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235A - Jm패널 스트라이프 - Google Patents

Jm패널 스트라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235A
KR20220033235A KR1020200115389A KR20200115389A KR20220033235A KR 20220033235 A KR20220033235 A KR 20220033235A KR 1020200115389 A KR1020200115389 A KR 1020200115389A KR 20200115389 A KR20200115389 A KR 20200115389A KR 20220033235 A KR20220033235 A KR 20220033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art
base plate
horizontal
coupling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수
Original Assignee
(주) 진흥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진흥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 진흥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200115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3235A/ko
Publication of KR20220033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235A/ko
Priority to KR1020230089215A priority patent/KR202301075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04F13/0848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in sheet-like materials, e.g. sheet-metal or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JM패널 스트라이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JM패널 스트라이프는,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제1 결합부;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부에 마련되는 제2 결합부; 및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굴곡 돌출부를 포함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와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와 복수의 굴곡 돌출부는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복수로 마련되고, 복수로 마련되는 세트 중 제1 세트의 제2 결합부에는 제2 세트의 상기 제1 결합부가 삽입되고, 제1 세트 및 제2 세트의 제1 결합부의 저면부는 제2 결합부의 저면부보다 높게 마련되고 제1 결합부의 제1 수평부의 상면부는 제2 결합부의 제2 수평부의 상면부보다 낮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JM패널 스트라이프{JM PANEL STRIPE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수직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판재를 서로 끼워 맞춤 결합시키는 시공 방식으로 시공이 간편하고 작업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개JM패널 스트라이프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전원주택이나 조립식 건물 기타 건물의 외장 패널로서 기 설치된 벽체에 마감재로 금속재 또는 수지재 사이딩 패널이나 기타의 외장 패널이 부착되어 시공된다.
이러한 벽체에 경사진 톱니형상의 단면을 가진 외장 패널이 연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부착된다. 전술한 외장 패널의 연결부는 일단에 볼트체결용 통공이 형성되고, 그 내측으로는 대략 S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 S자 만곡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외장 패널의 타단부에 절곡 형성된 걸림부가 S자 만곡부에 끼워져서 조립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외장 패널은 인접하는 외장 패널의 걸림부가 끼워지는 S자 만곡부의 결합 부위의 유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므로, 인접 패널의 걸림부가 패널의 S자 만곡부에 정밀하게 위치설정되지 못한다.
따라서 외장 패널의 조립시에 조립 오차가 많이 발생되어 시공의 정밀도가 떨어지고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5447호(주식회사 일광메탈포밍) 2006. 01. 02.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판재를 서로 끼워 맞춤 결합시켜 시공이 간편하고 작업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JM패널 스트라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제1 결합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부에 마련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굴곡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와 상기 복수의 굴곡 돌출부는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복수로 마련되고, 복수로 마련되는 세트 중 제1 세트의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제2 세트의 상기 제1 결합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1 세트 및 상기 제2 세트의 상기 제1 결합부의 저면부는 상기 제2 결합부의 저면부보다 높게 마련되고 상기 제1 결합부의 제1 수평부의 상면부는 상기 제2 결합부의 제2 수평부의 상면부보다 낮게 마련되는 JM패널 스트라이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복수의 굴곡 돌출부 중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굴곡 돌출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1 수직부; 상기 제1 수직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 수직부와 수직되게 외측으로 마련되는 상기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의 단부에 굴곡지게 마련되는 제1 굴곡부; 및 상기 제1 굴곡부의 단부에 상기 제1 수평부와 반대 방향으로 마련되며 상면부가 상기 제1 수평부의 저면부에 접하는 단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 플레이트의 저면부가 상기 제2 결합부의 제3 수평부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 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2 수직부; 상기 제2 수직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 결합부의 방향으로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2 수평부; 상기 제2 수평부의 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3 수직부; 상기 제3 수직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 결합부와 반대 방향으로 마련되되 상기 제2 수평부와 평행하게 마련되며 상기 상기 제2 수평부보다 길게 마련되는 제3 수평부; 상기 제3 수평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2 수직부의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볼록 돌출부; 및 상기 볼록 돌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 결합부와 반대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4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굴곡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1 돌출 수직부; 상기 제1 돌출 수직부의 단부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마련되는 제1 돌출 굴곡부; 및 상기 제1 돌출 굴곡부의 단부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부로 수직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돌출 수직부와 평행하게 마련되는 제2 돌출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 굴곡부의 최상단 높이는 상기 단부 플레이트의 저면부의 높이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로 마련되는 세트 중 제1 세트의 제2 결합부에는 제2 세트의 제1 결합부가 삽입되고, 제1 세트 및 제2 세트의 제1 결합부의 저면부는 제2 결합부의 저면부보다 높게 마련되고 제1 결합부의 제1 수평부의 상면부는 제2 결합부의 제2 수평부의 상면부보다 낮게 마련됨으로써 판재를 서로 끼워 맞춤 결합시키는 시공 방식으로 시공이 간편하고 작업 시간을 보다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JM패널 스트라이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JM패널 스트라이프를 한 쌍으로 결합시킨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굴곡 돌출부를 제외한 실시예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JM패널 스트라이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개선된 건축물의 수직 패널을 한 쌍으로 결합시킨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굴곡 돌출부를 제외한 실시예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JM패널 스트라이프(1)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제1 결합부(200)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타측부에 마련되는 제2 결합부(300)와, 제1 결합부(200)와 제2 결합부(300) 사이의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굴곡 돌출부(400)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제1 결합부(200)와 제2 결합부(300)와 복수의 굴곡 돌출부(400)는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복수로 마련되고, 복수로 마련되는 세트 중 제1 세트의 제2 결합부(300)에는 제2 세트의 제1 결합부(200)가 삽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과 도 4의 좌측부를 제1 세트로 하고 우측부를 제2 세트로 설명하며, 제1 세트와 제2 세트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 보다 세로 방향이 긴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좌측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200)가 마련되고, 우측 단부에는 제2 결합부(30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굴곡 돌출부(400)가 서로 이격 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좌측부에 마련되며, 제1 세트와 제2 세트를 결합 시 제2 세트의 제1 결합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트의 제1 결합부(200)에 삽입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굴곡 돌출부(400) 중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굴곡 돌출부(400)에서 하부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1 수직부(210)와, 제1 수직부(210)의 단부에서 제1 수직부(210)와 수직되게 외측으로 마련되는 제1 수평부(220)와, 제1 수평부(220)의 단부에 굴곡지게 마련되는 제1 굴곡부(230)와, 제1 굴곡부(230)의 단부에 제1 수평부(220)와 반대 방향으로 마련되며 상면부가 제1 수평부(220)의 저면부에 접하는 단부 플레이트(24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단부 플레이트(240)의 저면부는 제2 결합부(300)의 제3 수평부(340)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단부 플레이트(240)의 저면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수평부(340)보다 일정 높이(h1) 높게 마련될 수 있고, 제2 결합부(300)의 볼록 돌출부(350)의 최상단 높이와 같은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수평부(220)의 상면부 높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부(300)의 제2 수평부(320)의 상면부 높이보다 일정 높이(h2) 낮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의 제1 결합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부(300)의 공간부 중 상부에 배치되어 그 삽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최외각에 배치되는 제1 결합부(200)를 피스 등으로 결합 대상물인 건출의 외측 천장부에 결합시키고, 다음으로 제2 결합부(300)의 제4 수평부(360)를 결합 대상물에 피스 등으로 고정시키면 다음 세트의 제1 결합부(200)를 이전 세트의 제2 결합부(300)에 삽입시켜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결합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우측부에 마련되며, 제1 세트와 제2 세트를 결합 시 제1 세트의 제2 결합부(3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세트의 제1 결합부(20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결합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타측 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2 수직부(310)와, 제2 수직부(310)의 단부에서 제1 결합부(200)의 방향으로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2 수평부(320)와, 제2 수평부(320)의 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3 수직부(330)와, 제3 수직부(330)의 단부에서 제1 결합부(200)와 반대 방향으로 마련되되 제2 수평부(320)와 평행하게 마련되며 제2 수평부(320)보다 길게 마련되는 제3 수평부(340)와, 제3 수평부(340)의 단부에서 제2 수직부(310)의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볼록 돌출부(350)와, 볼록 돌출부(350)의 단부에서 제1 결합부(200)와 반대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4 수평부(36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제1 세트와 제2 세트를 결합 시 제1 세트의 제2 수평부(320)와 제3 수직부(330)와 제3 수평부(340)에 의해 마련된 공간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세트의 제1 결합부(200)가 삽입되며 삽입된 단부 플레이트(240)는 전술한 공간에서 제1 결합부(200)의 하강 시 의 볼록 돌출부(350)에 걸림 지지되어 제1 결합부(20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굴곡 돌출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부에 상부 방향으로 복수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되 서로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굴곡 돌출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1 돌출 수직부(410)와, 제1 돌출 수직부(410)의 단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평행하게 마련되는 제1 돌출 굴곡부(420)와, 제1 돌출 굴곡부(420)의 단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부로 수직되게 마련되며 제1 돌출 수직부(410)와 평행하게 마련되는 제2 돌출 수직부(430)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복수로 마련되는 세트 중 제1 세트의 제2 결합부에는 제2 세트의 제1 결합부가 삽입되고, 제1 세트 및 제2 세트의 제1 결합부의 저면부는 제2 결합부의 저면부보다 높게 마련되고 제1 결합부의 제1 수평부의 상면부는 제2 결합부의 제2 수평부의 상면부보다 낮게 마련됨으로써 판재를 서로 끼워 맞춤 결합시키는 시공 방식으로 시공이 간편하고 작업 시간을 보다 절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JM패널 스트라이프
100 : 베이스 플레이트 200 : 제1 결합부
210 : 제1 수직부 220 : 제1 수평부
230 : 제1 굴곡부 240 : 단부 플레이트
300 : 제2 결합부 310 : 제2 수직부
320 : 제2 수평부 330 : 제3 수직부
340 : 제3 수평부 350 : 볼록 돌출부
360 : 제4 수평부 400 : 굴곡 돌출부
410 : 제1 돌출 수직부 420 : 제1 돌출 굴곡부
430 : 제2 돌출 수직부

Claims (5)

  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제1 결합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부에 마련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굴곡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와 상기 복수의 굴곡 돌출부는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복수로 마련되고,
    복수로 마련되는 세트 중 제1 세트의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제2 세트의 상기 제1 결합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1 세트 및 상기 제2 세트의 상기 제1 결합부의 저면부는 상기 제2 결합부의 저면부보다 높게 마련되고 상기 제1 결합부의 제1 수평부의 상면부는 상기 제2 결합부의 제2 수평부의 상면부보다 낮게 마련되는 JM패널 스트라이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복수의 굴곡 돌출부 중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굴곡 돌출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1 수직부;
    상기 제1 수직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 수직부와 수직되게 외측으로 마련되는 상기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의 단부에 굴곡지게 마련되는 제1 굴곡부; 및
    상기 제1 굴곡부의 단부에 상기 제1 수평부와 반대 방향으로 마련되며 상면부가 상기 제1 수평부의 저면부에 접하는 단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 플레이트의 저면부가 상기 제2 결합부의 제3 수평부보다 높게 마련되는 JM패널 스트라이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 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2 수직부;
    상기 제2 수직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 결합부의 방향으로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2 수평부;
    상기 제2 수평부의 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3 수직부;
    상기 제3 수직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 결합부와 반대 방향으로 마련되되 상기 제2 수평부와 평행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2 수평부보다 길게 마련되는 제3 수평부;
    상기 제3 수평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2 수직부의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볼록 돌출부; 및
    상기 볼록 돌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 결합부와 반대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4 수평부를 포함하는 JM패널 스트라이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굴곡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1 돌출 수직부;
    상기 제1 돌출 수직부의 단부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마련되는 제1 돌출 굴곡부; 및
    상기 제1 돌출 굴곡부의 단부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부로 수직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돌출 수직부와 평행하게 마련되는 제2 돌출 수직부를 포함하는 JM패널 스트라이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굴곡부의 최상단 높이는 상기 단부 플레이트의 저면부의 높이와 동일하게 마련되는 JM패널 스트라이프.
KR1020200115389A 2020-09-09 2020-09-09 Jm패널 스트라이프 KR20220033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389A KR20220033235A (ko) 2020-09-09 2020-09-09 Jm패널 스트라이프
KR1020230089215A KR20230107532A (ko) 2020-09-09 2023-07-10 Jm패널 스트라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389A KR20220033235A (ko) 2020-09-09 2020-09-09 Jm패널 스트라이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9215A Division KR20230107532A (ko) 2020-09-09 2023-07-10 Jm패널 스트라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235A true KR20220033235A (ko) 2022-03-16

Family

ID=809377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389A KR20220033235A (ko) 2020-09-09 2020-09-09 Jm패널 스트라이프
KR1020230089215A KR20230107532A (ko) 2020-09-09 2023-07-10 Jm패널 스트라이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9215A KR20230107532A (ko) 2020-09-09 2023-07-10 Jm패널 스트라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332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633Y1 (ko) * 2022-09-20 2023-03-20 김효정 건축용 패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447Y1 (ko) 2005-10-14 2006-01-11 (주) 일광메탈포밍 지붕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447Y1 (ko) 2005-10-14 2006-01-11 (주) 일광메탈포밍 지붕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633Y1 (ko) * 2022-09-20 2023-03-20 김효정 건축용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532A (ko) 202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07532A (ko) Jm패널 스트라이프
KR101590794B1 (ko) 콘크리트 충전형 기둥과 연결마구리판을 이용한 유닛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157055B1 (ko) 주름 신장 결합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횡패널 및 이의 횡방향 시공방법
RU2062323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здания и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926476B1 (ko) 건축물의 수직 패널
JP4568136B2 (ja) 棟瓦梁支持金具。
KR102344554B1 (ko) 프레임 구조물 체결 구조
JP2005343573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室
JP5516843B2 (ja) 3ウェイ方式のパネル連結構造及び連結金具
KR102098025B1 (ko) 저장탱크
KR102145328B1 (ko) 건축물의 에코락 패널
JP6937155B2 (ja) 基礎パッキン用スペーサ
KR101922216B1 (ko)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KR102576034B1 (ko) 외벽 패널 조립 구조
KR102157056B1 (ko) 주름 신장 결합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종패널 및 이의 종방향 시공방법
KR102669552B1 (ko) 조립 및 시공이 용이한 샌드위치판넬
KR102642521B1 (ko) 건축물의 외장 패널 어셈블리
CN218028333U (zh) 一种安装方便的隔墙板
KR200175294Y1 (ko) 옹벽 마감용 패널구조
JP2013189789A (ja) 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接続構造
CN220058367U (zh) 一种电梯井道防水结构
KR102619873B1 (ko)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정렬 조립체
CN216892987U (zh) 一种转角连接件及转角建筑结构
KR200494014Y1 (ko) 시공이 편리한 내화 클레딩 조립체
KR200155279Y1 (ko) 2중 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