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4374A -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4374A
KR20220034374A KR1020200116660A KR20200116660A KR20220034374A KR 20220034374 A KR20220034374 A KR 20220034374A KR 1020200116660 A KR1020200116660 A KR 1020200116660A KR 20200116660 A KR20200116660 A KR 20200116660A KR 20220034374 A KR20220034374 A KR 20220034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nsor
driving
swap
sw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4550B1 (ko
Inventor
서준호
이동규
김창원
안보현
주수빈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16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550B1/ko
Publication of KR20220034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3Monitoring or controlling sensor contact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9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Abstract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는 피검자의 상기도로 인입되어 검체를 채취하는 스왑부, 및 상기 스왑부가 탈부착되는 감지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스왑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후단에 고정되며, 상기 삽입부를 관통한 상기 스왑부의 끝단으로부터 인가되는 힘을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되는 힘이 기 설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외부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HAND-HELD TYPE SAMPLE COL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검체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회용 스왑이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하며, 상기도로 스왑을 인입시켜 감염질환의 확인을 위한 검체를 채취할 수 있는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감염질환이 세계적으로 유행하면서, 감염질환을 검사하기 위해 의심환자의 상기도를 통해 검체를 채취하는 방법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검체의 채취시 일회용 스왑을 사용하여 의료진이 의심환자와 일대일로 마주한 상태에서 스왑을 의심환자의 상기도의 내부로 인입시켜 검체를 채취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검체 채취시 의료진과 의심환자 사이의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방호복을 착용하거나 두꺼운 보호 장갑을 착용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보호 장갑과 방호복으로 인해 의료진의 검체 채취시 스왑이 상기도에 정확하게 인입되는 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스왑을 통한 검체의 채취시, 스왑의 말단부가 상기도로 끝까지 인입되면, 상기 스왑을 통해 저항이 전달되며, 의료진은 이를 바탕으로 스왑이 타깃부에 정확하게 위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두꺼운 보호장갑이나 방호복으로 인해, 이러한 정확한 위치의 판단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의료진을 통해 검체를 채취하기 어려운 경우, 의심환자가 스스로 검체가 정확하게 채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검체 채취의 비전문가인 의심환자가 스스로 검체가 정확하게 채취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나아가, 의료진 중에서도 숙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이러한 검체 채취의 종료 여부를 쉽게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반복적인 스왑을 이용한 검체 채취로 인한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의심환자 스스로 또는 숙련되지 않은 의료진에 의해 수행되는 검체 채취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왑이 정확하게 타깃부에 위치하였는가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러한 문제를 직접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은 개발이 미흡하며, 전반적인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휴대용 측정 시스템 정도만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95356호 등과 같이 개발되고 있을 뿐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5356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왑이 타깃부에 정확하게 위치하였는가의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검체 채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반복적인 검체 채취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자가 검진도 수행할 수 있는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는 피검자의 상기도로 인입되어 검체를 채취하는 스왑부, 및 상기 스왑부가 탈부착되는 감지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스왑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후단에 고정되며, 상기 삽입부를 관통한 상기 스왑부의 끝단으로부터 인가되는 힘을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되는 힘이 기 설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외부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되는 힘의 양을 외부로 표시하거나, 상기 센싱되는 힘이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 외부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 상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스왑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수납하는 제1 수납공간, 및 상기 제1 수납공간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를 수납하는 제2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센서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삽입부의 후단에 고정되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의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센서 고정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삽입부의 외부, 및 상기 센서 고정부의 외부를 커버하는 외부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커버부에는, 상기 센서 고정부가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외측으로 노출된 돌출부가 이동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끝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구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센서 고정부, 상기 삽입부, 상기 외부 커버부 및 상기 스왑부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도록 상기 삽입부의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감지유닛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며 상기 감지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외부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왑부는, 채취부를 통해 상기 피검자의 검체를 채취한 후, 상기 삽입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스왑부가 상기도의 타깃부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스왑부를 통해 전달되는 힘을 센서부를 통해 측정하고 이러한 센싱 정보를 외부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스왑부가 타깃부에 정확하게 위치하였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스왑부의 반복 삽입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고, 검체 채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를 통해 스왑부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을 통해 실제 수동으로 검체를 채취하는 과정에서의 스왑부를 움직이는 동작을 유사하게 모사할 수 있어, 검체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채취가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는 외부로 돌출되는 작동부를 통해 구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어,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를 커버하며 상기 센서부를 고정시키는 센서 고정부, 상기 센서 고정부의 외측에서 삽입부와 센서 고정부를 커버하는 외부 커버부,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스왑부가, 상기 구동부의 회전 구동에 따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계됨으로써, 상기 스왑부로의 구동력 전달을 용이하게 수행하며, 상대적으로 구동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터리 소모량을 최소화하면서 검체 채취장치의 사용 시간 및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와 상기 스왑부가 삽입되며 센서부가 고정되는 삽입부가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센서 고정부의 내부로 각각 위치하므로, 상기 구동부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스왑부의 회전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전반적인 검체 채취장치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상기 검체 채취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감지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b는 도 1의 스왑부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2a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2a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a 및 도 3b의 결합된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10)는 감지유닛(100) 및 외부 제어부(300)를 포함하며, 스왑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왑부(200)는 피검자의 비강(20) 등을 통해 상기도로 인입되어 검체를 채취하는 것으로, 종래 사용되는 일회용 스왑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10)에서는, 상기 스왑부(200)는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종래 검체 채취현장에서 사용되는 일회용 스왑이 상기 스왑부(200)로서, 상기 검체 채취장치(10)에 삽입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감지유닛(100)은 상기 스왑부(200)가 상기 상기도로 인입되어 타깃부에 위치하는 경우 타깃부로부터 받는 저항으로 인한 힘을 센싱하여, 상기 스왑부(200)가 정확한 타깃부에 위치하는 가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며, 나아가, 상기 스왑부(200)의 검체 채취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스왑부(200)의 회전 구동을 유도한다.
한편, 상기 외부 제어부(300)는 상기 감지유닛(100)과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라인(310)을 통한 유선,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연결되며, 상기 감지유닛(100)의 구동을 외부에서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감지유닛(100)으로부터 발생되는 정보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감지유닛(1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도 1의 감지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b는 도 1의 스왑부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2a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2a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a 및 도 3b의 결합된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a, 도 3a, 도 3b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감지유닛(100)은 손잡이부(110), 구동 커버부(120), 구동부(130), 제어부(140), 센서 고정부(150), 외부 커버부(160), 센서부(170) 및 삽입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1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검체 채취장치(10)는 피검자가 스스로 손으로 쥔 상태에서 스스로의 검체를 직접 채취할 수 있으며, 의료진이 손으로 쥔 상태에서 피검자를 대상으로 검체를 채취할 수 있어, 사용성 및 편의성, 나아가 자가 검진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상기 손잡이부(110)는 피검자 스스로도 쥘 수 있도록 소정 길이 연장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110)의 일 끝단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111)에는 도 1에서 설명한 상기 외부 제어부(300)와 상기 감지유닛(100)을 연결하는 연결라인(31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10)의 타 끝단에는 상기 구동 커버부(120)가 연결되며, 상기 구동 커버부(120)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부(130)가 위치한다.
상기 구동부(13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 모터일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130)의 끝단에는 구동축(131)이 돌출되어 위치한다.
즉, 상기 구동부(130)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구동축(131)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구동축(131)의 회전에 따라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스왑부(200)가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스왑부(200)의 회전은, 상기 스왑부(200)의 연장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 커버부(120)는, 상기 구동부(130)를 커버하는데, 실질적으로 상기 구동부(130)가 상기 구동 커버부(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구동 커버부(120)는 상기 구동부(130)를 내부에 수납하는 구조물로서, 상기 구동축(13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커버부(12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한편, 상기 구동 커버부(120)는 상기 손잡이(110)와 연결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 커버(121), 및 상기 외측커버(121)로부터 연장되며, 후술되는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내측으로 위치하는 내측커버(122)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내측커버(122)는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내측으로 위치하며, 후술하겠으나, 상기 센서 고정부(150)가 전체적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내측커버(122)도 동시에 전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커버(122)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외측커버(121)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구동부(130)와 달리, 상기 구동축(131)과 함께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내측커버(122)는 상기 외측커버(12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측커버(122)가 상기 외측커버(12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기 위해, 상기 내측커버(122)와 상기 외측커버(121)의 사이에는 상대적인 회전을 구동시키는 베어링 등의 기계요소(미도시)가 개재되거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윤활유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외측커버(121) 상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거나, 후술되는 상기 센서부(170)로부터 센싱되는 힘의 양이 기 설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외부로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힘의 양을 숫자화하여 외부로 제공함으로써, 외부에서 센싱되는 힘의 양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구동부(130)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하며, 후술되는 작동부(141)의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부(130)에 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구동부(131)를 동작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상기 센서부(170)로부터 센싱되는 상기 스왑부(200)에 인가되는 힘에 대한 센싱 결과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연결라인(310)을 통해,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외부 제어부(300)로 상기 센싱 결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외부 제어부(300)에도 상기 센싱 결과가 표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40)에는, 상기 센서부(170)로부터 센싱되는 센싱 결과에 대한 기 설정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센싱 결과가 상기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로 알리거나, 상기 외부 제어부(300)를 통해 외부로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부 제어부(300)에 소리로 외부에 알림을 수행할 수 있는 스피커가 구비될 수 있으며, 결국, 사용자는 상기 외부 제어부(300)로부터 제공되는 소리 알람을 통해 상기 센싱 결과가 기 설정값에 해당됨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왑부(200)가 피검자의 상기도로 인입되어 검체를 채취하는 경우, 상기도에 접촉함에 따라 상기 스왑부(200)에 인가되는 저항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저항력은 결국 상기 센서부(170)에서 힘으로 센싱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상기 스왑부(200)가 피검자의 상기도로 충분이 인입되어 검체를 채취할 정도의 수준인 경우, 상기 센서부(170)에서 센싱된 힘이, 상기 기 설정값으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센싱된 힘이 상기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라면, 충분히 검체 채취가 수행되는 상황이라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스왑부(200)의 추가적인 인입은 불필요하게 된다.
결국, 사용자는 상기 소리나 디스플레이를 통한 알람을 통해, 상기 스왑부(200)가 상기도로 충분이 인입되어 검체 채취가 충분히 수행되었는지의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140) 상에는 작동부(141)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상기 작동부(141)를 푸쉬(push)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상기 구동부(130)의 제어의 용이성이 향상된다.
상기 센서 고정부(150)는 일 측에는 상기 내측커버(122)와 상기 구동부(130)가 인입되는 제1 수납공간(151)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후술되는 상기 센서부(170) 및 상기 삽입부(180)가 인입되는 제2 수납공간(152)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수납공간(151)과 상기 제2 수납공간(152)은 서로 마주하도록 대향하여 배치되며, 소정 거리 이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수납공간(151)에 위치하는 상기 구동부(130) 및 상기 내측커버(122)는 상기 제2 수납공간(152)에 위치하는 상기 압력센서(170) 및 상기 삽입부(180)와 서로 대향되며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수납공간(151)으로부터, 제3 수납공간(153)이 연장되며 형성되고, 상기 제3 수납공간(153) 상에는 상기 구동축(131)이 삽입되어 위치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축(131)이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구동축(131)은 상기 제3 수납공간(153)의 내측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결국 상기 구동축(13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센서 고정부(150)는 전체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상기 제1 수납공간(151)에 수납되는 상기 구동부(130)의 일부 및 상기 내측커버(122) 역시, 상기 구동축(131)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센서 고정부(150)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수납공간(152)에 수납되는 상기 센서부(170) 및 상기 삽입부(180)도 상기 센서 고정부(150)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나아가, 후술되는 상기 외부 커버부(160)도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회전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상기 제1 수납공간(151)에 수납되는 상기 내측커버(122) 및 상기 구동부(130) 일부, 상기 제2 수납공간(152)에 수납되는 상기 센서부(170) 및 상기 삽입부(180), 상기 제3 수납공간(153)에 수납되는 상기 구동축(131), 및 후술되는 상기 삽입부(180) 및 상기 센서 고정부(150)를 커버하는 상기 외부 커버부(160)는, 상기 구동축(131)의 회전에 따라 전체적으로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전체적인 회전에 따라, 상기 삽입부(180)에 삽입되는 상기 스왑부(200)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삽입부(180)는 상기 스왑부(200)의 고정부(230)가 내부로 인입되어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230)가 삽입되도록 홀이 형성되는 전단(184)을 포함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 삽입부(181), 상기 외부 삽입부(181)로부터 연장되며, 후술되는 상기 외부 커버부(160)에 의해 커버되는 내부 삽입부(182), 및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상기 제2 수납공간(152)으로 수납되는 내측 고정부(183)를 포함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 삽입부(180) 내부를 모두 관통하여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230)의 끝단은 상기 내측 고정부(183)까지 연장되어, 상기 센서부(170)에 접촉하게 된다.
즉, 상기 내측 고정부(183)의 후단(185) 상에는 상기 센서부(170)가 고정된다.
상기 센서부(170)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내측 고정부(183)의 후단(185) 상에 부착되며, 나아가 상기 제2 수납공간(152)에 수납되는 바디부(172), 및 상기 바디부(172)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돌출부(171)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상기 제2 수납공간(152)은, 상기 돌출부(171)가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제2 수납공간(152)에 수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70)의 바디부(172)는, 상기 고정부(230)의 끝단과 접촉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230)를 통해 전달되는 힘을 센싱하는 힘 센서일 수 있으며, 이렇게 센싱되는 힘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로 제공되어 센싱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스왑부(200)의 정확한 진입 여부가 판단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 삽입부(18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삽입부(180) 상에 고정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삽입부(180)를 상기 고정부(23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재가 상기 삽입부(18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230)가 상기 삽입부(180)의 내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삽입부(18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부(230)도 일체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외부 커버부(160)는 상기 내측 고정부(183), 및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외부를 커버하며,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회전과 일체로 회전한다.
특히, 상기 외부 커버부(160)는 상기 내측 고정부(183)와 상기 센서 고정부(150)를 동시에 커버함으로써,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제2 수납공간(152)에 위치하는 상기 삽입부(180) 및 상기 센서부(170)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감지유닛(100)의 조립과 관련하여,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상기 구동 커버부(120)의 내측으로 상기 구동부(130) 및 상기 구동축(131)을 위치시켜 결합시킨다.
이 후,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제1 수납공간(151)으로 상기 구동 커버부(120)의 내측커버(122)를 위치시키며, 상기 제3 수납공간(153)으로는 상기 구동축(131)을 위치시킨다.
이 후,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제2 수납공간(152)으로 상기 센서부(170)와 상기 삽입부(180)의 내측 고정부(183)를 위치시킨다.
이 후, 상기 외부 커버부(160)를, 상기 삽입부(180)의 전단(184)으로부터 상기 센서 고정부(1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삽입시키며, 이러한 상기 외부 커버부(160)의 삽입에 따라, 상기 외부 커버부(160)의 내부공간(162) 상에 상기 내부 삽입부(182) 및 상기 센서 고정부(150)가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센서부(170)는 일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71)를 포함하는데, 상기 돌출부(171)는 상기 외부 커버부(160)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 커버부(160)의 조립 과정에서 상기 돌출부(171)에 의한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외부 커버부(160)의 상측에는 가이드홈(161)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171)는 상기 가이드홈(161)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외부 커버부(160)와 결합 및 고정된다.
나아가, 이상과 같이, 상기 외부 커버부(160)가 상기 삽입부(180) 및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외부에 정확한 위치에 결합하고, 이러한 결합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해, 버튼부(132)가 형성된다.
즉, 상기 버튼부(132)는 상기 구동부(130) 중 상기 내측커버(122)의 내부에 삽입되는 구동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내측커버(122)에 형성되는 홈부(125), 상기 센서 고정부(150)에 형성되는 홈부(155) 및 상기 외부 커버부(160)에 형성되는 홈부(165)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버튼부(132)가 상기 홈부들(125, 155, 165)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기 위해서는, 상기 내측커버(122), 상기 센서 고정부(150) 및 상기 외부 커버부(160)가 정확한 위치에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홈부들(125, 155, 165)이 일렬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결합이 정확한 위치에 수행되어 상기 홈부들(125, 155, 165)을 관통하여 상기 버튼부(132)가 돌출되면, 상기 버튼부(132)는 상기 내측커버(122), 상기 센서 고정부(150) 및 상기 외부 커버부(160)를 상호간에 서로 고정시키게 되며, 결국,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내측커버(122), 상기 센서 고정부(150) 및 상기 외부 커버부(160)가 일체로 회전 구동되는 것을 강제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버튼부(132)는 사용자가 누름으로써 상기 홈부들(125, 155, 165)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결합된 감지유닛(100)의 해제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구동부(130)의 회전 구동에 따라, 상기 내측커버(122), 상기 센서 고정부(150) 및 상기 외부 커버부(160)는 물론, 상기 삽입부(180) 및 상기 삽입부(180)에 삽입 고정되는 상기 스왑부(200)도 일체로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상기 스왑부(200)의 회전 동작은 상기 채취부(210)의 회전 구동을 유도하게 된다.
결국, 상기 채취부(210)의 회전 구동을 통해, 수동으로 검체를 채취하는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스왑부(200)를 회전시키는 동작과 유사한 동작을 모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도 내에서 검체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채취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스왑부(200)는 채취부(210), 연장부(220) 및 고정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채취부(210)는 피검자의 비강 등을 상기도로 인입되며, 피검자의 검체를 효과적으로 채취하기 위한 소재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220)는 상기 채취부(210)의 후단을 따라 소정 길이 유연성 소재로 연장되며, 상기 채취부(210)의 검체 채취시 발생되는 힘이 전달되게 된다.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 연장부(220)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18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230)의 끝단이 상기 삽입부(180)의 내측을 관통하여 상기 센서부(170)에 접촉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230)의 끝단이 상기 센서부(170)에 접촉함에 따라 상기 채취부(210)가 타깃부에 위치하여 저항으로 더 이상 진입하지 못함에 따라 상기 채취부(210)를 통해 상기 고정부(230)로 제공되는 힘이 상기 센서부(170)에 의해 센싱된다.
한편, 상기 스왑부(200)는 일회용으로 교체 사용되는 것으로, 피검자에 대한 검체 채취가 완료되면,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 삽입부(180)로부터 탈착되어 별도로 이송 또는 운반되어, 상기 검체에 대한 검사 절차가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스왑부가 상기도의 타깃부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스왑부를 통해 전달되는 힘을 센서부를 통해 측정하고 이러한 센싱 정보를 외부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스왑부가 타깃부에 정확하게 위치하였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스왑부의 반복 삽입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고, 검체 채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를 통해 스왑부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을 통해 실제 수동으로 검체를 채취하는 과정에서의 스왑부를 움직이는 동작을 유사하게 모사할 수 있어, 검체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채취가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는 외부로 돌출되는 작동부를 통해 구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어,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를 커버하며 상기 센서부를 고정시키는 센서 고정부, 상기 센서 고정부의 외측에서 삽입부와 센서 고정부를 커버하는 외부 커버부,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스왑부가, 상기 구동부의 회전 구동에 따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계됨으로써, 상기 스왑부로의 구동력 전달을 용이하게 수행하며, 상대적으로 구동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터리 소모량을 최소화하면서 검체 채취장치의 사용 시간 및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와 상기 스왑부가 삽입되며 센서부가 고정되는 삽입부가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센서 고정부의 내부로 각각 위치하므로, 상기 구동부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스왑부의 회전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전반적인 검체 채취장치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상기 검체 채취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
100 : 감지유닛 110 : 손잡이부
120 : 구동 커버부 130 : 구동부
140 : 제어부 150 : 센서 고정부
160 : 외부 커버부 170 : 센서부
180 : 삽입부 200 : 스왑부
300 : 외부 제어부

Claims (10)

  1. 피검자의 상기도로 인입되어 검체를 채취하는 스왑부가 탈부착되는 감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스왑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후단에 고정되며, 상기 삽입부를 관통한 상기 스왑부의 끝단으로부터 인가되는 힘을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되는 힘이 기 설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외부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되는 힘의 양을 외부로 표시하거나, 상기 센싱되는 힘이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 외부로 알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 상에 위치하여,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스왑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수납하는 제1 수납공간, 및 상기 제1 수납공간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를 수납하는 제2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센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삽입부의 후단에 고정되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의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센서 고정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삽입부의 외부, 및 상기 센서 고정부의 외부를 커버하는 외부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커버부에는, 상기 센서 고정부가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외측으로 노출된 돌출부가 이동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끝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구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센서 고정부, 상기 삽입부, 상기 외부 커버부 및 상기 스왑부가 일체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되는 힘이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왑부를 회전시켜, 상기 스왑부를 통해 검체를 채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왑부는,
    채취부를 통해 상기 피검자의 검체를 채취한 후, 상기 삽입부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도록 상기 삽입부의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감지유닛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며 상기 감지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외부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검체 채취장치.
KR1020200116660A 2020-09-11 2020-09-11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 KR102554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660A KR102554550B1 (ko) 2020-09-11 2020-09-11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660A KR102554550B1 (ko) 2020-09-11 2020-09-11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374A true KR20220034374A (ko) 2022-03-18
KR102554550B1 KR102554550B1 (ko) 2023-07-13

Family

ID=80936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660A KR102554550B1 (ko) 2020-09-11 2020-09-11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5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111A (ko) * 2008-06-26 2010-01-06 한국과학기술원 3차원 물성 진단 장치 및 방법
JP2014513564A (ja) * 2011-02-10 2014-06-05 アクチュエイテッド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気機械制御とフィードバック付き医療ツール
CN208114606U (zh) * 2017-05-31 2018-11-20 广州加略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子宫颈口细胞取样装置
KR101928840B1 (ko) * 2011-01-24 2018-12-14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진료장치
KR102095356B1 (ko) 2018-01-22 2020-03-3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필름형 다채널 압전 센서를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111A (ko) * 2008-06-26 2010-01-06 한국과학기술원 3차원 물성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928840B1 (ko) * 2011-01-24 2018-12-14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진료장치
JP2014513564A (ja) * 2011-02-10 2014-06-05 アクチュエイテッド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気機械制御とフィードバック付き医療ツール
CN208114606U (zh) * 2017-05-31 2018-11-20 广州加略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子宫颈口细胞取样装置
KR102095356B1 (ko) 2018-01-22 2020-03-3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필름형 다채널 압전 센서를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550B1 (ko)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91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ncet launching device intergrated onto a blood-sampling cartridge
ES2284163T3 (es)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marcar eventos predeterminados con un biosensor.
JP5351419B2 (ja) 血液検査装置および血液検査方法
JP3569228B2 (ja) 切開器具付分析用測定器
CA1277896C (en) Medical system
US8382681B2 (en) Fully integrated wearable or handheld monitor
JP4302517B2 (ja) 原位置検査装置用アダプタ
US8647575B2 (en) Device for measuring blood component
US20050004494A1 (en) Lancet device having capillary action
EP1382296A1 (en) Body fluid measuring adapter and body fluid measuring unit
EP1502547A1 (en) Swing lance with integrated sensor
JP4299675B2 (ja) 一体収納アダプタ
EP3496614B1 (en) A one step all in one apparatus for body fluid sampling and sensing
EP2866009B1 (en) Non-invasive medical data collecting assembly
KR20220034374A (ko)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
JP5320111B2 (ja) 血液成分測定装置
JP2000232974A (ja) 検体採取用具および穿刺デバイス
JP2005331507A (ja) 試験片測定装置
JP2002168861A (ja) 成分測定装置
KR20220045612A (ko) 원격 검진이 가능한 스왑모듈 및 이를 포함한 원격 검진장치
JP2012075628A (ja) 体液成分測定装置
KR200362102Y1 (ko) 디지털 취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