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8983A - Lathe - Google Patents

Lath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8983A
KR20220038983A KR1020200121489A KR20200121489A KR20220038983A KR 20220038983 A KR20220038983 A KR 20220038983A KR 1020200121489 A KR1020200121489 A KR 1020200121489A KR 20200121489 A KR20200121489 A KR 20200121489A KR 20220038983 A KR20220038983 A KR 20220038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processing
panel
work
do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4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맥
Priority to KR1020200121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8983A/en
Publication of KR20220038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98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24Tool holders for a plurality of cutting tools, e.g.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04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for turning-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00General-purpose turning-machines or devices, e.g. centre lathes with feed rod and lead screw; Sets of turning-machines
    • B23B3/16Turret lathes for turning individually-chucked workpieces
    • B23B3/164Turret lathes for turning individually-chucked workpieces lathe with one toolslide carrying two or more turret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91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arranged between the working area and the op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th for robot automation, comprising: a work room in which an operator workspace (S1) formed in the front is formed, a robot workspace (S2) is formed in the rear, and processing of an object to be processed is made therein; and an operation panel disposed in front of the work room and receiving manipulation of an operator. A rear door assembly placed in the work room can open and close a work path through which a robot arm enter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lathe for robot automation and capable of separating a space for an operator and a space for a robot.

Description

로봇자동화를 위한 선반{Lathe}Lathe for Robot Automation {Lathe}

본 발명의 공작기계의 선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the for a machine tool.

선반은, 길이가 짧고 직경이 큰 공작물의 절삭에 사용하는 선반인 정면선반(face lathe)과, 보통선반과 같으나, 정밀한 형식으로 되어있으며, 테이퍼 깎기 장치, 릴리이빙 장치가 부속되어 있는 선반인 보통선반과, 작업대 위에 설치해야 할 만큼의 소형선반으로 시계부품, 재봉틀 부품등의 소형 부품을 주로 가공하는 선반인 탁상선반과, 대형의 공작물이나 불규칙한 가공물을 가공하기 편리하도록 척(chuck)을 지면 위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가공물의 장착이나 탈착을 편리하게 한 선반인 수직선반과, 자동모방장치를 이용하여 모형이나 형판 외형에 트레이서가 설치되고 트레이서가 움직이면, 바이트가 함께 움직여 모형이나 형판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의 부품을 자동으로 가공하는 선반인 모방선반과, 터렛으로 불리는 회전 공구대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공구를 공정에 맞게 설치하여 간단한 부품을 대량생산하는 선반인 터렛 선반 등이 있다.The lathe is a face lathe, which is a lathe used for cutting short-length and large-diameter workpieces, and a regular lathe, which is the same as a regular lathe, but has a precise form, and is a lathe with a taper cutting device and a relieving device attached. Lathe, a lathe that is small enough to be installed on a workbench, and a tabletop lathe that mainly processes small parts such as watch parts and sewing machine parts, and a chuck on the ground for convenient processing of large or irregular workpieces. A vertical lathe, which is a lathe that is installed vertically to make mounting or dismounting of workpieces convenient, and a tracer installed on the model or template using an automatic imitation device. There are imitation lathes, which are lathes that automatically process shaped parts, and turret lathes, which are lathes that mass-produce simple parts by installing various tools according to the process using a rotating tool rest called a turret.

종래 터렛 선반은 선삭가공 또는 드릴, 밀링 가공을 위하여 터렛 공구대에 선삭용 홀더 또는 밀링 홀더를 부착하여 사용하며, 터렛 공구대에 부착할 수 있는 홀더의 수는 공구대 디스크의 분할각에 따라 제한된다.The conventional turret lathe is used by attaching a turning holder or a milling holder to the turret tool rest for turning, drilling, and milling, and the number of holders that can be attached to the turret tool rest is limited according to the division angle of the tool rest disk. do.

종래 터렛 선반은 작업자가 위치되는 정면에 도어가 배치되기 때문에, 생산성 향상을 위해 로봇을 배치할 경우, 작업자의 작업공간과 로봇의 작업공간이 겹치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turret lathe, since the door is disposed on the front where the operator is located, when the robot is disposed to improve productivity, the operator's workspace and the robot's workspace overlap,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afety accident risk of the operator is high.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2544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25447

본 발명은 로봇자동화를 위한 선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the for robot automation.

본 발명은 작업자를 위한 공간과 로봇을 위한 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는 선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elf capable of separating a space for a worker and a space for a robot.

본 발명은 전방에 형성된 작업자 작업공간(S1)이 형성되고, 후방에 로봇 작업공간(S2)이 형성되며, 내부에서 가공대상물의 가공이 이루어지는 작업룸; 상기 작업룸의 전방에 배치되고, 작업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오퍼레이션패널;을 포함하고, The present invention is a work room in which the operator workspace (S1) formed in the front is formed, the robot workspace (S2) is formed in the rear, and the processing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is made therein; It includes; an operation panel disposed in front of the work room and receiving an operator's operation;

상기 작업룸은, 내부에 가공공간이 형성된 어퍼하우징; 상기 어퍼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공간(A)을 개폐하는 프론트도어어셈블리; 상기 어퍼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공간(A)을 개폐하는 리어도어어셈블리; 상기 가공공간(A)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대상물을 가공하는 제 1 가공장치; 상기 가공공간(A)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대상물을 가공하는 제 2 가공장치; 상기 가공공간(A)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대상물이 고정되는 주축스핀들; 상기 어퍼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로봇 작업공간(S2) 및 가공공간(A)을 연통시키는 워크패스;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도어어셈블리가 상기 워크패스를 개폐할 수 있다. The working room may include: an upper housing having a processing space formed therein; a front door assembly disposed in front of the upper housing to open and close the processing space (A); a rear door assembly disposed at the rear of the upper housing to open and close the processing space (A); a first processing device disposed in the processing space (A) to process the processing object; a second processing device disposed in the processing space (A) to process the processing object; a spindle spindle disposed in the processing space (A) to which the processing object is fixed; and a work path disposed in the upper housing and communicating the robot working space S2 and the processing space A, and the rear door assembly may open and close the work path.

상기 워크패스는 상기 제 1 가공장치 및 제 2 가공장치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work path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rocessing device and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상기 워크패스는 상기 주축스핀들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The work path may be disposed behind the main spindle spindle.

상기 리어도어어셈블리가 상기 작업룸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워크패스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다. The rear door assembly may be disposed inside the work room, and may open and close a front surface of the work path.

상기 리어도어어셈블리는, 상기 작업룸에 고정되는 고정패널; 상기 고정패널과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패널에 대해 이동되는 이동패널; 상기 작업룸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패널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 상기 이동패널을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ear door assembly may include a fixed panel fixed to the working room; a movable panel coupled to the fixed panel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fixed panel and moved with respect to the fixed panel; a guide rail fixed to the working room and guiding the moving panel; It may include; an actuator for moving the moving panel.

첫째,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작업룸의 전방에 배치된 프론트도어어셈블리를 가공공간(A)에 접근할 수 있고, 로봇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워크패스를 통해 가공공간(A)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와 로봇의 작업공간을 분리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can access the front door assembly disposed in front of the work room to the machining space (A), and the robot can access the machining space (A) through the selectively opened work path. , it has the advantage of separating the working space of the worker and the robot, and preventing safety accidents of the worker.

둘째, 본 발명은 작업룸의 유지보수, 공구의 교체는 작업자가 작업자의 작업공간(S1)에서 사전준비를 통해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가공대상물의 로딩/언로딩은 워크패스를 통해 진행하기 때문에, 생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c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tenance of the work room and replacement of tools can be shortened by the operator through preliminary preparation in the worker's work space (S1), and the loading/unloading of the workpiece is carried out through the work path.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mprove the production yield.

셋째, 본 발명은 리어도어어셈블리가 워크패스의 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가공 시 비산되는 칩 및 윤활유가 워크패스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ar door assembly is disposed in front of the work path, chips and lubricants scattered during processing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work path.

도 1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프론트도어가 제거된 선반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작업룸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프론트도어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리어도어어셈블리에 의해 워크패스가 닫힌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리어도어어셈블리에 의해 워크패스가 개방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리어도어어셈블리가 리어월에서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이동패널이 하측 이동된 리어도어어셈블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이동패널이 상측 이동된 리어도어어셈블리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대상물 교체과정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shelf from which the front door is removed in FIG. 1 .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orking room shown in FIG. 1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door assembly shown in FIG. 3 ;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in which the work path is closed by the rear door assembly shown in FIG. 1 .
7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in which the work path is opened by the rear door assembly of FIG. 6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rear door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rear wall in FIG. 6 .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door assembly in which the moving panel of FIG. 6 is moved downward.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door assembly in which the moving panel of FIG. 7 is moved upward.
11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placing a processing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프론트도어가 제거된 선반의 내부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shelf from which the front door is removed in FIG. 1 .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반은, 가공대상물(101)의 가공이 이루어지는 작업룸(100)과, 상기 작업룸(1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작업룸(100) 내부에 냉각수를 제공하는 쿨런트장치(200)와, 상기 작업룸(1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작업룸(100)에서 발생된 칩을 회수하는 칩회수장치(300)와, 상기 작업룸(100)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작업룸(1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일렉트릭박스(400)와, 상기 작업룸(100)의 전방에 배치되고, 작업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오퍼레이션패널(500)을 포함한다. The lath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working room 100 in which the processing object 101 is processed, and a coolan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working room 100 and providing cooling water to the inside of the working room 100 . The device 200, the chip recovery device 30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orking room 100 and recovering the chips generated in the working room 100, and the other side of the working room 100, , an electric box 400 for providing power required to drive the work room 100, and an operation panel 500 that is disposed in front of the work room 100 and receives an operator's opera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쿨런트장치(200) 및 칩회수장치(300)는 작업룸(100)의 우측에 배치되고, 일렉트릭박스(400)는 작업룸(100)의 좌측에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coolant device 200 and the chip recovery device 300 are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working room 100 , and the electric box 400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working room 100 .

상기 일렉트릭박스(400), 작업룸(100), 쿨런트장치(200) 및 칩회수장치(300)가 좌우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다. The electric box 400 , the working room 100 , the coolant device 200 , and the chip recovery device 300 are arranged in a lin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작업자의 작업공간(S1)는 상기 작업룸(100)의 전방에 위치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The worker's work space S1 is located in front of the work room 100 to perform work.

상기 작업룸(100)의 후방에 로봇(600)의 작업공간(S2)이 배치된다. A work space S2 of the robot 60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work room 100 .

상기 작업룸(100)은, 로어하우징(10)과, 상기 로어하우징(10)의 상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가공공간이 형성된 어퍼하우징(20)과, 상기 어퍼하우징(2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공간(A)을 개폐하는 프론트도어어셈블리(30)와, 상기 어퍼하우징(20)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공간(A)을 개폐하는 리어도어어셈블리(40)와, 상기 가공공간(A)에 배치되어 가공대상물(101)을 가공하는 제 1 가공장치(50) 및 제 2 가공장치(60)와, 상기 가공공간(A)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대상물(101)이 고정되는 주축스핀들(70)을 포함한다. The working room 100 includes a lower housing 10, an upper housing 2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housing 10 and having a processing space therein, and the upper housing 20 It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ront door assembly 3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rocessing space (A), the rear door assembly 40 disposed behind the upper housing 20 to open and close the processing space (A), the processing space (A) ) and a first processing device 50 and a second processing device 60 for processing the processing object 101, and a spindle spindle ( 70).

상기 로어하우징(10)은 지면에 지지되고, 상측에 상기 가공공간(A)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주축스핀들(70)이 상기 로어하우징(10)에 배치된다. The lower housing 10 may be supported on the ground, and the processing space A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The main shaft spindle 70 is disposed on the lower housing 10 .

상기 주축스핀들(70)에 가공대상물(101)이 고정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주축스핀들(70)의 축을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The object 101 is fixed to the main spindle 70 and can be rotated. The axis of the main shaft spindle 70 is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어퍼하우징(20)은 상기 로어하우징(1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어퍼하우징(20)의 내부에 상기 가공공간(A)이 형성된다. 상기 어퍼하우징(20) 내부에 상기 제 1 가공장치(50), 제 2 가공장치(60)가 배치된다. The upper housing 20 is disposed above the lower housing 10 . The processing space (A) is formed inside the upper housing (20). The first processing device 50 and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60 are disposed inside the upper housing 20 .

상기 제 1 가공장치(50) 및 제 2 가공장치(60)는 상기 어퍼하우징(20) 또는 로어하우징(10)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The first processing device 50 and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60 may be fixedly supported by the upper housing 20 or the lower housing 10 .

상기 어퍼하우징(20) 및 로어하우징(10)이 작업에 필요한 각종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다. The upper housing 20 and the lower housing 10 may support various structures required for work.

상기 주축스핀들(70)은 제 1 가공장치(50) 및 제 2 가공장치(6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가공장치(50)는 좌측에 배치되고, 제 2 가공장치(60)는 우측에 배치되며, 상기 주축스핀들(70)은 그 중간에 배치된다. The spindle spindle 7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rocessing device 50 and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60 .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device 50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60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and the spindle spindle 70 is disposed in the middle.

상기 제 1 가공장치(50)는 다수개의 공구가 배치된 제 1 터렛(51)과, 상기 제 1 터렛(51)을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수평이송유닛(52)과, 상기 제 1 터렛(51)을 Z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수직이송유닛(53)을 포함한다.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50 includes a first turret 51 on which a plurality of tools are disposed, a first horizontal transfer unit 52 for transferring the first turret 51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first and a first vertical transfer unit 53 for transferring the turret 51 in the Z-axis direction.

상기 제 1 터렛(51)은 상기 주축스핀들(70) 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터렛(51)은 상기 주축스핀들(70)의 상부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turret 51 is disposed above the main shaft spindle 70 . The first turret 5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left side of the main shaft spindle 70 .

상기 제 1 터렛(51)은 가공을 위한 다수개의 공구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1 터렛(51)은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구비하고, 다수개의 공구는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The first turret 51 is installed detachably a plurality of tools for processing. The first turret 51 has a vertical axis of rotation, and a plurality of tools may be rot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 1 수평이송유닛(52)은 제 1 터렛(51)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수평이송유닛(52)은 상기 제 1 터렛(51)을 상기 주축스핀들(7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first horizontal transfer unit 52 may move the first turret 5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the first horizontal transfer unit 52 may move the first turret 51 toward the main shaft spindle 70 .

상기 제 1 수직이송유닛(53)은 제 1 터렛(5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수직이송유닛(53)은 상기 제 1 터렛(51)을 상기 주축스핀들(7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first vertical transfer unit 53 may move the first turret 51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the first vertical transfer unit 53 may move the first turret 51 toward the main shaft spindle 70 .

별도로 설명하진 않지만, 제 1 수평이송유닛(52) 또는 제 1 수직이송유닛(53)을 설치 및 지지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물이 배치된다. Although not described separately, various structures for installing and supporting the first horizontal transfer unit 52 or the first vertical transfer unit 53 are disposed.

상기 제 2 가공장치(60)는 다수개의 공구가 배치된 제 2 터렛(61)과, 상기 제 2 터렛(61)을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 2 수평이송유닛(62)과, 상기 제 2 터렛(61)을 Z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 2 수직이송유닛(63)을 포함한다.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60 includes a second turret 61 on which a plurality of tools are disposed, a second horizontal transfer unit 62 for transferring the second turret 61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and a second vertical transfer unit 63 for transferring the turret 61 in the Z-axis direction.

상기 제 2 터렛(61)은 상기 주축스핀들(70) 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터렛(61)은 상기 주축스핀들(70)의 상부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turret 61 is disposed above the main shaft spindle 70 . The second turret 6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main shaft spindle 70 .

상기 제 2 터렛(61)은 가공을 위한 다수개의 공구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2 터렛(61)은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구비하고, 다수개의 공구는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The second turret 61 is detachably installed with a plurality of tools for processing. The second turret 61 has a vertical axis of rotation, and the plurality of tools may be rot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 2 수평이송유닛(62)은 제 2 터렛(61)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수평이송유닛(62)은 상기 제 2 터렛(61)을 상기 주축스핀들(7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second horizontal transfer unit 62 may move the second turret 6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he second horizontal transfer unit 62 may move the second turret 61 toward the main shaft spindle 70 .

상기 제 2 수직이송유닛(63)은 제 2 터렛(6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수직이송유닛(63)은 상기 제 2 터렛(61)을 상기 주축스핀들(7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second vertical transfer unit 63 may move the second turret 61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he second vertical transfer unit 63 may move the second turret 61 toward the main shaft spindle 70 .

별도로 설명하진 않지만, 제 2 수평이송유닛(62) 또는 제 2 수직이송유닛(63)을 설치 및 지지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물이 배치된다. Although not described separately, various structures for installing and supporting the second horizontal transfer unit 62 or the second vertical transfer unit 63 are disposed.

상기 어퍼하우징(20)은 좌측에 배치된 제 1 사이드월(21)과, 우측에 배치된 제 2 사이드월(22)과,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도어어셈블리(40)가 설치되는 리어월(23)을 포함한다. The upper housing 20 has a first sidewall 21 disposed on the left side, a second sidewall 22 disposed on the right side, and a rear wall disposed at the rear and on which the rear door assembly 40 is installed. (23).

상기 리어월(23)에 상기 제 1 가공장치(50) 및 제 2 가공장치(60)가 조립되어 지지될 수 있다. The first processing device 50 and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60 may be assembled and supported on the rear wall 23 .

상기 가공공간(A)은 상기 프론트도어어셈블리(30), 제 1 사이드월(21), 제 2 사이드월(22), 리어월(23)에 감싸져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퍼하우징(20)의 상측이 개구된다. 상기 어퍼하우징(20)의 상측이 개구됨으로서, 제 1 수직이송유닛(53) 및 제 2 수직이송유닛(63)의 작동반경을 확보할 수 있다. The processing space (A) may be formed surrounded by the front door assembly 30 , the first side wall 21 , the second side wall 22 , and the rear wall 23 .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side of the upper housing 20 is opened. As the upper side of the upper housing 20 is opened, the operating radius of the first vertical transfer unit 53 and the second vertical transfer unit 63 can be secured.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작업룸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프론트도어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orking room shown in FIG. 1 ,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door assembly shown in FIG. 3 .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도어어셈블리(30)는, 어퍼하우징(20)에 조립되고, 상기 가공공간(A)을 개폐할 수 있다. 3 or 4 , the front door assembly 30 is assembled to the upper housing 20 and can open and close the processing space A.

상기 프론트도어어셈블리(30)는, 상기 어퍼하우징(20)의 일측(본 실시예에서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공공간(A)의 일부를 개폐하는 제 1 프론트도어(31)와, 상기 어퍼하우징(20)의 타측(본 실시예에서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공공간(A)의 나머지를 개폐하는 제 2 프론트도어(32)를 포함한다. The front door assembly 30 is disposed on one side (left side in this embodiment) of the upper housing 20 and includes a first front door 31 that opens and closes a part of the processing space A, and the upper I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right side in this embodiment) of the housing 20, and includes a second front door 3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mainder of the processing space (A).

본 실시예에서 제 1 프론트도어(31) 및 제 2 프론트도어(32)는 슬라이드 이동 방식으로 상기 가공공간(A)을 개폐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회전방식을 통해 상기 가공공간(A)을 개폐하여도 무방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front door 31 and the second front door 32 open and close the processing space (A) in a sliding manner. Unlike this embodiment, the processing space (A) may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a rotation method.

상기 제 1 프론트도어(31)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제 1 프론트액추에이터(33) 및 제 1 리니어가이드(33a)(3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lide the first front door 31, a first front actuator 33 and first linear guides 33a and 33b may be further included.

제 1 프론트액추에이터(33)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 1 프론트도어(31)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프론트액추에이터(33)는 에어실린더가 사용된다. The first front door 31 may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front actuator 33 . In this embodiment, an air cylinder is used for the first front actuator 33 .

상기 제 1 리니어가이드(33a)(33b)는 상기 제 1 프론트도어(31)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리니어가이드(33a)(33b)는 제 1 프론트도어(31)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된다. The first linear guides 33a and 33b guide the movement of the first front door 31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linear guides 33a and 33b are respectively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first front door 31 .

상기 제 2 프론트도어(32)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제 2 프론트액추에이터(34) 및 리니어가이드(34a)(3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lide the second front door 32, a second front actuator 34 and linear guides 34a and 34b may be further included.

제 2 프론트액추에이터(34)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 2 프론트도어(32)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프론트액추에이터(34)는 에어실린더가 사용된다. The second front door 32 may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front actuator 34 . In this embodiment, an air cylinder is used for the second front actuator 34 .

상기 제 2 리니어가이드(34a)(34b)는 상기 제 2 프론트도어(32)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리니어가이드(34a)(34b)는 제 2 프론트도어(32)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된다. The second linear guides 34a and 34b guide the movement of the second front door 32 .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linear guides 34a and 34b are respectively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second front door 32 .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룸(10)은, 상기 제 1 프론트도어(31)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공간(A)을 확인할 수 있는 제 1 윈도우(35)와, 상기 제 2 프론트도어(32)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공간(A)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제 2 윈도우(36)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working roo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window 35 disposed on the first front door 31 to check the processing space A, and the second front door 32 . It is disposed in the processing space (A) further comprises a second window (36) can be confirmed visually.

상기 제 1 윈도우(35) 및 제 2 윈도우(36)는 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The first window 35 and the second window 36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제 1 윈도우(35) 주변에 제 1 핸들(37)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핸들(37)을 통해 상기 제 1 프론트도어(31)를 수동으로 열 수 있다. 상기 제 2 윈도우(36) 주변에 제 2 핸들(38)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핸들(38)을 통해 상기 제 2 프론트도어(32)를 수동으로 열 수 있다.A first handle 37 may be further disposed around the first window 35 , and the first front door 31 may be manually opened through the first handle 37 . A second handle 38 may be further disposed around the second window 36 , and the second front door 32 may be manually opened through the second handle 38 .

상기 제 1 프론트도어(31)의 개방 시, 상기 제 1 터렛(51)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론트도어(32)의 개방 시, 상기 제 2 터렛(61)이 노출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front door 31 is opened, the first turret 51 may be exposed. When the second front door 32 is opened, the second turret 61 may be exposed.

상기 제 1 터렛(51) 또는 제 2 터렛(61)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가공대상물(101)이 가공될 수 있다. The object 101 may be machined through either the first turret 51 or the second turret 61 .

상기 제 2 사이드월(22)에 개폐가능한 사이드패널(39)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패널(39)을 개방하여 상기 작업룸(10)의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An openable and openable side panel 39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second sidewall 22 . The side panel 39 may be opened to perform maintenance of the work room 10 .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로봇(600)은 로봇암(610)을 포함하는 다관절로봇일 수 있다. 상기 로봇암(610)은 팔레트(미도시)에 배치된 가공대상물(101)을 잡아 상기 가공공간(A) 안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robot 600 may be an articulated robot including a robot arm 610 . The robot arm 610 may grab the processing object 101 disposed on a pallet (not shown) and move it into the processing space (A).

상기 로봇(600)은 상기 로봇작업공간(S2)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월(23)의 후방에 배치되며, 작업자의 작업동선과도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robot 600 may be disposed in the robot working space S2, disposed behind the rear wall 23, and disposed separately from the working movement of the operator.

상기 로봇암(610)은 상기 리어월(23)을 관통하여 상기 가공공간(A)으로 진입할 수 있고, 상기 주축스핀들(70)에 상기 가공대상물(101)을 위치시킬 수 있다. The robot arm 610 may penetrate the rear wall 23 to enter the processing space A, and may position the processing object 101 on the main spindle 70 .

상기 가공대상물(101)이 상기 작업룸(100) 내부로 진입시키기 위해 상기 리어월(23)에 리어도어어셈블리(40)가 배치된다 .A rear door assembly 40 is disposed on the rear wall 23 to allow the object 101 to enter the inside of the work room 100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리어도어어셈블리에 의해 워크패스가 닫힌 작동 상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리어도어어셈블리에 의해 워크패스가 개방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8은 도 6에서 리어도어어셈블리가 리어월에서 분리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6의 이동패널이 하측 이동된 리어도어어셈블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7의 이동패널이 상측 이동된 리어도어어셈블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대상물 교체과정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in which the work path is closed by the rear door assembly shown in FIG. 1, and FIG. 7 is a work path by the rear door assembly of FIG. is an open operating state diagram,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door assembly separated from the rear wall in FIG. 6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door assembly in which the moving panel of FIG. 6 is moved downward, and FIG. 10 is the movement of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door assembly in which the panel has been moved upward, and FIG. 11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placing a processing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리어월(23)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워크패스(25)가 형성된다. 상기 워크패스(25)는 리어월(23)의 후방에 배치된 로봇작업공간(S2)과 가공공간(A)을 연통시킨다. A work path 25 passing through the rear wall 23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formed. The work path 25 communicates the robot work space (S2) and the processing space (A) disposed at the rear of the rear wall (23).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워크패스(25)는 사각형 형상이고, 정면 및 후면이 각각 개구되며, 나머지면은 막혀있다.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work path 25 has a rectangular shape, the front and the rear are open, respectively, and the other surface is closed.

상기 워크패스(25)는 상기 제 1 가공장치(50) 및 제 2 가공장치(60)의 사이에 배치된다. The work path 25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rocessing device 50 and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60 .

상기 워크패스(25)는 제 1 터렛(51) 및 제 2 터렛(6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워크패스(25)는 상기 주축스핀들(70)의 후방에 배치된다. The work path 25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turret 51 and the second turret 61 . The work path 25 is disposed behind the main shaft spindle 70 .

상기 워크패스(25)는 제 1 수직이송유닛(53) 및 제 2 수직이송유닛(63) 사이에 배치된다. The work path 25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transfer unit 53 and the second vertical transfer unit (63).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워크패스(25)는 상기 제 1 프론트도어(31) 및 제 2 프론트도어(32)의 경계선 상에 배치된다.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work path 25 is disposed on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first front door 31 and the second front door 32 .

상기 로봇암(610)은 상기 워크패스(25)의 후면을 통해 상기 가공공간(A)으로 진입할 수 있다. The robot arm 610 may enter the processing space A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work path 25 .

상기 리어도어어셈블리(40)는 상기 리어월(23)에 배치되고, 상기 워크패스(25)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리어도어어셈블리(40)는 가공대상물(101)이 진입할 때만, 상기 워크패스(25)를 개방시킨다. 가공 중에 상기 워크패스(25)는 상기 리어도어어셈블리(4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The rear door assembly 40 is disposed on the rear wall 23 , and may open and close the work path 25 . The rear door assembly 40 opens the work path 25 only when the workpiece 101 enters. During machining, the work path 25 may be closed by the rear door assembly 40 .

상기 리어도어어셈블리(40)는, 상기 작업룸(100)에 고정되는 고정패널(41)과, 상기 고정패널(41)과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패널에 대해 이동되는 이동패널(42)과, 상기 이동패널(42)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43)과, 상기 이동패널(42)을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45)를 포함한다. The rear door assembly 40 includes a fixed panel 41 fixed to the working room 100 and a movable panel 42 coupled to the fixed panel 41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fixed panel. ), and a guide rail 43 for guiding the moving panel 42 , and an actuator 45 for moving the moving panel 42 .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어도어어셈블리(40)는 상기 작업룸(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리어도어어셈블리(40)는 상기 워크패스(25)의 전방 측 개구를 개폐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리어도어어셈블리(40)가 작업룸(100)의 외부에 배치되어 워크패스(25)의 후방 측 개구부를 개폐하여도 무방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ar door assembly 40 is disposed inside the work room 100 . The rear door assembly 40 opens and closes the front side opening of the work path 25 .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ar door assembly 4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work room 100 to open and close the rear opening of the work path 25 .

상기 리어도어어셈블리(40)가 작업룸(100)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작동을 위한 전원케이블 등의 연결이 쉽고, 작동에 필요한 구성들이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rear door assembly 40 is disposed inside the work room 100, it is easy to connect a power cable for operation, etc., and since the components necessary for operation are disposed inside, damage due to external impact can be prevented.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패널(42)이 상기 워크패스(25)를 개폐시킨다. In this embodiment, the moving panel 42 opens and closes the work path 25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45)는 상기 이동패널(4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이동패널(42)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이동패널(42)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식으로 상기 워크패스(25)를 개폐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actuator 45 moves the moving panel 42 in the vertical direction.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ving panel 42 may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ddition,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work path 25 may be opened and closed in a manner in which the movable panel 42 is rotated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상기 고정패널(41)은 작업룸(100)에 고정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룸 상측 구조물(102)에 고정된다.(도 1 참조) The fixing panel 41 is fixed to the working room 100, and in this embodiment is fixed to the working room upper structure 102. (See FIG. 1)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패널(41)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동패널(42)은 고정패널(41)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패널(4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panel 41 is formed in a "L" shape. The moving panel 42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ixed panel 41 , and may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panel 41 .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패널(42)이 하측에 위치된 경우, 이동패널(42)이 워크패스(25)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when the moving panel 42 is positioned at the lower side, the moving panel 42 may completely close the work path 25 .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패널(42)이 상측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고정패널(41)의 후방에 위치되고, 워크패스(25)가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when the moving panel 42 is moved upward, it is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fixed panel 41 , and the work path 25 may be completely opened.

상기 이동패널(42)이 상측으로 이동된 경우, 고정패널(41)의 후방에 위치되고, 워크패스(25)에 노출되지 않는다. When the moving panel 42 is moved upward, it is located behind the fixed panel 41 and is not exposed to the work path 25 .

상측으로 이동된 이동패널(42)은 고정패널(41) 및 리어월(23) 사이에 배치된다. 하측으로 이동된 이동패널(42)은 워크패스(25)가 형성된 리어월(23)의 전방에 위치된다. The moving panel 42 moved upward is disposed between the fixed panel 41 and the rear wall 23 . The moving panel 42 moved to the lower side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rear wall 23 on which the work path 25 is formed.

상기 고정패널(41)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패널(42)의 하측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44)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4)는 상기 고정패널(41)의 하단에 배치된다. A stopper 44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fixed panel 41 to limit the lower movement of the movable panel 42 . The stopper 44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anel 41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44)는 상기 고정패널(41)을 후방 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한다. 상기 이동패널(42)이 하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이동패널(42)의 상단(42a)이 상기 스토퍼(44)에 걸려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topper 44 is formed by bending the fixing panel 41 to the rear side. When the moving panel 42 is moved downward, the upper end 42a of the moving panel 42 may be caught by the stopper 44 to limit movement.

한편, 상기 이동패널(42)의 상측 이동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상기 이동패널(42)이 상측으로 과도하게 이동될 경우, 상기 다른 구조물과 충돌되어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upper movement of the moving panel (42). When the moving panel 42 is excessively moved upward, it may collide with the other structure and cause damag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패널(42)에 로드(46)가 배치된다. 상기 로드(46)는 상기 이동패널(42)의 상단(42a)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rod 46 is disposed on the moving panel 42 . The rod 46 is preferably dispos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end 42a of the moving panel 42 .

상기 로드(46)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The rod 46 is formed to exten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로드(46)의 상단을 감지하여 상기 이동패널(42)의 상측 높이를 제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드(46)의 상단을 감지하기 위해 센서(47)가 사용된다. 상기 센서(47) 직접 접촉을 감지하는 스위치일 수 있다. 상기 센서(47)는 포토센서일 수 있고, 포토센서의 신호가 상단에 의해 차단되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By sensing the upper end of the rod 46, the upper height of the movable panel 42 can be limited. In this embodiment, a sensor 47 is used to detect the upper end of the rod 46 . The sensor 47 may be a switch that detects direct contact. The sensor 47 may be a photosensor, and may be operated in such a way that a signal of the photosensor is blocked by the upper end.

상기 이동패널(42)의 이동은 상기 로봇(600)의 작동과 연계된다.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nel 42 is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of the robot 600 .

상기 가이드레일(43)은 상기 이동패널(42)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43)은 상기 리어월(2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패널(42)은 상기 가이드레일(43)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guide rail 43 is disposed behind the moving panel 42 . The guide rail 43 may be fixed to the rear wall 23 . The moving panel 42 may be mov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43 .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레일(43)은 리니어가이드가 사용된다. In this embodiment, a linear guide is used for the guide rail 43 .

상기 가이드레일(43)은 제 1 가이드레일(43a) 및 제 2 가이드레일(4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43a) 및 제 2 가이드레일(43b)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guide rail 43 may include a first guide rail 43a and a second guide rail 43b. The first guide rail 43a and the second guide rail 43b may be dispos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제 1 가이드레일(43a) 및 제 2 가이드레일(43b) 사이에 상기 워크패스(25)가 배치된다. The work path 25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guide rail 43a and the second guide rail 43b.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45)는 에어실린더가 사용되고, 상기 에어실린더의 작동을 통해 상기 이동패널(42)가 수직 이동된다. 상기 에어실린더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워크패스(25)의 개폐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n air cylinder is used for the actuator 45, and the moving panel 42 is vertically mov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air cylinder. By using the air cylinder,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opening/closing time of the work path 25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45)는 상기 리어월(23)에 고정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actuator 45 is fixed to the rear wall 23 .

상기 리어월(23)은 상기 리어도어어셈블리(40)이 설치되기 위한 설치홈(26)이 형성된다. The rear wall 23 has an installation groove 26 in which the rear door assembly 40 is installed.

상기 설치홈(26)은 상기 리어월(23)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26)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26)은 상기 워크패스(25)의 상측 및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installation groove 26 is formed concavely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rear wall (23). The installation groove 26 is formed to exten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stallation groove 26 may be formed to extend upward and downward of the work path 25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크패스(25)는 상기 설치홈(26)을 관통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work path 25 passes through the installation groove 26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설치홈(26)에 상기 이동패널(42)의 적어도 일부가 수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42)은 상기 설치홈(26)에 수납되어 설치된다. 상기 고정패널(41)은 상기 설치홈(26)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movable panel 42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26 . The guide rail 42 is received and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26 . The fixing panel 41 is disposed in front of the installation groove 26 .

후방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설치홈(26)에 상기 리어도어어셈블리(40)의 일부가 수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가공공간(A)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Since a part of the rear door assembly 40 is accommodated and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26 concave toward the rear side, the processing space A can be sufficiently secured.

또한 상기 설치홈(26)에 상기 가이드레일(43)이 수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가공공간(A)에서 비산되는 칩들이 가이드레일(43) 및 이동패널(42)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리어도어어셈블리(40)의 작동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guide rail 43 is accommodated and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26, it is possible to block the chips scattered in the processing space A from penetrating between the guide rail 43 and the moving panel 42, and ,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rear door assembly 40 through this.

상기 리어도어어셈블리(40)의 작동 중 이동패널(42)이 중간에서 멈추는 경우, 가공대상물(101)의 가공이 중단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생산수율이 저하될 수 있다. When the moving panel 42 stops in the middle while the rear door assembly 40 is being operated, the processing of the object 101 may be stopped, and thus the production yield may be reduced.

도 11을 참조하면, 리어도어어셈블리(40)의 이동패널(42)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워크패스(25)가 개방되고, 로봇암(610)은 워크패스(25)를 관통하여 가공공간(A)으로 진입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the moving panel 42 of the rear door assembly 40 moves upward to open the work path 25 , and the robot arm 610 passes through the work path 25 to the processing space A ) can be entered.

그리고 가공공간(A)으로 진입한 로봇암(610)이 주축스핀들(70)에 가공대상물(101)을 자동으로 로딩시킬 수 있다. And the robot arm 610 that has entered the processing space (A) can automatically load the processing object 101 to the spindle (70).

또한 상기 가공이 완료된 후, 상기 로봇암(610)이 상기 워크패스(25)을 통해 상기 가공공간(A)으로 진입하여 주축스핀들의 가공물을 언로딩할 수 있다. Also, after the machining is completed, the robot arm 610 may enter the machining space A through the work path 25 to unload the work piece of the main spindle spindl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 : 로어하우징 20 : 어퍼하우징
30 : 프론트도어어셈블리 40 : 리어도어어셈블리
50 : 제 1 가공장치 60 : 제 2 가공장치
70 : 주축스핀들 100 : 작업룸
101 : 가공대상물 200 : 쿨런트장치
300 : 칩회수장치 400 : 일렉트릭박스
500 : 오퍼레이션패널 600 : 로봇
610 : 로봇암
10: lower housing 20: upper housing
30: front door assembly 40: rear door assembly
50: first processing device 60: second processing device
70: spindle spindle 100: work room
101: object to be processed 200: coolant device
300: chip recovery device 400: electric box
500: operation panel 600: robot
610: robot arm

Claims (5)

전방에 형성된 작업자 작업공간(S1)이 형성되고, 후방에 로봇 작업공간(S2)이 형성되며, 내부에서 가공대상물의 가공이 이루어지는 작업룸;
상기 작업룸의 전방에 배치되고, 작업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오퍼레이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룸은,
내부에 가공공간이 형성된 어퍼하우징;
상기 어퍼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공간(A)을 개폐하는 프론트도어어셈블리;
상기 어퍼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공간(A)을 개폐하는 리어도어어셈블리;
상기 가공공간(A)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대상물을 가공하는 제 1 가공장치;
상기 가공공간(A)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대상물을 가공하는 제 2 가공장치;
상기 가공공간(A)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대상물이 고정되는 주축스핀들;
상기 어퍼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로봇 작업공간(S2) 및 가공공간(A)을 연통시키는 워크패스;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도어어셈블리가 상기 워크패스를 개폐하는 선반.
A work room in which the operator workspace (S1) formed in the front is formed, the robot workspace (S2) is formed in the rear, and the processing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is made therein;
It includes; an operation panel disposed in front of the work room and receiving an operator's operation;
The work room is
an upper housing having a processing space formed therein;
a front door assembly disposed in front of the upper housing to open and close the processing space (A);
a rear door assembly disposed at the rear of the upper housing to open and close the processing space (A);
a first processing device disposed in the processing space (A) to process the processing object;
a second processing device disposed in the processing space (A) to process the processing object;
a spindle spindle disposed in the processing space (A) to which the processing object is fixed;
It is disposed in the upper housing, and a work path for communicating the robot work space (S2) and the processing space (A); includes,
A shelf on which the rear door assembly opens and closes the work pat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워크패스는 상기 제 1 가공장치 및 제 2 가공장치의 사이에 배치된 선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ork path is a lath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rocessing device and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워크패스는 상기 주축스핀들의 후방에 배치된 선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ork path is a lathe disposed behind the main spindle spind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도어어셈블리가 상기 작업룸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워크패스의 전면을 개폐하는 선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helf in which the rear door assembly is disposed inside the work room and opens and closes a front surface of the work pat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도어어셈블리는,
상기 작업룸에 고정되는 고정패널;
상기 고정패널과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패널에 대해 이동되는 이동패널;
상기 작업룸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패널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
상기 이동패널을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을 포함하는 선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door assembly,
a fixed panel fixed to the working room;
a movable panel coupled to the fixed panel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fixed panel and moved with respect to the fixed panel;
a guide rail fixed to the working room and guiding the moving panel;
A shelf comprising a; actuator for moving the moving panel.
KR1020200121489A 2020-09-21 2020-09-21 Lathe KR2022003898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489A KR20220038983A (en) 2020-09-21 2020-09-21 Lath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489A KR20220038983A (en) 2020-09-21 2020-09-21 Lath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983A true KR20220038983A (en) 2022-03-29

Family

ID=8099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489A KR20220038983A (en) 2020-09-21 2020-09-21 Lath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898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5447A (en) 2013-08-29 2015-03-10 현대위아 주식회사 Turret tool post for lath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5447A (en) 2013-08-29 2015-03-10 현대위아 주식회사 Turret tool post for lath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596B1 (en) Automatic tool charger with internal tool storage magazine
US9126298B2 (en) Machining center
US7721398B2 (en) Cutting machine with a workpiece changer
JP6199511B1 (en) Combined processing apparatus and combined processing method
CN113508006B (en) Automatic tool changer, control method thereof, and machine tool including the same
KR200393854Y1 (en) Workpiece loading device for lathe
KR20220038984A (en) Control method of Lathe for robot automation
JP4629392B2 (en) Protective cover opening / closing device for machine tools
JP2018027612A (en) Composite machining apparatus
JP2007130702A (en) Machine tool and method of exchanging tools thereof
KR102057727B1 (en) Machining center with multi-spindle
KR102004471B1 (en) Multi type tool changer and multi-spindle type machining center with the same
KR20130050686A (en) Door device for magazine of automatic tool changer
ES2028839T3 (en) SHORT RUN MACHINE-TOOL WITH DRILL HEAD AND MILLING LOCATED IN A MOVABLE MOUNTING IN A Z VERTICAL DIRECTION.
KR20220038983A (en) Lathe
JPH07266184A (en) Automatic door of machine tool cover
JP3636895B2 (en) Bar-shaped workpiece supply device for spindle-moving vertical machine tool and rod-shaped workpiece supply method in spindle-moving vertical machine tool
JP7033240B1 (en) Machining method of parts
JPH07112341A (en) Automatic tool changer
CN112789139A (en) Machining system
CN218110153U (en) Safety protection mechanism of numerical control machining center
JP4722636B2 (en) Compound lathe tool changer
JP2007160461A (en) Two-spindle opposed lathe
KR200497379Y1 (en) Sub part chatcher system for CNC machine that can be checked even during operation
CN221047926U (en) Horizontal drilling multi-axis simultaneous processing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