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7105A - 다공성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공성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37105A KR20220037105A KR1020200119663A KR20200119663A KR20220037105A KR 20220037105 A KR20220037105 A KR 20220037105A KR 1020200119663 A KR1020200119663 A KR 1020200119663A KR 20200119663 A KR20200119663 A KR 20200119663A KR 20220037105 A KR20220037105 A KR 202200371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ous support
- present application
- alumina
- raw material
- exemplary embodi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6—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burning-out added substances by burning natural expanding materials or by sublimating or melting out added substan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aluminium oxide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3—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using additiv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the products, e.g.. binder binders
- C04B35/6303—Inorganic additives
- C04B35/6316—Binders based on silicon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051—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pore size, pore shape or kind of porosity
- C04B38/0054—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pore size, pore shape or kind of porosity the pores being microsized or nanosized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051—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pore size, pore shape or kind of porosity
- C04B38/0058—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pore size, pore shape or kind of porosity open porosity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07—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pore distribution, e.g. inhomogeneous distribution of por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6—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burning-out added substances by burning natural expanding materials or by sublimating or melting out added substances
- C04B38/063—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8/0635—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8/069—Other materials, e.g. catalys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44—Metal salt constituents or additives chosen for the nature of the anions, e.g. hydrides or acetylacetonate
- C04B2235/442—Carbon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50—Constituents or additives of the starting mixture chosen for their shape or used because of their shape or their physical appearance
- C04B2235/54—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 C04B2235/5463—Particle size distribu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96—Properties of ceramic products, e.g.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toughness, wear resistance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3—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using additiv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the products, e.g.. binder binders
- C04B35/632—Organic additives
- C04B35/636—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04B35/6365—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atalysts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방법은, 알루미나, 무기 결합제 및 소결조제를 포함하는 원료 분말; 기공형성제; 및 유기 결합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제환한 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료 분말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유기 결합제의 함량은 0.20 ml/g 내지 0.35 ml/g 이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다공성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촉매를 안정적으로 담지하기 위해서는 기계적 강도가 높으면서도 다공성인 이너트 지지체가 필요하다. 특히, 입자가 크거나 고점도 슬러리 타입의 촉매 지지를 위해서는 거대기공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다공성 지지체가 필요하다.
수십 ㎛ 이상의 거대기공을 다량 가지면서도 기계적 강도가 높은 다공성 지지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수십~수백 ㎛ 정도의 조대입자와 함께 기공형성제를 이용하면서도 미세기공은 최소화하여야 한다. 그러나, 기공형성제와 조대입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입자들간 결합력이 약해서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이 어렵고, 소결 후 기계적 강도가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당 기술분야에서는 거대기공이 다량 존재하면서도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다공성 지지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출원은 거대기공이 다량 존재하면서도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다공성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는,
알루미나, 무기 결합제 및 소결조제를 포함하는 원료 분말; 기공형성제; 및 유기 결합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제환한 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료 분말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유기 결합제의 함량은 0.20 ml/g 내지 0.35 ml/g인 것인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의 다른 실시상태는,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것인 다공성 지지체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기공도가 높고 거대기공이 다량 존재하면서도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다공성 지지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원료 분말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유기 결합제의 함량을 0.20 ml/g 내지 0.35 ml/g로 조절함으로써, 다공성 지지체를 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다공성 지지체는 다양한 반응공정에 적용되는 촉매를 담지시킬 수 있는 지지체로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 2에서 제환 공정 이후의 다공성 지지체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 6에서 제환 공정 이후의 다공성 지지체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비교예 2에서 제환 공정 이후의 다공성 지지체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비교예 3에서 제환 공정 이후의 다공성 지지체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비교예 8에서 제환 공정 이후의 다공성 지지체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 6에서 제환 공정 이후의 다공성 지지체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비교예 2에서 제환 공정 이후의 다공성 지지체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비교예 3에서 제환 공정 이후의 다공성 지지체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비교예 8에서 제환 공정 이후의 다공성 지지체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산화물 기반의 촉매 담지용 지지체는 배기가스 정화, 수처리, 석유화학 공정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나를 주 원료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화학적 반응성이 낮아서 고온에서도 안정적이며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다양한 용도의 촉매 담지용 지지체가 공지되어 왔다.
촉매 담지용 다공성 지지체 내에 미세기공이 많고 거대기공이 적은 경우에는, 전체 기공도와 비표면적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지만 촉매의 입자가 크거나 점도가 높은 촉매를 코팅하기 어렵기 때문에, 거대기공이 많은 다공성 지지체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다공성 지지체 내의 거대기공은 극성 또는 비극성 용매의 증발을 이용하거나 조대 원료입자 내 기공형성제의 연소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극성 또는 비극성 용매의 증발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거대기공의 크기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지만, 자기조립이 가능한 고분자를 이용해 에멀젼 액적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하고 생산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조대 원료입자 내 기공형성제의 연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공정이 간단하지만 다량의 거대기공을 만들기 위하여 기공형성제를 많이 첨가하게 되면 비표면적이 낮은 조대 입자들간의 낮은 결합력으로 인해 성형이 어려워질 수 있다. 즉, 지지체 성형을 위한 기공형성제의 함량에 상한이 있어서, 다공성 지지체의 전체 기공도를 일정 수준 이상 높이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원료 분말과 함께 결합제(binder)를 섞어서 반죽을 만든 후, 이를 제환기로 제환하여 구형으로 형태를 만든 후 열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원료 분말의 비율과 결합제의 양을 특정 범위 내로 조절하지 않으면 제환이 되지 않는다. 이에, 본 출원에서는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시, 최적의 원료 분말과 결합제의 양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방법은, 알루미나, 무기 결합제 및 소결조제를 포함하는 원료 분말; 기공형성제; 및 유기 결합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제환한 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료 분말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유기 결합제의 함량은 0.20 ml/g 내지 0.35 ml/g 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방법은, 알루미나, 무기 결합제 및 소결조제를 포함하는 원료 분말; 기공형성제; 및 유기 결합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나는 평균직경이 200㎛ 이상인 알루미나 분말, 및 평균직경이 75㎛ 이상 200㎛ 미만인 알루미나 분말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나는 평균직경이 75㎛ 이상 200㎛ 미만인 알루미나 분말을 단독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나는 평균직경이 200㎛ 이상인 알루미나 분말, 및 평균직경이 75㎛ 이상 200㎛ 미만인 알루미나 분말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평균직경이 200㎛ 이상인 알루미나 분말 : 평균직경이 75㎛ 이상 200㎛ 미만인 알루미나 분말의 중량비는 40 : 60 내지 60 : 40 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무기 결합제는 실리카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카계는 SiO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소결조제는 K2CO3, Na2CO3 및 MgO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결합제 및 소결조제는 소결과정에서 입자들 사이의 연결성을 향상시켜서 소결 후 원래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며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무기 결합제 및 소결조제 중 어느 하나라도 없으면, 소결과정에서 형태가 무너지거나 강도가 지나치게 낮아져서, 소결 후 회수 과정에서 지지체가 마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공형성제는 탈지 과정에서 연소되며 기공을 형성시키는 물질이며, 톱밥, 그라파이트 분말, 호두껍질 분말 등과 같이 600℃ 이하에서 잔류하지 않고 완전 연소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원료 분말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기공형성제의 함량은 1 중량% 내지 10 중량% 일 수 있고, 2 중량% 내지 6 중량% 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기 결합제는 구형의 성형체를 만들기 위해 적절한 결합력과 점도를 발생시키는 물질이며, 적은 양을 넣으면 결합력이 약하며 많은 양을 넣으면 점도가 낮아져 구형의 성형체를 만들 수 없다. 상기 유기 결합제는 2-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원료 분말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유기 결합제의 함량은 0.20 ml/g 내지 0.35 ml/g 일 수 있고, 0.22 ml/g 내지 0.33 ml/g 일 수 있다. 상기 원료 분말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유기 결합제의 함량이 0.20 ml/g 미만인 경우에는 반죽이 생성되지 않을 수 있고, 0.35 ml/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가 낮아져서 제환시 제환기에 달라붙어서 구체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원료 분말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알루미나의 함량은 70 중량% 내지 90 중량% 일 수 있고, 상기 무기 결합제의 함량은 8 중량% 내지 18 중량% 일 수 있으며, 상기 소결조제의 함량은 2 중량% 내지 12 중량%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료 분말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알루미나의 함량은 75 중량% 내지 85 중량% 일 수 있고, 상기 무기 결합제의 함량은 10 중량% 내지 16 중량% 일 수 있으며, 상기 소결조제의 함량은 4 중량% 내지 10 중량% 일 수 있다. 알루미나를 포함하는 다공성 지지체의 강도는 알루미나 입자와 무기 결합체가 열처리시 어떻게 결합되는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알루미나, 무기 결합제 및 소결조제의 함량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다공성 지지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혼합물을 제환한 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물을 제환한 후 열처리하는 단계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을 제환하는 방법은 제환기를 이용하여 구체로 제환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반죽을 형성하고, 상기 반죽을 제환기에 넣어서 지름 5mm의 구체로 제환할 수 있다. 상기 제환공정은 반죽을 두께 5mm의 판형으로 펴주는 첫째 틀, 상기 판형 반죽을 두께 5mm로 잘라서 단면의 지름이 5mm인 국수를 만들어주는 둘째 틀, 및 상기 국수를 가공하여 구체로 만들어주는 셋째 틀을 거칠 수 있다. 이 때, 제환성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유기 결합제의 양이다. 상기 유기 결합제의 양이 적으면 반죽이 생성되지 않으며, 상기 유기 결합제의 양이 너무 많으면 점도가 낮아져서 제환시 제환기에 달라붙어서 구체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하는 방법은 1,000℃ 내지 1,50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 내에 분포되는 기공의 평균 기공크기는 80㎛ 이상이며, 기공부피는 0.2 ml/g 이상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 내에 분포되는 기공의 평균 기공크기는 80㎛ 이상일 수 있고, 90㎛ 이상일 수 있으며, 100㎛ 이상일 수 있고, 2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평균 기공크기는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부피를 기준으로 계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균 기공크기는 수은 기공계를 이용하여 0.2 psia에서 33,000 psia까지 압력을 가하고, 압력에 따라 시료에 압입되는 수은의 부피를 올림순으로 나열하였을 때, 그 중간값에 대응되는 기공크기를 의미한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 내에 분포되는 기공의 평균 기공크기가 80㎛ 미만인 경우에는 고점도의 촉매가 담지되기 어려울 수 있고, 2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지지체의 비표면적이 지나치게 낮아져서 촉매 담지량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부피는 0.2 ml/g 이상일 수 있고, 0.22 ml/g 이상일 수 있으며, 0.35 ml/g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부피는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에 수은 압입시 들어간 총 수은의 부피로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부피가 0.2 ml/g 미만인 경우에는 지지체 내의 촉매 담지량이 감소할 수 있고, 0.35 ml/g 초과인 경우에는 지지체의 기계적 강도가 낮아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전체 기공부피를 기준으로, 기공크기가 50㎛ 이상인 기공이 차지하는 기공부피의 비율은 85% 이상일 수 있고, 88% 이상일 수 있으며, 90% 이상일 수 있고, 10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전체 기공부피를 기준으로, 기공크기가 10㎛ 이하인 기공이 차지하는 기공부피의 비율은 5% 이하일 수 있고, 3% 이하일 수 있으며, 2% 이하일 수 있고, 0% 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전체 기공부피를 기준으로, 기공크기가 50㎛ 이상인 기공이 차지하는 기공부피의 비율이 85% 미만이거나, 기공크기가 10㎛ 이하인 기공이 차지하는 기공부피의 비율이 5% 초과인 경우에는 미세기공에 의하여 지지체의 기계적 강도가 낮아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도는 35% 이상일 수 있고, 40% 이상일 수 있으며, 6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기공도는 다공성 지지체의 전체 부피 중에서 기공이 차지하는 부피의 비율로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도가 35% 미만인 경우에는 다공성 지지체 내부의 전체 기공부피가 작아지므로 촉매의 전체 담지량이 작아질 수 있고, 6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공성 지지체의 기계적 강도가 매우 낮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압축강도는 80 kgf/cm2 이상일 수 있고, 100 kgf/cm2 이상일 수 있으며, 120 kgf/cm2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압축강도가 80 kgf/cm2 미만인 경우에는 촉매의 코팅 및 코팅된 촉매의 이송과정에서 기계적 충격에 의해 촉매 또는 지지체가 마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출원의 다른 실시상태는,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것인 다공성 지지체를 제공한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평균 기공크기, 기공부피, 기공도, 압축강도 등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기공도가 높고 거대기공이 다량 존재하면서도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다공성 지지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원료 분말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유기 결합제의 함량을 0.20 ml/g 내지 0.35 ml/g로 조절함으로써, 다공성 지지체를 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다공성 지지체는 다양한 반응공정에 적용되는 촉매를 담지시킬 수 있는 지지체로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출원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하기 표 1에 기재된 평균직경을 가지는 조대한 알루미나(α-alumina) 분말, 무기 결합제인 실리카(silica, SiO2), 소결조제(K2CO3 : Na2CO3 : MgO = 3 : 2 : 2)를 원료물질로 준비하였다. 여기에 기공형성제로 호두 껍질 분말(50 mesh)과 유기 결합제로 2-HEC(2-hydroxyethyl cellulose)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첨가하여 약 10분 간 섞어서 균일한 반죽을 제조하였다. 반죽을 만든 후 약 2시간 정도 건조시켰고, 수동제환기를 이용하여 먼저 반죽을 두께 5mm의 판으로 넓게 피고, 넓게 핀 반죽을 다시 두께 5mm의 국수 형태로 자른 후 제환틀을 이용해서 지름 5 mm의 구체로 제환하였다.
제조한 구형 알루미나 지지체는 70℃에서 3시간 건조한 후 알루미나 도가니에 담아 소결로에 장입하였다. 분당 1℃의 승온속도로 500℃까지 가열하여 탈지한 후, 분당 10℃의 승온속도로 1,450℃까지 가열 후 3시간 유지하고 자연냉각시켜 소결된 다공성 알루미나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7 및 비교예 1 ~ 8>
하기 표 1에 기재된 원료 함량비를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다공성 알루미나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표 1]
알루미나 A: 평균직경이 200㎛ 이상인 알루미나 분말
알루미나 B: 평균직경이 75㎛ 이상 200㎛ 미만인 알루미나 분말
첨가제의 함량: 원료 혼합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임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환 공정 이후의 다공성 지지체를 하기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 2에서 제환 공정 이후의 다공성 지지체를 나타낸 도이고, 하기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 6에서 제환 공정 이후의 다공성 지지체를 나타낸 도이다. 또한, 하기 도 3은 본 출원의 비교예 2에서 제환 공정 이후의 다공성 지지체를 나타낸 도이고, 하기 도 4는 본 출원의 비교예 3에서 제환 공정 이후의 다공성 지지체를 나타낸 도이며, 하기 도 5는 본 출원의 비교예 8에서 제환 공정 이후의 다공성 지지체를 나타낸 도이다. 하기 도 3 및 도 4의 결과와 같이 비교예 2 및 3에서는 반죽이 생성되지 않아서 제환이 불가능하였고, 하기 도 5의 결과와 같이 비교예 8에서는 점도 소실로 인하여 제환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반죽 형성 유무, 제환 유무, 제환율 및 구형도를 평가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반죽 형성 유무>
원료 분말에 유기 결합제를 넣고 혼합시 반죽이 한 덩어리로 뭉쳐지는지 여부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O" 또는 "X"로 표시하였다.
<제환 유무>
뭉쳐진 반죽을 제환기에 넣고 제환하였을 때, 반죽이 제환기에 묻어나오지 않고 구형 제환체가 형태를 유지한 채로 나오는 지의 여부를 평가하였고, 제환시 지름 5mm의 구형/타원체형으로 제환이 된 제환체가 50%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O" 또는 "X"로 표시하였다.
<제환율>
제환기에서 나온 제환체들 중에서 구형을 유지하고 찌그러지거나 터지지 않은 제환체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구형도>
상기 제환체 중에서 0.9 < 장축/단축 < 1.1인 제환체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표 2]
또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도, 기공부피, 평균 기공크기, 거대기공부피 비율, 미세기공부피 비율 및 압축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균 기공크기, 기공부피 및 기공도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다공성 지지체에 대해 Micromeritics 사의 수은기공계(AutoPore V 9600)를 이용해 평균 기공크기, 기공부피 및 기공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샘플셀 내부에 알루미나 다공성 지지체 시료를 투입하고, 진공 상태에서 수은을 채운 후 0.02 psia에서 61,000psia까지 압력을 가해 수은을 기공에 압입시켰다. 압입되는 수은의 volume을 이용하여 시료 내 기공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압축강도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다공성 지지체에 대해 Shimadzu 사의 인장시험기(AGS-X)를 이용하여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직경 100mm의 압반을 이용하여 분당 1mm의 속도로 샘플 로딩을 하였으며, 최대 강도 이전에 하중 직하율이 가장 큰 지점을 기준으로 압축강도를 계산하였다.
[표 3]
기공도: 다공성 지지체의 전체 부피 중 기공이 차지하는 부피
기공부피: 수은 압입 시 들어간 총 수은의 부피
평균 기공크기: 시료에 압입되는 수은의 부피를 올림순으로 나열하였을 때, 그 중간값에 대응되는 기공크기
거대기공부피 비율: 전체 기공부피 중 50㎛ 이상의 기공크기를 가지는 기공부피의 비율
미세기공부피 비율: 전체 기공부피 중 10㎛ 이하의 기공크기를 가지는 기공부피의 비율
상기 결과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기공도가 높고 거대기공이 다량 존재하면서도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다공성 지지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원료 분말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유기 결합제의 함량을 0.20 ml/g 내지 0.35 ml/g로 조절함으로써, 다공성 지지체를 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다공성 지지체는 다양한 반응공정에 적용되는 촉매를 담지시킬 수 있는 지지체로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1)
- 알루미나, 무기 결합제 및 소결조제를 포함하는 원료 분말; 기공형성제; 및 유기 결합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제환한 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료 분말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유기 결합제의 함량은 0.20 ml/g 내지 0.35 ml/g인 것인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나는 평균직경이 200㎛ 이상인 알루미나 분말, 및 평균직경이 75㎛ 이상 200㎛ 미만인 알루미나 분말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 결합제는 실리카계를 포함하는 것인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결조제는 K2CO3, Na2CO3 및 MgO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 결합제는 2-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것인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 내에 분포되는 기공의 평균 기공크기는 80㎛ 이상이며, 기공부피는 0.2 ml/g 이상인 것인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전체 기공부피를 기준으로, 기공크기가 50㎛ 이상인 기공이 차지하는 기공부피의 비율은 85% 이상인 것인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도는 35% 이상인 것인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전체 기공부피를 기준으로, 기공크기가 10㎛ 이하인 기공이 차지하는 기공부피의 비율은 5% 이하인 것인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압축강도는 80 kgf/cm2 이상인 것인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방법.
-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라 제조되는 것인 다공성 지지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9663A KR20220037105A (ko) | 2020-09-17 | 2020-09-17 | 다공성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9663A KR20220037105A (ko) | 2020-09-17 | 2020-09-17 | 다공성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7105A true KR20220037105A (ko) | 2022-03-24 |
Family
ID=8093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9663A KR20220037105A (ko) | 2020-09-17 | 2020-09-17 | 다공성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37105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39561A (ko) | 1998-12-14 | 2000-07-05 | 김충섭 | 활성 알루미나 성형체의 제조방법 |
-
2020
- 2020-09-17 KR KR1020200119663A patent/KR20220037105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39561A (ko) | 1998-12-14 | 2000-07-05 | 김충섭 | 활성 알루미나 성형체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Liu et al. | Effects of pore structure on thermal conductivity and strength of alumina porous ceramics using carbon black as pore-forming agent | |
US5171720A (en) | Porous ceramic sinter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 |
CN102746022B (zh) | 可控双峰多孔结构Al2O3陶瓷材料的制备方法 | |
JP2008201636A (ja) | マクロポーラスな連通孔を持つセラミック多孔体及びその製造方法 | |
IL180965A (en) | Method for obtaining porous ceramic materials | |
Sousa et al. | LZSA glass ceramic foams prepared by replication process | |
BRPI0617350A2 (pt) | mÉtodo de fabricaÇço de um material cerÂmico refratÁrio, mÉtodo para fabricaÇço de um material cerÂmico de porosidade multimodal, mÉtodo de fabricaÇço de um material de cerÂmica com porosidade multimodal de 70% atÉ 90%, e mÉtodo de fabricaÇço de um material de cerÂmica isolante | |
MX2011002888A (es) | Metodo para hacer compuestos conteniendo mullita porosa. | |
CN102584329A (zh) | 一种高孔隙率多孔陶瓷及其制备方法 | |
US4839049A (en) | Ceramic composition | |
Tallon et al. | Shaping of porous alumina bodies by freeze casting | |
Song et al. | Processing of microcellular cordierite ceramics from a preceramic polymer | |
Han et al. |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acroporous flyash ceramic pellets | |
KR20220037105A (ko) | 다공성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JPH04305076A (ja) | コージェライト質ハニカム構造体の製造法 | |
KR20220023531A (ko) | 다공성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Rambo et al. | Processing of cellular glass ceramics | |
EP1502641A1 (en) | Silicon nitride honeycomb filter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 |
JPH0585814A (ja) | コージエライト質ハニカム構造体の製造法 | |
CN112851394B (zh) | 一种多孔碳化硅陶瓷的制备方法 | |
CN103228596B (zh) | 控制堇青石过滤器性质的方法 | |
Gao et al. | Fabrication and properties of porous AlPO 4 ceramics from solid-state synthesized powders using Al (OH) 3 and ammonium phosphate as raw materials | |
Kamitani et al. | Fabrication of highly porous alumina-based ceramics with connected spaces by employing PMMA microspheres as a template | |
RU2352544C1 (ru) |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ысокопористого ячеистого стеклокристаллического материала | |
KR20040026504A (ko) | 이중 기공구조를 갖는 세라믹 다공질체 및 그 제조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