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441A - 쿠커비투릴을 이용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쿠커비투릴을 이용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441A
KR20220042441A KR1020227007467A KR20227007467A KR20220042441A KR 20220042441 A KR20220042441 A KR 20220042441A KR 1020227007467 A KR1020227007467 A KR 1020227007467A KR 20227007467 A KR20227007467 A KR 20227007467A KR 20220042441 A KR20220042441 A KR 20220042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curbituril
weight
uril
cucurbi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7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드류 하우
벤자민 토마스 치즈맨
팀 찬 심
마이클 페더
니콜라스 에슬린
로저 콜스턴
요하네스 게라르두스 드 루이즈
Original Assignee
에이큐닷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큐닷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이큐닷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42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4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with the help of a macromolecular compound as a carrier or dilu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101/00Chemical composition of materials used in disinfecting, sterilising or deodorising
    • A61L2101/32Organic compounds
    • A61L2101/44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 감소 방법, 특히 열가소성 및/또는 열경화성 중합체 매질에 현탁된 및/또는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그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를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악취 감소 방법에 관한 것이고, 여기에서 악취의 근원이 외부에 있다.

Description

쿠커비투릴을 이용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악취 감소 방법, 특히 열가소성 및/또는 열경화성 중합체 매질에 현탁된 및/또는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cucurbituril)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를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악취 감소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악취의 근원이 외부에 있다.
WO 2017/141029(Aqdot Limited)는 쿠커비트[5]우릴, 쿠커비트[6]우릴, 쿠커비트[7]우릴 및 쿠커비트[8]우릴로부터 선택된 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습한 환경에서 악취 억제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쿠커비트[5]우릴, 쿠커비트[6]우릴, 쿠커비트[7]우릴 및 쿠커비트[8]우릴이라는 용어는 각각 5개, 6개, 7개 및 8개의 글리콜우릴(glycoluril) 분자로 구성된 쿠커비투릴 분자를 의미한다. 상기 조성물은 방부제, 염료, 안료 격리제 및 항산화제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고, 직물과 같은 기재(substrate) 상에 흡착되는 것을 포함하는 상이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쿠커비투릴은 또한 세탁, 가정 또는 개인 관리용 소비자 제품과 같은 제품에 첨가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품은 분말 또는 과립, 정제 또는 단일 용량 단위, 분산액, 에멀젼, 마이크로-에멀젼, 용액, 하이드로-알코올성 제품, 와이프, 스폰지, 에어로졸 또는 액체 디스펜서, 크림, 발삼, 광택제, 왁스 등의 형태이다. 소비자 제품은 무엇보다도 공기 청정제 또는 공기 여과 장치일 수 있다.
WO 2018/037209(Aqdot Limited)는 매질에 현탁된 쿠커비투릴 입자를 포함하는 안정한 현탁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매질은 왁스가 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폴리비닐 알코올과 같은 다수의 중합체로부터 선택된 현탁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살생물제, 증점제, 산화방지제, 킬레이트제, 습윤제, 침착제, 거품 조절제, 방향제, 용매, 다이(dies), 안료, 발한 억제제 및 컨디셔닝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양초를 포함하는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소비자 제품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품은 분말 또는 과립, 정제 또는 단일 용량 단위, 와이프, 스펀지, 압축 가스, 에어로졸 또는 액체 디스펜서, 크림, 발삼, 광택제, 왁스 등과 같은 형태이다. WO 2018/037209의 상기 조성물은 주방 또는 욕실 표면과 같은 무생물 표면, 또는 과립 또는 비드의 표면에도 도포될 수 있다.
WO 2016/185209(Aqdot Limited)는 경화제와 착화된 쿠커비투릴을 포함하는 에폭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한 예에서, 경화제 1,4-디아미노부탄(1,4-diaminobutane)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쿠커비트[8]우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착화되고,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bisphenol A diglycidyl ether)는 저장 시 더 느린 경화 속도를 나타내었고, 즉, 상기 조성물은 쿠커비트[8]우릴이 없는 비교 조성물보다 더 안정적이었다.
US 2018/0247632(Henkel AG & Co., KGAA)는 감쇠 도포, 바람직하게는 방음 도포에 적합한 핫 멜트(hot melt) 조성물을 개시하며, 도포 온도에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낮은 방출과 함께 폴리-알파-올레핀, 엘라스토머성 스티렌계 공중합체, 점착부여제(tackifier) 및 거대고리(macrocycle)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거대고리는 사이클로덱스트린, 칼릭스아렌 및 쿠커비투릴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한 예에서, C3/C2 폴리-알파-올레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알킬 페놀 수지(점착부여제), 흑연 충전제 및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이 없는 비교 조성물보다 "포깅 테스트(Fogging Test)"에서 섭씨100도에서의 생성물로부터 덜 휘발성인 유기 화합물을 방출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고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악취 감소 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여전히 존재하며, 여기서 악취의 근원은 외부이며, 특히 상기 고체 조성물은 쿠커비투릴 및/또는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를 포함하며, 상기 고체 조성물은 단리된 필름 또는 무생물 표면에 부착된 코팅의 형태이다. 놀랍게도, 쿠커비투릴은 열가소성 및/또는 열경화성 중합체 매질에 현탁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악취의 근원이 외부에 있는 경우 악취를 감소시키는 능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열가소성 및/또는 열경화성 중합체 매질의 존재는 쿠커비투릴 미립자 분말의 더스팅(dusting)의 기술적 문제를 줄이거나 제거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제1 측면에서, 악취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열가소성 및/또는 열경화성 중합체 매질에 현탁된 및/또는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cucurbiturils)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를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악취의 근원은 외부에 있다.
"악취"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의 목적상 일상 생활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불쾌하거나 원하지 않는 냄새를 의미하며 다양한 기원을 갖는다. 일반적인 악취에는 통제되지 않은 산업 활동, 소독제를 포함한 청소 제품, 땀과 배설물과 같은 사람과 애완 동물의 신체, 주방(식품 및 음료를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음), 식품 가공, 담배 연기, 곰팡이에서 발생하는 냄새가 포함된다. 인간에게 가장 불쾌한 악취는 땀, 대변, 소변, 젖은 애완동물, 요리 냄새, 특히 마늘, 양배추, 생선 및 양파 등이다. 악취는 또한 소비재, 예를 들어 비누, 세제, 샴푸 및 컨디셔너에 존재하는 지방산 및 지방산 유도체에서 나올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지 않은 악취의 다른 예는 제모 크림(유황 화합물)에 의해 생성되는 악취이다. 이 모든 악취는 특히 자극적이다.
감소될 악취는 악취 생성 분자의 혼합물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악취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를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에 의해 감소된다.
악취 감소는 악취 생성 분자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의 복합체화를 통해 달성된다.
"고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의 목적을 위해 적어도 섭씨 80도 이상,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섭씨 100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섭씨 120도 이상의 온도에서 고체를 의미하며, 열가소성 중합체의 경우 유리전이온도가 적어도 섭씨 80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섭씨 100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섭씨 120도 이상이다.
본 명세서의 맥락에서 용어 "결합"은 본 발명의 맥락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가 함께 결합되어 있으나, 열가소성 및 /또는 열경화성 중합체 매질에 반드시 현탁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한 구체예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그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는 열가소성 및/또는 열경화성 중합체 매질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일반적으로 입자 형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는 함께 응집된 입자 형태이다.
용어 "외부"는 본 명세서의 목적상 상기 고체 조성물의 외부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고체 조성물 자체가 악취의 근원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그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를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이 제공되며, 상기 고체 조성물은 열가소성 및/또는 열경화성 중합체 매질에 현탁된 및/또는 결합되며, 상기 고체 조성물은 추가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향기 분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서, 열가소성 및/또는 열경화성 중합체 매질에 의해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그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를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고체 조성물이 무생물 표면 또는 응집체에 부착된 코팅의 형태일 때, 상기 조성물은 10% w/w 초과, 바람직하게는 25% w/w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w/w,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w/w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 및 임의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본 블랙 및/또는 무기 안료 및/또는 체질안료, 바람직하게는 95% w/w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98% w/w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99% w/w 이하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 및 임의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본 블랙 및/또는 무기 안료 및/또는 체질안료, 여기서 상기 고체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유도체 및/또는 그 유사체의 유효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을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면 1 대조군(판지 또는 스펀지 기재(substrate)또는 n-부티르산)과 비교한 n-부티르산 농도 감소(R)(%) 대(versus)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의 질량(g)(PVOH = 폴리비닐 알코올, LMW = 저분자량, HMW = 고분자량, CB = 쿠커비투릴, 종이 = 판지); 및
도면 2 대조군(판지 또는 스펀지 기재(substrate) 또는 n-부티르산)(R)과 비교한 n-부티르산 농도 감소를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의 질량(%/g)으로 나눈 값 대(versus)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의 질량(g) (PVOH = 폴리비닐 알코올, LMW = 저분자량, HMW = 고분자량, CB = 쿠커비투릴, 종이 = 판지).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악취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열가소성 및/또는 열경화성 중합체 매질에 의해 현탁된 및/또는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cucurbituril)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를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악취의 근원은 외부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 제2 및 제3 측면의 상기 고체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및/또는 하나 이상의 열경화성 중합체 전구체의 펠릿 또는 미립자 분말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와 대기압에서 실온(일반적으로 섭씨 20-25도)에서 미립자 분말 또는 응집된 입자의 형태에서 혼합한다. 한 구체예에서, 사이클로헥산 또는 물과 같은 액체 용매 또는 운반체가 안료, 활석 또는 규조토와 같은 충전제, 분산제, 접착 촉진제 및 살생물제와 같은 임의의 부형제와 함께 첨가되며, 그런 방식으로 액체 코팅 또는 페인트를 형성하여 무생물 표면에 도포할 수 있다. 열경화성 전구체는 다른 열경화성 중합체 전구체를 가교시켜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첨가되는 가교제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열가소성 및/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열경화성 중합체 전구체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는 액체 코팅 또는 페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후속 조합 전에 액체 용매 또는 운반체에서 별도로 제조된다. 한 구체예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교결합제 및 다른 열경화성 중합체 전구체는 액체 코팅 또는 페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후속 조합을 위해 별도로 제조된다. 코팅 또는 페인트는 도포 온도에서 액체여야 하며 스프레이, 브러싱, 롤링, 디핑 또는 롤-투-롤 코팅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적절한 방법으로 무생물 표면에 도포할 수 있다. 그 다음, 액체 용매 또는 운반체는 대기압에서 실온 또는 승온(실온 이상)에서 증발하여 본 발명의 상기 고체 조성물을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또는 전자빔과 같은 승온 또는 방사선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열경화성 중합체 전구체를 경화하는데 필요하다.
용어 "액체"는 본 명세서의 목적상 섭씨 5도 이상, 및 섭씨400도, 300도, 250도, 200도, 150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섭씨100도 이하의 온도에서 액체를 의미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제1 , 제2 및 제3 측면의 상기 고체 조성물의 제조는 액체 용매 또는 운반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 구체예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와 혼합된 열가소성 및/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열경화성 중합체 전구체의 혼합물은 예를 들어, 분말 코팅 또는 유동층 기술을 사용하여 정전기력을 통해 무생물 표면에 코팅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단리된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 원하는 최종 형상을 제공하기 위해 다이(die)를 통과할 수 있다.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중합체 매질을 기반으로 하거나 다이(die)를 통해 혼합물을 가공할 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열경화성 중합체 전구체를 경화시키고 표면 코팅을 융합하기 위해서는 승온(실온 이상)의 온도가 필요하다. 열가소성 중합체의 경우, 승온은 적어도 유리 전이 온도 이상, 바람직하게는 중합체의 용융 온도 이상이어야 한다. 상기 고체 조성물이 단리된 필름의 형태일 때, 필름은 임의로 무생물 표면 상에 후속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단리된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와 혼합된 열가소성 중합체의 혼합물은 물의 증발로 인해 생성된 단리된 필름에 나타나는 구멍의 수를 줄이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10% w/w, 7% w/w, 5% w/w, 2% w/w, 1% w/w 미만의 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응집체 형태의 본 발명의 제1 , 제2 및 제3 측면의 고체 조성물의 제조는 실시예 3에 기술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쿠커비투릴은 쿠커비트[5]우릴, 쿠커비트[6]우릴, 쿠커비트[7]우릴, 쿠커비트[8]우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쿠커비투릴의 유도체는 1개, 2개,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치환된 글리콜우릴(glycoluril) 단위를 갖는 구조이다. 치환된 쿠커비투릴 화합물은 하기 구조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n은 4와 20 사이의 정수이고; 각각의 글리콜우릴 단위에 대해 각각의 X는 O, S 또는NR3이고, -R1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선택적으로 하기의 치환된 군(group)인 R3, -OH, -OR3, -COOH, -COOR3, -NH2, -NHR3 and -N(R3)2 및 -N(R3)2 로부터 선택된다. 여기서 -R3 은 C1-20알킬, C6-20카르보아릴 및 C5-20헤테로아릴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1 및/또는 -R2 가 -N(R3)2인 경우, 두 -R3 은 함께 C5-7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형성하거나, -R1 및 -R2 가 함께 우라실 프레임과 함께 C6-8 탄소환 고리를 형성하는 C4-6알킬렌이다.
한 구체예에서, 글리콜우릴 단위 중 하나는 치환된 글리콜우릴 단위이다. 따라서, -R1 및 -R2 는 글리콜우릴 단위의 n-1에 대해 각각 독립적으로 -H 이다. 한 구체예에서, n은 5, 6, 7, 8, 9, 10, 11 또는 12이다. 한 구체예에서, n은 5, 6, 7 또는 8이다. 한 구체예에서, 각각의 X는 O이다. 한 구체예에서, 각각 X는 S이다. 한 구체예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다.
한 구체예에서, 각 단위에 대해 R1 및 R2 중 하나는 H이고 다른 하나는 -H 및 선택적으로 하기의 치환된 군(group)인 -R3, -OH, -OR3, -COOH, -COOR3, -NH2, -NHR3 및 -N(R3)2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한 구체예에서, 하나의 단위에 대해 R1 및 R2 중 하나는 H이고 다른 하나는 -H 및 선택적으로 하기의 치환된 군(group)인 -R3, -OH, -OR3, -COOH, -COOR3, -NH2, -NHR3 및 -N(R3)2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상기 구체예에서, 나머지 글리콜우릴 단위는 R1 및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H이다.
바람직하게는 -R3은 C1-20알킬, 가장 바람직하게는 C1-6알킬이다. C1-20알킬기는 선형이거나 및/또는 포화될 수 있다. 각 기 -R3은 독립적으로 비치환 또는 치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치환기는 -R4, -OH, -OR4, -SH, -SR4, -COOH, -COOR4, -NH2, -NHR4 및 -N(R4)2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4 는 C1-20알킬, C6-20카르보아릴, 및 C5-20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된다. 치환기는 -COOH 및 -COOR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R4 는 -R3과 동일하지 않다. 일부 구체예에서, -R4 는 바람직하게는 비치환된다.
-R1 및/또는 -R2 가 -OR3, -NHR3 또는 -N(R3)2인 경우, -R3 은 바람직하게는 C1-6알킬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R3 은 치환기 -OR4, -NHR4 또는 -N(R4)2로 치환된다. 각각의 -R4 는 C1-6알킬이고 바람직하게는 그 자체로 치환된다.
쿠커비투릴의 변형은 글리콜우릴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반복 단위를 갖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반복 단위는 에틸우레아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든 단위가 에틸우레아 단위인 경우, 변형은 헤미쿠커비투릴(hemicucurbituril)이며, 예를들면 헤미쿠커비트[12]우릴(hemicucurbit[12]uril)이다.
Figure pct00002
바람직하게는, 쿠커비트[5]우릴의 농도는 상기 조성물에서 쿠커비투릴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약 0 중량% 내지 약 99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0.1 중량% 내지 약 7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1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1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쿠커비트[6]우릴의 농도는 상기 조성물에서 쿠커비투릴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약 0.1 중량% 내지 약 99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1 중량% 내지 약 7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5 중량% 내지 약 6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20 중량% 내지 약 5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35 중량% 내지 약 55 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쿠커비트[7]우릴의 농도는 상기 조성물에서 쿠커비투릴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약 0.1 중량% 내지 99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5 중량% 내지 약 7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10 중량% 내지 약 6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20 중량% 내지 약 45 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쿠커비트[7]우릴의 농도는 상기 조성물에서 쿠커비투릴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45중량%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쿠커비트[8]우릴의 농도는 상기 조성물에서 쿠커비투릴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약 0.1 중량% 내지 99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0.5 중량% 내지 약 7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1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5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10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에서 쿠커비트[5]우릴, 쿠커비트[6]우릴, 쿠커비트[7]우릴 및 쿠커비트[8]우릴의 전체 농도는 상기 조성물에서 쿠커비투릴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75중량%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 약 90 중량%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 약 99 중량% 초과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에서 쿠커비투릴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쿠커비트[5]우릴의1중량% 내지 17중량%, 쿠커비트[6]우릴의 30중량% 내지 50중량%, 쿠커비트[7]우릴의 20중량% 내지 37중량%, 쿠커비트[8]우릴의10중량% 내지 27중량%, 쿠커비트[4]우릴, 쿠커비트[9]우릴 및/또는 고분자량 쿠커비투릴의 1중량% 미만을 포함한다.
일반적인 악취 발생 분자는 질소- 및 황-함유 분자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릴 아민; 메틸 아민; 에틸 아민; 사이클로부틸 아민(사이클로부탄아민, 소변), 사이클로펜틸 아민(사이클로펜탄아민); 사이클로헥실아민(사이클로헥산아민); 사이클로헵틸 아민(사이클로부탄아민); 이소프로필아민; 부틸아민; 디부틸아민(N-부틸-1-부탄아민); 디메틸 에탄올아민(2-(디메틸아미노)에탄올); 메틸 에탄올아민(2-(메틸아미노)에탄올); 디에틸 에탄올아민(2-(디에틸아미노)에탄올); 디에틸아민(N-메틸에탄아민, 비린내); 디프로필 아민(N-프로필-1-프로판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N-이소프로필-2-프로판아민); 디메틸 아세트아마이드(N,N-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에틸 메틸아민(N-메틸에탄아민); 에틸 프로필아민(N-에틸프로판아마이드); 트리메틸 아민(비린내); 트리에틸아민(비린내); 에틸렌 디아민(1,2-에탄디아민, 암모니아성의 퀴퀴한); 프로필렌 디아민(1,3-프로판디아민); 테트라메틸렌디아민(1,4-부탄디아민, 퓨트레신, 악취 나는); 에틸렌 이민(아지리딘, 암모니아성); 모르폴린(비린내); 에틸 모르폴린(4-에틸모르폴린, 신맛); 피롤리딘(정액); 메틸 에틸 피리딘(2-에틸-3-메틸피리딘); 피리딘(화상, 메스꺼움); 비닐피리딘(4-비닐피리딘, 구역질); 스카톨(3-메틸인돌, 대변); 인돌(대변); 카다베린(펜탄-1,5-디아민, 부패); 황화수소(썩은 계란); 알릴 디설파이드(3-(알릴디설파닐)-1-프로펜, 마늘); 에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이소티오시아네이토에탄, 자극적인, 겨자, 마늘);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3-이소티오시아네이토프로프-1-엔, 유황); 알릴 메르캅탄(2-프로펜-1-티올, 마늘, 유황); 알릴 설파이드(3-(알릴설파닐)-1-프로펜; 유황); 디알릴 설파이드(3-(알릴설파닐)-1-프로펜; 유황); 디메틸 디설파이드((메틸설파닐)에탄, 불쾌한, 마늘); 디메틸 트리설파이드(디메틸트리설판, 악취 나는); 디에틸 설파이드((에틸설파닐)에탄, 유황); 부틸 설파이드(1-(부틸설파닐)부탄, 마늘, 제비꽃); 디에틸 트리설파이드(디에틸트리설판, 악취 나는, 마늘); 에틸 메틸 디설파이드((메틸설파닐)에탄, 유황); 페닐 설파이드(1,1'-설판디일디벤젠, 유황); 에틸 메르캅탄(1-에탄티올, 유황); 아밀 메르캅탄(1-펜탄티올); 이소아밀 메르캅탄(3-메틸부탄-1-티올, 유황, 양파); 부틸 메르캅탄(1-부탄티올, 스컹크 유사); 이소부틸 메르캅탄(2-메틸프로판-1-티올, 유황, 겨자); 도데실 메르캅탄(1-도데칸티올); 이황화탄소(메탄디티온, 불쾌한, 단맛); 디메틸 트리티오카보네이트(디메틸 카보노트리티오에이트); 및 티오페놀 메르캅탄;
바람직하게는 소톨론(sotolo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소 함유 5원 고리 분자; 및 노르-솔톨론(nor-sotolone);
포화 및 불포화 알킬 및 히드록시알킬 카르복실산,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이소-발레르산, n-발레르산, 2-메틸-부티르산, 3-메틸-2-헥센산 및 3-메틸-3-히드록시 헥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및 세드릴 아세테이트 및 나프탈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매질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단독- 및 공-중합체,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단독- 및 공-중합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폴리아마이드, 폴리(락틱산),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 설폰),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에테르에테르 케톤),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셀룰로오스, 폴리사카라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부분 가수분해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열경화성 매질은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폴리우레탄 하이브리드, 가황 고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에폭시 수지, 벤즈옥사진 및 이들과 에폭시 및 페놀 수지의 하이브리드, 폴리이미드, 폴리비스말레이미드,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수지, 푸란 수지, 실리콘 수지, 비닐 에스테르 수지, 알키드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향기 분자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측면에서, 열가소성 및/또는 열경화성 중합체 매질에 현탁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그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를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이 제공되며, 상기 고체 조성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향기 분자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향기 분자에는 알코올, 알데히드, 케톤, 락톤 및 O-헤테로사이클, 에테르, 아세탈, 케탈, N- 및 S- 화합물, 탄화수소 및 테르펜, 에센셜 오일이 포함된다. 전형적인 향기 분자는 (Z)-4-도데센알(21944-98-9); 1-옥텐-3-올(3391-86-4); 2,6-노나디에놀(28069-72-9); 2-이소부틸-3-메톡시피라진(24683-00-9); 2-노네날(2463-53-8); 2-운데세날(2463-77-6); 트랜스-4-데세날 (65405-70-1); 8-데센-5-올라이드(32764-98-0); 9-데세놀(13019-22-2); 아세트알데히드, 페네틸 프로필 아세탈(7493-57-4); 2,6,10-트리메틸운데크-9-엔알(141-13-9); 10-운데세날(112-45-8); 2-메틸 운데카날(110-41-8); 알릴 아밀 글리콜레이트(67634-00-8); 알릴 헥사노에이트(123-68-2); 알릴 페녹시아세테이트(7493-74-5); 알파-아밀신남알데히드(122-40-7); 알파-다마스콘(43052-87-5); 3a,6,6,9a-테트라메틸-2,4,5,5a,7,8,9,9b-옥타하이드로-1h-벤조[e][1]벤조푸란(6790-58-5); 2-벤질리덴헵탄알(122-40-7); 1-(2-tert-부틸사이클로헥실)옥시부탄-2-올(139504-68-0); 아밀 살리실레이트(2050-08-0); 아니스알데히드 디에틸 아세탈(2403-58-9); 아니식 알데하이드(123-11-5); 벤즈알데히드(100-52-5); 벤질 아세테이트(140-11-4); 베타-나프틸 메틸 에테르(93-04-9); 에틸 6-(아세틸옥시)헥사노에이트(104986-28-9); 베타-다마스콘(23726-92-3); 베타-이오논(14901-07-6); 4-tert-부틸벤젠프로피온알데히드(18127-01-0); 8-메틸-1,5-벤조디옥세핀-3-온(28940-11-6 35783-05-2); 3-메틸-5-프로필사이클로헥스-2-엔-1-온(3720-16-9); 시스-3-헥센-1-올(928-96-1); 시스-6-노네날(2277-19-2); 시트랄(5392-40-5); 시트로넬랄(106-23-0); 시트로넬롤(106-22-9); 시트로넬릴 옥시아세트알데히드(7492-67-3); 도데칸니트릴(2437-25-4); 쿠마린(91-64-5); 2,6-노나디엔-1-올(7786-44-9); 다마세논(23726-93-4); 2-펜틸 사이클로펜타논(4819-67-4); 델타 다마스콘(57378-68-4); 디하이드로 미르세놀(18479-58-8); 디메틸벤질 카르비닐 아세테이트(151-05-3); 디페닐 에테르(101-84-8); 4-(옥타하이드로-4,7-메타노-5h-인덴-5-일리덴)부탄알(30168-23-1); 1-(5,5-디메틸-1-사이클로헥세닐)펜트-4-엔-1-온(56973-85-4); (z)-3-메틸-5-(2,2,3-트리메틸-1-사이클로펜트-3-에닐)펜트-4-엔-2-올 (67801-20-1); 에틸 2-메틸부티레이트(7452-79-1); 에틸 2-메틸펜타노에이트(39255-32-8); 에틸 부티레이트(105-54-4); 에틸 n-에틸안트라닐레이트(38446-21-8); 에틸 트랜스-2,시스-4-데카디에노에이트(3025-30-7); 에틸 바닐린(121-32-4); 에틸 비닐 케톤(1629-58-9); 유칼립톨(470-82-6); 유제놀(97-53-0); 메틸 2,4-디하이드록시-3,6-디메틸벤조에이트(4707-47-5); 파르네센(알파 및 베타)(502-61-4); 픽솔리드(1506-02-1); 트리사이클로데세닐 프로피오네이트(68912-13-0); 3-(3-프로판-2-일페닐)부탄알(125109-85-5); 2-부탄-2-일사이클로헥산-1-온(14765-30-1); 에틸 2-(2-메틸-1,3-디옥솔란-2-일)아세테이트(6413-10-1); 감마-데칼락톤(706-14-9); 감마-운데칼락톤(104-67-6); 제라닐 아세테이트(105-87-3); 3,7-디메틸옥트-6-엔니트릴(5146-66-7); 헥실 살리실레이트(6259-76-3); 이소아밀 아세테이트(123-92-2); 이소부틸 안젤레이트(7779-81-9); 이소부틸-퀴놀린(93-19-6); 이소유제놀(97-54-1); 이소메틸-알파-이오논(127-51-5); 이소프로필 퀴놀린(137-79-5); 트리사이클로데세닐 아세테이트(5413-60-5); (1-메틸-2-((1,2,2-트리메틸-3-바이사이클로[3.1.0]헥사닐)메틸)사이클로프로필)메탄올 (198404-98-7); L-카르본(6485-40-1); (z)-3-헥센-1-일 메틸 카보네이트(67633-96-9); 3-(4-tert-부틸페닐)부탄알 (80-54-6); 리모넨(138-86-3, 7705-14-8); 리나룰(78-70-6); 3-메틸-7-프로판-2-일바이사이클로[2.2.2]옥트-2-엔-5-카르보알데히드(67845-30-1); 2,6-디메틸헵트-5-엔알(106-72-9); 트랜스-2- 도데센알(20407-84-5); 메틸 신나메이트(103-26-4); (4-프로판-2-일사이클로헥실)메탄올(5502-75-0); 메틸 2-헵틴 카보네이트(111-12-6); 메틸 헥실 케톤(111-13-7); 메틸 옥틴 카보네이트(111-80-8); 6,6-디메톡시-2,5,5-트리메틸헥스-2-엔(67674-46-8); 메틸 살리실레이트(119-36-8); 네롤 옥사이드(1786-08-9); 옥탄알(124-13-0); 1-나프탈렌-1-일레타논(941-98-0,93-08-3); (2r,4s)-2-메틸-4-프로필-1,3-옥사티안(59323-76-1); 2-사이클로헥실리덴-2-페닐아세토니트릴(10461-98-0); 2-메틸-4-메틸리덴-6-페닐옥산(30310-41-9); 2-사이클로헥실-1,6-헵타디엔-3-온(313973-37-4); 페닐 에틸 알코올(60-12-8); 2-페녹시에탄올(122-99-6); 3-(7,7-디메틸-4-바이사이클로[3.1.1]헵트-3-에닐)프로판알(33885-51-7); (e)-3,3-디메틸-5-(2,2,3-트리메틸-3-사이클로펜텐-1-일)-4-펜텐-2-올(107898-54-4); 감마 노날락톤(104-61-0); p-톨릴 페닐아세테이트(101-94-0); (e)-2-에틸-4-(2,2,3-트리메틸-1-사이클로펜트-3-에닐)부트-2-엔-1-올 (28219-61-6); 4-(p-하이드록시페닐)-2-부타논(5471-51-2); 4-메틸-2-(2-메틸프로프-1-에닐)옥산(16409-43-1); m-(이소캄필-5)사이클로헥산올(66068-84-6); 트랜스-2,시스-6-노나디엔알(557-48-2); 트랜스-2-헥센알(6728-26-3); 트랜스-2-헥세닐 2-메틸부티레이트(94089-01-7); 트랜스 아네톨(4180-23-8); 2,4-디메틸사이클로헥스-3-엔-1-카브알데하이드(68039-49-6); 트리모픽스 오(trimofix o) (144020-22-4 68610-78-6); 운데카-1,3,5-트리엔(16356-11-9); 4-메틸덱-3-엔-5-올(81782-77-6); 바닐린(121-33-5); 및 데카하이드로스피로(푸란-2(3h),5'-(4,7)메타노(5h)인덴)(68480-11-5); 및 노나-2,6-디엔니트릴(67019-89-0)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고체 조성물은 0.01 % w/w 내지 15% w/w, 바람직하게는 0.01 % w/w 내지 10% w/w,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 w/w 내지 5% w/w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향기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향기 분자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고체 조성물 및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고체 조성물은 향기 분자가 쿠커비투릴과 착물화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무취로 남아 있다. 그러나, 탈복합체화 및 그에 따른 향기 분자의 방출은 악취 생성 분자가 쿠커비투릴과 복합체를 형성하여 향기 분자를 대체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체 조성물은 악취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향기를 방출한다. 상기 고체 조성물의 한 가지 이점은 습한 조건(실온에서 상대 습도 40% 이상)에서도 향기 분자와 악취 분자의 분자 교환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향기 분자의 탈복합체화 및 방출은 또한 수분 또는 액체수(liquid water), 증발, 열 및 분자 교환에 대한 노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향기 분자의 탈복합체화 및 방출을 위한 트리거는 주변 상대 습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증가되는 수분 활성이다. 수분 활성은 물 분자가 쿠커비투릴에 결합하여 향기 분자를 공기 중으로 일부 대체하는 경향이 있을 정도로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고체 조성물을 물과 접촉시키는 것은 수분 활성을 증가시키는 또 다른 방법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향기 분자의 탈복합체화 및 방출을 위한 촉발제는 증발 또는 열이다. 증발과 열은 증기압의 잘 알려진 온도 의존성을 통해 서로 관련되어 있다. 증발과 열의 상호작용이 향기 분자 방출의 원동력으로 간주될 때, 각 향기 분자의 증기압을 고려하여 향기 분자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온에서 느린 방출을 위해, 섭씨 20도에서 0.1mmHg보다 높은 증기압을 갖는 향기 분자가 선택될 수 있는 반면, 열 유도 방출 조건, 예를 들어 섭씨 100도 이상에서는, 더 낮은 증기압을 갖는 향기 분자가 더 나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기술에 숙련된 사람은 증발 및 열을 촉발제로 고려할 때, 생성될 수 있는 증기압 및 냄새 특성의 관점에서 향기 분자의 다양성을 인정할 것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향기 분자의 탈복합체화 및 방출을 위한 촉발제는 향기 분자의 분자 교환 매개 방출이다. 향기 분자와 쿠커비투릴의 복합체, 특히 향기 분자가 산소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복합체는 일반적으로 쿠커비투릴 및 질소 함유 또는 황 함유 분자의 복합체,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 쿠커비투릴 및 양이온 분자의 복합체에 비해 약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향기 분자의 탈복합체화 및 방출을 촉발하는 화합물은 금속 이온 및 중성, 양이온성, 쯔비터이온성, 양쪽성 및/또는 양이온성 질소-함유, 황-함유 및/또는 산소-함유 물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고체 조성물과 촉발 화합물 사이의 접촉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고체 조성물과 촉발 화합물은, 분말 또는 과립과 같은, 수분산성 고체 형태로 공급될 수 있으며, 물에 분산되면 촉발제를 해제하여 향기 분자를 탈복합체하고 방출한다. 대안적으로, 촉발 화합물의 현장(in-situ)에서 형성은 pH 변화 후에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인 촉발 화합물에는 설포늄 유도체 및 S-헤테로사이클릭 물질, 아민 및 폴리아민, 및 이들의 4차화된(quaternized) 형태; 폴리에틸렌이민 및 기타 폴리알킬렌-이민과 같은 이민 및 폴리이민, 및 이들의 4차화된 형태; 아미노알킬-디메티콘과 같은 아미노-실리콘; 하이드록시아민;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약 16개 내지 약 2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1개 또는 2개의 알킬 사슬 및 1개 내지 약 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사슬 길이의 2개 내지 3개의 알킬 부분을 갖고 임의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이드록실 기를 갖는 알킬암모늄 계면활성제, 또는 약 1개 내지 약 10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분을 갖는 하이드록시알킬 부분; 옥사졸린 유도체, 피페라진 유도체, 피리딘, 비피리딘 및 폴리피리딘 유도체, 아미노-피리디늄 유도체, 사이클램 유도체, 피롤 유도체, 이미다졸 유도체 등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N-헤테로사이클릭 물질; 상기 N-헤테로사이클릭 물질을 포함하는 융합된 폴리사이클릭 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측면의 상기 고체 조성물은 단리된 필름, 무생물 표면에 부착된 코팅, 다공성 기재(substrate) 또는 응집체 형태일 수 있다. 무생물 표면은 다공성 기재(substrate) 의 형태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공성 기재(substrate) 자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또는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와 열가소성 및/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열경화성 중합체 전구체의 혼합물을 혼합하여 공기,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현장(in-situ)또는 외부(ex-situ)에서 생성된 적합한 기체로 통기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으며, 액체상태에서 통기될 동안 냉각된다. 단리된 필름은 임의로 무생물 표면에 연속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단리된 필름은 쓰레기통 라이너의 형태이거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무생물 표면은 상기 고체 조성물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생물 표면은 종이, 목재, 플라스틱 재료, 석재, 세라믹, 금속, 직물 및 석고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 무생물 표면 또는 다공성 기재는 여성 위생 용품, 기저귀, 요실금 패드, 생리대, 신발 밑창 또는 공기 필터와 같은 가정 또는 개인 관리 용품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상, 용어 "다공성"은 액체 또는 기체가, 예를 들어 기재를 통과할 수 있고, 그 기재 내의 간극을 통해 통과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측면의 상기 고체 조성물이 단리된 필름의 형태일 때, 상기 조성물은 0.01% w/w 내지 10% w/w, 바람직하게는 0.1% w/w 내지 7.5% w/w,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w/w 내지 5% w/w,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w/w 내지 3% w/w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상기 고체 조성물이 코팅의 형태일 때, 상기 조성물은 10% w/w 초과, 바람직하게는 25% w/w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w/w,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w/w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 및 임의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본 블랙 및/또는 무기 안료 및/또는 체질안료, 바람직하게는 95% w/w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8% w/w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99 % w/w 이하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그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 및 임의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본 블랙 및/또는 무기 안료 및/또는 체질안료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고체 조성물은 적어도 쿠커비투릴 및 그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의 유효량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목적상 "유효한"이라는 용어는 쿠커비투릴의 양과 관련하여 악취를 줄이는 데 효과적인 양을 의미한다.
무기 안료 및 체질안료는 미립자 형태이며 숙련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무기 안료의 예는 산화철 및 이산화티타늄이고, 체질안료의 예는 활석, 규조토, 탄산칼슘 및 황산칼슘이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측면의 상기 고체 조성물이 단리된 필름의 형태일 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또는 그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는 바람직하게는 D90(현미경 사용)의 입자 또는 입자의 응집체 형태이며, D90의 입자는 필름 두께보다 크지 않다. 이러한 필름 두께보다 큰 D90입자를 가진 입자 또는 응집체는 필름의 2개의 반대쪽 표면을 연결하여 필름을 구조적으로 약화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서, 열가소성 및/또는 열경화성 중합체 매질에 의해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를 포함하는 상기 고체 조성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고체 조성물이 무생물 표면 또는 응집체에 부착된 코팅 형태일 때, 상기 조성물은 10% w/w 초과, 바람직하게는 25% w/w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w/w,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w/w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 및 임의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본 블랙 및/또는 무기 안료 및/또는 체질안료, 바람직하게는 95% w/w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8% w/w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99% w/w 이하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 및 임의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본 블랙 및/또는 무기 안료 및/또는 체질안료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고체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의 유효량을 포함한다.
하기 기술된 실시예에서,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에 대한 언급은 WO 2018/115822(Aqdot Limited)의 실시예 5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쿠커비투릴의 총 중량을 기초하여, 쿠커비트[5]우릴의 1중량% 내지 17 중량%, 쿠커비트[6]우릴의 30 중량% 내지 50 중량%, 쿠커비트[7]우릴의 20 중량% 내지 37 중량%, 쿠커비트[8]우릴의 10중량% 내지27중량%, 쿠커비트[4]우릴, 쿠커비트[9]우릴 및/또는 고분자 쿠커비트릴의 1 중량% 미만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쿠커비투릴을 포함하는 필름
(a) 시료 준비
SABIC(등급 318B)에서 얻어 분말 형태로 밀링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의 펠릿은 20% w/w의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쿠커비투릴 마스터배치")을 포함하며, 쿠커비투릴 및 150˚C에서 이축 압출기를 통과한 LLDPE 분말의 고속 혼합에 의해 제조되었다. 생성된 가닥은 다이(die)를 통과한 다음 롤러를 통과하여 펠릿으로 절단되기 전에 공기 냉각되었다. 수분 흡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펠릿을 100˚C의 컨벡션 오븐에 넣었다.
LLDPE 필름은 " 쿠커비투릴 마스터배치 " 펠릿 및 LLDPE 펠릿의 적절한 비율을 필름 타워의 호퍼에 채우고 혼합물을 원형 다이(die)에 통과시키기 전에 혼합물을 170˚C에서 압출하여 3미터 수직 필름 타워에서 생산되며, 그 후 혼합물에 공기를 주입하여 필름을 불어낸다. 최대 10% w/w의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50% w/w "쿠커비투릴 마스터배치" 및 50% w/w LLDPE)을 포함하는 필름이 대략 35미크론 필름 두께로 생산되었다.
(b) (나쁜)냄새 감소: 헤드스페이스-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HS)
200mg의 필름 샘플을 별도의 1.5mL 바이알에 포함된 냄새 화합물과 함께 20mL 헤드스페이스 바이알에 넣었다. 냄새 화합물은 1.5% w/v 트리메틸아민 수용액 15μL(마이크로리터) 또는 1% w/v 부티르산 수용액 20μL(마이크로리터)의 형태로 제공되었다.
헤드스페이스(headspace) 바이알의 헤드스페이스 내 악취 농도는 헤드스페이스-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HS)를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트리메틸아민의 농도는 50˚C의 헤드스페이스 오븐에서 30분 동안 평형화된 샘플과 함께 60미터 CP-볼라민 컬럼(Agilent Technologies)을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부티르산의 농도는 90˚C의 헤드스페이스 오븐에서 30분 동안 평형화된 샘플과 함께 60미터 DB-왁스 컬럼(Agilent Technologies)을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모든 측정은 3회 수행되었다.
농도는 각 냄새 화합물에 대한 특성 체류 시간(characteristic retention time)에서 검출된 크로마토그래피 피크 면적을 통합하여 결정되었다. 냄새 감소는 각 냄새 화합물의 냄새를 줄이는 데 있어 필름의 효과의 척도로 계산되었으며,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을 포함하지 않는 대조 LLDPE 필름의 존재 하에 기록된 것 대비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을 포함하는 필름의 존재 하에 각 냄새 화합물에 대한 피크 면적의 비율로 정의되었다.
결과는 표 1에 요약되어 있으며,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을 포함하는 필름은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의 농도가 0% w/w 내지 10% w/w 사이에서 증가함에 따라 트리메틸아민 및 부티르산 모두의 냄새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보여준다.
GC-HS에 의해 측정된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을 포함하는 LLDPE 취입 필름의 (나쁜)냄새 감소 성능.
혼합 쿠커비투릴
(% w/w)
부티르산
(% 감소)
부티르산의 표준편차
(%)
트리메틸아민
(% 감소)
트리메일아민의 표준편차
(%)
0 0 12.4 0 6.0
1 16 4.2 24 5.8
2 57 6.6 48 4.4
3 66 4.3 70 4.2
5 74 3.3 83 2.8
10 89 3.2 94 7.5
(c) (나쁜)냄새 감소: 감각 수행
2개의 5 x 5cm 트리메틸아민이 첨가된 폴리면(면과 폴리에스테르의 조합 직조) 견본을 각 견본에 물에 용해된 45% w/v 트리메틸아민 22.2μL(마이크로리터)를 추가하여 준비했다. 하나의 견본은 20cm 길이의 LLDPE(대조군) 필름 튜브에 넣고 다른 견본은 2% w/w 또는 10% w/w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을 포함하는 20cm 길이의 LLDPE 필름 튜브에 넣었다.
필름의 모든 튜브의 끝을 케이블 타이로 밀봉하고 각각의 밀봉된 튜브를 개별 10L 날로판(Nalophan) 샘플 백에 넣은 후 압축 공기로 밀봉하고 팽창시킨 다음 한 시간 동안 20°C에서 40% 내지 60%의 상대 습도에서 평형을 유지하도록 둔다. 날로판(Nalophan) 백 헤드스페이스는 숙련된 6인 패널이 (나쁜)냄새 강도와 쾌락적 톤(hedonic tone)에 대해 블라인드 쌍별 비교(pairwise comparison) 테스트에서 냄새를 맡았다.
냄새 농도와 함께 측정되는 냄새 강도는 감지 임계값을 초과하는 인지된 냄새의 강도이다. 냄새는 감지할 수 없음에서 극도로 강함(6점은 극도로 강함, 5점은 매우 강함, 4점은 강함, 3점은 구별됨, 2점은 약함, 1점은 매우 약함, 0점은 감지할 수 없음)까지 7점 척도로 기술되었다. 냄새는 같은 농도에서 다른 인지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쾌락적 톤(Hedonic tone)은 농도, 강도 및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분 좋은 냄새에서 불쾌한 냄새로 변할 수 있는 냄새의 쾌적함을 측정한다. 분석은 냄새가 성가시게 되는 농도를 결정하고 냄새를 쾌적/불쾌한 9점 척도(+4 극도로 쾌적함; +3 매우 쾌적함; +2 쾌적함; +1 약하게 쾌적함; 0 중립; -1 약하게 불쾌함; -2 불쾌함; -3 매우 불쾌함; -4 극도로 불쾌함)로 평가했다.
숙련된 6인 패널은 다양한 수준의 부탄올이 포함된 스니핑(sniffing) 스틱 세트를 사용하고 유럽 표준 EN13725: 공기 품질 - 동적 후각측정법에 의한 냄새 농도 측정에 따라 광범위하게 냄새 강도를 평가하는 훈련을 매월 받았다. 각각의 비교 실험은 3회 수행되었다.
결과는 표 2 및 3에 요약되어 있으며 2% w/w의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을 포함하는 LLDPE 필름의 경우 반복예 1에 대한 두 필름 간의 차이가 반복에 대한 유의성(0.01<P<0.05)이 낮았고, 반복예2는 매우 유의적(P<0.005)이며 반복예 3의 경우 유의적(0.005<P<0.01)임을 보여준다. P는 양측 t-검정에 의해 계산된 결과가 무작위로 발생할 확률인 반면, 10% w/w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을 포함하는 LLDPE 필름의 경우 세 반복예 모두에 대한 두 필름 간의 차이가 매우 유의적( P<0.005)이다.
2% w/w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을 포함하는 LLDPE 필름 대(versus) 냄새 화합물로 트리아민을 사용하는 LLDPE 대조군 필름의 감각 (나쁜)냄새 강도 및 쾌락적 톤 비교(SEM = 평균의 표준 오차).
실험 혼합 쿠커비투릴
(% w/w)
강도 평균의 표준오차 (강도) 쾌락적 톤 평균의 표준오차 (쾌락적 톤)
반복예 1 0 3.42 0.49 -1.60 0.22
2 1.17 0.48 -0.40 0.22
반복예 2 0 3.40 0.47 -2.00 0.41
2 1.50 0.29 -0.60 0.37
반복예 3 0 2.70 0.34 -1.80 0.34
2 0.90 0.37 -0.70 0.40
10% w/w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을 포함하는 LLDPE 필름 대(versus) 냄새 화합물로 트리메틸아민을 사용하는 LLDPE 대조군 필름의 감각(나쁜)냄새 강도 및 쾌락적 톤(hedonic tone) 비교(SEM = 평균의 표준 오차).
실험 혼합 쿠커비투릴
(% w/w)
강도 SEM (강도) 쾌락적 톤(hedonic tone) SEM (쾌락적 톤)
반복예 1 0 4.00 0.45 -2.75 0.36
10 1.67 0.57 -0.83 0.31
반복예 2 0 4.70 0.20 -2.80 0.37
10 1.60 0.40 -0.70 0.30
반복예 3 0 3.58 0.20 -2.33 0.21
10 1.25 0.31 -0.42 0.27
실시예 2: 평면 또는 다공성 지지체에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및 폴리비닐 알코올의 코팅
쿠커비투릴(Cucurbituril)은 악취를 억제하는 효과적인 물질로 나타났으며 액체 형태(현탁액)로 사용하여 에어로졸로 전달할 수 있다. 쿠커비투릴은 고체 형태로 효과적일 수 있지만 단순한 분말이므로 먼지, 흡입 또는 원치 않는 침착과 관련된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단점은 기재(substrate)에 쿠커비투릴을 고정화함으로써 해결된다. 고정화는 쿠커비투릴을 결합제와 결합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기재(substrate)에 코팅으로 도포하여 달성할 수 있다. 코팅된 층에 향상을 제공하거나 코팅의 도포를 돕기 위해 코팅 내에 다른 재료가 포함될 수 있다.
(a) 시료 준비
동일한 질량의 50% w/w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수성 슬러리를 2.5 % w/w 폴리비닐 알코올 수용액과 조합하여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및 폴리비닐 알코올을 함유하는 수성 현탁액을 제조했다. 생성된 상기 조성물은 물 중 1.25% w/w 폴리비닐 알코올 및 25% w/w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를 포함했다.
50 % w/w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수성 슬러리는 분말 형태의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에 물을 첨가하고 유리 막대로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폴리비닐 알코올 수용액은 폴리비닐알코올 과립을 교반 중인 물에 첨가한 뒤 용해가 완료될 때까지 90℃로 가열하는 방식으로 제조됐다. 2개의 폴리비닐 알코올 시료가 사용되었으며, 둘 다 Sigma Aldrich에서 제공하고 각각 가수분해도가 88%이고 공칭 분자량이 67kDa(모위올8-88) 및 205kDa(모위올 40-88)이며 이에 상응하여 각각 저분자량 및 고분자량인 것으로 지칭된다. 2.5% w/w 폴리비닐 알코올 용액의 1 s-1 및 20℃에서의 점도는 저분자량 및 고분자량 시료 각각에 대해 3.2mPa.s 및 9.8mPa.s였다.
1 cm x 5 cm 판지 견본을 손으로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및 폴리비닐 알코올 수성 현탁액으로 침지하여 코팅한 다음 45℃ 오븐에서 밤새 건조했다. 1 cm x 1 cm x 2 cm 인조 스펀지 조각을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및 폴리비닐 알코올 수성 현탁액에 침지하여 넣고 초과량을 짜낸 후 45℃ 오븐에서 밤새 건조했다.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및 폴리비닐 알코올 수성 현탁액의 양 및 이에 따른 각 기재 시료 상의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의 양을 질량으로 결정하였다.
(b) 악취 감소: 가스 크로마토그래피-헤드스페이스 분석
4μL(마이크로리터)의 n-부티르산(모델 악취 화합물)을 각 지지체와 함께 20mL 헤드스페이스 바이알에 추가했다. 악취 농도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헤드스페이스 분석(GC-HS)에 의해 측정되었다. 분석은 90℃의 헤드스페이스 오븐에서 30분 동안 평형화된 시료과 함께 60미터 DB-왁스 컬럼(Agilent Technologies)을 사용했다. 10mL의 헤드스페이스가 분석을 위해 추출되었다. 모든 측정은 3회 수행되었다.
악취 농도는 n-부티르산의 특성 체류 시간(characteristic retention time)에서 감지된 피크 면적을 통합하여 결정되었다. 악취 감소는 대조 시료(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이 없는 기재(substrate))의 존재 하에 기록된 악취 피크에 대한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함유 기재(substrate)의 존재 하에 악취 피크의 비율로 계산되었다.
i) 판지(Cardboard) 기재(substrate)
결과는 표 4에 제시되어 있으며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및 폴리비닐 알코올 코팅이 없는 종이 지지체와 비교하여 n-부티르산 농도의 감소율(R)로 표시된다. 악취 감소에 대한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의 효과는 폴리비닐 알코올의 유무에 관계없이 측정되었다. 다른 코팅을 비교하기 위해 악취 감소 R을 각 기재 시료의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의 양으로 나누었다.
GC-HS로 측정한 종이 기재에서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의 악취 감소.
쿠커비투릴 (g) 피크
면적
표준편차 지지체 대비 감소율(%) (지지체 대비 감소율)/ 쿠커비투릴 (%/g)
종이 (지지체) 0 9492 835
쿠커비투릴: 방수지 0.166 1653 71 83 498
쿠커비투릴: 폴리비닐 알코올 (저분자량) 0.211 2038 792 79 372
쿠커비투릴: 폴리비닐 알코올 (고분자량) 0.319 444 2067 95 299
폴리비닐 알코올로 코팅된 형태 또는 분말 형태의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의 존재는 헤드스페이스의 악취 농도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추가 비교를 제공하기 위해 결합제의 존재 및 부재 시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그램당 악취 감소 효율이 제공된다.
ii) 스펀지 기재(substrate)
결과는 표 5에 제시되어 있으며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및 폴리비닐 알코올 코팅이 없는 스펀지 지지체와 비교하여 n-부티르산 농도의 감소율(R)로 표시된다. 악취 감소에 대한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의 효과는 폴리비닐 알코올의 유무에 관계없이 측정되었다. 다른 시료를 비교하기 위해 악취 감소율(R)을 각 시료의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의 양으로 나누었다.
GC-HS에 의해 측정된 스펀지 기재에 대한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의 (나쁜) 냄새 감소
쿠커비투릴 (g) 피크
면적
표준편차 지지체 대비 감소율(%) (지지체 대비 감소율)/ 쿠커비투릴 (%/g)
대조 스펀지 0 7724 817
쿠커비투릴 방수 스펀지 0.092 1540 320 80 870
쿠커비투릴: 폴리비닐 알코올 (저분자량) 스펀지 0.111 547 255 93 837
쿠커비투릴: 폴리비닐 알코올 (고분자량) 스펀지 0.158 1096 33 86 543
코팅된 형태(폴리비닐 알코올 포함) 또는 수중 현탁액(폴리비닐 알코올 제외)의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의 존재는 헤드스페이스의 악취 농도를 약 86%까지 감소시킨다.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의 그램당 악취 감소 효율은 폴리비닐 알코올의 존재 및 부재 시 유사하다.
iii) 기재(substrate) 없음
악취 감소 실험은 기재(substrate)가 없는 상태에서 1g까지 사용된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의 수준을 확장하여 수행되었으며, 악취 감소 결과는 표 6에 요약되어 있다. 표 6의 데이터를 표 4 및 5의 데이터와 도 1에서 그래프로 비교했다. 도 1은 감소율R(%) 대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g)의 질량을 나타내고 도 2는 감소율(R)/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질량(%/g) 대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g)의 질량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재(substrate)가 없는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및 폴리비닐 알코올(채워진 기호)은 판지 또는 스펀지 기재에 코팅된 자유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또는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및 폴리비닐 알코올보다 악취 감소에 훨씬 덜 효율적이다. 폴리비닐 알코올은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및 폴리비닐 알코올이 기재에 코팅되었을 때 악취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도 2를 참조하면, 판지 또는 스펀지 기재에 고정된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의 악취 감소는 자유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기재 없음)의 악취 감소와 구별할 수 없다.
대조군의 GC-HS (나쁜)냄새 분석(기재 없음).
쿠커비투릴 (g) 피크
면적
표준편차 대조군 대비 감소율(%) 감소율/ 쿠커비투릴 (%/g)
N- 부티르산 0 31332 2660
바이알에서 건조된 저분자량 폴리비닐 알코올 0 30918 3412 1
바이알에서 건조된 고분자량 폴리비닐 알코올 0 29838 503 5
바이알에서 건조된 저분자량 폴리비닐 알코올 및 쿠커비투릴 0.200 20208 1731 36 178
바이알에서 건조된 고분자량 폴리비닐 알코올 및 쿠커비투릴 0.282 17312 946 45 159
바이알에서 건조된 저분자량 폴리비닐 알코올 및 쿠커비투릴 0.675 11327 275 64 95
바이알에서 건조된 고분자량 폴리비닐 알코올 및 쿠커비투릴 0.955 10720 1229 66 69
쿠커비투릴 분말 0.185 3328 2007 89 483
쿠커비투릴 분말 0.200 3799 1438 88 439
쿠커비투릴 분말 0.282 2470 1431 92 327
쿠커비투릴 분말 0.625 4292 706 86 138
쿠커비투릴 분말 0.675 3591 1134 89 131
쿠커비투릴 분말 0.955 3456 1159 89 93
실시예 2는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이 악취 성능 효율성에 대한 손상 없이 판지 또는 스펀지 기재에 제한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3: 쿠커비투릴 응집체(agglomerate)
(a) 시료 준비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응집체는 유입구 온도가 100 ˚ 내지 130 °C이고 유입구 공기 흐름이 60m³/h 내지130 m³/h인 유동층 분무 과립기 실험실 장치 유형 글라트(Glatt)에서 생산되었다. 폴리비닐 피롤리돈(PVP Luvitex K30) 및 폴리비닐 알코올(PVOH Poval 4-88)을 결합제로 사용했다.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분말을 예열된 챔버에 도입하고 물 또는 수성 결합제 용액을 분말에 분무하여 1.0 mm 내지 3.15 mm 직경의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응집체를 형성하였다. 쿠커비투릴 응집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표 7에 요약되어 있다.
유동층 건조에 의해 생성된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응집체. 시료 3은 오비탈 믹서에서 혼합된 분말에 물을 첨가하여 제조되었다. 시료 7을 체질하여 직경이 1mm 미만인 작은 입자를 분리하였다(샘플 7b). PVP = 폴리비닐 피롤리돈; PVOH = 폴리비닐 알코올.
조성물
이름 크기 (mm) 결합제 쿠커비투릴 결합제
시료 1 1.0 - 3.15 폴리비닐 피롤리돈 96% 4%
시료 2 폴리비닐 피롤리돈 94% 6%
시료 3 없음 100% -
시료 4 없음 100% -
시료 5 폴리비닐 피롤리돈 90% 10%
시료 6 폴리비닐 알코올 95% 5%
시료 7a 폴리비닐 알코올 90% 10%
시료 7b 0.63 - 1.0 폴리비닐 알코올 90% 10%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코팅된 유리 비드는 유동층 분무 과립기 실험실 장치 유형 글라트(Glatt)에서 생성되었으며, 유입구 온도는 100˚C 내지 130 ˚C이고, 유입 공기 흐름은 80m³/h내지120 m³/h입니다. 유리 비드(포라버(Poraver), 직경 0.5 mm 내지1mm 또는 1.0 mm 내지2.0mm),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과 1:1 질량비를 예열된 챔버에 도입하고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및 결합제(45% w/w 고체)의 수성 현탁액을 비드 상에 분무하였다. 쿠커비투릴이 코팅된 유리 비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표 8에 요약되어 있다.
유동층 건조에 의해 생산된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코팅 유리 비드의 개요.
응집체 (% w/w)
이름 비드 크기(mm) 결합제 유리 비드 쿠커비투릴 결합제
시료 8 0.5 - 1 폴리비닐 피롤리돈 49.25 49.25 1.5
시료 9 폴리비닐 피롤리돈 48.5 48.5 3
시료 10 1.0 - 2.0 폴리비닐 피롤리돈 48.5 48.5 3
(b) (나쁜)냄새 감소: 가스 크로마토그래피-헤드스페이스 분석(GC-HS)
바람직하지 않은 표적 화합물을 흡수하는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응집체 및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코팅 비드의 능력은 GC-HS에 의해 결정되었다.
모델 악취 화합물은 n-부티르산, 벤젠 또는 에틸-벤젠이었다. 각 악취 화합물 4μL(마이크로리터)를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응집체 또는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코팅 비드를 포함하는 20mL 헤드스페이스 바이알 내부의 1.5mL 바이알에 넣었다. 악취 화합물 농도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헤드스페이스 분석(GC-HS)에 의해 측정되었다. 분석에는 90˚C (n-부티르산만) 또는 32˚C (n-부티르산, 벤젠 및 에틸-벤젠)의 헤드스페이스 오븐에서 30분 동안 평형화된 시료와 함께 60미터 DB-왁스 컬럼(Agilent Technologies)을 사용했다. 분석을 위해 10mL의 헤드스페이스 가스를 추출했다. 모든 측정은 3회 수행되었다. 결과는 표 9 내지 표11에 요약되어 있다.
악취 화합물 농도는 악취 화합물의 특성 체류 시간(the characteristic retention time)에서 검출된 피크 면적을 통합하여 측정했다. 감소량은 대조군 피크(쿠커비투릴 없음)에 대한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응집체 또는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코팅 비드의 존재 하에 악취 화합물 피크의 비율로 계산되었다. 시료는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에 대한 (나쁜)냄새 화합물의 질량 비율이 1:10인 일정한 양의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을 사용하여 비교되었다.
GC-HS로 측정한 n-부티르산 농도 감소 시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응집체 및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코팅 비드의 성능.
시료 시료 무게(mg) % 감소율
90 ?C ˚?C
N-부티르산 (대조군) 해당 없음 0 ± 16 0 ± 16
쿠커비투릴 분말 40 67 ± 10 71 ± 13
시료 3 52 ± 1 50 ± 11
시료 4 40 ± 2 40 ± 9
시료 5 60 ± 6 72 ± 8
시료 6 56 ± 2 49 ± 11
시료 7a 46 ± 6 30 ± 9
시료 7b 46 ± 3 21 ± 4
포라버(Poraver) 0.5-1.0mm 8 ± 2 14 ± 3
시료 8 80 51 ± 2 47 ± 6
시료 9 60 ± 13 53 ± 11
포라버(Poraver) 1.0-2.0mm 40 12 ± 1 15 ± 1
시료 10 80 57 ± 4 50 ± 8
GC-HS에 의해 측정된, 벤젠 농도 감소에서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응집체 및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코팅 비드의 성능.
시료 시료 무게 (mg) % 감소율
벤젠 (대조군) 해당 없음 0 ± 9
쿠커비투릴 분말 40 17 ± 1
시료6 12 ± 1
시료 10 80 13 ± 1
GC-HS로 측정한 에틸벤젠 농도 감소 시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응집체 및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코팅 비드의 성능.
시료 시료 무게(mg) % 감소율
에틸벤젠 (대조군) 해당 없음 0 ± 13
쿠커비투릴 분말 40 11 ± 2
시료 2 10 ± 3
시료 9 80 25 ± 4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 응집체 및 혼합(비치환) 쿠커비투릴로 코팅된 유리 비드는 악취 화합물을 흡수한다. 흡수는 온도 범위에서 발생한다

Claims (20)

  1. 열가소성 및/또는 열경화성 중합체 매질에 의해 현탁된 및/또는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cucurbituril) 및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를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악취를 줄이는 방법으로, 여기서 악취의 근원이 외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커비투릴은 쿠커비트[5]우릴, 쿠커비트[6]우릴, 쿠커비트[7]우릴, 쿠커비트[8]우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의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쿠커비트[5]우릴의 농도는 조성물에서 쿠커비투릴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약 0중량% 내지 약 99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0.1 중량% 내지 약 7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0.5중량% 내지 약 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1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1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인,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쿠커비트[6]우릴 의 농도는 조성물에서 쿠커비투릴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약 0.1중량% 내지 약 99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1 중량% 내지 약7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5 중량% 내지 약 6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20 중량% 내지 약 5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35 중량% 내지 약 55 중량%인, 방법.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커비트[7]우릴의 농도는 조성물에서 쿠커비투릴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약 0.1중량% 내지 약 99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5 중량% 내지 약 7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10 중량% 내지 약 6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20 중량% 내지 약 45 중량%인, 방법.
  6.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커비트[7]우릴의 농도는 조성물에서 쿠커비투릴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45중량% 미만인, 방법.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커비트[8]우릴의 농도는 조성물에서 쿠커비투릴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약0.1중량% 내지 약 99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0.5 중량% 내지 약7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1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5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약 10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인, 방법.
  8. 제 2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에서 상기 쿠커비트[5]우릴, 쿠커비트[6]우릴, 쿠커비트[7]우릴, 쿠커비트[8]우릴의 전체 농도가 조성물에서 쿠커비투릴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75중량%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 약 90 중량%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 약 99 중량%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2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에서 쿠커비투릴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쿠커비트[5]우릴의 1중량% 내지 17 중량%, 쿠커비트[6]우릴의 30 중량% 내지50 중량%, 쿠커비트[7]우릴의 20 중량% 내지 37 중량%, 쿠커비트[8]우릴의 10 중량% 내지 27 중량%, 쿠커비트[4]우릴, 쿠커비트[9]우릴 및/또는 고분자량 쿠커비투릴의 1 중량% 미만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매질은 선형 저농도 폴리에틸렌, 저농도 폴리에틸렌, 중농도 폴리에틸렌, 고농도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단독- 및 공-중합체,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단독- 및 공-중합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폴리아마이드, 폴리(락틱산),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 설폰),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에테르에테르 케톤),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이덴 플루오라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셀룰로오스, 폴리사카라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부분 가수분해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매질은 폴리 우레탄, 폴리우레아 폴리우레탄 하이브리드, 가황 고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에폭시 수지, 벤즈옥사진 및 이들과 에폭시 및 페놀 수지의 하이브리드, 폴리이미드, 폴리비스말레이미드,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수지, 푸란 수지, 실리콘 수지, 비닐 에스테르 수지, 알키드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향기 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조성물은 단리된 필름(isolated film), 무생물 표면에 부착된 코팅, 다공성 기재(substrate) 또는 응집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조성물이 단리된 필름의 형태일 때, 상기 조성물은 0.01% w/w 내지10% w/w, 적절하게는 0.1% w/w 내지 7.5% w/w, 더 적절하게는 0.5% w/w 내지 5% w/w, 더 적절하게는 0.7% w/w 내지 3% w/w 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조성물이 단리된 필름의 형태일 때,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는 필름 두께 보다 크지 않은 D90 입자 또는 입자의 응집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조성물이 코팅의 형태일 때, 상기 조성물 10% w/w 초과, 더 적절하게는 25% w/w 초과, 더 적절하게는 적어도 50% w/w, 더 적절하게는 적어도 75% w/w 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 및 임의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본 블랙 및/또는 안료 및/또는 체질안료 및 적절하게는 95% w/w 이하, 더 적절하게는 98 % w/w 이하, 가장 적절하게는 99% w/w 이하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 및 임의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본 블랙 및/또는 안료 및/또는 체질안료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고체 조성물은 적어도 유효량의 쿠커비투릴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열가소성 및/또는 열경화성 중합체 매질에 현탁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를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향기 분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조성물은 단리된 필름, 무생물 표면에 부착된 코팅, 또는 다공성 기재(substrate)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조성물.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조성물이 단리된 필름의 형태일 때, 상기 고체 조성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가 필름 두께보다 크지 않은 D90입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조성물.
  20. 열가소성 및/또는 열경화성 중합체 매질에 의해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를 포함하는 고체 조성이되, 상기 고체 조성물이 무생물 표면 또는 응집체에 부착된 코팅의 형태인 경우 , 상기 조성물은 10% w/w 초과, 적절하게는 25% w/w 초과, 더 적절하게는 적어도 50% w/w, 더 적절하게는 적어도 75% w/w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 및 임의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본 블랙 및/또는 무기 안료 및/또는 체질안료 및 적절하게는 95% w/w 이하, 보다 적절하게는 98% w/w 이하, 가장 적절하게는 99 % w/w 이하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 및 임의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본 블랙 및/또는 무기 안료 및/또는 체질안료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고체 조성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쿠커비투릴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사체의 최소 유효량을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


KR1020227007467A 2019-08-05 2020-08-05 쿠커비투릴을 이용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KR202200424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911194.7A GB201911194D0 (en) 2019-08-05 2019-08-05 A method for reducing malodour
GB1911194.7 2019-08-05
PCT/GB2020/051867 WO2021023989A1 (en) 2019-08-05 2020-08-05 A method for reducing malodour using cucurbitri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441A true KR20220042441A (ko) 2022-04-05

Family

ID=67990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7467A KR20220042441A (ko) 2019-08-05 2020-08-05 쿠커비투릴을 이용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20313861A1 (ko)
EP (1) EP4010036A1 (ko)
JP (1) JP2022543454A (ko)
KR (1) KR20220042441A (ko)
CN (1) CN114466667A (ko)
AU (1) AU2020326349A1 (ko)
BR (1) BR112022002120A2 (ko)
CA (1) CA3149699A1 (ko)
GB (1) GB201911194D0 (ko)
WO (1) WO2021023989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56362A1 (de) * 2004-11-22 2006-06-01 Henkel Kgaa Schimmel-beständige Baustoffe
GB201508510D0 (en) 2015-05-18 2015-07-01 Aqdot Ltd Curling compositions
EP3368604A4 (en) 2015-10-30 2019-04-17 Henkel AG & Co. KGaA THERMOFUSIBLE COMPOSITION FOR AMORTIZATION
CN108601857A (zh) 2016-02-15 2018-09-28 爱客多有限公司 葫芦脲组合物及其用途
GB2570376B (en) * 2016-08-24 2020-04-08 Aqdot Ltd Suspension compositions
GB2556619B (en) * 2016-08-24 2019-01-02 Aqdot Ltd Suspension compositions
CN110099904A (zh) 2016-12-22 2019-08-06 爱客多有限公司 制备葫芦脲衍生物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10036A1 (en) 2022-06-15
CN114466667A (zh) 2022-05-10
BR112022002120A2 (pt) 2022-04-12
JP2022543454A (ja) 2022-10-12
US20220313861A1 (en) 2022-10-06
WO2021023989A1 (en) 2021-02-11
GB201911194D0 (en) 2019-09-18
AU2020326349A1 (en) 2022-03-17
CA3149699A1 (en) 2021-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5257B1 (ko) 높은 흡수율을 갖는 수분-흡수성 중합체의 제조공정
US10695277B2 (en) Pro-fragrance composition
US11484615B2 (en) Cucurbituril compositions and their use
AU2017315222B2 (en) Suspension compositions
ATE313338T1 (de) Absorbierende zusammensetzung für riechende substanzen und freisetzung verschiedener aktiver verbindungen
JP7427447B2 (ja) 消臭剤含有加工液、消臭製品の製造方法、消臭濾材、消臭フィルターユニット及び消臭装置
KR20220042441A (ko) 쿠커비투릴을 이용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JP2010248334A (ja) 酸素吸収性樹脂組成物
GB2570376A (en) Suspension compositions
JP3148147B2 (ja) 青果物用鮮度保持剤及び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S6016914A (ja) 徐放性香料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2573656A (en) Use of compositions compris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ucurbiturils in a moist environment
GB2547282A (en) Compositions and their use
JP2003155353A (ja) 茶の芳香性、消臭性を有してなる熱可塑性樹脂成型物
KR20050034090A (ko) 고흡수성 수지와 활성탄을 주제로한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JPH04180767A (ja) 粉末状消臭剤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