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971A - 매미날개구조 생체모방 나노스파이크 충돌판이 적용된 전기적 임팩터 - Google Patents

매미날개구조 생체모방 나노스파이크 충돌판이 적용된 전기적 임팩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1971A
KR20220041971A KR1020200124431A KR20200124431A KR20220041971A KR 20220041971 A KR20220041971 A KR 20220041971A KR 1020200124431 A KR1020200124431 A KR 1020200124431A KR 20200124431 A KR20200124431 A KR 20200124431A KR 20220041971 A KR20220041971 A KR 20220041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unit
nano
collision plate
spike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2280B1 (ko
Inventor
황정호
오재호
안상권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24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280B1/ko
Publication of KR20220041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15/065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using electric, e.g. electrostatic methods or magnetic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031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by measuring electrical or magnetic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G01N2015/0088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1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biological cells, e.g. blood cells
    • G01N2015/019Biological contaminants; Fou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2015/1006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for cytolo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매미날개구조 생체모방 나노스파이크 충돌판이 적용된 전기적 임팩터에 관한 것으로, 최상층에 위치하며 미생물 입자를 유입하는 도입부와; 상기 도입부를 통해 유입된 미생물 입자의 충돌에 의한 전류를 측정하는 제 1 센싱부;와 상기 도입부를 통해 유입된 미생물 입자의 충돌에 의한 전류를 측정하는 제 2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센싱부;는 센싱부 표면에 일반 충돌판;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센싱부;는 센싱부 표면이 나노스파이크 충돌판;이 포함되어있고, 제 1 센싱부;와 제 2 센싱부;의 전기석 신호를 입력받는 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임팩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매미날개구조 생체모방 나노스파이크 충돌판이 적용된 전기적 임팩터{Electrical impactor with cicada wings imitation nano-spike impaction plate}
본 발명은 매미날개구조 생체모방 나노스파이크 충돌판이 적용된 전기적 임팩터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은 기체와 기체 중에 부유하고 있는 고체 또는 액체 입자로써 정의 된다. 이러한 에어로졸은 크기가 1 nm에서 100 μm 이상의 아주 넓은 범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정확히 계측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에어로졸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 다르고 형상, 밀도 등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계측에 있어서 이를 반영하기가 극히 힘들다.
이러한 에어로졸은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에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COVID-19 같은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박테리아 같은 바이오에어로졸도 에어로졸의 범주에 포함된다. 바이오 에어로졸 계측은 대표적으로 군집계수법(Colony forming unit, CFU), 중합효소 연쇄 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등이 있다. 하지만 CFU는 1일 이상, PCR은 수 시간 이상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실시간 계측과는 다소 거리가 멀다고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전기식 임팩터를 이용하여 PSL (Polystyrene Latex) 실험입자와 박테리아 (Staphylococcus epider midis)를 동시에 하전시켜 충돌판에 아무처리를 하지 않은 임팩터와 매미 날개를 모방한 나노스파이크(nano-spike) 형태로 가공한 충돌판이 삽입되어 있는 임팩터로 동시 측정하여 전류 값의 차이로 에어로졸과 바이오에어로졸의 양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매미날개구조 생체모방 나노스파이크 충돌판이 적용된 전기적 임팩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전기적 임팩터를 이용한 바이오에어로졸 농도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최상층에 위치하며 미생물 입자를 유입하는 도입부와; 상기 도입부를 통해 유입된 미생물 입자의 충돌에 의한 전류를 측정하는 제 1 센싱부;와 상기 도입부를 통해 유입된 미생물 입자의 충돌에 의한 전류를 측정하는 제 2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센싱부;는 센싱부 표면에 일반 충돌판;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센싱부;는 센싱부 표면이 나노스파이크 충돌판;이 포함되어있고, 제 1 센싱부;와 제 2 센싱부;의 전기석 신호를 입력받는 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임팩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기적 임팩터를 이용한 바이오에어로졸 농도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미날개구조 생체모방 나노스파이크 충돌판이 적용된 전기적 임팩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적 임팩터는 기존의 군집계수법보다 훨씬 짧은 시간이 소요되어 실시간으로 바이오에어로졸을 계측할 수 있다.
도 1은 전기적 임팩터를 이용한 바이오에어로졸의 측정 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전기적 임팩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매미날개구조 생체모방 나노스파이크 충돌판 제조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팩터의 충돌판에서 세포용해(cell lysis)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팩터의 충돌판에서 나노스파이크와 충돌 시 박테리아(S.aureus)의 손상도를 확인한 SEM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매미날개구조 생체모방 나노스파이크 충돌판이 적용된 전기적 임팩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미날개구조 생체모방 나노스파이크 충돌판이 적용된 전기적 임팩터는 최상층에 위치하며 미생물 입자를 유입하는 도입부와; 상기 도입부를 통해 유입된 미생물 입자의 충돌에 의한 전류를 측정하는 제 1 센싱부;와 상기 도입부를 통해 유입된 미생물 입자의 충돌에 의한 전류를 측정하는 제 2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센싱부;는 센싱부 표면에 일반 충돌판;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센싱부;는 센싱부 표면이 나노스파이크 충돌판;이 포함되어있고, 제 1 센싱부;와 제 2 센싱부;의 전기석 신호를 입력받는 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충돌판"은 도 2에서와 같이 전기적 임팩터의 센싱부의 표면에 위치하며, 바이어에어로졸이 충돌판에 포집되면 센싱부에서 전류가 발생하여 측정부에서 전류값을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 "일반 충돌판"은 표면에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실리콘 웨이퍼(si wafer)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바이오에어로졸"은 기체상의 미생물이나 생물에서 발생한 기체상의 모든 물질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살아있거나 죽은 미생물 (박테리아), 미생물 부스러기, 곰팡이포자, 꽃가루, 동식물에서 발생한 알레르기물질, 사람의 몸에서 나온 기침 및 체액, 그리고 미생물에서 발생한 독소 등을 포함한다. 바이오에어로졸은 자연에 무한히 많으며 존재 하는 곳도 집 안과 밖, 건물내부 및 외부, 그리고 동식물의 거주지 등등 다양하다. 또한 그 크기도 1 마이크론보다 작은 크기에서 100 마이크론까지 아우르고 있다.
미생물은, 박테리아 또는 곰팡이 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박테리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노스파이크 충돌판은, 다음과 같은 나노스파이크가 충돌판 표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나노스파이크는 폭이 100 내지 200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50nm일 수 있고, 높이가 300 내지 400nm, 더욱 바람직하게는 330 내지 370일 수 있으며, 나노스파이크 사이의 거리가 100 내지 200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50nm일 수 있다.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에어로졸 농도 측정 방법은 최상층의 도입부로 미생물이 도입되는 단계; 도입된 미생물이 충돌판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제 1 센싱부;와 제 2 센싱부;의 전기적 신호의 차이로 미생물의 농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 및 실험예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매미날개구조 생체모방 나노스파이크 충돌판 제조
매미날개구조 생체모방 나노스파이크 충돌판 제조 방법의 개략도는 도 3으로 표현된다.
먼저 실리콘 웨이퍼(si wafer)위에 백금합금(Pt/pd)을 얇게 증착한다. 이 후 열을 800℃이상 가하여 백금합금을 액화시킨 후 상온으로 식히면 백금합금이 필름(film)형태에서 부분부분 뭉친 형태로 바뀐다. 이 후 염소(Cl2)가스를 이용하여 60초 내지 200초간 이온에칭(ion etching)을 하면 백금합금이 에치 마스크(etch mask)역할을 하여 백금합금부분은 에칭되지 않고 백금합금이 없는 부분만 에칭되어 나노구조체를 제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2> 나노스파이크 구조체로 인한 미생물의 손상 확인
나노스파이크 충돌판에 충돌한 박테리아의 손상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고, 이는 도 4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인 충돌판(실리콘 웨이퍼)의 경우 박테리아는 높은 유속에서 충돌해야만 세포벽손상이 확인되었고, 나노스파이크 구조체 충돌판의 경우 포집 최속 유속인 15m/s이상에서 모든 박테리아가 세포벽손상으로 죽는것이 확인되었다. 일반적인 충돌판에서는 그람 음성균 E.coli의 경우 45m/s, 그람 양성균 S.aureus의 경우 110m/s의 충돌 유속에서 손상되었지만, 나노스파이크 충돌판은 15m/s이상이면 모든 박테리아의 세포벽이 손상되었다.
도 5를 보면, 나노스파이크 충돌판에 충돌한 박테리아(S.aureus)는 모두 손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의한 매미날개구조 생체모방 나노스파이크 충돌판이 적용된 전기적 임팩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층에 위치하며 입자를 수직방향으로 유입하는 도입부(10)와, 상기 도입부(10)로 유입된 미생물 입자의 충돌에 의한 전류를 측정하는 제 1 센싱부(11)와 상기 도입부를 통해 유입된 미생물 입자의 충돌에 의한 전류를 측정하는 제 2 센싱부(1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센싱부(11)는 센싱부 표면에 일반 충돌판(13)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센싱부(12)는 센싱부 표면이 나노스파이크 충돌판(14)이 포함되어있고, 제 1 센싱부(11)와 제 2 센싱부(12)의 전기석 신호를 입력받는 측정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입부(10)를 통해 들어오는 입자는 두 갈래로 나뉘어 이동하여 일반 충돌판(13)과 나노스파이크 충돌판(14)에 충돌한다. 이때 나노스파이크 충돌판(14) 표면에서, 박테리아가 세포용해(cell lysis)되어 흘러나온 박테리아 내부의 물질로 인해 제 2 센싱부(12)는, 상대적으로 세포용해가 적은 제 1 센싱부(11)보다 전류값이 높게 측정이 된다. 이러한 세포용해로 인한 전류값의 차이로 공기중 바이오에어로졸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10: 도입부
11: 제 1 센싱부
12: 제 2 센싱부
13: 일반 충돌판
14: 나노스파이크 충돌판
15: 측정부

Claims (4)

  1. 최상층에 위치하며 미생물 입자를 유입하는 도입부와;
    상기 도입부를 통해 유입된 미생물 입자의 충돌에 의한 전류를 측정하는 제 1 센싱부;와
    상기 도입부를 통해 유입된 미생물 입자의 충돌에 의한 전류를 측정하는 제 2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센싱부;는 센싱부 표면에 일반 충돌판;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센싱부;는 센싱부 표면이 나노스파이크 충돌판;이 포함되어있고,
    제 1 센싱부;와 제 2 센싱부;의 전기석 신호를 입력받는 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임팩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박테리아 또는 곰팡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임팩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스파이크 충돌판은,
    다음과 같은 나노스파이크가 충돌판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기적 임팩터;
    폭이 100 내지 200nm이고,
    높이가 300 내지 400nm이며,
    나노스파이크 사이의 거리가 100 내지 200nm.
  4. 최상층의 도입부로 미생물이 도입되는 단계;
    도입된 미생물이 충돌판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제 1 센싱부;와 제 2 센싱부;의 전기적 신호의 차이로 미생물의 농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에어로졸 농도 측정 방법.
KR1020200124431A 2020-09-25 2020-09-25 매미날개구조 생체모방 나노스파이크 충돌판이 적용된 전기적 임팩터 KR102522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431A KR102522280B1 (ko) 2020-09-25 2020-09-25 매미날개구조 생체모방 나노스파이크 충돌판이 적용된 전기적 임팩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431A KR102522280B1 (ko) 2020-09-25 2020-09-25 매미날개구조 생체모방 나노스파이크 충돌판이 적용된 전기적 임팩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971A true KR20220041971A (ko) 2022-04-04
KR102522280B1 KR102522280B1 (ko) 2023-04-18

Family

ID=81182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431A KR102522280B1 (ko) 2020-09-25 2020-09-25 매미날개구조 생체모방 나노스파이크 충돌판이 적용된 전기적 임팩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28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481A (ko) * 2003-12-16 2005-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유 분진 및 일반 먼지 센서
KR20080077761A (ko) * 2007-02-21 2008-08-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멤스기반 초소형 전기적 임팩터
KR101528773B1 (ko) * 2014-05-16 2015-06-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중의 바이오 입자 및 넌바이오 입자 실시간 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KR101551289B1 (ko) * 2014-05-22 2015-09-0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미세 입자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 입자 측정 방법
KR101754794B1 (ko) * 2015-12-30 2017-07-06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에어로졸 포집장치
KR20190087872A (ko) * 2018-01-17 2019-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유미생물 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시스템
JP6776240B2 (ja) * 2014-12-16 2020-10-28 テクニッシュ ウニバルシテイト アイントホーフェン テザー粒子に基づくバイオセンサ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481A (ko) * 2003-12-16 2005-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유 분진 및 일반 먼지 센서
KR20080077761A (ko) * 2007-02-21 2008-08-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멤스기반 초소형 전기적 임팩터
KR101528773B1 (ko) * 2014-05-16 2015-06-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중의 바이오 입자 및 넌바이오 입자 실시간 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KR101551289B1 (ko) * 2014-05-22 2015-09-0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미세 입자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 입자 측정 방법
JP6776240B2 (ja) * 2014-12-16 2020-10-28 テクニッシュ ウニバルシテイト アイントホーフェン テザー粒子に基づくバイオセンサ
KR101754794B1 (ko) * 2015-12-30 2017-07-06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에어로졸 포집장치
KR20190087872A (ko) * 2018-01-17 2019-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유미생물 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280B1 (ko) 202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yrgiotakis et al. A chemical free, nanotechnology-based method for airborne bacterial inactivation using engineered water nanostructures
Ghosh et al. Review of bioaerosols in indoor environment with special reference to sampling, analysis and control mechanisms
JP7403881B2 (ja) エアロゾル粒子を迅速かつ自律的に検出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ettleson et al. Airborne virus capture and inactivation by an electrostatic particle collector
JP6113908B2 (ja) 分子検出装置および方法
JP6810191B2 (ja) 音響コータを用いたエアロゾル粒子のコーティング
Su et al. Sensors and analytical technologies for air quality: particulate matters and bioaerosols
Sisler et al. Differential pulmonary effects of CoO and La 2 O 3 metal oxide nanoparticle responses during aerosolized inhalation in mice
KR102522280B1 (ko) 매미날개구조 생체모방 나노스파이크 충돌판이 적용된 전기적 임팩터
Li et al. A robot assisted high-flow portable cyclone sampler for bacterial and SARS-CoV-2 aerosols
Shen et al. Electrospun nanofibrous membranes for controlling airborne viruses: present status, standardization of aerosol filtration tests, and future development
Grinshpun et al. Indoor air pollution control through ionization
TW202142864A (zh) 生物氣溶膠檢測裝置
Dekkers et al. Role of chemical composition and redox modification of poorly soluble nanomaterials on their ability to enhance allergic airway sensitisation in mice
Liu et al. The impact of high background particle concentration on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Serratia marcescens bioaerosol
JP2013190381A (ja) 除菌性能予測システム及び除菌性能予測プログラム
Xie et al. A novel method for measuring the charge distribution of airborne microbes
EP4189365A1 (de) Verfahren und sensor zur detektion von aerosolpartikeln in einer umgebungsluft
Brosseau et al. System design and test method for measuring respirator filter efficiency using mycobacterium aerosols
Bhattacharyya et al. Hospital indoor air microbial quality: importance and monitoring
Evstrapov et al. Using focused ion beam for nanosized structure formation in microfluidic chips
US20220080450A1 (en) Nondessicating target capture device
KR20240009268A (ko) 합금 복합나노구조체 기반 표면증강라만산란 호흡기비말 마스크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Abd Ali Filtration performances of antimicrobial and regular HVAC filters regarding PM10 and microbial aerosols in laboratory and realistic conditions
Hampton-Marcell et al. A new approach of microbiome monitoring in the built environment: feasibility analysis of condensation cap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