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944A - 익모초 및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익모초 및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944A
KR20220032944A KR1020200114910A KR20200114910A KR20220032944A KR 20220032944 A KR20220032944 A KR 20220032944A KR 1020200114910 A KR1020200114910 A KR 1020200114910A KR 20200114910 A KR20200114910 A KR 20200114910A KR 20220032944 A KR20220032944 A KR 20220032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preventing
hair loss
motherwor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희
임윤영
박지영
임종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근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근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근당
Priority to KR1020200114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2944A/ko
Priority to PCT/KR2021/012119 priority patent/WO2022055220A1/ko
Publication of KR20220032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9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0Fumariaceae (Fumitory family), e.g. bleeding heart
    • A61K36/505Coryda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3Leonurus (mother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r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익모초 및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모유두 세포를 증식시키고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며 모발의 손상을 저감시키므로,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익모초 및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HAIR LOSS AND HAIR DAMAGE COMPRISING MIXED EXTRACT OF LEONURUS JAPONICUS HOUTT AND CORYDALIS REMOTA}
본 발명은 익모초 및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모유두 세포를 증식시키고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며 모발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인간의 머리카락은 약 100,000개의 개별 모발의 집합체이며, 모발은 모낭(hair follicle)에 의해 생성된다. 모낭은 모낭 자신, 상피 및 피지선을 재구성하는 데 필요한 모든 세포주를 생성할 수 있는 줄기세포의 저장소 역할을 한다. 모낭은 모유두 세포 (dermal papilla cell: DPC), 모모세포 (hair germinal matrix cell), 외모근초 세포 (outer root sheath: ORS), 내모근초 세포 (inner root sheath: IRS)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유두 세포는 모발의 발생과 성장을 담당하는 핵심 세포로, 모발의 피하에 있는 뿌리인 모근의 가장 밑부분에 위치한다. 실제로 두피에서 모유두 세포를 채집해 배양 후 이식할 경우 모발이 새로 자라난다. 하지만 모유두 세포를 탈모 치료제로 사용하기에는 여러 어려움이 존재한다. 우선 두피로부터의 분리가 어렵고, 배양 조건이 까다로우며 충분한 양의 세포를 배양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많이 배양할 경우 모발 재생 능력이 현저히 저하되는 한계가 있다.
모발은 성장기 (anagen), 퇴화기 (catagen) 및 휴지기 (telogen)의 3단계 주기를 거쳐 성장, 유지 및 탈락된다. 모발이 자라는 기간인 성장기에는 성인의 경우, 하루 평균 0.3mm 정도의 모발이 자라며, 한 달에 1cm 정도 성장하고, 통상 3년 내지 7년간 지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성장기 후 10일 내지 14일 동안 전반적인 모낭세포의 세포사멸 (apoptosis)이 일어나면서 모낭이 축소되는 단계인 퇴화기 (catagen), 평균 3개월의 다음 성장기를 준비하는 단계인 휴지기 (telogen)를 거쳐 모발이 빠지게 되며, 부위별로 모발의 길이가 다른 이유는 각각의 부위에 따라서 모낭의 고유한 특징인 성장기의 지속기간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사람의 모발은 일정한 모발 성장주기 (hair growth cycle)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수의 모발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탈모가 진행되면 모근에 존재하는 모유두가 작아지고, 모유두가 작아지면 머리털의 굵기가 가늘어지고, 동시에 모발 성장주기도 짧아진다. 따라서 탈모가 진행되면 머리털은 매우 가늘어지며 모발 성장주기는 더욱 짧아져 조금 자란 후 빠지게 된다.
탈모의 원인으로는 유전적인 원인, 남성호르몬의 작용뿐만 아니라 내분비 질환, 영양 결핍, 약물 사용, 출산, 발열, 수술 등의 심한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 등의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남성형 탈모는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 (dihydrotestosterone, DHT)의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성 호르몬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은 5α-reductase 효소에 의해 DHT로 활성화되며, 이 DHT가 탈모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DHT는 모낭을 위축시켜 검고 굵은 모발을 가늘고 축 처지게 만드는 연모화 현상을 일으킨다. 또는 모근 파괴물질을 분비시켜 모발을 이른 시기에 퇴행기로 이행시켜 탈모가 진행된다.
현재 국내에서 가장 빈번하게 쓰이는 탈모 치료제로는 피나스테라이드 (finasteride; 상품명 Propecia®), 두타스테라이드 (dutasteride; 상품명 Avodart®), 미녹시딜 (minoxidil; 상품명 마이녹실® 또는 Rogaine®) 등이 있다. 피나스테라이드와 두타스테라이드는 5α-reductase 효소의 작용을 차단해 DHT생성을 억제하지만 성욕감퇴, 발기부전, 운전 및 수행능력 상실 등의 부작용을 나타낸다. 미녹시딜의 경우 도포 부위의 가려움, 홍반, 피부 자극, 눈의 자극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며, 머리 이외에 다른 신체 부위에서의 원치 않는 모발의 성장이 관찰되기도 한다. 또한 최근 중증 탈모 환자들을 대상으로 모발 이식술이 시도되고 있지만, 고가의 비용과 시술 후 부작용이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익모초 (Leonurus japonicus Hout) 및 현호색 (Corydalis remota)은 각각 꿀풀과와 양귀비목과의 식물로 알칼로이드 계열 성분이 주성분이다. 익모초는 생리불순과 생리통 개선 (한국 등록특허 제10-1713310호), 피부 알러지 개선 (한국 등록특허 제10-1525691호) 효능이 알려져 있고, 현호색은 충치 예방 (한국 등록특허 제10-0999597호) 및 여드름 치료 (한국 등록특허 제10-1059359호) 효능이 알려져 있으나, 각각의 탈모 개선 효능은 공지된 바 없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적고 탈모의 개선 효과가 우수한 천연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익모초와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이 모발의 성장 촉진과 손상 감소에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3310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5691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9597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935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익모초 및 현호색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익모초 및 현호색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여 모유두 세포를 증식시키고, 모발의 수와 굵기를 증가시키며, 모발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익모초 (Leonurus japonicus Houtt) 및 현호색 (Corydalis remota)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익모초 및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익모초 추출물과 현호색 추출물의 혼합물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익모초와 현호색의 혼합물의 추출물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익모초와 현호색이 1:1 내지 1:1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혼합 추출물은 익모초와 현호색이 1:3 내지 1:7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용매는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익모초 및 현호색을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교반 또는 침지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조성물은 모유두 세포의 생장기 세포 수를 증가시키고 사멸세포 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샴푸, 린스, 컨디셔너, 화장수, 로션, 크림, 세럼, 에센스, 젤, 팩, 클렌저, 비누, 스프레이, 파우더,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또는 왁스 파운데이션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익모초 및 현호색 혼합 추출물은 모유두 세포를 증식시키고, 모발의 수와 굵기를 증가시키며, 모발의 손상을 감소시키므로,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익모초 및 현호색의 혼합 비율에 따른 모유두 세포의 증식 효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익모초 및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모유두 세포의 세포 주기 변화를 나타낸다.
도 3은 익모초 및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샴푸를 사용하였을 때 모발 굵기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익모초 및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샴푸를 사용하였을 때 모발 수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도 5는 익모초 및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고 있는 샴푸를 사용하였을 때 모발 손상도 개선 정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태양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태양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익모초 (Leonurus japonicus Houtt) 및 현호색 (Corydalis remota)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탈모"는, 그 원인과 무관하게,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를 지칭하며, 예를 들어, 남성형 탈모, 여성형 탈모, 원형 탈모, 휴지기성 탈모, 스트레스성 탈모, 또는 화학요법제로 인해 발생한 탈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손상"은, 모발의 큐티클층이 소실되어 모발의 탄력과 강도가 감소된 상태, 모발 내부의 단백질이 용출되어 다공성화되거나 모발이 거칠어진 상태, 모발이 가늘어지거나 쉽게 갈라지는 상태 등을 지칭하는 의미이다. 모발 손상의 원인으로는 마찰에 의해 모발의 표면 큐티클이 손상되는 물리적 손상, 약품 등의 알칼리제에 의한 화학적 손상, 전열기구 등에 의한 모발 내부의 수분 상실 또는 단백질 변성으로 인한 열적 손상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영양 결핍이나 자외선, 정전기 등에 의해서도 모발이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익모초 및 현호색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추출 방법으로는 교반추출,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냉각 추출 및 초음파추출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탈모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개선"이란,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치료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의 상기 익모초 및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샴푸, 린스, 컨디셔너, 화장수, 로션, 크림, 세럼, 에센스, 젤, 팩, 클렌저, 비누, 스프레이, 파우더,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및 왁스 파운데이션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비경구투여 또는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은 투여방법, 목적부위,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인체에 사용시 투여량은 안전성 및 효율성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량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크림 등의 피부 외용제, 좌제, 주사제 및 멸균주사용액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제화를 위해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희석제 등의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부형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원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모유두 세포 증식 효과를 갖는 생약 후보물질 스크리닝
모유두 세포를 증식시킬 수 있는 물질을 도출하기 위하여, 60 종의 생약 후보물질에 대하여 모유두 세포의 증식율을 측정하였다.
효능평가 물질인 60종 천연물의 70%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여 PBS 1X에 10 mg/ml로 녹인 후 최종 농도가 1 mg/ml이 되도록 희석하였다.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분양받은 탈모 환자의 모낭조직에서 분리한 모유두세포 (primary dermal papilla cell)를 96-well plate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기존의 배지를 제거하고 배지와 각각의 시료를 1/100씩 혼합한 배지를 각 well 당 200 μl씩 처리하였다.
대조군 (PBS 1X를 1/100로 혼합한 모유두세포 배지 처리군) 및 효능평가 물질을 모유두 세포에 처리하여 CO2 배양기에 48시간 배양한 후 CCK-8 assay (Dojindo, Japan, CK04-13)를 통해 세포 증식율을 확인하였다. 이후 plate의 기존 배지를 제거하고 배지와 CCK-8 용액이 1/10씩 혼합된 배지를 100 μl씩 처리하였다. CO2 배양기에 48시간 배양 후, ELISA reader (Molecular device, Spectramax M)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각각의 효능평가 물질의 흡광도 값을 대조군 대비 % 값으로 환산하여 그룹 간 세포 증식율을 비교하였다. 대조군 대비 모유두세포의 증식율이 가장 높은 6 종의 천연물에 대한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냈다.
생약명 대조군 대비 증식율(%)
1 현호색 19.3 ± 3.16
2 속단 7.6 ± 3.10
3 우슬 12.6 ± 4.37
4 익모초 14.1 ± 0.46
5 반하 5.5 ± 2.79
6 지각 12.4 ± 1.82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60 종의 생약 후보물질 중 특히 현호색 추출물 및 익모초 추출물에서 모유두 세포의 증식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익모초 및 현호색의 혼합 비율에 따른 모유두 세포 증식율
익모초 및 현호색의 단일 추출물과 혼합 비율에 따른 혼합 추출물의 모유두 세포 증식율을 실시예 1과 동일한 CCK-8 assay로 확인하였다. 혼합 추출은 원생약 익모초와 현호색을 3:1, 1:1, 1:3, 1:5, 1:7, 1:10 비율에 따라 혼합하여, 추출 용매로 증류수 및 10, 30, 50, 70, 100% 에탄올 수용액을 각각 생약 원료 중량 대비 10 배수로 사용하고 상온에서 교반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건의 추출물들 중 3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모유두 세포 증식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30% 에탄올 추출물 중에서 익모초와 현호색 혼합 비율에 따른 모유두 세포 증식율을 도 1에 나타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익모초 및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은 단일 추출물에 비하여 모유두 세포의 증식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익모초 대비 현호색의 중량비가 증가할수록 더욱 우수한 모유두 세포의 증식활성을 나타내었고, 익모초와 현호색의 중량비가 1:5일 때 가장 우수한 모유두 세포의 증식활성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혼합 추출물의 최적 추출 조건
익모초 및 현호색이 1:5의 중량비로 혼합된 추출물에 대하여 최적의 추출방법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유두 세포 증식율이 가장 우수한 30% 에탄올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 용매 배수 (익모초 및 현호색 중량 대비 7 또는 10 배수)에 따른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상온 및 40℃ 추출 온도 조건에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침지 및 교반 인큐베이터를 각각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방식, 온도, 및 추출 용매 배수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여 익모초 및 현호색 혼합 추출물의 모유두세포 증식 활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한 CCK-8 assay로 분석하고, 사용 원생약 대비 최종 수득한 추출물의 수율을 각각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추출용매 추출온도 추출방식 용매배수 증식율 (%) 수율 (%)
30 %
에탄올
상온
(25 ℃)
침지 7배 15.4±1.2 5.8
10배 20.4±1.9 5.3
교반 7배 13.8±1.7 8.7
10배 19.0±4.3 8.5
40 ℃ 침지 7배 7.2±6.9 7.7
10배 5.0±3.2 8.3
교반 7배 5.6±5.2 8.9
10배 6.4±3.8 9.5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온에서 10 배수의 30% 에탄올을 사용하여 교반 추출하였을 때, 익모초 및 현호색 혼합 추출물의 모유두 세포 증식율 및 수율이 모두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사람 모유두 세포의 세포 주기 변화 분석
익모초 및 현호색 혼합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모유두 세포의 세포 주기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 시험군에 대하여 유동 세포분석 (FACS Canto II (BD))을 수행하였다.
(i) 무처리 대조군
(ii) 미녹시딜 1μM 처리군
(iii) 현호색 추출물 (10 μg/ml) 처리군
(iv) 익모초 추출물 (10 μg/ml) 처리군
(v) 익모초 및 현호색 추출물 (10 μg/ml) 처리군
상기와 같이 미녹시딜 또는 각 추출물을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1 mM BrdU (BD FITC BrdU Flow kit, BD Biosciences, BD559619, BrdU antibody: BrdU (Bu20a) Mouse mAb, Cell signaling, 5292S) 용액을 샘플당 100 μl씩 첨가하여 37℃에서 CO2 배양기에서 2시간 배양한 후 세포를 채집 (harvest)하였다. 세포 채집 시, HBSS 2ml, Trypsin-EDTA 2ml, TNS 3ml을 사용하여 세포를 plate에서 떼어내고 15 ml conical tube를 사용해 원심분리기에서 5분간 가라앉힌 후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3% 소태아혈청 (FBS)을 넣어 세포를 재부유 시킨 후, 마이크로튜브로 옮겼다. BDcytofix/cytoperm buffer(BD Cytofix/Cytoperm™Fixation/Permeabilization Solution Kit를 사용하여, 해당 매뉴얼에 따른 시험 진행)를 100 μl 첨가하고, 15분간 얼음에서 반응 후, BD perm/wash buffer를 1ml 넣고 원심분리기를 돌려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그 후, BD cytoperm permeabilization buffer plus를 100 μl 넣고 10분간 얼음에서 반응 후, BD perm/wash buffer를 1ml 넣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해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다시 BD cytofix/cytoperm buffer를 100 μl 첨가하고, 5분 간 얼음에서 반응 후, BD perm/wash buffer를 1 ml 넣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PBS 705μl과 DNase 300μl를 혼합한 후, 한 샘플 당 100 μl씩 첨가하여 1시간 동안 37℃에서 반응시킨 후, BD perm/wash buffer를 1 ml 넣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1차 항체가 들어간 BD perm/wash buffer를 100 μl 넣고 상온에서 인큐베이션 후 씻어내고, 2차 항체가 들어간 BD perm/wash buffer를 100 μl 넣고 상온에서 인큐베이션 하였다. BD perm/wash buffer를 1ml 첨가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해 상등액을 분리하여 파이펫으로 제거하였다. 7AAD 용액을 20 μl 넣고 DNA를 염색하고, 염색 완충액을 500 μl 넣어 혼합한 후 유세포 분석기 (FAC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무처리 대조군, 양성 대조군으로서 미녹시딜 (minoxidil, sigma-aldrich, M4145) 1 μM 처리군, 현호색 추출물 처리군, 익모초 추출물 처리군, 익모초 및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 (1:5) 처리군에 대하여 세포 주기를 확인한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2에 나타냈다.
세포주기 세포주기별 비율 (%)
무처리 대조군 미녹시딜
1μM
현호색
추출물
(10 μg/ml)
익모초
추출물
(10μg/ml)
익모초 및 현호색 혼합 추출물
(10 μg/ml)
G0-G1 71.6 73.1 73.3 73.3 73.4
S 8.3 13.8 8.49 10.7 14.2
G2-M 11.47 5.96 10.70 9.69 6.81
사멸세포 (apoptosis) 8.6 7.1 5.5 6.3 5.6
표 3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익모초 및 현호색의 단독 또는 혼합 추출물은 무처리 대조군에 비하여 생장기 (G0-G1기, S기) 모유두 세포의 비율이 높고, 사멸세포의 비율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익모초 및 현호색 혼합 추출물의 경우 탈모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미녹시딜의 처리군과 비교하여 생장기 모유두 세포 비율의 증가 및 사멸세포의 감소에서 더욱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익모초 및 현호색 혼합 추출물의 모발 굵기 및 모발 수 개선 효과
익모초 및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이 함유된 샴푸 (시험군)를 사용한 뒤 0, 3, 6개월째의 모발 굵기와 모발 수를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국내 시판 중인 샴푸 1종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실제 임상에서 사용하는 측정기인 folliscope (FOLLISCOPE 2.8, LeadM)를 사용하여 시작 시점 (0개월)과 시료 사용 후 3, 6개월째에 측정을 실시하였다. 일정한 모발 부위의 평가를 위하여, 연구 시작 시점에 피험자의 두정부 탈모 부위에 표시를 하고 측정 시엔 머리 고정대 (stereotatic device)에 머리를 대고 항상 일정한 조건에서 측정하도록 하였다. 모발 굵기와 모발 수는 folliscope 렌즈 배율을 두 가지 (50X, 100X)로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모발 굵기의 변화를 표 4 및 도 3에 나타내고, 모발 수의 변화를 표 5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모발 굵기 (μm) 0개월 3개월 6개월
대조군 0.074 ± 0.010 0.083 ± 0.011 0.090 ± 0.013
시험군 0.059 ± 0.011 0.082 ± 0.014 0.103 ± 0.015
모발 수 (수/cm2) 0개월 3개월 6개월
대조군 160.4 ± 24.78 179.9 ± 26.84 185.1 ± 15.25
시험군 141.4 ± 26.94 188.1 ± 31.89 193.6 ± 25.49
상기 표 4 및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익모초 및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이 함유된 샴푸를 사용한 경우 3, 6개월째에 모발 굵기는 각각 38.3%, 73.6%까지 증가하였다.
또한, 상기 표 5 및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익모초 및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이 함유된 샴푸를 사용한 경우 3, 6개월째에 모발 수는 각각 33.0%, 36.9% 더 증가하여, 익모초 및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은 모발의 굵기와 수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익모초 및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의 모발 손상도 개선 효과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익모초 및 현호색 혼합 추출물이 함유된 샴푸를 사용한 후, 모발 손상도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전자주사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표면 분석)을 통해 샴푸 사용 전과 사용 6개월 후 모발 표피 변화를 X1000 확대 촬영으로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샴푸 사용 전에는 모발 손상의 흔적으로 들뜸 현상 (도 5의 화살표로 표시된 큐티클 층이 뭉개지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샴푸 사용 후, 대조군과 달리 익모초 및 현호색 혼합 추출물이 함유된 샴푸를 6개월간 사용한 실험군의 모발은 전체적인 형태가 안정적이고 큐티클 층이 일정하게 쌓여 있어, 모발의 손상도가 현저하게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8)

  1. 익모초 (Leonurus japonicus Houtt) 및 현호색 (Corydalis remota)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익모초 추출물과 현호색 추출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익모초와 현호색의 혼합물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익모초와 현호색이 1:1 내지 1:1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익모초와 현호색이 1:3 내지 1:7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익모초와 현호색이 1: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에탄올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10 내지 50% 에탄올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30% 에탄올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모유두 세포의 생장기 세포 수를 증가시키고 사멸세포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샴푸, 린스, 컨디셔너, 화장수, 로션, 크림, 세럼, 에센스, 젤, 팩, 클렌저, 비누, 스프레이, 파우더,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또는 왁스 파운데이션으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3. 익모초 (Leonurus japonicus Houtt) 및 현호색 (Corydalis remota)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익모초 추출물과 현호색 추출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익모초와 현호색의 혼합물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익모초와 현호색이 1:1 내지 1:1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8. 제13항에 있어서, 모유두 세포의 생장기 세포 수를 증가시키고 사멸세포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00114910A 2020-09-08 2020-09-08 익모초 및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2003294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910A KR20220032944A (ko) 2020-09-08 2020-09-08 익모초 및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PCT/KR2021/012119 WO2022055220A1 (ko) 2020-09-08 2021-09-07 익모초 및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910A KR20220032944A (ko) 2020-09-08 2020-09-08 익모초 및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944A true KR20220032944A (ko) 2022-03-15

Family

ID=80631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910A KR20220032944A (ko) 2020-09-08 2020-09-08 익모초 및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32944A (ko)
WO (1) WO202205522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597B1 (ko) 2007-12-24 2010-12-10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현호색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되는디하이드로코리달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충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59359B1 (ko) 2008-07-14 2011-08-24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약효가 증강된 현호색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를함유하는 조성물
KR101525691B1 (ko) 2013-11-06 2015-06-03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익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알러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13310B1 (ko) 2016-04-07 2017-03-0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수내츄럴 익모초를 함유하는 생리불순 및 생리통 개선을 위한 여성용 건강식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835B1 (ko) * 2007-10-22 2008-04-16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두피 및 모발 개선을 위한 생약재 추출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20122874A (ko) * 2012-03-02 2012-11-07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생약재 추출물의 정제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606505B1 (ko) * 2013-11-26 2016-03-25 주식회사 탐나모 초음파에 의한 천연물로부터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59516B1 (ko) * 2014-08-01 2016-09-23 전창진 두피 도포용 천연 발모조성물
CN106138449A (zh) * 2016-08-13 2016-11-23 黄剑忠 一种中药防脱发膏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597B1 (ko) 2007-12-24 2010-12-10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현호색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되는디하이드로코리달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충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59359B1 (ko) 2008-07-14 2011-08-24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약효가 증강된 현호색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를함유하는 조성물
KR101525691B1 (ko) 2013-11-06 2015-06-03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익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알러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13310B1 (ko) 2016-04-07 2017-03-0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수내츄럴 익모초를 함유하는 생리불순 및 생리통 개선을 위한 여성용 건강식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5220A1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6029B1 (ko) 자극된 줄기세포 배양액의 발모 촉진능 및 이의 용도
JP6367372B2 (ja) 育毛を刺激する小サイズの幹細胞の能力および当該幹細胞の使用
KR100853761B1 (ko) 노각나무 추출물 및 그 용도
KR20120010699A (ko) 발효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147862B1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60095062A (ko)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KR101359278B1 (ko)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1541470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220032944A (ko) 익모초 및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또는 모발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114307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32974A (ko) 현호색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66797B1 (ko)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EP3205346A1 (en) Composition for hair loss prevention or hair growth stimulation comprising scutellaria alpina extract
JP2021176888A (ja) パープルコーン抽出物を含む皮膚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薬剤学的組成物
KR101438332B1 (ko) 포시티아사이드-에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967338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390379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lonal stem cell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KR102088468B1 (ko) 신품종 콩 scel-1 종자, 그의 식물체 및 그 일부 및 그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KR20200114189A (ko)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대자호를 이용한 천연샴푸 및 그 제조방법
KR102622831B1 (ko) 삼다차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141039B1 (ko) 애기수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32873B1 (ko) 인삼 및 연교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060008662A (ko)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KR101755616B1 (ko) 셀라지넬린, 셀라지넬린 e, 셀라지넬린 a, 셀라지넬린 o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368052B1 (ko) 참도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