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267A - 플라스틱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부품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267A
KR20220039267A KR1020200122199A KR20200122199A KR20220039267A KR 20220039267 A KR20220039267 A KR 20220039267A KR 1020200122199 A KR1020200122199 A KR 1020200122199A KR 20200122199 A KR20200122199 A KR 20200122199A KR 20220039267 A KR20220039267 A KR 20220039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based material
plastic case
thin film
film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철민
Original Assignee
광성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성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성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2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9267A/ko
Priority to PCT/KR2021/004181 priority patent/WO2022065615A1/ko
Publication of KR20220039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26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4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 C23C14/20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on organic subst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23C14/28Vacuum evaporation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23C14/30Vacuum evaporation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electron bombard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부품에 관한 것으로서, 플라스틱 복합재 및 기능성 필러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하우징; 및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박막 코팅;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부품 {PLASTIC CASE AND VEHICLE COMPONEN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라스틱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부품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 및 전기자동차의 수요 증가에 따라 자동차 내에 전자 제어 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 등의 부품이 증가하고 있다. 무인 혹은 자율 주행을 필두로 한 차량의 주행 편의성, 안전성을 기반으로 고성능 자동차 전장 부품을 다량 탑재하면서 자동차는 전자장치화 되어가고 있다.
차량 내에 집적되는 전장 부품이 소형화되며 집적화되면서 각 부품에서 방사되는 전자파에 의해 부품의 오작동 및 성능 저하 또는 안전사고 등에 대한 우려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전자파 차폐를 이용해 부품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반사 또는 흡수시켜 전자기기 고유의 성능을 오작동 없이 유지하고자 하며, 플라스틱 재료와 복합하여 경제성 있는 전자파 차폐제를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다.
한편, 전자기기의 집적화에 따른 방열 문제도 시급히 해결하여야 하는 과제에 해당한다. 소형화 및 집적화에 따라 각 부품에서의 발열을 최소화하여도 총 발생되는 열을 무시할 수 없으며, 이에 전자부품의 방열 소재도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라스틱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부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케이스는, 플라스틱 하우징 및 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박막 코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방열 또는 전자파 차폐 가능한 전자부품용 외장 하우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플라스틱 케이스는, 플라스틱 복합재 및 기능성 필러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하우징; 및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박막 코팅;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라스틱 복합재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변성 폴리페닐렌 에테르,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아세탈,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성 필러는, 흑연, 카본블랙, 팽창흑연,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탄소섬유, 질화붕소, 질화알루미늄, Ag, Cu, Al, Pt, Au, ITO, Cr, Zn, Sn, In, Mo, Ti, Pb, Nb, Fe2O3, 페라이트(Ferrite) 및 퍼멀로이(Permalloy)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라스틱 복합재 및 상기 기능성 필러는, 95 : 5 내지 50 : 50의 중량비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박막 코팅은, Ag, Cu, Al, Pt, Au, ITO, Cr, Zn, Sn, In, Mo, Ti, Pb, Nb 및 흑연계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박막 코팅은, Fe2O3, 페라이트(Ferrite) 및 퍼멀로이(Permalloy)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박막 코팅은, Ni, Fe, Co, SUS, Nb, Ni-Co계 물질, Fe-Ni계 물질, Fe-Cr계 물질, Fe-Al계 물질, Fe-Si계 물질, Fe-S-B계 물질, Fe-Si-B-Cu-Nb 계 물질, Mn-Zn계 물질, Ni-Zn계 물질, Ni-Co계 물질, Mg-Zn계 물질 및 Cu-Zn계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박막 코팅은, 그래파이트, 카본 블랙, 카본 파이버, 카본 나노 튜브(CNT), 그래핀 및 팽창 그래파이트(Expanded graphite)로 이루어진 탄소 계열 군 및 Ag, Cu, Al, Pt, Au, Cr, Zn, Sn, In, Mo, Ti, Pb 및 Nb로 이루어진 금속 계열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열 재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박막 코팅은, 0.5 ㎛ 내지 300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의 두께 대비 상기 박막 코팅의 두께는, 0.01 내지 0.5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은 단면을 기준으로 일 방향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차량 부품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플라스틱 케이스로 패키징된 차량 부품으로서, 상기 차량 부품은, 배터리, 전장 와이어, 전원 장치 및 전장부품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이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케이스는, 플라스틱 하우징 및 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박막 코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방열 또는 전자파 차폐 가능한 전자부품용 외장 하우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플라스틱 케이스는, 플라스틱 복합재 및 기능성 필러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하우징; 및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박막 코팅;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케이스는, 종래의 플라스틱 복합재료를 이용한 플라스틱 케이스에 비해 원가 경쟁력이 높고, 방열 및/또는 전자파 차폐가 가능한 것일 수 있다.
플라스틱 복합재료 및 플라스틱 복합재를 이용하여 전자부품용 플라스틱 하우징을 제조하는 경우, 기능성 필러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방열 또는 전자파 차폐 능력이 우수할 수 있으나, 제조 단가가 상승하고 기계적, 물리적 특성이 급격하게 낮아지는 거동을 보인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복합재 및 기능성 필러를 포함하는 종래의 플라스틱 하우징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라스틱 하우징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박막 코팅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케이스는 우수한 방열 또는 전자파 차폐 능력을 가지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박막 코팅은 플라스틱 하우징의 적어도 일 외표면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플라스틱 복합재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변성 폴리페닐렌 에테르,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아세탈,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기능성 필러는, 흑연, 카본블랙, 팽창흑연,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탄소섬유, 질화붕소, 질화알루미늄, Ag, Cu, Al, Pt, Au, ITO, Cr, Zn, Sn, In, Mo, Ti, Pb, Nb, Fe2O3, 페라이트(Ferrite) 및 퍼멀로이(Permalloy)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플라스틱 복합재 및 상기 기능성 필러는, 95 : 5 내지 50 : 50의 중량비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스틱 복합재 및 기능성 필러는, 바람직하게는, 90 : 10 내지 50 : 50, 90 : 10 내지 60 : 40, 80 : 20 내지 60 : 40 또는 80 : 20 내지 70 : 30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스틱 복합재의 중량이 기능성 필러의 중량보다 지나치게 많이 들어가는 경우 목적하는 방열 및/또는 전자파 차폐의 기능이 발휘될 수 없으며, 기능성 필러가 플라스틱 복합재에 비해 지나치게 많이 들어가는 경우 기능성 필러의 비용에 의해 전체 제조 단가가 상당히 증가하고 전체 플라스틱 하우징의 강성이 낮아지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박막 코팅은, Ag, Cu, Al, Pt, Au, ITO, Cr, Zn, Sn, In, Mo, Ti, Pb, Nb 및 흑연계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박막 코팅은, 전도성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전기전도성이 우수할수록 우수한 전자파 차폐능을 보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흑연계 물질로서는 그래파이트, 카본 블랙, 그래핀, 하드 카본, 소프트 카본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박막 코팅은, Fe2O3, 페라이트(Ferrite) 및 퍼멀로이(Permalloy)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박막 코팅은 산화철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전자파 차폐능이 우수한 것이 특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박막 코팅은, Ni, Fe, Co, SUS, Nb, Ni-Co계 물질, Fe-Ni계 물질, Fe-Cr계 물질, Fe-Al계 물질, Fe-Si계 물질, Fe-S-B계 물질, Fe-Si-B-Cu-Nb 계 물질, Mn-Zn계 물질, Ni-Zn계 물질, Ni-Co계 물질, Mg-Zn계 물질 및 Cu-Zn계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Ni, Fe, Co, SUS, Nb, Ni-Co계 물질, Fe-Ni계 물질, Fe-Cr계 물질, Fe-Al계 물질, Fe-Si계 물질, Fe-S-B계 물질, Fe-Si-B-Cu-Nb 계 물질, Mn-Zn계 물질, Ni-Zn계 물질, Ni-Co계 물질, Mg-Zn계 물질 및 Cu-Zn계 물질로 이루어진 군은 전기전도성이 우수하고 자성을 갖춘 물질로서 우수한 전자파 차폐능을 보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박막 코팅은, 그래파이트, 카본 블랙, 카본 파이버, 카본 나노 튜브(CNT), 그래핀 및 팽창 그래파이트(Expanded graphite)로 이루어진 탄소 계열 군 및 Ag, Cu, Al, Pt, Au, Cr, Zn, Sn, In, Mo, Ti, Pb 및 Nb로 이루어진 금속 계열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열 재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열 재료는 열 전도율이 높을수록 우수한 것인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케이스 역시 포함하고 있는 박막 코팅의 열 전도율이 높을수록 우수한 방열 성능을 보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박막 코팅은, 0.5 ㎛ 내지 300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박막 코팅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300 ㎛, 5 ㎛ 내지 300 ㎛, 10 ㎛ 내지 280 ㎛, 50 ㎛ 내지 250 ㎛ 또는 100 ㎛ 내지 250 ㎛인 것일 수 잇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박막 코팅의 두께가 0.5 ㎛보다 작은 경우 박막 코팅이 목적하는 전자파 차폐 또는 방열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박막 코팅의 두께가 너무 얇아 단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300 ㎛보다 두꺼운 경우 플라스틱 케이스의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의 두께 대비 상기 박막 코팅의 두께는, 0.01 내지 0.5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스틱 하우징의 두께 대비 박막 코팅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 또는 0.1 내지 0.4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스틱 하우징의 두께에 비해 박막 코팅의 두께는 1%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케이스의 목적하는 방열 또는 전자파 차폐능에 따라 플라스틱 하우징의 두께와 박막 코팅 두께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은 단면을 기준으로 일 방향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스틱 하우징의 일 방향이 개방되어 있어 전자부품을 덮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부품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케이스로 패키징된 것이고, 상기 차량 부품은, 배터리, 전장 와이어, 전원 장치 및 전장부품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플라스틱 복합재로서 폴리프로필렌 및 기능성 필러로서 흑연을 8 : 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플라스틱 하우징을 제조할 플라스틱을 제조하였다. 이를 600 ℃의 온도로 가열한 뒤 일 면이 개방된 플라스틱 하우징을 제조하였다.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 및 박막 코팅재로서 구리를 반응기에 장입한 뒤 상기 구리에 열을 가하며 전자빔을 가해 가열하여 증발 방식에 의해 물리적 기상 증착을 수행하였다. 30분 간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의 표면 상에 PVD를 통한 박막 코팅을 증착하여 플라스틱 케이스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플라스틱 복합재로서 폴리프로필렌 및 기능성 필러로서 흑연을 8 : 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플라스틱 하우징을 제조할 플라스틱을 제조하였다. 이를 600 ℃의 온도로 가열한 뒤 일 면이 개방된 플라스틱 케이스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플라스틱 케이스에 대하여 방열 기능 및 전자파 차폐 기능을 테스트하였다.
방열 기능의 테스트로서, Underwriters Laboratories의 난연성 테스트인 UL94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상기 테스트는 플라스틱 소재의 국제적인 가연성 안전 표준에 해당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케이스에 대하여 UL 94 테스트 반복 수행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수행 결과 1회 2회 3회 4회
연소 시간 42 s 51 s 48 s 46 s
상기 테스트에 따르면, UL 94 기준 상 V-0 등급 기준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상기 비교예에 따른 플라스틱 케이스에 대하여 UL 94 테스트 반복 수행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수행 결과 1회 2회 3회 4회
연소 시간 62 s 69 s 68 s 65 s
이를 종합하여 보면, 플라스틱 케이스의 방열 기능을 가지는 박막 코팅 여부에 따라 연소 시간이 약 30%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전자파 차폐 기능의 테스트로서, ASTM D 4935-10에 따라 전자파 차폐능을 시험하였다. ASTM D 4935-10은 평면재료의 차폐효과를 측정하는 표면 시험 방법에 해당한다.
상기 시험 수행 방법에 따르면, 전자파 차폐 물질 장착 전 후의 수신세기의 차이로 전자파 차폐 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따른 플라스틱 케이스에 대하여 전자파 세기를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주파수는 30 MHz에서 1,000 MHz 범위에서 조절하며 차단 성능을 측정하였고, 하기 표 3에는 최대 차단 성능, 최소 차단 성능 및 평균 차단 성능을 표시하였다.
최대 최소 평균
값[dB]
주파수[MHz] 값[dB] 주파수[MHz] 값[dB]
실시예 873 60.59 211 56.14 57
비교예 681 16.4 30 2.1 5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케이스는 평균 57 dB의 전자파 차단 성능을 보였으나, 비교예에 따른 플라스틱 케이스는 평균 5 dB만의 전자파 차단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플라스틱 복합재 및 기능성 필러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하우징; 및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박막 코팅;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복합재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변성 폴리페닐렌 에테르,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아세탈,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플라스틱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러는, 흑연, 카본블랙, 팽창흑연,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탄소섬유, 질화붕소, 질화알루미늄, Ag, Cu, Al, Pt, Au, ITO, Cr, Zn, Sn, In, Mo, Ti, Pb, Nb, Fe2O3, 페라이트(Ferrite) 및 퍼멀로이(Permalloy)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플라스틱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복합재 및 상기 기능성 필러는, 95 : 5 내지 50 : 50의 중량비를 가지는 것인,
    플라스틱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코팅은, Ag, Cu, Al, Pt, Au, ITO, Cr, Zn, Sn, In, Mo, Ti, Pb, Nb 및 흑연계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플라스틱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코팅은, Fe2O3, 페라이트(Ferrite) 및 퍼멀로이(Permalloy)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플라스틱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코팅은, Ni, Fe, Co, SUS, Nb, Ni-Co계 물질, Fe-Ni계 물질, Fe-Cr계 물질, Fe-Al계 물질, Fe-Si계 물질, Fe-S-B계 물질, Fe-Si-B-Cu-Nb 계 물질, Mn-Zn계 물질, Ni-Zn계 물질, Ni-Co계 물질, Mg-Zn계 물질 및 Cu-Zn계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플라스틱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코팅은, 그래파이트, 카본 블랙, 카본 파이버, 카본 나노 튜브(CNT), 그래핀 및 팽창 그래파이트(Expanded graphite)로 이루어진 탄소 계열 군 및 Ag, Cu, Al, Pt, Au, Cr, Zn, Sn, In, Mo, Ti, Pb 및 Nb로 이루어진 금속 계열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열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플라스틱 케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코팅은, 0.5 ㎛ 내지 300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인,
    플라스틱 케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의 두께 대비 상기 박막 코팅의 두께는, 0.01 내지 0.5인 것인,
    플라스틱 케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은 단면을 기준으로 일 방향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인,
    플라스틱 케이스.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플라스틱 케이스로 패키징된 차량 부품으로서,
    상기 차량 부품은, 배터리, 전장 와이어, 전원 장치 및 전장부품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것인,
    차량 부품.
KR1020200122199A 2020-09-22 2020-09-22 플라스틱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부품 KR20220039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199A KR20220039267A (ko) 2020-09-22 2020-09-22 플라스틱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부품
PCT/KR2021/004181 WO2022065615A1 (ko) 2020-09-22 2021-04-05 플라스틱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199A KR20220039267A (ko) 2020-09-22 2020-09-22 플라스틱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부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267A true KR20220039267A (ko) 2022-03-29

Family

ID=80846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199A KR20220039267A (ko) 2020-09-22 2020-09-22 플라스틱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부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39267A (ko)
WO (1) WO202206561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8390A (ja) * 1993-03-09 1994-09-22 Inoac Corp 電磁波遮蔽ケース
KR101337959B1 (ko) * 2012-03-19 2013-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파차폐용 복합재
KR20140058215A (ko) * 2012-11-06 2014-05-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기파 차폐형 하우징
KR102310727B1 (ko) * 2017-03-22 2021-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 차폐를 위한 하우징
KR102347760B1 (ko) * 2017-09-25 2022-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파 차폐용 열가소성 복합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5615A1 (ko)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7570B2 (en) Hybrid filler for electromagnetic shielding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hybrid filler
KR20190104131A (ko) 전자 차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10673269B2 (en) Magnetic field shielding unit
US20130240261A1 (en) Composite material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
US7887911B2 (en) Electromagnetic noise suppressor, article with electromagnetic noise suppressing function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KR20120017458A (ko) 전자기 차폐 물품
JPWO2005081609A1 (ja) 電磁波ノイズ抑制体、電磁波ノイズ抑制機能付構造体、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20150073621A (ko) 열전도성 접착층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단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N100388873C (zh) 电磁波噪声抑制体、具有电磁波噪声抑制功能的物品及其制造方法
KR101560570B1 (ko) 전자파 간섭 노이즈 차폐와 흡수, 방열 및 전기 절연 복합 시트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시트
JP2006037078A (ja) 難燃性磁性シート
KR20180062790A (ko) 전자파 간섭 노이즈 차폐와 흡수 및 방열 복합 시트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시트
KR20220039267A (ko) 플라스틱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부품
JP2005327853A (ja) 電磁波ノイズ抑制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244167A (ja) 電磁波障害防止材
JP4611699B2 (ja) 伝導ノイズ抑制体および伝導ノイズ対策方法
KR102275117B1 (ko) 방열 및 emi 차폐용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6810385B2 (ja) 電磁波シールドフィルム
US20200384531A1 (en) Composite magnetic material,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magnetic material
KR101948025B1 (ko) 근방계용 노이즈 억제 시트
JP2002329425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シールド材及びシールド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6179253A (ja) Esd抑制方法及び抑制構造
KR102521564B1 (ko) 방열 및 전자파 차폐 복합재료, 이를 구비하는 전자 소자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26501B1 (ko) 코팅이 형성된 메쉬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5236219A (ja) 複合磁性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