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652A - 향상된 3방향 커넥터 - Google Patents

향상된 3방향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652A
KR20220039652A KR1020217040453A KR20217040453A KR20220039652A KR 20220039652 A KR20220039652 A KR 20220039652A KR 1020217040453 A KR1020217040453 A KR 1020217040453A KR 20217040453 A KR20217040453 A KR 20217040453A KR 20220039652 A KR20220039652 A KR 20220039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tubular
valve element
ho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0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마누엘 베티니
니콜라 스카그리아리니
Original Assignee
지브이에스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브이에스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지브이에스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220039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23Multiway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05Multi-channel connectors or couplings, e.g. for connecting multi-lumen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0Closure caps or plugs for connectors or open ends of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0Closure caps or plugs for connectors or open ends of tubes
    • A61M2039/205Closure caps or plugs for connectors or open ends of tubes comprising air ven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2039/229Stopc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3방향 커넥터(1)는 개방된 제 1 단부(4) 및 폐쇄된 제 2 단부(5)를 갖는 관형 중앙 부분(3)을 갖는 몸체(2), 상기 관형 중앙 부분(3)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연결 부분(10, 11, 12)의 내부 덕트(7, 8, 9)와 연통하는 관형 중앙 부분(3)의 내부 공동(6), 제 3 출력 연결 부분(12)에 의해 환자에게 주입되는 유체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할 수 있는 제 1(10) 및 제 2(11) 흡입 연결 부분, 상기 중앙 부분(3)의 내부 공동(6) 내부에 삽입되고, 방사상 암(17A)을 갖는 파지 부분(17)을 갖는 상기 관형 중심 부분(3)의 제 1 개방 단부(4)로부터 돌출하고, 내부 공동(16)을 가지는 관형 밸브 요소(13)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요소(13)는 선택적 및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연결 부분(10, 11, 12)을 관형 몸체(14)의 표면(18) 내부에 제공된 중공(20)을 통해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거나 상기 연통을 폐쇄할 수 있는 형성된 관형 몸체를 가지고, 밸브 요소(13)의 관형 몸체(14)의 상기 내부 공동(16)의 횡방향 내부에는 상기 공동(16)를 2개의 섹션(36, 37)으로 나누는 벽(35)이 있고, 상기 횡방향 벽(35)에 홀(40)은 공동(36, 37)의 이러한 섹션을 연통되도록 한다.

Description

향상된 3방향 커넥터
본 발명의 주제는 주요 청구항의 전문에 따른 3방향 커넥터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3방향 커넥터(또는 마개)는 주사기와 같은 주입 요법 중에 다른 제품과 함께 사용되는 보조 제품이다. 이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정맥내로 유체를 투여하기 위한 세트 또는 키트의 일부이며, 상기 투여의 눈금을 위해 약물 투여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투여, 종양학적 투여, 및 조영제 또는 영양 액체 등의 투여용키트와 같이 환자의 혈관계에 대한 상기 유체의 분포를 조절한다.
기존의 3방향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내부 공동이 있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관형 중앙 부분이 있는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공동은 상기 몸체의 제 1 단부에서 열리고 제 2 단부에서 닫힌다.
상기 관형 중앙부의 내부 공동은 커넥터의 중앙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3개의 암 형태로 연결부의 내부 덕트와 연통한다. 이러한 연결 부분(흡입용) 중 2개는 유체를 투여하기 위한 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 1 부분은 생리학적 용액의 공급에 연결될 수 있는 반면(예를 들어, 튜브에 의해 커넥터에 연결되는 백), 제 2 연결 부분은 예를 들어 주사기 또는 주입 라인으로 부터 의료용 유체를 수용한다.
반면 제 3 암 또는 제 3 연결 부분(출력용)은 유체를 환자에게 전달하는 튜브에(카테터 또는 바늘을 통해) 연결된다. 이를 위해 환자에게 주입할 유체를 전달할 수 있는 튜브에 연결된 3방향 커넥터는 종종 환자의 신체(일반적으로 팔)에 지지된다. 안정적이고 문제 없는 지지를 위해 커넥터의 중앙 부분의 닫힌 단부는 외부로 퍼져나가지만 매끄럽다.
흡입 연결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 부분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해, 커넥터 몸체의 관형 중앙 부분 내부에 삽입되는 밸브 요소가 제공된다. 상기 밸브 요소는 또한 관형이고 원통형이며 요소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암을 갖는 파지 부분과 함께 상기 관형 중앙 부분의 제 1 단부로부터 돌출한다.
커넥터의 중앙 부분 내부에 삽입된 관형 몸체의 외부 표면에서, 밸브 요소는 흡입 연결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 부분에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거나 흡입 및 출력 사이의 임의의 연통을 차단 및 폐쇄할 수 있는 중공을 갖는다. 이것은 커넥터의 중앙 부분에 있는 밸브 요소의 선택적 회전을 통해 발생한다.
밸브 요소의 관형 몸체는 일반적으로 커넥터의 중앙 부분의 내벽과 밀접하게 접촉한다. 따라서, 밸브 요소의 임의의 사용 위치에서 흡입 연결 부분 중 적어도 하나가 유체 공급부에 연결되지만, 밸브 요소의 관형 몸체와 커넥터의 관형 중앙 부분 사이에 유체가 유입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3방향 커넥터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심장과 및 방사선과, 혈관 성형술 또는 기타 다양한 분야의 중재에 대한 모든 가능한 응용과 같이 매우 높은 압력으로 수액을 주입하는 경우가 포함되어 위험할 수 있다. 밸브 요소와 커넥터의 중앙 부분 사이의 밀봉. 그림을 그리는 경우 투여된 유체(치료 중 환자를 돕는 조작자, 간호사 또는 의사 및/또는 환자 자신에게도 위험하고 유독할 수 있음)가 3방향 커넥터에서 나갈 수 있다. 또는 고압의 경우 밸브 요소를 커넥터 몸체에서 분리한다. 이것은 관련된 사람들에게 명백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밸브 요소의 관형 중앙 부분이나 관 몸체에 제품 결함이 있는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여전히 가능한다.
EP3108926은 의료용 연결 구조를 설명하고 있으며, 다른 솔루션 중에서 3방향 의료 커넥터 형태로 이러한 유형의 구조를 설명한다. 이 커넥터는 3개의 연결 부분, 즉 유입되는 유체를 위한 제 1 부분, Luer 유형의 커플링을 위한 암형 요소가 제공된 제 2 부분 및 유체의 출력을 위한 제 3 부분과 함께 제공된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부분에는 이 몸체의 관형 중공 중앙 부분에서 끝나는 덕트가 있으며, 상기 부분에는 관통 축방향 홀이 있고 반대쪽 단부가 열려 있다.
상기 관통 홀 내부에는 중앙 배플에 의해 차단된 중공 대향 부분이 제공된 관형 밸브 요소 또는 상기 관형 중앙 부분에서 선택적으로 돌출된 전술한 3개의 연결 부분의 덕트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는 채널이 제공되는 부분이 삽입된다.
상기 중공 밸브 몸체는 커넥터 몸체 중앙 부분의 축방향 관통 홀의 제 1 단부에서 돌출한다. 관형 밸브 요소의 제 1 중공 부분은 이 요소의 외부에서 직접 열리는 반면, 제 2 중공 부분은 상기 관통 홀의 구멍을 통해 커넥터 몸체의 중공 관형 중앙 부분의 관통 홀 외부에서 열린다.
EP3108926은 튜브와 같은 외부 의료 부품과의 연결 구조의 올바른 결합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상기 커플링은 상기 구조의 연결 부분과 관련된 연결 요소의 적절한 클램핑 토크에 의해 충분히 밀봉되고 동시에 만족스럽게 누출이 방지된다. 상기 유럽 문헌은 연결 구조 몸체의 중공 중앙 부분(특히 3방향 밸브)에서 유체 누출 문제를 다루지 않지만 누출은 하부에서 개방되기 때문에 상기 중공 중앙 부분 내부에 가능한 과도한 압력을 포함할 수 없다. 상기 몸체의 중공 중앙 부분과 내부에 배치된 관형 밸브 요소 사이의 유체 누출은 상기 중공 중앙 부분의 개방 홀으로부터 유체가 단순히 빠져나가는 것을 포함할 것이다.
과도한 압력 문제는 유럽 문헌에서도 제안되지 않았다. 설명된 솔루션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럽 특허 문헌에 설명된 솔루션에서 어떤 식으로든 발생할 수 없는 기술적 문제를 당업자에게 제안할 수 없다. 초과 압력의 문제가 3방향 커넥터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EP3108926에 설명된 솔루션에서 초과 압력 문제가 발생 할 수 있음과, 당업자라면 이러한 문제에 직면하여 어떤 식으로든 해결했을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는 것은 해당 특허 문헌에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하지만 사후 분석을 기반한 평가이다.
EP3108926에 설명된 3방향 커넥터에서는 이 밸브의 몸체 중앙 부분에서 초과 압력이 생성될 수 없으므로 특허 텍스트에서 이러한 초과 압력 가능성에 대해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관형 밸브 요소 내부에 채널이 있기 때문에 상기 요소의 반대쪽 중공 부분을 연통시키기 위해 가질 수 있는 축 방향 천공은 이 채널의 천공으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3중 밸브의 효율성이 손실될 수 있다.
US2018/296750은 양전자 방출(PET) 및 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안전 밸브가 있는 단층 촬영 시스템에서 유체를 준비 및 주입하기 위한 시스템의 조절 수단을 설명한다. 이 밸브는 유체의 통과를 위한 내부 덕트에 연결하기 위해 방사상으로 돌출된 부분이 있는 중앙 몸체가 있는 3방향 밸브로 도시 및 설명된다.
중앙 몸체는 중공이며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돌출 부분의 덕트를 연결하기 위해 내부 채널을 통해 밸브 요소를 수용한다. 중앙 몸체의 공동은 한쪽 끝이 부분적으로 닫혀 있으며 중앙 몸체의 내부 벽에 제공된 선형 중공과 연통하는 홀이 있으며 상기 공동의 한쪽 끝과 다른 쪽 끝 모두에서 과도한 유체 흐름을 밸브 몸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미국 문헌은 과도한 유체 흐름을 밸브의 중앙 몸체 외부로 안전하게 배출하는 수단을 설명하며, 상기 수단은 두 개의 단부 부분, 즉 한쪽 단부 부분에 구멍이 있는 연결된 중앙 몸체의 벽에 있는 중공이다. 이 중앙 몸체의 공동을 부분적으로 닫는 부분과 외부 환경에 완전히 열려 있는 다른 쪽 단부 부분은 외부 환경에 완전히 개방되어 있으므로 제 1 부분이 완전히 닫히고 구멍이 없는 경우에도, 항상 압력 방출 기능이 발생하도록 보장한다.
또한, 밸브 요소에 관통 내부 채널이 존재하면 그 축방향 천공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3방향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으로, 여기서 유체가 커넥터 중앙 부분의 공동으로 유입되는 원격 상황에서도 이 유체가 외부로 예기치 않게 빠져나갈 수 없으며, 커넥터 자체가 분리되어 커넥터 전체를 구성하는 부품(커넥터 몸체 및 밸브 요소)의 분해가 불가능하다.
또 다른 목적은 종래 기술에 따라 3방향 커넥터를 제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저비용으로 통상적인 방식으로 사용되는 전술한 유형의 3방향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당업자에게 자명할 이러한 목적 및 기타 목적은 주요 청구범위에 따른 3방향 커넥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그리고 순전히 비제한적인 예로서 도면이 첨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방향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다른 투시각에서 도 1의 선 2-2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커넥터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4-4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커넥터의 일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 1의 커넥터 부분의 정면도; 및
도 8은 도 3의 8-8선에 따른 단면도.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3방향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참조번호 1로 표시된다. 이것은 제 1 단부(4)에서 개방되고 제 2 단부(5)에서 폐쇄되는 관형 중앙 부분(3)을 갖는 몸체(2)를 포함한다. 중앙 부분은 관형 중앙 부분(3)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연결 부분(10, 11, 12) 내부에 각각 제공된 연결된 덕트(7, 8, 9)가 있는 공동(6)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연결 부분(흡기용)(10, 11) 제 3 연결부(유체 배출용)(12)를 통해 3방향 커넥터를 통해 제어된 방식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해당 유체 공급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이것은 알려진 방식으로 발생하며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중앙 부분(3)의 공동(6)에는 중앙 부분(3)의 제 1 단부(4)의 공동 내로 도입된 관형 몸체(14)를 갖는 밸브 요소(13)가 삽입된다. 관형 몸체(14)는 내부 공동(16) 및 공동(6)의 외부에 배치되고 방사상 암(17A)을 갖는 단부 파지 부분(17)을 갖는다. 전술한 공동(6)의 내부 표면(19)을 향할 수 있는 이 관형 몸체(14)의 표면(18) 내부에는 부분(10, 11 및 12)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중공(20)이 제공되고, 환자에게 수액 투여를 허용하거나 방지한다. 따라서 몸체(14)는 상기 기능을 갖도록 형상화된다.
이는 그 자체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발생하므로 더 이상 설명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파지 부분(17)은 밸브 요소의 내부 공동(16)의 개방된 제 1 단부를 형성하는 관통 홀(21)에 의해 중앙에 천공된다. 이 공동(16)은 또한 몸체(2)의 관형 부분(3)의 폐쇄된 제 2 단부(5)의 전방에 배치된 제 2 단부(24)에서 개방된다.
홀(21)에는 이 홀에 삽입될 수 있는 측벽(29)을 갖는 원통형 몸체(28)(임의의 단면을 가짐)를 갖는 스토퍼(27)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벽은 길이방향, 나선형 또는 반드시 직선일 필요는 없는 다른 위치를 갖는 복수의 돌출 리브(30)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는 홀(21)의 에지(33)로부터 벽(29)을 이격시킬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에지 사이, 상기 벽 및 리브 사이에 그 단부에서 개방된 채널(34)을 생성할 수 있다. 스토퍼(27)는 일반적으로 색상이 지정되어 있으며, 알려진 바와 같이 색상을 통해 커넥터의 특정 용도를 식별하여 동일하지만 다른 유형의 주입에 사용되는 다른 커넥터와 구별한다.
관형 요소(13)의 공동(16)은 상기 공동을 2개의 섹션, 즉 홀(21)과 연통하는 제 1(상부) 섹션(36)으로 나누는 횡방향 벽(35) 및 공동(16)의 제 2 단부(24)에의해 폐쇄되는 제 2(하부) 섹션(37)을 가진다. 상기 횡방향 벽(35)에는 공동(16)의 2개의 섹션(36, 37)을 연통시키는 관통 홀(40)이 존재한다. 홀은 연결 부분(흡기용)(10, 11) 중 하나에서 얻은 유체가 제 2 부분에 모이는 바람직하지 않은 유체를 끌어들인 후 공동(16)의 하부 섹션(37)에 축적될 수 있는 압력을 배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밸브 요소(13)의 관형 몸체(14)의 공동(16)의 하부 섹션(37)을 점차적으로 채우는 커넥터(1)의 몸체(2)의 폐쇄 단부(5)는 통과한다.
밸브 요소의 공동(16)이 일반적으로 폐쇄되는 공지된 솔루션에서, 단부(5)의 유체는 공동(16)의 폐쇄 부분과 단부(5) 자체 사이에서 차단된 공기 압력의 증가시켜 파열 효과를 초래하여 밸브 요소(13)가 몸체(2)에서 분리되게 한다.
이 경우, 공동(16)의 하부 섹션(37)에 모인 유체는 홀(40)을 통해 상부 섹션(36)으로 통과할 수 있고, 따라서 몸체(2)의 관형 부분(3)의 제 2 단부(5)와 공동(16)의 내부 내부 사이의 압력을 방출하게 된다.(압력이 증가하면 밸브 요소(13)가 몸체(2)로부터 분리되게 할 수 있음). 유체가 홀(40)을 통과하여 공동(6)의 상부 섹션(36)에 도달할 수 있고 거기로부터 상기 홀(21)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다는 사실 덕분에, (상기 공동은 스토퍼가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통과 구멍(21)에 의해 열리거나 스토퍼(27)의 벽(29), 벽의 리브(30) 및 구멍(21)의 가장자리(33) 사이의 채널을 통해 대기와 연통하고), 몸체(2)의 단부(5)와 전술한 공동(16) 사이의 압력은 항상 낮게 유지되고, 따라서 파열 방식을 포함하여 커넥터(1)를 분해하고 밸브 요소(13)로부터 몸체(2)를 분리할 수 있는 축력의 발생을 방지한다.
홀(21)에서 유체가 나오는 것은 즉시 주입 작업을 주입 작업을 차단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발생하는 증기 및 유체가 더 많이 빠져 나오거나 부품이 분리되지 않고 환자 또는 의료 조작자가 알아차릴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솔루션은 구현하기 쉽다. 홀(40)은 벽(35)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고, 관형 몸체(14)의 길이방향 축(W)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벽에 인라인 또는 중심에서 벗어날 수 있다. 홀이 편심인 경우 벽이 35는 중공(20)에 지속되는 압력을 견디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홀의 존재는 이 벽(35)을 약화시키기 때문에, 상기 편심 위치는 다음과 같이 선 8-8로 표시된 단면 평면에 대해 대칭이다. 약화를 최소화한다. 홀(40)은 임의의 단면을 가질 수 있거나, 복수의 홀(40)이 벽(35)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5)

  1. 개방된 제 1 단부(4) 및 폐쇄된 제 2 단부(5)를 갖는 관형 중앙 부분(3)을 갖는 몸체(2)를 포함하는 3방향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관형 중앙 부분(3)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연결 부분(10, 11, 12)의 내부 덕트(7, 8, 9)와 연통하는 관형 중앙 부분(3)의 내부 공동(6),
    제 3 출력 연결 부분(12)에 의해 환자에게 주입되는 유체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할 수 있는 제 1(10) 및 제 2(11) 흡입 연결 부분,
    상기 중앙 부분(3)의 내부 공동(6) 내부에 삽입되고, 방사상 암(17A)을 갖는 파지 부분(17)을 갖는 상기 관형 중심 부분(3)의 제 1 개방 단부(4)로부터 돌출하고, 내부 공동(16)을 가지는 관형 밸브 요소(13)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요소(13)는 선택적 및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연결 부분(10, 11, 12)을 관형 몸체(14)의 표면(18) 내부에 제공된 중공(20)을 통해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거나 상기 연통을 폐쇄할 수 있는 형성된 관형 몸체를 가지고,
    밸브 요소(13)의 관형 몸체(14)의 상기 내부 공동(16)의 횡방향 내부에는 상기 공동(16)를 2개의 섹션(36, 37)으로 나누는 벽(35)이 있고, 상기 횡방향 벽(35)에 홀(40)은 공동(36, 37)의 이러한 섹션을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횡방향 벽(35)의 홀(40)은 밸브 요소(13)의 관형 몸체(14)의 종축(W)에 또는 상기 축에 대해 편심된 위치에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공동(16)의 제 1 섹션(36)이 파지 부분(17)을 갖는 밸브 요소(13)의 관형 몸체(14)의 일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동(6)의 제 2 섹션(37)은 커넥터(1)의 몸체(2)의 관형 중앙 부분(3)의 제 2 단부(5)에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공동(16)의 제 1 섹션(36)은 밸브 요소(13)의 파지 부분(17)에 제공된 관통 홀(21)과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21)에는 종방향으로 상기 관통홀에(21) 삽입된 측벽이 있는 원통형 몸체(28)를 가지는 스토퍼(27) 및 상기 측벽(29)의 외부에 상기 홀의 에지와 직접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에지로부터 스토퍼(27)의 측벽(29)을 이격하도록 제공된 복수의 돌출하는 리브(30)가 배치되고,
    따라서 복수의 채널이 상기 측벽(29), 상기 에지(33) 및 상기 리브(30)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채널은 밸브 요소(13)의 내부 공동(16) 및 요소의 외부와 연통하도록 대향 단부에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커넥터.
KR1020217040453A 2019-07-24 2020-07-21 향상된 3방향 커넥터 KR202200396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9000012735A IT201900012735A1 (it) 2019-07-24 2019-07-24 Connettore a tre vie perfezionato
IT102019000012735 2019-07-24
PCT/IB2020/056822 WO2021014342A1 (en) 2019-07-24 2020-07-21 Three-way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652A true KR20220039652A (ko) 2022-03-29

Family

ID=68653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0453A KR20220039652A (ko) 2019-07-24 2020-07-21 향상된 3방향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249826A1 (ko)
EP (1) EP4003489A1 (ko)
JP (1) JP2022542245A (ko)
KR (1) KR20220039652A (ko)
CN (1) CN114173857B (ko)
BR (1) BR112022000510A2 (ko)
IT (1) IT201900012735A1 (ko)
WO (1) WO20210143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8797A (ko) 2022-08-03 2024-02-14 주식회사 우림엠앤에이치 이방향동축플러그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18762A (zh) * 2023-11-16 2024-03-01 锐嘉(宜兴)科技有限公司 一种多尺寸适用性免针加药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27540A (en) * 1974-04-04 1978-03-07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Adjustable valve
EP2554214A1 (en) * 2011-08-04 2013-02-06 B. Braun Melsungen AG Needle free connector with a collapsible resilient membrane fitting and corresponding method
CN106232173B (zh) * 2015-04-02 2019-08-30 光阳产业股份有限公司 医用连接结构
EP3106200A1 (en) * 2015-06-19 2016-12-21 MedTrace A/S A system for safe radioisotope preparation and inje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8797A (ko) 2022-08-03 2024-02-14 주식회사 우림엠앤에이치 이방향동축플러그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49826A1 (en) 2022-08-11
IT201900012735A1 (it) 2021-01-24
JP2022542245A (ja) 2022-09-30
BR112022000510A2 (pt) 2022-03-15
WO2021014342A1 (en) 2021-01-28
EP4003489A1 (en) 2022-06-01
CN114173857A (zh) 2022-03-11
CN114173857B (zh) 202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01100A1 (en) Needleless access connectors and valve elements therefor
JP6822978B2 (ja) 治療薬のエミッタを受け入れるように構成された医療用コネクタ
EP2153865B1 (en) Luer integrated air venting system
US8066669B2 (en) Vascular access device housing venting
US8062262B2 (en) Extravascular system in-line venting
US9079005B2 (en) Sampling port
BR112012021414B1 (pt) conector para entrega de droga e método de entregar medicação líquida a um conector de cateter
TWM484436U (zh) 無針正壓接頭
KR20220039652A (ko) 향상된 3방향 커넥터
EP3426334B1 (en) A valve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a plurality of drug fluids
IL265532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hyperperfusion of blood vessels in the extravascular space
US4968309A (en) Connection preferably for medical use
US20040210201A1 (en) Device for maintaining catheter lumen patency
US11207453B2 (en) Drug diffusing peritoneal dialysis catheter
EP3691713B1 (en) Cannula for fluid perfusion
AU2009260170A1 (en) A flushable injection port
JP4584240B2 (ja) 輸液チューブセット
ITTO20080433A1 (it) Unita' di lavaggio e riempimento per cateteri
ITUA20164485A1 (it) Dispositivo per la somministrazione/drenaggio di fluidi nel/dal corpo umano
ITMO20100306A1 (it) Contenitore per sostanze mediche
IT8936003U1 (it) Catetere intravenoso a doppia via modul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