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082A -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082A
KR20220040082A KR1020200122846A KR20200122846A KR20220040082A KR 20220040082 A KR20220040082 A KR 20220040082A KR 1020200122846 A KR1020200122846 A KR 1020200122846A KR 20200122846 A KR20200122846 A KR 20200122846A KR 20220040082 A KR20220040082 A KR 20220040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s
sole
base portion
base part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호동
Original Assignee
성호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호동 filed Critical 성호동
Priority to KR1020200122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0082A/ko
Priority to US18/028,081 priority patent/US20230329392A1/en
Priority to PCT/KR2020/016810 priority patent/WO2022065589A1/ko
Priority to CN202080106497.9A priority patent/CN116546901A/zh
Priority to EP20955387.4A priority patent/EP4218482A4/en
Publication of KR20220040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outsole or external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지면과 접촉하는 제1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지면에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돌출부를 갖는 제1 밑창과,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의 단부와 접합되는 제2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에서 상기 제1 베이스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부가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접합된 복수의 제2 돌출부를 갖는 제2 밑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SHOES SOLES}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격 흡수성과 탄성 복원력을 함께 향상시킨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람의 발을 보호하는 것으로, 신발은 사람이 걷거나 달릴 때 발을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그런데 사람이 걷거나 달릴 때 발에 걸리는 하중은 상당하다. 압력판을 이용하여 달리기 중의 지면 반발력을 분석해 보면, 지면과 발 사이에서의 수직 압력의 크기는 대략 체중의 2배 내지 3배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신발의 밑창에는 발바닥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사람이 걷거나 달리기 중에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신발의 밑창이 충분히 흡수하지 못한다면, 관절에 퇴행적인 변화가 일어나거나 요통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걷거나 달릴 때에 발바닥에 가해지는 상당한 충격을 골격근계에 무리가 가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흡수하기 위하여 신발의 밑창은 다양한 완충 부재들을 이용하거나, 신발 밑창 자체의 경도를 낮추어 충격을 흡수하였다.
하지만, 신발의 밑창에는 지면에 발을 디딜 때 감소시켜야 하는 충격 흡수성과 지면으로부터 발을 들 때 증대시켜야 하는 반발 탄성이 함께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신발의 밑창이 충격을 흡수할수록 지면 반발력은 감소되므로,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은 이율배반적인 특성이다.
종래의 신발의 밑창은 소재가 갖는 충격 흡수성에 의존하여 단순히 완충 역할을 수행하므로, 충격 흡수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여 신발의 밑창을 제조할 경우 밑창의 반발 탄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어려웠다.
특히, 충격 흡수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여 신발의 밑창을 제조할 경우 착용자가 과격한 동작을 할 때 발목이 쉽게 꺾일 수 있으며, 내전 현상이 발생된 상태로 장시간 걷거나 운동하게 되면 쉽게 피로감을 느끼고 발목이나 무릎 부상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율배반적인 특성인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신발의 밑창 구조가 복잡해지고 무게도 증가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러닝화는 충격 흡수성 및 반발 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에어 튜브 및 사출 구조를 적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러닝화의 경우에 깔창, 중창, 및 밑창에 적어도 대여섯 가지의 부품들이 들어가면서 무게가 무거워지고 생산 공정도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 그리고 내구성을 모두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경량화시킨 신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은 지면과 접촉하는 제1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지면에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돌출부를 갖는 제1 밑창과,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의 단부와 접합되는 제2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에서 상기 제1 베이스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부가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접합된 복수의 제2 돌출부를 갖는 제2 밑창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와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는 각각 돌출될수록 가로 방향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와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는 반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와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는 속이 빈 반구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는 지면과 대향하는 부분이 개구되어 내측면이 상기 지면에 노출된 속이 빈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밑창과 상기 제2 밑창은 경도(硬度, hardness)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중에서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가 상기 제1 베이스부 또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중에서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는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중에서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는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보다 상대적으로 탄성이 높을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베이스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며,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를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와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밑창은 상기 제1 베이스부에서 상기 제2 베이스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1 탄성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밑창은 상기 제2 베이스부에서 상기 제1 베이스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단부가 상기 제1 탄성 보강부의 단부와 마주하여 접합되는 제2 탄성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보강부와 상기 제2 탄성 보강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보강부와 상기 제2 탄성 보강부 중 하나 이상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은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 그리고 내구성을 모두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경량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은 착용자의 발목이 접질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내전 현상을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은 착용자 체중의 수배에 달하는 충격과 일 방향으로의 움직임 그리고 급격한 방향 전환 동작에 따른 횡력도 안정적으로 견딜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신발의 제1 밑창과 제2 밑창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신발의 제1 밑창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신발의 제2 밑창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신발의 제1 밑창과 제2 밑창을 함께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례에 따른 신발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신발의 제1 밑창과 제2 밑창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신발의 제1 밑창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신발의 제2 밑창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6의 신발의 제1 밑창과 제2 밑창을 함께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XII-X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척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101)을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신발(101)은 갑피 부분을 제외하고 설명한다. 갑피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형상과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후술할 제1 밑창(200) 및 제2 밑창(30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101)은 제1 밑창(200) 및 제2 밑창(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밑창(200)은 제1 베이스부(250)와 복수의 제1 돌출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베이스부(250)와 복수의 제1 돌출부(2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250)는 지면과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베이스부(250)의 지면과 접촉하는 일면에는 지면과의 접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트레드(tread)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돌출부(210)는 제1 베이스부(250)에서 지면에 반대 방향으로, 즉 지면과 접촉하는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돌출부(210)는 제1 베이스부(25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밑창(300)은 제2 베이스부(350)와 복수의 제2 돌출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베이스부(350)와 복수의 제2 돌출부(3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350)는 제1 밑창(200)의 복수의 제1 돌출부(210)의 단부와 접합될 수 있다. 즉, 제2 베이스부(350)의 일면은 복수의 제1 돌출부(210)의 단부와 접합되고 제2 베이스부(350)의 타면은 착용자의 발바닥과 대향하게 된다.
복수의 제2 돌출부(310)는 제2 베이스부(350)에서 제1 베이스부(25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2 돌출부(310)의 단부는 제1 베이스부(250)와 접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 돌출부(210)와 복수의 제2 돌출부(310)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2 밑창(300)의 복수의 제2 돌출부(310)는 제1 밑창(200)의 복수의 제1 돌출부(210) 사이의 공간, 즉 복수의 제1 돌출부(210)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돌출부(210)와 복수의 제2 돌출부(310)는 각각 돌출될수록 가로 방향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돌출부(210)와 복수의 제2 돌출부(310)는 반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1 돌출부(210) 및 복수의 제2 돌출부(310)가 가질 수 있는 반구 형상은 물리학적으로 충격 흡수와 복원이 매우 효율적인 구조이다. 예를 들어, 모든 구기 종목에 사용되는 공들은 어떠한 각도에서도 가장 빠르게 충격을 흡수하며 가장 효율적으로 원형으로 복구가 된다. 하지만, 공이 원형이 아니라 다면체라면 면과 면을 이어주는 모서리가 가장 빠르게 터지게 되고, 복구되는 형상도 면의 각도와 충돌 각도에 따라서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구형의 구조로 신발의 밑창을 만들게 되면,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을 모두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구형의 구조 그대로 밑창을 만들게 되면, 지면과의 접촉 면적이 적어질 수밖에 없으므로, 신발의 접지력이 저하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구형을 반으로 자른 반구형 구조의 제1 돌출부(210)와 제2 돌출부(310)를 각각 갖는 제1 밑창(200)과 제2 밑창(300)을 만들고, 이들 반구형 구조의 잘린 면이 서로 반대로 향하도록 제1 돌출부(210)와 제2 돌출부(310)의 단부를 각각 제2 베이스부(350)와 제1 베이스부(250)에 접합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101)은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을 모두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지면과의 접촉 면적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101)은 복수의 제1 돌출부(210)와 복수의 제2 돌출부(310)를 엇갈려 배치함으로써 내구성과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착용자의 발바닥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런데, 반구형 구조의 잘린 면이 서로 반대로 향하도록 제1 돌출부(210)와 제2 돌출부(310)의 단부가 각각 제2 베이스부(350)와 제1 베이스부(250)에 접합된 구조에서는 제1 돌출부(210)와 제2 베이스(350) 간의 접합 면적과 제2 돌출부(310)와 제1 베이스(250) 간의 접합 면적이 작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일반적인 접착제로 제1 돌출부(210)와 제2 돌출부(310)의 단부를 각각 제2 베이스부(350)와 제1 베이스부(250)에 접합시킨다면, 과격한 동작을 견디지 못하고 제1 돌출부(210)와 제2 돌출부(310)의 단부가 제2 베이스부(350)나 제2 베이스부(250)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돌출부(210)와 제2 돌출부(310)의 단부를 고주파 접착 방법으로 제2 베이스부(350)와 제1 베이스부(250)에 접합시킬 수 있다.
고주파 접착 방법의 기본 원리는 접착되는 재료의 유전 가열시키는 것으로, 고주파 기계 프레스에 의해 접합될 2개의 소재를 전극과 정반 사이에 놓고 고주파에 의해 소재의 녹는점까지 진동시켜 가열시키면서 동시에 소재를 누르면, 소재가 같이 녹아 강력하게 융착된다. 이러한 고주파 접착 방법은 몇 초 내에 신속하게 가열되므로, 강력하게 융착되면서도 재료의 손실은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주파 접착 방법을 사용하여, 제1 돌출부(210)와 제2 돌출부(310)의 단부를 제2 베이스부(350)와 제1 베이스부(250)에 접합시키게 되면, 착용자 체중의 수배에 달하는 충격과 일 방향으로의 움직임 그리고 급격한 방향 전환 동작에 따른 횡력도 견딜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전술한 바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돌출부(210)와 제2 돌출부(310)의 단부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2 베이스부(350)와 제1 베이스부(250)에 접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5에서는, 제1 밑창(200)의 복수의 제1 돌출부(210)가 제1 베이스부(25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제2 밑창(300)의 복수의 제2 돌출부(310)는 복수의 제1 돌출부(2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반대로, 제2 밑창(300)의 복수의 제2 돌출부(310)가 제2 베이스(35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제1 밑창(200)의 복수의 제1 돌출부(210)가 복수의 제2 돌출부(3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밑창(200)과 제2 밑창(300)은 경도(硬度, hardness)가 서로 다르게 만들어질 수 있다. 일례로, 제1 밑창(200)은 탄성은 상대적으로 작지만 강도과 경도가 높고 제2 밑창(300)은 강도와 경도는 상대적으로 낮지만 탄성이 강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밑창(200)의 복수의 제1 돌출부(210) 및 제2 밑창(300)의 복수의 제2 돌출부(310) 중에서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복수의 제1 돌출부(210) 또는 복수의 제2 돌출부(310)가 제1 베이스부(250) 또는 제2 베이스부(35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밑창(200)의 복수의 제1 돌출부(210) 및 제2 밑창(300)의 복수의 제2 돌출부(310) 중에서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복수의 제1 돌출부(210) 또는 복수의 제2 돌출부(310)는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복수의 제1 돌출부(210) 또는 복수의 제2 돌출부(3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 및 도 5에서는, 복수의 제1 돌출부(210)가 복수의 제2 돌출부(310)보다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아 제1 베이스부(25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복수의 제2 돌출부(310)는 복수의 제1 돌출부(2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복수의 제1 돌출부(210) 및 복수의 제2 돌출부(310) 중에서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복수의 제1 돌출부(210) 또는 복수의 제2 돌출부(310)는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복수의 제1 돌출부(210) 또는 복수의 제2 돌출부(310) 보다 상대적으로 탄성이 높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복수의 제1 돌출부(210) 또는 복수의 제2 돌출부(310)를 신발(101)의 가장자리에 배치함으로써, 신발(101)의 내구성과 강도를 높이고, 신발(101)이 쉽게 기울어져 착용자의 발목이 접질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전 현상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고 탄성이 높은 복수의 제1 돌출부(210) 또는 복수의 제2 돌출부(310)를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복수의 제1 돌출부(210) 또는 복수의 제2 돌출부(310) 사이의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하중을 분산시키고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제1 밑창(200)과 제2 밑창(300)의 경도는 신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신발(101)은 런닝화, 워킹화, 농구화, 골프화, 등산화, 및 각종 스포츠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신발(101)의 종류에 따라 제1 밑창(200)의 경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수도 있고, 제2 밑창(300)의 경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돌출부(210)는 소정의 빈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고, 복수의 제2 돌출부(310)도 소정의 빈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빈공간은 반구 형상인 복수의 제1 돌출부(210) 및 복수의 제2 돌출부(310)가 각각 압력을 받아 찌그러질 때 옆으로 퍼질 수 있는 공간이 된다. 따라서, 빈공간의 크기는 제1 돌출부(210) 및 제2 돌출부(310)의 크기와 변형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1 돌출부(210)와 복수의 제2 돌출부(310)의 옆면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제1 밑창(200)의 제1 베이스부(250)와 제2 밑창(300)의 제2 베이스부(350)의 가장자리가 이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밑창(200)과 제2 밑창(300)을 형성하게 되면, 신발(101)의 전체적인 무게를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밑창(200)과 제2 밑창(300) 사이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조의 제1 밑창(200)과 제2 밑창(300)은 물에 빈번하게 잠기는 아쿠아 슈즈와 같은 신발에 더욱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101)은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 그리고 내구성을 모두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경량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101)은 착용자의 발목이 접질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내전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101)은 착용자 체중의 수배에 달하는 충격과 일 방향으로의 움직임 그리고 급격한 방향 전환 동작에 따른 횡력도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몰드에서 두 가지 사출물, 즉 제1 밑창(200)과 제2 밑창(300)을 만듦으로써, 단지 두 개의 몰드로 신발(101)의 하부 구조를 완성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례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례에 따른 신발(101a)에서는, 제1 밑창(200)의 복수의 제1 돌출부(210)와 제2 밑창(300)의 복수의 제2 돌출부(310)가 속이 빈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돌출부(210)는 지면과 대향하는 부분이 개구되어 내측면이 지면에 노출된 속이 빈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베이스부(250)에서 지면에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돌출부(210)는 제1 돌출부(210)의 가장자리가 제1 베이스부(250)의 위쪽에 연결되고 제1 둘출부(210)가 위쪽으로 돌출된다는 의미이며, 제1 돌출부(210)의 밑면이 제1 베이스부(250)에 의해 막힌다는 의미가 아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례에 따른 신발(101a)은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 그리고 내구성을 모두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경량화시킬 수 있고, 착용자의 발목이 접질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내전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착용자 체중의 수배에 달하는 충격과 일 방향으로의 움직임 그리고 급격한 방향 전환 동작에 따른 횡력도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제1 돌출부(210)와 복수의 제2 돌출부(310)는 각각 독립적으로 완충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제1 돌출부(210)의 지면과 대향하는 면이 개구되어 복수의 제1 돌출부(210)의 내부가 지면에 노출되므로, 신발의 착용자가 불규칙한 지면을 걷거나 뛰다가 돌멩이를 밟더라도 발목이 꺾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102)도 제1 밑창(400)과 제2 밑창(500)을 포함한다.
제1 밑창(400)은 제1 베이스부(450)와 복수의 제1 돌출부(410) 그리고 제1 탄성 보강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베이스부(450)와 복수의 제1 돌출부(410) 그리고 제1 탄성 보강부(48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밑창(500)은 제2 베이스부(550)와 복수의 제2 돌출부(510) 그리고 제2 탄성 보강부(5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베이스부(550)와 복수의 제2 돌출부(510) 그리고 탄성 보강부(58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102)에서도,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밑창(400)과 제2 밑창(500)이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경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 밑창(400)의 복수의 제1 돌출부(410)가 가장자리에 형성되거나 제2 밑창(500)의 복수의 제2 돌출부(510)가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450)는 지면과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베이스부(450)의 지면과 접촉하는 일면에는 지면과의 접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트레드(tread)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돌출부(410)는 제1 베이스부(450)에서 지면에 반대 방향으로, 즉 지면과 접촉하는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1 밑창(400)이 제2 밑창(500)보다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복수의 제1 돌출부(410)는 제1 베이스부(45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베이스부(450)에 복수의 제1 연결부(455)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연결부(455)는 복수의 제1 돌출부(410)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각각 연결하도록 제1 베이스부(45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1 연결부(455)는 복수의 제1 돌출부(410)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복수의 제1 돌출부(410)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연결부(455)는 제1 베이스부(450)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돌출부(4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 밑창(400)이 제2 밑창(500)보다 경도가 높다면, 복수의 제1 연결부(455)는 제1 베이스부(4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돌출부(410)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밑창(400)이 제2 밑창(500)보다 경도가 낮다면, 그 반대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복수의 제1 연결부(455)는 복수의 제1 돌출부(410)의 강도를 보강하고 움직임을 제한한다. 즉, 복수의 제1 돌출부(410)가 압력을 받아 찌그러질 때 퍼지는 방향과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제2 베이스부(550)는 제1 밑창(500)의 복수의 제1 돌출부(510)의 단부와 접합될 수 있다. 즉, 제2 베이스부(550)의 일면은 복수의 제1 돌출부(510)의 단부와 접합되고 제2 베이스부(550)의 타면은 착용자의 발바닥과 대향하게 된다.
복수의 제2 돌출부(510)는 제2 베이스부(550)에서 제1 베이스부(45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2 돌출부(510)의 단부는 제1 베이스부(450)와 접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 돌출부(410)와 복수의 제2 돌출부(510)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밑창(500)이 제1 밑창(500)보다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2 밑창(500)의 복수의 제2 돌출부(510)는 제1 밑창(400)의 복수의 제1 돌출부(4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반대로 제2 밑창(500)이 제1 밑창(400)보다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다면, 복수의 제2 돌출부(510)가 제2 베이스부(55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복수의 제1 돌출부(410)가 복수의 제2 돌출부(5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2 베이스부(550)에 복수의 제2 연결부(555)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연결부(555)는 복수의 제2 돌출부(510)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각각 연결하도록 제2 베이스부(55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2 연결부(555)는 복수의 제2 돌출부(510)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복수의 제2 돌출부(510)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연결부(555)는 제2 베이스부(550)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 돌출부(5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2 밑창(500)이 제1 밑창(400)보다 경도가 낮다면, 복수의 제2 연결부(555)는 제2 베이스부(500)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 돌출부(510)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밑창(500)이 제1 밑창(400)보다 경도가 높다면, 그 반대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복수의 제2 연결부(555)는 복수의 제2 돌출부(510)의 강도를 보강하고 움직임을 제한한다. 즉, 복수의 제2 돌출부(510)가 압력을 받아 찌그러질 때 퍼지는 방향과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연결부(455)와 복수의 제2 연결부(555)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 보강부(480)는 제1 베이스부(450)에서 제2 베이스부(550)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 탄성 보강부(580)는 제2 베이스부(550)에서 제1 베이스부(450) 방향으로 돌출되되, 제2 탄성 보강부(580)의 단부가 제1 탄성 보강부(480)의 단부와 마주하여 접합될 수 있다.
즉, 제1 탄성 보강부(480)와 제2 탄성 보강부(580)는, 제1 돌출부(410) 및 제2 돌출부(510)의 경우처럼 제2 베이스부(550) 및 제1 베이스부(450)와 각각 접합되지 않고, 제1 탄성 보강부(480)와 제2 탄성 보강부(580)가 서로 접합된다. 그리고 제1 탄성 보강부(480)와 제2 탄성 보강부(580) 중 하나 이상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탄성 보강부(480)와 제2 탄성 보강부(580)는 서로 마주하고 충격 흡수와 복원을 수행하여 제1 돌출부(410) 및 제2 돌출부(510)보다도 상대적으로 높은 반발 탄성을 갖게 된다.
또한, 제1 탄성 보강부(480)와 제2 탄성 보강부(480)는 복수의 제1 돌출부(410) 및 복수의 제2 돌출부(5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탄성 보강부(480)와 제2 탄성 보강부(580)는 착용자의 발바닥 중 하중과 충격이 집중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탄성 보강부(480)와 제2 탄성 보강부(580)는 발 뒤꿈치나 엄지발가락 쪽의 발 앞꿈치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탄성 보강부(480)와 제2 탄성 보강부(580)는 서로 단부가 접합되므로, 동일한 접착 방식으로 접합한 경우 제1 돌출부(410)와 제2 베이스부(550) 간의 접합 강도 및 제2 돌출부(510)와 제1 베이스부(450) 간의 접합 강도보다는 다소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고주파 접착 방법을 사용하여, 제1 탄성 보강부(480)와 제2 탄성 보강부(580)의 단부를 서로 접합시킬 경우 충분한 접합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착용자 체중의 수배에 달하는 충격과 일 방향으로의 움직임 그리고 급격한 방향 전환 동작에 따른 횡력도 견딜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전술한 바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탄성 보강부(480)와 제2 탄성 보강부(580)의 단부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102)도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 그리고 내구성을 모두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경량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102)은 착용자의 발목이 접질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내전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몰드에서 두 가지 사출물, 즉 제1 밑창(400)과 제2 밑창(500)을 만듦으로써, 단지 두 개의 몰드로 신발(102)의 하부 구조를 완성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밑창(400)이 제2 밑창(500)보다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의 제1 돌출부(410)가 걷거나 뛸 때 발목이 꺾이는 것을 억제하며, 복수의 제2 돌출부(510)가 발바닥 전체로 하중을 분산시키고 충격 흡수와 반발 탄성을 제공하고, 제1 탄성 보강부(480)와 제2 탄성 보강부(580)가 상대적으로 높은 하중 및 충격이 가해지는 부위의 탄성을 보강하게 된다.
따라서, 내전 현상이 발생된 상태로 장시간 걷거나 운동하게 되면 쉽게 피로감을 느끼고, 발목이나 무릎부상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내전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102)은 착용자 체중의 수배에 달하는 충격과 일 방향으로의 움직임 그리고 급격한 방향 전환 동작에 따른 횡력도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도 제1 실시예의 변형례와 마찬가지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410)와 제2 돌출부(510)가 속이 빈 반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101a, 102: 신발
200, 400: 제1 밑창
210, 211, 410: 복수의 제1 돌출부
250, 450: 제1 베이스부
300, 500: 제2 밑창
310, 311, 510: 복수의 제2 돌출부
350, 550: 제2 베이스부
455: 복수의 제1 연결부
480: 제1 탄성 보강부
555: 복수의 제2 연결부
580: 제2 탄성 보강부

Claims (14)

  1. 지면과 접촉하는 제1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지면에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돌출부를 갖는 제1 밑창; 및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의 단부와 접합되는 제2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에서 상기 제1 베이스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부가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접합된 복수의 제2 돌출부를 갖는 제2 밑창
    을 포함하는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와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는 각각 돌출될수록 가로 방향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와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는 반구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와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는 속이 빈 반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는 지면과 대향하는 부분이 개구되어 내측면이 상기 지면에 노출된 속이 빈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밑창과 상기 제2 밑창은 경도(硬度, hardness)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중에서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가 상기 제1 베이스부 또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중에서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는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중에서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는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보다 상대적으로 탄성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베이스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며,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를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를 연결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와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밑창은 상기 제1 베이스부에서 상기 제2 베이스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1 탄성 보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밑창은 상기 제2 베이스부에서 상기 제1 베이스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단부가 상기 제1 탄성 보강부의 단부와 마주하여 접합되는 제2 탄성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보강부와 상기 제2 탄성 보강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보강부와 상기 제2 탄성 보강부 중 하나 이상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1020200122846A 2020-09-23 2020-09-23 신발 KR20220040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846A KR20220040082A (ko) 2020-09-23 2020-09-23 신발
US18/028,081 US20230329392A1 (en) 2020-09-23 2020-11-25 Footwear
PCT/KR2020/016810 WO2022065589A1 (ko) 2020-09-23 2020-11-25 신발
CN202080106497.9A CN116546901A (zh) 2020-09-23 2020-11-25
EP20955387.4A EP4218482A4 (en) 2020-09-23 2020-11-25 SHO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846A KR20220040082A (ko) 2020-09-23 2020-09-23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082A true KR20220040082A (ko) 2022-03-30

Family

ID=8084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846A KR20220040082A (ko) 2020-09-23 2020-09-23 신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29392A1 (ko)
EP (1) EP4218482A4 (ko)
KR (1) KR20220040082A (ko)
CN (1) CN116546901A (ko)
WO (1) WO20220655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54959A1 (en) * 2022-05-09 2023-11-09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geometric cushioning system
US20240180291A1 (en) * 2022-12-05 2024-06-06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reflectively symmetrical fluid cushion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9765B2 (ja) * 2000-05-15 2007-09-19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底の緩衝装置
CZ298877B6 (cs) * 2002-08-08 2008-03-05 Obuvnický výrobek, zejména podešev ci samostatná vkládací stélka
KR100584527B1 (ko) * 2005-12-07 2006-05-30 이호형 터널부가 형성된 구름운동 건강신발 장착용 미드솔 및 이의제작방법
KR20090128202A (ko) * 2008-06-10 2009-12-15 임용호 기능성 신발 밑창
KR101251586B1 (ko) * 2011-01-18 2013-04-08 (주)알와이엔코리아 충격흡수 및 충격분산기능이 구비된 신발밑창
KR101380100B1 (ko) * 2012-10-11 2014-04-04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신발 밑창
KR101731627B1 (ko) * 2015-04-28 2017-04-28 김덕기 신발의 충격흡수장치
KR101991168B1 (ko) * 2017-05-22 2019-06-19 성호동 신발
US10874169B2 (en) * 2019-02-28 2020-12-29 Nike, Inc. Footwear and sole structure assemblies with adhesive-free mechanical attachments between insoles and midso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18482A1 (en) 2023-08-02
EP4218482A4 (en) 2024-10-23
WO2022065589A1 (ko) 2022-03-31
CN116546901A (zh) 2023-08-04
US20230329392A1 (en)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4280B2 (en) Shoe
US20240215682A1 (en) Shoe and Sole
US7814683B2 (en) Health footwear having improved heel
US8316558B2 (en) Shoe
EP3270726B1 (en) Sole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a sole structure
CN114364279B (zh) 具有板的鞋类制品以及用于定制此类鞋类制品的方法
US20110072690A1 (en) Shoe
US20040025375A1 (en) Heel construction for footwear
KR20220040082A (ko) 신발
KR100998239B1 (ko)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 및 이를 구비한 무릎 관절화
KR100886834B1 (ko) 신발용 에어쿠션 안창 및 신발
CN110464078B (zh) 一种儿童扁平足矫正鞋及其制作工艺
KR200430896Y1 (ko) 이동 가능한 뒷굽이 장착된 신발 밑창
KR101418672B1 (ko) 신발 밑창
KR102555298B1 (ko) 아웃솔 구조체
KR102024770B1 (ko)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1451377B1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CN211021158U (zh) 一种男士减震拖鞋
KR101021289B1 (ko) 이중발포성형의 일체형 폴리우레탄미드솔을 구비한 신발
CN210783110U (zh) 一种新型运动鞋
CN217565083U (zh) 一种用于鞋底的支撑结构及其鞋底和运动鞋
CN220987779U (zh) 一种防损伤减震运动鞋
KR102030532B1 (ko) 충격흡수형 신발창
KR20130094266A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KR20120006715U (ko) 신발용 충격흡수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