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705B1 -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705B1
KR102133705B1 KR1020200027012A KR20200027012A KR102133705B1 KR 102133705 B1 KR102133705 B1 KR 102133705B1 KR 1020200027012 A KR1020200027012 A KR 1020200027012A KR 20200027012 A KR20200027012 A KR 20200027012A KR 102133705 B1 KR102133705 B1 KR 102133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erminal box
fixture
communication termin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윤
Original Assignee
(주)건일엠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일엠이씨 filed Critical (주)건일엠이씨
Priority to KR1020200027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인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는 복수개의 전선배출공이 형성된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배면에 장착되고, 내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방수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방수부재와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전선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면 테두리에는 지지판 결합홈이 형성되는 배면 지지판;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외면 둘레에 배치되고, 배면 끝단에는 벽면이나 구조물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외측 방향으로 수직 지지면이 돌출형성되며, 내면 둘레에는 상기 지지판 결합홈에 끼움 결합된 후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지지판 결합돌기로 구성된 복수개의 마감부재를 결합하여 형성되는 마감 고정구; 상기 배면 지지판의 배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면서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고 배면 중앙에는 착탈돌기가 형성되는 브라켓 결합홈이 형성되는 마감 고정 브라켓; 상기 배면 지지판의 후방에 배치되고, 전면 가장자리 끝단에는 상기 브라켓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착탈돌기가 구비된 브라켓 결합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전선 관통공이 형성되는 벽면 고정구; 상기 마감 고정구와 벽면 고정구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전선 관통공이 형성된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간격 조절부재로 구성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내부 완충구;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전면 입구 양측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전면 지지 고정구; 상기 전면 지지 고정구의 지지돌기에 양측 끝단에 형성된 결합홈이 결합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마감판; 및 상기 마감판의 후방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내부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롤 형상의 메쉬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Construction terminal box waterproof structure}
본원발명인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는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도 벽면이나 구조물에서 전달되는 냉기나 열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통신단자함은 전력 수급과 함께 필요한 곳으로 세밀하고 고른 전력공급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외형을 유지하는 케이스는 여러 면의 단면 패널로 함체 형태로 구성하되 함체 한쪽 면에 개구부를 구성하고 여기에 개폐문을 구비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설비되는 각종 전기전자기기 및 제어기기 등이 설비되는 전기패널을 외부로부터의 직접적인 물리적 외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각종 먼지와 같은 불순물뿐만 아니라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여 전기패널의 손상을 예방하도록 하여 설비된 기기들의 작동에 대한 신뢰성 및 안전성을 보장하는 기능을 겸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을 실내에 비치하여 사용할 경우 케이스 내부에 설비된 전기패널의 각종 기기에서부터 발생하는 소음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 추가되어야 하는 등 나날이 발전하는 전기패널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음이나 방열뿐만 아니라 방수에 이르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건축용 통신단자함이 필요로하게 됨에 따라 최근에는 다양한 형상과 모양은 물론 기능까지 유지하는 건축용 통신단자함을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118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078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전면에 장착되는 마감판과 메쉬망을 통해 내부로 물이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배면에 장착되는 배면 지지판과 벽면 고정구 및 내부 완충구를 통해 벽면이나 구조물에서 전달되는 냉기나 열기를 차단할 수 있는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는 복수개의 전선배출공이 형성된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배면에 장착되고, 내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방수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방수부재와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전선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면 테두리에는 지지판 결합홈이 형성되는 배면 지지판;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상하 또는 외면 둘레에 배치되고, 배면 끝단에는 벽면이나 구조물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외측 방향으로 수직 지지면이 돌출형성되며, 내면 둘레에는 상기 지지판 결합홈에 끼움 결합된 후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지지판 결합돌기로 구성된 복수개의 마감부재를 결합하여 형성되는 마감 고정구; 상기 배면 지지판의 배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면서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고 배면 중앙에는 착탈돌기가 형성되는 브라켓 결합홈이 형성되는 마감 고정 브라켓; 상기 배면 지지판의 후방에 배치되고, 전면 가장자리 끝단에는 상기 브라켓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착탈돌기가 구비된 브라켓 결합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전선 관통공이 형성되는 벽면 고정구; 상기 마감 고정구와 벽면 고정구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전선 관통공이 형성된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간격 조절부재로 구성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내부 완충구;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전면 입구 양측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전면 지지 고정구; 상기 전면 지지 고정구의 지지돌기에 양측 끝단에 형성된 결합홈이 결합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마감판; 및 상기 마감판의 후방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내부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롤 형상의 메쉬망;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마감판과 메쉬망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상부에 복수개의 송풍팬이 장착되며, 상기 공간부의 하부에는 송풍팬에서 전달되는 바람을 외부로 안내하는 곡면가이드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 지지판의 전선 관통공에는 전선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전선 고정구가 장착되고, 상기 전선 고정구는 상하로 분리형성되며, 양측에 측면 지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 지지공의 사이에는 중앙 지지공이 형성되는 내부 커버; 상하로 분리형성되면서 상기 내부 커버와 결합되고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외부 커버; 상기 측면 지지공에 삽입되고 내면에는 전선의 삽입 및 배출시 안내를 위한 곡면 또는 경사면이 형성된 밀착돌기; 상기 중앙 지지공에 삽입되고 내면에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도록 브러쉬가 장착되는 가압 지지구; 및 상기 외부 커버의 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밀착돌기와 가압 지지구를 탄성을 통해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는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전면에 장착되는 마감판과 메쉬망을 통해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손쉽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는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배면에 장착되는 배면 지지판과 벽면 고정구 및 내부 완충구를 통해 벽면이나 구조물에서 전달되는 냉기나 열기를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차에 의한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내부에 습기가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를 나나타낸 단면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를 나나타낸 단면도이다.
본원발명인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100)는 방수부재(120)가 구비된 배면 지지판(110), 마감 고정구(130), 마감 고정 브라켓(140), 벽면 고정구(150), 내부 완충구(160), 전면 지지 고정구(170), 마감판(180), 메쉬망(19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100)에 적용되는 건축용 통신단자함(10)은 사각 박스 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되면서 배면에 복수개의 전선배출공(22)이 형성되는 단자본체(20)와 상기 단자본체(20)의 전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커버(30)로 구성되되,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10)은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배면 지지판(110)은 건축용 통신단자함(10)의 배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배면 지지판(110)은 내면에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방수부재(120)가 장착되고, 상기 방수부재(120)와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전선 관통공(112, 122)이 형성되고, 외면 테두리에는 지지판 결합홈(114)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배면 지지판(110)과 방수부재(120)는 벽면 또는 구조물과 접촉하는 마감 고정구(130) 및 벽면 고정구(150)와 결합되어, 외부의 열기 또는 냉기가 건축용 통신단자함(1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면서도 외부의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면 지지판(110)과 방수부재(120)의 전선 관통공(112, 122)는 본체(22)의 전선배출공(2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마감 고정구(130)는 건축용 통신단자함(10)의 상하 또는 외면 둘레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 고정구(130)는 배면 끝단에 벽면이나 구조물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외측 방향으로 수직 지지면(134)이 돌출형성되며, 내면 둘레에는 상기 지지판 결합홈(114)에 끼움 결합된 후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지지판 결합돌기(136)로 구성된 복수개의 마감부재(132)를 결합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마감 고정구(130)는 수직 지지면(134)과 지지판 결합돌기(136)가 구비된 복수개의 마감부재(132)를 결합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감 고정구(130)는 배면 끝단에 직각 형상으로 수직 지지면(134)을 형성하면서 내면에는 지지판 결합돌기(136)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판 결합홈(114)에 끼움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132)의 길이는 본체(2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마감 고정 브라켓(140)은 배면 지지판(110)의 배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 고정 브라켓(140)은 배면 지지판(110)의 배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면서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고 배면 중앙에는 착탈돌기(144)가 형성되는 브라켓 결합홈(142)이 형성된다.
즉, 상기 마감 고정 브라켓(140)은 배면 지지판(11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면서 착탈돌기(144)가 형성된 브라켓 결합홈(142)을 통해 벽면 고정구(150)와 끼움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 결합홈(142)에 형성되는 착탈돌기(144)의 형상은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벽면 고정구(150)는 배면 지지판(110)의 후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벽면 고정구(150)는 전면 가장자리 끝단에 상기 브라켓 결합홈(142)에 끼움 결합되는 착탈돌기(154)가 구비된 브라켓 결합부(152)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전선 관통공(156)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간격을 두고 밀착돌기(158)가 형성된다.
즉, 상기 벽면 고정구(150)는 배면 지지판(110)의 배면에 배치되면서 상기 착탈돌기(154)가 마감 고정 브라켓(140)의 브라켓 결합홈(142)에 끼움 결합되고, 배면에는 벽면 또는 구조물에 일부가 밀착 지지될 수 있도록 밀착돌기(158)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내부 완충구(160)는 마감 고정구(130)와 벽면 고정구(15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S)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완충구(160)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전선 관통공(164)이 형성된 수직판(162)과 상기 수직판(162)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간격 조절부재(166)로 구성된다.
즉, 상기 내부 완충구(160)는 공간(S)에 배치되며, 플레이트 형상의 수직판(162)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직판(162)의 양측에는 간격을 두고 간격 조절부재(166)가 형성되어, 상기 마감 고정구(130)와 벽면 고정구(150)의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외부의 열기와 내부의 열기가 교차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상기 전면 지지 고정구(170)는 건축용 통신단자함(10)의 전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지지 고정구(17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는 플레이트의 내면에 간격을 두고 지지돌기(17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전면 지지 고정구(170)는 건축용 통신단자함(10)을 구성하는 본체(20)의 입구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마감판(180)은 전면 지지 고정구(170)의 사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판(180)은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양측에는 지지돌기(172)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182)이 형성된다.
즉, 상기 마감판(180)은 전면 지지 고정구(170)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양측 끝단에 형성된 결합홈(182)이 지지돌기(172)에 끼움 결합하게 된다.
상기 메쉬망(190)은 건축용 통신단자함(10)의 전면에 장착된다
즉, 상기 메쉬망(190)은 전면 지지 고정구(170)의 배면에 배치되는 본체(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20)의 내부를 개방 또는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메쉬망(190)은 공지된 롤 메쉬망을 택일하여 구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기로 한다.
본원발명의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는 도시된 도 5 내지 7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시된 도 5의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10)는 마감판(180)과 메쉬망(190)의 사이에 방수구조를 추가하여 내부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100)는 상기 마감판(180)과 메쉬망(190)의 사이에 공간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10)의 상부에 복수개의 송풍팬(230)이 장착되며, 상기 공간부(210)의 하부에는 송풍팬(230)에서 전달되는 바람을 외부로 안내하는 곡면가이드(240)가 장착된다.
즉,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100)는 마감판(180)과 메쉬망(190)의 사이에 공간부(210)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210)의 상부에는 공지된 에어커튼과 같이 송풍팬(230)을 장착하며, 하부에는 외부로 바람을 안내할 수 있도록 곡면가이드(240)를 장착하여, 상기 송풍팬(230)에서 공급되는 바람을 통해 외부에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곡면가이드(24)을 통해 물이나 이물질이 배출되는 통로(마감판, 건축용 통신단자함을 구성하는 커버)는 개방되게 형성됨은 당연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6 및 7의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100)는 상기 배면 지지판(110)의 전선 관통공(112)에는 전선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전선 고정구(300)가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선 고정구(300)는 상하로 분리형성되며, 양측에 측면 지지공(312)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 지지공(312)의 사이에는 중앙 지지공(314)이 형성되는 내부 커버(310), 상하로 분리형성되면서 상기 내부 커버(310)와 결합되고 내부에는 공간(322)이 형성되는 외부 커버(320), 상기 측면 지지공(312)에 삽입되고 내면에는 전선의 삽입 및 배출시 안내를 위한 곡면 또는 경사면(332)이 형성된 밀착돌기(330), 상기 중앙 지지공(312)에 삽입되고 내면에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도록 브러쉬(342)가 장착되는 가압 지지구(340) 및 상기 외부 커버(320)의 공간(322)에 장착되고 상기 밀착돌기(330)와 가압 지지구(340)를 탄성을 통해 가압하는 스프링(350)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전선 고정구(300)는 중공형상의 내부 커버(310)에 전선이 삽입되면, 상기 내부 커버(310)에 장착되는 밀착돌기(330)의 곡면 또는 경사면(332)을 통해 원활하게 삽입되고, 상기 가압 지지구(340)의 브러쉬(342)를 통해 상기 전선에 묻은 이물질이나 먼지를 제거하게 되며, 상기 전선의 배치 후에는 상기 스프링(350)의 가압에 의한 밀착돌기(330)와 브러쉬(342)를 통해 상기 전선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복수개의 전선배출공(12)이 형성된 건축용 통신단자함(10)의 배면으로내면에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방수부재(120)가 장착되며, 상기 방수부재(120)와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전선 관통공(112, 122)이 형성되고, 외면 테두리에는 지지판 결합홈(114)이 형성되는 배면 지지판(11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배면 지지판(110)이 장착된 건축용 통신단자함(10)의 상하 또는 외면 둘레로 배면 끝단에 벽면이나 구조물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외측 방향으로 수직 지지면(134)이 돌출형성되며, 내면 둘레에는 상기 지지판 결합홈(114)에 끼움 결합된 후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지지판 결합돌기(136)로 구성된 복수개의 마감부재(132)를 결합하여 형성되는 마감 고정구(13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배면 지지판(110)의 배면 가장자리 둘레로 배면 중앙에 착탈돌기(144)가 형성되는 끼움 결합홈(142)이 형성되는 마감 고정 브라켓(140)를 체결구를 통해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배면 지지판(110)의 후방에 배치된 마감 고정 브라켓(140)으로전면 가장자리 끝단에 상기 브라켓 결합홈(142)에 끼움 결합되는 착탈돌기(154)가 구비된 브라켓 결합부(152)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전선 관통공(156)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밀착돌기(158)가 형성되는 벽면 고정구(15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마감 고정구(130)와 벽면 고정구(15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S)에는 내부로 전선 관통공(164)이 형성된 수직판(162)과 상기 수직판(162)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간격 조절부재(166)로 구성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내부 완충구(16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10)의 전면 입구 양측에 간격을 두고 내면에 간격을 두고 지지돌기(172)가 형성되는 전면 지지 고정구(170)를 장착한 후 상기 마감판(180)의 후방에 간격을 두고 내부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롤 형상의 메쉬망(19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 지지 고정구(170)의 지지돌기(172)의 양측에 끝단에 결합홈(182)이 형성된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마감판(180)을 장착하면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10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100)가 구비된 건축용 통신단자함(10)을 벽면 또는 구조물에 밀착한 후 상기 마감 고정구(130)의 수직 지지면(134)을 체결구를 통해 벽면 또는 구조물에 결합하면,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100)가 장착된 건축용 통신단자함(10)의 설치작업은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100)는 배면 지지판(110), 방수부재(120), 마감 고정구(130), 마감 고정 브라켓(140), 벽면 고정구(150)를 통해 벽면이나 구조물에서 전달되는 열기와 냉기가 건축용 통신단자함(10)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10)의 전면은 커버(30)와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장착되는 마감판(180)과 메쉬망(190)을 통해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내부의 열기와 냉기가 건축용 통신단자함(10)으로 신속하게 전달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건축용 통신단자함 20 : 본체
22 : 전선배출공 30 : 커버
100 :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110 : 배면 지지판 112 : 전선 관통공
114 : 지지판 결합홈 120 : 방수부재
122 : 전선 관통공 130 : 마감 고정구
132 : 마감부재 134 : 수직 지지면
136 : 지지판 결합돌기 140 : 마감 고정 브라켓
142 : 브라켓 결합홈 144 : 착탈돌기
150 : 벽면 고정구 152 : 브라켓 결합부
154 : 착탈돌기 156 : 전선 관통공
158 : 밀착돌기 160 : 내부 완충구
162 : 수직판 164 : 전선 관통공
166 : 간격 조절부재 170 : 전면 지지 고정구
172 : 지지돌기 180 : 마감판
182 : 결합홈 190 : 메쉬망
210 : 공간부 230 : 송풍팬
240 : 곡면가이드 300 : 전선 고정구
310 : 내부 커버 312 : 측면 지지공
314 : 중앙 지지공 320 : 외부 커버
322 : 공간 330 : 밀착돌기
332 : 곡면 또는 경사면 340 : 가압 지지구
342 : 브러쉬 350 : 스프링

Claims (3)

  1. 복수개의 전선배출공(22)이 형성된 건축용 통신단자함(10)의 배면에 장착되고, 내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방수부재(120)가 장착되며, 상기 방수부재(120)와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전선 관통공(112, 122)이 형성되고, 외면 테두리에는 지지판 결합홈(114)이 형성되는 배면 지지판(110);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10)의 상하 또는 외면 둘레에 배치되고, 배면 끝단에는 벽면이나 구조물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외측 방향으로 수직 지지면(134)이 돌출형성되며, 내면 둘레에는 상기 지지판 결합홈(114)에 끼움 결합된 후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지지판 결합돌기(136)로 구성된 복수개의 마감부재(132)를 결합하여 형성되는 마감 고정구(130);
    상기 배면 지지판(110)의 배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면서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고 배면 중앙에는 착탈돌기(144)가 형성되는 브라켓 결합홈(142)이 형성되는 마감 고정 브라켓(140);
    상기 배면 지지판(1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전면 가장자리 끝단에는 상기 브라켓 결합홈(142)에 끼움 결합되는 착탈돌기(154)가 구비된 브라켓 결합부(152)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전선 관통공(156)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밀착돌기(158)가 형성되는 벽면 고정구(150);
    상기 마감 고정구(130)와 벽면 고정구(15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S)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전선 관통공(164)이 형성된 수직판(162)과 상기 수직판(162)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간격 조절부재(166)로 구성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내부 완충구(160);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10)의 전면 입구 양측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지지돌기(172)가 형성되는 전면 지지 고정구(170);
    상기 전면 지지 고정구(170)의 지지돌기(172)에 양측 끝단에 형성된 결합홈(182)이 결합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마감판(180); 및
    상기 마감판(180)의 후방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내부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롤 형상의 메쉬망(190);을 포함하는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180)과 메쉬망(190)의 사이에 공간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10)의 상부에 복수개의 송풍팬(230)이 장착되며, 상기 공간부(210)의 하부에는 송풍팬(230)에서 전달되는 바람을 외부로 안내하는 곡면가이드(240)가 장착되는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면 지지판(110)의 전선 관통공(112)에는 전선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전선 고정구(300)가 장착되고,
    상기 전선 고정구(300)는,
    상하로 분리형성되며, 양측에 측면 지지공(312)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 지지공(312)의 사이에는 중앙 지지공(314)이 형성되는 내부 커버(310);
    상하로 분리형성되면서 상기 내부 커버(310)와 결합되고 내부에는 공간(322)이 형성되는 외부 커버(320);
    상기 측면 지지공(312)에 삽입되고 내면에는 전선의 삽입 및 배출시 안내를 위한 곡면 또는 경사면이 형성된 밀착돌기(330);
    상기 중앙 지지공(312)에 삽입되고 내면에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도록 브러쉬(342)가 장착되는 가압 지지구(340); 및
    상기 외부 커버(320)의 공간(322)에 장착되고 상기 밀착돌기(330)와 가압 지지구(340)를 탄성을 통해 가압하는 스프링(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KR1020200027012A 2020-03-04 2020-03-04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KR102133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012A KR102133705B1 (ko) 2020-03-04 2020-03-04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012A KR102133705B1 (ko) 2020-03-04 2020-03-04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705B1 true KR102133705B1 (ko) 2020-07-14

Family

ID=71526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012A KR102133705B1 (ko) 2020-03-04 2020-03-04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70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219B1 (ko) * 2020-08-21 2021-01-13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KR102229240B1 (ko) * 2020-08-21 2021-03-19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KR102356112B1 (ko) * 2021-06-03 2022-02-09 (주)건축사사무소케이아이씨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KR102496990B1 (ko) * 2022-03-15 2023-02-08 주식회사 경민엔지니어링 방수구조를 갖는 공동주택 전기의 옥외 단자함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588186B1 (ko) * 2022-11-03 2023-10-12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784Y1 (ko) * 2001-03-27 2001-10-10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초고속 통합 배선 단자함
KR200417273Y1 (ko) * 2006-03-16 2006-05-24 삼진정보통신(주) 광단자함
KR20130070788A (ko) 2011-12-20 2013-06-28 박정이 방수기능을 향상시킨 배전반 케이스
KR20140121182A (ko) 2013-04-05 2014-10-15 이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광단자함의 케이블 인입구 방수용 패킹 구조물
KR20170004802A (ko) * 2015-07-01 2017-01-11 메구로 셋케이 고우도우 카이샤 방수 커넥터 하우징
KR101758745B1 (ko) * 2017-02-09 2017-07-21 주식회사 다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외장패널 고정구조
KR102041921B1 (ko) * 2019-04-25 2019-11-07 (주) 더베스트이앤씨 공동주택용 통신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784Y1 (ko) * 2001-03-27 2001-10-10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초고속 통합 배선 단자함
KR200417273Y1 (ko) * 2006-03-16 2006-05-24 삼진정보통신(주) 광단자함
KR20130070788A (ko) 2011-12-20 2013-06-28 박정이 방수기능을 향상시킨 배전반 케이스
KR20140121182A (ko) 2013-04-05 2014-10-15 이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광단자함의 케이블 인입구 방수용 패킹 구조물
KR20170004802A (ko) * 2015-07-01 2017-01-11 메구로 셋케이 고우도우 카이샤 방수 커넥터 하우징
KR101758745B1 (ko) * 2017-02-09 2017-07-21 주식회사 다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외장패널 고정구조
KR102041921B1 (ko) * 2019-04-25 2019-11-07 (주) 더베스트이앤씨 공동주택용 통신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219B1 (ko) * 2020-08-21 2021-01-13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KR102229240B1 (ko) * 2020-08-21 2021-03-19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KR102356112B1 (ko) * 2021-06-03 2022-02-09 (주)건축사사무소케이아이씨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KR102496990B1 (ko) * 2022-03-15 2023-02-08 주식회사 경민엔지니어링 방수구조를 갖는 공동주택 전기의 옥외 단자함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588186B1 (ko) * 2022-11-03 2023-10-12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3705B1 (ko)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KR100959937B1 (ko) 방수기능이 강화된 돔형 감시카메라 구조
KR100481689B1 (ko) 청정실 천정 설치용 공조관 연결형 순환 송풍 장치
FI3504382T3 (en) Fixing profile allowing the air passage and assembly of ceiling comprising such a profile
KR101182565B1 (ko) 어셈블리 키트
KR102169262B1 (ko) 슬라이딩 높이 조절 창
KR102356112B1 (ko)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JPH11145635A (ja) 電気的又は電子的な組込物のためのハウジング構造体
KR101178111B1 (ko) 에어콘이 구비된 방음용 전화부스
KR101177918B1 (ko) 공동주택 단지 전기케이블 보호케이스
CN104641783A (zh) 割草机电子器件壳体
KR102229240B1 (ko)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KR100878258B1 (ko) 개선된 환기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KR102062101B1 (ko) 벽체형 통신 케이블 덕트
KR102201219B1 (ko)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JP2003244817A (ja) 電気接続ボックス
KR101007071B1 (ko) 광통신장비 함체의 냉각팬 모듈
KR102356114B1 (ko) 건축용 통신케이블 접속박스 설치구조
CN217408653U (zh) 上壳组件和清洁装置
KR100893938B1 (ko) 착탈가능한 매입형 스피커 유니트
KR102588186B1 (ko)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KR10068641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6201873B2 (ja) 通信制御装置
KR101377611B1 (ko) 공조장치 덕트용 선형 취출구
KR102630352B1 (ko) 이중창 내입형 환기용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