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165A - 실구매자의 리뷰를 인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구매자의 리뷰를 인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165A
KR20220039165A KR1020200121946A KR20200121946A KR20220039165A KR 20220039165 A KR20220039165 A KR 20220039165A KR 1020200121946 A KR1020200121946 A KR 1020200121946A KR 20200121946 A KR20200121946 A KR 20200121946A KR 20220039165 A KR20220039165 A KR 20220039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iew
information
user
management system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석
박균호
박세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덴트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덴트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덴트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00121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9165A/ko
Publication of KR20220039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리뷰 관리 시스템의 실구매자 리뷰를 인증하기 위한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제품에 대한 리뷰 정보를 포함하는 리뷰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리뷰 정보 메시지에 대한 제1 인증 정보 확보 여부를 기초로, 제2 인증 정보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 제2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품의 실구매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리뷰 정보가 실구매자에 의해 작성되었음을 표시하는 인증 표시를 상기 리뷰 정보에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증 정보는, 상기 리뷰 관리 시스템에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로그 데이터에 기반하여 확인 가능한 사용자의 구매 이력 관련 정보로서, 상기 리뷰 관리 시스템에 연결된 특정 서버로 전송된 정보에 상응하는 정보이며, 상기 인증 표시는 잠재 소비자가 방문하는 온라인 페이지의 리뷰에 부여될 수 있다.

Description

실구매자의 리뷰를 인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METHOD FOR VERIFYING REVIEWS OF REAL PURCHASER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리뷰 인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리뷰의 작성자가 제품의 실구매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 표시를 부여하는 실구매자 리뷰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통 시장에서 소비자들의 구매 결정이 지인들의 추천이나 입소문에 의존하던 경향은 온라인 시장에서 타인의 사용 후기, 즉 온라인 리뷰(online review)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시장 환경에서 소비자는 제품을 직접 확인하지 못하는 특성 상 판매자가 기재한 제품 정보 외에도 상품 페이지에 업로드 된 타 소비자들의 리뷰를 기초로 하여 구매 결정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타 소비자들의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리뷰는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자극하고, 긍정적인 리뷰가 구매를 유도하는 효과는 매우 높다. 이에 따라 상품 구매 페이지에 다수의 좋은 상품평을 조작함으로써 상품 구매율을 높이는 마케팅도 성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실제로 제품을 구매하지도 않은 자가 리뷰를 작성함으로써, 상품에 대한 평을 조작하는 경우 등이 있다.
이러한 환경은 실제 사용자가 상품에 대한 자신의 솔직한 소감을 공유할 기회를 일부 박탈하고 있고, 오히려 소비자들이 실제 사용자의 리뷰가 아닌 광고성 리뷰에 더 자주 노출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제품의 리뷰가 제품의 실구매자에 의해 작성된 리뷰인지 확인하고, 소비자들에게 실구매자에 의한 리뷰의 작성 여부 정보를 확인시키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일차적으로 서버 자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리뷰 작성자의 실구매자 인증을 위한 정보를 확인하고, 외부의 서버에 리뷰 작성자의 실구매자 인증을 위한 추가적인 정보를 요청함으로써, 리뷰 작성자의 실구매자 여부를 확인하는 실구매자 리뷰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구매자 리뷰 인증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제품에 대한 리뷰 정보를 포함하는 리뷰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리뷰 정보 메시지의 제1 인증 정보 포함 여부를 기초로, 제2 인증 정보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 제2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품의 실구매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리뷰 정보가 실구매자에 의해 작성되었음을 표시하는 인증 표시를 상기 리뷰 정보에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인증 정보는, 상기 리뷰 관리 시스템에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로그 데이터에 기반하여 확인 가능한 사용자의 구매 이력 관련 정보로서, 상기 리뷰 관리 시스템에 연결된 특정 서버로 전송된 정보에 상응하는 정보이며, 상기 인증 표시는 잠재 소비자가 방문하는 온라인 페이지의 리뷰에 부여될 수 있다. 상기 로그 데이터는 웹 로그 데이터 뿐 아니라 리뷰 관리 시스템에 기 저장된 구매 이력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뷰 관리 시스템의 실구매자 리뷰 인증 방법은, 상기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요청 부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부호를 상기 특정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인증 정보는, 상기 요청 부호에 상응하는 식별 지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뷰 정보 메시지가 상기 특정 서버로부터 전송된 경우, 상기 리뷰 정보 메시지는, 상기 제1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인증 정보는, 상기 제품의 배송 내역 정보; 상기 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사용자의 결제 내역 정보; 및 상기 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사용자의 구매 내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리뷰 관리 시스템의 실구매자 리뷰 인증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품의 실사용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인증 정보와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실사용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본 개시의 양태들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 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리뷰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구매 내역 정보 등을 기초로, 리뷰가 제품의 실구매자에 의해 작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리뷰 관리 시스템은 실구매자에 의해 작성되었음이 인증된 리뷰에 인증 표시를 부여함으로써, 리뷰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기반 리뷰 관리 시스템과 외부 장치들 간의 상호작용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기반 리뷰 관리 시스템이 작동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기반 리뷰 관리 시스템의 각 모듈을 구분한 도면이다.
도 4는 리뷰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메신저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과 데이터를 주고 받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리뷰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의 실구매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리뷰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의 실구매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메신저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과 데이터를 주고 받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리뷰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의 실구매자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리뷰 관리 시스템에 의해 부여된 인증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리뷰의 게재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리뷰 관리 시스템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리뷰 관리 시스템은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기반 리뷰 관리 시스템과 외부 장치들 간의 상호작용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사용자 단말기(100), 적어도 하나의 판매 서버(4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해 상호작용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판매 서버(400)에서 상품을 구매하고, 물품을 수령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리뷰 관리 시스템(300)에 의해 관리되는 챗봇에 의해 제공되는 메신저의 채널을 통해 상기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리뷰를 업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이란, 사용자와 리뷰 관리자가 서로 채팅할 수 있도록 메신저 서버(700)가 개설한 공간으로서, 적어도 채팅방을 포함하고, 넓게는 상기 메신저 서버(700)에 두 주체의 대화를 위해 할당된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리뷰 관리 시스템(300) 또는 상기 리뷰 관리 시스템(300)에 의해 제공되는 챗봇은 메신저 서버(700)에 사용자와의 채널 개설을 요청하고, 상기 메신저 서버는 사용자와 챗봇 사이에 대화 채널을 개설한다. 상기 챗봇은 상기 사용자가 식별되면 복수의 쇼핑몰에서의 다양한 상품에 대한 구매 이력을 조회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사용자는 배송 완료된 상품 중 적어도 일부의 상품을 선택하여 채널에 리뷰를 업로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과거의 구매이력을 확인할 수 있게 되고, 과거에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리뷰를 업로드 하거나 재구매를 실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제휴된 쇼핑몰 서버인 다수의 판매 서버(400)들로부터 상품 주문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에 상품을 주문하여 상품이 출고된 경우,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상기 판매 서버(400)로부터 상기 상품 주문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고, 상기 판매 서버(400) 또는 별도의 배송 정보 서버(800)로부터 배송 완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에서 상품은 재화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므로, 상품이 용역이나 배달 음식 등인 경우에는 통상의 기술자는 리뷰 관리 시스템(300)이 배송 정보 서버(800)로부터 서비스 수행 완료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상기 상품 주문 정보는 주문자 성명, 배송지 정보, 주문 번호, 상품을 구매한 쇼핑몰 이름, 호스팅 업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기반 리뷰 관리 시스템이 작동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쇼핑몰의 상품 페이지에서 상품을 주문한다. 상기 쇼핑몰의 서버, 즉 판매 서버(400)는 다수의 제휴 쇼핑몰 판매 서버들 중 하나로서 리뷰 관리 시스템(300)에 상품 주문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상기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배송 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배송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리뷰 관리 시스템(300) 또는 상기 리뷰 관리 시스템(300)에 의해 제공되는 챗봇은 메신저 서버(700)에 채널 개설을 요청한다. 챗봇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메신저를 통해 리뷰 업로드를 요청하는 메세지를 사용자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채널에 간편하게 리뷰를 업로드 할 수 있다.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이와 같이 업로드 된 리뷰들을 리뷰 페이지(600)에 게재할 수 있고, 상기 리뷰 페이지(600)는 다양한 소비자들의 경험이 담긴 제1 리뷰(610), 제2 리뷰(620) 및 제3 리뷰(630) 등 수많은 리뷰들이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리뷰 관리 시스템(300)과 하나의 판매 서버(400)는 동일한 주체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쇼핑몰 업체가 자체 서버를 보유하고, 상기 리뷰 관리 시스템(300)을 도입하여 상기 자체 서버에서 운영하는 경우, 쇼핑몰 업체는 자사 쇼핑몰 고객들에게 직접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리뷰 관리 시스템(300)과 다수의 판매 서버(400)는 서로 다른 주체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도 2에서, 상기 리뷰 페이지(600)는 위젯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리뷰 관리 시스템(300)과 제휴된 각 쇼핑몰의 각 상품에 매칭되어 소비자들에게 노출된다.
상기 리뷰 페이지(600)는 리뷰 관리 시스템(300)에 의해 만들어지고 운영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리뷰 페이지 전담 운영사 또는 쇼핑몰에 의해 만들어지고 운영될 수도 있다.
상기 리뷰 페이지(600)에 표시된 제1 리뷰(610), 제2 리뷰(620) 및 제3 리뷰(630)는 각각 동영상, 문자,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리뷰(610)는 제1 사용자의 경험이고, 상기 제2 리뷰(620)는 제2 사용자의 경험이고, 상기 제3 리뷰(630)는 제3 사용자의 경험일 수 있다.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출고된 상품의 배송이 완료되면 배송 완료를 확인한 후 사전 설정된 기간이 지나면 챗봇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와의 메신저 채널을 개설할 수 있다. 상기 사전 설정된 기간이란, 배송이 완료된 즉시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배송 완료 후 분, 시간(hour), 일 단위의 시간(time)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가 상기 채널에 접속하는 경우,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사용자를 식별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품 주문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상기 상품 주문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판매 서버(400), 바람직하게는 다양한 쇼핑몰의 서버들로부터 실시간 전송받은 정보로서, 주문자 성명, 상품명, 쇼핑몰 이름, 배송지 정보, 주문번호, 호스팅 업체명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1명의 사용자가 구매한 다양한 상품들의 출처가 어느 쇼핑몰이든, 언제 구매하였든 관계없이, 그것이 리뷰 관리 시스템(300)과 제휴된 쇼핑몰에서 구매한 상품이라면 상기 리뷰 관리 시스템(300)이 조회할 수 있다.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조회한 상품 주문 정보 및 과거에 배송 완료된 상품들에 관한 주문 정보들을 조회하고, 상품들에 관한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에 챗봇을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상품들에 관한 리스트 중 적어도 일부의 상품을 선택하여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채널에 직접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상기 채널에 업로드 된 리뷰를 메신저 서버(700)로부터 전송받아 리뷰 페이지에 게재할 수 있고, 상기 리뷰 페이지에 게재된 리뷰가 적어도 하나의 판매 서버(400)를 운영하는 쇼핑몰의 해당 상품 페이지에 노출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 서버(400)와 리뷰 페이지를 연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리뷰 페이지(600)는 위젯 형태로 각 쇼핑몰의 상품 페이지 일부에 제공될 수 있고, 리뷰 관리 시스템(300)에 의해 제작, 운영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기반 리뷰 관리 시스템의 각 모듈을 구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정보 수신부(310), 생성부(320), 확인부(330), 챗봇 실행부(340) 및 리뷰 게재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판매 서버(400)로부터 사용자의 상품 구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신부(310)는 실시간으로 판매 서버(400)들로부터 새로운 상품 구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310)가 제1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정보를 수신하면,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상기 사용자가 구매했던 제2 상품, 제3 상품 등 제n 상품까지 모두 조회할 수 있다. 즉, 정보 수신부(310)가 제1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정보를 수신하면,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상기 사용자가 구매했던 상품들의 구매처인 쇼핑몰들에서 상기 사용자가 구매했던 이력들을 모두 조회할 수 있다. 과거 구매 이력에 대한 정보 조회는 제1 상품의 구매 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리뷰 관리 시스템(300)과 적어도 하나의 판매 서버(400) 간 소통이 실시간이므로 제1 상품의 구매 이전에 미리 조회되어 리뷰 관리 시스템(300)이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가 다시 조회될 수도 있다.
생성부(320)는 상기 상품 구매 정보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면 사용자와의 채널 개설을 요청할 수 있고, 필요한 요청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온라인 메신저 중 사용자 ID를 난수 처리하여 전송하는 메신저의 경우, 채널 개설 시에는 사용자의 전화번호나 사용자 ID를 활용하여 메신저 서버(700)에 채널 개설을 요청하였더라도 채널이 개설되면서부터는 사용자 ID가 난수화되어 전달되므로 리뷰 관리 시스템(300) 측 관리자로서는 상대방이 누군지 특정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기반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상기 생성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부(320)는 사용자를 특정하는 요청 부호(query sign) 및 상기 요청 부호에 대응하는 식별 지표(identification indicator)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요청 부호 및 식별 지표의 활용에 대하여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확인부(330)는 구매된 상품의 배송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확인부(330)는 운송장 번호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배송 상태를 조회하거나, 배송 정보 서버(800)로부터 직접 '배송 완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배송 정보 서버(800)는 별도의 서버일 수도 있으나, 상기 리뷰 관리 시스템(300)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챗봇 실행부(340)는 배송 완료가 확인된 후, 사전 설정된 기간이 지나면 챗봇이 사용자와의 채널을 개설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상기 사전 설정된 기간은 배송 완료 후 즉시 거나 일정 시간 후일 수도 있다.
챗봇 실행부(340)는 상기 확인부가 배송 완료를 확인한 후 사전 설정된 기간이 지나면 챗봇이 사용자 단말기의 채널에 상기 요청 부호 및 식별 지표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식별 지표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챗봇 실행부(340)는 상기 확인부(330)가 배송 완료를 확인하면 상기 요청 부호를 포함하는 알림 메세지를 상기 채널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챗봇 실행부(340)는 상기 알림 메세지가 상기 채널로 전송된 후 채널에 사용자의 메세지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의 메세지에 상기 식별 지표를 포함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챗봇 실행부(340)는 사용자 정보 또는 식별 지표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상품 주문 정보 중 배송이 완료된 상품 리스트를 상기 채널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고객이 B, C, D 및 E 쇼핑몰에서 각각 가, 나, 다 및 라 상품을 구매하고 모든 상품의 배송이 완료되었다면, 상기 챗봇 실행부(340)가 상기 모든 상품을 리스트로 보여줄 수 있다. 또한, A 고객은 자신이 어떤 상품을 리뷰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고, 과거에 구매한 상품들에 대하여 어느 쇼핑몰에서 구매하였더라도 상기 채널 한 곳에서 리뷰 선택을 결정하고, 리뷰를 업로드할 수 있으므로, A 고객의 리뷰 업로드 빈도는 상승한다.
도 4는 리뷰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메신저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과 데이터를 주고 받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메신저 서버(700) 및 사용자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리뷰 관리 시스템 관리자는 사용자 ID나 전화번호 등의 일반적 연결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리뷰 업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는 이용해 적어도 하나의 판매 서버(400)를 갖는 쇼핑몰에 제1 상품과 제2 상품을 구매하면 쇼핑몰에서 상품을 출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 서버는 상품 주문 정보를 리뷰 관리 시스템(300)으로 전송한다.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사전에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고유키(K) 기반 채널 개설 요청을 할 수 있다(S100). 일 실시예에서, 챗봇이 실행되는 메신저는 사용자 ID를 난수화 하는 경우가 있다. 즉,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사용자와 무관한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임의의 문자열을 식별값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사용자 ID와 같은 공개된 고유키(K)를 기반으로 대화 채널을 개설해 줄 것을 메신저 서버(700)에 요청할 수 있다(S100). 이는 모든 메신저에 적용될 수 있는 과정이다.
그런데 메신저 서버(700)가 사용자 고유키(K)를 임의의 식별값으로 변경하여 리턴하고 채널을 개설(S600)하는 경우에는 리뷰 관리 시스템(300) 관리자 또는 해당 시스템이 사용자를 특정할 수 없다. 사용자를 특정할 수 없으면 개인화된 구매 정보를 기반으로 리뷰 업로드 요청을 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챗봇 기반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사전에 사용자에 대응하는 요청 부호(Q) 및 식별 지표(I)를 생성하여 사용자 고유키(K) 기반 채널 개설 요청을 함(S100)과 동시에 요청 부호(Q)가 포함된 리뷰 요청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S200).
일 실시예에서,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상기 채널 개설 요청 단계(S100) 및 리뷰 요청 메세지 전송 단계(S200)와 동시에 '리뷰 요청 승인 수단의 삽입'을 요청할 수 있다. 즉,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리뷰 요청 메세지를 전송하면서, 상기 리뷰 요청 메세지에 승인을 요청하는 옵션 사항을 메시지와 함께 출력하도록 메신저 서버(700)에 요청할 수 있다.
리뷰 관리 시스템(300)이 메세지 내에 삽입하기를 요청하는 상기 승인 버튼은 승인 버튼의 클릭과 함께 사용자의 메세지를 자동으로 출력하되, 식별 지표(I)를 상기 메세지 내에 포함하여 출력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메신저 서버(700)는 사용자와 리뷰 관리 시스템(300) 간의 채널을 개설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리뷰 요청 메세지를 전송(출력)할 수 있고(S400), 사용자는 상기 채널 내에서 리뷰 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S500).
사용자가 리뷰 요청을 승인하면(S500)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리뷰 업로드가 가능한 구매 상품들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는 리뷰할 상품을 간단히 선택하여(예를 들어, 터치 또는 클릭) 리뷰 영상이나 텍스트 등을 업로드할 수 있다.
사용자 키값에 대하여 난수화를 수행하는 메신저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리뷰 요청을 승인하면(S500) 메신저 서버(700)는 리뷰 관리 시스템(300)에게 난수화 된 사용자 키값을 리턴하고, 상기 채널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S600). 상기 메신저 서버(700)는 이후 사용자의 첫 메세지에 식별 지표(I)를 포함하여 출력할 수 있다.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사용자의 첫 메세지에 식별 지표(I)가 출력되어 있으므로 사전에 저장된 사용자 - 요청 부호(Q) - 식별 지표(I) 간의 관계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채널 내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누군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구매 상품들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는 리뷰할 상품을 간단히 선택하여(예를 들어, 터치 또는 클릭) 리뷰 영상이나 텍스트 등을 업로드할 수 있다.
개인정보의 보호 또는 보안 강화 측면에서 일부 메신저들의 경우 점점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값을 공유하지 않는 추세 속에서, 상기 식별 지표(I)를 사용자 메세지에 삽입하는 방식을 택함으로써, 해당 채널에서는 사용자가 누군지 정확히 식별이 가능하고,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키값에 대하여 난수화를 수행하지 않는 메신저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난수화 된 사용자 키값을 리턴하는 과정이 실시되지 않을 것이므로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사용자를 특정하는데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 따라서, 리뷰 관리 시스템(300)이 요청 부호(Q)를 전송하고 식별 지표(I)를 포함하는 사용자 메세지를 출력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순한 텍스트의 리뷰 요청 문구가 사용되기만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리뷰 관리 시스템(300)이 전송하는 리뷰 요청 메세지에 리뷰 요청 승인 수단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 도 6의 리뷰 요청 승인 수단 삽입 요청 단계(S300)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리뷰 업로드 가능한 구매 상품 리스트 전송 단계(S800)는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사용자가 업로드 하는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어느 상품에 해당하는 리뷰인지 분류하여 리뷰 페이지(6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구매 상품 리스트를 전송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는 리뷰를 올릴 상품을 선택하는 과정이 없이 리뷰 자료를 올리게 될 것이다.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도 4에 도시된 동작을 수행하여, 요청 부호 및 식별 지표를 송수신함으로써, 일차적으로 사용자의 리뷰 대상 제품 구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식별 지표를 포함하지 않는 리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리뷰 정보가 실구매자에 의해 작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식별 지표를 포함하는 제1 인증 정보를 확보하지 못한 경우, 별도의 제2 인증 정보를 확보하여, 리뷰 정보가 실구매자에 의해 작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인증 정보를 확보하고, 리뷰 정보가 실구매자에 의해 작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리뷰 관리 시스템의 동작은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5는 리뷰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의 실구매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1100 단계에서, 리뷰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제품에 대한 리뷰 정보를 포함하는 리뷰 정보 메시지를 수신한다. 리뷰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직접 리뷰 정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리뷰 관리 시스템은 연결된 메신저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리뷰 정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S1200 단계에서, 리뷰 관리 시스템은 리뷰 정보 메시지의 수신 결과를 기초로 별도의 인증 정보의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리뷰 관리 시스템은 리뷰 정보 메시지의 제1 인증 정보 포함 여부를 기초로, 별도의 인증 정보의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인증 정보는 요청 부호에 대한 식별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뷰 정보 메시지가 제1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리뷰 관리 시스템은 리뷰 정보에 인증 표시를 부여할 수 있다.
리뷰 정보 메시지가 제1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리뷰를 업로드한 사용자는 실구매자임이 이미 확인된 것으로, 별도의 판단 과정을 거치지 않고 리뷰에 인증 표시를 부여할 수 있다(S1600-1).
반면, 리뷰 정보 메시지가 제1 인증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해당 리뷰가 실구매자로부터 작성된 것인지 알 수 없으므로, S1300 단계에서, 리뷰 관리 시스템은 인증 표시를 부여하지 않고, 외부 서버에 별도의 인증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제2 인증 정보를 요청한 리뷰 관리 시스템은 S1400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부터 별도의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리뷰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부터 제1 인증 정보와 상이한 제2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구매 활동 정보 및 사용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1500 단계에서, 리뷰 관리 시스템은 제2 인증 정보를 기초로, 리뷰 정보 작성자의 제품의 실구매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리뷰 관리 시스템은 제2 인증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구매 활동 정보와 리뷰 정보의 매칭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제품 실구매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리뷰 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의 제품 실구매자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후술된다.
제품의 실구매자 여부 판단 결과, 리뷰 정보의 작성자가 제품의 실구매자라고 판단한 경우, S1600-1 단계에서, 리뷰 관리 시스템은 인증 표시를 리뷰 정보에 부여할 수 있다. 반면, 제품의 실구매자 여부 판단 결과, 리뷰 정보의 작성자가 제품의 실구매자 이외의 자라고 판단한 경우, S1600-2 단계에서, 리뷰 관리 시스템은 인증 표시를 리뷰 정보에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리뷰 관리 시스템(300)이 사용자의 실구매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100) 및 외부 서버(900)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사용자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리뷰 정보를 획득하고, 외부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사용자의 실구매자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리뷰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제품의 리뷰 및 리뷰에 관련된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품의 리뷰는 동영상, 문자,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리뷰에 관련된 데이터들은 리뷰 작성자, 리뷰 작성 대상 제품, 리뷰 작성 시간 등과 같이 리뷰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제1 인증 루트(R1)를 통해, 일차적으로 사용자의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리뷰 관리 시스템(300) 관리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요청 부호 및 식별 지표를 송수신하여 사용자의 제품 구매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식별 지표는 요청 부호에 대응되는 정보이며, 사용자를 특정하도록 사전 결정된 정보로서, 요청 부호와 동일할 수 있으나 요청 부호와 다르더라도 요청 부호와 식별 지표가 다르더라도 대응되는 정보만 있다면 해당 식별 지표로 사전 지정된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다. 리뷰 관리 시스템(300) 관리자는 도 4의 S100 내지 S800 절차를 수행하여, 사용자의 실구매자 여부를 일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복수의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통해 리뷰 관리 시스템(300)에게 리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900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개설된 리뷰 관리 시스템(300)과의 채널을 통해 리뷰 관리 시스템(300)에게 리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개설된 리뷰 관리 시스템(300)과의 채널을 통해 리뷰 관리 시스템(300)에게 리뷰 정보를 전송하는 경로를 제1 업로드 경로로 지칭한다.
또는 S1100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리뷰 관리 시스템(300)과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리뷰 관리 시스템(300)에게 직접 리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리뷰 관리 시스템(300)에게 직접 리뷰 정보를 전송하는 경로를 제2 업로드 경로로 지칭한다.
즉,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1 업로드 경로 또는 제2 업로드 경로를 통해 리뷰 관리 시스템(300)에게 리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업로드 경로를 통해 수신한 리뷰 정보가 실구매자에 의해 작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제2 인증 루트(R2)를 통해 실구매자에 의한 리뷰 정보 작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1200 단계에서,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리뷰 정보가 실구매자에 의해 작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리뷰 정보의 업로드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S1200 단계에서,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리뷰 정보의 업로드 경로 및 식별 지표의 확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리뷰 정보가 제1 업로드 경로를 통해 전송된 경우,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식별 지표를 확보하여 특정 사용자가 어떤 상품을 구매하였는지 파악하기 용이해진다. 즉, 리뷰 정보가 제1 업로드 경로를 통해 전송된 경우, 리뷰 관리 시스템(300)의 서버에 저장된 로그 데이터를 확인하면 손쉽게 특정 사용자의 구매 이력을 조회할 수 있다. 반면, 리뷰 정보가 제2 업로드 경로를 통해 전송되었으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식별 지표를 확보하지 않은 경우,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별도의 인증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실구매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1300 단계에서,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리뷰 정보가 실구매자에 의해 작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추가적인 인증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리뷰 관리 시스템(300)에 의해 요청되는 추가적인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구매 활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외부 서버에 사용자의 구매 활동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구매 활동 정보는 제품의 배송 내역 정보, 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사용자의 결제 내역 정보, 및 사용자의 구매 내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물류 회사 서버(910)에 제품의 배송 내역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PG(payment gateway)사 서버(920)에 사용자의 결제 내역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쇼핑 업체 서버에 사용자의 구매 내역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S1400 단계에서,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물류 회사 서버(910)로부터 제품의 배송 내역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PG사 서버(920)로부터 사용자의 결제 내역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판매 서버(930)로부터 사용자의 구매 내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인증 정보는 상기 구매 활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1500 단계에서,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리뷰 정보를 작성한 사용자가 제품의 실구매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한 추가적인 인증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제품의 실구매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사용자가 리뷰 관리 시스템(300)과 연계된 리뷰 전문 웹 페이지에 리뷰 콘텐츠를 업로드했을 때, 리뷰 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제1 인증 루트(R1)를 통하지 않고 업로드 된 A 사용자의 리뷰에 대하여 인증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인증 정보를 필요로 한다.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임의로 A 사용자의 리뷰 콘텐츠가 실구매자의 리뷰인지 인증할 수도 있으나 그 사용자 스스로 자신의 리뷰가 실구매에 기반한다는 것을 인증해달라고 리뷰 관리 시스템(300)에 요청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사전에 결정된 별도의 인증 정보를 획득하여 A 사용자가 제품의 실구매자인지 아닌지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리뷰 정보의 작성자의 제품의 실구매자인지 여부를 확인함에 있어, 획득한 정보들 간의 우선순위에 따라 추가적인 인증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순차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우선적으로 판매 서버(930)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구매 내역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리뷰 정보의 작성자의 제품의 실구매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의 구매 내역 정보와 사용자 정보의 비교 결과에도 불구하고, 리뷰 정보의 작성자의 제품의 실구매자인지 여부를 확인하지 못한 경우,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제품의 배송 내역 정보 및 결제 내역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리뷰 정보의 작성자의 제품의 실구매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리뷰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의 실구매자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1510 단계에서, 리뷰 관리 시스템은 구매 활동 정보들 중 하나 이상의 구매 활동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리뷰 관리 시스템은 물류 회사 서버로부터 획득한 제품의 배송 내역 정보, PG사 서버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결제 내역 정보, 및 판매 서버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구매 내역 정보 중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가 사용자의 결제 내역 정보, 배송 내역 정보, 및 구매 내역 정보 순서로 설정된 경우, 리뷰 관리 시스템은 우선 순위에 따라 사용자의 결제 내역 정보를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 정보가 더 필요한 경우, 리뷰 관리 시스템은 이후의 우선순위에 따라서, 추가적인 구매 내역 정보를 더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S1520 단계에서, 리뷰 관리 시스템은 선택된 구매 활동 정보 및 리뷰 제품 정보 간의 매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리뷰 관리 시스템은 제품의 결제, 배송 및 구매 대상의 제품 정보와 리뷰 작성 대상의 제품 정보의 매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리뷰 작성 대상 제품이 결제된 제품, 배송된 제품 또는 구매된 제품인 경우, 리뷰 관리 시스템은 제품의 결제, 배송 대상의 제품 정보, 및 구매 대상 제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제품 정보와 리뷰 작성 대상의 제품 정보가 매칭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리뷰가 실구매자에 의해 작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뷰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의 결제 내역 정보를 선택한 경우, 리뷰 관리 시스템은 결제 대상 제품과 리뷰 작성 대상 제품을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결제 대상 제품과 리뷰 작성 대상 제품이 일치하는 경우, 리뷰 관리 시스템은 해당 리뷰가 실구매자에 의해 작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리뷰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의 실구매자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 있어, 도 7에 설명된 단계 중 적어도 일부의 단계가 생략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S1600 단계에서,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사용자의 제품의 실구매자 여부의 판단 결과를 기초로 리뷰 정보에 인증 표시 부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인증 표시는 리뷰 정보의 작성자가 제품의 실구매자임이 확인되었음을 지시할 수 있다. 리뷰 관리 시스템(300)에 의한 추가적인 인증 정보와 사용자 정보의 비교 결과, 사용자가 제품의 실구매자임이 확인된 경우,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리뷰 정보에 인증 표시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미리 확보한 실구매자에 의해 작성된 리뷰 정보들의 풀에 획득한 리뷰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반면, 리뷰 관리 시스템(300)에 의한 추가적인 인증 정보와 사용자 정보의 비교 결과, 사용자가 제품의 실구매자임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리뷰 정보에 인증 표시를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리뷰 정보를 외부 서버(900) 중 판매처의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즉,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리뷰 작성자의 제품 실구매자 여부 확인 결과를 기초로 부여된 인증 표시를 포함하는 리뷰 정보를 판매처의 서버에 전달하고, 리뷰 정보를 게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리뷰 대상 제품의 기존 판매 내역을 기초로 제품의 주소비자층이 방문할 것으로 예측되는 판매처의 서버에 리뷰 정보를 전달하고 게재할 수 있다.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리뷰 대상 제품과 관련된 제품의 주소비자층이 방문할 것으로 예측되는 판매처의 서버에 리뷰 정보를 전달하고 게재할 수 있다. 따라서, 리뷰 관리 시스템(300)은 제품에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판매처의 서버에 리뷰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리뷰의 노출도를 높일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리뷰 관리 시스템에 의해 부여된 인증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리뷰의 게재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리뷰 시스템에 의해 게재된 리뷰는 웹페이지의 일부에 출력될 수 있다. 제품 구매 페이지(811)는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제품 구매 페이지의 일부(812)에는 리뷰 정보들(812-1, 812-2, 812-3, 812-4)이 출력될 수 있으며, 리뷰 정보들 중 일부 리뷰는 리뷰 시스템에 의해 게재된 리뷰일 수 있다. 리뷰 정보들(812-1, 812-2, 812-3, 812-4) 중 일부 리뷰들(예를 들어, 812-1, 812-4 등)은 실구매자에 의해 작성된 리뷰일 수 있다. 실구매자에 의해 작성되었음이 인증된 리뷰들(예를 들어, 812-1, 812-4 등)은 인증 표시(812-1a, 812-4a)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리뷰 시스템에 의해 게재된 리뷰를 선택할 수 있으며, 판매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로 하여금 선택된 리뷰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리뷰 정보들 중 하나의 리뷰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제품의 선택한 리뷰 및 리뷰 관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뷰는 동영상 형태의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미지, 텍스트 및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형태의 정보일 수 있음을 자명할 것이다. 리뷰 관련 정보는 리뷰의 작성자, 작성 일자, 리뷰의 제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리뷰에 부여된 인증 표시(821a)는 제품의 리뷰(821)와 같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표시(821a)는 리뷰(821)에 워터마크 형태로 삽입되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워터마크 형태의 인증 표시를 더 포함하는 리뷰를 확인할 수 있다. 인증 표시는 텍스트, 도형, 부호 등의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리뷰에 부여된 인증 표시(822a)는 리뷰 관련 정보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표시(822a)는 리뷰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822)에 텍스트 등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리뷰 관리 시스템의 실구매자 리뷰 인증 방법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제품에 대한 리뷰 정보를 포함하는 리뷰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리뷰 정보 메시지에 대한 제1 인증 정보 확보 여부를 기초로, 제2 인증 정보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 제2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품의 실구매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리뷰 정보가 실구매자에 의해 작성되었음을 표시하는 인증 표시를 상기 리뷰 정보에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증 정보는,
    상기 리뷰 관리 시스템에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로그 데이터에 기반하여 확인 가능한 사용자의 구매 이력 관련 정보로서, 상기 리뷰 관리 시스템에 연결된 특정 서버로 전송된 정보에 상응하는 정보이며,
    상기 인증 표시는 잠재 소비자가 방문하는 온라인 페이지의 리뷰에 부여될 수 있는,
    실구매자 리뷰 인증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
    상기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요청 부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부호를 상기 특정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증 정보는, 상기 요청 부호에 상응하는 식별 지표를 포함하는,
    실구매자 리뷰 인증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
    상기 리뷰 정보 메시지가 상기 특정 서버로부터 전송된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인증 정보를 확보한 것으로 판단하는,
    실구매자 리뷰 인증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
    상기 제2 인증 정보는,
    상기 제품의 배송 내역 정보;
    상기 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사용자의 결제 내역 정보; 및
    상기 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사용자의 구매 내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실구매자 리뷰 인증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품의 실사용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인증 정보와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실사용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인,
    실구매자 리뷰 인증 방법.
KR1020200121946A 2020-09-22 2020-09-22 실구매자의 리뷰를 인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39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946A KR20220039165A (ko) 2020-09-22 2020-09-22 실구매자의 리뷰를 인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946A KR20220039165A (ko) 2020-09-22 2020-09-22 실구매자의 리뷰를 인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165A true KR20220039165A (ko) 2022-03-29

Family

ID=80995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946A KR20220039165A (ko) 2020-09-22 2020-09-22 실구매자의 리뷰를 인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91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10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product development
US20200219152A1 (en) Systems for Integrating Online Reviews with Point of Sale (POS) OR EPOS (Electronic Point of Sale) System
JP5160860B2 (ja) 購買業務システム、購買業務処理方法、および購買業務処理プログラム
JP6780202B2 (ja) Snsの絵記号を利用した顧客サポートシステム、管理サーバ、管理方法
CN110533445B (zh) 利用熟人的商品购买经历及关注的商品、使用评价的商品销售系统
US20160357876A1 (en) Asset communication hub
US20090177544A1 (en) Campaign system, campaign method, and campaign service program
US201202840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hair stylist referrals
JP7463637B2 (ja) 報告支援サーバ、報告支援システム、報告支援方法、及び報告支援プログラム
JP2018508877A (ja) 技術プロジェクトをクラウドソーシ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5087938A (ja) 商品販売管理サーバ及びインターネット販売促進システム
KR102397767B1 (ko) 리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39165A (ko) 실구매자의 리뷰를 인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47629A (ko) 리뷰 신뢰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37887A (ko) 중고차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14326A (ko) 웹 디자인 거래 방법 및 시스템
JP5648833B2 (ja) 個人id統合サーバシステム及び個人id統合サーバ及びハードウェアid登録サーバ
JP2009129066A (ja) 商品流通システム
CN111260415A (zh) 广告推荐方法、装置
CA28484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marketing channels in an ip marketplace
JP7288719B1 (ja) 不動産試算システム、不動産試算プログラム、及び不動産試算方法
KR102513313B1 (ko)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메신저의 상대방을 식별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409867B1 (ko) 회원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036012B1 (ko) 대학생 인증을 기반으로 하는 에세이 제공 및 리뷰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7138932A (ja) 不動産管理装置および不動産管理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