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65589A1 -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65589A1
WO2022065589A1 PCT/KR2020/016810 KR2020016810W WO2022065589A1 WO 2022065589 A1 WO2022065589 A1 WO 2022065589A1 KR 2020016810 W KR2020016810 W KR 2020016810W WO 2022065589 A1 WO2022065589 A1 WO 202206558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s
sole
shoe
base part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681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성호동
Original Assignee
성호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호동 filed Critical 성호동
Priority to CN202080106497.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6546901A/zh
Priority to US18/028,081 priority patent/US20230329392A1/en
Priority to EP20955387.4A priority patent/EP4218482A1/en
Publication of WO202206558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6558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43B13/226Profiled soles the profile being made in the foot fac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outsole or external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 having both improved shock absorption and elastic restoring force.
  • a shoe protects a person's foot, and the shoe protects the foot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when a person walks or runs.
  • the load on the feet is considerable.
  • the magnitude of the vertical pressure between the ground and the foot is approximately 2 to 3 times the body weight.
  • the sole of the shoe is required to have a function of alleviating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sole. If the sole of the shoe does not sufficiently absorb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ground while walking or running, degenerative changes may occur in the joints or cause back pain.
  • the sole of the shoe absorbs the shock by using various cushioning members or by lowering the hardness of the sole of the shoe itself.
  • the sole of the shoe is required to have both shock absorption to be reduced when stepping on the ground and rebound elasticity to be increased when the foot is lifted from the ground.
  • the ground repulsion force decreases as the sole of the shoe absorbs the impact, the impact absorption and rebound elasticity are characteristics that are contradictory.
  • the ankle may be easily bent when the wearer engages in a radical movement. It is a major cause of injuries.
  • shock absorption and resilience which are the antinomy properties
  • the sole structure of the shoe is complicated, the weight is increased, and productivity is lowered.
  • running shoes can be made by applying air tubes and injection structures to improve shock absorption and rebound elasticit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process is also very complicated.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e that not only improves shock absorption, resilience, and durability, but also lightweight.
  • the shoe includes a first sole having a first bas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base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ground, and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and a second sole having a second base portion joined to the end por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base portion, the end portion of which is joined to the first base portion.
  •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cross-sectional area in a horizontal direction increases as each protrudes.
  •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may include a hemispherical shape.
  •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may have a hollow hemisphere shape.
  •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may be formed in a hollow hemispherical shape in which a portion facing the ground is opened and an inner surface thereof is exposed to the ground.
  • the first sole and the second sole may have different hardnesses.
  •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or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having relatively high hardness are formed along the edges of the first base part or the second base part
  •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or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having relatively low hardness are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or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having relatively high hardness. It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protrusions.
  •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or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having relatively low hardness are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or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having relatively high hardness.
  • the elasticity may b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protrusion.
  •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ng portions connecting all or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respectively, are formed on the first base por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ng portions connecting all or some of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respectively, are formed on the second base portion.
  • a second connection portion of may be formed.
  •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ng portions have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and decrease in height as the distance from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increas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onnecting portions have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The height may decrease as the distance from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increases.
  •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rts connect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r a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ase part
  • the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rts connect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along a width direction or a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base part.
  •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rt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rts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each other.
  • the first sol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elastic reinforcing part protruding from the first base part toward the second base part.
  • the second sol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lastic reinforcing part protruding from the second base par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base part and having an end portion facing the end of the first elastic reinforcement part and joined.
  • the first elastic reinforcing part and the second elastic reinforcing par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 At least one of the first elastic reinforcement part and the second elastic reinforcement part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 the shoe can improve both shock absorption, rebound elasticity, and durability, as well as reduce weight.
  • the shoe can effectively prevent the wearer's ankle from being sprained and suppress the pronation phenomenon.
  • the shoe may stably withstand an impact that is several times the weight of the wearer, a movement in one direction, and a lateral force caused by a sudden change of direction.
  • FIG. 1 is a side view of a sho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side view of a first sole and a second sole of the shoe of FIG. 1 ;
  • FIG. 3 is a plan view of a first sole of the shoe of FIG. 1 ;
  • FIG. 4 is a plan view of a second sole of the shoe of FIG. 1 ;
  •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first sole and the second sole of the shoe of FIG. 1 together.
  • FIG. 6 is an exploded side view of a sho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ide view of a sho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xploded side view of a first sole and a second sole of the shoe of FIG. 6 ;
  • FIG. 9 is a plan view of a first sole of the shoe of FIG. 6 ;
  • FIG. 10 is a plan view of a second sole of the shoe of FIG. 6 ;
  •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first sole and the second sole of the shoe of FIG. 6 together.
  •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I-XII of FIG. 10 .
  •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represents an ide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iagram are expected. Accordingly,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of the illustrated area, and includes, for example, a shape modification by manufacturing.
  • FIGS. 1 to 5 a shoe 10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 the shoe 101 will be described except for the upper part.
  • the upper may be made of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first sole 200 and the second sole 300 to be described later in various ways.
  • the shoe 10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sole 200 and a second sole 300 .
  • the first sole 200 may include a first base part 250 and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
  • the first base part 250 and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may be integrally formed.
  • the first base part 250 may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 a tread for improving traction with the ground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ase part 250 in contact with the ground.
  •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may protrude from the first base part 25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ground, that is, from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round.
  •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may b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first base part 250 .
  • the second sole 300 may include a second base part 350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10 .
  • the second base part 35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10 may be integrally formed.
  • the second base part 350 may be joined to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of the first sole 200 . That is, one surface of the second base part 350 is joined to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part 350 is opposite to the sole of the wearer's sole.
  •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10 may protrude from the second base part 350 to the first base part 250 .
  •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10 may be joined to the first base part 250 . That is,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10 may be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10 of the second sole 300 is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of the first sole 200 , that is,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10 . 1 may be dispos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protrusion 210 .
  •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1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cross-sectional area in a horizontal direction increases as each protrudes.
  •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10 may include a hemispherical shape.
  • the hemispherical shape that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10 may have is a structure in which shock absorption and restoration are physically very effective. For example, the balls used in all ball games absorb the shock the fastest from any angle and recover to the original shape most efficiently.
  • the first sole 200 and the second sole 300 each having a first protrusion 210 and a second protrusion 310 having a hemispherical structure in which a sphere is cut in half are made and , The ends of the first protrusion 210 and the second protrusion 310 are joined to the second base part 350 and the first base part 250 , respectively, so that the cut surfaces of these hemispherical structures face opposite to each other.
  • the shoe 10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improve both shock absorption and rebound elasticity, while sufficiently securing a contact area with the ground.
  • the shoe 10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durability and strength by alternately disposing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10, and the sole of the wearer's feet can be supported stably.
  • the ends of the first protrusion 210 and the second protrusion 310 are bonded to the second base part 350 and the first base part 250, respectively, with a general adhesive, the radical operation cannot be endured and the first protrusion ( The ends of the 210 and the second protrusion 310 may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base part 350 or the second base part 250 .
  • the ends of the first protrusion 210 and the second protrusion 310 can be joined to the second base part 350 and the first base part 250 by a high-frequency bonding method. there is.
  • the basic principle of the high-frequency bonding method is to dielectrically heat the material to be bonded.
  • the high frequency vibrates to the melting point of the material and heats it while pressing the material at the same time.
  • the materials are melted together and strongly fused together. Since this high-frequency bonding method heats up quickly within a few seconds, it is possible to achieve a strong fusion while minimizing material loss.
  •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 and the ends of the first protrusion 210 and the second protrusion 31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ase part 350 in various ways, such as using an adhesive. and the first base part 250 .
  •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of the first sole 200 are formed along an edge of the first base part 250
  •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210 of the second sole 300 ar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first base part 250 .
  • the protrusions 310 are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 but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10 of the second sole 300 ar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econd base 350
  •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10 of the first sole 200 ar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econd base 350 .
  • One protrusion 210 may b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10 .
  • the first sole 200 and the second sole 300 may be made to have different hardness.
  • the first sole 200 may have relatively low elasticity but high strength and hardness
  • the second sole 300 may have relatively low strength and hardness but strong elasticity, and vice versa.
  •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of the first sole 20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10 of the second sole 300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or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having relatively high hardness
  • the second protrusion 310 may be formed along an edge of the first base part 250 or the second base part 350 .
  • the second protrusion 310 may b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or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10 having relatively high hardness. For example, in FIGS.
  •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have a relatively higher hardness than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10 and are formed along the edges of the first base part 250 ,
  • the second protrusion 310 represents a structur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
  •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latively high hardness. Elasticity may be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protrusion 210 or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10 .
  • first protrusions 210 or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10 having relatively low hardness and high elasticity are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or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10 having relatively high hardness.
  • the hardness of the first sole 200 and the second sole 300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shoe.
  • the shoe 101 may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running shoes, walking shoes, basketball shoes, golf shoes, hiking shoes, and various sports shoes, and the hardness of the first sole 200 may be relatively high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shoe 101, The hardness of the second sole 300 may be relatively high.
  •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empty space therebetween,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10 also have a predetermined empty space therebetween. can be spaced apart.
  • the predetermined empty space becomes a space that can spread laterally when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10 having a hemispherical shape are deformed under pressure, respectively.
  • the size of the empty space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size and deformation degree of the first protrusion 210 and the second protrusion 310 .
  • first base part 250 of the first sole 200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10 are exposed to the outside. Edges of the second base part 350 of the second sole 3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overall weight of the shoe 101 can be greatly reduced as well as the first sole 200 and the second sole 300 . It can prevent water from accumulating in between. That is, the first sole 200 and the second sole 300 having such a structure may be more usefully applied to shoes such as aqua shoes frequently submerged in water.
  • the shoe 10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both shock absorption, rebound elasticity, and durability as well as reduce weight.
  • the shoe 101 can effectively prevent the wearer's ankle from being sprained and suppress the pronation phenomenon.
  • the shoe 101 can stably withstand an impact that is several times the weight of the wearer, a movement in one direction, and a lateral force caused by a sudden change of direction.
  • the lower structure of the shoe 101 with only two molds can be completed, so that productivity can be greatly improved.
  •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of the first sole 200 and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of the second sole 300 are provided.
  • the second protrusion 310 may be formed in a hollow hemisphere shape.
  •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may be formed in a hollow hemispherical shape in which a portion facing the ground is opened and an inner surface thereof is exposed to the ground.
  •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protruding from the first base part 25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ground have an edge of the first protrusion 210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ase part 250 and the first protrusion part It means that 210 protrudes upward, and does not mean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210 is blocked by the first base part 250 .
  • the shoe 101a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both shock absorption, resilience, and durability, as well as reduce weight, and effectively prevent the wearer's ankle from being sprained. It can suppress the pronation phenomenon, and it can stably withstand the impact of several times the wearer's weight, the movement in one direction, and the lateral force caused by the sudden change of direction.
  •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10 each independently act as a buffer, and th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facing the ground are opened to open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 Since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210 is exposed to the ground, bending of the ankle can be minimized even if the wearer of the shoe steps on a stone while walking or running on an irregular ground.
  • the shoe 1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first sole 400 and a second sole 500 .
  • the first sole 400 may include a first base part 450 ,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410 , and a first elastic reinforcement part 480 .
  • the first base part 450 ,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410 , and the first elastic reinforcement part 480 may be integrally formed.
  • the second sole 500 may include a second base part 550 ,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510 , and a second elastic reinforcement part 580 .
  • the second base part 550,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510, and the elastic reinforcement part 580 may be integrally formed.
  • the first sole 400 and the second sole 500 may have different hardnesses.
  •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410 of the first sole 400 may be selectively formed on the edge or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510 of the second sole 500 may be formed on the edge according to hardness.
  • the first base part 450 may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 a tread for improving traction with the ground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ase part 450 in contact with the ground.
  •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410 may protrude from the first base part 45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ground, that is, from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round.
  •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410 may b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first base part 450 . .
  •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rts 455 may be formed on the first base part 450 .
  •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ng portions 455 may be formed in the first base portion 450 to connect all or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410 , respectively.
  •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rts 455 may have a lower height than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410 , and may decrease in height as they move away from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410 .
  •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rts 455 may connect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410 along the length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ase part 450 .
  •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rts 455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4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ase part 450 . can be connected And if the hardness of the first sole 400 is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sole 500, the opposite may be the case.
  •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ng portions 455 formed in this way reinforces the strength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410 and limits movement. That is, when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410 are crushed under pressure, the spreading direction and degree are controlled.
  • the second base part 550 may be joined to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510 of the first sole 500 . That is, one surface of the second base part 550 is joined to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510 ,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part 550 is opposite to the sole of the wearer's sole.
  •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510 may protrude from the second base part 550 toward the first base part 450 .
  •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510 may be joined to the first base portion 450 . That is,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41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510 may be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510 of the second sole 500 may be formed by the first sole 400 . may b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410 .
  •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510 ar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econd base part 550 ,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510 ar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econd base part 550 ,
  • One protrusion 410 may b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510 .
  •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rts 555 may be formed on the second base part 550 .
  • the plurality of second connecting portions 555 may be formed in the second base portion 550 to connect all or some of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510 , respectively.
  • the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rts 555 may have a lower height than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510 , and may decrease in height as they move away from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510 .
  • the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rts 555 may connect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510 along the width direction or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base part 550 .
  • the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rts 555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510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base part 500 . can be connected.
  • the opposite may be true.
  • the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rts 555 formed in this way reinforces the strengt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510 and limits movement. That is, when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510 are crushed under pressure, the spreading direction and degree are controlled.
  •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rts 455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rts 555 may be formed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 the first elastic reinforcement part 480 protrudes from the first base part 450 toward the second base part 550
  • the second elastic reinforcement part 580 is formed from the second base part 550 to the first base part. Doedoe protruding in the (450) direction, the end of the second elastic reinforcing part 580 may be joined to face the end of the first elastic reinforcing part 480.
  • first elastic reinforcing part 480 and the second elastic reinforcing part 580 include the second base part 550 and the first base part ( 450 , respectively, and the first elastic reinforcement part 480 and the second elastic reinforcement part 580 are bonded to each other.
  • at least one of the first elastic reinforcement part 480 and the second elastic reinforcement part 580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 first elastic reinforcing part 480 and the second elastic reinforcing part 580 face each other and perform shock absorption and restoration to achieve relatively higher rebound elasticity than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410 and 510 .
  • first elastic reinforcing part 480 and the second elastic reinforcing part 48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41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510 .
  • first elastic reinforcing part 480 and the second elastic reinforcing part 580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sole of the wearer's sole where load and impact are concentrated.
  • first elastic reinforcing part 480 and the second elastic reinforcing part 580 may be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eel or the toe of the big toe.
  •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part 410 and the second base part 550 is when they are joined by the same adhesive method. and a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second protrusion 510 and the first base 450 may be slightly lower than the bonding strength.
  •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 and the ends of the first elastic reinforcing part 480 and the second elastic reinforcing part 580 may be joined to each other in various ways, such as using an adhesive.
  • the shoe 1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improve shock absorption, rebound elasticity, and durability, but also reduce weight.
  • the shoe 102 can effectively prevent the wearer's ankle from being sprained and suppress the pronation phenomenon.
  • the lower structure of the shoe 102 by making two injection products, that is, the first sole 400 and the second sole 500 in one mold, the lower structure of the shoe 102 with only two molds can be completed, so that productivity can be greatly improved.
  •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410 formed at the edge may walk or It suppresses bending of the ankle when running,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510 distribute the load to the entire sole of the foot and provide shock absorption and rebound elasticity, and the first elastic reinforcement part 480 and the second elastic reinforcement part 580 ) reinforces the elasticity of the area to which a relatively high load and impact is applied.
  • the shoe 102 can stably withstand an impact that is several times the weight of the wearer, a movement in one direction, and a lateral force caused by a sudden change of direction.
  •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similarly to the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the first protrusion 410 and the second protrusion 510 may be deformed into a hollow hemisphere shape.
  • the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not only improve shock absorption, rebound elasticity, and durability, but also lighten 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지면과 접촉하는 제1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지면에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돌출부를 갖는 제1 밑창과,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의 단부와 접합되는 제2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에서 상기 제1 베이스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부가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접합된 복수의 제2 돌출부를 갖는 제2 밑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격 흡수성과 탄성 복원력을 함께 향상시킨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람의 발을 보호하는 것으로, 신발은 사람이 걷거나 달릴 때 발을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그런데 사람이 걷거나 달릴 때 발에 걸리는 하중은 상당하다. 압력판을 이용하여 달리기 중의 지면 반발력을 분석해 보면, 지면과 발 사이에서의 수직 압력의 크기는 대략 체중의 2배 내지 3배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신발의 밑창에는 발바닥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사람이 걷거나 달리기 중에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신발의 밑창이 충분히 흡수하지 못한다면, 관절에 퇴행적인 변화가 일어나거나 요통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걷거나 달릴 때에 발바닥에 가해지는 상당한 충격을 골격근계에 무리가 가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흡수하기 위하여 신발의 밑창은 다양한 완충 부재들을 이용하거나, 신발 밑창 자체의 경도를 낮추어 충격을 흡수하였다.
하지만, 신발의 밑창에는 지면에 발을 디딜 때 감소시켜야 하는 충격 흡수성과 지면으로부터 발을 들 때 증대시켜야 하는 반발 탄성이 함께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신발의 밑창이 충격을 흡수할수록 지면 반발력은 감소되므로,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은 이율배반적인 특성이다.
종래의 신발의 밑창은 소재가 갖는 충격 흡수성에 의존하여 단순히 완충 역할을 수행하므로, 충격 흡수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여 신발의 밑창을 제조할 경우 밑창의 반발 탄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어려웠다.
특히, 충격 흡수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여 신발의 밑창을 제조할 경우 착용자가 과격한 동작을 할 때 발목이 쉽게 꺾일 수 있으며, 내전 현상이 발생된 상태로 장시간 걷거나 운동하게 되면 쉽게 피로감을 느끼고 발목이나 무릎 부상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율배반적인 특성인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신발의 밑창 구조가 복잡해지고 무게도 증가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러닝화는 충격 흡수성 및 반발 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에어 튜브 및 사출 구조를 적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러닝화의 경우에 깔창, 중창, 및 밑창에 적어도 대여섯 가지의 부품들이 들어가면서 무게가 무거워지고 생산 공정도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 그리고 내구성을 모두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경량화시킨 신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은 지면과 접촉하는 제1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지면에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돌출부를 갖는 제1 밑창과,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의 단부와 접합되는 제2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에서 상기 제1 베이스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부가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접합된 복수의 제2 돌출부를 갖는 제2 밑창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와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는 각각 돌출될수록 가로 방향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와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는 반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와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는 속이 빈 반구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는 지면과 대향하는 부분이 개구되어 내측면이 상기 지면에 노출된 속이 빈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밑창과 상기 제2 밑창은 경도(硬度, hardness)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중에서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가 상기 제1 베이스부 또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중에서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는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중에서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는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보다 상대적으로 탄성이 높을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베이스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며,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를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와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밑창은 상기 제1 베이스부에서 상기 제2 베이스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1 탄성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밑창은 상기 제2 베이스부에서 상기 제1 베이스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단부가 상기 제1 탄성 보강부의 단부와 마주하여 접합되는 제2 탄성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보강부와 상기 제2 탄성 보강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보강부와 상기 제2 탄성 보강부 중 하나 이상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은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 그리고 내구성을 모두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경량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은 착용자의 발목이 접질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내전 현상을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은 착용자 체중의 수배에 달하는 충격과 일 방향으로의 움직임 그리고 급격한 방향 전환 동작에 따른 횡력도 안정적으로 견딜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신발의 제1 밑창과 제2 밑창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신발의 제1 밑창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신발의 제2 밑창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신발의 제1 밑창과 제2 밑창을 함께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례에 따른 신발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신발의 제1 밑창과 제2 밑창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신발의 제1 밑창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신발의 제2 밑창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6의 신발의 제1 밑창과 제2 밑창을 함께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XII-X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척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101)을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신발(101)은 갑피 부분을 제외하고 설명한다. 갑피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형상과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후술할 제1 밑창(200) 및 제2 밑창(30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101)은 제1 밑창(200) 및 제2 밑창(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밑창(200)은 제1 베이스부(250)와 복수의 제1 돌출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베이스부(250)와 복수의 제1 돌출부(2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250)는 지면과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베이스부(250)의 지면과 접촉하는 일면에는 지면과의 접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트레드(tread)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돌출부(210)는 제1 베이스부(250)에서 지면에 반대 방향으로, 즉 지면과 접촉하는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돌출부(210)는 제1 베이스부(25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밑창(300)은 제2 베이스부(350)와 복수의 제2 돌출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베이스부(350)와 복수의 제2 돌출부(3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350)는 제1 밑창(200)의 복수의 제1 돌출부(210)의 단부와 접합될 수 있다. 즉, 제2 베이스부(350)의 일면은 복수의 제1 돌출부(210)의 단부와 접합되고 제2 베이스부(350)의 타면은 착용자의 발바닥과 대향하게 된다.
복수의 제2 돌출부(310)는 제2 베이스부(350)에서 제1 베이스부(25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2 돌출부(310)의 단부는 제1 베이스부(250)와 접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 돌출부(210)와 복수의 제2 돌출부(310)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2 밑창(300)의 복수의 제2 돌출부(310)는 제1 밑창(200)의 복수의 제1 돌출부(210) 사이의 공간, 즉 복수의 제1 돌출부(210)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돌출부(210)와 복수의 제2 돌출부(310)는 각각 돌출될수록 가로 방향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돌출부(210)와 복수의 제2 돌출부(310)는 반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1 돌출부(210) 및 복수의 제2 돌출부(310)가 가질 수 있는 반구 형상은 물리학적으로 충격 흡수와 복원이 매우 효율적인 구조이다. 예를 들어, 모든 구기 종목에 사용되는 공들은 어떠한 각도에서도 가장 빠르게 충격을 흡수하며 가장 효율적으로 원형으로 복구가 된다. 하지만, 공이 원형이 아니라 다면체라면 면과 면을 이어주는 모서리가 가장 빠르게 터지게 되고, 복구되는 형상도 면의 각도와 충돌 각도에 따라서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구형의 구조로 신발의 밑창을 만들게 되면,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을 모두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구형의 구조 그대로 밑창을 만들게 되면, 지면과의 접촉 면적이 적어질 수밖에 없으므로, 신발의 접지력이 저하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구형을 반으로 자른 반구형 구조의 제1 돌출부(210)와 제2 돌출부(310)를 각각 갖는 제1 밑창(200)과 제2 밑창(300)을 만들고, 이들 반구형 구조의 잘린 면이 서로 반대로 향하도록 제1 돌출부(210)와 제2 돌출부(310)의 단부를 각각 제2 베이스부(350)와 제1 베이스부(250)에 접합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101)은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을 모두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지면과의 접촉 면적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101)은 복수의 제1 돌출부(210)와 복수의 제2 돌출부(310)를 엇갈려 배치함으로써 내구성과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착용자의 발바닥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런데, 반구형 구조의 잘린 면이 서로 반대로 향하도록 제1 돌출부(210)와 제2 돌출부(310)의 단부가 각각 제2 베이스부(350)와 제1 베이스부(250)에 접합된 구조에서는 제1 돌출부(210)와 제2 베이스(350) 간의 접합 면적과 제2 돌출부(310)와 제1 베이스(250) 간의 접합 면적이 작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일반적인 접착제로 제1 돌출부(210)와 제2 돌출부(310)의 단부를 각각 제2 베이스부(350)와 제1 베이스부(250)에 접합시킨다면, 과격한 동작을 견디지 못하고 제1 돌출부(210)와 제2 돌출부(310)의 단부가 제2 베이스부(350)나 제2 베이스부(250)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돌출부(210)와 제2 돌출부(310)의 단부를 고주파 접착 방법으로 제2 베이스부(350)와 제1 베이스부(250)에 접합시킬 수 있다.
고주파 접착 방법의 기본 원리는 접착되는 재료의 유전 가열시키는 것으로, 고주파 기계 프레스에 의해 접합될 2개의 소재를 전극과 정반 사이에 놓고 고주파에 의해 소재의 녹는점까지 진동시켜 가열시키면서 동시에 소재를 누르면, 소재가 같이 녹아 강력하게 융착된다. 이러한 고주파 접착 방법은 몇 초 내에 신속하게 가열되므로, 강력하게 융착되면서도 재료의 손실은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주파 접착 방법을 사용하여, 제1 돌출부(210)와 제2 돌출부(310)의 단부를 제2 베이스부(350)와 제1 베이스부(250)에 접합시키게 되면, 착용자 체중의 수배에 달하는 충격과 일 방향으로의 움직임 그리고 급격한 방향 전환 동작에 따른 횡력도 견딜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전술한 바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돌출부(210)와 제2 돌출부(310)의 단부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2 베이스부(350)와 제1 베이스부(250)에 접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5에서는, 제1 밑창(200)의 복수의 제1 돌출부(210)가 제1 베이스부(25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제2 밑창(300)의 복수의 제2 돌출부(310)는 복수의 제1 돌출부(2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반대로, 제2 밑창(300)의 복수의 제2 돌출부(310)가 제2 베이스(35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제1 밑창(200)의 복수의 제1 돌출부(210)가 복수의 제2 돌출부(3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밑창(200)과 제2 밑창(300)은 경도(硬度, hardness)가 서로 다르게 만들어질 수 있다. 일례로, 제1 밑창(200)은 탄성은 상대적으로 작지만 강도과 경도가 높고 제2 밑창(300)은 강도와 경도는 상대적으로 낮지만 탄성이 강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밑창(200)의 복수의 제1 돌출부(210) 및 제2 밑창(300)의 복수의 제2 돌출부(310) 중에서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복수의 제1 돌출부(210) 또는 복수의 제2 돌출부(310)가 제1 베이스부(250) 또는 제2 베이스부(35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밑창(200)의 복수의 제1 돌출부(210) 및 제2 밑창(300)의 복수의 제2 돌출부(310) 중에서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복수의 제1 돌출부(210) 또는 복수의 제2 돌출부(310)는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복수의 제1 돌출부(210) 또는 복수의 제2 돌출부(3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 및 도 5에서는, 복수의 제1 돌출부(210)가 복수의 제2 돌출부(310)보다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아 제1 베이스부(25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복수의 제2 돌출부(310)는 복수의 제1 돌출부(2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복수의 제1 돌출부(210) 및 복수의 제2 돌출부(310) 중에서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복수의 제1 돌출부(210) 또는 복수의 제2 돌출부(310)는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복수의 제1 돌출부(210) 또는 복수의 제2 돌출부(310) 보다 상대적으로 탄성이 높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복수의 제1 돌출부(210) 또는 복수의 제2 돌출부(310)를 신발(101)의 가장자리에 배치함으로써, 신발(101)의 내구성과 강도를 높이고, 신발(101)이 쉽게 기울어져 착용자의 발목이 접질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전 현상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고 탄성이 높은 복수의 제1 돌출부(210) 또는 복수의 제2 돌출부(310)를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복수의 제1 돌출부(210) 또는 복수의 제2 돌출부(310) 사이의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하중을 분산시키고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제1 밑창(200)과 제2 밑창(300)의 경도는 신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신발(101)은 런닝화, 워킹화, 농구화, 골프화, 등산화, 및 각종 스포츠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신발(101)의 종류에 따라 제1 밑창(200)의 경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수도 있고, 제2 밑창(300)의 경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돌출부(210)는 소정의 빈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고, 복수의 제2 돌출부(310)도 소정의 빈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빈공간은 반구 형상인 복수의 제1 돌출부(210) 및 복수의 제2 돌출부(310)가 각각 압력을 받아 찌그러질 때 옆으로 퍼질 수 있는 공간이 된다. 따라서, 빈공간의 크기는 제1 돌출부(210) 및 제2 돌출부(310)의 크기와 변형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1 돌출부(210)와 복수의 제2 돌출부(310)의 옆면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제1 밑창(200)의 제1 베이스부(250)와 제2 밑창(300)의 제2 베이스부(350)의 가장자리가 이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밑창(200)과 제2 밑창(300)을 형성하게 되면, 신발(101)의 전체적인 무게를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밑창(200)과 제2 밑창(300) 사이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조의 제1 밑창(200)과 제2 밑창(300)은 물에 빈번하게 잠기는 아쿠아 슈즈와 같은 신발에 더욱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101)은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 그리고 내구성을 모두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경량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101)은 착용자의 발목이 접질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내전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101)은 착용자 체중의 수배에 달하는 충격과 일 방향으로의 움직임 그리고 급격한 방향 전환 동작에 따른 횡력도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몰드에서 두 가지 사출물, 즉 제1 밑창(200)과 제2 밑창(300)을 만듦으로써, 단지 두 개의 몰드로 신발(101)의 하부 구조를 완성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례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례에 따른 신발(101a)에서는, 제1 밑창(200)의 복수의 제1 돌출부(210)와 제2 밑창(300)의 복수의 제2 돌출부(310)가 속이 빈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돌출부(210)는 지면과 대향하는 부분이 개구되어 내측면이 지면에 노출된 속이 빈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베이스부(250)에서 지면에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돌출부(210)는 제1 돌출부(210)의 가장자리가 제1 베이스부(250)의 위쪽에 연결되고 제1 둘출부(210)가 위쪽으로 돌출된다는 의미이며, 제1 돌출부(210)의 밑면이 제1 베이스부(250)에 의해 막힌다는 의미가 아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례에 따른 신발(101a)은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 그리고 내구성을 모두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경량화시킬 수 있고, 착용자의 발목이 접질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내전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착용자 체중의 수배에 달하는 충격과 일 방향으로의 움직임 그리고 급격한 방향 전환 동작에 따른 횡력도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제1 돌출부(210)와 복수의 제2 돌출부(310)는 각각 독립적으로 완충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제1 돌출부(210)의 지면과 대향하는 면이 개구되어 복수의 제1 돌출부(210)의 내부가 지면에 노출되므로, 신발의 착용자가 불규칙한 지면을 걷거나 뛰다가 돌멩이를 밟더라도 발목이 꺾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102)도 제1 밑창(400)과 제2 밑창(500)을 포함한다.
제1 밑창(400)은 제1 베이스부(450)와 복수의 제1 돌출부(410) 그리고 제1 탄성 보강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베이스부(450)와 복수의 제1 돌출부(410) 그리고 제1 탄성 보강부(48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밑창(500)은 제2 베이스부(550)와 복수의 제2 돌출부(510) 그리고 제2 탄성 보강부(5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베이스부(550)와 복수의 제2 돌출부(510) 그리고 탄성 보강부(58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102)에서도,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밑창(400)과 제2 밑창(500)이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경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 밑창(400)의 복수의 제1 돌출부(410)가 가장자리에 형성되거나 제2 밑창(500)의 복수의 제2 돌출부(510)가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450)는 지면과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베이스부(450)의 지면과 접촉하는 일면에는 지면과의 접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트레드(tread)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돌출부(410)는 제1 베이스부(450)에서 지면에 반대 방향으로, 즉 지면과 접촉하는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1 밑창(400)이 제2 밑창(500)보다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복수의 제1 돌출부(410)는 제1 베이스부(45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베이스부(450)에 복수의 제1 연결부(455)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연결부(455)는 복수의 제1 돌출부(410)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각각 연결하도록 제1 베이스부(45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1 연결부(455)는 복수의 제1 돌출부(410)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복수의 제1 돌출부(410)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연결부(455)는 제1 베이스부(450)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돌출부(4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 밑창(400)이 제2 밑창(500)보다 경도가 높다면, 복수의 제1 연결부(455)는 제1 베이스부(4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돌출부(410)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밑창(400)이 제2 밑창(500)보다 경도가 낮다면, 그 반대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복수의 제1 연결부(455)는 복수의 제1 돌출부(410)의 강도를 보강하고 움직임을 제한한다. 즉, 복수의 제1 돌출부(410)가 압력을 받아 찌그러질 때 퍼지는 방향과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제2 베이스부(550)는 제1 밑창(500)의 복수의 제1 돌출부(510)의 단부와 접합될 수 있다. 즉, 제2 베이스부(550)의 일면은 복수의 제1 돌출부(510)의 단부와 접합되고 제2 베이스부(550)의 타면은 착용자의 발바닥과 대향하게 된다.
복수의 제2 돌출부(510)는 제2 베이스부(550)에서 제1 베이스부(45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2 돌출부(510)의 단부는 제1 베이스부(450)와 접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 돌출부(410)와 복수의 제2 돌출부(510)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밑창(500)이 제1 밑창(500)보다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2 밑창(500)의 복수의 제2 돌출부(510)는 제1 밑창(400)의 복수의 제1 돌출부(4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반대로 제2 밑창(500)이 제1 밑창(400)보다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다면, 복수의 제2 돌출부(510)가 제2 베이스부(55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복수의 제1 돌출부(410)가 복수의 제2 돌출부(5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2 베이스부(550)에 복수의 제2 연결부(555)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연결부(555)는 복수의 제2 돌출부(510)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각각 연결하도록 제2 베이스부(55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2 연결부(555)는 복수의 제2 돌출부(510)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복수의 제2 돌출부(510)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연결부(555)는 제2 베이스부(550)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 돌출부(5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2 밑창(500)이 제1 밑창(400)보다 경도가 낮다면, 복수의 제2 연결부(555)는 제2 베이스부(500)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 돌출부(510)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밑창(500)이 제1 밑창(400)보다 경도가 높다면, 그 반대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복수의 제2 연결부(555)는 복수의 제2 돌출부(510)의 강도를 보강하고 움직임을 제한한다. 즉, 복수의 제2 돌출부(510)가 압력을 받아 찌그러질 때 퍼지는 방향과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연결부(455)와 복수의 제2 연결부(555)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 보강부(480)는 제1 베이스부(450)에서 제2 베이스부(550)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 탄성 보강부(580)는 제2 베이스부(550)에서 제1 베이스부(450) 방향으로 돌출되되, 제2 탄성 보강부(580)의 단부가 제1 탄성 보강부(480)의 단부와 마주하여 접합될 수 있다.
즉, 제1 탄성 보강부(480)와 제2 탄성 보강부(580)는, 제1 돌출부(410) 및 제2 돌출부(510)의 경우처럼 제2 베이스부(550) 및 제1 베이스부(450)와 각각 접합되지 않고, 제1 탄성 보강부(480)와 제2 탄성 보강부(580)가 서로 접합된다. 그리고 제1 탄성 보강부(480)와 제2 탄성 보강부(580) 중 하나 이상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탄성 보강부(480)와 제2 탄성 보강부(580)는 서로 마주하고 충격 흡수와 복원을 수행하여 제1 돌출부(410) 및 제2 돌출부(510)보다도 상대적으로 높은 반발 탄성을 갖게 된다.
또한, 제1 탄성 보강부(480)와 제2 탄성 보강부(480)는 복수의 제1 돌출부(410) 및 복수의 제2 돌출부(5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탄성 보강부(480)와 제2 탄성 보강부(580)는 착용자의 발바닥 중 하중과 충격이 집중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탄성 보강부(480)와 제2 탄성 보강부(580)는 발 뒤꿈치나 엄지발가락 쪽의 발 앞꿈치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탄성 보강부(480)와 제2 탄성 보강부(580)는 서로 단부가 접합되므로, 동일한 접착 방식으로 접합한 경우 제1 돌출부(410)와 제2 베이스부(550) 간의 접합 강도 및 제2 돌출부(510)와 제1 베이스부(450) 간의 접합 강도보다는 다소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고주파 접착 방법을 사용하여, 제1 탄성 보강부(480)와 제2 탄성 보강부(580)의 단부를 서로 접합시킬 경우 충분한 접합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착용자 체중의 수배에 달하는 충격과 일 방향으로의 움직임 그리고 급격한 방향 전환 동작에 따른 횡력도 견딜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전술한 바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탄성 보강부(480)와 제2 탄성 보강부(580)의 단부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102)도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 그리고 내구성을 모두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경량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102)은 착용자의 발목이 접질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내전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몰드에서 두 가지 사출물, 즉 제1 밑창(400)과 제2 밑창(500)을 만듦으로써, 단지 두 개의 몰드로 신발(102)의 하부 구조를 완성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밑창(400)이 제2 밑창(500)보다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의 제1 돌출부(410)가 걷거나 뛸 때 발목이 꺾이는 것을 억제하며, 복수의 제2 돌출부(510)가 발바닥 전체로 하중을 분산시키고 충격 흡수와 반발 탄성을 제공하고, 제1 탄성 보강부(480)와 제2 탄성 보강부(580)가 상대적으로 높은 하중 및 충격이 가해지는 부위의 탄성을 보강하게 된다.
따라서, 내전 현상이 발생된 상태로 장시간 걷거나 운동하게 되면 쉽게 피로감을 느끼고, 발목이나 무릎부상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내전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102)은 착용자 체중의 수배에 달하는 충격과 일 방향으로의 움직임 그리고 급격한 방향 전환 동작에 따른 횡력도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도 제1 실시예의 변형례와 마찬가지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410)와 제2 돌출부(510)가 속이 빈 반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 그리고 내구성을 모두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경량화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지면과 접촉하는 제1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지면에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돌출부를 갖는 제1 밑창; 및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의 단부와 접합되는 제2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에서 상기 제1 베이스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부가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접합된 복수의 제2 돌출부를 갖는 제2 밑창
    을 포함하는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와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는 각각 돌출될수록 가로 방향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와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는 반구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와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는 속이 빈 반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는 지면과 대향하는 부분이 개구되어 내측면이 상기 지면에 노출된 속이 빈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밑창과 상기 제2 밑창은 경도(硬度, hardness)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중에서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가 상기 제1 베이스부 또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중에서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는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중에서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는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보다 상대적으로 탄성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베이스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며,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를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를 연결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와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밑창은 상기 제1 베이스부에서 상기 제2 베이스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1 탄성 보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밑창은 상기 제2 베이스부에서 상기 제1 베이스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단부가 상기 제1 탄성 보강부의 단부와 마주하여 접합되는 제2 탄성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보강부와 상기 제2 탄성 보강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보강부와 상기 제2 탄성 보강부 중 하나 이상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PCT/KR2020/016810 2020-09-23 2020-11-25 신발 WO2022065589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106497.9A CN116546901A (zh) 2020-09-23 2020-11-25
US18/028,081 US20230329392A1 (en) 2020-09-23 2020-11-25 Footwear
EP20955387.4A EP4218482A1 (en) 2020-09-23 2020-11-25 Footwe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846 2020-09-23
KR1020200122846A KR20220040082A (ko) 2020-09-23 2020-09-23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5589A1 true WO2022065589A1 (ko) 2022-03-31

Family

ID=8084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6810 WO2022065589A1 (ko) 2020-09-23 2020-11-25 신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29392A1 (ko)
EP (1) EP4218482A1 (ko)
KR (1) KR20220040082A (ko)
CN (1) CN116546901A (ko)
WO (1) WO2022065589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1201A (ja) * 2000-05-15 2001-11-20 Asics Corp 靴底の緩衝装置
KR100584527B1 (ko) * 2005-12-07 2006-05-30 이호형 터널부가 형성된 구름운동 건강신발 장착용 미드솔 및 이의제작방법
KR20120083654A (ko) * 2011-01-18 2012-07-26 (주)알와이엔코리아 충격흡수 및 충격분산기능이 구비된 신발밑창
KR101380100B1 (ko) * 2012-10-11 2014-04-04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신발 밑창
KR101731627B1 (ko) * 2015-04-28 2017-04-28 김덕기 신발의 충격흡수장치
KR20180127844A (ko) * 2017-05-22 2018-11-30 성호동 신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1201A (ja) * 2000-05-15 2001-11-20 Asics Corp 靴底の緩衝装置
KR100584527B1 (ko) * 2005-12-07 2006-05-30 이호형 터널부가 형성된 구름운동 건강신발 장착용 미드솔 및 이의제작방법
KR20120083654A (ko) * 2011-01-18 2012-07-26 (주)알와이엔코리아 충격흡수 및 충격분산기능이 구비된 신발밑창
KR101380100B1 (ko) * 2012-10-11 2014-04-04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신발 밑창
KR101731627B1 (ko) * 2015-04-28 2017-04-28 김덕기 신발의 충격흡수장치
KR20180127844A (ko) * 2017-05-22 2018-11-30 성호동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18482A1 (en) 2023-08-02
KR20220040082A (ko) 2022-03-30
US20230329392A1 (en) 2023-10-19
CN116546901A (zh) 2023-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16882A1 (ko) 신발
CN100500042C (zh) 用于球拍运动的鞋制品
US20020121031A1 (en) 2a improvements
JPH0368304A (ja) スポーツ靴
CN1176081A (zh) 用于鞋的衬垫装置
WO2010077033A2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기능성 신발
WO2022065589A1 (ko) 신발
WO2019078618A2 (ko) 정형 기능을 가진 안전화용 탄성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화
CN102309090B (zh) 一种具有舒适感的能量缓冲鞋底
WO2010137769A1 (ko) 쿠션공간부가 형성된 후방터널돌기형 마사이워킹용 신발밑창
CN102302240B (zh) 一种缓冲减震鞋底
KR100788255B1 (ko) 충격 흡수를 위한 신발용 다중 바닥재
CN201995723U (zh) 一种缓冲减震鞋底
WO2018155741A1 (ko) 탄성력을 이용한 기능성 인솔
CN219700220U (zh) 新型中踝储能碳纤维脚板
CN219962069U (zh) 一种高弹性运动鞋
KR102567784B1 (ko) 족저근막과 아치 보호를 위한 자석 인솔
CN217958985U (zh) 一种力平衡功能鞋底及力平衡功能鞋
CN219845277U (zh) 一种碳板结构及鞋底
CN220987779U (zh) 一种防损伤减震运动鞋
WO2023226148A1 (zh) 一种用于鞋底的支撑结构及其鞋底和运动鞋
WO2011007988A2 (ko) 좌우 양측이 호형 형태로 경사진 감지체돌기 신발밑창의 제조방법
CN209825345U (zh) 一种缓冲减震鞋
KR102024770B1 (ko)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1866663B1 (ko) 착용로봇의 발바닥 센서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553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80106497.9

Country of ref document: C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9553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