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921B1 - 공동주택용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921B1
KR102041921B1 KR1020190048336A KR20190048336A KR102041921B1 KR 102041921 B1 KR102041921 B1 KR 102041921B1 KR 1020190048336 A KR1020190048336 A KR 1020190048336A KR 20190048336 A KR20190048336 A KR 20190048336A KR 102041921 B1 KR102041921 B1 KR 102041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mmunication module
temperature
reference value
lif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진
Original Assignee
(주) 더베스트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더베스트이앤씨 filed Critical (주) 더베스트이앤씨
Priority to KR1020190048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3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 빌라 등과 같은 주거용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인터넷, 전화 등의 유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통신모듈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변화하는 내부 온도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동작하는 온도제어수단 및 온도감응형 개폐모듈이 구비된 공동주택용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통신장치{Communication device for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용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 빌라 등과 같은 주거용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인터넷, 전화 등의 유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통신모듈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변화하는 내부 온도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동작하는 온도제어수단 및 온도감응형 개폐모듈이 구비된 공동주택용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라 등과 같은 주거용 공동주택의 경우 각 세대에는 인터넷, 통신, TV 등의 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세대별 통신단자함이 구비되며, 이러한 통신단자함은 주로 신발장 또는 벽면의 내측에 매립된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통신단자함은 내부에 다수 개의 접속단자가 배치되고, 해당 접속단자를 외부 통신망과 연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신호를 전달받는다.
그러나, 종래의 통신단자함은 구비된 위치가 보안 및 손상의 위험 때문에 일반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에 매립되어 있고, 이로 인해 내부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지 않아 사용 중 과열, 합선, 단선 등에 의한 화재 발생의 주요한 원인이 되었다.
즉, 통신단자함은 사용하는 접속단자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사용 중 발생하는 열에 의해 내부 온도가 상승하고, 상승된 온도에 의해 접속단자 또는 케이블이 손상되며, 손상된 접속단자 또는 케이블이 끊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정전 또는 화재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493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501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74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공동주택에 배치되는 통신장치가 사용 중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여 온도를 조절하도록 하되,
다수 개의 센서를 통해 온도를 감지하며 감지된 값을 기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한 후 기준값 또는 기준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외부 공기를 내측으로 투입함과 동시에 내부 공기를 외부로 내출함으로서 온도를 조절하고,
통신모듈에서 발생한 열에 연동되어 개폐되는 온도감응형 개폐모듈을 구비하여 통신모듈의 동작 중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실시간으로 배출함으로서 과열에 의한 화재 또는 통신모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통신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각형의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통신모듈이 배치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을 개방 또는 폐쇄되는 개폐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통신모듈에 결합되어 통신모듈로부터 발생한 열을 전도하는 히트파이프를 포함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수용공간에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센서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바디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과,
상기 바디의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된 통공과,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값을 기 저장된 기준값 또는 기준범위와 비교하고, 비교된 값을 통해 상기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온도제어수단과;
상기 바디의 통공을 개폐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통공에 배치되어 이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커버와,
일단이 상기 커버에 결합된 냉각핀과,
상기 통신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히트파이프에 전도되고, 이 전도된 열의 온도에 따라 상기 냉각핀을 상승시켜 상기 통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거나 다시 원위치 시키도록 안내하는 자동승강유닛을 포함한 온도감응형 개폐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승강유닛은,
상기 히트파이프에 장착되는 열전도체용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 상부에 장착되고 내부 수용부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수용부에 채워지는 압력 발생용 액체와,
하단이 상기 케이스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냉각핀에 결합되는 승강로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통신모듈의 사용 중 발생하는 열에 의한 바디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온도를 기 저장된 기준값 또는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송풍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바디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동시에 통공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바디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때, 상기 통공에 온도감응형 개폐모듈을 배치하여, 상기 통신모듈이 동작 중 발생하는 열에 의해 실시간으로 통공을 개방 또는 폐쇄하여 보다 안전하며 화재 발생의 염려를 최소화한 공동주택용 통신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온도 조절 중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및 습기가 바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유입된 이물질이 통신모듈에 흡착되어 발생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통신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감응형 개폐모듈을 도시한 개략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로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감응형 개폐모듈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감응형 개폐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8은 도 7의 실시예의 다공성 메쉬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통신장치(1)는, 바디(10)와, 온도제어수단(20)과, 온도감응형 개폐모듈(30)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10)는, 설계 규격에 맞도록 제작된 것으로, 다수 개의 판넬을 결합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통신모듈(13)이 배치되는 수용공간(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11)의 일측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도어(12)가 구비되며, 상기 통신모듈(13)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발생한 열을 전도하는 히트파이프(14)를 포함한다.
이러한 바디(1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형성한 것으로, 공동주택의 세대내 벽면에 매립되며, 매립시 별도의 고정용 브라켓(도면 중 미도시됨)에 고정용 나사를 통해 고정된다.
한편, 상기 통신모듈(13)은 설계 규격에 맞도록 제작된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위치 및 크기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통신모듈(13)은 공동주택의 세대에 인터넷, 유무선 전화, TV 등의 신호 등을 연결하는 것으로, 내부구조 및 동작 관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개폐도어(12)는 상기 수용공간(11)의 일측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으로, 힌지를 통해 일측으로 회전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탈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히트파이프(14)는 상기 통신모듈(13)로부터 발생한 구동열 및 이로 인한 바디 내부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이 상기 통신모듈(13)에 맞닿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10)를 구성하는 판넬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파이프(14)의 타단이 상기 바디를 관통한 후 바디의 외측에 배치된 방열판(15)에 연결되어 전도된 열을 외부 공기에 의해 냉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히트파이프(14)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를 소재로 하여 형성되며, 일 예로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이 사용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진 후 내부에 열전도성 물질이 충진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열전도성 물질은 탄소섬유, 액체 나트륨, 수은, 에폭시 수지물, 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온도제어수단(20)은, 상기 바디(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한 후 이를 기 저장된 기준값 또는 기준범위와 비교한 후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외부 공기를 바디(10) 내부로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바디(10)의 수용공간(11)에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센서(21)와,
상기 바디(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바디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22)과,
상기 바디(10)에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11)과 외부를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된 통공(23)과,
상기 센서(21)로부터 감지된 감지값을 기 저장된 기준값 또는 기준범위와 비교하고, 비교된 값을 통해 상기 송풍팬(22)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24)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21)는 바디(10)의 수용공간(11)에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바디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것으로, 각각의 센서가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며, 감지된 감지값은 상기 제어부(24)로 전송된다.
여기서 센서(21)와 제어부(24)는 유선 또는 무선 또는 이들 모두를 사용하여 감지된 감지값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센서와 제어부의 통신에 대한 구성은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송풍팬(22)은 상기 바디(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바디 내부의 온도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센서(21)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을 제어부(24)에서 수신 받은 후 연산된 결과값에 의해 회전속도가 제어된다.
이러한 송풍팬(22)은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의 일측을 개방하여 배치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바디를 구성하는 판넬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한 후 각각의 구멍에 송풍팬을 배치함으로서 동시에 다수 개의 송풍팬이 동작하여 신속하게 공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4)는, 상기 센서(21)를 통해 감지된 감지값을 비교하기 위한 기준값 또는 기준범위가 저장되고, 기 저장된 기준값 또는 기준범위와 센서를 통해 감지된 감지값을 비교하여 연산한 후 연산된 결과값을 통해 상기 송풍팬(22)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4)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24)는, 상기 통신모듈(13)의 동작 중 발생하는 온도의 기준값 또는 기준범위가 저장된 기준값 저장부(241)와,
상기 센서(21)를 통해 감지된 감지값을 상기 저장부(241)에 저장된 기준값 또는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연산하는 연산부(242)와,
상기 연산부(242)로부터 전달된 결과값에 따라 상기 송풍팬(22)의 회전속도를 단계별로 제어하는 설정부(243) 및
상기 연산부(242)로부터 전달된 결과값에 따라 스피커, 조명, 외부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기 저장된 통신수단으로 전송하는 비상알림부(244)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값 저장부(241)는 해당 통신장치가 설치된 위치, 환경 및 통신모듈이 동작하는 시간 그리고 계절 등과 같은 외부 요인에 따라 설정된 기준값 및 기준범위가 저장된 것으로, 상기 연산부(242)의 호출에 의해 해당하는 기준값 또는 기준범위를 연산부에 전달한다.
이러한 기준값 저장부는 상술한 조건에 의해 하나의 통신장치에 복수 개의 기준값 또는 기준범위가 저장된 것으로, 각각의 기준값 또는 기준범위는 데이터 저장용 테이블에 분류되어 저장되고, 각 테이블은 고유의 식별번호에 의해 식별된다.
따라서, 연산부(242)로부터 기준값 또는 기준범위의 호출 신호 발생시 해당하는 기준값 또는 기준범위의 고유 식별번호에 분류 저장된 값을 연산부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상기 기준값 저장부(241)에는 실시간을 감지하기 위한 타이머, 기준값 또는 기준범위를 수정하기 위한 입력수단, 상기 타이머를 통해 제고되는 시간, 날짜 등의 정보와 기준값 및 기준범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산부(242)는 상기 센서(21)를 통해 감지된 감지값이 전송되면, 상기 기준값 저장부(241)에 저장된 기준값 또는 기준범위와 감지값을 비교하여 결과값을 생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연산작업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은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설정부(243)는 상기 연산부(242)로부터 전달된 결과값을 통해 송풍팬(22)의 회전속도를 단계별로 조절하는 것으로, 여기서 송풍팬의 단계별 조절을 통해 바디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속도를 조절한다.
일 예로 상기 연산부(242)로부터 전달된 결과값이 바디의 내부 온도가 허용 범위 이내인 경우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120~200rpm(Revolution Per Minute)으로 설정하고, 전달된 결과값이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500rpm 이상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바디의 내부 온도 허용 범위란, 상기 기준값 또는 기준범위와 감지값을 비교한 결과값이 기준값 또는 기준범위에 비해 5~12℃ 이내인 경우이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계절 또는 시간에 따라 허용 범위는 하절기 7~12℃ 의 범위, 동절기 3~6℃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비상알림부(244)는 연산부(242)로부터 전달된 결과값이 상기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이를 스피커, 조명, 외부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같은 알림수단 또는 기 저장된 통신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결과값이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이를 세대원 또는 관리사무실로 전송하여 해당 세대의 통신장치가 과열되었음을 알리는 것이다.
이러한 비상알림부(244)를 통해 과열에 의한 화재 발생을 초기에 확인할 수 있어 안정성을 높인 장점이 있다.
상기 온도감응형 개폐모듈(30)은,
상기 바디(10)의 통공(23)을 개폐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통공(23)에 배치되어 이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커버(31)와,
일단이 상기 커버(31)에 결합된 냉각핀(32)과,
상기 통신모듈(13)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히트파이프(14)에 전도되고, 이 전도된 열의 온도에 따라 상기 냉각핀(32)을 상승시켜 상기 통공(23)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거나 다시 원위치 시키도록 안내하는 자동승강유닛(3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자동승강유닛(33)은,
상기 히트파이프(14)에 장착되는 열전도체용 브래킷(331)과,
상기 브래킷(331) 상부에 장착되고 내부 수용부(332a)를 갖는 케이스(332)와,
상기 케이스(332)의 수용부(332a)에 채워지는 압력 발생용 액체(333)와,
하단이 상기 케이스(332)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수용부(332a)에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냉각핀(32)에 결합되는 승강로드(334)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온도감응형 개폐모듈(30)은 상기 히트파이프(14)가 바디(10)의 외측으로 상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손상 및 부식을 방지하고,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의 흡착에 의해 열전도도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열전도 효율을 높여 냉각 효과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커버(31)는 습기나 이물질이 표면에 쌓이지 않도록 반구형 또는 아치(arc)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공(23)을 덮어 차단한 상태로 대기하고, 상기 승강로드(334)가 상승 시 냉각핀(32)과 함께 상승하여 통공(23)을 개방함으로서 바디(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커버(31)에는 하부면 둘레를 따라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통공의 둘레를 따라 하단이 연결되는 다공성 메쉬(34)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다공성 메쉬(34)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변형이 가능한 가요성 재질인 합성수지재 또는 천 재질로 이루어져 커버(31)가 통공(23)을 폐쇄한 상태에서 포개진 상태로 대기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다공성 메쉬(34)는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커버(31)와 통공(23)의 둘레에 연결될 수 있고, 다공성 메쉬(34)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별도의 마감재를 마련하고, 상기 마감재를 볼트 등에 의해 커버(31) 및 바디(10)에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손상되거나 노후된 다공성 메쉬(34)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다공성 메쉬(34)는 바디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되, 외부의 이물질이 바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냉각핀(32)은 상기 히트파이프(14)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것으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을 소재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냉각면을 갖는 다각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동승강유닛(33)은, 상기 통신모듈(13)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히트파이프(14)에 전도되고, 이 전도된 열의 온도에 따라 상기 냉각핀(32)을 상승시켜 상기 통공(23)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거나 다시 원위치 시키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상기 브래킷(331)은 접착제에 의해 본딩 또는 볼트 등에 의한 볼팅에 의해 히트파이프(1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32)는 상호 결합 및 분리되게 상하로 나누어진 두 분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를 지나 상기 브래킷(0에 체결되는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며, 내부 수용부(332a)를 갖는다.
상기 압력 발생용 액체(333)는 상기 케이스(332)의 내부 수용부(332a)에 채워지며, 열에 의해 쉽게 팽창하는 왁스(wax)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고분자 졸(sol) alc 젤(gel) 등 다양한 액상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순수 전해질(소금 등)을 첨가하게 되면 분자들이 이온화되어 액체의 분자 구조 붕괴에 필요한 에너지가 작아지므로 더 좋은 효율로 버블을 형성할 수 있어 후술하는 승강로드(334)를 상승시키는데 보다 높은 효율을 갖는다.
상기 승강로드(334)는 상기 케이스(332)에 하단이 배치되어 상기 압력 발생용 액체(333)가 열에 의해 팽창할 때 상승하고, 수축할 때 하강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케이스(332)내에 위치한 단부측을 감싸면서 상기 압력 발생용 액체(333)로부터 비접촉되게 하는 러버(335)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러버(335)는 상기 압력 발생용 액체(333)가 승강로드(334)에 직접 맞닿는 것을 방지하면서 팽창 시 압력을 받아 변형되어 승강로드(334)의 상승을 좀 더 용이하도록 할 수 있고, 반대로 압력이 해제되면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승강로드를 좀 더 용이하게 하강시켜 원위치 하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온도감응형 개폐모듈(30)은, 히트파이프(14)로부터 전도된 열에 의해 압력 발생용 액체(333)가 팽창하면서 승강로드(334)를 상승시키고, 승강로드(334)와 결합된 냉각핀(32) 및 커버(31)가 통공(23)으로부터 이탈하여 이를 개방하여 바디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동시에 냉각핀(32)으로 전도된 열이 외부 공기와 맞닿아 냉각됨으로서 통신모듈(13)의 동작 줄 발생하는 열을 신속하게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공동주택용 통신장치
10 : 바디 20 : 온도제어수단
30 : 온도감응형 개폐모듈
11 : 수용공간 12 : 개폐도어
13 : 통신모듈 14 : 히트파이프
15 : 방열핀
21 : 센서 22 : 송풍팬
23 : 통공 24 : 제어부
241 : 기준값 저장부 242 : 연산부
243 : 설정부 244 : 비상알림부
31 : 커버 32 : 냉각핀
33 : 자동승강유닛 34 : 다공성 메쉬
331 : 브래킷 332 : 케이스
333 : 압력발생용액체 334 : 승강로드
335 : 러버

Claims (1)

  1. 다각형의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통신모듈(13)이 배치되는 수용공간(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11)의 일측을 개방 또는 폐쇄되는 개폐도어(12)가 구비되며, 상기 통신모듈(13)에 결합되어 통신모듈로부터 발생한 열을 전도하는 히트파이프(14)를 포함한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수용공간(11)에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센서(21)와,
    상기 바디(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바디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22)과,
    상기 바디(10)에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11)과 외부를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된 통공(23)과,
    상기 센서(21)로부터 감지된 감지값을 기 저장된 기준값 또는 기준범위와 비교하고, 비교된 값을 통해 상기 송풍팬(22)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24)를 포함한 온도제어수단(20)과;
    상기 바디(10)의 통공(23)을 개폐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통공(23)에 배치되어 이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커버(31)와,
    일단이 상기 커버(31)에 결합된 냉각핀(32)과,
    상기 통신모듈(13)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히트파이프(14)에 전도되고, 이 전도된 열의 온도에 따라 상기 냉각핀(32)을 상승시켜 상기 통공(23)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거나 다시 원위치 시키도록 안내하는 자동승강유닛(33)을 포함한 온도감응형 개폐모듈(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승강유닛(33)은,
    상기 히트파이프(14)에 장착되는 열전도체용 브래킷(331)과,
    상기 브래킷(331) 상부에 장착되고 내부 수용부(332a)를 갖는 케이스(332)와,
    상기 케이스(332)의 수용부(332a)에 채워지는 압력 발생용 액체(333)와,
    하단이 상기 케이스(332)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수용부(332a)에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냉각핀(32)에 결합되는 승강로드(334)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4)는,
    상기 통신모듈(13)의 동작 중 발생하는 온도의 기준값 또는 기준범위가 저장된 기준값 저장부(241)와,
    상기 센서(21)를 통해 감지된 감지값을 상기 저장부(241)에 저장된 기준값 또는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연산하는 연산부(242)와,
    상기 연산부(242)로부터 전달된 결과값에 따라 상기 송풍팬(22)의 회전속도를 단계별로 제어하는 설정부(243)과,
    상기 연산부(242)로부터 전달된 결과값에 따라 스피커, 조명, 외부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기 저장된 통신수단으로 전송하는 비상알림부(244)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31)에는, 하부면 둘레를 다라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통공의 둘레를 따라 하단이 연결되는 다공성 메쉬(34)가 더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332)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로드(334)의 단부가 압력 발생용 액체(333)로부터 비접촉되게 하는 러버(335)가 더 구비되어, 상기 러버(335)를 통해 상기 압력 발생용 액체(333)가 승강로드(334)에 직접 맞닿는 것을 방지하며, 팽창 시 압력을 받아 변형되어 승강로드(334)의 상승을 용이하게 하고, 반대로 압력이 해제되면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승강로드(334)를 원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통신장치.
KR1020190048336A 2019-04-25 2019-04-25 공동주택용 통신장치 KR102041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336A KR102041921B1 (ko) 2019-04-25 2019-04-25 공동주택용 통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336A KR102041921B1 (ko) 2019-04-25 2019-04-25 공동주택용 통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921B1 true KR102041921B1 (ko) 2019-11-07

Family

ID=68578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336A KR102041921B1 (ko) 2019-04-25 2019-04-25 공동주택용 통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9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705B1 (ko) * 2020-03-04 2020-07-14 (주)건일엠이씨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KR102169559B1 (ko) * 2020-04-22 2020-10-23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방열기능을 겸비한 매입형 공동주택 정보통신 케이블 보호덕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2497A (ja) * 1990-10-04 1992-05-15 Toshiba Corp 崩壊熱除去系の空気冷却器
KR101504935B1 (ko) 2015-02-25 2015-03-23 (주)부건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세대별 통신 단자함
KR101665018B1 (ko) 2016-03-17 2016-10-12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정보통신 리모델링용 공동주택 세대단자함 장치
KR101758874B1 (ko) * 2017-01-23 2017-07-17 김우진 배전선로 부하 제어 시스템
KR101777405B1 (ko) 2017-03-14 2017-09-12 (주)하일기술단 공동주택 통신선 보호박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2497A (ja) * 1990-10-04 1992-05-15 Toshiba Corp 崩壊熱除去系の空気冷却器
KR101504935B1 (ko) 2015-02-25 2015-03-23 (주)부건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세대별 통신 단자함
KR101665018B1 (ko) 2016-03-17 2016-10-12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정보통신 리모델링용 공동주택 세대단자함 장치
KR101758874B1 (ko) * 2017-01-23 2017-07-17 김우진 배전선로 부하 제어 시스템
KR101777405B1 (ko) 2017-03-14 2017-09-12 (주)하일기술단 공동주택 통신선 보호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705B1 (ko) * 2020-03-04 2020-07-14 (주)건일엠이씨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KR102169559B1 (ko) * 2020-04-22 2020-10-23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방열기능을 겸비한 매입형 공동주택 정보통신 케이블 보호덕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1921B1 (ko) 공동주택용 통신장치
KR101118563B1 (ko) 전기 배전함 및 통신함 설치용 냉온유지장치
US10364802B2 (en) Heating a wind turbine facility
JP2017082507A (ja)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5314764B2 (ja) 電子装置用ハウジング
CN103717033A (zh) 一种机箱,及温控设备
CN206640181U (zh) 一种防潮高低压开关柜
US7100385B2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al enclosures
KR100819499B1 (ko) 냉난방기능을 갖는 랙
CN206237730U (zh) 一种具有内部加热功能的半导体抽湿机
CN205407025U (zh) 一种自动断电配电柜
KR10249315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08616063A (zh) 一种基于温湿度控制的降噪低压开关柜
CN209517804U (zh) 温控式散热电源盒
CN213240856U (zh) 一种大型配电柜热成像检测控制系统
CN205353547U (zh) 一种智能散热投影仪安装座
CN212626788U (zh) 散热开关控制柜
CN211151265U (zh) 一种配线变压器防烧智能配电箱
US7032325B2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for gas dryer
CN208257209U (zh) 电力控制箱
CN110739616A (zh) 一种房屋装修带密码的智能控制配电箱
KR102228742B1 (ko) 화재 감지 기능이 구비된 콘센트
JP7278350B2 (ja) 結露防止機構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及びその結露防止制御方法
CN215683063U (zh) 一种消防用户信息传输装置
CN217384583U (zh) 一种燃气报警阀控制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