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700A - A Warning triangle Module For A Vehicle - Google Patents

A Warning triangle Module For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700A
KR20220040700A KR1020200123715A KR20200123715A KR20220040700A KR 20220040700 A KR20220040700 A KR 20220040700A KR 1020200123715 A KR1020200123715 A KR 1020200123715A KR 20200123715 A KR20200123715 A KR 20200123715A KR 20220040700 A KR20220040700 A KR 20220040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cover
side bar
safety tripo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7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97735B1 (en
Inventor
박동철
Original Assignee
박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철 filed Critical 박동철
Priority to KR1020200123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735B1/en
Publication of KR20220040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7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7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7Rear spo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56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65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on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2Elements for improving aerodynamic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rning triangle module for a vehicle. The warning triangl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ing (110) having a bottom portion (111) attached to one side of a vehicle (10); a first sidebar (120) disposed on an inside of the casing (110) to have a lower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a front surface portion (112) of the casing (110) by a fixed pivot pin (P1) to be able to rotate; and a second sidebar (130)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casing (110) to have an upper end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sidebar (120) by movable pivot pin (P2) to be able to rotate such that a lower end thereof can slide side to side along the bottom portion (111), wherein when the first and second sidebars (120,130) are folded, the first and second sidebars (120,130) are hidden behind an inner surface (112a) of the front surface portion (112)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sidebars (120,130) are unfolded, an outer surface (112b) of the front surface portion (112) becomes a base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bars (120,130) become sides. Accordingly, the warning triangle can be attached to every place of a vehicle for use.

Description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A Warning triangle Module For A Vehicle}Safety tripod module for automobiles {A Warning triangle Module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어디에나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ipod for a ca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tripod module for a car that can be attached and used anywhere in the car.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리어스포일러(rear spoiler)(R1)가 구비된 일반적인 자동차(10)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스포일러(R1)는 자동차(10)의 트렁크도어(20)에 설치되어서 항력 및 양력의 저감하기 위한 역할을 하고 있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general vehicle 10 provided with a rear spoiler (R1)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shown. As shown in FIG. 1 , the rear spoiler R1 is installed on the trunk door 20 of the vehicle 10 and serves to reduce drag and lift.

그런데 종래의 리어스포일러(R1)는 항력 및 양력과 관련된 역할에만 한정되어서 다양한 용도의 활용되지 못하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rear spoiler (R1) has a technical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be utilized for various purposes because it is limited only to a role related to drag and lift.

한편, 본원발명의 출원인에 의해서 출원되어서 등록된 등록실용신안 제20-0484851호(공고일: 2017년 11월 02일)에 의한 "자동차의 범퍼가드 겸용 안전삼각대"가 알려져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84851 (announcement date: November 02, 2017) applied and register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afety tripod for a bumper guard of a car" is known.

위 등록실용신안 제20-0484851호에 의한 "자동차의 범퍼가드 겸용 안전삼각대"는 안전삼각대를 자동차의 트렁크에 별도로 보관할 필요 없이 기왕의 범퍼가드에 내장식으로 구비함으로써 보관의 편리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우수한 기술이다.The “safety tripod for both bumper guards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above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84851 is designed to provide convenience of storage by having the safety tripod built-in to the existing bumper guard without the need to separately store it in the trunk of the car. It's an excellent technique.

그러나, 등록실용신안 제20-0484851호에 의한 "자동차의 범퍼가드 겸용 안전삼각대"의 경우에는 범퍼가드 내부에 사이드 바를 내장하므로 2 개의 사이드 바를 펼치고 접는 동작이 불편하다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safety tripod combined with bumper guard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84851, there was a technical limitation in that the operation of unfolding and folding the two sidebars was inconvenient because the sidebar was built inside the bumper guard.

문헌1: 등록실용신안 제20-0484851호(공고일: 2017년 11월 02일)Document 1: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84851 (Announcement date: November 02, 2017) 문헌2: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21221(공고일: 2006년 07월10일)Document 2: Registered Utility Model Gazette 20-0421221 (Announcement: July 10, 20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의 목적은,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safety tripod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첫째, 안전삼각대를 트렁크도어, 리어도어 등의 자동차의 어느 위치나 부착할 수 있는 하나의 단품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그리하여 안전삼각대를 쉽고 편리하게 자동차의 어느 위치나 부착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First, the safety tripod can be implemented as a single unit that can be attached to any position of the vehicle, such as the trunk door and the rear door, so that the safety tripod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attached to any position of the vehicle and used.

둘째, 케이싱의 내부에 제1,2 사이드 바가 펼쳐질 수 있도록 구비함으로써 제1,2 사이드 바의 펼치고 접는 동작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Second, by providing the first and second sidebars so that they can be unfolded inside the casing, the unfolding and folding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idebars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셋째, 자동차의 어느 곳에나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 부착 후에는 제1,2 사이드 바의 펼치고 접는 동작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삼각대의 이용 환경을 개선하고 안전삼각대의 제품 효용성을 높이며 동시에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며,Third, by making it easy to attach anywhere in the car and to make it easy to unfold and fold the first and second sidebars after attachment, the use environment of the safety tripod is improved, the product effectiveness of the safety tripod is increased, and at the same time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product,

넷째, 펼쳐진 경우 그 하단이 구속되지 않고 자유단으로 있는 제2 사이드 바를 잡아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접힌 상태의 제1,2 사이드 바를 잡아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2 사이드 바를 안정적으로 케이싱 내부에 구비할 수 있도록 하며,Fourth, when unfolde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bar is not constrained and the free end is held,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bars are stably placed inside the casing by holding the first and second side bars in a folded state. make it available,

다섯째, 안전삼각대 모듈 자체가 안전삼각대로서의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자동차의 리어스포일러의 역할까지 할 수 있도록 하며,Fifth, the safety tripod module itself serves as a safety tripod and at the same time serves as a rear spoiler of the car.

여섯째, 덮개에 의해서 케이싱을 덮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서 제1,2 사이드 바가 흘러내리거나 빠져나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Sixth, by allowing the casing to be covered by the cov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side bars from flowing down or coming out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일곱째, 덮개에 의해서 케이싱을 덮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깔끔한 외관을 만들 수 있도록 하며,Seventh, to make a neat appearance by covering the casing with a cover,

여덟째, 안전삼각대 모듈이 리어도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리어도어를 열었을 때에 천장에 찍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프로텍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Eighth, when the safety tripod module is installed in the rear door, it is to provide a safety tripod module for automobiles suitable to serve as a protector to prevent being hit on the ceiling when the rear door is open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형성된 전면부로 구성되어서, 상기 바닥부가 자동차의 일측에 부착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하고, 하단이 고정축핀에 의해서 상기 케이싱의 전면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사이드 바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하고, 하단이 상기 바닥부를 타고 상기 전면부를 따라서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단이 상기 제1 사이드 바의 상단에 가동축핀에 의해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제2 사이드 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사이드 바와 제2 사이드 바가 접혀져서 상기 바닥부에 도복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사이드 바와 제2 사이드 바 모두가 전면부의 안쪽면 뒤에 가려지게 되고, 상기 제1 사이드 바와 제2 사이드 바가 펼쳐져서 기립한 경우에, 상기 전면부의 바깥면을 밑변으로 하고 상기 제1 사이드 바와 제2 사이드 바를 측변으로 하는 안전삼각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afety tripod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bottom portion and a front portion formed up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floor portion, and a casing to which the bottom portion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vehicle, and the inside of the casing A first side bar, the lower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ront part of the casing by a fixed shaft pin, is located inside the casing, and the lower end is slidable left and right along the front part on the bottom part, the upper end is and a second side bar rotatably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side bar by a movable shaft pin, wherein the first side bar and the second side bar are folded to the bottom part of the first side bar in a lying state All of the second side bars are hidden behind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art, and when the first side bar and the second side bar are spread out to stand up,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part is the base and the first side bar and the second side bar are the side sid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titutes a safety tripo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safety tripod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안전삼각대를 트렁크도어, 리어도어 등의 자동차의 어느 위치나 부착할 수 있는 하나의 단품으로 구현할 수 있고, 그 결과 안전삼각대를 쉽고 편리하게 자동차의 어느 위치나 부착하여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safety tripod can be implemented as a single unit that can be attached to any position of the car, such as the trunk door and the rear door, and as a result, the safety tripod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attached to any position of the car and used. .

둘째, 케이싱의 내부에 제1,2 사이드 바가 펼쳐질 수 있도록 구비함으로써 제1,2 사이드 바의 펼치고 접는 동작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by providing the first and second sidebars so that they can be unfolded inside the casing, there is an effect that allows easy and convenient unfolding and folding of the first and second sidebars.

셋째, 자동차의 어느 곳에나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 부착 후에는 제1,2 사이드 바의 펼치고 접는 동작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삼각대의 이용 환경을 개선하고 안전삼각대의 제품 효용성을 높이며 동시에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by making it easy to attach anywhere in the car and to make it easy to unfold and fold the first and second sidebars after attachment, the use environment of the safety tripod is improved, the product effectiveness of the safety tripod is increased, and at the same time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its value as a product.

넷째, 펼쳐진 경우 그 하단이 구속되지 않고 자유단으로 있는 제2 사이드 바를 잡아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접힌 상태의 제1,2 사이드 바를 잡아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2 사이드 바를 안정적으로 케이싱 내부에 구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when unfolde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bar is not constrained and the free end is held,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bars are stably placed inside the casing by holding the first and second side bars in a folded stat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ovided.

다섯째, 안전삼각대 모듈 자체가 안전삼각대로서의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자동차의 리어스포일러의 역할까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fth, the safety tripod module itself serves as a safety tripod and at the same time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act as a rear spoiler of a car.

여섯째, 덮개에 의해서 케이싱을 덮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서 제1,2 사이드 바가 흘러내리거나 빠져나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xth, by allowing the casing to be covered by the cov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sidebars from flowing down or coming out depending on the location where they are installed.

일곱째, 덮개에 의해서 케이싱을 덮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깔끔한 외관을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venth, there is an effect of making a neat appearance by allowing the casing to be covered by the cover.

여덟째, 안전삼각대 모듈이 리어도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리어도어를 열었을 때에 천장에 찍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프로텍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Eighth, when the safety tripod module is installed in the rear doo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erform the role of a protector that can prevent being hit on the ceiling when the rear door is opened.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리어스포일러(R1)가 구비된 일반적인 자동차(10)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100)이 자동차(10)의 트렁크도어(20)에 부착된 사용 상태 예시도 및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100)의 좌측면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100)이 자동차(10)의 리어도어(30)에 부착된 경우의 예시도로서, 도 4의 (a)는 리어도어(30)가 닫힌 상태의 사용 상태 예시도이고, 도 4의 (b)는 리어도어(30)가 열린(open) 상태의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100)의 제1,2 사이드 바(120,130)가 펼쳐져서 안전삼각대를 형성한 경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제1,2 사이드 바(120,130)가 접혀진 상태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제1,2 사이드 바(120,130)가 펼쳐지는 동작도로서, 도 10의 (a)는 덮개(140)가 열리는 동작도이고, 도 10의 (b)는 제1 사이드 바(120)가 고정축핀(P1)을 회전축으로 하여서 제2 사이드 바(130)와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작도이며, 도 11의 (a)는 제2 사이드 바(130)가 가동축핀(P2)을 회전축으로 하여서 타방향을 회전하여서 바닥부(111)를 타고 펼쳐지는 동작도이며, 도 11의 (b)는 제2 사이드 바(130)가 완전히 펼쳐지면서 안전삼각대의 형태를 이루는 동작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general vehicle 10 equipped with a rear spoiler R1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n enlarged left side view of the safety tripod modul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trunk door 20 of the vehicle 10 and an exemplary view of the use state and the safety tripod module 100 for a vehicle It is also
3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2 ;
4 is an exemplary view when the safety tripod modul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rear door 30 of the vehicle 10, and (a) of FIG. 4 is the rear door 30 ) is an exemplary view of a use state in a closed state, and FIG. 4 (b) is an exemplary view of a use state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door 30 is open.
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cas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ide bars 120 and 130 of the safety tripod modul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nfolded to form a safety tripod.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5 ;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ide bars 120 and 130 are folded in FIG. 6 .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6 ;
10 to 11 are operation diagrams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ide bars 120 and 130 are unfolded. FIG. 10 (a) is an operation diagram in which the cover 140 is opened, and FIG. 10 (b) is the first side bar. (120) is an operation diagram in which the fixed shaft pin (P1)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ogether with the second side bar (130) as a rotation axis, (a) of FIG. 11 is that the second side bar (130) is a movable shaft pin (P2) It is an operation diagram in which the second side bar 130 is fully unfolded while riding on the bottom part 111 by rotating it in the other direction as the rotation axis.
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afety tripod modul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afety tripod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100)은, 바닥부(111)와 상기 바닥부(111)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수직으로 형성된 전면부(112)로 구성되어서, 상기 바닥부(111)가 자동차(10)의 일측에 부착되는 케이싱(110)과,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위치하고[구체적으로는 상기 전면부(112)의 안쪽면(112a)에 접촉하도록 위치하고], 하단(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한 경우의 하단)이 고정축핀(P1)에 의해서 상기 케이싱(110)의 전면부(112)의 일측(예컨대 도시된 그림을 보는 방향으로 좌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사이드 바(120)와,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위치하고[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사이드 바(120)에 접촉하도록 케이싱(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하단이 상기 바닥부(111)를 타고 상기 전면부(112)를 따라서 좌우로(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단(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한 경우의 상단)이 상기 제1 사이드 바(120)의 상단에 가동축핀(P2)에 의해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제2 사이드 바(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사이드 바(120)와 제2 사이드 바(130)가 접혀져서 상기 바닥부(111)에 도복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사이드 바(120)와 제2 사이드 바(130) 모두가 전면부(112)의 안쪽면(112a) 뒤에 가려지게 되고, 상기 제1 사이드 바(120)와 제2 사이드 바(130)가 펼쳐져서 기립한 경우에, 상기 전면부(112)의 바깥면(112b)을 밑변으로 하고 상기 제1 사이드 바(120)와 제2 사이드 바(130)를 측변으로 하는 안전삼각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afety tripod modul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bottom part 111 and a front part 112 formed vertically up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bottom part 111, and the bottom part (111) is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casing 110 and the casing 110 attached to one side of the vehicle 10 (specifically located so as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112a of the front part 112), The lower end (lower end in the case of an unfolded state)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for example, the left side in the direction of viewing the picture) of the front part 112 of the casing 110 by a fixed shaft pin P1. The first side bar 120, located inside the casing 110 (specifically, located inside the casing 110 to contact the first side bar 120), the lower end of the bottom portion 111 ) and slidable left and right (from one side to the other) along the front part 112, the upper end (the upper end in the case of an unfolded state) is a movable shaft pin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side bar 130 that is rotatably connected by P2), and the first side bar 120 and the second side bar 130 are folded to fall on the bottom part 111 . In this state, both the first side bar 120 and the second side bar 130 are hidden behind the inner surface 112a of the front part 112, and the first side bar 120 and the second side bar ( When 130) is unfolded and standing, a safety tripod is constructed with the outer surface 112b of the front part 112 as the base and the first side bar 120 and the second side bar 130 as the side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안전삼각대 모듈(100)이 하나의 단품으로서 예컨대, 자동차의 트렁크도어(20), 리어도어(30) 또는 자동차의 루프 등의 어느 위치에나 부착할 수 있고, 따라서 안전삼각대를 쉽고 편리하게 자동차(10)에 부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afety tripod module 100 as a single unit can be attached to any position, such as, for example, the trunk door 20 of a car, the rear door 30, or the roof of the car, and thus the safety tripo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easily and conveniently attached to the vehicle (10).

또한, 케이싱(110)에 제1,2 사이드 바(120,130)가 펼쳐질 수 있도록 구비되므로 제1,2 사이드 바(120,130)의 펼치고 접는 동작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side bars 120 and 130 are provided on the casing 110 so that they can be unfold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nfolding and folding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bars 120 and 130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100)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112)의 바깥면(112b)에는 상기 제1 사이드 바(120)와 제2 사이드 바(130)와 함께 안전삼각대를 구성할 수 있는 반사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afety tripod modul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ide bar 120 and the second side bar 130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112b of the front part 112 together with the second side bar 130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reflective member that can constitute a safety tripod is formed.

상기 반사부재는 예컨대 반사시트, 코팅된 반사물질, 반사스티커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The reflective member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any one of a reflective sheet, a coated reflective material, and a reflective sticker.

따라서, 평상시에는 도복되어 있어서 전면부(112)에 의해서 반사판의 역할을 하고, 기립시에는 펼쳐져서 안전삼각대의 역할을 하게 된다.Therefore, in normal times, the uniform serves as a reflector by the front part 112, and unfolds when standing to serve as a safety trip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100)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11)의 바깥면에는 양면테이프(미도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afety tripod modul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ouble-sided tape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111 .

이에 의하면, 자동차의 어느 곳에나 쉽게 부착이 가능하고, 부착 후에는 제1,2 사이드 바를 펼쳐서 안전삼각대로 쉽게 활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품의 효용성이 매우 높아지고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it can be easily attached to any place in the vehicle, and after attachment, the first and second sidebars can be unfolded and used as a safety trip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100)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0)은, 상기 제2 사이드 바(130)가 바닥부(111)를 타고 전면부(112)를 따라서 슬라이딩하는 경우 제2 사이드 바(130)의 슬라이딩의 한계를 잡아줄 수 있도록(즉, 밖으로 벗어나지 않는 스토핑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110)의 바닥부(111)의 우측끝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동시에 상기 전면부(112)의 우측끝에 연장 형성되어 있는 우측면부(114)와, 상기 좌측면부(113)와 마주보도록 상기 케이싱(110)의 바닥부(111)의 좌측끝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동시에 상기 전면부(112)의 좌측끝에 연장 형성되어 있는 좌측면부(1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afety tripod modul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ing 110, the second side bar 130 rides on the bottom part 111 and slides along the front part 112. In order to hold the limit of sliding of the second side bar 130 (that is, to serve as a stopper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outside), from the right end of the bottom part 111 of the casing 110 upward From the left end of the bottom part 111 of the casing 110 to face the right side part 114 extended and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front part 112 at the same time, and the left side part 113, upwar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left side portion 113 extending and formed at the left end of the front portion 112 while being exten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100)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 바(120)와 제2 사이드 바(130)가 전면부(112)의 안쪽에 숨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사이드 바(120)가 상기 고정축핀(P1)을 회전축으로 일방향으로(도시된 그림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으로 회전하면 제1,2 사이드 바(120,130)가 상기 전면부(112)의 안쪽면(112a)으로부터 나오게 되고[도 10의 (b) 참조], 상기 가동축핀(P2)을 가동축(moving axis)으로 하여 상기 제2 사이드 바(130)의 일단(그림의 하단)이 상기 바닥부(111)를 따라서 일방향으로(케이싱의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제1 사이드 바(120)로부터 펼쳐져서[도 11 (a)참조], 케이싱(110)의 전면부(112)를 밑변으로 하고 제1,2 사이드 바(120,130)를 옆변으로 하는 안전삼각대로의 변형되며[도 11의 (b)], 케이싱(110)의 전면부(112)를 밑변으로 하는 안전삼각대로 형태 변형된 상태에서, 가동축핀(P2)을 가동축으로 하여 상기 제2 사이드 바(130)의 일단(하단)이 바닥부(111)를 타고 전면부(112)를 따라서 타방향으로(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상기 제1 사이드 바(120)와 겹쳐지게 되고, 상기와 같이 제1,2 사이드 바(120,130)가 겹쳐진 상태에서 제1 사이드 바(120)가 고정축핀(P1)을 회전축으로 하여서 타방향으로(도시된 그림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2 사이드 바(120,130)가 바닥부(111)에 도복되어서 전면부(112)의 안쪽면(112a) 뒤로 감춰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afety tripod modul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ide bar 120 and the second side bar 130 are hidden inside the front part 112 , the When the first side bar 120 rotates the fixed shaft pin P1 on the axis of rotation in one direction (counterclockwise in the illustrated figure), the first and second side bars 120 and 130 move inside the front part 112 . It comes out from the surface 112a (refer to (b) of FIG. 10), and one end (bottom of the figure) of the second side bar 130 is the bottom with the movable shaft pin P2 as a moving axis. It spreads out from the first side bar 120 while sliding along the part 111 in one direction (to the right side of the casing) [see Fig. 11 (a)], with the front part 112 of the casing 110 as the base, and It is transformed into a safety tripod with the first and second sidebars 120 and 130 as the sides [Fig. 11(b)], and in a state in which the shape is transformed into a safety tripod with the front part 112 of the casing 110 as the base. , when one end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bar 130 rides on the bottom portion 111 and slides along the front portion 112 in the other direction (left direction) with the movable shaft pin P2 as the movable shaft, the The first side bar 120 is overlapped, and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side bars 120 and 130 are overlapp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ide bar 12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with the fixed shaft pin P1 as the rotation axis (shown in the figure). In the illustrated figure, when rotated clockwise), the first and second side bars 120 and 130 fall over the bottom part 111 and are hidden behind the inner surface 112a of the front part 112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100)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핀(P1)은 상기 제1 사이드 바(120)의 하단에 전면부(112) 쪽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112)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축핀(P1)이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축공(112c)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제1 사이드 바(120)의 결합을 쉽게 할 수 있다.In the safety tripod modul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shaft pin P1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part 112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ide bar 120, and the front part One side of (11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ft hole (112c) into which the fixed shaft pin (P1) is rotatably inserted is form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couple the first side bar 120 with a simple configuration.

한편, 제1 사이드 바(120)의 하단이 케이싱(110)의 타측(우측)에 구비되는 실시예의 경우에는, 축공(112d)이 전면부(112)의 타측에 고정축핀(P1)이 삽입되어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first side bar 12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right side) of the casing 110, the shaft hole 112d is fixed shaft pin P1 is inser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part 112. Of course, it should be formed to be rotata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100)에 있어서, 펼쳐진 제2 사이드 바(130)의 하단이 전면부(112)의 안쪽면(112a)과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하여 제2 사이드 바(130)를 잡아주기 위해서, 상기 전면부(112)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바닥부(111)의 타측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리브(17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afety tripod modul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unfolded second side bar 130 i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112a of the front part 112 and the second In order to hold the side bar 130, it is spaced rearward from the front part 112 and further includes a fixing rib 172 that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part 111. .

이에 의하면, 펼쳐진 경우 그 하단이 구속되지 않고 자유단으로 있는 제2 사이드 바(130)를 잡아줄 수 있고, 또한 접힌 상태의 제1,2 사이드 바(120,130)를 잡아줄 수 있어서 제1,2 사이드 바(120,130)가 안정적으로 케이싱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when unfolde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bar 130 is not constrained and the free end thereof can be held,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bars 120 and 130 in the folded state can be held. The side bars 120 and 130 may be stably provided inside the casing.

한편, 제1 사이드 바(120)의 하단이 케이싱(110)의 타측(우측)에 구비되는 실시예의 경우에는, 펼쳐진 제2 사이드 바(130)의 하단이 전면부(112)의 안쪽면(112a)과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하여 제2 사이드 바(130)를 잡아주기 위한 고정리브(171)가 전면부(112)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서 바닥부(111)의 타측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lower end of the first side bar 12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right side) of the casing 110 , the lower end of the unfolded second side bar 130 is the inner surface 112a of the front part 112 . )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fixing ribs 171 for holding the second side bar 130 to be spaced rearward from the front part 112 to protrude up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part 11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100)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0)의 바닥부(111)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110)을 개폐하는 덮개(14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afety tripod modul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14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bottom 111 of the casing 110 and opens and closes the casing 110 . )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included.

상기 덮개(140)는, 상기 덮개(140)가 케이싱(110)을 덮는 경우 바닥부(111)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싱(110)의 바닥부(111)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 바디(141)와, 상기 덮개(140)가 케이싱(110)을 덮는 경우 케이싱(110)의 전면부(112)의 바깥면(112b)을 접촉하면서 외포하도록, 상기 덮개 바디(141)의 전단에서 케이싱(110)의 전면부(112) 쪽으로 연장형성된 덮개 프론트(142)와, 상기 덮개(140)가 케이싱(110)을 덮는 경우 상기 케이싱(110)의 우측면부(114)를 외포하도록, 상기 덮개 바디(141)의 우측끝에서 케이싱(110) 쪽으로 연장되면서 동시에 상기 덮개 프론트(142)의 우측끝에 연장 형성되어 있는 덮개 우측부(144)와, 상기 덮개(140)가 케이싱(110)을 덮는 경우 상기 케이싱(110)의 좌측면부(113)를 외포하도록, 상기 덮개 바디(141)의 좌측끝에서 케이싱(110) 쪽으로 연장되면서 동시에 상기 덮개 프론트(142)의 좌측끝에 연장 형성되어 있는 덮개 좌측부(14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ver 14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bottom part 111 of the casing 110 so that the cover 140 is positioned above the bottom part 111 when the casing 110 is covered. The front end of the cover body 141 so as to cover the cover body 141 and the outer surface 112b of the front part 112 of the casing 110 when the cover 140 covers the casing 110 while being in contact with it. To cover the front cover 142 extending toward the front portion 112 of the casing 110 and the right side portion 114 of the casing 110 when the cover 140 covers the casing 110, While extending from the right end of the cover body 141 toward the casing 110 and at the same time extending to the right end of the cover front 142, the cover right portion 144 and the cover 140 cover the casing 110 In this case, the left side of the cover extending from the left end of the cover body 141 toward the casing 110 and extending from the left end of the cover front 142 at the same time to cover the left side 113 of the casing 110 ( 143) is further included.

덮개(140)로 케이싱(110)을 덮음으로써 제1,2 사이드 바(120,130)가 흘러내리거나 빠져나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깔끔한 외관을 만들 수 있는 이점이 있다.By covering the casing 110 with the cover 140,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side bars 120 and 130 from flowing down or coming out,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ake a neat appear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100)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0)은 트렁크도어(20)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afety tripod modul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ing 110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trunk door 20 .

이때, 상기 덮개 바디(141)는, 상기 덮개(140)가 케이싱(110)을 덮는 경우에, 케이싱(110)이 있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기류를 안내하는 가이드경사면(141a)과, 상기 가이드경사면(141a)에서 전방으로 평탄 형성되는 가이드상면(141b)으로 구성되어서, 자동차의 리어스포일러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cover body 141, when the cover 140 covers the casing 110, the casing 110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in the direction of the guide inclined surface 141a for guiding the air flow, and the guide It is composed of a guide upper surface (141b) that is formed flat in the front from the inclined surface (141a),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rear spoiler of the vehicle.

이에 의하면, 안전삼각대 모듈(100) 자체가 안전삼각대로서의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자동차(10)의 리어스포일러의 역할까지 할 수 있어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the safety tripod module 100 itself can serve as a safety tripod and at the same time serve as a rear spoiler of the vehicle 10, so that it can be used for multiple purpos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100)에 있어서, 상기 좌측면부(113)의 상단(113a)과 우측면부의 상단(114a)은 상기 덮개 바디(141)의 내면의 굴곡과 형합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후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afety tripod modul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113a of the left side part 113 and the upper end 114a of the right side part are curved and shap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body 141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horizontally after being inclined so as to be formed.

이에 의하면, 앙력을 최대화하여서 리어스포일러의 역할을 더욱더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further strengthen the role of the rear spoiler by maximizing the lifting for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100)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112)의 바깥면(112b)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151)와, 상기 덮개(140)가 케이싱(110)을 덮는 경우에, 상기 끼움돌기(151)와 끼움 결합하도록 상기 덮개 프론트(142)에 형성되는 끼움공(152)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afety tripod modul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tting protrusion 151 protruding forward from the outer surface 112b of the front part 112 and the cover 140 are When the casing 110 is covered, a fitting hole 152 formed in the cover front 142 to be fitted with the fitting protrusion 151 is further included.

이에 의하면, 덮개(140)가 케이싱(110)을 닫은 경우에는 덮개(140)가 바로 열리는 것을 예방하고 안정적으로 케이싱(110)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케이싱(110)을 오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쉽게 오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when the cover 140 closes the casing 110, the cover 14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pened immediately and the casing 110 can be stably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and when the casing 110 is to be open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op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100)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152)이 끼움돌기(151)에 끼움 결합될 때 끼움홈(152)에 원활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끼움돌기(151)에 유동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끼움돌기(151)에 인접하여서 상기 전면부(112)는 안쪽면(112a)과 바깥면(112b)이 관통하도록 탄성절개슬릿(16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afety tripod modul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tting groove 152 is fitted to the fitting protrusion 151, the fitting protrusion ( In order to provide flow to the 151), adjacent to the fitting protrusion 151, the front part 112 has an elastic incision slit 161 so that the inner surface 112a and the outer surface 112b pass through it. characterized.

이에 의하면 끼움돌기(151)가 끼움홈(152)에 쉽게 끼워질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fitting protrusion 151 can be easily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152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100)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0)은 리어도어(3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afety tripod modul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ing 110 is attached to the rear door 30 .

이와 같이 덮개(140)가 케이싱(110)에 닫힌 상태에서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도어(30) 오픈 시에 리어도어(30)가 실내공간의 천장에 부딛히는 경우라도 리어도어(30)가 천장에 찍히는 것을 막아주는 프로텍터의 역할을 하게 된다.As shown in FIG. 4(b)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140 is closed to the casing 11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ar door 30 is opened, when the rear door 30 collides with the ceiling of the indoor space The Rado rear door 30 serves as a protector to prevent being stamped on the ceil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100)에 있어서, 상기 제1,2 사이드 바(120,130)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고 상기 바닥부(111)에 형성되고, 자동차의 리어스포일러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앙력이 발생하도록 기류를 안내하는 안내면(180a)이 형성된 가이드부재(18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afety tripod modul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paced rearward from the first and second sidebars 120 and 130 and is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111, and functions as a rear spoiler of the vehicle. In order to perfor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member 180 formed with a guide surface (180a) for guiding the air flow so as to be inclined upwardly forward to generate an angulation force is further included.

이에 의하면, 덮개(140)가 채택되지 않은 경우라도 가이드부재(180)가 리어스포일러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even when the cover 140 is not adopted, the guide member 180 can serve as a rear spoiler.

한편, 제1 사이드 바(120)의 하단이 케이싱(110)의 일측(좌측)에 구비되는 실시예의 경우를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경우는 물론 아니며, 제1 사이드 바(120)의 하단이 케이싱(110)의 타측(우측)에 구비되는 경우의 실시예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cas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first side bar 120 is provided on one side (left side) of the casing 110 is described as an example, the case is not limited thereto, of course, and the first side bar 120 Of course, an embodiment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casing 11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right side) also fall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덮개(140)는 케이싱(110)에 다양한 구성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데,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합성수지재질로 성형하여서 반복적으로 열고 닫도록 연결할 수도 있고 또는 힌지연결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며, 어느 경우에나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ver 14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sing 110 in various configurations, and may be connected to repeatedly open and close by molding with a synthetic resin material as in the illustrated example, or a hinge connection method may be used. , of course, belong to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cas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reviewed, and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
110 : 케이싱
111 : 바닥부 112 : 전면부
112a : 전면부의 안쪽면 112b : 전면부의 바깥면
112c,112d : 축공
113 : 좌측면부
113a : 좌측면부의 상단
114 : 우측면부
114a : 우측면부의 상단
120 : 제1 사이드 바 130 : 제2 사이드 바
P1 : 고정축핀 P2 : 가동축핀
140 : 덮개 141 : 덮개 바디
141a : 가이드경사면 141b : 가이드상면
142 : 덮개 프론트 143 : 덮개 좌측부
144 : 덮개 우측부
151 : 끼움돌기 152 : 끼움공
161 : 탄성절개슬릿
171,172 : 고정리브
180 : 가이드부재 180a : 안내면
10 : 자동차
20 : 트렁크 30 : 리어도어
100: safety tripod module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casing
111: bottom 112: front
112a: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art 112b: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part
112c, 112d: shaft
113: left side
113a: upper left side part
114: right side
114a: top of the right side part
120: first side bar 130: second side bar
P1: fixed shaft pin P2: movable shaft pin
140: cover 141: cover body
141a: guide inclined surface 141b: guide upper surface
142: front cover 143: left side of the cover
144: right side of the cover
151: fitting projection 152: fitting hole
161: elastic incision slit
171,172: fixed rib
180: guide member 180a: guide surface
10 : car
20: trunk 30: rear door

Claims (4)

바닥부(111)와 상기 바닥부(111)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형성된 전면부(112)로 구성되어서, 상기 바닥부(111)가 자동차(10)의 일측에 부착되는 케이싱(110)과,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하단이 고정축핀(P1)에 의해서 상기 케이싱(110)의 전면부(112)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사이드 바(120)와,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하단이 상기 바닥부(111)를 타고 상기 전면부(112)를 따라서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단이 상기 제1 사이드 바(120)의 상단에 가동축핀(P2)에 의해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제2 사이드 바(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사이드 바(120)와 제2 사이드 바(130)가 접혀져서 상기 바닥부(111)에 도복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사이드 바(120)와 제2 사이드 바(130) 모두가 전면부(112)의 안쪽면(112a) 뒤에 가려지게 되고,
상기 제1 사이드 바(120)와 제2 사이드 바(130)가 펼쳐져서 기립한 경우에, 상기 전면부(112)의 바깥면(112b)을 밑변으로 하고 상기 제1 사이드 바(120)와 제2 사이드 바(130)를 측변으로 하는 안전삼각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
A casing 110 composed of a bottom part 111 and a front part 112 formed up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bottom part 111, and the bottom part 111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vehicle 10;
A first side bar 120 located inside the casing 110 and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ront part 112 of the casing 110 by a fixed shaft pin P1 at the lower end thereof;
Located inside the casing 110, the upper end of the movable shaft pin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side bar 130 that is rotatably connected by P2),
When the first side bar 120 and the second side bar 130 are folded to lie on the bottom part 111, both the first side bar 120 and the second side bar 130 have the front part ( 112) is hidden behind the inner surface (112a),
When the first side bar 120 and the second side bar 130 are unfolded to stand upright, the outer surface 112b of the front part 112 is the base, and the first side bar 120 and the second side bar 130 are formed. 2 A safety tripod modul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titutes a safety tripod having the sidebar 130 as the 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0)의 바닥부(111)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110)을 개폐하는 덮개(14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afety tripod modul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bottom portion (111) of the casing (110) and further includes a cover (1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sing (1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140)는,
상기 덮개(140)가 케이싱(110)을 덮는 경우 바닥부(111)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싱(110)의 바닥부(111)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 바디(141)와,
상기 덮개(140)가 케이싱(110)을 덮는 경우 케이싱(110)의 전면부(112)의 바깥면(112b)을 접촉하면서 외포하도록, 상기 덮개 바디(141)의 전단에서 케이싱(110)의 전면부(112) 쪽으로 연장형성된 덮개 프론트(142)와,
상기 덮개(140)가 케이싱(110)을 덮는 경우 상기 케이싱(110)의 우측면부(114)를 외포하도록, 상기 덮개 바디(141)의 우측끝에서 케이싱(110) 쪽으로 연장되면서 동시에 상기 덮개 프론트(142)의 우측끝에 연장 형성되어 있는 덮개 우측부(144)와,
상기 덮개(140)가 케이싱(110)을 덮는 경우 상기 케이싱(110)의 좌측면부(113)를 외포하도록, 상기 덮개 바디(141)의 좌측끝에서 케이싱(110) 쪽으로 연장되면서 동시에 상기 덮개 프론트(142)의 좌측끝에 연장 형성되어 있는 덮개 좌측부(14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140 is
When the cover 140 covers the casing 110, the cover body 14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bottom part 111 of the casing 110 so as to be located above the bottom part 111, and;
When the cover 140 covers the casing 110 , the front end of the casing 110 at the front end of the cover body 141 so as to cover the outer surface 112b of the front portion 112 of the casing 110 while contacting them. And the cover front 142 extending toward the portion 112,
When the cover 140 covers the casing 110, it extends from the right end of the cover body 141 toward the casing 110 to cover the right side part 114 of the casing 110 while at the same time extending toward the cover front ( And the right side portion 144 of the cover extending to the right end of the 142,
When the cover 140 covers the casing 110, it extends from the left end of the cover body 141 toward the casing 110 so as to cover the left side part 113 of the casing 110 while at the same time extending toward the cover front ( Safety tripod module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eft side portion 143 of the cover extending to the left end of 14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0)은 트렁크도어(20)에 부착되고,
상기 덮개 바디(141)는,
상기 덮개(140)가 케이싱(110)을 덮는 경우에, 케이싱(110)이 있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기류를 안내하는 가이드경사면(141a)과,
상기 가이드경사면(141a)에서 전방으로 평탄 형성되는 가이드상면(141b)으로 구성되어서, 자동차의 리어스포일러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삼각대 모듈.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casing 110 is attached to the trunk door 20,
The cover body 141 is,
When the cover 140 covers the casing 110, the guide inclined surface 141a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sing 110 is to guide the airflow,
A safety tripod modul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guide upper surface (141b) that is flatly formed in the front from the guide inclined surface (141a),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a rear spoiler of the vehicle.
KR1020200123715A 2020-09-24 2020-09-24 A Warning triangle Module For A Vehicle KR1024977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715A KR102497735B1 (en) 2020-09-24 2020-09-24 A Warning triangle Module For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715A KR102497735B1 (en) 2020-09-24 2020-09-24 A Warning triangle Module For A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700A true KR20220040700A (en) 2022-03-31
KR102497735B1 KR102497735B1 (en) 2023-02-09

Family

ID=80934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715A KR102497735B1 (en) 2020-09-24 2020-09-24 A Warning triangle Module For A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73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221Y1 (en) 2006-04-18 2006-07-10 주식회사 세진 Automotive bumper guard mounted in a turn signal lamp
KR20130057388A (en) * 2011-11-23 2013-05-31 이정원 Emergency-vehicle display device
KR20160123582A (en) * 2015-04-16 2016-10-26 장성수 Vehicle-mounted safety display tripod
KR200484851Y1 (en) 2016-08-03 2017-11-02 박동철 A Bumper Guard Transforming into Warning triangle For A Vehicle
KR20180010726A (en) * 2016-07-22 2018-01-31 최행순 Emergency tripod structure for vehicle and signal bar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221Y1 (en) 2006-04-18 2006-07-10 주식회사 세진 Automotive bumper guard mounted in a turn signal lamp
KR20130057388A (en) * 2011-11-23 2013-05-31 이정원 Emergency-vehicle display device
KR20160123582A (en) * 2015-04-16 2016-10-26 장성수 Vehicle-mounted safety display tripod
KR20180010726A (en) * 2016-07-22 2018-01-31 최행순 Emergency tripod structure for vehicle and signal bar using the same
KR200484851Y1 (en) 2016-08-03 2017-11-02 박동철 A Bumper Guard Transforming into Warning triangle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735B1 (en)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3169A (en) Covered visor mirror
US6189947B1 (en) Sun visor extension device
US6772905B2 (en) Protective case hinge structure
DE69804014D1 (en) BUILT-IN, FOLD-OUT VEHICLE WORKPLACE IN THE SEATREST
US6715813B2 (en) Over-center spring control
US7344176B2 (en) Sun visor for vehicles
KR102279665B1 (en) Expandable module apparatus for vehicle
TR201612621A2 (en) LUGGAGE COVERING
US2394014A (en) Combined door-hinging, door-checking, and door-holding device
KR20220040700A (en) A Warning triangle Module For A Vehicle
RU2690950C1 (en) Sun visor assembly having a plurality of mirrors
JP2008162382A (en) Slide door device
US7331625B2 (en) Garment hook assembly
JPH10272934A (en) Air entrainment preventing device for open car
KR100610376B1 (en) Double foldable rear vanity-mirror for automobile
CN219487303U (en) Luggage case object shielding curtain assembly
KR200337441Y1 (en) collapsible umbrella holder
JP3250602B2 (en) Storage box
JPH0439079Y2 (en)
JPH0434092Y2 (en)
WO1998054020A2 (en) Sun visor extension device
JP2005145399A (en) Glove box structure for automobile
JPH0724273Y2 (en) Sunroof shade equipment
KR0166668B1 (en) Sun-roof for a car
JP2918818B2 (en) Sun visor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