B1 (ko) | 2023-02-23 |
Family
ID=80950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6831A KR102503148B1 (ko) | 2020-09-29 | 2020-09-29 |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시스템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7308256B2 (ko) |
KR (1) | KR102503148B1 (ko) |
WO (1) | WO2022071622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79831A (ko) * | 2022-11-29 | 2024-06-05 | 루씨엠(주) |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92445A (ko) * | 2008-02-27 | 2009-09-01 |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 원격 관리형 제세동기와 연계된 응급 구조 시스템 및 이를위한 장치 및 방법 |
KR101038799B1 (ko) | 2011-03-08 | 2011-06-03 | (주)나눔테크 | 공공시설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 |
KR20110129544A (ko) * | 2010-05-26 | 2011-12-02 | 주식회사 헤드 | 심장제세동기의 운영시스템 |
JP2015123337A (ja) * | 2013-12-27 | 2015-07-06 | 侑治 佐藤 | 屋外用aed装置 |
KR20190095570A (ko) * | 2018-01-19 | 2019-08-16 | 에스케이텔링크 주식회사 | IoT 기반 AED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526345B2 (en) * | 2004-06-10 | 2009-04-28 | Medtronic Emergency Response Systems, Inc. | Assessing medical electrode condition |
JP5231057B2 (ja) * | 2008-03-19 | 2013-07-10 | 日本宅配システム株式會社 | 物品収納装置 |
CN109089204A (zh) * | 2018-07-09 | 2018-12-25 | 南京时代大数据网络安全技术与发展战略研究院有限公司 | Aed装置以及aed监控系统 |
-
2020
- 2020-09-29 KR KR1020200126831A patent/KR10250314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10-19 WO PCT/KR2020/014250 patent/WO202207162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10-19 JP JP2021500158A patent/JP7308256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92445A (ko) * | 2008-02-27 | 2009-09-01 |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 원격 관리형 제세동기와 연계된 응급 구조 시스템 및 이를위한 장치 및 방법 |
KR20110129544A (ko) * | 2010-05-26 | 2011-12-02 | 주식회사 헤드 | 심장제세동기의 운영시스템 |
KR101038799B1 (ko) | 2011-03-08 | 2011-06-03 | (주)나눔테크 | 공공시설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 |
JP2015123337A (ja) * | 2013-12-27 | 2015-07-06 | 侑治 佐藤 | 屋外用aed装置 |
KR20190095570A (ko) * | 2018-01-19 | 2019-08-16 | 에스케이텔링크 주식회사 | IoT 기반 AED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79831A (ko) * | 2022-11-29 | 2024-06-05 | 루씨엠(주) |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3500751A (ja) | 2023-01-11 |
WO2022071622A1 (ko) | 2022-04-07 |
KR102503148B1 (ko) | 2023-02-23 |
JP7308256B2 (ja) | 2023-07-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75635B2 (en) | Communication system provided with control apparatus between local network and external network | |
CN105593916B (zh) | 分叉的处理器危害检测系统 | |
AU2020277206A1 (en) | Drone control device | |
CN107991999A (zh) | 电力电缆隧道综合监控系统和方法 | |
US20050242948A1 (en) | Alarm system | |
US10663321B1 (en) | Capacitive door sensor | |
CN108762354A (zh) | 配电房系统 | |
US20130154823A1 (en) | Alarm Detection and Notification System | |
CN107251530A (zh) | 用于实现物联网(IoT)远程控制应用的系统和方法 | |
CN105190720A (zh) | 安全系统访问简档 | |
CN103198596A (zh) | 智能联网报警系统及其实现方法 | |
KR20100089274A (ko) | 통신구 관리시스템 | |
CN108170079A (zh) | 工地智能集装箱综合管理平台 | |
KR102503148B1 (ko) |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시스템 | |
WO2019079862A1 (en) | FIRE DETECTION SYSTEM, AUTOMATIC DATA CAPTURE, REMOTE TEST, ANALYSIS, APPARATUS AND METHODS | |
GB2502062A (en) | Analysing power consumption of electrical appliances to determine a person's state of health | |
CN209486739U (zh) | 一种变电站监控用门禁装置 | |
CN208477698U (zh) | 无人值守人防警报系统 | |
JP2008146623A (ja) | 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プログラム | |
JP4025819B1 (ja) | 監視システム | |
KR102704585B1 (ko) |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 | |
US20220061141A1 (en) | Facility communication and/or location apparatus and system | |
KR20160032810A (ko) | 전력선 통신망과 공중전화 교환망을 이용한 고독사 방지 장치 | |
KR102503147B1 (ko) |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 |
CN107896319A (zh) | 一种智能监控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