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4485A - 레일형 프레임을 구비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유지장치 - Google Patents

레일형 프레임을 구비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4485A
KR20220034485A KR1020200116926A KR20200116926A KR20220034485A KR 20220034485 A KR20220034485 A KR 20220034485A KR 1020200116926 A KR1020200116926 A KR 1020200116926A KR 20200116926 A KR20200116926 A KR 20200116926A KR 20220034485 A KR20220034485 A KR 20220034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transverse
body bolt
fram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6806B1 (ko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6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806B1/ko
Publication of KR20220034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7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simultaneously tying two fac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형 프레임을 구비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거푸집 간 이격 거리를 유지 및 고정시키기 위한 간격유지장치에 있어서, 각 거푸집의 판재 외측면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따라 결합되고 판재의 통공과 대향하여 하나 이상의 삽입공이 형성되는 횡프레임; 상기 횡프레임의 삽입공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고 일단의 단면이 확장되는 콘부가 구비되며, 일단이 횡프레임의 삽입공을 관통하여 한 쌍의 거푸집 간에 형성되는 타설공간으로 인입되는 본체볼트; 상호 대면하는 한 쌍의 횡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타설공간에 인입되는 양 본체볼트의 일단 간에 연결되는 세파볼트; 상기 횡프레임의 노출면에서 상기 본체볼트의 콘부가 거치되게 하여 본체볼트의 인입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에 의해 고정된 본체볼트의 타단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볼트를 상기 횡프레임의 노출면에 지지 및 고정되게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레일형 프레임을 구비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유지장치{A spacer device for concrete form having rail type frame}
본 발명은 한 쌍의 거푸집 간의 간격을 일정하고 견고히 유지시키면서도 체결부위에서 과도한 체결로 인한 거푸집의 비틀림이나 국부적인 휨 발생을 방지하며, 본체볼트와 세파볼트 등 폼타이 부재 간의 연결과 배치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레일형 프레임을 구비한 거푸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및 토목 구조물 등을 건설함에 있어 각종 기둥 및 벽체 등을 형성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소정의 형태를 갖도록 일정하게 짜여진 틀 안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고 이때 사용되는 것이 거푸집이다.
이와 같이 내외측 한 쌍의 패널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되어 있는 거푸집은 내외측 한 쌍의 패널이 이루는 간격을 설계 치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양생완료 시까지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하는 바,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이 거푸집 간격유지장치(폼타이)이다.
따라서 거푸집 간격유지장치는 기본적으로 내외측 즉, 갱폼과 유로폼에 관통 고정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이들 패널이 정해진 간격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지금까지 다양한 형태가 개발,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7568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 그 구성은 외측면에 다수의 장선재와 멍에재가 각각 결합되며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며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제1,2거푸집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장치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나사봉, 상기 나사봉의 양측에 각각 나사 체결되며 상기 제1,2거푸집의 멍에재에 지지되는 제1,2본체볼트 및 상기 제1,2본체볼트와 상기 제1,2거푸집의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를 포함하고, 상기 제1,2본체볼트는, 상기 나사봉에 나사 체결되는 콘 너트부, 상기 콘 너트부의 후방에 연장 형성되는 직선부, 상기 직선부의 도중에 상기 직선부보다 큰 직경으로 확장 형성되는 제1지지부, 상기 직선부의 단부에 상기 직선부보다 큰 직경으로 확장 형성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의 후방에 형성되며 공구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콘 너트부를 회전시켜 상기 간격유지장치의 길이를 조절하는 렌치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셔는 하부를 향해 개방되며 상기 제1,2본체볼트가 관통되는 수직 방향의 슬롯이 형성된 수직판, 상기 수직판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헤드부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하면, 제1,2지지부의 사이에 끼워지는 와셔에 의해 보강재(멍에재)와 제1,2본체볼트가 지지되는 것으로 와셔의 두께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또는 와셔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제1,2거푸집의 흔들림이 발생되고 간격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거푸집 간격유지장치는 나사봉을 외부에서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자가 제1거푸집과 제2거푸집에 사이의 공간에 직접 들어가 나사봉을 양측의 제1,2본체볼트에 체결해야 함으로, 타설공간이 협소한 현장에서는 수작업에 많은 불편함이 있으며 그에 따라 시공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 있다.
또한 렌치부의 과도한 회전 체결 시 타설공간에서 거푸집의 내측에 밀착 장착된 콘너트부가 거푸집패널을 가압하여 해당 부위에서 국부적인 휨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거푸집패널의 비틀림을 유발하게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거푸집 간의 간격 오차 유발과 그에 따른 벽체 등의 두께를 불균일하게 시공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7568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거푸집 간의 간격을 일정하고 견고히 유지시키면서도 체결부위에서 과도한 체결로 인한 거푸집의 비틀림이나 국부적인 휨 발생을 방지하며, 본체볼트와 세파볼트 등 폼타이 부재 간의 연결과 배치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레일형 프레임을 구비한 거푸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레일형 프레임을 구비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유지장치(이하 '본 발명의 장치'라 칭함)은,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거푸집 간 이격 거리를 유지 및 고정시키기 위한 간격유지장치에 있어서, 각 거푸집의 판재 외측면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따라 결합되고 판재의 통공과 대향하여 하나 이상의 삽입공이 형성되는 횡프레임; 상기 횡프레임의 삽입공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고 일단의 단면이 확장되는 콘부가 구비되며, 일단이 횡프레임의 삽입공을 관통하여 한 쌍의 거푸집 간에 형성되는 타설공간으로 인입되는 본체볼트; 상호 대면하는 한 쌍의 횡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타설공간에 인입되는 양 본체볼트의 일단 간에 연결되는 세파볼트; 상기 횡프레임의 노출면에서 상기 본체볼트의 콘부가 거치되게 하여 본체볼트의 인입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에 의해 고정된 본체볼트의 타단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볼트를 상기 횡프레임의 노출면에 지지 및 고정되게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횡프레임은, 상기 판재와 밀착되고 중심부에 상기 삽입공이 형성되는 밀착면과, 상기 밀착면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돌출 구성되어 지지면이 마련되게 하는 한 쌍의 평판턱 및 상호 대면하는 각 평판턱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성되는 슬라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는, 평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평판턱 사이에 개재되는 본체와, 상기 한 쌍의 평판턱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본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이동되게 하는 슬라이드턱 및 상기 본체의 선택된 일측 또는 양측에서 절개부위를 형성하여 상기 콘부의 확장된 단턱이 걸리도록 하는 거치홀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호 대면하는 한 쌍의 본체볼트와 이들 사이에 연결되는 하나의 세파볼트는 사전 체결 및 결속된 상태에서 선택된 하나의 횡프레임의 삽입공을 통해 타설공간으로 인입되게 한 후, 양 횡프레임에 개재된 각 고정구를 이용하여 각 본체볼트의 인입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횡프레임은 알루미늄 소재로 사출 금형을 통해 일체화로 제조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본체볼트는, 외주연을 따라 외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중심부에 상기 본체볼트의 타단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중공이 형성되어 본체볼트의 타단이 관통되고 일면이 상기 한 쌍의 평판턱에 의해 마련되는 지지면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사각판와셔와, 상기 사각판와셔를 관통한 본체볼트의 타단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사각판와셔가 지지면에 지지되게 하면서 상기 본체볼트는 횡프레임에 결속 및 고정되게 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각 거푸집의 판재 외측면에서 횡방향으로 이격된 횡프레임 간을 종방향으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종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한 쌍의 거푸집 간의 간격을 일정하고 견고히 유지시키면서도 체결부위에서 과도한 체결로 인한 거푸집의 비틀림이나 휨 발생을 방지하며, 본체볼트와 세파볼트 등 폼타이 부재 간의 연결과 배치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횡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고정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횡프레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치는 한 쌍의 거푸집(1, 2) 간의 간격을 유지 및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호 대면하는 각 거푸집(1, 2)에 장착되는 횡프레임(10, 20)과, 각 횡프레임(10, 20)을 관통하여 콘크리트 타설공간(7)으로 인입되는 본체볼트(30, 40)와, 상기 타설공간(7)에 개재되도록 양 본체볼트(30, 40) 간에 연결되는 세파볼트(50)와, 각 횡프레임(10, 20)을 관통하는 본체볼트(30, 40)의 인입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구(60, 70) 및 본체볼트(30, 40)를 횡프레임(10, 20)에 고정시켜 한 쌍의 거푸집(1, 2) 간의 간격이 고정되게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횡프레임(10, 20)은 각 거푸집(1, 2)의 판재(3, 4) 외측면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따라 결합되고, 폼 타이의 체결을 위해 사전 형성된 판재(3, 4)의 통공(5, 6)과 대향하는 부위에는 하나 이상의 삽입공(100, 20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횡프레임(10, 20)의 설치 개소는 시공 대상 벽체를 고려한 거푸집(1, 2)의 면적에 비례하여 선택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먼저 상기 횡프레임(10, 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재(3, 4)와 밀착되는 밀착면(110, 210)과, 상기 밀착면(110, 21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돌출 구성되는 한 쌍의 평판턱(120, 220) 및 상호 대면하는 각 평판턱(120, 220)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성되는 슬라이드홈(130, 230)을 포함한다.
상기 밀착면(110, 210)에는 중심부를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삽입공(100, 200)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볼트(30, 40)의 일단이 관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삽입공(110, 200)은 상기 본체볼트(30, 4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양 본체볼트(30, 40)에 세파볼트(50)를 사전 체결시킨 상태에서도 본체볼트(30, 40)가 상기 타설공간(7)으로 자유롭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종래 협소한 타설공간에서의 볼트 체결 과정이 불필요하게 되는 바, 작업성 향상과 그에 따른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평판턱(120, 220)은 상기 삽입공(110, 200)이 형성된 밀착면(110, 210)의 중심부로부터 이격된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지지면(121, 221)이 마련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한 쌍의 평탄턱(120, 220)에 의해 횡프레임(10, 20)에서 그 중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구(60, 70)가 슬라이딩 유동할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될 뿐만 아니라, 지지면(121, 221)의 경우 상기 본체볼트(30, 40)의 고정을 위해 구비되는 고정수단이 상기 본체볼트(30, 40)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드홈(130, 230)은 상기 평판턱(120, 220)의 내측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이하에서 설명하는 고정구(60, 70)가 횡프레임(10, 20) 상에서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드홈(130, 230)은 도 4에서 "["형 구조를 가지는 레일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U"자형, "T"자형 등 공지의 다양한 레일 구조 중 적합한 하나가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횡프레임(10, 20)은 알루미늄 소재로 사출 금형을 통해 각각의 구성들이 일체화되도록 제조됨으로써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제작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본체볼트(30, 40)는 상기 횡프레임(10, 20)의 삽입공(100, 20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고, 일단에 단면이 확장되는 콘부(300, 400)가 구비되어 직경의 단차로 인한 단턱(301, 40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볼트(30, 40)는 일단이 횡프레임(10, 20)의 삽입공(100, 200)을 관통하여 상호 대면하는 한 쌍의 거푸집(1, 2) 간에 형성되는 타설공간(7)으로 인입되는 바, 상기 콘부(300, 400)의 일부 또한 세파볼트(50)와 함께 타설공간(7)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콘부(300, 400)는 단턱(301, 401)이 형성된 부위로부터 점차 직경이 작아지게 되는 테이퍼(taper)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콘부(300, 400)가 타설공간(7)에 개재된 상태에서 콘크리트의 타설과 양행 이후 테이퍼 형상에 의해 본체볼트(30, 40)의 분리가 용이해지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세파볼트(50)는 상호 대면하는 한 쌍의 횡프레임(10, 20)으로부터 상기 타설공간(7)에 인입되는 양 본체볼트(30, 40)의 일단 간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호 대면하는 한 쌍의 거푸집(1, 2) 간 간격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세파볼트(50)는 거푸집(1, 2) 간 간격 즉, 시공 대상 콘크리트 벽체의 두께에 적합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세파볼트(50)는 상기 본체볼트(30, 40)와 나사 체결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콘부(300, 40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관형상을 가지며 중공의 내주연에 내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세파볼트(50)의 양단에는 각각 일부구간을 따라 외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콘부(300, 400)의 중공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60 ,70)는 상기 횡프레임(10, 20)의 노출면에서 상기 본체볼트(30, 40)의 콘부(300, 400)가 거치되게 하여 본체볼트(30, 40)의 인입 위치를 임시 고정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구(60 ,70)는 평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평판턱(120, 220) 사이에 개재되는 본체(600, 700)와, 상기 한 쌍의 평판턱(120, 220)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본체(600, 70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슬라이드턱(610, 710)이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턱(610, 710)은 상기 슬라이드홈(130, 230)에 의해 형성되는 레일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됨에 의해 상기 본체(600, 700)가 횡프레임(10, 20)의 중심부에서 횡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60 ,70)는 상기 본체(600, 700)의 선택된 일측 또는 양측에서 외측이 개방되는 절개부위가 형성되어, 횡프레임(10, 20)의 삽입공(100, 200)을 관통한 본체볼트(30, 40)에 있어 단면이 확장됨에 따라 마련되는 상기 콘부(300, 400)의 단턱(301, 401)이 걸리도록 하는 거치홀(620, 7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홀(620, 720)의 폭은 단면이 확장된 상기 본체볼트(30, 40)의 콘부(300, 40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길이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거치홀(620, 720)에 거치된 상태의 본체볼트(30, 40)가 횡프레임(10, 20)의 삽입공(100, 200)으로부터 더 이상 인출되지 않도록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구(60, 70)에 의해 인입 위치가 고정된 본체볼트(30, 40)의 타단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볼트(30, 40)를 상기 횡프레임(10, 20)의 노출면에 지지 및 고정되게 한다.
일 예로 상기 고정수단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상기 본체볼트(30, 40)의 타단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중공이 형성되어 본체볼트(30, 40)의 타단이 관통되고 일면이 상기 한 쌍의 평판턱(120, 220)에 의해 마련되는 지지면(121, 221)에 접하게 되는 사각판와셔(8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의 고정수단은 상기 사각판와셔(80)를 관통한 본체볼트(30, 40)의 타단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사각판와셔(80)가 지지면(121, 221)에 지지되게 하면서 상기 본체볼트(30, 40)는 횡프레임(10, 20)에 결속 및 고정되게 하는 고정너트(81)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너트(81)의 나사 체결을 위해서는 상기 본체볼트(30, 40)가 외주연을 따라 외나사산(310, 410)이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장치는 폼 타이의 체결 과정에서 과도한 고정너트(81)의 나사 체결에도 과중되는 조임힘이 직접적으로 거푸집(1, 2)의 판재(3, 4)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사각판와셔(80)를 지지하게 되는 횡프레임(10, 20)의 평판턱(120, 220)으로 전달됨으로써 거푸집(1, 2)의 비틀림이나 체결 부위에서의 국부적인 휨발생으로 인한 간격 오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a 및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한 쌍의 거푸집(1, 2)을 기설정된 이격 거리로 상호 대면되게 배치한다.
그리고 한 쌍의 거푸집(1, 2)이 배치된 상태에서 타설공간(7)의 폭과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사전 셋팅된 세파볼트(50)가 타설공간(7)에 개재되도록 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횡프레임(10, 20)의 삽입공(100, 200)이 본체볼트(30, 4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호 대면하는 한 쌍의 본체볼트(30, 40)와 이들 사이에 연결되는 하나의 세파볼트(50)를 사전 체결 및 결속한 상태에서 선택된 하나의 횡프레임(10)의 삽입공(100)을 통해 타설공간(7)으로 인입되게 함으로써 양 본체볼트(30, 40)의 일단과 상기 세파볼트(50)가 타설공간(7)에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볼트(30, 40) 및 세파볼트(50)의 인입 과정에 있어 상기 고정구(60, 70)는 각 횡프레임(10, 20)의 삽입공(100, 20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는 바, 이에 의해 인입 과정 시 고정구(60, 70)와 본체볼트(30, 40) 간에 간섭이 없을 수 있다.
이후, 한 쌍의 거푸집(1, 2)에 각각 결합된 양 횡프레임(10, 20)에 개재되는 각 고정구(60, 70)를 이용하여 각 본체볼트(30, 40)의 인입 위치를 고정시킨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볼트(30, 40)의 인입 후에 각 고정구(60, 70)를 본체볼트(30, 40)의 외주면에 인접하는 위치로 다시 슬라이딩 이동시켜, 횡프레임(10, 20)의 외측에서 거치홀(620, 720)의 절개부위가 노출된 본체볼트(30, 40)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게 되며, 이후 본체볼트(30, 40)를 인입 방향과 반대 방향 즉 인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거치홀(620, 720)의 단부가 콘부(300, 400)의 단턱(301, 401)에 걸리게 됨으로써, 본체볼트(30, 40)의 인입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고정구(60, 70)에 의해 본체볼트(30, 40)의 인입 위치가 고정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볼트(30, 40)의 타단으로 사각판와셔(80)를 관통시켜 사각판와셔(80)가 평판턱(120, 220)에 의해 마련된 지지면(121, 221)에 안치되게 한 후, 본체볼트(30, 40)의 외주연에 형성된 외나사산(310, 410)에 고정너트(81)를 나사 체결시켜 상기 본체볼트(30, 40)의 움직임이 없을 때까지 상기 사각판와셔(80)를 상기 지지면(121, 221)에 완전 밀착 및 지지되게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체볼트(30, 40)는 각 횡프레임(10, 20)에 상호 대칭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들 본체볼트(30, 40) 사이에 연결되는 세파볼트(50) 역시 타설공간(70)의 중심에 개재된 상태로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연속된 폼타이의 체결 시 거푸집(1, 2) 간 일정한 각견이 유지 및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는, 각 거푸집(1, 2)의 판재(3, 4) 외측면에서 횡방향으로 이격된 횡프레임(10, 20) 간을 종방향으로 연결하여 횡프레임(10, 20)의 횡방향 배치가 틀어짐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종프레임(90)을 더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20 : 횡프레임 30, 40 : 본체볼트
50 : 세파볼트 60, 70 : 고정구
80 : 사각판와셔 81 : 고정너트
90 : 종프레임 100, 200 : 삽입공
110, 210 : 밀착면 120, 220 : 평판턱
121, 221 : 지지면 130, 230 : 슬라이홈
300, 400 : 콘부 301, 401 : 단턱
600, 700 : 본체 610, 710 : 슬라이드턱
620, 720 : 거치홀

Claims (6)

  1.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거푸집 간 이격 거리를 유지 및 고정시키기 위한 간격유지장치에 있어서,
    각 거푸집의 판재 외측면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따라 결합되고 판재의 통공과 대향하여 하나 이상의 삽입공이 형성되는 횡프레임;
    상기 횡프레임의 삽입공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고 일단의 단면이 확장되는 콘부가 구비되며, 일단이 횡프레임의 삽입공을 관통하여 한 쌍의 거푸집 간에 형성되는 타설공간으로 인입되는 본체볼트;
    상호 대면하는 한 쌍의 횡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타설공간에 인입되는 양 본체볼트의 일단 간에 연결되는 세파볼트;
    상기 횡프레임의 노출면에서 상기 본체볼트의 콘부가 거치되게 하여 본체볼트의 인입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에 의해 고정된 본체볼트의 타단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볼트를 상기 횡프레임의 노출면에 지지 및 고정되게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프레임을 구비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유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프레임은,
    상기 판재와 밀착되고 중심부에 상기 삽입공이 형성되는 밀착면과, 상기 밀착면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돌출 구성되어 지지면이 마련되게 하는 한 쌍의 평판턱 및 상호 대면하는 각 평판턱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성되는 슬라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는,
    평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평판턱 사이에 개재되는 본체와, 상기 한 쌍의 평판턱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본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이동되게 하는 슬라이드턱 및 상기 본체의 선택된 일측 또는 양측에서 절개부위를 형성하여 상기 콘부의 확장된 단턱이 걸리도록 하는 거치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프레임을 구비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유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호 대면하는 한 쌍의 본체볼트와 이들 사이에 연결되는 하나의 세파볼트는 사전 체결 및 결속된 상태에서 선택된 하나의 횡프레임의 삽입공을 통해 타설공간으로 인입되게 한 후, 양 횡프레임에 개재된 각 고정구를 이용하여 각 본체볼트의 인입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프레임을 구비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유지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횡프레임은 알루미늄 소재로 사출 금형을 통해 일체화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레일형 프레임을 구비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유지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볼트는,
    외주연을 따라 외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중심부에 상기 본체볼트의 타단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중공이 형성되어 본체볼트의 타단이 관통되고 일면이 상기 한 쌍의 평판턱에 의해 마련되는 지지면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사각판와셔와, 상기 사각판와셔를 관통한 본체볼트의 타단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사각판와셔가 지지면에 지지되게 하면서 상기 본체볼트는 횡프레임에 결속 및 고정되게 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레일형 프레임을 구비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유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각 거푸집의 판재 외측면에서 횡방향으로 이격된 횡프레임 간을 종방향으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종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프레임을 구비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유지장치.
KR1020200116926A 2020-09-11 2020-09-11 레일형 프레임을 구비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유지장치 KR102516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926A KR102516806B1 (ko) 2020-09-11 2020-09-11 레일형 프레임을 구비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926A KR102516806B1 (ko) 2020-09-11 2020-09-11 레일형 프레임을 구비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485A true KR20220034485A (ko) 2022-03-18
KR102516806B1 KR102516806B1 (ko) 2023-04-03

Family

ID=80936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926A KR102516806B1 (ko) 2020-09-11 2020-09-11 레일형 프레임을 구비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8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5807A (en) * 1996-06-24 1999-01-05 Hsieh; Ming-Huei Concrete form securing device
KR200437568Y1 (ko) 2007-04-03 2007-12-11 서보산업 주식회사 일체형 본체볼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
KR20110004543U (ko) * 2009-10-30 2011-05-09 박한웅 거푸집 지지장치
KR20130092870A (ko) * 2012-02-13 2013-08-21 (주)에이원알폼 간격유지부재의 설치가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5807A (en) * 1996-06-24 1999-01-05 Hsieh; Ming-Huei Concrete form securing device
KR200437568Y1 (ko) 2007-04-03 2007-12-11 서보산업 주식회사 일체형 본체볼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
KR20110004543U (ko) * 2009-10-30 2011-05-09 박한웅 거푸집 지지장치
KR20130092870A (ko) * 2012-02-13 2013-08-21 (주)에이원알폼 간격유지부재의 설치가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6806B1 (ko) 202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17176A1 (en) Masonry wall system
US7191572B2 (en) Construction method and system
KR200437568Y1 (ko) 일체형 본체볼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
KR102143636B1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KR20100078070A (ko) 슬라브 거푸집 지지용 서포터
CN110653934A (zh) 用于预制rc构件的钢筋定位装置及其定位方法
JP4392462B1 (ja) 梁型枠ユニット、梁型枠ユニット用横締付け枠および場所打ち鉄筋コンクリート梁の施工方法
WO2016068692A1 (en) A formwork arrangement
JP4845226B2 (ja) せき板取付枠及び型枠工法
KR100775350B1 (ko) 필러패널프레임
JP2015105552A (ja) 型枠支持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ラブ施工方法
CN112663823A (zh) 滑槽式预制固定构件及其制作和使用方法、设备安装方法
CN111877752A (zh) 一种建筑模板的加固系统及其施工方法
KR20220022664A (ko) 거푸집 고정용 십자조인트
KR20220034485A (ko) 레일형 프레임을 구비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유지장치
JP2010031577A (ja) パネルゾーンの型枠
JP7339865B2 (ja) 壁パネルの建て込み方法
KR100695491B1 (ko) 결속구, 선조립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JP2002213077A (ja) コンクリート壁用組み型枠の構築方法ならびにこれに使用する鋼製型枠
KR102120426B1 (ko) 조립식 더블 월 pc
KR20050061405A (ko) 거푸집 고정장치
JP4108071B2 (ja) 壁型枠等の建入れサポート方法
KR100322486B1 (ko) 거푸집용몰딩바및이를이용한거푸집설치방법
KR101825818B1 (ko) 각도조절용 타이가 일체화된 클립
JPH07197652A (ja) 型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