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702A - 효율적으로 위험 경보를 제공하는 독거인 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효율적으로 위험 경보를 제공하는 독거인 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702A
KR20220033702A KR1020200115889A KR20200115889A KR20220033702A KR 20220033702 A KR20220033702 A KR 20220033702A KR 1020200115889 A KR1020200115889 A KR 1020200115889A KR 20200115889 A KR20200115889 A KR 20200115889A KR 20220033702 A KR20220033702 A KR 20220033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k
single person
person
living alone
al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브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브레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브레인
Priority to KR1020200115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3702A/ko
Publication of KR20220033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7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1Alarm cancelling procedures or alarm forwarding decisions, e.g. based on absence of alarm confirm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6/00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효율적으로 위험 경보를 제공하는 독거인 케어 시스템이 게시된다. 본 발명의 독거인 케어 시스템에서는, 독거인의 위험도에 대응하여 적정한 친밀도를 가지는 연락 보호자들에게 독거인의 위험도에 따른 경보 레벨의 위험 경보가 발송된다. 또한,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는 위험 경보에 대한 연락 보호자의 회신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업데이터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독거인 케어 시스템에 의하면, 연락 보호자에게 매우 효율적으로 위험 경보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효율적으로 위험 경보를 제공하는 독거인 케어 시스템{SOLITARY PERSON CARE SYSTEM FOR EFFECTIVELY PROVIDING DANGER WARNING}
본 발명은 독거인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효율적으로 위험 경보를 제공하는 독거인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우리 사회는 점점 핵가족화 및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독거 노인과 같이, 홀로 가정을 이루는 독거인 가정의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때, 독거인의 상당수는 복수의 보호자들이 존재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현재, 독거인의 증가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의 독거인 케어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의 하나는 독거인의 위험 상태를 파악하여, 위험 경보를 등록된 연락 보호자들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그런데, 기존의 독거인 케어 시스템은 독거인의 위험도가 일정한 기준을 넘어서면 독거인과의 친밀도에 관계없이 등록된 모든 연락 보호자들에게 동일한 내용의 위험 경보를 발송한다.
이 경우, 등록된 연락 보호자들은 독거인의 위험도를 통상적인 것으로 잘못 인식하여 안이한 대처하거나, 낮은 위험도에도 모든 연락 보호자들이 일상에 전념할 수 없게 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으로 위험 경보를 제공하는 독거인 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독거인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독거인 케어 시스템은 독거인 케어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 독거인이 거주하는 독거 주택에 배치되어 상기 독거인의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는 환경 데이터 수집 장치; 상기 환경 데이터 수집 장치에서 수집된 상기 환경 데이터를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환경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독거인의 위험 종류를 분석하여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를 추출하고,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에 따른 위험 경보를 발생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연락 보호자들에 의하여 휴대 가능하며,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서 발생되는 상기 위험 경보를 수신하며, 상기 위험 경보에 대한 회신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상기 복수의 보호자 단말기들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위험 경보는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에 기초하여 다수개의 경보 레벨들로 구분되며, 상기 복수의 연락 보호자들은 다수의 친밀 레벨들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경보 레벨에 상응하는 상기 친밀 레벨의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상기 위험 경보를 발송하며,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의 회신에 응답하여 업데이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독거인 케어 시스템에서는, 독거인의 위험도에 대응하여 적정한 친밀도를 가지는 연락 보호자들에게 독거인의 위험도에 따른 경보 레벨의 위험 경보가 발송된다. 또한,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는 위험 경보에 대한 연락 보호자의 회신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업데이터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독거인 케어 시스템에 의하면, 연락 보호자에게 매우 효율적으로 위험 경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독거인 케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관리 서버의 구성을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위험도 관리 모듈에서의 독거인의 위험도의 업데이터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독거인 케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잇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각 도면을 이해함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는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하고자 함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기술된다. 그러나,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도, 본 발명의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와 함께 < >속에 참조부호가 추가된다. 이때, 이들 구성요소들은 참조부호로 통칭한다. 그리고, 이들을 개별적인 구별이 필요한 경우에는, 참조부호 뒤에 '< >'가 추가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독거인 케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독거인 케어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100), 환경 데이터 수집 장치(200), 관리 서버(300) 및 복수의 보호자 단말기들(400<1> 내지 400<10>)을 구비한다.
상기 환경 데이터 수집 장치(200)는 독거인이 거주하는 독거 주택에 배치되어 상기 독거인의 환경 데이터(ENDAT)를 수집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환경 데이터 수집 장치(200)에서 수집된 상기 환경 데이터(ENDAT)를 상기 유무선 통신망(100)을 통하여 수신하며, 상기 환경 데이터(ENDAT)를 기반으로 상기 독거인의 위험 종류를 분석하여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에 따른 위험 경보(ALR)를 발생한다.
상기 위험 경보(ALR)는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에 기초하여 다수개의 경보 레벨들로 구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심, 주의, 긴급 등의 3단계로 구분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위험 경보(ALR)가 독거인의 위험도에 대응하여 다수개의 경보 레벨들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 위험 경보(ALR)는 상대적으로 구체적인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환경 데이터(ENDAT)를 이용하여 독거인의 위험 종류를 분석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일예로, 독거인 가정의 총 소비전력을 측정하여 가전기기별 소비전력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가전기기별 소비전력 패턴에 기초하여 독거인의 위험 종류와 이에 따른 독거인의 위험도를 분석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는 독거인 가정의 총 소비전력을 측정하여 가전기기별 소비전력 패턴을 분석하는 기법으로서, Non-instructive Load Monitoring(NILM) 기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은 독거인 가정에 소비전력 측정 센서만의 설치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저비용으로 고효율을 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비전력 측정 센서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Support Vector Machine(SVM), Bayesian Network(BN) 등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어떠한 가전기기가 사용되고 있는지가 파악될 수 있다. 그리고, 파악된 독거인 가정에서 의 현재 사용 중인 가전기기를 통하여, 독거인의 위험 종류와 이에 따른 독거인의 위험도가 분석될 있게 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환경 데이터(ENDAT)는 '화장실 사용정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누구나 생리적으로 1일 수차례 이상 화장실을 사용하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상기 '화장실 사용정보'는 독거인의 건강상태를 비롯한 '독거인의 위험 종류와 이에 따른 독거인의 위험도'를 파악하는 데, 매우 효율적이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환경 데이터(ENDAT)는 상기 독거 주택의 온도, 습도, 조도, 공기 성분(예, CO2의 농도)을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독거인의 위험 종류와 이에 따른 독거인의 위험도'는 상기 독거 주택의 온도, 습도, 조도, 공기 성분도 함께 반영되어 결정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독거인에게 확인 요청 신호(SCN)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독거인의 위험 종류와 이에 따른 독거인의 위험도'는 상기 확인 요청 신호(SCN)에 대한 상기 독거인의 확인 응답 신호(SRS)의 발송 여부를 반영하여 결정된다. 즉, 상기 확인 요청 신호(SCN)에 대한 상기 독거인의 확인 응답 신호(SRS)의 발송을 통하여,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독거인의 건강 상태가 긴박할 정도의 위험 상태에 노출되어 있지 않음을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독거인의 '건강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독거인의 '건강 데이터'가 다른 요소들과 함께 반영되어 상기 '독거인의 위험 종류'와 이에 따른 '독거인의 위험도'가 결정된다. 상기 '독거인의 위험 종류'와 이에 따른 '독거인의 위험도' 결정시에, 상기 독거인의 '건강 데이터'에 따라, 다른 요소들의 허용범위를 다르게 설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독거인에 대한 복수의 연락 보호자들은 다수개의 친밀 레벨들로 구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친밀 레벨은 친밀도가 높은 순으로 1순위, 2순위, 3순위로 구분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상기 친밀도는 혈연, 거리, 연락 회수 등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1순위 연락 보호자의 단말기는 보호자 단말기(400<1> 내지 400<3>)으로, 2순위 연락 보호자의 단말기는 보호자 단말기(400<4> 내지 400<6>)으로, 3순위 연락 보호자의 단말기는 보호자 단말기(400<7> 내지 400<10>)으로 가정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보호자 단말기들(400<1> 내지 400<10>) 각각은 상기 관리 서버(300)에 등록된 상기 연락 보호자들에 의하여 휴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보호자 단말기들(400<1> 내지 400<10>) 각각은 상기 유무선 통신망(100)을 통하여 상기 관리 서버(300)에서 발생되는 대응하는 경보 레벨의 상기 위험 경보(ALR)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독거인의 위험도에 대응하여 적정한 친밀도를 가지는 연락 보호자들에게 '독거인의 위험도'에 따른 경보 레벨의 위험 경보(ALR)가 제공되는 경우, 해당되는 연락 보호자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나머지 연락 보호자들은 일상에 전념할 수 있게 되므로, 매우 효율적이다.
또한, 상기 복수의 보호자 단말기들(400<1> 내지 400<10>) 각각은 상기 위험 경보(ALR)에 대한 반응을 상기 관리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를 관리하며,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400)의 회신에 응답하여 업데이터된다.
여기서, 상기 보호자 단말기(400)의 회신은 최우선 순위의 연락 보호자의 보호자 단말기의 회신, 일정비율 이상의 연락 보호자의 보호자 단말기의 회신, 가장 먼저 수신된 연락 보호자의 보호자 단말기의 회신 등 다양한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자 단말기(400)의 회신은 '이상무', '상응조치', '긴급 조치'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음성, 버튼, 문자 등으로 상기 관리 서버(300)에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400)의 회신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관리 서버(300)의 구성은 당업자에게는 용이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은 생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자 단말기(400)의 회신이 '이상무'인 경우에는,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는 기존의 독거인의 위험도에서 5만큼 감소하는 것으로 업데이터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자 단말기(400)의 회신이 '상응조치'인 경우에는,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는 기존 독거인의 위험도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보호자 단말기(400)의 회신이 '긴급 조치'인 경우에는,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는 기존 독거인의 위험도에서 5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업데이터된다.
계속하여, 도 1의 관리 서버(300)의 구체적인 구성이 기술된다.
도 2는 도 1의 관리 서버(300)의 구성을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관리 서버(300)는 구체적으로 위험도 관리 모듈(310), 독거인 통신 모듈(330), 위험도 분석 모듈(350), 경보 생성 모듈(370) 및 보호자 통신 모듈(390)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300)의 제어 모듈(395)은 상기 위험도 관리 모듈(310), 상기 독거인 통신 모듈(330), 상기 위험도 분석 모듈(350), 경보 생성 모듈(370) 및 상기 보호자 통신 모듈(390)을 제어한다.
상기 위험도 관리 모듈(310)은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를 관리한다. 이때, 상기 위험도 관리 모듈(310)은 상기 보호자 단말기(400)의 회신(PRS)을 인식하며, 인식된 상기 보호자 단말기(400)의 회신(PRS)에 응답하여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를 업데이터한다.
상기 상기 독거인 통신 모듈(330)은 상기 환경 데이터 수집 장치(200)와 상호 통신한다.
상기 위험도 분석 모듈(350)은 상기 환경 데이터(ENDAT)를 기반으로 상기 독거인의 위험 종류를 분석하여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를 추출한다.
상기 경보 생성 모듈(370)은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에 따른 상기 경보 레벨의 위험 경보(ALR)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자 통신 모듈(390)은 상기 복수의 보호자 단말기(400)들과 상호 통신한다. 즉, 상기 보호자 통신 모듈(390)은 상기 위험 경보(ALR)를 경보 레벨에 대응하는 보호자 단말기(400)에 제공하며, 상기 보호자 단말기(400)의 회신(PRS)을 수신한다.
계속하여, 도 2의 위험도 관리 모듈(310)에서의 독거인의 위험도의 업데이터가 기술된다.
도 3은 도 2의 위험도 관리 모듈(310)에서의 독거인의 위험도의 업데이터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독거인의 위험도의 업데이터를 설명하기 이전에 독거의 위험 종류와 위험 경보(ALR)의 경보 레벨에 대하여 기술된다.
본 실시예서, 독거인의 위험 종류는 분류<1> 내지 분류<15>의 15가지 분류로 구분된다. 그리고, 독거인의 위험도가 '25' 이하인 경우의 위험 경보(ALR)의 경보 레벨은 '관심'이며, 독거인의 위험도가 '25' 초과이고 '50' 이하인 경우의 위험 경보(ALR)의 경보 레벨은 '주의'이며, 독거인의 위험도가 '50' 초과인 경우의 위험 경보(ALR)의 경보 레벨은 '긴급'이다.
먼저, 업데이터 전의 분류<1> 내지 분류<15>의 위험도는 각각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이다.
이 경우, 분류<1> 내지 분류<5>에서의 위험 경보(ALR)의 경보 레벨은 '관심'이며, 분류<6> 내지 분류<10>에서의 위험 경보(ALR)의 경보 레벨은 '주의'이며, 분류<11> 내지 분류<15>에서의 위험 경보(ALR)의 경보 레벨은 '긴급'이다.
한편, 위험 경보(ALR)의 경보 레벨이 '관심'인 경우에는, 1순위 연락 보호자들의 단말기 즉, 보호자 단말기(400<1> 내지 400<3>)에만 위험 경보(ALR)가 발송된다.
그리고, 위험 경보(ALR)의 경보 레벨이 '주의'인 경우에는, 1순위 및 2순위 연락 보호자들의 단말기 즉, 보호자 단말기(400<1> 내지 400<6>)에 위험 경보(ALR)가 발송된다.
또한, 위험 경보(ALR)의 경보 레벨이 '긴급'인 경우에는, 1순위, 2순위 및 3순위 연락 보호자들의 단말기 즉, 보호자 단말기(400<1> 내지 400<10>) 모두에 위험 경보(ALR)가 발송된다.
이 경우, 상기 환경 데이터(ENDAT)에 기초한 '독거인의 위험 종류'가 분류<11>에 해당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독거인의 위험도'가 '55'에 해당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상기 관리 서버(300)에서 발송되는 위험 경보(ALR)의 경보 레벨은 '긴급'에 해당된다.
그러면, 등록된 모든 연락 보호자 즉, 모든 보호자 단말기들(400<1> 내지 400<10>)에 '긴급'의 위험 경보(ALR)이 발송된다.
도 3의 예에서, 환경 데이터(ENDAT)를 기반으로 분석한 상기 독거인의 위험 종류가 분류<11>에 해당하며, 보호자 단말기(400)의 회신(PRS)이 '이상무'인 것으로 가정하자.
먼저, 상기 독거인의 위험 종류가 분류<11>에 해당하면, 독거인의 위험도는 '55'이고, 이에 상응하는 위험 경보(ALR)의 경보 레벨은 '긴급'이다.
그러면, 1순위, 2순위 및 3순위의 연락 보호자들 모두의 보호자 단말기(400<1> 내지 400<10>)에 '긴급'의 위험 경보(ALR)가 발송된다.
이때, 상기 '긴급'의 위험 경보(ALR)에 대하여, 상기 관리 서버(300)가 보호자 단말기(400)로부터 '이상무'라는 회신을 접수하면, 분류<11>의 독거인의 위험 종류에 대한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는 '50'으로 업데이터된다.
그리고, 업데이터 후에는, 분류<11>의 상기 독거인의 위험 종류에 상응하는 위험 경보(ALR)의 경보 레벨은 '주의'로 조정된다.
이후, 분류<11>의 상기 독거인의 위험 종류가 발생되면, 1순위 및 2순위의 연락 보호자들 모두의 보호자 단말기(400<1> 내지 400<6>)에 '주의'의 위험 경보(ALR)가 발송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독거인 케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이 정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독거인 케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S100 단계에서, 독거인의 독거 주택에 설치된 환경 데이터 수집 장치(200)에 의하여 환경 데이터(ENDAT)가 수집된다.
S200 단계에서, 상기 관리 서버(300)의 상기 위험도 분석 모듈(350)에 의하여, 상기 환경 데이터(ENDAT)에 기반하여 '위험 종류'를 분석하고, '위험 종류'에 따른 '독거인의 위험도'를 추출하며,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에 따른 경보 레벨의 위험 경보(ALR)을 생성한다.
S300 단계에서,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에 따른 위험 경보(ALR)를 경보 레벨에 상응하는 친밀 레벨의 연락 보호자들의 보호자 단말기(400)에 발송된다.
S400 단계에서는, 상기 위험 경보(ALR)에 대한 등록된 연락 보호자들의 회신(PRS)이 확인된다.
그리고, S500단계에서는, 상기 관리 서버(300)의 위험도 관리 모듈(310)에서, 상기 위험 경보(ALR)에 대한 상기 연락 보호자들의 회신(PRS)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 종류'에 대한 '독거인의 위험도'가 업데이터된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독거인 케어 시스템에서는, 독거인의 위험도에 대응하여 적정한 친밀도를 가지는 연락 보호자들에게 독거인의 위험도에 따른 경보 레벨의 위험 경보가 발송된다. 또한,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는 위험 경보에 대한 연락 보호자의 회신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업데이터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독거인 케어 시스템에 의하면, 연락 보호자에게 매우 효율적으로 위험 경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0082]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독거인 케어 시스템에 있어서,
    유무선 통신망;
    독거인이 거주하는 독거 주택에 배치되어 상기 독거인의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는 환경 데이터 수집 장치;
    상기 환경 데이터 수집 장치에서 수집된 상기 환경 데이터를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환경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독거인의 위험 종류를 분석하여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를 추출하고,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에 따른 위험 경보를 발생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연락 보호자들에 의하여 휴대 가능하며,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서 발생되는 상기 위험 경보를 수신하며, 상기 위험 경보에 대한 회신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상기 복수의 보호자 단말기들을 구비하며,
    상기 위험 경보는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에 기초하여 다수개의 경보 레벨들로 구분되며,
    상기 복수의 연락 보호자들은
    다수의 친밀 레벨들로 구분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경보 레벨에 상응하는 상기 친밀 레벨의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상기 위험 경보를 발송하며,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의 회신에 응답하여 업데이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인 케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데이터는
    화장실 사용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는
    상기 화장실 사용정보가 최고 가중치로 반영되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인 케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데이터는
    상기 독거 주택의 온도, 습도, 조도, 공기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는
    상기 독거 주택의 온도, 습도, 조도, 공기 성분도 함께 반영되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인 케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독거인에게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는
    상기 확인 요청 신호에 대한 상기 독거인 확인 응답 신호의 발송 여부가 반영되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인 케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는
    상기 독거인의 건강 데이터가 반영되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인 케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를 관리하고, 상기 보호자 단말기의 회신을 인식하며, 상기 보호자 단말기의 회신에 응답하여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를 업데이터하는 위험도 관리 모듈;
    상기 환경 데이터 수집 장치와 상호 통신하는 독거인 통신 모듈;
    상기 환경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독거인의 위험 종류를 분석하여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를 추출하는 위험도 분석 모듈;
    상기 독거인의 위험도에 따른 상기 경보 레벨의 위험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송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보호자 단말기들과 상호 통신하는 보호자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인 케어 시스템.
KR1020200115889A 2020-09-10 2020-09-10 효율적으로 위험 경보를 제공하는 독거인 케어 시스템 KR20220033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889A KR20220033702A (ko) 2020-09-10 2020-09-10 효율적으로 위험 경보를 제공하는 독거인 케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889A KR20220033702A (ko) 2020-09-10 2020-09-10 효율적으로 위험 경보를 제공하는 독거인 케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702A true KR20220033702A (ko) 2022-03-17

Family

ID=80936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889A KR20220033702A (ko) 2020-09-10 2020-09-10 효율적으로 위험 경보를 제공하는 독거인 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37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5540B1 (ko) 가전기기 소비전력 패턴과 소셜 정보를 이용한 독거노인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16661B1 (ko) 스마트 시티 서비스 및 통합 플랫폼 제공 시스템
US8400276B2 (en) Monitoring system, terminal device and main control device thereof, and method and program for registering terminal device
US8751414B2 (en) Identifying abnormalities in resource usage
US20070285260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duct for detecting emergency
CN104782103B (zh) 使用低功率警报传感器的聚集框架
KR20100000151A (ko) Wsn 기반 상황인지 엔진
CN105453069A (zh) 情景众包响应系统
Suryadevara et al. Wireless sensors network based safe home to care elderly people: behaviour detection
US20040148518A1 (en) Distributed surveillance system
JP2018049321A (ja) 推定装置、推定方法および推定プログラム
KR102143579B1 (ko) 블록체인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관제 시스템
KR20220033702A (ko) 효율적으로 위험 경보를 제공하는 독거인 케어 시스템
CN111739655A (zh) 提示信息的发送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KR102410613B1 (ko) 연락 보호자의 반응 속도에 응답하여 우선 순위가 자동적으로 업데이터되는 독거인 케어 시스템
KR101471330B1 (ko) 위치 정보 기반 객체 관리 방법 및 서버
Hung et al. Using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to construct an integrated intelligent sensing environment for long-term care service
CN111834005B (zh) 基于传染病的医疗数据筛选方法、装置、介质及设备
JP2007279887A (ja) 特異パターン検出システム、モデル学習装置、特異パターン検出装置、特異パターン検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20085160A (ko) 클라우드 기반 재난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재난 분석 시스템
JP7357457B2 (ja) 火災報知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火災報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Bennasar et al. A sensor platform for non-invasive remote monitoring of older adults in real time
EP3279879B1 (en) Activity amount calculation system, activity amount calculation device, activity amount calcul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umavat et al. Health monitoring using edge cognitive computing based smart health care
KR102407150B1 (ko) 지능형 응급상황 알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