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7152A - 밴딩바지 - Google Patents

밴딩바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7152A
KR20220037152A KR1020200119749A KR20200119749A KR20220037152A KR 20220037152 A KR20220037152 A KR 20220037152A KR 1020200119749 A KR1020200119749 A KR 1020200119749A KR 20200119749 A KR20200119749 A KR 20200119749A KR 20220037152 A KR20220037152 A KR 20220037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pants
sewn
banding
waist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민
Priority to KR1020200119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7152A/ko
Publication of KR20220037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1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02Free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2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밴딩바지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허리 사이즈에 맞게 허리단의 길이가 탄력 조절되는 밴딩바지로서, 상기 허리단이 제1 허리단과 제2 허리단으로 구분되게 구성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허리단의 양 단부에는 터널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허리단의 양 단은 상기 터널부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허리단의 내면에 위치한 채, 일단은 상기 제1 허리단의 터널부 내측에 봉재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허리단의 내면에 봉재되는 탄성밴드를 더 포함하고; 밴딩바지의 안쪽 양 옆에 위치하는 옆주머니의 상단은 상기 제1 허리단과 제2 허리단에 걸쳐 봉재되되, 상기 옆주머니의 상단에는 상기 탄성밴드가 인장될 때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부가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옆주머니의 안쪽면에 상기 절개부가 가려지도록 덧대어지되, 한 쪽은 상기 절개부의 일측에 봉재되고, 다른 한 쪽은 절개부의 다른 일측에 봉재되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거나 오므려짐에 따라 인장 및 수축되는 가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밴딩바지{banding pants}
본 발명은 허리단이 사용자의 허리 사이즈에 맞게 탄력적으로 신축 조절되는 밴딩바지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허리단의 신축량에 따라 옆주머니의 상단도 함께 신축되도록 하되, 신축을 위해 절개된 부위를 신축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차폐되게 한 밴딩바지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개시하지 않는 한, 이 섹션에서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되었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단정해서는 안된다라는 점을 미리 전제한다.
기성바지의 허리단은 맞춤바지와 달리, 소비자의 연령 및 성별에 따라 표준적인 신체치수(통계치수)를 근거하여 기계적으로 제작되므로 다양한 신체치수와 다양한 상황들을 모두 반영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할 것이다.
이에 따라, 허리체형이 표준치수 보다 크거나 작은 소비자들을 위하여 바지의 허릿단을 해당 소비자의 허리 사이즈에 맞게 신축되도록 한 선행문헌들이 개시되어 있다. 예컨대, 실용신안등록공보 제0270959호(바지용 허리단 신축이음구조), 실용신안등록공보 제0345347호(프리 사이즈 바지), 실용신안등록공보 제0412019호(바지 허리길이 조절구조) 및 실용신안등록공보 제0480598호(신축성 바지) 등이 그것들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에 개시된 신축성 바지는 내부에 삽입된 탄성밴드가 쉽게 변형되므로 신축기능의 지속성이 짧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바지 착용자의 체형변화에 따라 허리단의 사이즈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바지를 제공함으로서, 과식 등으로 인한 복부팽창시 자체 신축성으로 압박감을 해소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신축 변형되는 허리단이 외부에서 인식할 수 없도록 하여 허리사이즈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외관의 변형이 노출되지 않은 물론, 내부에 삽입되는 신축밴드의 내구성을 높인 개선된 바지의 출현이 요구되고 있다.
1.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78559호(2015.10.13) 2.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353687호(2004.06.08) 3.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79015호(2015.12.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지 착용자의 체형에 맞게 허리단의 사이즈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과식 등으로 인한 복부팽만 시, 자체 신축에 의한 압박감을 해소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밴딩바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허리단의 신축에 맞춰 주머니의 상단도 함께 신축되도록 함으로써 신축의 원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밴딩바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머니 상단의 신축 효과를 위해 절개된 부위를 차폐함으로써 주머니 내의 물건이 유실되는 문제 및 손가락 걸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밴딩바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에 따라, 사용자의 허리 사이즈에 맞게 허리단의 길이가 탄력 조절되는 밴딩바지로서, 상기 허리단이 제1 허리단과 제2 허리단으로 구분되게 구성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허리단의 양 단부에는 터널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허리단의 양 단은 상기 터널부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허리단의 내면에 위치한 채, 일단은 상기 제2 허리단의 터널부 내측에 봉재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허리단의 내면에 봉재되는 탄성밴드를 더 포함하고;밴딩바지의 안쪽 양 옆에 위치하는 옆주머니의 상단은 상기 제1 허리단과 제2 허리단에 걸쳐 봉재되되, 상기 옆주머니의 상단에는 상기 탄성밴드가 인장될 때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부가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옆주머니의 안족면에 상기 절개부가 가려지도록 덧대어지되, 한 쪽은 상기 절개부의 일측에 봉재되고, 다른 한 쪽은 절개부의 다른 일측에 봉재되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거나 오므려짐에 따라 인장 및 수축되는 가리개를 더 포함하는 밴딩바지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리개는 인장 및 수축을 위해 주름부 또는 접철부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리개는, 상기 절개부 상에 위치하여, 절개부를 가리고 있는 주름부; 상기 주름부의 양 쪽에 마련되는 제1, 2 비주름부; 및 상기 제1, 2 비주름부의 외향측 말단을 수직방향으로 상기 옆주머니에 봉재하여 고정시켜주는 봉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리개는, 상기 절개부를 덮어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갖는 탄성소재의 가림부; 및 상기 가림부의 가장자리를 봉재하는 봉재부를 포함하되, 상기 봉재부 중, 상측 및 하측 봉재부에는 상기 절개부 영역과 중첩되는 부위는 봉재되지 않은 비봉재부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바지 착용자의 체형에 맞게 허리단의 사이즈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과식 등으로 인한 복부팽만 시, 자체 신축에 의한 압박감을 해소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옆주머니가 허리단에 봉재되는 관계로 옆주머니의 상단이 신축되지 않으면 허리단의 신축에도 제한이 따르므로, 옆주머니 상단에 허리단의 신축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도록 개선함으로써 허리단의 신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옆주머니의 상단에 신축을 위해 절개된 부위를 신축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차폐함으로써 주머니 내의 물건이 유실되거나 손가락이 걸리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허리단이 신축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밴딩바지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밴딩바지의 신축부 구조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리개의 제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리개의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리개의 제3 실시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 1은 허리단이 신축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밴딩바지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밴딩바지의 신축부 구조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1 및 2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밴딩바지(100)는 사용자의 허리 사이즈에 맞게 허리단(200)의 길이를 탄력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반 고무줄 바지와는 차별 된다.
상기 허리단(200)의 탄력 조절을 위해 허리단(200)의 양 측에 탄력 조절부(3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력 조절부(300)는 상기 허리단(200)이 제1 허리단(210)과 제2 허리단(220)으로 구성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허리단(210)은 사용자 허리의 뒷부분 및 양 옆부분을 감싸는 부위로서, 그 양 단부에 터널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허리단(220)은 사용자 허리의 앞부분 및 양 옆부분 일부를 감싸는 부위로서, 상기 제2 허리단의 양 단은 상기 대응하는 각 터널부(211)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력 조절부(300)는 상기 제2 허리단(220)의 내면에 중첩되게 위치한 채, 일단은 상기 제1 허리단(210)의 터널부(211) 내측에 봉재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허리단(220)의 내면에 봉재되는 탄성밴드(31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허리가 늘어나면 늘어난 양 만큼 상기 탄성밴드(310)가 인장되고, 인장되는 탄성밴드(310)는 그 일단은 상기 터널부(211)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타단에 봉재된 제2 허리단(220)을 제1 허리단(210)의 터널부(211)로 부터 인출되게 함으로써 허리단(200)의 길이를 늘릴 수 있게 된다. 반대의 경우는 위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밴딩바지(100)는 그 안쪽 양 옆에 위치하는 옆주머니(400)의 상단이 상기 제1 허리단(210)과 제2 허리단(220)에 걸쳐 봉재된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옆주머니(400) 자체가 탄성소재로 되지 않는 한, 상기 허리단(200)이 신축될 때 방해요소가 된다. 다시 말하면, 허리단(200)은 신축되지만 이에 봉재된 옆주머니(400)가 신축되지 않는다면 허리단의 신축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상기 옆주머니(400)의 상단에는 상기 탄성밴드(310)가 인장될 때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부(41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옆주머니(400)의 상부를 절개부(410)를 기점으로 양쪽으로 분할시킴으로써 허리단의 신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옆주머니(400)의 절개부(410) 일측 영역은 상기 제2 허리단(220)에 봉재되고, 절개부(410)의 타측 영역은 제1 허리단(210)에 봉재되어야만 상기한 신축효과를 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밴딩바지(100)는 상기 옆주머니(400)의 안쪽면에 상기 절개부(410)가 가려지도록(차폐되도록) 가리개(500)가 덧대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리개(500)는 절개부(410)의 벌어짐과 오므려짐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인장 및 수축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리개(500)의 인장 및 수축이 가능한 구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가 제시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가리개(5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410)를 가릴 수 있도록 절개부 상에 위치하는 주름부(511)와, 상기 주름부의 양 측에 마련되는 제1, 2 비주름부(512,513)와, 상기 제1, 2 비주름부의 외향측 말단을 수직방향으로 상기 옆주머니(400)에 봉재하여 고정시켜주는 봉재부(51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가리개(510)는, 절개부(410)가 벌어지면, 상기 옆주머니(400)에 봉재된 제1, 2 비주름부(512,513)가 외향으로 변위되고, 상기 제1, 2 비주름부의 변위량 만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주름부(511)의 주름이 펼쳐지게 되면서 절개부의 벌어짐에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절개부(410)의 가림역할도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가리개(510)는 자체 소재가 탄성소재가 아니더라도 절개부(410)의 가림막 역할을 할 수 있다는데 특징을 갖는다.
제2 실시예의 가리개(5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410)를 덮어 가리는 접철부(521)와, 상기 접철부의 양 측에 마련되는 제1, 2 비접철부(522,523)와, 상기 제1, 2 비접철부의 외향측 말단을 수직방향으로 상기 옆주머니(400)에 봉재하여 고정시켜주는 봉재부(52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제2 실시예의 가리개(520)는, 절개부(410)가 벌어지면, 상기 옆주머니(400)에 봉재된 제1, 2 비접철부(522,523)가 외향으로 변위되고, 상기 제1, 2 비접철부의 변위량 만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접철부(521)의 접철이 펼쳐지게 되면서 절개부의 벌어짐에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절개부(410)의 가림역할도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제2 실시예의 가리개(520)의 경우도 제1 실시예의 가리개와 마찬가지로 자체 소재가 탄성소재가 아니더라도 절개부(410)의 가림막 역할을 할 수 있다는데 특징을 갖는다.
제3 실시예의 가리개(5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410)를 덮어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갖는 탄성소재의 가림부(531)와, 상기 가림부의 가장자리를 봉재하는 봉재부(532)를 포함하되, 상기 봉재부(532) 중에서 상측 및 하측 봉재부(532a,532b)에는 상기 절개부 영역과 중첩되는 부위는 봉재되지 않은 비봉재부(532c)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제3 실시예의 가리개(530)는, 제1, 2 실시예와는 달리 자체의 소재가 탄성소재이므로 상기 절개부(410)가 벌어지면 그에 상응하게 인장되면서 절개부의 벌어짐에 대응할 수 있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절개부(410)의 가림역할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비봉재부(532c)는 절개부(410)와 함께 봉재되지 않도록 봉재되지 않은 부분인데, 이는 절개부(410)의 벌어짐을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또한, 제3 실시예의 가리개(530)의 경우, 비봉재부(532c)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전부 봉재함으로써 일부만 봉재된 제1, 2 실시예의 가리개에 비해 견고하고, 옆주머니(400)의 내용물이 유실되는 문제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는 비교우위적 장점을 갖는다.
부수적으로, 상기 옆주머니(400)는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는 부분이므로 잦은 마찰로 인해 쉽게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바지의 다른 부분은 멀쩡함에도 불구하고 옆주머니가 먼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할 경우,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옆주머니를 수선하기보다는 바지를 폐기처분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밴딩바지는 옆주머니(400)의 원단에 수지조성물을 코팅하여 이를 보완하였다.
상기 수지조성물은 아크릴 에멀젼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5 ~ 14 중량부 및 실리콘 에멀젼 수지 1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는 섬유 원단상에 코팅시 폴리우레탄 수지와 비교하여 반발탄성 효과를 발현시키는 우레탄 관능기가 존재하지 않아 특유의 부드러운 터치를 가지며, 또한 섬유에의 접착성이 뛰어나 세탁시 박리현상에 강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는 C1 내지 C10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알킬과, 관능성 아크릴 유도체와의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알킬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이상의 혼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 알콕시 알킬로서는 예를 들어,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프로폭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톡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메톡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상기 관능성 아크릴 유도체는 불포화기 함유 카르복시산, 불포화기 함유 니트릴, [0031] 또는 불포화기 함유 아미드이다. 상기 불포화기 함유 카르복시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산, α-클로로아크릴산, α-클로로메틸아크릴산, 크로톤산, 신남산 등의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1가 카르복실산류; 이타콘산, 무수 이타콘산, 말레인산, 무수 말레인산, 푸마르산, 시트라콘산, 메사콘산 등의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다가 카르복실산류; 등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불포화기 함유 니트릴은,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이다.
상기 불포화기 함유 아미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아미드이다.
상술한 아크릴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아크릴계 수지는, 상기 아크릴 수지를 고형분으로 5 ~ 50중량%의 범위로 포함하는 수분산 상태의 에멀젼 수지를 사용한다.
상기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의 입자크기는 바람직하게는 평균입자크기가 500nm 이하의 것을 사용한다. 한편, 아크릴 에멀젼 수지의 분자량에 관하여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는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토우페社의 XA-5617 제품은 C2 내지 C4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혼합물과, 아크릴산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가 45중량%의 농도로 에멀젼 상태로 수분산된 분산체이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는 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대표적으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HDI)가 사용될 수 있다.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2,4-diisocyanate, TDI),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MDI) 등이 업계에 널리 알려진 이소시아네이트이다. 이들중, TDI, MDI의 경우에 있어 톨루엔 또는 벤젠환에 치환되는 두 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의 치환위치는 임의적이다. 공지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또다른 예로서, 폴리머릭 MDI를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 블록이소시아네이트(blocked) isicyanate)[0045] 를 사용한다. 상기 블록이소아이네이트는 지방족·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활성 치환기인 -NCO 관능기중 하나 이상을, 알콜(ROH)과 반응시켜 NC(=O)-OR의 형태로 변성시킨 것을 말한다. 상기 알코올은 모노 알콜이거나 또는 다가 알콜일 수 있다. 상기 변성된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는 열해리성을 가져, 상온에서는 변성된 형태의 관능기를 가지나, 고온에서는 다시 이소시아네이트와 알코올로 해리되고, 해리·생성된 이소시아네이트가 가교제의 역할을 한다. 통상적인 해리온도는 90 내지 160℃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가교제로서 블록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코팅액의 가사 시간을 늘려주고 경시에 따른 수지조성물의 점도 등 유동특성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다.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는 분체상이거나 또는 적절한 용매에 에멀젼 상태로 분산된 것이다. 시판되는 블록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미키리켄社의 제품번호 MBX-11이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함량은 실리콘 에멀젼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1 내지 1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한다.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예를 들어, 에멀젼 상태인 경우 고형분을 기준으로 한다. 가교제의 함량이 1 중량부에 이르지 못하면 원단소재와 실리콘 수지 및/또는 후술되는 아크릴계 수지와의 결합이 충분치 않아, 옆주머니 내구성 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옆주머니와 조성물의 구성성분들과의 결합이 과도하여 옆주머니의 신축성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실리콘 에멀젼 수지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이 물 또는 알코올 등의 친수성 용매에 에멀젼 상태로 분산된 것이다. 상기 실리콘 에멀젼 수지는 통상 고형분을 기준으로 10 내지 70 중량%의 범위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 함량을 갖는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를 코팅용 조성물로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크릴수지 특유의 스티키한 성질 때문에 건조 후에도 약간의 점착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보완하고, 옆주머니 코팅용 조성물에 블록킹 방지역할을 부여하기 위해 적량의 실리콘 에멀젼을 아크릴수지와 트러블 없이 혼용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이라 함은 반복단위인 실록산의 규소 원자에 C1~C10의 알킬, 페닐, 알케닐 또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알킬 또는 페닐이 치환된 폴리실록산을 말한다.
상기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은 바람직하게는 반응성 치환기에 의하여 말단이 치환된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이다.
이때, 상기 반응성 치환기로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 C1~C10의 알콕시, C1~C10의 알콕시알콕시, 옥심, 엔옥시, 아세톡시, C1~C10의 트리알킬 실릴, 아미노, 아미녹시, 아미드 등이 있다. 이들은 혼합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기에 의하여 말단이 치환된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이다.
상기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분자 구조는 직쇄상, 분지상, 망상 또는 이들의 혼합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직쇄 또는 부분적으로 분지된 직쇄인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오르가노실록산으로 이루어진 에멀젼의 입자크기는 50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nm 이하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밴딩바지 200 : 허리단
210 : 제1 허리단 211 : 터널부
220 : 제2 허리단 300 : 탄력 조절부
310 : 탄성밴드 400 : 옆주머니
410 : 절개부 500, 510, 520, 530 : 가리개
511 : 주름부 512,513 : 제1, 2 비주름부
514 : 봉제부 521 : 접철부
522,523 : 제1, 2 비접철부 524 : 봉제부
531 : 가림부 532 : 봉제부

Claims (4)

  1. 사용자의 허리 사이즈에 맞게 허리단의 길이가 탄력 조절되는 밴딩바지로서,
    상기 허리단이 제1 허리단과 제2 허리단으로 구분되게 구성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허리단의 양 단부에는 터널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허리단의 양 단은 상기 터널부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허리단의 내면에 위치한 채, 일단은 상기 제1 허리단의 터널부 내측에 봉재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허리단의 내면에 봉재되는 탄성밴드를 더 포함하고;
    밴딩바지의 안쪽 양 옆에 위치하는 옆주머니의 상단은 상기 제1 허리단과 제2 허리단에 걸쳐 봉재되되, 상기 옆주머니의 상단에는 상기 탄성밴드가 인장될 때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부가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옆주머니의 안쪽면에 상기 절개부가 가려지도록 덧대어지되, 한 쪽은 상기 절개부의 일측에 봉재되고, 다른 한 쪽은 절개부의 다른 일측에 봉재되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거나 오므려짐에 따라 인장 및 수축되는 가리개를 더 포함하는 밴딩바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리개는 인장 및 수축을 위해 주름부 또는 접철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바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리개는,
    상기 절개부 상에 위치하여, 절개부를 가리고 있는 주름부;
    상기 주름부의 양 쪽에 마련되는 제1, 2 비주름부; 및
    상기 제1, 2 비주름부의 외향측 말단을 수직방향으로 상기 옆주머니에 봉재하여 고정시켜주는 봉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바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리개는,
    상기 절개부를 덮어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갖는 탄성소재의 가림부; 및
    상기 가림부의 가장자리를 봉재하는 봉재부를 포함하되,
    상기 봉재부 중, 상측 및 하측 봉재부에는 상기 절개부 영역과 중첩되는 부위는 봉재되지 않은 비봉재부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바지.

KR1020200119749A 2020-09-17 2020-09-17 밴딩바지 KR202200371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749A KR20220037152A (ko) 2020-09-17 2020-09-17 밴딩바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749A KR20220037152A (ko) 2020-09-17 2020-09-17 밴딩바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152A true KR20220037152A (ko) 2022-03-24

Family

ID=80935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749A KR20220037152A (ko) 2020-09-17 2020-09-17 밴딩바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715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687Y1 (ko) 2004-03-08 2004-06-26 장병용 허리크기조절밴드가 구성되는 바지
KR200478559Y1 (ko) 2015-05-01 2015-10-21 (주)씨티오커뮤니케이션 부분 밴딩 바지
KR200479015Y1 (ko) 2014-11-25 2015-12-11 이화숙 허리 밴드 분리형 바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687Y1 (ko) 2004-03-08 2004-06-26 장병용 허리크기조절밴드가 구성되는 바지
KR200479015Y1 (ko) 2014-11-25 2015-12-11 이화숙 허리 밴드 분리형 바지
KR200478559Y1 (ko) 2015-05-01 2015-10-21 (주)씨티오커뮤니케이션 부분 밴딩 바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76680A1 (en) Mask
US1097530A (en) Wearing-apparel.
AU2014334847B2 (en) Placket stiffener arrangement for a garment such as a shirt
EP2753279B1 (en) Reusable diapers having first and second liquid-absorbent flaps
US20090320182A1 (en) Trouser with expansible waist and hidden waistband opening
US20110088132A1 (en) Cough cuff
KR0127654B1 (ko) 바지등의 웨이스트 신축(伸縮)구조
KR20220037152A (ko) 밴딩바지
US20190021428A1 (en) Skin protecting garment
US20140081232A1 (en) Cloth training diaper
US8938812B1 (en) Deodorant stain protector for clothing
US10302111B1 (en) Expandable joint and universal fit headband
US20070241150A1 (en) Wearable pouch
US2216030A (en) Waistband construction of trousers and the like
US20060230503A1 (en) Convertible closure for garments and garment utilizing the same
US11793252B1 (en) Collared garment with concealed deployable face mask
CN111741691A (zh) 配备伸缩性腰带的衣服及其制造方法
JP2518804B2 (ja) ズボン等のウエスト伸縮構造
US5839628A (en) Folding attachment for shirt backs
US1112387A (en) Boy's blouse.
KR102335602B1 (ko) 귀걸이부 길이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US20140026920A1 (en) Crescent Shaped Headband
JP2518803B2 (ja) ズボン等のウエスト伸縮構造
JP3222144U (ja) 復元自在なノーフォーク仕様の上衣
CN104986142A (zh) 儿童安全带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