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178A - Pest eradic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Pest eradica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178A
KR20220036178A KR1020200118439A KR20200118439A KR20220036178A KR 20220036178 A KR20220036178 A KR 20220036178A KR 1020200118439 A KR1020200118439 A KR 1020200118439A KR 20200118439 A KR20200118439 A KR 20200118439A KR 20220036178 A KR20220036178 A KR 20220036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se
case portion
permanent magnet
magne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4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0393B1 (en
Inventor
임종민
Original Assignee
임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민 filed Critical 임종민
Priority to KR1020200118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393B1/en
Priority to PCT/KR2020/016980 priority patent/WO2022059850A1/en
Publication of KR20220036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1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3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동물 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유해동물 퇴치장치는 프레임에 맞닿게 위치하는 프레임 위치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기 프레임 위치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위치부를 결합시키는 영구 자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프레임의 인접한 부분을 직접 타격하는 타격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pelling harmful animals, wherein the device includes a case including a frame location portion positioned in contact with a frame, located inside the frame location portion of the case, and combining the frame and the frame location portion. The case includes a permanent magnet, a driving unit located inside the case, and a striking unit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protruding toward the frame, and directly hitting an adjacent part of the fra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Description

유해동물 퇴치장치{PEST ERADICATION APPARATUS}PEST ERAD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유해동물 퇴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exterminating harmful animals.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생태계가 파괴되고 생태계의 균형이 깨지고 있다.As industry develops, the ecosystem is being destroyed and its balance is being broken.

이로 인해, 천적의 수가 급격히 줄어들어 특정 야생동물의 개체수가 많이 증가하고 있고 또한 생태계 파괴로 인한 야생동물의 먹잇감이 감소하고 있다.As a result, the number of natural enemies is rapidly decreasing, causing the population of certain wild animals to increase significantly, and the prey for wild animals is also decreasing due to ecosystem destruction.

이에 따라, 경쟁에 뒤진 야생동물과 멋이값이 부족한 야생동물이 생존을 위해 농가로 내려와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사례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Accordingly, the number of cases where wild animals that are behind the competition or that lack the attractiveness of animals come to farms to survive and damage crops is continuing to increase.

또한, 근래에 친환경농법, 유기농 바람으로 화학비료 대신 퇴비를 많이 쓰면서 굼벵이, 지렁이 등이 늘어나게 되었고, 이를 먹기 위해서 멧돼지 등과 같은 야생동물이 농가의 농작물에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with the use of compost instead of chemical fertilizers due to eco-friendly farming and organic farming, the number of slugs and earthworms has increased, and wild animals such as wild boars are causing great damage to farmers' crops in order to eat them.

또한, 까치와 같은 유해조류는 산간지방이나 농촌 등지에서 먹이를 찾기 위해 비닐하우스 등과 같은 시설물을 훼손시키는 일이 발생하고, 더욱이 흠집이 없는 최고급 상품으로 수확하여 출하시켜야 하는 과일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harmful birds such as magpies damage facilities such as greenhouses in search of food in mountainous areas and rural areas, and furthermore, they cause enormous damage to fruits that must be harvested and shipped as top-quality products without blemishes. This is the situa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7045호(공고일자: 2017년0 3월 16일, 발명의 명칭: 야생동물 퇴치기)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717045 (Publication date: March 16, 2017, Title of invention: Wild animal extermination devic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83077호(공개일자: 2020년07월08일, 발명의 명칭: 유해동물 퇴치장치)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83077 (Publication date: July 8, 2020, Title of invention: Harmful animal extermination device)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유해동물을 효율적으로 퇴치하기 위한 유해동물 퇴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st extermination device for efficiently exterminating pests that damage crops.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설치와 제거가 용이한 유해동물 퇴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is to provide a pest extermination device that is easy to install and remov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장치는 프레임에 맞닿게 위치하는 프레임 위치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기 프레임 위치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위치부를 결합시키는 영구 자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프레임의 인접한 부분을 직접 타격하는 타격부를 포함한다. A pest ex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s a case including a frame location portion positioned in contact with a frame, located inside the frame location portion of the case, and the frame and the frame location portion. It includes a permanent magnet for coupling, a driving unit located inside the case, and a striking unit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protruding toward the frame, and directly hitting an adjacent part of the fra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상기 케이스는 제1 케이스부 및 제2 케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고, The case may include a first case portion and a second case portion,

상기 특징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장치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영구 자석과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자력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구 자석과 상기 자력 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케이스부에 결합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케이스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케이스부 및 상기 제2 케이스부는 상기 영구 자석과 상기 자력 부재 사이의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The harmful animal ex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may further include a magnetic member located inside the case and coupled to the permanent magnet by magnetic force. One of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magnetic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ase portion, and the other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ase portion, and the first case portion and the second case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permanent magnet. and may be coupled by magnetic force between the magnetic member.

상기 케이스는 제1 케이스부 및 제2 케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레임 위치부는 상기 제1 케이스부 및 상기 제2 케이스부가 맞닿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The case may include a first case portion and a second case portion, and the frame position portion may be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case portion and the second case portion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프레임 위치부는 제1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상기 타격부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제1 프레임 위치부 및 제2 프레임 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positioning portion may be spaced apart in a first direction and may include a first frame positioning portion and a second frame positioning portion locat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hitting portion.

상기 제1 케이스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 위치부 및 제2 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케이스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3 위치부 및 제4 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프레임 위치부는 서로 맞닿는 상기 제1 위치부 및 상기 제3 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프레임 위치부는 서로 맞닿는 상기 제2 위치부 및 상기 제4 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ase part may include a first position part and a second position part spaced apart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case part may include a third position part and a fourth position part spaced apart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frame position may include the first position and the third position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frame position may include the second position and the fourth position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영구 자석은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케이스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위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영구 자석이 위치하는 제1 자석 장착홈 및 상기 제2 케이스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4 위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영구 자석이 위치하는 제2 자석 장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ermanent magnet may include a first permanent magnet and a second permanent magnet, and the case is located inside the first case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location portion and has a first magnet mounting groove where the first permanent magnet is located. and a second magnet mounting groove located inside the second case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fourth position portion and in which the second permanent magnet is located.

상기 특징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장치는 상기 제1 케이스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영구 자석과 결합되는 제1 자력 부재 및 상기 제2 케이스부에 위치하는 제1 영구 자석과 결합되는 제2 자력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est animal ex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further includes a first magnetic member located in the first case portion and coupled to the second permanent magnet, and a second magnetic member coupled to the first permanent magnet located in the second case portion. It can be included.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케이스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2 위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자력 부재가 위치하는 제1 자력부재 장착홈 및 상기 제2 케이스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3 위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자력 부재가 위치하는 제2 자력부재 장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is located at a lower part of the second position part inside the first case part, and is located at a lower part of the third position part inside the first magnetic member mounting groove and the second case part, and a first magnetic member mounting groove where the first magnetic member is located. 2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magnetic member mounting groove where the magnetic member is located.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케이스부에 위치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may be located in the first case unit.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케이스부에 장착되는 장착판 및 상기 장착판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타격부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mounting plate mounted on the first case portion and a motor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and connected to the hitting portion.

상기 제1 케이스부는 상기 제1 케이스부의 내부면에서 상기 제2 케이스부 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원형으로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가이드 핀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모터는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핀으로 에워싸여진 공간 속에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case un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guide pins that protrude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case unit toward the second case unit and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a circle, and the motor is operated using the plurality of guide pins. It can be inserted and located in an enclosed space.

상기 타격부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연결바, 상기 연결바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연결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 정도가 변하여 인접한 프레임을 타격하는 타격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rik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motor and extends in a first direction, has a connection bar that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r and extends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connection bar Depending on the rotation of the case, the degree of protrusion that protrudes out of the case changes and may include a hitting bar that hits an adjacent frame.

상기 특징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장치는 상기 제2 케이스부에 위치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est animal ex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located in the second case unit.

상기 특징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장치는 상기 제1 케이스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결합홈 및 상기 제2 케이스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rmful animal ex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groov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case portion and a coupling protrusion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case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상기 프레임 위치부는 곡면일 수 있고, 상기 프레임은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곡률과 상기 프레임 위치부의 곡률은 상이할 수 있다.The frame location portion may be a curved surface, the frame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curvature of the frame and the curvature of the frame location portion may be different.

상기 프레임 위치부는 가운데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이 접해 있는 접촉 부분 및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 부분을 에워싸고 있고, 상기 프레임과 이격되어 있는 비접촉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rame location portion may include a contact portion located in the center and in contact with the frame, and a non-contact portion located at the periphery, surrounding the contact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frame.

상기 특징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장치는 Z축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중력 감지부 및 상기 중력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중력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유해동물 퇴치장치가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으면,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est animal ex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characteristics is connected to a gravity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cceleration in the Z-axis direction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of the corresponding state, and is connected to the gravity detection unit, and th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gravity detection unit is When the harmful animal extermination device is attached to the frame, it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자력을 이용하여 프레임에 유해동물 퇴치장치를 붙이거나 제거하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프레임에 유해동물 퇴치장치를 설치하거나 설치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the harmful animal extermination device is attached to or removed from the frame using magnetic force, so the user can easily install or remove the harmful animal extermination device from the frame without using separate equipment.

프레임을 직접 타격하여 진동과 소음을 발생시키므로, 유해동물은 비닐 하우스로의 접근이 크게 줄어들게 된다. 이로 인해, 비닐 하우스가 유해동물로 인해 훼손되는 일이 크게 줄어들게 된다. Since vibration and noise are generated by directly hitting the frame, the access of harmful animals to the greenhouse is greatly reduced. As a result, damage to greenhouses from harmful animals is great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해동물 퇴치장치가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에 도시한 유해동물 퇴치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각각 정면과 배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장치의 제1 케이스부에 구동부와 타격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장치의 프레임 위치부에 프레임이 위치할 때, 프레임 위치부와 프레임의 접촉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장치에서 동작 제어부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rmful animal ex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armful animal extermination device of Figure 1 installed on the frame.
Figures 3 and 4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harmful animal extermination device shown in Figure 1, viewed from the front and back, respectively.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part and the striking part are mounted on the first case part of the pest animal ex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tact relationship between the frame location portion and the frame when the frame is located in the frame location portion of the pest animal ex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in the pest animal ex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dd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a technology or configuration already known in the relevant field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it will be omitt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terms used to appropriately expres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people or customs involved in the field.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intended to refer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include plural forms unless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contrary.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the meaning of 'comprising' is to specify a specific characteristic, area,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to specify another specific property, area,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evice for exterminating harmful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5을 참고하면, 본 예의 유해동물 퇴치장치(1)는 케이스(10), 케이스(10) 내부에 위치하여 프레임(100)과 결합되고 영구 자석과 자력 부재를 구비하는 장착부(20), 케이스(10) 내부에 위치하고 모터(31)를 구비하는 구동부(30) 및 케이스(10) 내부에 구동부와 연결되게 위치하는 타격부(40)를 구비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1 to 5, the harmful animal extermination device 1 of this example includes a case 10, a mounting portion located inside the case 10, coupled to the frame 100, and having a permanent magnet and a magnetic member. (20), a driving unit 30 located inside the case 10 and including a motor 31 may be provided, and a striking unit 40 located inside the case 10 to be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케이스(10)는 상단 외측에 프레임 위치부, 즉,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를 구비하고 있고, 이 프레임 위치부(101, 102)에는 도2에 도시한 것처럼 프레임(10)이 위치할 수 있고. 이때,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는 유해동물 퇴치장치(1)의 연장 방향(X 방향)(예, 제1 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The case 10 is provided with a frame positioning portion outside the upper end, that is, a first frame positioning portion 101 and a second frame positioning portion 102, and these frame positioning portions 101 and 102 are shown in FIG. 2. The frame 10 can be positioned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first frame positioning portion 101 and the second frame positioning portion 102 may be spaced apart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X direction) (eg, first direction) of the harmful animal extermination device 1.

따라서, 프레임 위치부(101, 102)는 프레임(10)의 해당 부분에 맞닿게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rame positioning portions 101 and 102 may be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rame 10.

이러한 케이스(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서로 결합되어 있는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를 구비할 수 있다.This case 10 may include a first case portion 11 and a second case portion 12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S. 3 and 4 .

이로 인해,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는 각각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가 맞닿는 부분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Because of this, the first frame positioning portion 101 and the second frame positioning portion 102 may be respectively positioned at portions where the first case portion 11 and the second case portion 12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따라서,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형성된 공간 속에 장착부(20), 구동부(30) 및 타격부(40)가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unting part 20, the driving part 30, and the striking part 40 can be located in the space formed inside by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case part 11 and the second case part 12.

프레임(10)은 비닐 하우스와 같이 건축물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으로 원형이나 사각형과 같은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는 원통형의 파이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0)은 주로 스테인리스와 같이 녹 발생에 강한 도전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The frame 10 is a frame that forms the framework of a building, such as a greenhouse, and may have the shape of a cylindrical pipe with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such as circular or square. This frame 10 may contain a conductive material that is resistant to rust, such as stainless steel.

본 예에서, 프레임(10)은 비닐 하우스를 구성하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하우스 프레임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도시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is example, the frame 10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by taking as an example a house frame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constituting a greenhouse, but the frame 10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동일한 외형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는 각각 정면부나 배면부를 제외한 나머지 정면, 저면 및 측면을 모두 막혀 있다.The first case portion 11 and the second case portion 12 may have the same external shape as shown in FIG. 1 . As shown in FIG. 1, the front, bottom, and side surfaces of the first case portion 11 and the second case portion 12 are closed, except for the front and back portions, respectively.

따라서, 결합 동작에 의해 개방된 제1 케이스부(11)의 정면부와 제2 케이스부(12)의 배면부를 통해 제1 케이스부(11)의 내부 공간과 제2 케이스부(12)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결되어 케이스(10)에는 하나의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ase portion 11 and the interior of the second case portion 12 are opened through the front portion of the first case portion 11 and the rear portion of the second case portion 12 by the coupling operation. The space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one internal space in the case 10.

이러한 제1 케이스부(11) 제2 케이스부(12)의 정면 형상은 각각 가운데 부분은 대략 사각형의 형상을 각각 양 가장자리 부분은 대략 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ront shapes of the first case portion 11 and the second case portion 12 may have a substantially square shape at the center and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at both edges.

이로 인해,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는 각각 프레임(10)이 위치하는 상단부의 연장 길이 즉, 길이 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가 하단부의 연장 길이보다 길고, 케이스(10)의 위치부는 삼각형 형상을 갖는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first case portion 11 and the second case portion 12 each have an extended length of the upper end where the frame 10 is located, that is, a length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that is longer than the extended length of the lower end. , the positioning portion of the case 10 may be located at both edges having a triangular shape.

따라서, 위치부에 위치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1)가 안정적으로 프레임(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the harmful animal extermination device 1 located at the position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frame 10.

이러한 제1 케이스부(11)는 상단 외부에 길이 방향(X)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1 위치부(111)와 제2 위치부(112), 제1 위치부(111)와 제2 위치부(112) 사이의 상단 측부에 위치하는 제1 돌출홈(113) 및 하단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결합 구멍(114)을 구비할 수 있다.This first case part 11 includes a first position part 111 and a second position part 112, a first position part 111 and a second position part ( 112)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protruding groove 113 located on the upper side between them and a coupling hole 114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lower end.

이러한 제1 위치부(111)와 제2 위치부(112)는 제1 케이스부(11)의 양 측부에 각각 위치하고, 유해동물 퇴치장치(1)가 프레임(10)에 장착될 때, 프레임(10)이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These first position parts 111 and second position parts 112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ase part 11, respectively, and when the pest extermination device 1 is mounted on the frame 10, the frame ( 10) may be the part where it is located.

제1 돌출홈(113)은 제1 케이스부(11)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할 수 있고, 타격부(40)의 일부가 타격부 돌출부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The first protruding groove 113 may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case portion 11, and a portion of the striking portion 40 may form part of the striking portion protrusion.

결합 구멍(114)은 제2 케이스부(12)와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The coupling hole 114 is for stably maintaining the coupling state with the second case portion 12.

또한 제1 케이스부(11)는 내부에는 장착부(20), 구동부(30) 및 타격부(40)의 장착을 위한 장착 구성요소들이 위치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case portion 11 may have mounting components for mounting the mounting portion 20, the driving portion 30, and the striking portion 40 located inside the first case portion 11.

즉,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케이스부(11)의 내부에는 영구 자석이 위치하는 제1 자석 장착홈(H111), 자력 부재가 위치하는 제1 자력부재 장착홈(H112), 모터(31)가 위치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핀(P111), 타격부(40)의 일부가 위치하는 지지대(D11) 및 타격부(4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축(P112)을 구비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inside of the first case portion 11 includes a first magnet mounting groove (H111) where a permanent magnet is located, a first magnetic member mounting groove (H112) where a magnetic member is located, and a motor ( 3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 pins (P111) on which a part of the striking unit 40 is located, a support (D11) on which a part of the striking unit 40 is located, and a fixed shaft (P112) that fixes the position of the striking unit 40.

제1 자석 장착홈(H111)은 제1 케이스부(11)의 제1 위치부(111)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홈으로서, 이미 기술한 것처럼, 그 내부에 제1 영구 자석(211)이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magnet mounting groove H111 is a groove located immediately below the first positioning portion 111 of the first case portion 11, and as already described, the first permanent magnet 211 is located therein. You can.

따라서, 프레임(10)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도전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어, 프레임(10)이 도전성 물질을 함유할 때, 제1 영구 자석(211)은 자력에 의해 제1 위치부(111)에 위치한 프레임(10)과 결합되어 제1 프레임(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영구 자석(211)에 의해 프레임(10)과 제1 프레임 위치부(101), 구체적으로 제1 위치부(111)는 자력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rame 10 may contain a conductive material as already described, so that when the frame 10 contains a conductive material, the first permanent magnet 211 is attached to the first position portion 111 by magnetic force. It can be combined with the positioned frame 10 and mounted on the first frame 10. The frame 10 and the first frame location portion 101, specifically the first location portion 111, may b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permanent magnet 211.

제1 자력부재 장착홈(H112)은 제1 위치부(111)와 이격되어 있는 제2 위치부(112)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홈으로서, 이미 기술한 것처럼, 그 내부에 제1 자석 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magnetic member mounting groove (H112) is a groove located immediately below the second positioning portion 112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sitioning portion 111, and as already described, the first magnetic member is located therein. can do.

복수 개의 가이드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대략 제1 케이스부(11) 내부의 일측 부분에 위치하고 있고, 제1 케이스부(11)의 내부면에서 제2 케이스부(12) 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원형으로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3, a plurality of guides are located approximately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first case part 11,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ase part 11 toward the second case part 12, and have a circular shape. It can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따라서, 원통형의 구조를 구조는 모터(31)는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 개의 가이드 핀(P111)으로 에워싸여진 공간 속에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tor 31, which has a cylindrical structure, can be inserted and positioned in a space surrounded by a plurality of guide pins P111, as shown in FIG. 5.

이때, 모터(31)의 외경은 이 인접한 가이드 핀(P111)으로 형성된 가상의 원으 둘레보다 클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uter diameter of the motor 31 may be larg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virtual circle formed by the adjacent guide pin (P111).

하지만, 복수 개의 가이드 핀(P111)은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로 이루어져 탄성을 갖고 있으므로, 모터(31)는 안정적으로 복수 개의 가이드 핀(P111)에 의해 형성된 공간 속으로 삽입될 수 있고, 삽입 동작이 완료된 후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 핀(P111)에 의해 모터(31)의 외부면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plurality of guide pins (P111) are made of a material such as elastic plastic and have elasticity, the motor 31 can be stably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plurality of guide pins (P111). After the operation is completed,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tor 31 by the plurality of guide pins (P111).

따라서, 관리자에 의한 제거 동작과 같이 외부로부터 물리적인 힘이 인가되지 않는 한 모터(31)는 안전하게 해당 공간 속에 위치할 수 있다.Therefore, the motor 31 can be safely located in the space as long as no physical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such as a removal operation by an administrator.

지지대는 제1 케이스부(11)의 내부면에서 제2 케이스부(12)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받침대로서, 상부면과 전면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사각형의 빈 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사각형의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support is a support that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ase part 11 toward the second case part 12, and has a square bar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front part and a square empty space inside. You can have it.

이러한 지지대의 내부에 타격부(40)가 위치하여 모터(31)의 동작에 의한 타격부(40)의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ince the striking unit 40 is located inside this support, the operation of the striking unit 40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31 can be performed stably.

고정축(P112) 역시 제1 케이스부(11)의 내부면에서 제2 케이스부(12)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원형의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xed shaft P112 may also have a circular bar shape that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ase portion 11 toward the second case portion 12.

이러한 고정축(P112)에 타격부(40)가 삽입되어 타격부(40)가 안정적으로 해당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The striking part 40 is inserted into this fixed axis (P112) so that the striking part 40 can be stably position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이러한 제1 케이스부(11)의 내부에는 또한 구동부(30)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 개의 결합 바가 위치할 수 있다.A plurality of coupling bars for coupling with the driving unit 30 may also be located inside the first case portion 11.

제2 케이스부(12) 역시 상단 외부에 길이 방향(X)으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위치부, 즉 제3 위치부(121)와 제4 위치부(122), 제3 위치부(121)와 제4 위치부(122) 사이에 상단 측부에 위치하는 제2 돌출홈(123) 그리고 하단에 위치하는 결합 돌기(124)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econd case portion 12 also has two position portions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on the outside of the top, namely, a third position portion 121 and a fourth position portion 122, and A second protruding groove 123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a coupling protrusion 124 located on the lower sid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ourth position portion 122.

이러한 제3 위치부(121)와 제4 위치부(122) 역시 제2 케이스부(12)의 양 측부에 각각 위치하고, 유해동물 퇴치장치(1)가 프레임(10)에 장착될 때, 프레임(10)이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These third position parts 121 and fourth position parts 122 are also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ase part 12, respectively, and when the pest extermination device 1 is mounted on the frame 10, the frame ( 10) may be the part where it is located.

이러한 제3 위치부(121)는 제1 케이스부(11)의 제1 위치부(111)와 대면하고 있고, 제4 위치부(122)는 제1 케이스(10)의 제2 위치부(112)와 대면하고 있을 수 있다.This third position portion 121 faces the first position portion 111 of the first case portion 11, and the fourth position portion 122 faces the second position portion 112 of the first case portion 10. ) may be facing.

이로 인해, 제1 위치부(111)와 제3 위치부(121)는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보게 위치하고, 제2 위치부(112)와 제4 위치부(122)는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For this reason, the first position part 111 and the third position part 121 can b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on opposite sides, and the second position part 112 and the fourth position part 122 can b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on opposite sides. there is.

따라서,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가 결합되면, 제1 위치부(111)와 제3 위치부(121)는 서로 맞닿아 접하게 위치하여 상부가 개방된 반원이나 사각형 등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하나의 프레임 위치부(예, 제1 프레임 위치부)(101)를 형성하고, 제2 위치부(112)와 제4 위치부(122) 역시 서로 맞닿아 접하게 위치하여 상부가 개방된 반원이나 사각형 등의 단면 형상을 갖는 또 다른 하나의 프레임 위치부(예, 제2 프레임 위치부)(102)를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first case part 11 and the second case part 12 are combined, the first position part 111 and the third position part 121 are position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form a semicircle or square with an open top. One frame position part (e.g., first frame position part) 101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is formed, and the second position part 112 and the fourth position part 122 are also position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located in the upper part. Another frame location portion (eg, second frame location portion) 102 may be formed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such as an open semicircle or square.

이로 인해, 제1 위치부(111)와 제3 위치부(121)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제1 프레임 위치부(101)는 케이스(10)의 상단 일측에 위치하고, 제2 위치부(112)와 제4 위치부(12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제2 프레임 위치부(102)는 케이스(10)의 상단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first frame positioning part 101, which is a combination of the first positioning part 111 and the third positioning part 121, is located on one upper side of the case 10, and the second positioning part 112 and the third positioning part 121 are locat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case 10. The second frame position part 102, which is a combination of four position parts 122, may be located on the other upper side of the case 10.

따라서, 상단 일측과 타측에 제1 방향( X 방향)을 따라 나란히 이격되어 있는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에 프레임(10)이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rame 10 may be positioned in the first frame positioning portion 101 and the second frame positioning portion 102 that are spaced side by side along the first direction (X direction) on one side and the other of the upper end.

이러한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가 각각 반원의 단면 형상을 갖는 곡면인 경우,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의 곡률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의 곡률은 원형의 바 형태인 프레임(10)의 곡률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When the first frame positioning portion 101 and the second frame positioning portion 102 are curved surfaces each having a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curvature of the first frame positioning portion 101 and the second frame positioning portion 102 is may be identical to each other. Additionally, the curvature of the first frame positioning portion 101 and the second frame positioning portion 102 may be different from the curvature of the frame 10, which has a circular bar shape.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는 가운데에 위치하여 각각 프레임(10)의 해당 부분이 바로 접해 있는 접촉 부분(1011)과 주변에 위치하여 접촉 부분(1011)을 에워싸고 있고 프레임(10)과 이격되어 있는 비접촉 부분(1012)을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6, the first frame positioning portion 101 and the second frame positioning portion 102 are located in the center, and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rame 1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1011 and the surrounding area,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 non-contact part 1012 that is located and surrounds the contact part 1011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rame 10.

이와 같이,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의 비접촉 부분(1012)을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는 용이하게 프레임(10)에 유해동물 퇴치장치(1)의 장착과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this way, by including the non-contact portion 1012 of the first frame positioning portion 101 and the second frame positioning portion 102, the user can easily attach and remove the harmful animal extermination device 1 to the frame 10. can facilitate.

프레임(10)의 상단에 위치하는 프레임 위치부(101), 102)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고, 프레임 위치부(101, 102)의 개수에 따라 위치 역시 변경될 수 있다.The number of frame positioning parts 101 and 102 located at the top of the frame 10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s needed, and the position may also be chang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frame positioning parts 101 and 102.

제2 돌출홈(123)은 제1 케이스부(11)에 위치하는 제1 돌출홈(113)과 대면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어,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가 결합될 때, 제2 돌출홈(123)은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1 돌출홈(113)과 접하여, 하나의 타격부 돌출구(H40)를 이룰 수 있다.The second protruding groove 123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protruding groove 113 located in the first case portion 11, so that the first case portion 11 and the second case portion 12 When combined, the second protruding groove 12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ding groove 113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forming one hitting portion protrusion H40.

따라서, 제1 돌출홈(113)과 제2 돌출홈(123)으로 이루어진 타격부 돌출구(H40)를 통해 타격부(40)의 단부가 돌출되어 인접한 프레임(10)의 타격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end of the striking portion 40 protrudes through the striking portion protrusion H40 composed of the first protruding groove 113 and the second protruding groove 123 to perform a striking operation on the adjacent frame 10. .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가 서로 결합될 때, 케이스(10)의 상단에는 양 측부에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가 위치하고,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 사이에 타격부 돌출구(H40)가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first case part 11 and the second case part 12 having this structure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upper part of the case 10 is provided with a first frame position part 101 and a second frame position part on both sides ( 102) is located, and the striking portion protrusion H40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frame location portion 101 and the second frame location portion 102.

케이스(10)의 양 측부의 높이는 가운데부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어,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의 최저 높이는 타격부 돌출 구(H40)와 접해 있는 가운데부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The height of both sides of the case 10 may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center portion, so that the lowest height of the first frame location portion 101 and the second frame location portion 102 is the height of the center portion in contact with the hitting portion protrusion H40. It can be higher.

따라서, 케이스(10)의 측부와 가운데부의 높이 차이에 따라 타격부 돌출 구(H40)를 통해 돌출된 타격부(40)의 돌출 정도가 조정되어, 안정적으로 타격부(40)에 의한 프레임(10)의 타격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striking part 40 protruding through the striking part protrusion hole H4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side and the center of the case 10, and the frame 10 by the striking part 40 is stably stabilized. ) so that the striking action can be performed.

결합 돌기(124)는 제1 케이스부(11)에 위치한 결합 구멍(114)에 대응되게 위치하여, 마주보고 있는 해당 결합 구멍(114)에 삽입되어,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의 결합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coupling protrusion 124 is located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114 located in the first case portion 11 and is inserted into the opposing coupling hole 114 to connect the first case portion 11 and the second case. This ensures that the coupled state of the parts 12 can be achieved.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를 결합하기 위해, 먼저, 제1 케이스부(11)의 결함홈에 제2 케이스부(12)의 결합 돌기(124)를 삽입하여 1차적으로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를 물리적으로 결합시킨 후, 영구 자석과 자력 부재에 의한 자력을 이용하여 2차적으로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의 결합해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n order to couple the first case portion 11 and the second case portion 12, the user first attaches the coupling protrusion 124 of the second case portion 12 to the defect groove of the first case portion 11. After inserting the first case part 11 and the second case part 12 physically, the first case part 11 and the second case part 12 are secondarily connected using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magnetic member. The second case portion 12 is coupled so that the coupled state is maintained.

이러한 제2 케이스부(12)는 내부에 전원부(50)가 위치하며, 영구 자석이 위치하는 제2 자석 장착홈(H121) 및 자력 부재가 위치하는 제2 자력부재 장착홈(H122)을 구비할 수 있다.This second case portion 12 has the power supply unit 50 located inside, and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magnet mounting groove (H121) where the permanent magnet is located and a second magnetic member mounting groove (H122) where the magnetic member is located. You can.

따라서, 제2 케이스부(12)의 내부 공간에는 전원부(50)의 장착을 위한 전원부 케이스(51)가 위치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ower supply case 51 for mounting the power supply unit 50 may be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case unit 12.

제2 자석 장착홈(H121)은 제2 케이스부(12)의 제4 위치부(122) 바로 아래 위치하고, 제1 케이스부(11)의 제1 자력부재 장착홈(H112)과 반대편에서 대면하고 있을 수 있다.The second magnet mounting groove (H121)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fourth position portion (122) of the second case portion (12) and faces the first magnetic member mounting groove (H112) of the first case portion (11) on the opposite side. There may be.

또한, 제2 자력부재 장착홈(H122)은 제2 케이스부(12)의 제3 위치부(121) 바로 아래 위치하여, 제1 케이스부(11)의 제1 자석 장착홈(H111)과 반대편에서 대면하고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agnetic member mounting groove (H122)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third position portion (121) of the second case portion (12) and is opposite to the first magnet mounting groove (H111) of the first case portion (11). You may be facing each other.

따라서, 제1 자석 장착홈(H111)과 동일하게 제2 자석 장착홈(H121) 역시 제2 영구 자석(212)이 삽입되어, 제2 영구 자석(212)이 제4 위치부(122)에 위치하고 있는 프레임(10)과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1 영구 자석(211)과 유사하게, 제2 영구 자석(212)에 의해 프레임(10)과 프레임 위치부(102), 구체적으로 제4 위치부(122)는 자력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Therefore, like the first magnet mounting groove (H111), the second magnet mounting groove (H121) also has a second permanent magnet 212 inserted therein, so that the second permanent magnet 212 is located in the fourth position portion 122. So that combination with the frame 10 can be achieved. Similar to the first permanent magnet 211, the frame 10 and the frame location portion 102, specifically the fourth location portion 122, may b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second permanent magnet 212.

제2 자력부재 장착홈(H122) 역시 제2 자력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The second magnetic member may als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magnetic member mounting groove (H122).

이와 같이,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에는 서로 사선으로 어긋나는 위치 즉, 제2 위치부(112) 및 제4 위치부(122)의 하부에 각각 도전성 물질인 제1 자력 부재(221) 및 제2 자력 부재(222)가 위치하고, 이들 제1 자력 부재(221)와 제2 자력 부재(222)는 각각 반대편에서 위치하고 있는 제2 영구 자석(212) 및 제1 영구 자석(211)과 대면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first case portion 11 and the second case portion 12 have first case portion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t positions diagonally offset from each other, that is, at the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position portion 112 and the fourth position portion 122. A magnetic member 221 and a second magnetic member 222 are located, and the first magnetic member 221 and the second magnetic member 222 are a second permanent magnet 212 and a first permanent magnet located on opposite sides, respectively. You will be able to face (211).

결국, 영구 자석(예, 211)과 자력 부재(예, 222) 중 어느 하나(예, 211)는 제1 케이스부(11)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222)는 제2 케이스부(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영구 자석(211)과 자력 부재(222)에 의해, 제1 케이스부(11) 및 제2 케이스부(12)는 영구 자석(211)과 자력 부재(222) 사이의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Ultimately, one (e.g., 211) of the permanent magnet (e.g., 211) and the magnetic member (e.g., 222) is coupled to the first case portion 11, and the other one (222) is coupled to the second case portion (12). can be combined with By this permanent magnet 211 and the magnetic member 222, the first case portion 11 and the second case portion 12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211 and the magnetic member 222. You can.

따라서,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가 결합될 때, 서로 대면하고 있는 제1 영구 자석(211) 및 제2 자력 부재(222) 사이 그리고 제2 영구 자석(212) 및 제1 자력 부재(221)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여 서로 달라붙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는 별도의 잠금 기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안전하게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first case portion 11 and the second case portion 12 are combined, between the first permanent magnet 211 and the second magnetic member 222 facing each other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212 and the first magnetic member 221, an attractive force acts so that they stick to each other. Because of this, the first case portion 11 and the second case portion 12 can be safely coupled to each other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locking mechanism.

장착부(2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1 케이스부(11)의 제1 자석 장착홈(H111)과 제2 케이스부(12)의 제2 자석 장착홈(H121)에 각각 삽입되어 위치하는 제1 영구 자석(211)과 제2 영구 자석(212), 그리고 제1 케이스부(11)의 제1 자력부재 장착홈(H112)과 제2 케이스부(12)의 제2 자력부재 장착홈(H122)에 각각 삽입되어 위치하는 제1 자력 부재(221)와 제2 자력 부재(222)를 구비할 수 있다.As already described, the mounting portion 20 is inserted into and positioned in the first magnet mounting groove (H111) of the first case portion (11) and the second magnet mounting groove (H121) of the second case portion (12). 1 permanent magnet 211 and second permanent magnet 212, and first magnetic member mounting groove (H112) of the first case portion (11) and second magnetic member mounting groove (H122) of the second case portion (12) )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magnetic member 221 and a second magnetic member 222 that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positioned.

제1 영구 자석(211)과 제2 영구 자석(212)은 그 위에 위치하는 프레임(10)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을 이용하여 인접한 프레임(10)과 결합되고, 이로 인해, 유해동물 퇴치장치(1)는 제1 영구 자석(211)과 제2 영구 자석(212)을 이용하여 원하는 프레임(10)에 장착될 수 있다.The first permanent magnet 211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212 are coupled to the adjacent frame 10 using the attractive force acting between the frame 10 located thereon, and as a result, the pest extermination device 1 ) can be mounted on the desired frame 10 using the first permanent magnet 211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212.

이에 따라, 프레임(10)에 유해동물 퇴치장치(1)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도 설치자는 간단하게 프레임(10)에 인접하게 유해동물 퇴치장치(1)를 위치시키는 동작만으로는 원하는 프레임(10)에 유해동물 퇴치장치(1)를 위치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without using separate equipment to couple the harmful animal extermination device 1 to the frame 10, the installer can simply position the harmful animal extermination device 1 adjacent to the frame 10 to achieve desired results. The harmful animal extermination device (1) can be placed on the frame (10).

또한, 별도의 장비없이 프레임(10)에 붙어있는 유해동물 퇴치장치(1)의 떼는 동작만으로 프레임(10)에서 유해동물 퇴치장치(1)를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rmful animal extermination device 1 can be removed from the frame 10 simply by removing the harmful animal extermination device 1 attached to the frame 10 without any additional equipment.

이와 같이, 영구 자석을 이용하여 유해동물 퇴치장치(1)를 프레임(10)에 설치하고 제거하므로, 설치자의 편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harmful animal extermination device 1 is installed and removed from the frame 10 using a permanent magnet, the installer's convenience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제1 영구 자석(211)과 제2 자력 부재(222) 사이 그리고 제2 영구 자석(212)과 제1 자력 부재(221) 사이의 인력을 이용하여 제1 케이스부(11)와 제2 케이스부(12)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by using the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first permanent magnet 211 and the second magnetic member 222 and between the second permanent magnet 212 and the first magnetic member 221, the first case portion 11 and the second magnetic member 2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upled state of the case portion 12 can be stably maintained.

구동부(3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1 케이스부(11)의 내부 공간 속에 위치할 수 있다.As already described, the driving unit 30 may be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case unit 11.

이러한 구동부(30)는 이미 기술한 모터(31) 이외에도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모터(31)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33), 케이스(10) 내부에 위치하는 중력 감지부(32)), 중력 감지부(32)와 모터(31)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33) 및 모터(31)와 결합되어 있는 장착판(34)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motor 31 already described, this drive unit 30 includes an operation control unit 33 connected to the motor 31 as shown in FIG. 7, a gravity detection unit 32 located inside the case 10, It may be provided with a motion control unit 33 connected to the gravity sensing unit 32 and the motor 31, and a mounting plate 34 connected to the motor 31.

모터(31)는 동작 제어부(33)의 제어에 따라 전원부(50)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고, 동작 제어부(33)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정해진 방향, 예,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The motor 31 receives driving power from the power source 5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33, and mov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t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33. It can rotate.

중력 감지부(32)는 케이스(10)에 장착되는 중력을 감지하여 케이스(10)의 장착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gravity sensing unit 32 is used to detect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case 10 by detecting gravity mounted on the case 10.

따라서, 이러한 중력 감지부(32)는 유해동물 퇴치장치(1)의 두께 방향(예, 제2 방향)(Z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속도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동작 제어부(33)로 출력할 수 있다.Therefore, the gravity detection unit 32 detects the acceleration ac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e.g., second direction) (Z direction) of the pest extermination device 1 and send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corresponding state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33. Can be printed.

동작 제어부(33)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모터(3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칩(chip)으로 제조될 수 있다. As already described, the operation control unit 33 is us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31 and may be manufactured as a chip.

동작 제어부(33)는 중력 감지부(32)로부터 인가되는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유해동물 퇴출장치(1)가 지면에 수직하게 위치한 상태, 즉, 프레임(10)에 거꾸로 매달려 있는 상태로 판단되면, 전원부(5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원부(50)에서 모터(31)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33 determines that the harmful animal expulsion device 1 is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at is, hanging upside down on the frame 10, using the detection signal applied from the gravity detection unit 32, The operation of the power unit 50 is controlled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power unit 50 to the motor 31.

하지만, 중력 감지부(32)로부터 인가되는 감지 신호에 의해 유해동물 퇴출장치(1)가 지면에 수직하게 위치하지 않는 상태이면, 즉, 유해동물 퇴출장치(1)가 프레임(10)에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전원부(50)의 동작을 제어하여 모터(31)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모터(31)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However, if the harmful animal expulsion device 1 is not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due to the detection signal applied from the gravity detection unit 32, that is, the harmful animal expulsion device 1 is mounted on the frame 10 If not,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50 is controlled to cut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motor 31 to prevent the motor 31 from operating.

중력 감지부(32)의 동작에 의해, 유해동물 퇴치장치(1)가 정상적으로 프레임(10)에 장착되면, 동작 제어부(33)는 모터(31)로 해당 상태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모터(31)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harmful animal extermination device 1 is normally mounted on the frame 10 by the operation of the gravity detection unit 32, the operation control unit 33 applies a drive signal of the corresponding state to the motor 31 to )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이때, 모터(31)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상태를 동작 제어부(33)의 저장부(예, 메모리) 등에 이미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이로 인해, 동작 제어부(33)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 상태에 맞게, 모터(31)의 해당 상태의 구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정해진 시간 동안 모터(31)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상태가 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모터(31)는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회전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ate of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motor 31 may alread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e.g., memory)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33. As a result, the operation control unit 33 may Depending on the operating state, a driving signal for the corresponding state of the motor 31 can be output. Accordingly, the state of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motor 31 may chang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accordingly,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31 may be chang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이러한 모터(31)의 동작 상태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장착판(34) 등에 장착될 수 있다. The operating state of this motor 31 can be changed as needed and can be mounted on the mounting plate 34 or the like.

장착판(34)은 구동부(30)를 제1 케이스부(11)의 해당 공간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The mounting plate 34 is for mounting the driving unit 30 in the corresponding space of the first case unit 11.

장착판(34)은 복수 개의 장착 구멍을 구비하고 있고, 모터(31)는 장착판(34)과의 결합을 위한 핀(P31)을 구비할 수 있다.The mounting plate 34 has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and the motor 31 may be provided with a pin (P31) for coupling to the mounting plate 34.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장착판(34)에 위치한 장착 구멍과 모터(31)에 위치한 핀(P31)의 결합에 의해, 장착판(34)은 모터(31)에 장착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3, the mounting plate 34 can be mounted on the motor 31 by engaging the mounting hole located on the mounting plate 34 and the pin P31 located on the motor 31.

또한, 제1 케이스부(11)의 내부면에는 장착판(34)에 위치한 해당 장착 구멍(H34)에 대응되게 복수 개의 장착 핀이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a plurality of mounting pins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ase portion 11 to correspond to the corresponding mounting holes H34 located in the mounting plate 34.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장착판(34) 역시 제1 케이스부(11)에 장착되고 모터(31)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가이드 핀(P111)에 의해 형성된 공간 속에 삽입되어 안전하게 구동부(30)는 제1 케이스부(11)의 내부면에 장착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mounting plate 34 is also mounted on the first case portion 11, and the motor 31 is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guide pin P111 as already described to safely drive the drive unit 30. ) can b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ase portion 11.

타격부(4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케이스(10)의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에 위치하고 있는 프레임(10)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모터(31)의 동작에 따라 위치가 이동하여 인접한 프레임(10)의 부분을 직접 타격할 수 있다.As already described, the striking unit 40 is located adjacent to the frame 10 located at the first frame positioning part 101 and the second frame positioning part 102 of the case 10, and the motor 31 The position mov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so that the adjacent part of the frame 10 can be directly hit.

이에 따라, 타격부(40)는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 프레임 위치부(101)와 제2 프레임 위치부(102)는 타격부(40)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에서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hitting unit 40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frame positioning part 101 and the second frame positioning part 102, the first frame positioning part 101 and the second frame positioning part 102 are striking. Based on the unit 40, they may b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in opposite directions.

이러한 타격부(40)는 금속 물질을 함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레임(10)을 타격할 때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므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프레임(10)으로 지지되고 있는 하우스 전체로 진동과 소음이 전달될 수 있다. This hitting portion 40 may contain a metal material, and thus generates vibration and noise when hitting the frame 10, so that the entire house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frames 10 connected to each other vibrates. and noise may be transmitted.

따라서, 하우스 근처로 접근하는 멧돼지와 같은 유해 동작은 하우스에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해 하우스로의 접근이 방지된다.Therefore, harmful movements such as wild boars approaching near the house are prevented from approaching the house due to the noise generated in the house.

또한, 프레임(10)에 직접 가해지는 타격에 의해 서로 연결된 프레임(10)으로 진동이 전달되고, 이러한 진동은 프레임(10)에 묻혀 있는 땅속으로도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두더지나 쥐와 같이 땅속에 주로 서식하고 있는 동물이 땅을 파 하우스 내부로 침입하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frames 10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low directly applied to the frame 10, and such vibration can also be transmitted into the ground buried in the frame 10. Therefore, animals that mainly live underground, such as moles or rats, can be prevented from invading the inside of the digging house.

이러한 타격부(40)는 모터(3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고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바(41), 연결바에 연결되어 있고 고정축(P112)에 삽입되어 있는 타격바(42), 그리고 연결바(41)의 하단에 위치한 돌기에 삽입되어 지지대에 위치하는 스프링(spring)과 같은 탄성 부재(43)를 구비할 수 있다.This hitting portion 40 includes a connecting bar 41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31 and extending in the extension direction, a hitting bar 42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ar and inserted into the fixed shaft P112, and An elastic member 43, such as a spring, may be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onnecting bar 41 and positioned on the support.

연결바(41)는 모터(31)의 회전축에 바로 연결되어 있어, 모터(31)의 회전 동작에 따라 고정축(P112)을 중심으로 하여 해당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이 이동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bar 4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31, so that the rotation movement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can be moved around the fixed axis P112 according to the rotation movement of the motor 31.

타격바(42)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일부는 연결바(41)와 끊김없이 연결되고 일부는 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As already described, part of the hitting bar 42 is seamless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ar 41 and part of it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

따라서 타격바(42)는 연결바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고정축(P112)을 중심으로 하여 연결바(41)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해당 방향으로 회전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Therefore, the striking bar 42 can perform a rotational movement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onnecting bar 41 around the fixed axis P112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onnecting bar.

이러한 타격바(42)는 하부에 위치하여 고정축(P112)에 삽입되는 삽입 구멍(H421)을 갖는 제1 부분(421), 제1 부분(421)에 연결되어 있고 제1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부분(422) 및 제2 부분(422)과 연결되어 있고 제2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끝단에 타격 돌기(4231)를 구비하고 있는 제3 부분(423)을 구비할 수 있다. This hitting bar 42 is connected to the first part 421, which has an insertion hole H421 located at the bottom and inserted into the fixed shaft P112, and extends in the first thickness direction. It may include a second part 422 and a third part 423 connected to the second part 422, extending in the second thickness direction, and having a striking protrusion 4231 at the end.

제1 부분(421)은 고정축(P112)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을 구비하고 있어, 삽입 구멍을 통해 고정축(P112)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타격부(40)는 회전 모터(31)의 동작에 따라 고정축(P112)을 중심으로 하여 해당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part 421 has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fixed shaft P112 is inserted, and the fixed shaft P112 can be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Accordingly, the striking unit 40 may rotate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round the fixed axis P112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motor 31.

서로 일체로 연결된 제2 부분(422)과 제3 부분(423)은 연결바(41)의 회전 동작에 따라 고동축(P112)을 중심으로 하여 해당 방향으로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회전 동작에 의해 제3 부분(423)의 끝단에 위치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타격 돌기(4231)의 돌출 정도가 변하게 된다.The second part 422 and the third part 423, which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rotate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round the driving shaft P112 according to the rotational action of the connecting bar 41, and this rotational action As a result,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striking protrusion 4231 located at the end of the third portion 423 and exposed to the outside changes.

따라서, 모터(31)의 동작에 따른 타격 돌기(4231)의 돌출 정도에 따라, 타격 돌기(4231)는 인접한 프레임(10) 쪽으로 이동하여 프레임(10)을 타격하는 동작과 프레임(10)에서 이격되는 동작은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Therefore, depending on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striking protrusion 4231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tor 31, the striking protrusion 4231 moves toward the adjacent frame 10 to strike the frame 10 and separates from the frame 10. The movements can be performed repeatedly.

따라서, 이러한 타격 돌기(4231)의 위치 변화에 의해, 타격부(40)는 모터(31)의 동작 상태에 맞게 프레임(10)을 타격하여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refore,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hitting protrusion 4231, the hitting unit 40 can hit the frame 10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tor 31 to generate noise and vibration.

본 예에 따르면, 타격바(4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부분(422)과 제3 부분(423)을 구비하지만, 타격부(40)의 장착 위치에 따라 타격바(42)는 제3 부분(423)없이 제1 부분(421)과 하나의 방향(예, 제1 두께 방향)(Z 방향)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고 끝단에 타격 돌기(4231)를 갖는 제2 부분(422)을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xample, the hitting bar 42 has a second part 422 and a third part 423 extending in different directions, but depending on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hitting part 40, the hitting bar 42 A second part 422 extends straight in one direction (e.g., first thickness direction) (Z direction) with the first part 421 without the third part 423 and has a striking protrusion 4231 at the end. can be provided.

제1 케이스부(11)의 지지대와 연결바(41)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탄성 부재(43)는 연결바(41)를 지지하고 있고, 연결바(41)의 회전 상태에 따라 압축 정도가 변하여 안정적으로 연결바(41)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elastic member 43 located between the support of the first case portion 11 and the connecting bar 41 supports the connecting bar 41, and the degree of compression changes depending on the rotation state of the connecting bar 41 to provide stable stability. This allows rotation of the connecting bar 41.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rresponding embodiment, and unless they are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may be combined and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이상, 본 발명의 유해동물 퇴치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bove, embodiments of the pest animal extermin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ttached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from the perspectiv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of this specification but also by equivalents to these claims.

100: 프레임 10: 케이스
11: 제1 케이스부 111: 제1 위치부
112: 제2 위치부 113: 제1 돌출홈
114: 결합 구멍 12: 제2 케이스부
121: 제3 위치부 122: 제4 위치부
123: 제2 돌출홈 124: 결합 돌기
20: 장착부 211: 제1 영구 자석
212: 제2 영구 자석 221: 제1 자력 부재
222: 제2 자력 부재 30: 구동부
31: 모터 32: 중력 감지부
33: 동작 제어부 50: 전원부
101: 제1 프레임 위치부 102: 제2 프레임 위치부
H40: 타격부 돌출구
100: Frame 10: Case
11: first case portion 111: first position portion
112: second position portion 113: first protruding groove
114: Coupling hole 12: Second case portion
121: third position portion 122: fourth position portion
123: second protruding groove 124: coupling protrusion
20: Mounting portion 211: First permanent magnet
212: second permanent magnet 221: first magnetic member
222: second magnetic member 30: driving unit
31: motor 32: gravity detection unit
33: operation control unit 50: power unit
101: first frame location unit 102: second frame location unit
H40: Impact protrusion

Claims (17)

프레임에 맞닿게 위치하는 프레임 위치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기 프레임 위치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위치부를 결합시키는 영구 자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프레임의 인접한 부분을 직접 타격하는 타격부
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A case including a frame location portion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frame;
a permanent magnet located inside the frame position part of the case and coupling the frame and the frame position part;
a driving unit located inside the case; and
A striking part that is connected to the driving part, protrudes toward the frame, and directly hits an adjacent part of the fra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part.
A pest animal extermination device comprising 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제1 케이스부 및 제2 케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영구 자석과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자력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구 자석과 상기 자력 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케이스부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케이스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케이스부 및 상기 제2 케이스부는 상기 영구 자석과 상기 자력 부재 사이의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ase includes a first case portion and a second case portion,
It further includes a magnetic member located inside the case and coupled to the permanent magnet by magnetic force,
One of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magnetic member is coupled to the first case portion, and the other is coupled to the second case portion,
The first case portion and the second case por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magnetic memb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제1 케이스부 및 제2 케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위치부는 상기 제1 케이스부 및 상기 제2 케이스부가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ase includes a first case portion and a second case portion,
The frame position portion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case portion and the second case por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위치부는 제1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타격부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제1 프레임 위치부 및 제2 프레임 위치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According to clause 3,
The frame positioning portion is spaced apart in a first direction and includes a first frame positioning portion and a second frame positioning portion position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hitting portion.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 위치부 및 제2 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스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3 위치부 및 제4 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 위치부는 서로 맞닿는 상기 제1 위치부 및 상기 제3 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 위치부는 서로 맞닿는 상기 제2 위치부 및 상기 제4 위치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According to clause 4,
The first case portion includes a first position portion and a second position portion spaced apart in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case portion includes a third position portion and a fourth position portion spaced apart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frame position part includes the first position part and the third position part abutting each other,
The second frame position part is a pest extermination device including the second position part and the fourth position part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자석은,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케이스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위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영구 자석이 위치하는 제1 자석 장착홈; 및
상기 제2 케이스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4 위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영구 자석이 위치하는 제2 자석 장착홈
을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permanent magnet is,
Comprising a first permanent magnet and a second permanent magnet,
In the above case,
a first magnet mounting groove located inside the first case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osition portion and in which the first permanent magnet is located; and
A second magnet mounting groove located inside the second case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fourth position portion and in which the second permanent magnet is located.
A pest animal extermination device comprising a.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영구 자석과 결합되는 제1 자력 부재; 및
상기 제2 케이스부에 위치하는 제1 영구 자석과 결합되는 제2 자력 부재
를 더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According to clause 6,
a first magnetic member located in the first case portion and coupled to the second permanent magnet; and
A second magnetic member coupled to the first permanent magnet located in the second case portion
A pest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케이스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2 위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자력 부재가 위치하는 제1 자력부재 장착홈; 및
상기 제2 케이스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3 위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자력 부재가 위치하는 제2 자력부재 장착홈
을 더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According to clause 7,
In the above case,
a first magnetic member mounting groove located inside the first case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location portion and in which the first magnetic member is located; and
A second magnetic member mounting groove located inside the second case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third location portion and in which the second magnetic member is located.
A pest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케이스부에 위치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According to clause 3,
A harmful animal extermination device wherein the driving unit is located in the first case portion.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케이스부에 장착되는 장착판; 및
상기 장착판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타격부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
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According to clause 9,
The driving unit,
A mounting plate mounted on the first case portion; and
A motor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and connected to the hitting unit
A pest animal extermination device comprising a.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부는 상기 제1 케이스부의 내부면에서 상기 제2 케이스부 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원형으로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가이드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핀으로 에워싸여진 공간 속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first case portion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ase portion toward the second case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pin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a circle,
The motor is a harmful animal extermination device that is inserted and position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plurality of guide pins.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연결바;
상기 연결바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연결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 정도가 변하여 인접한 프레임을 타격하는 타격바
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hitting unit,
a connection bar connected to the motor,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rota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A striking bar tha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ar and extends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nd whose degree of protrusion outside the case changes as the connecting bar rotates to hit an adjacent frame.
A harmful animal extermination device comprising a.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부에 위치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According to clause 9,
A harmful animal extermin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ower source located in the second case portion.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결합홈; 및
상기 제2 케이스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
를 더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According to clause 3,
a coupling groov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case portion; and
A coupling protrusion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case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 pest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위치부는 곡면이고, 상기 프레임은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의 곡률과 상기 프레임 위치부의 곡률은 상이한 유해 동물 퇴치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position portion is a curved surface, and the frame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 device for exterminating harmful animals in which the curvature of the frame and the curvature of the frame location portion are different.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위치부는,
가운데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이 접해 있는 접촉 부분; 및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 부분을 에워싸고 있고, 상기 프레임과 이격되어 있는 비접촉 부분을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According to claim 15,
The frame location part is,
a contact portion located in the center and in contact with the frame; and
A device for repelling harmful animals, including a non-contact part located in the periphery, surrounding the contact part, and spaced apart from the frame.
제1 항에 있어서,
Z축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중력 감지부; 및
상기 중력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중력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유해동물 퇴치장치가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으면,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gravity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cceleration in the Z-axis direction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of the corresponding state;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gravity detection uni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when the pest extermination device is attached to the frame using th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gravity detection unit.
A pest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KR1020200118439A 2020-09-15 2020-09-15 Pest eradication apparatus KR1024503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439A KR102450393B1 (en) 2020-09-15 2020-09-15 Pest eradication apparatus
PCT/KR2020/016980 WO2022059850A1 (en) 2020-09-15 2020-11-26 Pest repell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439A KR102450393B1 (en) 2020-09-15 2020-09-15 Pest eradica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178A true KR20220036178A (en) 2022-03-22
KR102450393B1 KR102450393B1 (en) 2022-09-30

Family

ID=80777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439A KR102450393B1 (en) 2020-09-15 2020-09-15 Pest eradica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0393B1 (en)
WO (1) WO2022059850A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1487U (en) * 1992-11-13 1994-06-03 横浜植木株式会社 Mole fighting device
JP3025148U (en) * 1995-11-24 1996-06-11 下村 宏和 Bird alarm
JPH11346636A (en) * 1998-06-11 1999-12-21 Apollo:Kk Bird and beast bulldozer
JP2010246535A (en) * 2009-03-26 2010-11-04 Yusuke Eguchi Apparatus for repelling noxious animal and method for repelling noxious animal
KR20120004019U (en) * 2010-11-30 2012-06-0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Roadkill prevention divice
KR101227162B1 (en) * 2012-08-29 2013-01-28 한국농림시스템주식회사 Explosions apparatus for wildlife eradicate using lpg
JP2015039355A (en) * 2013-08-23 2015-03-02 有限会社ルミエール Harmful animal repelling device
KR101717045B1 (en) 2015-01-13 2017-03-16 (주)경문엔터테인먼트 Animal extirpator
KR20200083077A (en) 2018-12-31 2020-07-08 송연숙 Device driving away harmful animal and bird to the crop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729B1 (en) * 2009-01-23 2009-04-17 이진욱 A harmful insect exterminator and street lamp having the same
KR101243702B1 (en) * 2010-11-24 2013-03-14 신일순 a collection container for drosophila spawn
US10349650B1 (en) * 2015-08-11 2019-07-16 James Harry Launder Bird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1487U (en) * 1992-11-13 1994-06-03 横浜植木株式会社 Mole fighting device
JP3025148U (en) * 1995-11-24 1996-06-11 下村 宏和 Bird alarm
JPH11346636A (en) * 1998-06-11 1999-12-21 Apollo:Kk Bird and beast bulldozer
JP2010246535A (en) * 2009-03-26 2010-11-04 Yusuke Eguchi Apparatus for repelling noxious animal and method for repelling noxious animal
KR20120004019U (en) * 2010-11-30 2012-06-0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Roadkill prevention divice
KR101227162B1 (en) * 2012-08-29 2013-01-28 한국농림시스템주식회사 Explosions apparatus for wildlife eradicate using lpg
JP2015039355A (en) * 2013-08-23 2015-03-02 有限会社ルミエール Harmful animal repelling device
KR101717045B1 (en) 2015-01-13 2017-03-16 (주)경문엔터테인먼트 Animal extirpator
KR20200083077A (en) 2018-12-31 2020-07-08 송연숙 Device driving away harmful animal and bird to the cro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393B1 (en) 2022-09-30
WO2022059850A1 (en)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0356A (en) Animated decoy having an insertable decoy movement device
US6481147B2 (en) Hunting decoy assemblies
US5322036A (en) Pet toy
US6658782B2 (en) Animated decoys
US20090205245A1 (en) Trapping system utilizing attractants
US20100236470A1 (en) Bird repeller and method of assembly
US20170318797A1 (en) Device for Repelling Animals
US5170584A (en) Snail barrier
EP2419961A1 (en) Pest control apparatus and system having an electromagnetic attracting or repelling device and housing therefor
JP6029144B2 (en) Pest repelling device
KR101723304B1 (en) Birds and moles eradication tools
US6328626B1 (en) Game call apparatus
KR20220036178A (en) Pest eradication apparatus
KR20210058088A (en) The harmful animal artificial intelligence eliminator
US7281966B2 (en) Antlered animal call
JP6176493B2 (en) Wildlife repellent robot and wildlife repellent system
US5237774A (en) Container for granular insecticide
KR20230030458A (en) Non-Powered Device for Expelling Harmful Birds and Animals
KR20180000391U (en) Mole Destruction Device
KR200268212Y1 (en) Apparatus for driving vermin and birds away for fruit trees
KR20230092037A (en) Birds and moles eradication tools
KR102347926B1 (en) Harmful tide eliminator
JP2004222566A (en) Device for repelling/repulsing harmful bird/animal
KR20230115823A (en) Moles and mouse eradication apparatus
KR20220099461A (en) Pet t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