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266A -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 Google Patents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266A
KR20130094266A KR1020130071290A KR20130071290A KR20130094266A KR 20130094266 A KR20130094266 A KR 20130094266A KR 1020130071290 A KR1020130071290 A KR 1020130071290A KR 20130071290 A KR20130071290 A KR 20130071290A KR 20130094266 A KR20130094266 A KR 20130094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ole
shoe
shock absorbing
shock
mid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희
Original Assignee
(주)크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크렉스 filed Critical (주)크렉스
Priority to KR1020130071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4266A/ko
Publication of KR20130094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의 전면, 중앙, 후면의 모든 부위에서 충격흡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충격흡수를 위한 구성이 신발의 중창에 견고하게 마련되어 내구성이 향상됨은 물론, 발의 아치 보강을 통한 지압효과와 밸런스 유지 효과가 있는 신발의 충격흡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신발의 외형을 이루는 외피의 하부에 아웃솔이 결합되고, 외피의 내측에서 아웃솔의 상부에 중창이 결합된 신발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발의 앞부분이 위치되는 상면에 완충공간홈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공간홈의 개방부를 마감하는 아웃솔커버가 결합되며, 상기 완충공간홈과 아웃솔커버의 대향면 중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다수의 탄력돌기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Shoes having shock absorb function}
본 발명은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신발의 전면, 중앙, 후면의 모든 부위에서 충격흡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충격흡수를 위한 구성이 신발의 중창에 견고하게 마련되어 내구성이 향상됨은 물론, 발의 아치 보강을 통한 지압효과와 밸런스 유지 효과가 있는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생활수준의 향상과 수요자의 욕구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가진 신발이 개발, 출시되고 있으며, 최근의 수요는 충격흡수, 편안함, 디자인 등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신발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아웃솔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결합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신발은 외피(10), 중창(20), 아웃솔(30)로 구성된다. 상기 외피(10)는 신발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아웃솔(30)은 바닥면을 이룬다. 상기 중창(20)은 상기 외피(10)의 밑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피(10)와 아웃솔(30) 간에 개재되는 것이다.
여기서, 종래의 충격흡수 구성을 살펴보면, 종래의 신발에서는 상기 아웃솔(30)에 충격흡수를 위한 구성품을 내설하였다. 즉, 상기 아웃솔(30)을 밑면부(31)와 덮개(33)로 나누고, 상기 덮개(33)에 지주대(33a)를 형성하여 스프링(35)을 끼움으로써 상기 밑면부(31)와 상기 덮개(33) 사이에 스프링(35)이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스프링(35)이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신발의 충격흡수 구성은 크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신발은 충격흡수 구성이 아웃솔(30)에 존재하여, 상기 아웃솔(30)의 형상이 전반적으로 투박하였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아웃솔의 하단 측면을 깎아내었고 이로 인해 접지 면적이 좁아지고 턱이 높아져 착화 후 활동 시 발목 틀어짐으로 인해 부상 위험이 존재하였다. 특히 여화의 경우 접지 면적이 더욱 좁아 위험성이 더 높았다. 그리고 신발 제화 시 일반 텍션을 중창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발바닥에서 실질적 충격흡수 효과를 사용자가 충분히 체감하지 못하였다.
또한, 스프링(35)을 지지하는 구조의 한계로 내구성이 취약하였는데, 예로서, 아웃솔(30)과 봉 형상의 지주대(33a) 간 접촉면적이 좁아 활동이 많거나 가해지는 충격이 클 경우, 접착 부분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구성은 신발의 측방향 힘에 취약하여 신발자체에서의 미끄러짐 현상, 즉 슬립(발목 틀림)현상이 발생하여 운동 중 부상위험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신발의 디자인에 간섭되지 않으면서도 충격흡수 효과를 가지며, 사용자가 충분한 충격흡수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 중창에 형성되도록 하고, 이와 같은 중창이 충격흡수를 위한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구성에 대해 높은 내구성을 갖도록 하며, 슬립(발목 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아치 보강을 통한 지압효과를 가지며, 신발의 착용감을 높이고 밸런스를 유지시킬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신발의 외형을 이루는 외피의 하부에 아웃솔이 결합되고, 외피의 내측에서 아웃솔의 상부에 중창이 결합된 신발에 있어서, 상기 중창은 발과 접촉되는 면에 신체 하중에 의한 보행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충격흡수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충격흡수부는, 발 앞부분이 닿는 부위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형성된 전면충격흡수부와, 발 뒷꿈치가 닿는 부위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형성된 후면충격흡수부와, 상기 전면충격흡수부와 후면충격흡수부 간에 발의 곡면에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발바닥 중앙부위를 탄력적으로 지압하도록 하는 아치 보강 형상으로 형성된 중앙쿠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성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충격흡수부는, 상기 중창의 밑면에 원형 또는 다각형태의 입자가 사방 연속되도록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사 방향에서 지지되며, 상기 중창과 아웃솔 간에 개재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쿠션부는, 발바닥에 접하도록 상기 중창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지압쿠션과, 상기 지압쿠션이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상기 중창의 밑면에 형성된 쿠션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후면충격흡수부는 상기 중창의 밑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중창의 상면에 탄성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가 수용된 중창의 하측에 텍션이 결합되며, 상기 아웃솔에 형성된 홈에 충격흡수체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창은 텍션의 내측에 공간창을 형성하여 아웃솔과의 사이에서 텍션의 두께만큼의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완충기능이 증가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중창은 상기 중창이 인솔 형태로 이루어져 일반 신발에 깔창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신발의 외형을 이루는 외피의 하부에 아웃솔이 결합되고, 외피의 내측에서 아웃솔의 상부에 중창이 결합된 신발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발의 앞부분이 위치되는 상면에 완충공간홈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공간홈의 개방부를 마감하는 아웃솔커버가 결합되며, 상기 완충공간홈과 아웃솔커버의 대향면 중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다수의 탄력돌기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력돌기부는 원형 또는 다각의 테두리돌기로 형성되거나, 원형 또는 다각의 테두리돌기 내측에 원형 또는 다각의 탄성돌기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아웃솔은 사용자의 발과 대향되는 면에 다수의 공간형성돌기가 형성되어 중창과의 사이에서 충격흡수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아웃솔이 아닌 중창에서 신발의 전면, 중앙, 후면의 모든 부위에서 충격흡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충격흡수를 위한 구성이 신발의 중창에 견고하게 마련되어 내구성이 향상됨은 물론, 신발 디자인의 폭을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창에 구성된 지압쿠션(아치 보강)을 통해 사용자의 발을 지압하여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발바닥 전체가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여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신발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도 1에서 아웃솔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결합도,
도 3은 도 1에서 아웃솔의 구조를 나타낸 전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에서 중창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에서 중창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에서 중창의 하부에 부착하는 텍션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창의 구조를 기타 다른 신발에 적용 가능하도록 한 예를 나타낸 제품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측면과 저면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결합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에서 중창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에서 중창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에서 중창의 하부에 부착되는 텍션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창을 기타 다른 신발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제품 구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크게 외피(100), 아웃솔(300), 중창(2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피(100)는 주지된 바와 같이 가죽, 고분자 합성소재 등으로 이루어지며, 신발의 외형을 이룬다. 상기 아웃솔(300)은 고무, 플라스틱 등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지며, 신발의 바닥면을 이룬다. 이때, 상기 아웃솔(300)에는 신발 뒷굽의 굽힘현상을 방지하도록 허리쇠(310)가 내설되거나 도 7에서처럼 허리쇠(310)를 텍션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상기 허리쇠(310)는 금속 등 강도가 높은 소재로 구성된다.
상기 중창(200)은 상기 외피(100)의 밑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피(100)와 아웃솔(300) 간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신발 제작공정에서 상기 외피(100)와 재봉 등의 방법으로 결합된다. 상기 중창(200)은 텍션(710, 720, 7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핵심이 중창(200)의 구조에 있는 바, 이하 상기 중창(200)의 구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중창(200)은 전반적으로 발바닥 모양과 유사한 형상으로 일정두께를 갖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중창(200)에는 충격흡수와 발의 밸런스(아치 보강으로 워킹시 발의 압력을 균등 분산) 유지를 위한 충격흡수부(200A)가 형성되며, 상기 충격흡수부(200A)는 전면충격흡수부(210), 후면충격흡수부(230), 중앙쿠션(아치 보강 형상으로 형성된)부(250)가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또는 2이상의 구성이 병합되어 적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면충격흡수부(210)는 발 앞부분이 닿는 부위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중창(200)에 충격흡수 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것으로 지지부(211)와 탄성부재(21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211)는 돌출된 끝단부가 상기 아웃솔(300)에 접하도록 상기 중창(200)의 밑면에 형성되는데, 대략 원 또는 사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이 사방 연속된 형상으로서 대략 격자형태를 유지하며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213)는 상기 중창(200)과 아웃솔(300) 간에 개재되도록 상기 지지부(211)에 형성된 공간(단면상 원 또는 다각형)에 각각 삽입되는 것으로서, 스프링 등이 활용 가능하며, 탄성을 갖는 다른 소재도 활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13)는 사용자의 발로부터 압력이 가해질 경우 자체 탄성으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탄성부재(213)는 중창(200)과 아웃솔(300) 간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어야 하는 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11)는 원형 또는 다각형상이 연속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부재(213)는 이탈이나 뒤틀림 없이 사 방향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작용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는 사용자가 강렬한 운동을 할 때 신발의 측방향으로 야기될 수 있는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즉, 사방 연속된 형태로 촘촘하게 형성된 지지부(211)와 이에 사 방향으로 견고하게 지지된 탄성부재(213)는 신발의 높이방향(상하방향)으로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완충시키면서도 측방향의 슬립, 이탈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하며, 신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중창의 구조는 후면충격흡수부(230)와 중앙쿠션(아치 보강 형상으로 형성된)부(250)는 중창(200)의 발 뒷꿈치가 닿는 부위와 발바닥 중앙부위에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후면충격흡수부(230)는 상기 중창(200)의 밑면에 홈(231)이 형성되고, 상기 홈(231)에 대응되도록 상기 중창(200)의 상면에 탄성부(233)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탄성부(233)는 상기 중창(200)에 별도로 접합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중창(200)의 제작과정에서 상면으로 더욱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탄성부(233)는 발 뒷꿈치 부분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기 홈(231)과 아웃솔의 뒷굽 부분에 홈(320)을 만들어 여기에 충격흡수체(321)를 넣어 상하 탄성운동을 하게 되고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 발 뒷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완화시키게 된다.
상기 충격흡수체(321)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면 적용가능하다. 참고적으로, 상기 충격흡수체(321)는 도 4에서와 같이 상, 하부의 2부재로 제작되어 내측에 공기가 수용될 공간을 갖추어서 된 에어쿠션 형태의 구성으로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중앙쿠션부(250)는 상기 전면충격흡수부(210)와 후면충격흡수부(230) 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중창(2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이며, 발의 곡면과 상응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중앙쿠션부(250)는 발바닥 중앙부위를 지압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데, 사용자 발바닥의 용천혈 등을 지압하여 피로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중앙쿠션부(250)는 발바닥에 접하도록 상기 중창(200)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지압쿠션(251)과 상기 지압쿠션(251)의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중창(200)의 밑면에 형성된 쿠션홈(253)으로 이루어져, 평발, 까치발 등 발의 아치 형태에 따라 쿠션홈(253)의 강도를 상이하게 적용함으로써 탄력적인 아치 보강과 지압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지압(아치 보강 형상으로 형성된)쿠션(251)이 발바닥에 밀착되어 상기 발바닥을 지압하는 과정에서 상기 쿠션홈(253)에 의해 상기 지압쿠션(251)이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탄성을 가짐으로 인해 발바닥의 무리한 압박이 방지되는 탄력적 지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텍션은 딱딱한 재질로 되어 있으며, 신발을 만드는 과정에서 외피(100)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아웃솔(300)에 외피에 접착이 되도록하는 역할을 한다. 굽이 있는 신발의 경우 상기 텍션(710)은 일반적인 모양을 하고 있다. 충격흡수용 신발의 경우에도 일반 텍션(710)을 사용하여 아웃솔(300)에서 쿠션감을 부여할 수 있지만 발에서는 쿠션감이 많이 떨어진다. 이에 따라 도 7에서와 같이 텍션(720)의 모양을 허리쇠(310)를 텍션(720)에 붙이는 형태와, 허리쇠(310)를 아웃솔(300)에 넣는 경우에 사용하는 텍션(730)으로 사용하여, 발이 느낄 수 있는 충격흡수를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중창(200)은 텍션(720, 730)의 내측에 공간창(720a, 730a)을 형성하여 아웃솔(300)과의 사이에서 텍션(720, 730)의 두께만큼의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텍션(720, 730)은 공간창(720a, 730a)에 의해 중창(200)과 아웃솔(300)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공기층에 의해 아웃솔(300)을 통해 중창(200) 측으로 진행되는 충격은 공간창(720a, 730a)에 의해 형성된 공기층에서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창(720a, 730a)은 도면에서와 같이 내측에 단일의 형태 또는 다수개 구분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일반 기성 신발에도 충격 흡수 기능을 줄 수 있도록 EVA, 파이론, 우레탄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인솔(도 8 참조)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압쿠션(251)은 지압의 기능과 더불어, 발의 곡면을 살려줌으로써, 발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사용자의 발이 형상에 맞게 신발에 더욱 안착될 수 있도록 하여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을 기능적 측면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핵심기능은 효과적인 충격흡수, 내구성 강화, 밸런스 유지 및 지압효과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충격흡수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발 전체의 고른 충격흡수 구성으로 격렬한 운동시에도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전면충격흡수부(210)의 탄성부재(213)의 지지구성은 제한된 면적에 최적의 충격흡수 효과를 갖도록 구성되며, 이와 같은 충격흡수 구성이 사용자의 발에 근접한 중창(200)에 마련되어 사용자는 충격흡수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둘째, 내구성 강화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그물과 같이 촘촘하게 형성된 지지부(211)가 탄성부재(213)를 사방에서 지지함으로써 탄성부재(21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탄성부재(213)에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넓은 면적으로 지지하여 강하고 지속적인 충격에서도 신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밸런스 유지 및 지압효과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충격흡수부(210)의 안정적 구성에 의한 측방향 슬립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중앙부위에 형성된 중앙쿠션(아치 보강 형상으로 형성된)부(250)에 의해 발의 지압효과와 더불어 발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밸런스를 유지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신발은 아웃솔(300)에 충격흡수부가 형성된 구성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아웃솔(300)은 발의 앞부분이 위치되는 상면에 완충공간홈(301)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공간홈(301)의 개방부를 마감하는 아웃솔커버(302)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공간홈(301)과 아웃솔커버(302)의 사이에는 탄력돌기부(303)가 형성된다. 상기 탄력돌기부(303)는 아웃솔커버(302)의 저면 또는 완충공간홈(301)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되거나, 아웃솔커버(302)와 완충공간홈(301)의 바닥면에 동시에 형성되어 구성(도면에서는 아웃솔커버에 형성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력돌기부(303)는 신발 착용자의 중량에 의해 보행충격이 발생될 때 완충기능이 수행되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상기 탄력돌기부(303)는 도 10의 (a)에서와 같이 원형 또는 다각(도면에서는 사각)의 테두리돌기(304)로 형성된다. 또는, 상기 탄력돌기부(303)가 도 10의 (b)에서와 같이 원형 또는 다각(도면에서는 사각)의 테두리돌기(304)에 원형 또는 다각(도면에서는 원형)의 탄성돌기(305)가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솔(300)은 사용자의 발과 대향되는 면에 다수의 공간형성돌기(306)가 형성되어 중창(200)과의 사이에서 충격흡수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도면에서 상기 공간형성돌기(306)는 테두리돌기(304)가 형성된 이면에 형성된 반구형의 돌기이며, 이외에도 다각형 또는 테두리돌기(304)와는 무관하게 다수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10, 100 : 외피 20, 200 : 중창
30, 300 : 아웃솔 31: 밑면부
33 : 덮개 33a : 지주대
35 : 스프링
210 : 전면충격흡수부 211 : 지지부
213 : 탄성부재 230 : 후면충격흡수부
231 : 홈 233 : 탄성부
250 : 중앙쿠션부 251 : 지압쿠션
253 : 쿠션홈 310 : 허리쇠
320 : 홈(아웃솔) 321 : 충격흡수체
710,720,730 : 텍션

Claims (3)

  1. 신발의 외형을 이루는 외피(100)의 하부에 아웃솔(300)이 결합되고, 외피(100)의 내측에서 아웃솔(300)의 상부에 중창(200)이 결합된 신발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300)은 발의 앞부분이 위치되는 상면에 완충공간홈(301)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공간홈(301)의 개방부를 마감하는 아웃솔커버(302)가 결합되며, 상기 완충공간홈(301)과 아웃솔커버(302)의 대향면 중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다수의 탄력돌기부(303)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돌기부(303)는
    원형 또는 다각의 테두리돌기(304)로 형성되거나, 원형 또는 다각의 테두리돌기(304) 내측에 원형 또는 다각의 탄성돌기(305)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300)은
    사용자의 발과 대향되는 면에 다수의 공간형성돌기(306)가 형성되어 중창(200)과의 사이에서 충격흡수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KR1020130071290A 2013-06-21 2013-06-21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KR20130094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290A KR20130094266A (ko) 2013-06-21 2013-06-21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290A KR20130094266A (ko) 2013-06-21 2013-06-21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487A Division KR101451377B1 (ko) 2011-09-21 2011-09-21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266A true KR20130094266A (ko) 2013-08-23

Family

ID=49218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290A KR20130094266A (ko) 2013-06-21 2013-06-21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42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7640A1 (en) * 2021-01-25 2022-07-28 Instride Shoes, LLC Dynamic metatarsal roll ba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7640A1 (en) * 2021-01-25 2022-07-28 Instride Shoes, LLC Dynamic metatarsal roll b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610B1 (ko) 시이소 신발 밑창
KR200443485Y1 (ko) 각부의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
JP2012075864A (ja) 履物の中敷き
KR101067892B1 (ko) 이종 경도에 의한 다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KR20090082292A (ko) 신발용 보강 케이지
WO2010037258A1 (zh) 一种带减震鞋垫的鞋底
KR20160073676A (ko) 아치 높낮이를 조절가능한 기능성 인솔
KR100518307B1 (ko) 신발
KR101265080B1 (ko) 기능성 신발물품
KR20140104210A (ko) 충격 흡수용 신발 밑창 및 그 제조 방법
KR101166572B1 (ko) 신발창
KR101451377B1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KR101105829B1 (ko)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
KR20130094266A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KR101149489B1 (ko) 신발용 쿠션 및 이를 구비하는 충격완화 신발
CN211984087U (zh) 一种具有缓震功能的马靴鞋底
KR20120136258A (ko) 반발탄성과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창
KR101251586B1 (ko) 충격흡수 및 충격분산기능이 구비된 신발밑창
KR20140003454U (ko) 여성 구두 중창용 보강편
KR20130056814A (ko) 기능성 신발물품
KR20130117104A (ko) 충격 흡수형 신발 구조
KR102567784B1 (ko) 족저근막과 아치 보호를 위한 자석 인솔
KR200418896Y1 (ko) 기능성 신발
CN210299723U (zh) 一种鞋底及鞋
KR101220444B1 (ko) 신발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