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147B1 -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 Google Patents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147B1
KR102503147B1 KR1020200126830A KR20200126830A KR102503147B1 KR 102503147 B1 KR102503147 B1 KR 102503147B1 KR 1020200126830 A KR1020200126830 A KR 1020200126830A KR 20200126830 A KR20200126830 A KR 20200126830A KR 102503147 B1 KR102503147 B1 KR 102503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automatic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3435A (ko
Inventor
남승민
Original Assignee
루씨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씨엠(주) filed Critical 루씨엠(주)
Priority to KR1020200126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147B1/ko
Publication of KR20220043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68Constructional arrangements, e.g.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 A61N1/3931Protecting, e.g. back-up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75Power suppl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은, 자동심장충격기를 수납하기 위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을 제공하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 가능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및 실외에 배치되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을 눈, 비 및 바람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 가능하도록,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유닛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Outdoor type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본 발명은,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자동심장충격기의 보관을 위한 최적의 조건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실외에 배치되는 자동심장충격기를 눈, 비 및 바람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여 자동심장충격기를 최상의 컨디션으로 보관할 수 있는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미널이나 지하철 대합실 및 놀이공원 등과 같이 사람이 많이 모이는 다중 이용 시설과 공공장소에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응급 처치를 할 수 있는 응급 용품이나 응급 처치장비들이 수납된 응급 구조함이 다수 배치된다.
또한, 응급 처치 용품들 외에도 심장에 전기충격을 줄 수 있는 자동심장충격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를 배치하여, 심정지 등에 따른 응급 상황 발생시 심장에 전기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대비하고 있다.
최근에는 고령화, 서구형 식단, 잦은 음주, 스트레스 등으로 국내 심혈관질환자 및 급성심정지환자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므로, 자동심장충격기의 설치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으며, 따라서 실내에 설치되는 자동심장충격기 뿐만 아니라 국립공원 등과 같은 실외에 설치되는 자동심장충격기의 설치대수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응급 장비인 자동심장충격기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하여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으며, 배터리는 날씨의 의한 환경적 변화 요소에 따라 변화량을 예측할 수 없고, 또한 자연방전으로 인하여 일정시간이 지나면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응급 상황시 사람의 생명을 지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자동심장충격기의 자연방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자동심장충격기의 배터리의 잔량을 지속적으로 체크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자동심장충격기는 패드의 겔이 마르게 되면 인체에 패드를 부착시킬 수 없게 되므로, 패드의 겔이 마르지 않고 최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관함의 온도 및 습도를 적절한 조건으로 유지하는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실외에 설치된 자동심장충격기의 경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를 자동심장충격기를 보관하기 위한 최적의 온도 및 습도 조건으로 조절하여 자동심장충격기를 최상의 컨디션으로 보관할 수 있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실외에 자동심장충격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눈, 비 및 바람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자동심장충격기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38799호, (2011.06.03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자동심장충격기의 보관을 위한 최적의 조건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실외에 배치되는 자동심장충격기를 눈, 비 및 바람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여 자동심장충격기를 최상의 컨디션으로 보관할 수 있는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자동심장충격기를 수납하기 위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 가능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및 실외에 배치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을 눈, 비 및 바람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 가능하도록,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유닛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는, 상기 수납유닛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타워본체; 및 상기 타워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유닛 수용공간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타워본체에는, 상기 수납유닛 수용공간의 입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도어의 일측과 접촉하여 상기 수납유닛 수용공간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제1 누수방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의 수납유닛본체에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의 입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도어의 내측에 마련되는 누수방지 플레이트와 접촉하여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제2 누수방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은,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유닛본체를 상기 수납유닛 수용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타워본체의 일측에 연결시키는 슬라이딩 이동레일; 및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수납유닛본체가 상기 수납유닛 수용공간에 인입되었을 때 상기 수납유닛본체를 상기 타워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은, 상기 수납유닛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용 팬; 및 상기 수납유닛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용 열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용 열선은,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배치 열선부; 및 상기 내부배치 열선부로부터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외부배치 열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은,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자동심장충격기가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으로부터 탈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경보를 울리는 사이렌; 상기 습도 조절용 팬, 상기 온도 조절용 열선,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 및 상기 사이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습도 조절용 팬, 상기 온도 조절용 열선,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 상기 사이렌 및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의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하는 IoT(Internet of Things)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는, 상기 타워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응급호출버튼; 및 상기 타워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탐지하는 도어 개폐여부 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oT 단말기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및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IoT 단말기가 수집하는 데이터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의 정상작동여부,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의 배터리 상태,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의 온도 및 습도,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 및 상기 응급호출버튼의 작동여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는, 상기 타워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전원공급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 가능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을 마련함으로써,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자동심장충격기의 보관을 위한 최적의 조건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와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를 각각 마련하여 이중보관구조에 의해 자동심장충격기를 보관함으로써, 실외에 배치되는 자동심장충격기를 눈, 비 및 바람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여 자동심장충격기를 최상의 컨디션으로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이 수납유닛 수용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이 수납유닛 수용공간으로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의 정면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의 후면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이 수납유닛 수용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이 수납유닛 수용공간으로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의 정면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의 후면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1)은,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과,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와, IoT(Internet of Things) 단말기(700)를 포함한다.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은 자동심장충격기를 수납하기 위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실외에 배치되는 자동심장충격기의 보관하기 위한 최적의 온도 및 습도로 조절하여 자동심장충격기를 최상의 컨디션으로 보관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은, 수납유닛본체(310)와, 슬라이딩 이동레일(320)과, 고정브라켓(330)과, 습도 조절용 팬(340)과, 온도 조절용 열선(350)과,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360)와, 사이렌(370)과, 전원공급부(380)와,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수납유닛본체(310)는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딩 이동레일(320)은 수납유닛본체(310)의 측면에 결합되어, 수납유닛본체(310)를 수납유닛 수용공간(S2)으로부터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타워본체(510)의 일측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평소에는 수납유닛본체(310)가 수납유닛 수용공간(S2)으로 인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지만,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을 편하고 손쉽게 유지 보수하기 위해 슬라이딩 이동레일(320)을 마련함으로써,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을 수납유닛 수용공간(S2)으로부터 간단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고정브라켓(330)은 수납유닛본체(3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수납유닛본체(310)가 수납유닛 수용공간(S2)에 인입되었을 때, 즉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의 유지 보스가 필요하지 않은 평소에 수납유닛본체(310)를 수납유닛 수용공간(S2)으로 인입된 상태로 수납유닛본체(310)를 타워본체(5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습도 조절용 팬(340)은 수납유닛본체(310)에 결합되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도 1 및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유닛본체(310)의 내부에 배치되어, 팬 배기구(313, 도 3 참조)를 통해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게 된다.
온도 조절용 열선(350)은 수납유닛본체(310)에 결합되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수납유닛본체(3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배치 열선부(351)과, 내부배치 열선부(351)로부터 수납유닛본체(310)의 외부로 연장되어 수납유닛본체(310)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외부배치 열선부(35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배치 열선부(351)는 소용돌이 형태로 배치되고, 열선 통과공(312, 도 4 참조)을 통과하여 외부배치 열선부(352)로 연결되어, 수납유닛본체(310)의 내부와 외부에서 동시에 열을 가해줌으로써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 내부의 온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내부배치 열선부(351)의 일측에는 열선 커버플레이트(311, 도 4 참조)가 마련되는데, 열선 커버플레이트(311)는 자동심장충격기와 밀착되어 온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열선 커버플레이트(311)를 마련함으로써 자동심장충격기의 보관 온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열선 커버플레이트(311)는 열전도율을 극대화하면서 자성의 영향을 막아주기 위하여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부식에 강한 장점도 있다.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360)는 수납유닛본체(3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자동심장충격기가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으로부터 탈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가 감지되면 후술할 IoT 단말기(700)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사이렌(370)은 수납유닛본체(310)의 내부에 마련되어 경보를 울리는 역할을 하며, 전원공급부(380)는 습도 조절용 팬(340), 온도 조절용 열선(350),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360) 및 사이렌(37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습도 조절용 팬(340), 온도 조절용 열선(350),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360), 사이렌(370) 및 전원공급부(3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 뿐만 아니라 후술할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를 각각 마련하여 이중보관구조에 의해 자동심장충격기를 보관함으로써, 실외에 배치되는 자동심장충격기를 눈, 비 및 바람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여 자동심장충격기를 최상의 컨디션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는 실외에 배치되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을 눈, 비 및 바람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 가능하도록,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유닛 수용공간(S2, 도 2 참조)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는, 타워본체(510)와, 도어(520)와, 응급호출버튼(530)과, 경광등(540)과, 도어 개폐여부 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타워본체(510)는 수납유닛 수용공간(S2)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유닛 수용공간(S2)이 상부에 마련되고 하부에는 추가적인 장비 등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었다.
도어(520)는 타워본체(510)에 결합되어 수납유닛 수용공간(S2)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과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에, 이하에서 설명하는 이중구조의 누수방지부를 마련함으로써,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을 눈 및 비에 의한 누수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먼저, 타워본체(510)에는, 수납유닛 수용공간(S2)의 입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도어(520)가 닫혔을 때 도어(520)의 일측과 접촉하여 수납유닛 수용공간(S2)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제1 누수방지부(515)가 마련된다.
그리고,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의 수납유닛본체(310)에는,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의 입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도어(520)가 닫혔을 때 도어(520)의 내측에 마련되는 누수방지 플레이트(521)와 접촉하여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제2 누수방지부(315)가 마련된다.
즉, 도어(520)와 제1 누수방지부(515)의 접촉에 의해 타워본체(510)의 수납유닛 수용공간(S2)으로의 누수를 1차적으로 방지하게 되고, 도어(520)의 내측에 마련되는 누수방지 플레이트(521)와 제2 누수방지부(315)의 접촉에 의해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으로의 누수를 2차적으로 방지하게 되므로, 이중구조의 누수방지부에 의해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을 눈 및 비에 의한 누수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타워본체(510)의 수납유닛 수용공간(S2) 내부에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을 배치하는 이중구조에 의해, 타워본체(510)와 수납유닛본체(310)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 내부의 온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본체(510)의 하부 양측에는 한 쌍의 흡기팬(517)과 흡기구(518)가 마련되고,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본체(510)의 상부에는 배기팬(519)과 배기구(미도시)가 되어, 타워본체(510) 내부의 공기 흐름을 조절함으로써 수납유닛 수용공간(S2) 내부의 습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나아가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 내부의 습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흡기구(518)와 배기구(미도시)는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경사진 구조의 차단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흡기팬(517)과 흡기구(518) 사이에는 미세먼지차단용 필터(미도시)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를 마련함으로써, 온도 및 습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빗물 등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응급호출버튼(530)은 타워본체(5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응급상황 발생시에 응급호출버튼(530)을 누르게 되면, 서버로 신호가 송신되며, 이러한 신호에 따라 구급차를 포함한 의료지원 인력이 시간에 맞게 도착할 수 있도록 출동요청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도어 개폐여부 탐지센서(미도시)는 타워본체(510)의 일측에 마련되어 도어(520)의 개폐여부를 탐지하는 역할을 하며, 도어 개폐여부가 감지되면 후술할 IoT 단말기(700)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IoT(Internet of Things) 단말기(700)는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에 배치되며, 자동심장충격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무선으로 연결되어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IoT 단말기(700)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적외선통신(IrDA) 등의 근거리 무선연결방식에 의해 자동심장충격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 및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와도 추가적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IoT 단말기(700)가 수집하는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는, 자동심장충격기가 미리 결정된 주기에 따라 정기적으로 수행하는 자가진단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IoT 단말기(700)가 수집하는 데이터는, 자동심장충격기의 정상작동여부, 자동심장충격기의 배터리 상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의 온도 및 습도, 도어의 개폐여부,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 및 응급호출버튼의 작동여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중요한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수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실시간으로 연속적으로 수집하거나 또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IoT 단말기(700)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는 서버(미도시)로 전송되어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통합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 예에서, IoT 단말기(700)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대상에 따라 IoT 단말기(700)가 수집하는 데이터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단말기(700)가 자동심장충격기(1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경우에는 자동심장충격기의 정상작동여부 및 자동심장충격기의 배터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IoT 단말기(700)가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경우에는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의 온도 및 습도,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IoT 단말기(700)가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경우에는 도어의 개폐여부 및 응급호출버튼의 작동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1')은,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가 타워본체(510)의 일측에 결합되어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전원공급모듈(550)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 제1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 예는 태양광 전원공급모듈(550)을 마련함으로써,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1')이 전원을 일정하게 공급받을 수 없는 위치에 배치될 때, 더욱 유리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 가능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을 마련함으로써,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자동심장충격기의 보관을 위한 최적의 조건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와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를 각각 마련하여 이중보관구조에 의해 자동심장충격기를 보관함으로써, 실외에 배치되는 자동심장충격기를 눈, 비 및 바람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여 자동심장충격기를 최상의 컨디션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S1 :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S2 : 수납유닛 수용공간
300 :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310 : 수납유닛본체
315 : 제2 누수방지부 320 : 슬라이딩 이동레일
330 : 고정브라켓 340 : 습도 조절용 팬
350 : 온도 조절용 열선 351 : 내부배치 열선부
352 : 외부배치 열선부
360 :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
370 : 사이렌
500 :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
510 : 타워본체 515 : 제1 누수방지부
517 : 흡기팬 518 : 흡기구
519 : 배기팬
520 : 도어 521 : 누수방지 플레이트
530 : 응급호출버튼 700 : IoT 단말기

Claims (7)

  1. 자동심장충격기를 수납하기 위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 가능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및
    실외에 배치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을 눈, 비 및 바람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 가능하도록,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유닛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는,
    상기 수납유닛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타워본체; 및
    상기 타워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유닛 수용공간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타워본체에는, 상기 수납유닛 수용공간의 입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도어의 일측과 접촉하여 상기 수납유닛 수용공간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제1 누수방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의 수납유닛본체에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의 입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도어의 내측에 마련되는 누수방지 플레이트와 접촉하여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제2 누수방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은,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유닛본체를 상기 수납유닛 수용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타워본체의 일측에 연결시키는 슬라이딩 이동레일; 및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수납유닛본체가 상기 수납유닛 수용공간에 인입되었을 때 상기 수납유닛본체를 상기 타워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누수방지부 및 상기 제2 누수방지부는,
    상기 수납유닛본체가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상기 수납유닛 수용공간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이때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의 상기 도어가 닫히게 되면, 상기 도어의 적어도 일측에 동시에 접촉하여 상기 수납유닛 수용공간으로의 누수 및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으로의 누수를 동시에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은,
    상기 수납유닛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용 팬; 및
    상기 수납유닛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용 열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용 열선은,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배치 열선부; 및
    상기 내부배치 열선부로부터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외부배치 열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은,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자동심장충격기가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으로부터 탈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경보를 울리는 사이렌;
    상기 습도 조절용 팬, 상기 온도 조절용 열선,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 및 상기 사이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습도 조절용 팬, 상기 온도 조절용 열선,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 상기 사이렌 및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의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하는 IoT(Internet of Things)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KR1020200126830A 2020-09-29 2020-09-29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KR102503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830A KR102503147B1 (ko) 2020-09-29 2020-09-29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830A KR102503147B1 (ko) 2020-09-29 2020-09-29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435A KR20220043435A (ko) 2022-04-05
KR102503147B1 true KR102503147B1 (ko) 2023-02-23

Family

ID=81182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830A KR102503147B1 (ko) 2020-09-29 2020-09-29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1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5835A (ja) * 2008-03-19 2009-10-08 Japan Delivery System Corp 物品収納装置
JP2013215369A (ja) * 2012-04-09 2013-10-24 Katsuhiro Iida 壁掛け式屋外型aed収納ボック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799B1 (ko) 2011-03-08 2011-06-03 (주)나눔테크 공공시설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
WO2013183959A1 (ko) * 2012-06-07 2013-12-12 주식회사 메디아나 엘리베이터의 자동제세동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5835A (ja) * 2008-03-19 2009-10-08 Japan Delivery System Corp 物品収納装置
JP2013215369A (ja) * 2012-04-09 2013-10-24 Katsuhiro Iida 壁掛け式屋外型aed収納ボック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435A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2711B2 (en)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CN102624055A (zh) 具有基于电池温度拉出不同电流的内部控制器的电池
CN201883896U (zh) 一种带网络监控和门禁功能的防盗门
CN207650838U (zh) 一种门禁用人脸识别装置
WO2022104840A1 (zh) 带有警报系统的配电柜
KR102503147B1 (ko)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KR102314804B1 (ko) 지능형 설비 자동제어 시스템
KR102503148B1 (ko)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시스템
KR102041921B1 (ko) 공동주택용 통신장치
CA2612798A1 (en) Method of facilitating access to operator functions of hazardous condition alarm devices
CN112583939A (zh) 除颤器的远程维护方法和远程维护装置
CN210078613U (zh) 除颤器管理系统
CN109193423A (zh) 一种自动散热通风的电控柜
CN207882721U (zh) 一种户外机柜安全监测支架
CN208208044U (zh) 一种低压电力防盗装置
JP7093485B2 (ja) 自律型小型無線装置及びその分散設置方法
KR20150010317A (ko) 태양광을 이용한 실외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
US20180133495A1 (en) System and methods for storing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CN206962968U (zh) 一种智能高清异常识别摄像头
CN205085956U (zh) 移动式变电安全工具箱
CN112330899B (zh) 一种基于大数据的建筑安全监测预警系统
CN218499158U (zh) 一种具有微型消防充电站的小区联网系统
CN218124136U (zh) 一种环保户外环网箱
CN213151369U (zh) 便携式ats配电箱
KR102616745B1 (ko) 태양광 충전을 이용한 심장제세동기 및 실외용 보관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