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849A - 데스크 유니트 - Google Patents

데스크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849A
KR20220042849A KR1020200126184A KR20200126184A KR20220042849A KR 20220042849 A KR20220042849 A KR 20220042849A KR 1020200126184 A KR1020200126184 A KR 1020200126184A KR 20200126184 A KR20200126184 A KR 20200126184A KR 20220042849 A KR20220042849 A KR 20220042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frame
sensor
support fram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9931B1 (ko
Inventor
곽재호
Original Assignee
곽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재호 filed Critical 곽재호
Priority to KR1020200126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9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42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47B2200/0087Additional support mounted on an office desk or table periphery with parts resting on the ground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 상기 책상의 후측 방향으로 상기 책상과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책상에 설치되며, 상기 책상의 상판보다 상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 또는 한 쌍의 상기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 및 패브릭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차단막;을 포함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이 상기 책상 주변에 기 설정된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차단막은 상기 책상 주변의 기 설정된 영역을 외부와 차단할 수 있는 데스크 유니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스크 유니트{DESK UNIT}
본 발명은 데스크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평면의 상판과, 상기 상판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다리로 구성된다. 일반적인 책상의 경우 사면이 모두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주로 가정용 책상이나, 강의실용, 사무실 업무용 책상 등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책상은 혼자 공부 또는 업무를 할 경우 사면이 모두 개방되어 있어 주위의 움직임 등에 쉽게 주의를 뺏길 수 있어 집중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주의력 분산으로 인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학원의 자습실용 책상이나 도서실과 같이 주변의 방해를 받지 않고 주의를 집중할 필요성을 감안한 곳에서는 양 측면 또는 양 측면과 전면의 삼면에 가림막이 설치된 책상이 공급되어 책상을 사용하는 이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책상은 가림막을 상판으로부터 수직하게 삼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상방 또는 측방으로의 시선을 빼앗길 수 있고, 후방에서 발생하는 움직임이나 소음에 여전히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에 의해 언택트 시대가 다가옴에 따라, 재택 근무, 화상회의 등 집안 상황에서 주변 환경으로부터 방해없이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공부 환경 또는 업무 환경을 위해 상부판이나 후면판 설치된 독서실용 책상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이는 일반 책상과 별도로 독서실용 책상을 새로 구매해야 하고, 이로 인한 비용 증가에 따른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7864호(2010.11.25)
본 발명은 책상 주변에 외부와 차단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형성하여, 공부나 업무 시에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스크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언택트 시대에 맞춰 재택 근무나 화상회의, 홈스쿨링 시에 공부나 업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데스크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책상 주변을 개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책상 주변의 소정의 영역을 외부와 차단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책상 데스크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책상; 상기 책상의 후측 방향으로 상기 책상과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책상에 설치되며, 상기 책상의 상판보다 상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 또는 한 쌍의 상기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 및 패브릭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차단막;을 포함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이 상기 책상 주변에 기 설정된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차단막은 상기 책상 주변의 기 설정된 영역을 외부와 차단할 수 있는 데스크 유니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책상의 상판 상면에 양 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은 양 측에 설치된 상기 지지 프레임과 동일 선상에서 상기 책상의 후측 방향에 각각 설치되며, 하단은 지면에 고정되고 상단은 천장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상기 수평 프레임은 일 단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의 높이와 동일한 상기 수직 프레임의 높이에 연결되는 데스크 유니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막은,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양 측에 위치된 상기 수평 프레임과, 한 쌍의 상기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후방에 위치된 상기 수평 프레임 각각에 설치되어, 책상 주변에 형성된 기 설정된 영역의 3개의 측면을 외부와 차단하는 데스크 유니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프레임은,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각각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책상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차단막을 고정할 수 있는 고리부를 더 포함하는 데스크 유니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책상의 상판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에 형성되는 책상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책상연결부는 흡착부 또는 볼트 체결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책상의 상판 전방에 설치 고정되는 데스크 유니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책상 주변에 외부와 차단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형성하여, 공부나 업무 시에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언택트 시대에 맞춰 재택 근무나 화상회의, 홈스쿨링 시에 공부나 업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책상 주변을 개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책상 주변의 소정의 영역을 외부와 차단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스크 유니트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데스크 유니트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의 책상연결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스크 유니트의 지지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스크 유니트의 수직 프레임 및 수평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포함하는 데스크 유니트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스크 유니트(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데스크 유니트(1)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30)의 책상연결부(3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스크 유니트(1)는 책상(10) 주변에 기 설정된 영역을 형성하고, 차단막(60)을 통해 기 설정된 영역을 외부와 차단할 수 있다. 데스크 유니트(1)는 책상(10) 주변에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필요에 따라 설치 및 해체하여 책상(10) 주변의 기 설정된 영역을 외부와 차단 또는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데스크 유니트(1)는 책상(10), 수직 프레임(20), 지지 프레임(30), 수평 프레임(40), 연결부(50) 및 차단막(60)을 포함할 수 있다.
책상(10)이 설치된 상태에서, 책상(10) 주변에 수직 프레임(20), 지지 프레임(30), 수평 프레임(40), 연결부(50) 및 차단막(60)이 설치될 수 있다. 책상(10)은 상판(11) 및 서랍장(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11)의 상면 전방에 서랍장(12)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책상(1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학생들이 사용하는 학습용 책상(10), 업무용 책상(10) 등 다양한 형태의 책상(10)들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수직 프레임(20)은 책상(10)의 후측 방향으로 책상(10)과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직 프레임(20)은 책상(10)의 후측 방향으로 책상(10)과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책상(10)의 양 측 모서리 이내의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수직 프레임(20)은 책상(10)의 좌우 양측 단부와 동일 선상에서 각각 설치되거나, 또는 책상(10)의 좌우 양 측 단부 내측에서 양 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즉, 2개의 수직 프레임(20)의 책상(10)의 후방에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책상(10)에 앉았을 때 앞을 바라보는 방향을 전방이라 한다.
수직 프레임(20)은 지면과 천장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직 프레임(20)은 양 측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30)과 동일 선상에서 책상(10)의 후측 방향에 각각 설치되며, 하단은 지면에 고정되고 상단은 천장에 고정될 수 있다.
수직 프레임(20)은 고정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1)는 수직 프레임(20)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설치되어 지면과 천장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부(21)는 흡착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고정부(21)가 흡착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체결 구조 또는 고정 구조에 의해 지면과 천장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30)은 책상(10)에 설치되며, 책상(10)의 상판(11)보다 상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0)은 2개로 이루어져 책상(10)의 상판(11) 상면에서 양 측에 각각 설치되되, 상판(11)의 전방에 설치되며 서랍장(12)보다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30)은 책상연결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책상연결부(31)는 책상(10)의 상판(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3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책상연결부(31)는 접착제, 흡착부 또는 볼트 체결와 같은 체결 구조를 통해 책상(10)의 상판(11) 전방에 설치 고정될 수 있다. 다만, 흡착부와 볼트 체결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책상연결부(31)가 상판(11)에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체결 구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 프레임(40)은 수직 프레임(20)과 지지 프레임(30)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수평 프레임(40)은 좌우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20)을 연결할 수 있다.
먼저, 지지 프레임(30)과 수직 프레임(20)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40)은 일 단이 지지 프레임(30)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 단이 지지 프레임(30)의 상부의 높이와 동일한 수직 프레임(20)의 높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수직 프레임(20)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40)은 상술한 지지 프레임(30)과 수직 프레임(20)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40)과 동일 선상 또는 그보다 높은 높이에서 한 쌍의 수직 프레임(20)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50)는 수직 프레임(20)과 수평 프레임(40)이 만나는 부분을 연결 및 고정할 수 있다. 연결부(50)는 결합홀(51), 제1 삽입부(52), 제2 삽입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부(50)는 'ㄱ'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51)에는 수직 프레임(20)이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다. 결합홀(51)은 서로 수직으로 돌출되는 제1 삽입부(52)와 제2 삽입부(53)가 만나는 중심부의 영역에 형성되는 홀일 수 있다. 결합홀(51)에 수직 프레임(20)이 관통되면서 수직 프레임(20)과 연결부(50)가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다.
제1 삽입부(52)와 제2 삽입부(53)는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부(52)와 제2 삽입부(53) 각각에는 수평 프레임(40)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삽입부(52)에는 지지 프레임(30)과 수직 프레임(20)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4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고, 제2 삽입부(53)에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20)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4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수직 프레임(20)과 연결부(50)가 연결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삽입부(52)와 제2 삽입부(53)에 수평 프레임(40)이 삽입 고정됨으로써, 수직 프레임(20)과 수평 프레임(40)을 연결 및 고정할 수 있다.
차단막(60)은 패브릭 재질로 형성되며, 수평 프레임(40)에 설치되어, 수평 프레임(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일 예로, 차단막(60)은 커튼일 수 있다.
차단막(60)은 수평 프레임(40)에서 이동되어, 수평 프레임(40)의 길이를 따라 펼쳐지면 책상(10) 주변의 기 설정된 영역을 외부로부터 차단되도록 할 수 있고, 차단막(60)이 수평 프레임(40)의 일부 길이에서 주름지도록 겹쳐지면 책상(10) 주변의 기 설정된 영역을 외부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차단막(60)은 좌우 양측 및 후방에 설치된 총 3개의 수평 프레임(40)에 설치되어, 책상(10) 주변의 기 설정된 영역을 외부와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차단막(60)은 고리부(41)를 통해 책상(10) 상부에 설치되어, 책상(10)의 상부가 외부와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차단막(60)은 3개의 수평 프레임(40)에 모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 이상의 수평 프레임(40)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차단막(60)이 책상(10)의 좌우 양측, 후방 및 상부를 포함하여 총 4개의 면을 외부와 차단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책상(10) 주변의 4개의 면 모두 개방이 가능하고, 또는 1개의 면이나 복수의 면을 외부와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스크 유니트(1)는 수직 프레임(20)과 지지 프레임(30)과 수평 프레임(40)을 통해 책상(10) 주변에서 사용자의 필요, 편의에 따라 기 설정된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차단막(60)을 통해 기 설정된 영역을 외부와 차단 및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책상(10) 주변을 외부와 차단함으로써, 화상회의, 공부, 업무 등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프레임과 차단막(60)을 이용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책상(10)의 형태, 책상(10)의 배치 위치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며,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스크 유니트(1)의 지지 프레임(30)과 수평 프레임(4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30)과 수평 프레임(40)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지지 프레임(30)은 체결부(32)를 포함하고, 수평 프레임(40)은 체결 돌출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32)는 지지 프레임(30)의 상단에서 양 측 둘레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양 측의 체결부(32) 내측에 체결홈(321)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 돌출부(42)는 수평 프레임(40)의 전방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체결홈(3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체결홈(321)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체결 돌출부(42)는 체결홈(321) 내에서 상측과 하측으로 회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체결 돌출부(42)의 높이는 체결홈(321)의 높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B)가 일 측의 체결부(32) 외측에서 체결홈(321)으로 인입되고 체결홈(321)에 위치된 체결 돌출부(42)를 관통하여 타 측의 체결부(32)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프레임(30)의 체결부(32)와 수평 프레임(40)의 체결 돌출부(42)가 체결되고, 체결부재(B)를 기준으로 축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수평 프레임(40)은 서로 회동 가능한 복수의 수평바로 구성되어, 서로 일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수평 프레임(40)은 제1 수평바(40a) 및 제2 수평바(40b)로 분리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수평바(40a) 및 제2 수평바(40b)는 힌지부(43)와 회동돌기(44)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체결될 수 있다. 제1 수평바(40a)의 후방 단부에는 힌지부(43)가 형성되고, 제2 수평바(40b)의 전방 단부에는 힌지부(43)와 체결되는 회동돌기(44)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43)는 제1 수평바(40a)의 후방 단부에서 양 측 둘레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양 측에서 돌출된 힌지부(43)의 내측에 홈부(431)가 형성될 수 있다.
회동돌기(44)는 제2 수평바(40b)의 전방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홈부(43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홈부(431)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동돌기(44)는 홈부(431) 내에서 하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회동돌기(44)의 높이는 홈부(431)의 높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지지 프레임(30)과 수평 프레임(40)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수평 프레임(40)이 제1 수평바(40a)와 제2 수평바(40b)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데스크 유니트(1)의 해체 및 보관시에, 부피를 감소시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스크 유니트(1)의 수직 프레임(20) 및 수평 프레임(4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직 프레임(20) 및 수평 프레임(4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수직 프레임(20)은 메인바(22), 제1 높이조절바(23), 제2 높이조절바(24) 및 지지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바(22)에는 복수의 고정홀(221)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메인바(22)에서 제1 높이조절바(23) 및 제2 높이조절바(24)가 삽입 및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메인바(22)에는 연결부(50)가 체결되어, 수평 프레임(40)이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높이조절바(23)는 메인바(22)의 상부에 설치되어, 메인바(22)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메인바(22)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높이조절바(24)는 메인바(22)의 하부에 설치되어, 메인바(22)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메인바(22)로 삽입될 수 있다. 지면과 천장 사이의 높이에 따라, 메인바(22)에서 제1 높이조절바(23)와 제2 높이조절바(24)의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높이조절바(23)와 제2 높이조절바(24)의 돌출 길이를 조절한 후 이를 고정시키기 위해, 메인바(22)에 형성된 고정홀(221)에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을 삽입하여 제1 높이조절바(23) 또는 제2 높이조절바(24)에 관통되도록 삽입할 수 있다. 이처럼, 메인바(22)와 제1 높이조절바(23), 메인바(22)와 제2 높이조절바(24)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여 수직 프레임(20)의 전체 길이를 지면과 천장 사이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지지부(25)는 제2 높이조절바(24)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2 높이조절바(24)가 안정적으로 지면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부(25)는 하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지지부(25)의 하면에는 바퀴(251)가 설치될 수 있다. 바퀴(251)를 통해 수직 프레임(20)의 위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데스크 유니트(1)를 해체 후 보관 및 이동 시에, 바퀴(251)를 통해 수직 프레임(20)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수평 프레임(40)은 제1 수평바(40a) 내부로 제2 수평바(40b)가 삽입되거나, 제1 수평바(40a)에서 외부로 제2 수평바(40b)가 돌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수평바(40a)에서 제2 수평바(40b)가 돌출됨으로써 수평 프레임(40)의 전체 길이가 연장되고, 제1 수평바(40a) 내부로 제2 수평바(40b)가 삽입됨으로써 수평 프레임(40)의 전체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책상(10) 주변의 기 설정된 영역을 설정할 때, 주변 환경 여건에 따라 수평 프레임(40)의 길이를 조절하여 기 설정된 영역의 크기를 조절 및 결정할 수 있다.
이처럼, 수평 프레임(40)의 길이 조절하여 기 설정된 영역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 프레임(40)의 길이를 짧게 조절하여 보관함으로써,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70)를 포함하는 데스크 유니트(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데스크 유니트(1)는 센서부(70) 및 환경 제어 모듈(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70)와 환경 제어 모듈(80)을 더 포함하여, 책상(10) 주변의 기 설정된 영역이 형성되었는지 판단하고, 그에 따라 책상(10) 주변의 기 설정된 영역의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70)는 제1 센서(71), 제2 센서(72), 제3 센서(73), 제4 센서(74), 제5 센서(75) 및 제6 센서(7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71) 및 제2 센서(72)는 지지 프레임(30)에 설치되고, 제3 센서(73) 및 제4 센서(74)는 수직 프레임(20)에 설치될 수 있고, 제5 센서(75) 및 제6 센서(76)는 수평 프레임(4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센서(71)는 좌측의 지지 프레임(30)에 설치되고, 제2 센서(72)는 우측의 지지 프레임(30)에 설치되고, 제3 센서(73)는 우측의 수직 프레임(20)에 설치되고, 제4 센서(74)는 좌측의 수직 프레임(20)에 설치되고, 제5 센서(75)는 좌측의 수평 프레임(40)에 설치되고, 제6 센서(76)는 우측의 수평 프레임(4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센서(71)와 제2 센서(72)는 서로 간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고, 제3 센서(73)와 제4 센서(74)는 서로 간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제1 센서(71)와 제2 센서(72)에서 서로 이격 거리를 감지하여 양 측의 지지 프레임(30)의 이격 거리를 감지할 수 있고, 제3 센서(73)와 제4 센서(74)에서 서로 이격 거리를 감지하여 양 측의 수직 프레임(20)의 이격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센서(71)와 제2 센서(72)에서 감지된 이격 거리에 따라 제3 센서(73)와 제4 센서(74)의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지지 프레임(30)의 이격 거리는 책상(10) 상판(11)의 좌우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수직 프레임(20)의 이격 거리는 지지 프레임(30)의 이격 거리에 대응되도록 이격된다. 따라서, 지지 프레임(30)에 설치되는 제1 센서(71)와 제2 센서(72)에서 감지되는 거리와 제3 센서(73)와 제4 센서(74)에서 감지되는 거리가 대응되도록 양 측의 수직 프레임(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책상(10)의 상판(11)에 지지 프레임(30)을 설치한 후에 수직 프레임(20)을 설치할 때, 제1 센서(71)와 제2 센서(72)에서 감지되는 거리와 제3 센서(73)와 제4 센서(74)에서 감지되는 거리가 동일해지는 시점에 알람수단(미도시)을 통해 불빛 또는 소리로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수직 프레임(20) 설치 시 이격 거리의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제1 센서(71), 제2 센서(72), 제3 센서(73) 및 제4 센서(74)는 서로 신호를 송수신하여 수직 프레임(20)과 지지 프레임(30)과 수평 프레임(40)에 의해 책상(10) 주변에 기 설정된 영역이 설정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센서(71)에서부터 제4 센서(74)까지 순차적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센서(71)가 제2 센서(72)로 특정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센서(72)가 제1 센서(7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제2 센서(72)는 특정 신호를 제3 센서(73)로 송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센서(73)는 제2 센서(72)로부터 받은 특정 신호를 제4 센서(74)로 송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4 센서(74)는 다시 제1 센서(71)로 특정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센서(71)에서부터 제4 센서(74)까지 순차저적으로 신호가 송신된 후에 다시 제1 센서(71)로 돌아오면 책상(10) 주변에 기 설정된 영역이 설정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센서(71) 내지 제 4센서에서 기 설정된 영역이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5 센서(75) 및 제6 센서(76)는 차단막(60)에 의해 기 설정된 영역이 외부와 차단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5 센서(75)와 제6 센서(76)는 좌우에 배치된 수평 프레임(40)에 각각 설치되어,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소정 각도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물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5 센서(75)와 제6 센서(76)는 제1 센서(71)와 제2 센서(72)에서 감지된 이격 거리에 대응되는 거리에 물체가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따라서, 수평 프레임(40)에 차단막(60)이 펼쳐졌는지 확인할 수 있다.
환경 제어 모듈(80)은 센서부(70)를 통해 기 설정된 영역의 형성 또는 차단막(60)에 의한 기 설정된 영역 차단 여부를 확인하고 책상(10) 주변의 기 설정된 영역의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환경 제어 모듈(80)은 환경감지부(81), 송풍기(82), 가습기(83), 타이머(84) 및 표시부(85)를 포함할 수 있다.
환경감지부(81)는 주변의 온도, 습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환경감지부(81)에서 감지된 온도 및 습도 등을 통해, 환경 제어 모듈(80)은 실내 적정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송풍기(82)와 가습기(83)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타이머(84)는 제1 센서(71) 내지 제4 센서(74)에서 기 설정된 영역이 설정된 것으로 판단된 이후의 시간을 카운팅 하여 학습 시간 또는 업무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
표시부(85)는 책상(10) 주변의 기 설정된 영역 내의 현재 실내 온도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처럼, 센서부(70)와 환경 제어 모듈(80)을 통해 책상(10) 주변의 기 설정된 영역을 형성하였는지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그에 따라 학습 환경 또는 업무 환경을 쾌적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데스크 유니트
10: 책상 11: 상판
12: 서랍장 20: 수직 프레임
21: 고정부 22: 메인바
221: 고정홀 23: 제1 높이조절바
24: 제2 높이조절바 25: 지지부
251: 바퀴 30: 지지 프레임
31: 책상 연결부 32: 체결부
321: 체결홈 40: 수평 프레임
40a: 제1 수평바 40b: 제2 수평바
41: 고리부 42: 체결 돌출부
43: 힌지부 431: 홈부
44: 회동돌기 50: 연결부
51: 결합홀 52: 제1 삽입부
53: 제2 삽입부 60: 차단막
70: 센서부 71: 제1 센서
72: 제2 센서 73: 제3 센서
74: 제4 센서 75: 제5 센서
76: 제6 센서 80: 환경 제어 모듈
81: 감지부 82: 송풍기
83: 가습기 84: 타이머
85: 표시부 B: 체결부재

Claims (5)

  1. 책상;
    상기 책상의 후측 방향으로 상기 책상과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책상에 설치되며, 상기 책상의 상판보다 상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 또는 한 쌍의 상기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 및
    패브릭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차단막;을 포함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이 상기 책상 주변에 기 설정된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차단막은 상기 책상 주변의 기 설정된 영역을 외부와 차단할 수 있는 데스크 유니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책상의 상판 상면에서 양 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은 양 측에 설치된 상기 지지 프레임과 동일 선상에서 상기 책상의 후측 방향에 각각 설치되며, 하단은 지면에 고정되고 상단은 천장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상기 수평 프레임은 일 단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의 높이와 동일한 상기 수직 프레임의 높이에 연결되는 데스크 유니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양 측에 위치된 상기 수평 프레임과, 한 쌍의 상기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후방에 위치된 상기 수평 프레임 각각에 설치되어, 책상 주변에 형성된 기 설정된 영역의 3개의 측면을 외부와 차단하는 데스크 유니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은,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각각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책상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차단막을 고정할 수 있는 고리부를 더 포함하는 데스크 유니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책상의 상판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에 형성되는 책상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책상연결부는 흡착부 또는 볼트 체결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책상의 상판 전방에 설치 고정되는 데스크 유니트.
KR1020200126184A 2020-09-28 2020-09-28 데스크 유니트 KR102429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184A KR102429931B1 (ko) 2020-09-28 2020-09-28 데스크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184A KR102429931B1 (ko) 2020-09-28 2020-09-28 데스크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849A true KR20220042849A (ko) 2022-04-05
KR102429931B1 KR102429931B1 (ko) 2022-08-05

Family

ID=81182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184A KR102429931B1 (ko) 2020-09-28 2020-09-28 데스크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9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5864A (ja) * 2001-09-28 2003-04-09 Taisei Corp 移動個室形成ユニットおよび建物構造
KR100997864B1 (ko) 2008-07-16 2010-12-01 배성우 책상 하면 부착형 컴퓨터
KR102072312B1 (ko) * 2018-11-15 2020-01-31 구형모 독립 공간의 임의 구축과 냉난방 온도 제어의 효율성을 겸한 책상형 텐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5864A (ja) * 2001-09-28 2003-04-09 Taisei Corp 移動個室形成ユニットおよび建物構造
KR100997864B1 (ko) 2008-07-16 2010-12-01 배성우 책상 하면 부착형 컴퓨터
KR102072312B1 (ko) * 2018-11-15 2020-01-31 구형모 독립 공간의 임의 구축과 냉난방 온도 제어의 효율성을 겸한 책상형 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9931B1 (ko) 202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3312B2 (en) Projection device and screen
US7090354B2 (en) Projection device and screen
MXPA01001830A (es) Sistemas de multi-exhibicion.
KR102429931B1 (ko) 데스크 유니트
US9499977B2 (en) Motorized acoustical banner
US20040160763A1 (en) Projection display system and projector
CN101971619B (zh) 带有安装后的调整特征的显示器安装架
KR200261248Y1 (ko) 스크린 겸용 화이트 칠판.
US20050168707A1 (en) Convertible projection assembly and method
JP4419902B2 (ja) 音響拡散パネル装置
CN210667213U (zh) 一种多媒体教室
KR200347868Y1 (ko) 블록조립식 방음부스
KR100466848B1 (ko) 다목적용 교탁
JP3137345U (ja) 対面式デスク
RU95161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демонстрационный трансформируемый мобильный комплекс
KR0161302B1 (ko) 열린칠판 및 열린계시판 다용도 장치
CN205721042U (zh) 一种投影仪
CA2562477C (en) Angled ergonomic non-reflective electronic whiteboard cabinet
JP2003172067A (ja) 仕切り装置
KR20200050562A (ko) 높이조절 장치
KR100895664B1 (ko) 리어 스크린 프로젝션 장치
US200602487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cealing and/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elevisions and other displays
JPH05273648A (ja) スクリーン
JP2009218664A (ja) 遠隔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US7494224B2 (en) Lecture present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