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005A -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005A
KR20220040005A KR1020200122682A KR20200122682A KR20220040005A KR 20220040005 A KR20220040005 A KR 20220040005A KR 1020200122682 A KR1020200122682 A KR 1020200122682A KR 20200122682 A KR20200122682 A KR 20200122682A KR 20220040005 A KR20220040005 A KR 20220040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notification service
information
transmitted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6781B1 (ko
Inventor
김한수
Original Assignee
김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수 filed Critical 김한수
Priority to KR1020200122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781B1/ko
Publication of KR20220040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정보전송기관단말(110)과, 상기 정보전송기관단말(110)과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되는 알림서비스 서버(120)와, 상기 알림서비스 서버(120)와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되는 복수의 알림서비스 단말(130)을 포함하는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시스템(100)에서 실행되며; 통신망을 통하여 알림서비스 단말(130)을 신청하는 단계(단말 신청단계)와, 단말신청단계에서 제공된 정보가 입력되어 알림서비스 서버(120)에 저장되는 단계(정보입력단계)와, 입력된 정보에 따라 알림서비스 단말(130)에 ID를 부여하고 신청인에게 알림서비스 단말(130)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단계(단말 제공단계)와, 정보전송기관단말(110)에서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된 알림 데이터는 알림서비스 서버(120)에 저장되고(제1전송단계), 통신망을 통하여 알림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사용자의 알림서비스 단말(130)로 전송되어 알림서비스 단말(130)에서 출력되는(제2전송단계)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A Voice Notification Service Method Of Emergency And Disaster Information}
본 발명은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효율적인 정보 전달이 가능하고, 보호자에게도 동시에 알림 정보가 제공되는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과거에 경험하지 못했던 수많은 재난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침수, 화재 등 다양한 재난은 구조화된 지역 사회를 순식간에 혼란에 빠트리고 인명과 재산의 손실을 가져온다. 홍수, 지진, 해일, 황사 등의 재난이 발생한 경우에는 사람들이 신속히 대피하도록 조치를 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종래의 재난 알림 시스템은 경보 체계가 사이렌이나 경보 방송 등의 시스템 구조로 이루어져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TV나 라디오를 시청 또는 청취하는 사람들은 방송을 통해 재난 사고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대피할 수 있지만, TV 또는 라디오의 방송 상태가 불량하거나, 이를 시청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재난 발생 여부를 전달할 수 없어 인명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특히 치매와 같은 경도 장애를 겪고 있는 경우 단순히 문자로만 전달되는 응급 및 재난 안내를 숙지하지 못하여 이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8-0020437호 공개특허공보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2-0130427호 공개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문자와 함께 음성 안내가 제공되며, 별도의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되고, 보호자에게도 동시에 같은 내용의 안내가 제공되어 경도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안내를 숙지할 수 있는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정보전송기관단말과, 상기 정보전송기관단말과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되는 알림서비스 서버와, 상기 알림서비스 서버와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되는 복수의 알림서비스 단말을 포함하는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시스템에서 실행되며; 통신망을 통하여 알림서비스 단말을 신청하는 단계(단말 신청단계)와, 단말신청단계에서 제공된 정보가 입력되어 알림서비스 서버에 저장되는 단계(정보입력단계)와, 입력된 정보에 따라 알림서비스 단말에 ID를 부여하고 신청인에게 알림서비스 단말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단계(단말 제공단계)와, 정보전송기관단말에서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된 알림 데이터는 알림서비스 서버에 저장되고 (제1전송단계), 통신망을 통하여 알림서비스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알림서비스 단말로 전송되어 알림서비스 단말에서 출력되며(제2전송단계); 상기 단말 신청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성명, 성별, 연령, 지역, 거주정보, 비상연락전화번호가 정보로 제공되며; 상기 알림서비스 서버에는 연령별DB, 지역별DB, 거주정보DB가 구비되어, 제공된 정보는 분류되어 해당 DB에 저장되며; 상기 제1전송단계에서는 정보전송기관단말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음성 파일로 변환되어 전송된 알림 데이터와 함께 연령별, 지역별 및 거주정보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되고; 상기 제2전송단계에서는 분류된 알림 데이터 및 음성 파일이 해당 DB에 저장된 알림서비스 단말로 전송되어 문자 및 음성으로 출력되며, 해당 알림서비스 단말의 비상연락전화번호로 해당 데이터가 전송되는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알림서비스 단말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단말제어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단말제어부에 연결된 단말통신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단말제어부에 연결되어 데이터가 저장되는 단말저장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단말제어부에 연결되어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단말제어부에 연결되어 전송 데이터가 출력되는 표시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입력 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되는 복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제1입력버튼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입력 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되는 복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제2입력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입력버튼부는 수신확인버튼과 비상알람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2입력버튼부는 신청된 사용자의 성명, 성별, 연령, 지역, 거주정보, 비상연락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복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입력버튼부는 열림되는 단말커버에 의해 사용자가 누를 수 없는 상태로 가려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해당 알림서비스 단말로 전송되어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성데이터는 반복 출력되며, 사용자가 수신확인버튼을 누르면 누름 신호가 단말제어부로 전송되어 음성데이터 출력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단말저장부에는 단말 신청단계에서 제공된 사용자 성명의 음성 파일이 저장되어, 상기 제2전송단계에서는 단말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성명의 음성파일과 전송된 음성파일이 차례로 스피커를 통하여 반복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사용자의 수신확인버튼의 누름 신호는 단말제어부로 전달되고 알림서비스 서버와 비상연락전화번호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문자와 음성 정보가 제공되어 정보 전달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며, 개인별 특성에 따라 맞춤형 정보 전달이 가능하고, 보호자에게도 같은 내용의 정보가 전달되어 대응이 용이하며, 별도의 단말(130)이 제공되어 경도 장애와 같은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여 필요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이 실행되는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이 실행되는 시스템을 이루는 단말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은 하나 이상의 정보전송기관단말(110)과, 상기 정보전송기관단말(110)과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되는 알림서비스 서버(120)와, 상기 알림서비스 서버(120)와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되는 복수의 알림서비스 단말(130)을 포함하는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시스템(100)에서 실행된다.
상기 정보전송기관단말(110)은 응급 및 재난정보를 전송하는 단말로서 예를 들면 기상청에서 기상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을 들 수 있다. 상기 정보전송기관단말(110)은 PC일 수도 있고, 스마트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은 단말 신청단계와, 정보입력단계와, 단말 제공단계와, 제1전송단계와, 제2전송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 신청단계는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알림서비스 서버(120)에 접속하여 알림서비스 단말(130)을 신청하는 단계이다. 알림서비스 서버(120)에는 PC나 스마트폰으로 통신망을 통하여 해당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신청한다. 본 발명은 PC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사용자(예를 들면, 치매 등과 같은 경도 장애자)를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상기 단말 신청단계는 실제로 알림서비스 단말(130)을 사용할 사용자의 보호자가 하게 될 것이다.
상기 단말 신청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성명, 성별, 연령, 지역, 거주정보, 비상연락전화번호가 정보로 제공된다. 거주정보는 아파트 등과 같은 집에 거주하는지 또는 요양 병원과 같은 보호 시설에 거주하는지에 관한 정보이다.
상기 단말 신청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성명, 성별, 연령, 지역, 거주정보, 비상연락전화번호가 정보로 제공되면, 연령별로, 지역별로, 거주정보별로 분류되어, 상기 알림서비스 서버(120)에 구비되는 연령별DB, 지역별DB, 거주정보DB에 저장된다. 그리고 단말 신청단계에서 제공된 정보에 따라 알림서비스 단말(130)에 ID를 부여하고 신청인에게 알림서비스 단말(130)을 제공한다. 신청인은 제공받은 알림서비스 단말(130)을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상기 알림서비스 단말(130)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이 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단말제어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단말제어부에 연결된 단말통신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단말제어부에 연결되어 데이터가 저장되는 단말저장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단말제어부에 연결되어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단말제어부에 연결되어 전송 데이터가 출력되는 표시부(131)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입력 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되는 복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제1입력버튼부(133)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입력 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되는 복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제2입력버튼부(135)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131)는 LCD로 구현될 수 있다.
제공된 알림서비스 단말(130)의 단말저장부에는 각 사용자의 성명으로 출력되는 음성 파일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성명이 "홍길동"인 경우, "홍길동님"으로 음성 출력되는 음성 파일이 저장된다.
상기에서 제1입력버튼부(133)는 누를 수 있는 상태로 노출되고, 제2입력버튼부(135)는 열림 닫힘 되는 단말커버(137)에 의하여 가려져 누를 수 없는 상태로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도 2에서 제2입력버튼부(135)는 단말커버(137)에 의하여 덮여 가려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입력버튼부(133)는 수신확인버튼(1331)과 비상알람버튼(1333)을 포함한다. 상기 제2입력버튼부(135)는 신청된 사용자의 성명입력버튼(1351), 성별입력버튼(1353), 연령입력버튼(1357), 지역입력버튼(1359), 거주정보입력버튼(1352), 비상연락전화번호입력버튼(1353)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성별입력버튼을 누르면, 표시부(131)에 남성, 여성이 디스플레이되고 다시 이를 선택하여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2입력버튼부표시부(131)를 구비하지 않고, 알림서비스 서버(120)에서 알림서비스 단말(13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연령, 지역, 거주정보에 대한 내용에 따라 알림서비스 단말(130)이 분류되고 분류된 정보는 해당 비상연락전화번호와 함께 알림서비스 서버(120)에 저장된다.
상기 제1전송단계에서는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전송기관단말(110)로부터 알림서비스 서버(120)로 응급 및 재난정보 알림 데이터가 전송된다. 알림서비스 서버(120)에서 전송된 응급 및 재난정보 알림 데이터(문자 데이터)는 지역별, 해당 연령별, 거주정보별로 분류되어 서버저장부에 저장된다. 전송된 응급 및 재난정보 알림 데이터(문자 데이터)는 음성 파일로 변환되어 함께 서버저장부에 저장된다.
상기 제2전송단계에서는 통신망을 통하여 알림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알림서비스 단말(130)로 알림 데이터(문자 데이터) 및 음성 파일이 전송되어, 단말저장부에 저장되고 알림서비스 단말(130)에서 출력된다. 음성 파일은 서비스 단말(130)의 스피커에서 반복 재생 출력된다. 상기 알림 데이터(문자 데이터)는 표시부(131)에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2전송단계에서는 지역별, 연령별, 거주정보별로 분류된 알림 데이터(문자 데이터)는 음성 파일이 해당 DB에 저장된 알림서비스 단말(130)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코로나 60세 이상은 외출을 삼가하시기 바랍니다."라는 알림 데이터(문자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연령별로 저장된 연령DB에서 60세 이상의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알림서비스 단말(130)로 알림 데이터(문자 데이터)와 음성 파일이 전송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XX지역에 호우가 예정되어 있습니다."라는 알림 데이터(문자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지역별로 저장된 지역DB에서 XX지역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알림서비스 단말(130)로 알림 데이터(문자 데이터)와 음성 파일이 전송되어 출력된다. 또는 "요양병원 입원자는 외출과 면회를 삼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알림 데이터(문자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거주정보별로 저장된 거주정보DB에서 보호 기관에 입원한 사용자의 알림서비스 단말(130)로 알림 데이터(문자 데이터)와 음성 파일이 전송되어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연령별, 지역별 및 거주정보별로 분류하여 별도의 DB에 저장되고, 해당 DB의 알림서비스 단말(130)로 알림 데이터(문자 데이터)와 음성 파일이 출력되므로, 불필요한 알림이 감소하고, 전송받은 알림에 대하여 더 관심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송단계에서는 해당 알림서비스 단말(130)의 비상연락전화번호로 해당 데이터가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해당 알림서비스 단말(130)로 전송되어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성 파일은 반복 재생 출력되며, 사용자가 수신확인버튼(1331)을 누르면 누름 신호가 단말제어부로 전송되어 음성 파일 재생 출력이 정지된다. 사용자의 수신확인버튼(1331)의 누름 신호는 단말제어부로 전달되고 통신망을 통하여 알림서비스 서버(120)와 비상연락전화번호로 전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의 운영자 및 각 알림서비스 단말(130) 사용자의 보호자는 알림서비스 단말(130)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반응하는지를 원격에서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에서, 상기 제2전송단계에서는 단말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성명의 음성파일과 전송된 음성파일이 차례로 스피커를 통하여 반복 출력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성명이 홍길동이고, 음성파일이 "내일 태풍이 xx지역으로 상륙할 예정입니다. 가급적이면 외출을 삼가하여 주십시요"라는 내용인 경우, ""홍길동님 내일 태풍이 xx지역으로 상륙할 예정입니다. 가급적이면 외출을 삼가하여 주십시요."라는 멘트로 사용자의 이름이 함께 재생되어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므로, 사용자의 주의 집중도가 크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정보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멘트의 음성은 사용자가 남성인 경우에는 여성의 목소리로, 사용자가 여성인 경우에는 남성의 목소리로 재생 출력되도록 하여, 집중도와 친근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비상알람버튼(1333)이 눌려지는 경우, 눌림 신호는 통신망을 통하여 알림서비스 서버(120)와 비상연락전화번호로 전송되어, 사용자는 비상시에 보호 조치를 받을 수 있게 된다.
100: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시스템
110: 정보전송기관단말 120: 서버
130: 알림서비스단말

Claims (5)

  1. 하나 이상의 정보전송기관단말(110)과, 상기 정보전송기관단말(110)과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되는 알림서비스 서버(120)와, 상기 알림서비스 서버(120)와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되는 복수의 알림서비스 단말(130)을 포함하는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시스템(100)에서 실행되며;
    통신망을 통하여 알림서비스 단말(130)을 신청하는 단계(단말 신청단계)와, 단말신청단계에서 제공된 정보가 입력되어 알림서비스 서버(120)에 저장되는 단계(정보입력단계)와, 입력된 정보에 따라 알림서비스 단말(130)에 ID를 부여하고 신청인에게 알림서비스 단말(130)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단계(단말 제공단계)와, 정보전송기관단말(110)에서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된 알림 데이터는 알림서비스 서버(120)에 저장되고(제1전송단계), 통신망을 통하여 알림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사용자의 알림서비스 단말(130)로 전송되어 알림서비스 단말(130)에서 출력되며(제2전송단계);
    상기 단말 신청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성명, 성별, 연령, 지역, 거주정보, 비상연락전화번호가 정보로 제공되며; 상기 알림서비스 서버(120)에는 연령별DB, 지역별DB, 거주정보DB가 구비되어, 제공된 정보는 분류되어 해당 DB에 저장되며;
    상기 제1전송단계에서는 정보전송기관단말(1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음성 파일로 변환되어 전송된 알림 데이터와 함께 연령별, 지역별 및 거주정보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되고;
    상기 제2전송단계에서는 분류된 알림 데이터 및 음성 파일이 해당 DB에 저장된 알림서비스 단말(130)로 전송되어 문자 및 음성으로 출력되며, 해당 알림서비스 단말(130)의 비상연락전화번호로 해당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서비스 단말(130)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단말제어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단말제어부에 연결된 단말통신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단말제어부에 연결되어 데이터가 저장되는 단말저장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단말제어부에 연결되어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단말제어부에 연결되어 전송 데이터가 출력되는 표시부(131)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입력 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되는 복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제1입력버튼부(133)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입력 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되는 복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제2입력버튼부(135)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입력버튼부(133)는 수신확인버튼(1331)과 비상알람버튼(1333)을 포함하고;
    상기 제2입력버튼부(135)는 신청된 사용자의 성명, 성별, 연령, 지역, 거주정보, 비상연락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복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입력버튼부(135)는 열림되는 단말커버(137)에 의해 사용자가 누를 수 없는 상태로 가려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해당 알림서비스 단말(130)로 전송되어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성 파일은 반복 재생 출력되며, 사용자가 수신확인버튼(1331)을 누르면 누름 신호가 단말제어부로 전송되어 음성 파일 재생 출력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저장부에는 단말 신청단계에서 제공된 사용자 성명의 음성 파일이 저장되어, 상기 제2전송단계에서는 단말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성명의 음성파일과 전송된 음성파일이 차례로 스피커를 통하여 반복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수신확인버튼(1331)의 누름 신호는 단말제어부로 전달되고 알림서비스 서버(120)와 비상연락전화번호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
KR1020200122682A 2020-09-23 2020-09-23 경도 장애인용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 KR102466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682A KR102466781B1 (ko) 2020-09-23 2020-09-23 경도 장애인용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682A KR102466781B1 (ko) 2020-09-23 2020-09-23 경도 장애인용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005A true KR20220040005A (ko) 2022-03-30
KR102466781B1 KR102466781B1 (ko) 2022-11-11

Family

ID=80948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682A KR102466781B1 (ko) 2020-09-23 2020-09-23 경도 장애인용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78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2194A (ja) * 2005-03-10 2006-09-21 Hitachi Software Eng Co Ltd 地域安全支援システム
JP2009290679A (ja) * 2008-05-30 2009-12-10 Ntt Docomo Inc 被災提示情報生成装置、被災提示情報生成方法、携帯通信端末及び被災情報登録方法
JP3159195U (ja) * 2010-02-12 2010-05-13 株式会社ソキエ 高齢者見守りシステム
KR20120130427A (ko) 2011-05-23 2012-12-03 (주)옴니텔 재난 정보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10216A (ko) * 2016-03-22 2017-1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장애인을 위한 재난 경보 메시지 전송 방법
KR20180020437A (ko) 2016-08-18 2018-02-28 주식회사 케이티 재난 정보 알림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195B2 (ja) * 1999-01-18 2001-04-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巻線型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2194A (ja) * 2005-03-10 2006-09-21 Hitachi Software Eng Co Ltd 地域安全支援システム
JP2009290679A (ja) * 2008-05-30 2009-12-10 Ntt Docomo Inc 被災提示情報生成装置、被災提示情報生成方法、携帯通信端末及び被災情報登録方法
JP3159195U (ja) * 2010-02-12 2010-05-13 株式会社ソキエ 高齢者見守りシステム
KR20120130427A (ko) 2011-05-23 2012-12-03 (주)옴니텔 재난 정보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10216A (ko) * 2016-03-22 2017-1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장애인을 위한 재난 경보 메시지 전송 방법
KR20180020437A (ko) 2016-08-18 2018-02-28 주식회사 케이티 재난 정보 알림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781B1 (ko) 2022-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12344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emergency services
US20070041514A1 (en) Special needs digital notification and response system
US6671350B1 (en) Multiple identification access codes for a single data file
US20110137676A1 (en) Patient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20020027975A1 (en) Multiple identification access codes for a single data file
US20090197565A1 (en) Medical information retrieval
Kuligowski et al. A review of public response to short message alerts under imminent threat
Sherman-Morris et al. Tornado warning awareness, information needs and the barriers to protective action of individuals who are blind
WO2006026254A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rally presenting notification messages in an auditory canal
US20030091159A1 (en) Multiple identification access codes for a single data file
Haataja et al. Citizens' communication habits and use of ICTs during crises and emergencies
KR20220040005A (ko)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
JP2014099675A (ja) 聴覚障がい者等向け緊急通報システム
Senkbeil et al. Improving tornado warning communication for deaf and hard of hearing audiences
WO1996034484A2 (en) Remote activi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3470608B2 (ja) 在宅ケア端末
Lund et al. Text messaging as a strategy to address the limits of audio-based communication during mass-gathering events with high ambient noise
KR20000024527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 스케줄 관리 방법
KR102529689B1 (ko) 스마트 소통 콜 시스템
JP7128335B1 (ja) 案内通知システム、案内通知方法、および案内通知プログラム
CN116798203B (zh) 一种实现公益热线精准预案化应急救援的方法及系统
Dawkins et al. Voices of First Responders–Nationwide Public Safety Communication Survey Findings: Day-to-Day Technology
Mitchell et al. Wireless emergency alerts: An accessibility study.
KR102524654B1 (ko) Ai 기반의 장애인과 지방자치단체의 맞춤형 뉴스레터 관리 시스템
JPH09238192A (ja) 伝言通信用の通信網利用システム及びその関連技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