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233A - 안테나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233A
KR20220036233A KR1020200118555A KR20200118555A KR20220036233A KR 20220036233 A KR20220036233 A KR 20220036233A KR 1020200118555 A KR1020200118555 A KR 1020200118555A KR 20200118555 A KR20200118555 A KR 20200118555A KR 20220036233 A KR20220036233 A KR 20220036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structure
disposed
electronic device
substrate
dielectric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인
임영곤
김종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8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6233A/ko
Priority to EP21869626.8A priority patent/EP4184712A4/en
Priority to PCT/KR2021/012260 priority patent/WO2022060004A1/ko
Priority to US17/518,951 priority patent/US11942677B2/en
Publication of KR20220036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6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with core of ferro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85Dielectric resonator antenna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09Outer radiating structures o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fins integrated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5K9/0024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배터리, 상기 기판을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기판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 배치되는 지지 구조물, 상기 배터리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배터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 배치되는 안테나 구조체로써, 유전체 기판, 및 상기 유전체 기판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안테나 구조체, 상기 지지 구조물을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지지 구조물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1 영역, 상기 안테나 구조체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기판은, 상기 안테나 구조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유전체 기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는, 지정된 간격 및/또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더미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 이외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안테나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STRUCTUR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안테나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무선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는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에서, 주변에 배치되는 구조물들 또는 전자 부품들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우수한 방사 성능이 발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는 테이프 부재를 통해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지지 구조물과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슬림화된 형태로 디자인되면서,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이 협소해질 수 있다.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이 협소해짐에 따라, 전자 장치의 내부 구조 상 안테나 구조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테이프 또는 부착물을 붙일 수 있는 공간이 여의치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안테나 구조체의 유동으로 안테나 구조체와 지지 구조물을 연결하는 테이프 부재의 연결부가 끊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안테나 구조체와 지지 구조물을 연결하는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도록 배치된 안테나 구조체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는, 지정된 간격 및/또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더미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배터리, 상기 기판을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기판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 배치되는 지지 구조물, 상기 배터리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배터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 배치되는 안테나 구조체로써, 유전체 기판, 및 상기 유전체 기판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안테나 구조체, 상기 지지 구조물을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지지 구조물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1 영역, 상기 안테나 구조체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기판은, 상기 안테나 구조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유전체 기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는, 지정된 간격 및/또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더미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안테나 구조체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는 지정된 간격 및/또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더미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테나 구조체와 지지 구조물을 연결하는 연결부의 강성은 높아질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전자 장치의 후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전자 장치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 구조물, 안테나 구조체, 및 테이프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전자 장치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6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6a의 안테나 구조체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 및 테이프 부재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라인 A-A'를 따라 바라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더미 패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라인 A-A'를 따라 바라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전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후면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면(또는 전면)(110A), 제2 면(또는 후면)(110B), 및 제1 면(110A) 및 제2 면(110B)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110C)을 포함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 하우징은, 도 1의 제1 면(110A), 제2 면(110B), 및 측면(110C)들 중 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면(110A)은 적어도 일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전면 플레이트(102)(예: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면(110B)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후면 플레이트(111)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는,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110C)은, 전면 플레이트(102) 및 후면 플레이트(111)와 결합하며, 금속 및/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측면 베젤 구조(118)(또는 "측면 부재")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후면 플레이트(111) 및 측면 베젤 구조(118)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한 물질(예: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는, 상기 제1 면(110A)으로부터 상기 후면 플레이트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seamless) 연장된 제1 영역(110D)을,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긴 엣지(long edge)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도 2 참조)에서,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는, 상기 제2 면(110B)으로부터 상기 전면 플레이트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 연장된 제2 영역(110E)을 긴 엣지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 또는 후면 플레이트(111)가 상기 제1 영역(110D) 또는 제2 영역(110E)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전면 플레이트(102)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지 않고, 제2 면(110B)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편평한 평면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의 측면에서 볼 때, 측면 베젤 구조(118)는, 상기와 같은 제1 영역(110D) 또는 제2 영역(110E)이 포함되지 않는 측면 쪽에서는 제1 두께 (또는 폭)을 가지고, 상기 제1 영역(110D) 또는 제2 영역(110E)을 포함한 측면 쪽에서는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1), 입력 장치(103), 음향 출력 장치(107, 114), 센서 모듈(104, 119), 카메라 모듈(105, 112), 키 입력 장치(117), 인디케이터(미도시), 및 커넥터(108)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키 입력 장치(117), 또는 인디케이터)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1)는, 예를 들어, 전면 플레이트(102)의 상당 부분을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면(110A), 및 상기 측면(110C)의 제1 영역(110D)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102)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01)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1)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 모듈(104, 119)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키 입력 장치(117)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영역(110D), 및/또는 상기 제2 영역(110E)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장치(103)는, 마이크(103)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입력 장치(103)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마이크(10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07, 114)는 스피커들(107, 114)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들(107, 114)은, 외부 스피커(107) 및 통화용 리시버(114)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마이크(103), 스피커들(107, 114), 및 커넥터(108)는 전자 장치(100)의 내부 공간에 적어도 일부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11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하여 외부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0)에 형성된 홀은 마이크(103) 및 스피커들(107, 114)을 위하여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음향 출력 장치(107, 114)는 하우징(110)에 형성된 홀이 배제된 채, 동작되는 스피커(예: 피에조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04, 119)은, 전자 장치(1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04, 119)은,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제1 면(110A)에 배치된 제1 센서 모듈(104)(예: 근접 센서) 및/또는 제2 센서 모듈(미도시)(예: 지문 센서), 및/또는 상기 하우징(110)의 제2 면(110B)에 배치된 제3 센서 모듈(119)(예: HRM 센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센서는 하우징(110)의 제1 면(110A)(예: 홈 키 버튼), 제2 면(110B)의 일부 영역, 및/또는 디스플레이(101)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근접 센서 또는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5, 112)은, 전자 장치(100)의 제1 면(110A)에 배치된 제1 카메라 모듈(105), 및 제2 면(110B)에 배치된 제2 카메라 모듈(112), 및/또는 플래시(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들(105, 112)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113)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2개 이상의 렌즈들(광각 렌즈, 초광각 렌즈 또는 망원 렌즈) 및 이미지 센서들이 상기 전자 장치(100)의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키 입력 장치(117)는, 하우징(110)의 측면(110C)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상기 언급된 키 입력 장치(117)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117)는 디스플레이(101) 상에 소프트 키 등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키 입력 장치(117)는 디스플레이(101)에 포함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미도시)는,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제1 면(110A)에 배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광 형태(예: 발광 소자)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는,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5)의 동작과 연동되는 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는, 예를 들어, LED, IR LED, 및/또는 제논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홀(108)은,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커넥터 홀(108),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커넥터 홀(또는 이어폰 잭)(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들(105, 112) 중 일부 카메라 모듈(105), 센서 모듈(104, 119)들 중 일부 센서 모듈(104), 또는 인디케이터(미도시)는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 모듈(105), 센서 모듈(104), 또는 인디케이터는 전자 장치(100)의 내부 공간에서, 디스플레이(101)의, 전면 플레이트(102)까지 천공된 관통홀을 통해 외부 환경과 접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일부 센서 모듈(104)은 전자 장치(100)의 내부 공간에서 전면 플레이트(102)를 통해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101)의, 센서 모듈과 대면하는 영역은 관통홀이 불필요할 수도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3의 전자 장치(300)는 도 1 및 도 2의 전자 장치(100)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예: 도 1,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100))는, 측면 부재(310)(예: 측면 베젤 구조), 제1 지지 부재(311)(예: 브라켓 또는 지지 구조), 전면 플레이트(320)(예: 전면 커버), 디스플레이(330)(예: 도 1의 디스플레이(101)), 기판(340)(예: PCB(printed circuit board), FPCB(flexible PCB), 또는 RFPCB(rigid-flexible PCB)), 배터리(350), 제2 지지 부재(360)(예: 리어 케이스), 안테나(600), 및 후면 플레이트(380)(예: 후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3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제1 지지 부재(311), 또는 제2 지지 부재(360))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제1 지지 부재(311)는, 전자 장치(300) 내부에 배치되어 측면 부재(310)와 연결될 수 있거나, 측면 부재(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311)는, 예를 들어, 금속 재질 및/또는 비금속(예: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311)는, 일면에 디스플레이(330)가 결합되고 타면에 기판(340)이 결합될 수 있다. 기판(340)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또는 인터페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및/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0)를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3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또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5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기판(340)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300) 내부에 일체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30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안테나(600)는, 후면 플레이트(380)와 배터리(3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600)는,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무선 충전 안테나, 및/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600)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하거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면 베젤 구조(310) 및/또는 상기 제1 지지 부재(311)의 일부 또는 그 조합에 의하여 안테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0))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 구조물(390), 안테나 구조체(600), 및 테이프 부재(70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면 플레이트(예: 도 1의 전면 플레이트(102), 도 3의 전면 플레이트(320)), 전면 플레이트(102)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후면 플레이트(예: 도 1의 후면 플레이트(180), 도 3의 후면 플레이트(380)), 및 전면 플레이트와 후면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1001)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118)를 포함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측면 부재(118)로부터 내부 공간(1001)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재(31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내부 공간(1001)에, 지지 부재(311)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기판(410)(예: 도 3의 기판(34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410)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 메모리, 및/또는 인터페이스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기판(41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지지 구조물(39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구조물(390)은 내부 공간(1001)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예: 기판(410), 디스플레이(330))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내부 공간(1001)에 배치되는 안테나 구조체(600)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구조체(600)는 기판(410)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안테나 구조체(600)는 배터리(예: 도 3의 배터리(350))의 하부(예: 도 3의 -z 방향)에, 배터치(35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 구조체(600)는 기판(41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 구조체(600)는 유전체 기판(미도시) 및 유전체 기판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는 NFC 통신, MST 통신, 및/또는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코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기판은 유전체 기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테이프 부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프 부재(700)는 제1 영역(420), 제2 영역(430), 및 제1 영역(420)과 제2 영역(430)을 연결하는 연결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물(390)을 위에서 바라볼 때, 테이프 부재(700)의 제1 영역(420)은 지지 구조물(39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테이프 부재(700)의 제2 영역(430)은 안테나 구조체(60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테이프 부재(700)의 연결부(440)는 안테나 구조체(600)의 유전체 기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는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정된 간격 및/또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더미 패턴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는, 접착 부재를 통해 테이프 부재(700)의 연결부(44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안테나 구조체(600)는 테이프 부재(70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착되는 씰링(sealing) 부재(55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 구조체(600)는 유전체 기판(610) 및 유전체 기판(610)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기판(610)은 유전체 기판(610)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는 강성을 높이기 위해, 지정된 간격 및/또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더미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는 접착 부재(555)를 통해 테이프 부재(700)에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접착 부재(555)는 도전성 스폰지 또는 도전성 포론(poron)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0) 유전체 기판(610)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의 상부(예: 제2 방향(예: ② 방향))(예: 도 3의 -z 방향)에 배치되는 차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는 지정된 간격 및/또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더미 패턴들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차폐 부재가 배치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의 강성이 더 높아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 상에 차폐 부재가 배치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620)와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의 복수의 더미 패턴들 간의 커플링(또는 간접 커플링)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620)의 방사 성능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안테나 구조체(600)와 씰링 부재(551) 사이에 배치되는 차폐 부재(554)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 부재(554)는 안테나 구조체(600)의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620)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가 제1 방향(예: ① 방향)(예: 도 3의 z 방향) 위치한 부품에 대한 영향을 주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차폐 부재(554)는 보호 필름(protective film), 그라파이트 시트(graphite sheet), 및/또는 차폐 시트(shielding 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테이프 부재(700)와 씰링 부재(551) 사이에 배치되는 기능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부재는 단차 보상 부재(553) 및/또는 방열 부재(55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단차 보상 부재(553)는 안테나 구조체(600)의 두께를 보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열 부재(552)는 전기 소자(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메모리, 및/또는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한 열을 골고루 분산하는 역할(예: 열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6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6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안테나 구조체(600)는 유전체 기판(610) 및 유전체 기판(610)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기판(610)은 유전체 기판(610)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는 지정된 간격 및/또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더미 패턴들(64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더미 패턴들(641)은 안테나 구조체(600)로부터 기판(예: 도 4의 기판(410)) 방향(647)으로 지정된 간격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에 포함되는 복수의 더미 패턴들(641)을 지정된 간격 및/또는 형상으로 형성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의 강성이 강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6a에서, 복수의 더미 패턴들(641)이 기판(410) 방향(647)으로 지정된 간격으로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복수의 더미 패턴들(641)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도 9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안테나 구조체(600)는 유전체 기판(61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620)(예: 제1 코일 부재(621), 제2 코일 부재(622))가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커넥터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부(630)는 기판(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620)는 제1 코일 부재(621) 및 제2 코일 부재(6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 부재(621)는 NFC 통신에 사용되도록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코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코일 부재(622)는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코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코일 부재(622)는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표준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전력을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제2 코일 부재(622)는 외부 장치(예: 충전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한 전력을 배터리(예: 도 3의 배터리(350))에 전송할 수 있다. 미도시 되었으나,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620)는 제3 코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코일 부재는 MST 통신을 지원하는 코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620) 예컨대, 제1 코일 부재(621)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620) 예컨대, 제2 코일 부재(622)를 통해 무선 충전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충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6a의 안테나 구조체(600)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안테나 구조체(600)는 유전체 기판(610) 및 유전체 기판(610)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620) 예컨대, 제1 코일 부재(621) 및 제2 코일 부재(62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기판(610)은 유전체 기판(610)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는 유전체 기판(610)으로부터 기판(예: 도 4의 기판(410)) 방향(647)으로 지정된 간격(645)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복수의 더미 패턴들(64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의 복수의 더미 패턴들(641)은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620) 예컨대, 제1 코일 부재(621) 및/또는 제2 코일 부재(622)와 지정된 거리(650)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더미 패턴들(641)과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620) 간의 이격 거리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620)의 방사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의 복수의 더미 패턴들(641)이 제1 코일 부재(621) 및/또는 제2 코일 부재(622)와 지정된 거리(650)로 이격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제1 코일 부재(621) 및/또는 제2 코일 부재(622)와 복수의 더미 패턴들(641)의 커플링(또는 간접 커플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제1 코일 부재(621) 및/또는 제2 코일 부재(622)의 방사 성능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600) 및 테이프 부재(700)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테이프 부재(700)는 제1 영역(420), 제2 영역(430), 및 제1 영역(420)과 제2 영역(430)을 연결하는 연결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테이프 부재(700)의 제1 영역(420)은 지지 구조물(예: 도 4의 지지 구조물(39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테이프 부재(700)의 제2 영역(430)은 안테나 구조체(60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테이프 부재(700)의 연결부(440)는 유전체 기판(610)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테이프 부재(700)의 연결부(44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는 지정된 간격 및/또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더미 패턴들(641)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가 지정된 간격 및/또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더미 패턴들을 포함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의 강성이 강해질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라인 A-A'를 따라 바라본 전자 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330), 측면 부재(310), 지지 부재(311), 기판(340), 배터리(350), 지지 구조물(390), 안테나 구조체(600), 테이프 부재(700), 및/또는 후면 플레이트(3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350)는 기판(340)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기판(3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예: 도 1의 하우징(110))으로부터 내부 공간(예: 도 1의 내부 공간(1001))으로 지정된 높이로 연장되는 월(wall)(311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판(340)은, 월(3111)을 기준으로 제1 방향(예: 도 3의 y 방향)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350)는, 월(3111)을 기준으로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예: 도 3의 -y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테나 구조체(600)는 배터리(350)와 후면 플레이트(3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 구조체(600)는 배터리(35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 구조체(600)는 유전체 기판(예: 도 6a의 유전체 기판(610)) 및 유전체 기판(610)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예: 도 6a의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테이프 부재(700)는 안테나 구조체(600)와 후면 플레이트(3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테이프 부재(700)는 제1 영역(420), 제2 영역(430), 및 제1 영역(420)과 제2 영역(430)을 연결하는 연결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프 부재(700)의 제1 영역(420)은 지지 구조물(39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테이프 부재(700)의 제2 영역(430)은 안테나 구조체(60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테이프 부재(700)의 연결부(440)는 안테나 구조체(600)의 유전체 기판(610)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월(3111)은 안테나 구조체(600)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는 지정된 간격 및/또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더미 패턴들(예: 도 6a의 복수의 더미 패턴들(641))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가 지정된 간격 및/또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더미 패턴들(641)를 포함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의 강성이 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월(3111)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의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600)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를 형성하는 복수의 더미 패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안테나 구조체(예: 도 6a의 안테나 구조체(600))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는, 참조번호 <9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구조체(600)의 커넥터부(예: 도 6a의 커넥터부(630)) 방향(913)으로 지정된 간격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복수의 더미 패턴들(91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안테나 구조체(600)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는, 참조번호 <9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구조체(600)로부터 기판(예: 도 4의 기판(410)) 방향(921) 및 안테나 구조체(600)의 커넥터부(630) 방향(913)으로 지정된 간격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복수의 더미 패턴들(923)(예: 메쉬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안테나 구조체(600)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는, 참조번호 <930> 및 <9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지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더미 패턴들(931, 94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안테나 구조체(600)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는, 참조번호 <9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도전체들(951)로 구성된 복수의 더미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10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안테나 구조체(1000)(예: 도 6a의 안테나 구조체(600))는 유전체 기판(1010)(예: 도 6a의 유전체 기판(610)) 및 유전체 기판(1010)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1020)(예: 도 6a의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기판(1010)은 유전체 기판(1010)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 예컨대, 제1 연장부(1040) 및 제2 연장부(10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1040)는 지정된 간격 및/또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더미 패턴들(10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장부(1050)는 지정된 간격 및/또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더미 패턴들(105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더미 패턴들(1041, 1051)은 안테나 구조체(1000)로부터 기판(예: 도 4의 기판(410)) 방향(1060)으로 지정된 간격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더미 패턴들(1041, 1051)은 전술한 도 9의 참조번호 <910> 내지 <950>에 도시된 복수의 더미 패턴들(예: 안테나 구조체(600)의 커넥터부(630) 방향으로 지정된 간격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복수의 더미 패턴들(911), 메쉬 패턴으로 형성된 복수의 더미 패턴들(923), 대각선 방향으로 지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더미 패턴들(931, 941), 복수의 도전체들(951)로 구성된 복수의 더미 패턴들) 중 어느 하나 패턴 또는 적어도 두 개를 조합한 패턴들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연장부(1040)의 복수의 더미 패턴들(1041)은 제2 연장부(1050)의 복수의 더미 패턴들(1051)과 동일한 간격 및/또는 형상을 가지거나, 또는 상이한 간격 및/또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테나 구조체(1000)는 유전체 기판(101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1020)가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커넥터부(1030)(예: 도 6a의 커넥터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부(1030)는 기판(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620)는 제1 코일 부재(1021)(예: 도 6a의 제1 코일 부재(621)) 및 제2 코일 부재(1022)(예: 도 6a의 제2 코일 부재(6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 부재(621)는 NFC 통신에 사용되도록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코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코일 부재(622)는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코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미도시 되었으나,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620)는 MST 통신을 지원하는 코일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연장부(1040)의 복수의 더미 패턴들(1041)과 제2 연장부(1050)의 복수의 더미 패턴들(1051)은 제1 코일 부재(1021) 및/또는 제2 코일 부재(1022)와 지정된 거리(예: 도 6b의 650)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040)의 복수의 더미 패턴들(1041)과 제2 연장부(1050)의 복수의 더미 패턴들(1051)이 제1 코일 부재(1021) 및/또는 제2 코일 부재(1022)와 지정된 거리(예: 도 6b의 650)로 이격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제1 코일 부재(1021) 및/또는 제2 코일 부재(1022)와 복수의 더미 패턴들(1041, 1051)의 커플링(또는 간접 커플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제1 코일 부재(1021) 및/또는 제2 코일 부재(1022)의 방사 성능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라인 A-A'를 따라 바라본 전자 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330), 측면 부재(310), 지지 부재(311), 기판(340), 배터리(350), 쉴드 캔(1120), 안테나 구조체(600), 테이프 부재(700), 및/또는 후면 플레이트(3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테나 구조체(600)는 배터리(350)와 후면 플레이트(3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 구조체(600)는 배터리(35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 구조체(600)는 유전체 기판(예: 도 6a의 유전체 기판(610)) 및 유전체 기판(610)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예: 도 6a의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기판(610)은 유전체 기판(610)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판(340)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메모리, 및/또는 인터페이스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소자(111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쉴드 캔(1120)은 기판(340)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소자(1110) 또는 안테나 구조체(600)의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620)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테이프 부재(700)는 안테나 구조체(600)와 후면 플레이트(380)에 배치될 수 있다. 테이프 부재(700)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소자(1110)로부터 발생된 열을 쉴드 캔(1120)을 통해 확산시키기 위한 방열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 부재는, 그라파이트 시트(graphite sheet) 또는 열 전달 물질 테이프(TIM(thermal interface material) tap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테이프 부재(700)는 제1 영역(420), 제2 영역(430), 및 제1 영역(420)과 제2 영역(430)을 연결하는 연결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프 부재(700)의 제1 영역(420)은 쉴드 캔(112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테이프 부재(700)의 제2 영역(430)은 안테나 구조체(60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테이프 부재(700)의 연결부(440)는 안테나 구조체(600)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예: 도 1의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예: 도 1의 내부 공간(1001))에 배치되는 기판(340), 상기 기판(340)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배터리(350), 상기 기판(340)을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기판(34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 배치되는 지지 구조물(390), 상기 배터리(350)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배터리(35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 배치되는 안테나 구조체(500)로써, 유전체 기판(610), 및 상기 유전체 기판(610)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620)를 포함하는 상기 안테나 구조체(600), 상기 지지 구조물(390)을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지지 구조물(39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1 영역(420), 상기 안테나 구조체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2 영역(430), 및 상기 제1 영역(420)과 상기 제2 영역(430)을 연결하는 연결부(440)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재(700)를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기판(610)은, 상기 안테나 구조체(600)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유전체 기판(610)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44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는, 지정된 간격 및/또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더미 패턴들(64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는, 접착 부재(555)를 통해 상기 연결부(440)에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더미 패턴들(641)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620) 간의 최단 거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620)의 방사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구조체(600)는, 상기 테이프 부재(70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착되는 씰링 부재(551)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 플레이트(320), 상기 전면 플레이트(320)와 반대 방향을 향하는 후면 플레이트(380), 및 상기 전면 플레이트(320)와 상기 후면 플레이트(380) 사이의 상기 내부 공간(1001)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118)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부재(700)는, 상기 안테나 구조체(600)와 상기 후면 플레이트(3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구조체(600)와 상기 씰링 부재(551) 사이에 배치되는 차폐 부재(55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테이프 부재(700)와 상기 씰링 부재(551) 사이에 배치되는 기능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능성 부재는, 상기 안테나 구조체(600)의 두께를 보상하는 단차 보상 부재(553) 및/또는 방열 부재(55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기 하우징(110)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1001)으로 지정된 높이로 연장되는 월(wall)(311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월(3111)은, 상기 안테나 구조체(600)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판(340)은, 상기 월(3111)을 기준으로 제1 방향(예: 도 3의 y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350)는, 상기 월(3111)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예: 도 3의 -y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더미 패턴들(641)은, 상기 안테나 구조체(600)로부터 상기 기판(340) 방향으로 지정된 간격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지지 구조물(390)은, 상기 기판(340)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소자(1110)를 차폐하기 위한 쉴드 캔(1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테이프 부재(700)는, 방열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열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소자로부터 발생된 열을 상기 쉴드 캔(1120)을 통해 확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열 부재는, graphite sheet 또는 TIM(thermal interface material) tape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구조체(600)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유전체 기판(610)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640) 상에 배치되는 차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구조체(600)는, 상기 유전체 기판(610)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620)가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커넥터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판(340)은, 상기 커넥터부(6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62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설정된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판(340)은, 상기 커넥터부(6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620)를 통해 무선 충전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설정된 충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전자 장치 110: 하우징
390: 지지 구조물 410: 기판
600: 안테나 구조체 610: 유전체 기판
620: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 640: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
700: 테이프 부재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배터리;
    상기 기판을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기판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 배치되는 지지 구조물;
    상기 배터리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배터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 배치되는 안테나 구조체로써,
    유전체 기판; 및
    상기 유전체 기판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안테나 구조체;
    상기 지지 구조물을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지지 구조물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1 영역, 상기 안테나 구조체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기판은, 상기 안테나 구조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유전체 기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는, 지정된 간격 및/또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더미 패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는, 접착 부재를 통해 상기 연결부에 부착되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더미 패턴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 간의 최단 거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의 방사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결정되는 전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구조체는, 상기 테이프 부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착되는 씰링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면 플레이트;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반대 방향을 향하는 후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후면 플레이트 사이의 상기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안테나 구조체와 상기 후면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구조체와 상기 씰링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차폐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와 상기 씰링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기능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부재는, 상기 안테나 구조체의 두께를 보상하는 단차 보상 부재 및/또는 방열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지정된 높이로 연장되는 월(wall)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월은, 상기 안테나 구조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월을 기준으로 제1 방향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월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더미 패턴들은, 상기 안테나 구조체로부터 상기 기판 방향으로 지정된 간격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전자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은, 상기 기판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소자를 차폐하기 위한 쉴드 캔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는, 방열 부재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소자로부터 발생된 열을 상기 쉴드 캔을 통해 확산시키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부재는, graphite sheet 또는 TIM(thermal interface material) tape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구조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유전체 기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 상에 배치되는 차폐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구조체는, 상기 유전체 기판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가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설정된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재를 통해 무선 충전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설정된 충전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00118555A 2020-09-15 2020-09-15 안테나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36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555A KR20220036233A (ko) 2020-09-15 2020-09-15 안테나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21869626.8A EP4184712A4 (en) 2020-09-15 2021-09-09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NTENNA STRUCTURE
PCT/KR2021/012260 WO2022060004A1 (ko) 2020-09-15 2021-09-09 안테나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7/518,951 US11942677B2 (en) 2020-09-15 2021-11-04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555A KR20220036233A (ko) 2020-09-15 2020-09-15 안테나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233A true KR20220036233A (ko) 2022-03-22

Family

ID=80777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555A KR20220036233A (ko) 2020-09-15 2020-09-15 안테나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36233A (ko)
WO (1) WO202206000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842B1 (ko) * 2013-03-05 2017-02-08 주식회사 아모센스 자기장 및 전자파 차폐용 복합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
KR20150047347A (ko) * 2013-10-24 2015-05-04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20180060578A (ko) * 2016-11-29 2018-06-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101760233B1 (ko) * 2017-03-31 2017-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62818B1 (ko) * 2018-09-12 2023-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밀폐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0004A1 (ko)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9482B1 (ko) 인터포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17137A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51418B1 (ko) 차폐 시트 및 방열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54752B1 (ko) 플렉서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63499B1 (ko)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90127455A (ko)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317512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nterposer
KR102632916B1 (ko) 디스플레이를 통해 배치되는 전자 부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12316A (ko) 광학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207962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KR102645286B1 (ko)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안테나 방사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50458B1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00450A (ko) 방열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923799B2 (en) Antenna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therewith
US11942677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structure
KR20210068919A (ko) 기생 주파수 제거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56661A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22663B1 (ko) 도전성 접착 부재를 통해 디스플레이와 도전성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KR20210098696A (ko) 음향 도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25440A (ko) 그라운드 연결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20036233A (ko) 안테나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74774B1 (ko)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22374B1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076512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shield can structure
KR102657027B1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