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349A -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349A
KR20220039349A KR1020200122369A KR20200122369A KR20220039349A KR 20220039349 A KR20220039349 A KR 20220039349A KR 1020200122369 A KR1020200122369 A KR 1020200122369A KR 20200122369 A KR20200122369 A KR 20200122369A KR 20220039349 A KR20220039349 A KR 20220039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tic information
user
genetic
information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준
Original Assignee
이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준 filed Critical 이호준
Priority to KR1020200122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9349A/ko
Priority to PCT/KR2020/015441 priority patent/WO2022065579A1/ko
Publication of KR20220039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evolutionary bioinformatics, e.g. phylogenetic tree construction or analy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unctional genomics or proteomics, e.g. genotype-phenotype associations
    • G16B20/20Allele or variant detection, e.g.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dete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04L2209/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의 음성 합성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군집음성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을 이용한 유전자 정보 가치 거래 방법에 있어서, 유전자 정보 가치 거래 시스템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 각각의 사용자 별로 디지털 ID를 생성하여 부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유전자 정보를 제공받고 유전자 정보를 데이터화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화된 유전자 정보를 블록체인 상에 해당 사용자의 디지털 ID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제3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유전자 정보가 제공되면, 해당되는 유전자 정보를 제공한 디지털 ID에 대응하는 사용자에게 보상 가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유전자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유전자의 위조 또는 변조 확률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된 유전자의 비율에 따라 수익을 제공하여 활발한 거래를 진행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TRANSACTION OF DEOXYRIBONUCLEIC ACID BASED ON BLOCK CHAI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에 관한 것으로, 개인의 유전자 정보를 블록체인에 적용하여 위조 또는 변조될 확률을 제거하여 거래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 트래픽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 주고받는 데이터 트래픽보다 이미 센서와 센서,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사이에서 시맨틱하게 이뤄지는 데이터 트래픽이 많아졌으며, 향후에도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맨틱한 데이터 트래픽을 빅데이터로 수집하여 머신 러닝의 대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특히, 그것이 단순한 임상실험을 통해 얻어지는 정보가 아니라, 인간이나 동물의 유전자 정보인 경우 수집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수집된 데이터 자체가 높은 경제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다국적 제약회사들을 중심으로 개별적으로 수집 및 분석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유전자 검사는 둘러싼 여러 사회적, 윤리적 쟁점들은 단지 법적, 도덕적 권리 문제로 국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질병과 건강의 정의, 과학적 타당성의 해석과 평가, 특허 대상의 법적 정의와 사회적 합의 등 여러 까다로운 주제들과 연결되어 있다. 예측성 유전자 검사는 일부 질병의 경우 사전에 진단하고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기회를 분명 제공해주지만, 그 가능성에 도취되어 남용되도록 허용할 경우 이를 이용하는 개인에게는 또 다른 위험을 가져다주고 사회 전체에는 공중보건의 위협이나 공중보건 비용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최근 국내에서 제약회사, 벤처기업, 대형병원이 함께 손을 잡고 개인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상용화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개인의 유전자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된 비용을 지불하거나 위조 또는 변조를 제거하는 방법은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13186호(2020.05.20.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개인의 유전자 정보를 블록체인에 적용하여 위조 또는 변조될 확률을 제거하여 거래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을 이용한 유전자 정보 가치 거래 방법에 있어서, 유전자 정보 가치 거래 시스템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 각각의 사용자 별로 디지털 ID를 생성하여 부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유전자 정보를 제공받으면, 제공된 유전자 정보를 하나의 헤더 정보와 하나의 시퀀스 정보가 결합된 형태로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데이터화된 유전자 정보를 블록체인 상에 해당 사용자의 디지털 ID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제3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유전자 정보가 제공되면, 해당되는 유전자 정보를 제공한 디지털 ID에 대응하는 사용자에게 보상 가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해당 사용자로부터 유전자 검사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유전자 검사를 유전자 검사업체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전자 정보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방식을 통해 획득되고, 상기 유전자 정보를 데이터화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유전자 정보를 전장 유전체 분석(Whole Genome Sequencing, WGS) 기술을 통해 분석하여 데이터화 할 수 있다.
상기 해당 사용자의 디지털 ID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화된 유전자 정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해시 값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해시 값에 대응하는 개인 키를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의 디지털 ID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상 가치를 제공하는 단계는, 제3자로부터 기 저장된 복수의 유전자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 정보를 요청받는 단계, 매칭된 디지털 ID를 은닉한 상태에서 요청된 유전자 정보를 상기 제3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유전자 정보의 제공에 따른 보상 가치를 결정하고, 책정된 보상 가치를 상기 유전자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상 가치는, 제3자에 의해 이용된 상기 유전자 정보의 제공 횟수 또는 전체 유전자 정보의 제공 횟수 대비 상기 해당 유전자 정보의 제공 횟수의 비율에 따라 차등적으로 가치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을 기반의 유전자 정보 거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유전자 정보 가치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유전자 정보 가치 거래 시스템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 각각의 사용자 별로 디지털 ID를 생성하여 부여하는 DID 생성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유전자 정보를 제공받으면, 제공된 유전자 정보를 하나의 헤더 정보와 하나의 시퀀스 정보가 결합된 형태로 변경시키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데이터화된 유전자 정보를 블록체인 상에 해당 사용자의 디지털 ID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제3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유전자 정보가 제공되면, 해당되는 유전자 정보를 제공한 디지털 ID에 대응하는 사용자에게 보상 가치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유전자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유전자의 위조 또는 변조 확률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된 유전자의 비율에 따라 수익을 제공하여 활발한 거래를 진행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정보 거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화된 유전자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S34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정보 거래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100)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복수의 사용자의 유전자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유전자 정보를 제3자에 제공하고, 제공한 결과에 따라 보상 가치를 유전자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200)는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유전자 정보를 등록하고, 제3자에 제공된 결과에 따라 보상 가치를 입력받는다.
특히, 사용자 단말기(200)는 휴대가 가능한 참여자 단말기로서,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패드 또는 스마트 폰등과 같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100)은 DID 생성부(110), 통신부(120), 데이터 변환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DID 생성부(110)는 유전자 정보 가치 시스템(100)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200)로 각각의 사용자 별로 디지털 ID를 생성하여 부여한다.
다음으로, 통신부(120)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해당 사용자로부터 유전자 검사를 요청받고, 사용자에 대한 유전자 검사를 유전자 검사업체에 요청한다.
다음으로, 데이터 변환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유전자 정보를 제공받고 유전자 정보를 데이터화 한다.
다음으로, 저장부(140)는 데이터화된 유전자 정보를 블록체인 상에 해당 사용자의 디지털 ID와 매칭하여 저장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제3자의 요청에 의해 유전자 정보가 제공되면, 해당되는 유전자 정보를 제공한 디지털 ID에 대응하는 사용자에게 보상 가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데이터화된 유전자 정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해시 값을 생성하고, 해시 값에 대응하는 개인 키를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의 디지털 ID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제3자로부터 기 저장된 복수의 유전자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 정보를 요청받으면, 매칭된 디지털 ID를 은닉한 상태에서 요청된 유전자 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고, 유전자 정보의 제공에 따른 보상 가치를 결정하고, 책정된 보상 가치를 유전자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보상 가치는 제3자에 의해 이용된 유전자 정보의 제공 횟수 또는 전체 유전자 정보의 제공 횟수 대비 해당 유전자 정보의 제공 횟수의 비율에 따라 차등적으로 가치의 크기가 결정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을 이용한 유전자 정보 거래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정보 거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에서 나타낸 것처럼, DID 생성부(110)는 유전자 정보 가치 거래 시스템(100)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200)로 각각의 사용자 별로 디지털 ID를 생성하여 부여한다(S310).
여기서, 디지털 ID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 각각에 해당하는 고유 식별 정보이며,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생성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해당 사용자로부터 유전자 검사를 요청받으면, 통신부(120)는 사용자에 대한 유전자 검사를 유전자 검사업체에 요청한다(S320).
이때, 유전자 검사업체는 유전자 검사를 요청한 사용자의 머리카락, 입안표피 또는 피부등과 같이 유전자 검사에 필요하는 샘플을 채취한다.
그러면, 유전자 검사업체는 채취한 샘플을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방식을 통해 유전자를 추출한다.
이때,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방식은 하나의 유전체를 복수의 조각으로 분해하고, 분해된 복수의 조각의 데이터를 생물 정보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재 조합하여 유전체 정보를 빠르게 해독하기 위해 사용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전자 검사를 요청한 사용자의 유전자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때, 유전자 정보는 복수개의 아데닌(A), 구아닌(G), 사이토신(C) 및 티민(T)의 배열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데이터 변환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유전자 정보를 제공받고 유전자 정보를 데이터화한다(S330).
이때, 데이터 변환부(130)는 획득된 유전자 정보를 전장 유전체 분석(Whole Genome Sequencing, WGS) 기술을 통해 분석하여 데이터화한다.
여기서, 전장 유전체 분석(WGS) 기술은 특정 생물 종의 집단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개체들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유전적 변이(genetic variants)와 특정 형질(trait)간의 연관성을 분석 연구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람의 유전자 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DNA SEQUENCING 데이터 DID(Digital ID)는 WGS(Whole Genome Sequencing) 데이터 DID(Digital I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화된 유전자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데이터화된 유전자 정보는 하나의 헤더 정보와 하나의 시퀀스 정보가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시퀀스 정보는 사용자 각각의 유전자 정보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저장부(140)는 데이터화된 유전자 정보를 블록체인 상에 해당 사용자의 디지털 ID와 매칭하여 저장한다(S340).
먼저, 저장부(140)는 데이터화된 유전자 정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해시 값을 생성한다.
그리고, 저장부(140)는 해시 값에 대응하는 개인 키를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의 디지털 ID에 매칭하여 저장한다.
이때, 해시 값은 암호화된 데이터화된 유전자 정보 데이터이고, 개인 키는 해시 값을 디코딩시킬 수 있는 키를 의미한다.
그러면, 저장부(140)는 해시 값을 블록체인 상에 해당 사용자의 디지털 ID와 매칭하여 저장한다.
이때, 블록체인은 동일한 데이터가 담긴 블록을 복수의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말기에 복제하여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기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전자 정보 데이터의 해시 값과 대응되는 사용자의 디지털 ID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5는 도 3의 S34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유전자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 유효한 개인 키(프라이빗 해시 값)을 해당 유전자 데이터의 해시문제에 적용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접근 권한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유전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반면에, 유전자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 유효하지 않은 개인 키(프라이빗 해시 값)을 해당 유전자 데이터의 해시문제에 적용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접근 권한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유전자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3자의 요청에 의해 유전자 정보가 제공되면, 제어부(150)는 해당되는 유전자 정보를 제공한 디지털 ID에 대응하는 사용자에게 보상 가치를 제공한다(S350).
먼저, 제3자로부터 기 저장된 복수의 유전자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 정보를 요청받으면, 제어부(150)는 매칭된 디지털 ID를 은닉한 상태에서 요청된 유전자 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제3자로부터 요청받은 유전자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해당 유전자 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ID를 은닉한 상태로 제3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제3자에게 제공한 유전자 정보의 보상 가치를 결정한다.
이때, 유전자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보상 가치는 제3자에 의해 이용된 유전자 정보의 제공 횟수 또는 전체 유전자 정보의 제공 횟수 대비 해당 유전자 정보의 제공 횟수의 비율에 따라 차등적으로 가치의 크기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A 사용자의 유전자 정보의 제공 횟수가 40회이고, B 사용자의 유전자 정보의 제공 횟수가 50회라고 하면, 제어부(150)는 B 사용자의 보상 가치를 A 사용자의 보상 가치보다 큰 크기로 설정한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책정된 보상 가치를 유전자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보상 가치는 포인트, 마일리지 또는 현금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유전자 정보 제공의 횟수 및 보상 가치는 블록체인의 각 블록에 저장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정보 거래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즉, 도 6에서 나타낸 것처럼,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10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유전자 정보에 대한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해당 사용자에게 개인 키를 제공한다.
그러면,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100)은 암호화된 유전자 정보와 개인 키를 함께 블록체인에 저장한다.
이때, 블록체인에는 각각의 사용자별로 암호화된 유전자 정보가 구분되어 저장된다.
다음으로, 제3자로부터 유전자 정보의 제공 요청을 받으면,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100)은 암호화된 유전자 정보를 복호화하여 제3자에게 제공하고, 제공된 유전자 정보의 양에 따라 가격을 책정한다.
그리고, 제3자로부터 책정된 가격을 입력받으면,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100)은 제공된 유전자 정보의 제공자에게 보상 가치를 부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유전자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유전자의 위조 또는 변조 확률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된 유전자의 비율에 따라 수익을 제공하여 활발한 거래를 진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
110: DID 생성부, 120: 통신부,
130: 데이터 변환부, 140: 저장부,
150: 제어부, 2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12)

  1.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을 이용한 유전자 정보 거래 방법에 있어서,
    유전자 정보 가치 거래 시스템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 각각의 사용자 별로 디지털 ID를 생성하여 부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유전자 정보를 제공받으면, 제공된 유전자 정보를 하나의 헤더 정보와 하나의 시퀀스 정보가 결합된 형태로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유전자 정보를 블록체인 상에 해당 사용자의 디지털 ID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제3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유전자 정보가 제공되면, 해당되는 유전자 정보를 제공한 디지털 ID에 대응하는 사용자에게 보상 가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해당 사용자로부터 유전자 검사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유전자 검사를 유전자 검사업체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정보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방식을 통해 획득되고,
    상기 유전자 정보를 데이터화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유전자 정보를 전장 유전체 분석(Whole Genome Sequencing, WGS) 기술을 통해 분석하여 데이터화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사용자의 디지털 ID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화된 유전자 정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해시 값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해시 값에 대응하는 개인 키를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의 디지털 ID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가치를 제공하는 단계는,
    제3자로부터 기 저장된 복수의 유전자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 정보를 요청받는 단계,
    매칭된 디지털 ID를 은닉한 상태에서 요청된 유전자 정보를 상기 제3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유전자 정보의 제공에 따른 보상 가치를 결정하고, 책정된 보상 가치를 상기 유전자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가치는,
    제3자에 의해 이용된 상기 유전자 정보의 제공 횟수 또는 전체 유전자 정보의 제공 횟수 대비 상기 해당 유전자 정보의 제공 횟수의 비율에 따라 차등적으로 가치의 크기가 결정되는 유전자 정보 거래 방법.
  7. 블록체인을 기반의 유전자 정보 거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유전자 정보 가치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유전자 정보 가치 시스템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 각각의 사용자 별로 디지털 ID를 생성하여 부여하는 DID 생성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유전자 정보를 제공받으면, 제공된 유전자 정보를 하나의 헤더 정보와 하나의 시퀀스 정보가 결합된 형태로 변경시키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유전자 정보를 블록체인 상에 해당 사용자의 디지털 ID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제3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유전자 정보가 제공되면, 해당되는 유전자 정보를 제공한 디지털 ID에 대응하는 사용자에게 보상 가치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해당 사용자로부터 유전자 검사를 요청받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유전자 검사를 유전자 검사업체에 요청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정보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방식을 통해 획득되고,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획득된 유전자 정보를 전장 유전체 분석(Whole Genome Sequencing, WGS) 기술을 통해 분석하여 데이터화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데이터화된 유전자 정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해시 값을 생성하고, 상기 해시 값에 대응하는 개인 키를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의 디지털 ID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3자로부터 기 저장된 복수의 유전자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 정보를 요청받으면, 매칭된 디지털 ID를 은닉한 상태에서 요청된 유전자 정보를 상기 제3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유전자 정보의 제공에 따른 보상 가치를 결정하고, 책정된 보상 가치를 상기 유전자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가치는,
    제3자에 의해 이용된 상기 유전자 정보의 제공 횟수 또는 전체 유전자 정보의 제공 횟수 대비 상기 해당 유전자 정보의 제공 횟수의 비율에 따라 차등적으로 가치의 크기가 결정되는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
KR1020200122369A 2020-09-22 2020-09-22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3934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369A KR20220039349A (ko) 2020-09-22 2020-09-22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20/015441 WO2022065579A1 (ko) 2020-09-22 2020-11-06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369A KR20220039349A (ko) 2020-09-22 2020-09-22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349A true KR20220039349A (ko) 2022-03-29

Family

ID=80845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369A KR20220039349A (ko) 2020-09-22 2020-09-22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39349A (ko)
WO (1) WO20220655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319B1 (ko) * 2022-09-02 2023-05-26 주식회사 메디클라우드 블록체인 기반 유전자 정보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27191B (zh) * 2024-01-05 2024-03-22 北京泰尔英福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数字身份蜂窝模组的数据校验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729B1 (ko) * 2018-03-28 2018-10-04 주식회사 마크로젠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한 데이터 공유 방법
KR101946557B1 (ko) * 2018-05-15 2019-05-03 한국마필거래소(주)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유전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946555B1 (ko) * 2018-05-15 2019-05-03 한국마필거래소(주) 블록체인 기반의 유전자 정보 유통 방법 및 시스템
KR102111141B1 (ko) * 2018-07-10 2020-05-15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의료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료데이터 서비스 방법
KR102109885B1 (ko) * 2019-08-02 2020-05-12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블록체인 기반의 건강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319B1 (ko) * 2022-09-02 2023-05-26 주식회사 메디클라우드 블록체인 기반 유전자 정보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5579A1 (ko)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2266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owdsourcing, analyzing, and/or matching personal data
KR101893729B1 (ko)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한 데이터 공유 방법
CN109314641A (zh) 用于核实同态加密数据并对其执行操作的系统和方法
Akgün et al. Privacy preserving processing of genomic data: A survey
Johnson et al. Using global unique identifiers to link autism collections
US20130179176A1 (en) Computer implemented method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f a disease in a patient
US8335654B2 (en) Method of generating an identification element
US20150149362A1 (en) Encryption and Distribution of Health-related Data
US20190304578A1 (en) Omic data aggregation with data quality valuation
US20150161413A1 (en) Encryption and distribution of health-related data
Shamila et al. A review on several critical issues and challenges in IoT based e-healthcare system
KR20220039349A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 정보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JP4163622B2 (ja) 塩基配列に関する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KR20220068024A (ko) 인공지능 및 개인건강기록을 이용한 보험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147918A (zh) 预约匹配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WO20212113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 management and clustering of genomic, phenotype, and diagnostic data
WO2023085490A1 (ko) 블록체인의 nft를 이용한 바이오 데이터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JP7102910B2 (ja) 情報提示システム、情報提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13186B1 (ko) 개인 유전자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Tiwari et al. Blockchain-based transaction validation for patient interoperability in Healthcare 4.0
JP2009187198A (ja) 遺伝子診断サービスにおける情報管理システム
Omotosho et al. Securing e-prescription from medical identity theft using steganography and antiphishing techniques
Corte-Real et al. Blockchain technology in migrant and refugee health: A scoping review
Árnason Personal Identifiability in the Icelandic Health Sector Database', Refereed Article
JPWO2002073485A1 (ja) 医療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