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8884A -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8884A
KR20220038884A KR1020200121236A KR20200121236A KR20220038884A KR 20220038884 A KR20220038884 A KR 20220038884A KR 1020200121236 A KR1020200121236 A KR 1020200121236A KR 20200121236 A KR20200121236 A KR 20200121236A KR 20220038884 A KR20220038884 A KR 20220038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chamber
filter
air
dus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6026B1 (ko
Inventor
김회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이엔씨
Priority to KR1020200121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026B1/ko
Publication of KR20220038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06Details, e.g. sample holders, mounting samples for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84Testing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발생기 및 내부의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제1 미세먼지측정기가 설치된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챔버의 공기가 이동할 수 있고, 내부의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제2 미세먼지측정기가 설치된 제2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 사이에 설치되고, 미세먼지 필터-상기 미세먼지 필터는 상기 제1 챔버의 공기가 상기 제2 챔버로 이동시 상기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여과함-가 교환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필터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FINE DUST FILTER TEST DEVICE}
본 발명은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정화기술은 환경으로 배출수준을 확인하고 감소시키는 것으로 공기정화시스템은 오염의 근원을 찾아 오염물질을 추출하고 청정공기를 방출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구축을 통해 호흡기 질환 등과 같은 건강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공기정화시스템의 핵심이 되는 공기필터는 고체 또는 액체 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한 섬유 또는 무기 재료로 구성된 여과 장치이며 일반적으로 미립자와 같은 먼지, 꽃가루, 곰팡이가 함유된 공기를 여과하고, 화학적 공기 필터인 경우는 흡착제 또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과 같은 대기 중의 분자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가정용에어컨서치, 공기조절시스템, 산업용 고성능 집진기능의 클린룸, 의료분야 및 자동차, 광업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특히, 공기필터는 미세먼지(초미세먼지 포함)를 여과할 수 있는데, 공기필터의 성능은 미세먼지를 걸러낼 수 있는 수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미세먼지를 여과할 수 있는 필터의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오랜 연구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세먼지 필터의 여과 성능을 효과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미세먼지 발생기 및 내부의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제1 미세먼지측정기가 설치된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챔버의 공기가 이동할 수 있고, 내부의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제2 미세먼지측정기가 설치된 제2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 사이에 설치되고, 미세먼지 필터-상기 미세먼지 필터는 상기 제1 챔버의 공기가 상기 제2 챔버로 이동시 상기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여과함-가 교환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필터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필터 삽입부는, 다양한 두께의 미세먼지 필터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필터 삽입시 양측으로 확장될 수 있는 탄성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챔버는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는 공기 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는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챔버는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팬(fa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에는 도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의 내부의 부피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미세먼지 측정기 및 상기 제2 미세먼지 측정기는 동일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에 의하면, 컴팩트한 장치로 미세먼지 필터의 여과 성능을 쉽게 테스트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의 필터삽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의 탄성확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는, 제1 챔버(100), 제2 챔버(200), 미세먼지 발생기(110), 제1 미세먼지측정기(120), 제2 미세먼지측정기(210), 필터 삽입부(300)를 포함하고, 팬(220)(fan), 밸브, 제어부(40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챔버(100) 및 제2 챔버(200)는 내부에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이다. 제1 챔버(100)와 제2 챔버(200)는 각각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결되도록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제2 챔버(200)는 제1 챔버(100)의 후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챔버(100)와 제2 챔버(200) 각각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챔버(100)와 제2 챔버(200)는 동일한 부피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챔버(100)와 제2 챔버(200)는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챔버(100) 내에는 미세먼지 발생기(110)가 설치될 수 있다. 미세먼지 발생기(110)는 연기 등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지름 10㎛ 이하의 미세먼지, 지름 2.5㎛ 이하의 초미세먼지 등이 생성될 수 있다. 미세먼지 발생기(110)는 후술하는 공기 유입부(A)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미세먼지 발생기(110)는 공기 유입부(A)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챔버(100) 내에는 제1 미세먼지측정기(12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미세먼지측정기(120)는 제1 챔버(100) 내의 공기 중 미세먼지 함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제1 미세먼지측정기(120)는 미세먼지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미세먼지측정기(120)는 미세먼지 발생기(110)와 이격돠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미세먼지측정기(120)는 필터 삽입부(300)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미세먼지 발생기(110)와 제1 미세먼지측정기(120)는 도 1에서 제1 챔버(100) 내의 바닥에 설치되게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챔버(100)의 측벽 및/또는 천장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것과 같이 미세먼지 발생기(110)는 공기 유입부(A)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2 챔버(200) 내에는 제2 미세먼지측정기(21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미세먼지측정기(210)는 제2 챔버(200) 내의 공기 중 미세먼지 함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제2 미세먼지측정기(210)는 미세먼지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미세먼지측정기(210)는 필터 삽입부(300)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미세먼지측정기(210)는 필터 삽입부(300)를 기준으로 제1 미세먼지측정기(120)와 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미세먼지측정기(120)와 제2 미세먼지측정기(210)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제1 미세먼지측정기(120)와 제2 미세먼지측정기(210)는 동일한 스펙을 가지는 동일한 제품일 수 있다. 특히, 제1 미세먼지측정기(120)와 제2 미세먼지측정기(210)는 동일한 스펙을 가지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챔버(100)에는 공기 유입부(A)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입부(A)는 제1 챔버(1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입부(A)는 제1 챔버(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개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공기 유입부(A)는 제1 챔버(100)의 일면에 연결되는 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공기는 공기 유입부(A)를 통해 제1 챔버(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 흐름은 제1 챔버(100)에서 제2 챔버(200)로의 방향이 되고, 미세먼지 발생기(110)에서 발생한 미세먼지는 공기의 흐름을 타고 이동할 수 있다.
제1 챔버(100)에는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체크밸브(V)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공기 유입부(A)에 체크밸브(V)가 설치될 수 있고, 체크밸브(V)는 공기 유입부(A) 내의 공기가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할 수 있다. 즉, 공기 유입부(A)에서 공기는 외부에서 제1 챔버(100) 내로만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체크밸브(V)는 공기 유입부(A)를 통한 공기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챔버(200)에는 공기 유출부(B)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출부(B)는 제2 챔버(2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출부(B)는 공기 유입부(A)와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출부(B)는 제2 챔버(200)의 일면에 형성되는 개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공기 유출부(B)는 제2 챔버(200)의 일면에 연결되는 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공기는 공기 유입부(A)를 통해 제1 챔버(100) 내부로 유입되고, 제1 챔버(100) 및 제2 챔버(2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공기 유출부(B)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미세먼지 발생기(110)에서 발생한 미세먼지는 공기의 흐름을 타고 이동할 수 있다.
제2 챔버(200)에는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팬(220)이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유출부(B)에 팬(220)이 설치될 수 있고, 팬(220)의 작동에 따라 제2 챔버(200)에서 외부로 공기가 유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유출부(B)는 제2 챔버(200)의 일면에 개구 형태로 구현되고, 팬(220)은 상기 개구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챔버(100) 및 제2 챔버(200)에는 도어(D)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D)는 제1 챔버(100)와 제2 챔버(200) 내부로의 통로를 개폐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D)를 개방하여 제1 챔버(100)로 미세먼지 발생기(110), 제1 미세먼지측정기(120)를 넣고 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어(D)를 개방하여 제2 챔버(200)로 제2 미세먼지측정기(210)를 넣고 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어(D)를 개방하여 미세먼지 필터(F) 또는 필터 프레임(310)을 넣고 뺄 수 있다.
도어(D)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D)는 제1 챔버(100) 및 제2 챔버(200)의 상면에 세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일측의 도어(D)는 제1 챔버(100)를 개폐하고, 타측의 도어(D)는 제2 챔버(200)를 개폐하며, 중간에 위치하는 도어(D)는 미세먼지 필터(F) 또는 필터 프레임(310)을 넣고 뺄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도어(D)의 개폐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도 1에는 도어(D)가 힌지 구조를 포함하여 개폐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여닫이, 미닫이, 슬라이드식, 접이식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도어(D)는 제1 챔버(100) 및 제2 챔버(200)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삽입부(300)는 제1 챔버(100) 및 제2 챔버(200) 사이에 설치되고, 미세먼지 필터(F)를 고정할 수 있다. 미세먼지 필터(F)는 제1 챔버(100)의 공기가 제2 챔버(200)로 이동 시,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여과할 수 있다. 미세먼지 필터(F)는 필터 삽입부(300)에 교환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미세먼지 필터(F)는 필터 삽입부(300)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필터 삽입부(300)는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내부에 홈을 포함하고, 미세먼지 필터(F)는 상기 홈에 끼워지도록 세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공기는 공기 유입부(A)를 통해 제1 챔버(100)로 유입되어, 필터 삽입부(300)의 미세먼지 필터(F)를 통과하고 제2 챔버(200)로 이동할 수 있다. 미세먼지 발생기(110)에서 발생한 미세먼지는 공기의 흐름을 타고 이동하며, 미세먼지 필터(F)에 의해 여과될 수 있다. 미세먼지는 여과되고 나머지 공기는 공기 유출부(B)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제1 미세먼지측정기(120)는 제1 챔버(100) 내부의 미세먼지량을 측정하고, 제2 미세먼지측정기(210)는 제2 챔버(200) 내부의 미세먼지량을 측정할 수 있다. 미세먼지는 미세먼지 필터(F)에 의해 걸러지게 되므로, 제1 미세먼지측정기(120)의 측정값이 제2 미세먼지측정기(210)의 측정값보다 크다. 제1 미세먼지측정기(120) 및 제2 미세먼지측정기(210)의 측정값 차이에 따라 미세먼지 필터(F) 성능이 결정될 수 있다.
필터 삽입부(300)는 미세먼지 필터(F)의 양 가장자리를 파지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필터 삽입부(300)는 제1 챔버(100) 및 제2 챔버(200) 사이의 양 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의 필터(F)삽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필터 삽입부(300)는 필터 프레임(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 필터(F)가 구겨지지 않도록 구현되는 경우에는 미세먼지 필터(F)가 필터 삽입부(300)에 직접 결합될 수 있고, 미세먼지 필터(F)는 얇고 구겨지도록 구현되는 경우에는 미세먼지 필터(F)는 필터 프레임(310)에 결합된 후, 필터 프레임(310)이 필터 삽입부(300)에 결합될 수 있다.
필터 프레임(310)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미세먼지 필터(F)의 가장자리를 둘레를 따라 감쌀 수 있다. 필터 프레임(310)은 미세먼지 필터(F)를 평평하게 펴서 고정할 수 있다.
필터 프레임(310)은 필터 삽입부(300)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필터 삽입부(300)는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내부에 홈을 포함하고, 필터 프레임(310)은 상기 홈에 끼워지도록 세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프레임(310)은 복수의 프레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프레임(310)은 상부 프레임유닛(312)과 하부 프레임유닛(311)을 포함할 수 있다. 미세먼지 필터(F)는 하부 프레임유닛(311)에 먼저 결합된 후, 미세먼지 필터(F)에 상부 프레임유닛(312)이 결합될 수 있고, 하부 프레임유닛(311)과 상부 프레임유닛(312)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필터 삽입부(300)는 탄성확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확장부(320)는 다양한 두께의 미세먼지 필터(F)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필터(F) 삽입 시 양측으로 확장될 수 있다.
탄성확장부(320)는 사이 공간이 조절될 수 있는 한 쌍의 구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구조체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다가 사이 공간에 미세먼지 필터(F) 또는 필터 프레임(310)이 끼워지게 되면, 그 두께에 맞춰 서로 멀어질 수 있다. 다만, 탄성확장부(320)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한 쌍의 구조체는 탄성력에 의해 미세먼지 필터(F) 또는 필터 프레임(310)을 양면에서 가압하여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의 탄성확장부(3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필터 삽입부(300)를 위에서 본 모습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삽입부(300)의 양 단부가 탄성확장부(320)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a)와 같이 탄성확장부(320)는 안 쪽으로 모아져있으나, 도 5(b)와 같이 미세먼지 필터(F) 또는 필터 프레임(310)이 끼워지면 탄성확장부(320)는 바깥으로 벌어지되, 미세먼지 필터(F) 또는 필터 프레임(310)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확장부(320)는 독립적으로 형성되되 필터 삽입부(300)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필터 삽입부(300)는 형태를 계속 유지하되, 탄성확장부(320)는 변형될 수 있다. 도 5(c)와 같이 탄성확장부(320)는 안쪽으로 모아져있으나, 도 5(d)와 같이 미세먼지 필터(F) 또는 필터 프레임(310)이 끼워지면 탄성확장부(320)는 바깥으로 벌어지되, 미세먼지 필터(F) 또는 필터 프레임(310)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미세먼지 발생기(110), 제1 미세먼지측정기(120), 제2 미세먼지측정기(210), 체크밸브(V), 팬(220) 등과 연결되고, 이들을 제어하며, 제1 미세먼지측정기(120)와 제2 미세먼지측정기(210)의 측정값에 따라 미세먼지 필터(F)의 성능을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1 챔버(100) 내의 미세먼지량이 기준값 이상이 되도록 미세먼지 발생기(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미세먼지 발생기(110)의 미세먼지 발생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공기의 유동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체크밸브(V) 및/또는 팬(2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 발생기(110)가 충분한 미세먼지를 발생할 때까지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챔버(100) 내에 미세먼지량이 충분해지면, 제어부(400)는 체크밸브(V) 및/또는 팬(220)를 제어하여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1 미세먼지측정기(120)와 제2 미세먼지측정기(210)의 측정값에 따라 미세먼지 필터(F)의 성능을 계사할 수 있다. 미세먼지 필터(F)의 성능은, 제1 미세먼지측정기(120)의 측정값과 제2 미세먼지측정기(210)의 측정값의 차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별도의 표시부와 연결되고, 미세먼지 필터(F)의 성능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제1 챔버
110: 미세먼지 발생기
120: 제1 미세먼지측정기
200: 제2 챔버
210: 제2 미세먼지측정기
220: 팬
300: 필터 삽입부
310: 필터 프레임
320: 탄성확장부
F: 필터
400: 제어부

Claims (7)

  1. 미세먼지 발생기 및 내부의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제1 미세먼지측정기가 설치된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챔버의 공기가 이동할 수 있고, 내부의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제2 미세먼지측정기가 설치된 제2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 사이에 설치되고, 미세먼지 필터-상기 미세먼지 필터는 상기 제1 챔버의 공기가 상기 제2 챔버로 이동시 상기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여과함-가 교환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필터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삽입부는,
    다양한 두께의 미세먼지 필터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필터 삽입시 양측으로 확장될 수 있는 탄성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챔버는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는 공기 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는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챔버는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팬(fa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에는 도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의 내부의 부피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세먼지 측정기 및 상기 제2 미세먼지 측정기는 동일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
KR1020200121236A 2020-09-21 2020-09-21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 KR102406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236A KR102406026B1 (ko) 2020-09-21 2020-09-21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236A KR102406026B1 (ko) 2020-09-21 2020-09-21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884A true KR20220038884A (ko) 2022-03-29
KR102406026B1 KR102406026B1 (ko) 2022-06-08

Family

ID=80997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236A KR102406026B1 (ko) 2020-09-21 2020-09-21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0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718A (ko) 2021-06-10 2022-12-19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랙형 미세먼지 시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8050A (ko) 2022-07-11 2024-01-18 주식회사 마이크로원 Ptfe 멤브레인 성능 측정을 위한 윈도우 프레임 장치
KR102530482B1 (ko) * 2022-11-17 2023-05-09 (주)서용엔지니어링 정수처리시설 내 미세 유충 감지 장치
KR102579807B1 (ko) * 2022-11-17 2023-09-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중 미세플라스틱 시료 채취 및 전처리 통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료 채취 및 전처리 방법
KR102658795B1 (ko) * 2023-11-02 2024-04-17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마스크 검사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943B1 (ko) * 1999-01-19 2006-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필터 테스트장치
JP2006258425A (ja) * 2005-03-15 2006-09-28 Japan Vilene Co Ltd フィルタエレメントの品質を検査する方法、およびフィルタエレメントの品質検査装置
KR100714958B1 (ko) * 2005-07-25 2007-05-04 주식회사 가온솔루션 공기 청정용 필터 테스트용 챔버 시스템
KR100873410B1 (ko) * 2008-07-18 2008-12-11 에이치엔씨 시스템(주) 공기청정기의 집진성능 측정시스템
KR20180130691A (ko) * 2017-05-30 2018-12-10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폭발 부식성 분위기에서의 멀티시편 차압 및 부식특성 연속 시험장치
KR102025872B1 (ko) * 2018-09-06 2019-09-26 대영공조휠터(주) 고정식 필터 종합 시험 장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943B1 (ko) * 1999-01-19 2006-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필터 테스트장치
JP2006258425A (ja) * 2005-03-15 2006-09-28 Japan Vilene Co Ltd フィルタエレメントの品質を検査する方法、およびフィルタエレメントの品質検査装置
KR100714958B1 (ko) * 2005-07-25 2007-05-04 주식회사 가온솔루션 공기 청정용 필터 테스트용 챔버 시스템
KR100873410B1 (ko) * 2008-07-18 2008-12-11 에이치엔씨 시스템(주) 공기청정기의 집진성능 측정시스템
KR20180130691A (ko) * 2017-05-30 2018-12-10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폭발 부식성 분위기에서의 멀티시편 차압 및 부식특성 연속 시험장치
KR102025872B1 (ko) * 2018-09-06 2019-09-26 대영공조휠터(주) 고정식 필터 종합 시험 장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718A (ko) 2021-06-10 2022-12-19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랙형 미세먼지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026B1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6026B1 (ko)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
US8603229B2 (en) Multi-element structured arrays (MESA's) for cost effective and high efficiency treatment of fluids
US9360411B2 (en) Alternate inlet field testing apparatus
KR101504753B1 (ko) 방독면 필터 테스트 장치
WO2006083290A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CN103645063A (zh) 环境测试舱系统
Lehtimäki et al. Reliability of electret filters
DE102016202609A1 (de) Mobilgerät zum Bestimmen eines Bestandteils in Umgebungsluft
US10345215B1 (en) Filter test system
Mouret et al. Penetration of nanoparticles through fibrous filters perforated with defined pinholes
CN106390659A (zh) 一种高效除油除尘装置
KR20160113338A (ko) 정비공장용 비산먼지 포집 및 집진기
EP1901827A1 (de) Filtersystem und verfahren zu seinem betrieb
KR101671358B1 (ko) 다목적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
KR102251456B1 (ko) 정화 장치
KR102164220B1 (ko)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
Jung et al. Remov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indoor tobacco smoke particles using a room air cleaner
PL429143A1 (pl) Urządzenie filtracyjne
CN101915722B (zh) 生物安全屏障材料检测仪
KR102246684B1 (ko) 비부노출 흡입실험장치용 챔버 밀봉부재
Sothen et al. A semi-empirical pressure drop model: Part I—Pleated filters
Bahloul et al. Development of a procedure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ventilation filters for nanoparticles
CN214066872U (zh) 一种高效的颗粒物过滤测试仪
KR20180017702A (ko) 여과 집진 시스템 성능시험장치 및 방법
Jamriska et al. Investigation of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HEPA and ULPA filters in submicron particle size r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