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239B1 -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 및 이를 구비한 무릎 관절화 - Google Patents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 및 이를 구비한 무릎 관절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239B1
KR100998239B1 KR1020080039211A KR20080039211A KR100998239B1 KR 100998239 B1 KR100998239 B1 KR 100998239B1 KR 1020080039211 A KR1020080039211 A KR 1020080039211A KR 20080039211 A KR20080039211 A KR 20080039211A KR 100998239 B1 KR100998239 B1 KR 100998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hardness
present
parts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3473A (ko
Inventor
박훈
박해수
Original Assignee
(주)인투스에이치씨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투스에이치씨앤 filed Critical (주)인투스에이치씨앤
Priority to KR1020080039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239B1/ko
Publication of KR20090113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383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piec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이 형성된 밑창; 및 밑창의 홈에 결합되고, 3부분으로 분할되어 각각 다른 경도를 갖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 및 이를 구비한 무릎 관절화를 구현한바, 보행시 경골(Tibia) 상 관절 면의 내외측 관절면에 편향되게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켜 무릎통증을 해소하고 하지관절과 발바닥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의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틀어진 골격 정렬을 바로 잡고, 골격 변형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낮추고 그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혈액의 순환을 개선시켜 줌으로써 족부의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관절이 약한 노인 또는 류마티스, 디스크 또는 퇴행성 관절염 등의 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신발을 신고 보행하는 것만으로도 인체 근골격계의 통증을 해소하고 인체 근골격계를 보호하며 정상적인 보행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밑창, 홈, 경도, 결합 부재, 분할, 신발, 관절화, 무릎관절염

Description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 및 이를 구비한 무릎 관절화{Soles Having Different Hardness of Parts of Base Plate of Shoes and knee Osteoarthritis Shoes Therefor}
본 발명은 신발의 밑창 및 이를 구비한 무릎 관절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골(Tibia) 상 관절면의 내외측 관절면에 편향되게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켜 무릎 통증을 해소하고 하지관절과 발바닥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기 위한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 및 이를 구비한 무릎 관절화에 관한 것이다.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오(O)자형 무릎(Genu Varum) 또는 엑스(X)자형 무릎(Genu Valgum)의 골격 정렬에서는 무릎에 작용하는 하중의 내외측 균형이 무너져 하중이 많이 작용하는 부위의 관절 연골이 손상되어 관절염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골격 정렬이 있더라도 무릎에 작용하는 내외 회전력을 조절해주면 무릎 관절에 편향되게 작용하는 하중을 균일하게 해줌으로써 퇴행성 관절염에 의한 통증을 완화하고, 사전에 미리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성장기의 어린이와 청소년의 경우에는 골단의 성장판을 균형있게 자극하게 되어 근골격계의 성장장애를 해소하며 정상적 인 근골격계로의 성장을 유도하여 유전적으로 타고난 잠재 성장치를 최대한 달성하게 된다.
일반적인 보행자세는 발바닥의 중심선이 보행 시 진행방향에 대해 몸의 외측으로 약 7°회전된 토우 아웃(Toe Out) 자세로 보행한다. 정상적인 보행으로 여겨지는 토우 아웃의 범위는 발바닥의 중심선이 진행방향에 대해 몸의 외측으로 약 0°내지 10°회전된 경우이다. 회전 각도가 이보다 큰 경우를 8자 걸음이라고 한다. 즉, 이런 자세로 보행하게 되면 거골하관절의 회내운동이 증가하고 불균형한 하중이 무릎에 작용하게 되어 무릎관절 손상을 유발한다.
일반적으로 안이나 밖으로 휘지 않은 다리를 가진 사람의 보행이 가장 이상적이다. 자연스러운 보행 시 토우 아웃의 각도는 7°정도 회전된 상태에서 발 바닥이 지면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발뒤꿈치의 외측부분이 지면과 가장 먼저 접촉한다. 이후 지면반력(압력) 중심점이 발바닥면의 내측으로 이동한 후 발 중심선을 따라 지면반력 중심점이 이동하게 된다.
종래의 신발은 개인별 골격정렬과 보행자세에 따라 정상에서 벗어난 동작을 조절해주는 기능이 없다. 일반 보행자들의 다리 형태는 안 또는 밖으로 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보행시 발뒤꿈치의 최적위치가 처음 지면과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보행자의 상태에 따라 발의 안쪽부터 바깥쪽까지 다양한 부위가 지면과 처음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지면반력 중심점의 이동궤적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비정상적인 보행 동작이 계속되면 성장기의 어린이와 청소년은 골격이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해 골격정렬이 틀어지게 되고, 정상적인 성장치에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관절이 약한 노인 또는 관절염, 디스크 등의 질환을 가진 보행자는 관절 및 허리에 무리가 가서 거동이 힘들어지게 되고, 쉽게 발과 다리에 피로가 쌓여 장시간 보행이 어렵고, 병이 악화되어 보행 능력이 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발의 형태를 교정하거나 개인별로 맞춤 신발을 제작하여 착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잘못된 골격 정렬을 교정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개인별 맞춤 신발은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대중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경골(Tibia) 상 관절면의 내외측 관절면에 편향되게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켜 무릎 통증을 해소하고 하지관절과 발바닥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할 수 있도록 경도차 부재를 갖는 신발의 밑창 및 이를 구비한 무릎 관절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홈이 형성된 밑창; 및 밑창의 홈에 결합되고, 3부분으로 분할되어 각각 다른 경도를 갖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 및 이를 구비한 무릎 관절화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밑창 및 이를 구비한 무릎 관절화를 구현한바, 보행시 경골 상 관절면의 내외측 관절면에 편향되게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켜 무릎 통증을 해소하고 하지관절과 발바닥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의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틀어진 골격 정렬을 바로 잡고, 골격 변형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낮추고 그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혈액의 순환을 개선시켜 줌으로써 족부의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관절이 약한 노인 또는 류마티스, 디스크 또는 퇴행성 관절염 등의 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신발을 신고 보행하는 것만으로도 인체 근골격계의 통증을 해소하고 인체 근골격계를 보호하며 정상적인 보행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행 동작이 바르지 않아 골격 정렬이 흐트러져 골격 정렬 이상과 성장장애를 가지고 있는 어린이 및 청소년들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신발을 신고 보행하는 것만으로도 골격 정렬을 바르게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정상적인 근골격계로의 성장과 잠재 성장치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의 충격 또는 노후로 인한 파손 등으로 인해 결합부재를 교환해야하는 경우 파손된 결합부재만을 교체함으로써 수리 비용이 감소할 수 있고,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인 신발은 깔창(인솔), 중창(미드솔) 및 겉창(아웃솔)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밑창(100)은 깔창(인솔), 중창(미드솔), 겉창(아웃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의 구성>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의 분해 사시 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밑창(100)은 신발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밑창(10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홈(101)이 형성된다. 밑창(100)의 재질은 외부의 충격 및 착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압력으로 인해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수지 또는 고무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 Ethylene Vinyle Acetate), 폴리우레탄(PU : Polyurethane), 클로로프렌 고무(CR : Chloroprene Rubber, 네오프렌(Neoprene))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200)는 밑창(100)에 형성된 홈(101)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고, 길이 방향 중심축(700)과 평행하게 3부분으로 분할되고, 밑창(100)에 형성된 홈(101)에 결합된다. 여기서, 분할된 결합부재(200)의 각 부분은 착용자의 내측부터 제 1 부재(201), 제 2 부재(202), 제 3 부재(203)라고 명명한다. 이때, 3부분으로 분할된 결합부재(200)는 각각 다른 경도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결합부재(200)는 일체로 형성하거나, 각각의 부분을 형성하여 접착제로 상호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재질은 보행시 경골(Tibia) 상 관절면의 내외측 관절면에 편향되게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켜 무릎 통증을 해소하고 하지관절과 발바닥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수지 또는 고무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클로로프렌 고무(네오프렌)을 사용하 는 것이 좋다. 여기서 3부분으로 분할된 각각의 결합부재(200)들은 같은 경도의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각각 다른 경도를 갖는 다른 종류의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착용자의 다리 모양 및 질병 등으로 인한 몸의 상태를 고려하여 결합부재(200)의 각각 분할된 부분들이 서로 다른 경도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각각의 부재들의 경도 차이는 서로 다른 재질을 사용하거나,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발포과정 또는 생산과정 등에서의 성분 조정 등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때, 정상인의 착용을 위해 제 1 부재(201)와 제 3 부재(203)의 경도가 동일하고, 제 2 부재(202)의 경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즉, 제 1 부재(201)의 경도 = 제 3 부재(203)의 경도 > 제 2 부재(202)의 경도를 갖도록 구성한다. 발이 지면과 접촉하면서 경도가 낮은 쪽으로 자연스럽게 지면반력(압력) 중심점이 이동하게 된다. 지면반력 중심점이 발의 중심부분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상적인 지면반력 중심점의 이동궤적을 나타내게 되어 발과 무릎에 작용하는 하중의 내외 균형을 조절한다.
오(O)자 다리인 사람의 착용을 위해 결합부재(200)는 제 3 부재(203)의 경도 > 제 1 부재(201)의 경도 > 제 2 부재(202)의 경도 순으로 구성한다. 또한, 엑스(X)자 다리인 사람의 착용을 위해 제 1 부재(201)의 경도 > 제 3 부재(203)의 경도 > 제 2 부재(202)의 경도 순으로 구성한다.
(제 2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밑창(10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밑창(10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밑창(100)에 형성된 홈(101)의 내부에는 홈(101)의 내부와 같은 형상 및 크기를 갖고, 밑창(100)의 길이 방향 중심축(700)과 수직을 이루도록 제 1 부재(201), 제 2 부재(202) 및 제 3 부재(203)의 세 부분으로 분할되는 결합부재(200)가 구비된다. 여기서, 결합부재(200)의 재질은 제 1 실시예의 결합부재(200)와 동일한 재질을 갖고, 제 1 부재(201), 제 2 부재(202) 및 제 3 부재(203)는 각각 다른 경도를 갖는다. 이때, 하지관절과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과 보행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각각의 부재(201, 202, 203)의 경도가 제 2 부재(202) > 제 1 부재(201) > 제 3 부재(203) 순으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제 3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밑창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밑창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200)는 밑창(100)에 형성된 홈(101)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고, 내측 후방에 구비된 제 1 부재(201), 외측 전방에 구비된 제 3 부재(203) 및 제 1 부재(201)와 제 3 부재(203)를 제외한 중심에 구비된 제 2 부재(202)로 분할된다. 착용자의 다리 모양 및 질병 등으로 인한 몸의 상 태를 고려하여 결합부재(200)의 각각 분할된 부분들이 서로 다른 경도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각각의 부재들의 경도 차이는 서로 다른 재질을 사용하거나,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발포과정 또는 생산과정 등에서의 성분 조정 등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때, 경골 상 관절면의 내외측 관절면에 편향되게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켜 무릎 통증을 해소하고 하지관절과 발바닥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족저압력분포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제 1 부재(201) 내지 제 3 부재(203)의 경도가 제 1 부재(201) = 제 3 부재(203) > 제 2 부재(202) 순으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제 4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의 측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밑창(100)은 사람의 발 모양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일측에는 밑창(100)의 외형과 동일하고, 밑창(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2 개의 칸막이(102)에 의해 세 부분으로 분할되고, 소정의 깊이를 갖는 홈(101)이 각각 형성된다. 밑창(100)에 형성된 각각의 홈(101) 내부에는 전방부재(300), 중심부재(400) 및 후방부재(500)의 3부분으로 분리된 결합부재(200)가 각각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재(300)는 밑창(100)의 전방 0 ~ 40% 범위에 해당하는 홈(101)의 내부에 결합된다. 그 형상은 전방 0 ~ 40% 범위에 해당하는 홈(101)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 재질은 보행시 경골 상 관절면의 내외측 관절면에 편향되게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켜 무릎 통증을 해소하고 하지관절과 발바닥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수지 또는 고무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클로로프렌 고무(네오프렌)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중심부재(400)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심부재(400)는 밑창(100)의 전방 41 ~ 70% 범위에 해당하는 홈(101)의 내부에 결합된다. 그 형상은 밑창(1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홈(101)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높이를 갖고, 밑창(100)의 전방 41 ~70%의 범위에 형성된 홈(101)과 동일한 장축 지름 및 발바닥의 오목한 부분에 맞는 단축지름(D)을 갖는 타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 재질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폰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후방부재(500)는 밑창(100)의 전방 71 ~ 100% 범위에 해당하는 홈(101)의 내부에 결합된다. 그 형상은 전방 71 ~ 100% 범위에 해당하는 홈(101)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 재질은 보행시 경골 상 관절면의 내외측 관절면에 편향되게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켜 무릎통증을 해소하고 하지관절과 발바닥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수지 또는 고무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클로로프렌 고무(네오프렌)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각각의 결합부재(200)들은 같은 경도의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각각 다른 경도를 갖고, 다른 종류의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착용자의 다리 모양 및 질병 등으로 인한 몸의 상태를 고려하여 각각의 결합부재(200)들이 서로 다른 경도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방부재의 구성)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방부재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부재(30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방부재(300)와 동일하다. 하지만, 밑창(100)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평행하게 세 부분으로 분할된다. 여기서, 분할된 전방부재(300)의 각 부분은 착용자의 내측부터 전방 제 1 부재(301), 전방 제 2 부재(302), 전방 제 3 부재(303)라고 명명한다. 이렇게 분할된 각각의 부분은 착용자의 건강상태 및 무릎의 형상에 따라 각각 다른 경도(硬度, Hardness)를 갖는다. 전방부재(300)를 이루는 각각의 부재들의 경도 차이는 서로 다른 재질을 사용하거나,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발포과정 또는 생산과정 등에서의 성분 조정 등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때, 정상인의 착용을 위해 전방 제 1 부재(301)와 전방 제 3 부재(303)의 경도가 동일하고, 전방 제 2 부재(302)의 경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즉, 전방 제 1 부재(301)의 경도 = 전방 제 3 부재(303)의 경도 > 전방 제 2 부재(302)의 경도를 갖도록 구성한다. 발이 지면과 접촉하면서 경도가 낮은 쪽으로 자연스럽게 지면반력(압력) 중심점이 이동하게 된다. 지면반력 중심점이 발의 중심부분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상적인 지면반력 중심점의 이동궤적을 나타내게 되어 발과 무릎에 작용하는 하중의 내외 균형을 조절한다.
오(O)자 다리인 사람의 착용을 위해 전방부재(300)는 전방 제 3 부재(303)의 경도 > 전방 제 1 부재(301)의 경도 > 전방 제 2 부재(302)의 경도 순으로 구성한다. 또한, 엑스(X)자 다리인 사람의 착용을 위해 전방 제 1 부재(301)의 경도 > 전방 제 3 부재(303)의 경도 > 전방 제 2 부재(302)의 경도 순으로 구성한다.
(제 6 실시예에 따른 전방부재의 구성)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전방부재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부재(300)는 외측 전방에서 내측 후방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여러 부분으로 분할된다. 여기서, 분할된 전방부재(300)의 각 부분은 앞쪽부터 전방 제 1 부재(301), 전방 제 2 부재(302), 전방 제 3 부재(303)라고 명명한다. 이때, 각각의 부재(301, 302, 303)로 분할되는 경계선(800)의 경사각도는 밑창의 중심축(700)과 경계선의 법선(900)이 이루는 경사각이 0°내지 15°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밑창의 중심축(700)과 경계선의 법선(900)이 이루는 경사각이 5°내지 10°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경계면이 사선으로 분할되는 것은 내측으로 과도하게 회전하는 회내운동(Pronation)의 양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이때, 전방 제 1 부재(301) 내지 전방 제 3 부재(303)는 각각 다른 경도를 갖는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중심부재의 구성)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중심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중심부재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중심부재(400)는 밑창(100)에 형성된 홈(101)의 내부 중 전방 41 ~ 70% 범위에 결합된다. 그 형상은 밑창(1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홈(101)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타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발바닥 아치부의 곡률에 맞도록 내측 단축 지름(D1)이 외측 단축 지름(D2)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또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중심 부재(400)는 밑창(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세 부분으로 분할된다. 여기서, 분할된 중심부재(400)의 각 부분은 착용자의 내측부터 중심 제 1 부재(401), 중심 제 2 부재(402), 중심 제 3 부재(403)라고 명명한다. 이렇게 분할된 각각의 부분은 착용자의 건강상태 및 무릎의 형상에 따라 각각 다른 경도를 갖는다. 중심부재(400)를 이루는 각각의 부재들의 경도 차이는 서로 다른 재질을 사용하거나,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발포과정 또는 생산과정 등에서의 성분 조정 등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때, 정상인의 착용을 위해 중심 제 1 부재(401)와 중심 제 3 부재(403)의 경도가 동일하고, 중심 제 2 부재(402)의 경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즉, 중심 제 1 부재(401)의 경도 = 중심 제 3 부재(403)의 경도 > 중심 제 2 부재(402)의 경도를 갖도록 구성한다. 발이 지면과 접촉하면서 경도가 낮은 쪽으로 자연스럽게 지면반력(압력) 중심점이 이동하게 된다. 지면반력 중심점이 발의 중심부분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상적인 지면반력 중심점의 이동궤적을 나타내게 되어 발과 무릎에 작용하는 하중의 내외 균형을 조절한다.
오(O)자 다리인 사람의 착용을 위해 중심부재(400)는 중심 제 3 부재(403)의 경도 > 중심 제 1 부재(401)의 경도 > 중심 제 2 부재(402)의 경도 순으로 구성한다. 또한, 엑스(X)자 다리인 사람의 착용을 위해 중심 제 1 부재(401)의 경도 > 중심 제 3 부재(403)의 경도 > 중심 제 2 부재(502)의 경도 순으로 구성한다.
(제 6 실시예에 따른 중심부재의 구성)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중심부재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재(400)는 외측 전방에서 내측 후방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여러 부분으로 분할된다. 여기서, 분할된 중심부재(400)의 각 부분은 앞쪽부터 중심 제 1 부재(401), 중심 제 2 부재(402), 중심 제 3 부재(403)라고 명명한다. 이때, 분할되는 경사각도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전방부재(300)의 경사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경계면이 사선으로 분할되는 것은 내측으로 과도하게 회전하는 회내운동(Pronation)의 양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이때, 중심 제 1 부재(401) 내지 중심 제 3 부재(403)는 각각 다른 경도를 갖는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후방부재의 구성)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후방부재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부재(50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 시예에 따른 후방부재(500)와 동일하다. 하지만, 밑창(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세 부분으로 분할된다. 여기서, 분할된 후방부재(500)의 각 부분은 착용자의 내측부터 후방 제 1 부재(501), 후방 제 2 부재(502), 후방 제 3 부재(503)라고 명명한다. 이렇게 분할된 각각의 부분은 착용자의 건강상태 및 무릎의 형상에 따라 각각 다른 경도를 갖는다. 후방부재(500)를 이루는 각각의 부재들의 경도 차이는 서로 다른 재질을 사용하거나,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발포과정 또는 생산과정 등에서의 성분 조정 등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때, 정상인의 착용을 위해 후방 제 1 부재(501)와 후방 제 3 부재(503)의 경도가 동일하고, 후방 제 2 부재(502)의 경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즉, 후방 제 1 부재(501)의 경도 = 후방 제 3 부재(503)의 경도 > 후방 제 2 부재(502)의 경도를 갖도록 구성한다. 발이 지면과 접촉하면서 경도가 낮은 쪽으로 자연스럽게 지면반력(압력) 중심점이 이동하게 된다. 지면반력 중심점이 발의 중심부분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상적인 지면반력 중심점의 이동궤적을 나타내게 되어 발과 무릎에 작용하는 하중의 내외 균형을 조절한다.
오(O)자 다리인 사람의 착용을 위해 후방부재(500)는 후방 제 3 부재(503)의 경도 > 후방 제 1 부재(501)의 경도 > 후방 제 2 부재(502)의 경도 순으로 구성한다. 또한, 엑스(X)자 다리인 사람의 착용을 위해 후방 제 1 부재(501)의 경도 > 후방 제 3 부재(503)의 경도 > 후방 제 2 부재(502)의 경도 순으로 구성한다.
(제 6 실시예에 따른 후방부재의 구성)
도 1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후방부재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부재(500)는 외측 전방에서 내측 후방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여러 부분으로 분할된다. 여기서, 분할된 후방부재(500)의 각 부분은 앞쪽부터 후방 제 1 부재(501), 후방 제 2 부재(502), 후방 제 3 부재(503)라고 명명한다. 이때, 분할되는 경사각도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전방부재(300) 및 중심부재(400)의 경사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경계면이 사선으로 분할되는 것은 지면과 최초로 접지하는 접지면을 넓게 형성하고, 내측으로 과도하게 회전하는 회내운동(Pronation)의 양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이때, 후방 제 1 부재(501) 내지 후방 제 3 부재(503)는 각각 다른 경도를 갖는다.
(제 7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6 실시예에 따른 밑창(100)과 발바닥의 접촉시 촉감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결합부재(200)를 결합한 밑창(100)의 상부에 깔창(600)이 구비된다.
(제 8 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창(600)의 바닥부에 제 1 내지 제 6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200)를 밑창(100)에 형성된 홈(101)과 대응되도록 접착한 후 밑창(100)과 결합할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200)는 전방부재(300), 중심부재(400), 후방부재(500) 중 어느 하나만으로 구성되거나, 2개 부분 또는 3개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결합부재(200)는 보다 세분화하여 수개 또는 수십 개로 분할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밑창(100)의 홈(101) 역시 수개 또는 수십 개로 분할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방부재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전방부재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중심부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중심부재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중심부재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중심부재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후방부재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에에 따른 후방부재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의 분해 사 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밑창 101 : 홈
102 : 칸막이 200 : 결합부재
300 : 전방부재 301 : 전방 제 1 부재
302 : 전방 제 2 부재 303 : 전방 제 3 부재
400 : 중심부재 401 : 중심 제 1 부재
402 : 중심 제 2 부재 403 : 중심 제 3 부재
500 : 후방부재 501 : 후방 제 1 부재
502 : 후방 제 2 부재 503 : 후방 제 3 부재
600 : 깔창 700 : 밑창의 중심축
800 : 경계선 900 : 경계선의 법선
D : 중심부재의 단축 지름
D1 : 중심부재의 내측 단축 지름
D2 : 중심부재의 외측 단축 지름

Claims (8)

  1. 홈(101)이 형성된 밑창(100); 및
    상기 홈(101)에 결합되고, 3부분으로 분할되어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결합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200)는 상기 밑창(100)의 길이방향 중심축(700)과 수직을 이루도록 제 1 부재(201), 제 2 부재(202) 및 제 3 부재(203)의 세 부분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 1 부재(201), 제 2 부재(202) 및 제 3 부재(203)의 경도는 제 2 부재(202) > 제 1 부재(201) > 제 3 부재(203) 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100)의 홈(101)이 2개의 칸막이(102)에 의해 3부분으로 분할되어 각각의 홈(101)을 갖고, 상기 결합부재(200)가 상기 3부분으로 분할된 홈(101) 중 전방에 결합되는 전방부재(300), 상기 홈(101)의 중심부에 결합되는 중심부재(400) 및 상기 홈(101) 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방부재(500)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부재(300), 중심부재(400), 후방부재(500) 중 적어도 하나는 3부분으로 분할되어 경도가 다른 재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200) 상부에 깔창(60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깔창(600)의 바닥부에 상기 결합부재가(200)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
  6. 삭제
  7. 홈(101)이 형성된 밑창(100); 및
    상기 홈(101)에 결합되고, 3부분으로 분할되어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결합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200)는 내측 후방에 구비된 제 1 부재(201), 외측 전방에 구비된 제 3 부재(203) 및 제 1 부재(201)와 제 3 부재(203)를 제외한 중심에 구비된 제 2 부재(20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재(201), 제 2 부재(202) 및 제 3 부재(203)의 경도는 제 1 부재(201) = 제 3 부재(203) > 제 2 부재(202) 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
  8. 제 1항, 제 3항 내지 제 5항 및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관절화.
KR1020080039211A 2008-04-28 2008-04-28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 및 이를 구비한 무릎 관절화 KR100998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211A KR100998239B1 (ko) 2008-04-28 2008-04-28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 및 이를 구비한 무릎 관절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211A KR100998239B1 (ko) 2008-04-28 2008-04-28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 및 이를 구비한 무릎 관절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473A KR20090113473A (ko) 2009-11-02
KR100998239B1 true KR100998239B1 (ko) 2010-12-03

Family

ID=41554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211A KR100998239B1 (ko) 2008-04-28 2008-04-28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 및 이를 구비한 무릎 관절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2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077B1 (ko) 2019-04-04 2019-11-26 원종칠 신체 교정용 신발 깔창
KR102435041B1 (ko) * 2021-10-20 2022-08-19 박진서 자세 교정이 가능한 신발 밑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5893B2 (en) * 2011-08-10 2014-06-10 Gavrieli Brands LLC Split-sole footwear
KR100992423B1 (ko) 2010-06-29 2010-11-08 양철호 신발 밑창
KR101227089B1 (ko) * 2010-10-15 2013-01-28 신강희 내진부재가 구비된 보정 신발
DE102012206094B4 (de) 2012-04-13 2019-12-05 Adidas Ag Sohlen für Sportschuhe, Schuh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chuhsohle
KR101442162B1 (ko) * 2014-06-16 2014-09-18 주식회사 엘에프 다중경도를 가지는 신발창이 구비된 신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8043B1 (ko) 1998-03-03 2001-04-02 박정수 충격흡수 구조가 육안으로 식별되는 신발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8043B1 (ko) 1998-03-03 2001-04-02 박정수 충격흡수 구조가 육안으로 식별되는 신발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077B1 (ko) 2019-04-04 2019-11-26 원종칠 신체 교정용 신발 깔창
KR102435041B1 (ko) * 2021-10-20 2022-08-19 박진서 자세 교정이 가능한 신발 밑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473A (ko) 2009-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0868B2 (en) Sole with projections and article of footwear
EP3854250B1 (en) Sole for a shoe
KR100998239B1 (ko)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 및 이를 구비한 무릎 관절화
US9872536B2 (en) Wave technology
US9439474B2 (en) Outsole
JP6751139B2 (ja) 履物および中足衝撃部用の靴底
US20140047740A1 (en) Reactive shoe
US20010032400A1 (en) Footwear outsole having arcuate inner-structure
KR200462847Y1 (ko) 무릎 관절 보호 및 오다리 교정이 가능한 기능성 신발 밑창
US20140237852A1 (en) Sole assembly and footwear comprising a sole assembly
CN112770646A (zh) 具有模子底的鞋类
US20150366290A1 (en) Stability Structure
US6321468B1 (en) Footwear outsole having arcuate inner-structure
CN107006931B (zh) 一种能提供足弓动态支撑的鞋结构
KR20090009027A (ko) 내외측 경도의 차이 배열을 이용한 지면반력중심점이동궤적 조절용 밑창을 장착한 관절통증 완화, 보행동작및 골격정렬 교정기능을 갖는 고기능성 신발
KR100960051B1 (ko) 족저 압력이 경감되는 구두굽 및 이를 구비한 당뇨화
JP6353479B2 (ja) シューズ用ソール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ューズ
KR101252287B1 (ko) 퇴행성 무릎을 위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KR101222850B1 (ko) 경도조절 및 교체가 용이한 뒷굽체를 구비한 신발
KR20060035524A (ko) 원형신발바닥에 에어백이 내장된 건강 흔들 신발
US20240016256A1 (en) Running Shoes
US20160345662A1 (en) Shoe sole
JP2023505422A (ja) 靴ソール
AU2020243382A1 (en) A sole
KR20110119903A (ko) 충격분산기능과 구름보행기능을 가지는 신발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