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557A - 가동 접촉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 Google Patents

가동 접촉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1557A
KR20220041557A KR1020200124939A KR20200124939A KR20220041557A KR 20220041557 A KR20220041557 A KR 20220041557A KR 1020200124939 A KR1020200124939 A KR 1020200124939A KR 20200124939 A KR20200124939 A KR 20200124939A KR 20220041557 A KR20220041557 A KR 20220041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ovable contact
holder
housing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1476B1 (ko
Inventor
유정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00124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476B1/ko
Priority to CN202180065914.4A priority patent/CN116325056A/zh
Priority to EP21872675.0A priority patent/EP4220679A1/en
Priority to PCT/KR2021/008413 priority patent/WO2022065638A1/ko
Priority to US18/028,721 priority patent/US20230335363A1/en
Publication of KR20220041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9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ensuring operation of the switch at a predetermined point in the ac cycle
    • H01H33/596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ensuring operation of the switch at a predetermined point in the ac cycle for interrupting d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0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 H01H1/54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by magnetic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가동 접촉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동 접촉자부는 상부 홀더 및 하부 홀더를 포함한다. 상부 홀더 및 하부 홀더 중 어느 하나에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된다. 상부 홀더 및 하부 홀더 중 다른 하나에는 결합 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 홈이 형성된다. 하부 홀더는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되, 상부 홀더는 하부 홀더 및 하우징에 각각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부 홀더와 하부 홀더의 결합이 용이해지고,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동 접촉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Moving contactor part and direct current relay include the same}
본 발명은 가동 접촉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가동 접촉자부를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제작할 수 있는 가동 접촉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직류 릴레이(Direct current relay)는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구동 또는 전류 신호를 전달해 주는 장치이다. 직류 릴레이는 전자 개폐기(Magnetic switch)라고도 하며, 통상 전기적인 회로 개폐 장치로 분류된다.
직류 릴레이는 외부의 제어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될 수 있다. 직류 릴레이는 제어 전원에 의해 자화(magnetize)될 수 있는 고정 코어 및 가동 코어를 포함한다. 고정 코어 및 가동 코어는 복수 개의 코일이 권취된 보빈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제어 전원이 인가되면, 복수 개의 코일은 전자기장을 형성한다. 고정 코어 및 가동 코어는 상기 전자기장에 의해 자화되어, 고정 코어와 가동 코어 사이에는 전자기적 인력이 발생된다.
고정 코어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가동 코어가 고정 코어를 향해 이동된다. 가동 코어에는 샤프트 부재의 일측이 연결된다. 또한, 샤프트 부재의 타측은 가동 접촉자에 연결된다.
가동 코어가 고정 코어를 향해 이동되면, 샤프트 및 샤프트에 연결된 가동 접촉자 또한 이동된다. 상기 이동에 의해, 가동 접촉자는 고정 접촉자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가동 접촉자와 고정 접촉자가 접촉되면, 직류 릴레이는 외부의 전원 및 부하와 통전된다.
이때, 가동 접촉자는 외부와의 임의 통전을 방지하고, 외부의 이물질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 등에 의해 둘러싸인다.
종래 기술에 따른 직류 릴레이에서는 하우징이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 서로 다른 재질의 각 구성 요소는 인서트 사출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고, 가동 접촉자가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측 방향에서 삽입되어 조립된다.
그런데, 삽입된 가동 접촉자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삽입 결합된다. 따라서, 삽입 및 고정 방향이 서로 상이하여, 가동 접촉자 및 이를 감싸는 하우징을 제작하는 공정의 복잡성이 유발되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이 인서트 사출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는 바, 조립이 오차가 생긴 경우, 이를 보정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더 나아가, 상기 하우징은 단수 개의 위치에서 결합되는 바, 하우징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어려웠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20-0025805호는 가동접촉자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된 가동자 어셈블리를 갖는 직류 릴레이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가동접촉자와 가동자 홀더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 핀을 구비하여, 가동접촉자와 가동자 홀더 간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직류 릴레이를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은 가동자 홀더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제작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가동접촉자와 가동자 홀더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방안에 주안점을 둔 것으로, 가동자 홀더 자체의 제작과 관련된 내용은 개시하지 않는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20-0096195호는 접압력이 향상된 가동자 어셈블리를 갖는 직류 릴레이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요크와 가동자 지지대 사이에 접압 스프링을 구비하여, 가동 코어 및 샤프트의 움직임에 따른 접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직류 릴레이를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 역시 가동자 홀더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제작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가동 코어 및 샤프트의 이동과 가동자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방안만을 제시할 뿐, 가동자 홀더 자체의 제작과 관련된 내용은 개시하지 않는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20-0025805호 (2020.03.10.)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20-0096195호 (2020.08.1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가동 접촉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가동 접촉자를 감싸는 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구조의 가동 접촉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동 접촉자를 감싸는 부재가 복수 개의 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의 가동 접촉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동 접촉자를 감싸는 부재 간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의 가동 접촉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동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를 감싸는 부재의 결합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가동 접촉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동 접촉자를 감싸는 부재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는 구조의 가동 접촉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동 접촉자; 상기 가동 접촉자를 일측에서 감싸는 상부 홀더; 상기 가동 접촉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홀더를 마주하게 위치되어, 상기 가동 접촉자를 타측에서 감싸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상기 상부 홀더와 결합되는 하부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홀더 및 상기 하부 홀더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상부 홀더 및 상기 하부 홀더 중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결합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홀더 및 상기 하부 홀더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 돌기를 수용하는 결합 홈이 형성되는 가동 접촉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동 접촉자부의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가동 접촉자를 일측에서 감싸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연속되며, 상기 하부 홀더를 향해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결합 홈이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홀더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일 방향의 단부에 상기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평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접촉자부의 상기 결합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일 방향의 각 단부와 각각 연속되고, 상기 결합 홈은 복수 개의 상기 결합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결합 돌기는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평판부의 상기 일 방향의 각 단부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접촉자부의 복수 개의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는 상기 결합 홈은 각각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평판부의 상기 일 방향의 각 단부에 위치되는 상기 결합 돌기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 홈에는, 상기 평판부의 상기 일 방향의 각 단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단부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 돌기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접촉자부의 상기 결합부는 타 방향의 폭을 갖게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 홈은, 상기 타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평판부의 상기 일 방향의 각 단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단부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타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접촉자부의 복수 개의 상기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결합부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 홈은, 상기 베이스를 향하는 방향 및 상기 베이스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평판부의 상기 일 방향의 각 단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단부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베이스를 향하는 방향 및 상기 베이스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접촉자부의 상기 결합부는 타 방향의 폭을 갖게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 홈은, 상기 타 방향으로 경사지게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평판부의 상기 일 방향의 각 단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단부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타 방향으로 경사지게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접촉자부의 상기 결합부는 타 방향의 폭을 갖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 홈 및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타 방향의 폭이 상기 베이스를 향하는 방향 및 상기 베이스에 반대되는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접촉자부의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가동 접촉자를 일측에서 감싸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연속되며, 상기 하부 홀더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결합 돌기가 위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홀더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일 방향의 단부에서 상기 결합부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 홈이 함몰 형성되는 평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접촉자부의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결합부를 마주하는 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하부 홀더가 수용되는 내부의 공간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각각 연통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홈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홈과 연통되어,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홈 및 상기 결합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접촉자부의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가동 접촉자를 일측에서 감싸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연속되며, 상기 하부 홀더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결합 돌기 및 상기 결합 홈 중 어느 하나가 위치되며, 타 방향의 폭을 갖게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부 홀더를 수용하는 몸체부; 상기 결합부를 향하는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고, 서로 상기 타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암부; 및 상기 몸체부 및 복수 개의 상기 암부에 둘러싸여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를 수용하는 결합 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접촉자부의 복수 개의 상기 암부는, 상기 결합부의 폭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 이격되어, 상기 결합 공간부에 수용된 상기 결합부는, 복수 개의 상기 암부에 의해 상기 타 방향의 각 단부가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접촉자부의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가동 접촉자를 일측에서 감싸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기 일 방향의 각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하부 홀더를 향해 연장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연속되며, 복수 개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와 연속되며, 상기 하부 홀더를 향해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결합 홈이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홀더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일 방향의 단부에 상기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평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 접촉자; 상기 가동 접촉자를 일측에서 감싸고,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상부 홀더; 상기 가동 접촉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홀더를 마주하게 위치되어, 상기 가동 접촉자를 타측에서 감싸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상기 상부 홀더와 결합되는 하부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감싸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연속되며, 상기 하부 홀더를 향해 연장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연속되며, 상기 하부 홀더를 향해 연장되는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와 연속되며, 상기 하부 홀더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동 접촉자부의 상기 완충부는, 상기 연결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가동 접촉자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하부 홀더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가동 접촉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접촉자부의 상기 완충부는, 그 단면이 상기 가동 접촉자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 접촉자; 상기 고정 접촉자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 접촉자와 접촉 및 이격되는 가동 접촉자; 상기 가동 접촉자와 상기 고정 접촉자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가동 접촉자의 상측을 둘러싸는 상부 홀더; 상기 가동 접촉자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가동 접촉자의 하측을 감싸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상기 상부 홀더와 결합되는 하부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홀더 및 상기 하부 홀더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상부 홀더 및 상기 하부 홀더 중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결합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홀더 및 상기 하부 홀더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 돌기를 수용하는 결합 홈이 형성되는 직류 릴레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직류 릴레이의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가동 접촉자를 상측에서 감싸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연속되며, 상기 하부 홀더를 향해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결합 홈이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홀더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일 방향의 단부에 상기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평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류 릴레이의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가동 접촉자를 상측에서 감싸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연속되며, 상기 하부 홀더를 향해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하부 홀더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홀더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일 방향의 단부에 상기 결합 홈이 상기 결합부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평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류 릴레이의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가동 접촉자를 상측에서 감싸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연속되며, 상기 하부 홀더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결합 돌기 및 상기 결합 홈 중 어느 하나가 위치되며, 타 방향의 폭을 갖게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부 홀더를 수용하는 몸체부; 상기 결합부를 향하는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고, 서로 상기 타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의 폭만큼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암부; 및 상기 몸체부 및 복수 개의 상기 암부에 둘러싸여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를 수용하는 결합 공간부를 포함하여, 상기 결합 공간부에 수용된 상기 결합부는, 복수 개의 상기 암부에 의해 상기 타 방향의 각 단부가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가동 접촉자부는 상부 홀더 및 하부 홀더를 구비한다. 상부 홀더는 상측에서 가동 접촉자를 감싼다. 또한, 하부 홀더는 하측에서 가동 접촉자를 감싼다. 상부 홀더는 하부 홀더를 향해 연장되어, 하부 홀더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하부 홀더는 하우징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즉, 하부 홀더의 일부는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된다. 하부 홀더 및 하우징은 인서트 사출 형성 등의 방식으로 제조된다.
상부 홀더 및 하부 홀더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된다. 상부 홀더 및 하부 홀더 중 다른 하나에는 결합 돌기를 수용하는 결합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홀더는 상하 방향, 즉 가동 접촉자가 조립되는 방향으로 하부 홀더에 인접하게 위치된 후, 결합 돌기와 결합 홈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하부 홀더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 접촉자를 감싸는 상부 홀더 및 하부 홀더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에는 하부 홀더를 수용하는 몸체부 및 몸체부와 연결되는 암부가 구비된다. 암부는 몸체부의 면 중 상부 홀더를 향하는 방향의 면에서 상부 홀더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암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몸체부 및 복수 개의 암부에 둘러싸인 공간인 결합 공간부가 정의된다.
상부 홀더의 결합부는 결합 공간부에 수용된다. 이때, 복수 개의 암부는 결합부의 폭 방향의 각 단부를 지지한다.
따라서, 상부 홀더는 결합 홈 및 결합 돌기의 결합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암부에 의해서도 하우징 및 하부 홀더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홀더는 복수 개의 지점에서 하우징 및 하부 홀더와 결합된다. 상부 홀더의 결합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하우징 및 하부 홀더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부 홀더는 하우징 및 하부 홀더와 서로 다른 위치에서 결합될 뿐만 아니라, 상기 서로 다른 위치에서도 복수 개의 지점에서 하우징 및 하부 홀더와 결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부 홀더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형상 변형이 가능하다. 상부 홀더에는 서로 다른 각도로 연속되는 완충부가 구비된다. 완충부는 외력 또는 가동 접촉자부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부 홀더와 하부 홀더 또는 하우징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을 통해, 상부 홀더와 하부 홀더는 가동 접촉자가 조립되는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조립된다. 즉, 가동 접촉자를 둘러싸기 위한 부재가 기 조립된 후, 가동 접촉자가 측 방향으로 조립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가동 접촉자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조립한 후, 상부 홀더를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켜 하부 홀더를 조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립 편의성 및 결합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돌기 및 결합 홈은 상부 홀더 및 하부 홀더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결합 돌기 및 결합 홈은 서로에게 상응하는 한, 다양한 개수, 위치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접촉자부 및 직류 릴레이가 구비되는 환경 및 작동 환경 등에 따라, 결합 돌기 및 결합 홈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동 접촉자부 및 직류 릴레이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직류 릴레이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직류 릴레이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직류 릴레이에 구비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동 접촉자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가동 접촉자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가동 접촉자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가동 접촉자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가동 접촉자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가동 접촉자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4의 가동 접촉자부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4의 가동 접촉자부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4의 가동 접촉자부에 구비되는 상부 홀더, 가동 접촉자 홀더 및 하부 홀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4의 가동 접촉자부에 구비되는 상부 홀더, 가동 접촉자 홀더 및 하부 홀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4의 가동 접촉자부에 구비되는 상부 홀더, 가동 접촉자 홀더 및 하부 홀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4의 가동 접촉자부에 구비되는 상부 홀더, 가동 접촉자 홀더 및 하부 홀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4의 가동 접촉자부에 구비되는 상부 홀더, 가동 접촉자 홀더 및 하부 홀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4의 가동 접촉자부에 구비되는 상부 홀더, 가동 접촉자 홀더 및 하부 홀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4의 가동 접촉자부에 구비되는 상부 홀더, 가동 접촉자 홀더 및 하부 홀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4의 가동 접촉자부의 변형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4의 가동 접촉자부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4의 가동 접촉자부의 또다른 변형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4의 가동 접촉자부의 또다른 변형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동 접촉자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실시 예에 따른 가동 접촉자부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동 접촉자부(400, 500)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1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자화(magnetize)"라는 용어는 자기장 안에서 어떤 물체가 자성을 띠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electric current)"이라는 용어는, 두 개 이상의 부재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좌측", "우측", "상측", "하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도 1, 도 4 및 도 23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10)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10)는 프레임부(100), 개폐부(200) 및 코어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4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10)는 가동 접촉자부(400, 500)를 포함한다
각 실시 예에 따른 가동 접촉자부(400, 500)는 가동 접촉자(410, 5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하우징(450, 550), 상부 홀더(460, 560) 및 하부 홀더(470, 570)가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10)의 각 구성을 설명하되, 가동 접촉자부(400, 50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1) 프레임부(100)의 설명
프레임부(100)는 직류 릴레이(10)의 외측을 형성한다. 프레임부(10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직류 릴레이(10)가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류를 인가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장치들이 수용될 수 있다.
즉, 프레임부(100)는 일종의 하우징으로 기능된다.
프레임부(100)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100)의 내부와 외부가 임의로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부(100)는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20), 절연 플레이트(130) 및 지지 플레이트(140)를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110)은 프레임부(100)의 상측을 형성한다. 상부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은 하부 프레임(1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연통된다.
상부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에는 개폐부(200) 및 가동 접촉자부(400, 500)가 수용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0)은 하부 프레임(120)과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 사이의 공간에는 절연 플레이트(130) 및 지지 플레이트(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는 개폐부(200)의 고정 접촉자(220)가 위치된다. 고정 접촉자(220)는 상부 프레임(110)의 상측에 일부가 노출되어,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프레임(110)의 상측에는 고정 접촉자(220)가 관통 결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20)은 프레임부(100)의 하측을 형성한다. 하부 프레임(12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하부 프레임(120)의 내부 공간에는 코어부(30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공간은 상부 프레임(1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연통된다.
하부 프레임(120)은 상부 프레임(110)과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20)과 상부 프레임(110) 사이의 공간에는 절연 플레이트(130) 및 지지 플레이트(140)가 구비될 수 있다.
절연 플레이트(130) 및 지지 플레이트(140)는 상부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과 하부 프레임(120)의 내부 공간을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분리한다.
절연 플레이트(130)는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 사이에 위치된다. 절연 플레이트(130)는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을 전기적으로 이격시킨다. 이를 위해, 절연 플레이트(130)는 합성 수지 등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 플레이트(130)에 의해, 상부 프레임(110) 내부에 수용된 개폐부(200), 가동 접촉자부(400, 500)와 하부 프레임(120) 내부에 수용된 코어부(300) 간의 임의 통전이 방지될 수 있다.
절연 플레이트(130)의 중심부에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미도시)에는 각 가동 접촉자부(400, 500)의 샤프트(440, 54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절연 플레이트(130)의 하측에는 지지 플레이트(140)가 위치된다. 절연 플레이트(130)는 지지 플레이트(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40)는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 사이에 위치된다.
지지 플레이트(140)는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을 물리적으로 이격시킨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140)는 절연 플레이트(130)를 지지한다.
지지 플레이트(140)는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플레이트(140)는 코어부(300)의 요크(330)와 함께 자로(magnetic circuit)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로에 의해, 가동 코어(370)가 고정 코어(310)를 향해 이동되기 위한 구동력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40)의 중심부에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미도시)에는 샤프트(440, 54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따라서, 가동 코어(370)가 고정 코어(310)를 향하는 방향 또는 고정 코어(31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각 샤프트(440, 540) 및 각 샤프트(440, 540)에 연결된 가동 접촉자(410, 510) 또한 같은 방향으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2) 개폐부(200)의 설명
개폐부(200)는 코어부(300)의 동작에 따라 전류의 통전을 허용하거나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개폐부(200)는 고정 접촉자(220) 및 가동 접촉자(410, 510)가 접촉되거나 이격되어 전류의 통전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개폐부(200)는 상부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개폐부(200)는 절연 플레이트(130) 및 지지 플레이트(140)에 의해 코어부(300) 및 가동 코어(370)와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개폐부(200)는 아크 챔버(210), 고정 접촉자(220) 및 씰링(sealing) 부재(230)를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아크 챔버(210)의 외측에는 아크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자석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 부재는 아크 챔버(210)의 내부에 자기장을 형성하여, 발생된 아크의 경로를 형성하는 전자기력이 발생될 수 있다.
아크 챔버(210)는 고정 접촉자(220) 및 가동 접촉자(410, 510)가 이격되어 발생되는 아크(arc)를 내부 공간에서 소호(extinguish)한다. 이에, 아크 챔버(210)는 "아크 소호부"로 지칭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크 챔버(210)는 고정 접촉자(220)와 가동 접촉자(410, 510)를 밀폐 수용한다. 즉, 고정 접촉자(220)와 가동 접촉자(410, 510)는 아크 챔버(210) 내부에 수용된다. 따라서, 고정 접촉자(220)와 가동 접촉자(410, 510)가 이격되어 발생되는 아크는 외부로 임의 유출되지 않게 된다.
아크 챔버(210) 내부에는 소호용 가스가 충전될 수 있다. 소호용 가스는 발생된 아크가 소호되며 기 설정된 경로를 통해 직류 릴레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아크 챔버(210)의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벽체에는 연통공(미도시)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아크 챔버(210)는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아크 챔버(210)는 높은 내압성 및 높은 내열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발생되는 아크가 고온 고압의 전자의 흐름임에 기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아크 챔버(210)는 세라믹(ceramic)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아크 챔버(210)의 상측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 각각에는 고정 접촉자(220)가 관통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접촉자(220)는 제1 고정 접촉자(220a) 및 제2 고정 접촉자(220b)를 포함하여 두 개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아크 챔버(210)의 상측에 형성되는 관통공 또한 두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에 고정 접촉자(220)가 관통 결합되면, 상기 관통공은 밀폐된다. 즉, 고정 접촉자(220)는 상기 관통공에 밀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발생된 아크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서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아크 챔버(210)의 하측은 개방될 수 있다. 아크 챔버(210)의 하측에는 절연 플레이트(130) 및 씰링 부재(230)가 접촉된다. 즉, 아크 챔버(210)의 하측은 절연 플레이트(130) 및 씰링 부재(230)에 의해 밀폐된다.
이에 따라, 아크 챔버(210)는 상부 프레임(110)의 외측 공간과 전기적, 물리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아크 챔버(210)에서 소호된 아크는 기 설정된 경로를 통해 직류 릴레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일 실시 예에서, 소호된 아크는 상기 연통공(미도시)을 통해 아크 챔버(2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고정 접촉자(220)는 가동 접촉자(410, 510)와 접촉되거나 이격되어, 직류 릴레이(10)의 내부와 외부의 통전을 인가하거나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고정 접촉자(220)가 가동 접촉자(410, 510)와 접촉되면, 직류 릴레이(10)의 내부와 외부가 통전될 수 있다. 반면, 고정 접촉자(220)가 가동 접촉자(410, 510)와 이격되면, 직류 릴레이(10)의 내부와 외부의 통전이 차단된다.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고정 접촉자(220)는 이동되지 않는다. 즉, 고정 접촉자(220)는 상부 프레임(110) 및 아크 챔버(210)에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고정 접촉자(220)와 가동 접촉자(410, 510)의 접촉 및 이격은 가동 접촉자(410, 510)의 이동에 의해 달성된다.
고정 접촉자(220)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상부 프레임(1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일측 단부에는 전원 또는 부하가 각각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고정 접촉자(22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접촉자(220)는 좌측의 제1 고정 접촉자(220a) 및 우측의 제2 고정 접촉자(220b)를 포함하여, 총 두 개로 구비된다.
제1 고정 접촉자(220a)는 가동 접촉자(410, 510)의 길이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된다. 또한, 제2 고정 접촉자(220b)는 가동 접촉자(410, 510)의 길이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된다.
제1 고정 접촉자(220a) 및 제2 고정 접촉자(220b) 중 어느 하나에는 전원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 접촉자(220a) 및 제2 고정 접촉자(220b) 중 다른 하나에는 부하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고정 접촉자(220)의 타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가동 접촉자(410, 510)를 향해 연장된다.
가동 접촉자(410, 510)가 고정 접촉자(22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하측 단부는 가동 접촉자(410, 510)와 접촉된다. 이에 따라, 직류 릴레이(10)의 외부와 내부가 통전될 수 있다.
고정 접촉자(220)의 상기 하측 단부는 아크 챔버(210) 내부에 위치된다.
제어 전원이 차단될 경우, 가동 접촉자(410, 510)는 코어부(300)의 탄성부(38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 접촉자(220)에서 이격된다.
이때, 고정 접촉자(220)와 가동 접촉자(410, 510)가 이격됨에 따라, 고정 접촉자(220)와 가동 접촉자(410, 510) 사이에는 아크가 발생된다. 발생된 아크는 아크 챔버(210) 내부의 소호용 가스에 소호되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씰링 부재(230)는 아크 챔버(210)와 상부 프레임(110) 내부의 공간의 임의 연통을 차단한다. 씰링 부재(230)는 절연 플레이트(130) 및 지지 플레이트(140)와 함께 아크 챔버(210)의 하측을 밀폐한다.
구체적으로, 씰링 부재(230)의 상측은 아크 챔버(210)의 하측과 결합된다. 또한, 씰링 부재(230)의 방사상 내측은 절연 플레이트(130)의 외주와 결합되며, 씰링 부재(230)의 하측은 지지 플레이트(14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아크 챔버(210)에서 발생된 아크 및 소호용 가스에 의해 소호된 아크는 상부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으로 입의 유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씰링 부재(230)는 실린더(360)의 내부 공간과 프레임부(100)의 내부 공간의 임의 연통을 차단할 수 있다.
(3) 코어부(300)의 설명
코어부(300)는 제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가동 접촉자부(400, 5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어 전원의 인가가 해제될 경우, 코어부(300)는 가동 접촉자부(400, 500)를 다시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코어부(300)는 외부의 제어 전원(미도시)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어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코어부(300)는 개폐부(200)의 하측에 위치된다. 또한, 코어부(300)는 하부 프레임(120)의 내부에 수용된다. 코어부(300)와 개폐부(200)는 절연 플레이트(130) 및 지지 플레이트(140)에 의해 전기적, 물리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코어부(300)와 개폐부(200) 사이에는 가동 접촉자부(400, 500)가 위치된다. 코어부(300)가 인가하는 구동력에 의해 가동 접촉자부(400, 500)가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 접촉자(410, 510)와 고정 접촉자(220)가 접촉되어 직류 릴레이(10)가 통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코어부(300)는 고정 코어(310), 바닥부(320), 요크(330), 보빈(340), 코일(350), 실린더(360), 가동 코어(370) 및 탄성부(380)를 포함한다.
고정 코어(310)는 코일(35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자화(magnetize)되어 전자기적 인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전자기적 인력에 의해, 가동 코어(370)가 고정 코어(310)를 향해 이동된다(도 2 및 도 3에서 상측 방향).
고정 코어(310)는 이동되지 않는다. 즉, 고정 코어(310)는 지지 플레이트(140) 및 실린더(360)에 고정 결합된다.
고정 코어(310)는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어 전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 코어(310)는 자성체 소재로 형성되거나,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 코어(310)는 실린더(360) 내부의 상측 공간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또한, 고정 코어(310)의 외주는 실린더(360)의 내주에 접촉된다.
고정 코어(310)는 지지 플레이트(140)와 가동 코어(370) 사이에 위치된다.
고정 코어(310)의 중심부에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미도시)에는 각 샤프트(440, 540)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고정 코어(310)는 가동 코어(370)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가동 코어(370)가 고정 코어(310)를 향해 이동될 수 있는 거리는 상기 소정 거리로 제한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소정 거리는 "가동 코어(370)의 이동 거리"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고정 코어(310)의 하측에는 탄성부(380)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가 접촉된다. 고정 코어(310)가 자화되어 가동 코어(370)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탄성부(380)가 압축되며 복원력이 저장된다.
이에 따라, 제어 전원의 인가가 해제되어 고정 코어(310)의 자화가 종료되면, 가동 코어(370)가 상기 복원력에 의해 다시 하측으로 복귀될 수 있다.
바닥부(320)는 실린더(360)의 하측 경계를 형성한다. 달리 표현하면, 바닥부(320)는 실린더(36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하측에서 감싸는 실린더(360)의 일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바닥부(320)는 가동 코어(370)가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위치의 한계를 형성한다. 즉, 가동 코어(370)가 하측을 향하는 이동이 진행됨에 따라, 가동 코어(370)의 하측 단부는 바닥부(320)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가동 코어(370)는 더 이상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바닥부(320)는 가동 코어(370)와 이격된다.
구체적으로, 가동 코어(370)가 고정 코어(310)에 흡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바닥부(320)를 향하는 가동 코어(37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바닥부(320)와 이격된다.
대안적으로, 가동 코어(370)는 그 하측 단부가 바닥부(320)에 접촉될 수 있다.
바닥부(320)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 코어(370)에 인가되는 전자기력 등이 교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요크(330)는 제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로(magnetic circuit)을 형성한다. 요크(330)가 형성하는 자로는 코일(350)이 형성하는 자기장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전원이 인가되면 코일(350)은 가동 코어(370)가 고정 코어(310)를 향해 이동되는 방향으로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요크(330)는 통전 가능한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요크(330)는 하부 프레임(120)의 내부에 수용된다. 요크(330)는 코일(350)을 둘러싼다. 코일(350)은 요크(330)의 내주면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요크(33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요크(330)의 내부에는 보빈(340)이 수용된다. 즉, 하부 프레임(120)의 외주로부터 방사상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요크(330), 코일(350) 및 코일(350)이 권취되는 보빈(340)이 순서대로 배치된다.
요크(330)의 상측은 지지 플레이트(140)에 접촉된다. 또한, 요크(330)의 외주는 하부 프레임(120)의 내주에 접촉되거나, 하부 프레임(120)의 내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보빈(340)에는 코일(350)이 권취된다. 보빈(340)은 요크(330) 내부에 수용된다.
보빈(340)은 평판형의 상부 및 하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원통형의 기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보빈(340)은 실패(bobbin) 형상이다.
보빈(340)의 상부는 지지 플레이트(140)의 하측과 접촉된다. 보빈(340)의 기둥부에는 코일(350)이 권취된다. 코일(350)이 권취되는 두께는 보빈(340)의 상부 및 하부의 직경과 같거나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보빈(340)의 기둥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부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에는 실린더(360)가 수용될 수 있다. 보빈(340)의 기둥부는 고정 코어(310), 가동 코어(370) 및 각 샤프트(440, 540)와 같은 중심축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코일(350)은 인가된 제어 전원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코일(350)이 발생시키는 자기장에 의해 고정 코어(310)가 자화되어, 가동 코어(370)에 전자기적 인력이 인가될 수 있다.
코일(350)은 보빈(340)에 권취된다. 구체적으로, 코일(350)은 보빈(340)의 기둥부에 권취되어, 상기 기둥부의 방사상 외측으로 적층된다. 코일(350)은 요크(330)의 내부에 수용된다.
제어 전원이 인가되면, 코일(350)은 자기장을 생성한다. 이때, 요크(330)에 의해 코일(350)이 생성하는 자기장의 세기 또는 방향 등이 제어될 수 있다. 코일(350)이 생성한 자기장에 의해 고정 코어(310)가 자화된다.
고정 코어(310)가 자화되면, 가동 코어(370)는 고정 코어(310)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전자기력, 즉, 인력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가동 코어(370)는 고정 코어(31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으로 이동된다.
실린더(360)는 고정 코어(310), 가동 코어(370), 탄성부(380) 및 각 샤프트(440, 540)를 수용한다. 가동 코어(370) 및 각 샤프트(440, 540)는 실린더(360) 내부에서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실린더(360)는 보빈(340)의 기둥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위치된다. 실린더(360)의 상측 단부는 지지 플레이트(140)의 하측 면에 접촉된다.
실린더(360)의 측면은 보빈(340)의 기둥부의 내주면에 접촉된다. 실린더(360)의 상측 개구부는 고정 코어(31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실린더(360)의 하측 면, 즉 바닥부(320)는 하부 프레임(120)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가동 코어(370)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가 바닥부(320)에 의해 제한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가동 코어(370)는 제어 전원이 인가되면 고정 코어(310)가 생성하는 전자기적 인력에 의해 고정 코어(310)를 향해 이동된다.
가동 코어(370)의 이동에 따라, 가동 코어(370)에 결합된 샤프트(440, 540)가 고정 코어(31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샤프트(440, 540)가 이동됨에 따라, 샤프트(440, 540)에 결합된 가동 접촉자부(400)가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고정 접촉자(220)와 가동 접촉자(410, 510)가 접촉되어 직류 릴레이(10)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될 수 있다.
가동 코어(370)는 전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받을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동 코어(370)는 자성체 소재로 형성되거나,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가동 코어(370)는 실린더(360)의 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가동 코어(370)는 실린더(360) 내부에서 실린더(36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동 코어(370)는 고정 코어(310)를 향하는 방향 및 고정 코어(3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동 코어(370)는 샤프트(440, 540)와 결합된다. 가동 코어(370)는 샤프트(440, 540)와 일체로 이동될 수 있다. 가동 코어(37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면, 샤프트(440, 540) 또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가동 접촉자(410, 510) 또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된다.
가동 코어(370)는 고정 코어(310)의 하측에 위치된다. 가동 코어(370)는 고정 코어(310)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다. 상기 소정 거리는 가동 코어(37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거리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동 코어(37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가동 코어(370)는 실린더(360)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어, 고정 코어(310)를 향하는 방향 또는 고정 코어(310)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탄성부(380)는 가동 코어(370)와 고정 코어(310)를 탄성 지지한다. 탄성부(380)는 가동 코어(370) 및 고정 코어(310) 사이에 위치된다.
탄성부(380)는 가동 코어(370)와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가동 코어(370)를 향하는 탄성부(380)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가동 코어(370)의 상면에 접촉된다.
고정 코어(310)를 향하는 탄성부(380)의 타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고정 코어(310)의 내부에 수용된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탄성부(380)는 고정 코어(310)의 중심축의 방사상 외측에 형성된 중공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탄성부(380)의 상측 단부는 고정 코어(310)의 상기 중공부를 상측에서 감싸는 고정 코어(310)의 일 면에 접촉된다.
탄성부(380)는 형상이 변형되며 탄성력(즉, 복원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탄성력을 다른 부재에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탄성부(38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관통 형성된 코일 스프링(coil spring)의 형태로 구비된다.
탄성부(380)는 샤프트(44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38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중공부에 샤프트(440)가 관통 결합된다.
가동 코어(370)가 고정 코어(310)를 향해 상승되면, 탄성부(380)는 가동 코어(370) 및 고정 코어(310) 사이에서 압축되며 탄성력을 저장한다. 코일(350)에 인가된 전류가 차단되어 가동 코어(370)가 자화되지 않은 상태로 전환되면, 탄성부(380)는 인장되며 가동 코어(370)를 하강시킨다.
3.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동 접촉자부(400)의 설명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10)는 가동 접촉자부(40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가동 접촉자부(400)는 가동 접촉자(410)를 감싸는 하우징(450), 상부 홀더(460) 및 하부 홀더(470)가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가동 접촉자부(400)는 가동 접촉자(410)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즉, 지지부(420))의 결합 방향과, 상부 홀더(460) 및 하부 홀더(470)의 결합 방향이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접촉자부(400)의 제작 과정이 간명하고 용이해지며, 이에 따라, 오조립 등의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동 접촉자부(4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동 접촉자부(400)는 가동 접촉자(410) 및 가동 접촉자(41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가동 접촉자부(400)에 의해, 직류 릴레이(10)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될 수 있다.
가동 접촉자부(400)는 상부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또한, 가동 접촉자부(400)는 아크 챔버(210)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가동 접촉자부(400)의 상측에는 고정 접촉자(220)가 위치된다. 가동 접촉자부(400)는 고정 접촉자(220)를 향하는 방향 및 고정 접촉자(2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아크 챔버(210)의 내부에 수용된다.
가동 접촉자부(400)의 하측에는 코어부(300)가 위치된다. 가동 접촉자부(400)의 상기 이동은 가동 코어(370)의 이동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동 접촉자부(400)는 가동 접촉자(410), 지지부(420), 요크부(430), 샤프트(440), 하우징(450), 상부 홀더(460) 및 하부 홀더(470)를 포함한다.
가동 접촉자(410)는 제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고정 접촉자(220)와 접촉된다. 이에 따라, 직류 릴레이(10)는 외부의 전원 및 부하와 통전된다. 또한, 가동 접촉자(410)는 제어 전원의 인가가 해제될 경우 고정 접촉자(220)와 이격된다. 이에 따라, 직류 릴레이(10)는 외부의 전원 및 부하와의 통전이 차단된다.
가동 접촉자(410)는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접촉자(220)와 접촉된 가동 접촉자(410)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가동 접촉자(410)는 고정 접촉자(22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가동 접촉자(410)의 상측은 요크부(430) 및 상부 홀더(460)에 의해 덮인다. 구체적으로, 가동 접촉자(410)의 상측에는 상부 요크(431) 및 상부 홀더(460)가 가동 접촉자(410)를 향하는 방향(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가동 접촉자(410)의 상측은 상부 홀더(460)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 상부 요크(431) 및 상부 홀더(460)는 가동 접촉자(410)의 폭 방향의 각 모서리,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및 후방 측을 감싸게 위치된다.
가동 접촉자(410)의 하측은 요크부(430), 하우징(450) 및 하부 홀더(470)에 의해 덮인다. 구체적으로, 가동 접촉자(410)의 하측에는 하부 요크(432), 하우징(450) 및 하부 홀더(470)가 가동 접촉자(410)에 반대되는 방향(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가동 접촉자(410)의 하측은 하부 요크(432)와 접촉될 수 있다.
가동 접촉자(410)는 지지부(420)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가동 접촉자(410)의 하측은 스프링(421)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또한, 가동 접촉자(410)에는 지지부(420)의 삽입 핀(422) 및 지지 핀(423)이 관통 결합된다.
이때, 가동 접촉자(410)가 고정 접촉자(220)에 반대되는 방향(즉, 하측)으로 임의 이동되지 않도록, 스프링(421)은 소정 길이만큼 압축된 상태에서 가동 접촉자(41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가동 접촉자(410)는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가동 접촉자(410)의 길이는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450)에 수용된 가동 접촉자(410)의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는 하우징(45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가동 접촉자(410)의 길이,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길이는 복수 개의 고정 접촉자(220)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가동 접촉자(410)가 그 길이 방향으로 소폭 이동되더라도, 가동 접촉자(410)와 고정 접촉자(220)의 접촉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다.
가동 접촉자(410)의 폭은 상부 홀더(46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462)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즉, 가동 접촉자(410)의 폭 방향의 각 면은 복수 개의 연결부(462)와 각각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접촉자(410)는 폭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임의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동 접촉자(410)는 삽입 홈(411) 및 삽입 홀(412)을 포함한다.
삽입 홈(411)은 지지부(420)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공간이다. 구체적으로, 삽입 홈(411)에는 지지부(420)의 삽입 핀(422) 및 지지 핀(423)이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삽입 홈(411)은 가동 접촉자(410)의 일 면에서 함몰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홈(411)은 상부 홀더(460)를 향하는 방향, 즉 상측 면에서 함몰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홈(411)은 그 단면이 원이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원통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이때, 삽입 홈(411)의 단면의 직경은 지지 핀(423)의 외경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 홈(411)의 형상은 삽입 핀(422) 및 지지 핀(423)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삽입 홈(411)의 내부, 즉, 삽입 홈(411)을 둘러싸는 외주의 방사상 내측에는 삽입 홀(412)이 형성된다.
삽입 홀(412)은 삽입 핀(422)이 관통 형성되는 공간이다. 삽입 홀(412)은 가동 접촉자(410)의 상기 일 면, 즉 상측 면에서 상하 방향(즉, 가동 접촉자(41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홀(412)은 그 단면이 원이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원통 형상의 중공부로 형성된다. 이때, 삽입 홀(412)의 단면의 직경은 삽입 홈(411)의 단면의 직경보다 작되, 삽입 핀(422)의 단면의 직경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 홀(412)의 형상은 삽입 핀(422)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지지부(420)는 가동 접촉자(410)를 지지한다. 지지부(420)에 의해, 가동 접촉자(410)는 가동 접촉자부(400)의 다른 구성 요소들과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지지부(420)는 복수 개의 방향에서 가동 접촉자(410)를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부(420)는 가동 접촉자(410)의 상측, 하측 및 가동 접촉자(410)를 관통하여 가동 접촉자(410)를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부(420)는 스프링(421), 삽입 핀(422) 및 지지 핀(423)을 포함한다.
스프링(421)은 가동 접촉자(410)를 탄성 지지한다. 코어부(300)가 작동되어 가동 접촉자(410)가 고정 접촉자(220)와 접촉되면, 가동 접촉자(410)와 고정 접촉자(220) 사이에는 전기적인 반발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421)은 가동 접촉자(410)를 하측에서 탄성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전기적인 반발력에도 불구하고 가동 접촉자(410)와 고정 접촉자(220)의 임의 이격이 방지될 수 있다.
스프링(421)은 형상 변화에 의해 복원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복원력을 다른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스프링(421)은 코일 스프링(coil spring)으로 구비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스프링(421)은 가동 접촉자(410) 및 하우징(450) 사이, 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스프링(421)은 가동 접촉자(410)의 하측에 위치된다. 스프링(421)의 상측 단부는 가동 접촉자(410)의 하측 면과 접촉된다. 스프링(421)의 하측 단부는 하우징(450)의 상측 면과 접촉된다.
스프링(421)은 가동 접촉자(410), 하우징(450) 및 상부 홀더(460)에 둘러싸인 공간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스프링(421)의 상측은 가동 접촉자(410) 및 상부 홀더(460)에 감싸진다. 또한, 스프링(421)의 외주,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및 후방 측은 상부 홀더(460)에 둘러싸인다. 더 나아가, 스프링(421)의 하측은 하우징(450)에 둘러싸인다.
스프링(421)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는 스프링(421)이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에는 지지부(420)의 삽입 핀(422)이 관통 삽입된다. 또한, 상기 중공부의 하측, 즉 하우징(450)을 향하는 일측은 하우징(450)의 지지 돌기(454)가 삽입된다.
따라서, 스프링(421)은 삽입 핀(422) 및 지지 돌기(454)에 의해, 가동 접촉자(410), 하우징(450) 및 상부 홀더(460)에 둘러싸인 공간에서 임의 이탈되지 않게 된다.
삽입 핀(422)은 가동 접촉자(410)에 관통 결합되어, 가동 접촉자(410)의 임의 요동을 방지한다. 삽입 핀(422)은 가동 접촉자(410)의 삽입 홈(411)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삽입 홀(412)에 관통 결합된다.
삽입 핀(422)은 스프링(421)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삽입 핀(422)은 스프링(421)의 내부에 형성되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부에 관통 결합된다.
삽입 핀(422)은 지지 핀(423)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삽입 핀(422)은 지지 핀(423)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관통 결합된다.
삽입 핀(422)은 요크부(43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삽입 핀(422)은 상부 요크(431)에 형성된 관통 홀(도면 부호 미표기) 및 하부 요크(432)에 형성된 관통 홀(도면 부호 미표기)에 각각 관통 결합된다.
삽입 핀(422)은 상부 홀더(46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삽입 핀(422)은 상부 홀더(460)에 관통 형성된 관통 개구부(467)에 관통 결합된다.
삽입 핀(422)은 하부 홀더(47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삽입 핀(422)은 하부 홀더(470)에 형성된 개구부(473)에 관통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핀(422)은 그 단면이 원형이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그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이때, 삽입 핀(422)의 단면의 직경은 삽입 홈(411) 및 삽입 홀(412)의 직경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삽입 핀(422)의 단면의 직경은 스프링(421)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의 단면의 직경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 핀(422)의 길이 방향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가동 접촉자부(40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삽입 핀(422)의 상기 상측 단부는 상부 요크(431)보다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삽입 핀(422)의 길이 방향의 타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하우징(450)의 지지 돌기(454)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핀(422)은 지지 돌기(454)에 의해 지지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지지 핀(423)은 가동 접촉자(410)와 결합되어, 가동 접촉자(410)의 임의 요동을 방지한다. 지지 핀(423)은 가동 접촉자(410)의 삽입 홈(411)에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지지 핀(423)은 삽입 핀(422)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삽입 핀(422)은 지지 핀(423)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중공부에 관통 결합된다.
지지 핀(423)은 요크부(43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핀(423)은 상부 요크(431)에 형성된 관통 홀(도면 부호 미표기)에 각각 관통 결합된다.
지지 핀(423)은 상부 홀더(46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핀(423)은 상부 홀더(460)에 관통 형성된 관통 개구부(467)에 관통 결합된다.
지지 핀(423)은 복수 개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핀(423)은 가동 접촉자(410)를 향하는 일측(즉, 하측)을 형성하며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환형으로 형성되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과 연속되며, 가동 접촉자(410)에 반대되는 방향(즉,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환형으로 형성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이때, 지지 핀(423)의 상기 제1 부분의 외경은 삽입 홈(411)의 직경 이하이되, 삽입 홀(412)의 직경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 핀(423)의 상기 제2 부분의 외경은 상부 요크(431)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 홀(도면 부호 미표기) 및 상부 홀더(460)에 형성된 관통 개구부(467)의 직경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요크부(430)는 제어 전원이 인가되어 고정 접촉자(220) 및 가동 접촉자부(400)가 접촉되어 발생되는 전기적인 반발력을 상쇄한다. 제어 전원이 인가되면, 요크부(430)는 자화되어 흡인력(attractive force)을 발생시킨다.
요크부(430)는 가동 접촉자(410)를 둘러싸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요크부(430)는 가동 접촉자(410)의 상측, 전방 측, 후방 측 및 하측을 둘러싼다.
요크부(4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요크부(43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가동 접촉자(410)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요크부(430)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 요크(431) 및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 요크(432)를 포함한다.
상부 요크(431)는 가동 접촉자(410)의 일측에서 가동 접촉자(410)를 덮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부 요크(431)는 상부 홀더(46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부 홀더(460)를 사이에 두고 가동 접촉자(410) 및 하부 홀더(470)를 마주하게 위치된다.
즉, 상부 요크(431)는 가동 접촉자부(400)의 외측에, 또한 가장 상측에 위치된다.
상부 요크(431)는 가동 접촉자(410)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부 요크(431)는 가동 접촉자(410)의 상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을 둘러싼다.
이를 위해, 상부 요크(431)는 가동 접촉자(410)를 상측에서 덮는 제1 부분, 제1 부분과 각각 연속되며, 하측으로 연장되어 가동 접촉자(410)를 전방 측 및 후방 측에서 각각 덮는 복수 개의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부분의 연장 길이(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는 상부 홀더(460)의 베이스(461)의 연장 길이(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분의 연장 길이(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의 연장 길이)는 상부 홀더(460)의 연결부(462)의 연장 길이(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요크(431)는 상부 홀더(460)의 상측을 덮되, 상부 홀더(460)의 전후 방향의 각 측면은 부분적으로 덮게 된다.
상부 요크(431)의 상기 제1 부분에는 관통 홀(도면 부호 미표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 홀에는 지지부(420)의 삽입 핀(422) 및 지지 핀(423)이 관통 결합된다.
상부 요크(431)의 상기 제1 부분에는 복수 개의 돌출부 및 함몰부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돌출부는 상기 제1 부분의 상측 면에 돌출 형성된다. 또한, 복수 개의 함몰부는 복수 개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 부분의 하측 면에 돌출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복수 개의 돌출부는 상부 홀더(460)에 반대되는 상기 제1 부분의 일측 면에, 복수 개의 함몰부는 상부 홀더(460)를 향하는 상기 제1 부분의 타측 면에 형성된다.
상기 복수 개의 함몰부에는 상부 홀더(460)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맞춤 돌기(466)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요크(431)와 상부 홀더(460)의 결합 방향 및 위치가 제한될 수 있다.
상부 요크(431)는 하부 요크(432)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요크(431)는 상부 홀더(460) 및 가동 접촉자(410)를 사이에 두고 하부 요크(432)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상부 홀더(460)는 하부 홀더(470)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부 요크(431)가 인가하는 흡인력에 의해, 하부 요크(432)는 가동 접촉자(410)를 상부 홀더(460)를 향해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상부 요크(431)는 자화되어 전자기적 흡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요크(431)가 형성하는 흡인력에 의해, 하부 요크(432)는 상부 요크(431)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을 향하는 힘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 요크(431)와 하부 요크(432) 사이에 위치되는 가동 접촉자(410)가 상부 요크(431)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을 향하는 방향의 힘을 받게 된다. 상기 방향은 가동 접촉자(410)가 고정 접촉자(220)를 향하는 방향과 같음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가동 접촉자(410)와 고정 접촉자(220)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기적인 반발력은 상부 요크(431)와 하부 요크(432)에 발생되는 흡인력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 접촉자(410)와 고정 접촉자(220)의 접촉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부 요크(431)는 전류의 인가 또는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어 하부 요크(432)와 흡인력을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요크(432)는 가동 접촉자(410)의 타측에서 가동 접촉자를 덮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부 요크(432)는 가동 접촉자(410)의 하측에 위치되어, 가동 접촉자(410)를 사이에 두고 상부 요크(431) 및 상부 홀더(460)를 마주하게 위치된다.
즉, 하부 요크(432)는 가동 접촉자부(400)의 내부에, 가동 접촉자(41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하부 요크(432)는 가동 접촉자(410)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부 요크(432)는 가동 접촉자(410)의 하측을 둘러싼다. 일 실시 예에서, 하부 요크(432)는 가동 접촉자(410)와 접촉될 수 있다.
하부 요크(432)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하부 요크(432)의 연장 방향은 가동 접촉자(410)의 연장 방향과 같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부 요크(432)는 가동 접촉자(410)의 연장 방향과 같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하부 요크(432)는 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부 요크(432)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각 모서리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사각 판형으로 구비된다.
가동 접촉자(410)를 향하는 하부 요크(432)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에는 복수 개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는 하부 요크(432)가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는 가동 접촉자(410)의 하측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에 삽입 결합된다(도 10 참조). 이에 따라, 하부 요크(432)와 가동 접촉자(410)의 결합 방향 및 위치가 제한될 수 있다.
하부 요크(432)는 상부 요크(431)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하부 요크(432)는 가동 접촉자(410) 및 상부 홀더(460)를 사이에 두고 상부 요크(431)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하부 요크(432)의 내부에는 관통 홀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 홀에는 지지부(420)의 스프링(421) 및 삽입 핀(422)이 관통 결합된다(도 10 참조).
하부 요크(432)는 전류의 인가 또는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어 상부 요크(431)와 흡인력을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440)는 가동 코어(370) 및 하우징(450)과 각각 결합된다. 샤프트(440)는 가동 코어(370)의 승강을 하우징(45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가동 코어(370)가 고정 코어(310)를 향해 상승되면, 샤프트(440) 및 가동 접촉자부(400)의 다른 구성 요소 또한 함께 상승된다.
결과적으로, 가동 접촉자(410)와 고정 접촉자(220)가 접촉되어, 직류 릴레이(10)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440)는 가동 접촉자부(400)와 가동 코어(370) 사이에서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샤프트(440)는 가동 접촉자부(400)를 향하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가 하우징(450)과 결합된다.
또한, 가동 코어(370)를 향하는 샤프트(44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가동 코어(370)에 관통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샤프트(44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이다.
샤프트(440)는 결합되는 부재 및 직경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샤프트(440)는 하우징(450)과 결합되고,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을 갖는 헤드부(441) 및 가동 코어(370)와 결합되고, 상대적으로 더 작은 직경을 갖는 나머지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샤프트(440)와 가동 코어(370)는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샤프트(440)와 가동 코어(370)는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440)와 하우징(450)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샤프트(440)의 헤드부(441)는 하우징(450)의 몸체부(451) 내부의 공간에 삽입 결합된다.
하우징(450)은 가동 접촉자부(400)의 몸체를 형성한다. 하우징(450)은 가동 접촉자(410)를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서 지지한다. 하우징(450)은 상부 홀더(460) 및 하부 홀더(470) 등과 결합되어 가동 접촉자(410)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450)은 샤프트(440)와 스프링(421) 사이에 위치된다.
하우징(450)은 샤프트(44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450)의 몸체부(451)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헤드부(441)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450)은 샤프트(44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하우징(450)은 스프링(421)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가동 접촉자(410)는 하우징(450)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하우징(45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홀더(470)가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하부 홀더(470)는 결합 돌기(472)가 외측으로 노출되게 하우징(450)의 상기 공간에 수용된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450)과 하부 홀더(470)는 인서트 사출의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하우징(45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450)은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가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하우징(450)의 형상은 가동 접촉자(41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450)은 그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450)은 전후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450)은 좌우 방향으로도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450)은 몸체부(451), 암(arm)부(452), 결합 공간부(453) 및 지지 돌기(454)를 포함한다.
몸체부(451)는 하우징(450)의 외형을 형성한다. 몸체부(451)는 일 방향 및 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부(451)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몸체부(451)의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는 가동 접촉자(410)의 전후 방향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몸체부(451)는 소정의 두께를 갖게 형성된다. 몸체부(451)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상기 소정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는 샤프트(440)의 헤드부(441)가 삽입된다. 복수 개의 상기 소정의 공간 중 다른 하나의 공간에는 하부 홀더(470)가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상기 소정의 공간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몸체부(451)의 내부에는 단일의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몸체부(451)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및 후방 측 각 모서리에는 암부(452) 및 결합 공간부(453)가 위치된다. 또한, 가동 접촉자(410)를 향하는 몸체부(451)의 일측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의 내부에는 지지 돌기(454)가 위치된다.
암부(452)는 결합 공간부(453)에 삽입된 상부 홀더(460)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지지한다. 또한, 암부(452)는 몸체부(451)와 함께 결합 공간부(453)를 형성한다.
암부(452)는 몸체부(451)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모서리에서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암부(452)는 몸체부(451)의 전방 측 모서리 및 후방 측 모서리에서 각각 연장 형성된다.
암부(452)가 연장되는 길이는 가동 접촉자부(400)가 수용되는 아크 챔버(210)의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암부(452)는 몸체부(451)와 함께 결합 공간부(453)를 형성한다. 암부(452)는 몸체부(451)와 함께 결합 공간부(453)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암부(452)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암부(452)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몸체부(451)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암부(452)는 두 쌍 형성되어, 각각 몸체부(451)의 전방 측 및 후방 측 모서리에서 연장된다.
또한, 각 쌍의 암부(452)는 몸체부(451)가 연장되는 다른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각 쌍의 암부(452)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몸체부(451)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와 각각 연속된다.
따라서, 몸체부(451)와 암부(452)에 둘러싸이는 결합 공간부(453)는 몸체부(451)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홀더(460)는 몸체부(451)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각 쌍의 암부(452)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는 상부 홀더(460)의 결합부(464)의 폭 방향(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길이와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홀더(460)는 몸체부(451)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각각 형성된 결합 공간부(453)에 수용되되, 그 폭 방향(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각 모서리가 암부(45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홀더(460)와 하우징(45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결합 공간부(453)는 상부 홀더(460)의 결합부(464)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결합 공간부(453)는 몸체부(451) 및 암부(452)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공간부(453)는 전방 측 및 후방 측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이 몸체부(451)에 둘러싸이고, 좌측 및 우측이 각각 한 쌍의 암부(452)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이때, 결합 공간부(453)의 폭,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길이는 상부 홀더(460)의 결합부(464)의 폭 방향 길이, 즉 좌우 방향의 길이와 같을 수 있다. 결합 공간부(453)의 상기 폭의 길이가 한 쌍의 암부(452)가 이격되는 거리와 같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결합 공간부(453)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450)은 전후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결합 공간부(453)는 몸체부(451)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결합 공간부(453)는 몸체부(451) 및 암부(452)에 둘러싸인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부(451)의 전방 측에 위치되는 결합 공간부(453)는 그 상측, 전방 측 및 하측이 외부와 연통된다. 또한, 몸체부(451)의 후방 측에 위치되는 결합 공간부(453)는 그 상측, 후방 측 및 그 하측이 외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부 홀더(460)의 결합부(464)는 결합 공간부(453)의 상측, 전방 측 또는 후방 측 및 하측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에서 결합 공간부(453)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 공간부(453)의 각 측 중 몸체부(451)에 감싸지는 방향에는 결합 돌기(472)가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홀더(470)는 몸체부(451)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하부 홀더(470)는 그 연장 방향(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에서 돌출되는 결합 돌기(472)를 포함한다.
이때, 결합 돌기(472)는 결합 공간부(453)에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상부 홀더(460)의 결합 홈(465)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지지 돌기(454)는 스프링(421)의 중공부에 삽입된다. 스프링(421)은 몸체부(451)에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 돌기(454)에 의해 임의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지지 돌기(454)는 삽입 핀(422)의 연장 방향의 타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를 지지한다. 지지 돌기(454)에 의해, 삽입 핀(422)이 하측으로 이동되는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지지 돌기(454)는 몸체부(451)의 내부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돌기(454)는 가동 접촉자(410)를 향하는 몸체부(451)의 일측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에서 가동 접촉자(41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지지 돌기(454)의 위치는 스프링(421)의 위치에 상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돌기(454)는 그 단면이 스프링(421) 및 삽입 핀(422)의 단면의 중심과 같은 중심을 갖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지지 돌기(454)는 그 단면의 중심이 가동 접촉자(410)의 삽입 홈(411) 및 삽입 홀(412), 상부 요크(431) 및 하부 요크(432)에 각각 형성된 관통 홀, 하부 홀더(470)의 개구부(473)와 각각 같은 중심축을 갖게 위치될 수 있다.
지지 돌기(454)는 스프링(421)과 삽입 핀(422)을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돌기(454)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가동 접촉자(410)를 향하는 방향(즉,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지지 돌기(454)는 하부 홀더(470)의 개구부(473)에 관통된다. 이때, 지지 돌기(454)의 단면의 직경은 개구부(473)의 직경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홀더(460)는 가동 접촉자(410)를 부분적으로 감싼다. 또한, 상부 홀더(460)는 하우징(450) 및 하부 홀더(470)와 결합되어, 가동 접촉자(41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부 홀더(460)는 하우징(450)에 반대되는 가동 접촉자(4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 위치된다. 상부 홀더(460)는 가동 접촉자(410)를 사이에 두고 하우징(450)을 마주하게 위치된다.
상부 홀더(460)는 상부 요크(431) 및 가동 접촉자(410) 사이에 위치된다. 즉, 상부 홀더(460)는 상부 요크(431)의 하측 및 가동 접촉자(410)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부 홀더(460)는 상부 요크(431)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부 요크(431)는 상부 홀더(460)의 상측 및 전방 측 일부 및 후방 측 일부를 덮으며 상부 홀더(460)와 결합된다.
이때, 상부 홀더(460)에 형성되는 맞춤 돌기(466)가 상부 요크(431)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함몰부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부 홀더(460)와 상부 요크(431)의 결합 방향 및 위치가 제한될 수 있다.
상부 홀더(460)는 가동 접촉자(41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부 홀더(460)는 가동 접촉자(410)의 상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의 각 일부를 둘러싸며 가동 접촉자(410)와 결합된다.
상부 홀더(460)는 하우징(45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부 홀더(460)의 하측에 위치되는 결합부(464)는 하우징(450)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 공간부(453)에 삽입된다.
상부 홀더(460)는 하부 홀더(47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홀더(460)의 결합 홈(465)에 하부 홀더(470)의 결합 돌기(472)가 삽입되어, 상부 홀더(460)와 하부 홀더(470)가 결합된다.
상부 홀더(460)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결합 홈(465)에 결합 돌기(472)가 삽입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결합부(464)는 하우징(450)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형상 변형되어 결합 홈(465)과 결합 돌기(472)가 맞춰진 후,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며 결합 돌기(472)가 결합 홈(465)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홀더(460)는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 접촉자(410) 또는 고정 접촉자(220)와의 임의 통전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상부 홀더(460)는 SUS304 등의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부 홀더(460)는 합성 수지 소재의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홀더(460)는 소정의 길이의 폭(즉, 좌우 방향의 길이)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베이스(461), 연결부(462), 완충부(463) 및 결합부(464)는 상기 소정의 길이의 폭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부 홀더(460)는 베이스(461), 연결부(462), 완충부(463), 결합부(464), 결합 홈(465), 맞춤 돌기(466) 및 관통 개구부(467)를 포함한다.
베이스(461)는 상부 요크(431)를 향하는 상부 홀더(46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을 형성한다. 베이스(461)는 상부 요크(431)와 가동 접촉자(410) 사이에 위치된다.
베이스(461)는 상부 요크(431)에 의해 덮인다.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461)는 상부 요크(431)와 접촉될 수 있다.
베이스(461)는 가동 접촉자(410)를 덮는다.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461)는 가동 접촉자(410)와 접촉될 수 있다.
베이스(461)는 상부 요크(431)가 연장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베이스(461)는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가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더 길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판 형으로 형성된다.
상부 요크(431)를 향하는 베이스(46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에는 맞춤 돌기(466)가 위치된다.
베이스(461)가 더 길게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의 각 모서리는 연결부(462)와 연속된다.
연결부(462)는 하부 홀더(470)를 향하는 상부 홀더(46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일부 및 후방 측 일부를 형성한다.
연결부(462)는 베이스(461)와 연속된다. 또한, 연결부(46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결부(462)는 두 개 구비되어, 베이스(461)의 전방 측 및 후방 측 모서리와 각각 연속된다.
연결부(462)는 베이스(461)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결부(462)는 베이스(461)에 대해 수직하게 하부 홀더(470)를 향하는 방향, 즉 하측으로 연장된다.
연결부(462)는 가동 접촉자(410)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결부(462)는 가동 접촉자(410)의 전방 측 일부 및 후방 측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베이스(461)를 향하는 연결부(462)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베이스(461)와 연속된다. 베이스(461)에 반대되는 연결부(462)의 타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완충부(463)와 연속된다.
완충부(463)는 가동 접촉자(410)가 수용되는 공간을 부분적으로 감싼다. 완충부(463)는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는 복수 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완충부(463)는 상부 홀더(460)에 인가되는 외력을 완충할 수 있다. 즉, 상부 홀더(460)에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의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완충부(463)의 상기 복수 개의 부분에 의해 상부 홀더(460)의 형상 변형 또는 변위가 최소화될 수 있다.
완충부(463)는 연결부(462)와 연속된다. 구체적으로, 완충부(463)는 연결부(462)를 향하는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가 연결부(462)의 하측 단부와 연속된다.
완충부(463)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완충부(463)는 두 개 구비되어, 전방 측의 연결부(462) 및 후방 측의 연결부(462)와 각각 연속된다.
완충부(463)는 연결부(462)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결부(462)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완충부(463)는 연결부(462)에 대해 수직하게 가동 접촉자(410)가 수용되는 공간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즉, 전방 측에 위치되는 완충부(463)는 전방 측으로, 후방 측에 위치되는 완충부(463)는 후방 측으로 연장된다.
완충부(463)는 결합부(464)와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완충부(463)는 그 하측 단부가 결합부(464)의 상측 단부와 연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완충부(463)는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되는 복수 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완충부(463)는 제1 절곡부(463a), 제2 절곡부(463b) 및 제3 절곡부(463c)를 포함한다.
제1 절곡부(463a)는 연결부(462)를 향하는 완충부(463)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을 형성한다. 제1 절곡부(463a)는 연결부(462)의 하측 단부와 연속된다.
제1 절곡부(463a)는 연결부(462)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절곡부(463a)는 연결부(462)에 대해 수직하게, 가동 접촉자(410)가 수용되는 공간에 반대되게 연장된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절곡부(463a)는 전방 측을 향해 연장된다. 또한,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절곡부(463a)는 후방 측을 향해 연장된다.
제1 절곡부(463a)는 제2 절곡부(463b)와 연속된다.
제2 절곡부(463b)는 완충부(463)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중간 부분을 형성한다. 제2 절곡부(463b)는 제1 절곡부(463a)의 외측 단부와 연속된다.
구체적으로,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절곡부(463b)는 제1 절곡부(463a)의 전방 측 단부와 연속된다.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절곡부(463b)는 제1 절곡부(463a)의 후방 측 단부와 연속된다.
제2 절곡부(463b)는 제1 절곡부(463a)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절곡부(463b)는 제1 절곡부(463a)에 대해 수직하게, 하부 홀더(470)를 향하는 방향, 즉 하측으로 연장된다.
제2 절곡부(463b)는 제3 절곡부(463c)와 연속된다.
제3 절곡부(463c)는 완충부(463)의 나머지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을 형성한다. 제3 절곡부(463c)는 제2 절곡부(463b)의 하측 단부와 연속된다.
제3 절곡부(463c)는 제2 절곡부(463b)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3 절곡부(463c)는 제2 절곡부(463b)에 대해 수직하게, 가동 접촉자(410)가 수용되는 공간을 향해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3 절곡부(463c)는 후방 측을 향해 연장된다.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3 절곡부(463c)는 전방 측을 향해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절곡부(463a)의 내측 단부와 제3 절곡부(463c)의 내측 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게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 측에 위치되는 완충부(463)의 제1 절곡부(463a) 및 제3 절곡부(463c)의 후방 측 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같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후방 측에 위치되는 완충부(463)의 제1 절곡부(463a) 및 제3 절곡부(463c)의 전방 측 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같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완충부(463)는 그 단면의 형상이, 외측, 즉 가동 접촉자(410)가 수용되는 공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되는 완충부(463)는 전방 측을 향해 돌출된 요철 형상이다. 또한, 후방 측에 위치되는 완충부(463)는 후방 측을 향해 돌출된 요철 형상이다.
제3 절곡부(463c)는 결합부(464)와 연속된다.
결합부(464)는 상부 홀더(460)가 하우징(450) 및 하부 홀더(47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결합부(464)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부(464)는 두 개 구비되어, 각각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위치된다.
결합부(464)는 하우징(450)의 결합 공간부(453)에 수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 공간부(453)는 하우징(450)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에, 복수 개의 결합부(464)는 하우징(450)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각 결합 공간부(453)에 각각 삽입된다.
결합부(464)는 암부(452)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결합부(464)는 그 폭 방향(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각 모서리가 암부(452)에 의해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450)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에는 각각 한 쌍의 암부(452)가 위치된다. 또한, 각 쌍의 암부(452)는 결합부(464)의 폭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이에, 결합부(464)가 결합 공간부(453)에 삽입되면, 결합부(464)의 좌우 방향의 각 모서리는 서로 이격된 각 쌍의 암부(45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464)의 좌우 방향의 각 모서리는 각 쌍의 암부(452)의 내측 면(즉, 각 쌍의 암부(452)가 서로 마주하는 각 면)과 접촉될 수 있다.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 공간부(453)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 길이는 각 쌍의 암부(452)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에, 결합부(464)는 각 쌍의 암부(452)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 이하의 폭(즉, 좌우 방향의 길이)을 갖게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464)의 폭은 결합 공간부(453)의 폭 방향의 길이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결합 공간부(453)에 삽입된 결합부(464)의 폭 방향의 각 모서리가 암부(452)에 의해 밀착 지지되어, 상부 홀더(460)와 하우징(45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464)는 완충부(463)와 연속된다. 구체적으로, 결합부(464)는 하부 홀더(470)에 반대되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가 제3 절곡부(463c)의 내측 단부와 연속된다.
결합부(464)는 완충부(463)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464)는 제3 절곡부(463c)에 대해 수직하게, 하우징(450) 및 하부 홀더(47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결합부(464)는 그 연장 방향을 따라 그 두께(즉, 전후 방향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부(464)는 하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특히, 결합부(464)의 하측 단부는 상측을 따라 하우징(450)의 몸체부(451)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홀더(460)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하우징(450)과 결합될 때, 결합부(464)의 상기 하측 단부가 결합 공간부(453)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결합부(464)의 내부에는 결합 홈(465)이 관통 형성된다.
결합 홈(465)은 상부 홀더(460)가 하부 홀더(47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결합 홈(465)에는 하부 홀더(470)의 결합 돌기(472)가 관통 결합된다.
결합 홈(465)은 결합부(464)에 관통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결합 홈(465)은 가동 접촉자(410)가 수용되는 상기 공간을 향하는 방향 및 그에 반대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홈(465)은 좌우 방향의 길이가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의 단면을 갖게 형성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결합 홈(465)의 형상은 결합 돌기(472)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홈(465)은 결합부(464)의 중심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 홈(465)의 단면의 중심은 결합부(464)의 중심과 같을 수 있다. 결합 홈(465)의 위치는 결합 돌기(472)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때, 결합 돌기(472)는 결합부(464)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외측으로 돌출된다. 즉, 전방 측에 위치되는 결합 돌기(472)는 전방 측의 결합부(464)보다 더 전방 측에 위치된다. 마찬가지로, 후방 측에 위치되는 결합 돌기(472)는 후방 측의 결합부(464)보다 더 후방 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결합 돌기(472)가 결합 홈(465)에 삽입되기 위해서는, 결합부(464)가 외측을 향해 소정 거리만큼 형상 변형되어야 한다. 또한, 결합 돌기(472)가 결합 홈(465)에 삽입된 후, 결합부(464)는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어야 한다.
이에, 결합부(464)는 상기와 같은 형상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맞춤 돌기(466)는 상부 요크(431)에 함몰 형성된 맞춤 홈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부 요크(431)와 상부 홀더(460)의 결합 방향 및 위치가 제한될 수 있다.
맞춤 돌기(466)는 상부 요크(431)를 향하는 상부 홀더(460)의 일측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 예에서, 맞춤 돌기(466)는 베이스(461)의 상측 면에서 상부 요크(431)를 향하는 방향(즉,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맞춤 돌기(466)는 상부 요크(431)의 맞춤 홈에 삽입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맞춤 돌기(466)는 그 단면이 원형이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이다. 맞춤 돌기(466)의 형상은 맞춤 홈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맞춤 돌기(466)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맞춤 돌기(466)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맞춤 돌기(466)는 두 개 구비되어, 관통 개구부(467)를 사이에 두고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맞춤 돌기(466)의 개수 및 위치는 상부 요크(431)의 맞춤 홈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관통 개구부(467)는 지지부(420)가 관통 결합되는 부분이다. 관통 개구부(467)는 상부 홀더(46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관통 개구부(467)는 베이스(461)의 내부에, 베이스(461)의 두께 방향(즉,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관통 개구부(467)는 상부 요크(431)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 홀(도면 부호 미표기), 가동 접촉자(410)의 삽입 홀(412), 하부 요크(432)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 홀(도면 부호 미표기) 및 스프링(421)의 중공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지지부(420)의 삽입 핀(422)은 가동 접촉자(410), 스프링(421), 요크부(430) 및 상부 홀더(46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420)의 지지 핀(423)은 가동 접촉자(410), 상부 요크(431) 및 상부 홀더(46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통 개구부(467)는 상부 요크(431)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 홀(도면 부호 미표기), 가동 접촉자(410)의 삽입 홀(412), 하부 요크(432)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 홀(도면 부호 미표기) 및 스프링(421)의 중공부와 같은 중심축을 갖게 형성 및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관통 개구부(467)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관통 개구부(467)를 둘러싸는 면, 즉 베이스(461)의 내주는 지지 핀(423)의 상기 제2 부분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핀(423)은 상부 홀더(460)에 의해 덮이게 되어, 가동 접촉자(410)에서 임의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관통 개구부(467)의 위치 및 형상은 지지부(420)의 삽입 핀(422) 또는 지지 핀(423)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하부 홀더(470)는 가동 접촉자(410)를 부분적으로 감싼다. 또한, 하부 홀더(470)는 상부 홀더(460)와 결합되어, 가동 접촉자(41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하부 홀더(470)는 하우징(45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하부 홀더(470)는 하우징(450)의 내부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에 수용된다. 하부 홀더(470)는 하우징(45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부 홀더(470)와 하우징(450)은 인서트 사출 성형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홀더(470)는 하우징(450)과 마찬가지로, 가동 접촉자(410) 및 상부 홀더(460)의 하측에 위치된다. 또한, 하부 홀더(470)는 하우징(450)과 함께 가동 접촉자(410)가 수용되는 공간의 하측을 둘러싼다.
하부 홀더(470)는 부분적으로 하우징(450)의 외측에 노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부 홀더(470)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결합 돌기(472)가 외측으로 노출된다. 이에, 하부 홀더(470)는 결합 돌기(472)를 통해 상부 홀더(460)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홀더(470)는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 길이의 폭(즉, 좌우 방향의 길이)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부 홀더(470)는 평판부(471), 결합 돌기(472) 및 개구부(473)를 포함한다.
평판부(471)는 하부 홀더(470)의 몸체를 형성한다. 평판부(471)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하우징(45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평판부(471)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사각의 판형으로 구비된다.
이때, 평판부(471)의 각 방향의 길이는 하우징(450)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판부(471)가 하우징(45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공간에 수용되어, 외부에 임의 노출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평판부(471)의 형상은 하우징(45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평판부(471)의 내부에는 개구부(473)가 위치된다. 하우징(450)의 지지 돌기(454)는 개구부(473)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평판부(471)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의 각 단부에는 결합 돌기(472)가 위치된다.
결합 돌기(472)는 상부 홀더(460)의 결합 홈(465)에 삽입 결합된다. 이에 따라, 하부 홀더(470)와 상부 홀더(46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돌기(472)는 평판부(471)와 연속된다. 또한, 결합 돌기(472)는 복수 개 구비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평판부(471)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돌기(472)는 두 개 구비되어, 평판부(471)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 즉 평판부(471)의 전후 방향의 각 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 돌기(472)와 평판부(47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돌기(472)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사각판형으로 형성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결합 돌기(472)의 형상은 결합 홈(465)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결합 돌기(472)는 하우징(450)의 몸체부(451)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구체적으로, 결합 돌기(472)는 몸체부(451)의 길이 방향(즉, 전후 방향)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 공간부(453)에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상부 홀더(460)의 결합 홈(465)은 노출된 결합 돌기(472)와 결합될 수 있다.
개구부(473)는 하우징(450)의 지지 돌기(454)가 관통 결합되는 공간이다. 개구부(473)는 평판부(471)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개구부(473)는 평판부(471)의 내부에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개구부(473)는 평판부(471)의 중심과 같은 중심축을 갖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개구부(473)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된다. 개구부(473)의 위치 및 형상은 지지 돌기(454)의 위치 및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개구부(473)에 지지 돌기(454)가 관통 결합됨에 따라, 하우징(450)과 하부 홀더(47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홀더(460)의 결합 홈(465) 및 하부 홀더(470)의 결합 돌기(472)는 그 형상, 개수 및 배치 방식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 내지 도 18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돌기(472)는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가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길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사각 판형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 결합 돌기(472)는 전후 방향의 각 결합 공간부(453)에 각각 단수 개씩 위치된다.
도 19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돌기(472)는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가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길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복수 개의 사각 판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결합 돌기(472)는 전후 방향의 각 결합 공간부(453)에 각각 복수 개씩 구비된다. 이때, 각 결합 돌기(472)의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는 도 4 내지 도 18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결합 돌기(472)의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짧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복수 개의 각 결합 돌기(472)는 그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위치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각 결합 돌기(472)의 상하 방향의 위치는 같을 수 있다.
이때, 상부 홀더(460)의 결합부(464)에 형성되는 결합 홈(465) 또한 결합 돌기(472)의 개수, 형상 및 위치 관계에 따라 변경된다.
즉, 도 19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홈(465) 또한 그 단면의 형상이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가 상하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 결합 홈(465)은 복수 개 구비되어,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도 20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돌기(472)는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가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길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복수 개의 사각 판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결합 돌기(472)는 전후 방향의 각 결합 공간부(453)에 각각 복수 개씩 구비된다. 이때, 각 결합 돌기(472)의 상하 방향의 길이, 즉 두께는 도 4 내지 도 18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결합 돌기(472)의 두께보다 얇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복수 개의 각 결합 돌기(472)는 그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위치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각 결합 돌기(472)의 좌우 방향의 위치는 같을 수 있다.
이때, 상부 홀더(460)의 결합부(464)에 형성되는 결합 홈(465) 또한 결합 돌기(472)의 개수, 형상 및 위치 관계에 따라 변경된다.
즉, 도 20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홈(465) 또한 그 단면의 형상이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가 상하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되, 도 4 내지 도 18에 도시된 실시 예보다 상하 방향의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 결합 홈(465)은 복수 개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도 2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돌기(472)는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가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길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복수 개의 사각 판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결합 돌기(472)는 전후 방향의 각 결합 공간부(453)에 각각 복수 개씩 구비된다. 이때, 각 결합 돌기(472)의 좌우 방향의 길이 ,그리고 상하 방향의 길이, 즉 두께는 도 4 내지 도 18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결합 돌기(472)의 두께보다 얇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복수 개의 각 결합 돌기(472)는 그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위치된다. 즉, 상기 실시 예에서, 각 결합 돌기(472)는 좌상측 및 우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상부 홀더(460)의 결합부(464)에 형성되는 결합 홈(465) 또한 결합 돌기(472)의 개수, 형상 및 위치 관계에 따라 변경된다.
즉, 도 2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홈(465) 또한 그 단면의 형상이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가 상하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되, 도 4 내지 도 18에 도시된 실시 예보다 상하 방향의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결합 홈(465)의 상하 방향의 길이 또한 도 4 내지 도 18에 도시된 실시 예보다 짧게 형성됨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 결합 홈(465)은 복수 개 구비되어, 결합 돌기(472)의 배치 방식, 즉 좌상측 및 우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도 2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돌기(472)는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단면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원통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결합 돌기(472)는 전후 방향의 각 결합 공간부(453)에 각각 복수 개씩 구비된다. 이때, 각 결합 돌기(472)의 직경은 도 4 내지 도 18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결합 돌기(472)의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짧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복수 개의 각 결합 돌기(472)는 결합 공간부(453)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위치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각 결합 돌기(472)의 상하 방향의 위치는 같을 수 있다.
이때, 상부 홀더(460)의 결합부(464)에 형성되는 결합 홈(465) 또한 결합 돌기(472)의 개수, 형상 및 위치 관계에 따라 변경된다.
즉, 도 2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홈(465) 또한 그 단면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 결합 홈(465)은 복수 개 구비되어,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이에, 결합 돌기(472) 및 결합 홈(465)의 형상, 위치 및 배치 방식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결합 돌기(472) 및 결합 홈(465)이 각각 복수 개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상부 홀더(460)와 하부 홀더(470)가 복수 개의 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홀더(460)와 하부 홀더(470)의 결합 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4.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동 접촉자부(500)의 설명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10)는 가동 접촉자부(50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가동 접촉자부(500)는 그 기능 및 구조가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가동 접촉자부(400)와 대응된다. 다만, 본 실시 예에 다른 가동 접촉자부(500)는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가동 접촉자부(400)와 일부 구성 요소에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가동 접촉자부(500)는 상부 홀더(560)에 형성된 결합 돌기(565)가 하부 홀더(570)에 형성된 결합 홈(572)에 삽입 결합된다는 점에서,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가동 접촉자부(400)와 차이가 있다.
이에, 이하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가동 접촉자부(500)를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가동 접촉자부(40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동 접촉자부(500)는 가동 접촉자(510), 지지부(520), 요크부(530), 샤프트(540), 하우징(550), 상부 홀더(560) 및 하부 홀더(570)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 요소 중, 가동 접촉자(510), 지지부(520), 요크부(530) 및 샤프트(540)는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가동 접촉자(410), 지지부(420), 요크부(430) 및 샤프트(440)와 그 구조, 기능 및 결합 구조 등이 동일하다.
하우징(550)은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450)과 그 구조 및 기능이 대부분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550)은 하부 홀더(570)가 수용되는 공간 및 결합 공간부(553)와 연통되는 홈이 형성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550)은, 상부 홀더(560)의 결합 돌기(565)가 하부 홀더(570)의 결합 홈(572)에 삽입되기 위한 통로로 기능되는 홈을 포함한다.
상기 홈은 하우징(550) 내부에 형성되어 하부 홀더(570)가 수용되는 공간 및 결합 공간부(553)와 연통된다. 따라서, 결합 공간부(553)에 수용된 상부 홀더(560)의 결합 돌기(565)는 상기 홈을 거쳐 하부 홀더(570)의 결합 홈(57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홈의 형상은 결합 돌기(565) 및 결합 홈(572)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홈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홈은 결합 공간부(513)에 반대되는 방향, 즉 하부 홀더(570)를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부 홀더(560)는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홀더(460)와 그 구조 및 기능이 대부분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홀더(560)는 하부 홀더(570)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 돌기(565)를 포함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상부 홀더(560)의 결합부(564)에는 결합 홈이 관통 형성되지 않고, 하부 홀더(57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 돌기(565)가 구비된다.
결합 돌기(565)는 하우징(550)에 형성된 상기 홈을 통과하여, 하부 홀더(570)에 형성되는 결합 홈(572)에 삽입 결합된다. 이때, 결합부(564)가 형상 변형 및 복원되며 결합 돌기(565)가 결합 홈(572)에 삽입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결합 돌기(565)는 결합 홈(572)의 형상 및 위치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돌기(565)는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가 상하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긴 직사각의 단면을 갖고, 하부 홀더(570)를 향해 연장되는 사각기둥 형상이다.
하부 홀더(570)는 상술한 실시 예에 다른 하부 홀더(470)와 그 구조 및 기능이 대부분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홀더(570)는 상부 홀더(560)의 결합 돌기(565)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 홈(572)을 포함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하부 홀더(570)에는 결합 공간부(553)에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결합 돌기가 구비되지 않고, 상부 홀더(560)의 결합 돌기(565)가 삽입되는 결합 홈(572)이 구비된다.
결합 홈(572)은 하부 홀더(570)의 평판부(571)의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결합 홈(572)은 평판부(571)의 길이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및 후방 측의 각 단부에 함몰 형성된다.
이에, 결합 홈(572)은 결합 돌기(565)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결합 홈(572)은 하우징(550)에 형성되는 상기 홈과 연통된다. 또한, 결합 홈(572)은 결합 공간부(553)와 연통된다. 이에, 결합 돌기(565)는 상기 홈을 통과하여 결합 홈(572)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 홈(572)은 결합 돌기(565)의 형상 및 위치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홈(572)은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가 상하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긴 직사각의 단면을 갖고, 결합 돌기(565)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가동 접촉자부(400)와 같이, 결합 돌기(565) 및 결합 홈(572)의 형상, 개수 및 배치 방식은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직류 릴레이
100: 프레임부
110: 상부 프레임
120: 하부 프레임
130: 절연 플레이트
140: 지지 플레이트
200: 개폐부
210: 아크 챔버
220: 고정 접촉자
220a: 제1 고정 접촉자
220b: 제2 고정 접촉자
230: 씰링 부재
300: 코어부
310: 고정 코어
320: 바닥부
330: 요크
340: 보빈
350: 코일
360: 실린더
370: 가동 코어
380: 탄성부
40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동 접촉자부
410: 가동 접촉자
411: 삽입 홈
412: 삽입 홀
420: 지지부
421: 스프링
422: 삽입 핀
423: 지지 핀
430: 요크부
431: 상부 요크
432: 하부 요크
440: 샤프트
441: 헤드부
450: 하우징
451: 몸체부
452: 암(arm)부
453: 결합 공간부
454: 지지 돌기
460: 상부 홀더
461: 베이스
462: 연결부
463: 완충부
463a: 제1 절곡부
463b: 제2 절곡부
463c: 제3 절곡부
464: 결합부
465: 결합 홈
466: 맞춤 돌기
467: 관통 개구부
470: 하부 홀더
471: 평판부
472: 결합 돌기
473: 개구부
500: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동 접촉자부
510: 가동 접촉자
511: 삽입 홈
512: 삽입 홀
520: 지지부
521: 스프링
522: 삽입 핀
523: 지지 핀
530: 요크부
531: 상부 요크
532: 하부 요크
540: 샤프트
541: 헤드부
550: 하우징
551: 몸체부
552: 암(arm)부
553: 결합 공간부
554: 지지 돌기
560: 상부 홀더
561: 베이스
562: 연결부
563: 절곡부
563a: 제1 절곡부
563b: 제2 절곡부
563c: 제3 절곡부
564: 결합부
565: 결합 돌기
566: 맞춤 돌기
567: 관통 개구부
570: 하부 홀더
571: 평판부
572: 결합 홈
573: 개구부

Claims (20)

  1. 가동 접촉자;
    상기 가동 접촉자를 일측에서 감싸는 상부 홀더;
    상기 가동 접촉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홀더를 마주하게 위치되어, 상기 가동 접촉자를 타측에서 감싸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상기 상부 홀더와 결합되는 하부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홀더 및 상기 하부 홀더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상부 홀더 및 상기 하부 홀더 중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결합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홀더 및 상기 하부 홀더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 돌기를 수용하는 결합 홈이 형성되는,
    가동 접촉자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가동 접촉자를 일측에서 감싸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연속되며, 상기 하부 홀더를 향해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결합 홈이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홀더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일 방향의 단부에 상기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평판부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일 방향의 각 단부와 각각 연속되고,
    상기 결합 홈은 복수 개의 상기 결합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결합 돌기는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평판부의 상기 일 방향의 각 단부에 각각 위치되는,
    가동 접촉자부.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는 상기 결합 홈은 각각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평판부의 상기 일 방향의 각 단부에 위치되는 상기 결합 돌기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 홈에는, 상기 평판부의 상기 일 방향의 각 단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단부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 돌기가 결합되는,
    가동 접촉자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타 방향의 폭을 갖게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 홈은, 상기 타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평판부의 상기 일 방향의 각 단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단부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타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가동 접촉자부.
  6. 제4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결합부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 홈은, 상기 베이스를 향하는 방향 및 상기 베이스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평판부의 상기 일 방향의 각 단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단부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베이스를 향하는 방향 및 상기 베이스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가동 접촉자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타 방향의 폭을 갖게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 홈은, 상기 타 방향으로 경사지게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평판부의 상기 일 방향의 각 단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단부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타 방향으로 경사지게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가동 접촉자부.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타 방향의 폭을 갖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 홈 및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타 방향의 폭이 상기 베이스를 향하는 방향 및 상기 베이스에 반대되는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가동 접촉자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가동 접촉자를 일측에서 감싸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연속되며, 상기 하부 홀더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결합 돌기가 위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홀더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일 방향의 단부에서 상기 결합부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 홈이 함몰 형성되는 평판부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결합부를 마주하는 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하부 홀더가 수용되는 내부의 공간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각각 연통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홈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홈과 연통되어,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홈 및 상기 결합 홈에 삽입되는,
    가동 접촉자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가동 접촉자를 일측에서 감싸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연속되며, 상기 하부 홀더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결합 돌기 및 상기 결합 홈 중 어느 하나가 위치되며, 타 방향의 폭을 갖게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부 홀더를 수용하는 몸체부;
    상기 결합부를 향하는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고, 서로 상기 타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암부; 및
    상기 몸체부 및 복수 개의 상기 암부에 둘러싸여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를 수용하는 결합 공간부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부.
  12. 제1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암부는, 상기 결합부의 폭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 이격되어,
    상기 결합 공간부에 수용된 상기 결합부는, 복수 개의 상기 암부에 의해 상기 타 방향의 각 단부가 지지되는,
    가동 접촉자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가동 접촉자를 일측에서 감싸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기 일 방향의 각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하부 홀더를 향해 연장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연속되며, 복수 개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와 연속되며, 상기 하부 홀더를 향해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결합 홈이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홀더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일 방향의 단부에 상기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평판부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부.
  14. 가동 접촉자;
    상기 가동 접촉자를 일측에서 감싸고,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상부 홀더;
    상기 가동 접촉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홀더를 마주하게 위치되어, 상기 가동 접촉자를 타측에서 감싸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상기 상부 홀더와 결합되는 하부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감싸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연속되며, 상기 하부 홀더를 향해 연장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연속되며, 상기 하부 홀더를 향해 연장되는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와 연속되며, 상기 하부 홀더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연결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가동 접촉자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하부 홀더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가동 접촉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절곡부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부.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그 단면이 상기 가동 접촉자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동 접촉자부.
  17.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 접촉자;
    상기 고정 접촉자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 접촉자와 접촉 및 이격되는 가동 접촉자;
    상기 가동 접촉자와 상기 고정 접촉자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가동 접촉자의 상측을 둘러싸는 상부 홀더;
    상기 가동 접촉자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가동 접촉자의 하측을 감싸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상기 상부 홀더와 결합되는 하부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홀더 및 상기 하부 홀더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상부 홀더 및 상기 하부 홀더 중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결합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홀더 및 상기 하부 홀더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 돌기를 수용하는 결합 홈이 형성되는,
    직류 릴레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가동 접촉자를 상측에서 감싸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연속되며, 상기 하부 홀더를 향해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결합 홈이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홀더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일 방향의 단부에 상기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평판부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가동 접촉자를 상측에서 감싸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연속되며, 상기 하부 홀더를 향해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하부 홀더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홀더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일 방향의 단부에 상기 결합 홈이 상기 결합부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평판부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가동 접촉자를 상측에서 감싸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연속되며, 상기 하부 홀더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결합 돌기 및 상기 결합 홈 중 어느 하나가 위치되며, 타 방향의 폭을 갖게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부 홀더를 수용하는 몸체부;
    상기 결합부를 향하는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고, 서로 상기 타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의 폭만큼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암부; 및
    상기 몸체부 및 복수 개의 상기 암부에 둘러싸여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를 수용하는 결합 공간부를 포함하여,
    상기 결합 공간부에 수용된 상기 결합부는, 복수 개의 상기 암부에 의해 상기 타 방향의 각 단부가 지지되는,
    직류 릴레이.
KR1020200124939A 2020-09-25 2020-09-25 가동 접촉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531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939A KR102531476B1 (ko) 2020-09-25 2020-09-25 가동 접촉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CN202180065914.4A CN116325056A (zh) 2020-09-25 2021-07-02 可动触头部及包括其的直流继电器
EP21872675.0A EP4220679A1 (en) 2020-09-25 2021-07-02 Movable contact part and dc relay including same
PCT/KR2021/008413 WO2022065638A1 (ko) 2020-09-25 2021-07-02 가동 접촉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US18/028,721 US20230335363A1 (en) 2020-09-25 2021-07-02 Movable contact part and dc relay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939A KR102531476B1 (ko) 2020-09-25 2020-09-25 가동 접촉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557A true KR20220041557A (ko) 2022-04-01
KR102531476B1 KR102531476B1 (ko) 2023-05-11

Family

ID=80846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939A KR102531476B1 (ko) 2020-09-25 2020-09-25 가동 접촉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35363A1 (ko)
EP (1) EP4220679A1 (ko)
KR (1) KR102531476B1 (ko)
CN (1) CN116325056A (ko)
WO (1) WO202206563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6902A (ja) * 2001-07-04 2003-01-17 Fuji Electric Co Ltd 回路遮断器
JP2019179693A (ja) * 2018-03-30 2019-10-17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レー
KR20200000312A (ko) * 2018-08-31 2020-01-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 릴레이
KR20200025805A (ko) 2018-08-31 2020-03-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 릴레이
KR20200096195A (ko) 2018-08-31 2020-08-11 엘에스일렉트릭(주) 직류 릴레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8851B (zh) * 2010-07-16 2015-08-1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触点装置
JP6856001B2 (ja) * 2017-10-31 2021-04-07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KR102606007B1 (ko) * 2018-10-22 2023-11-24 엘에스일렉트릭(주) 직류 릴레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6902A (ja) * 2001-07-04 2003-01-17 Fuji Electric Co Ltd 回路遮断器
JP2019179693A (ja) * 2018-03-30 2019-10-17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レー
KR20200000312A (ko) * 2018-08-31 2020-01-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 릴레이
KR20200025805A (ko) 2018-08-31 2020-03-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 릴레이
KR20200096195A (ko) 2018-08-31 2020-08-11 엘에스일렉트릭(주) 직류 릴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5638A1 (ko) 2022-03-31
CN116325056A (zh) 2023-06-23
EP4220679A1 (en) 2023-08-02
KR102531476B1 (ko) 2023-05-11
US20230335363A1 (en)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4515B1 (ko) 직류 릴레이 및 그 제작 방법
KR20200144271A (ko) 직류 릴레이
KR102340034B1 (ko) 직류 릴레이
KR102324516B1 (ko) 직류 릴레이
JP2012212668A (ja) 接点装置及び電磁開閉器
EP4243049A2 (en) Movable contact part and direct current relay comprising same
KR102531476B1 (ko) 가동 접촉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452354B1 (ko) 가동 코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JP6146549B1 (ja) 接点装置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電磁接触器
KR102537550B1 (ko) 직류 릴레이
KR102622852B1 (ko) 가동 접촉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US20240006138A1 (en) Movable contact part and direct current relay including same
KR102678161B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678169B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640508B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452356B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WO2013175727A1 (ja) 接点装置
KR20230072766A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20230077480A (ko) 릴레이 장치
KR20230072769A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20230072771A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20230072765A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20230072768A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20230106298A (ko) 구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20230072770A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