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178A - 유해동물 퇴치장치 - Google Patents

유해동물 퇴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178A
KR20220036178A KR1020200118439A KR20200118439A KR20220036178A KR 20220036178 A KR20220036178 A KR 20220036178A KR 1020200118439 A KR1020200118439 A KR 1020200118439A KR 20200118439 A KR20200118439 A KR 20200118439A KR 20220036178 A KR20220036178 A KR 20220036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se
case portion
permanent magnet
magne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0393B1 (ko
Inventor
임종민
Original Assignee
임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민 filed Critical 임종민
Priority to KR1020200118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393B1/ko
Priority to PCT/KR2020/016980 priority patent/WO2022059850A1/ko
Publication of KR20220036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동물 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유해동물 퇴치장치는 프레임에 맞닿게 위치하는 프레임 위치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기 프레임 위치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위치부를 결합시키는 영구 자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프레임의 인접한 부분을 직접 타격하는 타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해동물 퇴치장치{PEST ERAD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유해동물 퇴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생태계가 파괴되고 생태계의 균형이 깨지고 있다.
이로 인해, 천적의 수가 급격히 줄어들어 특정 야생동물의 개체수가 많이 증가하고 있고 또한 생태계 파괴로 인한 야생동물의 먹잇감이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쟁에 뒤진 야생동물과 멋이값이 부족한 야생동물이 생존을 위해 농가로 내려와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사례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
또한, 근래에 친환경농법, 유기농 바람으로 화학비료 대신 퇴비를 많이 쓰면서 굼벵이, 지렁이 등이 늘어나게 되었고, 이를 먹기 위해서 멧돼지 등과 같은 야생동물이 농가의 농작물에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까치와 같은 유해조류는 산간지방이나 농촌 등지에서 먹이를 찾기 위해 비닐하우스 등과 같은 시설물을 훼손시키는 일이 발생하고, 더욱이 흠집이 없는 최고급 상품으로 수확하여 출하시켜야 하는 과일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7045호(공고일자: 2017년0 3월 16일, 발명의 명칭: 야생동물 퇴치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83077호(공개일자: 2020년07월08일, 발명의 명칭: 유해동물 퇴치장치)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유해동물을 효율적으로 퇴치하기 위한 유해동물 퇴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설치와 제거가 용이한 유해동물 퇴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장치는 프레임에 맞닿게 위치하는 프레임 위치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기 프레임 위치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위치부를 결합시키는 영구 자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프레임의 인접한 부분을 직접 타격하는 타격부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제1 케이스부 및 제2 케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특징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장치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영구 자석과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자력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구 자석과 상기 자력 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케이스부에 결합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케이스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케이스부 및 상기 제2 케이스부는 상기 영구 자석과 상기 자력 부재 사이의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제1 케이스부 및 제2 케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레임 위치부는 상기 제1 케이스부 및 상기 제2 케이스부가 맞닿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위치부는 제1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상기 타격부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제1 프레임 위치부 및 제2 프레임 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 위치부 및 제2 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케이스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3 위치부 및 제4 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프레임 위치부는 서로 맞닿는 상기 제1 위치부 및 상기 제3 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프레임 위치부는 서로 맞닿는 상기 제2 위치부 및 상기 제4 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구 자석은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케이스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위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영구 자석이 위치하는 제1 자석 장착홈 및 상기 제2 케이스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4 위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영구 자석이 위치하는 제2 자석 장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장치는 상기 제1 케이스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영구 자석과 결합되는 제1 자력 부재 및 상기 제2 케이스부에 위치하는 제1 영구 자석과 결합되는 제2 자력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케이스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2 위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자력 부재가 위치하는 제1 자력부재 장착홈 및 상기 제2 케이스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3 위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자력 부재가 위치하는 제2 자력부재 장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케이스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케이스부에 장착되는 장착판 및 상기 장착판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타격부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부는 상기 제1 케이스부의 내부면에서 상기 제2 케이스부 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원형으로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가이드 핀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모터는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핀으로 에워싸여진 공간 속에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타격부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연결바, 상기 연결바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연결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 정도가 변하여 인접한 프레임을 타격하는 타격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장치는 상기 제2 케이스부에 위치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장치는 상기 제1 케이스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결합홈 및 상기 제2 케이스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위치부는 곡면일 수 있고, 상기 프레임은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곡률과 상기 프레임 위치부의 곡률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위치부는 가운데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이 접해 있는 접촉 부분 및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 부분을 에워싸고 있고, 상기 프레임과 이격되어 있는 비접촉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장치는 Z축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중력 감지부 및 상기 중력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중력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유해동물 퇴치장치가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으면,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자력을 이용하여 프레임에 유해동물 퇴치장치를 붙이거나 제거하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프레임에 유해동물 퇴치장치를 설치하거나 설치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프레임을 직접 타격하여 진동과 소음을 발생시키므로, 유해동물은 비닐 하우스로의 접근이 크게 줄어들게 된다. 이로 인해, 비닐 하우스가 유해동물로 인해 훼손되는 일이 크게 줄어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해동물 퇴치장치가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에 도시한 유해동물 퇴치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각각 정면과 배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장치의 제1 케이스부에 구동부와 타격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장치의 프레임 위치부에 프레임이 위치할 때, 프레임 위치부와 프레임의 접촉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장치에서 동작 제어부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을 참고하면, 본 예의 유해동물 퇴치장치(1)는 케이스(10), 케이스(10) 내부에 위치하여 프레임(100)과 결합되고 영구 자석과 자력 부재를 구비하는 장착부(20), 케이스(10) 내부에 위치하고 모터(31)를 구비하는 구동부(30) 및 케이스(10) 내부에 구동부와 연결되게 위치하는 타격부(40)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상단 외측에 프레임 위치부, 즉,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를 구비하고 있고, 이 프레임 위치부(101, 102)에는 도2에 도시한 것처럼 프레임(10)이 위치할 수 있고. 이때,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는 유해동물 퇴치장치(1)의 연장 방향(X 방향)(예, 제1 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위치부(101, 102)는 프레임(10)의 해당 부분에 맞닿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서로 결합되어 있는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는 각각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가 맞닿는 부분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형성된 공간 속에 장착부(20), 구동부(30) 및 타격부(40)가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비닐 하우스와 같이 건축물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으로 원형이나 사각형과 같은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는 원통형의 파이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0)은 주로 스테인리스와 같이 녹 발생에 강한 도전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본 예에서, 프레임(10)은 비닐 하우스를 구성하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하우스 프레임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도시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동일한 외형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는 각각 정면부나 배면부를 제외한 나머지 정면, 저면 및 측면을 모두 막혀 있다.
따라서, 결합 동작에 의해 개방된 제1 케이스부(11)의 정면부와 제2 케이스부(12)의 배면부를 통해 제1 케이스부(11)의 내부 공간과 제2 케이스부(12)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결되어 케이스(10)에는 하나의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케이스부(11) 제2 케이스부(12)의 정면 형상은 각각 가운데 부분은 대략 사각형의 형상을 각각 양 가장자리 부분은 대략 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는 각각 프레임(10)이 위치하는 상단부의 연장 길이 즉, 길이 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가 하단부의 연장 길이보다 길고, 케이스(10)의 위치부는 삼각형 형상을 갖는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부에 위치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1)가 안정적으로 프레임(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1 케이스부(11)는 상단 외부에 길이 방향(X)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1 위치부(111)와 제2 위치부(112), 제1 위치부(111)와 제2 위치부(112) 사이의 상단 측부에 위치하는 제1 돌출홈(113) 및 하단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결합 구멍(114)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위치부(111)와 제2 위치부(112)는 제1 케이스부(11)의 양 측부에 각각 위치하고, 유해동물 퇴치장치(1)가 프레임(10)에 장착될 때, 프레임(10)이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돌출홈(113)은 제1 케이스부(11)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할 수 있고, 타격부(40)의 일부가 타격부 돌출부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결합 구멍(114)은 제2 케이스부(12)와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1 케이스부(11)는 내부에는 장착부(20), 구동부(30) 및 타격부(40)의 장착을 위한 장착 구성요소들이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케이스부(11)의 내부에는 영구 자석이 위치하는 제1 자석 장착홈(H111), 자력 부재가 위치하는 제1 자력부재 장착홈(H112), 모터(31)가 위치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핀(P111), 타격부(40)의 일부가 위치하는 지지대(D11) 및 타격부(4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축(P11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자석 장착홈(H111)은 제1 케이스부(11)의 제1 위치부(111)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홈으로서, 이미 기술한 것처럼, 그 내부에 제1 영구 자석(211)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0)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도전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어, 프레임(10)이 도전성 물질을 함유할 때, 제1 영구 자석(211)은 자력에 의해 제1 위치부(111)에 위치한 프레임(10)과 결합되어 제1 프레임(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영구 자석(211)에 의해 프레임(10)과 제1 프레임 위치부(101), 구체적으로 제1 위치부(111)는 자력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자력부재 장착홈(H112)은 제1 위치부(111)와 이격되어 있는 제2 위치부(112)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홈으로서, 이미 기술한 것처럼, 그 내부에 제1 자석 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이드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대략 제1 케이스부(11) 내부의 일측 부분에 위치하고 있고, 제1 케이스부(11)의 내부면에서 제2 케이스부(12) 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원형으로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원통형의 구조를 구조는 모터(31)는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 개의 가이드 핀(P111)으로 에워싸여진 공간 속에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모터(31)의 외경은 이 인접한 가이드 핀(P111)으로 형성된 가상의 원으 둘레보다 클 수 있다.
하지만, 복수 개의 가이드 핀(P111)은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로 이루어져 탄성을 갖고 있으므로, 모터(31)는 안정적으로 복수 개의 가이드 핀(P111)에 의해 형성된 공간 속으로 삽입될 수 있고, 삽입 동작이 완료된 후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 핀(P111)에 의해 모터(31)의 외부면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에 의한 제거 동작과 같이 외부로부터 물리적인 힘이 인가되지 않는 한 모터(31)는 안전하게 해당 공간 속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대는 제1 케이스부(11)의 내부면에서 제2 케이스부(12)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받침대로서, 상부면과 전면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사각형의 빈 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사각형의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의 내부에 타격부(40)가 위치하여 모터(31)의 동작에 의한 타격부(40)의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축(P112) 역시 제1 케이스부(11)의 내부면에서 제2 케이스부(12)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원형의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축(P112)에 타격부(40)가 삽입되어 타격부(40)가 안정적으로 해당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1 케이스부(11)의 내부에는 또한 구동부(30)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 개의 결합 바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케이스부(12) 역시 상단 외부에 길이 방향(X)으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위치부, 즉 제3 위치부(121)와 제4 위치부(122), 제3 위치부(121)와 제4 위치부(122) 사이에 상단 측부에 위치하는 제2 돌출홈(123) 그리고 하단에 위치하는 결합 돌기(12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위치부(121)와 제4 위치부(122) 역시 제2 케이스부(12)의 양 측부에 각각 위치하고, 유해동물 퇴치장치(1)가 프레임(10)에 장착될 때, 프레임(10)이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제3 위치부(121)는 제1 케이스부(11)의 제1 위치부(111)와 대면하고 있고, 제4 위치부(122)는 제1 케이스(10)의 제2 위치부(112)와 대면하고 있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위치부(111)와 제3 위치부(121)는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보게 위치하고, 제2 위치부(112)와 제4 위치부(122)는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가 결합되면, 제1 위치부(111)와 제3 위치부(121)는 서로 맞닿아 접하게 위치하여 상부가 개방된 반원이나 사각형 등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하나의 프레임 위치부(예, 제1 프레임 위치부)(101)를 형성하고, 제2 위치부(112)와 제4 위치부(122) 역시 서로 맞닿아 접하게 위치하여 상부가 개방된 반원이나 사각형 등의 단면 형상을 갖는 또 다른 하나의 프레임 위치부(예, 제2 프레임 위치부)(10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위치부(111)와 제3 위치부(121)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제1 프레임 위치부(101)는 케이스(10)의 상단 일측에 위치하고, 제2 위치부(112)와 제4 위치부(12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제2 프레임 위치부(102)는 케이스(10)의 상단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단 일측과 타측에 제1 방향( X 방향)을 따라 나란히 이격되어 있는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에 프레임(10)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가 각각 반원의 단면 형상을 갖는 곡면인 경우,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의 곡률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의 곡률은 원형의 바 형태인 프레임(10)의 곡률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는 가운데에 위치하여 각각 프레임(10)의 해당 부분이 바로 접해 있는 접촉 부분(1011)과 주변에 위치하여 접촉 부분(1011)을 에워싸고 있고 프레임(10)과 이격되어 있는 비접촉 부분(10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의 비접촉 부분(1012)을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는 용이하게 프레임(10)에 유해동물 퇴치장치(1)의 장착과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프레임(10)의 상단에 위치하는 프레임 위치부(101), 102)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고, 프레임 위치부(101, 102)의 개수에 따라 위치 역시 변경될 수 있다.
제2 돌출홈(123)은 제1 케이스부(11)에 위치하는 제1 돌출홈(113)과 대면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어,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가 결합될 때, 제2 돌출홈(123)은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1 돌출홈(113)과 접하여, 하나의 타격부 돌출구(H40)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제1 돌출홈(113)과 제2 돌출홈(123)으로 이루어진 타격부 돌출구(H40)를 통해 타격부(40)의 단부가 돌출되어 인접한 프레임(10)의 타격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가 서로 결합될 때, 케이스(10)의 상단에는 양 측부에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가 위치하고,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 사이에 타격부 돌출구(H40)가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10)의 양 측부의 높이는 가운데부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어,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의 최저 높이는 타격부 돌출 구(H40)와 접해 있는 가운데부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0)의 측부와 가운데부의 높이 차이에 따라 타격부 돌출 구(H40)를 통해 돌출된 타격부(40)의 돌출 정도가 조정되어, 안정적으로 타격부(40)에 의한 프레임(10)의 타격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결합 돌기(124)는 제1 케이스부(11)에 위치한 결합 구멍(114)에 대응되게 위치하여, 마주보고 있는 해당 결합 구멍(114)에 삽입되어,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의 결합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를 결합하기 위해, 먼저, 제1 케이스부(11)의 결함홈에 제2 케이스부(12)의 결합 돌기(124)를 삽입하여 1차적으로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를 물리적으로 결합시킨 후, 영구 자석과 자력 부재에 의한 자력을 이용하여 2차적으로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의 결합해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2 케이스부(12)는 내부에 전원부(50)가 위치하며, 영구 자석이 위치하는 제2 자석 장착홈(H121) 및 자력 부재가 위치하는 제2 자력부재 장착홈(H122)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케이스부(12)의 내부 공간에는 전원부(50)의 장착을 위한 전원부 케이스(51)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자석 장착홈(H121)은 제2 케이스부(12)의 제4 위치부(122) 바로 아래 위치하고, 제1 케이스부(11)의 제1 자력부재 장착홈(H112)과 반대편에서 대면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 자력부재 장착홈(H122)은 제2 케이스부(12)의 제3 위치부(121) 바로 아래 위치하여, 제1 케이스부(11)의 제1 자석 장착홈(H111)과 반대편에서 대면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자석 장착홈(H111)과 동일하게 제2 자석 장착홈(H121) 역시 제2 영구 자석(212)이 삽입되어, 제2 영구 자석(212)이 제4 위치부(122)에 위치하고 있는 프레임(10)과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1 영구 자석(211)과 유사하게, 제2 영구 자석(212)에 의해 프레임(10)과 프레임 위치부(102), 구체적으로 제4 위치부(122)는 자력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자력부재 장착홈(H122) 역시 제2 자력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에는 서로 사선으로 어긋나는 위치 즉, 제2 위치부(112) 및 제4 위치부(122)의 하부에 각각 도전성 물질인 제1 자력 부재(221) 및 제2 자력 부재(222)가 위치하고, 이들 제1 자력 부재(221)와 제2 자력 부재(222)는 각각 반대편에서 위치하고 있는 제2 영구 자석(212) 및 제1 영구 자석(211)과 대면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영구 자석(예, 211)과 자력 부재(예, 222) 중 어느 하나(예, 211)는 제1 케이스부(11)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222)는 제2 케이스부(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영구 자석(211)과 자력 부재(222)에 의해, 제1 케이스부(11) 및 제2 케이스부(12)는 영구 자석(211)과 자력 부재(222) 사이의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가 결합될 때, 서로 대면하고 있는 제1 영구 자석(211) 및 제2 자력 부재(222) 사이 그리고 제2 영구 자석(212) 및 제1 자력 부재(221)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여 서로 달라붙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는 별도의 잠금 기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안전하게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장착부(2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1 케이스부(11)의 제1 자석 장착홈(H111)과 제2 케이스부(12)의 제2 자석 장착홈(H121)에 각각 삽입되어 위치하는 제1 영구 자석(211)과 제2 영구 자석(212), 그리고 제1 케이스부(11)의 제1 자력부재 장착홈(H112)과 제2 케이스부(12)의 제2 자력부재 장착홈(H122)에 각각 삽입되어 위치하는 제1 자력 부재(221)와 제2 자력 부재(2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영구 자석(211)과 제2 영구 자석(212)은 그 위에 위치하는 프레임(10)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을 이용하여 인접한 프레임(10)과 결합되고, 이로 인해, 유해동물 퇴치장치(1)는 제1 영구 자석(211)과 제2 영구 자석(212)을 이용하여 원하는 프레임(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10)에 유해동물 퇴치장치(1)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도 설치자는 간단하게 프레임(10)에 인접하게 유해동물 퇴치장치(1)를 위치시키는 동작만으로는 원하는 프레임(10)에 유해동물 퇴치장치(1)를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장비없이 프레임(10)에 붙어있는 유해동물 퇴치장치(1)의 떼는 동작만으로 프레임(10)에서 유해동물 퇴치장치(1)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구 자석을 이용하여 유해동물 퇴치장치(1)를 프레임(10)에 설치하고 제거하므로, 설치자의 편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영구 자석(211)과 제2 자력 부재(222) 사이 그리고 제2 영구 자석(212)과 제1 자력 부재(221) 사이의 인력을 이용하여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구동부(3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1 케이스부(11)의 내부 공간 속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30)는 이미 기술한 모터(31) 이외에도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모터(31)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33), 케이스(10) 내부에 위치하는 중력 감지부(32)), 중력 감지부(32)와 모터(31)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33) 및 모터(31)와 결합되어 있는 장착판(34)을 구비할 수 있다.
모터(31)는 동작 제어부(33)의 제어에 따라 전원부(50)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고, 동작 제어부(33)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정해진 방향, 예,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중력 감지부(32)는 케이스(10)에 장착되는 중력을 감지하여 케이스(10)의 장착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중력 감지부(32)는 유해동물 퇴치장치(1)의 두께 방향(예, 제2 방향)(Z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속도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동작 제어부(33)로 출력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33)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모터(3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칩(chip)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동작 제어부(33)는 중력 감지부(32)로부터 인가되는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유해동물 퇴출장치(1)가 지면에 수직하게 위치한 상태, 즉, 프레임(10)에 거꾸로 매달려 있는 상태로 판단되면, 전원부(5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원부(50)에서 모터(31)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중력 감지부(32)로부터 인가되는 감지 신호에 의해 유해동물 퇴출장치(1)가 지면에 수직하게 위치하지 않는 상태이면, 즉, 유해동물 퇴출장치(1)가 프레임(10)에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전원부(50)의 동작을 제어하여 모터(31)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모터(31)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중력 감지부(32)의 동작에 의해, 유해동물 퇴치장치(1)가 정상적으로 프레임(10)에 장착되면, 동작 제어부(33)는 모터(31)로 해당 상태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모터(31)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모터(31)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상태를 동작 제어부(33)의 저장부(예, 메모리) 등에 이미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이로 인해, 동작 제어부(33)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 상태에 맞게, 모터(31)의 해당 상태의 구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정해진 시간 동안 모터(31)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상태가 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모터(31)는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회전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31)의 동작 상태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장착판(34) 등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판(34)은 구동부(30)를 제1 케이스부(11)의 해당 공간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장착판(34)은 복수 개의 장착 구멍을 구비하고 있고, 모터(31)는 장착판(34)과의 결합을 위한 핀(P31)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장착판(34)에 위치한 장착 구멍과 모터(31)에 위치한 핀(P31)의 결합에 의해, 장착판(34)은 모터(31)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부(11)의 내부면에는 장착판(34)에 위치한 해당 장착 구멍(H34)에 대응되게 복수 개의 장착 핀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장착판(34) 역시 제1 케이스부(11)에 장착되고 모터(31)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가이드 핀(P111)에 의해 형성된 공간 속에 삽입되어 안전하게 구동부(30)는 제1 케이스부(11)의 내부면에 장착될 수 있다.
타격부(4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케이스(10)의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에 위치하고 있는 프레임(10)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모터(31)의 동작에 따라 위치가 이동하여 인접한 프레임(10)의 부분을 직접 타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격부(40)는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는 타격부(40)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에서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타격부(40)는 금속 물질을 함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레임(10)을 타격할 때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므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프레임(10)으로 지지되고 있는 하우스 전체로 진동과 소음이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스 근처로 접근하는 멧돼지와 같은 유해 동작은 하우스에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해 하우스로의 접근이 방지된다.
또한, 프레임(10)에 직접 가해지는 타격에 의해 서로 연결된 프레임(10)으로 진동이 전달되고, 이러한 진동은 프레임(10)에 묻혀 있는 땅속으로도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두더지나 쥐와 같이 땅속에 주로 서식하고 있는 동물이 땅을 파 하우스 내부로 침입하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타격부(40)는 모터(3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고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바(41), 연결바에 연결되어 있고 고정축(P112)에 삽입되어 있는 타격바(42), 그리고 연결바(41)의 하단에 위치한 돌기에 삽입되어 지지대에 위치하는 스프링(spring)과 같은 탄성 부재(43)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바(41)는 모터(31)의 회전축에 바로 연결되어 있어, 모터(31)의 회전 동작에 따라 고정축(P112)을 중심으로 하여 해당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이 이동할 수 있다.
타격바(42)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일부는 연결바(41)와 끊김없이 연결되고 일부는 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타격바(42)는 연결바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고정축(P112)을 중심으로 하여 연결바(41)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해당 방향으로 회전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타격바(42)는 하부에 위치하여 고정축(P112)에 삽입되는 삽입 구멍(H421)을 갖는 제1 부분(421), 제1 부분(421)에 연결되어 있고 제1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부분(422) 및 제2 부분(422)과 연결되어 있고 제2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끝단에 타격 돌기(4231)를 구비하고 있는 제3 부분(42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부분(421)은 고정축(P112)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을 구비하고 있어, 삽입 구멍을 통해 고정축(P112)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타격부(40)는 회전 모터(31)의 동작에 따라 고정축(P112)을 중심으로 하여 해당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서로 일체로 연결된 제2 부분(422)과 제3 부분(423)은 연결바(41)의 회전 동작에 따라 고동축(P112)을 중심으로 하여 해당 방향으로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회전 동작에 의해 제3 부분(423)의 끝단에 위치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타격 돌기(4231)의 돌출 정도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모터(31)의 동작에 따른 타격 돌기(4231)의 돌출 정도에 따라, 타격 돌기(4231)는 인접한 프레임(10) 쪽으로 이동하여 프레임(10)을 타격하는 동작과 프레임(10)에서 이격되는 동작은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타격 돌기(4231)의 위치 변화에 의해, 타격부(40)는 모터(31)의 동작 상태에 맞게 프레임(10)을 타격하여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예에 따르면, 타격바(4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부분(422)과 제3 부분(423)을 구비하지만, 타격부(40)의 장착 위치에 따라 타격바(42)는 제3 부분(423)없이 제1 부분(421)과 하나의 방향(예, 제1 두께 방향)(Z 방향)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고 끝단에 타격 돌기(4231)를 갖는 제2 부분(42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케이스부(11)의 지지대와 연결바(41)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탄성 부재(43)는 연결바(41)를 지지하고 있고, 연결바(41)의 회전 상태에 따라 압축 정도가 변하여 안정적으로 연결바(41)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유해동물 퇴치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프레임 10: 케이스
11: 제1 케이스부 111: 제1 위치부
112: 제2 위치부 113: 제1 돌출홈
114: 결합 구멍 12: 제2 케이스부
121: 제3 위치부 122: 제4 위치부
123: 제2 돌출홈 124: 결합 돌기
20: 장착부 211: 제1 영구 자석
212: 제2 영구 자석 221: 제1 자력 부재
222: 제2 자력 부재 30: 구동부
31: 모터 32: 중력 감지부
33: 동작 제어부 50: 전원부
101: 제1 프레임 위치부 102: 제2 프레임 위치부
H40: 타격부 돌출구

Claims (17)

  1. 프레임에 맞닿게 위치하는 프레임 위치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기 프레임 위치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위치부를 결합시키는 영구 자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프레임의 인접한 부분을 직접 타격하는 타격부
    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제1 케이스부 및 제2 케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영구 자석과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자력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구 자석과 상기 자력 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케이스부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케이스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케이스부 및 상기 제2 케이스부는 상기 영구 자석과 상기 자력 부재 사이의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제1 케이스부 및 제2 케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위치부는 상기 제1 케이스부 및 상기 제2 케이스부가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위치부는 제1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타격부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제1 프레임 위치부 및 제2 프레임 위치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 위치부 및 제2 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스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3 위치부 및 제4 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 위치부는 서로 맞닿는 상기 제1 위치부 및 상기 제3 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 위치부는 서로 맞닿는 상기 제2 위치부 및 상기 제4 위치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자석은,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케이스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위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영구 자석이 위치하는 제1 자석 장착홈; 및
    상기 제2 케이스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4 위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영구 자석이 위치하는 제2 자석 장착홈
    을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영구 자석과 결합되는 제1 자력 부재; 및
    상기 제2 케이스부에 위치하는 제1 영구 자석과 결합되는 제2 자력 부재
    를 더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케이스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2 위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자력 부재가 위치하는 제1 자력부재 장착홈; 및
    상기 제2 케이스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3 위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자력 부재가 위치하는 제2 자력부재 장착홈
    을 더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케이스부에 위치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케이스부에 장착되는 장착판; 및
    상기 장착판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타격부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
    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부는 상기 제1 케이스부의 내부면에서 상기 제2 케이스부 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원형으로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가이드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핀으로 에워싸여진 공간 속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연결바;
    상기 연결바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연결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 정도가 변하여 인접한 프레임을 타격하는 타격바
    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부에 위치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1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결합홈; 및
    상기 제2 케이스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
    를 더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위치부는 곡면이고, 상기 프레임은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의 곡률과 상기 프레임 위치부의 곡률은 상이한 유해 동물 퇴치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위치부는,
    가운데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이 접해 있는 접촉 부분; 및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 부분을 에워싸고 있고, 상기 프레임과 이격되어 있는 비접촉 부분을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Z축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중력 감지부; 및
    상기 중력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중력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유해동물 퇴치장치가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으면,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KR1020200118439A 2020-09-15 2020-09-15 유해동물 퇴치장치 KR102450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439A KR102450393B1 (ko) 2020-09-15 2020-09-15 유해동물 퇴치장치
PCT/KR2020/016980 WO2022059850A1 (ko) 2020-09-15 2020-11-26 유해동물 퇴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439A KR102450393B1 (ko) 2020-09-15 2020-09-15 유해동물 퇴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178A true KR20220036178A (ko) 2022-03-22
KR102450393B1 KR102450393B1 (ko) 2022-09-30

Family

ID=80777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439A KR102450393B1 (ko) 2020-09-15 2020-09-15 유해동물 퇴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0393B1 (ko)
WO (1) WO2022059850A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1487U (ja) * 1992-11-13 1994-06-03 横浜植木株式会社 モグラ撃退装置
JP3025148U (ja) * 1995-11-24 1996-06-11 下村 宏和 鳥おどし器
JPH11346636A (ja) * 1998-06-11 1999-12-21 Apollo:Kk 鳥獣威嚇機
JP2010246535A (ja) * 2009-03-26 2010-11-04 Yusuke Eguchi 有害動物忌避装置及び有害動物忌避方法
KR20120004019U (ko) * 2010-11-30 2012-06-0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로드킬방지장치
KR101227162B1 (ko) * 2012-08-29 2013-01-28 한국농림시스템주식회사 엘피지를 이용한 야생 동물 퇴치용 폭음 장치
JP2015039355A (ja) * 2013-08-23 2015-03-02 有限会社ルミエール 有害動物撃退装置
KR101717045B1 (ko) 2015-01-13 2017-03-16 (주)경문엔터테인먼트 야생동물 퇴치기
KR20200083077A (ko) 2018-12-31 2020-07-08 송연숙 유해동물 퇴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729B1 (ko) * 2009-01-23 2009-04-17 이진욱 가로등용 해충퇴치기 및 그를 채용한 가로등
KR101243702B1 (ko) * 2010-11-24 2013-03-14 신일순 초파리 알 채집용기
US10349650B1 (en) * 2015-08-11 2019-07-16 James Harry Launder Bird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1487U (ja) * 1992-11-13 1994-06-03 横浜植木株式会社 モグラ撃退装置
JP3025148U (ja) * 1995-11-24 1996-06-11 下村 宏和 鳥おどし器
JPH11346636A (ja) * 1998-06-11 1999-12-21 Apollo:Kk 鳥獣威嚇機
JP2010246535A (ja) * 2009-03-26 2010-11-04 Yusuke Eguchi 有害動物忌避装置及び有害動物忌避方法
KR20120004019U (ko) * 2010-11-30 2012-06-0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로드킬방지장치
KR101227162B1 (ko) * 2012-08-29 2013-01-28 한국농림시스템주식회사 엘피지를 이용한 야생 동물 퇴치용 폭음 장치
JP2015039355A (ja) * 2013-08-23 2015-03-02 有限会社ルミエール 有害動物撃退装置
KR101717045B1 (ko) 2015-01-13 2017-03-16 (주)경문엔터테인먼트 야생동물 퇴치기
KR20200083077A (ko) 2018-12-31 2020-07-08 송연숙 유해동물 퇴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393B1 (ko) 2022-09-30
WO2022059850A1 (ko)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6251B2 (en) Trapping system utilizing video attractants
US6481147B2 (en) Hunting decoy assemblies
US6658782B2 (en) Animated decoys
US7930989B2 (en) Bird repeller and method of assembly
US20040079025A1 (en) Pest control system including compartments having areas for receiving pest control materials of differing physical consistencies
US20170318797A1 (en) Device for Repelling Animals
US5170584A (en) Snail barrier
EP2419961A1 (en) Pest control apparatus and system having an electromagnetic attracting or repelling device and housing therefor
JP6029144B2 (ja) 有害動物撃退装置
KR101723304B1 (ko) 조류 또는 두더지 퇴치기
AU2021201439B2 (en) Fishing lure
US6328626B1 (en) Game call apparatus
KR20220036178A (ko) 유해동물 퇴치장치
KR20210058088A (ko) 유해 동물 인공지능 퇴치기
US5218778A (en) Fishing lure
US7028636B2 (en) Rotatable bird feeder
JP6176493B2 (ja) 鳥獣害忌避ロボット及び鳥獣害忌避システム
US5237774A (en) Container for granular insecticide
KR20230030458A (ko) 무동력 유해조수 퇴치기
KR20230092037A (ko) 조류 또는 두더지 퇴치기
EP1002462A2 (en) Device for catching snails and means for use in such a device
JP2004222566A (ja) 鳥獣の忌避撃退装置
KR20230115823A (ko) 두더지 및 쥐 퇴치 장치
US20220087223A1 (en) Interactive cat toy
KR20220099461A (ko) 애완동물용 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