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200A - 시선 추적 기반 간성 뇌증 진단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시선 추적 기반 간성 뇌증 진단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200A
KR20220033200A KR1020200115314A KR20200115314A KR20220033200A KR 20220033200 A KR20220033200 A KR 20220033200A KR 1020200115314 A KR1020200115314 A KR 1020200115314A KR 20200115314 A KR20200115314 A KR 20200115314A KR 20220033200 A KR20220033200 A KR 20220033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ye
guide
eye movement
ga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3195B1 (ko
Inventor
강민규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15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195B1/ko
Publication of KR20220033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3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by tracking eye movement, gaze, or pupil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91Fixation targets for viewing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1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or recording eye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5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
    • A61B5/4064Evaluating the br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Abstract

본 개시는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측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측정하는 방법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가이드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가이드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사용자 시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선 추적 기반 간성 뇌증 진단 방법 및 장치 {APPARATUS AND METHOD OF DIAGNOSING HEPATIC ENCEPHALOPATHY BASSED ON EYETRACKING}
본 개시는 시선 추적 기반으로 사용자의 질환을 진단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선 추적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간성 뇌증을 진단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간은 인체의 화학 공장이라 불릴 만큼 중요한 대사 작용을 수행한다. 간은 인체 내의 독성 물질을 해독할 수 있다. 신체 내에서 단백질이 분해되면 암모니아가 생성되고 암모니아는 간에서 요소로 바뀌어 몸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간경변증이 심해 간의 기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경우 암모니아가 그대로 신체 내에 남아 혈액으로 순환하며 뇌에 나쁜영향을 미치거나, 대장에 머물러 있는 대변을 통해 간성 뇌증을 유발할 수 있다. 간성 뇌증을 유발하는 원인으로는 과다한 단백질 섭취, 위장관의 출혈로 혈변과 피를 토하는 것, 변비, 심한 탈수, 복막염 등의 각종 감염증, 수분-전해질 불균형, 신기능 저하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간성 뇌증은 환자의 증상과 간단한 신체 검사로 진단하거나, 혈액을 이용하여 검사될 수 있었으며, 성격이 바뀌는 등의 증세가 나타나거나, 양팔을 쭉 펴서 손끝을 위로하고 손바닥을 앞으로 향하여 폈을 ?? 손끝이 떨리거나 아래로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미세 간성 뇌증으로 의심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방법에 따라 간성 뇌증을 진단하는 경우, 간성 뇌증의 판단 기준이 불명확하고 주관적이어서 정확하고 신속하게 간성 뇌증을 진단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객관적인 기준에 근거하여 간성 뇌증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진단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20-036909호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측정하는 방법 및 안구 운동을 측정하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미리 설정된 안구 운동 모델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간성 뇌증을 진단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측정하는 방법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가이드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가이드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사용자 시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측정하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에 있어서, 광원; 적어도 하나의 렌즈;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컨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가이드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가이드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 시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간성 뇌증을 진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안구 운동 측정 장치로 안구 운동 모델을 포함하는 가이드 컨텐츠를 전송하고, 상기 안구 운동 측정 장치로부터 사용자 시선 추적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경로 정보 및 가이드 컨텐츠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간성 뇌증 환자인지 진단하고, 상기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가이드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가이드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사용자 시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시선을 추적함으로써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안구 운동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간성 뇌증을 객관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측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측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구 운동 측정 장치 및 전자 장치가 서로 연동함으로써 사용자의 간성 뇌증을 진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구 운동 측정 장치 및 전자 장치가 서로 연동함으로써 사용자의 간성 뇌증을 진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안구 주변에 부착되는 센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 및 가이드 컨텐츠상의 가이드 경로를 비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간성 뇌증 환자를 식별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간성 뇌증 환자를 식별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간성 뇌증 환자를 식별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간성 뇌증 환자를 식별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구 운동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구 운동 측정 장치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구 운동 측정 장치 또는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서버의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측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간성 뇌증 진단 시스템(10)은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 전자 장치(2000) 및 서버(30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성 뇌증 진단 시스템(10)은 사용자의 안구 운동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간성 뇌증을 신속하고, 객관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종래 간성 뇌증을 진단하는 방법들은 시각, 청각 등의 반응 속도를 통해 간경변 환자를 개략적으로 파악하거나, 사용자의 주관적인 기준에 근거하여 진단함에 따라 객관적인 간성 뇌증의 진단에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개시에 따른 간성 뇌증 진단 시스템은 VR 장치와 같은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안구 운동 변화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전자 장치(200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간성 뇌증을 효과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사용자(102)의 안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타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가상 현실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로써,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장치,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장치, 또는 가상 현실 헤드셋(Virtual Reality Headset, VRH)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들과 결합하여 가상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합형 가상 현실 서비스 지원 장치이거나, 자체적으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단독으로 가상 현실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독형 가상 현실 서비스 지원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사용자의 안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안구 운동 모델들을 가이드 컨텐츠로써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가이드 컨텐츠들을 전자 장치(2000)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가이드 컨텐츠들은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 상술한 안구 운동 모델들을 가상 현실 컨텐츠로써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증강 현실, 가상 현실 또는 혼합 현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 내에서, 상술한 가이드 컨텐츠들을 출력할 수 있고, 가이드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본 개시에 따른 사용자(102)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들(예컨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들을 이용하여, 안구 운동 측정 장치 내부의 디스플레이 또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에 결합된 스마트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102)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를 통하여 가상 현실, 증강 현실 또는 혼합 현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시청함으로써, 완전한 가상 현실 환경에 몰입(immersed)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상에 가상 현실 컨텐츠로써 가이드 경로(112)를 표시할 수 있다.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의 사용자(102)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 내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통하여 가이드 경로(112)를 시청할 수 있다.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가이드 경로를 시청하는 사용자 시선의 위치(122)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사용자의 제1 안구의 시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안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고, 제2 안구의 시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2 안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며, 제1 안구 움직임 벡터 또는 제2 안구 움직임 벡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식별된 사용자 시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생성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0)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로부터 획득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2000)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로 전송한 가이드 컨텐츠와 함께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 및 가이드 경로(112)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간성 뇌증 환자 인지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진단 결과를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2000)로 전송함과 함께,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 및 가이드 경로(112)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간성 뇌증 환자 인지 여부를 스스로 진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 및 가이드 경로(112)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안구가 비전형적인 안구 운동을 나타내고 있는지, 날카롭기 튀는 형상(jerk or saccadic movement)의 운동을 나타내고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비전형적인 안구 운동을 나타내는 움직임이 식별되는 경우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 사용자를 간성 뇌증 환자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진단 결과를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전자 장치(1000)는, 디지털 카메라, 모바일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전자북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전자 장치(2000)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수 있는 장치(wearable device)일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액세서리 형 장치(예컨대, 시계, 반지, 팔목 밴드, 발목 밴드,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 장치(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 장치(예컨대,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생체 이식형 장치(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자 장치(1000)가 스마트 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 및 전자 장치(20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 및 전자 장치(20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300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 및 전자 장치(2000)는 서버(3000)와 연동함으로써, 가이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 시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생성된 이동 경로 및 가이드 컨텐츠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간성 뇌증 환자 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 전자 장치(2000) 및 서버(3000)는 각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미도시)는 전자 장치(1000)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미도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 및 서버(2000)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측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S21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가이드 컨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경로를 포함하는 가이드 경로 컨텐츠 및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형상을 포함하는 가이드 형상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가이드 경로 컨텐츠 또는 가이드 형상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가이드 경로 컨텐츠는 선형, 곡선형 또는 점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이드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형상 컨텐츠는 점선면, 색상이 표시된 정적 가이드 형상, 색상이 표시된 동적 가이드 형상 또는 점멸하는 점멸 가이드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컨텐츠의 색상, 형상, 모양은 안구 운동을 측정하기 위한 임의의 색상, 형상, 또는 모양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가이드 컨텐츠는 섞여 있는 아라비아 숫자와 글자(한글 자음 또는 알파벳)를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1-가-A 등), 1-2-3-4와 같이 아라비아 숫자를 순서대로 연결하여 생성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가이드 컨텐츠는 시작점과 끈 점이 존재하는 지그재그 선형, 물결 곡선형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가이드 컨텐츠는 비디오, 오디오 정보 외에,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진동 또는 후각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점멸 가이드 형상은, 일정 시간 동안 깜빡이는 형상으로써 일정 시간 동안 안구 운동 측정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후 사라졌다가, 다시 소정의 시간 후에 안구 운동 측정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동작이 반복되는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가이드 경로 컨텐츠 및 가이드 형상 컨텐츠는 가상 현실, 증강 현실 또는 혼합 현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상 환경에서 구현되는 가상 현실 컨텐츠일 수 있다.
S22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전자 장치(2000)로부터 획득된 가이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측정하기 위한 안내 정보 및 검사 정보를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더 출력할 수 있다.
S23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출력된 가이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사용자 안구의 망막에 반사됨으로써 나타나는 반사광을 센싱하고, 센싱된 반사광에 기초하여 생성된 사용자의 안구 이미지에서 식별되는 안구 위치에 기초하여 안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안구 움직임 벡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사용자 안구 주변에 위치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근전도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근전도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안구의 움직임 벡터를 식별할 수 있다.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사용자 안구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S24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사용자 시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식별된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시간 간격으로 누적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S25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생성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생성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2000) 또는 서버(3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데 걸리는 시간 및 상기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소정의 시간 간격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더 전송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구 운동 측정 장치 및 전자 장치가 서로 연동함으로써 사용자의 간성 뇌증을 진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S302에서, 전자 장치(2000)는 안구 운동 모델을 포함하는 가이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0)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경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형상을 포함하는 가이드 컨텐츠를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2000)가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로 전송하는 가이드 컨텐츠는 비디오, 오디오 또는 후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304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전자 장치(2000)로부터 수신된 가이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S306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가이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가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하는 과정은 후술하는 도 5 내지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S308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식별된 사용자 시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S308은 도 2의 S240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31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2000)로 전송할 수 있다. S310은 도 2의 S250에 대응될 수 있다.
S312에서, 전자 장치(2000)는 획득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및 가이드 컨텐츠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0)는 가이드 컨텐츠 내 가이드 경로와 이동 경로를 이용하여 가이드 경로 및 이동 경로의 접점의 수, 가이드 경로 및 이동 경로의 차이에 대응되는 차 경로의 면적, 이동 경로가 생성되는데 걸리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S314에서, 전자 장치(1000)는 이동 경로 및 가이드 컨텐츠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간성 뇌증 환자 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가이드 경로 및 이동 경로의 접점의 수, 가이드 경로 및 이동 경로의 차이에 대응되는 차 경로의 면적, 이동 경로가 생성되는데 걸리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간성 뇌증 환자 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S316에서, 전자 장치(2000)는 진단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S318에서, 전자 장치(2000)는 진단 결과를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S32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전자 장치(2000)로부터 전송된 진단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구 운동 측정 장치 및 전자 장치가 서로 연동함으로써 사용자의 간성 뇌증을 진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S402에서, 전자 장치(2000)는 안구 운동 모델을 포함하는 가이드 컨텐츠를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S404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전자 장치(2000)로부터 전송된 가이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S406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가이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가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은 후술하는 도 5 내지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S408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식별된 사용자 시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S41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2000)로 전송할 수 있다. S412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가이드 컨텐츠 및 이동 경로를 비교할 수 있다. S414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간성 뇌증 환자 인지 진단할 수 있다.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가 이동 경로 및 가이드 컨텐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간성 뇌증 환자인지 진단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하는 도 9 내지 1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S416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진단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S418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진단 결과를 전자 장치(2000)로 전송할 수 있다. S420에서, 전자 장치(2000)는 진단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에서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가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2000)로 전송하면, 전자 장치(2000)가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 시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생성된 이동 경로를 가이드 컨텐츠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간성 뇌증 환자 인지 여부를 식별하였다. 그러나 도 4에서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가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 컨텐츠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간성 뇌증 환자 인지 여부를 직접 진단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도 3 내지 4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간성 뇌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 중 적어도 일부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 또는 전자 장치(2000) 각각에서 수행되거나,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 및 전자 장치(2000)에서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S51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 내 광원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사용자 안구의 망막에 반사됨으로써 반사되는 반사 광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이미지 센서 또는 광검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센서 또는 광검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반사 광을 센싱할 수 있다.
S52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측정된 반사광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왼쪽 안구에 관한 제1 안구 이미지,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안구에 관한 제2 안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내 이미지 센서 또는 광검출 센서는 획득한 센싱 값을 안구 운동 측정 장치 내의 프로세서로 전달하고, 프로세서는 센싱 값을 이용하여 제1 안구 이미지 또는 제2 안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S53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제1 안구 이미지 및 제2 안구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제1 안구 움직임 벡터 및 제2 안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안구 이미지 내 안구 영역을 식별하고, 식별된 안구 영역의 경계 또는 안구 영역의 중심 픽셀의 좌표를 식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제1 안구 이미지 내 사용자 안구 영역을 식별하고, 식별된 안구 영역의 경계 또는 안구 영역의 중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제1 안구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제2 안구 이미지 내 사용자 안구 영역을 식별하고, 식별된 안구 영역의 경계 또는 안구 영역의 중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제2 안구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미리 설정된 기준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기준 위치 정보는 사용자의 안면에서 양 안구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임의의 좌표 일 수 있다.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기준 위치 정보 및 상기 제1 안구 위치 정보의 차이에 기초하여 제1 안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기준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안구 위치 정보의 차이에 기초하여 제2 안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S54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제1 안구 움직임 벡터 및 제2 안구 움직임 벡터를 가중합함으로써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소정의 가중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가중치를 제1 안구 움직임 벡터 및 제2 안구 움직임 벡터에 적용함으로써, 가중합 벡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중합 벡터의 시점 및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가중합 벡터의 종점을 사용자 시선의 위치로 식별할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S61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사용자의 안구 주변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근전도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의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근전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전도 센서는 사용자 안구 주변의 근육의 활동 전위인 근전도 신호(EMG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주변의 안구 회전 근육은 총 6개의 근육들로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구 근육은 두쌍의 직근(rectus muscle)과 한쌍의 사근(oblique superior)로 이루어져 있고, 직근은 pitch, tilt 방향의 움직임을, 사근은 roll 방향의 움직임을 담당할 수 있다. 상술한 각 쌍의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통해 안구가 회전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직근 쌍은 시선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지 않아 pitch, tilt 움직임 외에도 약간의 roll 움직임을 유발할 수 있고, 사근은 이를 상쇄시킬 수 있다. 안구 주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근전도 센서는, 눈 주변의 근육으로부터 발생하는 근전도(EMG)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근전도 신호를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의 프로세서로 전달할 수 있다.
S62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근전도 신호에 따른 안구 운동 신호 패턴 및 미리 설정된 안구 운동 신호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소정의 안구 움직임 벡터에 대응되는 안구 운동 신호 패턴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움직임 벡터의 시점, 크기 및 방향에 따라 안구 운동 신호 패턴은 달라질 수 있다. 안구 운동 신호 패턴은 근전도 신호 파형의 세기, 크기(높낮이), 진폭, 진동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근전도 신호가 나타내는 안구 운동 신호 패턴과 미리 메모리에 저장된 안구 운동 신호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S63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움직임 벡터 및 제2 움직임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안구 운동 신호 패턴들 중, 근전도 신호가 나타내는 안구 운동 신호 패턴과 매칭되는 안구 운동 신호 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식별된 안구 운동 신호 패턴에 대응되는 움직임 벡터를 사용자 안구의 움직임 벡터로 식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사용자의 왼쪽 눈 주변의 근전도 신호에 대응되는 안구 운동 신호 패턴을 식별함으로써 제1 안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오른쪽 눈 주변의 근전도 신호에 대응되는 안구 운동 신호 패턴을 식별함으로써 제2 안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S64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결정된 제1 안구 움직임 벡터 및 제2 안구 움직임 벡터를 가중합함으로써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소정의 가중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가중치를 제1 안구 움직임 벡터 및 제2 안구 움직임 벡터에 적용함으로써, 가중합 벡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중합 벡터의 시점 및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가중합 벡터의 종점을 사용자 시선의 위치로 식별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안구 주변에 부착되는 센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안구 주변에 위치할 수 있는 근전도 센서(732, 734, 736, 738)이 도시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근전도 센서들은 안구 운동 측정 장치 내 디스플레이 또는 렌즈에 장착되고, 사용자가 안구 운동 측정 장치를 착용 시에, 사용자 안구의 주변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안구(710) 및 안구(720) 각각에 상술한 근전도 센서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은 사용자의 안구(710) 및 안구(720)각각에 대하여 4개씩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근전도 센서들(732, 734, 736, 738)은 사용자 안구 근육으로부터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근전도 신호를 안구 운동 측정 장치 내 프로세서로 전달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 및 가이드 컨텐츠상의 가이드 경로를 비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미리 설정된 가이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810)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가이드 컨텐츠는 가이드 경로 컨텐츠 또는 가이드 형상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이드 경로 컨텐츠에 따른 가이드 경로(820)가 도시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가이드 경로 컨텐츠는 시작점, 끝점 및 상기 시작점 및 끝점을 연결하는 곡선을 포함할 수 있다.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가이드 경로에 대한 사용자 시선의 위치(836)를 식별할 수 있다.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가 제1 안구 이미지로부터 제1 안구 움직임 벡터(832)를 식별하고, 제2 안구 이미지로부터 제2 안구 움직임 벡터(834)를 식별하는 과정은 도 5 내지 도 6에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사용자 시선의 위치(836)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저장함으로써 이동 경로(844)를 생성할 수 있다.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이동 경로(844) 및 가이드 컨텐츠 내 가이드 경로(842)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간성 뇌증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가 이동 경로(844) 및 가이드 컨텐츠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간성 뇌증을 식별하는 방법은 후술하는 도 9 내지 1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간성 뇌증 환자를 식별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S91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이동 경로 및 가이드 경로의 차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이동 경로 및 가이드 경로 내 각각의 경로 값들을 뺌으로써 차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S92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차 경로를 적분함으로써 차 경로에 대응되는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차 경로 내 차 경로 값들의 절대 값을 식별하고, 식별된 절대 값을 적분함으로써 차 경로에 대응되는 면적을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이동 경로 및 가이드 경로의 차이를 ROC 커브로 나타내고, ROC 커브가 나타내는 면적을 결정할 수도 있다.
S93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상술한 면적이 기 설정된 임계 면적보다 큰 경우 사용자를 간성 뇌증 환자로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상술한 ROC 커브의 면적을 식별하고, 식별된 ROC 커브의 면적이 기 설정된 임계 면적 보다 큰 경우 사용자를 간성 뇌증 환자로 식별할 수도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간성 뇌증 환자를 식별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S101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이동 경로 및 가이드 경로가 만나는 접점의 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이동 경로 및 가이드 경로가 서로 교차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점을 접점으로 식별하고, 이동 경로 및 가이드 경로가 서로 교차하는 횟수를, 접점의 수로 식별할 수 있다. S102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접점의 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사용자를 간성 뇌증 환자로 식별할 수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간성 뇌증 환자를 식별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가이드 컨텐츠는 가이드 형상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형상 컨텐츠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점멸하는 점멸 가이드 형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점멸 가이드의 형상은 안구 운동 측정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 제1 위치에서 점별하는 제1 점멸 가이드 형상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 제2 위치에서 점멸하는 제2 점멸 가이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점멸 가이드 형상은 특정 물체의 형상 또는 입체적인 모양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을 정도의 점,선, 면, 문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112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제1 점멸 가이드 형상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S114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식별된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가, 제2 점멸 가이드 형상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로 이동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S116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측정된 시간이 소정의 임계 시간 보다 큰 경우 사용자를 간성 뇌증 환자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가 제공하는 점멸 가이드 형상은 안구 운동 측정 장치 내 렌즈 바탕에 잘 보이는 형상으로 제공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사라질 수 있으며, 일정 시간 이후에 같은 또는 다른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점멸하는 가이드 형상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발생할 경우, 점멸 가이드 형상을 따라가는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사용자 안구 운동을 분석할 수 있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간성 뇌증 환자를 식별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도 9 내지 11에서 상술한, 이동 경로 및 가이드 경로의 차 경로가 나타내는 면적, 이동 경로 및 가이드 경로가 서로 만나는 접점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함으로써 사용자가 간성 뇌증 환자 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도 있다.
S122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이동 경로 및 가이드 경로의 차 경로가 나타내는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S1220은 상술한 S920에 대응될 수 있다. S124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이동 경로 및 가이드 경로가 만나는 접점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S1240은 도 10의 S1010에 대응될 수 있다.
S1260에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S1220에서 결정된 면적이 기 설정된 임계 면적 보다 큰지 여부 또는 상술한 S1240에서 식별된 접점의 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함으로써 사용자가 간성 뇌증 환자 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도 있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구 운동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광원(1800), 적어도 하나의 렌즈(1900), 디스플레이(12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0), 메모리(1700) 및 프로세서(13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나 도시된 구성 요소가 모두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전자 장치(10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전자 장치(1000)는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사용자 입력부(1100), 출력부(1200), 센싱부(1400), A/V 입력부(16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사용자가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0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입력부(1100)는 사용자의 모션을 캡처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 또는 오디오 레코딩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입력부(1100)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센싱부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안구 모션에 기초한 센싱값을 이용하여, 사용자 시선의 위치, 사용자 시선의 방향, 머리의 움직임, 손 또는 팔 중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를 식별할 수 있다.
출력부(12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1200)는 디스플레이부(1210), 음향 출력부(1220), 및 진동 모터(12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에서 가상 현실을 위한 컨텐츠들을 표시할 수 있다.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는 가상 현실 공간 내 가이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면은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0)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프로세서(1300)는 프로세서(1300)는, 통상적으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0)는,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12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0)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0)는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12에 기재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30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컨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가이드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가이드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 시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30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경로를 포함하는 가이드 경로 컨텐츠를 획득하고,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형상을 포함하는 가이드 형상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300)는 상기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측정하기 위한 안내 정보 및 검사 정보를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300)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 내 광원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사용자 안구의 망막에 반사됨으로써 반사되는 반사 광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반사광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왼쪽 안구에 관한 제1 안구 이미지,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안구에 관한 제2 안구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안구 이미지 및 제2 안구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제1 안구 움직임 벡터 및 제2 안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1 안구 움직임 벡터 및 제2 안구 움직임 벡터를 가중합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300)는 상기 제1 안구 이미지 내 사용자 안구 영역을 식별함으로써 제1 안구 위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안구 이미지 내 사용자 안구 영역을 식별함으로써 제2 안구 위치 정보를 결정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 위치 정보 및 상기 제1 안구 위치 정보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안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고, 상기 기준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안구 위치 정보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안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300)는 사용자의 안구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근전도 신호를 획득하고, 근전도 신호에 따른 안구 운동 신호 패턴과 기 설정된 안구 운동 신호 패턴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안구 움직임 벡터 및 제2 안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시릿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300)는 제1 안구 움직임 벡터 및 제2 안구 움직임 벡터를 가중합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300)는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상기 시간 간격으로 누적하여 표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300)는 상기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데 걸리는 시간 및 상기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소정의 시간 간격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더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300)는 이동 경로 및 상기 가이드 경로의 차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차 경로를 적분함으로써 상기 차 경로에 대응되는 면적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면적이 기 설정된 임계 면적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를 간성 뇌증 환자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300)는 상기 생성된 이동 경로 및 상기 가이드 경로가 서로 만나는 접점의 수를 식별하고, 접점의 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를 간성 뇌증 환자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300)는 제1 점멸 가이드 형상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시선을 식별하고,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제2 점멸 가이드 형상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로 이동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시간이 소정의 임계 시간 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를 간성 뇌증 환자로 식별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의 상태 또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 주변의 상태 또는 사용자의 움직임, 사용자 안구의 움직임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프로세서(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센싱부(140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0),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0), 온/습도 센서(1430), 적외선 센서(1440), 자이로스코프 센서(1450),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0), 기압 센서(1470), 근접 센서(1480), 모션 센서(미도시), RGB 센서(1490), 자이로스코프 센서(1450) 및 근전도 센서(149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0)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가 전자 장치(2000), 및 서버(3000)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10),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1520), 이동 통신부(1530) 및 방송 수신부(154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10)는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1520)는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 232(recommended standard 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53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54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가 방송 수신부(154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0)는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가이드 컨텐츠, 안내 정보,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후각 정보 등을 수신할 수도 있고, 사용자 시선의 위치,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를 이용한 진단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20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0)와 마이크로폰(16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0)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 또는 광검출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610)는 광원(1800)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사용자의 안구에 반사되어 생성되는 반사광을 센싱하고, 센싱된 반사광을 이용하여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안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프로세서(13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1700)는, 프로세서(13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고,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로 입력 되거나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메모리(1700)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의 다양한 모듈,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패키지 서비스, 가상 장치 모델 등에 필요한 명령어 집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명령어는,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측 장치를 통해 실행 가능한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0)는 또한, 메모리(1700)는 이미지 및 메모리(1700)에 저장된 이미지를 탐색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0)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에 저장된 이미지들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710), 터치 스크린 모듈(1720), 알림 모듈(173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710)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안구 운동 측정 장치 (10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프로세서(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알림 모듈(1730)은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1730)은 디스플레이부(1210)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220)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230)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광원(180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1800)는 미리 설정된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광원(1800)에서 생성된 광들은 사용자 안구 또는 안구의 망막에 반사되어, 카메라에서 센싱될 수 있다.
렌즈(1900)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양안의 전면에 위치될 수 있다. 렌즈(1900)는 사용자의 양안의 전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들을 통하여,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의 디스플레이상 표시되는 가상 현실을 위한 컨텐츠 또는 가이드 컨텐츠를 사용자로 하여금 시청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구 운동 측정 장치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0)는 사용자 입력부(2100), 출력부(2200), 프로세서(23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00), A/V 입력부(2600) 및 메모리(27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 요소가 모두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전자 장치(20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전자 장치(2000)는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10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20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210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입력부(2100)는 사용자의 모션을 캡처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 또는 오디오 레코딩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입력부(2100)는 전자 장치(2000)를 조작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100)는 센싱부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안구 모션에 기초한 센싱값을 이용하여, 사용자 시선의 위치, 사용자 시선의 방향, 머리의 움직임, 손 또는 팔 중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를 식별할 수 있다.
출력부(22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2200)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 음향 출력부(미도시), 및 진동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미도시)는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 및 가이드 형상 또는 가이드 경로에 관련된 컨텐츠들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미도시)는 가상 현실 공간 내 가이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면은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미도시)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7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미도시)는 전자 장치(20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프로세서(2300)는 프로세서(2300)는, 통상적으로 전자 장치(2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0)는, 메모리(2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출력부(22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00), A/V 입력부(2600) 및 메모리(2700)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0)는 메모리(2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13에 기재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의 적어도 일부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2300)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로 가이드 컨텐츠와 관련된, 비디오, 오디오, 후각 등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0)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로부터 사용자 시선의 위치에 대한 정보,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2300)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로부터 이동 경로 및 가이드 컨텐츠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간성 뇌증 환자 인지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2300)는 진단 결과를 출력하고, 진단 결과를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2300)가 이동 경로 및 가이드 컨텐츠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간성 뇌증 환자 인지 여부를 진단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12에 도시된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수행하는 안구 운동 측정 방법에 대응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00)는 전자 장치(2000)가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 및 서버(3000)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0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 이동 통신부(미도시) 및 방송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는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미도시)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는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 232(recommended standard 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미도시)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미도시)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00)는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안구 운동 측정 장치로 가이드 컨텐츠를 전송하거나, 안구 운동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시선의 위치에 대한 정보,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진단 결과에 대한 정보를 더 수신할 수도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26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미도시)와 마이크로폰(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이미지를 캡처하고, 캡처된 이미지를 프로세서(2300)로 전달함으로써, 프로세서가 이미지를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미도시)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미도시)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미도시)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미도시)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2700)는, 프로세서(23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고, 전자 장치(2000)로 입력되거나 전자 장치(20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700)는 가이드 컨텐츠에 대한 정보, 사용자 시선의 위치에 대한 정보,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진단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7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미도시), 터치 스크린 모듈(미도시), 알림 모듈(미도시)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미도시)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전자 장치(20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미도시)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프로세서(2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미도시)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미도시)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알림 모듈(미도시)은 전자 장치(20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미도시)은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미도시)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구 운동 측정 장치 또는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서버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서버(3000)는 통신부(3100), 데이터 베이스(3200) 및 프로세서(330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0)는 프로세서(330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2000) 또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과, 가이드 컨텐츠들, 사용자 시선의 위치에 대한 정보,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진단 결과에 대한 정보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0)는 프로세서(3300)의 제어에 의해,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3200)에 미리 저장된 안구 운동 모델을 포함하는 가이드 컨텐츠들의 일부를 전자 장치(2000)로 전송할 수도 있고, 가이드 컨텐츠들의 일부를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데이터 베이스(3200)는 가이드 컨텐츠들, 사용자 시선의 위치에 대한 정보,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3200)는 서버(30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0)는 통상적으로 서버(3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0)는 서버(3000)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통신 인터페이스(3100) 및 데이터 베이스(320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0)는 데이터 베이스(32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내지 14에 기재된 안구 운동 측정 장치(1000) 및 전자 장치(2000)의 동작의 일부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측정하는 방법,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사용자의 안구 운동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간성 뇌증을 진단하는 방법,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간성 뇌증을 진단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측정하는 방법,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사용자의 안구 운동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간성 뇌증을 진단하는 방법 또는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간성 뇌증을 진단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가이드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가이드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사용자 시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경로를 포함하는 가이드 경로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형상을 포함하는 가이드 형상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경로 컨텐츠는 선형, 곡선형 또는 점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이드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형상 컨텐츠는 점선면, 색상이 표시된 정적 가이드 형상, 색상이 표시된 동적 가이드 형상 또는 점멸하는 점멸 가이드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경로 컨텐츠 및 상기 가이드 형상 컨텐츠는 가상 현실, 증강 현실 또는 혼합 현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상 환경에서 구현되는 가상 현실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측정하기 위한 안내 정보 및 검사 정보를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 내 광원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사용자 안구의 망막에 반사됨으로써 반사되는 반사 광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반사광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왼쪽 안구에 관한 제1 안구 이미지,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안구에 관한 제2 안구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1 안구 이미지 및 제2 안구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제1 안구 움직임 벡터 및 제2 안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1 안구 움직임 벡터 및 제2 안구 움직임 벡터를 가중합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구 움직임 벡터 및 제2 안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안구 이미지 내 사용자 안구 영역을 식별함으로써 제1 안구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안구 이미지 내 사용자 안구 영역을 식별함으로써 제2 안구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기준 위치 정보 및 상기 제1 안구 위치 정보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안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안구 위치 정보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안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안구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근전도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근전도 신호에 따른 안구 운동 신호 패턴과 기 설정된 안구 운동 신호 패턴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안구 움직임 벡터 및 제2 안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1 안구 움직임 벡터 및 제2 안구 움직임 벡터를 가중합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상기 시간 간격으로 누적하여 표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데 걸리는 시간 및 상기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소정의 시간 간격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더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생성된 이동 경로 및 상기 가이드 경로의 차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차 경로를 적분함으로써 상기 차 경로에 대응되는 면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면적이 기 설정된 임계 면적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를 간성 뇌증 환자로 식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생성된 이동 경로 및 상기 가이드 경로가 서로 만나는 접점의 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접점의 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를 간성 뇌증 환자로 식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멸 가이드 형상은, 상기 안구 운동 측정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 제1 위치에서 점멸하는 제1 점멸 가이드 형상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 제2 위치에서 점멸하는 제2 점멸 가이드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점멸 가이드 형상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시선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제2 점멸 가이드 형상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로 이동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시간이 소정의 임계 시간 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를 간성 뇌증 환자로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4.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측정하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에 있어서,
    광원;
    적어도 하나의 렌즈;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컨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가이드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가이드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 시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안구 운동 측정 장치.
  15. 안구 운동 측정 장치가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가이드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가이드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사용자 시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00115314A 2020-09-09 2020-09-09 시선 추적 기반 간성 뇌증 진단 방법 및 장치 KR102443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314A KR102443195B1 (ko) 2020-09-09 2020-09-09 시선 추적 기반 간성 뇌증 진단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314A KR102443195B1 (ko) 2020-09-09 2020-09-09 시선 추적 기반 간성 뇌증 진단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200A true KR20220033200A (ko) 2022-03-16
KR102443195B1 KR102443195B1 (ko) 2022-09-13

Family

ID=8093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314A KR102443195B1 (ko) 2020-09-09 2020-09-09 시선 추적 기반 간성 뇌증 진단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1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819A (ko) * 2010-07-13 2012-01-19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시선 추적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
JP2017529891A (ja) * 2014-08-04 2017-10-12 ニューヨーク ユニバーシティ 薬物使用、薬物乱用および昏睡、核間性眼筋麻痺、注意欠陥多動性障害(adhd)、慢性外傷性脳症、統合失調症スペクトラム障害、およびアルコール摂取を診断、評価、または定量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キット
KR102020598B1 (ko) * 2018-12-11 2019-09-10 전자부품연구원 생체신호 센서 기반 정신질환 진단 및 치유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시스템
JP2020036909A (ja) 2014-03-19 2020-03-12 インテュイティブ サージカル オペレ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視線追跡を使用する医療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819A (ko) * 2010-07-13 2012-01-19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시선 추적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
JP2020036909A (ja) 2014-03-19 2020-03-12 インテュイティブ サージカル オペレ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視線追跡を使用する医療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7529891A (ja) * 2014-08-04 2017-10-12 ニューヨーク ユニバーシティ 薬物使用、薬物乱用および昏睡、核間性眼筋麻痺、注意欠陥多動性障害(adhd)、慢性外傷性脳症、統合失調症スペクトラム障害、およびアルコール摂取を診断、評価、または定量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キット
KR102020598B1 (ko) * 2018-12-11 2019-09-10 전자부품연구원 생체신호 센서 기반 정신질환 진단 및 치유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조세현, 간성 뇌증. 대한내과학회지. 제73권, 부록2호, 584~591페이지 (200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195B1 (ko)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52578B1 (en) Correlation of bio-signals with modes of operation of an apparatus
CN112034977B (zh) Mr智能眼镜内容交互、信息输入、应用推荐技术的方法
CN107106032B (zh) 控制可穿戴装置的装置和方法
US1134114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o specify persons with good affinity toward each other
KR20160101497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US20160363914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02969B1 (ko) 와치타입 단말기
CN109285602B (zh) 用于自我检查用户眼睛的主模块、系统和方法
KR102399533B1 (ko) 사용자의 활동에 대응하는 스트레스 지수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US20220129942A1 (en) Content output system, terminal device, content outpu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60205450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enabling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a user
CN111698564B (zh) 信息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59676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stress relief by same
CN113918767A (zh) 视频片段定位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50077360A (ko) 차량 사고 녹화 장치 및 그것의 방법
KR102443195B1 (ko) 시선 추적 기반 간성 뇌증 진단 방법 및 장치
US20230026513A1 (en) Human interface device
KR20150109993A (ko) 사용자의 선호 감정 패턴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7409184B2 (ja) 状態推定装置
CN112001442A (zh) 特征检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200052056A (ko) 저혈압의 발생을 식별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30057452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KR102564202B1 (ko) 사용자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해 상호작용하는 가상동물을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8971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76722A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vr/ar 기반 다중지능 검사방법 및 다중지능 검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