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3306A - 연료 소비량 저감을 위한 로터 세일 시스템과 샤프트 제너레이터 연계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 소비량 저감을 위한 로터 세일 시스템과 샤프트 제너레이터 연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3306A
KR20220043306A KR1020200126551A KR20200126551A KR20220043306A KR 20220043306 A KR20220043306 A KR 20220043306A KR 1020200126551 A KR1020200126551 A KR 1020200126551A KR 20200126551 A KR20200126551 A KR 20200126551A KR 20220043306 A KR20220043306 A KR 20220043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otor sail
shaft generator
generator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하성
전경원
유종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6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3306A/ko
Publication of KR20220043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2Driving of auxiliaries from propulsion power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7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2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Magnus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2003/001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 B63J2003/002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by using electric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 Y02T70/5236Renewable or hybrid-electric solu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소비량 저감을 위한 로터 세일 시스템과 샤프트 제너레이터 연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 소비량 저감을 위한 로터 세일 시스템과 샤프트 제너레이터 연계 방법{Rotor Sail System And Shaft Generator Connection Method For Reducing Fuel Consumption}
본 발명은 로터 세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선박 추력 향상을 통해 연료 소모량을 저감하며, 샤프트 제너레이터와 연계를 통해 연비 경쟁력을 확보하고 최적화된 성능 구현이 가능하여, DG(Diesel generator)로 전력을 공급할 때보다 연료소비율(FOC: Fuel Oil Consumption)과 환경오염물질(CO2) 배출 저감 효과를 가진 연료 소비량 저감을 위한 로터 세일 시스템과 샤프트 제너레이터 연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매그너스 로터는 로터 세일(Rotor sail)로도 지칭된다.
매그너스 효과(magnus effect)란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그 축에 수직하게 유입 유동을 받는 실린더에서 그 축과 유입 유동 방향에 수직한 힘, 즉 횡력(transverse force)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회전하는 실린더 주위의 유동은 몸체 주위의 균질한 유동과 와류의 중첩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전체 유동의 불균일한 분포로 인해, 실린더 둘레에 비대칭적 압력 분포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선박은 바람의 유동 중에서 유효 풍향, 즉 최고 속도를 가지고 보정한 풍향에 수직한 힘을 생성하는 회전 로터들 또는 로터리 로터들을 구비하는데, 그와 같이 생성된 힘은 항해 시와 유사하게 선박을 추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수직으로 세워진 실린더는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그러면 옆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표면 마찰에 의거하여 바람직하게는 실린더를 중심으로 한 회전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그 때문에, 정면 측에서는 유동 속도가 더 높고 정압이 더 낮으며, 그에 따라 선박이 전진 방향으로 힘을 얻게 된다.
종래의 로터 세일의 구동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본선 디젤 제너레이터 (DG)를 가동해야만 로터 세일 구동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로터 세일을 통해 선박의 추진력을 생성하며, 4 스트로크(stroke) 엔진인 디젤 제너레이터(DG)보다 효율이 좋은 2 스트로크(stroke) 메인 엔진 샤프트를 활용하여, 샤프트 제너레이터를 통해 로터 세일 시스템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며, 샤프트 제너레이터(SG)와 로터 세일(Rotor sail)과 중부하 제어 로직(Heavy Load Control Logic)을 통하여 로터 세일과 샤프트 제너레이터의 연계를 통한 연비 경쟁력을 확보하고 최적화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연료 소비량 저감을 위한 로터 세일 시스템과 샤프트 제너레이터 연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에 설치된 메인 엔진을 통해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 단계; 상기 동력 발생 단계를 통해 발생된 동력을 통해 샤프트와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메인 추진장치에 전달하여 선박을 추진하는 선박 추진 단계; 상기 선박 추진 단계에서 선박 추진 시 상기 샤프트에 연결된 샤프트 제너레이터를 통해 전력를 생산하는 전력 생산 단계; 상기 전력 생산 단계에서 생산된 전력을 상기 샤프트 제너레이터에 연결된 샤프트 제너레이터 드라이브에서 메인 엔진의 RPM에 따라 동일한 주파수 및 전압을 출력하도록 변환하는 변환 단계; 전원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전력 생산 단계에서 생산된 전력과 로터 세일 시스템 기동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동 조건 판단 단계; 상기 기동 조건 판단에서 기동 조건 만족 시 샤프트 제너레이터 드라이브에 연결된 전력 공급 라인을 통해 샤프트 제너레이터에서 생산된 전력을 로터 세일 제어부 및 로터 세일 구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단계; 상기 전력 공급 단계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로터 세일 시스템 구동 중 전원 관리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본선 부하를 확인하여, 설정 부하와 비교하는 설정 부하 비교 단계; 및
상기 설정 부하 비교 단계에서 설정 부하 이상의 부하가 발생하면, 디젤 제너레이터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 부하 이상의 부하 발생 시 디젤 제너레이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동 조건 판단 단계는, 일정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샤프트 제너레이터에서 발생하는 가용 전력과 로터 세일 시스템의 기동 조건을 고려하여, 로터 세일 시스템 기동 조건 만족 시, 디젤 제너레이터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샤프트 제너레이터에서 생산된 전기를 공급받도록 샤프트 제너레이터 드라이브와 연결하며, 로터 세일 시스템 기동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시, 전력 생산 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 부하 비교 단계는, 전원 관리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메인 엔진 토크와 실제 추진 전력 데이터를 수집하여, 엔진 동력 인출 장치 한계 전력으로부터 실시간 동력 인출 장치 가용 전력을 계산하여 본선 부하 값을 확인하며, 상기 본선 부하 값과 설정 부하 값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젤 제너레이터 연결 단계는, 상기 설정 부하 비교 단계에서 본선 부하가 설정 부하 이상의 부하가 발생하면, 전원 관리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백업 디젤 제너레이터와 연결하여 로터 세일 시스템 구동에 필요한 충분한 전력을 확보하여, 안정적으로 로터 세일 시스템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력 발생 단계에서, 상기 엔진은 2 스트로크 엔진을 사용하여 동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터 세일을 통해 선박의 추진력을 생성하며, 4 스트로크(stroke) 엔진인 디젤 제너레이터(DG)보다 효율이 좋은 2 스트로크(stroke) 메인 엔진 샤프트를 활용하여, 디젤 제너레이터(DG)의 구동 없이 샤프트 제너레이터(SG)를 통해 로터 세일 시스템에 필요한 전원 공급이 가능하여, DG(Diesel generator)로 전력을 공급할 때보다 연료소비율(FOC: Fuel Oil Consumption)과 환경오염물질(CO2) 배출 저감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 스트로크 엔진과 2 스트로크 엔진 효율을 간략하게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소비량 저감을 위한 로터 세일 시스템과 샤프트 제너레이터 연계 방법을 통한 샤프트 제너레이터 이용시 연료소비율 저감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소비량 저감을 위한 로터 세일 시스템과 샤프트 제너레이터 연계 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MS 샤프트 제너레이터 로터 세일 시스템 연계 계산 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소비량 저감을 위한 로터 세일 시스템과 샤프트 제너레이터 연계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동작상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 소비량 저감을 위한 로터 세일 시스템과 샤프트 제너레이터 연계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 스트로크 엔진과 2 스트로크 엔진 효율을 간략하게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소비량 저감을 위한 로터 세일 시스템과 샤프트 제너레이터 연계 방법을 통한 샤프트 제너레이터 이용시 연료소비율 저감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소비량 저감을 위한 로터 세일 시스템과 샤프트 제너레이터 연계 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MS 샤프트 제너레이터 로터 세일 시스템 연계 계산 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소비량 저감을 위한 로터 세일 시스템과 샤프트 제너레이터 연계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로터 세일 시스템은 선박의 메인 엔진(20)이 구비되며, 메인 엔진(20)에는 선박의 추진을 위한 프로펠러(22)가 샤프트(21)에 의해 연결된다.
메인 엔진(20)의 동력 대부분은 선박의 추진력에 사용되며, 잉여의 동력이 샤프트 제너레이터(30)에 의해서 발전하여 샤프트 제너레이터 드라이브(40)를 거쳐서 수요처로 전원이 공급된다.
샤프트에 연결된 샤프트 제너레이터(30)는 샤프트(21)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하여 전기를 생산하며, 샤프트 제너레이터 드라이브(40)는 샤프트 제너레이터(30)에서 생산한 전기를 변환하여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샤프트 제너레이터 드라이브(40)는 VFD(variable frequency drive)일 수 있으며, 샤프트 제너레이터(30)에서 생산한 전기를 교류에서 직류로, 직류에서 다시 교류로 변환하며 메인 엔진(20)의 RPM 변화에 따른 주파수를 변환할 수 있다.
샤프트 제너레이터(30)를 통해 생산된 전력을 통해 샤프트 제너레이터 드라이브(40)와 연결된 전력 공급 라인(110)을 통해 로터 세일 제어부(60)와 로터 세일 구동 모터(70)를 구동하는데 사용한다.
여기서 로터 세일 시스템은 로터 세일 제어부(60)와 로터 세일 구동 모터(7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2 스트로크(stroke) 엔진 효율은 4 스트로크(stroke) 엔진과 비교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스트로크 엔진 보다 2 스트로크 엔진 효율이 100% 부하에서 약 4.2% 높으며, 85% 부하에서 약 6.8%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4 스트로크 엔진인 디젤 제너레이터(DG)보다 효율이 좋은 2 스트로크 메인 엔진 샤프트를 활용한 샤프트 제너레이터(SG)를 이용하여 로터 세일을 구동한다.
이것에 의해 샤프트 제너레이터(SG) 적용 시 연료 소비율(FOC: Fuel Oil Consumption) 저감 효과를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 세일 구동을 위해 디젤 제너레이터(DG) 적용 시 보다 샤프트 제너레이터(SG) 적용 시 전 구간 선속에서 연료 소비율(FOC) 저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최대 약 5%의 연료 절감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터 세일을 통해 선박의 추진력을 생성하며, 4 스트로크(stroke) 엔진인 디젤 제너레이터(DG)보다 효율이 좋은 2 스트로크(stroke) 메인 엔진 샤프트를 활용하여, 디젤 제너레이터(DG)의 구동 없이 샤프트 제너레이터(SG)를 통해 로터 세일 시스템에 필요한 전원 공급이 가능하여, DG(Diesel generator)로 전력을 공급할 때보다 연료소비율(FOC: Fuel Oil Consumption)과 환경오염물질(CO2) 배출 저감 효과를 가진다.
연료 소비량 저감을 위한 로터 세일 시스템과 샤프트 제너레이터 연계 방법은 디젤 제너레이터(10) 운전 없이 샤프트 제너레이터(SG)로부터 로터 세일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전량 공급받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 세일 시스템은 메인 엔진(20) 샤프트에 인 라인 타입(In Line Type)의 샤프트 제너레이터(30)를 설치하고, 메인 엔진(20)의 RPM에 따라 동일한 주파수(Frequency)/전압(Voltage)을 출력으로 내는 컨버터를 포함하는 샤프트 제너레이터 드라이브(40)와 로터 세일 구동에 필요한 전력량을 계산하는 전원 관리 시스템(50)과 로터 세일을 구동하는 로터 세일 구동 모터(70)와 로터 세일 구동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로터 세일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관리 시스템(50)은 로터 세일 제어부(60)가 구동 시 전력 소모되는 값과 선박의 추진 효율이 향상되는 값을 계산하여 전력 소모되는 값 보다 선박의 추진 효율이 향상되는 값이 큰 경우에 구동되도록 구동 조건을 판단할 수 있으며, 구동조건 만족 시 로터 세일 제어부(60)와 로터 세일 구동 모터(70)를 통해 로터 세일이 구동되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전원 관리 시스템(50)은 선박의 일반 항해 모드(Normal Seagoing Mode) 시 디젤 제너레이터(10)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샤프트 제너레이터(30)로 Bus에 연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샤프트 제너레이터(30)에서 생성되는 전기로 로터 세일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전원관리 시스템(50)과 로터 세일 제어부(60)를 연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관리 시스템(50)에서 로터 세일 제어부(60)를 통한 로터 세일 구동 모터(70) 운전에 필요한 전력을 계산하고, 메인 엔진 운전 영역에 따른 가변 데이터(Actual Propulsion Power)로 인해 동력 인출 장치(PTO: Power Take Off)의 가용 전력의 실시간 계산이 진행된다.
또한, 메인 엔진(20)으로부터 토크(Torque), 실제 추진력 데이터(Actual Propulsion Power)를 수집하여 엔진 한계 전력(PTO Limit power)으로부터 실시간으로 가용 전력을 계산한다.
전원관리 시스템(50)에서 로터 세일 시스템의 기동 조건을 판단하고, 고 전력의 로터 세일 시스템 기동 전 여유 전력을 확보하며, 로터 세일 제어부 가용 전력과 샤프트 제너레이터 구동 전력을 통해 로터 세일 시스템을 구동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로터 세일 시스템 가동 중 본선 부하가 부족할 때 전원관리 시스템(50)에서 자동으로 백업 디젤 제너레이터(DG)를 연결하여 충분한 전력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소비량 저감을 위한 로터 세일 시스템과 샤프트 제너레이터 연계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선체에 설치된 메인 엔진(30)을 통해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 단계(S100)로 진행된다.
이어서, 상기 동력 발생 단계를 통해 발생된 동력을 통해 샤프트(21)와 프로펠러(22)를 포함하는 메인 추진장치에 전달하여 선박을 추진하는 선박 추진 단계(S110)와, 상기 선박 추진 단계에서 선박 추진 시 상기 샤프트에 연결된 샤프트 제너레이터(30)를 통해 전력를 생산하는 전력 생산 단계(S120)와 상기 전력 생산 단계에서 생산된 전력을 샤프트 제너레이터(30)에 연결된 샤프트 제너레이터 드라이브(40)에서 메인 엔진(10)의 RPM에 따라 동일한 주파수 및 전압을 출력하도록 변환하는 변환 단계(S130)로 진행된다.
이어서, 전원 관리 시스템(50)에서 일정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샤프트 제너레이터(30)에서 발생하는 가용 전력을 고려하여 로터 세일 제어부(60)와 로터 세일 구동 모터(70)의 기동 조건을 판단하는 기동 조건 판단 단계(S140)로 진행되며, 기동 조건 판단 단계(S140)에서 로터 세일 시스템 기동 조건 만족 시 디젤 제너레이터(10)와의 연결을 해제 하고 샤프트 제너레이터(30)에서 생산된 전기를 공급 받도록 샤프트 제너레이터 드라이브(40)와 연결하며, 샤프트 제너레이터 드라이브(40)에 연결된 전력 공급 라인(110)을 통해 샤프트 제너레이터(30)에서 생산된 전력을 로터 세일 제어부(60)와 로터 세일 구동 모터(70)에 공급하는 전력 공급 단계(S150)로 진행된다.
이것에 의해 전원 관리 시스템(50)에서 기동 조건을 판단하여 고전력의 로터 세일 제어부(60)와 로터 세일 구동 모터(70)를 포함하는 로터 세일 시스템 기동 전 여유 전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설정 부하 비교 단계(S160)는 전력 공급 단계(S150)에서 샤프트 제너레이터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로터 세일 시스템 구동 중 실시간으로 본선 부하를 확인하여 즉, 전원 관리 시스템(50)에서 메인 엔진(20)으로부터 토크(Torque)와 실제 추진 전력 데이터(Actual Propulsion Power Data)를 수집하여 엔진 PTO Limit Power로부터 실시간 PTO 가용 전력을 계산하여 샤프트 제너레이터(30)를 통한 PTO 가용 전력 공급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샤프트 제너레이터(30)에서 발생하는 전력을 통해 로터 세일 시스템 구동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본선 부하 확인 결과 설정 부하 값 보다 큰 부하가 발생하면 즉, 설정 부하 이상의 부하가 발생하면, 전원 관리 시스템(50)에서 자동으로 backup 디젤 제너레이터(DG)와 연결(S170)단계를 통해 backup 디젤 제너레이터(DG)로부터 충분한 전력을 확보하여, 로터 세일 구동에 따른 전력 부족 문제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로터 세일 구동을 기본적으로 샤프트 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구동함으로써, 디젤 제너레이터(10)로 전력을 공급할 때보다 FOC 감소와 CO2 저감 효과를 가지며, 본선 부하 부족 시 자동으로 backup 디젤 제너레이터와 연결하여 로터 세일 구동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로터 세일 구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로터 세일을 통해 선박의 추진력을 생성하며, 4 스트로크(stroke) 엔진인 디젤 제너레이터(DG)보다 효율이 좋은 2 스트로크(stroke) 메인 엔진 샤프트를 활용하여, 디젤 제너레이터(DG)의 구동 없이 샤프트 제너레이터(SG)를 통해 로터 세일 시스템에 필요한 전원 공급이 가능하며, DG(Diesel generator)로 전력을 공급할 때보다 연료소비율(FOC: Fuel Oil Consumption)과 환경오염물질(CO2) 배출 저감 효과를 가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디젤 제너레이터(Diesel Generator)
20: 메인 엔진(Main Engine)
30: 샤프트 제너레이터(Shaft Generator)
40: 샤프트 제너레이터 드라이브(SGD: Shaft Generator Drive)
50: 전원 관리 시스템(PMS: Power Management System)
60: 로터 세일 제어부(rotor sail control system)
70: 로터 세일 구동 모터
110: 전력 공급 라인(Power Feeding Line)
120: 제어 라인(Control Line)

Claims (5)

  1. 선체에 설치된 메인 엔진을 통해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 단계;
    상기 동력 발생 단계를 통해 발생된 동력을 통해 샤프트와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메인 추진장치에 전달하여 선박을 추진하는 선박 추진 단계;
    상기 선박 추진 단계에서 선박 추진 시 상기 샤프트에 연결된 샤프트 제너레이터를 통해 전력를 생산하는 전력 생산 단계;
    상기 전력 생산 단계에서 생산된 전력을 상기 샤프트 제너레이터에 연결된 샤프트 제너레이터 드라이브에서 메인 엔진의 RPM에 따라 동일한 주파수 및 전압을 출력하도록 변환하는 변환 단계;
    전원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전력 생산 단계에서 생산된 전력과 로터 세일 시스템 기동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동 조건 판단 단계;
    상기 기동 조건 판단에서 기동 조건 만족 시 샤프트 제너레이터 드라이브에 연결된 전력 공급 라인을 통해 샤프트 제너레이터에서 생산된 전력을 로터 세일 제어부 및 로터 세일 구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단계;
    상기 전력 공급 단계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로터 세일 시스템 구동 중 전원 관리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본선 부하를 확인하여, 설정 부하와 비교하는 설정 부하 비교 단계; 및
    상기 설정 부하 비교 단계에서 설정 부하 이상의 부하가 발생하면, 디젤 제너레이터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 부하 이상의 부하 발생 시 디젤 제너레이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소비량 저감을 위한 로터 세일 시스템과 샤프트 제너레이터 연계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동 조건 판단 단계는,
    일정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샤프트 제너레이터에서 발생하는 가용 전력과 로터 세일 시스템의 기동 조건을 고려하여, 로터 세일 시스템 기동 조건 만족 시, 디젤 제너레이터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샤프트 제너레이터에서 생산된 전기를 공급받도록 샤프트 제너레이터 드라이브와 연결하며;
    로터 세일 시스템 기동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시, 전력 생산 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 세일 시스템과 샤프트 제너레이터 연계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정 부하 비교 단계는,
    전원 관리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메인 엔진 토크와 실제 추진 전력 데이터를 수집하여, 엔진 동력 인출 장치 한계 전력으로부터 실시간 동력 인출 장치 가용 전력을 계산하여 본선 부하 값을 확인하며, 상기 본선 부하 값과 설정 부하 값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소비량 저감을 위한 로터 세일 시스템과 샤프트 제너레이터 연계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젤 제너레이터 연결 단계는,
    상기 설정 부하 비교 단계에서 본선 부하가 설정 부하 이상의 부하가 발생하면, 전원 관리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백업 디젤 제너레이터와 연결하여 로터 세일 시스템 구동에 필요한 충분한 전력을 확보하여, 안정적으로 로터 세일 시스템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소비량 저감을 위한 로터 세일 시스템과 샤프트 제너레이터 연계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 발생 단계에서,
    상기 엔진은 2 스트로크 엔진을 사용하여 동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소비량 저감을 위한 로터 세일 시스템과 샤프트 제너레이터 연계 방법.
KR1020200126551A 2020-09-29 2020-09-29 연료 소비량 저감을 위한 로터 세일 시스템과 샤프트 제너레이터 연계 방법 KR20220043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551A KR20220043306A (ko) 2020-09-29 2020-09-29 연료 소비량 저감을 위한 로터 세일 시스템과 샤프트 제너레이터 연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551A KR20220043306A (ko) 2020-09-29 2020-09-29 연료 소비량 저감을 위한 로터 세일 시스템과 샤프트 제너레이터 연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306A true KR20220043306A (ko) 2022-04-05

Family

ID=81182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551A KR20220043306A (ko) 2020-09-29 2020-09-29 연료 소비량 저감을 위한 로터 세일 시스템과 샤프트 제너레이터 연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33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8285B2 (en) Hybrid marine drivetrain
US2010027442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ropulsion systems
JP5294135B1 (ja) 船舶の圧縮空気供給システムとその装置
WO2014058008A1 (ja) 船体抵抗低減システムおよび船体の抵抗低減方法
CA2823488A1 (en) Propulsion system
KR20210143865A (ko) 배를 위한 공기 공급 장치, 이를 포함하는 배, 및 공기를 공기 윤활 디바이스에 공급하기 위한 방법
JP2004359112A (ja) 船舶推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452932B2 (ja) 船舶用電気推進システム
JP2013227012A (ja) 廃熱回収システムを備えるターボ過給式大型2ストローク往復ピストン機関を有する船舶推進システム、及び船舶推進システムを制御する方法
US5816870A (en) Electric drive system
EP2722272A1 (en) Hydrogen device for sailing boats
CN212267818U (zh) 船舶
KR20220043306A (ko) 연료 소비량 저감을 위한 로터 세일 시스템과 샤프트 제너레이터 연계 방법
JP5704455B2 (ja) 船舶用主機の余剰エネルギー回収システム
KR20190091881A (ko) 엔진 pto 출력을 이용한 선박용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
CN112572744A (zh) 双轴四机式船舶混合动力系统及其推进控制方法
CN205589447U (zh) 一种半潜船电力和推进系统以及包含该系统的半潜船
CN205059980U (zh) 耙吸式挖泥船主动力装置
KR20220055785A (ko) 선박의 최적운항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220055786A (ko) 선박의 최적운항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14834622A (zh) 一种基于模糊控制的船舶柴电混合动力推进系统
CN204415700U (zh) 一种快速船电力推进装置
KR20230002683A (ko) 선박용 공기 공급 장치, 이를 포함하는 선박, 및 공기 윤활 디바이스에 공기를 공급하는 방법
CN219008093U (zh) 一种船用混合动力系统及船舶
CN219134476U (zh) 一种采用综合电力系统的自吸自卸沙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