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7480A - 릴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릴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7480A
KR20230077480A KR1020210164791A KR20210164791A KR20230077480A KR 20230077480 A KR20230077480 A KR 20230077480A KR 1020210164791 A KR1020210164791 A KR 1020210164791A KR 20210164791 A KR20210164791 A KR 20210164791A KR 20230077480 A KR20230077480 A KR 20230077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re
fixed
shaf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종
최도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4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7480A/ko
Priority to US17/840,954 priority patent/US20230162936A1/en
Priority to CN202210835010.1A priority patent/CN116168978A/zh
Publication of KR20230077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4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 H01H51/065Relays having a pair of normally open contacts rigidly fixed to a magnetic core movable along the axis of a solenoid, e.g. relays for starting automobi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0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movable inside coil and substantially lengthwise with respect to axis thereof; movable coaxially with respect to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50/443Connections to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relay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01H50/648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intermediate part being rigidly combined with arm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릴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한 쌍의 고정접점을 갖는 고정단자; 상기 고정단자의 하측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접점과 접촉되거나 이격되어 통전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가동접촉부; 상기 가동접촉부의 하측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어 전원이 인가되면 자화(magnetize)되도록 구성되는 고정코어; 상기 고정코어의 하측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제어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고정코어를 향해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가동코어; 및 상기 고정코어를 관통하여 상기 가동접촉부와 연결되고, 상기 가동코어와 결합되어 상기 가동코어와 일체로 이동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가동코어에 형성된 단차부에 지지되어 상기 고정코어와 상기 가동코어 사이에 스트로크 갭이 형성되는 릴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릴레이 장치{Relay device}
본 발명은 릴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통전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도록 하는 릴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류 릴레이(Direct current relay)는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구동 또는 전류 신호를 전달해 주는 장치이다. 이 릴레이 장치는 전자 개폐기(Magnetic switch)라고도 하며, 통상 전기적인 회로 개폐 장치로 분류된다.
이러한 릴레이 장치는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을 포함한다. 고정접점은 외부의 전원 및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동접점은 제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고정접점과 접촉되거나 이격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 가동접점의 이동을 위하여 릴레이 장치에는 고정코어와, 고정코어를 관통하여 가동접점과 연결되는 샤프트 및 샤프트와 결합되어 샤프트와 함께 고정코어 측으로 이동하는 가동코어가 마련된다. 이때, 샤프트는 가동코어를 관통한 상태로 용접에 의해 가동코어에 고정되고, 고정코어를 관통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코어와 가동코어를 감싸도록 배치된 코일 어셈블리에 제어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기장이 형성되어 고정코어가 자화된다. 이에 고정코어와 가동코어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된다. 이때, 고정코어는 고정된 상태로 마련됨에 따라 가동코어가 고정코어를 향해 이동된다. 즉, 가동코어와 함께 샤프트가 이동하여 가동접점을 고정접점과 접촉시킴으로써 릴레이 장치는 외부의 전원 및 부하와 통전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릴레이 장치를 제작 시 가동코어와 고정코어 사이에는 가동코어가 이동될 수 있는 거리 즉, 스트로크 갭이 형성되도록 하여 조립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가동코어가 이동하며 릴레이 장치를 온/오프 동작시키기 위한 스트로크 갭이 필요하다. 이러한 스트로크 갭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지그 또는 갭 게이지가 이용되고 있다. 즉, 가동코어와 고정코어 사이 또는 가동코어와 플레이트 사이에 지그를 배치시킨 후 용점 등을 통해 샤프트를 가동코어에 고정시키고 있다.
그러나, 스트로크 갭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지그에 가동코어를 고정시키거나 스트로크 갭 게이지를 고정코어와 가동코어 사이에 위치시키는 공정이 필요하여 제작이 불편함은 물론, 제조공정 증가에 따른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 예는 샤프트에 스트로크 갭 조정용 단차를 형성하여 별도의 지그나 갭 게이지 없이 스트로크 갭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릴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한 쌍의 고정접점을 갖는 고정단자; 상기 고정단자의 하측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접점과 접촉되거나 이격되어 통전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가동접촉부; 상기 가동접촉부의 하측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어 전원이 인가되면 자화(magnetize)되도록 구성되는 고정코어; 상기 고정코어의 하측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제어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고정코어를 향해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가동코어; 및 상기 고정코어를 관통하여 상기 가동접촉부와 연결되고, 상기 가동코어와 결합되어 상기 가동코어와 일체로 이동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가동코어에 형성된 단차부에 지지되어 상기 고정코어와 상기 가동코어 사이에 스트로크 갭이 형성되는 릴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는 상기 가동접촉부와 연결되기 위한 플런저가 결합되고, 상기 플런저의 하부로 노출된 상기 샤프트의 길이는 상기 고정코어와, 상기 가동코어 및 상기 스트로크 갭의 길이를 합한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고정코어를 관통하는 상부 샤프트와, 상기 상부 샤프트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가동코어와 결합되는 하부 샤프트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 샤프트와 하부 샤프트 사이에 단턱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동코어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동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가동 관통홀에는 상기 하부 샤프트와 상기 가동코어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단턱부가 지지되도록 상기 단차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동 관통홀은 상기 상부 샤프트의 직경보다 큰 상부 가동 관통홀과, 상기 상부 샤프트의 직경보다 작은 하부 가동 관통홀로 구분되되, 상기 하부 가동 관통홀에는 상기 하부 샤프트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코어에는 길이 방향으로 고정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 관통홀은 상기 상부 샤프트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고정 관통홀과, 상기 상부 고정 관통홀의 직경보다 큰 하부 가동 관통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동 관통홀과 상기 상부 가동 관통홀에 개재되는 복귀 스프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코어 및 상기 가동코어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어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기장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코일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코어는 상기 코일 어셈블리가 형성하는 전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장치는 가동코어의 스트로크 갭의 형성을 위해 별도의 지그나 갭 게이지 없이 스트로크 갭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제작의 용이성을 제공함은 물론, 제조공정을 줄여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릴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릴레이 장치에 구비된 고정코어와 가동코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릴레이 장치에 구비된 고정코어 및 가동코어가 샤프트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릴레이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릴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릴레이 장치에 구비된 고정코어와 가동코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릴레이 장치에 구비된 고정코어 및 가동코어가 샤프트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릴레이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릴레이 장치(1)는 하우징(100), 고정단자(200), 가동유닛(300) 및 코일 어셈블리(4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주요 구성품들을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릴레이 장치(1)의 외관을 이룬다. 예컨대, 하우징(100)은 대략 직육면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은 설치될 장소나 기타 조건에 따라서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우징(100)의 내부와 외부가 임의로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우징(100)은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으로 구분되며, 절연 플레이트(130)와 지지 플레이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은 서로 마주보는 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서로 결합됨에 따라 내부공간을 갖는다. 이 내부공간에는 절연 플레이트(130)와 지지 플레이트(140)가 설치된다.
절연 플레이트(130)와 지지 플레이트(140)는 하우징(100) 내의 대략 중심부근에 설치되고, 절연 플레이트(130)와 지지 플레이트(140)를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의 공간을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측 공간에 마련되는 고정단자(200) 및 후술할 가동접촉부(350)와 하측 공간에 마련되는 코어들(320, 330) 간의 임의 통전이 방지될 수 있다.
절연 플레이트(130)는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 사이를 전기적으로 이격시키도록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40)는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을 물리적으로 이격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지지 플레이트(140)는 절연 플레이트(130)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140)는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플레이트(140)는 후술할 코일 어셈블리(400)에 제어 전원이 인가 시 고정코어(320) 및 요크(430)와 함께 자로(magnetic circuit)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자로에 의해 가동코어(330)가 고정코어(320)를 향해 이동되기 위한 구동력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 플레이트(130)와 지지 플레이트(140)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이 관통공에는 후술할 샤프트(310)와 결합된 플런저(36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가동코어(330)가 고정코어(320)를 향하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시 샤프트(310) 및 플러저(360)가 함께 이동하고, 플런저(360)와 연결된 가동접촉부(350) 또한 같은 방향으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가동코어(330)의 작동에 따른 가동접촉부(350)의 동작 및 샤프트(310)와의 결합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단자(200)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하우징(100)에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단자(200)는 제1 고정단자(201)와 제2 고정단자(20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고정단자(201)와 제2 고정단자(202)는 상부 하우징(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서로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으나 후술할 가동접촉부(350)가 이들에 닿게 되면 제1 고정단자(201)와 제2 고정단자(202)는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가동접촉부(350)의 위치에 따라 제1 고정단자(201)와 제2 고정단자(202) 간의 통전 여부가 결절될 수 있다. 이에, 고정단자(200)의 하부에는 한 쌍의 고정접점(P1)이 마련되며, 이와 대응되는 가동접촉부(350)에는 고정접점(P1)과 접촉되는 가동접점(P2)이 마련된다.
가동유닛(300)은 가동점점(P2)과 고정접점(P1)이 접촉되도록 가동접촉부(35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이때, 가동유닛(300)은 코일 어셈블리(400)를 통해 발생된 전자기장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동유닛(300)은 샤프트(310), 고정코어(320), 가동코어(330), 플런저(360), 복귀 스프링(340) 및 가동접촉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310)는 고정코어(320)와 가동코어(330)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고정코어(320)와 가동코어(330) 및 복귀 스프링(340)은 하우징(100)의 하측 공간에 배치되고, 플런저(360)와 가동접촉부(350)는 하우징(100)의 상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샤프트(310)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고정코어(320)를 관통하는 상부 샤프트(311)와, 상부 샤프트(3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가동코어(330)와 결합되는 하부 샤프트(312)로 구분된다. 이에, 상부 샤프트(311)와 하부 샤프트(312) 사이에는 단턱부(313)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샤프트(311)는 고정코어(320)를 관통하여 고정코어(320)로부터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그 상단이 고정코어(320)의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플런저(36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샤프트(312)는 가동코어(330)에 결합됨에 따라 가동코어(330)의 작동 시 샤프트(310)가 가동코어(33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마련된다.
고정코어(320)는 지지 플레이트(140)에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설치되며, 코일 어셈블리(40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자화(magnetize)되어 전자기적 인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가동코어(330)는 전자기적 인력에 의해 고정코어(320)를 향해 이동된다. 고정코어(320)는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어 전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코어(320)는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코어(320)의 중심에는 고정관통홀(321)이 형성된다. 고정관통홀(321)에는 샤프트(310)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즉, 샤프트(310)는 고정관통홀(321)을 통해 가동접촉자(35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관통홀(321)은 샤프트(310)의 상부 샤프트(311)가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고정관통홀(321a)과, 상부 샤프트(311)의 직경보다 큰 지경을 갖는 하부 고정관통홀(321b)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고정관통홀(321b)에는 후술할 복귀 스프링(340)의 상부가 삽입되어 상단이 지지될 수 있다.
가동코어(330)는 고정코어(320)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코어(330)와 고정코어(320)가 이격되어 가동코어(330)가 고정코어(320)를 향해 이동될 수 있는 거리는 "스트로크 갭(G)"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가동코어(320)가 스트로크 갭(G) 만큼 이동함에 따라 릴레이 장치(1)의 온/오프를 제어하게 된다.
가동코어(330)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동관통홀(332)이 형성된다. 가동관통홀(332)은 상부 샤프트(311)의 직경보다 큰 상부 가동 관통홀(332a)과, 상부 샤프트(311)의 직경보다 작은 하부 가동 관통홀(332b)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부 가동관통홀(332a)과 하부 가동관통홀(332b) 사이에는 단차부(333)가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 샤프트(312)와 가동코어(330)가 조립된 상태에서 단턱부(313)가 단차부(333)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 가동관통홀(332a)에는 후술할 복귀 스프링(340)의 하부가 삽입되어 하단이 지지될 수 있다.
하부 가동관통홀(332b)은 하부 샤프트(312)와 대응되는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하부 가동 관통홀(332b)에 하부 샤프트(312)가 삽입되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샤프트(310)의 상부는 가동접촉부(350)와 연결되기 위한 플런저(360)와 결합되도록 고정코어(320)를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플런저(360)의 하부로 노출된 샤프트(310)의 길이는 고정코어(320)와, 가동코어(330) 및 스트로크 갭(G)의 길이를 합한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하부 샤프트(312)의 단턱부(313)가 가동코어(330)의 단차부(333)에 지지된 상태로 결합됨에 따라 스트로크 갭(G)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지그 또는 갭 게이지를 이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스트로크 갭(G)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고정코어(320)와 가동코어(330)에 샤프트(3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코일 어셈블리(400)에 전원이 인가되면, 고정코어(320)가 자화되어 가동코어(330)가 스트로크 갭(G) 만큼 상측으로 이동되고, 복귀 스프링(340)이 압축되며 탄성복원력이 저장된다. 이에 따라, 제어 전원의 인가가 해제되어 고정코어(320)의 자화가 종료되면, 가동코어(330)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하측으로 스트로크 갭(G) 만큼 이동하며 복귀될 수 있다.
가동접촉부(350)는 하우징(100)의 상부 공간에 배치되되, 고정단자(200)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련된다. 가동접촉부(350)의 가동접점(P2)은 고정단자(200)의 고정접점(P1)과 대향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가동접촉부(350)가 가동코어(330)의 작동에 따라 연동하여 움직이도록 가동접촉부(350)의 하측은 압축 스프링(352)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이때 가동접촉부(350)가 하측으로 임의 이동되지 않도록 압축 스프링(352)은 소정 거리만큼 압축된 상태에서 가동접촉부(35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 스프링(352)은 플런저(360)와 가동접촉부(350) 사이에 결합되는 커버(353)에 의해 소정 거리만큼 압축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압축 스프링(352)의 상단은 가동접촉부(350)에 탄성지지되고, 하단은 플런저(360)의 상단에 탄성지지될 수 있다. 또한, 압축 스프링(352)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가동접촉부(350)의 하단에는 리테이너(354)가 설치되고, 압축 스프링(352)의 상단이 리테이너(354)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접촉부(350)와 샤프트(310)가 연결된 상태에서 가동코어(330)의 작동에 따라 샤프트(31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샤프트(310)의 상단에 결합된 플런저(360) 및 플런저(360)와 연결된 가동접촉부(350)가 함께 이동함으로써 고정접점(P1)과 가동접점(P2)이 접촉된다. 이때, 고정접점(P1)과 가동접점(P2)이 접촉될 경우, 전자기적 반발력에 의해 가동접촉부(350)가 고정단자(200)로부터 이격되려는 경향을 갖게 된다. 그러나, 압축 스프링(352)이 소정 거리만큼 압축되어 복원력을 저장한 상태로 가동접촉부(350)를 탄성지지함에 따라, 가동접촉부(350)와 고정단자(200) 사이에서 전자기적 반발력이 발생되어라도 가동접촉부(350)가 임의로 이동되지 않아 안정적인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코일 어셈블리(400)는 중심부가 비어 있는 중앙 통로를 구비한 원통형 형상으로 마련되어 고정코어(320) 및 가동코어(330)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제어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기장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고정코어(320)와 가동코어(330)는 코일 어셈블리(400)의 중앙 통로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코일 어셈블리(400)는 보빈(410), 코일(420), 요크(430)를 포함한다. 보빈(410)에는 코일(420)이 권취되고, 보빈(410)은 요크(430) 내부에 수용된다.
요크(430)는 하부 하우징(120)의 내부에 수용된다. 즉, 하부 하우징(120)의 외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요크(430), 코일(420) 및 코일(420)이 권취되는 보빈(410)이 순서대로 배치된다. 요크(430)는 제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로를 형성한다. 이에 요크(430)는 통전 가능한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요크(430)가 형성하는 자로는 코일(420)이 형성하는 전자기장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420)에 제어 전원이 인가되면 코일(420)은 가동코어(330)가 고정코어(320)를 향해 이동되는 방향으로 전자기장을 형성하고, 전자기장에 의해 고정코어(320)가 자화되어 가동코어(330)에 인력이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코일 조립체(400)는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릴레이 장치(1)는 가동코어(330)와 고정코어(320) 사이에 샤프트(310)를 결합 시 샤프트(310)의 단차턱(313)가 가동코어(330)의 단차부(333)에 지지되도록 결합됨으로써 가동코어(330)의 스트로크 갭(G)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릴레이 장치 100 : 하우징
200 : 고정단자 300 : 가동유닛
310 : 샤프트 311 : 상부 샤프트
312 : 하부 샤프트 313 : 단턱부
320 : 고정코어 330 : 가동코어
340 : 복귀 스프링 350 : 가동접촉부
360 : 플런저 400 : 코일 어셈블리

Claims (8)

  1. 한 쌍의 고정접점을 갖는 고정단자;
    상기 고정단자의 하측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접점과 접촉되거나 이격되어 통전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가동접촉부;
    상기 가동접촉부의 하측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어 전원이 인가되면 자화(magnetize)되도록 구성되는 고정코어;
    상기 고정코어의 하측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제어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고정코어를 향해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가동코어; 및
    상기 고정코어를 관통하여 상기 가동접촉부와 연결되고, 상기 가동코어와 결합되어 상기 가동코어와 일체로 이동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가동코어에 형성된 단차부에 지지되어 상기 고정코어와 상기 가동코어 사이에 스트로크 갭이 형성되는 릴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는 상기 가동접촉부와 연결되기 위한 플런저가 결합되고, 상기 플런저의 하부로 노출된 상기 샤프트의 길이는 상기 고정코어와, 상기 가동코어 및 상기 스트로크 갭의 길이를 합한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는 릴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고정코어를 관통하는 상부 샤프트와, 상기 상부 샤프트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가동코어와 결합되는 하부 샤프트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 샤프트와 하부 샤프트 사이에 단턱부가 마련되는 릴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코어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동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가동 관통홀에는 상기 하부 샤프트와 상기 가동코어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단턱부가 지지되도록 상기 단차부가 마련되는 릴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관통홀은 상기 상부 샤프트의 직경보다 큰 상부 가동 관통홀과, 상기 상부 샤프트의 직경보다 작은 하부 가동 관통홀로 구분되되,
    상기 하부 가동 관통홀에는 상기 하부 샤프트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릴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코어에는 길이 방향으로 고정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 관통홀은 상기 상부 샤프트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고정 관통홀과, 상기 상부 고정 관통홀의 직경보다 큰 하부 가동 관통홀로 구분되는 릴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동 관통홀과 상기 상부 가동 관통홀에 개재되는 복귀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릴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코어 및 상기 가동코어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어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기장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코일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코어는 상기 코일 어셈블리가 형성하는 전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도록 구성되는 릴레이 장치.
KR1020210164791A 2021-11-25 2021-11-25 릴레이 장치 KR2023007748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791A KR20230077480A (ko) 2021-11-25 2021-11-25 릴레이 장치
US17/840,954 US20230162936A1 (en) 2021-11-25 2022-06-15 Relay device
CN202210835010.1A CN116168978A (zh) 2021-11-25 2022-07-15 继电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791A KR20230077480A (ko) 2021-11-25 2021-11-25 릴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480A true KR20230077480A (ko) 2023-06-01

Family

ID=86384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791A KR20230077480A (ko) 2021-11-25 2021-11-25 릴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62936A1 (ko)
KR (1) KR20230077480A (ko)
CN (1) CN116168978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23410C (zh) * 1999-10-14 2007-06-27 松下电工株式会社 接点装置
JP2005026182A (ja) * 2003-07-02 2005-01-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磁開閉装置
KR20090119276A (ko) * 2008-05-15 2009-11-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저소음 전자개폐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88063Y1 (ko) * 2014-06-30 2018-12-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릴레이
JP7310474B2 (ja) * 2019-09-13 2023-07-19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レ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168978A (zh) 2023-05-26
US20230162936A1 (en)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236E1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US9793079B2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1890848B1 (ko) 접점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접촉기
EP3264437B1 (en) Electromagnetic relay
US9502199B2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with sliding guide
KR101846224B1 (ko) 전자 개폐기
KR200488063Y1 (ko) 릴레이
US11830694B2 (en) Direct current relay
KR20150016485A (ko) 전자 접촉기
KR102087468B1 (ko) 전자 접촉기
KR101414715B1 (ko) 스위칭 디바이스, 그 스위칭 디바이스를 어셈블링 및 동작시키는 방법, 및 그 스위칭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CN107527768B (zh) 电磁铁装置以及搭载了该电磁铁装置的电磁继电器
US20220208494A1 (en) Direct current re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200045324A (ko) 직류 릴레이
KR20230077480A (ko) 릴레이 장치
JP2014112482A (ja) 電磁接触器
JP6945171B2 (ja) 電磁継電器
JP2015032444A (ja) 電磁継電器
KR101697577B1 (ko) 전자개폐장치
US2999916A (en) Miniature relay
US20230335363A1 (en) Movable contact part and dc relay including same
CN218471854U (zh) 继电器
JP2014120245A (ja) 電磁接触器
JP2019139885A (ja) 電磁石装置及び電磁継電器
KR101974970B1 (ko) 전자 접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