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221A - 폐기된 알루미늄 캔 압축기 - Google Patents

폐기된 알루미늄 캔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221A
KR20220032221A KR1020200113751A KR20200113751A KR20220032221A KR 20220032221 A KR20220032221 A KR 20220032221A KR 1020200113751 A KR1020200113751 A KR 1020200113751A KR 20200113751 A KR20200113751 A KR 20200113751A KR 20220032221 A KR20220032221 A KR 20220032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s
unit
waste
compression
recyc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엽
Original Assignee
유동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동엽 filed Critical 유동엽
Priority to KR1020200113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2221A/ko
Publication of KR20220032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22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8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와, 케이스에 설치되며, 내부에 캔이 유동하는 유동경로가 마련되며, 일측에는 유동경로로 캔이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유동경로로 유입된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이물질 배출구가 마련된 캔투입부와, 캔투입부의 타측면에, 유동경로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캔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캔들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제1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일측면에는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캔들이 배출되는 캔배출구가 형성된 캔수용부와, 캔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캔들 중 재활용 대상을 선별하여 배출하는 선별부와, 선별부를 통해 선별 배출된 재활용 대상 캔들을 압축하는 압축부와, 압축부를 통해 압축된 재활용 대상 캔들을 수집하는 수거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캔압축기는 캔과 같은 폐기물을 별도로 수거하거나 분리하는 작업비용을 절감하고 자동으로 압축 과정을 수행하므로 캔에 대한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폐기된 알루미늄 캔 압축기{discarded aluminium can compressor}
본 발명은 캔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되는 캔을 용이하게 분리수거할 수 있도록 압축시키는 캔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음료수나 분유 또는 인스턴트 식품 등의 포장용기로 주철재나 알루미늄재의 캔(Can)이 사용된다. 캔은 포장된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고, 운반도 매우 편리하며, 또 비닐과 같은 합성수지재의 타포장용기와 달리 환경 오염의 문제도 일으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재활용도 가능하다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기 때문
에 그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캔으로는 알루미늄재 캔이나 주철재의 캔이 있으며, 특히, 알루미늄재의 캔은 경량이면서 견고하고 또 성형이 쉽다는 장점 등으로 특히 기밀을 유지한 채 포장되어야 하는 음료수 보관용기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캔은 상술한 바와 같이 주로 주철재나 알루미늄재와 같이 쉽게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 금속재로 제조되므로, 비닐재의 포장지 등 다른 용기와는 달리 내부의 내용물이 사용되거나 음용되고 난 뒤에도 최초의 용적이그대로 유지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되고 난 뒤 부피가 축소되지 않고 그 원형이 유지되기 때문에, 그 부피가 커서 폐기 처리시 아주 불편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이러한 단점은 부피를 기준으로하여 오물수거비를 책정하는 쓰레기 종량제하에서 더욱 부각되었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폐기되는 캔을 손으로 찌그려뜨리거나 발로 밟는 수작업으로 납작하게 압축시킨 후 폐기처리시키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손이나 발등에 부상을 입을 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노래방이나 슈퍼마켓 등과 같이 빈캔이 많이 배출되는 업소의 경우, 처리되어야 할 빈 캔의 수가 많기 때문에 별도의 노동력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기되는 캔을 수거하여 자동으로 캔을 납작하게 압축시킬 수 있는 캔압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캔압축기는 내부에 재활용 쓰레기가 이송되는 이송경로가 마련되며, 일단부에는 상기 이송경로로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가 형성된 캔투입부와, 상기 캔투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경로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재활용 쓰레기 중 압축대상 캔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재와, 상기 캔투입부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제1감지부재에 의한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재활용 쓰레기 중상기 캔을 선별하여 배출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에 의해 선별된 상기 캔을 수용하며, 선형으로 왕복운동하는 가압판에 의해 상기 캔을 연속적으로 압축하는 압축부를 구비한다.
상기 압축부는 상기 선별부로부터 배출된 상기 캔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압축된 상기 캔이 배출되기 위해 상기 캔유입공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의 하면 가장자리에 각각 제1 및 제2배출구가 형성된 압축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판은 상기 제1 및 제2배출구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부에 의해 제1 및 제2배출구 사이를
왕복운동하며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유입된 상기 캔을 압축하여 상기 제1배출구 또는 제2배출구로 배출하는 것이바람직하다.
상기 선별부는 내부에 상기 캔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상기 재활용쓰레기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며,상면 또는 상방 측면에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상기 재활용쓰레기가 유입되는 쓰레기유입공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재활용쓰레기 중 상기 캔이 배출되는 캔배출공 및 상기 캔을 제외한 상기 재활용쓰레기가 배출되는 쓰레기 배출공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선별하우징과, 상기 캔배출공 및 쓰레기배출공의 중심선을 연결하는 연장선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양단이 상기 캔배출공 및 쓰레기배출공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선별하우징 양측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쓰레기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상기 재활용쓰레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안착슬롯이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선별드럼과, 최상측에 위치한 상기 안착슬롯에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재와, 상기 선별드럼에 설치되어 상기 선별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제1감지부재를 통해 캔감지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제2감지부재를 통해 상기 재활용쓰레기의 안착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재활용쓰레기를 압축대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안착슬롯에 안착된상기 재활용쓰레기가 상기 캔배출공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를 작동시켜 상기 선별드럼을 상기 캔배
출공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1감지부재를 통해 캔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상기 제2감지부재를 통해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안착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재활용쓰레기를 비압축대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안착슬롯에 안착된 상기 재활용쓰레기가 상기 쓰레기배출공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를 작동시켜 상기 선별드럼을 상기 쓰레기배출공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선별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캔투입부는 상기 재활용 쓰레기가 투입되는 상기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도록 중심부분에 중공이 형성되며,상호 이격되게 위치한 복수개의 투입부재와, 상기 투입부재들 사이에 상기 재활용 쓰레기가 이송되는 상기 이송경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양단이 각각 상기 투입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이송경로로 이송되는 상기 재활용 쓰레기 중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투입부재의 가장자리는 따라 폐회로를 이루며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캔압축기는 캔과 같은 폐기물을 별도로 수거하거나 분리하는 작업비용을 절감하고 자동으로 압축과정을 수행하므로 캔에 대한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캔압축기(100)는 케이스(200)와, 상기 케이스(200)에 설치되며, 내부에 재활용쓰레기가 이송되는 이송경로가 마련되며, 일단부에는 상기 이송경로로 캔이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가 형성된 캔투입부(300)와, 상기 캔투입부(300)에 설치되어 이송경로를 통해 이송되는 재활용 쓰레기 중 압축대상 캔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재(400)와, 캔투입부(300)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제1감지부재(400)에 의한 감지정보를 토대로 재활용 쓰레기 중 캔을 선별하여 배출하는 선별부(500)와, 상기 선별부(500)를 통해 선별된 캔을 압축하는압축부(600)와, 압축부(600)를 통해 압축된 상기 재활용 대상 캔들을 수집하는 수거함(700)을 구비한다.
케이스(200)는 내부에 캔투입부(300), 캔수용부, 선별부(500), 압축부(600) 및 수거함(700)이 수용될 수 있도록설치공간(612)이 마련되며, 상방 측면에는 캔투입부(300)의 투입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후술되는 선별부(500)의 캔배출공(511) 및 쓰레기배출공(512)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케이스(200) 하면에는 쓰레기배출공(512)을 통해 배출된 재활용쓰레기가 수거함(7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소정길이 돌출형성된 차단격벽(21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투입부재(321,322)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중심부분에 중공이 형성된 링형으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투입부재(321,322)의 중공은 캔이 캔의 연장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캔의 단면에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케이스(200) 내부에 위치되는 제2투입부재(322)는 이물배출부 내로 투입된 재활용 쓰레기가 용이하게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제1투입부재(321)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게 제1투입부재(321)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바(323)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환형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며, 양단이 각각 제1 및 제2투입부재(321,322)의 상호대향면에 고정된다. 이때, 이송경로를 통해 이송되는 재활용 쓰레기 중 이물질이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공(324)이 마련될 수 있도록 다수의 이송바(323)는 제1 및 제2투입부재(321,322)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회로를이루며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호 이격된 이송바(323)들에 의해 형성된 배출공(324)을 통해 투입구로 투입된 재활용 쓰레기 중 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지 않은 소형의 쓰레기들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송부재(330)는 내부에 재활용쓰레기가 이송될 수 있게 내부경로가 마련되며, 이물배출부로부터 재활용 쓰레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방 측면에는 이물배출부가 연통되게 연결되며, 하면은 후술되는 선별부(500)의선별하우징(510)에 연결된다.
이때, 이송부재(330)는 재활용 쓰레기가 이물배출부를 통해 이송되는 이송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송
될 수 있도록 이물배출부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또한, 이송부재(330)는 내부에유입된 재활용 쓰레기가 용이하게 내부경로를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이물배출부가 연결된 상방 측면이 선별하우징(510)이 연결된 하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별하우징(510)은 내부에 이송부재(330)를 통과한 재활용 쓰레기가 수용되고, 선별드럼(5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설치공간(612)이 마련되며, 상면에는 이송부재(330)의 하면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내부공간으로 재활용쓰레기가 유입되는 쓰레기유입공(513)이 형성된다.
안착슬롯(521)은 재활용 쓰레기가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반원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이때, 안착슬롯(521)들은 선별드럼(52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120도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선별드럼(520)의 외주면에 3개의 안착슬롯(521)이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안착슬롯(521)의 형성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2감지부재(530)는 최상측에 위치한 안착슬롯(521)에 대응되는 위치의 선별하우징(510) 내벽면에 설치되어 안착슬롯(521)에 안착된 재활용 쓰레기를 감지한다. 제2감지부재(530)는 안착슬롯(521)에 재활용 쓰레기의 안착여부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근접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별제어부는 제1 및 제2감지부재(400,530)에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회전부(540)를 통해 선별드럼(520)을 회전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선별제어부는 제1감지부재(400)를 통해 캔감지신호가 수신되고, 제2감지부재(530)를 통해 재활용쓰레기의 안착신호가 수신되면, 재활용 쓰레기를 압축대상으로판단하여 안착슬롯(521)에 안착된 재활용쓰레기가 캔배출공(511)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회전부(540)를 작동시켜선별드럼(520)을 캔배출공(51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선별부(500)는 캔투입부(300)로부터 유입된 재활용 쓰레기 중 제1감지부재(400)의 감지신호에 의해 압축대상 캔을 선별하여 압축부(600)로 배출한다.
압축부(600)는 선별부(500)에 의해 선별된 캔을 수용하기 위해 선별부(500)에 연결되며, 선혀으로 왕복운동하는가압판(620)에 의해 캔을 연속적으로 압축하여 배출한다.
압축부(600)는 선별부(500)로부터 선별되어 배출된 캔이 수용되는 압축하우징(610)과, 압축하우징(610) 내에 왕이복동하며 캔을 압축하는 가압판(620)과, 상기 가압판(620)을 구동시키는 구동부(630)를 구비한다.
압축하우징(610)은 캔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캔이 수용될 수 있도록 캔의 형상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되며, 상면에는 수용공간으로 캔이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압축하우징(610) 내부의 전방측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가압판(620)이 왕복하며 캔을 압축하는 압축공간(611)과,구동부(63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612)으로 구획하기 위한 구획격벽(6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축하우징(610)은 압축공간(611) 내에 압축된 캔을 외부로 배출되기 [0049] 위해 캔유입공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의 전방 및 후방측 가장자리의 하면에 각각 제1 및 제2배출구(614,61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압축하우징(610)은 압축공간(611) 내에 설치되어 가압판(6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봉(616)을 더 구비한다. 가이드봉(616)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가이드봉(616)은 일단은 압축하우징(610)의 후방면에 고정되며, 타단은 후방면에 대응되는 격벽의 일측면에 고정된다. 이때, 2개의 가이드봉(616)은 제1 및 제2배출구(614,615)를 통해 배출되는 캔을 간섭하지 않도록 제1및 제2배출구(614,615)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판(620)은 소정의 두께를 갖고 압축공간(611)의 단면에 대응되는 크기의 단면의 판형으로 형성되며, 가이드봉(616)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봉(616)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는 복수개의 관통구가 형성된다.
또한, 가압판(620)의 측면에는 후술되는 구동부(630)의 나사부재(631)에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형성되어있다. 체결홀은 나사부재(631)가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가압판(620)의 측면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나사부재(631)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630)는 가압판(620)을 가이드봉(616)을 따라 선형으로 왕복운동시키며, 나사부재(631)와 구동부재(632)를 구비한다.
나사부재(631)는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일단은 압축하우징(610)의 하방면에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구획격벽(613)에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나사부재(631)의 외주면에는가압판(620)의 체결홀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나사부재(631)는 캔의 압축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가이드봉(616)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스크류부재(641)는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일단은 압축하우징(610)의 하방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구획격벽(613)에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스크류부재(641)의 외주면에는 가압판(620)의 체결홀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1스크류부재(64
1)는 캔의 압축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가이드봉(616)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스크류부재(642)는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일단은 압축하우징(610)의 하방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구획격벽(613)에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가이드봉(616)을 기준으로 제1스크류부재(641)에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제2스크류부재(642)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구동모터(643)는 제1스크류부재(641)의 타단에 설치되며, 전력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구동모터(643)는전력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기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동력전달부(644)는 구동모터(643)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제 스크류부재(642) 에 전달한다. 동력전달부(644)는 구획격벽(613)에 관통된 제1스크류부재(641)의 타단부에 체결된 구동 타이밍 기어(645)와, 구획격벽(613)에 관통된 제2스크류부재(642)의 타단부에 체결된 피동 타이밍 기어(646)와, 구동 타이밍 기어(645) 및 피동 타이밍기어(646) 사이의 구획격벽(6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아이들 타이밍 기어(647)와, 구동 타이밍 기어(645),아이들 타이밍 기어(647) 및 피동 타이밍 기어(646)에 설치되어 구동모터(643)의 회동력을 피동 타이밍 기어
(646)에 전달하는 타이밍 벨트(648)를 구비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동부(640)는 제1 및 제2스크류부재(641,642)에 의해 가압판의 양단부가 이송력이 인가 되므로 가압판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되어 캔을 가압할 수 있다.
먼저, 선별부(500)를 통해 선별된 캔이 캔유입공을 통해 압축하우징(610)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된다. 압축하우징(610) 내부로 캔이 유입되면 구동부재(632)는 나사부재(631)를 회전시켜 가압판(620)을 압축하우징(610)의 제1배출구(614)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구동부(630)에 의해 제1배출구(614)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압판(620)은 압축하우징(610) 내부에 유입된 캔을 압축한다. 가압판(620)에 의해 압축된 캔은 제1배출구(614)을 통해 수거함
(700)으로 배출된다.

Claims (1)

  1. 내부에 재활용 쓰레기가 이송되는 이송경로가 마련되며, 일단부에는 상기 이송경로로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가 형성된 캔투입부와 상기 캔투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경로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재활용 쓰레기 중 압축대상 캔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재와 상기 캔투입부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제1감지부재에 의한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재활용 쓰레기 중 상기 캔을 선별하여 배출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에 의해 선별된 상기 캔을 수용하며, 선형으로 왕복운동하는 가압판에 의해 상기 캔을 연속적으로 압축하는 압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압축기.
KR1020200113751A 2020-09-07 2020-09-07 폐기된 알루미늄 캔 압축기 KR202200322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751A KR20220032221A (ko) 2020-09-07 2020-09-07 폐기된 알루미늄 캔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751A KR20220032221A (ko) 2020-09-07 2020-09-07 폐기된 알루미늄 캔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221A true KR20220032221A (ko) 2022-03-15

Family

ID=80816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751A KR20220032221A (ko) 2020-09-07 2020-09-07 폐기된 알루미늄 캔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22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05459A (ja) 飲料容器自動分別減容回収機
EP1564159B1 (en) A unit for separately collecting urban waste
JP3585497B2 (ja) 圧密成形プレス装置
KR20220032221A (ko) 폐기된 알루미늄 캔 압축기
KR20180000295U (ko) 자동 분리수거 쓰레기통
CN110733773A (zh) 可自动检测分拣归类的生活垃圾回收箱及系统
KR101232358B1 (ko) 캔압축기
KR101044850B1 (ko) 금속음료용기 처리장치
KR102318620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JPH10193188A (ja) 容器回収機
JP2001286856A (ja) 生ゴミ選別方法及びその選別装置
US9205977B2 (en) Waste recycling and compactor
Khankelov Device for sorting solid household waste
JP3136817U (ja) 飲料容器用小型圧縮破砕分別処理装置
KR100455415B1 (ko) 캔압착분리장치
KR100406293B1 (ko) 재활용품 선별장치 및 그 방법
JP2000218398A (ja) 空き缶圧縮自動分別装置
JPH1034391A (ja) 飲料容器回収装置
KR200212989Y1 (ko) 재활용품 선별장치
KR102198043B1 (ko) 생활폐기물 타공식 감량화장치
KR20240069160A (ko) 자동 캔 압축기
WO2004083076A2 (en) Waste processing apparatus
JP2000176691A (ja) 空缶つぶし器
EP4086195A1 (en) Compacting device for articles, preferably containers
CN116280776A (zh) 一种智能分类垃圾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