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865A - 단단한 편향 소자를 구비한 클로저를 가진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단단한 편향 소자를 구비한 클로저를 가진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1865A
KR20220041865A KR1020227006191A KR20227006191A KR20220041865A KR 20220041865 A KR20220041865 A KR 20220041865A KR 1020227006191 A KR1020227006191 A KR 1020227006191A KR 20227006191 A KR20227006191 A KR 20227006191A KR 20220041865 A KR20220041865 A KR 20220041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ure
elastic element
generating device
aerosol
open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6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른스트 후프케스
Original Assignee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220041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8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는 본체(102), 클로저(107), 탄성 소자(114) 및 단단한 소자(116)를 갖는다. 본체(102)는 에어로졸 기재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 내에 수용 가능하게 하는 구멍(104)을 갖는다. 클로저(107)는 클로저(107)가 구멍(104)을 덮는 폐쇄된 위치와 구멍(104)이 클로저(107)에 의해 실질적으로 차단되지 않은 개방된 위치 간에 구멍(104)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단단한 소자(116)는 클로저(107)가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간에 이동할 때 단단한 소자(116)가 본체(102)에 대해 회전하도록 클로저(107)와 협력하기 위해 배열된 제1 단부(118) 및 본체(102)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단부(120)를 갖는다. 탄성 소자(114)는 단단한 소자(116)에 장착되고 클로저(107)를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하여 편향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Description

단단한 편향 소자를 구비한 클로저를 가진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본 개시내용은 단단한 편향 소자를 구비한 클로저를 가진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클로저는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특히, 전적으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독립적일 수 있고 저온일 수 있는 휴대용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담배 또는 다른 적합한 물질을 연소시키기보다는 전도, 대류 및/또는 복사에 의해 가열하여, 흡입용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종래의 담배 제품, 예컨대, 시가렛, 시가, 시가릴로 및 말음 담배의 금연을 희망하는 습관성 흡연자를 돕기 위한 보조 기구로서, 감소된 위험 또는 변형된 위험의 디바이스(또한 기화기로서 알려짐)의 유행 및 사용이 지난 몇 년 동안 빠르게 성장해 왔다. 종래의 담배 제품과 같이 담배를 연소시키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에어로졸 기재를 가열하거나 또는 교반하여 흡입용 에어로졸 및/또는 증기를 생성하는 다양한 디바이스 및 시스템이 이용 가능하다.
감소된 위험 또는 변형된 위험의 디바이스의 하나의 유형은 가열 기재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또는 태우지 않고 가열하는 디바이스이다. 이 유형의 디바이스는 고체 에어로졸 기재, 일반적으로 촉촉한 잎 담배를 일반적으로 150℃ 내지 300℃ 범위 내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 및/또는 증기를 생성한다. 에어로졸 기재를 가열하지만, 에어로졸 기재를 연소하거나 또는 태우지 않으면 사용자가 찾는 성분을 포함하지만 연소하고 태울 때 발생하는 독성 및 발암성 부산물을 포함하지 않는 에어로졸 및/또는 증기를 방출한다. 게다가, 에어로졸 기재, 예를 들어, 담배를 가열함으로써 생성된 에어로졸 및 증기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태우는 것 및 연소로부터 발생되는 탄 맛 또는 쓴 맛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것은 에어로졸 기재가 연기 및/또는 증기를 사용자의 구미에 맞게 만들기 위해 종래의 담배 제품의 담배에 일반적으로 첨가되는 설탕 또는 다른 첨가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의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는 사용이 불편할 수 있고 필요한 컴포넌트가 사용자-친화적이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을 위해서 에어로졸 기재가 제공되는 디바이스의 구역을 보호할 수 있는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고; 이러한 덮개는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서 빈번히 움직여지므로 사용자-친화적이지 않은 덮개는 바람직하지 않다.
제EP 3003073 B1호는 세장형 전자 니코틴 전달 시스템 또는 다른 향 첨가 증기 전달 시스템을 위한 컨테이너를 설명한다. 컨테이너는 폐쇄된 위치에서 삽입부 내의 제1 개구부 및 보조 개구부를 덮도록 본체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는 뚜껑을 갖는다.
제CN 206687163 U호는 케이싱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덮개 본체를 포함하는, 저온 흡연 물품을 설명한다. 전력 공급 회로를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실행시키기 위한 트리거 스위치가 제공된다.
종래 기술의 공보 둘 다에서, 뚜껑은 단순하고, 뚜껑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메커니즘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개시내용의 양상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제시된다.
본 개시내용의 제1 양상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기재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내에 수용 가능하게 하는 구멍을 가진 본체;
클로저가 구멍을 덮는 폐쇄된 위치와 구멍이 클로저에 의해 실질적으로 차단되지 않은 개방된 위치 간에 구멍에 대해 이동 가능한 클로저;
클로저가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간에 이동할 때 단단한 소자가 본체에 대해 회전하도록 클로저와 협력하기 위해 배열된 제1 단부 및 본체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단부를 가진 단단한 소자; 및
단단한 소자에 장착된 탄성 소자로서, 클로저를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하여 편향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배열되는, 탄성 소자를 포함한다.
탄성 소자를 장착하기 위한 단단한 소자의 사용은 탄성 소자에 지지를 제공하고 클로저의 견고성을 증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클로저가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간에 이동할 때 탄성 소자는 제1 방향으로 클로저와 함께 변위되도록 배열되고, 클로저가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간에 이동할 때 탄성 소자의 적어도 제1 단부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열되고, 제2 방향은 제1 방향을 가로지른다.
바람직하게는, 제2 방향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단단한 소자의 길이와 평행하다.
바람직하게는, 제2 방향은 클로저로부터 본체를 향하여 연장된다.
임의로, 클로저가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간에 이동할 때 단단한 소자는 단단한 소자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열된 트래블러(traveller)를 갖고, 트래블러는 탄성 소자와 협력하여 탄성 소자와 클로저 간에 탄성력을 이동시킨다.
임의로, 탄성 소자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변형되고, 변형 방향은 단단한 소자에 의해 가이드된다.
임의로, 변형 방향은 단단한 소자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단단한 소자의 길이와 평행하다.
임의로, 탄성 소자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이다.
임의로, 단단한 소자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이 위치되는 샤프트를 포함한다.
임의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클로저가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간에 이동할 때 캐리지는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열되고, 캐리지는 클로저와 상호작용하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는 호 형상 또는 선형 가이딩 경로를 제공한다.
임의로, 탄성 소자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캐리지를 가이드의 측면을 향하여 편향시키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소자는 캐리지를 본체로부터 멀어져서 가이드의 측면을 향하여 편향시키도록 배열된다.
임의로, 클로저는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의 각각에서 안정적이다.
임의로, 탄성 소자는 클로저를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사이의 제1 위치 범위로부터 폐쇄된 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키고 클로저를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사이의 제2 위치 범위로부터 개방된 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키도록 배열되고, 클로저의 제1 위치 범위는 제2 위치 범위보다 폐쇄된 위치에 더 가깝고 클로저의 제2 위치 범위는 제1 위치 범위보다 개방된 위치에 더 가깝다.
임의로, 클로저는 개방된 위치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가 활성화 신호를 개시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활성화 위치로 더 이동 가능하다.
임의로, 탄성 소자는 또한 클로저를 활성화 위치로부터 멀리 편향시키기 위해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임의로, 탄성 소자는, 구멍에 의해 획정된 평면 외부의 방향; 구멍의 축과 정렬된 방향; 및/또는 클로저가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간에 이동될 때 에어로졸 기재가 수용 가능한 방향과 정렬된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서 변형되도록 배열된다.
위의 양상의 각각은 위의 다른 양상에 대해 언급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고/되거나 예시된 임의의 신규한 양상 또는 특징까지 확장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특징은 다른 독립 청구항 및 종속 청구항에 의해서 특성화된다.
단어 "장치", "디바이스 ", "프로세서", "모듈" 등의 사용은 특정한 것보다는 일반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본 개시내용의 이 특징이 개별적인 컴포넌트, 예컨대, 컴퓨터 또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지만, 이들은 다른 적합한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의 조합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잘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은 하드웨어에 내장된 회로 또는 회로들, 예를 들어, 집적 회로를 사용하여 그리고 내장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은 이 문서에서 사용될 때 "~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진"을 의미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래서, 용어 "포함하는"을 포함하는 이 문서의 명세서를 해석할 때, 이것과 다른 특징부 또는 용어로 시작하는 특징부가 또한 존재할 수 있다. 관련된 용어, 예컨대, "포함하다(comprise)" 및 "포함한다(comprises)"가 동일한 방식으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명사 뒤의 "(들)"은 명사의 복수 및/또는 단수 형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에어로졸"은 미스트, 안개 또는 연기와 같은, 공기 또는 기체에서 분산된 입자 시스템을 의미할 것이다. 따라서, 용어 "에어로졸화하다(aerosolise)"(또는 "에어로졸화하다(aerosolize)")는 에어로졸로 만들고/만들거나 에어로졸로 분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에어로졸/에어로졸화의 의미가 위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휘발화, 원자화 및 기화의 각각과 일치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의심의 여지를 없애기 위해, 에어로졸은 원자화된, 휘발된 또는 기화된 입자를 포함하는 미스트 또는 액적을 일관되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에어로졸은 또한 원자화된, 휘발된 또는 기화된 입자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미스트 또는 액적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오직 실시예로서 설명된다.
도 1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제1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a)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제1 실시형태의 클로저의 분해도이다.
도 2(b)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제1 실시형태의 클로저의 조립도이다.
도 3(a)는 폐쇄된 위치의 클로저의 제1 실시형태의 측면으로부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b)는 중간 위치의 클로저의 제1 실시형태의 측면으로부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c)는 개방된 위치의 클로저의 제1 실시형태의 측면으로부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활성화 위치의 클로저의 제2 실시형태의 측면으로부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의 제1 실시형태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컴포넌트를 수용하는 본체(102)를 포함한다. 본체(102)는 설명된 컴포넌트를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 내에 피팅하기 위해 크기 설정되는 한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본체(102)는 임의의 적합한 물질 또는 실제로 물질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상단부를 향하여 도시된, 클로저 장치(106) 근방의 단부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제1 단부는 편의상,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상단부 또는 상부 단부로서 설명된다. 도 1의 하단부를 향하여 도시된, 클로저 장치(106)로부터 먼 단부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제2 단부는 편의상,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하단부, 기저부 또는 하부 단부로서 설명된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상단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하단부까지의 이동은 편의상, 하향으로서 설명되는 한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하단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상단부까지의 이동은, 편의상 상향으로서 설명된다. 사용 동안,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제1 단부를 하향으로 그리고/또는 사용자의 입에 대해 원위 위치로 그리고 제2 단부를 상향으로 그리고/또는 사용자의 입에 대해 근위 위치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를 지향하게 한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제1 단부를 향하여 위치된 가열 챔버(108)를 포함한다. 가열 챔버(108)의 하나의 단부에서, 본체(102)를 통한 구멍(104)이 제공되고; 구멍(104)이 본체(102)의 외부로부터 가열 챔버(108)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여, 에어로졸 기재(미도시)가 구멍(104)을 통해서 가열 챔버(108)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챔버(108)가 본체(102)에 가장 가까운 구멍(104)에서, 가열 챔버(108)를 제자리에 장착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이격 소자, 예컨대, 와셔가 제공된다. 이격 소자는 가열 챔버(108)로부터 본체로의 열 전도를 감소시킨다. 일반적으로 가열 챔버(108)를 다른 방식으로 둘러싸는 공기 갭이 있어서, 이격 소자를 통하기보다는 가열 챔버(108)로부터 본체(102)로의 열 전달이 또한 감소된다.
가열 챔버(108)의 단열을 더 증가시키기 위해서, 가열 챔버(108)는 또한 절연체(미도시)에 의해서 둘러싸인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연체는 섬유질 또는 발포체 물질, 예컨대, 울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연체는 공동부를 사이에 포함하는 중첩된 관 또는 컵의 쌍을 포함한다. 공동부는 단열 물질, 예를 들어 섬유, 발포체, 겔 또는 (예를 들어, 저압의) 기체로 충전될 수 있고/있거나 공동부는 진공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진공은 높은 단열을 달성하기 위해 매우 작은 두께를 필요로 한다.
구멍(104)은 일반적으로 축(A-A) 중심에 놓인 원형 구멍이다. 임의의 형상의 구멍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정사각형 또는 삼각형 구멍이 사용될 수 있고, 축(A-A)이 구멍(104)의 중심을 통과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축(A-A)은 구멍(104)에 의해 형성된 평면-예를 들어, 구멍(104)이 놓이는 평면-에 대해 수직인 축으로 간주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구멍(104)을 향하여 볼 때 보이는 바와 같이, 2D 형상, 일반적으로 원이 구멍(104)의 주변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2D 형상은 구멍(104)에 의해 획정된 평면인 평면에 놓인다.
가열 챔버(108)는 일반적으로 딥 드로잉(deep drawing)에 의해 형성된다. 이것은 가열 챔버(108)를 형성하는 효과적인 방법이고 얇은 측벽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딥 드로잉 공정은 성형 다이 내로 밀어 넣기 위해서 펀치 툴로 시트 금속 블랭크를 가압하는 것을 수반한다. 일련의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펀치 툴 및 다이를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단부에서 기저부를 갖고 관을 가로지르는 거리보다 더 깊은 관(이는, "딥 드로잉"이라는 용어의 유래가 되는,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긴 관임)을 갖는 관형 구조체가 형성된다. 유사하게, 이 방식으로 형성된 기저부는 초기 시트 금속 블랭크와 동일한 두께이다. 원래의 시트 금속 블랭크의 테두리를 관형 벽의 대향 단부에서 외향으로 기저부까지 연장하게 함으로써(즉, 관 및 기저부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것보다 많은 블랭크 내의 물질로 시작함), 플랜지가 관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플랜지는 절단, 굽힘, 롤링, 스웨이징 등 중 하나 이상을 수반하는 별개의 단계에서 나중에 형성될 수 있다. 딥 드로잉에 의해 형성된 가열 챔버(108)는 딥 드로잉 공정 동안 형성되는 구멍(104)을 발생시킨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클로저 장치(106)가 구멍(104)을 차단하여 물질이 가열 챔버(108)에 진입할 수 없는 폐쇄된 위치와, 구멍(104)이 덮이지 않아서 가열 챔버(108)에 접근하게 하는 개방된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열된 클로저 장치(106)를 포함한다. 클로저 장치(106)는 일반적으로 클로저(107)를 포함하고, 클로저(107)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본체(102)의 외부에 제공되어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이용 가능하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는 클로저 장치(106)가 이동할 때 변형되도록 배열된 탄성 소자(114)를 포함하고; 가이드(122)를 포함하며 클로저 장치(106)의 캐리지(124)가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기 위해 배열된다.
클로저(107)는 일반적으로 본체(102)에 대해 활주함으로써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열되고; 클로저(107)가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간에 활주할 때, 클로저 장치(106)의 캐리지(124)는 가이드(122)를 따라 이동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클로저(107)는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간에 회전하록 배열되고; 이 실시형태에서, 회전은 임의의 평면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회전은 구멍(104)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구멍(104)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횡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탄성 소자(114)는 스프링, 예컨대, 나선형 스프링(또는 코일) 스프링 또는 비틀림 스프링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탄성 소자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이다. 스프링이 이완 위치로부터 멀리 변형될 때, 스프링은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 및 탄성 소자(114)의 제2 단부에 의해 획정된 축을 따라 압축력 또는 확장력(extensive force)을 인가한다. 스프링에 의해 인가되는 힘은 변형에 따라 달라지고, 이완 위치로부터의 변형의 크기가 증가됨에 따라 인가되는 힘의 크기가 증가된다.
탄성 소자(114)가 단단한 소자(116)에 장착되고; 단단한 소자(116)가 제1 단부(118)에서(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캐리지(124)에 부착되고 제2 단부(120)에서(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본체(102)에 부착되고; 따라서, 캐리지(124)가 가이드(122)를 따라 이동할 때, 단단한 소자(116)가 제2 단부(120)를 중심으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 내에서 회전하고 탄성 소자(114)가 또한 회전한다.
일반적으로, 탄성 소자(114)가 단단한 소자(116) 주위에 장착되어, 탄성 소자(114)가 나선형 스프링인 경우에, 나선형 스프링의 나선형(또는 중심) 축이 단단한 소자(116)의 길이방향 축과 정렬된다.
탄성 소자(114)의 제2 단부가 단단한 소자(116)에 장착되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에 대해 제자리에 유지된다.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가 트래블러(도 1에 미도시)에 장착되고, 트래블러는 캐리지(124)와 상호작용하도록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트래블러는 단단한 소자(116)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열된다. 탄성 소자(114)는 트래블러가 단단한 소자(116)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트래블러와 상호작용하도록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트래블러는 트래블러가 단단한 소자(116)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탄성 소자(114)를 압축시키도록 배열된다.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는 클로저(107)가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간에 이동함에 따라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이동하기 위해 캐리지(124)와 상호작용하도록 배열된다. 가이드(122)는 일반적으로 캐리지(124)가 가이드(122)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와 제2 단부 간의 거리가 변화되고 그래서 탄성 소자(114)가 변형되어 탄성 소자(114)가 제1 단부(112)에 힘을 인가하는 것을 발생시키도록 배열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것은 클로저(107)가 폐쇄된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함에 따라 탄성 소자(114)가 압축되어 탄성 소자(114)가 폐쇄된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클로저(107)의 변위에 저항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것은 클로저(107)가 개방된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함에 따라 탄성 소자(114)가 압축되어 탄성 소자(114)가 개방된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클로저(107)의 변위에 저항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탄성 소자(114)는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가 둘 다 "안정적인" 위치이도록 배열되고; 예를 들어, 클로저(107)가 개방된 위치 또는 폐쇄된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있을 때 클로저(107)에 작용하는 제로 네트 힘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의 각각에서, 탄성 소자(114)가 실질적으로 이완 위치에 있어서 탄성 소자(114)가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 또는 제2 단부에 단지 무시해도 될 정도의 힘을 인가하거나 또는 힘을 인가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탄성 소자(114)는 클로저가 폐쇄된 위치 또는 개방된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있을 때 변형된 위치에 있도록 배열되고; 여기서 탄성 소자(114)는 클로저가 폐쇄된 위치 또는 개방된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있을 때 힘을 인가하고; 탄성 소자(114)에 의해 인가되는 힘은 가이드(122)의 벽에 의해 인가되는 힘과 균형을 이룬다. 즉,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는 안정적인 평형 위치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문턱값 힘은 클로저(107)를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중 하나로부터 변위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문턱값 힘이 우발적인 접촉(예를 들어, 사용자의 주머니 내에서의 이동)으로 인해서 클로저(107)가 어느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하도록, 하지만 위치들 간의 이동을 어렵게 할 정도로 너무 크지는 않도록, 탄성 소자(114)가 일반적으로 배열된다. 클로저를 안정적인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문턱값 힘의 일반적인 값은 0.1N 내지 10N의 범위 내, 예를 들어, 3N이다.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가 안정적인 위치가 아닌 가이드(122) 상의 위치에 있을 때,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와 클로저(107)가 안정적인 위치를 향하여 편향되도록 제1 단부(112)에 배치된 네트 힘이 있다. 제1 단부(112)가 편향되는 방향은 제1 단부(112) 및 제2 단부의 상대 위치에 의존적이어서 제1 단부(112)가 제2 단부의 "좌측"에 있을 때, 탄성 소자(114)는 제1 단부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작용하는 힘을 인가하고; 제1 단부(112)가 제2 단부의 "우측"에 있을 때, 탄성 소자(114)는 제1 단부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작용하는 힘을 인가한다. 탄성 소자(114)는 클로저(107)가 폐쇄된 위치로부터 개방된 위치로 이동될 때, 제1 단부(112)가 제2 단부에 대해 이동하고 탄성 소자(114)에 의해 인가되는 힘의 방향이 변화되도록 배열된다.
클로저(107)가 쌍안정적인 실시형태에서, 탄성 소자(114)는 탄성 소자(114)에 의해 인가되는 힘이 작용하여 클로저(107)를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사이의 제1 위치 범위로부터 폐쇄된 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키고 클로저(107)를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사이의 제2 위치 범위로부터 개방된 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키도록 배열된다. 제1 위치 범위는 폐쇄된 위치에 대한 제2 위치 범위보다 폐쇄된 위치에 더 가깝다. 유사하게, 제2 위치 범위는 개방된 위치에 대한 제1 위치 범위보다 개방된 위치에 더 가깝다.
일반적으로, 탄성 소자(114)는 제1 위치 범위가 제2 위치 범위에 실질적으로 인접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간의 클로저(107)의 모든 위치(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위치)에서, 클로저(107)는 폐쇄된 위치 또는 개방된 위치를 향하여 편향된다. 더 구체적으로, 탄성 소자(114)가 클로저 장치(106)를 통해 클로저(107)에 네트 힘을 인가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1 위치 범위와 제2 위치 범위 사이의 불안정한 평형으로 위치되는 부분(예를 들어,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의 부분)의 위치(또는 구역)가 있을 수 있다. 이것은 보통 탄성 소자(114)가 클로저(107)를 개방된 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키는 것과 클로저(107)를 폐쇄된 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키는 것 간에 변화되는 이동 부분에서 발생한다. 불안정한 평형의 구역은 임의의 방향에서 작은 변위가 클로저(107)를 불안정한 평형 구역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곳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불안정한 평형 구역이 가능한 한 작도록 탄성 소자(114)가 배열된다.
클로저(107)가 단지 "한 부분만 안정적인", 즉,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중 단 하나에서 안정적인 실시형태에서, 탄성 소자(114)는 탄성 소자(114)에 의해 인가되는 힘이 클로저(107)의 모든 위치에 대해 단 하나의 안정적인 위치를 향하여 클로저(107)를 편향시키도록 작용하도록 배열된다.
탄성 소자(114)는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간의 클로저(107)의 실질적으로 각각의 위치에서, 탄성 소자(114)의 변형 성분, 및 탄성 소자(114)에 의해 인가되는 힘 성분이 클로저(107)의 이동 방향에 있도록 배열된다. 탄성 소자(114)는 클로저(107)가 안정적인 위치에 있을 때, 이 힘 성분이 안정적인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이동에 저항하도록 배열된다. 탄성 소자(114)는 탄성 소자(114)의 변형 성분, 및 탄성 소자(114)에 의해 인가되는 힘 성분이 클로저(107)의 이동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더 배열되고; 이 힘 성분은 가이드(122)의 측면에 대해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를 밀도록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탄성 소자(114)의 변형 성분, 및 탄성 소자(114)에 의해 인가되는 힘 성분은 클로저(107)에 대해 본체(102)를 향하여 그리고/또는 그로부터 멀어지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를 향하는 방향에 있다. 이 힘은 클로저(107)가 폐쇄된 위치로부터 개방된 위치로 이동될 때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를 가이드(122)의 측면, 일반적으로 상단 측면에 대해 가압되게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즐거운 클로저(107)의 매끄러운 활주 이동을 발생시킨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가 임의의 방향에서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위" 또는 "아래"로서 설명되는 변형 및/또는 힘 성분은 구멍(104)의 축을 따른, 구멍(104)에 의해 획정된 평면에 대해 수직이거나 또는 가로지르는, 클로저(107)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이거나 또는 가로지르는, 클로저(107)에 대해 본체(102)를 향하여/그로부터 멀리, 그리고/또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주축을 따른, 구멍(104)을 통한 물질의 수용 방향에 있는 변형 및/또는 힘 성분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제1 위치 범위 및 제2 위치 범위는 일반적으로 유사한 크기이고,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1 위치 범위는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가 제1 위치와 가이드(122)의 중심 지점 사이에 있는 위치이고 제2 위치 범위는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가 가이드(122)의 중심 지점과 제2 위치 사이에 있는 위치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1 위치 범위와 제2 위치 범위는 상이한 크기이고, 예를 들어, 탄성 소자(114)는 탄성 소자(114)의 제2 단부가 가이드(122)의 하나의 단부에 더 가깝도록, 예를 들어, 제2 위치보다 제1 위치에 더 가깝도록(예를 들어, 가이드(122)의 제1 단부의 거의 "아래에" 그리고 약간 "우측")에 배열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제2 위치 범위는 제1 위치 범위보다 더 크고, 탄성 소자(114)가 클로저(107)를 개방된 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키는 작용을 하기 전에, 폐쇄된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작은 이동만이 요구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1 단부(112)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와 비교하여 제1 단부(112)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편향력이 상이하도록, 탄성 소자(114)가 배열된다. 따라서, 클로저(107)를 폐쇄된 위치로부터 멀리 개방된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힘은 클로저(107)를 개방된 위치로부터 멀리 폐쇄된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힘과 상이하다. 이것은 예를 들어, 탄성 소자의 제2 단부를 가이드(122)의 하나의 단부보다 가이드(122)의 다른 하나의 단부에 더 가까이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이드(122)는 선형이다. 일반적으로, 제1 단부(112)가 안정적인 위치로부터 멀리 그리고/또는 제1 위치 범위를 통해 이동할 때 탄성 소자(114)가 점점 더 압축되도록 배열되고, 그래서, 선형 가이드의 경우에, 제1 단부(112)가 제1 위치 범위를 통해 이동할 때 탄성 소자에 의해 인가되는 힘의 크기가 증가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 가이드(122)가 호 형상이어서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가 가이드(122)를 따라 제1 위치 범위를 통해 이동할 때, 탄성 소자(114)의 변형의 증가 속도가 감소된다(그리고 따라서 인가되는 힘의 크기의 증가 속도가 감소된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의 이러한 호 형상의 가이드는 클로저(107)의 제1 위치 범위를 통한 폐쇄된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이동 동안 약간 증가되는(하지만, 선형 가이드보다 작은) 인가되는 힘을 발생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이드(122)는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가 제1 위치 범위 및/또는 제2 위치 범위를 통해 이동할 때, 일정한 크기의 힘이 탄성 소자의 제1 단부에 가해지도록 배열된 호이다. 더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이드(122)는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와 제2 단부(118) 사이의 거리가 가이드를 따른 제1 단부(112)의 이동 전반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배열되고; 이 실시형태에서,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가 이동할 때 탄성 소자(114)의 변형이 여전히 변화되는데, 이는 탄성 소자(114)의 변형 방향이 변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에 인가되는 힘의 방향이 변화된다(그리고 편향 방향이 변화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이드(122)는 탄성 소자의 제1 단부(112)가 안정적인 위치로부터 멀리 그리고/또는 제1 위치 범위를 통해 그리고/또는 제2 위치 범위를 통해 이동할 때 감소된 힘이 탄성 소자의 제1 단부에 가해지도록 배열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클로저(107)가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탄성 소자(114)가 압축되고 제1 단부(112)가 제1 위치 범위를 통해 이동될 때 탄성 소자(114)의 압축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탄성 소자(114) 및 가이드(122)를 배열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가 가이드(122)를 따라 이동할 때, 탄성 소자(114)에 의해 인가되는 힘의 방향이 변화되고; 평형 지점에서, 폐쇄된 위치의 방향으로 또는 개방된 위치의 방향으로 힘의 성분이 존재하지 않고, 예를 들어 힘은 "좌측" 또는 "우측"에 대한 성분이 없는 "상향" 방향에 있다. 평형 지점 전에(평형 지점의 폐쇄된 측면에 대해), 탄성 소자(114)에 의해 인가되는 편향력은 클로저(107)를 폐쇄된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평형 지점 후에(평형 지점의 개방된 측면에 대해), 탄성 소자(114)에 의해 인가되는 편향력은 클로저를 개방된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평형 지점이 가이드(122) 상의 단일 지점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며; 실제로, 제1 단부를 평형 지점에 배치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고, 그래서 제1 위치 범위와 제2 위치 범위는 실질적으로 인접한다. 게다가, 실제로 클로저(107)가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간에 이동될 때 클로저의 관성은 탄성 소자의 제1 단부(112)를 평형 위치를 넘어서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일반적으로 클로저(107)가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간에 안정적으로 놓일 가능성이 적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형태와 같이, 클로저(107)는 개방된 위치로부터 활성화 위치로 더 이동 가능하도록 배열된다. 활성화 위치를 갖는 것 외에, 제2 실시형태의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는 제1 실시형태의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와 유사하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개방된 위치로부터 활성화 위치로의 이동은, 폐쇄된 위치로부터 개방된 위치로 이동 방향으로의 이동, 폐쇄된 위치로부터 개방된 위치로 이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이동 및/또는 클로저(107)에 대해 본체(102)를 향하는 이동을 포함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는 활성화 위치를 갖지 않고; 일반적으로, 이 실시형태에서, 클로저(107)는 오직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열된다.
제2 실시형태에서, 탄성 소자(114)는 클로저(107)가 개방된 위치로부터 활성화 위치로 이동될 때 변형되도록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탄성 소자(114)는 클로저(107)가 활성화 위치로부터 멀어져서 개방된 위치를 향하여 편향되도록 배열된다.
탄성 소자(114)는 클로저(107)가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간에 이동될 때 그리고/또는 클로저(107)가 개방된 위치와 활성화 위치 간에 이동될 때 변형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탄성 소자(114)는 개방된 위치로부터 활성화 위치로의 이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된 위치로부터 개방된 위치로의 이동과 상이한 방향에서 발생하도록 배열된다. 이 방식으로, 제1 단부(112)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힘은 제1 단부를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힘과 상이할 수 있고, 제3 위치는 클로저(107)가 활성화 위치에 있을 때 제1 단부(112)의 위치이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이동이 스프링의 변형 방향을 주로 가로지르고, 예를 들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루어지는 것 및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의 이동이 스프링의 변형 방향에서 실질적인 성분을 갖고, 예를 들어,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이동은 힘, 예를 들어, 탄성 소자(114)에 의해 인가되는 힘의 비교적 작은 성분에 대해 작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힘을 필요로 하고, 힘의 대다수는 가이드(122)의 측면에 의해 저지되고 반면에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의 이동은 일반적으로 탄성 소자(114)에 의해 인가되는 힘의 비교적 더 큰 성분에 대해 작용하는 힘을 필요로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탄성 소자(114)는 주로 회전하고, 제1 단부(112)가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이동될 때, 탄성 소자(114)는 주로 압축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2 탄성 소자(미도시)는 클로저를 활성화 위치로부터 개방된 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키도록 배열된다. 제2 탄성 소자는 탄성 소자(114)와는 상이한 강성도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변형력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활성화 위치는 일시적 위치이고, 여기에서 연속적인 힘,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힘이 클로저(107)를 활성화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탄성 소자(114) 또는 제2 탄성 소자의 편향력은 힘이 제거되는 경우에, 클로저(107)를 개방된 위치로 복귀시키는 작용을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활성화 위치는 또한 안정적인 위치이고, 예를 들어, 클로저(107)는 활성화 위치로부터 멀리 편향되지 않는다. 이 실시형태에서, 탄성 소자(114)는 클로저(107)를 개방된 위치와 활성화 위치 사이의 제3 위치 범위로부터 개방된 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키고 클로저(107)를 개방된 위치와 활성화 위치 사이의 제4 위치 범위로부터 활성화 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키는 작용을 한다. 제3 위치 범위는 제4 위치 범위보다 개방된 위치에 더 가깝고 제4 위치 범위는 제3 위치 범위보다 활성화 위치에 더 가깝다. 일반적으로, 제4 위치 범위는 제3 위치 범위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고, 예를 들어,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는 활성화 위치에서 함몰부 내에 피팅되도록 그리고 함몰부 내에 없는 임의의 위치로부터 개방된 위치를 향하여 편향되도록 배열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단부(112)가 활성화 위치 "내로 클릭(click into)"되고 "그 외부로 클릭"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는 가열 챔버(108)를 가열하는 가열기에 전력공급하는 배터리(110)를 더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제1 실시형태의 클로저 장치(106)의 컴포넌트 도면이 도시된다.
덮개 소자(126)는 고정 기구(128), 덮개 구멍(130) 및 채널(132)을 포함한다. 고정 기구(128)는 덮개 소자(126) 그리고 이에 의해 클로저 장치(106)를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본체(102)에 고정시키도록 배열된다. 덮개 구멍(130)은 덮개 소자(126)를 통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구멍(104)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된다. 채널(132)은 클로저 장치(106)의 컴포넌트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외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내부로 지나가게 하도록 배열된다.
덮개 구멍(130) 및 채널(132)은 일반적으로 분리기(134)에 분리되고, 이는 물품이 채널(132)과 덮개 구멍(130)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분리기(134)는 일반적으로 덮개 구멍(130)의 에지의 일부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분리기(134)는 구멍(104)을 형성하는 물질의 내장된 부분이다.
클로저 장치(106)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외부 클로저(107)뿐만 아니라 클로저(107)와 협력하도록 배열된 연결부(136)를 포함한다. 연결부(136)는 덮개 구멍(130)의 채널(132)을 통과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배열된다. 클로저(107)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연결부(136)를 통해 클로저 장치(106)의 내부 부분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클로저(107)는 폐쇄된 위치에서 클로저가 덮개 구멍(130) 및 구멍(104)을 덮어서 가열 챔버(108)로의 물질의 진입을 방지하도록 배열된다.
클로저(107)는 개방된 위치에서 덮개 구멍(130) 및 구멍(104)이 실질적으로 덮이지 않아서 가열 챔버(108)로의 물질의 진입을 허용하도록 배열된다.
연결부(136)는 클로저(107)의 이동이 캐리지(124)의 이동을 유발하도록 캐리지(124)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연결부(136)는 예를 들어, 클립, 나사, 접착제 또는 또 다른 부착 수단을 사용하여 캐리지(124)에 부착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부착 수단은 캐리지(124)의 구멍(140)을 통과하고 연결부(136)에 피팅되는 나사(138)를 포함한다.
가이드(122)는 클로저 장치(106)의 덮개 소자(126)에 고정되는 가이드 컴포넌트(142)에 위치된다. 가이드 컴포넌트(142)는 예를 들어, 스냅 끼워맞춤, 접착제, 나사, 핀을 포함할 수 있는 고정 수단 또는 다른 고정 수단에 의해 본체에 고정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고정 수단은 복수의 나사(144)를 포함한다.
가이드 컴포넌트(142)가 덮개 소자(126)에 고정되도록 배열되어 클로저 장치(106)가 조립될 때 캐리지(124)의 활주 소자(146)가 가이드(122)에 위치된다.
가이드(122)는 일반적으로 가이드 컴포넌트(142)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부분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대한 물질에 의해 둘러싸인 2개의 가이드 부분을 포함한다. 절단부가 일반적으로 2개의 가이드 부분 사이에 있다. 따라서, 캐리지(124)는 가이드 컴포넌트(142) 내에 그리고 2개의 가이드 부분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캐리지(124)의 활주 소자(146)는 가이드 부분에 위치된다.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는 캐리지(124)와 상호작용하도록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는 트래블러(148)를 통해 캐리지(124)에 장착된다. 트래블러(148)가 캐리지(124)에 장착되고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가 트래블러(148)와 상호작용하도록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트래블러(148)는 단단한 소자(116)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열되고; 트래블러(148)가 단단한 소자(116)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때,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가 또한 단단한 소자(116)를 따라 이동하고 그래서 탄성 소자(114)가 변형된다.
트래블러(148)는 일반적으로 단단한 소자(116)의 외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열되는 중공형 막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단한 소자(116)는 중공형 막대이고, 트래블러(148)는 대신에 단단한 소자 내부에서 이동하도록 배열된다. 트래블러(148)는 또한 트래블러가 단단한 소자(116)와 상호작용할 때 압축되거나 또는 확장되도록 변형 가능할 수 있고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트래블러(148)는 트래블러(148)가 단단한 소자(116)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정도를 제한하는 제한 기구(미도시)를 포함하고; 이것은 트래블러(148)가 단단한 소자(116)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있거나 탄성 소자(114)가 변형될 수 있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는 트래블러(148)에 부착되고, 일부 실시형태에서,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는 자유롭고 트래블러(148)에 의해 압축되거나 또는 탄성 소자(114)의 힘에 의해 확장된다.
탄성 소자(114)의 제2 단부는 회전 바(150)에 장착되고; 일부 실시형태에서, 탄성 소자(114)의 제2 단부는 단단한 소자(116)의 제2 단부(120)에 장착되고, 단단한 소자(116)는 회전 바(150)에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탄성 소자(114) 및/또는 단단한 소자(116)의 제2 단부는 고정 수단, 예컨대, 클립 또는 접착제에 의해 회전 바(150)에 제자리에 유지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탄성 소자(114)의 제2 단부는 탄성 소자(114)의 힘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된다. 회전 바(150)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본체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되고; 이 실시형태에서, 회전 바(150)는 가이드 컴포넌트(142)를 통해 본체(102)에 그리고 스냅 끼워맞춤 부착부(152)를 통해 가이드 컴포넌트(142)에 장착된다. 회전 바(150)가 또 다른 고정 수단, 예컨대, 나사, 클립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가이드 컴포넌트(142) 또는 본체(102)에 부착되는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에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회전 바(150)는 일반적으로 캐리지(124)가 가이드(122)를 따라 이동할 때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에 대해 고정된 채로 남아 있도록 배열된다. 그러므로, 탄성 소자(114)는 캐리지(124)가 가이드(122)를 따라 이동할 때 그리고 클로저(107)가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간에 이동할 때 회전한다.
클로저 장치(106)를 조립하기 위해, 가이드 컴포넌트(142)는 부착 수단(144)을 사용하여 덮개 소자(126)에 부착된다. 이어서 캐리지(124)의 활주 소자(146)는 가이드 컴포넌트(142)의 가이드(122)에 배치된다. 탄성 소자(114)는 단단한 소자(116) 주위에 배치되고 탄성 소자의 제2 단부는 회전 바(150)에 장착된다. 이어서 트래블러(148)가 단단한 소자(116)의 단부에 배치되어서 트래블러가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어서 회전 바가 스냅 끼워맞춤 부착부(152)를 통해 가이드 컴포넌트(142)에 부착되고 트래블러(148)가 캐리지(124)에 부착된다. 클로저(107)의 연결부(136)는 덮개 소자(126)의 채널(132)을 통과하고 덮개 소자(126)의 내부 측면에서 캐리지(124)에 부착된다. 최종적으로, 클로저 장치(106)는 클로저 장치(106)의 고정 기구(128)를 본체(102)에 부착시킴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본체(102)에 부착된다. 위의 단계의 순서가 순전히 예시적이고; 이 단계가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조립 후,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클로저(107)를 이동시킴으로써 캐리지(124), 그리고 따라서 탄성 소자(114)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클로저(107)가 폐쇄된 위치, 중간 위치 및 개방된 위치의 각각에 있을 때 클로저 장치(106)의 컴포넌트가 도시된다.
도 3a를 참조하면, 폐쇄된 위치의 클로저(107)가 도시된다. 이 위치에서, 클로저(107)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구멍(104)을 덮는다. 탄성 소자(114)는 클로저(107)가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탄성 소자(114)가 폐쇄된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클로저(107)의 이동에 저항하도록 배열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탄성 소자(114)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고;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가 가이드(122)를 따라 제1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될 때, 트래블러(148)가 단단한 소자(116)를 따라 이동하고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를 탄성 소자(114)의 제2 단부(120)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탄성 소자(114)는 탄성 소자의 제1 단부(112)와 제2 단부를 연결시키는 축을 따라 작용하는 압축력을 인가한다. 압축력의 성분은 클로저(107)를 폐쇄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구체적으로, 캐리지(124)가 가이드(122)를 따라 이동할 때, 캐리지(124)와 탄성 소자(114)의 제2 단부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고; 이것은 트래블러(148)가 단단한 소자(116)를 따라 단단한 소자(116)의 제1 단부(118)로부터 멀어져서 단단한 소자(116)의 제2 단부(120)를 향하여 이동하게 하는 힘을 캐리지(124)가 트래블러(148)에 인가하는 것을 발생시킨다. 이 캐리지(124)는 캐리지가 단단한 소자(116)를 따라 이동할 때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와 상호작용하여 탄성 소자(114)가 압축되게 한다. 탄성 소자(114)의 압축은 트래블러(148)를 통해 캐리지(124)에; 캐리지(124)를 통해 연결부(136)에; 그리고 연결부(136)를 통해 클로저(107)에 작용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게다가, 탄성 소자(114)는 단단한 소자(116)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하여; 캐리지(124)가 가이드(122)를 따라 이동될 때 탄성 소자(114)에 의해 클로저(107)에 인가되는 힘의 방향이 변화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이드(122)는 클로저(107)가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간에 이동할 때 캐리지(124)와 탄성 소자(114)의 제2 단부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지 않도록 배열되고; 클로저(107)에 배치된 힘은 클로저(107)가 단단한 소자(116)의 회전 및 결과적으로 발생된 탄성 소자(114)의 회전에 기인하여 이동할 때 여전히 변화된다. 이 실시형태의 일부에서, 트래블러(148)가 사용되지 않고,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가 캐리지(124)에 직접적으로 부착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클로저(107)가 중간 위치에 있을 때, 탄성 소자(114)는 클로저(107)를 개방된 위치 또는 폐쇄된 위치 중 하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작용을 하는 힘을 인가한다. 힘의 방향은 클로저(107)의 위치에 의존적이다.
클로저(107)가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간에 있을 때,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에 배치된 힘의 방향은 제1 단부(112)의 위치에 의존적이다. 처음에, 클로저(107)가 폐쇄된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될 때, 탄성 소자(114)는 클로저(107)를 폐쇄된 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키는 작용을 한다. 클로저(107)가 폐쇄된 위치로부터 멀어져서 개방된 위치를 향하여 더 이동될 때,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는 제1 위치로부터 멀어져서 제2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고; 일단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가 평형 지점을 지나 이동한다면, 제1 단부(112)에 배치된 힘의 방향이 변화되고 탄성 소자(114)가 클로저(107)를 개방된 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쌍안정적인 실시형태에서 클로저(107)가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탄성 소자(114)는 폐쇄된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이동의 저항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개방된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클로저(107)의 이동에 저항하도록 배열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실시형태에서, 클로저(107)는 개방된 위치로부터 더 이동 가능하여 활성화 위치에 도달한다. 일반적으로, 클로저(107)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본체(102)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여 활성화 위치에 도달하도록 배열되고; 이것은 트래블러(148)가 단단한 소자(116)를 따라 이동하게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단 트래블러(148)가 단단한 소자(116)의 특정한 지점에 도달한다면 트래블러(148)는 활성화 센서(미도시)를 작동시키도록 배열된다. 활성화 센서의 작동은 예를 들어, 가열기의 작동을 개시시키도록 사용 가능한 활성화 신호를 개시시킨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한 클로저 장치(106)의 작동이 더 상세히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가 폐쇄된 위치에서 시작되어 원하지 않은 물질의 가열 챔버(108)로의 진입을 방지한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를 사용하길 원할 때, 사용자는 클로저(107)를 개방된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는 힘을 클로저(107)에 인가한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폐쇄된 위치로부터 개방된 위치의 방향으로 개방 방향(A)으로 클로저(107)를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는 개방력을 클로저(107)에 인가한다. 개방력이 처음에 탄성 소자(114)에 의해 저지되어, 클로저가 제1 위치 범위를 넘어 이동되기 전에 사용자가 클로저(107)를 해제한다면, 클로저(107)는 폐쇄된 위치로 복귀된다.
사용자가 개방력을 클로저(107)에 인가할 때,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는 제1 방향(B)으로 폐쇄된 위치로부터 개방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고 궁극적으로 제1 단부(112)는 평형 지점에 도달한다. 일단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가 평형 지점을 지나간다면, 탄성 소자(114)에 의해 인가되는 힘은 클로저(107)를 개방된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가 제1 방향(B)으로 이동할 때, 캐리지(124)가 트래블러(148)와 상호작용하여 트래블러(148)를 단단한 소자(116)를 따라 이동시킨다. 트래블러(148)가 단단한 소자(116)를 따라 이동할 때, 탄성 소자(114)는 제2 방향(C)으로 변형된다. 제2 방향(C) 및/또는 제2 방향(C)의 성분이 제1 방향(B)을 가로질러서, 예를 들어, 클로저(107)가 폐쇄된 위치로부터 개방된 위치로 수평으로 이동될 때, 탄성 소자(114)가 수직으로 변형된다.
제2 방향(C)이 제1 방향(B)을 전적으로 가로지르지 않을 수 있고, 예를 들어, 제2 방향(C)이 제1 방향(B)의 성분을 가로지를 수 있고 제1 방향(C)의 성분과 정렬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로저(107)가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간에 이동할 때, 제1 방향(B), 즉,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의 이동 방향은 개방 방향(A), 즉, 클로저(107)의 이동 방향과 동일하다. 일단 클로저(107)가 개방된 위치에 도달한다면, 클로저 장치(106)의 캐리지(124)는 가이드(122)의 단부와 만나고, 이는 클로저(107)의 추가의 이동을 방지한다.
클로저(107)가 개방된 위치에 있다면, 사용자는 에어로졸 기재(미도시)를 구멍(104)을 통해 가열 챔버(108)에 삽입한다. 더 구체적으로, 에어로졸 기재의 제1 단부가 삽입 방향으로 가열 챔버(108)에 삽입되고 반면에 에어로졸 기재의 제2 단부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외부에 남아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실시형태에서, 에어로졸 기재가 가열 챔버(108)에 위치된다면, 사용자는 클로저(107)를 활성화 방향(D)으로 활성화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이 실시형태에서, 사용자는 클로저(107)를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의 본체(102)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클로저(107)가 본체(102)를 향하여 이동할 때, 트래블러(148)는 단단한 소자(116)를 따라 이동하고 활성화 센서를 작동시킨다. 이것은 가열기의 작동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발생시키는 활성화 신호를 작동시킨다. 가열기는 가열 챔버(108)를 가열하고 이에 의해 에어로졸 기재를 가열한다. 에어로졸 기재의 가열은 사용자가 에어로졸 기재의 노출된 단부를 통해 흡입할 수 있는 증기를 생성한다. 활성화 위치가 없는 실시형태에서,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또 다른 제어 수단을 작동시켜서 가열기를 활성화시키고, 예컨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에 배치된 버튼을 누른다.
탄성 소자(114)가 일반적으로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 그리고 따라서 트래블러(148)를 활성화 위치로부터 멀어져서 개방된 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키는 작용을 하여, 사용자가 클로저(107) 상의 압력을 유지하여 클로저(107)를 활성화 위치에 유지하길 요구받는다.
에어로졸 기재가 충분히 가열된다면, 사용자는 클로저(107)로부터 압력을 제거할 수 있다. 일단 압력이 제거된다면, 탄성 소자(114)에 의해 인가되는 힘은 트래블러(148)를 단단한 소자(116)를 따라 활성화 검출기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것은 비활성화 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활성화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여, 가열기의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
증기를 흡입하는 동안, 사용자는 클로저(107)를 반복적으로 누르고 해제하여 클로저(107)를 개방된 위치와 활성화 위치 간에 이동시켜서 가열기를 턴 온하고 턴 오프할 수 있다.
활성화 위치가 없는 실시형태에서, 클로저(107)가 예를 들어, 곧은 또는 만곡된 경로를 따라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간에 이동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편향된 탄성 소자(114)는 사용자가 클로저(107)를 활주시킬 때 사용자에게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소자(114)에 의해 제공된 편향은 캐리지(124)가 가이드(122)를 따라 이동하게 하여, 가이드(122)의 상부 에지를 향하여 편향된다. 가이드(122)가 캐리지(124)의 움직임이 부드럽고 방해받지 않도록 활주 소자(146)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큰 갭을 갖는 것은 흔하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탄성 소자(114)의 편향에 기인하여, 클로저(107)가 편향력에 대해 작용함으로써 가능한 작은 정도의 횡단 움직임으로 만족스러운 활주 느낌을 갖는다는 것에 주목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사용자는 디바이스(100)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전체 가열 사이클에 대해 클로저(107)를 활성화 위치로 유지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또는 활성화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 예에서,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다른 활성화 수단을 지속적으로 트리거링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대신에, 디바이스(100)는 클로저(107)가 단지 활성화 위치에 진입하거나(또는 버튼 또는 다른 수단이 트리거링되거나) 또는 전체 가열 사이클의 시간보다 짧은 시간 기간 동안 거기에 유지되는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것의 검출 시 전체 가열 사이클이 시작될 것이다. 이러한 배열은 사용자의 손의 미세 제어가 필요 없게 하고, 경험이 없는 사용자가 너무 오랫동안 가열기를 온 상태로 유지하고 에어로졸 기재를 과열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에어로졸 기재를 모두 사용하였을 때, 사용자는 에어로졸 기재를 가열 챔버(108)로부터 제거하고 에어로졸 기재를 폐기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의 방향으로 클로저(107)에 폐쇄력을 인가한다. 폐쇄력이 처음에 탄성 소자(114)에 의해 저지되어, 클로저(107)가 상당히 이동되기 전에 사용자가 클로저(107)를 해제한다면, 클로저(107)는 개방된 위치로 복귀된다.
사용자가 폐쇄력을 클로저(107)에 계속 인가할 때,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는 궁극적으로 평형 지점에 도달한다. 일단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가 평형 지점을 지나간다면, 탄성 소자(114)에 의해 인가되는 힘은 클로저(107)를 폐쇄된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 과정은 넓은 의미에서, 클로저(107)를 폐쇄된 위치로부터 개방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움직임의 반대이다.
클로저(107)가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어, 가방 또는 포켓에 수납될 수 있고, 클로저(107)는 가열 챔버(108)로의 물질의 진입을 방지한다. 탄성 소자(114)가 클로저(107)를 폐쇄된 위치를 향하여 편향시켜서 다른 물체와의 우발적인 접촉으로 인해서 클로저(107)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정의 및 대안적인 실시형태
상이한 실시형태의 많은 특징이 서로 교환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 위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방식으로 함께 결합되는 상이한 실시형태로부터의 특징을 포함하는 추가의 실시형태로 확장된다.
상세한 설명이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가 가이드(122)를 따라 이동할 때 압축되는 탄성 소자(114)의 사용을 주로 고려하였지만;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가 가이드(122)를 따라 이동할 때, 탄성 소자(114)가 또한 연장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확장력은 클로저를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키도록 유사하게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탄성 소자가 제1 단부(112)를 제1 위치 범위로부터 폐쇄된 위치를 향하여 그리고 제2 위치 범위로부터 개방된 위치를 향하여 복귀시키도록 여전히 배열되어 클로저(107)가 폐쇄된 위치 또는 개방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남아 있다. 압축 배열과 대조적으로, 확장 배열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가 본체(102)에 더 가까운 가이드(122)의 측면을 향하여 강제되는 것을 발생시킨다. 압축 배열에서 클로저(107)는 일반적으로 클로저(107)를 이동시키는 사용자의 손에 대해서 강제되는 반면, 확장 배열에서 클로저(107)는 일반적으로 클로저(107)를 이동시키는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멀리 강제된다.
개방된 위치 및 폐쇄된 위치의 각각이 안정적인 위치인 쌍안정적인 배열을 상세한 설명이 주로 고려하지만, 탄성 소자(114)가 또한 클로저(107)를 단일의 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탄성 소자(114)는 각각의 위치에서 클로저(107)를 특정한 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키는 작용을 하는 힘의 성분이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로서, 탄성 소자(114)의 제2 단부는 도 1의 배열의 클로저 장치(106)의 캐리지(124)의 '좌측'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고; 이 배치에 의해 탄성 소자(114)는 캐리지(124) 그리고 따라서 클로저(107)를 폐쇄된 위치를 향하는 '우측'으로 항상 편향시키는 작용을 하는 힘을 인가할 것이다.
단단한 소자(116) 및 트래블러(148)가 막대인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 컴포넌트가 병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형상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트래블러(148)는 가늘어지고/지거나 단단한 소자(116)와 트래블러(148)는 죔쇠 끼워맞춤을 갖는다. 이 실시형태에서, 죔쇠 끼워맞춤의 저항력은 일반적으로 클로저(107)가 안정적인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될 때 단단한 소자를 따른 트래블러(148)의 이동을 저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세한 설명이 회전하는 단단한 소자(116)를 주로 고려하지만, 본 개시내용은 또한 회전하지 않는 단단한 소자와 관련된다. 단단한 소자(116)가 회전하지 않는 실시형태에서, 트래블러(148)가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와의 상호작용을 변경하여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를 직접적으로 탄성 소자(114)의 제2 단부를 향하여 또는 그로부터 멀리 이동시킨다. 일반적으로, 가이드(122)는 선형 가이드이고 단단한 소자(116)는 단단한 소자(116)의 길이방향 축이 가이드와 정렬되도록 배열되고; 이 방식으로 가이드(122)를 따른 캐리지(124)의 이동은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와 제2 단부의 둘 다를 직접적으로 향하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그로부터 멀어진다. 일반적으로, 탄성 소자(114)는 폐쇄된 위치에 대해 개방된 위치를 넘어 배치되고 탄성 소자(114)는 클로저(107)가 폐쇄된 위치로부터 개방된 위치로 이동할 때 압축되도록 배열되고; 이것은 증가된 압축력이 클로저(107)의 개방을 저지하는 탄성 소자(114)에 의해 생성되게 한다. 이어서 클로저에 함몰부 또는 고정 기구가 위치될 수 있어서 일단 개방된 위치에 도달된다면 캐리지(124)가 제자리에 유지된다.
상세한 설명이 단단한 소자(116)가 회전하는 것으로 주로 설명하였지만, 단단한 소자(116)가 또한 다른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단단한 소자(116)의 제2 단부(120)는 또한 제1 단부(118)가 캐리지(124)와 함께 이동할 때 본체(102)에 대해 병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단한 소자(116)의 병진은 제한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 회전 바(150)가 제자리에 고정될 때 본체(102)에 대한 단단한 소자(116)의 병진이 방지되지만; 일부 실시형태에서, 회전 바(150)는 단단한 소자(116)의 제2 단부(120)의 병진을 허용하기 위해 홈 내에서 이동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병진 실시형태에서, 단단한 소자(116)는 고정된 지점 주위가 아니더라도, 본체에 대해 여전히 회전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홈은 클로저(107)를 더 긴 거리를 통해 각각의 안정적인 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키도록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홈은 클로저(107)가 '우측' 위치에 있을 때 단단한 소자(116)의 제2 단부(120)가 홈의 '좌측' 단부에 유지되도록 배열되고; 이것은 탄성 소자(114)가 우측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이동을 저지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홈의 좌측 단부가 가이드(122)의 중심 지점의 좌측에 있어서, 클로저(107)가 우측으로부터 좌측 위치로의 이동 거리의 절반보다 더 크게 우측 위치를 향하여 편향된다. 유사하게, 홈은 클로저(107)가 '좌측' 위치에 있을 때, 단단한 소자(116)의 제2 단부(120)가 홈의 '우측' 단부에 있어서 탄성 소자(114)가 좌측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클로저(107)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홈의 우측 단부가 가이드(122)의 중심 지점의 우측에 있어서, 클로저(107)가 좌측으로부터 우측 위치로의 이동 거리의 절반보다 더 크게 좌측 위치를 향하여 편향된다. 탄성 소자(114)의 제1 단부(112)가 제2 단부(120)의 우측으로부터 제2 단부(120)의 좌측으로 이동할 때 단단한 소자(116)의 제2 단부(120)는 홈의 좌측으로부터 우측 단부로 이동한다. 홈은 클로저(107)가 우측 위치로부터 좌측 위치로의 경로의 대다수를 이동하였을 때 이것이 발생하도록 배열되고-유사하게, 홈이 배열되어 클로저(107)가 우측 위치로부터 좌측 위치로의 경로의 대다수를 이동하였을 때 제2 단부(120)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것은 편향이 제공되게 하여 2개의 안정적인 위치가 있고 편향이 클로저(107)의 이동 거리의 대다수에 대해 시작하는 안정적인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이동을 저지한다.
상세한 설명이 단단한 소자(116)의 제2 단부(120)가 회전 바에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제2 단부(120)가 본체(102)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다른 방식이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고 제2 단부(120)가 본체(102)에 대해 제자리에 반드시 고정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단한 소자(116)의 제2 단부(120)가 가이드 컴포넌트(142) 내 함몰부 내에 느슨하게 피팅되도록 배열되어 단단한 소자(116)가 회전할 때 제2 단부(120)가 이 함몰부에서 회전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증기(vapour)"(또는 "증기(vapor)")는, (i) 액체가 충분한 정도의 열의 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전환되는 형태; 또는 (ii) 대기에서 부유되고 증기/연기의 클라우드로서 보이는 액체/수분의 입자; 또는 (iii) 기체와 같이 공간을 충전하지만, 임계 온도 미만에 있고, 압력에 의해서만 액화될 수 있는 유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정의와 일관되게, 용어 "기화시키다(vaporise)"(또는 "기화시키다(vaporize)")는, (i) 증기로 변화하거나 또는 증기로의 변화를 유발하는 것; 및 (ii) 입자가 물리적 상태를 변화시키는 경우(즉, 액체 또는 고체로부터 기체 상태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에어로졸"은 미스트, 안개 또는 연기와 같은, 공기 또는 기체에서 분산된 입자 시스템을 의미할 것이다. 따라서, 용어 "에어로졸화하다(aerosolise)" 또는 "에어로졸화하다(aerosolize)"는 에어로졸로 만들고/만들거나 에어로졸로 분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에어로졸/에어로졸화의 의미가 위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휘발화, 원자화 및 기화의 각각과 일치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의심의 여지를 없애기 위해, 에어로졸은 원자화된, 휘발된 또는 기화된 입자를 포함하는 미스트 또는 액적을 일관되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에어로졸은 또한 원자화된, 휘발된 또는 기화된 입자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미스트 또는 액적을 포함한다.

Claims (15)

  1.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로서,
    에어로졸 기재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 내에 수용 가능하게 하는 구멍(104)을 가진 본체(102);
    클로저(107)가 상기 구멍(104)을 덮는 폐쇄된 위치와 상기 구멍(104)이 상기 클로저(107)에 의해 실질적으로 차단되지 않은 개방된 위치 간에 상기 구멍(104)에 대해 이동 가능한 상기 클로저(107);
    상기 클로저(107)가 상기 폐쇄된 위치와 상기 개방된 위치 간에 이동할 때 단단한 소자(116)가 상기 본체(102)에 대해 회전하도록 상기 클로저(107)와 협력하기 위해 배열된 제1 단부(118) 및 상기 본체(102)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단부(120)를 가진 상기 단단한 소자(116); 및
    상기 단단한 소자(116)에 장착된 탄성 소자(114)로서, 상기 클로저(107)를 상기 폐쇄된 위치와 상기 개방된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하여 편향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배열되는, 상기 탄성 소자(114)
    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저(107)가 상기 폐쇄된 위치와 상기 개방된 위치 간에 이동할 때 상기 탄성 소자(114)는 제1 방향(B)으로 상기 클로저(107)와 함께 변위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클로저(107)가 상기 폐쇄된 위치와 상기 개방된 위치 간에 이동할 때 상기 탄성 소자(114)의 적어도 제1 단부(112)는 제2 방향(B)으로 이동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2 방향(C)은 상기 제1 방향(B)을 가로지르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C)은 상기 제1 단부(118)와 상기 제2 단부(120) 사이의 상기 단단한 소자(116)의 길이와 평행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C)은 상기 클로저(107)로부터 상기 본체(102)를 향하여 연장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저(107)가 상기 폐쇄된 위치와 상기 개방된 위치 간에 이동할 때 상기 단단한 소자(116)는 상기 단단한 소자(116)의 상기 제1 단부(118)와 상기 제2 단부(120) 사이에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열된 트래블러(traveller)(148)를 갖고, 상기 트래블러(148)는 상기 탄성 소자(114)와 협력하여 상기 탄성 소자(114)와 상기 클로저(107) 간에 탄성력을 이동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소자(114)는 상기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변형되고, 변형 방향은 상기 단단한 소자(116)에 의해 가이드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방향은 상기 단단한 소자(116)의 상기 제1 단부(118)와 상기 제2 단부(120) 사이의 상기 단단한 소자(116)의 길이와 평행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소자(114)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단한 소자(116)는 상기 나선형 압축 스프링이 위치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122)를 포함하되, 상기 클로저(107)가 상기 개방된 위치와 상기 폐쇄된 위치 간에 이동할 때 캐리지(124)는 상기 가이드(122)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캐리지는 상기 클로저(107)와 상호작용하도록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122)는 호 형상 또는 선형 가이딩 경로를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소자(114)는 상기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캐리지(124)를 상기 가이드(122)의 측면을 향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102)로부터 멀어져서 상기 가이드(122)의 측면을 향하여 편향시키도록 배열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저(107)는 상기 폐쇄된 위치와 상기 개방된 위치의 각각에서 안정적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소자(114)는 상기 클로저(107)를 상기 폐쇄된 위치와 상기 개방된 위치 사이의 제1 위치 범위로부터 상기 폐쇄된 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키고 상기 클로저(107)를 상기 폐쇄된 위치와 상기 개방된 위치 사이의 제2 위치 범위로부터 상기 개방된 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키도록 배열되고, 상기 클로저(107)의 상기 제1 위치 범위는 상기 제2 위치 범위보다 상기 폐쇄된 위치에 더 가깝고 상기 클로저(107)의 상기 제2 위치 범위는 상기 제1 위치 범위보다 상기 개방된 위치에 더 가까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저(107)는 상기 개방된 위치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가 활성화 신호를 개시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활성화 위치로 더 이동 가능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소자(114)는 또한 상기 클로저(107)를 상기 활성화 위치로부터 멀리 편향시키기 위해 상기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배열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소자(114)는, 상기 구멍(104)에 의해 획정된 평면 외부의 방향; 상기 구멍(104)의 축(A-A)과 정렬된 방향; 및/또는 상기 클로저(107)가 상기 폐쇄된 위치와 상기 개방된 위치 간에 이동될 때 상기 에어로졸 기재가 수용 가능한 방향과 정렬된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서 변형되도록 배열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00).
KR1020227006191A 2019-08-08 2020-08-07 단단한 편향 소자를 구비한 클로저를 가진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KR202200418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90885.4 2019-08-08
EP19190885 2019-08-08
PCT/EP2020/072304 WO2021023878A1 (en) 2019-08-08 2020-08-07 Aerosol generation device having closure with rigid biasing e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865A true KR20220041865A (ko) 2022-04-01

Family

ID=67587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6191A KR20220041865A (ko) 2019-08-08 2020-08-07 단단한 편향 소자를 구비한 클로저를 가진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287362A1 (ko)
EP (1) EP4009818A1 (ko)
JP (1) JP2022542932A (ko)
KR (1) KR20220041865A (ko)
CN (1) CN114173588A (ko)
CA (1) CA3148138A1 (ko)
TW (1) TW202106184A (ko)
WO (1) WO20210238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4366A (ko) * 2021-07-21 2023-01-3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23203037A1 (en) * 2022-04-20 2023-10-26 Jt International Sa Heated tobacco device with closure device of its oven
EP4374719A1 (en) * 2022-11-25 2024-05-29 JT International S.A. An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a method of opening an aerosol generation chamber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4893B (en) 2013-06-04 2017-12-06 Nicoventures Holdings Ltd Container
CN203446532U (zh) * 2013-08-08 2014-02-26 刘秋明 电子烟盒
US20150114410A1 (en) * 2013-10-29 2015-04-30 Paradise Packaging Inc. Electronic vapor system
CN109965360A (zh) * 2014-07-24 2019-07-05 尼科创业控股有限公司 用于保持和再充电电子雾气供应系统的包及其操作方法
GB2528710B (en) * 2014-07-24 2018-12-26 Nicoventures Holdings Ltd E-cigarette re-charging system
CN206687163U (zh) * 2017-03-20 2017-12-01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低温烘烤烟具
CN207383538U (zh) * 2017-11-06 2018-05-22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一种滑盖机构及电子烟具
CN108523245B (zh) * 2018-07-03 2024-05-28 深圳市益中源科技有限公司 一种直通式发热管烟草加热器
GB2585620A (en) * 2018-09-03 2021-01-20 Dubois Ltd Closure
US20220142250A1 (en) * 2019-05-03 2022-05-12 Jt International S.A. Aerosol Generation Device With Closure
WO2020225102A1 (en) * 2019-05-03 2020-11-12 Jt International S.A. Aerosol generation device with clo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3878A1 (en) 2021-02-11
JP2022542932A (ja) 2022-10-07
CN114173588A (zh) 2022-03-11
TW202106184A (zh) 2021-02-16
EP4009818A1 (en) 2022-06-15
US20220287362A1 (en) 2022-09-15
CA3148138A1 (en) 2021-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41865A (ko) 단단한 편향 소자를 구비한 클로저를 가진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TWI728795B (zh) 具有關閉件之氣溶膠產生裝置及其操作方法
TWI789584B (zh) 具有關閉件之氣溶膠產生裝置及用於操作氣溶膠產生裝置之方法
EP3512366B1 (en) Receptacle section
CN113747808A (zh) 具有热桥的气溶胶产生装置
EP4061159A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TWI772817B (zh) 具有傾斜的加熱腔室之氣溶膠產生裝置
EA043136B1 (ru) Устройство,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имеющее крышку с жестким смещающим элементом
KR10257942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21110749A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having a holder including engagement elements
KR20220043147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JP2023523879A (ja) エアロゾル発生装置
RU279728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гревания материала, который возможно курить, изделие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этим устройством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я
KR20240000514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그 제조 방법,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