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5353A - Camera Module - Google Patents

Camera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5353A
KR20220035353A KR1020220028971A KR20220028971A KR20220035353A KR 20220035353 A KR20220035353 A KR 20220035353A KR 1020220028971 A KR1020220028971 A KR 1020220028971A KR 20220028971 A KR20220028971 A KR 20220028971A KR 20220035353 A KR20220035353 A KR 20220035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printed circuit
wire
circuit board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9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0575B1 (en
Inventor
오상윤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2989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73580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8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575B1/en
Publication of KR20220035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353A/en
Priority to KR1020230032138A priority patent/KR202300384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575B1/en

Links

Classifications

    • H04N5/23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3
    • H04N5/2254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제 1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 상측에 배치되는 하우징 유닛; 상기 하우징 유닛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외주면에 제 1 코일이 권선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설치되는 홀더 모듈; 상기 홀더 모듈 바닥면에 결합되는 제 2 인쇄회로기판; 상기 홀더 모듈 상측에 설치되는 제 3 인쇄회로기판; 일단은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 스프링; 및 상기 와이어 스프링과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 스프링과 제 3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부분을 감싸는 완충유닛;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n image sensor is mounted; a housing unit disposed above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 holder modul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housing unit, a first coil woun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t least one lens installed therein; a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holder module; a third printed circuit board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lder module; a plurality of wire spring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other end of which are connected to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and a buffer unit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wire spring and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and surrounding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wire spring and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Camera Module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module.

소형 전자제품에 실장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 사용 도중에 빈번하게 카메라 모듈에 충격을 받을 수 있으며, 촬영하는 동안 사용자의 손 떨림 등에 따라 미세하게 카메라 모듈이 흔들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손 떨림 방지 수단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이 개시되고 있다. In the case of camera modules mounted on small electronic products, the camera module may frequently receive impacts during use, and the camera module may be slightly shaken due to the user's hand shaking during filming.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recently, a camera module having a means for preventing hand shake has been disclosed.

그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0741823호(2007.07.16 등록)에서는, 손 떨림 현상의 보정을 위하여 자이로(Gyro) 센서 IC 또는 각속도 센서를 휴대폰과 같은 카메라 모듈이 실장되는 장치의 내부에 설치하는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For example, in Korean Patent No. 10-0741823 (registered on July 16, 2007), a gyro sensor IC or angular velocity sensor is installed inside a device where a camera module, such as a mobile phone, is mounted to correct hand tremor. A method is introduced.

그러나 이와 같이 별도의 각속도 검출 센서를 마련할 경우, 손 떨림 방지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별도의 감지센서를 마련해야 하므로, 제조원가의 증가를 야기하며, 카메라 모듈과 별도로 손 떨림 방지 장치를 구성 및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when providing a separate angular velocity detection sensor like this, a separate detection sensor must be provided to implement the hand shake prevention function, which causes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and it is necessary to configure and install the hand shake prevention device separately from the camera module. There is the hassle of having to prepare space.

(특허문헌 1) KR10-0741823 B1(Patent Document 1) KR10-0741823 B1

본 발명은 손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er)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module with an optical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제 1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 상측에 배치되는 하우징 유닛; 상기 하우징 유닛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외주면에 제 1 코일이 권선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홀더 모듈; 상기 홀더 모듈 바닥면에 결합되는 제 2 인쇄회로기판; 상기 홀더 모듈 상측에 설치되는 제 3 인쇄회로기판; 일단은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 스프링; 및 상기 와이어 스프링과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 스프링과 제 3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부분을 감싸는 완충유닛;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n image sensor is mounted; a housing unit disposed above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 holder modul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housing unit, having a first coil woun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ncluding at least one lens therein; a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holder module; A third printed circuit board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lder module; a plurality of wire spring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other end of which are connected to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and a buffer unit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wire spring and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and surrounding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wire spring and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스프링이 연결 되는 통공 주변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 홀; 하우징 유닛에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의 통공과 동축이 되도록 상광하협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주입 홀과 상측 개구부를 통해 연통되는 제 2 와이어 스프링 통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uffer unit includes at least one injection hole formed through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around the through hole to which the wire spring is connect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cond wire spring through hole formed in the housing unit in an upper-lower narrow shape so as to be coaxial with the through-hole of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jection hole through the upper opening.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주입 홀을 통해 상기 제 2 와이어 스프링 통공에 주입되는 접착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material injected into the second wire spring through hole through the injection hole.

또한,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와이어 스프링과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이 연결되는데, 이 때 상기 통공을 통하여 제 3 인쇄회로기판 상하면 모두 연결물질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물질은 납과 같은 전도성 물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ire spring and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are conn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are conn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with a connecting material, and the connecting material is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lead. It is desirable to prepare it with a material.

또한,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스프링이 솔더링 되는 제 1 와이어 스프링 통공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주입 홀; 하우징 유닛에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의 제 1 와이어 스프링 통공과 동축이 되도록 상광하협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주입 홀과 상측 개구부를 통해 연통되는 제 2 와이어 스프링 통공;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uffer unit includes a pair of injection holes formed through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on both sides of the first wire spring through hole to which the wire spring is soldered; a second wire spring aperture formed through the housing unit in an upper-to-lower narrow shape so as to be coaxial with the first wire spring aperture of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jection hole through an upper opening; It is desirable to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유닛은, 상기 주입 홀을 통해 상기 제 2 와이어 스프링 통공에 주입되는 접착물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물질은 상기 제 2 와이어 스프링 통공 내부와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 상측면에 형성된 연결부 전체를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착물질은 에폭시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camera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dhesive material injected into the second wire spring through hole through the injection hole, wherein the adhesive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second wire spring through hole and the second wire spring through hole. It is desirable to cover the entire connect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At this time, the adhesive material is preferably prepared as epoxy.

상기 제 2 와이어 스프링 통공은, 하우징 유닛에 상광하협의 깔때기 형상으로 마련된 상측 개구부; 및 상기 통공과 동축적으로 마련되는 와이어 스프링 지지 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wire spring through hole includes an upper opening provided in the housing unit in the shape of a funnel with upper and lower ends; and a wire spring support hole provided coaxially with the through hole.

상기 제 2 와이어 스프링 통공의 지름은 상기 통공의 지름과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second wire spring through hole may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 상측에 배치되며, 상측에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및 제 2 영구자석;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 사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내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홀더 모듈 내부로 자기력을 전달하는 요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using unit includes: a first housing disposed above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 second housing disposed above the first housing and on which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is installed; first and second permanent magnet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yok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ermanent magnets or loca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to transmit magnetic force into the holder module.

상기 요크는, 상기 홀더 모듈을 향하는 중앙 부분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yoke preferably has a central portion that protrudes toward the holder module.

상기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은 양면테이프로 고정되는 것이 좋다.The second housing and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are preferably fixed with double-sided tape.

또한, 본 발멸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과 와이어 스프링의 연결부와 렌즈 모듈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 유닛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쉴드 캔;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ield can having a through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wire spring and the lens module, and installed to surround the housing unit; It is desirable to further include.

상기 홀더 모듈은, 외주면에 제 1 코일이 권선되는 아웃터 블레이드(outer blade);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 상측에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 내측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외주면에 제 2 코일이 권선되며, 그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가 설치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보빈을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코일의 중앙은 상기 제 2 코일 측으로 자기력이 투자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holder module includes an outer blade on which a first coil is woun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A bobbin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blade and is movable up and down inside the outer blade, a second coil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t least one lens is installed inside the bobbin; And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obbin, respectively, to elastically support the bobbin with respect to the outer blade; wherein the center of the first coil is capable of investing magnetic force toward the second coil. A space may be formed so that

상기 와이어 스프링은, 금속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제 2 및 제 3 인쇄회로기판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좋다.The wire spring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and third printed circuit boards.

상기 와이어 스프링은, 적어도 6개 이상 마련되어, 오토 포커싱 제어를 위한 2개의 극성과 OIS 구동을 위한 4개의 극성 전원을 상기 제 2 및 제 3 인쇄회로기판과의 연결을 통해 상기 홀더 모듈에 공급하는 것이 좋다.At least six wire springs are provided to supply power of two polarities for auto-focusing control and four polarities for OIS driving to the holder module through connection to the second and third printed circuit boards. good night.

또한, 상기 와이어 스프링은, 동일한 길이로, 상기 홀더 모듈의 모서리 부분에 2개씩 배치되어, 총 8개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 springs may be of the same length, two each at the corners of the holder module, for a total of eight wire spr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제 1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 상측에 배치되는 하우징 유닛; 상기 하우징 유닛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외주면에 제 1 코일이 권선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홀더 모듈; 상기 홀더 모듈 바닥면에 결합되는 제 2 인쇄회로기판; 상기 홀더 모듈 상측에 설치되는 제 3 인쇄회로기판; 일단은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 스프링; 및 상기 와이어 스프링과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의 연결은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에 관통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3인쇄회로기판 상하면 모두 연결물질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and optim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n image sensor is mounted; a housing unit disposed above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 holder modul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housing unit, having a first coil woun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ncluding at least one lens therein; a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holder module; A third printed circuit board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lder module; a plurality of wire spring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other end of which are connected to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wire spring and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hree printed circuit boards are connected with a connecting material through a hole formed through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와이어 스프링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완충유닛을 가지므로, 와이어 스프링이 인쇄회로기판의 연결부에 단단히 연결될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ffering unit to absorb the load repeatedly applied to the wire spring, the wire spring can be firm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또한, 와이어 스프링이 렌즈 모듈의 조립 공정 중에 과도한 힘을 받더라도, 완충유닛에서 과도하게 가해진 힘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이 향상은 물론, 조립불량에 따른 부품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wire spring receives excessive force dur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lens module, it can absorb the excessive force applied by the buffer unit, thereby improving assembly efficiency and minimizing component loss due to poor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 구성을 투시해서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Figure 3 is a sid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configuration of Figure 3.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B of Figure 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ure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일부 구성을 투시해서 도시한 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A-A of FIG. 1, FIG. 3 is a sid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ortion of FIG. 3.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B of FIG. 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portion B of FIG.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showing an enlarged portion.

도 1의 개략적인 평면도와,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제 1 인쇄회로기판(10), 하우징 유닛(20), 홀더 모듈(30), 제 2 인쇄회로기판(40), 제 3 인쇄회로기판(50), 와이어 스프링(60) 및 완충유닛(1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which shows a schematic plan view of FIG. 1 and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cross section A-A of FIG. 1,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10 and a housing unit 20. , a holder module 30, a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40, a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a wire spring 60, and a buffer unit 100.

제 1 인쇄회로기판(10)은 대략 중앙 부근에 이미지 센서(11)가 실장 되며, PCB 기판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10)에는 상기 이미지 센서(11)의 작동을 위한 구성요소들이 배치되거나, 전원공급 및 상기 이미지 센서(11)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복수의 단자부가 마련될 수 있다.The image sensor 11 is mounted approximately near the center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10, and is preferably provided as a PCB board. Components for operating the image sensor 11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10, or a plurality of terminals capable of supplying power and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image sensor 11 may be provided. .

하우징 유닛(20)은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1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카메라 모듈의 골격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 유닛(20)은, 제 1 하우징(21), 제 2 하우징(22),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 및 요크(25)를 포함한다.The housing unit 2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10 and forms the framework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unit 20 includes a first housing 21, a second housing 22, first and second permanent magnets 23 and 24, and a yoke 25. Includes.

제 1 하우징(21)은 베이스로서,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10)의 상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11)와 일정 거리 이격 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 1 하우징(21)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11)로 입사되는 이미지 상을 여과할 수 있는 필터부재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The first housing 21 is a base, which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10 and is spaced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image sensor 11. If necessary, a filter member capable of filtering the image incident on the image sensor 11 may be further installed in the first housing 21 .

제 2 하우징(22)은 상기 제 1 하우징(21)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하우징(21)을 덮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하우징(22)의 대략 중앙 부근에는 상기 이미지 센서(11) 측으로 화상이 전달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하우징(22)의 상측면에는 뒤에 다시 설명할 제 3 인쇄회로기판(50)이 양면테이프나 접착제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접착 고정되는데,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품 설계에 따라,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을 케이스나 쉴드 캔과 같은 별도의 제 3 하우징을 마련하여, 그 내측면에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을 상기한 고정부재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일, 제 3 하우징이 마련될 경우, 별도 고정부재 없이, 상기 제 3 하우징으로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을 눌러서 지지할 수도 있다.The second housing 22 is disposed above the first housing 21 and covers the first housing 21 . An opening is formed approximately in the center of the second housing 22 at a corresponding position so that an image can be transmitted to the image sensor 11.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housing 22, a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adhesively fixed by a fixing member such as double-sided tape or adhesive, but this is not limited, and depending on the product desig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separate third housing, such as a case or shield can, for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and fix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housing using the above-described fixing member. If a third housing is provided,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may be pressed and supported by the third housing without a separate fixing member.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은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21)(22)의 사이에 개재되어, 자기력을 상기 홀더 모듈(30)로 투자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은 동일한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또한,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 및 요크(25)는 설계 허용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면 제1 및 제2하우징 내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The first and second permanent magnets 23 and 24 ar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21 and 22 and apply magnetic force to the holder module 30. The first and second permanent magnets 23 and 24 are preferably provided with the same size. Additionally, the first and second permanent magnets 23, 24 and the yoke 25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if possible within the design tolerance range.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의 크기가 커지면 작은 전류에도 OIS구동이 커지며, 만일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이 크기가 일정하게 구성할 경우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코일(31a)(32a)에 흐르는 전류를 키울수록 OIS구동이 커지게 된다. 결론적으로,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의 크기가 클수록 OIS구동은 좋아지나 기타 설계허용치 내에서 그 최적크기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the size of the first and second permanent magnets 23 and 24 increases, OIS driving increases even with a small current, and if the first and second permanent magnets 23 and 24 are configured to have a constant size, In this case, a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ils 31a and 32a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permanent magnets 23 and 24 increases, the OIS drive increases. In conclusion, the larger the size of the first and second permanent magnets 23 and 24, the better the OIS operation, but it is desirable to design the optimal size within other design tolerances.

요크(25)는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의 사이에 개재된다. 또한 상기 요크(25)는,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의 자기력을 상기 홀더 모듈(30)의 내부 공간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중앙 부근이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폭은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과 동일하게 마련되고, 중앙이 일정 크기로 돌출되어 영구자석과 요크는 대략 "T"자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yoke 25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ermanent magnets 23 and 24. In addition, the yoke 25 is provided in a protruding shape near the center so that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permanent magnets 23 and 24 can be inves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holder module 30. Preferably, the width is provided to be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permanent magnets 23 and 24, and the center protrudes to a certain size, so that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yoke are formed to have an approximately "T" shape. desirable.

홀더 모듈(30)은 상기 하우징 유닛(20)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아웃터 블레이드(31)와 보빈(32)으로 구성된다. 상기 홀더 모듈(30)은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에 매달린 상태로 전후/좌우 및 대각선 방향으로 진자 운동을 할 수 있다. The holder module 30 is dispos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unit 20 and is composed of an outer blade 31 and a bobbin 32. The holder module 30 can make a pendulum movement in the forward/left/right and diagonal directions while hanging on the wire spring 60.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의 상측 및 하측에는 스프링 부재(35, 36)가 마련되어, 이 스프링 부재(35)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보빈(32)의 상하방향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Spring members 35 and 36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uter blade 31, ar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members 35, and are connected to enable vertical movement of the bobbin 32.

아웃터 블레이드(3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측면의 외주면에 총 4개의 제 1 코일(31a ~ 31d)이 권선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들(31a ~ 31d)이 감겨져 있는 4측면 중앙부는 코일 없이 뚫려 있다. 이 뚫린 공간부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요크(25)가 배치되어, 상기 요크(25)가 이 공간부 내측에 일부 삽입되는 구성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 the outer blade 31 has a total of four first coils (31a to 31d) wou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our sides,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four sides where the coils (31a to 31d) are wound. It is open without a coil. The yoke 25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 space, so that the yoke 25 is partially inserted inside this space.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의 저면에는 제 2 인쇄회로기판(40)이 양면 테이프나 접착제와 같은 고정부재(33)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는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2)(23)의 자기력과 상기 제 1 코일(31a)의 상호작용에 따라 도 2의 화살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좌우 또는 대각선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와이어 스프링(60)에 의해 매달려, 상기 제 1 하우징(21)의 바닥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40 may be fixed to the bottom of the outer blade 31 with a fixing member 33 such as double-sided tape or adhesive. The outer blade 31 moves forward and backward left and right or diagonally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2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permanent magnets 22 and 23 and the first coil 31a. It is suspended by a plurality of wire springs 60 so as to be movabl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2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에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이 관통하여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40)과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스프링 통공(37)이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blade 3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ring holes 37 through which the wire spring 60 can pass and be connected to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40.

보빈(32)은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이 내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그 내부에는 적어도 1장 이상의 렌즈(34)가 설치된다. 상기 보빈(32)의 외주면에는 제 2 코일(32a)이 권선되는데, 상기 제 2 코일(32a)은 상기 요크(25)를 통해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의 제 1 코일들(31a ~ 31d)이 없는 뚫린 공간을 통해 투자된 자기력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보빈(32)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요크(25) 크기가 커질수록 AF 구동은 좋아지나, 이 역시 최적 설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보빈(32)의 승강작용에 의해 상기 이미지 센서(11)에 전달되는 이미지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bobbin 32 is arrang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side the outer blade 31, and at least one lens 34 is installed therein. A second coil 32a is wou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32, and the second coil 32a is connected to the first coils 31a to 31d of the outer blade 31 through the yoke 25. The bobbin 32 is raised and lowered by interaction with the magnetic force applied through the empty space. As the size of the yoke (25) increases, AF operation improves, but this may also vary depending on the optimal design valu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djust the focus of the image transmitted to the image sensor 11 by the lifting action of the bobbin 32.

제 2 인쇄회로기판(4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아웃터 블레이드(31)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31a)(32a)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와이어 스프링(60)이 연결된다. 연결방식은 솔더링이나 기타 도전물질로 연결될 수 있으면 어느 방식이든 가능하다. 즉,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40)의 연결부(w')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31a)(32a)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을 통해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31a)(32a)에 전달하여, 전자기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40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blade 31 as described above, and has a wire spring 60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and second coils 31a and 32a. connected. Any connection method is possible as long as it can be connected by soldering or other conductive materials. That is, the connection portion (w') of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4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ils 31a and 32a,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2, and the wire spring 60 ) is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ils 31a and 32a to generate electromagnetic force.

이때, 상기 제 2 코일(32a)의 경우,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40)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하측 스프링(36)에 연결된 후, 상기 하측 스프링(36)을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40)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second coil 32a,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40, and as shown in FIG. 2, it is first connected to the lower spring 36 and then connected to the lower spring 36. ) is also possible to connect with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40.

제 3 인쇄회로기판(50)은 상기 제 2 하우징(22)의 상측에 상기한 바와 같이 양면 테이프, 접착부재와 같은 고정부재로 고정되는데,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10)과 연결된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의 단자부(52)를 통해 전달된 전원은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40)과 같이 연결된 와이어 스프링(60)을 통해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40)으로 전달한다. 연결방식은 솔더링이나 기타 도전물질로 연결될 수 있으면 어느 방식이든 가능하다.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housing 22 with a fixing member such as double-sided tape or an adhesive member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connected to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10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 portion 52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40 through a wire spring 60 connected to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40. Any connection method is possible as long as it can be connected by soldering or other conductive materials.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21)(22)의 일측 벽면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과 요크(25)와 마주보는 면에는 윈도우(55)가 형성되어, 이들과 간섭이 회피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is provided to cover one wall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21 and 22. In this case, the first and A window 55 is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second permanent magnets 23, 24 and the yoke 25, so that interference with them can be avoided.

이는,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과 요크(25)는 일반적으로 후술할 쉴드 캔(70)에 에폭시와 같은 고정 수단으로 직접 부착되기 때문에, 이를 회피하기 위한 구성이다. This is a configuration to avoid this because the first and second permanent magnets 23, 24 and the yoke 25 are generally directly attached to the shield can 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using a fixing means such as epoxy.

한편,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40)과 제 3 인쇄회로기판(50)은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FPCB), 인쇄회로기판(PCB) 또는 R-FPCB(Rigid FPCB 일체형)가 가능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기판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Meanwhile,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40 and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can b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printed circuit board (PCB), or R-FPCB (Rigid FPCB integrated type). It is not limited, and any board that allows for electrical connection is possible.

와이어 스프링(60)은 양 끝단이 상기 제 2 및 제 3 인쇄회로기판(40)(50)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의 일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에 형성된 패드(51)에서 연결되는데, 상기 패드(51)의 중앙에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이 관통되는 통공(53)이 형성된다. 연결방식은 솔더링이나 기타 도전물질로 연결될 수 있으면 어느 방식이든 가능하다. 한편, 상기 패드(51)의 주변은 솔더 레지스터(SR, solder register)가 마련되어,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 표면을 보호하며, 패드(51) 영역은 솔더 레지스터 오픈 시켜 통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Both ends of the wire spring 60 are connected to the second and third printed circuit boards 40 and 50. At this time, one end of the wire spring 60 is connected to the pad 51 formed on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as shown in FIG. 5, and the wire spring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ad 51. A through hole 53 through which 60 passes is formed. Any connection method is possible as long as it can be connected by soldering or other conductive materials. Meanwhile, a solder register (SR) is provided around the pad 51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and the area of the pad 51 can be connected to allow electricity to pass by opening the solder resist. there is.

이와 같이 상기 패드(51)에서 연결된 와이어 스프링(60)은 상기 단자부(52)를 통해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40)측으로 공급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31a)(32a)이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과의 상호작용 가능하도록 한다.In this way, the wire spring 60 connected to the pad 51 supplies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terminal portion 52 to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40, thereby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coils 31a ( 32a) is capable of interact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permanent magnets 23 and 24.

또한,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의 타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에 형성된 스프링 통공(37)을 통과하여,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의 바닥면에 설치된 제 2 인쇄회로기판(40)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의 타단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과 같이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40)에 형성된 패드(미도시)에서 연결되는데, 상기 패드(미도시)의 중앙에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이 관통되는 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연결방식은 솔더링이나 기타 도전물질로 연결될 수 있으면 어느 방식이든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에 매달려, 상기 제 1 하우징(21)의 바닥면과 일정 거리 이상 이격 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 1 코일(31a)과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 사이의 상호작용에 따라,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31)가 진자 운동을 수행하여, 손 떨림에 의해 아웃터 블레이드(31)가 진동하는 것을 상기 제 1 코일(31a)과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의 상호작용에 의해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은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며 통전 가능한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wire spring 60 passes through the spring hole 37 formed in the outer blade 31, as shown in FIG. 2, and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blade 31. It is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40).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wire spring 60, although not shown, is connected to a pad (not shown) formed on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40 like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The pad A through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wire spring 60 passes is formed in the center (not shown). Any connection method is possible as long as it can be connected by soldering or other conductive material.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outer blade 31 is suspended from the wire spring 60 and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21 by a certain distance or more. Then,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coil 31a and the first and second permanent magnets 23 and 24, the outer blade 31 performs a pendulum movement, causing the outer blade (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vibration of 31) by the interaction of the first coil 31a and the first and second permanent magnets 23 and 24. For this purpose, the wire spring 60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that has elasticity and can conduct electricity to withstand impact.

한편, 와이어 스프링(60)의 두께는 얇을수록 작은 전류에도 손떨림 보정 운동성이 좋아지나, 이는 최적설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의 두께는 수㎛ 에서 수백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을 가지는 것이 좋다.On the other hand, the thinner the thickness of the wire spring 60, the better the camera shake correction movement even with a small current,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optimal design value. Preferably, the thickness of the wire spring 60 ranges from several ㎛ to hundreds of ㎛, preferably from 1 to 100 ㎛.

또한,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은, 적어도 6개 이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최소한 오토 포커싱 제어를 위한 2개의 극성과 손떨림 보정운동손떨림 보정을 위한 4개의 극성 전원을 상기 제 2 및 제 3 인쇄회로기판(40)(50)과의 연결을 통해 상기 홀더 모듈(30)에 공급할 필요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six wire springs 60 are provided, and at least two polarities for auto focusing control and four polarities for hand shake correction and motion shake correction are provided to the second and third printed circuits. It is necessary to supply it to the holder module 30 through connection with the substrate 40 and 5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길이로, 상기 홀더 모듈(30)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2개씩 배치되어, 총 8개가 마련되어 균형을 맞추는 것이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it is better to provide a total of 8 holders of the same length, 2 at each corner of the holder module 30, to ensure balance. .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 캔(70)과 같은 별도의 제 3 하우징을 더 포함할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은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과 요크(25)가 상기 쉴드 캔(70)에 에폭시 등으로 고정 결합되기 때문에, 이 결합 부분을 회피하기 위해, 윈도우(55)를 형성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21)(22)의 측벽면을 덮는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when a separate third housing such as a shield can 70 is further included,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permanent housings. Since the magnets 23, 24 and the yoke 25 are fixedly coupled to the shield can 70 with epoxy or the like, to avoid this coupling portion, a window 55 is formed to separate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21) Covers the side walls of (22).

만일, 쉴드 캔(70)이 삭제된 구성일 경우,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을 PCB 등으로 형성하여, 그 내부에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과 요크(25)를 부착하여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을 PCB로 구성하되, 상기한 바와 같은 윈도우(55)를 마련하여, 이 윈도우(55)에 상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3)(24)과 요크(25)를 삽입 구성할 수 있으며, 추가로 외부에 쉴딩 테이프 등으로 보강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f the shield can 70 is removed,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is formed of a PCB, and the first and second permanent magnets 23 and 24 and the yoke ( 25) can also be attached and fixed.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is composed of a PCB, but a window 55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and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is provided in this window 55. The first and second permanent magnets 23, 24 and the yoke 25 can be insert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reinforce the outside with shielding tape, etc.

완충유닛(100)은 상기 와이어 스프링(60)과 제 3 인쇄회로기판(50)의 연결 부분의 연결부(w)를 감싸 와이어 스프링(60)에 부가되는 충격 및 반복 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The shock absorbing unit 100 surrounds the connection portion (w)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wire spring 60 and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to absorb shock and repeated loads applied to the wire spring 6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완충유닛(100)은, 주입 홀(110), 제 2 와이어 스프링 통공(120)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ck absorbing unit 100 includes an injection hole 110 and a second wire spring through hole 120.

주입 홀(110)은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을 관통하여 통과하는 와이어 스프링(60)이 솔더링 되는 상기 통공(53) 부근에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입 홀(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The injection hole 110 is formed near the through hole 53 where the wire spring 60 passing through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is solder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injection hole 110 may be formed through, as shown in FIG. 5 .

제 2 와이어 스프링 통공(120)은 상기 제 2 홀더(22)에 마련된다. 상기 제 2 와이어 스프링 통공(120)은 상측 개구부(121)와 지지 홀(122)을 포함한다.The second wire spring through hole 120 is provided in the second holder 22. The second wire spring through hole 120 includes an upper opening 121 and a support hole 122.

상기 상측 개구부(121)는 상광하협 구조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추형의 깔때기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홀(122)은 상기 통공(53)과 동축상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통공(53)의 지름과 대응되거나 크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opening 121 has an upper-lower narrow structure, and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shape of a conical funnel that narrows toward the bottom,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support hole 122 is formed coaxially with the through hole 53, and is preferably provided to correspond to or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53.

상기 통공(53)의 지름은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와이어 스프링(60)과 제3 인쇄회로기판(50)에 형성된 패드(51)에서 연결될 때 솔더링이나 기타 도전물질과 같은 연결물질(101)이 상기 통공(53)을 통해 흘러 내려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인쇄회로기판(50)의 상하면 양면으로 상기 와이어 스프링(60)과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53 is preferably formed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spring 60, and when the wire spring 60 is connected to the pad 51 formed on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soldering or A connecting material 101, such as another conductive material, flows down through the hole 53 and connects to the wire spring 60 on both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as shown in FIGS. 5 and 6. It can be designed to be fixed.

상기 지지 홀(122)의 지름은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통공(53)의 지름과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이 상기 지지 홀(122) 부근의 제 2 홀더(22)에 접촉되어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설계할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support hole 122 is preferably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spring 60, and may be the same as o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53. That is, the wire spring 60 can be designed to prevent interference by contacting the second holder 22 near the support hole 122.

접착물질(130)은 상기 주입 홀(110)을 통해 주입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와이어 스프링 통공(120)의 내부 공간부에 채워진다. 또한 접착물질(130)이 제 3 인쇄회로기판(50)의 연결부(w)를 덮도록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와이어 스프링 통공(120)에 채워진 접착물질(130)은 상기 와이어 스프링(60)과 제 3 인쇄회로기판(50)의 연결부(w)에 전해지는 충격 및 하중을 흡수하며,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이 상기 제 2 와이어 스프링 통공(120)의 상측 개구부(121) 내부에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접착물질(130)은 에폭시가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기타 접착하여 탄성 지지할 수 있는 물질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The adhesive material 130 is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110 and fi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wire spring through hole 120, as shown in FIG. 5. It is also possible to add the adhesive material 130 to cover the connection portion (w) of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The adhesive material 130 filled in the second wire spring hole 120 absorbs the shock and load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w) of the wire spring 60 and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and the wire spring (60) can be prevented from shaking inside the upper opening 121 of the second wire spring through hole 120. The adhesive material 130 may be epox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y other material that can be adhered and elastically supported.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완충유닛(100)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주입 홀(110)이 2개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통공(53)을 중심으로 양쪽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대칭으로 배치될수 있으나 위치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ck absorbing unit 100 is configured in the same way as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injection holes 110 are provided in a pair, with the through hole 53 as the center. It may be placed on both sides, or may be placed symmetrically, but the location is not limited to this.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주입 홀(110)을 통해 주입되는 접착물질(1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와이어 스프링 통공(120)의 상측 개구부(121) 내부는 물론,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의 상측면에 형성된 연결부(w)까지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adhesive material 130 injected through the pair of injection holes 110 is not only inside the upper opening 121 of the second wire spring through hole 120, but also inside the upper opening 121 of the second wire spring through hole 120, as shown in FIG. It can completely cover the connection portion (w)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외부 충격에 의해, 상부에 노출되어 있는,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의 연결부(w)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w)를 절연하는 효과까지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ion portion (w) of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exposed at the top from being damaged by external impact, and even has the effect of insulating the connection portion (w). You can get it additionally.

한편, 일반적인 조립순서는 보빈(32)과 아웃터 블레이드(31)를 결합한 후, 지그를 이용하여, 제 2 하우징(22), 제 2 및 제 3 인쇄회로기판(40)(50)과 와이어 스프링(60)을 연결하고, 렌즈 배럴이 마련된 보빈(32)을 결합한 후 제 1 하우징(21)을 연결하여, 이를 제 1 인쇄회로기판(10)에 마운트 한다. 상기 제 1 하우징(21)을 연결하기 전에 영구자석, 요크결합이 먼저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이 조립 순서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즉, 지그 없이 장비에서 바로 가능할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렌즈 배럴이 마련된 보빈(32)을 삽입 결합하는 힘이 지나치게 크게 작용하여 상기 연결부(w)에 무리를 주더라도, 상기 완충유닛(100)가 이런 과도한 힘을 흡수할 수 있다. Meanwhile, the general assembly sequence is to combine the bobbin 32 and the outer blade 31, then use a jig to assemble the second housing 22, the second and third printed circuit boards 40 and 50, and the wire spring ( 60) is connected, the bobbin 32 provided with the lens barrel is connected, and then the first housing 21 is connected and mounted on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10. Before connecting the first housing 21, the permanent magnet and yoke may be combined first. This assembly sequence may be changed as needed. In other words, it may be possible right on the equipment without a jig. In this process, even if the force for inserting and coupling the bobbin 32 on which the lens barrel is provided is excessively large and puts a strain on the connection portion w, the buffer unit 100 can absorb this excessive force.

즉, 상기 완충유닛(100)은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스프링(60)과 제 3 인쇄회로기판(50)의 연결부(w) 부근에서 상기 와이어 스프링(60)에 하중이 발생하여 중력방향으로 당겨지거나, 좌우로 흔들릴 경우 발생하는 하중을 완충유닛(100)의 변형에너지로 흡수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S. 2, 5, and 6, the buffer unit 100 connects the wire spring 60 near the connection portion (w) between the wire spring 60 and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 the load generated when it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or shakes left and right is absorbed as the strain energy of the buffer unit 100.

따라서 조립 공정 중에 연결부(w) 파손에 의해 다시 연결작업을 수행하거나, 부품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신뢰성이 확보된 카메라 모듈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connect or parts becoming unusable due to damage to the connection part (w) during the assembly process, and it is possible to produce a more reliable camera modul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과 와이어 스프링(60)의 연결부(w) 주위에 렌즈 모듈(30)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 유닛(21)(22)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쉴드 캔(7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0)은 상기 쉴드 캔(70)의 내주면에 부착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쉴드 캔(70)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하우징 유닛(21)(22)의 구성에 따라 생략 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through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ns module 30 around the connection portion (w) of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and the wire spring 60, and the housing It may further include a shield can 70 installed to surround the units 21 and 22.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0 may be attached and fix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ield can 70. Meanwhile, the shield can 70 is not necessarily necessary, and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units 21 and 22.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쉴드 캔(70)을 상기 제 1 하우징(21) 에 고정하기 위해 4면 또는 적어도 1면 이상에 후크유닛(80)을 구비할 수 있다. 위치는 중앙 또는 가장자리 설계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으며, 개수는 1개 또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2, hook units 80 may be provided on four sides or at least one side to fix the shield can 70 to the first housing 21. The location can be within the range allowed by the center or edge design, and the number can be one or multiple.

상기 후크유닛(80)은 상기 제 1 하우징(21)에 돌출 형성된 후크(81)와, 상기 후크(81)와 마주보는 상기 쉴드 캔(70)에 관통 형성된 후크 홀(82)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hook unit 80 may be composed of a hook 81 protruding from the first housing 21 and a hook hole 82 formed through the shield can 70 facing the hook 81. , it may be configur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needed.

완충유닛(100)의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최대 폭(도 6의 L1 참조)은 연결부(w)의 대응하는 방향으로의 최대 폭(도 6의 L2 참조)보다 길 수 있다.The maximum width of the buffer unit 1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see L1 in FIG. 6) may be longer than the maximum width (see L2 in FIG. 6) of the connection portion (w)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제1 내지 제3인쇄회로기판(10, 40, 50) 중 어느 하나를 '제1기판'이라 하고 다른 하나를 '제2기판'이라 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3기판'이라 할 수 있다. 또는, 제1 내지 제3인쇄회로기판(10, 40, 50) 각각을 '기판'이라 할 수 있다. 와이어 스프링(60)은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유닛(100)은 '완충부'라 할 수 있다.One of the first to third printed circuit boards 10, 40, and 5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board', the other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board', and the remaining one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board'. Alternatively, each of the first to third printed circuit boards 10, 40, and 50 may be referred to as a 'substrate'. The wire spring 60 may include a wire. The buffer unit 100 may be referred to as a 'buffer unit'.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stat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improv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various for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제 1 인쇄회로기판 20; 하우징 유닛
21; 제 1 하우징 22; 제 2 하우징
23; 제 1 영구자석 24; 제 2 영구자석
25; 요크 30; 홀더 모듈
31; 아웃터 블레이드 31a; 제 1 코일
32; 보빈 32a; 제 2 코일
40; 제 2 인쇄회로기판 50; 제 3 인쇄회로기판
51; 패드 52; 단자
53; 통공 60; 와이어 스프링
70; 쉴드 캔 80; 후크유닛
100; 완충유닛 101; 연결물질
110; 주입 홀 120; 제 2 와이어 스프링 통공
121; 상측 개구부 122; 지지 홀
130; 접착물질
10; First printed circuit board 20; housing unit
21; first housing 22; second housing
23; first permanent magnet 24; 2nd permanent magnet
25; York 30; holder module
31; Outer blade 31a; first coil
32; Bobbin 32a; second coil
40;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50; 3rd printed circuit board
51; pad 52; Terminals
53; Tonggong 60; wire spring
70; shield can 80; Hook unit
100; Buffer unit 101; connecting substance
110; injection hole 120; 2nd wire spring through hole
121; upper opening 122; support hall
130; adhesive material

Claims (20)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이격되는 아웃터 블레이드와,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 내에 배치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과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홀더 모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1코일;
상기 제1코일과 상호작용하는 자석;
상기 자석과 상호작용하는 제2코일;
상기 홀더 모듈과 결합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제1단부를 고정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와이어의 일부에 배치되고 접착물질을 포함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와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완충부의 최대 폭은 상기 제1연결부의 최대 폭보다 큰 손떨림 보정 장치.
Base;
a holder module including an outer blade spaced apart from the base, a bobbin disposed within the outer blade, and a spring member connecting the bobbin and the outer blade;
a first coil disposed on the bobbin;
a magnet interacting with the first coil;
a second coil interacting with the magnet;
A wire coupled to the holder module;
a first connection portion that secures the first end of the wire; and
A buffer portion disposed on a portion of the wire and including an adhesive material,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re, a maximum width of the buffer portion is greater than a maximum width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손떨림 보정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t least a portion of the buffer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outer bla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보빈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측 스프링과, 상기 보빈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측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하측 스프링보다 상기 상측 스프링에 가까이 배치되는 손떨림 보정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pring member includes an upper spring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bbin and a lower spring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obbin,
A hand shake correction device wherein the buffer unit is disposed closer to the upper spring than the lower sp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단자를 포함하는 제1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기판은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절곡하여 연장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홀더 모듈과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제1부분을 연결하는 손떨림 보정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first substrate disposed on the base and including terminals,
The first substrate includes a first part disposed on the base and a second part bent and extended from the first part,
The wire connects the holder module and the first portion of the first substra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제1부분은 상기 홀더 모듈과 대향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제1부분의 상기 제2면에 결합되는 손떨림 보정 장치.
According to clause 4,
The first portion of the first substrate includes a first surface facing the holder module and a second surface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he wire is coupl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of the first substra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은 상기 제1부분에 배치된 패드와, 상기 패드의 중앙영역에 배치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패드와 솔더에 의해 결합되는 손떨림 보정 장치.
According to clause 4,
The first substrate includes a pad disposed in the first portion and a hole disposed in a central area of the pad,
An image stabilization device in which the wire passes through the hole and is connected to the pad by sold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주변에는 솔더 레지스터가 배치되어 상기 제1기판의 표면을 형성하는 손떨림 보정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An image stabilization device in which a solder resist is disposed around the pad to form th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제2단부를 고정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상측 스프링보다 상기 하측 스프링에 가깝게 배치되는 손떨림 보정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It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part that secures the second end of the wire,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disposed closer to the lower spring than to the upper spr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제1솔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제2솔더를 포함하는 손떨림 보정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first solder,
The second connection part includes a second sold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솔더와 상기 제2솔더 사이에 배치되는 손떨림 보정 장치.
According to clause 9,
At least a portion of the buffer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older and the second sol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모듈은 제1 내지 제4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홀더 모듈의 상기 제1 내지 제4코너부 각각에 배치되는 손떨림 보정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older module includes first to fourth corner portions,
The wire is disposed in each of the first to fourth corner portions of the holder modu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서로 이격되는 6개의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6개의 와이어 중 2개의 와이어는 상기 제1코너부에 배치되고, 상기 6개의 와이어 중 다른 2개의 와이어는 상기 제3코너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코너부와 상기 제3코너부는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손떨림 보정 장치.
According to clause 11,
The wire includes six wir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wo of the six wires are disposed in the first corner, and the other two wires among the six wires are disposed in the third corner,
An image stabilization device in which the first corner portion and the third corner portion ar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each other based on an optical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은 상기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손떨림 보정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coi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너부에 배치되는 상기 2개의 와이어는 상기 제1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손떨림 보정 장치.
According to clause 12,
The two wires disposed in the first corn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와이어에 부가되는 충격이나 하중을 흡수하도록 형성된 손떨림 보정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uffer unit is configured to absorb shock or load applied to the wire.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이격되는 아웃터 블레이드와,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 내에 배치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과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홀더 모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1코일;
상기 제1코일과 상호작용하는 자석;
상기 자석과 상호작용하는 제2코일;
상기 홀더 모듈과 결합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제1단부를 고정하는 제1솔더; 및
상기 와이어의 일부에 배치되고 접착물질을 포함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솔더는 상기 완충부 내에 배치되는 손떨림 보정 장치.
Base;
a holder module including an outer blade spaced apart from the base, a bobbin disposed within the outer blade, and a spring member connecting the bobbin and the outer blade;
a first coil disposed on the bobbin;
a magnet interacting with the first coil;
a second coil interacting with the magnet;
A wire coupled to the holder module;
a first solder fixing the first end of the wire; and
A buffer portion disposed on a portion of the wire and containing an adhesive material,
The first solder is a hand shake correction device disposed within the buff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와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완충부의 최대 폭은 상기 제1솔더의 최대 폭보다 큰 손떨림 보정 장치.
According to clause 16,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re, the maximum width of the buffer portion is great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first solder.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손떨림 보정 장치; 및
상기 손떨림 보정 장치의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rinted circuit board;
an image sensor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camera shak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7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a lens coupled to the bobbin of the image stabilization device.
제18항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폰.A mobile phone including the camera module of claim 18.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이격되는 아웃터 블레이드와,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 내에 배치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과 상기 아웃터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홀더 모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1코일;
상기 제1코일과 상호작용하는 자석; 및
상기 자석과 상호작용하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손떨림 보정 장치.
Base;
a holder module including an outer blade spaced apart from the base, a bobbin disposed within the outer blade, and a spring member connecting the bobbin and the outer blade;
a first coil disposed on the bobbin;
a magnet interacting with the first coil; and
An image stabilization device comprising a second coil interacting with the magnet.
KR1020220028971A 2021-03-08 2022-03-07 Camera Module KR1025105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971A KR102510575B1 (en) 2021-03-08 2022-03-07 Camera Module
KR1020230032138A KR20230038453A (en) 2021-03-08 2023-03-10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898A KR102373580B1 (en) 2019-11-29 2021-03-08 Camera Module
KR1020220028971A KR102510575B1 (en) 2021-03-08 2022-03-07 Camera Modu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898A Division KR102373580B1 (en) 2019-11-29 2021-03-08 Camera Modul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2138A Division KR20230038453A (en) 2021-03-08 2023-03-10 Camera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353A true KR20220035353A (en) 2022-03-22
KR102510575B1 KR102510575B1 (en) 2023-03-16

Family

ID=809923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971A KR102510575B1 (en) 2021-03-08 2022-03-07 Camera Module
KR1020230032138A KR20230038453A (en) 2021-03-08 2023-03-10 Camera Modul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2138A KR20230038453A (en) 2021-03-08 2023-03-10 Camera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1057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6370A1 (en) * 2022-09-27 2024-04-04 苏州昀冢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Motor bas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7204A (en) * 2001-06-06 2002-12-20 Sony Corp Biaxial device of optical disk device
KR100952620B1 (en) * 2008-10-15 2010-04-15 주식회사 하이소닉 Compensation hand vibration device for camera
KR20100093263A (en) * 2009-02-16 2010-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Camera lens assembly
KR100980044B1 (en) * 2009-03-20 2010-09-06 주식회사 하이소닉 Compact camera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7204A (en) * 2001-06-06 2002-12-20 Sony Corp Biaxial device of optical disk device
KR100952620B1 (en) * 2008-10-15 2010-04-15 주식회사 하이소닉 Compensation hand vibration device for camera
KR20100093263A (en) * 2009-02-16 2010-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Camera lens assembly
KR100980044B1 (en) * 2009-03-20 2010-09-06 주식회사 하이소닉 Compact camera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6370A1 (en) * 2022-09-27 2024-04-04 苏州昀冢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Motor bas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453A (en) 2023-03-20
KR102510575B1 (en)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6344B2 (en)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unit of a camera module
KR101922087B1 (en) Camera Module
KR101944920B1 (en) Camera Module
KR102592911B1 (en) Camera Module
KR101959540B1 (en) Camera Module
KR20230038453A (en) Camera Module
KR102373580B1 (en) Camera Module
KR101930042B1 (en) Camera Module
KR102610277B1 (en) Camera Module
KR102587992B1 (en) Camera Module
KR102227146B1 (en) Camera Module
KR102368103B1 (en) Camera Module
KR102218019B1 (en) Camera Module
KR102052561B1 (en) Camera Module
KR102107811B1 (en) Camera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