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220B1 -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220B1
KR102164220B1 KR1020200021435A KR20200021435A KR102164220B1 KR 102164220 B1 KR102164220 B1 KR 102164220B1 KR 1020200021435 A KR1020200021435 A KR 1020200021435A KR 20200021435 A KR20200021435 A KR 20200021435A KR 102164220 B1 KR102164220 B1 KR 102164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test
air
weigh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래
Original Assignee
홍성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래 filed Critical 홍성래
Priority to KR1020200021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2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9Me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6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중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의 제조 시 필터의 미세먼지 누설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는, 테스트를 위하여 이동되는 공기의 유동 경로 상에 필터의 위치를 고정하는 필터 거치대; 필터의 테스트 전 무게와, 기설정된 제1 시간의 경과 후의 필터의 무게를 측정하여, 필터를 통해 여과된 유해물질의 무게를 산출함으로써, 단위 시간 동안 필터에 의하여 포집된 먼지의 중량을 측정하는 제1 테스트 모듈; 제1 테스트 모듈이 측정한 중량값이 기 설정된 임계 중량값 미만인 경우에만 동작되며, 필터를 통과하는 입자의 양,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 변화값 및 필터와 유동되는 공기의 접촉에 의하여 필터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제2 테스트 모듈; 및 제1 및 제2 테스트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1 및 제2 테스트 모듈로부터 측정된 값을 수신하며, 수신된 값 및 수신된 값을 이용하여 필터의 누설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TEST APPARATUS IN FILTER MANUFACTURING}
본 발명은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공기 중의 입자를 거르는 공기 청정 기기에서 사용되는 필터 제조 시, 필터의 공기 중 유해물질 포집 능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것으로써, 먼저, 유해물질을 포집하여 필터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고, 이상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경우, 필터에서 누설이 발생한 위치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점검 가능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필터의 누설 테스트의 정확도를 높이는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실내 공기를 청정하기 위한 기기는 공기를 빨아들여 미세한 먼지 또는 유해물질을 걸러내고, 깨끗해진 공기만 기기 밖으로 방출하는 집진 장치로써, 일반적으로는 내부의 필터(Filter)로써 입자를 걸러내어 매질을 깨끗하게 한다.
최근에는 대기 중의 미세먼지의 농도로 환경 내지는 건강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고, 산업 또한 고도화되어 감에 따라 청정 환경을 요구하는 분야가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추세로, 이에 맞추어 필터의 성능 또한 고기능의 필터가 요구되고 있고, 이에 맞추어 헤파(HEP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나, 울파(ULPA: Ultra Low Penetration Absolute) 필터가 더욱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헤파 필터는 인조섬유 재질로서 여과지는 주로 직경 1 ~ 10㎛ 이하의 유리 섬유로 되어 있고, 0.3㎛ 보다 크거나 같은 입자, 예를 들어 먼지,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을 포함하는 공기를 일회 통과시켜 99.97% 이상의 집진 효율을 나타내는 필터로서, 99% 이상 먼지나 불순물을 걸려서 정화하는 성능을 가지고, 울파 필터는 0.01~0.15㎛ 이상 크기의 불순물, 예를 들어 미세먼지, 바이러스, 라돈 및 각종 매연 등을 0.1㎛ 이상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가 1회 통과하여 99.9999% 까지 제거 가능한 필터로서, 헤파 필터 보다 더 미세한 불순물을 정화하는 특수 재질의 대전섬유로 만든 필터로서, 반도체 회사의 클린룸등에 사용된다.
이러한 헤파/울파 필터에 대해 제조 시 또는 사용 시에 성능 테스트를 실시하여 필터로써의 여과 기능의 수행 여부에 대해 검사하게 되는데, 이러한 테스트를 수행함에 있어 표준 검사로써 다양한 방법이 수행되고 있으나, 대개는 간단한 방법이 아닐뿐더러 이에 따라 검사 장비 또한 고가이기 때문에 필터의 성능을 테스트함에 있어서도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한편, 한국 등록 특허 제10-0664720호에서는, 검사가스의 압력이 에어필터에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하였으므로, 에어필터의 불균일한 처짐이나 불순물의 불균일에 의한 에어필터의 수명 단축을 방지하고, 검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검사를 용이하게 실시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 기술의 경우, 검사가스의 압력이 필터에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하는 간접적인 방식으로써 필터 검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로써, 직접적으로 필터의 성능 테스트 자체에 대해 정확성을 높이는 기술을 제시한 것으로는 보기 어렵고, 필터를 검사를 함에 있어서도 필터에 있어 정확히 어느 위치에 대한 문제인지에 대해서도 세부적으로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1차적으로는 공기 중의 유해물질을 포집함으로서 필터의 이상 여부를 먼저 파악하고,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필터에 대해 2차적으로 필터에 있어 정확히 어느 위치 또는 포인트에 대한 문제점인지 세부적으로 탐색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차적으로 공기 중의 유해물질을 포집하고, 2차적으로는 필터의 전체 영역 중 어느 일 지점 또는 포인트가 문제인지 탐색하는 모든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 2단계에 거쳐 정밀하게 필터의 문제 여부를 테스트함으로써 필터의 성능 테스트의 검사 방법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간단하게 필터의 성능 테스트를 함에 제2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중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의 제조 시 필터의 미세먼지 누설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는, 테스트를 위하여 이동되는 공기의 유동 경로 상에 필터의 위치를 고정하는 필터 거치대; 필터의 테스트 전 무게와, 기설정된 제1 시간의 경과 후의 필터의 무게를 측정하여, 필터를 통해 여과된 유해물질의 무게를 산출함으로써, 단위 시간 동안 필터에 의하여 포집된 먼지의 중량을 측정하는 제1 테스트 모듈; 상기 제1 테스트 모듈이 측정한 중량값이 기 설정된 임계 중량값 미만인 경우에만 동작되며, 필터를 통과하는 입자의 양,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 변화값 및 필터와 유동되는 공기의 접촉에 의하여 필터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제2 테스트 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테스트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1 및 제2 테스트 모듈로부터 측정된 값을 수신하며, 수신된 값 및 수신된 값을 이용하여 상기 필터의 누설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테스트 모듈은, 필터의 양 단면 중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일면측에 상기 필터와 이격 배치된 토출부를 통해 테스트용 유체를 포함하는 물질을 토출하는 전면 모듈과, 상기 필터의 양 단면 중 공기가 배출되는 다른 일면측에 이격 배치된 상기 전면 모듈로부터 토출되어 필터를 통해 여과된 유체를 포함하는 물질의 양을 센서부를 통해 측정하는 후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 거치대는, 필터의 폭과 같거나 더 큰 간격을 두어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프레임; 및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둘 이상의 상기 제1 프레임의 한 쌍의 프레임 각각에 의하여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센서부가 이동 가능한 상태로 부착됨으로써, 상기 센서부가 직교되는 두 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 프레임;을 가지는 이동프레임을 상기 필터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는, 직교되는 두 축 방향으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됨으로써, 필터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설정된 가상의 좌표로써, 필터의 각 위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가상의 좌표인 하나 이상의 체크 포인트에 이동하여 체크 포인트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필터를 통과하는 입자의 양,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 변화값 및 필터와 유동되는 공기의 접촉에 의하여 필터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체크 포인트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동작됨에 따라서, 각 체크 포인트에 대응되는 필터의 위치에서의 누설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이동시키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차적으로는 공기 중의 유해물질을 포집함으로서 필터의 이상 여부를 먼저 파악하고,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필터에 대해 2차적으로 필터에 있어 정확히 어느 위치 또는 포인트에 대한 문제점인지 세부적으로 탐색 가능하도록 하여 필터를 전체적으로 정밀하게 복수의 단계로써 검사하여 성능 테스트 자체의 신뢰도를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차적으로 공기 중의 유해물질을 포집하고, 2차적으로는 필터의 전체 영역 중 어느 일 지점 또는 포인트가 문제인지 탐색하는 모든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 2단계에 거쳐 정밀하게 필터의 문제 여부를 테스트함으로써 필터의 성능 테스트의 검사 방법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면서도 각 단계에서 수행하는 검사의 방식이 복잡하지 않고 간단한 설비로써도 진행이 가능하여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간단하게 필터의 성능 테스트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의 제2 테스트 모듈의 일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의 이동프레임 구조의 일 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의 제2 테스트 모듈이 이동하는 경로의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의 프로세서가 각 구성들과 연결되는 구성도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은 공기 중의 입자를 거르는 공기 청정 기기에서 사용되는 필터 제조 시, 필터의 공기 중 유해물질 포집 능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것으로써, 먼저, 유해물질을 포집하여 필터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고, 이상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경우, 필터에서 누설이 발생한 위치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점검 가능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필터의 누설 테스트의 정확도를 높이는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1차적으로는 공기 중의 유해물질을 포집함으로서 필터의 이상 여부를 먼저 파악하고,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필터에 대해 2차적으로 필터에 있어 정확히 어느 위치 또는 포인트에 대한 문제점인지 세부적으로 탐색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제1 목적이, 1차적으로 공기 중의 유해물질을 포집하고, 2차적으로는 필터의 전체 영역 중 어느 일 지점 또는 포인트가 문제인지 탐색하는 모든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 2단계에 거쳐 정밀하게 필터의 문제 여부를 테스트함으로써 필터의 성능 테스트의 검사 방법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간단하게 필터의 성능 테스트를 함에 제2 목적이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도시 사항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의 제2 테스트 모듈의 일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의 이동프레임 구조의 일 예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의 제2 테스트 모듈이 이동하는 경로의 일 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의 프로세서가 각 구성들과 연결되는 구성도의 일 예이다.
상술한 도면을 함께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는 구체적으로 필터 거치대, 제1 테스트 모듈(20), 제2 테스트 모듈(30) 및 프로세서(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가리키는 필터(10)는 모든 공기 중의 유해물질을 여과 가능한 필터(10)를 가리키나, 특히 본 발명은 고기능의 필터(10)인 헤파(HEP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나, 울파(ULPA: Ultra Low Penetration Absolute) 필터의 성능을 테스트할 시에 더 이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헤파 필터는 인조섬유 재질로서 여과지는 주로 직경 1 ~ 10㎛ 이하의 유리 섬유로 되어 있고, 0.3㎛ 보다 크거나 같은 입자, 예를 들어 먼지,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을 포함하는 공기를 일회 통과시켜 99.97% 이상의 집진 효율을 나타내는 필터로서, 99% 이상 먼지나 불순물을 걸려서 정화하는 성능을 가지고, 울파 필터는 0.01~0.15㎛ 이상 크기의 불순물, 예를 들어 미세먼지, 바이러스, 라돈 및 각종 매연 등을 0.1㎛ 이상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가 1회 통과하여 99.9999% 까지 제거 가능한 필터로서, 헤파 필터 보다 더 미세한 불순물을 정화하는 특수 재질의 대전섬유로 만든 필터로서, 반도체 회사의 클린룸등에 사용된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여러 단계로써 필터(10)를 정밀하게 테스트하는 장치로써 특히나 고성능의 여과 능력을 요구하는 상술한 헤파 필터나 울파 필터를 테스트함에 더욱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각 구성들을 도 1을 통해 설명하면, 본 발명은 공기 중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10)의 제조 시 필터(10)의 미세먼지 누설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는 테스트를 위하여 이동되는 공기의 유동 경로 상에 필터(10)의 위치를 고정하는 필터 거치대가 있다.
물론, 상술한 필터 거치대를 사용하여 필터(10)의 위치를 고정함에 있어 필터(10)의 한 면 전체를 고정하거나, 양 측면을 고정하거나 또는 일 영역에 대해 고정하거나 하는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써 필터 거치대의 형태를 변형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필터(10)를 고정한 뒤에 성능 테스트를 수행함에 있어서, 먼저 필터(10)의 테스트 전 무게와, 기설정된 제1 시간의 경과 후의 필터(10)의 무게를 측정하여, 필터(10)를 통해 여과된 유해물질의 무게를 산출함으로써, 단위 시간 동안 필터(10)에 의하여 포집된 먼지의 중량을 측정하는 제1 테스트 모듈(20), 제1 테스트 모듈(20)이 측정한 중량값이 기 설정된 임계 중량값 미만인 경우에만 동작되며, 필터(10)를 통과하는 입자의 양, 필터(10)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 변화값 및 필터(10)와 유동되는 공기의 접촉에 의하여 필터(1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부(312)를 포함하는 제2 테스트 모듈(30)을 통해 2단계로써 필터(10)의 성능 테스트를 수행한다. 또한, 제1 테스트 모듈(20) 및 제2 테스트 모듈(30)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1 테스트 모듈(20) 및 제2 테스트 모듈(30)로부터 측정된 값을 수신하며, 수신된 값 및 수신된 값을 이용하여 필터(10)의 누설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를 사용자 단말(50)에 전송하는 프로세서(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필터에 대해 성능 테스트를 함에 있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에어로졸을 분산시켜 필터의 상류측으로 보내고, 검출기(입자 계수기)로부터 측정한 필터의 상류(여과 전) 및 하류(여과 후)에서의 계수값으로부터 필터효율을 측정하는 방법인 계수법, 필터를 최초 사용 시 필터 전 후면에 발생된 압력손실의 측정값을 구하는 초기압력손실 측정 방법, 장비설계 값에 정확히 부합되어 장비를 통하여 공급할 수 있는 단위시간당 공기의 부피량(㎥/min)을 측정하는 풍량 측정법, 필터가 연속된 모양의 파형으로 골과 마루로 형성되어 있을 때, 등 간격을 이루고 있는 골 또는 마루의 수를 구하는 산수법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계수값을 구하는 측정법은 시험용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발생기에 의해 입자 지름 0.3 ㎛의 에어로졸을 함유하는 다분산 에어로졸을 사용하여 청정공기를 공급하고 하류쪽의 입자 농도가 규정된 입자 포집효율을 유효하게 측정하는데 필요한 충분히 작은 백그라운드 값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한다. 값을 구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η = [1 - Cd / Cu] x 100
상술한 수식에서 η은 필터 유닛의 입자 포집효율(%), Cu는 0.3 ㎛가 입자 지름 구분의 중앙에 위치하는 채널에서의 필터 유닛 상류쪽(여과 전) 계수값, Cd는 0.3 ㎛가 입자 지름 구분의 중앙에 위치하는 채널에서의 필터 유닛 하류쪽(여과 후) 계수값이다.
또한, 초기 압력 손실은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써 값을 구한다.
ΔP = SP1 - SP2
상술한 수식에서 ΔP는 초기압력손실(mmAq), SP1는 상류쪽(여과 전) 정압(mmAq), SP2는 하류쪽(여과 후) 정압(mmAq)을 가리킨다.
이외에도 임펙터 또는 사이크론 방식을 이용하여 미세 입자를 분리하고, 필터에 먼지를 포집한 뒤 베타선소스를 투과하여 투과도를 측정하고, 투과도를 무게로 정량화하는 베타선 법, 입자가 광학 챔버에 들어오면 레이져와 만나는데 이때 산란광이 만들어지는데, 입자의 반짝거리는 크기를 가지고 입자 사이즈를 결정하며 반짝거리는 개수를 헤아려 입자의 사이즈별 갯수를 측정하는 광산란 방식이 있는데 대개 이러한 방식은 일정한 장비가 요구되어 측정하는데 비용이 크게 소요된다.
본 발명의 제1 테스트 모듈(20)은 특히 여과된 공기 중의 유해물질을 포집하여 그 중량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중량법은 임펙터 또는 사이크론 방식을 이용하여 미세 입자를 분리하고, 사이즈 2마이크로 이하 여과지에 먼지를 포집하고, 여과지에 포집 전후 무게를 이용 순수한 먼지의 무게를 구한 뒤, 포집 총유량 값을 계산하여 산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중량법을 이용하되, 필터(10)의 테스트 전 무게와, 기설정된 제1 시간의 경과 후의 필터(10)의 무게를 측정하여, 필터(10)를 통해 여과된 유해물질의 무게를 산출함으로써, 단위 시간 동안 필터(10)에 의하여 포집된 먼지의 중량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여과지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단위 시간, 즉 제1 시간동안의 필터(10)의 무게를 측정하는 것은, 실시간으로 중량을 측정하게 될 경우에는 시간대에 따라 다른 유해물질의 농도 또는 대기 중,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유해물질의 정도가 서로 다를 수 있고 이외의 다양한 이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실시간으로 측정된 중량값을 통해서는 필터(10)의 성능을 곧바로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은 제1 시간 동안의 포집된 중량값을 통해 이를 단위 시간 동안 평균적으로 포집된 유해물질의 양이라 간주함으로써 필터(10)의 평균적인 여과 성능을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으로, 상술한 제2 테스트 모듈(30)이 제1 테스트 모듈(20)이 측정한 중량값이 기 설정된 임계 중량값 미만인 경우에만 동작됨으로써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필터(10)에 대해서는 부가적으로 별도의 테스트를 하지 않아도 되어 노력 또는 제2 테스트 모듈(30) 구동 시 예상되는 비용 등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임계 중량값을 이용함에 있어, 임계 중량값은 주변 환경에서 측정된 평균 유해물질 농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이는, 환경에 따라 유해물질의 농도의 정도가 서로 다르므로, 포집된 유해물질의 중량값이 같다 하더라도 필터(10)가 서로 다른 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장소에서 동일하게 1g씩의 유해물질이 포집되었다 하더라도, 어느 곳은 비교적 청정한 지역에서 포집된 유해물질의 양일 수 있고, 한편으로는 유해물질이 심한 곳에서 포집된 유해물질의 양일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후자의 장소의 필터(10)가 더욱 효율이 좋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필터(10)를 통해 여과되는 유해물질의 농도의 비율이 중요한 것으로, 이렇듯, 서로 다른 환경에 따라 동일하게 일률적인 임계 중량값을 적용하기 어려울 수가 있어 주변 환경에 따라 임계 중량값을 변경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제2 테스트 모듈(30)은 필터(10)를 통과하는 입자의 양, 필터(10)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 변화값 및 필터(10)와 유동되는 공기의 접촉에 의하여 필터(1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부(312)를 포함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측정법을 활용할 수는 있으나, 비교적 비용과 노력이 크게 요구되는 광산란법 등 보다는 간단하게 측정 가능한 풍량 변화값, 압력의 크기 등을 측정하는 방식을 우선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2 테스트 모듈(30)은 필터의 양 단면 중 공기가 유입되는 일면측에 필터와 이격 배치된 토출부(311, 313)를 통해 테스트용 유체를 포함하는 물질을 토출하는 전면 모듈(31)과, 필터의 양 단면 중 공기가 배출되는 다른 일면측에 이격 배치된 전면 모듈(31)로부터 토출되어 필터를 통해 여과된 유체를 포함하는 물질의 양을 센서부(312)를 통해 측정하는 후면 모듈(32)을 포함한다.
도 2를 통해 알 수 있듯, 본 발명은 성능 테스트 방식을 한정하지 않으므로, 도 2의 (a)와 같은 형태로써는 토출부(311, 313)를 통해 바람을 공급할 수 있고, (b)와 같은 형태로써는 토출부(311, 313)를 통해 에어로졸을 분사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도 2와 같이 전면 모듈(31) 또는 후면 모듈(32)은 토출부(311, 313)와 센서부(312)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전면 모듈(31)은 토출부(311, 313)만을, 후면 모듈(32)은 센서부(312)만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전면 모듈(31)과 후면 모듈(32)은,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되었듯, 필터의 공기가 유입되는 일면측과 공기가 배출되는 다른 일면측에 각각 하나씩 둘 수 있고, 전면 모듈(31)을 통해 유체를 토출하고, 전면 모듈(31)로부터 토출되어 여과된 유체를 센서부(312)를 통해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제2 테스트 모듈(30)을 통해 상술한 방식의 필터의 성능 테스트가 가능한 것은 필터 거치대에 후술할 이동프레임(50)이 더 포함되어 있음을 통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필터(10) 거치대는 필터(10)의 폭과 같거나 더 큰 간격을 두어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51) 및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둘 이상의 제1 프레임(51)의 한 쌍의 프레임 각각에 의하여 지지되는 동시에 제1 프레임(51)의 길이 방향(d1)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센서부(312) 또는 후면 모듈(32)이 이동 가능한 상태로 부착됨으로써, 센서부(312)가 직교되는 두 축 방향(d1, d2)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 프레임(52)을 가지는 이동프레임(50)을 필터(10)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다시 말해, 필터(10) 전면부는 상술한 필터(10)의 양 단면 중 공기가 유입되는 일면측이고, 필터(10) 후면부는 필터(10)의 양 단면 중 공기가 배출되는 다른 일면측으로, 이동프레임(50)이 상술한 필터(10)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하나씩 있는 경우, 필터(10) 전면부에 위치된 이동프레임(50)은 전면 모듈(31)을 포함하고, 필터(10) 후면부에 위치된 이동프레임(50)은 도 3과 같이 후면 모듈(32)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동프레임(50)을 단 하나만 둘 경우에는 필터(10) 후면부에 위치하여 후면 모듈(32)을 포함함으로써 센서부(312)를 통해 필터(10)의 성능 테스트를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이동프레임(50)의 움직임을 통한 제2 테스트 모듈(30)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면, 센서부(312)는 직교되는 두 축 방향(d1, d2)으로 프로세서(40)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됨으로써, 필터(10)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설정된 가상의 좌표로써, 필터(10)의 각 위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가상의 좌표인 하나 이상의 체크 포인트에 이동하여 체크 포인트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필터(10)를 통과하는 입자의 양, 필터(10)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 변화값 및 필터(10)와 유동되는 공기의 접촉에 의하여 필터(1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한다.
일 예로, 도 4에서는 가상의 좌표로써 P1부터 P4까지 체크 포인트가 설정된 것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필터(10) 전면부에서는 직교되는 두 축 방향(d1, d2)으로 프로세서(40)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된 전면 모듈(31)이 P1의 지점에서 정지한 뒤, 토출부(311, 312)를 통해 유체를 토출하면, 동시에 또는 단위 시간차를 두고 필터(10) 후면부에서는 직교되는 두 축 방향(d1, d2)으로 프로세서(40)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된 후면 모듈(32) 또한 P1에서 정지하여 전면 모듈(31)이 일 시점에 P1의 일 지점에서 토출하여 여과된 유체를 측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로써 P1부터 시작하여 P4까지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필터(10)의 체크 포인트들을 탐색하면서 측정하게 되고, P1 내지 P4 중에서도 필터(10)를 통과하는 입자의 양, 필터(10)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 변화값 및 필터(10)와 유동되는 공기의 접촉에 의하여 필터(1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가 필터(10) 전면부와 비교하였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없어 여과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좌표를 찾는 것이다.
만약, P1부터 P4까지의 일 영역 상으로는 필터(10)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탐색이 될 시에는, 다른 체크 포인트를 재설정함으로써 이상이 있는 필터(10)의 일 영역을 재탐색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체크 포인트를 재설정함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판단하여 수동으로 재설정하거나, 기 설정된 규칙적인 패턴 또는 프로세서(40)가 임의로 특정 좌표를 재산출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재설정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술한 이동프레임(50)은 센서부(312) 및 제2 프레임(52)을 이동시키며, 프로세서(40)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모터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술한 직교되는 두 축 방향(d1, d2)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으로, 도 5에서 알 수 있듯, 프로세서(40)는 상술한 제1 테스트 모듈(20) 및 제2 테스트 모듈(30)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1 테스트 모듈(20) 및 제2 테스트 모듈(30)로부터 측정된 값을 최대한 수신하며, 수신된 값 및 수신된 값을 이용하여 필터(10)의 누설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를 사용자 단말(50)에 전송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50)에 전송하는 데이터들은 제1 테스트 모듈(20) 및 제2 테스트 모듈(30)로부터 포집된 중량값, 전면 모듈(31)의 토출부(311, 313)를 통해 토출된 유체의 양 또는 압력 크기 등과 후면 모듈(32)의 센서부(312)를 통해 감지된 여과된 이후의 유체의 양 또는 압력 크기 등의 차이값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테스트 모듈(20)의 결과값(예를 들어, 필터(10)의 이상 여부, 중량값)과 제2 테스트 모듈(30)의 결과값(예를 들어, 상술한 차이값 또는 필터(10)의 이상이 있는 것으로 예측되는 체크 포인트의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하여 산출될 수 있는 모든 데이터들을 종합하여 판단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50)에 데이터 전체 또는 결과만을 포함하는 정제된 데이터들을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1과 같이 제1 테스트 모듈(20) 또한 프로세서(4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40)에 측정된 값들을 전송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른 일 예로, 제2 테스트 모듈(30)에서의 센서부(3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자의 양, 풍량, 압력의 크기를 센싱하는 센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특히 센서의 종류가 둘 이상이 포함되어 사용되는 경우, 각 센서부(312) 또는 후면 모듈(32)마다 제2 프레임(52)이 별도로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단위 시간 동안 하나 이상의 각 제2 프레임(52)마다 서로 다른 체크 포인트 간에 이동 가능하도록 그 이동량이 프로세서(40)에 의해 이동의 방향이 겹치거나 겹치지 않도록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서 동일한 시점에 서로 다르거나 인접한 체크 포인트에서 각 센서부(312)가 필터(10)를 센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를 통해 예를 들자면, 동일한 시점에 입자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후면 모듈(32)은 P4를 측정하고, 풍량을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후면 모듈(32)는 P1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종류의 센서로써 동일한 체크 포인트에 대한 중복 체크 또한 가능하므로, 필터(10)의 이상 유무에 대해 더욱 정확하게 판단 가능하고, 이상이 있는 위치를 추적함에 있어서는 더욱 정밀하게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동일한 체크 포인트에 서로 다른 종류의 센서를 통해 이상 유무를 측정하는 경우, 측정 시마다 센서들을 통해 판단된 결과값을 프로세서(40)를 통해 저장 및 비교하여, 하나의 종류의 센서가 다른 센서들과 비교하였을 때 다른 결과값 또는 판단결과 데이터를 산출할 시, 센서의 고장 유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결과값들의 이력을 프로세서(40)에 축적할 경우, 필터(10)의 성능을 측정함에 있어 어떠한 종류의 센서가 가장 높은 정확도로써 필터(10)의 이상 유무 또는 유체의 누설의 정도를 센싱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필터(10)의 성능을 테스트함에 있어 가장 낮은 정확도를 나타내는 센서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써, 센서부(312)의 이동에 있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40)는 센서부(312)가 체크 포인트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동작됨에 따라서, 각 체크 포인트에 대응되는 필터(10)의 위치에서의 누설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를 사용자 단말(5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50)을 통해 사용자는 수신된 정보를 통해, 필터(10)의 어느 일 영역에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필터(10)에 대한 다수의 점검 후, 점검 이력을 분석하여 필터(10)에 발생한 체크 포인트 상의 문제가 공정 중 발생된 공통적인 문제인지 또는 특정 필터(10)에 한하여 발생한 개별적인 문제인지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는 제1 테스트 모듈(20) 및 제2 테스트 모듈(30)과 프로세서(40)들의 작동과 제어들을 통하여 1차적으로 공기 중의 유해물질을 포집하고, 2차적으로는 필터(10)의 전체 영역 중 어느 일 지점 또는 포인트가 문제인지 탐색하는 모든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 2단계에 거쳐 정밀하게 필터(10)의 문제 여부를 테스트함으로써 필터(10)의 성능 테스트의 검사 방법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면서도 각 단계에서 수행하는 검사의 방식이 복잡하지 않고 간단한 설비로써도 진행이 가능하여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간단하게 필터(10)의 성능 테스트가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 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공기 중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의 제조 시 필터의 미세먼지 누설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는,
    테스트를 위하여 이동되는 공기의 유동 경로 상에 필터의 위치를 고정하는 필터 거치대;
    필터의 테스트 전 무게와, 기설정된 제1 시간의 경과 후의 필터의 무게를 측정하여, 필터를 통해 여과된 유해물질의 무게를 산출함으로써, 단위 시간 동안 필터에 의하여 포집된 먼지의 중량을 측정하는 제1 테스트 모듈;
    상기 제1 테스트 모듈이 측정한 중량값이 기 설정된 임계 중량값 미만인 경우에만 동작되며, 필터를 통과하는 입자의 양,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 변화값 및 필터와 유동되는 공기의 접촉에 의하여 필터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제2 테스트 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테스트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1 및 제2 테스트 모듈로부터 측정된 값을 수신하며, 수신된 값 및 수신된 값을 이용하여 상기 필터의 누설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거치대는,
    필터의 폭과 같거나 더 큰 간격을 두어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프레임; 및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둘 이상의 상기 제1 프레임의 한 쌍의 프레임 각각에 의하여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센서부가 이동 가능한 상태로 부착됨으로써, 상기 센서부가 직교되는 두 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 프레임;을 가지는 이동프레임을 상기 필터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직교되는 두 축 방향으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됨으로써, 필터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설정된 가상의 좌표로써, 필터의 각 위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가상의 좌표인 하나 이상의 체크 포인트에 이동하여 체크 포인트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필터를 통과하는 입자의 양,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 변화값 및 필터와 유동되는 공기의 접촉에 의하여 필터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체크 포인트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동작됨에 따라서, 각 체크 포인트에 대응되는 필터의 위치에서의 누설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를 적어도 상기 프로세서에 축적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스트 모듈은,
    필터의 양 단면 중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일면측에 상기 필터와 이격 배치된 토출부를 통해 테스트용 유체를 포함하는 물질을 토출하는 전면 모듈과, 상기 필터의 양 단면 중 공기가 배출되는 다른 일면측에 이격 배치된 상기 전면 모듈로부터 토출되어 필터를 통해 여과된 유체를 포함하는 물질의 양을 센서부를 통해 측정하는 후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이동시키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
KR1020200021435A 2020-02-21 2020-02-21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 KR102164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435A KR102164220B1 (ko) 2020-02-21 2020-02-21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435A KR102164220B1 (ko) 2020-02-21 2020-02-21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220B1 true KR102164220B1 (ko) 2020-10-12

Family

ID=72886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435A KR102164220B1 (ko) 2020-02-21 2020-02-21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2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5005A (ko) * 2021-05-14 2022-11-22 최승원 파티클 카운터 모듈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6310A (ja) * 1997-01-24 1998-08-07 Nippon Cambridge Filter Kk エアフィルタテスト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テスト装置
JP2005147873A (ja) * 2003-11-17 2005-06-09 Saishori Kiki Kk エアフィルタ試験装置
JP2015049159A (ja) * 2013-09-02 2015-03-16 大成建設株式会社 検査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6310A (ja) * 1997-01-24 1998-08-07 Nippon Cambridge Filter Kk エアフィルタテスト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テスト装置
JP2005147873A (ja) * 2003-11-17 2005-06-09 Saishori Kiki Kk エアフィルタ試験装置
JP2015049159A (ja) * 2013-09-02 2015-03-16 大成建設株式会社 検査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5005A (ko) * 2021-05-14 2022-11-22 최승원 파티클 카운터 모듈 및 시스템
KR102497459B1 (ko) 2021-05-14 2023-02-07 최승원 파티클 카운터 모듈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3844B2 (ja) センサシステム及びセンサ方法
CN102706780B (zh) 空气微小颗粒物监测仪器
EP2220629B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on verification of an optical particle counter
CN203101227U (zh) 一种适用于高湿度环境的pm2.5监测仪
US8192523B1 (e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charged particles in a sampled aerosol
KR20110001844A (ko) 방지시설 관리방법 및 방지시설 관리 시스템
WO2011106840A1 (en) Particle precipitator
KR102164220B1 (ko) 필터 제조 시의 테스트 장치
CN109269013A (zh) 滤芯的寿命监测方法和装置
KR20180080752A (ko) 매연측정장치
KR101514300B1 (ko) 크린룸 사용필터의 필터링 성능 측정장치 및 방법
EP0993599B1 (en) Dust detector tube
US80122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eaks in bashouse bags
CN108700316A (zh) 包括空气过滤器寿命指示器的空气净化器和用于确定空气过滤器的寿命的方法
CN102762972B (zh) 用于确定散射光测量设备的测量结果质量的方法和装置
KR101523658B1 (ko) 형광 에어로졸을 이용한 필터류의 입자 투과 성능 평가 시험 방법 및 장치
US8189178B2 (en) Method for multi-spectral detection of aerosols
US5072626A (en) Measurement of ultrafine particle size distributions
CN101934178B (zh) 用于管理空气污染防治装置的方法及系统
Yang et al. An integrated system for automated measurement of airborne pollen based on electrostatic enrichment and image analysis with machine vision
CN101876583A (zh) 滤压式布袋除尘器检漏仪
Jung et al. Remov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indoor tobacco smoke particles using a room air cleaner
CN207472723U (zh) 一种具有自归零校准的粒子浓度检测系统
CN207408299U (zh) 用于检测熏蒸剂的便携快速检测仪
CN108508163A (zh) 一种高精度空气检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