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001A - 친환경 발포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발포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001A
KR20220042001A KR1020200124910A KR20200124910A KR20220042001A KR 20220042001 A KR20220042001 A KR 20220042001A KR 1020200124910 A KR1020200124910 A KR 1020200124910A KR 20200124910 A KR20200124910 A KR 20200124910A KR 20220042001 A KR20220042001 A KR 20220042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wallpaper
weight
layer
imm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6617B1 (ko
Inventor
정근수
이시영
이봄
김성규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00124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617B1/ko
Publication of KR20220042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8Particular kinds of wallpa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3/00Pulp or paper, comprising synthetic cellulose or non-cellulose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34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4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4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7/53Polyethers;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4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7/54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 D21H17/57Polyureas;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21H17/66Salts, e.g. alum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21H17/67Water-insoluble compounds, e.g. fillers, pigments
    • D21H17/675Oxides, hydroxides or carbonat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21H19/20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21H19/2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2Multi-ply with materials applied between the shee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8Multi-ply at least one of the sheets having a fibrous composition differing from that of other shee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05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inished paper or board, e.g. impregnating, coating
    • D21H5/005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inished paper or board, e.g. impregnating, coating involving several different techniques of applic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발포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OE(Polyolefin Elastomer) 수지,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수지 및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올레핀 수지 및 Bio-PE(Bio-Polyethylene)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 무기 충전제 10 내지 150 중량부; 및 불소계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계 가공조제를 포함하여 형성된 수지 발포층을 포함하는 친환경 발포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 유래 성분이 함유되어 친환경성 및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가 크면서도 내수성, 유연성 및 인쇄성은 동등 이상, 그리고 가공성, 발포품질 및 시공성은 크게 향상된 친환경 발포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발포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ECO-FRIENDLY FOAMING WALLPAP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친환경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 유래 성분이 함유되어 친환경성 및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가 크면서도 내수성, 유연성 및 인쇄성은 동등 이상, 그리고 가공성, 발포품질 및 시공성은 크게 향상된 친환경 발포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PVC 벽지는 종이 위에 PVC 수지를 코팅한 벽지로, 이는 표면 질감이 실크처럼 부드러워 선호도가 높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벽지이다.
그러나, 이러한 PVC 벽지는 CO2 등의 환경 유해 물질을 배출하고, 폐기 시에도 자연 환경 하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아 최근 트렌드인 친환경과는 거리가 멀었다.
이에 친환경적인 벽지를 개발하고자 바이오 수지를 적용하는 등의 시도가 있었으나, 바이오 수지는 친수성 특성이 강해 발포 시 발포품질 및 가공성 등이 떨어지고, 시공 시에는 접착제에 포함된 물로 인해 스웰링(Swelling)이 발생하며 수축률이 불안정하여 내수성, 유연성 및 시공성 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동절기 때 벽지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벽지가 딱딱하게 굳어져 시공이 어렵다는 문제와 벽지의 표면이 평탄하지 못해 인쇄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친환경적이면서도 발포품질, 가공성, 내수성, 유연성, 시공성 및 인쇄성 등이 모두 향상된 벽지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467775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식물 유래 성분이 함유되어 친환경성 및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가 크면서도 내수성, 유연성 및 인쇄성은 동등 이상, 그리고 가공성, 발포품질 및 시공성은 크게 향상된 친환경 발포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재층; POE(Polyolefin Elastomer) 수지,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수지 및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올레핀 수지, 및 Bio-PE(Bio-Polyethylene)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를 포함하여 형성된 수지 발포층; 및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벽지를 제공한다.
상기 발포층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수지에 불소계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계 가공조제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POE(Polyolefin Elastomer) 수지,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수지 및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올레핀 수지 및 Bio-PE(Bio-Polyethylene)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 무기 충전제 10 내지 150 중량부; 및 불소계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계 가공조제를 포함하여 형성된 수지 발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벽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올레핀 수지 71 내지 90 중량% 및 바이오 수지 10 내지 29 중량%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 무기 충전제 30 내지 150 중량부; 및 불소계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계 가공조제 0.1 내지 9 중량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수지 발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벽지를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올레핀 수지 71 내지 85 중량% 및 바이오 수지 15 내지 29 중량%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올레핀 수지 75 내지 85 중량% 및 바이오 수지 15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올레핀 수지 75 내지 84 중량% 및 바이오 수지 16 내지 25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수지 발포층은 바람직하게는 활제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활제는 바람직하게는 지방산계 활제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 내지 24의 포화 지방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 내지 20의 포화 지방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6 내지 20의 포화 지방산이며, 구체적인 예로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라우릴산(lauric acid) 등이 있고, 바람직한 예로는 스테아르산이다.
상기 올레핀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POE(Polyolefin Elastomer) 수지,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수지 및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POE(Polyolefin Elastomer) 수지이다.
상기 바이오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Bio-PE(Bio-Polyethylene)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제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2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제는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 이산화 티타늄 또는 이들의 혼합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과 이산화 티타늄의 혼합이다,
상기 무기 충전제는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과 이산화 티타늄이 3:1 내지 14: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1 내지 12:1의 중량비, 더욱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10:1의 중량비이다.
상기 불소계 가공조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불소계 가공조제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 중량부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중량부이다.
상기 폴리알킬렌 글리콜계 가공조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폴리알킬렌 글리콜계 가공조제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5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0 중량부이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예로 기재층,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 및 인쇄층을 포함하되, 상기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은, 바이오 수지와 올레핀 수지를 15:85 내지 30:7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상용화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아크릴 변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1 내지 9 중량부를 포함하는 발포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벽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는 바람직하게는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상용화제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에틸렌-n-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스티렌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상용화제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에틸렌-n-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스티렌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다.
본 기재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를 모두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상기 수지 발포층은 바람직하게는 PVC 수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기재의 발포 벽지가 PVC 수지를 포함하지 않는 PVC 프리 발포 벽지이며, 이러한 경우 CO2 등의 환경 유해 물질을 배출하고, 폐기 시에도 자연 환경 하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는 PVC 수지를 배제함으로써 보다 더 친환경적인 이점을 가진다.
상기 수지 발포층은 바람직하게는 발포배율이 180 % 이상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 더욱 바람직하게는 230%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4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 이상이며, 구체적인 예로 180 내지 300%, 바람직한 예로는 220 내지 280%, 보다 바람직한 예로는 230 내지 260%, 더욱 바람직한 예로는 250 내지 260%이다.
상기 발포 벽지는 바람직하게는 순차적으로 기재층, 수지 발포층 및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바람직하게는 펄프, 셀룰로오스 또는 이들의 혼합 75 중량% 이상; 및 PET 섬유 25 중량% 이하를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펄프, 셀룰로오스 또는 이들의 혼합 85 내지 100 중량%; 및 PET 섬유 0 내지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펄프, 셀룰로오스 또는 이들의 혼합 90 내지 100 중량%; 및 PET 섬유 0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펄프, 셀룰로오스 또는 이들의 혼합 75 내지 90 중량%; 및 PET 섬유 10 내지 2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바람직하게는 모조지, 부직포 또는 면직물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이다.
상기 기재층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수학식 1로 계산되는 침지 수축률이 2% 이하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수학식 1]
침지 수축률 = [(침지전 기재층 길이 - 침지후 기재층 길이)/침지전 기재층 길이] X 100
상기 침지 수축률은 구체적으로는 시편 크기 200 x 200 mm, 침지액으로 물, 침지시간 1 시간 및 침지온도 상온(20 내지 23℃) 조건 하에서, 시편을 침지하고 꺼내어 바로 물기 제거한 후 측정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3회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발포 벽지는 바람직하게는 시편 크기 200 x 200 mm, 침지액으로 물, 침지시간 1 시간 및 침지온도 상온의 조건 하에서 측정되고, 상기 수학식 1로 계산되는 침지 수축률로서 기재층의 침지 수축률이 발포층의 침지 수축률의 80 내지 120 %일 수 있다. 여기에서 기재층의 침지 수축률이 발포층의 침지 수축률의 80 내지 120 %라는 의미는 "(발포층의 침지 수축률/기재층의 침지 수축률) X 100"으로 계산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발포 벽지는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층, 제2 기재층 및 부분발포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기재층 밑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기재층은 상기 접착제층 밑에 위치하고, 마지막으로 부분발포층은 상기 인쇄층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발포 벽지는 바람직하게는 1,060mm 폭의 벽지 시편으로 벽지 기재에 도배풀(전분 소재)로 10~50 g/㎡도포를 한 후 1시간 동안 숙성을 시키고 벽면에 부착하는 방법에 의하여 시공한 후 하기 수학식 3으로 계산되는 수축률이 2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 %이다.
[수학식 3]
벽지 수축률 = [(시공 전 벽지 폭 - 시공 후 벽지 폭)/시공 전 벽지 폭] X 100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POE(Polyolefin Elastomer) 수지,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수지 및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올레핀 수지 및 Bio-PE(Bio-Polyethylene)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무기 충전제; 불소계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계 가공조제; 및 화학 발포제 0.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발포배율 180% 이상으로 발포하여 수지 발포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벽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POE(Polyolefin Elastomer) 수지,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수지 및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올레핀 수지 및 Bio-PE(Bio-Polyethylene)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 무기 충전제 10 내지 150 중량부; 불소계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계 가공조제; 및 화학 발포제 0.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발포배율 180% 이상으로 발포하여 수지 발포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벽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올레핀 수지 71 내지 90 중량% 및 바이오 수지 10 내지 29 중량%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 무기 충전제 30 내지 150 중량부; 불소계 또는 카르록실산계 가공조제 0.1 내지 9 중량부; 상용화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화학 발포제 0.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발포배율 180% 이상으로 발포하여 수지 발포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벽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 유래 성분이 함유되어 친환경성 및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가 크면서도 내수성, 유연성 및 인쇄성은 동등 이상, 그리고 가공성, 발포품질 및 시공성은 크게 향상된 친환경 발포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PVC 발포층을 포함하는 벽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천연소재 수지층을 포함하는 벽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을 포함하는 벽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본 발명자들은 기재층,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 및 인쇄층을 포함하는 발포 벽지에서 상기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을 바이오 수지와 올레핀 수지를 소정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에 아크릴 변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가공조제를 소정 양 포함시켜 제조하는 경우, 친환경성 및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가 크면서도 종래 해결하지 못했던 가공성, 발포품질, 내수성, 유연성, 시공성 및 인쇄성까지 크게 향상된 발포 벽지가 제조되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에 더욱 매진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에서는 본 기재의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각 구성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기재층
본 발명의 기재층은 일례로 벽지의 최하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접착제를 매개로 벽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바람직하게는 100% 펄프, 또는 PET 섬유를 10 내지 30 중량% 포함한 펄프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수지 발포층과 수축률 등의 성질이 유사하여 시공성 및 벽지 품질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상기 기재층은 일례로 모조지, 부직포 또는 면직물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이다.
상기 모조지는 주로 인쇄지로 사용하는 질이 강하고 질기며 윤택이 나는 서양식 종이로, 본 발명의 정의를 충족시키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조지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부직포는 일례로 방적, 제직, 편성과 같은 직포 공정 없이 섬유 집합체를 화학적 작용이나, 기계적 작용 또는 적당한 수분과 열처리에 의해 섬유 상호간을 결합한 포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기재 시트는 일례로 평량이 50 내지 200 g/m2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시공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
본 발명의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은 일례로 상기 기재층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지 발포층은 바람직하게는 POE(Polyolefin Elastomer) 수지,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수지 및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올레핀 수지, 및 Bio-PE(Bio-Polyethylene)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식물 유래 성분이 함유되어 친환경성 및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가 크면서도 내수성, 유연성 및 인쇄성은 동등 이상, 그리고 가공성, 발포품질 및 시공성은 크게 향상된 친환경 발포 벽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로, 상기 수지 발포층은 POE(Polyolefin Elastomer) 수지,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수지 및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올레핀 수지 및 Bio-PE(Bio-Polyethylene)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 무기 충전제 10 내지 150 중량부; 및 불소계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계 가공조제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식물 유래 성분이 함유되어 친환경성 및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가 크면서도 내수성, 유연성 및 인쇄성은 동등 이상, 그리고 가공성, 발포품질 및 시공성은 크게 향상된 친환경 발포 벽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로, 상기 수지 발포층은 올레핀 수지 71 내지 90 중량% 및 바이오 수지 10 내지 29 중량%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 무기 충전제 30 내지 150 중량부; 및 불소계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계 가공조제 0.1 내지 9 중량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식물 유래 성분이 함유되어 친환경성 및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가 크면서도 내수성, 유연성 및 인쇄성은 동등 이상, 그리고 가공성, 발포품질 및 시공성은 크게 향상된 친환경 발포 벽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은 또 다른 예로 바이오 수지와 올레핀 수지를 15:85 내지 29:7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상용화제 1 내지 5 중량부; 및 가공조제로 아크릴 변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1 내지 9 중량부를 포함하는 발포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친환경성 및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가 크면서도 내수성, 유연성, 시공성 및 인쇄성까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베이스 수지는 일례로 바이오 수지와 올레핀 수지를 15:85 내지 29:71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5:85 내지 25:75의 중량비, 보다 바람직하게는 16:84 내지 25:7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완제품인 벽지의 유통상 발생하는 엠보 눌림을 최소화하고, 우수한 엠보 복원력을 구현하며, 겨울철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올레핀 수지를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7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경도가 높은 바이오 수지로 인해 완제품인 벽지 유통 시 엠보가 눌려 외관상의 문제와 겨울철 시공 시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고, 90 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 올레핀 수지의 높은 탄성으로 인해 제조공정상 엠보가 찍히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바이오 수지는 일례로 PLA(Poly Lactic Acid) 수지, 녹말(Starch), Bio-PE(Bio-Polyethylene) 수지, Bio-TPU(Bio-Thermoplastic Polyurethane) 수지, 셀룰로오스, 키틴, PHA 수지, PVA 수지, PBS 수지, PBAT 수지 및 PCL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PLA(Poly Lactic Acid) 수지, Bio-PE(Bio-Polyethylene) 수지 및 Bio-TPU(Bio-Thermoplastic Polyurethane)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Bio-PE(Bio-Polyethylene) 수지이고, 이러한 경우 CO2 등의 환경 유해 물질의 배출량이 PVC 등의 석유기반 소재에 비해 월등히 적고, 폐기 시에도 자연 환경 하에서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이점이 있다.
상기 PLA 수지는 일례로 락트산 또는 락타이드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일 수 있다.
상기 녹말은 일례로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등의 생전분, 또는 아세트산 에스테르화 전분, 메틸에테르화 전분, 아밀로스 등의 가공 전분일 수 있다.
상기 Bio-PE 수지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바이오 폴리에틸렌 수지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바이오 에탄올을 탈수하여 생성된 에틸렌을 중합하여 얻은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바이오 에탄올은 사탕수수에서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Bio-TPU 수지는 일례로 폴리올을 사탕수수에서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 수지는 일례로 POE(Polyolefin Elastomer) 수지,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및 EVA 수지(Ethylene vinyl acet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이 경우 충격강도와 저온에서의 유연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상기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상용화제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사용 가능하며, 일례로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바이오 수지와 올레핀 수지간의 계면활성 작용으로 상용성을 향상시켜 가공성 및 기계적 물성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아크릴 변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는 일례로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2 내지 9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가공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상기 아크릴 변성이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정의되는 아크릴 변성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구체적인 예로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말단을 아크릴로 변성한 것이거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 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알킬렌 글리콜계 가공조제는 일례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기반의 가공조제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가공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상기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이며, 이 경우 가공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알킬기의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킬기의 탄소수 4 내지 10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킬기의 탄소수 4 내지 8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구체적인 예로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한 예로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이며, 보다 바람직한 예로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혼합이고, 이 경우 가공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기재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폴리알킬렌 글리콜계 가공조제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5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0 중량부이다.
상기 발포 조성물은 일례로 중첩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소제, 충진제, 가교제, 산화방지제 및 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은 바람직한 예로 발포배율이 230% 이상, 보다 바람직한 예로 250% 이상이고, 이 범위 내에서 엠보 구현 성능 및 회복 성능이 향상된다.
본 기재의 발포배율은 발포전 발포층과 발포후 발포층의 두께를 비교하여 계산될 수 있는 값으로, 구체적으로는 발포전 발포층의 두께를 Micro gauge(Mitutoyo)로 측정하고, 상기 발포층을 약 200℃에서 약 1분 동안 마티스 오븐에 두어 발포시킨 후, 발포후 발포층의 두께를 Micro gauge(Mitutoyo)로 측정한 다음, 하기 수하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1]
{[(발포후 발포층 두께 - 발포전 발포층 두께)/발포전 발포층 두께]+1}X100
상기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은 ISO 243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측정된 유연성(Stiffness)이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5 내지 10, 보다 구체적으로는 8 내지 10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시공 시 이음매 컬링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상기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은 바람직하게는 기포의 평균 직경이 50 내지 200 ㎛이고, 이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목적하는 효과가 잘 발현되는 이점이 있다.
본 기재에서 기포의 평균 직경은 기포가 가질 수 있는 다양한 직경의 평균값을 의미하고,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측정방법에 의하여 측정되는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가소제는 다른 성분과 중첩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일례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테레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벤조에이트계 가소제, 시트레이트계 가소제, 포스페이트계 가소제 및 아디페이트계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일 수 있고, 이 경우 친환경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충진제는 다른 성분과 중첩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일례로 목분, 운모, 비정질 실리카, 활석, 제올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황산칼슘, 인산칼슘, 인산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카올린, ATH(Alumina trihydrate) 및 탈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이 경우 원가를 절감시켜 경제적인 이점을 지닌다.
상기 가교제는 일례로 디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그룹공중합체 및 하이드록시카복실산 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상기 가교제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 0.1 내지 5 중량부이고, 이 범위 내에서 인장강도, 내열성 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 0.1 내지 5 중량부이고, 이 범위 내에서 베이스 수지가 산화되어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일례로 플라스틱용 산화방지제로 사용되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설퍼계 산화방지제 및 인계 산화방지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상기 활제는 일례로 스테아린산(stearic acid)일 수 있다.
상기 활제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 0.1 내지 8 중량부이고, 이 범위 내에서 발포품질 및 가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발포 조성물은 일례로 PVC 수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친환경성 및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가 우수한 이점이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발포 조성물은 일례로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친환경성 및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가 우수한 이점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포 조성물은 PVC 수지와 아크릴 수지를 모두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친환경성 및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가 우수한 이점이 있다.
상기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은 일례로 두께가 0.2 내지 4.0mm, 또는 0.2 내지 2.0mm일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질 경우 발포층의 표면이 균일하면서도 가공성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상기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은 일례로 기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포는 일례로 평균직경이 3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8㎛일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발포층의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본 기재에서 기포의 평균직경의 측정방법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인쇄층
본 발명의 인쇄층은 일례로 상기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이는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 상부에 다양한 인쇄무늬를 형성함으로써 벽지의 심미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일례로 상기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 상에 인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인쇄는 일례로 전사 인쇄, 그라비아 인쇄, 스크린 앤쇄, 오프셋 인쇄, 로터리 인쇄 및 플렉소 인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인쇄일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일례로 수용성 잉크를 포함하는 인쇄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인쇄 조성물은 일례로 가소제, 용융강도 보강제, 활제, 내가수분해제, 탄산칼슘(CaCO3) 및 이산화티타늄(TiO2)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바람직하게는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일 수 있다.
상기 용융강도 보강제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융강도 보강제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활제는 바람직하게는 고급지방산일 수 있고, 수지 발포층에서 상술한 지방산의 내용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인쇄층은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잉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발포층 상부에 형성되어 발포층의 표면에 전사 인쇄, 그라비어 인쇄, 스크린 인쇄, 오프셋 인쇄, 로터리 인쇄 또는 플렉소 인쇄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무늬를 형성함으로써 발포 벽지에 심미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쇄층은 바람직하게는 약 0.01mm 내지 약 0.3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적절한 제조비용으로 심미감이 우수한 외관 및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벽지
상기 발포 벽지는 바람직하게는 기재층 하부에 접착제층, 또는 순차적으로 접착제층과 제 2기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포 벽지는 바람직하게는 인쇄층 상부에 부분발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발포 벽지를 하기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하기 도 1은 종래의 벽지 구조로 생분해되지 않는 PVC 발포층을 포함하여 친환경성에 반하고 이산화탄소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하기 도 2는 PVC 발포층을 포함하는 벽지를 개량한 종래의 벽지로 천연소재 수지층을 포함하여 친환경적이고 이산화탄소가 저감되는 효과는 어느 정도 달성하였으나, 유연성이 낮아 시공성이 떨어지고 인쇄성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하기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발포 벽지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을 포함하여, 친환경성 및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가 크면서도 내수성, 유연성, 시공성 및 인쇄성까지 모두 뛰어난 이점을 갖는다.
하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기재층은 시트의 가장 기본이 되는 층으로, 상부의 수지층 및 인쇄층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재층으로는 100% 펄프, 또는 PET 섬유를 10 내지 30 중량% 포함한 펄프를 사용한다. 여기에서 100% 펄프, 또는 PET 섬유를 10 내지 30 중량% 포함한 펄프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기재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바람직한 형태로는 모조지, 부직포 또는 면직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모조지는 바람직하게는 100% 펄프로 구성되고, 상기 부직포는 바람직하게는 PET 섬유를 10 내지 30 중량% 포함한 펄프로 구성된다.
상기 기재층을 구성하는 모조지, 부직포 또는 면직물 등의 평량은 80 내지 200 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의 평량이 80 g/m2 미만인 경우에는 시공 또는 사용 과정에서 시트의 찢어짐 등의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200 g/m2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재가 무거워지게 되고, 틈 벌어짐 및 컬링 현상이 발생하여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기재에서 평량의 측정방법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측정방법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기재층 상부에 형성되는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은 또 다른 예로 시트의 미관 효과를 부여하고, 바이오 수지와 올레핀 수지를 15:85 내지 29:7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상용화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아크릴 변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5 내지 9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친환경성 및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가 뛰어나고, 벽지의 유연성, 시공성, 기계적 물성 및 인쇄성 등이 우수한 이점을 갖는다.
여기에서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에 대한 상세한 기재는 상기 발포층에서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상기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은 공지의 칼렌더링 방식 또는 T-die 압출 방식에 의해 형성할 수 있으나, 상기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 상부에 형성되는 인쇄층은 시트에 다양한 무늬 및/또는 색상을 부여하여, 미관 효과를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인쇄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일례로 그라비어 인쇄, 전사인쇄, 디지털 인쇄 또는 로터리 인쇄 등의 공지의 인쇄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인쇄층은 일례로 실사 인쇄층 또는 전사 인쇄층일 수 있는데, 각각 잉크젯 인쇄 등의 공지의 실사 인쇄 방법 혹은 전사 방법을 사용하여 보다 간편하게 미관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벽지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벽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벽지의 내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벽지의 제조방법은 일례로 기재층 상부에 바이오 수지와 올레핀 수지를 15:85 내지 30:7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 및 발포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발포 조성물을 코팅한 후 발포시켜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을 형성하는 단계(S1); 및 상기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 상부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S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식물 유래 성분이 함유되어 친환경성 및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가 크면서도 내수성, 유연성 및 인쇄성은 동등 이상, 그리고 가공성, 발포품질 및 시공성은 크게 향상된 친환경 발포 벽지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바람직한 예로, 본 발명의 벽지의 제조방법은 기재층 상부에 바이오 수지와 올레핀 수지를 15:85 내지 30:7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 가공조제로 아크릴 변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5 내지 9 중량부; 및 발포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발포 조성물을 코팅한 후 발포시켜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을 형성하는 단계(S1); 및 상기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 상부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S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식물 유래 성분이 함유되어 친환경성 및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가 크면서도 내수성, 유연성 및 인쇄성은 동등 이상, 그리고 가공성, 발포품질 및 시공성은 크게 향상된 친환경 발포 벽지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벽지의 제조방법은 기재층 상부에 바이오 수지와 올레핀 수지를 15:85 내지 30:7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상용화제 1 내지 5 중량부; 가공조제로 아크릴 변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5 내지 9 중량부; 및 발포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발포 조성물을 코팅한 후 발포시켜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을 형성하는 단계(S1); 및 상기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 상부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S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식물 유래 성분이 함유되어 친환경성 및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가 크면서도 내수성, 유연성 및 인쇄성은 동등 이상, 그리고 가공성, 발포품질 및 시공성은 크게 향상된 친환경 발포 벽지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발포제는 바람직하게는 화학 발포제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조디카본아마이드(azodicarbonamide), p,p'-옥시비스벤젠설포닐하이드라지드(p,p'-oxybisbenzene sulfonyl hydrazide), p-톨루엔설포닐하이드라지드(p-toluene sulfonyl hydrazide) 및 벤젠설포닐하이드라지드(benzene sulfonyl hydaraz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발포제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중량부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발포품질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발포제는 일례로 입경이 3 내지 40㎛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직경이 균일한 기포를 형성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발포는 일례로 15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90 내지 230℃의 온도 하에서 수행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발포품질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 형성단계(S1)는 일례로 상기 발포 조성물을 가소제에 배합한 후, 나이프 코터, 롤 커터 등을 사용하여 기재 시트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소재 수지 발포층 형성단계(S1)는 일례로 상기 도포 단계 이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한 재료는 다음과 같다.
A) 올레핀 수지로 POE를 사용하였다.
B) 바이오 수지로 Bio-PE 수지를 사용하였다.
C-1) 무기 충전제로 탄산칼슘을 사용하였다.
C-2) 무기 충전제로 이산화 티타늄을 사용하였다.
D-1) 불소계 가공조제로 PTFE 수지(Mitsubishi Rayon사의 A3000)를 사용하였다.
D-2) 폴리알킬렌 글리콜계 가공조제로 BYK-P 4101을 사용하였다.
D-3) 아크릴계 가공조제로 LG화학 PA828을 사용하였다.
E) 지방산계 활제로 스테아르산을 사용하였다.
F) 발포제로 화학 발포제인 아조디카본아마이드(azodicarbonamide; ADCA)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에 따른 발포 조성물을 230 ℃에서 50초 동안 발포시켜 발포층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발포층의 특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 발포배율: 발포 전 프리겔링(pregelling) 상태의 프리겔링 시트 두께와 이를 230 ℃에서 발포시킨 발포 시트 두께를 측정한 후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여기에서 발포 시트는 수지 발포층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기재층을 형성하는 기재 시트와 구별된다.
[수학식 2]
발포 배율 = (발포 시트 두께 / 초기 프리겔링 시트 두께) X 100
* 유연성(Stiffness): ISO 243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 가공성: 2본롤로 수지 시트를 제조하였을 때 롤에 수지가 달라붙지 않고 균일한 뱅크(bank)가 형성된 경우 양호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 발포 표면 특성: 230℃ 및 50초의 발포 조건 하에서 수지 발포층(시트)을 제조할 때 육안 관찰 시 발포 표면이 플랫(flat) 상태인 경우 양호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 시공성: 일반 도배풀을 기재에 도포하고 1시간 정도 숙성시키고 벽면에 시공하였다. 이때 시공성의 평가는 이음매 부분에 컬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양호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중량부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5 6 7 8
A 84 75 84 84 84 70 84 84 84 84 84 84 90
B 16 25 16 16 16 30 16 16 16 16 16 16 10
C-1 50 50 50 50 100 50 50 50 50 150 50 5 50
C-2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5 10
D-1 3 3 0 5 3 3 0 0 10 3 0.1 3 3
D-2 0 0 0.8 0 0 0 0 0 0 0 0 0 0
D-3 0 0 0 0 0 0 3 0 0 0 0 0 0
E 1 1 1 1 1 1 1 1 1 1 1 1 1
F 3 3 3 3 3 3 3 3 3 3 3 3 3
발포배율 250 250 250 250 250 250 N/A N/A N/A N/A N/A 250 230
유연성(Stiffness) 8 10 8 10 9 14 N/A N/A N/A N/A N/A 11 10
가공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롤 달라붙음 롤 달라붙음 시트 형성어려움 시트 형성어려움 롤 달라붙음 양호 시트형성일부어려움
발포표면 양호 양호 양호 중간 양호 좋지 않음 N/A N/A N/A N/A N/A 중간 중간
시공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이음매 컬링 N/A N/A N/A N/A N/A 이음매컬링 양호
* N/A는 정상적으로 가공이 어려워 측정불가(not available)의 의미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지 발포층(실시예 1 내지 5)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수지 발포층(비교예 1 내지 8) 대비하여 유연성은 동등 이상이면서, 가공성, 발포 품질 및 시공성이 모두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및 7
하기 표 2에 기재된 기재층 위에 230℃ 및 50초 조건 하에 발포를 하여 수지 발포층을 형성하여 발포 벽지 시료를 제조하였고, 제조된 발포 벽지 시료의 특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시공 후 수축률: 일반 도배풀을 1060mm 폭의 벽지 시편 기재에 도포하고 1시간 정도 숙성시키고 벽면에 시공하였다. 이때 도배풀은 전분 성분으로 구성이 되어 있고, 벽지 시편을 건조 후 도배풀을 고형분 기준으로 10~30 g/㎡으로 상온 20℃ 이상에서 도포를 하였다. 수축률은 시공 후 하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수학식 3]
벽지 수축률 = [[(시공 전 벽지 폭 - 시공 후 벽지 폭)/시공 전 벽지 길이] X 100
* 시공성: 일반 도배풀을 기재에 도포하고 1시간 정도 숙성시키고 벽면에 시공하였다. 이때 시공성의 평가는 이음매 부분에 컬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양호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원재료 구성 실시예 6 실시예 7
수지 발포층 실시예 1 실시예 1
기재층 부직포(셀루로오스 80중량%, PET 섬유 20중량%, 침지 수축률 1% 이내) 모조지(셀루로오스 100중량%, 침지 수축률 2% 이내)
시공 후 수축률 1060mm→1067mm 1060mm→1080mm
시공성 양호 이음매 벌어짐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지 발포층에 기재층으로 침지 수축률 1% 내외의 부직포를 사용한 실시예 6이 기재층으로 침지 수축률 2% 내외의 모조지를 사용한 실시예 7 대비하여 시공 후 수축률 및 시공성 측면에서 보다 유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6)

  1. 기재층; POE(Polyolefin Elastomer) 수지,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수지 및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올레핀 수지, 및 Bio-PE(Bio-Polyethylene)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를 포함하여 형성된 수지 발포층; 및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벽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층은 상기 베이스 수지에 불소계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계 가공조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벽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 수지는 POE(Polyolefin Elastomer)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벽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층은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무기 충전제 10 내지 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벽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전제는 탄산칼슘과 이산화 티타늄이 3:1 내지 14: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벽지.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가공조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벽지.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 글리콜계 가공조제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벽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발포층은 PVC 수지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벽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펄프, 셀룰로오스 또는 이들의 혼합 75 중량% 이상; 및 PET 섬유 25 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벽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벽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PET 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벽지.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시편 크기 200 x 200 mm, 침지액으로 물, 침지시간 1 시간 및 침지온도 상온의 조건 하에서 측정되고, 하기 수학식 1로 계산되는 침지 수축률이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벽지.
    [수학식 1]
    침지 수축률 = [(침지전 기재층 길이 - 침지후 기재층 길이)/침지전 기재층 길이] X 100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벽지는 시편 크기 200 x 200 mm, 침지액으로 물, 침지시간 1 시간 및 침지온도 상온의 조건 하에서 측정되고, 하기 수학식 1로 계산되는 침지 수축률로서 기재층의 침지 수축률이 발포층의 침지 수축률의 80 내지 1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벽지.
    [수학식 1]
    침지 수축률 = [(침지전 기재층 길이 - 침지후 기재층 길이)/침지전 기재층 길이] X 100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벽지는 도배풀을 1060mm 폭의 시편 기재에 도포하고 1 시간 숙성시킨 후 벽면에 시공된 벽지 수축률이 하기 수학식 3에 의할 때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벽지.
    [수학식 3]
    벽지 수축률 = [(시공 전 벽지 폭 - 시공 후 벽지 폭)/시공 전 벽지 폭] X 100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벽지는 접착제층, 제2 기재층 및 부분발포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벽지.
  16. POE(Polyolefin Elastomer) 수지,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수지 및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올레핀 수지 및 Bio-PE(Bio-Polyethylene)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무기 충전제; 불소계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계 가공조제; 및 화학 발포제 0.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발포배율 180% 이상으로 발포하여 수지 발포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벽지의 제조방법.
KR1020200124910A 2020-09-25 2020-09-25 친환경 발포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6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910A KR102436617B1 (ko) 2020-09-25 2020-09-25 친환경 발포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910A KR102436617B1 (ko) 2020-09-25 2020-09-25 친환경 발포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001A true KR20220042001A (ko) 2022-04-04
KR102436617B1 KR102436617B1 (ko) 2022-08-26

Family

ID=81182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910A KR102436617B1 (ko) 2020-09-25 2020-09-25 친환경 발포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6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03899A (zh) * 2023-02-16 2023-04-25 广东安拓普聚合物科技有限公司 基于生物基聚乙烯的复合材料及制备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899A (ja) * 1992-08-14 1994-03-08 New Oji Paper Co Ltd 機能性壁紙
KR20010104503A (ko) * 2000-05-03 2001-11-26 성재갑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를 사용한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467775B1 (ko) 2001-12-12 2005-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오염성 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06989U (ko) * 2010-01-05 2011-07-13 (주)엘지하우시스 벽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397927B1 (ko) * 2013-03-22 2014-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바이오 수지 조성물과 바이오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19553A (ko) * 2014-04-15 2015-10-26 (주)엘지하우시스 발포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발포 벽지
JP2017088802A (ja) * 2015-11-16 2017-05-25 凸版印刷株式会社 樹脂組成物、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発泡壁紙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899A (ja) * 1992-08-14 1994-03-08 New Oji Paper Co Ltd 機能性壁紙
KR20010104503A (ko) * 2000-05-03 2001-11-26 성재갑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를 사용한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467775B1 (ko) 2001-12-12 2005-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오염성 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06989U (ko) * 2010-01-05 2011-07-13 (주)엘지하우시스 벽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397927B1 (ko) * 2013-03-22 2014-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바이오 수지 조성물과 바이오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19553A (ko) * 2014-04-15 2015-10-26 (주)엘지하우시스 발포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발포 벽지
JP2017088802A (ja) * 2015-11-16 2017-05-25 凸版印刷株式会社 樹脂組成物、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発泡壁紙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03899A (zh) * 2023-02-16 2023-04-25 广东安拓普聚合物科技有限公司 基于生物基聚乙烯的复合材料及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617B1 (ko) 202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4144B1 (ko) 생분해성 시트
KR101299358B1 (ko) 발포층을 갖는 생분해성 시트
JP2014534992A (ja) 粘着層を有する生分解性シート
CN1198173A (zh) 可生物降解的聚酯与天然聚合物的层压材料
KR102436617B1 (ko) 친환경 발포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200111A (ja) 通気性壁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36619B1 (ko) 친환경 발포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73372Y1 (ko)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하는 친환경 바닥재 및 벽지
JP4448607B2 (ja) 多層樹脂延伸フィルム
KR101305642B1 (ko) Pla 수지를 이용한 생분해성 시트
JP2011012351A (ja) 紙壁紙
KR101285981B1 (ko) 생분해성 판넬
JP2015501236A (ja) 生分解性パネル
JP2003003400A (ja) 高剥離壁紙用裏打ち紙
JP4389640B2 (ja) 壁紙
KR20150119553A (ko) 발포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발포 벽지
KR20120127114A (ko) 점착층을 갖는 생분해성 시트
KR101305741B1 (ko) 보드층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판넬
KR101297044B1 (ko) 직물층을 갖는 생분해성 시트
KR101333849B1 (ko) 생분해성 합지시트
JP2024050016A (ja) 耐水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31099A (ja) 易施工化粧シ−ト
KR101317605B1 (ko) 자연소재를 이용한 생분해성 시트
JP2001121632A (ja) 耐水ダンボ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