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700A - System for Fire Fighting - Google Patents

System for Fire Figh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700A
KR20220032700A KR1020200114353A KR20200114353A KR20220032700A KR 20220032700 A KR20220032700 A KR 20220032700A KR 1020200114353 A KR1020200114353 A KR 1020200114353A KR 20200114353 A KR20200114353 A KR 20200114353A KR 20220032700 A KR20220032700 A KR 20220032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transfer
passag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3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29180B1 (en
Inventor
고재윤
Original Assignee
고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윤 filed Critical 고재윤
Priority to KR1020200114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180B1/en
Priority to PCT/KR2021/012153 priority patent/WO2022055227A1/en
Publication of KR20220032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7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1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1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for tunne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05B13/04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fighting system that automatically or remotely detects the event of a fire accident, and automatically sprays a fire extinguishing fluid and/or removes harmful gases from a fire accident spot in a closed space such as a tunnel, thereby minimizing human casualties. The firef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il device unit formed lo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a wall inside a closed space and having a supply passage or an exhaust passage formed therein to allow air or liquid to move; a transfer device unit having a transfer passage and a delivery passage formed therein, and slidable along the rail device unit through one end slidably fastened with the rail device unit; and a fire response unit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device unit and capable of injecting a fire extinguishing agent delivered through an injection passage formed therein to the inside of the closed space or sucking toxic/harmful gas through a suction passage formed therein.

Description

소방 설비 시스템 {System for Fire Fighting}Fire Fighting System {System for Fire Fighting}

본 발명은 소방 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터널 등 밀폐공간 내부에 발생하는 화재 및/또는 다양한 재난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소방 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that can support a fire and/or various disaster situations that occur in a confined space such as a tunnel flexibly.

기존 터널 등 밀폐공간 내부에는 화재 발생 등에 대응하기 위해 설정된 공간에 소화기 등과 같은 소화설비가 다수 보급되어 있다.In confined spaces such as existing tunnels, a number of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such as fire extinguishers are distributed in the space set up to respond to fires.

하지만 길이가 긴 터널이나 내부 공간 면적이 광범위한 실내 공간이나 밀폐공간의 경우, 설치된 소화설비의 대응만으로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을 뿐 아니라, 소방관이나 터널 관리자 등 전문적인 인력의 수작업 의존하여 화재 사고를 포함한 복합적인 사고에 대응할 수 있는 바, 화재 사고 등에 대한 초등 대응이 지나치게 지연되는 문제점 역시 지적되어 왔다.However, in the case of a long tunnel or an indoor space or confined space with a large internal space area, there are cases where it is not enough to respond to the installed fire extinguishing system alone. Since it can respond to complex accidents, the problem of excessively delayed elementary response to fire accidents has also been pointed out.

또한 최근 도입되고 있는 터널 내 화재 진압 시스템의 경우, 일부 원격 자동화가 진행되고 있으나, 소방 설비가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바, 넓은 밀폐지역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소방 설비를 각각 구비해야 하고, 이에 따라 비용의 증가가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화재 사고에 따라 함께 발생되는 유독가스의 배출이나 저감, 제거 역시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ecently introduced fire suppression system in the tunnel, some remote automation is in progress, but since the firefighting equipment is fixed at a specific location, a number of firefighting equipment must be provided respectively in order to respond to a large enclosed area. There was a problem inevitably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cost, and the problem that the emission, reduction, and removal of toxic gas generated together with a fire accident could not be addressed has been pointed out.

또한 일부 자동화된 시스템의 경우, 화재 현장 이외에도 터널 등 밀폐공간 전역(방호구역 전체)에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전역방출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바, 발생 화재에 대한 대응이 효과적이지 못한 동시에, 소화약제를 비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 역시 지적되어 왔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some automated systems, the “global release method” is adopted, which releases the extinguishing agent throughout the confined space (the entire protection area), such as a tunnel, in addition to the fire site. Problems in using drugs inefficiently have also been pointed ou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화재 사고 발생 시, 이를 자동 또는 원격으로 감지하고, 터널 등의 밀폐공간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 지점에 자동적으로 소화액 분사 및/또는 유해 가스를 제거함으로써, 인명 피해의 최소화를 지원할 수 있는 소방 설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a fire accident occurs, it is automatically or remotely detected, and the extinguishing liquid is automatically sprayed and/or harmful gas is automatically sprayed at the point of the fire accident occurring inside a closed space such as a tunnel. By removing it, it is to provide a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that can support the minimization of human casualties.

다만,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it could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밀폐공간 내부의 벽체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 또는 액체의 이동이 가능한 공급유로 또는 배출유로가 형성되는 레일장치부; 내부에 이송유로 및 전달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장치부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체결되어, 상기 레일장치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이송장치부; 및 상기 이송장치부의 타단부에 체결되며, 밀폐공간의 내측으로 내부에 형성된 분사유로를 통해 전달된 소화약제의 분사 또는 내부에 형성된 흡입유로를 통한 유독/유해가스의 흡입이 가능한 화재대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설비 시스템과 같이 제공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obje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long along the wall inside the enclosed sp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ail device unit in which the air or liquid can move or a supply passage or a discharge passage is formed; a transfer unit having a transfer passage and a transfer passage formed therein, and one end coupled to the rail unit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the transfer unit being slidable along the rail unit; and a fire response unit that is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device and is capable of injecting the extinguishing agent delivered through the injection passage formed inside the enclosed space or inhaling the toxic/toxic gas through the suction passage formed inside; It may be provided with a fire prot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해, 상기 레일장치부는,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상기 공급유로에서 소화약제를 상기 이송장치부로 전달할 수 있는 분출홀; 및 상기 분출홀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홀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설비 시스템으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 device unit, is formed at a set position, the injection hole capable of delivering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from the supply passage accommodated therein to the transfer device unit; and a hole plug capable of selectively opening the ejection hole; may be provided as a fire protection system comprising 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장치부는, 상기 레일장치부의 공급유로 또는 배출유로와 선택적으로 맞춤 체결될 수 있는 이송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이송가이드; 및 일단부가 상기 이송가이드와 체결된 상태로, 상기 이송유로와 연결된 전달유로를 내부에 포함하는 이송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설비 시스템의 형태로도 제공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 device unit supply passage or discharge passage and a transport guide that can be selectively coupled and coupled to the transport guide formed therein;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in the form of a firefighting system comprising a; and a transfer support including a transfer passage connected to the transfer passage therein in a state in which one end is fastened to the transfer guide.

또한 상기 화재대응부는, 일측이 밀폐공간의 내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전달유로와 체결되는 흡입유로 또는 분산유로를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흡입유로가 외부로 노출되는 단부에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분산유로가 외부로 노출되는 단부에는 분사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설비 시스템의 제공을 통해서도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ire response unit, one side of which is opened to the inside of the enclosed space, and accommodates therein a suction flow path or a dispersion flow path fastened to the delivery flow path, and an end of the suction flow path exposed to the outside; a suction port; is formed, the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rough the provision of a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injection holes is formed at an end of the dispersion flow path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해 상기 레일장치부는, 밀폐공간 내측에 일단부가 지그로 고정부착 되는 상기 화재대응부에 소화약제를 공급하는 제1 레일장치부; 및 상기 제1 레일장치부와 설정된 수직 간격으로 이격되고 지그로 고정부착 되어, 상기 화재대응부에서 흡입되는 유독/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가이드하는 재2 레일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설비 시스템의 형태로의 제공 역시 가능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 device includes: a first rail device for supplying a fire extinguishing agent to the fire response unit to which one end is fixed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enclosed space with a jig; and a second rail uni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ail unit at a set vertical interval and fixedly attached with a jig to guide the toxic/toxic gas sucked from the fire response unit to the outsid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in the form of a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또한 상기 이송장치부는, 설정된 내부에 홀 체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홀 체결구는, 상기 이송가이드의 설정된 내부 공간에 고정부착되는 홀 체결몸체; 및 상기 홀 체결몸체를 기준으로 상방 또는 하방 이동이 가능한 홀 체결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홀 체결돌기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한해, 상기 레일장치부에 형성된 분출홀 또는 흡입홀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설비 시스템의 제공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화재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ransfer device unit, further comprising a; hole fasteners set inside, the hole fasteners, the hole fastening body fixedly attached to the set inner space of the transfer guide; and a hole fastening protrusion capable of moving upward or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ole fastening body, and only when the hole fastening protrusion moves downward, the ejection hole or the suction hole formed in the rail unit is selectively opened Through the provision of a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more efficient fire response is possib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소방 설비 시스템은 터널 등 밀폐공간 내에서 화재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자동 또는 원격으로 소방 설비 시스템을 제어하여 정확한 화재 현장에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e accident occurs in a confined space such as a tunnel, the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or remotely control the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to respond to an accurate fire scene in real time.

또한, 방호구역 전체를 대상으로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기존 시스템(전역방출방식) 대비 실질적으로 화재가 발생한 지점에 정확하게 분사(국소방출방식)를 진행할 수 있게 되는 바, 초등 대응이 보다 용이한 동시에 소화약제의 효과적 사용 및 이를 통한 소방 시스템의 화재 진압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system (global release method) that sprays the extinguishing agent for the entire protection area,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spray (local release method) at the point where the fire actually occur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fire suppression ability of the fire fighting system through the effective use of the chemical.

또한 화재 대응과 동시에(선택적으로) 화재 현장에서 발생하는 유독가스의 자동 배기를 통해 유독가스로 인한 2차 사고, 예컨대 질식사나 호흡 곤란, 시계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한 추돌사고나 화재 현장으로의 진입이나 탈출의 어려움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t the same time (optionally) in response to a fire, through the automatic exhaust of toxic gases generated at the site of the fire, secondary accidents caused by toxic gases, such as suffocation, difficulty breathing, collision accidents due to difficulty in securing visibility, or entry or exit into or out of the scene of the fire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difficulties of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이 터널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은 레일장치부와 이송장치부의 슬라이딩 체결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의 전체적인 단면 모습을 나타내고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tunnel.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liding fastening structure of the rail unit and the transfer unit.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이 터널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며, 도 3은 레일장치부와 이송장치부의 슬라이딩 체결 구조를 나타내고 있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의 전체적인 단면 모습을 나타내고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tunnel, Fig.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rail device It shows the sliding fastening structure of the unit and the transfer device, and FIG. 4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10)은 레일장치부(100), 이송장치부(200) 및 화재대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fire protec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ail unit 100, a transfer unit 200, and a fire response unit 300. there is.

레일장치부(100)는 터널 등 밀폐공간의 벽체에 일단이 고정 부착되며, 타단은 이하 후술할 이송장치부(20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레일을 지칭한다.The rail unit 100 has one end fixedly attached to the wall of a closed space, such as a tunnel, and the other end is a rail formed of at least on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supports the transfer unit 200 to be slidably movabl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o.

레일장치부(100)는 단면이 둥근 길게 연장된 내부에 중공(Hole)이 형성된 봉(Bar)을 중심으로 일단에는 지그(Jig) 등과 같은 고정구가 터널 등 밀폐공간의 벽체에 고정 체결되어 상기 봉(Bar)을 고정 지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타단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봉(Bar)의 경우, 단면을 기준으로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으며, 이하 후술할 이송장치부(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지할 수 있는 다각형 등 다양한 단면 및 두께와 폭으로 형성, 제공될 수 있다.The rail device unit 100 has a fixed and fastened fixture such as a jig to the wall of a closed space, such as a tunnel, at one end centering on a bar having a hole formed therein and having a round cross-section. (Bar) to be fixedly supported and at the same time, the other end may be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However, in the case of the aforementioned bar, it is not necessarily circular based on the cross section, and it is formed in various cross sections, thicknesses and widths, such as polygons that can support the sliding movement of the transfer device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일장치부(100)는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레일장치부(110) 및 제2 레일장치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참조).In addition, the rail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rail unit 110 and the second rail unit 120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a set interval (see FIG. 1).

본 발명에 따른 레일장치부(100)는 설정된 일부가 터널 등 밀폐공간의 외부로 노출되고, 봉(Bar) 내부에 형성된 중공(공급유로 및/또는 배출유로가 형성)을 통해 소화약제(물, 소화액 등)를 터널 등 밀폐공간 내부로 도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레일장치부(100)의 일단부에는 별도의 모터 및 소화약제 탱크(소화약제를 수용 가능한 탱크, 일 예로 물탱크)가 포함될 수 있다(소화약제 공급모듈, 130). 즉 레일장치부(100)의 일단부 등 설정된 위치에 제공되는 소화약제 공급모듈(130)인 모터 및 소화약제 탱크 등을 통해 레일장치부(100) 중공(Hole)에 소화약제를 공급할 수 있으며, 모터를 통해 터널 등 밀폐공간 내부로 길게 연장된 레일장치부(100)에 설정된 용량의 소화약제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In the rai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t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a closed space such as a tunnel, and a fire extinguishing agent (water, extinguishing fluid, etc.) can be introduced into a confined space such as a tunnel. To this end, a separate motor and an extinguishing agent tank (a tank capable of accommodating an extinguishing agent, for example, a water tank) may be included at one end of the rail unit 100 (extinguishing agent supply module 130 ). That is,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can be supplied to the hole of the rail device 100 through the motor and the extinguishing agent tank, which are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upply module 130 provided at a set position such as one end of the rail device 100,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ly a fire extinguishing agent of a set capacity to the rail device 100 extending long into a closed space such as a tunnel through a motor.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레일장치부(100)는 제1 레일장치부(110) 및 제2 레일장치부(120)의 목적을 구분하여, 제1 레일장치부(110)를 통해서는 터널 등 밀폐공간 내부로 소화약제를 공급(봉(Bar) 내부의 중공을 소화약제 이송 유로로 활용)하고, 제2 레일장치부(120)를 통해서는 터널 등 밀폐공간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 등에서 발생하는 유해/유독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유로)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레일장치부(110)의 설정된 일단부에는 전술한 모터 및 소화약제 탱크가 체결되는 동시에, 제2 레일장치부(120)의 설정된 위치(일 예로 레일장치부(100)가 터널 등 밀폐공간의 외부 환경으로 노출된 위치 등)에 모터 및 유해가스 제거 필터를 포함하여, 내부의 유해/유독가스를 외부로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는(봉(Bar) 내부의 중공을 유해/유독가스 이송 유로로 활용) 유독가스 배출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ogether with this, the rai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purposes of the first rail device 110 and the second rail device 120, and seals the tunnel through the first rail device 110.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pace (the hollow inside the bar is used as an extinguishing agent transport passage), and through the second rail unit 120, harmful / It can be used as a passage (channel) for discharging toxic gas to the outside. To this end, the motor and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tank are fastened to the set one end of the first rail unit 110, and at the same time, the set position of the second rail unit 120 (for example, the rail unit 100 is a tunnel, etc.) Including a motor and a harmful gas removal filter in a confined space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etc.) used as a flow path) may further include a toxic gas discharge module 140 .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10)은 설치 현장의 특성이나 목적, 화재 등 비상/재난 상황 발생의 가능성 등 다양한 내외부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제1 및 제2 레일장치부(110, 120) 모두 소화약제 공급가 공급되도록 하거나, 유독/유해가스 배출이 되도록 내부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1 및 제2 레일장치부(110, 120)는 어느 하나가 소화약제 공급이 되고, 나머지 하나가 유독/유해가스 배출이 가능한 유로로 활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현장의 상황 등을 감안하여, 제3 레일장치부 등 추가적으로 내부에 유로(소화약제 또는 유독/유해가스 배출 경로)가 형성된 별도의 추가적인 제n 레일장치부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소화약제 공급모듈(130) 및/또는 유독가스 배출모듈(140)을 전술한 제n 레일장치부 내부의 유로를 통해 소화약제 및/또는 유독가스를 보다 원활히 투입 및/또는 배출되도록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However, the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s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and purpose of the installation site,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emergency/disaster situations such as fire, and the first and second rail device parts 110 and 120 ), an internal flow path may be formed so that all fire extinguishing agents are supplied, or toxic/toxic gas is discharged. In addition, if necessary,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ail device parts 110 and 120 may be used as a flow path through which a fire extinguishing agent is supplied and the other one can be discharged toxic/toxic gas.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in the field, etc.,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separate additional n-th rail device in which a flow path (extinguishing agent or toxic/toxic gas discharge path) is additionally formed therein, such as the third rail device. 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upply module 130 and/or the toxic gas discharge module 140 is selectively installed and/or discharged more smoothly with the extinguishing agent and/or the toxic gas through the flow path inside the n-th rail device. can be concluded with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일장치부(10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상된 상면 또는 측면 등의 설정된 위치(또는 상면 또는 측면 등에 설정된 간격으로)에 하나 이상의 분출홀(101, 설정된 폭으로 형성된 구멍, Hole을 지칭) 및/또는 흡입홀(102, 설정된 폭으로 형성된 구멍, Hole을 지칭)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il device unit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ejection holes 101, set width, at a set position (or at an interval set on the upper face or side, etc.) such as an upper surface or a side surface extending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ay include a hole formed as a hole (referring to a Hole) and/or a suction hole (102, a hole formed in a set width, referring to the Hole).

분출홀(101) 및/또는 흡입홀(102)은 이하 후술할 이송장치부(200) 및/또는 화재대응부(300)에서 분출(분사)되는 소화약제가 레일장치부(100)로부터 공급되거나 터널 등 밀폐공간 내 유해/유독가스가 흡입되어 레일장치부(100) 내부로 수용되는 홀(Hole)을 지칭한다.In the ejection hole 101 and/or the suction hole 102,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ejected (sprayed) from the transfer device 200 and/or the fire response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supplied from the rail device 100 or Refers to a hole through which harmful/toxic gas is sucked in a closed space such as a tunnel and accommodated inside the rail unit 100 .

또한 레일장치부(100)는 봉(Bar) 내부 중공에 수용되어 이송되는 소화약제 및/또는 흡입된 가스가 다시 외부로 임의 유출되지 않도록 분출홀(101) 및/또는 흡입홀(102)을 폐쇄하는 별도의 홀마개(103, 레일장치부(100)의 설정된 내측에 탄성부재를 통해 부착)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화약제 공급모듈(130) 및/또는 유독가스 배출모듈(140)을 통해 봉(Bar) 내부의 중공을 통해 이송되는 소화약제 및/또는 유독가스가 임의로 터널 내부 또는 외부로 유출됨이 없이 설정된 유로를 따라 설정된 위치에서 공급 및/또는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소방 설비 시스템(10)의 운영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ail unit 100 closes the ejection hole 101 and/or the suction hole 102 so that the extinguishing agent and/or the inhaled gas that is accommodated and transported in the hollow inside the bar do not flow out arbitrarily to the outside again. It may include a separate hole stopper 103 (attached through an elastic member on the set inside of the rail unit 100). Through this,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and/or toxic gas transferred through the hollow inside the bar through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upply module 130 and/or the toxic gas discharge module 140 arbitrarily flows into or outside the tunnel. By supplying and/or discharging at a set position along a set flow path, a more stable operation of the fire fighting system 10 is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분출홀(101) 및/또는 흡입홀(102)은 이하 후술할 홀 체결돌기(211b)의 상방 이동시, 홀마개(103)가 내부 스프링 등 복원지지체를 통해 자동적으로 레일장치부(100) 내부 중공에 수용된 소화약제 등이 외부로 임의 유출되지 않도록 폐쇄된다. 반면, 홀 체결돌기(211b)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홀마개(103)를 레일장치부(100) 내부로 가압하는 경우, 분출홀(101) 및/또는 흡입홀(102)의 일부가 노출되며, 이를 통해 레일장치부(100) 내부의 중공에 수용된 소화약제, 유독가스 등이 이송장치부(200) 내부의 유로를 따라 이동하거나 전달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ejection hole 101 and/or the suction hole 1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es upward of the hole fastening protrusion 211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hole stopper 103 automatically uses a rail device unit ( 100)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d in the hollow inside is closed so that it does not leak out arbitrarily to the outside. On the other hand, when the hole fastening protrusion 211b moves downward to press the hole plug 103 into the rail device 100, a part of the ejection hole 101 and/or the suction hole 102 is exposed, Through this,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toxic gas, etc. accommodated in the hollow inside the rail device 100 can be moved or delivered along the flow path inside the transport device 200 .

이송장치부(200)는 레일장치부(100)에 일단부가 거치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타단부에는 이하 후술할 화재대응부(300)가 체결되는 슬라이딩 이송모듈을 지칭한다.The transfer unit 200 refers to a sliding transfer module to which the rail unit 100 is slidably moved with one end mounted thereon, and to the other end, a fire response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fastened.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부(200)는 레일장치부(100)와 체결된 상태로 수동 또는 내부의 구동모터와 베어링, 롤러 및 기어/감속기 등으로 구성되는 “슬라이딩 모듈(미도시, 일 예로 계단 난간 손잡이에 부착된 휠체어 탑승기에 포함된 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하여, 레일장치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송가이드(210) 및 화재대응부(300)를 지지하는 동시에 화재대응부(300)에서 분사되는 소화약제 및/또는 흡입하는 유해/유독가스가 레일장치부(1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내부에 유로(통로, 전달유로)가 형성된 이송지지대(220)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transpor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iding module (not shown, one For example, while supporting the transport guide 210 and the fire response unit 300 that sl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100, including "a sliding module included in a wheelchair board attached to the handle of a stair railing" It includes a transport support 220 having a flow path (passage, delivery flow path) formed therein so that the extinguishing agent sprayed from the fire response unit 300 and/or the inhaled harmful/toxic gas can be delivered to the rail device 100 . can do.

또한 이송장치부(200)는 외부의 신호를 받아 전술한 “슬라이딩 모듈”을 구동하여 레일장치부(100)를 따라 이송장치부(200)의 이동이나 움직임, 가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제어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fer device 200 receives an external signal to drive the above-described “sliding module” and a control unit 230 that can determine whether to move, move, or operate the transfer device 200 along the rail device 100 . )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이송장치부(200)는 레일장치부(100)에서 전달되거나 레일장치부(100)로 전달하는 소화약제, 유독가스 등이 외부로 임의 유출되지 않도록, 양 단부에는 밀폐수단(O-Ring 또는 밀폐마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fer device 200 has sealing means (O-Ring or sealing plug, etc.)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이 경우 이송가이드(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장치부(100)를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체결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이송가이드(210)는, 도 2와 달리 레일장치부(100)의 지그에 의해 움직임이나 가동 범위가 제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면을 기준으로 레일장치부(100)의 설정된 일부만을 감싸 지그에 의한 움직임이나 가동범위의 제약없이 터널 등 밀폐공간 내 설정된 공간이나 구역까지 슬라이딩 될 수 있다(도 3 참조).In this case, the transfer guide 210 is fastened to slide along the rail device 100 as shown in FIG. 2 . However, the transfer guide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FIG. 2 , in order to prevent the movement or the movable range from being restricted by the jig of the rail device 100 , the cross section of the rail device 100 . It can be slid to a set space or zone in a closed space such as a tunnel without restriction of movement or range of motion by a jig by wrapping only a set part (see FIG. 3 ).

또한 이송가이드(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내측에 홀 체결구(21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fer guide 210, as shown in FIG. 4, may include a hole fastener 211 inside the set.

홀 체결구(211)는 홀 체결몸체(211a) 및 홀 체결돌기(21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송가이드(210)의 내부에 고정부착된 홀 체결몸체(211a)를 기준으로 홀 체결돌기(211b)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한해, 레일장치부(100)에 형성된 분출홀(101) 및/또는 흡입홀(102)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고, 분출홀(101) 및/또는 흡입홀(102)을 통해 레일장치부(100) 내부 중공(이송유로)에 수용된 소화약제가 이송장치부(20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로 유입되거나, 이송장치부(200) 내부로 유입된 유독가스 등이 레일장치부(10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The hole fastener 211 may include a hole fastening body 211a and a hole fastening protrusion 211b, and a hole fastening protrusion based on the hole fastening body 211a fixed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transfer guide 210 ( Only when the 211b) moves downward, the ejection hole 101 and/or the suction hole 102 formed in the rail device 100 is selectively opened, and the ejection hole 101 and/or the suction hole 102 is opened. ) through which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accommodated in the hollow (transfer flow path) inside the rail device unit 100 is introduced into the flow path formed inside the conveying device unit 200, or toxic gas introduced into the conveying device unit 200 inside the rail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unit 100 .

즉 유로가 형성된 이송가이드(210)의 설정된 내부에 형성된 홀 체결구(211)에 의해 레일장치부(100)의 분출홀(101) 및/또는 흡입홀(102)이 이송가이드(210) 내부에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화약제 및/또는 유독가스의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the ejection hole 101 and/or the suction hole 102 of the rail unit 100 by the hole fastener 211 formed in the set inside of the transfer guide 210 in which the flow path is formed is moved inside the transfer guide 210 . It can be opened or closed, thereby enabling the transfer of extinguishing agents and/or toxic gases.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홀 체결구(211)는 내부에 홀 체결돌기(211b)의 상방 또는 하방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체결돌기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결돌기 구동모터”는 전술한 제어부(230)의 제어신호를 받아 설정된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된다.To this end, the hole fastener 2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parate “fastening projection driving motor” capable of controlling the upward or downward movement of the hole fastening projection 211b therein. The “motor” can be driven in a set direction by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of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230 .

이송지지대(220)는 이송가이드(210, 내부에 이송유로 형성)와 일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이송가이드(210) 내부의 유로와 연결된 유로를 내부에 수용하며, 타단부는 이하 후술할 화재대응부(300)를 체결 지지하는 지지체를 지칭한다.The transfer support 220 accommodates the transfer guide 210 (a transfer passage formed therein)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transfer guide 210 inside the transfer guide 210, and the other end is a fire response unit to be described later. Refers to a support for fastening and supporting (300).

화재대응부(300)는 터널 등 밀폐공간에서의 화재 사고 등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독/유해가스를 흡입할 수 있도록 “유독가스 유로”를 통해 연결된 흡입구(310, 제어부(230)에 의해 제어되는 “흡입 모터” 포함 가능) 및 “소화약제 유로”를 통해 연결되어 소화약제를 외부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구(320)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more effectively respond to a fire accident in a confined space such as a tunnel, the fire response unit 300 has an inlet 310 connected through a “toxic gas flow path” to inhale toxic/toxic gas, as shown in FIG. 2 . , it may include a “suction motor”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30) and an injection port 320 that is connected through the “extinguishing agent flow path” to inject the extinguishing agent to the outside.

흡입구(310)는 소화 현장에서 발생하는 매연 등 유해하거나 유독한 가스를 내부로 포집할 수 있는 팬(Fan)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로 유입된 유독가스 등은 화재대응부(300) 내부에 형성된 “흡입유로”를 따라 다시 이송지지대(220) 내부의 유로와 이송가이드(210)의 유로 및 레일장치부(100)의 중공 및 유로를 거쳐 최종적으로 유독가스 배출모듈(140)을 통해 설정된 외부 공간으로 정화되어 배출될 수 있게 된다.The inlet 310 may include a fan capable of collecting harmful or toxic gases such as soot generated at the fire extinguishing site to the inside, and the toxic gas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fire response unit 300 is Along the formed “suction path”, through the flow path inside the transport support 220 again, the flow path of the transport guide 210, and the hollow and flow path of the rail unit 100, finally the outside set through the toxic gas discharge module 140 It can be purified and discharged into sp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입구(310)는 분사구(320)의 상면에 일단부가 부착되고 타단부가 터널 등 밀폐공간의 내부로 길게 노출 형성되되, 분사구(320)의 상면과 설정된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한 힌지(Hinge)로 체결되어 화재의 상황이나 위치, 확산 방향 등에 보다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도 2 참조).In addition, the suction port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end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jection hole 320 and the other end is formed to be long exposed inside a closed space such as a tunnel, and rotates within a range of an angle se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njection hole 320 . It is fastened with possible hinges so that it is possible to respond more flexibly to the situation, location, and direction of spread of fire (refer to FIG. 2).

또한 화재 사고에서 발생하는 매연 등 유독, 유해가스가 상승하는 점에 착안하여, 화재대응부(300)의 상면을 벽체 등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10)의 부착된 반대인 실내 공간 측으로 길게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한 뒤, 상면에 본 발명에 따른 흡입구(31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paying attention to the rise of toxic and harmful gases such as soot generated in a fire acciden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e response unit 300 is extended toward the indoor space,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a wall. After the protrusion is formed, the suction port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분사구(320)는 특정 화재 현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화재대응부(300)의 외부로 노출된 측면에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소화약제 분사노즐(내부에 분사 모터 및 개폐마개를 포함할 수 있음)를 지칭한다(전달유로와 연결된 분산유로를 통해 분사구로 소화약제가 전달).The injection port 320 refers to a fire extinguishing agent injection nozzle (which may include an injection motor and an opening/closing stopper therein) formed at least one on the sid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e response unit 300 so as to effectively respond to a specific fire site. (Extinguishing agent is delivered to the injection port through the dispersion channel connected to the delivery channel).

분사구(320)는 소화약제 공급모듈(130)로부터 공급(레일장치부(100), 이송장치부(200)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되거나 화재대응부(300)의 설정된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소화약제(이를 위해 화재대응부(300)는 내부에 별도의 “소화약제 수용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를 화재 현장에 분사하여 초기 화재 대응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된다.The injection port 320 is supplied from the extinguishing agent supply module 130 (sequentially transported along the rail device 100 and the transport device 200) or fire extinguishing that is accommodated in the set internal space of the fire response unit 300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initial fire response by spraying the chemical (for this purpose, the fire response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extinguishing agent storage tank (not shown)” therein) to the fire si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사구(320)는 높이 방향으로 화재대응부(300)의 일측에 복수개 형성되며, 전술한 제어부(230)의 제어를 통해, 화재의 양상이나 화재의 확산 속도 등에 따라 복수개의 분사구(320) 전부를 개방하여 소화약제를 분사하거나, 설정된 일부 분사구(320)만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소화약제를 분사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화재 현장이나 화재 상황별 탄력적 화재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3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e response unit 300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rough the control of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230,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according to the aspect of the fire or the rate of spread of the fire, etc. (320) All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sprayed by opening, or only some of the set injection ports 320 are selectively opened to spray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This enables flexible fire response for each fire site or fire situation.

화재대응부(300)는 추가적으로 설정된 외면에 화재의 진압 여부 및/또는 화재의 진화 양상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카메라나 센서(화염/연기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렇게 수집된 정보는 다시 “송신모듈”을 통해 전송할 수 있게 된다.The fire response unit 300 may additionally include a camera or sensor (flame/smoke sensor, etc.) capable of monitoring whether the fire is extinguished and/or the evolution of the fire, etc. on the set outer surface, and the information collected in this way is again Transmission is possible through the “transmission modu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10)은 터널 등 밀폐공간 내부에 설치된 CCTV 등 영상장비나 센서(비전센서, 화재/화염/연기 감지센서 등)를 통해 원격으로 밀폐공간 내 화재 발생 상황. 화재 발생 위치, 화재의 확산 등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 및 설정된 원격 관제센터나 관리자 단말 등으로 영상 및/또는 설정된 신호, 데이터 등의 전송이 가능한 화재감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tely installed in a confined space such as a tunnel through video equipment or sensors (vision sensor, fire/flame/smoke sensor, etc.) installed in a confined space such as a tunnel. It may further include a fire detection unit 400 capable of monitoring the environment, such as the location of the fire, the spread of fire, and transmitting images and/or set signals and data to a set remote control center or administrator terminal, etc.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10)은 관제실 등에서 원격으로 이송장치부(200)의 슬라이딩 이동이나 화재대응부(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운영관리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영관리부(500)를 통해 발송하는 원격 신호를 제어부(230)가 수신하여 슬라이딩 이동 및/또는 소화약제의 분사나 유독/유해가스의 흡입/배출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management unit 500 capable of controll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transfer device 200 or the operation of the fire response unit 300 remotely from a control room, etc.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30 may receive a remote signal sent through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500 to perform sliding movement and/or injection of a fire extinguishing agent or suction/discharge of toxic/toxic gas.

또한 운영관리부(500)는 터널 등 밀폐공간의 2차원 및/또는 3차원 설계 데이터(CAD 등)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데이터, 기존 촬영된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 등 밀폐공간 내 화재 발생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는 동시에, 미리 설정된 매뉴얼에 따라 이송장치부(200) 및/또는 화재대응부(300)의 이동이나 분사/흡입 등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도록 셋팅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500 generates a fire in a confined space, such as a tunnel, based on two-dimensional and/or three-dimensional design data (CAD, etc.) or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data of an enclosed space such as a tunnel, and existing photographed image image data. At the same time accurately confirming the position, it may be set to automatically execute an operation such as movement or injection/suction of the transfer device 200 and/or the fire response unit 300 according to a preset manual.

이와 함께 운영관리부(500)는 화재대응부(300)에 설치된 “송신모듈”을 통해 화재대응부(300)를 통해 진압이 진행되고 있는 화재의 양상 및 화재 진화 여부 등에 대한 실시간 피드백을 받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소화약제 공급모듈(130) 및/또는 유독가스 배출모듈(140)의 작동 강도(소화약제 공급량의 증대, 유독가스 배출량의 증대 등)를 조절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터널 등 밀폐공간 내 화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unit 500 can receive real-time feedback on the aspect of the fire being suppressed and whether the fire is extinguished through the fire response unit 300 through the “transmission module” installed in the fire response unit 300 . , by adjusting the operating strength of the extinguishing agent supply module 130 and/or the toxic gas discharge module 140 (increase in the amount of supply of extinguishing agent, increase in toxic gas emission, etc.) We can assist you in responding to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10)이 포함하고 있는 각종 유로(流路, 유체의 통과 경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3, various flow paths (fluid passage paths) included in the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등 밀폐공간의 벽체에 지그 등으로 부착 형성되는 레일장치부(100)의 내부에는 소화약제 또는 유독/유해가스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급유로 및/또는 배출유로가 형성되며, 이러한 공급유로와 배출유로는 각각 소화약제 공급모듈(130) 및 유독가스 배출모듈(140)과 연결된다(도 1 참조).As shown in FIG. 3, in the inside of the rail device 100, which is attached to the wall of a closed space such as a tunnel with a jig, etc., a supply channel and/or a discharge channel through which a fire extinguishing agent or toxic/toxic gas can move is formed. And, these supply passages and discharge passages are connected to the extinguishing agent supply module 130 and the toxic gas exhaust module 140, respectively (refer to FIG. 1).

이송장치부(200)는 레일장치부(100)와 일단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되,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의 설정된 위치에 별도의 홀 체결구(211)가 레일장치부(100)의 설정된 위치(상면 또는 측면 등)에 형성된 분출홀(101) 또는 흡입홀(102)을 덮고 있는 홀마개(103)를 누르는 동작(하방 이동)에 의해 개방하여 공급유로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약제를 다시 이송유로, 전달유로 및 분사유로를 거쳐 화재대응부(300)의 외부면에 형성된 분사구(320)를 통해 소화약제를 화재 현장 등에 분사할 수 있게 된다.The transfer device 200 is fastened with the rail device 100 and one end to be slidably movable.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upplied from the supply passage is opened by pressing the hole plug 103 covering the ejection hole 101 or the suction hole 102 formed at the position (upper surface or side, etc.) , it is possible to spray the extinguishing agent at a fire site, etc. through the injection hole 32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e response unit 300 through the delivery passage and the injection passage.

또한 이와 함께, 또는 별개로, 화재대응부(300)의 상면 등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흡입구(310)를 통해 화재 현장 등에서 발생하는 유독/유해가스를 흡입하고, 이렇게 흡입된 유독가스 등이 흡입유로, 전달유로 및 이송유로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다시 레일장치부(100) 내부에 형성된 배출유로를 따라 외부에 형성된 유독가스 배출모듈(140)로 전달되어, 정화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ogether or separately, the toxic / harmful gas generated at the fire site, etc. is inhaled through the suction port 310 formed at a set position such a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e response unit 300, and the inhaled toxic gas, etc. It passes through the delivery passage and the transfer passage sequentially and is again transferred to the toxic gas discharge module 140 formed outside along the discharge passage formed inside the rail device 100, so that it can be purified and discharg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또한 이와 별개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재대응부(300)는 내부의 설정된 공간에 별도의 “소화약제 보관함” 및/또는 유독가스 보관함”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관리자 등에 의해 충전(소화약제의 경우) 또는 제거(유독가스의 경우)되는 시점까지 전술한 유로를 통해 터널 등 밀폐공간의 외부 공간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화재대응부(300) 내부에 수용되어 필요한 시점까지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다른 별도의 “소화약제 보관함” 및/또는 유독가스 보관함”은 내부에 소화약제 높이나 보관 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수위센서” 및/또는 유독가스 종류 및 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농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는 운영관리부(500)에 전달되어 “소화약제 보관함” 및/또는 유독가스 보관함”의 상태 및 교체, 교환 주기나 시점 등에 대한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eparately from this, the fire response uni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parate “extinguishing agent storage box” and/or toxic gas storage box” in a set space inside, and is charged by an administrator, etc. (in the case of extinguishing agents) Alternatively, it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e response unit 300 and stored until a necessary time without escaping to the external space of a closed space such as a tunnel through the above-described flow path until the point of removal (in the case of a toxic gas). In addition, in this regard, a separate “extinguishing agent storage box” and/or toxic gas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level sensor” that can check the height or storage capacity of the extinguishing agent inside and/or to measure the type and concentration of toxic gas. It may include a “concentration sensor” that can You can also support to check the situation in real time.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소방 설비 시스템
100: 레일장치부
101: 분출홀
102: 흡입홀
103: 홀마개
110: 제1 레일장치부(공급유로)
120: 제2 레일장치부(배출유로)
130: 소화약제 공급모듈
140: 유독가스 배출모듈
200: 이송장치부(슬라이딩 모듈)
210: 이송가이드(이송유로)
211: 홀 체결구
220: 이송지지대(전달유로)
230: 제어부
300: 화재대응부(송신모듈)
310: 흡입구(흡입유로)
320: 분사구(분사유로)
400: 화재감지부
500: 운영관리부
10: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100: rail unit
101: ejection hole
102: suction hole
103: hole plug
110: first rail device (supply flow path)
120: second rail unit (discharge passage)
130: extinguishing agent supply module
140: toxic gas emission module
200: transfer device (sliding module)
210: transfer guide (transfer path)
211: hole fastener
220: transport support (transmission flow path)
230: control unit
300: fire response unit (transmission module)
310: suction port (suction flow path)
320: nozzle (injection passage)
400: fire detection unit
500: operation management department

Claims (6)

밀폐공간 내부의 벽체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 또는 액체의 이동이 가능한 공급유로 또는 배출유로가 형성되는 레일장치부;
내부에 이송유로 및 전달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장치부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체결되어, 상기 레일장치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이송장치부; 및
상기 이송장치부의 타단부에 체결되며, 밀폐공간의 내측으로 내부에 형성된 분사유로를 통해 전달된 소화약제의 분사 또는 내부에 형성된 흡입유로를 통한 유독/유해가스의 흡입이 가능한 화재대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설비 시스템.
a rail device unit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wall inside the enclosed space and having a supply passage or a discharge passage capable of moving air or liquid therein;
a transfer unit having a transfer passage and a transfer passage formed therein, and having one end fastened to be slidably movable with the rail unit, and slidably movable along the rail unit; and
A fire response unit that is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device and can inject a fire extinguishing agent delivered through a spray passage formed inside the enclosed space or inhale toxic/toxic gas through a suction passage formed inside; includes;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장치부는,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상기 공급유로에서 소화약제를 상기 이송장치부로 전달할 수 있는 분출홀; 및
상기 분출홀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홀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설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rail unit,
an ejection hole formed at a set position and capable of delivering a fire extinguishing agent to the transfer device in the supply passage accommodated therein; and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comprising a; hole plug capable of selectively opening the ejection ho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부는,
상기 레일장치부의 공급유로 또는 배출유로와 선택적으로 맞춤 체결될 수 있는 이송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이송가이드; 및
일단부가 상기 이송가이드와 체결된 상태로, 상기 이송유로와 연결된 전달유로를 내부에 포함하는 이송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설비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ransfer unit,
a transfer guide having a transfer passage capable of being selectively coupled with a supply passage or an exhaust passage of the rail unit is formed therein; and
A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comprising a; a transfer support including a transfer passage connected to the transfer passage therein with one end coupled to the transfer gui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대응부는,
일측이 밀폐공간의 내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전달유로와 체결되는 흡입유로 또는 분산유로를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흡입유로가 외부로 노출되는 단부에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분산유로가 외부로 노출되는 단부에는 분사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설비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e response unit,
One side is opened to the inside of the enclosed space, and a suction flow path or a dispersion flow path fastened with the delivery flow path is accommodated therein,
An inlet is formed at an end of the suction flow path exposed to the outside, and an injection port is formed at an end of the dispersion flow path exposed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장치부는,
밀폐공간 내측에 일단부가 지그로 고정부착 되는 상기 화재대응부에 소화약제를 공급하는 제1 레일장치부; 및
상기 제1 레일장치부와 설정된 수직 간격으로 이격되고 지그로 고정부착 되어, 상기 화재대응부에서 흡입되는 유독/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가이드하는 재2 레일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설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rail unit,
a first rail device unit for supplying a fire extinguishing agent to the fire response unit having one end fixed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enclosed space with a jig; and
A second rail devic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ail device at a set vertical interval and fixed with a jig to guide the toxic/toxic gas sucked from the fire response unit to the outside;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부는,
설정된 내부에 홀 체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홀 체결구는,
상기 이송가이드의 설정된 내부 공간에 고정부착되는 홀 체결몸체; 및
상기 홀 체결몸체를 기준으로 상방 또는 하방 이동이 가능한 홀 체결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홀 체결돌기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한해,
상기 레일장치부에 형성된 분출홀 또는 흡입홀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설비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transfer unit,
Including a hole fastener in the set interior;
The hole fastener is
a hole fastening body fixedly attached to the set inner space of the transfer guide; and
Including;
Only when the hole fastening protrusion moves downward,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open the ejection hole or the suction hole formed in the rail unit.
KR1020200114353A 2020-09-08 2020-09-08 System for Fire Fighting KR1025291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353A KR102529180B1 (en) 2020-09-08 2020-09-08 System for Fire Fighting
PCT/KR2021/012153 WO2022055227A1 (en) 2020-09-08 2021-09-07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353A KR102529180B1 (en) 2020-09-08 2020-09-08 System for Fire Figh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700A true KR20220032700A (en) 2022-03-15
KR102529180B1 KR102529180B1 (en) 2023-05-04

Family

ID=80631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353A KR102529180B1 (en) 2020-09-08 2020-09-08 System for Fire Fighting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9180B1 (en)
WO (1) WO202205522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42851B (en) * 2022-03-29 2022-10-28 江苏环亚医用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Medical space hanger rail removes conveyor that puts out a fi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7317A (en) * 1998-10-02 2000-04-18 Tokyo Denki Komusho Co Ltd Fire extinguisher utilizing pressurized fluid
KR101936200B1 (en) * 2018-08-23 2019-01-08 (주)세정이에프씨 Fire fighting system for build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6889A3 (en) * 2009-06-17 2010-12-24 France Manche FIRE FIGHTING APPARATUS IN A HIGH LENGTH RAILWAY TUNNEL AND METHOD FOR CARRYING OUT THE SAME.
KR102088679B1 (en) * 2018-10-16 2020-03-13 탱크테크 주식회사 Portable fire extinguisher for ship
KR102068979B1 (en) * 2019-06-26 2020-01-22 (주)길종합건축사사무소이엔지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7317A (en) * 1998-10-02 2000-04-18 Tokyo Denki Komusho Co Ltd Fire extinguisher utilizing pressurized fluid
KR101936200B1 (en) * 2018-08-23 2019-01-08 (주)세정이에프씨 Fire fighting system for bui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5227A1 (en) 2022-03-17
KR102529180B1 (en)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6212645B4 (en) Unmanned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a fire-extinguishing action
CN209885084U (en) Multifunctional firefighting rescue robot
JP2003126286A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KR101289865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spread of flame by air curtain using flame, and the civil engineering and contstruction structure having the same
KR20190023580A (en) Tunnel integrated disaster prevention system capable of accident monitoring, fire disaster prevention, and refugee relief into a tunnel
WO2019137930A1 (en) Extinguishing robot
JP3341892B2 (en) Firefighting equipment
KR20220032700A (en) System for Fire Fighting
KR101974074B1 (en) Water-bulwark system
JP2003000746A (en) Method of extinguishing tunnel fire and equipment therefor
KR101785392B1 (en) Device for prevention of fires smoke and method for prevention of fires smoke using the same
JP20005092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lame and smoke
KR101685524B1 (en) Fire fighting equipment for removing smoke
CN110618636A (en) Laboratory safety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system
KR101289864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spread of flame using smoke by air curtain and structure using this
KR101267421B1 (en) Water atomization spray system combined with drencher and fire extinguish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2265760B1 (en) Cable tunnels management system in apartment houses
JP3411893B2 (en)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and fire extinguishing method in painting booth
WO2019103561A1 (en) Mobile sub-firefighting apparatus that can be mounted on fire engine
CN111135505A (en) Intelligent fire truck and fire extinguishing method thereof
CN220175937U (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building fire safety
JP7431055B2 (en) Tunnel disaster prevention equipment
KR102349411B1 (en) System for fire extinguishing of tall building
KR102109650B1 (en) System of Fire detection and Preventing of Fire Supporting Welding booth
KR102518640B1 (en) Mobile firefighting system in apartment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