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4379A - 스프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4379A
KR20220034379A KR1020200116666A KR20200116666A KR20220034379A KR 20220034379 A KR20220034379 A KR 20220034379A KR 1020200116666 A KR1020200116666 A KR 1020200116666A KR 20200116666 A KR20200116666 A KR 20200116666A KR 20220034379 A KR20220034379 A KR 20220034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filling
contents
pressur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8041B1 (ko
Inventor
변재삼
함승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알
주식회사 에스와이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알, 주식회사 에스와이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알
Priority to KR1020200116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041B1/ko
Publication of KR20220034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1056Actuation means comprising rotatable or articulated levers
    • B05B11/1057Triggers, i.e. actuation means consisting of a single lever having one end rotating or pivoting around an axis or a hinge fixedly attached to the container, and another end directly actuated by the user
    • B05B11/3001
    • B05B11/305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프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부로부터 입구 채널을 통해 내용물이 유입되는 충전 챔버; 상기 충전 챔버 내의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 보다 상측의 제 2 영역 사이를 왕복하면서 압력 변화를 야기하는 충전 피스톤; 상기 충전 챔버로부터 출구 채널을 통해 상기 내용물이 유입되는 압력 챔버; 상기 압력 챔버 내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압력 챔버 내의 상기 내용물을 배출 채널로 배출하는 압력 피스톤; 및 상기 충전 챔버와 상기 용기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패스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채널은, 상기 용기부와 상기 충전 챔버의 상측벽을 연결하여 상기 충전 피스톤의 상향 이동 중에 발생하는 상기 용기부의 음압(negative pressure)을 해소하는 상측 바이패스 채널; 및 상기 용기부와 상기 충전 챔버의 하측벽을 연결하며 상기 충전 피스톤의 하향 이동 중에 발생하는 상기 충전 챔버 내의 양압(positive pressure)을 해소하는 하측 바이패스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프레이 장치{SPRAY APPARATUS}
본 발명은 스프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무기는 용기 안에 저장된 물, 소독제, 살충제, 세제, 방향제 등의 내용물을 원하는 대상 혹은 위치에 분무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종래의 분무기는 내용물이 들어있는 용기 안에 흡입 튜브가 삽입되고, 흡입 튜브에 펌프가 연결되며, 펌프에는 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는 트리거가 연결되어 있고, 분무기 일 측에는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는 노즐이 구비되어 있어, 트리거를 당길 때마다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펌핑되어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구조를 가진다.
다만, 이러한 종래의 분무기는, 내용물을 원하는 대상이나 위치에 연속 또는 지속해서 분무하려 할 때, 사용자가 트리거를 당겼다 놨다 하는 동작을 반복해야만 한다. 이때, 트리거를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작업은 사용자의 쥐는 힘에 의해서 동작되는 것이므로, 종래의 분무기로 연속 또는 지속적인 분무를 할 경우, 사용자가 육체적인 피로감을 느끼기 쉽고 지속적인 분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전지, 배터리 등의 충전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분무를 가능케하는 분무기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분무기는 충전수단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이 추가로 필요하고, 전기적 작동을 위한 기기들이 장착되어야 하므로 분무기의 부품이 많아져 그 구성이 복잡해지고, 무게가 늘어나게 되어 휴대성이 떨어지게 되며, 생산 공정이 복잡해져 제품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의 시간 동안 분무가 유지될 수 있는 스프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프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부로부터 입구 채널을 통해 내용물이 유입되는 충전 챔버; 상기 충전 챔버 내의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 보다 상측의 제 2 영역 사이를 왕복하면서 압력 변화를 야기하는 충전 피스톤; 상기 충전 챔버로부터 출구 채널을 통해 상기 내용물이 유입되는 압력 챔버; 상기 압력 챔버 내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압력 챔버 내의 상기 내용물을 배출 채널로 배출하는 압력 피스톤; 및 상기 충전 챔버와 상기 용기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패스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채널은, 상기 용기부와 상기 충전 챔버의 상측벽을 연결하여 상기 충전 피스톤의 상향 이동 중에 발생하는 상기 용기부의 음압(negative pressure)을 해소하는 상측 바이패스 채널; 및 상기 용기부와 상기 충전 챔버의 하측벽을 연결하며 상기 충전 피스톤의 하향 이동 중에 발생하는 상기 충전 챔버 내의 양압(positive pressure)을 해소하는 하측 바이패스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피스톤이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2 영역으로 상승할 때, 상기 상측 바이패스 채널은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충전 피스톤이 상기 제 2 영역에 도달하면 상기 충전 피스톤이 상기 상측 바이패스 채널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피스톤의 상승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음압이 상기 개방 상태의 상기 상측 바이패스 채널을 통해 해소되고, 상기 상측 바이패스 채널의 상기 폐쇄에 의해 상기 내용물이 상기 용기부 내에서 상기 충전 챔버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피스톤이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제 1 영역으로 하강할 때, 상기 충전 피스톤이 상기 하측 바이패스 채널을 폐쇄하고, 상기 충전 피스톤이 상기 제 1 영역에 도달하면 상기 하측 바이패스 채널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피스톤의 하강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양압은 상기 내용물을 상기 압력 챔버로 이동시키고, 상기 하측 바이패스 채널의 상기 개방에 의해 상기 양압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쇄에 의해 상기 용기부 내의 상기 내용물이 상기 충전 챔버 내로 누설되거나, 상기 충전 챔버 내의 내용물이 상기 용기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챔버의 저면에는 상기 충전 피스톤을 향하여 개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충전 피스톤의 하강 시에, 상기 개방돌기가 상기 충전 피스톤의 실캡(seal cap)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챔버의 내벽으로부터 이격시켜서 상기 하측 바이패스 채널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 피스톤을 왕복 이동시키는 트리거(trigg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 일 단이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하는 트리거 본체; 상기 충전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트리거 본체의 회동에 따라 상기 충전 피스톤을 승강시키는 승강 연결부; 상기 트리거 본체의 회동 시에 상기 트리거 본체를 위치 회복하는 트리거 스프링; 및 상기 트리거 본체와 상기 트리거 스프링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트리거 스프링의 탄성력을 상기 트리거 본체에 전달하는 탄성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구 채널 내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용기부에서 상기 충전 챔버로 상기 내용물이 일 방향 이동하도록 하는 입구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구 밸브는, 상기 충전 챔버 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입구 채널을 폐쇄하도록 이동하여 상기 내용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구 채널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출구 채널의 측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홀을 폐쇄하되, 상기 충전 챔버 내의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출구홀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충전 챔버에서 상기 압력 챔버로 상기 내용물이 일 방향 이동하도록 하는 출구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구 채널은, 상부 출구 채널과 하부 출구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상부 출구 채널 및 상기 하부 출구 채널 사이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구 밸브는, 상기 하부 출구 채널의 측면을 둘러싸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의 상단에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출구 채널과 상기 상부 출구 채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출구 채널과 상기 하부 출구 채널을 연통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챔버는, 상기 출구 채널이 삽입되는 고정부; 상기 압력 챔버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 상기 브릿지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이동홀 및 상기 제 1 이동홀에 인접하여 상기 배출 채널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이동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 채널의 출구단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 채널을 폐쇄하되, 상기 배출 채널 내의 유체 압력에 의해 굴곡되면서 상기 배출 채널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압력 챔버에서 오리피스로 상기 내용물이 일 방향 이동하도록 하는 배출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 밸브는, 상기 배출 채널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내용물의 일 방향 흐름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일 단부에 상기 배출 채널이 결합하고 타 단부에 상기 오리피스가 형성되는 노즐 하우징; 상기 노즐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내부에 상기 배출 밸브를 수용하는 밸브 지지부; 및 일 단부가 상기 오리피스에 인접 배치되고, 타 단부가 상기 배출 밸브와 접하여, 상기 배출 밸브와 함께 상기 배출 채널을 폐쇄하는 플런저(plunger)를 포함하는 노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 하우징의 타 단부에는 상기 오리피스를 중심으로 하여 복수의 나선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가 상기 나선부에 밀착할 때, 상기 나선부 사이의 이동 통로를 따라 상기 내용물이 이동하면서 나선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 펌프를 통해 내용물을 펌핑하되, 압력 펌프를 통해 내용물의 분사가 소정의 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패스 채널을 통해 충전 챔버 및/또는 용기부 내의 양압 및/또는 음압을 해소하여, 내용물이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조작의 불편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 펌프의 압력 변화에 연동하여 입구 밸브가 입구 채널 내에서 이동하면서, 입구 채널을 개폐하여 내용물이 충전 챔버로 일 방향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출구 밸브가 충전 챔버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 탄성 변형되면서 출구 채널을 개폐하여 내용물이 보다 안정적으로 압력 챔버로 일 방향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 밸브가 충전 챔버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 탄성 변형되면서 배출 채널을 개폐하여 내용물이 보다 안정적으로 오리피스로 일 방향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노즐부는 배출 밸브를 안정적으로 수용하면서, 내용물의 나선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장치의 일 방향에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장치의 다른 방향에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입구 채널과 결합한 입구 밸브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구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출구 채널과 결합한 출구 밸브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 및 배출 밸브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 밸브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 하우징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채널 및 충전 펌프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장치의 일 방향에서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장치의 다른 방향에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스프레이 장치(1000)는, 용기부(100), 충전 펌프(200), 압력 펌프(300), 채널 그룹(410, 420, 430, 440, 450), 밸브 그룹(510, 520, 530), 노즐부(600), 트리거(700) 및 분주기 하우징(800)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부(100)는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으로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내용물은 액상, 고상 등 다양한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부(100)는 정제수, 탈취제, 전해수, 살균수, 미용수 등의 액상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용물은 유동성을 갖는 제형으로서 의료, 미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용기부(100)는, 플라스틱, 유리,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부(100)는 튜브 등의 연성 재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용기부(100)가 단일 용기 구조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이중 용기 구조 또는 다중 용기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충전 펌프(200)는 내부의 압력 변화를 야기하고, 이를 통해 용기부(100)로부터 내용물이 유입되고, 또한 내용물이 압력 펌프(300)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충전 펌프(200)는 충전 챔버(210) 및 충전 피스톤(220)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챔버(210)는, 내부에 내용물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입구홀과 출구홀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입구홀은 입구 채널(410)과 연통하고, 출구홀은 출구 채널(420)과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입구 채널(410) 및 입구홀을 통해 충전 챔버(210) 내로 내용물이 유입되고, 출구홀 및 출구 채널(420)을 통해 충전 챔버(210) 내의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다.
충전 피스톤(220)은 충전 챔버(210) 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압력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챔버(210) 내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사이를 왕복하면서 압력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영역은 충전 챔버(210)의 하단 영역이고, 제 2 영역은 충전 챔버(210)의 상단 영역이다. 압력 변화에 따라 내용물이 충전 챔버(210)로 유입되거나 충전 챔버(210) 내의 내용물을 배출될 수 있다.
충전 피스톤(220)은 피스톤 로드(221) 및 실캡(seal cap, 222)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 로드(221)는, 충전 챔버(21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형성되되, 상단으로 트리거(700)와 연동하도록 연결되어, 상하 왕복 운동할 수 있다. 피스톤 로드(221)의 하단에는 실캡(222)이 형성될 수 있다. 실캡(222)은 피스톤 로드(22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며 충전 챔버(210)의 내벽에 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밀착에 의해 피스톤 로드(221)의 왕복 이동이 충전 챔버(210) 내의 압력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실캡(222)은, 충전 피스톤(220)으로 외측으로 연장하여 충전 챔버(210)의 내벽에 밀착할 수 있다.
압력 펌프(300)는 충전 펌프(200)로부터 내용물이 유입되면, 이를 노즐부(600)를 통해 스프레이 장치(10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압력 펌프(300)는 압력 챔버(310), 압력 피스톤(320) 및 압력 스프링(330)을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챔버(310)는, 내측에 내용물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입구홀과 출구홀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입구홀은 출구 채널(420)과 연통하고, 출구홀은 배출 채널(430)과 연통할 수 있다. 출구 채널(420) 및 입구홀을 통해 압력 챔버(310) 내로 내용물이 유입되고, 출구홀 및 배출 채널(430)을 통해 압력 챔버(310) 내의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압력 챔버(310)는, 출구 채널(420)이 삽입되는 고정부; 압력 챔버(310)의 내벽으로부터 고정부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 브릿지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홀 및 입구홀에 인접하여 배출 채널(430)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홀을 포함할 수 있다.
압력 피스톤(320)은, 압력 챔버(310) 내에서 이동하면서 압력 챔버(310) 내의 내용물을 출구홀을 통해 배출 채널(430)로 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압력 피스톤(320)은 피스톤 로드 및 실캡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 로드는 압력 챔버(31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형성되며, 피스톤 로드의 상단으로 실캡이 형성될 수 있다. 실캡은 피스톤 로드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며 압력 챔버(310)의 내벽에 밀착할 수 있다.
압력 스프링(330)은, 압력 피스톤(320)에 대해 탄성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압력 피스톤(320)이 내용물에 의해 가압 이동하는 경우, 압력 피스톤(320)을 원위치로 회복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력 스프링(330)은 일 단이 압력 챔버(310) 내에서 지지되고, 타 단이 압력 피스톤(3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입구홀을 통해 압력 챔버(310) 내측으로 내용물이 유입되면, 내용물에 의해 피스톤 로드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압력 스프링(330)이 탄성 압축될 수 있다. 이후, 압력 스프링(330)이 압력 피스톤(320)을 향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피스톤 로드가 다시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출구홀로 내용물을 밀어낼 수 있다.
채널 그룹(410, 420, 430, 440, 450)은, 용기부(100), 충전 챔버(210), 압력 챔버(310), 노즐부(600) 등을 연결하면서, 내용물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밸브 그룹(510, 520, 530)은, 채널 그룹(410, 420, 430)에 구비되어, 내용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밸브 그룹(510, 520, 530)은 내용물의 일 방향(one-way) 흐름을 허용할 수 있다.
채널 그룹(410, 420, 430)은 입구 채널(410), 출구 채널(420) 및 배출 채널(4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밸브 그룹(510, 520, 530)은, 입구 밸브(510), 출구 밸브(520) 및 배출 밸브(5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구 채널(410)은, 충전 챔버(210)와 용기부(100)를 연결할 수 있으며, 입구 밸브(510)는, 내용물이 용기부(100)로부터 충전 챔버(210)로 일 방향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출구 채널(420)은, 충전 챔버(210)와 압력 챔버(310)를 연결할 수 있으며, 출구 밸브(520)는, 내용물이 충전 챔버(210)로부터 압력 챔버(310)로 일 방향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배출 채널(430)은, 압력 챔버(310)와 노즐부(600)를 연결할 수 있으며, 배출 밸브(530)는, 내용물이 압력 챔버(310)로부터 노즐부(600)로 일 방향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채널 그룹(440, 450)은, 바이패스 채널(440, 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이패스 채널(440, 450)은, 충전 챔버(210)와 용기부(100)를 공기 연통하도록 연결하여, 충전 챔버(210) 및/또는 용기부(100) 내의 양압 및/또는 음압을 해소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패스 채널(440, 450)은, 용기부(100)와 충전 챔버(210)의 상측벽을 연결하여 충전 피스톤(220)의 상향 이동 중에 발생하는 용기부(100)의 음압(negative pressure)을 해소하는 상측 바이패스 채널(440); 및 용기부(100)와 충전 챔버(210)의 하측벽을 연결하며 충전 피스톤(220)의 하향 이동 중에 발생하는 충전 챔버(210) 내의 양압(positive pressure)을 해소하는 상측 바이패스 채널(4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부(600)는, 일 단부에 배출 채널(430)이 연결되고 타 단부에 오리피스(611)가 형성되어, 배출 채널(430)로부터 유입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트리거(700)는 일 영역이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로부터 외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 외력에 따라 트리거(700)가 회동하면서, 충전 펌프(2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리거(700)는 충전 펌프(200) 내의 충전 피스톤(220)에 연결되어, 트리거(700)의 회동이 충전 피스톤(220)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트리거(7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710); 일 단이 손잡이부(710)에 연결되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하는 트리거 본체(720); 충전 피스톤(220)에 연결되어, 트리거 본체(720)의 회동에 따라 충전 피스톤(220)을 승강시키는 승강 연결부(730); 트리거 본체(720)의 회동 시에 트리거 본체(720)를 위치 회복하는 트리거 스프링(740); 및 트리거 본체(720)와 트리거 스프링(740) 사이에 구비되어 트리거 스프링(740)의 탄성력을 트리거 본체(720)에 전달하는 탄성 전달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주기 하우징(800)은 용기부(100)와 결합하여, 용기부(100)와 함께 스프레이 장치(10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주기 하우징(800)은 스프레이 장치(1000)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를 수용하고, 및/또는 스프레이 장치(1000)의 구성요소들 중 다른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주기 하우징(800)은, 충전 피스톤(220), 압력 피스톤(320) 밸브 그룹(510, 520, 530), 노즐부(600), 트리거(700) 등을 수용할 수 있으며, 또한, 채널 그룹(410, 420, 430, 440, 450), 충전 펌프(200), 압력 펌프(300)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분주기 하우징(800)은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부품이 결합 또는 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되는 스프레이 장치(100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입구 채널과 결합한 입구 밸브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입구 밸브(510)는, 입구 채널(410) 내에서 이동하면서 입구 채널(410)을 개폐하여, 용기부(100)에서 충전 챔버(210)로 내용물이 일 방향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구 밸브(510)는 충전 챔버(210) 내의 압력(양압)에 의해 입구 채널(410)을 폐쇄하도록 이동하여 내용물의 유입을 차단하거나, 입구 채널(410)을 개방하도록 이동하여,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입구 밸브(510)는 볼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볼 타입의 입구 밸브(510)가 밸브 개폐 영역(411) 내에서 이동하면서 입구 채널(410)을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밸브 개폐 영역(411)은 입구 채널(410)의 내경 변화에서 의해 형성되며, 밸브 개폐 영역(411)에는 하측 유입구(412) 및 상측 유입구(413)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입구 밸브(510)는, 하측 유입구(412)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하측 유입구(412)로 이동할 경우(즉, 밸브 개폐 영역(411)의 저면에 접할 경우), 하측 유입구(412)를 폐쇄하여, 내용물이 하측 유입구(412)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입구 밸브(510)는 상측 유입구(413)로 이동하여, 상측 유입구(413) 및 하측 유입구(412)를 개방시킴으로써, 내용물이 입구 채널(410)을 통해 충전 챔버(21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측 유입구(413)는 하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격부(414)가 돌출 형성되어, 상측으로 이동한 입구 밸브(510)와 접할 수 있다. 입구 밸브(510)가 이격부(414)에 접함으로써, 입구 밸브(510)의 상측 이동 시에 상측 유입구(413)가 완전 밀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되는 입구 밸브(510) 및 입구 채널(410)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구 밸브의 사시도이며, 도 6은 출구 채널과 결합한 출구 밸브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출구 밸브(520)는, 충전 챔버(210)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 탄성 변형되면서 출구 채널(420)을 개폐함으로서, 충전 챔버(210)에서 압력 챔버(310)로 내용물이 일 방향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구 밸브(520)는 개폐부(521) 및 지지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개폐부(521)는, 출구 채널(42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출구 채널(420)의 측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홀(421)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521)는 충전 챔버(210) 내의 압력(양압)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적어도 일부가 출구홀(421)로부터 이격함으로써, 출구홀(421)을 개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폐부(521)는 충전 챔버(210)에서 압력 챔버(310)로 내용물이 일 방향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지지부(522)는 개폐부(521)의 일단에 형성되고, 출구 채널(420)에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구 채널(420)은 서로 이격하는 상부 출구 채널(422)과 하부 출구 채널(4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부(522)는 하부 출구 채널(423)과 상부 출구 채널(4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지지부(522)가 상부 출구 채널(422)과 하부 출구 채널(423) 사이에 끼움 고정됨으로써, 출구 밸브(520)가 안정적으로 출구 채널(4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522)는 내측으로 관통되어, 상부 출구 채널(422)과 하부 출구 채널(423)이 서로 연통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부 출구 채널(422)은 충전 챔버(210)와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하부 출구 채널(423)은 출구홀(421)을 통해 압력 챔버(310)와 연통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출구 채널(422)은 충전 챔버(210)로부터 연속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고, 및/또는 하부 출구 채널(423)은 압력 챔버(310)(특히, 하부 출구 채널(423)의 일 영역이 삽입되는 고정부)에 결합하여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개폐부(521) 및 지지부(522)는 단일 재질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이때 재질은 탄성을 갖는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되는 출구 밸브(520) 및 출구 채널(420)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 및 배출 밸브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 밸브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 하우징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배출 밸브(530)는, 배출 채널(430)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 탄성 변형되면서 배출 채널(430)을 개폐함으로써, 압력 챔버(310)에서 오리피스(611)로 내용물이 일 방향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배출 밸브(530)는 개폐부(531) 및 지지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531)는 플런저(630)와 접하도록 형성되어, 배출 채널(430)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531)는 배출 채널(430) 내의 유체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플런저(630)와 이격하여, 배출 채널(430)을 개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폐부(531)는 배출 채널(430)에서 오리피스(611)로 내용물이 일 방향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532)는 개폐부(53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밸브 지지부(62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532)에 의해 개폐부(531)가 위치 고정된 상태로 탄성 변형되면서 배출 채널(430)을 개폐할 수 있다.
노즐부(600)는 배출 채널(430)과 연결되되, 내부에 배출 밸브(530)를 수용하고, 배출 채널(430) 및 배출 밸브(530)로부터 유입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노즐부(600)는 노즐 하우징(610), 밸브 지지부(620) 및 플런저(plunger, 6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노즐 하우징(610)은, 일 단부에 배출 채널(430)이 결합하고 타 단부에 오리피스(61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밸브 지지부(620), 플런저(630) 및 배출 밸브(530)가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노즐 하우징(610)의 일 단부에는 내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출구 채널(420)의 외측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노즐 하우징(610)은 출구 채널(420)에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즉, 노즐 하우징(610) 내에 밸브 지지부(620), 플런저(630) 및 배출 밸브(530)를 수용한 후, 노즐 하우징(610)을 출구 채널(420)에 나사 결합하여 노즐부(600)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으며, 내부에 수용된 밸브 지지부(620), 플런저(630) 및 배출 밸브(530)가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노즐 하우징(610)의 타 단부에는 오리피스(6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오리피스(611)를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6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나선부(612) 사이에는 오리피스(611)를 향하는 내용물 이동 통로가 형성되어, 내용물이 내용물 이동 통로를 이동하면서 나선 흐름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노즐 하우징(610)의 내벽은 나선부(612)를 둘러싸면서 내측으로 수용홈(613)을 형성할 수 있다. 수용홈(613)의 내경은 플런저(630)의 외경에 대응함으로써, 플런저(630)가 수용홈(613)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용홈(613)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 3 연통홀(6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 3 연통홀(614)은 수용홈(613)이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플런저(630)를 따라 이동한 내용물이 제 3 연통홀(614)을 통해 나선부(612)의 내용물 이동 통로로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밸브 지지부(620)는 노즐 하우징(610) 내에 수용되되, 배출 채널(430)의 출구 측에 위치하여, 외면으로 내용물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노즐 하우징(610)과 배출 채널(430)이 결합할 때, 그 사이에서 끼움 고정될 수 있으며, 내측으로 배출 밸브(530)를 수용하고, 배출 밸브(530)하고 위치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밸브 지지부는, 지지체(621), 지지벽(622) 및 제 1 연통홀(62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체(621)는 내측에 수용되는 배출 밸브(530)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621)의 일 단은 노즐 하우징(610)과 배출 채널(430) 사이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지지체(621)의 일 단에는 지지벽(622)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벽(622)은 배출 채널(430)을 향하여 형성되며, 따라서 배출 채널(430)을 따라 이동한 내용물은 지지벽(622)과 맞닿으면서, 속도가 경감할 수 있다. 제 1 연통홀(623)은 지지체(621)의 외측에 형성되어, 배출 채널(430)로부터 유입된 내용물은 지지벽(622) 및 지지체(621)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며, 이후에 지지체(621)의 외측에 형성된 제 1 연통홀(623)을 통과하여 밸브 지지부(620)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플런저(630)는, 노즐 하우징(610) 내에 수용되되, 오리피스(611)로부터 배출 밸브(53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배출 밸브(530)를 통과한 내용물이 오리피스(611)를 향하는 소정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플런저(630)는 스템(631), 지지체(632) 및 제 2 연통홀(633)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템(631)은 일 단이 나선부(612)와 접하도록 노즐 하우징(610)의 수용홈(613)에 삽입될 수 있다. 스템(631)의 외측으로 지지체(632)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632)는 노즐 하우징(610)의 내면에 접하며, 노즐 하우징(610)에 의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지지체(632)의 일 단부는 배출 밸브(530)와 접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부가 배출 밸브(530)가 접할 때, 배출 채널(430)이 폐쇄되고, 배출 밸브(530)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단부가 배출 밸브(530)와 이격할 때, 배출 채널이 개방된다. 스템(631)의 일 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연통홀(633)이 형성되어, 배출 밸브(530)를 통해 유입된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스템(631)의 타 단은 나선부(612)에 밀착할 수 있다. 스템(631)의 외측으로 지지체(632)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632)는 노즐 하우징(610)의 내벽에 밀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밀착에 의해 배출 밸브(530)를 통과한 내용물을 제 2 연통홀(633)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632)의 일 단은 노즐부(600)의 오리피스(611) 측 단부에 의해 지지되고, 타 단은 배출 밸브(5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지지체(632)가 노즐 하우징(610)과 배출 밸브(530)에 의해 끼움 고정됨으로써 플런저(630)가 노즐 하우징(610) 내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서 도시되는 배출 채널(430), 배출 밸브(530) 및 노즐부(60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채널 및 충전 펌프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바이패스 채널(440, 450)은, 용기부(100)와 충전 챔버(210)의 상측벽을 연결하여 충전 피스톤(220)의 상향 이동 중에 발생하는 용기부(100)의 음압을 해소하는 상측 바이패스 채널(440); 및 용기부(100)와 충전 챔버(210)의 하측벽을 연결하며 충전 피스톤(220)의 하향 이동 중에 발생하는 충전 챔버(210) 내의 양압을 해소하는 하측 바이패스 채널(45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측 바이패스 채널(440)은 충전 챔버(210)의 상단과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피스톤(220)이 제 1 영역에 위치하거나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상승하는 과정에서, 실캡(222)에 의해 폐쇄되지 않고,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측 바이패스 채널(440)에 의해 용기부(100)가 충전 챔버(210) 중 충전 피스톤(220)의 상단 영역(특히, 실캡(222)의 상측 영역)과 연통할 수 있다. 충전 피스톤(220)의 상승으로 인하여 용기부(100) 내의 내용물이 충전 챔버(210)로 유입될 때, 충전 챔버(210) 내에는 음압이 발생하여, 내용물의 유입을 저해할 수 있다. 그러나 상측 바이패스 채널(440)에 의해 용기부(100)가 연통됨으로써 음압이 해소되어, 내용물이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충전 피스톤(220)이 제 2 영역에 위치하게 되면, 상측 바이패스 채널(440)은 충전 피스톤(22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측 바이패스 채널(440)과 연결된 충전 챔버(210)의 상측 연통홀이 충전 피스톤(220)의 실캡(222)에 의해 폐쇄되어, 용기부(100)와 충전 피스톤(220)의 상단 영역과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차단에 의해 용기부(100) 내의 내용물이 충전 챔버(210) 측으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측 바이패스 채널(450)은, 충전 피스톤(220)이 제 2 영역에 위치하거나 제 2 영역에서 제 1 영역으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측 바이패스 채널(450)과 연결된 충전 챔버(210)의 하측 연통홀이 충전 피스톤(220)의 실캡(222)에 의해 폐쇄되어, 용기부(100)와 충전 피스톤(220)의 하단 영역(특히, 실캡(222)의 하측 영역 또는 내용물 충전 영역)과 용기부(100) 간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차단에 의해 용기부(100) 내의 내용물이 충전 챔버(210) 내로 누설되거나, 충전 챔버(210) 내의 내용물이 용기부(100)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충전 피스톤(220)의 하강에 의해 충전 챔버(210) 내에 양압이 발생하고, 양압은 내용물을 압력 챔버(310)로 이동할 수 있다. 계속해서 하강이 이루어질 경우, 상대적으로 좁은 내용물 충전 영역에서 큰 양압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충전 피스톤(220)의 하강을 어렵게 하거나, 트리거(700)를 풀 때 충전 피스톤(220)이 지나치게 빠르게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충전 피스톤(220)에 계속해서 하강하여 제 1 영역에 도달하게 될 때 하측 바이패스 채널(450)이 개방될 수 있다. 하측 바이패스 채널(450)의 개방에 의해 충전 챔버(210)가 용기부(100)와 연통하면서, 양압이 해소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측 바이패스 채널(450)의 개방을 위해 충전 챔버(210)의 저면에는 충전 피스톤(220), 특히 실캡(222)을 향하여 개방돌기(211)가 형성될 수 있다. 충전 피스톤(220)이 제 1 위치까지 하강할 경우, 개방돌기(211)가 충전 챔버(210)에 밀착된 실캡(222)의 적어도 일부를 충전 챔버(210)로부터 이격시키고(즉, 밀착을 해제하여), 이격 공간을 통해 충전 챔버(210)가 하측 연통홀 및 하측 바이패스 채널(450)과 연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에서 도시되는 바이패스 채널(440, 450) 및 충전 펌프(20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속한다.
100: 용기부 200: 충전 펌프
210: 충전 챔버 211: 개방돌기
220: 충전 피스톤 221: 피스톤 로드
222: 실캡 300: 압력 펌프
310: 압력 챔버 320: 압력 피스톤
330: 압력 스프링 410: 입구 채널
411: 밸브 개폐 영역 412: 하측 유입구
413: 상측 유입구 414: 이격부
420: 출구 채널 421: 출구홀
422: 상부 출구 채널 423: 하부 출구 채널
430: 배출 채널 440: 상측 바이패스 채널
450: 하측 바이패스 채널 510: 입구 밸브
520: 출구 밸브 521: 개폐부
522: 지지부 530: 배출 밸브
531: 개폐부 532: 지지부
600: 노즐부 610: 노즐 하우징
611: 오리피스 612: 나선부
613: 수용홈 614: 제 3 연통홀
620: 밸브 지지부 621: 지지체
622: 지지벽 623: 제 1 연통홀
630: 플런저 631: 스템
632: 지지체 633: 제 2 연통홀
700: 트리거 710: 손잡이부
720: 트리거 본체 730: 승강 연결부
740: 트리거 스프링 750: 탄성 전달부
800: 분주기 하우징 1000: 스프레이 장치

Claims (16)

  1. 스프레이 장치로서,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부로부터 입구 채널을 통해 내용물이 유입되는 충전 챔버;
    상기 충전 챔버 내의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 보다 상측의 제 2 영역 사이를 왕복하면서 압력 변화를 야기하는 충전 피스톤;
    상기 충전 챔버로부터 출구 채널을 통해 상기 내용물이 유입되는 압력 챔버;
    상기 압력 챔버 내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압력 챔버 내의 상기 내용물을 배출 채널로 배출하는 압력 피스톤; 및
    상기 충전 챔버와 상기 용기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패스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채널은, 상기 용기부와 상기 충전 챔버의 상측벽을 연결하여 상기 충전 피스톤의 상향 이동 중에 발생하는 상기 용기부의 음압(negative pressure)을 해소하는 상측 바이패스 채널; 및 상기 용기부와 상기 충전 챔버의 하측벽을 연결하며 상기 충전 피스톤의 하향 이동 중에 발생하는 상기 충전 챔버 내의 양압(positive pressure)을 해소하는 하측 바이패스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피스톤이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2 영역으로 상승할 때, 상기 상측 바이패스 채널은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충전 피스톤이 상기 제 2 영역에 도달하면 상기 충전 피스톤이 상기 상측 바이패스 채널을 폐쇄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피스톤의 상승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음압이 상기 개방 상태의 상기 상측 바이패스 채널을 통해 해소되고,
    상기 상측 바이패스 채널의 상기 폐쇄에 의해 상기 내용물이 상기 용기부 내에서 상기 충전 챔버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피스톤이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제 1 영역으로 하강할 때, 상기 충전 피스톤이 상기 하측 바이패스 채널을 폐쇄하고, 상기 충전 피스톤이 상기 제 1 영역에 도달하면 상기 하측 바이패스 채널이 개방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피스톤의 하강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양압은 상기 내용물을 상기 압력 챔버로 이동시키고, 상기 하측 바이패스 채널의 상기 개방에 의해 상기 양압이 해소되는,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에 의해 상기 용기부 내의 상기 내용물이 상기 충전 챔버 내로 누설되거나, 상기 충전 챔버 내의 내용물이 상기 용기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챔버의 저면에는 상기 충전 피스톤을 향하여 개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충전 피스톤의 하강 시에, 상기 개방돌기가 상기 충전 피스톤의 실캡(seal cap)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챔버의 내벽으로부터 이격시켜서 상기 하측 바이패스 채널을 개방하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 피스톤을 왕복 이동시키는 트리거(trigg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 일 단이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하는 트리거 본체; 상기 충전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트리거 본체의 회동에 따라 상기 충전 피스톤을 승강시키는 승강 연결부; 상기 트리거 본체의 회동 시에 상기 트리거 본체를 위치 회복하는 트리거 스프링; 및 상기 트리거 본체와 상기 트리거 스프링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트리거 스프링의 탄성력을 상기 트리거 본체에 전달하는 탄성 전달부를 포함하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채널 내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용기부에서 상기 충전 챔버로 상기 내용물이 일 방향 이동하도록 하는 입구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구 밸브는, 상기 충전 챔버 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입구 채널을 폐쇄하도록 이동하여 상기 내용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채널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출구 채널의 측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홀을 폐쇄하되, 상기 충전 챔버 내의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출구홀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충전 챔버에서 상기 압력 챔버로 상기 내용물이 일 방향 이동하도록 하는 출구 밸브를 더 포함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채널은, 상부 출구 채널과 하부 출구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상부 출구 채널 및 상기 하부 출구 채널 사이에 끼움 고정되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밸브는, 상기 하부 출구 채널의 측면을 둘러싸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의 상단에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출구 채널과 상기 상부 출구 채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출구 채널과 상기 하부 출구 채널을 연통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챔버는, 상기 출구 채널이 삽입되는 고정부; 상기 압력 챔버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 상기 브릿지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이동홀 및 상기 제 1 이동홀에 인접하여 상기 배출 채널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이동홀을 포함하는,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채널의 출구단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 채널을 폐쇄하되, 상기 배출 채널 내의 유체 압력에 의해 굴곡되면서 상기 배출 채널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압력 챔버에서 오리피스로 상기 내용물이 일 방향 이동하도록 하는 배출 밸브를 더 포함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밸브는, 상기 배출 채널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내용물의 일 방향 흐름을 허용하는,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일 단부에 상기 배출 채널이 결합하고 타 단부에 상기 오리피스가 형성되는 노즐 하우징; 상기 노즐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내부에 상기 배출 밸브를 수용하는 밸브 지지부; 및 일 단부가 상기 오리피스에 인접 배치되고, 타 단부가 상기 배출 밸브와 접하여, 상기 배출 밸브와 함께 상기 배출 채널을 폐쇄하는 플런저(plunger)를 포함하는 노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 하우징의 타 단부에는 상기 오리피스를 중심으로 하여 복수의 나선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가 상기 나선부에 밀착할 때, 상기 나선부 사이의 이동 통로를 따라 상기 내용물이 이동하면서 나선 흐름을 형성하는, 장치.
KR1020200116666A 2020-09-11 2020-09-11 스프레이 장치 KR102448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666A KR102448041B1 (ko) 2020-09-11 2020-09-11 스프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666A KR102448041B1 (ko) 2020-09-11 2020-09-11 스프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379A true KR20220034379A (ko) 2022-03-18
KR102448041B1 KR102448041B1 (ko) 2022-10-07

Family

ID=80936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666A KR102448041B1 (ko) 2020-09-11 2020-09-11 스프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0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72416A1 (en) * 2014-02-26 2017-03-16 Dispensing Technologies B.V. Liquid dispensing device having a pre-compression outlet valve
KR20190141240A (ko) * 2017-05-01 2019-12-23 디스펜싱 테크놀로지스 비.브이. 용기로부터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72416A1 (en) * 2014-02-26 2017-03-16 Dispensing Technologies B.V. Liquid dispensing device having a pre-compression outlet valve
JP2017512629A (ja) * 2014-02-26 2017-05-25 ディスペンシング テクノロジーズ ビー.ブイ. 予圧出口弁を有する液体放出装置
KR20190141240A (ko) * 2017-05-01 2019-12-23 디스펜싱 테크놀로지스 비.브이. 용기로부터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041B1 (ko)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170B1 (ko) 액체분배펌프
KR101631827B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US8136703B2 (en) Fluid container and airless fluid dispensing system
JP4117277B2 (ja) 化粧製品の包装及び分与装置
US9924775B2 (en) Powder discharging container
US4489861A (en) Manual liquid dispensing device
EP2342990A2 (en) Airless type cosmetic container
KR10143098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JPH02246976A (ja) 液体又はクリーム状の物質を小滴状に分与する分与装置及びこの分与装置を包含する分与組立体
KR20150103858A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IT9021979A1 (it) Dispositivo a pompa per dosare o dispensare fluidi azionabile a mano
KR102448041B1 (ko) 스프레이 장치
KR20120060043A (ko) 디스펜서용 펌프버튼
KR20180062197A (ko) 스프레이 분사밸브 장치
CN111134439A (zh) 化妆品容器
CN212244510U (zh) 用于液体分配装置的泵送组件及液体分配装置
BRPI0401658B1 (pt) bomba destinada a ser fixada em um recipiente, e, recipiente
KR20200086124A (ko) 도포부가 구비되어 있는 노즐을 포함하고 있는 디스펜서
KR20150112650A (ko) 슬라이딩타입 펌핑장치
KR102679451B1 (ko)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KR102573274B1 (ko) 튜브리스 토출 용기
US11701676B2 (en) Trigger sprayer assembly with dual action piston
US20240066538A1 (en) Trigger sprayer
KR102517636B1 (ko) 거꾸로 뒤집은 상태에서도 내용물만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압축공기 가압식 스프레이 용기
JP3229741U (ja) プッシュ式定量ディスペンサ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