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541A - 한국 토종종균 혼합조성물을 이용한 고다치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국 토종종균 혼합조성물을 이용한 고다치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541A
KR20220033541A KR1020200113697A KR20200113697A KR20220033541A KR 20220033541 A KR20220033541 A KR 20220033541A KR 1020200113697 A KR1020200113697 A KR 1020200113697A KR 20200113697 A KR20200113697 A KR 20200113697A KR 20220033541 A KR20220033541 A KR 20220033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ese
starter
chn
seed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5650B1 (ko
Inventor
허철성
길범주
박현준
서은솔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13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650B1/ko
Publication of KR20220033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9/00Cheese; Cheese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9/02Making cheese curd
    • A23C19/032Making cheese curd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microorganisms, or enzymes of microbial orig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46Streptococcus ; Enterococcus; Lactococc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Dairy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국 토종종균을 선발, 혼합한 조성물을 스타터로 이용하는 고다치즈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금까지 수입하던 고다치즈 제조용 스타터종균을 대체할 한국 토종의 종균을 선발하여 고다치즈 제조업에 최적화한 기술을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신균주 LDTM6803, LDTM6802 및 Leuconostoc mesenteroides B2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여 수입 CHN 종균을 대체하는 한국 토종종균 혼합조성물을 이용한 고다치즈 제조방법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한국 토종종균 혼합조성물을 이용한 고다치즈 제조방법{ADVANCED GOUDA CHEESE FERMENTATION METHOD BY COMPOSITION OF KOREAN MICROORGANISMS}
본 발명은 한국 토종종균을 선발, 혼합한 조성물을 스타터로 이용하는 고다치즈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금까지 수입하던 고다치즈 제조용 스타터종균을 대체할 한국 토종의 종균을 선발하여 고다치즈 제조업에 최적화한 기술을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신균주 LDTM6802, LDTM6803및 Leuconostoc mesenteroides B2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여 수입 CHN-11 종균을 대체하는 한국 토종종균 혼합조성물을 이용한 고다치즈 제조방법 기술에 관한 것이다.
유럽에서 가장 오랜 치즈의 하나라고 평가되는 고다치즈 물성은 경질 또는 반경질 치즈로서 약18개월 단기 숙성시 짭짤하고 고소한 맛이 있어 와인이나 식사용으로 사용되며 장기 숙성시엔 강하게 코를 찌르는 향이 특징으로 알려져 있다.
고다치즈는 스타터에 따라 특유의 효소가 작용하여 휘발성 지방산과 화합물 등을 생성하므로 치즈 풍미와 밀접한 것이 보고된 바 있고, 원산지라 알려진 네덜란드 남부 Gouda지방 고다치즈는 주로 원반형태 수분함량 30~40%인 경질 치즈이며 산업적 생산용 스타터종균은 대부분 Lactococcus lactis subsp . cremoris , Lc . lactis subsp . diacetylactis , Lc . Lactis subsp . lactis,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 cremoris로 알려져 있다.
고다치즈는 우유 발효시 발생하는 유산이 pH를 감소시키고 그에따라 치즈 커드의 내부단백질 매트릭스를 수축 응고시켜 만들어지기 때문에 산업적 사용 스타터는 산 생성기능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통해 부적합 세균 성장까지 억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유산은 응고 보조역할을 하여 유당으로부터 유산을 생성하여 우유내 ph를 감소시키고, 응고시키고, 수분 방출을 촉진함으로써 치즈조직 내 수분함량을 조절하고, 커드 내 단백질 매트릭스를 수축시켜 안에 있던 수분을 밖으로 배출뿐아니라, 병원균과 부패성 세균을 억제하여 살균 기능을 제공하는 등 치즈 조직뿐 아니라 풍미, 위생면에서 가장 중요요소이다.
치즈 스타터의 종류로는 유산균과 효모가 잘 알려져 산업계에서는 대개 유산균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스타터종균 활동으로 생성되는 성장인자들로 인해 치즈 풍미를 형성하고, 치즈 눈 발생, 표면 숙성 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스타터는 대량생산용 제조업에 사용하기 위해 반드시 항생제 내성이 없어야 투입할 수 있고, 온도 등 생육조건에 따라 생존율이 크게 달라지고 제조시 주요 영향요소가 되기 때문에 치즈 제조 중 냉각 또는 발효 시간이 생존과 밀접한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지금까지 국내 자체 개발이 어려웠다.
한편 지금까지 국내 유가공업계에서는 제조 품질이 확인된 스타터 종균을 외국으로부터 수입해 고다치즈를 제조해 왔는데 그 중에서 CHR-Hansen(크리스찬 한센)사의 CHN-11은 대표적 스타터종균 제품으로 알려진다. 이 때문에 외국에 지출하는 로열티가 매년 막대하여 원가상승의 주요인으로 제기되어 왔다. 원가 외에도 외국 수입 스타터종균은 국내 산업의 기술종속을 야기할 뿐 아니라 한국인에 대한 사용적합성이 검증되지 않아 알러지가 유발되는 등 한국소비자의 불만을 종종 야기하곤 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자들은 지난 수천년동안 안전하게 한국에서 식용되던 한국인 발효식품으로부터 토종 종균을 선발 이용한 고다치즈 제조방법을 개발해 왔으며, 최근에는 고다치즈 발효시 풍미생산성이 우수한 종균을 선별하던 중 Lactococcus lactis LDTM6802(KCTC 18611P)와 Lactococcus cremoris LDTM6803(KCTC 18612P)를 선발하고 한국등록특허제10-1996864호에는 풍미생산성이 확인된 한국 토종종균 LDTM6802(KCTC 18611P)을 특허로 등록하였고 동시에, 한국등록특허제10-1920657호에는 풍미생산성이 우수한 또다른 균주인 LDTM6803(KCTC 18612P) 균주및, LDTM6802 및 LDTM6803 균주를 7:3부피비(v/v)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풍미좋은 치즈 제조방법을 특허로 등록한 바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상기 개발된 LDTM6802 및 LDTM6803 혼합사용 기술의 산업적 적용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계속계량하며 새로운 종균을 선발하여 적용하는 고다치즈 제조방법을 연구해온 바, 최근 상기 특허된 기술과 혼합 사용시 효과가 더욱 탁월한 신균주를 선발하여 혼합사용함으로써 수입 종균을 실질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 한국등록특허제10-1920657호 - 한국등록특허제10-1996864호
- 「Population dynamics of lactococci from industrial, artisanal and non-dairy origins in defined strain starters for Gouda-type cheese」(Eman H.E Ayad, Annette Verheul, Jan T.M Wouters, Gerrit Smit. 2001. International Dairy Journal. 11: 51-61.) - 「The role of starter peptidases in the initial proteolytic events leading to amino acids in Gouda cheese」(Fred A.Exterkate, Arno C.Alting. 1995. International Dairy Journal. 5: 15-28.)
본 발명은 지금까지 수입된 고다치즈 제조용 스타터종균을 본격 대체할 한국인 맞춤형 고다치즈 제조용 한국토종 스타터종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산 생성능이 뛰어나고 타 미생물은 억제할 수 있는 한국 토종종균을 이용한 고다치즈 제조방법 및 스타터종균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생제 내성이 없고 한국인에 대한 부작용없는 한국인 맞춤형 고다치즈 종균 조성물을 제공하여 고품질 고다치즈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LDTM6802(KCTC18611P), LDTM6803(KCTC18612P) 및 L. mesenteroides B2(KCTC18819P)를 1:2:1의 부피비(v/v)로 혼합하여 스타터종균으로 사용하는 고다치즈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고다치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입산 고다치즈 제조 스타터종균을 대체하여 본격 한국토종 스타터종균을 고다치즈 제조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종의 한국토종 종균을 소정비율 조합하여 고다치즈 제조에 사용함으로써 pH, 미생물안정성, 풍미 및 치즈 물성이 우수한 고다치즈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발명 종균의 스킴밀크 접종후 시간경과에 따른 종균배양시 pH변화(24h)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24시간 배양시 생존능 시험결과로 LDTM6803은 대조군에 비해 가장 탁월하고, LDTM 6802도 대조군에 비해 뛰어나고 Leuconostoc mesenteroides B2는 대조군과 유사한 실험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종균 사용량에 따른 pH저하능 시험으로, CHN-11에 비해 LDTM6802,LDTM6803 및 Leuconostoc mesenteroides B2를 1:2:1(v/v) 혼합하여 사용한 것이 더 우수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으로 제조한 치즈의 물성테스트 결과로서, 경도, 응집성, 탄력성, 검성 및 씹힘성 모든면에서 제조직후 및 2개월 숙성후에도 수입 종균에 비해 본 발명 혼합종균의 생산성이 떨어지지 않고 오히려 우수한 것을 보여주는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CHN-11(CHN-11-1, CHN-11-3, CHN-11-48 및 IL1403 종균)을 대조군으로 LDTM6802,LDTM6803을 실험군으로하여 탄수화물 발효 및 효소 프로필차이를 확인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험군대비 당 발효기능으로부터 대조군에 비해 뛰어나 고풍미 치즈 생산이 가능한 것을 확인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신균주 L. mesenteroides B2의 염기서열은 도7의 MRS_B-2_27F를 이용한 것과, 도8의 MRS_B-2_1492R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종균 및 그조성물은 본 발명자들이 속한 서울대학교 실험실에서 선발한 한국 토종 종균들로서, LDTM6802, LDTM6803는 공개특허제10-2019-38007에 밝힌 바와 같이 2017.9.12.자로 KCTC 18611P, KCTC 18612P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기탁된바 있고, Leuconostoc mesenteroides B2는 본 발명자가 새롭게 선발한 신종 균주로서 한국에서 판매된 젓갈로부터 분리한 것으로서 16s-rRNA 염기서열 조사 결과 도7의 MRS_B-2_27F와 도8의 MRS_B-2_1492R을 이용하여 Leuconostoc mesenteroides strain MU3 16S ribosomal RNA gene, partial sequence, Leuconostoc mesenteroides partial 16S rRNA gene, isolate BS28-4로 확인되었고 2020년 4월21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기탁번호 KCTC18819P로 기탁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대조군으로 사용된 수입 고다치즈 스타터종균은 크리스찬한센사의 CHN-11로서, 제형은 동결건조된 다종복합의 유산균이며, 종균은 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Leuconostoc,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biovar diacetylactis. 등 4종 복합조성물로서, 국내에서는 고다치즈 외에도 콘티넨탈, 세미하드, 에담, 리어담, 샘소 스타일 치즈 제조시 널리 이용되는 제품이다.
본 발명 제조방법을 탐색하기 위하여 고다치즈 제조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진 스타터의 pH저하 기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시예1에서 pH측정은 L. lactis L5 (LDTM6802), L. cremoris C46(LDTM6803), L. mesenteroides B2 종균을 사용하였고 10%스킴밀크에 각각 종균 1%(v/v)를 접종하고 15시간 경과시점에 아래 표1과 같이 조사되었다.
<비교예 1>
실시예1과 비교를 위해 유사한 종균으로 알려진 L. fermentum LDTM7301, L.plantarum P3, L. plantarum D2-1을 사용하여 10%스킴밀크에 종균 1%(v/v)를 동일하게 접종하고 시간별 pH를 측정하였다.
 pH L. lactis L5 (LDTM6802) L. cremoris C46(LDTM6803) L. mesenteroides B2 L.fermentum LDTM 7301 L.plantarum P3 L.plantarum D2-1
0h 6.34 6.33 6.24 6.37 6.37 6.28
3h 6.3 6.25 6.28 6.33 6.32 6.35
6h 6.22 6.01 6.17 6.32 6.32 6.26
9h 6.06 5.48 6.11 6.2 6.29 6.2
12h 6.01 5.29 6.04 6.13 6.25 6.16
15h 5.98 5.09 5.99 6.12 6.25 6.16
18h 5.86 4.9 5.96 6.11 6.24 6.14
21h 5.82 4.81 5.97 6.11 6.28 6.19
24h 5.76 4.74 5.87 6.07 6.25 6.13
측정결과, 상기 표1 및 도1과 같이 LDTM6803의 경우 15시간 경과 후 pH가 5.0대까지 저하시키고 18시간후에는 4점대로까지 떨어져 고다치즈 제조에 가장 적합한 것이 확인되었고, LDTM 6802 및 Leuconostoc mesenteroides B2 종균 또한 15시간 경과시점이후로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할 정도로까지 저하시키는 것이 확인되어 6점대의 L.fermentum LDTM7301, L.plantarum P3, L.plantarum D2-1와 달리 고다치즈 제조효율성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2는 실시예1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균주를 10%스킴밀크에 1%(v/v) 접종후 24시간 배양하고, 배양액 내 종균수를 측정하여 생존능을 확인한 것으로 그 결과는 아래 표2와 같이 나타났다.
생존능(cfu/ml) L. lactis L5 (LDTM6802) L. cremoris C46(LDTM6803) L. mesenteroides B2 L.fermentum LDTM 7301 L.plantarum P3 L.plantarum D2-1
24h 5.E+08 2.E+09 2.E+07 3.E+07 3.E+07 2.E+07
측정결과, 표2 및 도2와 같이 LDTM6803은 배양액내 균수가 가장 폭발적으로 증가한 사실이 있고, LDTM 6802도 대조군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고, Leuconostoc mesenteroides B2는 대조군과 유사한 정도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 사용한 3종의 종균은 혼합조성물로 사용시 치즈 발효효율이 대조군에 비해 효과적이며 안정적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 혼합조성물의 치즈생산성 확인을 위하여 10%스킴밀크에 소정비율로 접종하고 1시간간격으로 3시간이상 pH 변화를 조사하였다. 실시예3의 종균으로는 L. lactis L5 (LDTM6802), L. cremoris C46(LDTM6803), L. mesenteroides B2를 사용하고 대조군으로는 CHN-11을 사용하였다.
우선 10%스킴밀크 100ml에 대하여 CHN-11 혼합량은 사용설명서에 의거 2.25mg을 접종하였고, LDTM6802 및 LDTM6803는 부피비 5:5(v/v)로 혼합하여 10%스킴밀크에 1%(v/v), 2%(v/v) 접종하였고, LDTM6802, LDTM6803 및 Leuconostoc mesenteroides B2를 부피비 1:2:1(v/v)로 혼합하여 10%스킴밀크에 4%(v/v) 접종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pH 변화를 실험하였다.
부피비(v/v) 10% Skimmilk 100ml+CHN-11 10% Skimmilk 100ml+LDTM 1% 10% Skimmilk 100ml+LDTM 2% 10% Skimmilk 100ml+LDTM 4%
0h 6.25 6.24 6.19 6.16
1h 6.24 6.25 6.21 6.16
2h 6.17 6.24 6.17 6.11
3h 6.02 6.14 6.08 5.97
4h 5.83 6.12 6.04 5.94
5h 5.53 5.98 5.90 5.71
6h 5.38 5.94 5.80 5.63
실시예2 측정결과, 상기 표3및 도3과 같이 pH는 LDTM6802, LDTM6803 및 Leuconostoc mesenteroides B2를 부피비 1:2:1(v/v)로 혼합하여 10%스킴밀크에 4%(v/v) 접종한 실험에서 가장 많이 저하하고 대조군보다 더빠르게 3시간 경과시점에 5점대까지 저하되었다.
반면 LDTM6802 및 LDTM6803는 부피비 5:5(v/v)로 혼합하여 2%(v/v) 접종한 시험에서는 3시간경과후 pH 저하정도가 대조군에 비해 떨어지기 시작하고 있어 pH만으로도 수입산 스터터를 대체하기엔 다소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시예4는 LDTM6802, LDTM6803 및 L. mesenteroides B2 종균을 혼합한 조성물을 스타터종균으로 사용하는 전체 제조과정으로, 원유 살균, 스타터종균 접종, 렌넷 첨가, 커드 절단 및 교반, 세척, 유청제거 및 압착, 염지 순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실험용 배트(VAT)에 상온의 원유 100리터(l)와 베타카로틴 2ml를 첨가하고 30분간 65℃까지 서서히 가열하며 살균하고, 원유를 다시 32℃까지 정치하여 냉각하였다.
스타터종균 접종은 LDTM6802, LDTM6803 및 L. mesenteroides B2를 10%스킴밀크에 접종한 배양액을 각각 준비하여 1:2:1(v/v)로 혼합한 조성물 10%(v/v) 및 10%스킴밀크 90%(v/v)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종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미리 준비된 살균원유 96%(v/v)에 대하여상기 혼합종균 조성물 4%(v/v)를 접종하고 1시간동안 정치시켜 안정화하였다.
렌넷(rennet) 첨가 과정은 증류수 81ml에 렌넷 19ml를 혼합하여 제조한 렌넷혼합물 100ml를 제조하고 이를 상기 스타터종균이 접종된 배트(VAT)에 혼합하고 약 2-3분정도 교반 후 정지하여 40분에서 45분간 정치하였다. 혼합후 원유가 응고하기 시작하며 서서히 커드가 형성되었다.
상기 과정에서 응고된 커드(curd)는 절단 및 교반하였는데, 0.7mm 절단기를 사용하여 좌우 번갈아 절단하고 20분간 교반하여 균질화함으로써 뭉치지 않도록 처리하고, 커드 교반단계에서부터 세척을 병행하였다.
커드를 교반 및 세척하면서 배트(VAT) 내에 잔존한 유청의 40%는 배트 하부의 배출관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동시에 온수를 공급하였는데, 1차 공급은 36℃ 온수를, 2차 공급은 38℃로 조절된 온수를 배출된 유청의 량만큼 투입한 후 50분간 정치시켰다. 온수 공급후 정치를 거치게 되면 배트(VAT)내 유청은 완전히 제거되며 성형 및 압착을 위한 준비가 끝난다.
압착은 5차에 걸쳐 서서히 진행하였다. 우선 생산된 치즈는 예비압착을 거치고 1차압착을 진행하되 이때는 압력 1.0bar로 30분간 압착하였다. 이후 1.5bar의 압력으로 30분간 2차압착, 2.0bar의 압력으로 30분간 3차압착, 2.5bar의 압력으로 30분간 4차압착하였다. 이처럼 서서히 압력을 가하는 것은 형태유지 때문이다.
압착된 치즈는 염지처리하는데 염지 정도는 4차압착 후 약12시간 방치한 치즈의 무게를 측정하여 중량기준 kg당 8시간 염수에 침지하되 염도는 목적에 따라 적정히 가감할 수 있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4의 본 발명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조군으로 스타터종균 CHN-11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비교예를 구성하였다. CHN-11은 Lactococcus lactis subsp . cremoris , Leuconostoc , Lactococcus lactis subsp . lactis , Lactococcus lactis subsp . lactis biovar diacetylactis .등 4종의 균복합체 조성물로서 사용설명서에 기재된대로 2.25mg의 CHN-11을 스킴밀크 100ml(g/v)에 접종하여 종균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4와 동일하게 원유의 살균, 스타터종균 접종, 렌넷 첨가, 커드 절단 및 교반, 세척, 유청제거 및 압착, 염지의 순으로 실시하였다.
실시결과, 실시예 4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치즈는 제조당일 및 2개월 숙성후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경도 (Hardness,kg), 응집성(Cohesiveness,%), 탄력성 (Springiness,mm), 검성 (Gumminesss), 씹힘성(Chewinesss) 등을 측정하였고 그결과 표4와 같이 나타났다.
구 분 숙성기간(개월)
0 2
경도
(Hardness, kg)
CHN-11 0.43±0.06 0.57±0.03
본 발명 0.52±0.08 0.44±0.03
응집성
(Cohesiveness, %)
CHN-11 1.44±0.02 1.53±0.08
본 발명 1.63±0.08 1.58±0.13
탄력성
(Springiness, mm)
CHN-11 31.98±0.31 32.75±0.25
본 발명 32.55±0.31 32.42±0.12
검성
(Gumminesss)
CHN-11 0.61±0.10 0.87±0.07
본 발명 0.85±0.13 0.70±0.10
씹힘성
(Chewinesss)
CHN-11 19.52±3.22 28.58±2.40
본 발명 27.53±4.57 22.84±3.33
측정 결과, 표4 및 도4와 같이 본 발명은 상품성을 결정하는 경도, 응집성, 탄력성, 검성 및 씹힘성 면에서 모두 제조 직후뿐 아니라 2개월 숙성한 후까지 수입 스타터종균 CHN-11과 매우 유사한 정도로 확인되었다. 특히 2개월 숙성된 본 발명방법을 이용한 치즈는 탄력성면에서 변화가 없고 씹힘성면에서는 오히려 더 부드러워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국내 유가공산업에서 수입 스타터종균을 대체하고 새 시장을 만들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실시예4 및 비교예2의 치즈 숙성기간 중 생균수를 확인하여 발효과정에 종균이 활동하는지 및 활동 정도가 어느정도인지 확인하였다. 조사결과 CHN-11은 발효 4주차까지 생균수가 증가하며 최고점 4x108CFU/g에 도달하였고, 이후 감소하여 8주차에 3x106CFU/g까지 도달하였으나, 본발명 종균은 4주차에 1x109CFU/g까지 증가하여 최고점을 기록후 8주차에 2x107CFU/g으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어 약2개월동안 숙성 후에도 10배정도 생균수가 많은 것으로 확인된다.
이를 통해 본발명에서 사용한 혼합종균 조성물은 제조과정에서는 pH조절이 우수하고 숙성과정에서는 수입 CHN-11에 비해 풍미나 물성 개선에 더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의 실시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과정에서 pH및 적정산도(TA)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앞서 실시예4 및 비교예2 동일하게 스타터종균을 제조하여 스킴밀크에 접종하고 2개월동안 pH, TA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아래표5와 같았다.
CHN-11(스킴밀크 100ml당 2.25mg 혼합) 본 발명(4%(v/v) 1:2:1 혼합)
pH TA(%) pH TA(%)
0일차 5.52 0.149 5.50 0.16
2주차 5.73 0.146 5.50 0.18
4주차 5.73 0.164 5.48 0.187
8주차 5.82 0.160 5.54 0.193
즉 표5 및 도5와 같이 수입 CHN-11 비교시 스타터종균을 1:2:1로 혼합하여 접종량 4%(v/v) 조건처리한 본 발명은 치즈를 숙성시키는 8주간의 장기간에 걸쳐 수입산 스타터와 거의 동일한 정도의 pH저하 및 TA(%) 수준을 지속하고 있어 그 대대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6은 본 발명에서 LDTM6802 및 LDTM6803은 공개특허제10-2019-0038007호에 밝힌바와같이 API50CHL kit과 API ZYM kit(Biomerieux. France)을 이용하여 탄수화물 발효 및 효소 프로필차이를 확인하여 풍미생산성이 우수한 것으로 밝히고 있어 CHN-11로부터 분리된 종균 CHN-11-1, CHN-11-3, CHN-11-48 및 IL1403종균을 대조군실험과 비교시 본 발명은 생산된 치즈의 당발효 기능이 대조군에 비해 뛰어나 고풍미 치즈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3종의 한국토종 종균을 소정비율 조합하여 고다치즈 제조에 사용시 pH, 미생물안정성, 풍미 및 치즈 물성이 우수한 고다치즈를 제공할 수 있음이 확인되므로 수입 고다치즈 스타터 CHN-11을 대체하더라도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8819P 20200421
<110>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120> ADVANCED GOUDA CHEESE FERMENTATION METHOD BY COMPOSITION OF KOREAN MICROORGANISMS <130> P20-009 <160> 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460 <212> DNA <213> Unknown <220> <223> Leuconostoc mesenteroides strain MU3 16S ribosomal RNA gene, partial sequence <400> 1 gactggcggg tgcctataca tgcaagtcga acgcacagcg aaaggtgctt gcacctttca 60 agtgagtggc gaacgggtga gtaacacgtg gacaacctgc ctcaaggctg gggataacat 120 ttggaaacag atgctaatac cgaataaaac ttagtgtcgc atgacaaaaa gttaaaaggc 180 gcttcggcgt cacctagaga tggatccgcg gtgcattagt tagttggtgg ggtaaaggcc 240 taccaagaca atgatgcata gccgagttga gagactgatc ggccacattg ggactgagac 300 acggcccaaa ctcctacggg aggctgcagt agggaatctt ccacaatggg cgaaagcctg 360 atggagcaac gccgcgtgtg tgatgaaggc tttcgggtcg taaagcactg ttgtatggga 420 agaacagcta gaataggaaa tgattttagt ttgacggtac cataccagaa agggacggct 480 aaatacgtgc cagcagccgc ggtaatacgt atgtcccgag cgttatccgg atttattggg 540 cgtaaagcga gcgcagacgg tttattaagt ctgatgtgaa agcccggagc tcaactccgg 600 aatggcattg gaaactggtt aacttgagtg cagtagaggt aagtggaact ccatgtgtag 660 cggtggaatg cgtagatata tggaagaaca ccagtggcga aggcggctta ctggactgca 720 actgacgttg aggctcgaaa gtgtgggtag caaacaggat tagataccct ggtagtccac 780 accgtaaacg atgaacacta ggtgttagga ggtttccgcc tcttagtgcc gaagctaacg 840 cattaagtgt tccgcctggg gagtacgacc gcaaggttga aactcaaagg aattgacggg 900 gacccgcaca agcggtggag catgtggttt aattcgaagc aacgcgaaga accttaccag 960 gtcttgacat cctttgaagc ttttagagat agaagtgttc tcttcggaga caaagtgaca 1020 ggtggtgcat ggtcgtcgtc agctcgtgtc gtgagatgtt gggttaagtc ccgcaacgag 1080 cgcaaccctt attgttagtt gccagcattc agatgggcac tctagcgaga ctgccggtga 1140 caaaccggag gaaggcgggg acgacgtcag atcatcatgc cccttatgac ctgggctaca 1200 cacgtgctac aatggcgtat acaacgagtt gccaacccgc gagggtgagc taatctctta 1260 aagtacgtct cagttcggat tgtagtctgc aactcgacta catgaagtcg gaatcgctag 1320 taatcgcgga tcagcacgcc gcggtgaata cgttcccggg tcttgtacac accgcccgtc 1380 acaccatggg agtttgtaat gcccaaagcc ggtggcctaa ccttttagga aggagccgtc 1440 taaggcagga cagagacggg 1460 <210> 2 <211> 1400 <212> DNA <213> Unknown <220> <223> Leuconostoc mesenteroides partial 16S rRNA gene, isolate BS28-4 <400> 2 gatacacagg tgccaactcc ccccaggggt gggaaacatt tgggaccggg tttttatcgg 60 aaataaattt tggtccccaa acaaaaatta aaagggcttt gggcttcaca agaagaggtt 120 cccgcgccca ttatttagtg ggggggaaaa ggctccacaa gacaaatggt gcaagccggg 180 ttggaggatt gttcgccacc ttggggatgg gacccggccc aaattccttc gggggagctc 240 cagtagggat cttccacaat gggccgaaac ctgatggagc aacgccgcgt gtgtgatgaa 300 gctttcgggt cgtaaagcac tgttgtatgg gaagaacagc tagaatagga aatgatttta 360 gtttgacggt accataccag aaagggacgg ctaaatacgt gccagcagcc gcggtaatac 420 gtatgtcccg agcgttatcc ggatttattg ggcgtaaagc gagcgcagac ggtttattaa 480 gtctgatgtg aaagcccgga gctcaactcc gggaatggca ttggaaactg gttaacttga 540 gtgcagtaga ggtaagtgga actccatgtg tagcggtgga atgcgtagat atatggaaga 600 acaccagtgg cgaaggcggc ttactggact gcaactgacg ttgaggctcg aaagtgtggg 660 tagcaaacag gattagatac cctggtagtc cacaccgtaa acgatgaaca ctaggtgtta 720 ggaggtttcc gcctcttagt gccgaagcta acgcattaag tgttccgcct ggggagtacg 780 accgcaaggt tgaaactcaa aggaattgac ggggacccgc acaagcggtg gagcatgtgg 840 tttaattcga agcaacgcga agaaccttac caggtcttga catcctttga agcttttaga 900 gatagaagtg ttctcttcgg agacaaagtg acaggtggtg catggtcgtc gtcagctcgt 960 gtcgtgagat gttgggttaa gtcccgcaac gagcgcaacc cttattgtta gttgccagca 1020 ttcagatggg cactctagcg agactgccgg tgacaaaccg gaggaaggcg gggacgacgt 1080 cagatcatca tgccccttat gacctgggct acacacgtgc tacaatggcg tatacaacga 1140 gttgccaacc cgcgagggtg agctaatctc ttaaagtacg tctcagttcg gattgtagtc 1200 tgcaactcga ctacatgaag tcggaatcgc tagtaatcgc ggatcagcac gccgcggtga 1260 atacgttccc gggtcttgta cacaccgccc gtcacaccat gggagtttgt aatgcccaaa 1320 gccggtggcc taacctttta ggaaggagcc gtctaaggca ggacagatga ctgggggaag 1380 tctaacatgg agtcaggtcc 1400

Claims (3)

  1. LDTM6802(KCTC18611P), LDTM6803(KCTC18612P) 및 L. mesenteroides B2(KCTC18819P)를 소정비율 혼합하여 스타터종균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다치즈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비율은 1:2:1의 부피비(v/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다치즈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으로 생산한 고다치즈
KR1020200113697A 2020-09-07 2020-09-07 한국 토종종균 혼합조성물을 이용한 고다치즈 제조방법 KR102465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697A KR102465650B1 (ko) 2020-09-07 2020-09-07 한국 토종종균 혼합조성물을 이용한 고다치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697A KR102465650B1 (ko) 2020-09-07 2020-09-07 한국 토종종균 혼합조성물을 이용한 고다치즈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541A true KR20220033541A (ko) 2022-03-17
KR102465650B1 KR102465650B1 (ko) 2022-11-10

Family

ID=80936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697A KR102465650B1 (ko) 2020-09-07 2020-09-07 한국 토종종균 혼합조성물을 이용한 고다치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6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2957B2 (ja) * 1990-01-31 1998-09-24 雪印乳業株式会社 チーズの製造方法
EP1862076A1 (en) * 2006-06-02 2007-12-05 Friesland Brands B.V. Method for preparing cheese using a mesophilic adjunct starter; cheese and whey obtainable by this method
JP2008022829A (ja) * 2006-07-25 2008-02-07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新規チーズスターター
KR101920657B1 (ko) 2017-09-29 2018-11-2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풍미생산성이 우수한 락토코커스 락티스 서브스페시스 크레모리스 ldtm6803 및 이를 이용한 치즈 제조방법
KR20190038007A (ko) * 2017-09-29 2019-04-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풍미 생산성이 우수한 치즈 스타터 종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2957B2 (ja) * 1990-01-31 1998-09-24 雪印乳業株式会社 チーズの製造方法
EP1862076A1 (en) * 2006-06-02 2007-12-05 Friesland Brands B.V. Method for preparing cheese using a mesophilic adjunct starter; cheese and whey obtainable by this method
JP2008022829A (ja) * 2006-07-25 2008-02-07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新規チーズスターター
KR101920657B1 (ko) 2017-09-29 2018-11-2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풍미생산성이 우수한 락토코커스 락티스 서브스페시스 크레모리스 ldtm6803 및 이를 이용한 치즈 제조방법
KR20190038007A (ko) * 2017-09-29 2019-04-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풍미 생산성이 우수한 치즈 스타터 종균
KR101996864B1 (ko) 2017-09-29 2019-07-05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풍미 생산성이 우수한 치즈 스타터 종균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 「Population dynamics of lactococci from industrial, artisanal and non-dairy origins in defined strain starters for Gouda-type cheese」(Eman H.E Ayad, Annette Verheul, Jan T.M Wouters, Gerrit Smit. 2001. International Dairy Journal. 11: 51-61.)
- 「The role of starter peptidases in the initial proteolytic events leading to amino acids in Gouda cheese」(Fred A.Exterkate, Arno C.Alting. 1995. International Dairy Journal. 5: 15-28.)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pp.414-419, 1997.2월 *
Food Microbiology 82 (2019) 151-159. *
Int. Dariy Journal 4(1994) pp.251-269. *
S.BUCHIN 외 5명, 'Influence of Pasteurization and Fat Composition of Milk on the Volatile Compounds and Flavor Characteristics of a Semi-hard cheese', J Dairy Sci 81, pp.3097-3108, 199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650B1 (ko)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3552B2 (ja) 後酸性化の制御が改善された発酵乳製品の製造方法
Wouters et al. Microbes from raw milk for fermented dairy products
Goncu et al. Sensory and chemical properties of white pickled cheese produced using kefir, yoghurt or a commercial cheese culture as a starter
Gobbetti et al. Microbiological, compositional, biochemical and textural characterisation of Caciocavallo Pugliese cheese during ripening
KR101773994B1 (ko) 엑소다당류의 과발현에 의하여 식품을 조직화하기 위하여 갈락토키나아제 발현을 변형시킨 젖산균
TR201807455T4 (tr) Asitleşme sonrasına yönelik gelişmiş kontrole sahip bir fermente süt ürününün üretilmesi için yöntem.
JP6861157B2 (ja) 風味の良好な発酵乳製品の製造方法、及び当該製造方法で製造された発酵乳製品
JP7316044B2 (ja) ラクトバチルス・カゼイを用いて発酵乳製品を製造する方法
EP2334191B1 (en) Use of l. helveticus in a method for making cheese
US20210259266A1 (en) A method for producing a cheese with reduced amount of galactose
CA3073149A1 (en) Process for producing a mesophilic fermented milk product
KR102465650B1 (ko) 한국 토종종균 혼합조성물을 이용한 고다치즈 제조방법
US20220000135A1 (en) Methods and cultures to manufacture pizza cheese
RU2004130287A (ru) Способ улучшения процедур ферментаци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101920657B1 (ko) 풍미생산성이 우수한 락토코커스 락티스 서브스페시스 크레모리스 ldtm6803 및 이를 이용한 치즈 제조방법
KR101996864B1 (ko) 풍미 생산성이 우수한 치즈 스타터 종균
KR101607620B1 (ko) 절단형 고다치즈 제조방법
Samaržija et al. Characteristics and role of mesophilic lactic cultures
JP2006109756A (ja) 発酵乳製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品
Van Hoorde et al. Application of adjunct-cultures and their influence on the sensory properties of hard and semi-hard cheese varieties
US20040091576A1 (en) Cheese-like dairy product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U2018326544B2 (en) Process for producing a mesophilic fermented milk product
KR101835809B1 (ko) 요구르트의 제조 방법
Yangılar et al.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Turkish Beyaz cheese samples produced with different probiotic cultures
Malik et al. Flavor Development in Various Forms of Chee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