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1390A -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 Google Patents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1390A
KR20220031390A KR1020200113252A KR20200113252A KR20220031390A KR 20220031390 A KR20220031390 A KR 20220031390A KR 1020200113252 A KR1020200113252 A KR 1020200113252A KR 20200113252 A KR20200113252 A KR 20200113252A KR 20220031390 A KR20220031390 A KR 20220031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fixing
elastic
receiving groove
elastic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성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3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1390A/ko
Publication of KR20220031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1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resilient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품(50)이 수납되는 부품수납홈(S1)이 형성되고, 상기 부품(50)을 눌러 고정하는 제1탄성고정부(17)가 있는 제1고정몸체(10)와, 상기 제1고정몸체(10)에 조립되는 제2고정몸체(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고정몸체(30)는 상기 부품(50)의 상부를 덮고, 상기 부품수납홈(S1)의 내면과 상기 부품(50)의 외면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부품(50)을 눌러 고정하는 제2탄성고정부(3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Parts fastening apparatus and block for vehic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항과 같은 부품의 제조오차를 보상하고, 부품이 장착된 상태에서 임의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블럭의 경우 블럭 내부에 릴레이, 저항, 퓨즈 등의 부품들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부품들을 블록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볼트 너트 등의 부품이 필요하고, 이들을 체결하기 위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부품수가 늘어나고, 볼트/너트를 조이기 위한 공정도 추가될 수밖에 없다.
물론, 볼트/너트 없이 부품을 압입하거나 후크구조로 고정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렇게 압입이나 후크구조 등을 이용하면 부품과 블럭사이에 이격된 틈을 통해 부품이 움직이면서 진동 및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부품이나 블럭의 제조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면 이러한 틈이 커지게 되고, 진동과 소음이 심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104636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81176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을 여러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블럭에 두어, 부품이 블럭 내부에서 진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이나 블럭에 제조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블럭의 고정구조가 이를 보상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부품이 수납되는 부품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부품을 눌러 고정하는 제1탄성고정부가 있는 제1고정몸체와, 상기 제1고정몸체에 조립되는 제2고정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2고정몸체는 상기 부품의 상부를 덮고, 상기 부품수납홈의 내면과 상기 부품의 외면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부품을 눌러 고정하는 제2탄성고정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탄성고정부와 상기 제2탄성고정부는 상기 부품의 서로 다른 외면을 각각 직교한 방향으로 눌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성고정부에는 상기 부품수납홈의 중심부를 향해 탄성변형될 수 있는 제1탄성암이 있고, 상기 부품은 상기 부품수납홈에 수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탄성암에 간섭된다.
그리고, 상기 제1탄성고정부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부품수납홈의 한쪽에는 걸이후크가 돌출되고, 상기 걸이후크는 상기 부품의 상면 가장자리를 걸어 상기 부품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후크와 상기 제1탄성고정부는 상기 제2고정몸체를 향해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걸이후크는 상기 제1탄성고정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2탄성고정부에는 상기 부품의 외면과 상기 부품수납홈의 내면 사이에서 눌려 탄성변형될 수 있는 제2탄성암이 있고, 상기 제2탄성고정부는 상기 제2고정몸체에 다수개가 나란히 구비되어 각각 상기 부품의 동일한 외면을 눌러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탄성고정부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부품수납홈의 내면에는 상기 부품의 외면을 향해 가이드리브가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리브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리브는 상기 부품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부품과, 상기 부품이 수납되는 부품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부품을 눌러 고정하는 제1탄성고정부가 있는 메인블럭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블럭에는 블럭커버가 조립된다. 상기 블럭커버는 상기 부품의 상부를 덮고, 상기 부품수납홈의 내면과 상기 부품의 외면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부품을 눌러 고정하는 제2탄성고정부가 구비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블럭에는 부품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눌러줄 수 있는 제1탄성고정부와 제2탄성고정부가 있다. 제1탄성고정부와 제2탄성고정부가 부품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눌러 탄성지지해주면, 부품은 블럭의 내부에서 유격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이 움직이면서 만드는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1탄성고정부와 제2탄성고정부는 각각 탄성변형가능한 구조이므로, 부품이나 블럭에 제조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변형량을 통해서 이를 보상해줄 수 있다. 따라서 부품이나 블럭의 제조오차에 의한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제1탄성고정부, 제2탄성고정부 및 걸이후크가 구비되고, 이들은 각각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부품을 고정시켜준다. 따라서 별도의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구 없이도 부품이 모든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부품수납홈에는 가이드리브가 구비되어 부품의 한쪽면을 지지해준다. 가이드리브가 부품의 한쪽면을 지지하면 부품이 어느 한쪽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탄성고정부가 부품과 블럭 사이로 파고드는 공간도 일정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블럭의 조립성도 좋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 고정장치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도 1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I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제2고정몸체를 제1고정몸체에 조립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조립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에 사용되는 부품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부품 고정장치는 부품(50)을 자동차용 블럭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하는데, 이를 위해서 부품(50)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구조를 포함한다. 또한, 고정구조의 탄성변형량을 통해서 부품(50)이나 자동차용 블럭에 약간의 제조오차가 있더라도 이를 보상할 수 있다. 여기서 부품(50)이란, 저항, 릴레이, 컨덴서 등 다양한 부품(50)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시멘트 저항을 부품(50)의 일례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자동차용 블럭은 메인블럭과 블럭커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블럭은 자동차용 블럭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이고, 블럭커버은 상기 메인블럭에 결합되어 부품(5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블럭과 상기 블럭커버은 서로 결합하여 대략 육면체 형상을 만들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상기 메인블럭 및 상기 블럭커버의 전체 구조는 도시되어 있지 않고, 상기 메인블럭을 구성하는 제1고정몸체(10)와, 상기 블럭커버을 구성하는 제2고정몸체(30)만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몸체(10)와 상기 제2고정몸체(30)는 본 발명의 부품 고정장치를 구성한다. 상기 제1고정몸체(10)와 상기 제2고정몸체(30)가 결합하면 하나의 부품 고정장치가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고정몸체(10)는 상기 메인블럭에 있고, 상기 제2고정몸체(30)는 상기 블럭커버에 있어서, 서로 분리된 것이다. 다만 상기 메인블럭에 상기 블럭커버가 조립되면, 상기 제1고정몸체(10)와 상기 제2고정몸체(30)도 자연스럽게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고정몸체(10)를 보면,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제1고정몸체(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이고, 그 내부에는 부품수납홈(S1)이 있다. 상기 제1고정몸체(10)는 일종의 빈 공간인 상기 부품수납홈(S1)을 감싸는 구조라고 볼 수도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고정몸체(10)에는 고정펜스(11)가 있고, 상기 고정펜스(11)의 안쪽에 상기 부품수납홈(S1)이 있다.
상기 부품수납홈(S1)은 대략 육면체 형상의 부품(50)을 수납할 수 있고, 도면을 기준으로 보면 상부로 개방되어 있다. 이것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상기 부품수납홈(S1)의 형상은 수납되는 부품(50)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바뀔 수도 있다.
상기 제1고정몸체(10)의 바닥면(11a)은 상기 부품수납홈(S1)의 바닥면(11a)이 된다. 상기 부품수납홈(S1)의 바닥면(11a)은 상기 메인블럭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는데, 도면에는 상기 고정펜스(11)에 둘러 싸인 만큼만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몸체(10)에는 가이드리브(12)가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12)는 상기 부품수납홈(S1)의 내면에서 상기 부품(50)의 외면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가이드리브(12)는 상기 부품(50)의 외면을 지지해서 상기 부품(50)이 어느 한쪽으로 틀어지지 않고 상기 부품수납홈(S1)의 내부에서 정렬되도록 해준다.
상기 가이드리브(12)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탄성고정부(33)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부품수납홈(S1)의 내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탄성고정부(33)가 상기 부품(50)과 부품수납홈(S1)의 내면 사이로 삽입될 때, 상기 부품(50)의 외면은 상기 가이드리브(12)에 밀착되면서 정렬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이드리브(12)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리브(12)는 상기 부품(50)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상기 가이드리브(12)가 상기 부품(50)의 정렬성을 보다 좋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몸체(10)에는 걸이후크(15)가 있다. 상기 걸이후크(15)는 상기 부품(50)의 상면을 걸어줄 수 있다. 도 1을 보면, 상기 걸이후크(15)는 상기 부품(50)이 위쪽 방향(Z축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걸이후크(15)에는 상기 부품(50)의 상면 가장자리를 걸기 위한 걸이턱(15a)이 돌출된다.
상기 걸이후크(15)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탄성고정부(17)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부품수납홈(S1)의 한쪽에서 돌출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걸이후크(15)와 상기 제1탄성고정부(17)는 상기 제2고정몸체(30)를 향해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후크(15)는 상기 제1탄성고정부(1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부품(50)이 상기 부품수납홈(S1)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걸이후크(15)는 상기 부품(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었다, 부품(50)이 완전히 수납된 후에 복원될 수 있다. 도면부호 15b는 상기 걸이후크(15)가 보다 쉽게 탄성변형될 수 있게 하는 후크홈이다. 상기 후크홈(15b)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걸이후크(15)가 구성하는 일종의 외팔보구조의 전체 길이가 더 길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몸체(10)에는 제1탄성고정부(17)가 있다. 상기 제1탄성고정부(17)는 상기 걸이후크(15)의 반대편에 구비되어, 상기 부품(50)의 양쪽 끝을 상기 걸이후크(15)와 상기 제1탄성고정부(17)가 각각 고정해줄 수 있다.
상기 제1탄성고정부(17)는 상기 부품(50)을 상기 걸이후크(15) 방향으로 탄성지지해준다. 상기 제1탄성고정부(17)에는 상기 부품수납홈(S1)의 중심부를 향해 탄성변형될 수 있는 제1탄성암(17a)이 있고, 상기 제1탄성암(17a)이 상기 부품(50)을 탄성지지해주는 것이다. 상기 제1탄성암(17a)은 상기 제1탄성고정부(17)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부품수납홈(S1)의 바닥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부품(50)이 상기 부품수납홈(S1)에 수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탄성암(17a)에 간섭되고, 간섭된 제1탄성암(17a)은 상기 부품(50)의 외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어느 정도 탄성변형된 상태가 된다. 도 4를 보면, 상기 제1탄성암(17a)이 상기 부품(50)을 상기 부품수납홈(S1)의 중심부 방향(화살표 ①방향)으로 지지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여기서 화살표 ①방향은 도 1의 X축 방향과 같다.
다음으로 상기 제2고정몸체(30)를 살펴보면, 상기 제2고정몸체(30)는 상기 블럭커버의 일부로 볼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블럭커버가 생략되고 상기 제2고정몸체(30)만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제2고정몸체(30)의 상면과 측면은 단면으로 표현되어 있다.
상기 제2고정몸체(30)의 연결부(31)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얇은 판상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31)는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블럭커버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31)가 상기 블럭커버의 저면 중 일부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고정몸체(30)는 상기 제1고정몸체(10)에 조립된다. 상기 제2고정몸체(30)는 상기 제1고정몸체(10)에 조립되어 상기 부품(5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몸체(30)의 열결부는 상기 부품(50)의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는 것인데,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연결부(31)는 상기 부품(50)의 상면에 직접 접촉되지는 않고 어느 정도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2고정몸체(30)에는 제2탄성고정부(33)가 있다. 상기 제2탄성고정부(33)는 상기 부품(50)의 외면을 탄성지지해서 상기 부품(50)의 유격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탄성고정부(33)는 상기 부품(50)과 상기 부품수납홈(S1)의 내면 사이의 틈으로 파고 들어서, 상기 부품(50)의 외면을 눌러줄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탄성고정부(33)는 상기 연결부(31)에서 아래쪽, 즉 상기 부품(50)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탄성암(35)이 연결된다. 상기 제2탄성암(35)은 상기 제2탄성고정부(33)로부터 다시 상기 연결부(31)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종의 외팔보 구조이다. 상기 제2탄성암(35)은 상기 부품(50)의 외면을 실질적으로 탄성지지해주는 부분이 된다. 도 5를 보면, 상기 제2탄성암(35)이 상기 부품(50)을 화살표 ③방향으로 눌러주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여기서 화살표 ③방향은 도 1에서 Y축방향과 같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제2탄성암(35)은 상기 부품(50)의 외면과 상기 부품수납홈(S1)의 내면 사이에서 눌려 탄성변형된다고 볼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탄성고정부(33)는 상기 제2고정몸체(30)에 다수개가 나란히 구비되어 각각 상기 부품(50)의 동일한 외면을 눌러주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2탄성고정부(33)는 상기 제2고정몸체(30)에 한 개만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과 도 2를 보면, 상기 제1탄성고정부(17)와 상기 제2탄성고정부(33)는 상기 부품(50)의 서로 다른 외면을 각각 직교한 방향으로 눌러 고정해준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탄성고정부(17)의 제1탄성암(17a)은 상기 부품(50)을 X축 방향으로 눌러주고, 제2탄성고정부(33)의 제2탄성암(35)은 상기 부품(50)을 이와 직교한 Y축 방향으로 눌러주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부품(50)은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각각 유격없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후크(15)가 상기 부품(50)의 상면을 걸고 있으므로, 상기 부품(50)은 Z축 방향으로도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부품(50)은 모든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고, 탄성지지를 통해서 상기 부품수납홈(S1) 내면과의 유격을 없앨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부품(50)을 보면, 상기 부품(50)은 대략 육면체 형상의 몸체부(51)가 있고, 상기 몸체부(51)에서 단자부(53)가 돌출된다. 상기 단자부(53)는 다른 상대품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단자부(53)는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하부, 즉 상기 부품수납홈(S1)의 바닥면(11a) 쪽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50)이 장착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부품(50)은 상기 부품수납홈(S1)에 수납되는데, 상기 부품(50)이 상기 부품수납홈(S1)에 수납되는 과정에서 상기 부품(50)의 양쪽 외면은 각각 상기 걸이후크(15)와 상기 제1탄성고정부(17)의 제1탄성암(17a)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이동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부품(50)의 양쪽 외면이 상기 걸이후크(15)와 상기 제1탄성암(17a)을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키고, 상기 부품(50)의 저면이 상기 부품수납홈(S1)의 바닥면(11a)에 닿으면 상기 걸이후크(15a)는 원형으로 복원되어 상기 걸이턱(15a)이 상기 부품(50)의 상면을 건다. 상기 제1탄성암(17a)은 상기 부품(50)의 외면에 눌려 탄성변형된 상태가 유지되는데, 반대로 상기 제1탄성암(17a)은 상기 부품(50)을 눌러 X축 방향의 유격을 없앨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블럭에 상기 블럭커버가 조립되면, 그 과정에서 상기 제2고정몸체(30)가 상기 제1고정몸체(10)에 조립된다. 상기 제2고정몸체(30)에 있는 상기 제2탄성고정부(33)는 상기 부품(50)과 상기 부품수납홈(S1)의 내면 사이의 틈으로 파고들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몸체(30)가 상기 부품(50)과 상기 부품수납홈(S1)의 사이로 파고들면, 그 과정에서 상기 부품(50)이 반대쪽으로 밀린다. 반대쪽으로 밀린 상기 부품(50)은 상기 가이드리브(12)에 지지되면서 일방향(X축방향)을 따라서 정렬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부품(50)이 정렬되면 상기 부품(50)과 상기 부품수납홈(S1) 사이의 틈도 일정한 간격을 가지게 되어 상기 제2고정몸체(30)가 보다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몸체(30)는 상기 고정펜스(11)의 상단에 있는 가이드면(도면부호 미부여)을 따라 상기 부품(50)장착홈의 바닥면 쪽으로 이동하고, 그 과정에서 상기 제2고정몸체(30)의 상기 제2탄성암(35)이 탄성변형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탄성암(35)이 상기 부품(50)의 외면과 상기 부품수납홈(S1)의 사이에서 압축되어 변형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탄성암(35)은 상기 부품(50)을 Y축 방향으로 탄성지지해줄 수 있게 되고, 상기 부품(50)과 상기 부품수납홈(S1) 사이의 유격을 없앨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고정몸체(10)와 상기 제2고정몸체(30)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부품(50)은 모든 방향으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뿐 아니라, 유격도 제거될 수 있다. 유격이 제거될 수 있으므로 상기 부품(50), 상기 제1고정몸체(10) 또는 상기 제2고정몸체(30) 중 어느 하나에 제조오차가 있더라도 이를 보상해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고정몸체 12: 가이드리브
15: 걸이후크 17: 제1탄성고정부
17a: 제1탄성암 30: 제2고정몸체
31: 연결부 33: 제2탄성고정부
35: 제2탄성암 50: 부품
S1: 부품수납홈

Claims (9)

  1. 부품이 수납되는 부품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부품을 눌러 고정하는 제1탄성고정부가 있는 제1고정몸체;
    상기 제1고정몸체에 조립되면 상기 부품의 상부를 덮고, 상기 부품수납홈의 내면과 상기 부품의 외면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부품을 눌러 고정하는 제2탄성고정부가 있는 제2고정몸체;를 포함하는 부품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고정부와 상기 제2탄성고정부는 상기 부품의 서로 다른 외면을 각각 직교한 방향으로 눌러 고정하는 부품 고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고정부에는 상기 부품수납홈의 중심부를 향해 탄성변형될 수 있는 제1탄성암이 있고, 상기 부품은 상기 부품수납홈에 수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탄성암에 간섭되는 부품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고정부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부품수납홈의 한쪽에는 걸이후크가 돌출되고, 상기 걸이후크는 상기 부품의 상면 가장자리를 걸어 상기 부품을 고정하는 부품 고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걸이후크와 상기 제1탄성고정부는 상기 제2고정몸체를 향해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걸이후크는 상기 제1탄성고정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부품 고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고정부에는 상기 부품의 외면과 상기 부품수납홈의 내면 사이에서 눌려 탄성변형될 수 있는 제2탄성암이 있고, 상기 제2탄성고정부는 상기 제2고정몸체에 다수개가 나란히 구비되어 각각 상기 부품의 동일한 외면을 눌러주는 부품 고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고정부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부품수납홈의 내면에는 상기 부품의 외면을 향해 가이드리브가 돌출되는 부품 고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리브는 상기 부품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부품 고정장치.
  9. 자동차용 블럭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부품;
    상기 부품이 수납되는 부품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부품을 눌러 고정하는 제1탄성고정부가 있는 메인블럭;
    상기 메인블럭에 조립되면 상기 부품의 상부를 덮고, 상기 부품수납홈의 내면과 상기 부품의 외면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부품을 눌러 고정하는 제2탄성고정부가 있는 블럭커버;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럭.

KR1020200113252A 2020-09-04 2020-09-04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KR20220031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252A KR20220031390A (ko) 2020-09-04 2020-09-04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252A KR20220031390A (ko) 2020-09-04 2020-09-04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390A true KR20220031390A (ko) 2022-03-11

Family

ID=80814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252A KR20220031390A (ko) 2020-09-04 2020-09-04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139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176B1 (ko) 2010-10-11 2012-09-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저전압 및 고전압 통합 전압 분배 장치
KR20190104636A (ko) 2012-06-13 2019-09-10 알리손 트랜스미션, 인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176B1 (ko) 2010-10-11 2012-09-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저전압 및 고전압 통합 전압 분배 장치
KR20190104636A (ko) 2012-06-13 2019-09-10 알리손 트랜스미션, 인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99652B1 (en) Isolation board assembly and battery module
US20110281456A1 (en) Contacting plug as well as contacting plug-in connection
US7922510B2 (en) Electronic module having a prestressed flat plug connection and method for mounting such an electronic module
KR20220031390A (ko)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US5044598A (en) Resilient motor mounting structure
US10215207B2 (en) Support member
KR102144031B1 (ko) 정션블록
JP2017063573A (ja) フラットケーブル固定構造
EP3154164A1 (en) Fixture, fixing assembly, and fixation method for fixing power line to base member
KR20220065502A (ko)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록
JP2023085368A (ja) 電子制御部品用ブラケット
WO2016080047A1 (ja) 防振装置用ブラケットおよび防振装置
US7261274B2 (en) Vibration isolation system for dagger mounted equipment
CN102198859B (zh) 用于机舱内部组件的装配装置
CN109076711B (zh) 车载支架及将箱体组装于车载支架而成的单元
KR100902736B1 (ko)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의 엔진 마운트 구조
KR20210077273A (ko) 단자대
US20110048794A1 (en) Electronic part housing box
JP7370824B2 (ja) 機器固定機構、機器固定方法
CN214957310U (zh) 支撑装置以及包括支撑装置的天线
JP7345967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
KR200431599Y1 (ko) 자동차용 부품의 진동방지구조
KR102499424B1 (ko) 미러를 차량의 내부에 부착하기 위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내부미러
KR20190081793A (ko) 정션블록
KR102144032B1 (ko) 정션블록