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5052A -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5052A
KR20220035052A KR1020220009621A KR20220009621A KR20220035052A KR 20220035052 A KR20220035052 A KR 20220035052A KR 1020220009621 A KR1020220009621 A KR 1020220009621A KR 20220009621 A KR20220009621 A KR 20220009621A KR 20220035052 A KR20220035052 A KR 20220035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fabric
type flexible
image data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1844B1 (ko
Inventor
양기동
Original Assignee
양기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기동 filed Critical 양기동
Priority to KR1020220009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844B1/ko
Publication of KR20220035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5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small, e.g. for presenting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300)로부터 제공된 텍스트, 화상 및 동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 액체 섬유 용액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 상부면에 직접 3D 인쇄에 의하거나 3D로 인쇄한 필름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의 상부면에 합착되어 형성되는 3D 원단 패턴부(120);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의 전원 온(ON) 상태에서는 I/O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화상 데이터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로 제공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의 상부면에 위치한 3D 원단 패턴부(120)를 투과하여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의 전원 오프(OFF) 상태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로 화상 데이터의 제공을 중단하여 3D 원단 패턴부(120)를 통해 일반 원단과 같은 빛투과성 감촉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 보드(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웨어러블 의상에 맞는 디자인 공유 및 창작의 자유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3D fabric printing type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일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각적, 촉각적으로 일반 원단과 확연히 구별된다.
이에 따라 일반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활용한 자연스러운 의상 제작이 어려우며, 일반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설치 장소의 한계와 배선 공사가 필요하여 이동이 자유롭지 않고, 웨어러블 의상에 맞는 컨텐츠 공유 플랫폼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066613(2015.05.13)호 "3D프린터의 노즐, 3D프린터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갑피 제조 방법(NOZZLE FOR 3D PRINTER, 3D PRIN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UTSOLE USING THE 3D PRINTER)"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웨어러블 의상에 맞는 디자인 공유 및 창작의 자유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원단에 가까운 형태를 유지하며 디지털 컨텐츠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웨어러블 의상에 자유롭게 언어를 시각화하여 표시함으로써, 청각장애인 및 외국인과 즉시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바일 단말(300)로부터 제공된 텍스트, 화상 및 동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 액체 섬유 용액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 상부면에 직접 3D 인쇄에 의하거나 3D로 인쇄한 필름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의 상부면에 합착되어 형성되는 3D 원단 패턴부(120);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의 전원 온(ON) 상태에서는 I/O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화상 데이터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로 제공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의 상부면에 위치한 3D 원단 패턴부(120)를 투과하여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의 전원 오프(OFF) 상태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로 화상 데이터의 제공을 중단하여 3D 원단 패턴부(120)를 통해 일반 원단과 같은 빛투과성 감촉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 보드(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 및 3D 원단 패턴부(120)를 원단으로 활용하여 의류를 구성하거나 벨트(100a)를 양단에 추가함으로써 벨트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전원을 제공받아 컨트롤 보드(150)를 통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 I/O 인터페이스(13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입력부(1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0) 상에는 음성 데이터를 시각화한 시각 정보인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음성 데이터에 대해서 번역된 텍스트로 출력한 화상 데이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300)로부터 제공된 화상 데이터 및 동영상 데이터를 제공받는 송수신장치부(1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네트워크(200), 모바일 단말(300), 유선 단말(400), 디스플레이 제어 서버(500)를 포함하는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에 있어서,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 액체 섬유 용액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 상부면에 직접 3D 인쇄에 의하거나 3D로 인쇄한 필름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의 상부면에 합착되어 형성되는 3D 원단 패턴부(120); 를 포함하며, 모바일 단말(300) 및 유선 단말(400)이 저장 메모리에 있는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 서버(500)로 전송하여, 동일한 모바일 단말(300) 또는 다른 모바일 단말(300)에 의해 디스플레이 제어 서버(500)로의 액세스를 통해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 뒤,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하는 경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서 3D 원단 패턴부(120)의 하부면에서 3D 원단 패턴부(120)를 투과하여 출력함으로써, 감촉성 원단의 역할을 하는 3D 원단 패턴부(120)의 하부에서 원하는 화상 데이터를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화상 데이터는, 동영상 데이터와는 달리 그래픽화된 이미지 또는 그래픽화된 이미지가 시간 순서에 따라 연속되어 출력되는 단위체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동영상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에 음성 데이터가 시간의 순서에 따라 동기화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의 전원 온(ON) 상태에서는 I/O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화상 데이터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로 제공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의 상부면에 위치한 3D 원단 패턴부(120)를 투과하여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의 전원 오프(OFF) 상태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로 화상 데이터의 제공을 중단하여 3D 원단 패턴부(120)를 통해 일반 원단과 같은 빛투과성 감촉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 보드(1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 및 3D 원단 패턴부(120)를 원단으로 활용하여 의류를 구성하거나 벨트(100a)를 양단에 추가함으로써 벨트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배터리 형태로 컨트롤 보드(150)를 통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 I/O 인터페이스(13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입력부(1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웨어러블 의상에 맞는 디자인 공유 및 창작의 자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기존 원단에 가까운 형태를 유지하며 디지털 컨텐츠 연출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웨어러블 의상에 자유롭게 언어를 시각화하여 표시함으로써, 청각장애인 및 외국인과 즉시 소통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체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3D 원단 패턴부(12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체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3D 원단 패턴부(12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 3D 원단 패턴부(120), I/O 인터페이스(130), 전원입력부(140), 컨트롤 보드(150), 송수신장치부(160) 및 음성출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는 모바일 단말(300)로부터 제공된 텍스트, 화상 및 동영상 데이터, 그 밖에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별도로 형성된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부(미도시)로부터 제공된 텍스트를 출력함으로써,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웨어러블 의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영상 출력을 통해 개성있는 의류 디자인 공유 및 창작의 자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원단에 가까운 형태를 유지하며 디지털 컨텐츠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웨어러블 의상에 자유롭게 언어를 시각화하여 표시함으로써, 청각장애인 및 외국인과 즉시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3D 원단 패턴부(120)는 액체 섬유 용액으로 3D 인쇄 또는 3D로 인쇄한 필름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3D 원단 패턴부(120)는 접착층을 구성하는 투명 접착제에 대해서 분사 장치를 이용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 상부면에 분사를 수행한 뒤, 3D 원단 패턴부(120)를 구성하기 위한 3D 패턴 설계에 대해서 액체 섬유 용액을 사용하는 3D 직물 프린터로 출력한 3D 직물 출력물에 해당할 수 있으며, 형성된 3D 직물 출력물은 투과성이 30 내지 80%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D 직물 출력물에 해당하는 3D 원단 패턴부(120)는 도 4a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의 전면을 모두 채워는 패턴으로 형성되거나 도 4b 및 도 4b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0)의 전면의 일부에 특정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입력부(140)는 도 1에서와 같이 외부 전원을 제공받아 컨트롤 보드(150)를 통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 I/O 인터페이스(130), 송수신장치부(160)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웨어러블 형태의 의류, 벨트 등으로 구성시 도 5에서와 같이 충전배터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도 1a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의 전원 온(ON) 상태에서는 컨트롤 보드(150)에 의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로 원하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고, 도 1b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의 전원 오프(OFF) 상태에서는 3D 원단 패턴부(120)를 통해 일반 원단과 같은 빛투과성 감촉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0) 표면에 3D 인쇄를 통해 일반 원단과 같은 촉감을 가지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일반 원단과 같이 사용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0)를 제공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0)에 시각화한 화상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며,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 또는 별도로 송수신장치부(160)를 통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 제어 서버(500)의 번역시스템을 통해 번역하여 텍스트로 출력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임의로 제작한 화상 데이터 및 동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제어 서버(500)로부터 자유롭게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송수신장치부(160)는 모바일 단말(30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무선통신 모듈이거나, 유선 타입의 데이터 버스일 수 있으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음성 입력 모듈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은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에, 네트워크(200), 모바일 단말(300), 유선 단말(400), 디스플레이 제어 서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 및 3D 원단 패턴부(120)를 원단으로 활용하여 의류를 구성하거나 벨트(100a)를 양단에 추가함으로써 벨트류로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6과 같은 어깨띠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 3D 원단 패턴부(120) 및 벨트(100a)를 제외한 전원입력부(140), 컨트롤 보드(150), 송수신장치부(160) 및 음성출력부(170)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 케이스(100b)가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부로서 또 다른 벨트(미도시) 형태를 구현하고 이를 사용자가 착용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보관 케이스(100b)가 형성된 경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와 컨트롤 보드(150) 간의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은 I/O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I/O 인터페이스(130)는 무선 또는 유선의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모바일 단말(300) 및 유선 단말(400)은 저장 메모리에 있는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화상 데이터는 도 6에서의 동영상 데이터와는 달리 그래픽화된 이미지 또는 그래픽화된 이미지가 시간 순서에 따라 연속되어 출력되는 단위체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도 6에서의 동영상 데이터는 도 5에서의 화상 데이터에 음성 데이터가 시간의 순서에 따라 동기화되어 출력되는 것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이후, 모바일 단말(3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 서버(500)로 액세스(access)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 뒤,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송수신장치부(160)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 화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300)은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뒤, 음성 데이터에 대한 번역 요청이 입출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 서버(500)로 번역 요청을 통해 번역된 음성 데이터를 반환받은 뒤,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송수신장치부(160)로 번역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 상의 음성 출력부(170)를 통해 번역된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은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에 네트워크(200), 모바일 단말(300), 디스플레이 제어 서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제어 서버(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모바일 단말(300)로 동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300)은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화상 데이터의 텍스트 및 음성 데이터에 번역이 필요한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 서버(500)를 통해 번역을 요청한 뒤, 원본 동영상 데이터의 타임라인에 동기화된 동기화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번역된 자막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모바일 단말(300)은 번역된 자막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동영상 데이터와 함께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송수신장치부(160)로 전송함으로써,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 번역된 자막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 또는 화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의 컨트롤 보드(15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 번역된 자막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경우 원본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출력부(170)를 출력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 원본 화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경우 번역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에 메타데이터로 포함된 동기화 메타 데이터를 활용해 싱크(sync.)를 맞춰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은 복수의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그리고 각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웨어러블 형태로 장착한 사용자가 운영하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300), 그리고 네트워크(200), 디스플레이 제어 서버(500), AI 서버(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방으로 향하는 카메라(180)를 더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트롤 보드(150)가 카메라(180)를 통해 화상 정보를 인식한 뒤, 인식된 화상 정보에 대해서 모바일 단말(3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장치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웨어러블로 착용한 사용자가 운영하는 모바일 단말(300)은 수신된 화상 정보에 대해서 네트워크(200)를 통해 AI 서버(600)로 전송함으로써, AI 서버(600)에 의해 전방에 위치한 다른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3D 원단 패턴부(120)의 형상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AI 서버(600)는 화상 정보에서 각 3D 원단 패턴부(120)의 패턴 카테고리를 추출하는데, 이를 위해 AI 서버(600)의 DB인 빅데이터 DB에는 복수의 3D 원단 패턴이 카테고리 별로 저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AI 서버(600)는 카테고리별로 저장된 각 3D 원단 패턴 자체, 패턴이 역으로 된 것,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진 것과 같은 패턴들로부터 화상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3D 원단 패턴의 카테고리를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3D 원단 패턴의 카테고리 추출을 학습하기 위해서 AI 서버(600)는 분산 파일 프로그램에 의해 빅데이터 DB 상의 각 카테고리 DCS DB에 분산 저장된 3D 원단 패턴들을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고 추출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AI 서버(600)에서 사용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결정 트리(DT, Decision Tree) 분류 알고리즘,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 SVM(Support Vector Machine) 분류 알고리즘 중 하나일 수 있다.
AI 서버(600)는 분산 파일 프로그램에 의해 각 카테고리 DCS DB에 분산 저장된 3D 원단 패턴들을 분석하여 그 분석한 결과로 화소의 특징인 화소의 명암, 화소의 색상, 화소가 형성하는 선, 및 화소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형태 등으로부터 화소의 특성을 다수의 특징 정보로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복수의 머신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학습하여 학습한 결과로 동일, 유사, 비유사를 포함한 구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I 서버(600)의 분석/제어 프로그램은 구분 정보의 판단 결과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다수의 상호 보완적인 머신러닝 알고리즘들로 구성된 앙상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결정 트리 분류 알고리즘은 트리 구조로 학습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결과 해석 및 이해가 용이하고,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며 탐색 트리 기반으로 룰 도출이 가능할 수 있다. DT의 낮은 분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RF를 적용할 수 있다.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은 다수의 DT를 앙상블로 학습한 결과를 도축하는 방식으로, DT보다 결과 이해가 어려우나 DT보다 결과 정확도가 높을 수 있다. DT 또는 RF 학습을 통해 발생 가능한 과적합의 개선 방안으로 SVM을 적용할 수 있다. SVM 분류 알고리즘은 서로 다른 분류에 속한 데이터를 평면 기반으로 분류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갖고, 구조적으로 과적합(overfitting)에 낮은 민감도를 가질 수 있다.
이후, 하나의 모바일 단말(300)은 AI 서버(600)로부터 전방에 위치한 다른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3D 원단 패턴부(120)의 형상을 인식 정보인 3D 원단 패턴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한 뒤, 인식된 다른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3D 원단 패턴부(120)를 운영하는 다른 모바일 단말(300)에 대한 회원 ID에 대해서 네트워크(2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 서버(500)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제어 서버(500)는 회원으로 가입한 하나의 모바일 단말(300)의 현재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다른 모바일 단말(300) 중 하나의 모바일 단말(300)에 의해 영상 촬영되어 획득한 3D 원단 패턴 카테고리 정보와 일치하는 회원 ID를 추출하여 모바일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든 모바일 단말(300)은 GPS 수신 장치를 포함한 위치 수신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며, 디스플레이 제어 서버(500)는 하나의 모바일 단말(300)의 현재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다른 모바일 단말(300) 중 하나의 모바일 단말(300)에 의해 영상 촬영되어 획득한 3D 원단 패턴 카테고리 정보와 일치하는 회원 ID가 하나인 경우 하나의 회원 ID를 추출하여 모바일 단말(300)로 전송하나 복수의 회원 ID가 있는 경우 모두 추출한 뒤, 추출된 회원 ID와 매칭하여 사전에 등록된 3D 원단 패턴부(120)와 하나의 모바일 단말(300)이 운영하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형태로 착용한 하나의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카메라(180)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하나의 모바일 단말(300)에 대해서 전송 요청함으로써, 추출된 회원 ID와 매칭하여 사전에 등록된 3D 원단 패턴부(120)의 형상 정보와 영상 비교를 통해 화상 데이터와 가장 근접한 형상을 갖는 등록된 3D 원단 패턴부(120)의 형상 정보를 등록한 다른 모바일 단말(300)의 회원 ID를 추출하여 하나의 모바일 단말(300)로 전송함으로써, 영상 비교시의 시스템 로드(system road)를 최소화하면서 패턴을 검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모바일 단말(300)은 수신된 회원 ID를 메타데이터로 카메라(180)로 촬영한 화상 정보 및 AI 서버(600)로부터 수신된 3D 원단 패턴 카테고리 정보를 저장메모리에 지인으로 등록함으로써, 저장메모리에 지인으로 등록된 회원 ID를 활용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 서버(500)에 대해서 다른 모바일 단말(300)을 운영하는 사용자가 웨어러블로 착용한 다른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면에 형성된 3D 원단 패턴부(120)에 대한 즉각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구매를 요청함으로써, 웨어러블 원단에 대한 제조, 사용, 판매를 활성화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100 :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110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120 : 3D 원단 패턴부
130 : I/O 인터페이스
150 : 컨트롤 보드
140 : 전원입력부
150 : 컨트롤 보드
160 : 송수신장치부
170 : 음성출력부
180 : 카메라
200 : 네트워크
300 : 모바일 단말
400 : 유선 단말
500 : 디스플레이 제어 서버

Claims (2)

  1. 모바일 단말(300)로부터 제공된 텍스트, 화상 및 동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
    3D로 인쇄한 필름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의 상부면에 합착되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3D 원단 패턴부(120);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의 전원 온(ON) 상태에서는 I/O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화상 데이터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로 제공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의 상부면에 위치한 3D 원단 패턴부(120)를 투과하여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의 전원 오프(OFF) 상태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로 화상 데이터의 제공을 중단하여 3D 원단 패턴부(120)를 통해 일반 원단과 같은 빛투과성 감촉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 보드(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 및 3D 원단 패턴부(120)를 원단으로 활용하여 벨트(100a)를 양단에 추가함으로써 벨트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09621A 2020-02-27 2022-01-24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KR102551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621A KR102551844B1 (ko) 2020-02-27 2022-01-24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572A KR20210109361A (ko) 2020-02-27 2020-02-27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KR1020220009621A KR102551844B1 (ko) 2020-02-27 2022-01-24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572A Division KR20210109361A (ko) 2020-02-27 2020-02-27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052A true KR20220035052A (ko) 2022-03-21
KR102551844B1 KR102551844B1 (ko) 2023-07-04

Family

ID=777824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572A KR20210109361A (ko) 2020-02-27 2020-02-27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KR1020220009621A KR102551844B1 (ko) 2020-02-27 2022-01-24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572A KR20210109361A (ko) 2020-02-27 2020-02-27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10936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914A (ko) * 2013-05-17 2016-02-05 에로기어, 인크. 옷에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직물-인캡슐레이트된 광 어레이 및 시스템
KR20160084281A (ko) * 2015-04-27 2016-07-13 주식회사 바우드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공하는 의복
KR20190100693A (ko) * 2018-02-21 2019-08-29 주식회사 코쿤디자인 터치 인터페이스 기반 플렉서블 led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마트웨어
KR20200009205A (ko) * 2018-07-18 2020-01-30 네이버 주식회사 번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914A (ko) * 2013-05-17 2016-02-05 에로기어, 인크. 옷에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직물-인캡슐레이트된 광 어레이 및 시스템
KR20160084281A (ko) * 2015-04-27 2016-07-13 주식회사 바우드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공하는 의복
KR20190100693A (ko) * 2018-02-21 2019-08-29 주식회사 코쿤디자인 터치 인터페이스 기반 플렉서블 led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마트웨어
KR20200009205A (ko) * 2018-07-18 2020-01-30 네이버 주식회사 번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066613(2015.05.13)호 "3D프린터의 노즐, 3D프린터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갑피 제조 방법(NOZZLE FOR 3D PRINTER, 3D PRIN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UTSOLE USING THE 3D PR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361A (ko) 2021-09-06
KR102551844B1 (ko) 202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52678B (zh) 物品信息显示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可读存储介质
KR102661019B1 (ko) 얼굴에 대응하는 3차원 아바타를 이용하여 얼굴의 움직임이 반영된 3차원 아바타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460340B2 (en) Self-initiated change of appearance for subjects in video and images
WO20200049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CN110506249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记录介质
CN109313500A (zh) 纤细形状因子的无源光学和惯性跟踪
KR20190101832A (ko) 전자 장치 및 아바타 기반의 커스텀 객체 운용 방법
KR20200137001A (ko) 가상 애완동물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단말기, 서버, 기록 매체, 및 시스템
CN111541907A (zh) 物品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569614A (zh) 虚拟形象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765525B (zh) 生成场景图片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JP2016130985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頭部装着型表示装置を制御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CN110222567A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设备
KR20220035052A (ko)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직물 인쇄 원단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EP4124073A1 (en) Augmented reality device performing audio recogni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3194329B (zh) 直播互动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2804546B (zh) 基于直播的互动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2661381B1 (ko) 액세서리의 장착이 가능한 로봇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4028808A (zh) 虚拟宠物的外观编辑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240160402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voice data of user in virtual space
WO2024058439A1 (ko) 가상 공간에 배치되는 아바타 오브젝트의 페르소나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4053845A1 (ko) 오브젝트에 기초한 컨텐츠 공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23007182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240177367A1 (en) Wearable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ing of visual object corresponding to external object and method thereof
WO2024029718A1 (ko)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